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870B1 - 전자사진분야에서 사용되는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분야에서 사용되는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870B1
KR930010870B1 KR1019900003724A KR900003724A KR930010870B1 KR 930010870 B1 KR930010870 B1 KR 930010870B1 KR 1019900003724 A KR1019900003724 A KR 1019900003724A KR 900003724 A KR900003724 A KR 900003724A KR 930010870 B1 KR930010870 B1 KR 930010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roller
blade member
developing
toner particles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949A (ko
Inventor
유끼오 니시오
가즈노리 히로세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6812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4766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8745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6498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8745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649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3335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311870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4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02Developer
    • G03G2215/0604Developer solid type
    • G03G2215/0614Developer solid type one-compon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36Specific type of dry developer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사진분야에서 사용되는 현상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가 적용되는 전자사진 프린터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3도는 현상로울러와 현상로울러에 탄성적을 맞물린 블레이드부재를 도시한 제2도의 부분확대도.
제4도는 제3도의 블레이드부재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제5도는 종래의 블레이드부재가 적용된 현상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6도는 제5도의 종래의 블레이드부재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8도는 현상로울러와 현상로울러에 탄성적으로 맞물린 블레이드부재를 도시한 제7도의 부분확대도.
제9도는 현상로울러, 현상로울러에 탄성적으로 맞물린 종래의 블레이드, 및 블레이드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호울더부재를 도시한 개략도.
제10도는 블레이드부재에 의해서 조정되는 현상제층이 블레이드부재와 현상로울러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어떻게 변화되는가를 설명한 제9도와 유사한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12도는 현상로울러와 현상로울러에 탄성적으로 맞물린 블레이드부재를 도시한 제11도의 부분확대도.
제13도 및 제14도는 제11도 및 제13도의 제3실시예의 기술적 장점을 설명하는 참고도.
제15도는 제11도의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16도 내지 제18도는 제11도의 블레이드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20도는 금속블레이드부재에 바이어스전압의 인가에 의해서 얻어진 전하-분사 효과에 의해서 대전될때 폴리에스터 수지성 토너입자의 전하분포를 도시한 그래프.
제21도는 테프론으로 피복된 블레이드와 마찰전기에 의해서 대전될때 스티렌 아크릴수지성 토너입자의 전하분포를 도시한 그래프.
제22도는 전도성 나이론 블레이드부재와 마찰전기에 의해서 대전될때 폴리에스터수지성 토너입자의 전하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
제23도는 테프론으로 피복된 블레이드부재와 마찰전기에 의해서 대전될때 스티렌아크릴 수지성 토너입자의 양전하 전하분포를 도시한 그래프.
제24도는 전도성 개방-셀 발포고무현상로울러를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
제25도는 프린트된 기록지 매수가 증가됨에 따라 10, 20, 50 및 100μm 직경의 개방세공 또는 셀을 가진 각각의 전도성 개방-셀 발포고무현상로울러의 경도가 어떻게 변화되는가를 도시한 그래프.
제26도는 전도성 다공성고무현상로울러의 경도가 증가됨에 따라 현상과정이 변화하는 동안에 나타나는 전자사진 포그의 퍼센테이지를 도시한 그래프.
제27도는 현상부 또는 감광드럼과 감광드럼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된 다공성고무현상로울러 사이의 접촉 영역을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
제28도는 현상다공성고무가 감광드럼에 대해 가압되는 선형압력과 감광드럼에 의해서 프린트된 기록지 최대매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29도는 현상된 화상의 광학적밀도(O.D.)와 접촉부 또는 다공성고무현상로울러와 감광드럼사이의 닙폭과의 사이에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30도는 다공성고무현상로울러와 감광드럼사이의 닙폭과 다공성고무현상로울러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31도는 다공성고무현상로울러와 불균일 현상의 퍼센테이지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32도는 검은색 현상제로써 기록지의 연속프린트를 행할때 가장 높은 광학적 밀도와 가장 낮은 광학적 밀도사이의 차이와 다공성고무현상로울러의 경도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33도는 20°의 아스커(Asker) 경도를 가진 다공성고무현상로울러와 58°의 아스커경도를 가진 경질고무현상로울러를 사용하였을때 온도와 공기수분량의 변화와 광학적 밀도(O.D.)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34도는 폴리우레탄 발포고무현상로울러와 실리콘 발포고무현상로울러를 사용하였을때 프린트된 기록지가 증가됨에 따라 현상된 화상의 해상력이 어떻게 변화되는가를 도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린터 24 : 감광드럼
28 : 현상장치 28a : 용기
28b : 현상로울러 28c, 46, 52, 62 : 블레이드부재
28c3, 46a : 둔각에지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전자사진 분야에 사용되는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정전잠상이 비자기타입의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함으로써 가시적으로 현상된다.
[종래기술의 설명]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사진 프린터는 정전잠상 운반체의 표면에 전하의 균일분포를 형성하는 단계 ; 레이저비임 스캐너, LED(발광다이오드) 어레이, LCS(액정 셔터) 어레이등을 사용하여 화상을 광학적으로 기입하여 정전잠상 운반체의 대전표면에서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단계 ; 대전되어 정전잠상 영역에서 정전기적으로 부착되는 토너와 같은 현상제로 정전잠상을 가시적으로 현상하는 단계 ; 현상된 가시화상을 쉬트 또는 종이에을 정전기적으로 전사하는 단계 ; 및 쉬트 또는 종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단계의 과정을 수행한다. 전형적으로, 정전잠상 운반체는 보통 전도성 기판과 그 원통형 표면에 부착된 광전도 절연필름을 갖춘 감광드럼으로 형성된 전자사진 수용체이다.
현상과정에서, 토너성분(착색된 미세 합성수지입자)과 자기성분(미세자기 운반체)의 2성분 현상제는 잠상의 안정된 현상을 가능하게하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형적으로 토너입자는 평균 직경이 약 10μm이며 자기 운반체는 토너입자의 평균 직경보다 10배로 큰 직경을 갖추고 있다. 일반적으로,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는 2성분 현상제를 유지하는 용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현상제는 구비된 교반기에 의해서 교반된다. 상기 교반은 토너입자와 자기 운반체를 마찰대전시키며, 이것에 의해 토너입자는 자기 운반체의 각각에 정전기적으로 부착된다. 현상장치는 자기로울러의 일부분이 노출되고 감광드럼의 표면과 면하는 방식으로 현상로울러로서 용기내에 구비된 자기로울러를 포함하고 있다. 토너입자를 갖춘 자기 운반체는 자기로울러의 표면에 자기적으로 부착되어 주변에 자기브러쉬를 형성하며 자기브러쉬를 운반하는 자기로울러를 회전시킴으로서 토너입자는 감광드럼의 표면에 보내져 거기에 형성된 정전상의 화상을 현상한다. 상기 현상장치에서, 용기내에 유지된 현상제몸체의 토너와 자기성분과의 비율은 안정된 현상과정을 계속 유지하도록 소정의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현상장치는 현상과정동안에 소모되는 토너성분을 공급하도록 용기내에 있는 2성분 현상제에 토너성분을 공급하는 토너공급기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용기안에 있는 2성분 현상제의 성분비율은 소정의 범위내에서 유지된다. 2성분 현상제의 이러한 이용은 안정된 현상과정이 얻어지는 장점이 있지만, 현상장치 자체는 2성분 현상제의 적절한 성분비율을 제어하는 귀찮은 일과 토너공급기를 그안에 포함해야 하므로 현상장치의 크기를 줄이기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일성분 현상제가 이 분야에 역시 잘알려져 있으며, 이것을 사용하는 현상장치는 일성분 현상제가 단지 토너성분(착색된 미세합성 수지입자)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의 상기 단점은 없다. 1성분 현상액의 2가지 타입이 잘 알려져 있는데, 자기타입과 비자기타입이 그것이다. 자기타입의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는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장치와 실제로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자기타입과 일성분 현상제는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에서와 같이 자기로울러를 회전시킴으로써 광감지 드럼의 표면에 부착된다. 자기타입 일성분 현상제는 무채색(블랙) 프린팅 용으로 적합하지만, 칼라프린팅 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이것은 자기타입 일성분 현상제를 구성하는 토너입자의 각각이 어두운색의 미세한 자기분말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자기타입 일성분 현상제로 부터 얻어진 칼라프린팅은 미세한 자기분말이 포함되어 어둡고 흐린색으로 나타난다. 역으로, 비자기타입 일성분 현상제는 어두운색을 갖춘 물질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칼라프린팅 용으로 적절하지만, 비자기타입 일성분 현상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자기로울러에 의해서 감광드럼의 표면에 부착될수 없다.
