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168B1 - 편집기능을 가진 화상기록장치 - Google Patents

편집기능을 가진 화상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168B1
KR940005168B1 KR1019910007297A KR910007297A KR940005168B1 KR 940005168 B1 KR940005168 B1 KR 940005168B1 KR 1019910007297 A KR1019910007297 A KR 1019910007297A KR 910007297 A KR910007297 A KR 910007297A KR 940005168 B1 KR940005168 B1 KR 940005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lor
editing
rank
ed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510A (ko
Inventor
데루유끼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요오다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요오다로 filed Critical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20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872Repositioning or masking
    • H04N1/3873Repositioning or masking defined only by a limited number of coordinate points or parameters, e.g. corners, centre; for trim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2Retouching, i.e. modification of isolated colours only or in isolated picture areas only
    • H04N1/622Retouching, i.e. modification of isolated colours only or in isolated picture areas only with simulation on a subsidiary picture reprodu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집기능을 가진 화상기록장치
제1a도는 본 발명의 화상기록장치의 일반적 구성을 나타낸 개통도
제1b도는 배색표(coloring table)의 일예를 나타낸 챠트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기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통도.
제3a∼3d도는 원 그래프를 배색하는 경우 표시부의 화면상의 표시의 각종 예를 나타낸 챠트도.
제4도는 편집처리표의 일예를 나타낸 챠트도.
제5a와 5b도는 편집처리표를 사용하는 경우, 화면상의 다양한 표시의 예를 나타낸 챠트도.
본 발명은 복사기 등의 화상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편집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화상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등의 화상기록장치의 최신모델은,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시켜, 고도의 제어기술, 화상데이타 처리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로써 "배색처리" 및 "색변환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배색처리"에서는 디지타이저 등의 위치지정이 가능한 수단에 의해서, 원고에 묘사되어 있는 폐영역을 지정하거나 또는 원고화상중에 장방형 영역을 설정함과 동시에, 색을 지정함으로써, 당해 폐영역내를 지정한 색으로 배색한다. 상기 "색변환처리"에서는, 디지타이저 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에 의해서 원고상에 장방형 영역을 설정함과 함께, 색을 지정함으로써, 당해 장방형 영역중의 문자의 색을 흑색에서 지정한 색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종래의 화상기록장치의 문제중 하나는 그 편집기능의 조작이 용이치 않다는 것이다. 상기 "배색"처리를 예로 들면, 필수적으로 영역과 색을 지정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는 원 그래프를 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부분을 상이한 색깔, 예를 들어 5∼7색으로 배색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관련된 수개의 폐영역을 상이한 색으로 채색하고자 할때 특히 현저하다. 원 그래프에 배색하는 경우에는, 수개의 색만을 사용하는 것은 불충분하나, 용이하게 인식하는데에 가장 효과적으로 색들을 배색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색 조합의 결정은 매우 곤란하고, 통상의 사용자에게는 번잡한 일이 된다. 또한 문제점은, 배열할 색이 많은 경우, 사용자는 일단 지정했던 색들을 기억해야 한다는 점이다. 사용자가 일단 사용했던 색들을 잊으면, 결국 동일 색을 2회 이상 사용하게 됨으로써, 서로간에 명확한 구별을 요하는 영역들을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해 진다.
