KR940009267B1 - 약제의 용량 분할장치 - Google Patents

약제의 용량 분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267B1
KR940009267B1 KR1019880011301A KR880011301A KR940009267B1 KR 940009267 B1 KR940009267 B1 KR 940009267B1 KR 1019880011301 A KR1019880011301 A KR 1019880011301A KR 880011301 A KR880011301 A KR 880011301A KR 940009267 B1 KR940009267 B1 KR 940009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dispensing
dividing
medicine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939A (ko
Inventor
쇼오지 유야마
Original Assignee
쇼오지 유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오지 유야마 filed Critical 쇼오지 유야마
Publication of KR89001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약제의 용량 분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용량 분할장치를 일부 종단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위와 동일한 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일부 종단정면도,
제4도는 상하의 분배원반과 지지판의 부착 배치위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하부 분배원반의 지지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공급수단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7도는 분할수단과 클리너기구의 사시도,
제8도는 분할수단과 클리너기구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9도는 종래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급수단 2 : 약제분배수단
3 : 약제 분할수단 11 : 승강기구
20 : 승강 ㆍ선회기구 21 : 상부 분배원반
22 : 하부 분배원반 23 : 분배접시
본 발명은 산약(散藥)등의 약제를 소정량씩 분할하는 용량분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용량분할장치로서는 종래부터 제9도에 도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분할장치는 약제를 정량 공급하는 공급수단(1)과, 그 공급수단(1)에서 공급되는 약제를 정속회전(定速回轉)하여 고리형상으로 균일하게 퇴적하는 약제분배수단(2′)과, 그 분배수단의 분배된 약제를 정량씩 분할하여 꺼내는 분할수단(3)으로 이루어져 있고, 분배수단(2′)은 외주부에 고리형상의 V매스(60)를 구비한 V매스원반(61)과, 상면에 고리형상의 분배접시(62)를 설치한 분배원반(63)으로 구성되어 있다.
V매스원반(61)은 회전반 외주부에 형성된 원추면(64)에 승강이 자유로운 원추통체(65)를 얹어두고, 이 통체(65)의 내측에 V매스(60)를 형성한 것으로, 선회아암(66)에 의해 선회하여 분배원반(63)에 위쪽에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있다.
약제의 분할작업은 V매스원반(61)을 회전시키면서 공급수단(1)에서 V매스(60)내로 약제를 공급하고, V매스(60) 전체에 걸쳐 약제를 균일하게 분배하여 퇴적한 다음 V매스원반(61)을 분배원반(63)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원추통체(65)를 인상하여 V매스(60)내의 약제를 분배원반(63)의 분배접시(62)상에 중력낙하시킨다. 그리고 다음에, 분배원반(63)을 한방향으로 정속으로 회전시켜 분배접시(62)상에 분배된 약제를 약제분할수단(3)에 의해 간헐적으로 정량씩 꺼낸다. 이와 같이 분배원반(63)상에서 약제를 분할하고 있을 동안에 V매스(60)내에는 약제를 투입하여 V매스원반(61)을 회전시켜 분배량을 균일화하는 작업을 동시에 행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량분할 장치로서는, V매스(60)를 통하여 약제를 분배원반(63)상에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V매스(60)의 내주 및 외주에 약제가 부착하여 잔류하는 문제가 있다.
이같이 잔류한 약은 약제의 분할량을 불균일하게 한다거나, 부적당한 혼약상태를 일으키게하여 약효를 손상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같은 불편에 대처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V매스(60)에서 약제를 낙하시킨 후 원추통체(65)를 수회 승강시켜 원추면(64)상에 낙하시키고 그 충격에 의해 원추면(64)에 부착한 약제를 떨어뜨리는 방법과,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V매스(60)와 같은 단면형상의 클리너(67)를 V매스(60)내에 투입하여 V매스원반(61)을 회전시키고, 클리너(67)에 의해 V매스(60)의 내주와 외주에 부착한 약제를 긁어내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는 분할작업을 반복하여 V매스(60)의 내외부에 부착한 약제를 완전히 제거하는 데는 작업에 긴 시간이 걸리고 또한, V매스(60)저부에 달라붙은 약제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의 불편에 대하여 공급수단(1)에서 분배원반(63)에 직접 약제를 공급하고, 그 분배접시(62)상에서 약제를 균일하게 퇴적하여 V매스원반(61)을 생략하는 생각이 있다. 즉, 분배접시(62)는 비교적 평면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한 약제의 제거가 용이하게 행해지는 이유이다.
