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225B1 - 빵제조기 - Google Patents

빵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225B1
KR930010225B1 KR1019890700194A KR897000194A KR930010225B1 KR 930010225 B1 KR930010225 B1 KR 930010225B1 KR 1019890700194 A KR1019890700194 A KR 1019890700194A KR 897000194 A KR897000194 A KR 897000194A KR 930010225 B1 KR930010225 B1 KR 93001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ainer
bread
detecting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스무 우라다
유즈루 아라오
노리오 이께다
준이찌 나카쿠키
구니오 하마다
카쯔노리 자이젠
야스히꼬 다나까
치카시 사또
Original Assignee
마쓰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4166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30582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4166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3058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81223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5068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6001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5068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8600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70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6003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5068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300746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7022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쓰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7/00Baking plants
    • A21B7/005Baking plants in combination with mixing or kn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빵제조기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제10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동 빵제조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동 빵제조기의 덮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제4도는 동 빵제조기의 사시도.
제5도는 동 빵제조기의 덮개체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제6도는 동 빵제조기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정면도.
제7도∼제10도는 동 빵제조기의 덮개체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11도∼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1도는 동 빵제조기의 블록구성도.
제12도는 동 빵제조기의 동작을 표시한 플로우차아트.
제13도∼제1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3도는 동 빵제조기의 블록구성도.
제14도는 동 빵제조기의 동작을 표시한 플로우차아트.
제15도는 동 빵제조기의 소성공정시에 있어서의 온도변화를 표시한 도면.
제16도∼제1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6도는 동 빵제조기의 블록구성도.
제17도는 동 빵제조기의 동작을 표시한 플로우차아트.
제18도는 동 빵제조기의 소성공정시에 있어서의 온도변화를 표시한 도면.
제19도∼제21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9도는 동 빵제조기의 블록구성도.
제20도는 동 빵제조기의 동작을 표시한 플로우차아트.
제21도는 동 빵제조기의 소성공정시에 있어서의 온도변화를 표시한 도면.
제22도∼제24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2도는 동 빵제조기의 블록구성도.
제23도는 동 빵제조기의 동작을 표시한 플로우차아트.
제24도는 동 빵제조기의 소성공정시에 있어서의 온도변화를 표시한 도면.
제25도는 종래예를 도시한 빵제조기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프레임
3 : 모우터 4 : 히이터
5 : 단열재 6 : 가열조
7 : 반죽날개 8 : 반죽용기
9 : 벨트 10 : 풀리
11 : 덮개체 12 : 온도센서
13 : 회로 21 : 빵제조기 본체
22 : 샤시 23 : 모우터
23a : 측 24 : 소풀리
25 : 제1의 베어링 26 : 제1의 대풀리
27 : 제1의 코넥터 28 : 제1의 벨트
29 : 제2의 베어링 30 : 제2의 대풀리
31 : 제2의 코넥터 32 : 제2의 벨트
33 : 용기고정가이드 34 : 소성실
35 : 차열판 36 : 제1의 히이터
37 : 제2의 히이터 38 : 온도검지수단(온도센서)
39 : 제1의 용기 40 : 베어링
41 : 날개측 42 : 용기코넥터
43 : 제1의 반죽날개 44 : 제2의 용기
44a : 돌기 45 : 베어링
