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071B1 - 4,6-o-히드록시포스포릴글루코사민 유도체 - Google Patents

4,6-o-히드록시포스포릴글루코사민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071B1
KR940004071B1 KR1019910701834A KR910701834A KR940004071B1 KR 940004071 B1 KR940004071 B1 KR 940004071B1 KR 1019910701834 A KR1019910701834 A KR 1019910701834A KR 910701834 A KR910701834 A KR 910701834A KR 940004071 B1 KR940004071 B1 KR 940004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deoxy
tms
anhydrous
glucit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2685A (ko
Inventor
아끼라 하세가와
신이찌 우에사또
도미오 이시다
유다까 사이또
마고또 기소
Original Assignee
니홍 다바꼬 상교 가부시끼가이샤
미즈노 시게루
아끼라 하세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홍 다바꼬 상교 가부시끼가이샤, 미즈노 시게루, 아끼라 하세가와 filed Critical 니홍 다바꼬 상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702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2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1/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inorganic acids; Metal salts thereof
    • C07H11/04Phosphates; Phosphites; Poly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 C07H13/04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radicals attached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 C07H13/04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radicals attache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H13/06Fatty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F
4,6-O-히드록시포스포릴글루코사민 유도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신규인 4,6-O-히드록시포스포릴글루코사민 유도체 및 그 제약상 허용할 수 있는 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리피드 A형 활성을 가지고, 면역부활제, 항종향제등의 의약으로서 유용하다.
그람음성균의 세포표층은 세포막과, 그것을 둘러싸는 세포벽 펩티도글리칸과, 외막으로부터 이루어져 있다. 이 외막에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이하, LPS라 한다)가 함유되어 있다. LPS는 앤도톡신속크를 야기하는 내독소의 주성분이며 산성단백질부분과, 고분자다당부분과, 인지질부분의 3개의 부분으로부터 성립되어있다.
LPS는 발열작용, 출혈작용, 관절염발증, 뇌척수염발증이라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숙주방어기구인 면역을 부활하는 작용, 예를 들면 대식세포(macrophage) 활성화작용, B세포 유약화작용, 세포성면역부활 활성작용등을 가지고, 또 IFN(인터패론)유도작용이나 TNF(종양괴사인자) 유도작용등과 같은 항종양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LPS의 활성발현중심은 상기 3개의 부분 가운데, 리피드 A라 불리는 인지질 부분에 있다. 그 리피드 A는 2당아민에 지방산잔기와 인산이 결합한 것으로, 예를 들면 하기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일본세균학잡지 40(1), 57(1985) 및 Proc. Natl. Acad. Sci. USA.80, 4626(1983)].
최근 연구에서 있어서, 위에 식에 나타낸 비환원서브유닛단독 또는 환원의 각 서브유닛 단독이라도 리피드 A형 활성을 가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사실에 기인하여, 여러가지 유녹체가 합성되고 있다. 그 예로서는 유럽특허공개 제224260호 공보, 특개평 2-62888호 공보, 특개평 2-25494호 공보등에 개시된 것을 들수 있다.
상기와 같이, 리피드 A류녹체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연구가 행해지고 있으며, 각종 치환기에 의한 수식, 치환기 도입부위의 검토가 상세하게 행해지고 있다. 그렇지만, 같은 치환기라도 그 도입부위에 따라 활성이 크게 다르다는 등, 의약품으로서 실용화 할 수 있는 것은 아직 개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보다 강한 활성을 가지며, 또한 저독성의 화합물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강한 리피드 A형 활성을 가지며 또한 독성이 낮은 신규인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파리드 A의 유도체에 대해 계속해서 정의 연구했다. 그 결과, 강약의 차이는 있으나 마이토젠활성, 종양괴사인자유발성, 인터페론 유발성등의 천연 리피드 A와 유사한 강한 활성을 가지며 또한 저독성의 화합물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신규인 4,6-O-히드록시포스포릴글루코사민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Ⅰ]에 나타내는 구조를 가진다.
단,
·R1, R2는 수소원자 또는 수산기를 의미한다.
·R3, R4의 한쪽은 -OCD(CH2)nCH3, -CH2(CH2)nCH3, -O-CH2(CH2)nCH3를 의미하고, 다른 쪽은 수소원자를 의미한다.
·1은 4-16의 정수를 의미한다.
·m은 4-16의 정수를 의미한다.
·n은 6-18의 정수를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할 수 있는 염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염으로서는 무기알칼리금속염, 알칼리토류금속염 또는 유기아민염을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리튬, 칼슘,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또는 트리에틸아민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4,6-O-히드록시포스포릴글루코사민 유도체(Ⅰ)의 구조상의 특징은 다음의 2가지 점에 있다. 제1특징은 고리의 3위치를 α 혹은 β-알킬치환지방산, α 혹은 β-알콕시치환지방산, 또는 α 혹은 β-아실옥시치환지방산으로 아실화한 것이다. 제2 특징은 히드록시포스포릴기[>P(O)OH]를 4.6위치에 도입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Ⅰ]은 면역부활제등의 의약으로서는 유용성이 특히 기대된다. 또한, 이들 화합물[Ⅰ]에는 입체 이성체가 존재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들 모든 입체이성체 및 그들 혼합물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를 유도체[Ⅰ]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반응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플로 1의 각 행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공정]
D-글루코사민에서 유도되는 화합물[1](예를 들면, 특개소 61-197582호 공보 참조)을 아미드화 하고, 화합물[2]을 얻는다. 이 아미드화는 화합물[1]과, 3위치 수산기를 [2-(트리메틸시틸)에톡시메틸]기(-SEN기)로 보호한 지방산화합물 또는 수산기를 가지지 않는 직쇄(直鎖)형태지방산화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행한다. 또, 이 반응은 디클로로메탄등의 불활성용매중에서 디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또는 1-에틸 -3-(3-디메틸아미노플로필)-카르보디이미드염산염 (WSC ·HCI)등과 같은 축합계의 존재하에서 행한다.
[제2공정]
제1공정에서 얻어진 일반식[2]에서 도시되는 화합물을 아실화제와 반응시키고, 고리의 3위치의 히드록실기를 아실화함으로써 화합물[3]을 얻는다. 아실화제로서는 α- 혹은 β- 알킬치환지방산화합물, α-혹은 β-아실옥시치환지방산화합물 또는 α- 혹은 β-알콕시치환지방산화합물(R5OH)을 이용한다. 이 반응은 디클로로메탄등의 용매중에서 촉매량의 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을 첨가하고, 또한 DCC, WSC·HCI등의 축합체 존재하에 행한다.
[제3공정]
제2공정에서 얻어진 화합물[3]을 초산수용액등의 산을 이용하여 가수분해 시킨다. 4,6 위치의 보호기를 달리함으로써 화합물[4]을 얻는다.
[제4공정]
화합물[4]을 피리단 혹은 DMAP등의 염기의 존재하에 디클로로메탄등의 불활성 용매중에서 페닐디클로로포스패트와 반응시킨다. 이것에 의해, 화합물[5]을 얻는다.
[제5공정]
이 공정은 화합물[5]의 R1' 및/또는 R3罕 보호된 수산기인 경우에 있어서, 그 수신기의 보호기를 탈리하기 위한 공정이다. 따라서, R1' 및 R2' 가 양자 모두 수소원자인 경우는 이 공정이 필요로 되지 않는다. 또, R1' 및 R2' 가 양자 모두 보호된 수산기인 경우에는 2개의 보호기를 동시에 탈리하여도 좋고, 2단계 반응에 의해 이들을 순차 개별로 탈리하여도 좋다.
탈리 반응자체는 공지된 여러가지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합물[5]의 R1' 및 / 또는 R2' 가 -OSE인 경우는 그 화합물[5]을 디클로로메탄등의 불활성용매로 용해하고, 얻어진 용액에 삼불화붕소 에테르착제(BF3·OEt2)등의 산, 또는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등의 플루오라이드 이온 발생제를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이들 보호기를 용이하게 탈리할 수가 있다.
또한, R1' 및/또는 R2' 에 있어서 보호기는 상기의 -OSE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벤질기 (-Bn) 이여도 좋고, 이 경우는 백금이나 팔라듐촉매의 존재화에 접초환원함으로써 용이하게 -Bn기를 탈리할 수가 있다.
[제6공정]
화합물[6]은 에탄올, 메탄올, 초산등의 용매에 용해한다. 얻어진 용액에 산화백금 (P t O2)등을 첨가하고 수소첨가함으로써 최종 목적화합물[Ⅰ]을 얻는다.
본 발명의 최종 목적 화합물[Ⅰ]은 공지 방법으로 얻어지는 리피드 A녹류체에서 다음과 같은 반응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가 있다.
상기의 플로 2는 다음의 제7공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제7공정]
화합물[7](예를 들면 특개평 2-62883호 공보등 참조)을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디클로로메탄 또는 클로로포름등의 용매중에서 DOS, WSC·HCI 등의 축합제를 이용하여 반응시킨다. 이것에 의해, 화합물[7]은 분자내축합에 의해 고리화되고 최종 목적화합물[Ⅰ]이 얻어진다.
플로 1의 제2공정에서 사용하는 α- 혹은 β-알킬치환지방, α- 혹은 β-아실치환지방산, 또는 α- 혹은 β- 알콕시치환지방산 가운데, 어느 것은 공지이며 또는 다른 것도 공지화합물에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이하, 이들 각종 치환기의 제조방법에 대해 예시한다.
단, X는 할로겐을 의미한다.
반응은 테트라 히드로푸란(THF)등의 비프로톤성용매와, 헥사메킬포스포릭트리아미드(H M P A) 등과의 혼합용매중에서 행한다. 우선, 대응의 탄소수를 가지는 직쇄카르본산에 이당량의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L D A)등의 강염기를 첨가함으로써 카르본산을 디아니온으로 한다. 이어서, 그 디아니온을 대응의 탄소수를 가지는 직쇄알킬할로겐화물과 반응시킴으로써 α-알킬치환지방산을 얻을 수가 있다.
THF등의 비프로톤성 용매중에서 대응의 탄소수를 가지는 직쇄알킬할로겐화물을 금속 마그네슘과 대응시킴으로써 그리냐드(Grignard)시약을 얻는다. 이 그리냐드시약과, 대응의 탄소수를 가지는 직쇄 알데히드를 반응시켜서 제2급 알콜을 얻는다. 이것을 디클로로메탄등의 불활성용매중에서 피리듐클로로클로레이트(PCC), 죤스(Jones)시약등의 산화제로 산화하여 케톤체로 한다.
한편, 벤젠등의 비프로톤성용매중에서, 트리에틸포스포노아세테이트에 수소화나트륨등의 염기를 첨가함으로써 카르보아니온을 생성시킨다.
이 카르보아니온에 상기 케톤체를 첨가함으로써 비티히(Witting) 반응을 행하고, α β-불포화에스테르체로 한다.
이어서, 초산에틸등의 용매중에서 팔라듐탄소존재하에서 수소첨가함으로써 포화에스테르로한다. 그후, 물을 함유하는 에탄올등의 용매중에서 수산화칼륨등의 염기존재하에서 가수분해함으로써 β-알킬환지방산을 얻을 수가 있다.