비자기타입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는 미국특허 제3,152,012호와 제3,754,963호에 개시된 바와같이 역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장치는 비자기타입 일성분 현상제를 담기 위한 용기와, 경질고무 현상로울러의 일부분이 노출되고 감광드럼의 표면과 면하는 방식으로 용기내에 현상로울러로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전도성 경질고무 로울러를 포함하고 있다. 경질고무 현상로울러는 일본특공소 제60-12627호, 일본특개소 제62-118372호, 제63-189876호에 개시된 바와같이 전도성 폴리우레탄 고무재질 또는 전도성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다. 전도성 경질고무 현상로울러가 용기내에 있는 비자기타입 일성분 현상제내에서 회전할 때, 비자기타입 일성분 현상제로 구성된 토너입자는 주변에 현상제층을 형성하도록 경질고무 현상로울러의 표면에 의해서 마찰적으로 끌려져, 이것에 의해 토너입자는 형성될 정전잠상의 현상을 위해서 감광드럼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현상장치는 현상제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규제하여 잠상의 현상이 수행되도록 현상로울러의 표면과 맞물리는 블레이드(blade) 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다. 블레이드부재는 또한 그들사이에 마찰대전에 의해서 토너분자를 전기적으로 대전하는 작용을 한다. 현상장치에서, 현상과정은, 현상제층을 운반하는 전도성 경질고무 현상로울러와 감광드럼과의 사이에서의 접촉면에서, 대전된 토너입자는 전도성 경질고무 현상로울러에 인가현상 바이어스전압으로 인하여 잠상에 정전기적으로 유인되고 부착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일본특개소 제62-96981호는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고무 블레이드부재는 현상로울러 주위에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고무 블레이드부재는 장방형 판형태이며 현상로울러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갖추고 있다. 고무 블레이드부재는 가이드호올더부재에 미그럼식으로 수용되어 있으며, 현상로울러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현상로울러의 표면과 접촉되어 있는 블레이드부재의 하단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블레이드부재는 현상면에서 예각 및 둔각에지를 구비하며, 블레이드부재는 예각에지가 현상로울러 주위에 형성된 현상제층을 관통하도록 회전하는 현상로울러와 맞물린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현상로울러가 편심으로 회전할지라도 (현상로울러의 약간의 편심회전은 공차로서 허용된다), 블레이드부재의 경사단부면과 현상로울러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접촉은 블레이드 부재가 현상로울러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유지되며, 그러므로 현상제층 두께의 규제는 현상제층에 블레이드부재의 예각에지를 관통시킴으로써 보장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에서 언급한 고무 블레이드부재는 기계적인 손상을 입을 염려가 있는 단점이 있는데, 즉 블레이드부재의 예각에지는 용이하게 떨어져 나갈 수 있으며, 따라서 현상제층 두께의 균일한 규제는 블레이드부재의 떨어진 예각에지에 의해서 보장될수 없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일본특개소 제62-96981호에서 개시한 현상장치에서, 블레이드부재에 의해서 현상제층으로부터 제거된 여분의 토너입자는 블레이드부재가 미끄럼식으로 수용된 가이드호울더부재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어서, 블레이드부재는 가이드호울더부재내에서 움직일 수 없으며, 그리고 물론, 블레이드부재가 가이드호울더부재에서 움직일 수 없다면, 현상제층 두께를 적절히 규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더욱이 블레이드부재와, 현상제층이 형성된 현상로울러와의 사이의 마찰력은 온도와 습도에 따라 커지며, 블레이드부재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이유로 인하여 진동하므로 규제된 현상제층 두께의 편차가 나타난다.
블레이드부재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마찰대전에 의해서 토너입자를 전기적으로 대전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경우에, 블레이드부재는 규제된 현상제층을 형성하는 토너입자에 정전잠상의 적절한 형상이 이루어지는 전하분포가 주어지도록 구성되어, 만약 이것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전자사진 포그가 현상과정에서 나타나며,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이유로 현상제는 낭비적으로 소모되게 된다.
[발명의 요약]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성분 현상제, 특히 전자사진 분야에서 사용되는 비자기타입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 장치는 현상제층을 형성하도록 현상제입자 또는 토너입자를 연행하며 토너입자를 정전잠상현상용 정전잠상 운반체에 부착하는 전도성 현상 고무로울러와, 잠상의 균등현상을 수행하도록 현상로울러 주위에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기 위한 블레이드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블레이드부재는 현상제층 두께의 규제가 장기간 적절하게 그리고 안정되게 유지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같은 현상장치에서 블레이드부재는 규제된 현상제층에 잠상의 적절한 현상이 얻어지는 전하분포가 주어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특징에 따르면,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현상장치는 토너입자로 구성된 일성분 현상제를 유지하기 위한 용기 ; 현상로울러의 일부가 노출되고 정전잠상 운반체의 표면과 면하는 방식으로 용기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현상로울러 ; 토너입자가 주변에서 현상제층을 형성하도록 끌리고 정전잠상의 현상을 위해 정전잠상 운반체의 표면에 운반되는 전도성 고무재질의 토너입자 ; 현상제층 두께의 규제를 위해 용기내에서 현상로울러와 탄성로울러와 맞물리며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는 둔각에지를 가진 블레이드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블레이드부재의 둔각에지는 기계적인 손상을 받을 염려가 없으며, 블레이드부재에 의한 현상제층 두께의 적절한 규제는 장기간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블레이드부재는 가이드호울더부재에 미끄럼식으로 수용되어 있고, 블레이드부재에 의해서 현상제층으로부터 제거된 여분의 토너입자가 가이드호울더부재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내에 있는 현상제로 복귀시키는 판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해서 블레이드부재는 토너입자의 유입으로 인하여 가이드호울더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는것이 방지되며, 이것에 의해 블레이드부재의 작동 수명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현상로울러의 주변에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기 위한 블레이드부재는 용기내에서 피봇식으로 구비되어 현상로울러와 접선방향으로 맞물립며, 블레이드부재의 피봇운동의 중심은 블레이드부재와 현상로울러와의 사이에 규정된 접선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로해서, 블레이드부재와 현상로울러와의 사이에서 마찰력에 의해 영향받지않고, 블레이드부재가 현상제층 두께의 규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현상제층 두께의 적절한 규제가 보장된다. 블레이드부재는 현상제층 두께의 규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현상로울러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둥근 에지를 갖추고 있따. 또한, 블레이드부재는 여분의 토너입자가 블레이드부재에 의해서 현상제층으로부터 제거되어 용기내에 유지된 현상제로 복귀하게 하는 판요소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에서, 현상로울러는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개방-셀 발포고무재질로 형성되어 개방세공이 현상로울러의 표면상에 나타나며, 이 세공은 토너입자의 평균 직경의 기껏 2배 정도의 직경을 갖추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현상로울러의 회전동안, 토너입자는 현상로울러의 세공에 의해 포획되고 유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제1도는 부재번호 10으로 표시되는 전자사진 프린터의 개략도로서 여기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자성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가 적용된다. 프린터(10)는 저면근처에서 프레임 하우징(12)의 단부측벽에 결합된 급지트레이를 구비한 프레임 하우징(12)을 포함하며, 여기에 프린트될 기록지의 더미가 적재된다.
급지트레이(14)에는 급지트레이(14)안에 적재되는 기록지더미로 부터 기록지(P)를 한장씩 인출하는 픽업로울러(16)가 구비된다. 인출된 기록지(P)는 한쌍의 이송로울러(18)로 이동되고 이 로울러에 의해 부재번호 20으로 표시되는 기록부 또는 프린트부로 유도된다. 좀 더 상세히는 기록지(P)의 선단에지가 이송로울러(18)사이에 들어가면 이송로울러(18)용 전기모우터(도시안됨)는 기록지(P)가 정지되도록 일단정지되고 그후에 기록지(P)의 대기상태가 소정의 시간에 해제되어 기록지(P)가 정시에 프린트부(20)로 들어가며 이로써 기록지의 적당한 위치에서 기록 및 프린트가 수행될 수 있다. 제1도에서 부재번호 22는 기록지(P)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판을 표시한다.
프린트부(20)에서, 감광드럼(24)이 잠상운반체로서 위치하며 프린트 작동동안에 화살표 A1으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제1도에서와 같이 대전기(26), 현상장치(28), 전사대전기(30) 및 크리너(32)는 감광드럼(24)의 둘레에 그 회전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현상장치(28)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되며 제2도에서 감광드럼(24)과 함께 도시한다.
제2도에서와 같은 감광드럼(24)은 알루미늄 등의 적당한 전도성 재질로 만들어진 슬리이브기판(24a) 및 그 둘레에 형성된 광전도성 재질필름(24b)으로 형성된다. 슬리이브기판(24a)은 제2도에서와 같이 접지되며, 광전도성재질필름(24b)은 유기광전도체(OPC), 셀레늄광전도체 등으로 구성된다. 대전기(26)는 코로나 대전기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드럼(24)의 광전도성재질필름(24b)이 유기광전도체로 만들어지면, 대전기(26)는 감광드럼(24)의 표면(OPC)에 음전하가 대전되도록 배열되어 드럼표면에 균등한 대전분포가 발생되도록 한다. 프린터는 레이저빔 스캐너, LED 어레이, LCS 어레이등의 광기록수단(도시안됨)이 구비되어 감광드럼(24)의 대전구역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제1도에서와 같이, 드럼(24)의 대전구역은 광기록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성(L)이 조사되며 접지된 슬리이브기판(24a)을 통해 전하가 조사영역으로부터 방출되어 조사영역과 잔여영역간의 전위차가 정점잠상(조사영역)을 형성한다.