46 : 날개측 47 : 용기 코넥터
48 : 제2의 반죽날개 49 : 고정부재
50 : 본체상부프레임 51 : 덮개체
52 : 덮개커버 53 : 내부덮개
54 : 제1의 효모용기 55 : 효모용기덮개
56 : 제2의 효모용기 57 : 효모용기덮개
58 : 스위치레버 58a : 돌출부
59 : 측 60 : 검지수단(스위치)
61 : 마이크로컴퓨터 62 : 조작부
63 : 표시램프 64 : 표시부
65 : 타이머세트커버 66 : 코오스선택커버
67 : 스타아트키이 68 : 취소키이
70 : 부스러기 받는 접시 71 : 부스러기받는 접시커버
72 : 전원플러그 73 : 개폐판
74 : 개폐판 75 : 빵제조기본체
76 : 소성실 77a, 77b : 용기
78a, 78b : 히이터 79a, 79b : 반죽날개
80a, 80b : 풀리 81 : 벨트
82 : 모우터 83a, 83b : 온도센서
84 : 온도검지수단 85a, 85b : 용기검지부
86 : 용기검지수단 87 : 제어수단
88 : 마이크로콤퓨터 89 : 모우터구동수단
90 : 히이터구동수단 91 : 빵제조기본체
92 : 소성실 93a, 93b : 용기
94a, 94b : 반죽날개 95a, 95b : 풀리
98 : 벨트 97 : 모우터
98a, 98b : 히이터 99a, 99b : 온도검지수단
100a, 100b : 온도센서 101 : 평균온도검지수단
102 : 제어수단 103 : 마이크로콤퓨터
104 : 모우터구동수단 105 : 히이터구동수단
106 : 방제조기본체 107 : 소성실
108a, 108b : 용기 109a, 109b : 반죽날개
111 : 벨트 112 : 모우터
113a, 113b : 히이터 114a, 114b : 온도검지수단
115a, 115b : 온도센서 116 : 절환수단
117 : 비교수단 118 : 설정치기억수단
119 : 제어수단 120 : 마이크로컴퓨터
121 : 모우터구동수단 122 : 히이터구동수단
123 : 빵제조기본체 124 : 소성실
125a, 125b : 용기 126a, 126b : 반죽날개
127a, 127b : 풀리 128 : 벨트
129 : 모우터 130a, 130b : 히이터
131a, 131b : 온도검지수단 132a, 132b : 온도센서
133 : 절환수단 134 : 비교수단
135 : 설정치기억수단 136 : 제어수단
137 : 마이크로콤퓨터 138 : 모우터구동수단
139 : 히이터구동수단 140 : 빵제조기본체
141 : 소성실 142a, 142b : 용기
143a, 143b : 히이터 144a, 144b : 반죽날개
145a, 145b : 풀리 146 : 벨트
147 : 모우터 148a, 148b : 온도센서
149a, 149b : 온도검지수단 150 : 제어수단
151a, 151b : 온도상승률검지수단 152 : 모우터구동수단
153 : 히이터구동수단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가정에서 밀가루등의 빵재료를 투입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빵을 구울 수 있는 빵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빵만들기를 행하는 경우, 반죽기, 발효기, 눌려펴는 막대, 오븐등의 기기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것들에 있어서는, 온도와 시간의 관리가 매우 어렵고, 계절에 관계없이 맛있는 금방구운 빵을 만들려면 상당한 숙련이 필요하였다. 이들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25도에 도시한 반죽기능, 오븐기능을 단품내(單品內)에 수납한 구성의 빵제조기가 고안되고 있다.
제25도에 도시한 것은, 본체(1)의 내부에 프레임(2)를 설치하고, 이 프레임(2)에는 모우터(3)에 고정되는 동시에, 히이터(4)와 단열재(5)를 바깥쪽에 장비한 가열조(6)이 고정되고, 또한 가열조(6)내에는 반죽날개(7)을 가진 반죽용기(8)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리고 벨트(9)와 풀리(10)에 의해서 반죽날개(7)가 감속 구동된다. 또, 가열조(6)의 상부는 덮개체(11)로 덮혀지고, 또한 온도센서(12)는 가열조(6)의 바깥쪽면에 고정되어 있다. (13)은 타이머, 온도조절, 전력조절용의 회로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반죽용기(8)에 빵재료를 투입하고, 타이머를 세트하면, 소정시간에 운전이 시작되고, 타이머와 온도조정에 의해 각 공정을 자동적으로 행하고, 소정시간 경화후에 빵이 다구워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 종래의 빵제조기에서는, 반죽용기(8)가 1개밖에 없기 때문에, 1개의 식빵밖에 구울수가 없고, 이 경우, 소인원수의 가정에 있어서는, 특별히 문제는 없으나, 대가족의 가정에 있어서는, 1개의 식빵으로는 부족하다고 하는 불편이 발생하는 것이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빵제조기는,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빵재료를 수납하는 복수개의 용기와, 이 복수개의 용기를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수납하는 소성실과, 상기 각 용기내의 빵재료를 반죽하기 위하여, 상기 각 용기의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반죽수단과, 각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반죽수단, 가열수단을 제어하여 반죽공정, 발효공정, 소성공정등의 빵제조공정을 진행시키는 제어수단과, 상기 용기의 외곽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지수단을 가지고, 상기 온도검지수단의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제어 수단이 반죽수단, 가열수단을 제어하므로서, 1개의 빵 또는 복수개의 빵을 제조가능하게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빵재료를 수납하는 복수개의 용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대가족의 가정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빵을 