그러나, 분배원반(63)을 V매스원반(61)과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해 약제가 납작한 분배접시(62)에서 흩어질 염려가 있고, 이때문에 분배원반(63)의 회전속도는 낮게 억제되게되며, 용량분할의 작업능률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분할능률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이 약제를 항상 정확하게 용량분할할 수 있게하는 분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발명은 약제를 정량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그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약제를 정속회전시켜 고리형상으로 균일하게 분배하여 퇴적하는 약제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분배된 약제를 정량씩 분할하여 꺼내는 약제분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약제의 용량분할장치에 있어서, 약제분배수단을 상면에 고리형상의 분배접시를 갖고 독립하여 회전구동되는 복수의 분배원반으로 구성하고, 그 각분배원반을 상하방향으로 중합시켜서 배치함과 동시에 분배수단 아래쪽에 각 분배원반의 분배접시 일단이 약제분배수단의 분할위치에 위치하도록 분배수단을 승강 또는 수평이동시키는 승강ㆍ이동기구를 설치하고, 또한 공급수단 아래쪽에 상기 분배수단의 승강에 대응하여 그 공급수단을 상하이동시키는 승강기구를 설치한 것이다.
복수의 분배원반 중에서, 한 분배원반상으로 공급수단에서 약제를 공급하여 분배 퇴적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분배원반상에서는 분할수단에 의해 약제의 분할취출을 행한다. 상기 작업이 종료되면 승강ㆍ이동기구에 의해 분배수단을 승강 이동시켜서, 약제를 분배퇴적한 분배원반을 분할수단의 분할위치로 약제를 취출한 분배원반을 공급수단의 공급위치로 이동시키고, 각 분배원반상에서 분할작업과 공급, 분배작업을 행한다. 로 이동시키고, 각 분배원반상에서 분할작업과 공급, 분배작업을 행한다.
상기 공정을 번갈아 반복시킴으로써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분할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급수단을 승강기구에 의해 분배원반의 승강에 대응하여 승강시키고, 각 분배원반에 대한 약제의 투하거리를 같아지도록 조절한다. 이에 의해 각 분배원반에 대하여 동일한 약제공급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용량분할장치는 약제의 공급수단(1)과, 약제분배수단(2)과, 약제분배수단(2)과 약제분할수단(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공급수단(1)은 약제투입용 호퍼(4) 아래쪽에 진동피더(5)를 배치한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호퍼(4)와 피더(5)를 병렬하여 2련 설치하고 끊임없이 약제공급이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진동피더(5)는 슈트(6)를 경사형상의 스프링판(7)과 코일 스프링(8)에 의해 지지판(9)상에 탄성지지하고, 그 슈트(6) 아래쪽에는 상하방향의 미진동을 부여하는 가진기(10)가 설치되고 있고, 호퍼(4)에서 투입된 약제는 슈트(6)상을 진동에 의해 전방으로 정속도 반송되고, 슈트(6)의 단부에서 낙하한다. 이 경우, 약제는 진동작용에 의해 슈트(6)의 폭전체에 확산되어 정량분씩 반송된다.
상기 지지판(9) 아래쪽에는 공급수단(1)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기구(11)는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판(9)에 고착하는 지지통(12)의 구멍부(12a)에, 수직으로 기립하는 가이드축(13)을 상하이동가능케 삽입하고, 그 지지통(12)의 하단측부에 회전가능토록 설치한 수평회전축(13′)에 상하방향으로 편심하는 캠판(14)과 베벨기어(15)를 부착하고, 캠판(14)을 베이스(16)상에 설치한 로울러(17)상에 충합시켜 이 캠판(14)의 충합부에서 승강기구(11)와 공급수단(1)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베벨기어(15)에, 지지판(9)에 부착한 모우터(18)의 회전축(18a)의 기어(19)를 맞물리고 있으며, 모우터(18)를 구동시키면 기어(19), (15)를 통하여 회전축(13′)이 회전하고, 캠판(14)이 로울러(17)상을 회동 충합하여 지지판(9)이 캠판(14)의 편심을 따라 승강한다. 상기의 모우터(18)는 후기하는 약제분배수단(2)의 승강ㆍ선회기구(20)의 모우터(40)에 연동하도록 제어되어 있다.