또한, 편집기능을 갖는 종래의 화상기록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문서의 어떤부분에 주의표시를 하고자 하는 경우, 통상은 밑줄을 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는 색변환 기능을 갖으므로, 문서의 표제또는 부제또는 그의 주요부를 흑색문자에서 적색문자로 변환시킬 수 있고, 특히, 표제의 경우에는, 적색 배경에 대해 반전으로 표시하여 문자들을 두드러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편집수단을 사용함으로써, 편집기능을 갖는 화상기록장치는, 특별주의를 요하는 부분들을 강조할 수 있다. 그러나, 부분별로 강조도가 상이한 경우들이 있음을 고려해야한다. 예를 들어, 1문장에 상이한 레벨로 강조되는 3종류의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상적인 사용자에 있어서, 제1레벨(즉, 가장 강조)로서 어떠한 편집처리가 가장 효과적이며, 제2, 제3레벨의 강조에는 어떠한 편집처리가 바람직한가를 결정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또한, 복사할 문서가 페이지 수가 많으면, 각 레벨의 강조를 달성하기 위한 편집처리를 문서 전체에 대해 일관되게 해야하며, 또한, 사용자는 적어두거나 또는 기타 방법으로, 상기 제1레벨 강조를 요하는 부분에 적용된 편집처리와, 상기 제2 및 제3레벨강조를 요하는 부분에 적용된 편집처리들을 기억하여야 한다. 실제로 이는 행하기 번잡스런 일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서 완성된 것이며, 복수개의 배색, 각 강조레벨에 적합한 편집등, 상호 관련된 편집처리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화상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센서(line sensor)를 구비하며, 원고 화상을 색분해하여 판독하는 화상판독부(1)와; 상기 화상판독부(1)에 의해 얻어진 색 화상데이타에 대해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화상처리부(2)와; 상기 화상처리부(2)의 출력에 의하여 노광 및 현상을 행하여 하드카피(hard copy)를 출력하는 화상출력부(3)와; 복수매수, 특정 편집처리의 선택 등의 복사조건을 지정하는 입력부(4)와; 디지타이저 등으로 구성된 좌표입력부(5)와; 상기 구성부들의 동작을 조정하며, 복수의 편집처리의 내용이 미리 설정되 순위 랭크와 함께 기입된 편집표를 구비한 제어부(6)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화상기록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제1b도에 도시된 배색표는, 상기 편집표(b)의 일예이며, N가지 색 C1, C2…CN이 각각의 순위 랭크와 함께 상기표에 기입돼 있다. 상기 입력부(4)에서 소정의 편집 메뉴가 선택되고, 상기 좌표입력부(5)에 의해 폐영역들이 지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6)가 상기 배색표를 참조하여 각 폐영역에 대해 지시된 순번에 따라 각각 색 C1, C2…를 할당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각 폐영역은 자동적으로 상기 지시된 순번에 대응하는 색들로 배색된다. 그럼으로써, 조작성이 향상될 뿐만 아나라, 사용자가 최상 배색 결정을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칼라 복사기를 화상기록장치의 예로 들어 설명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프린터, 팩시밀리 및 화상화일링(filing) 장치 등의 다른 화상기록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도는 제1a도에 도시된 화상기록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제어수단(11)과 화상판독부(12)(또는 화상입력단, IIT)와, 화상처리부(13)(또는 화상처리시스템, IPS)와, 화상출력부(14)(또는 화상출력단, ITO)와, 입력부(15)(또는 유저 인터페이스, UI)와, 원고메모리(16)와, 편집결과 메모리 (17)와 신호변환회로(18)와, 명령메모리(19)와, 표시메모리(20)와 표시 콘트롤러 (21)와, 표시부(22)와 좌표입력부(23) 및 제어판넬(24) 로 구성되있다.
또한, 제2 도를 참조해보면 제어수단(11)은 IIT(12), IPS(13), IOT(14) 및 UI(15)의 동작을 조정하며, 하기의 모든 동작들을 제어한다.
IIT(12)는, 원고의 화상을 검출하여, 적(R), 녹(G), 청(B)의 3원색의 전기신호로 분해하며, 통상, 색필터를 구비한 CCD 라인센서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 어셈블리를 "라인센서"라고 약칭함) 상기 라인센서의 출력은 필요에 따라서 이득조정, 오프셋조정, 및 셰이딩 보정 등의 각종단계로 처리되고, 소정비트, 예를 들어 8비트로 디지털화되어, B, G, R의 디지털 농도데이타가 얻어져서 IPS(13)에 입력된다. 실용상, 상기 라인센서의 해상도는 약 16도트/mm이면 충분하다.
IPS(13)는 상기 IIT(12)로부터 상기 B, G 및 R색 농도데이타를 수신하여, 이들 데이타를 황색(Y), 마젠타(M), 시안(C), 및 흑색(K) 등의 토너신호로 변환하고 특정된 프로세스 색의 토너신호 X를 선택하여, 2치화(binary conversion)하고, 프로세스 색 토너신호의 온/오프(on/off) 데이타로 만들어, 이 데이타를 IOT(14)에 출력한다. 이 동안에, 색의 재현성, 계조의 재현성, 해상도의 재현성 등의 재현성을 높이기 위하여, 농도조정, 콘트라스트 조정, 색 평형 조정등 각종 데이타 처리를 행함과 함께, 또한 채색, 색변환 등의 각종 편집처리를 행한다. 