대응의 탄소수를 가지는 직쇄 2-혹은 3-히드록시카르본산(또한, 상기 플로 5에서는 3-히드록시카르본산을 예시했다)을 다음과 같이하여 아실화한다. 우선, 초산에틸등의 용매중에서 트리에틸아민등의 염기존재하에 페나실브로마이드를 이용하여 페나실에스테르로 한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등의 불활성용매중에서 피리딘등의 염기의 존재하에서 대응의 탄소수를 가지는 산염화물을 이용하거나 혹은 DCC, WSC ·HCI 등의 축합체 존재하에서 대응의 탄소수를 가지는 직쇄카르본산을 이용함으로써 2위치 또는 3위치 수산기를 아실화한다. 이어서, 아연분말 및 초산으로 처리하여 페나실기를 달리함으로써 α- 혹은 β-아실옥시치환지방산을 얻을 수가 있다.
단, A1은 메틸기 에틸기등의 알킬기를, Tr은 트리틸기등의 수산기의 보호기를, Ms는 메실기, 토실기등을 의미한다.
대응의 탄소수를 가지는 2- 혹은 3-히드록시카르본산 (또한, 상기 플로 6에서는 2-히드록시카본산을 예시했다)을 벤젠등의 비프로톤성 용매중에서, 1,8-디아자비시클로[5, 4, 0] 7-운덴센(DBU)등의 염기존재하에 요드화메틸, 요드화에틸등으로 에스테르화한다. 이 에스테르체를 THF등의 용매중에서 수소화 리튬알루미늄등의 환원제를 이용하여 환원함으로써 디올체를 얻는다. 이어서, 이 디올체의 1급 알콜만을 트리틸기등의 보호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보호한다. 이어서 THF등의 비프로톤성 용매중에서 수소화 칼륨 또는 수소화나트륨 등의 염기 및 요드화 테트라 -n-부틸암모늄등의 상간이동촉매의 존재하에 메실화 혹은 토실화되며 또한 대응의 탄소수를 가지는 직쇄형태알콜과 반응시킴으로써 알콕시치환기의 도입을 행한다. 다음으로. p-톨루엔술폰산등의 산에 의해 1급 수산기의 보호기(트리틸기)를 탈리한다. 또 죤스시약 또는 PCC등의 산화제로 알콜을 산화함으로써 β-알콕시치환 지방산을 얻을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의 의약품으로서의 적용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식[Ⅰ]에서 나타내는 본 발명 화합물은 통상, 전신적 혹은 국소적으로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된다.
투여량은 연령, 체중, 증상, 치료효과, 투여방법, 처리시간등에 의해 다르지만 통상은 성인 1인당 1회에 0.01mg~100mg의 범위로, 1일 1회에서 수회 경구 혹은 비경구 투여된다.
본 발명에 의한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조성물에는 정체, 산제, 과립제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고체조성물에 있어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물질이 적어도 하나의 불활성인 희석제또는 분산제와 혼합된다. 이와 같은 희석제또는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당, 마니톨, 포도당,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을 들 수가 있다. 또, 이들 희석제또는 분산제외에 무수규산분말등의 흡착제와 혼합되어도 좋다. 또, 이 고체투약조성물은 상법에 따라 불활성인 희석제이외의 첨가제를 함유하여도 좋다.
상기 정제또는 펠릿(pellet)은 필요에 따라 백당, 젤라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타레이트 등의 위용성물질 혹은 자용성물질의 필름으로 피복하여도 좋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물질의 2이상의 층으로 피복하여도 좋다. 또한, 산제또는 과립제의 경우에는 젤라틴 또는 에틸셀룰로오스와 같은 물질으로 이루어지는 캡슐로 포섭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조성물에는 약제적으로 허용되는 유탁제, 용해제, 현탁제, 시럽제, 에릭실제등이 함유된다. 이들 액체조성물에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불활성인 희석제예를 들면 정제수, 에탄올, 식물유, 유화제등의 함유된다. 또한, 침윤제혹은 현탁제와 같은 보조제, 감미제, 풍미제, 방향제, 방부제를 함유하여도 좋다.
비경의 투여를 위한 주사제에는 무균의 수성 또는 비수성의 용액제, 가용화제, 현탁제, 유화제가 포함된다. 수성의 용액제, 가용화제, 현탁제로서는 예를 들면 주사용 증류수, 생리식염수, 시클로텍스트린 및 그 유도체,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 아민, 트리에틸아민등의 유기아민류를 들 수 있으며, 그 밖에 무기알칼리를 들 수 있다.
비수용성의 용액제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유, 에탄올과 같은 알콜류를 들 수 있다. 또, 비수용성의 가용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자당지방산에스테르등의 계면활성제(혼성미셀형성) 및 레시틴 및 물이 첨가된 레시틴(리보솜형성)등을 들 수 있다. 또, 레시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유화제로 하여 식물유 등의 비수성의 용해제에서 조제된 유탁(emulsion)제제도 비수성의 용액제에 포함된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그밖의 조성물로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물질을 포함하고 그 자체 공지의 방법에 의해 처방되는 외용액제, 연골과 같은 도포제, 좌약 및 페서리등이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리 작용에 대해 구체적인 실험예와 함께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하에 예시하는 몇갠가의 활성에 덧붙여서, IL-1 생성등의 면역부활시험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게다가, 국소 슈왈쯔만 반응, 발열성등의 제시험에서 저독성이였다.
[실험예 1 (호중구(好中球)에서의 O2- 생산증강활성)]
호중구에서의 O2-생산증강활성은 이하의 실험계를 이용하여 구하였다.[J. Exp. Med., 160권, 1656~1671, 1984년 참조].
C3H/HeN 마우스(웅성(雄性), 8~9주생)의 복공에 0.2%(W/V) 카제인 생식액을 투여하고, 그 3시간후에 복공에 유도된 복공침출세포(90% 이상이 호중구)를 체취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복공침출세포(1.7×106기/ml/튜브 )를 본 발명 화합물의 존재하(10㎍/ml)에서 37℃, 60분간의 인큐베이션했다. 그후, 시토크롬 C(80μM)과 포밀-메티오닐-로이실-페닐아라닌(formyl-metionyl-leucyl-phenylalanin-e ; FMLP) (0.1μM)을 첨가했다. 이어서, 슈퍼옥사이드디스무타제(Superoxide dismutase ; SOD)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서,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후, SOD에 의해 저해될 수 있는 시토크롬 C의 환원량을 550㎚과 541.7㎚의 흡광도의 차이 및 몰흡광계수(16.5×103)에서 산출했다. O2-생간증강활성은 아래식의 증강백분율(Stimulation %)로 나타냈다.
본 발명 화합물은 표 1에 나타나게 되는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표 1에서 대조화합물은 2-데옥시 -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4-O-포스포노 -3-O-[(3R)-3-테트라데카노이록시테트라데카노일]-D-글루코피라노오스(GLA-60)이다.
[표 1]
[실시예 2 (TNF 생산활성)]
TNF의 생산활성은 이하의 실험계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우선, ICR 마우스(자성(雌性), 6~7주생)에 대해, 제1자극제로서 코리내백테륨 펄범(Corynebacterium parvum 5% 현탁액(0.2ml 생식)을 정맥내 투여했다. 투여 9일후에 제2자극제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10㎍/마우스를 정맥내 투여하고, 90분후에 안과정맥총에서 혈액 0.5~1ml를 채취했다. 채취한 혈액을 실온에서 5-6시간 방치한후, 7200×g으로 5분간 원심분리함으로써 혈청을 채취했다. 혈청은 56℃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하고, 비동화한 후에 실험에 이용했다.
혈청중의 TNF량은 L929세포에 대한 세포 장해성을 지표로 하여 다음과 같이측정했다. 우선, 10% 소(牛) 태아 혈청(FBS) 및 2㎍/ml 악티노마이신(actionmycin) D를 함유하는 RPMI 1640 배지를 이용하여 6×104개/ wel(0.1ml)의 농도로 조정한 L929세포를 96구멍 플레이트에 뿌렸다. 10% FBS를 함유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혈청을 단계적으로 희석하고 0.1ml씩 세포에 첨가했다. 37℃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메탄올에서 생세포를 고정했다. 이어서, 0.2%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세포를 염색한후, 1% 도데실황산나트륨(SDS)에서 세포를 용해하고, 550㎚의 흡광도를 측정했다. 세포장해비율(%)을 하기식에 의해 구하고, 50% 세포장해성을 나타낸 혈청의 희석률의 역수를 혈청중의 TNF량 (U/ml)으로 했다.
본 발명 화합물은 표 2에 나타나게 되는 활성을 나타냈다.
[표 2]
[실험예 3 (마이토젠 활성)]
마이토젠활성에 대해, 이하의 실험계를 이용하여 구하였다[Eur. J. Immunol., 14권, 109~114, 1984년 참조].
C3H/HeN 마우스(웅성, 6~10주생)의 비장을 무균적으로 적출했다. 이 비장을 덜베코(Dulbecco)개변(改變) 이글배지(培地)(DMEM) 안에서 풀은 후, 스텐레스메쉬를 통과시킴으로써 비장세포를 채취했다. 채취한 비장세포중의 혼입적혈구를 용혈시킨 후, 세포를 5% FBS를 포함하는 RPMI 1640 배지에 현탁하고 이것을 실험에 이용했다.
본 발명 화합물의 마이토젠 활성의 평가는 본 발명 화합물에서 처리한 비장세포를 배양했을 때에 세포중에 넣어진3H-티미딘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행하였다. 우선, 5×105개/well(100μl)로 조정한 비장세포를 96구멍 플레이트에 뿌렸다. 소정 농도의 본 발명 화합물(100μl)을 첨가하고, 5% 이산화탄소하에 37℃에서 48시간 배양했다. 그후, 1μCi/well(50μl)의3H-티미딘을 첨가하고, 다시 4시간 배양했다. 세포를 인산 완충화 생리식염부(PBS)로 세정한 후, 세포에 넣어진3H-티미딘의 양(방사능량)을 액체 신티레이션 카운터(Scintllation counter)를 이용하여 정량했다. 결과는 다음식에서 나타내는 자극지수(Stimulation Index)로 나타냈다.
본 발명 화합물은 표 3에 나타나게 되는 활성을 나타냈다.
[표 3]
[실험예 4 (코로니 자극인자 유도활성)]
생체내에서의 코로니 자극인자(colony stiumulating Factor ; CSF) 유도활성에 대해, 이하의 실험계를 이용하여 평가했다.[Immunology, 21권, 427~436, 1971년 참조].
본 발명의 화합물 5㎍을 C57BL 마우스(웅성, 8~10주 예)의 미정맥(尾靜脈)에 투여했다. 6시간후에, 같은 마우스의 안과정맥총에서 혈액을 채취했다. 채취한 혈액을 4℃에서 2시간 방치하여 충분히 응고시킨 후, 1500×g으로 원심분리했다. 그 혈청을, CSF를 함유하는 혈청시료로서 회수했다.
한편, 혈청을 채취한 마우스와 같은 계의 마우스의 대퇴골에서, 다음과 같이 하여 골수세포를 조제하였다. 즉, 무균적으로 취출한 대퇴골의 양끝을 절단하고, 그 한쪽에 주사침을 꽂고, 배양액(DMEM)에서 골수세포를 밝혀냈다. 이 세포부유액을 잘 교반한후, 배양액으로 수회 세정하고, 다시 배양액에 현탁했다.