상기 약제분배수단(2)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매의 분배원반(21, 22)을 상하방향으로 중합시킨 구조이고, 그 분배원반(21, 22) 하부에 그것들을 승강 및 선회이동시키기 위한 승강ㆍ선회기구(20)가 설치되어 있고, 양분배원반(21, 22) 상면에는 외주단을 따라 R형상으로 오목부가 된 고리형상의 분배접시(23)가 설치되어 있다.
각원반(21, 22)은 각각 독립하여 회전구동되도록 되어있고,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각 회전축선 (a, b)이 승강ㆍ선회기구(20)의 선회축선(C)에 대하여 대칭으로 등거리만큼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고,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 있어서 하부분배원반(22)의 분배접시(23) 일부가 상부분배원반(21)에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의해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분배원반(21)의 분배접시 일단이 공급수단(1)의 슈트(6) 아래쪽에 위치하면 하부분배원반(22)의 분배접시(23) 일단이 후기하는 분할수단(3) 아래쪽으로, 반대로 하부분배원반(22) 일단이 슈트(6) 아래쪽으로 오면 상부분배원반(21) 일단이 분할수단(3) 아래쪽으로, 각각 번갈아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 분배원반(21)은 중앙부의 축통(24) 내부에 지지브래킷(25a)에 기립한 축(26)을 삽입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원반(21) 하부에 고정된 링기어(27)에 기어기구(28)를 통하여 회전모우터(29)에 연결하는 기어(30)가 맞물려 있다.
한편, 하부 분배원반(22)은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에 하향으로 테이퍼모양으로 된 원추면(22a)이 설치되고, 이 원추면(22a)을 지지판(25)상에 원주형상으로 소정간격으로 복수 배치한 로울대(32)에서 받아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원반(22) 하부에 고정된 링기어(32)에, 모우터(33)에 연결한 기어(34)를 맞물리고 있다. 상기 구조에서는 각 모우터(29, 33)의 구동에 의해 상하의 각 분배원반(21, 22)은 각각 독립하여 회전구동된다.
지지판(25)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ㆍ선회기구(20)는 상단이 지지판(25)에 고착된 선회축(35)의 구멍(35a)에 베이스(16)상에 기립시킨 가이드축(36)을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하고, 그 선회축(35)의 하부에 부착한 로울러(37)를 베이스(16)상에 설치한 캠대(38)의 상면에 충합시켜 지지판(25)과 약제분배수단(2)을 지지하고, 선회축(35)에 부착한 링기어(39)에 정역전 가능한 모우터(40)에 연결된 원통모양기어(41)를 맞물리고 있다.
상기 구조의 기구에서는 모우터(40)를 구동시키면서 선회축(35)이 회전하고, 지지대(25)가 선회축(35)를 중심으로 선회함과 동시에 로울러(37)가 캠대(38)의 상면(38a)을 이동함으로써 지지대(25)가 캠대(38)의 경사를 따라 승강한다.
이 캠대(38) 상면은 상하방향으로 경사하는 캠면으로 되어 있고, 그 경사방향은 상부 분배원반(21) 선단이 슈트(6) 아래쪽에 위치했을때 로울러(37)가 캠대(38) 상면의 높은곳에 위치하고, 하부분배원반(22) 선단이 슈트(6) 아래쪽으로 선회했을때 로울러(37)가 캠대(38) 상면의 낮은곳에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분할수단(3)은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블(42)상에 모우터(43)로 구동되는 회전축(44)과, 모우터(45)로 구동되는 기복동용축(46)을 평행형상으로 배치하고, 회전축(44)에 기복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부착한 기복아암(47)의 선단에 회전원판(48)을 회전가능케 부착하고, 기복아암(47)내에 조립한 연동기구(49)에 의해 회전축(44)의 회전을 원판(48)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복동용축(46)에는 클릭캠(50)이 고정되고, 기복아암(47)의 근원에 상기 클릭캠(50)이 맞닿는 로울러(51)가 설치되고, 클릭캠(50)의 회전에 의한 로울러(51)에의 맞닿기로 기복아암(47)에 기복동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원판(48)은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배접시(23)의 요(凹) 입면에 일치하는 직경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분배접시(23)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부착되고, 이 원판(48)의 앞쪽단면에 약제의 퍼내기판(5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분할수단(3)은 분배접시(23)상에서 원판(48)이 상하이동하고, 하강정지위치에서 원판(48)이 분배접시(23)내에 끼워맞춤하여 회전한다.