만들고 싶은 경우는, 복수개의 용기에 각각 빵재료를 넣으므로서, 2개 이상의 빵을 동시에 구울수 있는 것은 물론, 대가족의 가정 혹은 소인원수의 가정에 있어서 1개의 빵을 굽고 싶은 경우에 있어서도, 복수개의 용기의 어느 1개에 빵재료를 넣으므로서, 간단히 구울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의 최선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1도∼제10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21)은 빵제조기 본체, (22)는 본체(21)내에 설치된 샤시이며, 이 샤시(22)에는 모우터(23)이 고정되고, 또한 이 모우터(23)의 축(23a)에는 소풀리(24)가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샤시(22)에는, 제1의 베어링(25)를 개재해서 제1의 대풀리(26)이 축받침되고, 또한 이 제1의 대풀리(26)과 반대쪽의 축끝에는 제1의 코넥터(27)이 장착되고, 제1의 벨트(28)을 개재해서 상기 소풀리(24)와 제1의 대풀리(26)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또 상기 샤시(22)에는, 제2의 베어링(29)를 개재해서 제2의 대풀리(30)이 축받침되고, 또한 이 제2의 대풀리(30)과 반대쪽의 축 끝에는 제2의 코넥터(31)이 장착되고, 제2의 벨트(32)를 개재해서 상기 소풀리(24)와 제2의 대풀리(30)이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샤시(22)에는, 용기 고정가이드(33), 소성실(34) 및 이 소성실(34)의 주위를 덮는 차열판(35)가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소성실(34)내에는 제1의 히이터(36)과 제2의 히이터(37)이 고정되는 동시에, 제2의 히이터(37)에 근접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온도검지수단(38)이 고정되어 있다. (39)는 소성실(34)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의 용기로서, 이 제1의 용기(39)는 저부에 베어링(40)을 개재해서 날개축(41)을 가지고 있으며, 이 날개축(451)의 한쪽에는 용기 코넥터(42)를 고정하고, 이 용기코넥터(42)를 제1의 용기(39)의 장착시에 제1의 모넥터(27)에 끼워맞춤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또 날개축(41)의 다른 쪽은 제1의 용기(39)내에 돌출시키고, 이 돌출한 날개축(41)의 다른쪽에 제1의 반죽날개(43)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44)는 소성실(34)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의 용기로서, 이 제2의 용기(44)는 베어링(45)를 개재해서 날개축(46)을 가지고 있으며, 이 날개축(46)의 한쪽에는 용기 코넥터(47)을 고정하고, 이 용기 코넥터(47)을 제2의 용기(44)의 장착시에 제2의 코넥터(31)에 끼워맞춤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또 날개축(46)의 다른쪽은 제2의 용기(44)내에 돌출시키고, 이 돌출한 날개축(46)의 다른쪽에 제2의 반죽날개(48)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온도검지수단(38)은 제2의 용기(44)를 소성실(34)내에 장착하였을 때, 제2의 용기(44)의 바깥쪽면에 접촉하여 제2의 용기(44)의 온도, 즉 반죽의 온도를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소성실(34)는 상부를 고정부재(49)에 고정하고, 또 본체상부프레임(50)을 고정부재(49)에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1)은 본체상부프레임(50)과 고정되는 동시에, 샤시(22)와도 고정되어 있다.
(51)은 본체상부프레임(50)의 위쪽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덮개체로서, 이 덮개체(51)에는 덮개커버(52)와 내부덮개(53)이 설치되어 있다. (54)는 제1의 용기(39)의 위쪽에 위치하여 내부덮개(53)에 고정한 제1의 효모용기로서, 이 제1의 효모용기(54)의 상부는 상기 덮개체(51)의 상면에 노출시키고, 또한 이 제1의 효모용기(54)의 상부개구는 개폐가능한 효모용기덮개(55)로 덮혀져 있다. (56)는 제2의 용기(44)의 위쪽에 위치하여 내부덮개(53)에 고정된 제2의 효모 용기로서, 이 제2의 효모용기(56)의 상부도 상기 덮개체(51)의 상면에 노출시키고, 또한 이 제2의 효모용기(56)의 상부개구는 개폐가능한 효모용기덮개(57)로 덮혀저 있다.
(58)은 상기 샤시(22)에 축(59)를 중심으로하여 회전운동가능하게 축받침된 스위치 레버로서, 이 스위치 레버(58)은, 일단부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제2의 용기(44)의 일부가 접촉하는 돌출부(58a)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2의 용기(44)가 소성실(34)내에 세트되면, 상기 돌출부(58a)는 제2의 용기(44)에 의해 눌려져서 밑으로 움직이게 되고, 그 결과, 스위치레버(58)의 타단부는 위로 움직여서 샤시(22)에 장착한 스위치로 이루어진 검지수단(60)을 온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스위치로 이루어진 검지수단(60)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죽, 숙성, 효모투입, 반죽, 1차발효, 가스빼기, 2차발효, 가스빼기, 3차발효, 가스빼기, 정형발효, 소성, 증기빼기의 각 공정을 프로그램제어하는 마이크로콤퓨터(61)의 입력신호가 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 스위치로 이루어진 검지수단(60)이 온되어서 비로서, 마이크로콤퓨터(61)은 프로그램동작을 개시하는 것이다.