이어서, 0.3% 한천, 25% 말(馬) 혈청 및 50μM 2-머캅토에탄올을 함유하는 배지(DMEM)를 이용하고, 상기에서 조제한 골수세포의 최종세포농도를 105 /ml로 조정했다. 이것에, 같은 배지에서 1/3로 희석한 상기 혈청시료 0.1ml을 첨가한 후, 직경 35㎜의 배양접시에 뿌렸다. 7% 이산화탄소하에서 37℃로 7일간 배양함으로써 코로니를 형성시켰다. 20개 이상의 세포가 그다지 떨어지지 않게 1군으로 되어 취락을 이루고 있는 경우를 코로니로 하여 계수하고, 그 수를 갖고 본 발명 화합물의 CSF 유도능으로 하였다.
본 발명 화합물은 표 4에 나타내게 되는 것 같은 활성을 나타냈다.
[표 4]
[실험예 5 (갈락토사민 부하 치사독성)]
갈락토사민부하 치사독성은 이하의 실험계를 이용하여 구하였다.[J. Biochem., 98권, 395~406, 1985년 참조].
C57BL 마우스(자성, 7주생)에 10mg의 D-갈락토사민염산염을 복공내 투여하고, 그 직후에 본 발명 화합물을 미정맥 투여했다. 투여후 1시간마다 7시간후까지 및 다음날 부터 1일마다 7일후까지 일반상태의 관찰을 행하였다.
본 발명 화합물은 표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치사독성을 나타냈다.
[표 5]
* 함성리피드 A(Lipid A)(LA-15-PP, 506, 제일화학 약품제)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최종 목적 화합물[Ⅰ] 및 중간체 화합물[1]~[7]의 제조방법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당연하면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예를들면 다음과 같은 화합물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이다.
◎ 1,5-무수 -2-데옥시 -2-도데카나미드-3-O-{(2RS)-2-헥사데실옥사이드데카노일}-4,6-O-히드록시포스포릴 -D-글루시톨
◎ 1,5-무수 -2-데옥시 -2-도데카나미드-3-O-{(3RS)-3-헥사데실옥사이드데카노일}-4,6-O-히드록시포스포릴 -D-글루시톨
◎ 1,5-무수 -2-데옥시-3-O-{(3RS)-3-도데실헥사데카노일}-2-헥사데카나미드-4,6-O-히드록시포스포릴 -D-글루시톨
◎ 1,5-무수 -2-데옥시 -3-O-{(2RS)-2-도데실옥시옥타데카노일}-2{(3RS)-3-히드록시도데카나미드}-4,6-O-히드록시포스포릴 -D-글루시톨
◎ 1,5-무수-3-O-{(3RS)-3-데실옥타데카노일}-2-데옥시-2-{(3RS)-3-히도록시헥사데카나미드}-4,6-O-히드록시포스포릴 -D-글루시톨
◎ 1,5-무수 -2-데옥시 -2-도데카나미드-3-O-{(2RS)-2-도데실옥시옥타데카노일}-4,6-O-히드록시포스포릴 -D-글루시톨
◎ 1,5-무수-3-O-{(3RS)-3-데실옥타데카노일}-2-데옥시-2-헥사데카나미드}-4,6-O-히드록시포스포릴 -D-글루시톨
◎ 2-데옥시-3-O-{(2RS)-2-도데실헥사데카노일}-4,6-O-히드록시포스포릴-2-테트라데카나미드-D- 글루코피라노오스
◎ 2-데옥시-4,6-O-히도록시포스포릴-2-테트라데카나미드-3-O-{(2RS)-2-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D- 글루코피라노오스
◎ 2-데옥시-3-O-{(2RS)-2-도데실옥시헥사데카노일}-4,6-O-히드록시포스포릴-2-테트라데카나미드-D- 글루코피라노오스
◎ 2-데옥시-3-O-{(3RS)-3-도데실헥사데카노일}-4,6-O-히드록시포스포릴-2-테트라데카나미드-D- 글루코피라노오스
◎ 2-데옥시-4,6-O-히드록시포스포릴-2-테트라데카나미드-3-O-{(3RS)-3-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D- 글루코피라노오스
◎ 2-데옥시-3-O-{(3RS)-3-도데실옥시헥사데카노일}-4,6-O-히드록시포스포릴-2-테트라데카나미드-D- 글루코피라노오스
◎ 2-데옥시-3-O-{(3RS)-3-도데실옥시헥사데카노일}-2-{(3RS)-3-히드록시옥타데카나미드}-4,6-O-히드록시포스포릴-D- 글루코피라노오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합물[ I], 그 제조에 유용한 중간체 화합물[1]~[7]과 화합물 번호의 관계를 나타내면 표 6과 같다.
[표 6]
[실시예 1]
1,5-무수 -2-데옥시-4,6-O-히드록시포스포릴-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3-O-{(2R)-2-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D-글루시톨 ; (화합물 A)
[제1공정]
1,5-무수 -2-데옥시-4,6-O-이소프로피리덴-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2a)
2-아미노-1.5-무수-2-데옥시-4,6-O-이소프로피리덴-D-글루시톨(1a)(5.8g)과, (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테트라데칸산(10.7g)과, WSC·HCl(11g)을 디클로로메탄(44ml)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의 진행은 실리카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 : 메탄올 =20 : 1)로 추적했다. 반응종료후, 반응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고, 물로 세정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시켰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유거하여,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 : 메탄올 =100 : 1)로 정제했다. 이것에 의해, 무색결정화합물(2a)(14g, 수율 88%)을 얻었다.
[a]υ : -6.90°(c=1.10, CH2CI2)
융점 : 61.0~62.0℃
IR(누졸)㎝-1: 3450, 3280, 1640, 1550, 1460, 1380, 860~835
1H-NMR(300MHz)δ TMS CDCl3: 0.03(9H, s, Me3Si), 0.85~0.97(5H, m, CH2TMS, -Me), 1.20~1.60(20H, m, -CH2-), 1.43, 1.52(6H, 각각 s, -CMe2), 2.38, 2.48(2H, ABX중 AB부분, JAB=14.9Hz, JAX=6.6Hz, JBX=4.0Hz, -CH2CO-), 3.22(2H, m, H-1, H-5), 3.44(1H, brs, -OH), 3.54~3.65(4H, m, H-1, H-4, -CH2CH2TMS), 3.72(1H, t, J=10.5Hz, H-6), 3.87~3.92(2H, m, H-6, CH-OSEM), 4.01~4.09(2H, m, H-2, H-3), 4.67, 4.75(2H, AB, JAB=6.6Hz, -OCH20-), 6.47(1H, d, J=7.0Hz, NH)
[제2공정]
1,5-무수-2-데옥시-4,6-O-이소프로피리덴-3-O-{(2R)-2-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데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3a)
화합물(2a)(1.73g)과 (R)-2-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칸산(1.4g)과 WSC·HCI(1.19g)과 DMAP(189mg)를 디클로로메탄(14.7ml)에 용해하고, 3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물로 세정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n-헥산 : 초산에틸 =3 : 1)로 정제하고, 부정형 화합물(3a)(2.5g, 수율 82.2%)를 얻었다.
[a]D: +9.3°(c=1.1, CHCI3)
IR(필름)㎝-1: 3386, 2928, 2858, 1746, 1657, 1543, 1466, 1379
1H-NMR(300MHz)δ TMS CDCl3: 0.02(9H, s, Me3Si), 0.79~0.96(11H, m, -Me, CH2TMS), 1.12~1.83(64H, m, -CH2-), 1.35, 1.45(6H, 각각 s, >CMe2), 2.18~ 2.47(4H, m, -OCH2-), 3.09~3.29(2H, m, H-1, H-5), 3.48~3.98(6H, m, H-1, H-4, H2-6,-CH2CH2TMS), 4.04~4.26(2H, m, H-2, CHOSEM), 4.62~ 4.68(2H, AB, JAB=6.8Hz, -OCH20-), 4.86(1H, t, J=6.3Hz, >CHOCO-), 4.93(1H, t, H-3), 5.99(1H, d, J = 7.3Hz, NH)
[제3공정]
1,5-무수-2-데옥시-3-O-{(2R)-2-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4a)
화합물(3a)(2.5g)을 95% 초산수용액(32ml)에 용해하고 50℃ 탕욕상에서 5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톨루엔을 첨가하고, 감압 농축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 : 메탄올 = 100 : 1)로 정제하고, 부정형 화합물(4a)(1.6g, 수율 67.7%)를 얻었다.
[a]D: +12.6°(c=1.65, CHCI3)
IR(필름)㎝-1: 3550~3150, 2926, 2858, 1742, 1655, 1543, 1460, 1365
1H-NMR(300MHz)δ TMS CDCl3: 0.02(9H, s, Me3Si), 0.80~0.99(11H, -Me, CH2TMS), 1.17~1.89(64H, m, -CH2-), 2.20~2.44(4H, m, -COCH2-), 2.85(1H, brs, -OH), 3.14(1H, t, J=12.3Hz, H-1), 3.25∼3.37(1H, m, H-5), 3.458∼3.88(3H, m, H-4, CH2 CH2 TMS), 3.70~3.81(1H, m, H-6), 3.82~3.96(2H, m, H-1, H-6, ), 4.01~4.20(2H, m, H-2, CHOSEM), 4.64~ 4.70(2H, AB, JAB=6.9Hz, -OCH20-), 4.82(1H, t, J=6.5Hz, >CHOCO-), 4.89(1H, t, J=10.1Hz, H-3), 6.13(1H, d, J = 7.4Hz, NH)
[제4공정]
1,5-무수-2-데옥시-4,6-O-페녹시포스포릴-3-O-{(2R)-2-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5a)
화합물(4a)(1.6g)을 피리딘(1.6ml) 및 디클로로메탄(3.3ml)에 용해했다. 빙냉하에서 페닐디클로로포스페트(4.0ml)를 떨어뜨리고,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4시간후, 반응액에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물로 세정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하 유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로 정제하여 부정형 화합물(5a)(437mg, 수율23.2%)을 얻었다.
IR(필름)㎝-1: 3306, 2926, 2858, 1744, 1655, 1595, 1460, 1379, 1207, 944, 690
1H-NMR(300MHz)δ TMS CDCl3:0.01, 0.02(9H, 각각 s, SiMe3), 0.80~1.00(11H, m, Me, -CH2TMS), 1.14~1.69(64H, m, -CH2-), 2.20~2.50(4H, m, -COCH2-), 3.18~3.32(1H, m, H-1), 3.49~3.79(3H, m, H-5, -CH2CH2TMS), 3.88~4.00(1H, m, >CH-OSEM), 4.06~4.56(5H, m, H-1, H-2, H-4, H2-6)4.63~4.70(2H, AB, JAB=11.5Hz, -OCH20-), 4.72~4.88(1H,m, >CHOCO-), 5.12, 5.16(1H,각각 t, J=9.6Hz, J=7.1Hz, H-3), 6.00, 6.03(1H, 각각 d, J = 6.9Hz, J=7.1Hz, NH), 7.11~7.44(5H, m, Ph)
[제5공정]
1,5-무수-2-데옥시-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4,6-O-페녹시포스포릴-3-O-{(2R)-2-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D-글루시톨 ; (화합물 6a)
화합물(5a)(437mg)을 건조 디클로로메탄(8.7ml)에 용해했다. 빙냉하에서 삼불화붕소에테르착체(0.44ml)를 떨어뜨리고, 30분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물, 소다수, 물로 차례로 세정했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유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 : 메탄올 = 100 : 1)로 정제하여 부정형 화합물(6a)(249mg, 수율64.7%)을 얻었다.