상기 농도조정, 콘트라스트 조정, 색평형 조정 등의 각종 조정을 행하는 방법 및, 배색, 색변환 등의 각종 편집처리는 주지돼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OT(14)는, Y, M, C, K의 각각의 색처리에 대해, 노랑, 현상 및 정착(fusing)을 행하며, 감광체와, IPS(13)에서 작성된 온/오프 데이타를 상기 감광체에 기입하기 위한 레이저 등의 광원을 사용하는 노광부, Y, M, C 및 K의 현상기 및 정착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UI(15)는 하기 요소들 IIT(12)에 의해 판독된 원고화상을 기억하는 원고화상 메모리(16)와; 소정의 편집처리를 행한 결과 얻어진 화상을 기억하는 편집결과 메모리(17)와 : 상기 편집결과 메모리(17)에 기억된 토너색 데이타 Y, M 및 C를 R, G 및 B데이타로 변환하는 신호변환회로(18); 각종 메뉴화면을 기억하는 명령메모리(19)와; 워고메모리(16) 또는 신호변환회로(18)와; 각종 메뉴 화면을 기억하는 명령메모리 (19)와; 원고메모리(16)또는 신호변환회로(18)로부터 출력된 화상데이타와 명령메모리(19)로부터의 메뉴화면을 합성하는 표시메모리(20)와; 좌표입력장치(23) 또는 제어판낼(24)로부터 송신된 버튼 정보를 제어수단(11)에 공급하고, 제어수단(11)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소정의 표시화면을 작성하는 표시 콘트롤러(21)와; 통상 칼라 CRT 또는 칼라 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 표시부(22)와; 통상, 광학식 또는 입력식의 터치(touch) 판낼, 또는 투명부재를 구비한 디지타이저등으로 구성되고, 표시부(22)의 전면에 배치되고, 표시된 화면과 함께 소프트(soft) 버튼을 형성하는 좌표입력부(23) 및; 항상 선택 가능한 상태로 있을 필요가 있는 텐 키 패드( ten-key pad), 스타트(START)키를 갖는 제어판넬(24)로 구성돼 있다. 제어판낼(24)상에 배치된 버튼들은 하드 버튼 일수도 있고, 소프트 버튼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칼라복사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IIT(12)에 의해 판독된 원고의 화상을 표시하므로, 표시부(22)의 화면표시는, 적어도, 판독된 원고의 화상이 표시된 영역에 대해서는 비트 맵(map) 방식에 의해 행해진다. UI(15)의 각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칼라복사기는, 또한, 상기 제어수단(11)이, 몇몇의 편집처리의 내용이 예정된 순위 랭크와 함께 기입된 편집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유형의 편집표가 있으며, 그 일예가 제1b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b도에 도시된 표는, 지시된 폐영역에 채색을 행하는 경우의 색의 순위를 특정한다.
첫번째로 지시된 폐영역에는 C1색이 할당되고, 두번째로 지시된 폐영역에는 C2색이, N번째 지시된 폐영역에는 CN색이 할당돼 있다. 이러한 할당에 의하여, 복수의 폐영역을 각각 배색할 수 있다. 이러한 배색표는 1이상 구비될 수 있고, 원 그래프의 배색을 위한 표, 따뜻한 느낌을 주는 배색을 하기 위한 표, 또는 기타 다른 표를 특정 용도별로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할당되는 색의 수를 나타내는 N값은 가변적이며, 통상 5∼7색이면 충분하다.
제1b도에 도시된 표를 사용한 원 그래프의 배색 동작을 설명한다.
복사기 본체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수단(11)이 개시처리를 실행하다. 이 개시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수단(11)이 다음과 같은 동작에 의하여, 표시부(22)상에 초기화면을 표시한다. 먼저, 제어수단(11)이 표시 콘트롤러(21)에, 초기화면을 표시할 것을 지시한다. 이 지시에 응답하여, 표시 콘트롤러(21)가 명령메모리(19)로부터 초기화면의 패턴을 독출한다. 이 독출된 초기화면의 패턴은 표시메모리(20)에 기억되고, 다음 표시 콘트롤러(21)에 의해, 상기 표시부(22)의 주사에 동기하여 독출되어, 표시부(22)에 표시된다. 상기 초기화면은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제3a도의 경우에서, 표시부(22)와 제어판넬(24)이 매우 밀접한 것으로 도시돼 있으나, 이들의 상대적 위치는 제어판낼(24)의 조성에 의해 결정된다. 제어판낼(24)상에 소프트 버튼들을 설치하는 경우, 표시부(22)에 병렬로 배치할 수 있다. 반면 하드버튼들을 설치하는 경우, 제어판낼(24)은 표시부(22)와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한다. 제3a∼3d도의 경우는, 상기 전자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시부(22)에 표시된 화면을 2영역 A와 B로 분할된다. 영역 A는, 복사를 행하는데 필수적인 조건, 즉, 복사매수 설정 배율설정, 복사농도 설정 및 용지크기 설정의 메뉴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영역 B는 편집등 기타 메뉴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3a도의 경우에서는, 영역 B에 하기의 기능을 실행하는 소프트 버튼들이 설치되어 있다.
소정의 화상을 소정위치로 이동시키는「이동」; 원고의 일부를 연속하여 여러장의 복사용지에 확대 복사하거나, 원고의 일부를 그대로, 또는 전체를 축소하여 1장의 복사용지에 수개의 개소에 복사하는「연속복사」: 어떤 원고의 소정의 화상범위를 타원고의 소정위치에 합성하는 「삽입합성」; 소정색의 마커펜으로 지정된 소정 원고 영역에서 추출(trimming), 삭제(masking) 및 기타 편집처리를 행하는「마커편집」: 색변환, 색페인팅,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배색, 자동편집 등의 각종의 색에 관한 편집 처리를 행하는「색 작성」등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영역 A는 IIT(12)에 의해 판독된 원고 화상 또는 편집 후 화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므로, 적어도 이 영역 A는 비트 맵 방식에 의해 표시를 행할 필요가 있다.