제4도∼제8도에 있어서, (62)는 상기 빵제조기본체(21)의 상단부에 장착한 본체상부프레임(50)에 설치된 조작부로서, 이 조작부(62)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머」「조리중」「완성」의 표시를 행하는 발광다이오우드로 이루어진 표시램프(63)과, 각종 표시부(64)와, 타이머를 세트할때에 누르게되는 타이머세트키이(65)와, 구워내기(엷게), 발효, 구워내기(단축)의 코오스를 선택할 때 누르게 되는 코오스선택키이(66)과, 조리, 타이머를 개시시킬때에 누르게 또는 스타아트 키이(67)와, 키이를 틀리게 눌렀을때나, 타이머세트, 조리를 취소할때에 누르게되는 취소키이(68)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소인원수의 가정에 있어서, 1개의 식빵을 구울 경우는, 제2의 용기(44)내에 제2의 반죽날개(48)을 장착하는 동시에, 효모이외의 재료, 즉, 밀가루, 설탕, 탈지분유, 소금, 버터, 물등의 빵재료를 넣고, 그리고 이 제2의 용기(44)를 소성실(34)내에 세트한다. 이 경우, 제2의 용기(44)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덮개(53)의
Figure kpo00001
마아크쪽에 세트하고, 한편,
Figure kpo00002
마아크쪽의 제1의 용기(39)는 소성실(34)내로부터 꺼내놓고, 그리고
Figure kpo00003
마아크쪽의 소성실(34)내에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스러기받는 접시(70)의 개구부에 부스러기받는 접시커버(71)을 씌워둔다. 다음에 덮개체(51)을 닫고, 1개 굽는쪽의 제2의 효모용기(56)에 소정량의 효모를 넣는다. 그후, 제5도에 도시한 전원플러그(72)를 가정용의 콘센트에 꽂아넣는다. 이 상태에서 스타아트키이(67)을 누른다. 이 경우, 표준타이프의 구워내기 코오스에서 바로 굽고 싶을때는, 스타아트키이(67)만을 누르면, 표시부(64)에 완성될때까지의 시간(4시간)이 표시되고 즉시 운전이 개시된다.
또 구운색이 엷은 구워내기(엷음)코오스에서 즉시 굽고싶을때에는, 코오스선택키이(66)을 눌러서 표시부(64)에 구워내기(엷음)을 표시시키고, 스타아트키이(67)을 누르면, 표시부(64)에서 완성될때까지의 시간(4시간)이 표시되고, 즉시 운전이 개시된다.
그리고 또 급히 구워내기 위하여 구워내기(단축)코오스를 사용할때는, 코오스 선택키이(66)을 눌러서 표시부(64)에 구워내기(단축)을 표시시키고, 스타아트키이(67)을 누르면, 표시부(64)에서 완성까지의 시간(2시간 45분)이 표시되고, 즉 운전이 개시된다.
또한, 타이머는 「구워내기(단축)」코오스(2시간 45분)과, 「발효까지」의 코오스(1시간 55분)는 사용할 수 없고, 기타의 코오스, 즉「구워내기」코오스와 「구워내기(엷게)」코오스는 사용할 수 있으며, 이 타이머를 사용할때는, 예를 들면, 지금 시각이 밤 9 : 00이고, 내일아침 7 : 00에 구어내고 싶을 때, 타이머의 표시부(64)에는 시간의 차, 즉 10시간을 표시부(64)에 표시하게 한다. 이 시간의 세트는 타이머세트키이(65)를 눌러서 행한다. 이 상태에서 스타아트키이(67)을 누르면, 타이머가 개시되어서 애벌반죽이 개시되며, 그리고 세트된 시간경과후, 즉 10시간후에 빵이 다구워져 완성되는 것이다.
빵제조의 공정은, 표준(4시간)코오스의 경우는, 먼저 애벌반죽이 행하여지고, 그리고 일정한 숙성 시간을 둔후, 건성효모가 용기내에 자동적으로 투입되고, 재차 반죽을 행한 후, 발효공정으로 들어간다. 이 발효공정에 들어가면, 어떤주기로 반죽을 수반하는 가스빼기가 행하여지며, 1차발효, 2차발효, 3차발효, 정형발효로 진행되고, 이어서 소성공정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소성공정이 끝나면, 송풍용 모우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팬(모두 도시생략)이 일정시간 구동되어서 소성실(34)의 강제환기가 이루어지고, 증기빼기 공정을 완료한다.