IR(필름)㎝-1: 3320, 2924, 2858, 1742, 1657, 1207
1H-NMR(300MHz)δ TMS CDCl3: 0.88(9H, t, J=6.3Hz, Me), 11.3~1.76(64H, m, -CH2-), 2.21~2.49(4H, m, -COCH2-), 3.21~3.42(2H, m, H-1, OH), 3.53~3.63, 3.69~3.80(1H, 각각 m, H-5) ,3.85~3.96(1H, m, >CH-OH), 4.01~4.56(5H, m, H-1, H-2, H-4, H2-6), 4.70~4.85(1H,m, >CHOCO-), 5.19~ 5.23(1H,m, H-3), 6.50, 6.60(1H, 각각 d, J = 8.5Hz, J=7.9Hz, NH), 7.11~7.43(5H, m, Ph)
[제6공정]
화합물(6a)(50mg)을 초산(5ml)에 용해했다. 산화백금(20mg)을 첨가한 후에 수소분위기중에서 감압하(1.5kg/㎠)에서 2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촉매를 여별하여 여액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를 1,4-디옥산에 현탁한 후, 이것을 동결 건조함으로써 백색분말화합물(A)(45mg, 수율 97.7%)얻었다.
1H-NMR : 벤젠고리위의 수소의 시그날은 완전히 소실되었다.
융점 : 103.6~104.5℃(분해)
IR(누졸)㎝-1: 3350, 1738, 1657, 1540
SI-MS : 887(M+-1)
[실시예 2]
1,5-무수 -2-데옥시-3-O-{(2RS)-2-도데카노일옥시헥사데카노일}-2-{(3R)-3-히드록시도데카나미드}-4,6-O-히드록시포스포릴-D-글루시톨 ; (화합물B)
[제1공정]
1,5-무수-2-데옥시-4,6-O-이소프로피리덴-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도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2b)
(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도데칸산(2.1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2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2b)을 얻었다.(1.7g, 수율 57.3%).
[α]D: -5.17°(c=0.97, CHCI3)
융점 : 91~94℃
IR(KBr)㎝-1: 3488, 2860, 1466, 1251, 1203, 1104
1H-NMR : -CH2-적분치이외 화합물(2a)과 같음
[제2공정]
1,5-무수-2-데옥시-3-O-{(2RS)-2-데카노일옥시헥사데카노일}-4,6-O-이소프로피리덴 -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도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3b)
화합물(2b)(1.0g) 및 (RS)-2-더데카노일옥시헥사데칸산(800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3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하였다.
이것에 의해 화합물(3b)(1.6g, 수율 89.0%)을 얻었다.
IR : 화합물(3a)과 같음
1H-NMR(300MHz)δ TMS CDCl3: 0.02(9H, s, SiMe3), 0.86~0.94(11H, m, -Me, -CH2TMS), 1.19~1.35(60H, m, -CH2-), 1.35, 1.37, 1.45, 1.47(6H, each s, > CMe2), 2.23~2.46(4H, m, -COCH2-), 3.11~3.29(2H, m, H-1,H-5), 3.52~3.99(6H, m, H-2, H-4, H2-6, -OCH2CH2TMS), 4.06~4.23(2H, m, H-2,>CHOCO), 4.95(1H, t, H-3), 6.01~6.05(1H, m, NH)
[제3공정]
1,5-무수-2-데옥시-3-O-{(2RS)-2-도데카노일옥시헥사데카노일} -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도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4b)
화합물(3b)(2.0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4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합물(4b)(1.0g, 수율 52.8%)를 얻었다.
IR : 화합물(3a)과 같음
1H-NMR(300MHz)δ TMS CDCl3: 0.02(9H, s, SiMe3), 0.80~0.98(11H, m, -Me, -CH2TMS), 1.10~1.92(60H, m, -CH2-), 2.23~2.45(4H, m, -COCH2-), 3.15(1H, t, J=9.8Hz, H-1), 3.31~3.28(1H, m, H-5), 3.53~3.83(4H, m, H-4, H-6, OCH2CH2TMS), 3.83~3.95(2H, m, H-1, H-6), 4.07~4.20(2H, m, H-2,>CHOSEM), 4.64~4.73(2H, m, -OCH2O-), 4.73~4.97(2H, m, H-3,>CHOCO-), 6.16~6.20(1H, m, NH)
[제4공정]
1,5-무수-2-데옥시-3-O-{(2RS)-2-도데카노일옥시헥사데카노일}-4,6-O-페녹시포스포릴 -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도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5b)
화합물(4b)(1.0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5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합물(5b)(820mg, 수율 71.4%)를 얻었다.
IR : 화합물(5a)과 같음
1H-NMR(300MHz)δ TMS CDCl3: 0.02(9H, s, SiMe3), 0.84~0.98(11H, m, -Me, -CH2TMS), 1.17~1.77(60H, m, -CH2-), 2.23~2.50(4H, m, -COCH2-), 3.20~3.32(1H, m, H-1,), 3.52~3.78(3H, m, H-5, -OCH2CH2TMS), 3.87~3.98(1H, m, >CHOSEM), 4.08~4.60(5H, m, H-1, H-2, H-4, H2-6), 4.61~4.72(2H, m, -OCH2O-), 4.72~4.99(1H, m, H-2,>CHOCO), 5.09~5.23(1H, < H-3), 6.08~6.41(1H, m, NH), 7.15~7.40(5H, m, Ph)
[제5공정]
1,5-무수-2-데옥시-3-O-{(2RS)-2-도데카노일옥시헥사데카노일}-2-{(3R)-3-히드록시도데카나미드}-4,6-O-페녹시포스포릴-D-글루시톨 ; (화합물 6b)
화합물(5b)(830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6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합물(6b)(690mg, 수율 94.7%)를 얻었다.
IR : 화합물(5a)과 같음
1H-NMR(300MHz)δ TMS CDCl3: 0.89(9H, each t, J=6.9Hz,Me), 1.23~1.96(60H, m, -CH2-), 2.20~2.46(4H, m, -COCH2-), 3.32~3.43(1H, m, H-1,), 3.57~4.57(7H, m, H-1, H-2, H-4, H-5, H2-6, >CHOH), 4.73~4.90(1H, m, >CHOCO), 5.21~5.53(1H, m, H-3), 6.29~6.64(1H, m, NH), 7.14~7.42(5H, m, Ph)
[제6공정]
화합물(6b)(150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하였다. 이 조작에 의해 화합물(B)(80mg, 수율 57.8%)을 얻었다.
1H-NMR : 벤젠고리위의 시그날은 완전히 소실되었다.
융점 : 122~126℃(분해)
IR(필름) ㎝-1: 3586, 2928, 1738, 1649, 1261
[실시예 3]
1,5-무수-2-데옥시-3-O-{(2RS)-2-헥사데카노일옥시도데카노일}-2-{(3RS)-3-히드록시헥사데카나미드}-4,6-히드록시포스포릴 -D-글루시톨 ; (화합물 C)
[제1공정]
1,5-무수-2-데옥시 -4,6 -O-이소프로피리덴-2-[(3RS)-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헥사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2c)
(RS)-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헥사데칸산(2.5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그것이외는 화합물(2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에 따라 화합물(2c)(2.6g, 수율 81.7%)를 얻었다.
IR(필름)㎝-1: 3612, 1926, 1460, 1251, 1199, 1102
1H-NMR(300MHz)δ TMS CDCl3: 0.03(9H, s, -SiMe3), 0.85~0.98(5H, m, -CH2TMS -Me), 1.22~1.33(24H, m, -CH2-), 1.44, 1.52, (6H, 각각 s, > CMe2), 2.31~2.56(2H, m, -CH2CO-), 3.16~3.25(2H, m, H-1,H-5), 3.54~3.65(4H, m, H-1, H-4, -OCH2CH2TMS), 3.72(1H, t, J=10.5Hz, H-6), 3.86~3.94(2H, m, H-6,>CHOSEM), 3.98~4.13(2H, m, H-2, H-3), 4.66~4.77(2H, m, -OCH2O-) 6.28~6.34(1H, m, NH)
[제2공정]
1,5-무수-2-데옥시-3-O-{(2RS)-2-헥사데카노일옥시도데카노일}-4,6-O-이소프로피리덴-2-[(3RS)-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헥사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3c)
화합물(2.0c)(2.0g) 및 (RS)-2-헥사데카노일옥시도데칸산(1.5g)을 이용했다. 그것이외의 점에서는 화합물(3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에 따라 화합물(3c)(2.8g, 수율 81.6%)을 얻었다.
IR : 화합물 (3a)과 같음
1H-NMR(300MHz)δ TMS CDCl3: 0.03(9H, s, -SiMe3), 0.87~0.93(11H, m, -Me -CH2TMS), 1.15~1.35(68H, m, -CH2-), 1.35, 1.36, 1.45, 1.47(6H, 각각 s, > CMe2), 2.28~2.61(4H, m, -COCH2O-), 3.15~3.30(2H, m, H-1, H-5), 3.48~3.95(6H, m, H-1, H-4, H2-6-OCH2CH2TMS), 4.07~4.29(2H, m, H-2,>CHOSEM), 4.63~4.80(2H, m, -OCH2O-), 4.86~5.02(2H, m, >CHOCO, H-3), 6.00~6.57(1H, m, NH)
[제3공정]
1,5-무수-2-데옥시-3-O-{(2RS)-2-헥사데카노일옥시도데카노일}-2-[(3RS)-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헥사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4c)
화합물(3c)(2.5g)을 이용하고, 그것이외는 화합물(4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합물(4c)(1.7g, 수율 70.2%)을 얻었다.
IR : 화합물(4a)과 같음
1H-NMR(300MHz)δ TMS CDCl3: 0.02(9H, s, -SiMe3), 0.85~0.98(5H, m, -Me, -CH2TMS), 1.19~1.90(68H, m, -CH2-), 2.22~2.47(4H, m, -COCH2-), 3.10~3.26(1H, m, H-1), 3.26~3.39(1H, m, H-5), 3.50~3.94(6H, m, H-1, H-4, H2-6, -OCH2CH2TMS), 4.08~4.20(2H, m, H-2,>CHOSEM), 4.64~4.97(4H, m, H-3, -OCH2O-, >CHOCC-), 6.15~6.48(1H, m, NH)
[제4공정]
1,5-무수-2-데옥시-3-O-{(2RS)-2-헥사데카노일옥시도데카노일}-4,6-O-페녹시포스포릴-2-{(3RS)-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헥사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5c)
화합물(4c)(1.7g)을 이용하고, 그것이외는 화합물(5g)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합물(5c)(1.3g, 수율 68.0%)를 얻었다.
IR : 화합물(5a)과 같음
1H-NMR(300MHz)δ TMS CDCl3: 0.03(9H, s, -SiMe3), 0.87~0.99(11H, m, -Me -CH2TMS), 1.19~1.88(68H, m, -CH2-), 2.27~2.68(4H, m, -COCH2-), 3.20~3.37(1H, m, H-1), 3.51~3.82(3H, m, H-5, -OCH2CH2TMS), 3.82~3.99(1H, m, >CHOSEM), 4.11~4.60(5H, m, H-1, H-2, H-4, H2-6), 4.60~5.00(3H, m, -OCH2O->CHOCO), 5.09~5.25(1H, m, H-3), 6.05~6.65(1H, m, NH), 7.16~7.41(5H, m, Ph)
[제5공정]
1,5-무수-2-데옥시-3-O-{(2RS)-2-헥사데카노일옥시도데카노일}-2-{(3RS)-3-히드록시헥사데카나미드}-4,6-O-페녹시포스포릴-D-글루시톨 ; (화합물 6c)
화합물(5c)(1.4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6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합물(6c)(1.2g, 수율 99.1%)를 얻었다.