영역 B에서의 표시는, 비트 맵 방식 또는 타일(tile)방식 어느 방식으로도 행할 수 있다.
제3a도에서, 「등배」,「고정배율」,「가정배율」등을 장방형으로 둘러싼 영역들이 소프트 버튼을 형성하고 있고 이들 장방형 영역들중 하나를 터치함으로써 메뉴를 선택한다.
제3a도의 초기화면에 의하면, 복사매수는 1장이다. 복사배율에 대해서는「등배」또는 100% 소프트 버튼이 반전 표시돼 있다. 복사농도와 용지크기에 대해서는,「자동선택」소프트 버튼들이 또한 반전표시되어 그들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색 모드는 화면 좌상모서리의 소정위치에 소정 색 패치(Patch)(25)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4색 풀 칼라(full color) 모드로 돼 있다.
따라서, 표시된 화면은 디폴트(default) 또는 초기설정 상태이다. 색 모드 선택은, 영역 B의 「복사모드」버튼을 터치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버튼을 터치하면, 영역 B에 팝-업(pop-up) 메뉴가 나타나서, 4색풀 칼라모드 3색 풀 칼라모드, 단색 모드, 흑백모드 등에 관한 소프트 버튼들이 표시된다. 관련된 소프트 버튼을 누름으로써 원하는 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소프트 버튼들도 마찬가지이다.
제어판낼(24)에는 다음과 같은 버튼들이 있다.「센터링」버튼은, 원고중앙과, 복사지중앙이 일치된 상태로 복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상기 버튼은 워고가 배치된 플래튼 상의 위치헤 무관하게 복사용지상에 정확히 복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PS(13)는 상기 원고의 크기 및 중심을 검지하여, 원고의 중심을 용지의 중심에 일치시킨다.
소오터(sorter)를 사용코자 하는 경우에는,「소오터」버튼을 누르며, 스택킹 (stacking)모드와 정합(sortion)모드가 있다. 버튼들(0∼9)이 텐키패드를 이루며, 복사 수, 배율변경의 경우의 원하는 배율의 입력등을 행하는데 사용된다. 「클리어」 (clear) 버튼은 상기 텐키 패드로 입력된 복사매수 및 기타 입력등을 재설정할때 쓰인다.「올 클리어」(all clear) 버튼은, 현재 설정된 전 기능을 소거하고, 설정상태를 디폴트 상태로 복귀시키는데 사용된다.「스타트」버튼은 복사를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도시돼 있지는 아니하나, 중단버튼 정보 안내 버튼등 기타 버튼들을 설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표시부(22)상에 초기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플래튼상에 원고를 올려놓은 경우를 가정한다.「색 작성」버튼을 터치하면, 제어수단(11)이 이를 검지하고, IIT(12)에 원고를 판독하도록 지시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수단(11)이 상기 IPS(13)에 지시하여, IIT(12)로부터 출력된 화상데이타를 아무런 데이타 처리없이 화상메모리(6)로 송신하도록 한다. 그 결과, IIT(12)에 의해 판독된 원고의 화상데이타가 원고메모리(16)에 기억된다.
원고메모리(16)의 메모리 용량에 대해 설명한다. 표시부(22)가 14인치 크기인 경우, 그의 화소(pixel)수는 약 640×840이다. 또한, 표시부(22)에 표시된 화면은 영역 A 와 B로 분할돼 있으므로, 원고화상이 표시화상에 표시되는 영역 A의 화소수는 640×480이하이다. 반면, A3 크기의 문서가 IIT(12)에 의해 판독되는 경우, 포함된 화소수는 약 5,000×7,000이다. 그러므로, A3 크기의 원고를 통상적으로 판독하고, 전체화상을 영역 A에 표시하는 경우, 화상데이타를 원래 데이타의 1/100이하로 축소해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은, 하기의 3방법중 임의의 1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방법은, 원고메모리(16)의 메모리 용량을, 본 복사기로 판독 가능한 최대 크기의 원고인 A3 크기를 통상적으로 판독하여 얻어진 전체 화소수를 충분히 기억할 수 있는 용량으로 설계하고, 표시메모리(20)에 화상데이타 기입시에 화소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며, 제2 방법에서는, 원고는 IIT(12)에 의해, 예를 들어 매 1주사선마다 건너뛰어 판독됨으로써, 판독해야 하는 화소수가 감소되며, 이 화소수는 화상데이타가 표시메모리(20)내로 기입될때 더 감소된다. 제3 방법에서는, 판독된 원고의 화상데이타를 고능률 부호화에 의해 부호화하여 그 데이타량을 압축한다. 상기 제2 및 제3 방법에 의하며, 주주사방향 뿐만 아니라 부주사방향으로 축소가 행하여진다. 본 칼라 복사기에서는, 주주사방향의 축소는, IPS(13)에 의해서 상기 판독된 화소를 감소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3방법을 비교해보면 상기 제1 방법은 큰 메모리 용량을 필요로 하므로 비용면에서 비효과적이다. 그러나 스크롤(scroll) 버튼 (도시 안됨)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판독된 화상을 관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원하는 편집영역을 고정밀도를 지정할 수 있다.