또, 회전축(44)에는 분할수단(3)에 인접시켜 분배접시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너기구(53)가 부착되어 있다. 이 클리너기구(53)는 내부가 공급흡인통로가 되는 흡인관(54) 후단에 공기흡인기에 연통하는 파이프(55)를 연결하고, 흡입판(54)의 선단부에 하면이 분배접시(23)의 형상을 따라 R모양으로 형성된 흡인실(56)을 설치하고, 이 흡인실(56) 하면에 흡인구(53a)를 설치하고 있다.
또, 흡인관(54)의 후단에는 로울러(57)가 설치되고, 한편, 기복동용축(46)에는 상기 로울러(57)에 대향하여 클릭캠(58)이 부착되어 있고, 모우터(45)의 구동에 의해 클릭캠(58)이 회전하면 클릭캠(58)과 로울러(57)와의 총합에 의해 흡인관(54)이 분할수단(3)과 마찬가지로 회전축(44)을 지지점으로 하여 기복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릭캠(58)과 로울러(57)의 맞닿는 위치는 기복아암(47)의 로울러(51)와 클릭캠(50)과의 맞닿기 위치와 위상을 어긋나게하여 설정하고 있으며, 기복아암(47)이 하강하여 분할수단(3)의 원판(48)이 분할접시(23)에 맞닿았을때 흡인관(54)은 하강 도중에 있고, 원판(48)이 분할접시(28)에 맞닿은 후 소정한 사이를 두고 흡인관(54)이 분배접시(1)에 접근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상기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분할장치는 제1도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을때 모우터(29)의 구동에 의해 상부 분배원반(21)을 정속회전시키고, 그 분배접시(23) 위쪽에 공급수단(1)에서 약제를 정속도 반송하여 분배접시(23)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퇴적시킨다. 또, 상기 동작과 동시에 모우터(33)를 구동시켜 하부 분배원반(22)을 일정속도로 회전시키고, 모우터(45)의 구동에 의해 기복동용축(46)을 회동시켜, 원판(48)을 회전시킨 분할수단(3)과 클리너기구(53)를 하강시키고, 분할접시(23)상에 맞닿게한다.
이경우, 분배접시(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클릭캠(50), (58) 사이에 위치한 위상의 어긋남에 의해 분할수단(3)의 원판(48)이 맞닿은 후, 소정 사이를 두고 클리너기구(5)의 흡인구(53a)가 접근한다. 즉, 우선 원판(48)이 분배접시(23)내에 끼워져 이동해오는 약제를 막고, 그 약제를 퍼내기판(52)이 퍼담아 배출슈트(59)로 배출하고, 그 약제를 취출당한 분배접시(23)의 표면부분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다음에 클리너기구(53)의 흡인구(53a)가 분배접시(23)에 접근한다.
클리너기구(53)는, 하강위치에서 선단의 흡인구(53a)가 분배접시(23)내에 끼워맞춤하고, 분할수단(3)에서 약제를 퍼낸후의 분배접시(23)의 표면을 흡인하여 잔약을 제거한다.
상기 분배원반(21)의 분배접시(23)에 소정량의 약제가 공급되거나, 하부 분배원반(22)의 분배접시(23)에서 약제가 모두 취출된 시점에서 양 분배원반(21), (22)를 정지시키고, 모우터(45)의 구동에 의해 기복동용축(46)을 회동시켜서 제3도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수단(3)과 클리너기구(53)를 위쪽으로 회동시킨다.
다음에, 모우터(40)를 구동시키고, 선회축(35)의 로울러(37)와 캠대(38)와의 충합에 의해 지지대(25)를 하강, 선회시키고,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분배원반(21)의 분배접시(23)를 분할수단(3)의 분할위치로 이동시킨다. 또, 동시에 승강기구(11)의 모우터(18)를 구동하여 공급수단(1)을 소정량 하강시키고, 슈트(6)와 분배접시(23)와의 거리가 상하의 분배원반(21), (22)에 대하여 항상 일정하게 조절한다. 이 상태에서 하부 분배원반(22)상에 공급수단(1)에서 약제를 공급하고, 상부 분배원반(21)상에 퇴적한 약제를 분할수단(3)에 의해 분할하는 작업공정을 행한다. 그후, 상기 작업을 순차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한쪽 분배원반으로 약제의 공급ㆍ분배공정을 행하고 있는 사이에 다른쪽 분배원반에서 약제의 분할공정을 행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거의 반으로 단축되고, 분할작업의 능률이 향상된다.