제2도에서와 같이, 현상장치(28)는 프린터(10)의 프레임 구조에 의해 감광드럼(4)에 대해 접근 및 후퇴 가능하게 지지되는 용기(28a)로 구성된다. 용기(28)는 비자성 현상제를 수용하는데 이 현상제는 폴리에스테르, 스틸렌 아크릴수지등 평균 직경 10μm 가량의 적당한 합성수지로 된 미세한 유색 토너입자로 구성된다. 현상장치(28)는 또한 현상로울러로서 용기(28a)안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전도성 고무로울러로 구성되는데, 그 일부는 용기로부터 노출된다. 용기는 코일이나 판 스프링등의 적당한 탄성부재(도시안됨)에 의해 화살표 A2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서, 현상로울러(28b)의 노출부가 감광드럼(24)의 표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현상장치(28)의 작동동안에, 현상로울러(28b)는 화살표 A3방향으로 회전하며 토너입자를 마찰적으로 끌어당겨서 둘레에 현상제층을 형성하고 이로써 토너입자가 감광드럼의 표면에 옮겨져서 그위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감광드럼(24)은 60mm의 직경을 가지며 70mm/s의 원주속도를 가진다. 더욱이 현상로울러(28b)는 20mm의 직경을 가지며 감광드럼(24)의 1배 내지 4배의 원주속도를 가진다. 현상로울러(28b)는 용기(28a) 벽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축과 그 위에 장착된 로울러부재를 포함한다. 현상로울러(28d)의 로울러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개방셀 폴리우레탄 발포고무, 전도성 개방셀 실리콘 발포고무, 또는 전도성 개방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발포고무등의 개방셀 발포재질로 형성되어 토너입자가 개방셀 발포고무로울러 부재의 구멍안에 포획되고 유지되어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끌어들여지도록 한다. 고무로 형성된 현상로울러가 전술한 일본특공소 제60-12627, 일본특개소 62-118372, 63-189876호에서와 같이 솔리드한 고무표면을 가지면 표면의 마찰계수가 주위여건의 변화 좀더 상세히는 온도 및 습도에 따라 변할수가 있다.
따라서, 경질고무 현상로울러의 마찰계수가 낮으면 잠상의 현상에 필요한 양의 토너입자가 경질고무 현상로울러에 의해 끌여들여질 수 없다. 현상로울러(28b)의 로울러부재는 바람직하게는 104내지 1010Ω·m, 가장 바람직하게는 105Ω·m의 체적저항을 가지며 약 10° 내지 35°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의 아스커 -C 경도를 가진다. 현상로울러(28b)는 약 22 내지 50g/cm, 가장 바람직하게는 43g/cm의 선형 압력으로 감광드럼(24)에 대하여 가압되어 약 1 내지 3.5mm의 접촉 또는 닙폭이 현상로울러(18) 및 감광드럼(24)사이에서 얻어질 수 있다. 현상장치(28)는 둘레에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도록 현상로울러(28b)의 표면과 맞물리는 블레이드부재(28c)를 더 포함하며, 이로써 균등한 잠상의 현상이 보장된다. 블레이드부재(28c)는 적당히 지지되어 약 26g/mm의 선형 압력에서 스프링수단(28c)에 의해 현상로울러(28b)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도록 적당히 지지되어 그 둘레에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한다. 이 실시예에서, 블레이드부재(28c)는 적당한 전도성, 또는 비전도성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나 알루미늄, 스테인레스스틸, 브라스등의 적당한 금속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부재(28c)는 또한 그 사이의 전기마찰에 의해 토너입자가 전기적으로 대전되도록 한다. 현상장치(28)는 용기(28a)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약 1mm 폭의 닙의 접촉이 그 사이에 얻어질 수 있도록 현상로울러(28b)와 접촉하는 토너제거로울러(28d)가 또한 포함된다. 토너제거로울러(28d)는 현상로울러(28b)와 같은 방향인 A4방향으로 회전하여 토너제거로울러(28d) 및 현상로울러 표면이 그 사이의 접촉영역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마찰접촉하여, 이로써 잠상현상에 사용되지 않은 잔여토너입자는 기계적으로 현상로울러(28b)로 부터 제거된다.
토너제거로울러(28d)는 전도성 합성수지발포재료, 바람직하게는 약 106Ωm의 체적저항 및 약 10 내지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의 아스커 C-경도를 지닌 전도성 개방셀 발포폴리우레탄 고무재료로 구성된다. 예를들면, 토너제거로울러(28d)는 약 11mm의 직경을 가지며, 현상로울러(28b)보다 0.5배 내지 2배의 원주속도를 가진다. 더욱이, 현상장치(28)는 용기(28a)로부터 축적물을 제거하도록 비자성 일성분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기(28e) 및 토너입자를 현상로울러(28b)로 정전이송시키기 위한 모피브러쉬로울러(28f)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기(28e)는 화살표(A5)에 의하여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용기(28a)에 있는 현상제의 일부는 항상 현상로울러(28b)쪽으로 이동된다. 모피브러쉬러울러(28f)는 화살표(A6)에 의하여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되며,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어 모피브러쉬로울러(28f)에 의하여 끌려진 토너입자는 모피브러쉬로울러(28f)에서 현상로울러(28b)로 정전기적으로 이동된다.
현상장치(28)의 작동에 있어서, 감광드럼(24)이 상술한 바와같이 유기광전도체(OPC)로 형성되어질때, 음전하의 분포가 발생되고 대전면은 약 -600 내지 650V의 전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광기록수단에 의하여 드럼(24)에 형성된 잠상영역은 약 -50볼트의 낮은 전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토너입자는 현상로울러(28b) 및 블레이드부재(28c)와 함께 마찰대전에 의하여 음전하 대전이 주어지며, 따라서 개방셀 발포고무와 현상로울러(28b)는 현상제내에서 회전되며 토너입자는 현상제층을 형성하도록 현상로울러(28b)의 표면에서 미세공에 포회되어 유지된다. 현상제층이 형성된 후에, 그 두께는 블레이드부재(28c)에 의하여 규제되며, 감광드럼(24)의 표면으로 옮겨진다.
-350V의 현상 바이어스전압(주; 이 현상 바이어스전압은 약 -200 내지 -500V일 수 있다) 이 현상로울러(28b)에 인가하여 감광드럼(24)의 표면으로 운반된 토너입자는 잠상영역으로만 정전기적으로 이끌리며, 마치 잠상영역 또는 저전위영역(-50볼트) 이 네가티브 토너입자로 대전되는 것처럼 되어서 토너현상화상 또는 토너화상이 가시적인 화상으로 얻어진다. 상기한 바와같이, 현상용으로 사용되지 않은 잔여토너입자는 토너제거로울러(28d)에 의하여 현상로울러(28b)로 부터 기계적으로 제거되지만, 제2도의 실시예에서, 잔여토너입자는 -200V의 바이어스(주 ; 바이어스전압은 약 -150 내지 -400V일 수 있다)를 토너제거로울러(28d)에 인가시킴으로써 현상로울러(18)로부터 정전기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잔여토너입자로 형성된 현상제층은 현상과정중에 기계적 및 전기적 영향을 받기 쉽기때문에, 현상로울러(18) 및 여기에 형성된 새로운 현상제층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새로운 현상제층을 형성하는 토너입자는 -350V의 현상바이어스전압 보다 더 작은 예컨대 -400V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는 모피브러쉬 로울러(28f)에 의하여 정전기적으로 이송된다.
블레이드부재(28c)가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때, -450V의 바이어스전압(주 ; 이 바이어스전압은 약 -200 내지 -500V일 수 있다)이 인가되어서, 대전토너입자가 블레이드부재(28c)에 정전기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은 블레이드부재가 현상로울러(28b)에 인가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의 전위에 대해서 상대적인 반대 극성을 가질때, 토너입자는 블레이드부재(20c)에 정전기적으로 부착되어서 현상로울러(28b) 주위에 현상제층의 균등한 형성을 방해한다. 블레이드부재(20c)에 대한 바이어스전압의 인가는 전하분사효과에 의하여 토너입자의 대전을 분배한다.
주목할 점은, 양전하대전의 분포가 발생되는 예컨대 셀레늄 광전도체로 감광드럼(24)이 형성될때, 토너입자는 포지티브로 대전되고 포지티브 바이어스전압이 현상로울러(28b) 및 블레이드부재(28c)에 인가된다. 현상화상 또는 토너화상이 감광드럼(24)의 회전으로 인해 전사대전기(30)에 도달되면 대기상태로 부터 해제된 기록지(P)는 드럼(24)과 전사대전기(30)와의 사이의 간극으로 도입된다. 코로나방전기로 구성될 수 있는 전사대전기(30)는 기록지(P)에게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을 가진 전하를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사대전기는 포지티브 전하를 기록지(P)에 주어서, 토너화상이 기록지(P)에 정전기적으로 전사된다. 전사된 토너화상을 포함환 기록지(P)는 가열로울러(34a) 및 백업로울러(34b)로 구성되는 토너화상 정착장치를 통과한다. 보다 상세히는, 전사된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토너입자는 가열로울러(34a)에 의하여 열용융되어서 토너화상이 기록지(P)에 열융착된다. 기록지(P)로 전사되지 않은 잔여토너입자는 모피브러쉬(도시않음)로 구성될 수 있는 크리너(32)에 의하여 감광드럼(4)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감광드럼(24)의 청소된 표면은 대전을 제거하도록 적절한 램프(도시 않음)에 의하여 조사되어지며, 이후에 대전기(12)에 의해서 네가티브 전하가 주어진다. 제1도에서 번호 36은 전사대전기(30)와 토너화상정착장치(34)와의 사이에서 기록지(P)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판을 나타낸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착 토너화상을 포함한 기록지(P)는 한쌍의 이송로울러(40), 가이드통로(42) 및 한쌍의 이송로울러(44)를 통하여 프레임 하우징(12)의 상부벽에 구비된 기록지 수용부(38)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레이드부재(28c)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즉, 블레이드부재(28c)는 장방형판요소의 형태이며 경사면(28c2)은 블레이드부재(28c)의 하단부측면에 형성되어서 경사면(28c2)와 블레이드부재(28c)의 저면 사이에 둔각(θ)을 이루며 둔각에지(28c3)가 그 사이에 형성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블레이드부재(28)는 그 경사면(28c2)이 현상로울러(28b)의 표면과 접촉하고 따라서 현상로울러(28b) 둘레에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는 블레이드부재(28c)의 둔각에지(28c3)에 의해서 규제된다.