편집영역의 지정의 정밀도면에서, 제2방법은, 제1방법보다 불리하나, 그 원고메모리(16)의 용량은, 제1방법에서 필요한 용량의 1/2정도면 충분하다. 또한, 매 1주사선씩 건너뛰어 화상판독을 행할 수 있으므로, IIT(12)의 주사시간을 1/2 단축할 수 있어서 비용이 절감된다.
상기 제3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방법에 비해서 데이타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원고메모리(16)의 용량을 훨씬 더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제3방법은, 부호화 및 복호화(decoding) 처리에 훨씬 긴 시간이 소요된다는 결점이 있다. 이들 3방법중 어느 1방법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비용, 처리시간의 감소를 중시하여, 하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방법을 채용한다. 2주사선마다, 3주사선마다, 또는 4주사선마다 화상판독을 행하는 경우, 화상데이타량이 더 감소되며, 따라서 원고메로리(16)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더 많은 수의 주사선을 건너뛰면 원하는 편집 포인트 또는 영역의 설정시의 정밀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건너뛰는 주사선의 수는,메모리 용량, 점검처리 속도, 소정의 편집 포인트 또는 편집영역 설정에 요구되는 정밀도 등의 인자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원고메모리(16)에 화상데이타를 기입하는 것을 상기의 방법으로 종료한 후, 제어수단(11)이 표시 콘트롤러(21)에 지시하여, IIT(12)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표시부 (22)에 표시한다. 이 명령에 응답하여, 표시 콘트롤러(21)가, 원고메모리(16)로부터 표시메모리(20)로 화상데이타를 독출하고, 이와 동시에, 명령메모리(19)로부터, 소정의 메뉴데이타, 즉「새작성」의 팝업 데이타를 독출하여, 이 2종의 데이타를 합성하고, 그 합성데이타는, 표시부(22)의 주사에 동기하여 표시메모리(20)로부터 독출되어, 원고화상과 소정 메뉴가 표시부(22)상에 표시된다.
얻어진 화면의 일예가 제3b도에 도시돼 있다.
제3b도에서, 영역 A는, 원 그래프(30)와, 횡선으로 지시된 문장으로 구성된 원고화상을 포함하고 있고, 영역 B는,「색 작성」팝업 메뉴를 포함하고 있다.「색 모드」버튼은 4색 풀 칼라모드, 3색 모드, 단색 모드 중 원하는 색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페인트」는 지정된 영역을 지정된 색으로 채색하는 기능이다.「자유 색 모드」는, 예를 들면 색 변환시 사용될 색을 등록하는 기능이고,「색 평형」은 색의 미세조정을 행하는 기능이다.
「색 변환」은, 원고의 지정색을 다른 지정색으로 변환하는 기능이다.「선명도」(sharpness)는 화상의 선명도를 조정하는 기능이다.「자동배색」은, 원 그래프의 각 영역의 배색과 같이, 1이상의 폐영역을 자동배색하는 기능이다.
「자동 편집」은, 각각의 지정된 폐영역에 대해서, 지정된 순위 랭크의 편집처리를 행하는 기능이다.
「자동 편집」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취소」는, 상기 메뉴중에서 선택한 명령, 설정한 편집 포인트 또는 영역을 취소하는 기능이며, 그럼으로써, 메뉴, 편집포인트 또는 편집영역의 선택을 재설정할 수 있다.「선택 종료」는, 선택된 명령 메뉴, 입력된 편집 포인트 및/또는 편집영역 등의 파라미터 등을 확정하는 기능이다.
필요한 전 파라미터들을 설정한 후, 상기「선택 종료」버튼을 누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정한 편집처리가 종료된 화상이 표시 화면의 영역 A에 표시되게 된다. 물론,「색 작성」의 팝업 메뉴로서 다른 편집처리를 부가할 수도 있다.