앞에서 설명한 소인수의 가정에 있어서, 1개의 식빵을 구울 경우는, 제2의 용기(44)를 소성실(34)내에 세트하고, 또한 1개 굽는쪽의 제2의 효모용기(56)에 소정량의 효모를 넣은 상태에서, 빵의 완성시간을 입력하고, 스타아트키이(67)을 눌러서 개시 시킨다. 그러면, 즉시 모우터(23)의 운전이 시작되어서 소풀리(24)가 회전하고, 제2의 벨트(32)를 개재해서 제2의 대풀리(30) 및 제2의 코넥터(31)을 회전시킨다. 이 제2의 코넥터(31)은 용기 코넥터(47)에 동력전달을 행하여 제2의 용기(44)내의 제2의 반죽날개(48)을 회전시켜, 빵재료를 반죽한다. 그리고 소정시간(숙성공정)이 경과하면, 제2의 효모용기(56)의 하부개구를 폐색하고 있는 개폐판(74)가 열려서, 제2의 효모용기(56)내에 들어가 있는 효모가 제2의 용기(44)내에 투입된다. 그리고 이 제2의 용기(44)내에 투입된 효모는, 다른 빵재료와 함께 재차 소정시간 반죽된후, 제어장치의 프로세스제어에 의거하여,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온도검지수단(38)로부터의 온도정보를 입력하면서, 제2의 히이터(37)로 제2의 용기(44)의 온도를 조정하고, 그리고 1차발효, 가스빼기, 2차발효, 가스빼기, 3차발효, 가스빼기 정형발효, 소성의 각 공정을 자동적으로 행하여 설정한 시간에 빵이 구워저 완성되는 것이다.
또, 대가족의 가정에 있어서, 2개의 식빵을 동시에 구울경우는, 제1의 용기(39)내에 제1의 반죽날개(43)을 장착하는 동시에, 효모이외의 재료, 즉, 밀가루, 설탕 탈지분유, 소금, 버터, 물의 빵재료를 넣고, 그리고 이 제1의 용기(39)를 소성실(34)내에 세트한다. 그리고, 제2의 용기(44)내에도 제2의 반죽날개(48)을 장착하는 동시에, 효모이외의 재료, 즉, 밀가루, 설탕, 탈지분유, 소금, 버터, 물등의 빵재료를 넣고, 그리고 이 제2의 용기(44)를 소성실(34)내에 세트한다. 이 세트가 끝나면 덮개체(51)을 닫는다. 다음에, 제1의 효모용기(54)와 제2의 효모용기(58)에 각각 소정량의 효모를 넣는다. 이 상태에서, 빵의 완성 시간을 입력하고, 스타아트키이(67)을 눌러서 개시시킨다. 그러면, 곧 모우터(23)의 운전이 시작되어서 소풀리(24)가 회전하여, 제1의 벨트(28)을 개재해서 제1의 대풀리(26) 제1의 코넥터(27)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제2의 벨트(32)를 개재해서 제2의 대풀리(30) 및 제2의 코넥터(31)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1의 코넥터(27)은 용기 코넥터(42)에 동력전달을 행하여 제1의 용기(39)내의 제1의 반죽날개(43)을 회전시켜서 빵재료를 반죽하는 동시에, 제2의 코넥터(31)이 용기 코넥터(47)에 동력전달을 행하여 제2의 용기(44)내의 제2의 반죽날개(48)을 회전시켜서 빵재료를 반죽한다. 그리고 소정시간(숙성 공정)이 경과하면, 제1의 효모용기(54) 및 제2의 효모용기(56)의 하부개구를 폐색하고 있는 개폐판(73), (74)가 열려저서, 제1이 효모용기(54) 및 제2의 효모용기(56)내에 들어가 있는 효모가 제1의 소성케이스(39) 및 제2의 용기(44)내에 투입된다.
그리고 제1의 용기(39) 및 제2의 용기(44)내에 투입된 효모는, 다른 빵재료와 함께 재차 소정시간 반죽된후, 제어장치의 프로세스 제어에 의거하여,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온도검지수단(38)로부터의 온도정보를 입력하면서, 제2의 히이터(37)로 제2의 용기(44)의 온도를 조정하고, 그리고 1차발효, 가스빼기, 2차발효, 가스빼기, 3차발효, 가스빽, 정형발효, 소성의 각 공정을 자동적으로 행하여 설정된 시간에 빵이 구워져 완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온도검지수단(38)은 제2의 용기(44)의 온도만을 검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제1의 용기(39)쪽도 이 온도검지에 의거하여 간주(看做)제어되도록 되어있다.