또, 약제가 퍼내어진 후의 분배접시(23)의 클리닝은 분배접시(23)가 비교적 평면에 가까운 형상이기 때문에 공기흡인에 의해 표면에 부착한 약제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약제를 소망의 분할수로 정확하게 용량분할할 수가 있다. 또 클리닝에 걸리는 시간도 종래와 같이 V매스원반의 V매스내의 클리닝시간에 비해 짧아도 되고, 장치의 휴지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사이클타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실시예에서는 상하의 분배원반(21), (22)을 위치를 어긋하게하여 배치하고, 선회운동에 의해 그 수평방향의 위치를 일체로 변화시키도록 하였으나, 예컨대, 제9도에 도시하는 구조와 같이 상부 분할원반(21)을 선회아암에 부착하고, 그 아암의 움직임에 의해 상부 분할원반(21)을 하부 분할원반(22) 위쪽에 중합되도록 이동시켜도 좋다.
또, 분배원반은 2개이상을 상하로 중합하여 설치하여도 상관없다.
그리고, 실시예의 분배접시는 R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대신하여 평탄한 수평면의 분할원반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은 분배원반을 복수 설치하고, 그 각 분배원반에 의해 약제의 공급ㆍ분배 작업과, 약제의 분리작업을 동시에 행하도록 했기때문에 용량분할의 작업능률 저하를 없애고, 약제 취출후의 잔약 제거를 용이하게하며, 정확한 약제분배작업을 가능케한다.
또, 분할원반을 상하로 중합시켜 배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부착 스페이스가 작아도 되고, 장치를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우기, 공급수단을 약제분배수단의 상하이동에 대응하여 승강시킴으로써 각 분배원반에 대하여 약제의 투하거리를 같게할 수 있으므로 분배원반상에 대한 약제의 공급량을 균등하게 할 수 있고, 분배접시에 균일한 약제퇴적을 행할 수 있다.

Claims (1)

  1. 약제를 정량공급하는 공급수단(1)과, 그 공급수단(1)에서 공급되는 약제를 정속회전하여 고리형상으로 균일하게 분배하여 퇴적하는 약제분배수단(2)과, 상기 분배수단(2)의 분배된 약제를 정량씩 분할하여 취출하는 약제분할수단(3)으로 이루어지는 약제의 용량분할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제분배수단(2)을, 상면에 고리형상의 분배접시(23)를 갖고 독립하여 회전구동되는 복수의 분배원반(21, 23)으로 구성하고, 그 각 분배원반(21, 23)을 상하방향으로 중합시켜 배치함과 동시에, 약제분배수단(2)의 아래쪽에 각 분배원반(21, 23)의 분배접시(23) 일단이 상기 약제분할수단(3)의 분할위치에 위치하도록 분배(2) 수단을 승강 또는 수평이동시키는 승강ㆍ이동기구(20)를 설치하고 또, 상기 공급수단(1) 아래쪽에 상기 분배수단(2)의 승강에 대응하여 공급수단(1)을 상하이동시키는 승강기구(1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의 용량분할장치.