제3b도에 도시된 화면에서,「자동 배색」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제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영역과 배색표의 선택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영역 B에 표시된다. 이와 동시에, 각각의 배색표에 관련된 버튼들이 영역 B에 표시된다. 제3c도에는 3의 배색표가 도시돼 있으나, 배색표의 수는 3이상 또는 3이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3c도에 도시된 화면을 바라보면서, 사용자가 좌표입력부를 사용하여, 원 그래프(30)이 폐영역(제3도에는 5영역)을 순차로 지시하고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배색표, 예를 들어, 배색표 1을 선택하고,「선택 종료」버튼을 누르면, 제어수단(11)이 IIT(12)에 지시하여 원고화상을 판독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수단(11)이, 배색표 1을 참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폐영역에 상이한 색들을 할당한다 : 첫번째로 지시된 폐영역에, 배색표 1의 제1랭크로 지정된 색을 할당하고 : 2번째로 지시된 폐영역에, 배색표 1의 제2랭크로 지정된 색을 할당하고 : 3번째로 지시된 폐영역에, 배색표 1의 제3랭크로 지정된 색을 할당하고 : 4번째로 지시된 폐영역에, 배색표 1의 제4랭크로 지정된 색을 할당하고 : 5번째로 지시된 페영역에, 배색표 1의 제5랭크로 지정된 색을 할당한다. 다음, 제어수단(11)이 IPS(13)에 지시하여 상기 지시된 영역들에 상기 각각 할당된 색들을 배색하도록 한다.
다음, IPS(13)는, IIT(12)로부터 송신된 화상데이타에 상기 지시된 배색처리를 행하고, 그 얻어진 화상데이타를 편집결과 메모리(17)에 기억시킨다. 편집결과 메모리 (17)의 메모리 용량은 원고화상(16)과 유사하다.
상기의 동작들에 의해서, 제3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부(22)상의 화면이 형성된다.
배색표(1)에 의하여 배색된 원 그래프(30)가 영역 A에 표시되는 한편, 영역 B에는 소정 메시지가 표시돼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실제복사전의 표시화면상의 어떤 편집처리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편집결과가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변경」버튼을 터치하여, 상기의 절차들을 반복한다. 반면, 편집결과가 바람직한 경우,「종료」버튼을 터치한 후, 제어판낼(24)상의「스타트」버튼을 터치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수단(11)이, IIT(12)로 하여금 실제복사의 판독동작을 실행하도록하고 IPS(13)으로 하여금, 상기한 바의 배색을 행하도록 하며, 또한 IOT(14)로 하여금, 노광, 현상 및 정착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그 결과, 화면에 표시된 편집결과와 동일하게 편집된 복사물, 즉, 원하는 바로 배색된 원 그래프를 갖는 복사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편집표가 배색표인 경우의 조작 및 각 구성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다음은, 편집표로서, 다양한 편집처리가, 순위 랭크 부여되어 기입돼 있는 편집처리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4도는 편집처리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N종류의 편집 E1, E₂E₃…EN이 순위 랭크 부여되어 기입돼 있다. 이러한 편집처리의 구체예는 하기와 같다 : 제1 랭크의 편집처리 E1는, 지정된 폐영역의 배경을 균일한 적색으로 채우고, 한편 이 영역의 흑색문자들을 반전시키는 처리이고 : 제2 랭크의 편집처리 E2는, 지정된 폐영역 내에 소정농도의 적색 망(mesh)을 겹치게 하는 처리이고 : 제3 랭크의 편집처리 E₃는, 지정된 폐영역 내의 흑색문자들을 적색으로 변환시키는 처리이며 : 제4 랭크의 편집처리 E4는 적색의 밑줄을 치는 처리이다. N의 수는 임의의 값일 수 있으나, 상기 배색표에서와 같이 5∼7이면 실용상 충분하다. 또한, 상기 배색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이상의 편집처리표를 구비할 수 있다.
제4 도에 도시된 편집처리표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여기서, 어떤 문장에 있어서 특히 주의를 요하는 부분, 예를 들어 표제에 상기 제1랭크의 편집처리를 행하고, 소정부분 예를 들어, 부제에 대해 상기 제2랭크의 편집처리를 행하고, 또 다른 소정부분 예를 들어 문장 중의 어떤 문자에 상기 제3랭크의 편집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 고려한다. 이 경우, 제3b도의 화면의「자동 편집」버튼을 터치한다.
상기「자동 편집」버튼이 터치되면, 제어수단(11)이, 표시 콘트롤러(21)에 지시하여 자동편집의 제1팝업 메뉴를 표시하게 하며, 이에 따라, 특정의 편집처리표의 선택을 요구하는 메시자가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다음, 상기 설명한 편집처리를 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편집처리표 1을 선택하고, 다음,「선택 종료」버튼을 터치하면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속의 팝업 메뉴가 화면의 영역 B에 나타나며, 폐영역의 지정과 그의 랭크 지정을 요구한다.