IR : 화합물(6a)과 같음
1H-NMR(300MHz)δ TMS CDCl3: 0.88(9H, 각각 t, J=6.3Hz, -Me3), 1.19~1.92(68H, m, -CH2-), 2.20~2.46(4H, m, -COCH2-), 3.22~3.41(1H, m, H-1), 3.53~4.56(7H, m, H-1, H-2, H-4, H-5, H2-6,>CHOH), 4.74~4.90(1H, m, H-1,>CHOCO), 5.18~5.31(1H, m, H-3), 6.22~6.83(1H, m, NH), 7.12~7.41(5H, m, Ph)
[제6공정]
화합물(6c)(210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하여, 화합물(C)(140mg, 수율 72.6%)를 얻었다.
1H-NMR : 벤젠고리위의 수소의 시그날은 완전히 소실되었다.
융점 : 124~127℃(분해)
IR(필름)㎝-1: 3586, 2926, 2856, 1738, 1638, 1257
[실시예 4]
1,5-무수-2-데옥시-3-O-{(2RS)-2-도데실헥사데카노일}-4,6-O-히드록시포스포릴-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D)
[제2공정]
1,5-무수-2-데옥시-3-O-{(2RS)-2-도데실헥사데카노일}-4,6-O-이소프로피리덴-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3d)
실시예 1의 제1공정에서 얻어진 화합물(2a)(1.6g) 및 (RS)-2-도데실헥사데칸산(1.9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3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에 따라 부정형 화합물(3d)(2.5g, 수율 90%)를 얻었다.
IR(필름)㎝-1: 3480, 2900, 1720, 1655, 1530, 1460, 1370
1H-NMR(300MHz)δTMS CDCl3: 0.03(9H, s, -Me3Si), 0.83~0.94(11H, m, -CH2TMS, -Me), 1.12~1.75(68H, m, -CH2-), 1.32~1.43(6H, 각각 s, CMe2), 2.15~2.40(3H, m, -COCH2-, -COCH<), 3.02~3.98(8H, m, H2-1, H-4, H-5, H2-6, -OCH2CH2TMS), 4.15~4.22(2H, m, H-2,>CH-OSEM), 4.65(2H, s, -O-CH2-O-), 4.92(1H, t ,J=9.6Hz, H-3), 6.18(1H, d, J=7.1Hz, NH)
[제3공정]
1,5-무수-2-데옥시-3-O-{(2RS)-2-도데실헥사데카노일}-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4d)
화합물(3d)(1.9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4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하였다. 이것에 의해 부정형 화합물(4d)(1.2g, 수율 64.8%)을 얻었다.
IR(누졸)㎝-1: 3500∼330, 1740, 1640, 1545, 1530, 1460, 1370
1H-NMR(300MHz)δTMS CDCl3: 0.02(9H, s, Me3Si), 0.80~1.00(11H, m, -CH2TMS, -Me), 1.10~1.71(68H, m, -CH2-), 2.12~2.50(3H, m, -COCH2-, -COCH<), 3.13(1H, t ,J=10.3Hz, H-1), 3.26~3.37(1H, m H-5), 3.51~3.99(6H, m, H-1, H-4, H2-6, -CH2CH2TMS), 4.01~4.20(2H, m, >CH-OSEM, H-2), 4.67(2H, s, -O-CH2-O-), 4.84(1H, t ,J=10.2Hz, H-3), 6.22(1H, d, J=7.3Hz, NH)
[제4공정]
1,5-무수-2-데옥시-3-O-{(2RS)-2-도데실헥사데카노일}-4,6-O-페녹시포스포릴-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5d)
화합물(4d)(1.1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5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하였다. 이 조작에 의해, 부정형 화합물(5d)(893mg, 수율 74.8%)를 얻었다.
IR(필름)㎝-1: 3318, 2924, 2856, 1742, 1657, 1595, 1468, 1379, 1205, 963, 690
1H-NMR(300MHz)δTMS CDCl3: 0.06(9H, s, -Me3Si), 0.71~1.04(11H, m, -CH2TMS, -Me), 1.14~1.66(68H, m, -CH2-), 2.20~2.50(3H, m, -COCH2-, -COCH<), 3.11~3.30(1H< m, H-1), 3.54~3.80(3H, m, H-5, -CH2CH2TMS), 3.89~4.00(1H, m, >CH-OSEM), 4.11~4.58(5H, m, H-1, H-2, H-4, H2-6) 4.70(2H, s, -O-CH2-O-), 5.10, 5.16(1H, 각각 t ,J=9.6Hz, H-3), 6.26, 6.33(1H, 각각 d, J=7.1Hz, J=7.2Hz, NH), 7.13~7.46(5H, m, PH)
[제5공정]
1,5-무수-2-데옥시-3-O-{(2RS)-2-도데실헥사데카노일}-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4,6-O-페녹시포스포릴-D-글루시톨 ; (화합물 6d)
화합물(5d)(758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6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하였다. 이 조작에 의해, 부정형 화합물(6d)(758mg, 96.7%)를 얻었다.
IR(누졸)㎝-1: 3586~3366, 1736, 1640, 1539, 1164, 1048
1H-NMR(300MHz)δTMS CDCl3: 0.88(9H, t, J=6.2Hz, -Me), 1.09~1.56(68H, m, -CH2-), 2.10~2.50(3H, m, -COCH2-, -COCH<), 3.06~3.29(2H, m, H-1, OH), 3.51~3.62, 3.67~3.79(1H, 각각 m, H-5), 3.87~3.99(1H, m, >CH-OH), 4.07~4.56(5H, m, H-1, H-2, H-4, H2-6) 5.06, 5.13(1H, 각각 t, J=10.5Hz, J=9.9Hz, H-3), 6.20, 6.28(1H, 각각 d ,J=6.9Hz, J=5.7Hz,NH), 7.10~7.44(5H, m, PH)
[제6공정]
화합물(6d)(50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백색분말화합물(D)(38mg, 수율 83%)를 얻었다.
1H-NMR : 벤젠고리위의 수소의 시그날은 완전하게 소실되었다.
융점 : 151.0~152.0℃(분해)
IR(필름)㎝-1: 2924, 2856, 1736, 1649, 1543, 1247
[실시예 5]
1,5-무수-2-데옥시-3-O-{(2RS)-2-도데실옥타카일}-2-{(3R)-3-히드록시도데카나미드}-4, 6-O-히드록시포스포릴-D-글루시톨 ; (화합물 E)
[제2공정]
1,5-무수-2-데옥시-3-O-{(2RS)-2-도데실옥타데카노일}-4,6-O-이소프로피리덴-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실}도데카나미드]-D- 글루시톨 ;(화합물 3e)
실시예 2의 제1공정에서 얻어진 화합물(2d)(1.0g) 및 (RS)-2-도데실옥타데칸산(853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3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합물(3e)(1.2g, 수율 67%)을 얻었다.
IR : 화합물(3d)과 같음
1H-NMR : 화합물(3d)과 같음
[제3공정]
1,5-무수-2-데옥시-3-O-{(2RS)-2-도데실옥타데카노일}-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도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4e)
화합물(3e)(1.2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4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합물(4e)(838mg, 수율 71.7%)를 얻었다.
IR : 화합물(4d)과 같음
1H-NMR : 화합물(4d)과 같음
[제4공정]
1,5-무수-2-데옥시-3-O-{(2RS)-2-도데실옥타데카노일}-4,6-O-페녹시포스포릴-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도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5e)
화합물(4e)(200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5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합물(5e)(177mg, 수율 78.2%)를 얻었다.
IR : 화합물(5d)과 같음
1H-NMR : 화합물(5d)과 같음
[제5공정]
1.5-무수-2-데옥시-3-O-{(2RS)-2-도데실옥타데카노일}-2{(3R)-3-히드록시도데카나미드}-4,6-O-페녹시포스포릴-D-글루시톨 ; (화합물 6e)
화합물(5e)(177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6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합물(6e)(133mg, 수율 85.8%)을 얻었다.
IR : 화합물(6d)과 같음
1H-NMR : 화합물(6d)과 같음
[제6공정]
화합물(6e)(50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하였다. 이 조작에 의해 화합물(E)(36mg, 수율78.5%)를 얻었다.
1H-NMR : 벤젠고리위의 수소의 시그날은 완전히 소실되었다.
융점 : 154~155.5℃
IR : 화합물(D)과 같음
[실시예 6]
1,5-무수-3-O-{(2RS)-2-데실옥타데카일}-2-데녹시-2-{(3RS)-3-히드록시헥사데카나미드}-4,6-O-히드록시포스포릴-D-글루시톨 ; (화합물 F)
[제2공정]
1,5-무수-3-O-{(2RS)-2-데실옥타데카일}-2-데옥시-4,6-O-이소프로피리덴-2-{(3RS)-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헥사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3f)
실시예 3의 제1공정에서 얻어진 화합물(2c)(1.0g) 및 (RS)-2-데실옥타덴칸산(724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3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에 따라 화합물(3f)(82mg, 수율 48,6%)를 얻었다.
IR : 화합물(3d)과 같음
1H-NMR : -CH2-의 적분치 이외 화합물(3d)과 같음
[제3공정]
1,5-무수-3-O-{(2RS)-2-데실옥타데카일}-2-데옥시-4,6-O-페녹시포스포릴-2-[(3RS)-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헥사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4f)
화합물(3f)(822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4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합물(4f)(565mg, 수율 76.6%)를 얻었다.
IR : 화합물(4d)과 같음
1H-NMR : -CH2-의 적분치외 화합물(4d)과 같음
[제4공정]
1.5-무수-3-O-{(2RS)-2-데실옥타데카일}-2-데옥시-2-[(3RS)-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헥사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5f)
화합물(4f)(200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5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에 따라 화합물(5f)(184mg, 수율 81.6%)를 얻었다.
IR : 화합물(5d)과 같음
1H-NMR : -CH2-의 적분치이외 화합물(5d)과 같음
[제5공정]
1,5-무수-3-O-{(2RS)-2-데실옥타데카일}-2-데옥시-2-{(3RS)-3-히드록시헥사데카나미드}-4,6-O-페녹시포스포릴-D-글루시톨 ; (화합물 6f)
화합물(5f)(184mg)를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6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합물(6f)(145mg, 수율 89.7%)를 얻었다.
IR : 화합물(6d)과 같음
1H-NMR : -CH2-의 적분치이외 화합물(6d)과 같음
[제6공정]
화합물(6f)(50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하였다. 이 조작에 의해, 화합물(F)(31mg, 수율 60.6%)을 얻었다.
1H-NMR : 벤젠고리위의 수소의 시그날은 완전하게 소실되었다.
융점 : 159.7~161.4℃
IR : 화합물(D)와 같음
[실시예 7]
1,5-무수-2-데옥시-4,6-O-히드록시포스포릴-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3-O-{(3R)-3-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D-글루시톨 ; (화합물 G)
[제2공정]
1,5-무수-2-데옥시-4,6-O-이소프로피리덴-3-O-{(3R)-3-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3g)
실시예 1의 제1공정에서 얻은 화합물(2a)(1.38g) 및 (R)-3-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칸산(1.12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3a)의 제조와 같은 간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부정형 화합물(3g)(2.0g, 수율 79.6%)을 얻었다.