제5도의 현상장치는 상기한 일본특개소 62-96981에 개시된 바와같이, 토너입자로 구성된 비자성 일성분현상제(D)를 수용하는 용기(28a'), 현상로울러(28b') 둘레에 현상제층을 형성하도록 토너입자를 연행시키기 위해 용기(28a')내에 회전식으로 구비된 현상 고무로울러(28b') 및,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도록 현상로울러(28b')의 표면과 탄성적으로 맞물린 고무 블레이드부재(28c')로 구성된다. 제2도의 현상장치(28)와 유사하게 이 현상장치는 감광드럼(24)쪽으로도 탄성적으로 가압되어서, 현상로울러(28b')가 이에대해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현상과정동안, 현상로울러(28b')는 화살표(A3)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되며, 현상제층 두께는 스프링수단(28c1)에 의하여 현상로울러(28b)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블레이드부재(28c')로 규제된다. 제5도 및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로울러(28b)와 접촉하고 있는 블레이드부재(28c)의 하단부면은 경사면(28c2')으로 형성되어서 블레이드부재(28c)는 하단부면에서 예각에지(28c3')를 가진다. 따라서 제5도에 도시한 현상장치에 있어서, 현상제층 두께의 규제는 블레이드부재(28c')의 예각에지(28c3')에 의해서 수행되어진다. 이러한 블레이드부재(28c')의 예각에지(28c3')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부재(28c)의 둔간에지(28c3)와 비교할때, 기계적 손상을 받기 쉬우며 만일 블레이드부재(28c')의 예각에지(28c3')가 잘려나간다면 제6도의 화살표(A7)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층 두께의 균일한 규제가 확보될 수 없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며, 이 장치는 현상제층 두께를 규제하기 위해 블레이드부재(28c) 대신에 블레이드부재(46)가 사용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2도의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제7도에서, 제2도와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고 있다. 제7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블레이드부재(46)는 적절한 지지부재(도시않음)를 통하여 용기(28)에 의하여 지지되는 가이드호울더부재(48)에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된다. 가이드호울더부재(48)는 블레이드부재(46)를 현상로울러(28b)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압출코일 스프링부재(50)와 같은 스프링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블레이드부재(46)는 현상제층 두께를 규제하기 위한 둔간에지(46a)를 그 특징으로 하지만, 제2도의 블레이드부재(28c)와 같이 현상제층 두께의 규제에 의하여 발생된 잔여의 토너입자는 제7 및 8도의 화살표(A8)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28a)에 담긴 현상제(D)로 복귀하는 판부재(46b)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것에 의해 토너입자는 블레이드부재(46)와 가이드호울더부재(48)와의 사이의 간극(C; 제8도)으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제7 및 8도에서, 판부재(46b)가 블레이드부재(46)로 일체로 형성되었지만 이들을 별체로 분리하여 부착할 수 있다.
제9도는 제5도의 블레이드부재(28c')를 도시하며 이 부재는 가이드호울더부재(48)와 유사한 가이드호울더부재(48')에 미끄럼식으로 수용된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현상제층 두께의 규제에 의하여 발생된 잔여토너입자(TP)는 블레이드부재(28c')와 가이드호울더부재(48')와의 사이의 간극(C')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없게되어, 블레이드부재(28c')는 가이드호울더부재(48') 안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로 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재(28c')가 이동하지 않으면, 이 블레이드부재는 분명히 현상로울러(28b')의 회전표면을 추종할수 없어서 현상제층의 적절한 규제가 보장될 수 없다.
현상로울러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된 경사면을 가진 블레이드부재(28c,46,28c')를 사용할때, 이 블레이드부재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로 인한 블레이드부재와 현상제층을 구비한 현상로울러사이의 마찰력의 증가에 의해서 진동될 수 있다. 특히 예컨대, 블레이드부재(28c')가 현상로울러(28b')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될때, 블레이드부재(28c')에 의해서 현상로울러(28b')상에 작용되는 가압력(PF)은, 제10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반경방향(RF)과 접선분력(TF)으로 나누어진다. 반경방향분력(RF)은 현상제층을 규제하는데 사용되고 접선분력(TF)은 블레이드부재(28)와 현상로울러(28b')사이에서 접선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에 대항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블레이드부재(28c')와 현상로울러(28b')사이의 마찰력은 끊임없이 변화될 수 있고 반경방향분력(RF)에 대응하는 반경방향 마찰분력을 포함하여,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기 위한 합성력(반경방향 분력+마찰반경방향 마찰분력)은 끝없이 변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변동은 제10도에서 번호 50으로 표시된 규제된 현상제층 두께로 나타난다. 또한 마찰력이 온도 및 습도의 증가로 인해 크게되면 접선분력(TF)을 초과하여 블레이드부재(28c')는 마찰력에 의해 상승되고 다시 스프링부재(28c1')에 의해서 하강된다.(제5도). 이 경우에 있어서, 현상제층 두께의 적합한 규제는 수행될 수 없다. 이것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부재(28c,46)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블레이드부재(52)가 현상제층 두께를 규제하도록 블레이드부재(46)대신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면 제7도의 제2실시예에 대체로 동일하며, 여기에서 블레이드부재(52) 현상로울러(28b)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되지만 그 진동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블레이드부재(52)가 배열된다. 제7도의 부재와 유사한 제11도의 부재는 동일한 번호로 표시된다.
제1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블레이드부재(52)는 또한 장방향 형태이지만 현상로울러(28b)의 표면과 접선적으로 맞물리게 되도록 피봇핀(52a) 상에서 피봇가능하게으로 장착된다.
피봇핀(52a)은 적절한 지지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용기(28a)에 의해서 지지된다. 블레이드부재(52)는 그 자유단에서 일체로 성형되고 거기로 부터 수직으로 뻗는 판요소(52b)를 가진다. 판요소(52b)의 상단부는 가요성고무쉬트부재와 같은 적절한 가요성부재(54)를 매개로 하여 용기(28a)의 벽부분에 결합되어, 블레이드부재(52)가 피봇핀(52a)에 대해 피봇될뿐만 아니라, 토너입자의 누출도 판요소(52b)와 용기벽 사이에서 고정된 가요성고무쉬트부재(54)에 의해서 방지된다.
판요소(46b)(제8도)와 유사하게 판요소(54b)는 현상제층 두께의 규제에 의해서 발생된 여분의 토너입자를 용기(28a) 내에 담긴 현상제로 회수시키는데 사용된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레이드부재(52)는 블레이드부재(52)와 용기벽부분으로부터 돌출된 벽부재(56)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52c)과 같은 스프링부재를 구비하여, 현상로울러(28b)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제11도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블레이드부재(52)는 피봇핀(52a)의 피봇중심(PC)이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재(52)와 현상로울러(28b) 사이에 형성된 접선(TL)상에 위치되어 블레이드부재(52)가 블레이드부재(52)와 용기(28a)사이의 마찰력 성분을 받을 수 없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블레이드부재(52)가 압축스프링(52c)의한 탄성력에 의해서만 현사로울러(28b)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가압되므로, 현상제층 두께를 규제하는 힘은 마찰력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않는다.
블레이드부재(52)의 피봇핀(52a)이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선(TL)보다 위쪽에 배치된다면, 마찰력(FF)은 현상제층 두께를 규제하는 힘에 방향이 일치한 분력(CF1)을 포함하여, 제10도를 참고하여 설명된 바와같이 규제된 현상제층 두께의 변동이 나타난다. 역으로, 블레이드부재(52)의 피봇핀(52a)이 제1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접선(TL) 아래에 배치된다면, 마찰력(FF)은 현상제층두께를 규제하는 힘과 방향이 일치한 분력(CF2)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또한 규제된 현상제층 두께의 변동이 나타난다.
제15도는 제11도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에서 블레이드부재(52)는 용기벽 부분과, 판요소(52b)에 평행한 블레이드부재의 피봇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재(52d) 사이에 압축스프링(52c) 대신에 인장 스프링(52c')를 구비한다. 즉, 제15도의 변형된 실시예는 블레이드부재(52)가 압축스프링(52c)에 의해서가 아니라 인장스프링에 의해서 현상로울러(52b)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점에서 제11도의 실시예와 구별된다.
제16도 내지 제18도는 제11도에 도시한 블레이드부재(52)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6도에 있어서 압축스프링(52c)은 블레이드부재(52)의 판요소(52b)와 용기벽부분으로 부터 돌출된 L자형상부재(58) 사이에 위치되어, 블레이드부재가 현상로울러(28b)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제17도에 있어서, 블레이드부재(52)는 그 피봇 단부로부터 뻗어 있는 아암부재(52e)를 구비하고 압축스프링(52c)은 아암요소(52c)와 전자사진프린터(제1도)의 프레임의 일부분이 되는 적절한 구조부분(60) 사이에 고정된다.