또 제2의 용기(44)가 소서실(34)내에 세트되었을 경우는, 제2의 용기(44)의 외저부에 형성한 돌기(44a)가 스위치레버(58)의 일단돌출부(58a)를 아래쪽으로 움직이게하기 때문에, 스위치레버(58)은 축(59)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스위치레버(58)의 타단부에 의해 스위치로 이루어진 검지수단(60)을 닫도록 해서 온시킨다. 이 스위치로 이루어진 검지수단(60)의 온에 의해, 마이크로콤퓨터(61)에는 스위치로 이루어진 검지수단(60)의 온신호가 입력되어서 마이크로콤퓨터(61)은 소정의 프로그램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제2의 용기(44)가 소성실(34)내에 세트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스위치로 이루어진 검지수단(60)은 온이되는 일 없이, 오프상태 그대로이기 때문에, 마이크로콤퓨터(61)에는 스위치로 이루어진 검지수단(60)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그 결과, 마이크로콤퓨터(61)은 소정의 프로그램동작을 행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온도검지수단(38)에 의해 온도검지되는 제2의 용기(44)의 유무를 검지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 검지수단(60)을 설치하고, 이 검지수단(60)에 의해, 상기 제2의 용기(44)가 없는 경우는, 프로그램의 동작을 행하지 않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2의 용기(44)가 세트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프로그램동작이 그대로 진행되어 버리는 것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11도∼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1도에 있어서, (75)는 빵제조기본체이며, 이 본체(75)내에 소성실(76)을 형성하고, 이 소성실(76)내에는 2개의 용기(77a), (77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용기(72a), (77b)의 아래쪽에는 가열수단이 히이터(78a), (78b)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용기(77a), (77b)의 내지부에는 투입된 빵재료를 반죽하기 위한 반죽날개(79a), (79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풀리(80a), (80b) 및 벨트(81)을 개재해서 모우터(82)의 회전력이 반죽날개(79a), (79b)에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특징은 용기(77a), (77b)의 온도를 각각검지하기 위하여 온도센서(83a), (83b)를 설치하고, 이 온도센서(83a), (83b)를 온도검지수단(84)에 접속하고 있다. 또, 용기(77a), (77b)를 소성실(76)내에 세트하면 동작하는 용기검지부(85a), (85b)를 용기검지수단(86)에 접속시키고 있다.
용기검지부(85a), (85b)는, 용기(77a), (77b)를 세트하면 온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나, 광에 의해(77a), (77b)의 유무를 검지하는 포토트랜지스터등을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용기검지수단(89)은 용기검지부(85a), (85b)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세트된 쪽의 온도센서(83a) 혹은 (83b)로부터의 온도신호를 온도검지수단(84)로부터 제어수단(87)로 출력하도록, 온도검지수단(84)의 온도신호를 절환하고 있다. 상기 제어수단(87) 및 용기검지수단(86)은 마이크로콤퓨터(8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87)은 모우터구동수단(89)와 히이터 구동수단(90)을 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마이크로콤퓨터(88)의 제어순서를 제12도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운전을 개시하면, 용기검지수단(86)이 용기(77a)가 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A). 이 경우, 용기(77a)가 세트되어 있으면, 스텝 B에서 온도센서(83a)쪽의 온도신호입력으로 절환한다. 또, 스텝 A에서 용기(77a)가 세트되어 있지않다고 판정되면, 스텝 C에서 용기(77b)가 세트되어 있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용기(77b)가 세트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스텝 D에서 온도센서(78b)쪽의 온도신호입력으로 절환한다. 스텝 C에서 용기(77b)가 세트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소성실(78)내에 용기(77a), (77b) 다같이 전혀 세트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해서, 스텝 E에서 이상경보를 행하는 동시에, 운전정지상태로 한다.
스텝 B 혹은 D에서 입력온도신호를 결정한후, 제어수단(87)은 그 온도신호를 입력하고(스텝 F), 그 온도신호에 의거하여 반죽공정, 발효공정, 소성공정(스텝 G∼I)을 제어한다. 또한, 스텝 A에서 용기(77a)가 세트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온도센서(83a)쪽으로 절환해버리나, 이 경우, 용기(77b)가 세트되어 있어도 용기(77a)쪽의 온도정보에 의해 용기(77b)쪽을 간주운전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성실(76)내에 적어도 1개의 용기를 세트하면, 용기검지수단(86)이 그 세트한 용기를 검지하고, 그 용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제어수단(87)의 입력신호로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세트된 용기의 온도에 의해서 제어수단(87)이 각 공정을 제어하게 되며, 그 결과, 빵의 구이완성상태를 사용형태에 관계없이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3도∼제15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3도에 있어서, (91)은 빵제조기본체이며, 이 본체(91)내에 소성실(92)를 형성하고, 이 소성실(92)내에는 2개의 용기(93a), (93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용기(93a), (93b) 의 내저부에는, 투입된 빵재료를 반죽하기 위한 반죽날개(94a), (94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풀리(95a), (95b) 및 벨트(96)을 개재해서 모우터(97)의 회전력이 반죽날개(94a), (94b)에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 용기(93a), (93b)의 아래쪽에는 가열수단인 히이터(98a), (98b)가 설치되어 있다.