[α]D: +0.05°(c=1.25, CHC13)
IR(필름)㎝-1: 3316, 2926, 2858, 1738, 1647, 851,835
1H-NMR(300MHz)δTMS CDCl3: 0.02(9H, s, SiMe3), 0.79~0.98(11H, m, -Me, -CH2TMS,), 1.08~1.66(62H, m, -CH2-), 1.33~1.46(6H, 각각 s, >CMe2), 2.17~2.39(4H, m, -COCH2-), 2.47~2.65(2H, ABX중, AB부분AB=32.2Hz, JAX=7.2Hz, JBX=9.5Hz, -NHCOCH2-),3.10(1H, t ,J=9.9Hz, H-1), 3.16~3.28(1H, m H-5), 3.49~3.94(6H, m, H-1, H-4, H2-6, CH2CH2TMS), 4.02~4.20(2H, m, H-2, >CHOSEM), 4.62~4.68(2H, AB JAB=13.1Hz, -OCH2O-), 4.89(1H, t ,J=10.4Hz, H-3), 5.09~5.20(1H, m, -COCH2CHCO), 6.22(1H, d, J=6.3Hz, NH)
[제3공정]
1,5-무수-2-데옥시-3-O-{(3R)-3-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4g)
화합물(3g)(2.0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4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하였다. 이 조작을 행함에 따라 부정형 화합물(4g)(1.6g, 수율 84.2%)을 얻었다.
[α]D: +5.55°(c=1.25, CHC13)
IR(필름)㎝-1: 3580~3190, 2922, 2856, 1736, 1651, 1551, 861, 835
1H-NMR(300MHz)δTMS CDCl3: 0.02(9H, s, -SiMe3), 0.80~1.00(11H, m, -Me, -CH2TMS,), 1.12~1.71(62H, m, -CH2-), 2.24~2.41(4H, m, -COCH2-), 2.53(2H, d, J=5.4Hz,-NH, -COCH2-), 3.11(1H, t ,J=10.8Hz, H-1), 3.26~3.38(1H, m, H-5), 3.43~4.21(8H, m, H-1, H-2, H-4, H2-6, -CH2CH2TMS, >CHOSEM), 4.70~4.63(2H, AB JAB=14.5Hz, -OCH2O-), 4.81(1H, t ,J=10.3Hz, H-3), 5.05~5.17(1H, m, >CHCO), 6.40(1H, d, J=7.0Hz, NH)
[제4공정]
1,5-무수-2-데옥시-4,6-O-페녹시포스포릴-3-O-{(3R)-3-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데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5g)
화합물(4g)(1,02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5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하였다. 이 조작을 행함에 따라 부정형화합물(5g)(0.821g, 수율 70.3)을 얻었다.
IR(필름)㎝-1: 3586, 2926, 1744 1667, 1539, 1466, 1379
1H-NMR(300MHz)δTMS CDCl3: 0.02, 0.11(9H, 각각 s, -SiMe3), 0.81~1.00(11H, m, -Me, -CH2TMS,), 1.12~1.67(62H, m, -CH2-), 2.20~2.66(6H, m, -COCH2-), 3.08~3.28(1H, m H-3), 3.50~3.79(3H, m, H-5, -CH2CH2TMS), 3.81~3.97(1H, m, >CHOSEM), 4.05~4.55(5H, m, H-1, H-2, H-4, H2-6), 4.61~4.79(2H, m, -OCH2O-), 5.01~5.28(2H, m, H-3, CHOCO)6.40~6.51(1H, m, NH), 7.24~7.45(5H, m, NH)
[제5공정]
1,5-무수-2-데옥시-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4,6-O-페녹시포스포릴-3-O-{(3R)-3-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D-글루시톨 ; (화합물 6g)
화합물(5g)(821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6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하였다. 이 조작의 결과, 부정형 화합물(6g)(320mg, 수율 44.2%)을 얻었다.
IR(필름)㎝-1: 3586, 1742, 1651, 1543, 1168, 1052
1H-NMR(300MHz)δMS CDCl3: 0.88(9H, t, J=5.0Hz, Me), 1.18~1.70(62H, m, -CH2-), 2.20~2.63(6H, m, -COCH2-), 3.18~3.42(2H, m, H-1, OH), 3.51~3.62, 3.70~3.80(1H, 각각 m, H-5), 3.83~3.96(1H, m, >CHOH), 4.02~4.57(5H, m, H-1, H-2, H-4, H2-6), 5.04~5.21(2H, m, H-3, >CHOCO), 6.67, 6.77(1H, 각각 d, J=6.8Hz, J=4.9Hz, NH), 7.14~7.43(5H, m, Ph)
[제6공정]
화합물(6g)(100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백색분말화합물(G)(900mg. 수율 97.7%)
1H-NMR : 벤젠고리위의 수소의 시그날은 완전하게 소실되었다.
[α]D: -1.55°(c-1.1, CHCL3: MeOH=1 : 1)
융점 : 274.1~277.9℃ (분해)
IR(필름)㎝-1: 2858, 1719, 1651, 1462
[실시예 8]
1,5-무수-2-데옥시-4,6-O-히드록시포스포릴-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3-O-{(3RS)-3-운데실헵타데카노일}-D-글루시톨 ; (화합물 H)
[제2공정]
1,5-무수-2-데옥시-4,6-O-이소프로피리덴-2-{(3R)-3-(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테트라데카나미드}-3-O-{(3RS)-3-운데실헵타데카노일}-D-글루시톨 ; (화합물 H)
실시예 1의 제1공정에서 얻어진 화합물(2a)(3,0g) 및 (RS)-3-운데실헵타데칸산(2.0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3h)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에 따라 부정형 화합물(3h)(4.12g, 수율 91%)을 얻었다.
IR(필름)㎝-1: 3320, 2900, 1735, 1645, 1545, 1470, 1383 861, 835
1H-NMR(300MHz)δTMS CDCl3: 0.03(9H, s, Me3Si), 0.86~0.97(11H, m, -CH2TMS, -Me), 1.18~1.60(66H, m, -CH2-), 1.36, 1.47(6H, 각각 s, CM2), 1.85(1H, m, -CH<), 2.20~2.40(4H, m, -CH2CO-), 3.10~4.00(8H, m, H2-1, H-4, H-5, H2-6, -O-CH2CH2TMS), 4.16(2H,m, H-2, -CH-OSEM), 4.6, 4.68(2H, AB, JAB=6.9Hz, -OCH2O-), 4.91(1H, t ,J=9.6Hz, H-3), 6.27(1H, d, J=7.0Hz, NH)
[제3공정]
1,5-무수-2-데옥시-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테트라데카나미드]-3-O-{(3RS)-3-운데실헵타데카노일}-D-글루시톨 ; (화합물 4h)
화합물(3h)(2.7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4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하였다. 이 조작에 의해, 부정형 화합물(4h)(1.84g, 수율91%)을 얻었다.
IR(필름)㎝-1: 3600~3100, 2900, 1720, 1650, 1540, 1463, 1380
1H-NMR(300MHz)δTMS CDCl3: 0.02(9H, s, -SiMe3), 0.85~0.96(11H, m, -CH2TMS, -Me), 1.10~1.65(66H, m, -CH2-), 1.85(1H, m, -CH<), 2.20~2.40(4H, m, -COCH2-), 2.65(1H, brs, -OH), 3.13(1H, t, J=10.0Hz, H-1), 3.32(1H, m, H-5), 3.52~3.95(6H, m, H-1, -CH2-CH2TMS, H-4, H2-6), 4.0~4.7(2H,m, H-2, -CH-OSEM), 4.63, 4.69(2H, AB, J=7.0Hz, -OCH2O-), 4.85(1H, t ,J=9.4Hz, H-3), 6.29(1H, d, J=7.3Hz, NH)
[제4공정]
1,5-무수-2-데옥시-4,6-O-페녹시포스포릴-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테트라데카나미드]-3-O-{(3R)-3-운데실헵타데카노일}-D-글루시톨 ; (화합물 5h)
화합물(4h)(1.1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5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하였다. 이 조작에 의해, 부정형 화합물(5h)(1.0g, 수율 80.5%)을 얻었다.
IR(필름)㎝-1: 3308, 2926, 1744, 1659, 1595, 1466, 1707, 1379, 944, 665
1H-NMR(300MHz)δTMS CDCl3: 0.02(9H, s, -SiMe3), 0.80~0.99(11H, m, -Me, -CH2TMS), 1.11~1.60(66H, m, -CH2-), 1.69~1.90(1H, m, >CH-), 2.14~2.41(4H, m, -OCH2-), 3.08~3.27(1H, m, H-1), 3.50~3.77(3H, m, H-5, -CH2CH2TMS), 3.81~3.92(1H,m, >CHOSEM), 4.04~4.54(5H, m, H-1, H-2, H-4, H2-6), 4.61~4.72(2H, m, -OCH2O-), 5.02~5.18(1H, m, H-3), 6.29, 6.36(1H, 각각 d, H=7.5Hz, J=4.9Hz, H-3), 7.10~7.40(5H, m, Ph)
[제5공정]
1,5-무수-2-데옥시-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4,6-O-페녹시포스포릴-3-O-{(3RS)-3-운데실헵타데카노일}-D-글루시톨 ; (화합물 6h)
화합물(5h)(1.0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6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합물(6h)(751mg, 수율86.0%)을 얻었다.
IR(필름)㎝-1: 3586, 3296, 1742, 1651, 1543, 1168, 1052
1H-NMR(300MHz)δTMS CDCl3: 0.88(9H, t, J=6.4Hz, -Me), 1.14~1.52(66H, m, -CH2-), 1.70~1.90(1H, m, >CH2-), 2.14~2.45(4H, m, -COCH2-), 3.13~3.31(1H, m, H-1), 3.52~3.64, 3.69~3.79(1H, 각각 m, H-5), 3.85~3.99(1H, m, >CHOH), 4.08~4.57(5H, m, H-1, H-2, H-4, H2-6), 5.10~5.29(1H, m, H-3), 6.27, 6.39(1H, 각각 d, J=7.1Hz, J=7.3Hz, NH), 7.11~7.42(5H, M, Ph)
[제6공정]
화합물(6h)(100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백색분말(H)(38mg, 수율 82.7%)을 얻었다.
1H-NMR : 벤젠고리위의 수소의 시그날은 완전히 소실되었다.
융점 : 152~156.3℃ (분해)
IR(필름)㎝-1: 2922, 1649, 1543, 1460
[실시예 9]
1,5-무수-2-데옥시-3-O-(2-도데실테트라데카노일)-4,6-O-히드록시포스포릴-2-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화합물 I)
[제1공정]
1,5-무수-2-데옥시-4,6-O-이소프로피리덴-2-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2i)
테트라데칸산(2.3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2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에 따라 화합물(2i)을 얻었다.
[α]D: -9.4°(c-1.01, CHCl3:)
융점 : 108.0~109.0℃
IR(필름)㎝-1: 3308, 2922, 2854, 1647, 1468
1H-NMR(300MHz)δTMS CDCl3: 0.88(9H, t, J=6.7Hz, Me), 1.16~1.38(20H, m, -CH2-), 1.43, 1.52(6H, 각각 s, >CMe2), 1.57~1.69(2H, m -COCH2CH2-), 2.14~2.28(2H, m, -COCH2-),3.18(1H, t ,J=10.8Hz, H-1), 3.11~3.22(1H, m, H-5), 3.47~3.63(2H, m, H-1, H-4), 3.72(1H, t, J=10.6Hz, H-6), 3.90(1H, dd, J=5.4Hz, J=10.8Hz, H-6), 3.94~4.08(1H, m, H-2), 4.15(1H, dd, J=5.4Hz, J=10.9Hz, H-3), 5.54(1H, d, J=6.6Hz, NH)
[제2공정]
1,5-무수-2-데옥시-3-O-(2-도데실테트라데카노일)-4,6-O-이소프로피리덴-2-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3i)
화합물(2i)(833mg) 및 2- 테트라데실도데칸산(776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3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에 따라, 화합물(3i)(1.3g, 수율 80.4%)을 얻었다.