아암부재(52e)는 제17도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블레이드부재(52)의 피봇단부로 부터 각을 이루어 뻗어있다. 제11도, 제15도,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된 블레이드부재(52)는 현상로울러(28d) 둘레에서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기 위한 둔각에지 또는 직각에지를 특징으로하고 있다. 제18도에서는, 블레이드부재(52)의 웨지형 단면을 가진 둥근에지부(52f)를 특징으로 하여 압축스프링(52c)에 의해서 현상로울러(28b)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둥근에지부(52f)는 현상제층 두께를 규제하는데 사용되고 그둥근형상 때문에 기계적 손상을 받지 않는다.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2아암블레이드부재(62)가 블레이드부재(28) 대신에 사용되는 것과 패들로울러(64)가 모피브러쉬로울러(28f)를 대신하는 것을 제외하면 제2도의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2아암블레이드부재(62)는 용기(28a)에 의해서 지지된 피봇핀(62a)상에서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고 블레이드부재(62)의 하나의 블레이드아암(62b)은 블레이드부재(62)의 다른 블레이드아암(62c)이 현상로울러(28b)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가압되도록 화살표(A9)로 표시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2아암블레이드부재는 그 블레이드아암(62c)이 현상로울러(28b)의 둘레에서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기위한 둔각에지를 가지는것과 피봇핀(62a)의 피봇중심이 블레이드아암(62c)과 현상로울러(28b) 사이에서 형성된 접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9도의 현상장치는 블레이드부재(62)에 인접한 용기(28a) 내에 배치된 칸막이부재(66)를 구비하고 발포고무재료나 스폰지로 만든 스토퍼부재(68)가 칸막이부재(66)와 2아암블레이드부재(62) 사이에 배치되어 현상제(D)가 이들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된다. 패들로울러(64)는 화살표(A10) 방향으로 회전되어 토너입자가 현상로울러(28b)로 이송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입자는 전도성 블레이드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얻어진 전하분사효과에 의해서 및/또는 블레이드부재와 마찰전기에 의해서 대전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후에서 설명될 바와같이, 블레이드부재의 구성이 토너입자의 대전에 큰 효과를 미치기 때문에, 블레이드부재는 규제된 현상제층을 형성하는 토너입자가 잠상의 적절한 현상을 보장할 수 있는 대전분포가 주어지도록 적절히 구성된다. 예컨대, 폴리에스터수지성 토너현상제가 주로 전하분사효과에 의해서 네가티브로 대전될때, 약 -300V의 바이어스전압이 전도성 또는 금속 블레이드부재에 인가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폴리에스터수지성 토너입자는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전하분포가 주어지며, 여기에서 가로좌표와 세로좌표는 각각 대전량과 토너입자수를 가르킨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폴리에스터수지성 토너입자는 번호 70으로 표시된 토너입자의 포지티브로 대전된 부분뿐만아니라 번호 72로 표시된 네가티브로 대전된 부분도 포함한다. 이것은 블레이드부재와 현상로울러 사이의 전기방전의 블레이드부재에 인가된 바이어스 전압과 현상로울러에 인가된 현상바이어스전압사이의 큰 전위차로 인해 발생되기 때문이고, 이로써 폴리에스토수지성 토너입자는 포지티브 대전을 받는다. 한편, 토너입자가 비전도성수지 블레이드부재와의 마찰전기만로 대전될때, 비전도성수지 블레이드부재가 전기적으로 부동적이므로 비전도성수지 블레이드부재와 현상로울러사이의 전기방전은 발생되고 이로써 과대전된다.
전기방전이 발생될때, 토너입자는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포지티브 대전을 받게된다. 비전도성수지 블레이드부재 대신 전도성수지 블레이드부재를 사용하였을때 전도성수지 블레이드부재가 과대전되지 않기 때문에 전도성수지 블레이드부재와 현상로울러 사이의 전기방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전도성수지 블레이드부재가 적절한 재료로 형성되지 않았을때, 토너입자에 잠상의 적절한 현상에 필요한 전하분포를 주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컨대, 스티렌아크릴수지성 토너가 전도성테프론 블레이드부재와의 마찰전기에 의해서 네가티브로 대전될때, 스티렌아크릴수지성 토너입자는 제21도에 도시된 대전분포가 주어되고 여기에서 가로좌표와 세로좌표는 각각 대전량과 토너입자량을 표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렌아크릴수지성 토너입자는 번호 74로 표시된 토너입자의 포지티브로 대전된 부분뿐만 아니라 번호 76으로 표시된 토너입자의 네가티브로 대전된 부분도 포함한다. 이것은 블레이드부재를 이루는 테프론이 마찰전기에 대해서 높은 네가티브이기 때문이며, 이로써 스티렌아크릴수지성 토너입자의 일부는 포지티브 대전을 받게된다.
잠상영역을 제외하고, 포지티브로 대전된 토너입자와 저레벨 네가티브로 대전된 토너입자가 감광드럼의 표면에 부착되어 현상제가 일찍 소모되기 때문에 제20도와 제21도에 도시된 토너입자의 대전분포는 불리하다. 또한, 감광드럼에 부착된 포지티브로 대전된 토너입자는 기록지에 전사될수 없지만, 저레벨 네가티브로 대전된 토너입자는 감광드럼으로부터 기록지로 전사되며, 이에따라 전자사진포그가 그위에 나타난다.
따라서, 블레이드부재의 구성은 잠상의 적절한 현상에 필요한 토너입자의 대전분포가 얻어지기전에 고려해야 한다.
예컨대, 폴리에스터수지성 토너입자가 마찰전기에 대해서 높은 포지티브인 전도성나일론 블레이드부재와 마찰전기에 의해서 네가티브로 대전될때, 폴리에스터수지성 토너입자는 제22도에 도시된 대전분포가 주어지며, 그것에 의해서 적절한 잠상의 현상이 보장될 수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터수지성 토너입자는 포지티브전하를 가진 토너입자의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제23도는 마찰전기에 대해서 높은 네가티브인 전도성 테프론 블레이드부재와의 마찰전기에 의해서 대전된 스티렌 아크릴수지성 토너입자의 포지티브 대전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포지티브 대전분포에 따라, 포지티브 대전영역상에 형성된 전기잠상의 적절한 현상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현상로울러(28b)의 로울러부재는 전도성 개방셀 발포고무로 만들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셀발포고무 현상로울러(28b)내의 개방세공은, 현상로울러의 셀안으로 관통하는 중에 미세공에 포획된 토너입자가 서로 간섭하기 때문에 개방셀 발포고무 현상로울러(28b)안으로 토너입자의 관통이 방지되도록 토너입자(T)의 평균직경(X)의 두배 이하의 직경을 가져야 한다. 실제로 현상로울러(28b)의 로울러부재의 연성은 토너입자의 관통에 의해서 경화되지 않으므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현상로울러의 내구성이 유지되고 적절한 현상이 유지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제25도 및 제26도를 참조하는 이하의 설명으로 쉽게 이해될 것이다.
제25도는 프린트된 기록지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10,20,50 및 100μm의 세공(셀) 직경을 가진 현상로울러의 경도가 어떻게 변화되는가를 보여주며 제26도는 현상과정중에 현상로울러의 경도가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전자사진포그의 퍼센테이지를 도시하고 있다. 현상로울러의 경도가 토너입자의 관통으로 인하여 증가될때, 토너입자가 현상로울러의 표면에서 유지되는 힘은 약해져서 약간의 토너입자는 잠상지역 이외의 감광드럼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이로인해 현상과정중에 전자사진포그가 발생된다. 제25도에 있어서, (a), (b), (c) 및 (d)는 각각 10,20,50 및 100μm의 세공(셀) 직경을 가진 현상로울러를 표시한다.
제25도 및 제26도에 도시된 결과를 얻도록 수행된 실험에서 10μm의 평균직경을 가진 토너입자가 사용되었다.
제25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10μm 직경의 세공을 가진 현상로울러의 초기 경도는 기록지매수 8,000장을 초과한 후에도 유지되며, 이것은 개방셀 발포고무현상로울러의 세공안으로 토너입자의 관통이 거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20,50 및 100μm 직경의 세공을 가진 현상로울러의 경도는 프린트된 기록지매수가 약 3,500, 4,000 및 1500장에 각각 도달될때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일정하게 유지된다. 물론, 이것은 이 현상로울러의 각각이 세공으로 토너입자의 관통에 의해서 경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로울러의 경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사진포그의 퍼센테이지가 점점 증가하게 된다.
예컨대, 0.1%의 전자사진포그가 허용된다면, 현상로울러의 경도는 세공안으로의 토너입자의 관통에 의해서 약 35°의 아스커 C- 경도로 증가된다. 따라서 현상로울러는 최대 20μm의 세공을 가지며 제25도에 도시된 35°의 경계선(BL)을 초과하지 않는 경도가 바람직하다.
현상로울러의 세공직경이 토너입자의 직경에 두배이상이 되거나 또는 현상로울러의 세공직경이 20μm 이상일 때 이것은 잠상의 불균일한 현상을 초래한다는 단점을 갖게 된다.
특히, 제2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현상로울러(28b)와 감광드럼(24) 사이에 형성된 큰공간 때문에, 현상바이어스전압을 현상로울러(28b)에 인가함으로써 발생되는 전기장은 20μm 보다 큰 직경을 가진 세공 위치에서 약해져서 20μm 이상의 직경을 가진 세공으로부터 드럼(24)의 잠상지역으로 이동되는 토너입자의 량이 감소되며, 이에따라 잠상의 불균일한 현상이 초래된다.