사용자가, 제5b도에 도시된 화면을 보면서, 좌표입력부(23)를 사용하여 폐영역(31)을 설정하고, 다음,「제1 랭크」버튼을 터치한다. 다음, 폐영역(32)을 설정하고,「제3 랭크」버튼을 터치한다. 다음, 사용자가,「선택 종료」버튼을 터치하면, 제어수단(11)이 IIT(12)에, 원고화상을 판독하도록 지시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수단 (11)이, 편집처리표 1을 참조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하여, 편집처리표 1의 각각의 폐영역에 상이한 편집처리를 할당한다.
폐영역(31)에 대해서는, 편집처리표 1의 제1 랭크에 지정된 편집처리, 예를 들면 지정된 폐영역의 배경을 균일한 적색으로 채우고 이 영역내의 흑색문자를 반전시키는 처리를 할당하고 : 페영역(32)에 대해서는, 제2랭크에 지정된 편집처리, 예를 들면, 지정된 폐영역 내에 적색으로 소정 농도의 망을 겹치게하는 처리를 할당하고 : 폐영역 (33)에 대해서는, 제3 랭크에 지정된 편집처리, 예를 들면, 지정된 폐영역내의 흑색문자를 적색문자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한다. 장방형 폐영역의 설정은 좌표입력부 (33)를 사용하여, 그 장방형의 대각을 이루는 2점을 지시함으로써 행한다.
다음, IPS(13)가 IIT(12)로부터 제공된 화상데이타에 대해 상기 지시된 편집처리를 행하고, 그 얻어진 화상데이타를 편집결과 메모리(17)에 기억시킨다.
이러한 동작들의 결과, 소정의 편집처리가 행해진 화상이, 표시부(22)의 화면의 영역A에 표시된다. 이와 동시에, 제3d도에서와 동일한 유형의 메시지가 영역B에 나타난다.
또한, 상기 배색표의 경우와 같이, 편집결과 바람직하지 않으면, 사용자는「변경」버튼을 누르고, 상기의 절차를 반복한다. 반면, 편집결과가 바람직하면, 사용자는 화면내의「종료」버튼을 터치하고, 또한「스타트」버튼을 터치한다. 그 결과, 상기 배색표의 경우에서처럼, 화면에 표시된 편집결과와 동일하게 편집처리된 복사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본 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배색표와 편집처리표를 상기 제어수단에 미리 기억시키는 대신에, 적당한 메뉴에 의해 사용자가 배색할 색, 또는 편집처리의 내용을 임의로 변경가능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편집처리표의 각 랭크의 편집처리로서는 상기의 편집처리에 한하지 않고 여타의 편집처리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폐영역의 배색, 또는 복수의 폐영역에 대해서 랭크 부여된 편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IIT에 의해 판독된 원고의 화상을 표시부상에 표시하여, 표시부의 화면을 보면서 직접, 편집영역의 설정 및 편집처리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편집결과를 화면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복사를 행하지 않고 특정 편집처리 결과의 양호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험복사 또는 기타 예비단계 등을 행할 필요가 없고, 고가의 칼라 토너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화상의 화상데이타를 제공하는 화상판독수단(1,12)과 : 목수의 펴집처리 내용과 미리 설정된 순위 랭크가 함께 기입돼 있는 1이상의 편집 표를 제공하는 제어수단(6, 11)과; 상기 순위 랭크와 함께 상기 화상내의 1이상의 편집영역을 지정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편집표중 하나를 지정하는 좌표입력수단(5,23)과; 상기 지정된 편집영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데이타 부분에 대해 상기 지정된 편접표의 적어도 하나의 편집처리를 상기 순위 랭크에 따라 행하여 편집되 화상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수단(6, 11)과 상기 화상데이타에 의한 화상과 상기 편집된 화상데이타에 의하여 편집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22) 및; 상기 편집된 화상데이타에 의한 하드카피를 출력하기 위한 화상출력수단(3,14)를 구비한 것이 특징인 편집기능을 가진 화상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1,12)이 원고로부터 상기 화상을 독출하는 것이 특징인 편집기능을 가진 화상기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 11)이 상기 편집표를 기억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 편집기능을 가진 화상기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편집처리내용은 상기 화상의 영역들을 상이한 색들로 배색하는 처리인 것이 특징인 편집기능을 가진 화상기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입력수단(5, 23)이 상기 표시수단(22)상에 배치된 좌표입력수단(23)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수단(22)이 상기 편집표중 하나를 지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 메뉴를 더 표시하는 것이 특징인 편집기능을 가진 화상기록장치.