[α]D: -8.5°(c-1.27, CHCl3:)
융점 : 52.8~54.0℃
IR(필름)㎝-1: 3298, 2922, 2854, 1734, 1649, 1545, 1468
1H-NMR(300MHz)δTMS CDCl3: 0.88(9H, t, J=6.7Hz, Me), 1.10~1.65(66H, m, -CH2-), 1.35, 1.47(6H, 각각 s, >CMe2), 2.09(2H, t, J=7.7Hz, -COCH2-), 2.26~2.42(1H, m, COCH<),3.12(1H, t ,J=10.0Hz, H-1), 3.20~3.32(1H, m, H-5), 3.65~3.79(2H, m, H-1, H-6), 3.92~(1H, dd, J=5.2Hz, J=10.7Hz, H2-6), 4.06~4.27(2H, m, H-4, H-2), 4.92(1H, t, J=9.7Hz, H-3), 5.89(1H, d, J=6.9Hz, NH)
[제3공정]
1,5-무수-2-데옥시-3-O-(2-도데실테트라데카노일)-2-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4i)
화합물(3i)(1,2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4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합물(4i)(1.1g, 수율 80.4%)을 얻었다.
[α]D: -0.089°(c-1.05, CHCl3:)
융점 : 99.0℃
IR(필름)㎝-1: 3372, 3320, 2922, 2856, 1736, 1647, 1537, 1466
1H-NMR(300MHz)δTMS CDCl3: 0.88(9H, t, J=6.9Hz, Me), 1.08~1.67(66H, m, -CH2-), 2.09(2H, t, J=7.8Hz, -COCH2-), 2.27~2.46(1H, m, -COCH<),3.13(1H, t ,J=10.5Hz, H-1), 3.23~3.34(1H, m, H-5), 3.68~3.96(3H, m, H-1, H-6), 3.98~4.19(2H, m, H-2, H-4), 4.89(1H, t, J=9.7Hz, H-3), 6.07(1H, d, J=7.0Hz, NH)
[제4공정]
1,5-무수-2-데옥시-3-O-(2-도데실테트라데카노일)-4,6-O-페녹시포스포릴-2-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5i)
화합물(4i)(969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5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합물(5i)(969mg, 수율 80.4%)을 얻었다.
융점 : 86.4~87.0℃
IR(필름)㎝-1: 3380, 2918, 2854, 1738, 1669, 1595, 1493, 1468, 1379, 1301, 1207, 768
1H-NMR(300MHz)δTMS CDCl3: 0.88(9H, t, J=6.6Hz, Me), 1.11~1.72(66H, m, -CH2-), 2.90(2H, t, J=7.6Hz, -COCH2-),2.26~2.49(1H, m, -COCH<), 3.13, 3.19(1H 각각 t, J=10.5Hz, J=10.2Hz, H-1), 3.52~3.63, 3.67~3.79(1H, 각각 m, H-5), 4.04~4.53(5H, m, H-1, H-2, H-4, H2-6), 5.03, 5.11(1H, 각각 t, J=9.9Hz, J=9.8Hz, H-3), 5.86, 5.96(1H, 각각 d, J=6.8Hz, J=7.0Hz, NH), 7.10~7.41(5H, m, Ph)
[제6공정]
화합물(5i)(585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하여 화합물(I)(219mg, 수율 41.0%)을 얻었다.
[α]D: -0.39°(c-1.00, CHCl3: )
융점 : 93.0~96.0℃
IR(필름)㎝-1: 3296, 2924, 2856, 1736, 1651, 1543, 1468, 1379, 1257, 1178
[실시예 10]
1,5-무수-2-데옥시-4,6-O-히드록시포스포릴-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3-O-{(3RS)-2-테트라데실옥시테트라데카노일}-D-글루시톨 ; (화합물 J)
[제2공정]
1,5-무수-2-데옥시-4,6-O-이소프로피리덴-3-O-{(3RS)-3-테트라데실옥시테트라데카노일}-2-[(3R)-3-{2-(트리메틸시릴)에톡시메톡시}]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3j)
실시예 1의 제1공정에서 얻은 화합물(2a)(5.3g) 및 (RS)-3-테트라데실옥시테트라데칸산(4.1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3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에 따라 부정형 화합물(3j)(8.1g, 수율 87.5%)을 얻었다.
IR(KBr)㎝-1: 3308, 2926, 2858, 1734, 1647, 1547, 1466, 1371, 1251, 1201, 1106, 1056
1H-NMR(300MHz)δTMS CDCl3: 0.02(9H, s, SiMe3), 0.75~1.00(11H, m, Me, -CH2TMS), 1.00~1.61(65H, m, -CH2->CH-), 1.34, 1.46(each, s, Me2C<), 2.19~2.70(4H, m, -COCH2-), 3.04~3.96(H2-1, H-4, H-5, H2-6, -CH2CH2TMS, -OCH2CH2-), 4.05~4.22(2H,m, H-2, >CHOSEM), 4.57~4.72(2H, m, -OCH2O-), 4.86~5.00(1H, m, H-3), 6.26(1H, d, J=6.9Hz, NH)
[제3공정]
1,5-무수-2-데옥시-3-O-{(3RS)-3-테트라데실옥시테트라데카노일}-2-[(3R)-3-{2-(트리메틸시릴)에토톡시메톡시}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시톨 ; (화합물 j)
화합물(3j)(8.0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4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하여 부정형 화합물(4j)(6.1g, 수율78.5%)을 얻었다.
IR(필름)㎝-1: 3310, 2926, 2858, 1729, 1657, 1539, 1466, 1379, 1305, 1251, 1158, 1104
1H-NMR(300MHz)δ TMS CDCl3: 0.02(9H, m, SiMe3), 0.78~1.00(11H, m, Me, -CH2TMS), 1.00~1.70(65H, m, -CH2->CH-), 2.21~2.78(4H, m, -COCH2-), 3.12(1H, J=10.5Hz, H-1), 3.26~3.95(9H, m, H-1, H-4, H-5, H2-6, -CH2CH2TMS, -OCH2CH2-), 4.00~4.21(2H,m, H-2, >CHOSEM), 4.65, 4.68(2H, AB, JAB=6.8Hz, -OCH2O-), 4.71~4.90(1H, m, H-3), 6.27~6.60(1H, m, NH)
[제4공정]
1,5-무수-2-데옥시-4,6-O-페녹시포스포릴-3-O-{(3RS)-3-테트라데실옥시테트라데카노일}-2-[(3R)-3]-D-글루시톨 ; (화합물 5j)
화합물(4j)(1.0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5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부정형 화합물(5j)(878g, 수율 77.6%)을 얻었다.
IR(KBr)㎝-1: 2926, 2858, 1744, 1657, 1543, 1466, 1305, 1251, 1104, 1504
1H-NMR(300MHz)δTMS CDCl3: 0.02(9H, s, -SiMe3), 0.77~1.00(11H, m, Me, -CH2TMS), 1.00~1.61(65H, m, -CH2->CH-), 2.15~2.72(4H, m, -COCH2-), 3.09~4.55(12H, m, H2-1, H-2, H-4, H-5, H2-6, -CH2CH2TMS, -OCH2CH2-, >CHOSEM), 4.55~4.72(2H, m, -OCH2O-), 5.01~5.20(1H, m, H-3), 6.22~6.40(1H, m, NH), 7.10~7.40(5H, m, Ph)
[제5공정]
1,5-무수-2-데옥시-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4,6-O-페녹포스포릴-3-O-{(3RS)-3-테트라데실옥시테트라데카노일}-D-글루시톨 ; (화합물 6j)
화합물(5j)(845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6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행하여 부정형 화합물(6j)(710mg)을 얻었다.
IR(KBr)㎝-1: 3296, 2922, 2856, 1742, 1655, 1595, 1547, 1491, 1468, 1309, 1207, 1174
1H-NMR(300MHz)δTMS CDCl3: 0.88(9H, t, J=6.4Hz, Me), 1.00~1.63(65H, m, -CH2->CH-), 2.10~2.71(4H, m, -COCH2-), 3.18~4.60(10H, m, H2-1, H-2, H-4, H-5, H2-6, >CHOH, -OCH2CH2-), 5.11~5.31(3H, m, H-3), 6.40~6.70(1H, m, NH), 7.11~7.45(5H, m, Ph)
[제6공정]
화합물(6j)(100mg)을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A)의 제조와 같은 조작을 해함으로써, 백색분말의 화합물(J)(91mg, 수율 93.4%)을 얻었다.
1H-NMR : 벤젠고리위의 수소의 시그날은 완전히 소실되었다.
융점 : 161~164℃
IR(KBr)㎝-1: 3272, 2924, 2854, 1740, 1647, 1543, 1468, 1368, 1259, 1176
[실시예 11]
2-데옥시-4,6-O-히드록시포스포릴-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3-O-{(2RS-테트라데카노일실옥시테트라데카노일}-D-글루코피라노오즈 ; (화합물 K)
[제7공정]
공지의 방법 (특개평 2-62888호 공보 참조)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2-데옥시-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4-O-포스포노-3-O{(2R
S-2-테트라데카노일실옥시테트라데카노일}-D-글루코피라노오즈(7K)(30mg)을 테트라히드로푸란 : 클로로포름=1 : 1의 혼합용매(10ml)에 용해했다. DCC(5mg)을 첨가하여 3시간 교반한 후, 반응액을 그대로 세파덱스칼럼(LH-20, 클로로포름 : 메탄올=1 : 1)에 공급했다. 또한, 1,4-디옥산을 이용하여 동결 건조를 하여 화합물 (K)을 얻었다.
융점 : 158~160℃
IR(KBr)㎝-1: 3300, 2950, 2860, 1740, 1680, 1590
C48H89NO12P(903.21)
이론치(%) : C ; 63.83, H ; 9.93, N ; 1.55
실측치(%) : C ; 60.04, H ; 9.76, N ; 1.49
[실시예 12]
2-데옥시-3-O-{(2RS)-2-도데실헥사데카노일}-4,6-O-히드록시포스포릴-2-{(3R)-3-히드록시테트라포스포릴}-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D-글루코피라노오스 ; (화합물 L)
[제7공정]
공지의 방법(특개평 2-2549호 공보 참조)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2-데옥시-3-O-{(2RS)-2-도데실헥사데카노일}-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4-O-포스포노-D-글루코피라노오스(71)를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K)의 제조와 같은 조작에 의해 화합물(L)을 얻었다.
융점 : 18~160℃
IR(KBr)㎝-1: 3400, 2930, 2850, 1720, 1640, 1550
C48H89NO11P(891.24)
이론치(%) : C ; 64.96, H ; 10.52, N ; 1.57
실측치(%) : C ; 64.65, H ; 10.29, N ; 1.82
[실시예 13]
2-데옥시-4,6-O-히드록시포스포릴-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3-O-{(3R)-3-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D-글루코피라노오스 ; (화합물 D)
[제7공정]
공지의 방법(특개평 2-62889호 공보 참조)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2-데옥시-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4-O-포스포노-3-O-{(3R)-3-테트라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카노일}-D-글루코피라노오스(7ml)를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K)의 제조와 같은 조작에 의해 화합물(M)을 얻었다.