(99a), (99b)는, 용기(93a), (93b)에 접촉한 온도센서(100a), (100b)가 접속되는 온도검지수단이며, 이 온도검지수단(99a), (99b)의 온도신호는 평균온도검지수단(101)에 출력되어 있다. 이 평균온도검지수단(101)은 온도검지수단(99a), (99b)로부터의 온도신호의 평균치를 연산하고, 제어수단(102)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수단(102)는 평균온도검지수단(101)로부터의 평균온도신호에 의거해서, 소성공정에 있어서의 히이터(98a), (98b)의 가열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수단(102), 평균온도검지수단(101)은 마이크로컴퓨터(10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02)는 모우터구동수단(104)와 히이터구동수단(105)를 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마이크로컴퓨터(103)의 제어순서를 제14도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운전을 개시하면, 스텝 A, B에서 반죽공정, 발효공정을 실행한다. 발효공정이 종료되면 히이터(98a), (98b)에 통전을 개시하고, 용기(93a), (93b)를 가열하는 소성공정으로 이행한다. 이 소성공정에 있어서, 먼저, 스텝 C에서 용기(93a), (93b)의 온도를 온도검지수단(99a), (99b)에 의해 입력하고, 스텝 D에서 평균 온도검지수단(101)이 평균온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평균온도가 설정치에 도달할때까지 히이터(98a), (98b)를 온하고(스텝 F). 설정치에 도달하면 히이터(98a), (98b)를 오프하고(스텝 G), 상기 동작을 소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반복하여(스텝 H), 운전을 종료한다.
상기 소성공정에 있어서의 각 용기(93a), (93b)의 온도변화를 제15도에 의해 설명한다. 도면중 곡선 A는 소량의 빵재료를 투입한 용기의 온도변화를 표시하고, 곡선 B는 정격량의 빵재료를 투입한 용기의 온도변화를 표시하고 있다. 또, 곡선 C는 곡선 A, B의 평균치를 표시하고 있다. 소성공정으로 이행하면 히이터(98a), (98b)에 통전을 시작하기 때문에, 용기의 온도는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곡선 C가 설정온도 Ta에 도달하면, 곡선 C의 온도가 설정치 Ta로 유지되도록 제어수단(102)는 히이터(98a), (98b)를 제어한다. 즉, 평균 빵구이온도에 적합한 설정치 Ta에 도달할때까지 히이터(98a), (98b)에 통전하고, 그 온도 Ta에 도달한 시점 ta에서 히이터(98a), (98b)의 통전은 온·오프하여, 빵구이온도 Ta를 유지한다. 한편, 용량이 많은 용기의 온도는 곡선 B와 같이 상승하고, ta 시점에서 히이터(98a), (98b)의 가열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온도 상승률은 더욱 저하여, 최종적으로는 빵구이온도 Ta에 도달한다. 또, 용량이 적은 용기의 온도는 히이터(98a), (98b)설정치 Ta가, 되도록 가열량이 제어되기 때문에, 곡선 A와 같이 ta시점에서 하강하기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빵구이온도 Ta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성공정에 있어서, 빵재료의 양이 다른복수개의 용기(93a), (93b)의 각 온도를 검지수단(99a), (99b)에 의해 검지하고, 그 검지한 온도의 평균치에 의거해서 가열수단인 히이터(98a), (98b)를 제어하기 때문에, 빵의 지나친 구이 혹은 설구이를 방지할 수 있다. 제16도∼제18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6도에 있어서, (106)은 빵제조기본체이며, 이 본체(106)내에 소성실(107)을 형성하고, 이 소성실(107)내에는 2개의 용기(108a), (108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용기(108a), (108b)의 내저부에는, 투입된 빵재료를 반죽하기 위한 반죽날개(109a), (109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풀리(110a), (110b) 및 벨트(111)을 개재해서 모우터(112)의 회전력이 반죽날개(109a), (109b)에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 용기(108a), (108b)의 아래쪽에는 가열수단인 히이터(113a), (113b)가 설치되어 있다.