KR1019910007297A 1990-05-15 1991-05-06 편집기능을 가진 화상기록장치 KR940005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26106 1990-05-15
JP2126106A JPH0771187B2 (ja) 1990-05-15 1990-05-15 画像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510A KR910020510A (ko) 1991-12-20
KR940005168B1 true KR940005168B1 (ko) 1994-06-11

Family

ID=1492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297A KR940005168B1 (ko) 1990-05-15 1991-05-06 편집기능을 가진 화상기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36399A (ko)
JP (1) JPH0771187B2 (ko)
KR (1) KR940005168B1 (ko)
DE (1) DE4115895C2 (ko)
GB (1) GB22462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3204B1 (en) * 1989-05-10 2002-10-2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ng a non-rectangular area
JPH0433064A (ja) * 1990-05-23 1992-02-04 Fuji Xerox Co Ltd 画像編集装置
JPH07101917B2 (ja) * 1991-05-14 1995-11-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領域制御装置
US5805132A (en) 1991-09-17 1998-09-08 Minolta Co., Ltd. Image editing apparatus capable of setting image processing region on display screen
EP0536892B1 (en) * 1991-10-07 1997-02-05 Xerox Corporation Image editing system and method have improved color key editing
JPH05145743A (ja) * 1991-11-21 1993-06-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422743A (en) * 1992-12-23 1995-06-06 Xerox Corporation Operator invoked document defect repair templates
US5960109A (en) * 1993-09-07 1999-09-28 Xerox Corporation Single pass marker enclosed area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photocopier
JP3344436B2 (ja) * 1993-11-15 2002-11-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3591861B2 (ja) * 1994-01-31 2004-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2957882B2 (ja) * 1994-02-22 1999-10-0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JP3574170B2 (ja) * 1994-03-17 2004-10-06 富士通株式会社 分散型画像処理装置
US5893130A (en) * 1995-04-28 1999-04-06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output device
JP3109421B2 (ja) * 1995-09-08 2000-11-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図表処理装置
JP3325174B2 (ja) * 1995-12-13 2002-09-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DE69615811T2 (de) * 1995-12-25 2002-04-04 Sharp Kk Abbildungssystem
JP3426079B2 (ja) * 1996-03-18 2003-07-1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JP4365965B2 (ja) * 1998-12-28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US7034965B2 (en) * 2001-10-16 2006-04-25 Stone Cheng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scanning system
KR100765089B1 (ko) * 2005-07-12 2007-10-09 최인철 일자형 디지타이저를 이용한 데이터 검색 및 선택방법
JP4934358B2 (ja) * 2006-06-22 2012-05-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0608A (en) * 1981-04-08 1988-07-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S58119076A (ja) * 1982-01-08 1983-07-15 Toshiba Corp 画像編集装置
US4550315A (en) * 1983-11-03 1985-10-29 Burroughs Corporation System for electronicall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n a CRT screen such that some images are more prominent than others
JPH0824336B2 (ja) * 1986-05-30 1996-03-06 株式会社東芝 画像情報処理装置
EP0252613B2 (en) * 1986-06-10 1995-08-30 Sanyo Electric Co., Ltd. Copy system
US4866539A (en) * 1986-11-25 1989-09-12 Printing And Graphics Enhancement, Inc. Composing system including a foil printing unit
JPH0634209B2 (ja) * 1987-07-23 1994-05-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図形検知方式
JPS6444171A (en) * 1987-08-12 1989-02-16 Ricoh Kk Picture signal processor
US4847604A (en) * 1987-08-27 1989-07-11 Doyle Michael 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features of an image on a video display
JPH01248187A (ja) * 1988-03-30 1989-10-03 Toshiba Corp 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H0222719A (ja) * 1988-07-12 1990-01-25 Nec Corp 電子フアイリ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運転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46263B (en) 1994-05-18
US5136399A (en) 1992-08-04
GB9109679D0 (en) 1991-06-26
KR910020510A (ko) 1991-12-20
DE4115895A1 (de) 1991-11-21
DE4115895C2 (de) 1996-12-12
GB2246263A (en) 1992-01-22
JPH0771187B2 (ja) 1995-07-31
JPH0421262A (ja) 199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168B1 (ko) 편집기능을 가진 화상기록장치
US5363212A (en) Marker dot detecting device for color image recording apparatus
US6785487B2 (en) Image forming device with function selecting keys and at least one shortcut key
US20020015598A1 (en) Operation device
US6222545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58091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character information at a variable magnification
JPH04306058A (ja) デジタル画像記録装置
US5467202A (en) Digital copying apparatus with a display
US5717501A (en) Digital image forming apparatus
US772901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for use therein
US5361141A (en) Image processor
JP325128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US79782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program
US6091520A (en) Color image forming device
US6097510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502301B2 (ja) 複写装置における文字入力装置
JPH07287767A (ja) 文書画像処理装置
JPH0810898B2 (ja) 画像処理装置
JPS63214070A (ja) 画像処理装置
JPH04160981A (ja) 複写機の像域別画像処理装置
JPH08307660A (ja) マーカー編集機能を備えたカラー複写機
JPH0447464A (ja) イメージ編集装置
JPS63202175A (ja) 画像処理装置
JPH01321778A (ja) 画像再生装置
JPH0568161A (ja) デジタル複写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