현상로울러의 세공직경이 토너입자의 평균직경의 1/4이하일때, 세공에 토너입자를 포획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충분한 토너입자의 량이 현상로울러에 의해서 연행될 수 없으며, 이에따라 현상부족이 발생된다. 따라서, 현상로울러에 있어서, 세공의 직경은 토너입자의 평균 직경의 1/4로 부터 두배 사이에 있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로울러(28b)가 점점 경화됨에 따라 드럼(24)의 감광필름(24b)의 마모가 점점 커져서 드럼(24)의 수명이 단축되므로 현상로울러(28b)는 최대 50° 바람직하게는 35°의 아스커 C- 경도가 되도록 구성한다.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로울러의 감광드럼에 대한 선형압력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감광드럼에 의해서 프린트될 수 있는 기록지의 매수는 점점 감소된다. 예컨대, 감광드럼이 15,000매 이상의 프린트작업에 견디도록 요구되면, 현상로울러는 적어도 50g/cm의 선형압력으로 드럼에 대해 가압되어야 한다.
다른한편으로, 제2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로울러와 드럼사이의 닙폭 또는 접촉이 점점 커짐에 따라, 현상된 화상의 광학적 밀도(O.D.)는 점점 증가한다. 예컨대, 현상로울러가 40g/cm의 선형 압력으로 드럼에 대해 가압될때, 이들사이의 닙폭은 현상과정에 필요한 약 0.9 이상의 광학적밀도가 얻어지기 전에 적어도 1mm가 되어야 한다.
1.5mm 이상의 닙폭은 소요의 광학적 밀도를 구비한 현상 화상을 얻기위해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3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로울러의 경도가 점점 낮아짐에 따라 현상로울러와 드럼사이의 닙폭은 점점 커진다.
예컨대, 50°의 아스커 C- 경도를 가진 현상로울러가 50g/cm의 선형압력으로 드럼에 대해서 가압될때, 이들사이의 닙폭은 1mm인 반면에, 40°의 아스커 C- 경도를 가진 현상로울러가 동일한 선형압력으로 드럼에 대해 가압될때, 이들사이의 닙폭은 1.1mm이다. 따라서 현상로울러의 아스커 C- 경도는 약 50°가 되어야 감광드럼이 15,000매 이상을 프린트할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35°이하의 아스커 C- 경도를 가진 현상로울러가 이들사이에서 닙폭이 1 내지 3.5mm가 되도록 드럼에 대해서 가압된다.
블레이드부재(28c,52,62)가 알루미늄, 스텐레스강, 브라스 등과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졌을때, 현상로울러(28b)는 50°의 아스커 C- 경도를 갖게된다.
금속블레이드부재는 현상로울러의 둘레에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기 위해 현상 로울러에 맞물리게되는 처리되고 마감된 표면을 가진다.
통상, 금속블레이드부재의 마감된 표면의 가능한 정밀도는 약 30μm이지만, 이것은 10μm의 평균 직경을 가진 토너입자에 비해서 거칠어서, 현상제층의 규제된 두께는 금속블레이드의 거친 표면으로 인해 불균일하게되며, 이에따라 잠상의 불균일한 현상을 초래한다.
현상로울러의 경도가 점점 커짐에 따라 현상제 두께의 변동도 점점 커지고, 따라서 제3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균일한 현상은 더욱 현저하게 된다. 이 도면에서 가로좌표는 현상로울러의 경도를 표시하고 있고 세로좌표는 기록지가 블랙의 현상제로 연속하게 프린트될때 불균일한 현상의 퍼센테이지를 표시하고 있다. 예컨대, 시각적으로 감지되지 않는 최대 0.5%의 불균일한 현상이 제31도에서 판단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허용된다면, 현상로울러는 최대 50°의 아스커 C- 경도를 가져야만 한다. 또한, 제32도는 블랙의 현상제로 기록지를 연속프린트 하였을때 가장높은 광학적 밀도와 가장낮은 광학적 밀도 사이의 차이(
Figure kpo00001
O.D)와 현상로울러의 경도와의 사이에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유사하게, 시각적으로 감지되지 않는 0.2(
Figure kpo00002
O.D)의 차이는 제32도에서 파단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약 50°의 아스커 C- 경도에 대응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개방셀 발포고무 현상로울러(28b)와 전술한 종래의 경질 고무현상로울러를 이루고 있는 폴리우레탄 고무와 같은 합성고무의 경도는 온도 및 습도의 강하로써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같은 합성고무의 마찰계수는 전술한 바와같이 온도 및 습도의 강하에 의해서 낮아진다. 그러므로, 종래의 경질고무현상로울러를 사용하였을때, 현상용 토너밀도는 경질로울러에 의해서 충분하게 연행될 수 없으며, 토너입자가 경질고무현상로울러에 의해서 확실하게 유지될 수 없기 때문에 전자사진 포그가 발생된다. 한편,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현상로울러의 경도는 다공성 구조때문에 크게 낮아질 수 없고, 토너입자는 쉽게 포획되고 개방셀 발포고무 현상로울러에 의해서 확실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전술한 현상로울러(28b)가 사용될 때 전자사진포그는 비록 온도 및 습도가 변화될지라도 대체로 제거될 수 있다.
제33도는 20°의 아스커 경도를 가진 전도성 개방셀 발포고무현상로울러 및 아스커경도 50°의 경질고무현상 로울러를 사용할때 온도 및 습도의 변화와 전자사진포그의 광학적 밀도(O.D.)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제33도에서, 개방원 및 실원은 각각 20°의 아스커 경도를 가진 다공성고무현상로울러와 58°의 아스커 경도를 가진 경질고무현상로울러에 대응한다.
제3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20°의 아스커 경도를 가진 개방셀 발포고무현상로울러가 사용될때, 전자사진포그는 비록 온도 및 습도가 떨어지더라도 대체로 제거되는 반면에, 58°의 아스커 경도를 가진 경질고무현상로울러가 사용될때는 전자사진포그의 광학적 밀도는 온도와 습도가 각각 20℃와 50% 이하로 떨어질때, 점차적으로 증가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로울러(28b)는 전도성 개방셀 발포폴리우레탄 고무로 형성되고 현상된 화상의 해상도를 유지하는 다른 장점때문에 고레벨 및 장시간에 걸친 프린트된 화상이 얻어진다. 해상도의 변화가 폴리우레탄 발포고무 현상로울러와 실리콘 발포고무 현상로울러가 300dpi(dot per inch)의 도트밀도를 가진 전자사진 프린터에 결합되어 측정되었다.
측정에 있어서, 도트라인에 대응하는 라인간격에 의해서 상호간에 이격된 복수의 도트라인을 포함한 간단한 패턴이 기록지위에 반복적으로 프린트되어 이때 도트라인으로부터의 반사밀도(DB)(반사광강도)와 라인 간격으로부터의 반사밀도(DW)(반사광강도)는 프린트된 간단한 패턴으로부터 결정된다. 해상도는 이하의 공식으로부터 얻어진 퍼센테이지(R)로 계산된다.
Figure kpo00003
"n"은 도트라인 또는 라인간격의 수를 표시한다. 이 공식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퍼센테이지(R)가 작아짐에 따라 해상도는 점점 좋아진다.