[α]D: -2.0°(c=0.5, CHCl3: : MeOH=1 : 1)
융점 : 168~170℃
C48H89NO12P(903.32)
이론치(%) : C ; 63.83, H ; 9.93, N ; 1.55
실측치(%) : C ; 63.82, H ; 10.29, N ; 1.82
[실시예 14]
2-데옥시-4,6-O-히들고시포스포릴-2-{(3R)-3-히드록시테트라데카나미드}-3-O-{(3RS)-3-운데실헵타데카노일}-D-글루코피라노오스 ; (화합물 N)
[제7공정]
공지의 방법(특원평 1-241866호 참조)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2-데옥시-2-{(3R)-3-히드록시테트라테카나미드}-4-O-포스포노-3-O-{(3RS)-3-운데실헵타데카노일)-D-글루코피라노오스(7n)를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K)의 제조와 같은 조작에 의해 화합물(N)을 얻었다.
융점 : 176~179℃
C48H91NO10P(873.23)
이론치(%) : C ; 66.02, H ; 10.50, N ; 1.60
실측치(%) : C ; 66.20, H ; 10.24, N ; 1.89

Claims (1)

  1. 하기 일반식[ I]에서 나타나게 되는 4,6-O-히드록시포스포릴글루코사민 유도체 및 제약상 허용할 수 있는 염에 관한 것이다.
    단,
    ·R1, R2은 수소원자 또는 수산기를 의미한다.
    ·R3, R4의 한쪽은 -OCO(CH2)nCH3, -CH2(CH2)nCH3또는 -O-CH2(CH2)CH3을 의미하고, 다른쪽은 수소원자를 의미한다.
    ·1은 4~16의 정수를 의미한다.
    ·m은 4~16의 정수를 의미한다.
    ·n은 6~18의 정수를 의미한다.
KR1019910701834A 1990-04-12 1991-04-11 4,6-o-히드록시포스포릴글루코사민 유도체 KR940004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5024 1990-04-12
JP9502490 1990-04-12
JP90-95024 1990-04-12
PCT/JP1991/000475 WO1991016332A1 (fr) 1990-04-12 1991-04-11 Derive de 4,6-o-hydroxyphosphorylglucosam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2685A KR920702685A (ko) 1992-10-06
KR940004071B1 true KR940004071B1 (ko) 1994-05-11

Family

ID=1412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834A KR940004071B1 (ko) 1990-04-12 1991-04-11 4,6-o-히드록시포스포릴글루코사민 유도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78300A (ko)
EP (1) EP0482206A4 (ko)
KR (1) KR940004071B1 (ko)
CA (1) CA2059272A1 (ko)
WO (1) WO19910163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178729C (no) * 1992-03-31 1996-05-22 Daiichi Seiyaku Co Terapeutisk aktive sukkerderivater
US6518311B2 (en) * 1997-07-09 2003-02-11 D-Pharm Ltd. Use of branched-chain fatty 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pain
IL121268A0 (en) * 1997-07-09 1998-01-04 Dpharm Ltd Branched chain fatty acids their derivatives and use in the treatment of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US7582678B2 (en) * 1997-07-09 2009-09-01 D-Pharm Limited Use of branched-chain fatty 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pain
IL121269A0 (en) * 1997-07-09 1998-01-04 Dpharm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versibly increasing permeability of biomembranes
GB0401088D0 (en) * 2004-01-19 2004-02-18 Univ Cardiff Phosphoramidate derivatives
EP3242883A4 (en) 2015-01-06 2018-10-17 ImmunoVaccine Technologies Inc. Lipid a mimics,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3561A (en) * 1977-09-06 1982-04-06 Temple University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Process of enhancing immmunogenic response in mammals by the administration of synthetic glycolipid adjuvants
DE2833138A1 (de) * 1978-07-28 1980-02-07 Bayer Ag Methylolierte mono- und oligosaccharide
US4818816A (en) * 1981-04-28 1989-04-04 Choay, S.A. Process for the organic synthesis of oligosaccharides and derivatives thereof
US4485054A (en) * 1982-10-04 1984-11-27 Lipoderm Pharmaceuticals Limited Method of encapsulating 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in multilamellar lipid vesicles (MLV)
DE3483087D1 (de) * 1983-05-06 1990-10-04 Wisconsin Alumni Res Found Monosaccharide verbindungen mit immunostimulierender wirkung.
JPS607934A (ja) * 1983-06-29 1985-01-16 Dai Ichi Seiyaku Co Ltd リポソ−ムの製造方法
US4987237A (en) * 1983-08-26 1991-01-22 Ribi Immunochem Research, Inc. Derivatives of monophosphoryl lipid A
JPS6150912A (ja) * 1984-08-16 1986-03-13 Shionogi & Co Ltd リポソ−ム製剤の製造法
JPS61126093A (ja) * 1984-11-26 1986-06-13 Toho Yakuhin Kogyo Kk リピドaの非還元側サブユニツト類縁体
JPS61126094A (ja) * 1984-11-26 1986-06-13 Toho Yakuhin Kogyo Kk リピドaの非還元側サブユニツト類縁体
JPS61172867A (ja) * 1985-01-29 1986-08-04 Toho Yakuhin Kogyo Kk リピドaの非還元側サブユニツトの類縁化合物
GR860379B (en) * 1985-02-22 1986-06-11 Akzo Nv Novel disaccharide and trisaccharide derivatives of the lipid a type
JPS61227586A (ja) * 1985-03-30 1986-10-09 Dai Ichi Seiyaku Co Ltd ジサツカライド誘導体およびその塩
CA1256372A (en) * 1985-04-11 1989-06-27 Koichiro Miyazima Process for producing liposome composition
JPS61275299A (ja) * 1985-05-29 1986-12-05 Akira Hasegawa デオキシムラミルジペプチド誘導体
JPS6236306A (ja) * 1985-08-12 1987-02-17 Taiyo Kagaku Kk 色白化粧料
JPS62129292A (ja) * 1985-11-28 1987-06-11 Toho Yakuhin Kogyo Kk 生物活性を発現するリピドa単糖類縁体
JPS6330495A (ja) * 1986-07-24 1988-02-09 Toho Yakuhin Kogyo Kk リピドa単糖類縁体の立体異性体
US4746742A (en) * 1985-11-28 1988-05-24 Toho Yakuhin Kogyo Kabushiki Kaisha Analogs of nonreducing monosaccharide moiety of lipid A
JPS6344588A (ja) * 1986-08-11 1988-02-25 Toho Yakuhin Kogyo Kk リピドa単糖類縁体のレクタス型異性体
JPS63179885A (ja) * 1985-12-06 1988-07-23 Ono Pharmaceut Co Ltd 新規なグリコピラノース誘導体
JPS6377824A (ja) * 1986-09-19 1988-04-08 Tosoh Corp 外用ゲル化製剤
JPS63211222A (ja) * 1987-02-27 1988-09-02 Terumo Corp リポソ−ムの製法
ES2061544T3 (es) * 1987-05-01 1994-12-16 Ono Pharmaceutical Co Nuevos derivados de glucopiranosa.
IT1223362B (it) * 1987-11-20 1990-09-19 Texcontor Ets Derivati cationizzati polisaccaridi ad attivita' ipocolesterolemizzante
JPH01146892A (ja) * 1987-12-03 1989-06-08 Toho Yakuhin Kogyo Kk 新規ホスホリルグルコサミン誘導体
JPH01175944A (ja) * 1987-12-28 1989-07-12 Nippon Kayaku Co Ltd 虚血性疾患予防及び治療剤
JPH01213290A (ja) * 1988-02-22 1989-08-28 Toho Yakuhin Kogyo Kk 新規ホスホリルグルコサミン誘導体
JPH01238537A (ja) * 1988-03-18 1989-09-22 Toyo Jozo Co Ltd 肝障害治療剤
JPH01246225A (ja) * 1988-03-28 1989-10-02 Toyo Jozo Co Ltd 膵炎治療剤
JPH0225494A (ja) * 1988-07-12 1990-01-26 Akira Hasegawa グルコサミン誘導体
JPH0262889A (ja) * 1988-08-30 1990-03-02 Akira Hasegawa 新規なグルコサミン誘導体
JPH0262888A (ja) * 1988-08-30 1990-03-02 Akira Hasegawa 新規なグルコサミン類
US5032505A (en) * 1988-11-21 1991-07-16 Chembiomed, Ltd. Inhibitors for glycosaminosyl transferase V
US5041427A (en) * 1989-07-21 1991-08-20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Lipid A derivatives
JPH03264594A (ja) * 1990-02-27 1991-11-25 Japan Tobacco Inc 1,5―アンヒドログルシトール類縁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78300A (en) 1994-01-11
EP0482206A4 (en) 1992-08-19
KR920702685A (ko) 1992-10-06
WO1991016332A1 (fr) 1991-10-31
CA2059272A1 (en) 1991-10-13
EP0482206A1 (en) 199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12484B (zh) 三萜皂苷、其合成方法和用途
AU707779B2 (en) Substituted liposaccharides useful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endotoxemia
US5589465A (en) Glycolipid derivatives acting as ligands for selectins
US10722574B2 (en) Use and preparation of glycolipids as adjuvants in vaccines
CA3140411C (en) Saponin conjugate and vaccine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CA2042053C (en) Lipid a monosaccharide analogues
KR940004071B1 (ko) 4,6-o-히드록시포스포릴글루코사민 유도체
US7148200B2 (en) Method for treating cancer
WO2020118178A1 (en) Monomethyl fumarate-carrier conjugates and methods of their use
US5593969A (en) Lipid-A analogs: monosaccharide and dissaccharide compounds for inhibiting binding of lipid A receptors to lipid A receptors
US5597573A (en) Lipid-A analogs: new monosaccharide and disaccharide intermediates for eliciting therapeutic antibodies and for antitumor and antiviral activities
FR2584076A1 (fr) Nouveaux disaccharides,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medicaments
EP0099747B1 (en) C-23-modified derivatives of 5-0-mycaminosyl tylonolide
JP2744912B2 (ja) 炭水化物誘導体
JPH10287617A (ja) 新規ジテルペン類及びジテルペン類を有効成分とする抗ウイルス剤
US10376593B2 (en) Glycoconjugates and their use as potential vaccines against infection by Shigella flexneri
JP2022523570A (ja) 炭素環誘導体及びそれらのコンジュゲート誘導体、並びにワクチン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KR100288718B1 (ko) 치료용 항체 유발 및 항암 및 항비루스 활성을 위한지질-에이 동족체: 신규한 단당류 및 이당류 중간체
JPH03173896A (ja) 新規オキセタノシン誘導体、その塩およびその用途
JPH0559079A (ja) 6位アミノアシル置換リピツドa類縁体
JPH04234895A (ja) 6位置換リピッドa類縁体
JPH05202082A (ja) 1位置換リピッドa類縁体
JPH05202083A (ja) 新規4,6−o−ヒドロキシホスホリル−グルコサミン誘導体
EP3000820A1 (en) Synthetic vaccines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serotype 8
JPH0873489A (ja) スピカマイシン誘導体およびそれを含む抗腫瘍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