KR1019880011301A 1988-04-01 1988-09-01 약제의 용량 분할장치 KR940009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81937 1988-04-01
JP63-81937 1988-04-01
JP63081937A JPH01254502A (ja) 1988-04-01 1988-04-01 薬剤の容量分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939A KR890015939A (ko) 1989-11-27
KR940009267B1 true KR940009267B1 (ko) 1994-10-06

Family

ID=1376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301A KR940009267B1 (ko) 1988-04-01 1988-09-01 약제의 용량 분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1254502A (ko)
KR (1) KR940009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299B1 (ko) * 2011-12-16 2013-08-28 백경율 이송물 디바이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641B2 (ja) * 1989-07-13 1995-11-29 園部 尚俊 粉粒体の分包機
JPH0640083Y2 (ja) * 1990-10-19 1994-10-19 正二 湯山 散薬定量供給装置
JP2807931B2 (ja) * 1991-04-18 1998-10-08 株式会社 東京商会 薬剤分包機
JPH0653142B2 (ja) * 1991-04-18 1994-07-20 株式会社東京商会 薬剤分包機
JPH0653144B2 (ja) * 1991-08-16 1994-07-20 株式会社東京商会 散薬取り出し装置
JPH0653143B2 (ja) * 1991-08-16 1994-07-20 株式会社東京商会 散薬取り出し装置
JPH0653146B2 (ja) * 1991-08-27 1994-07-20 株式会社東京商会 散薬供給装置
JPH0653145B2 (ja) * 1991-08-27 1994-07-20 株式会社東京商会 散薬供給装置
JPH0653147B2 (ja) * 1991-10-29 1994-07-20 株式会社東京商会 散薬供給装置
JPH0638839B2 (ja) * 1991-11-03 1994-05-25 株式会社東京商会 散薬分包機
JPH0638838B2 (ja) * 1991-11-03 1994-05-25 株式会社東京商会 散薬分包機
JPH0638836B2 (ja) * 1991-11-03 1994-05-25 株式会社東京商会 散薬分包機
JPH0638837B2 (ja) * 1991-11-03 1994-05-25 株式会社東京商会 散薬分包機
JPH05237168A (ja) * 1992-02-04 1993-09-17 Tokyo Shokai:Kk 散薬分包機
JPH05237167A (ja) * 1992-02-04 1993-09-17 Tokyo Shokai:Kk 散薬分包機
JP2683855B2 (ja) * 1992-02-04 1997-12-03 株式会社 東京商会 散薬分包機
JPH05237169A (ja) * 1992-02-04 1993-09-17 Tokyo Shokai:Kk 散薬分包機
JP3369005B2 (ja) * 1994-09-19 2003-01-20 正二 湯山 薬剤の容量分割装置
JP3476935B2 (ja) * 1994-12-14 2003-12-1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の容量分割方法と分割装置
JPH09299449A (ja) * 1996-05-13 1997-11-25 Yuyama Seisakusho:Kk 散薬分割装置
US6497342B2 (en) 2000-11-30 2002-12-24 Mckesson Automated Healthcare, Inc. Medicine feeder
JP4641920B2 (ja) * 2005-09-30 2011-03-0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分包装置
JP5165620B2 (ja) * 2009-03-02 2013-03-21 株式会社エルクエスト クリーナー装置、散薬分包機
WO2015076266A1 (ja) * 2013-11-22 2015-05-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し装置
WO2015083641A1 (ja) * 2013-12-02 2015-06-1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し装置及び薬剤払出し方法
CN106956809A (zh) * 2017-05-05 2017-07-18 苏州信亨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散装药定量出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6401A (en) * 1980-11-19 1982-05-29 Yuyama Shoji Divider for fixed quantity of powdered and granular body in partial pac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299B1 (ko) * 2011-12-16 2013-08-28 백경율 이송물 디바이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47441B2 (ko) 1993-07-16
JPH01254502A (ja) 1989-10-11
KR890015939A (ko) 198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9267B1 (ko) 약제의 용량 분할장치
JP4641920B2 (ja) 薬剤分包装置
JPH02180265A (ja) カプセル充填装置
CN110121325A (zh) 药物供给器
JP2001048101A (ja) 薬剤定量供給装置
JPH0780043A (ja) 散薬供給装置
JP2019103874A (ja) 薬剤払出し装置及び薬剤払出し方法
JPH05301622A (ja) 粒状材料を制御可能に供給する装置
JP2530153B2 (ja) 包装機械内で物品、特に菓子類を移し替える方法
JP3344840B2 (ja) 薬剤の容量分割装置
JP2563196Y2 (ja) 散薬定量供給装置
JP3186970B2 (ja) 散薬の分割制御装置
JP2731475B2 (ja) 粉末薬剤分配供給装置
JPH09254903A (ja) 散薬の分割方法
AU681911B2 (en) A method of applying a substance to an article
US3696968A (en) Article depositing machine improvement
JPH0640083Y2 (ja) 散薬定量供給装置
JPH0639789Y2 (ja) 薬剤の容量分割装置における分配皿のクリーナ装置
KR100393720B1 (ko) 약제의용량분할장치
JP3388927B2 (ja) 薬剤の払出し装置
JP2001063707A (ja) 薬剤供給装置
JPH04352601A (ja) 回転式分包機における粉粒体分割装置
JPH0977020A (ja) 散薬分割装置
CN216468644U (zh) 一种医疗内科药物装填用的医疗器械
JPH075060Y2 (ja) 物品整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4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