퍼센테이지(R)가 60% 이상일때, 이로부터 유도된 해상도는 실제적으로 허용될 수 없다. 이 측정의 결과가 제34도에 도시되어 있고,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폴리우레탄 발포고무현상로울러가 사용될때 퍼센테이지(R)은 8000매 이상의 프린트 작업을 통해서 30%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에, 실리콘발포고무현상로울러가 사용될때, 프린트된 기록지가 약 8000매에 도달하는 60%를 한계로 퍼센테이지(R)가 증가한다. 이것은 폴리우레탄 발포고무현상로울러가 실리콘 발포고무현상로울러에 비하여 높은 마모저항을 가지므로, 실리콘발포 고무현상로울러의 표면특성은, 폴리우레탄 발포고무 현상로울러에 비해 감광드럼(24)과 블레이드부재(28c,52,62)와의 마찰 맞물림에 의해서 쉽게 저하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감광드럼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복사사진 잠상이 형성될 수 있는 유연체드럼에 적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다른 현상장치에서 비자성일성분 현상제가 사용되었지만, 필요하다면 자성 일성분 현상제도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해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8)

  1.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한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토너입자로 구성된 일성분 현상제를 보유하는 용기 ; 현상로울러의 일부가 용기로 부터 노출되고 정전잠상 운반체의 표면에 면하도록 상기 용기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현상로울러, 상기 현상로울러는 전도성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토너입자가 상기 로울러 주위에 현상제층을 형성하도록 실려지며, 그 위에 형성된 정전잠상의 현상을 위해 상기 정전잠상 운반체의 표면에 운반되며, 그리고 둔각에지를 정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현상로울러의 표면과 탑성접촉하여 현상제층 두께의 규제가 실행되도록 하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로울러주위에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기위해 상기 현상로울러와 탄성 체결되고 상기 용기내에 제공되는 블레이드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는 개방 세공이 상기 현상로울러의 표면위에 나타나도록 전도성 개방-셀 발포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 세공은 토너입자의 평균직경의 2배이하의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현상로울러의 회전중에 토너입자는 포획되고 상기 현상로울러의 개방 세공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는 약 50°의 아스커 C- 경도 바람직하게는 35°의 아스커 C- 경도를 가지고 있고, 이에따라 상기 정전잠상 운반체의 작동수명은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및 브라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이에따라 상기 블레이드부재에 의해서 규제된 현상제층 두께의 편차는 감소될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로울러를 형성하는 상기 전도성 개방- 셀 발포 고무재질은 전도성개방-셀 발포 폴리우레탄 고무재질이며, 이에따라 현상된 화상의 해상도는 고레벨에서 또한 긴주기에 걸쳐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전도성 수지 재질에 기초되어 그것에 의해서 규제된 현상제층을 형성한 토너입자는 정전잠상의 적절한 현상을 보장할 수 있는 전하분포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7.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토너입자로 이루어진 일-성분 현상제를 보유하는 용기; 현상로울러의 일부가 용기로 부터 노출되고 정전잠상 운반체의 표면에 면하도록 상기 용기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현상로울러, 상기 현상로울러는 전도성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토너입자가 상기로울러 주위에 현상제층을 형성하도록 실려지고, 그위에 형성된 정점잠상의 현상을 위하여 상기 정전잠상 운반체의 표면으로 운반되며; 그리고 상기 용기내에 제공되고 그 둘레에서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로울러와 탄성체결 되고 가이드 호울더부재에 접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용기내에 유지된 형상제로 블레이드부재에 의해 제거된 초과 토너입자를 회수하기 위해 그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판요소를 갖고, 이에 따라 형상제층으로 부터 블레이드부재에 의해 제거된 초과 토너입자가 가이드호울더 부재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블레이드부재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는 개방 세공이 상기 현상로울러의 표면위에 나타나도록 전도성 개방-셀 발포고무 재질로 형성되어있고, 상기 개방 세공은 토너입자의 평균직경의 2배 이하인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현상로울러의 회전중에 토너입자가 포획되고 상기 현상로울러의 개방 세공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는 약 50°의 아스커 C- 경도 바람직하게는 35°의 아스커 C- 경도를 가지고 있고 이에따라 정전잠상운반체의 작동수명은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및 브라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이에따라 상기 블레이드부재에 의해서 규제된 현상제층 두께의 편차는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를 형성하는 상기 전도성 개방-셀 발포고무재질은 전도성개방-셀 발포 폴리우레탄 고무재질이며, 이에따라 현상된 화상의 해상도는 고레벨에서 또한 간주기에 걸쳐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전도성 수지 재질에 기초를 두어 그것에 의해서 규제된 현상제층을 형성한 토너입자는 정전잠상의 적절한 현상을 보장할 수 있는 전하분포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3.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토너입자로 이루어진 일-성분 현상제를 보유하는 용기 ; 현상로울러의 일부가 노출되고 정전잠상 운반체의 표면에 면하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현상로울러, 상기 현상로울러는 토너입자가 상기 로울러 주위에 현상제층을 형성하도록 실려지고, 그위에 형성된 정전잠상의 현상을 위하여 상기 정전잠상 운반체의 표면으로 운반되는 전도성고무재질로 형성되며 ; 및 상기 로울러 주위에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기 위해 상기 현상로울러에 탄성적으로 그리고 접선방향으로 체결되도록 상기 용기내에 피복적으로 제공되며, 블레이드부재의 피봇운동의 중심은 상기 블레이드부재와 상기 현상로울러 사이에 정의된 접선상에 위치되는 블레이드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는 개방 세공이 상기 현상로울러의 표면위에 나타나도록 전도성 개방-셀 발포고무 재질로 형성되어있고, 상기 세공은 토너입자의 평균직경의 2배이하의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현상로울러의 회전중에 토너입자는 포획되고 상기 현상로울러의 세공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는 약 50°의 아스커 C- 경도를 가지고 있고, 이에따라 정전잠상의 운반체 작동수명은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및 브라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이에따라 상기 블레이드부재에 의해서 규제된 현상제층 두께의 편차는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를 형성하는 상기 전도성 개방-셀 발포고무 재질은 전도성개방-셀 발포 폴리우레탄 고무재질이며, 여기서 현상된 화상의 해상도는 고레벨에서 또한 긴 주기에 걸쳐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전도성 수지재질로 형성되어 그것에 의해서 규제된 현상제층을 형성하는 토너입자는 정전잠상의 적절한 형상을 보장할 수 있는 전하분포를 받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현상제층두께의 규제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로울러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가압된 웨지형상 단면을 가진 둥근에지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는 개방 세공이 상기 현상로울러의 표면위에 나타나도록 전도성 개방-셀 발포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공은 토너입자의 평균직경의 2배이하인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현상로울러의 회전중에 토너입자는 포획되고 상기 현상로울러의 세공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는 약 50°의 아스커 C- 경도를 가지고 있고 정전잠상 운반체의 작동수명은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및 브라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금속재질로 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서 구제된 현상제층 두께의 편차는 감소될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를 형성하는 상기 전도성 개방-셀 발포고무 재질은 전도성 개방-셀 발포 폴리우레탄 고무재질이며, 현상된 화상의 해상도는 고레벨에서 또한 긴시간주기에서 걸쳐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전도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그것에 의해서 규제된 현상제층을 형성한 토너입자는 정전잠상의 적합한 현상을 보장할 수 있는 전하분포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현상제층으로부터 상기 블레이드부재에 의해서 제거된 과도한 토너입자가 상기 용기내에서 유지되는 현상제로 복귀되도록 하는 판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는 개방 세공이 상기 현상로울러의 표면위에 나타나도록 전도성 개방-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공은 토너입자의 평균직경의 2배이하인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현상로울러의 회전중에 토너입자는 포획되고 상기 현상로울러의 세공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는 약 50°의 아스커 C- 경도를 가지고 있고, 여기서 정전잠상 운반체의 작동수명은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및 브라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부재에 의해서 규제된 현상제층 두께의 편차는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로울러를 형성하는 상기 전도성 개방-셀 발포 고무 재질은 전도성개방-셀 발포 폴리우레탄 고무재질이며, 현상된 화상의 해상도는 고레벨에서 도한 긴시간주기에 걸쳐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0. 제25항에 잇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전도성 수지 재질에 기초를 두어 그것에 의해서 규제된 현상제층을 형성한 토너입자는 정전잠상의 적절한 현상을 보장할 수 있는 전하분포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1.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한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토너입자로 구성된 일성분 현상제를 보유한 용기 ; 현상로울러의 일부가 용기로 부터 토출되고 정전잠상 운반체의 표면에 면하도록 상기 용기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현상로울러, 상기 현상로울러는 전도성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토너입자가 상기 로울러 주위에 현상제층을 형성하도록 실려지며, 그위에 형성된 정전잠상의 현상을 위해 상기 정전잠성 운반체의 표면에 운반되며 ; 그리고 상기 로울러 주위에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기 위해 블레이드부재의 에지가 회전면에 대해 선단에지로써 상기 현상로울러에 탄성적으로 그리고 접선방향으로 체결되도록 상기 용기내에 피봇적으로 제공되며, 블레이드부재의 피봇운동의 중심은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선단에지와 상기 현상로울러의 회전면 사이에 정의된 접선상에 위치되는 블레이드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는 개방 세공이 상기 현상로울러의 표면위에 나타나도록 전도성 개방-셀 발포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 세공은 토너입자의 평균직경의 2배 이하의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현상로울러의 회전중에 토너입자는 포획되고 상기 현상로울러의 개방 세공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는 약 50°의 아스커 C- 경도 바람직하게는 35°의 아스커 C- 경도를 가지고 있고, 이에따라 상기 정전잠상 운반체의 작동수명은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및 브라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이에따라 상기 블레이드부재에 의해서 규제된 현상제층 두께의 편차는 감소될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로울러를 형성하는 상기 전도성 개방-셀 발포고무재질은 전도성개방-셀 발포 폴리우레탄 고무재질이며, 이에따라 현상된 화상의 해상도는 고레벨에서 또한 긴주기에 걸쳐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전도성 수지 재질에 기초되어 그것에 의해서 규제된 현상제층을 형성한 토너입자는 정전잠상의 적절한 현상을 보장할 수 있는 전하분포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현상제층 두께의 규제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현상로울러에 탄성가압된 라운드에지 요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로울러는 개방 세공이 상기 현상로울러의 표면 위에 나타나도록 전도성 개방-셀 발포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 세공은 토너입자의 평균직경의 2배 이하의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현상로울러의 회전중에 토너입자는 포획되고 상기 현상로울러의 개방 세공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는 약 50°의 아스커 C- 경도를 가지고 있고, 이에따라 정전잠상의 운반체 작동수명은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및 브라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이에따라 상기 블레이드부재에 의해서 규제된 현상제층 두께의 편차는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로울러를 형성하는 상기 전도성 개방-셀 발포 고무 재질은 전도성개방-셀 발포 폴리우레탄 고무재질이며, 이에따라 현상된 화상의 해상도는 고레벨에서 또한 긴주기에 걸쳐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전도성 수지 재질에 기초되어 그것에 의해서 규제된 현상제층을 형성하는 토너입자는 정전잠상의 적절한 현상을 보장할 수 있는 전하분포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현상제층으로부터 상기 블레이드부재에 의해서 제거된 과도한 토너입자가 상기 용기내에서 유지되는 현상제로 복귀되도록 하는 판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4. 제43항에 잇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는 개방 세공이 상기 현상로울러의 표면위에 나타나도록 전도성 개방-셀 발포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 세공은 토너입자의 평균직경의 2배이하의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현상로울러의 회전중에 토너입자는 포획되고 상기 현상로울러의 개방 세공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는 약 50°의 아스커 C- 경도 바람직하게는 35°의 아스커 C- 경도를 가지고 있고, 이에따라 상기 정전잠상 운반체의 작동수명은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및 브라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부재에 의해서 규제된 현상제층 두께의 편차는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7.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로울러를 형성하는 상기 전도성 개방-셀 발포고무재질은 전도성개방-셀 발포 폴리우레탄 고무재질이며, 이에 따라 현상된 화상의 해상도는 고레벨에서 또한 긴주기에 걸쳐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전도성 수지 재질에 기초되어 그것에 의해서 규제된 현상제층을 형성한 토너입자는 정전잠상의 적절한 현상을 보장할 수 있는 전하분포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KR1019900003724A 1989-03-20 1990-03-20 전자사진분야에서 사용되는 현상장치 KR930010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68129A JPH02247667A (ja) 1989-03-20 1989-03-20 トナー現像装置
JP?1-068129 1989-03-20
JP1-068129 1989-03-20
JP1-087452 1989-04-06
JP1087451A JPH02264982A (ja) 1989-04-06 1989-04-06 現像装置
JP1087452A JPH02264983A (ja) 1989-04-06 1989-04-06 現像装置
JP1-087451 1989-04-06
JP?1-087452 1989-04-06
JP?1-087451 1989-04-06
JP1133354A JPH02311870A (ja) 1989-05-27 1989-05-27 一成分現像装置
JP1-133354 1989-05-27
JP?1-113354 1989-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949A KR900014949A (ko) 1990-10-25
KR930010870B1 true KR930010870B1 (ko) 1993-11-15

Family

ID=2746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724A KR930010870B1 (ko) 1989-03-20 1990-03-20 전자사진분야에서 사용되는 현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97294A (ko)
EP (1) EP0389241B1 (ko)
KR (1) KR930010870B1 (ko)
AU (1) AU626392B2 (ko)
DE (1) DE6902724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4052B2 (ja) * 1989-05-11 2000-02-28 富士通株式会社 一成分現像装置
JP3068121B2 (ja) * 1991-03-22 2000-07-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H056082A (ja) * 1991-06-28 1993-01-14 Toshiba Corp 現像装置
CA2076806C (en) * 1991-08-27 1999-01-05 Hiroshi Hashizume Developing device and method for locating a toner restricting member at a developing device
JP2848547B2 (ja) * 1991-11-06 1999-01-20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用ローラ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3103704B2 (ja) * 1992-06-02 2000-10-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現像装置
EP0590768B1 (en) * 1992-09-28 1999-03-03 Fujitsu Limited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conductive rubber roller for use therein
JPH06222659A (ja) * 1993-01-28 1994-08-12 Toshiba Corp 現像装置
US5557380A (en) * 1994-07-07 1996-09-17 Mita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develop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having limiting blade holding device
JPH08211734A (ja) * 1995-02-03 1996-08-20 Brother Ind Ltd 現像装置
JP3200325B2 (ja) * 1995-04-12 2001-08-20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
JPH0922184A (ja) * 1995-07-04 1997-01-21 Mita Ind Co Ltd 静電潜像現像装置
US6263180B1 (en) 1999-09-29 2001-07-17 Xerox Corporation Charge metering blade with polyurethane base and low surface energy coating thereon
US7013104B2 (en) * 2004-03-12 2006-03-14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regulating system having toner regulating member with metallic coating on flexible substrate
US7236729B2 (en) * 2004-07-27 2007-06-26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ophotographic toner regulating member with induced strain outside elastic response region
KR101168634B1 (ko) * 2010-08-24 2012-07-30 장동혁 화상형성장치의 독터 블레이드
WO2017020924A1 (en) 2015-07-31 2017-02-09 Hewlett-Packard Indigo B.V.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JP2018146759A (ja) * 2017-03-06 2018-09-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支持部材
JP2023157527A (ja) * 2022-04-15 2023-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用ローラ、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1969A (en) * 1969-12-18 1972-02-15 Plastic Coating Corp Toner unit for photoelectrostatic reproduction
US3743407A (en) * 1970-09-18 1973-07-03 Xerox Corp Compensating cam for use in a copying machine for synchronizing the operation between a developer applicator and an imaging surface
US3754963A (en) * 1970-12-23 1973-08-28 Ibm Surface for impression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DE2621912C3 (de) * 1976-05-17 1979-06-07 Elfotec Ag, Zumikon (Schweiz) Verfahren zur Entwicklung eines elektrischen Ladungsbildes auf einem wiederholt verwendbaren Ladungsbildträger und zur Reinigung des wiederholt verwendbaren Ladungsbildträgers
JPS53138349A (en) * 1977-05-10 1978-12-02 Ricoh Co Ltd Powder toner feeding member
US4226524A (en) * 1977-11-19 1980-10-07 Ricoh Company, Ltd. Magnetic brush development apparatus for an electrostatic copier
JPS54137346A (en) * 1978-04-18 1979-10-25 Ricoh Co Ltd Development of electrostatic latent image
JPS5577764A (en) * 1978-12-07 1980-06-11 Toshiba Corp Pressure developing device
GB2088253B (en) * 1980-11-01 1984-05-10 Ricoh Kk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apparatus
JPS57120947A (en) * 1981-01-20 1982-07-28 Canon Inc Method for development
US4478505A (en) * 1981-09-30 1984-10-23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for improved charging of flying toner
GB2114919B (en) * 1982-02-17 1986-06-25 Ricoh Kk A developing device
US4592653A (en) * 1982-03-12 1986-06-03 Ricoh Company, Ltd. Dry process developing apparatus
US4624545A (en) * 1982-10-15 1986-11-25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with regulated developer supply
GB2138565B (en) * 1983-03-25 1986-10-22 Central Electr Generat Board Apparatus for monitoring particulate matter
DE3321836A1 (de) * 1983-06-15 1984-12-2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Gekapseltes, druckgasisoliertes hochspannungsschaltgeraet
JPS60176069A (ja) * 1984-02-23 1985-09-10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現像装置
JPH0619630B2 (ja) * 1984-08-08 1994-03-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US4760422A (en) * 1985-01-16 1988-07-26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using single component toner
US4780741A (en) * 1985-02-19 1988-10-25 Kyocer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oner layer
JPS62976A (ja) * 1985-06-27 1987-01-06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07104635B2 (ja) * 1985-10-24 1995-11-1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H0731454B2 (ja) * 1985-11-19 1995-04-1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2542373B2 (ja) * 1986-02-19 1996-10-09 株式会社リコー トナ−担持体
JPH083678B2 (ja) * 1986-08-11 1996-01-17 株式会社東芝 現像装置
JP2743271B2 (ja) * 1987-02-02 1998-04-22 株式会社リコー 弾性ウレタンゴムロール
JP2528650B2 (ja) * 1987-03-16 1996-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S63231469A (ja) * 1987-03-20 1988-09-27 Oki Electric Ind Co Ltd 現像装置
JPS6437574A (en) * 1987-08-03 1989-02-08 Minolta Camera Kk Developing device
US4920916A (en) * 1988-03-16 1990-05-01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ing device
US4839688A (en) * 1988-04-25 1989-06-13 Xerox Corporation Development apparatus
EP0387096B1 (en) * 1989-03-10 1993-11-2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method
US5076201A (en) * 1989-03-16 1991-12-31 Fujitsu Limited Developing device used in electrophotographic field and method of producing developing roller incorporated therein
JP3016171B2 (ja) * 1993-04-06 2000-03-0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センターコアの移載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97294A (en) 1992-03-17
EP0389241A2 (en) 1990-09-26
EP0389241A3 (en) 1992-04-15
EP0389241B1 (en) 1996-06-05
AU626392B2 (en) 1992-07-30
AU5147390A (en) 1990-11-15
KR900014949A (ko) 1990-10-25
DE69027242D1 (de) 1996-07-11
DE69027242T2 (de) 199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0870B1 (ko) 전자사진분야에서 사용되는 현상장치
EP0388191B1 (en) Developing device used in electrophotographic field
EP0522813B1 (en) Electrophotographic recording apparatus
EP0397501B1 (en) Developing device for use in the electrophotographic field
US5220129A (en) Developing device used in electrophotographic field
US5076201A (en) Developing device used in electrophotographic field and method of producing developing roller incorporated therein
JP3444017B2 (ja) 一成分現像剤を用いる現像装置
US5164773A (en) Developing device used in electrophotographic field
US4561381A (en) Voltage-controlled developing device
KR950006228B1 (ko) 전자사진 분야에서 사용되는 현상장치
US5649197A (en) Development apparatus including nonmagnetic single-component developer guide member
US5369478A (en) Developing apparatus
EP0205178A2 (en) Developing device
US617314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supplies image bearing member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particles during development
US6466760B2 (en) Development device and development method, and image-forming device
US651943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electroconductive particles are supplied to charging means from developing device by way of image bearing member
JPH07181786A (ja) 現像装置
JP2632053B2 (ja) トナー現像装置
JPH0511589A (ja) 一成分現像剤を用いる現像装置
JPH056083A (ja) 現像装置
JPH02247667A (ja) トナー現像装置
JPH0862974A (ja) 一成分現像装置
JPH0511588A (ja) 一成分現像剤を用いる現像装置
JPH0511587A (ja) 非磁性一成分現像剤用の現像ローラおよび現像ローラへの現像剤浸透方法
JP2632053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