(114a), (114b)는, 용기(108a), (108b)에 접촉한 온도센서(115a), (115b)가 접속되는 온도검지수단으로서, 이 온도검지수단(114a), (114b)의 온도신호는 절환수단(116) 및 비교수단(117)에 출력되고 있다. 비교수단(117)은 설정치기억수단(118)로부터의 설정온도치와 온도검지수단(114a), (114b)로부터의 온도신호를 비교하여, 가장 늦게 설정온도치에 도달하는 온도검지수단(114a) 혹은 (114b)를 판정한다. 이 판정결과에 의거해서 절환수단(116)은 온도검지수단(114a) 혹은 (114b)로부터의 온도신호를 절환하여, 제어수단(119)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수단(116)으로부터의 온도신호에 의거해서, 소성공정에서의 히이터(113a), (113b)의 가열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수단(119), 절환수단(116), 비교수단(117) 및 설정치기억수단(118)은 마이크로콤퓨터(1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19)는 모우터구동수단(121)과 히이터구동수단(122)를 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마이크로콤퓨터(120)의 제어순서를 제17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운전을 개시하면, 스텝 A, B에서 반죽공정, 발효공정을 실행하다. 발효공정이 종료하면 스텝 C에서 T=0인 초기설정을 행하는 동시에, 히이터(113a), (113b)에 통전을 개시하여, 용기(108a), (108b)를 가열하는 소성공정으로 이행한다. 이 소성공정에 있으면, 먼저, 스텝 D에서 용기(108a)의 온도가 설정치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설정치이하면 스텝 E에서 T=0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T가 1이상이면 스텝 F에서 온도검지수단(114a) 쪽의 온도신호입력을 행한다. 또, 스텝 D에서 설정치에 도달하고 있으면 스텝 G에서 용기(108b)가 설정치이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설정치이하라면 스텝 H에서 온도검주지수단(114b)쪽의 온도신호입력을 행하고, 설정치에 도달하고 있으면 스텝 I에서 T의 내용에 1을 가산한 다음 스텝 D로 되돌아가, 상기 내용을 반복한다. 이 판정에 의해 어느 온도검지수단(114a), (114b)이 가장늦게 설정치에 도달하는 것인지를 결정하고 있다. 그리고, 온도검지수단(114a), (114b)의 절환이 결정되면, 즉, 늦게 설정치에 도달한 온도신호의 입력을 행하면, 제어수단(119)는 스텝 J에서 그 입력되는 온도신호에 의거해서 히이터(113a), (113b)의 통전을 제어한다. 그리고, 스텝 K에서 소정시간 경과하면 운전을 종료한다.
상기 소성공정에 있어서의 각 용기(108a), (108b)의 온도변화를 제18도에 의해 설명한다. 도면중의 곡선 A는 소량의 빵재료를 투입한 용기의 온도변화를 표시하고, 곡선 B는 정격량의 빵재료를 투입한 용기의 온도변화를 표시하고 있다. 소성공정으로 이행되면 히이터(113a), (113b)에 통전을 시작하기 때문에, 용기의 온도는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설정온도 Tb에 도달하는 것이 늦은 어느 한쪽의 용기(이 경우는 정격량의 용기)가 도달하면, 곡선 B의 온도가 되도록 제어수단(119)는 히이터(113a), (113b)를 제어한다. 즉, 빵구이온도 Ta(Ta>Tb)에 도달할때까지 히이터(113a), (113b)에 통전하고, 그 온도 Ta에 도달한 시점 ta에서 히이터(113a), (113b)의 통전을 온·오프하여, 빵구이온도 Ta를 유지한다. 한편, 용량이 적은 용기의 온도는 곡선 A와 같이 상승하고, ta시점에서 히이터(113a), (113b)의 가열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빵구이온도 Ta로까지 온도가 저하하고, 최종적으로는 빵구이온도 Ta에 도달한다. 이 경우, ta시점에서 히이터(113a), (113b)를 온·오프제어하고 있으나, 정격용량의 용기쪽의 히이터(113a) 혹은 (113b)를 제어하고, 소량의 용기쪽의 히이터(113a) 혹는 (113b)의 통전을 정지하면, 소용량의 용기쪽에 전달되는 열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소용량의 용기의 이상온도상승를 방지할 수 있어, 2개의 용기 (108a), (108b)의 빵구 이완성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서는 니교수단(117)에 있어서 온도신호를 입력해서 용기의 온도상승이 늦은 것을 판정하고 있었으나, 예를 들면, 온도상승률을 검지하여, 온도상승률의 낮은 것이 용기의 온도상승이 늦은 것이라고 판정해도 되며, 요컨대, 온도상승이 늦은 것을 검지할 수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빵재료의 양이 다른 복수개의 용기(108a), (108b)의 각 온도를 온도검지수단(114a), (114b)에 의해 검지하고, 그 검지한 온도중 가장 늦게 설정치에 도달하는 온도신호, 즉, 가장 재료가 많은 용기의 온도신호에 의거해서 가열수단을 제어하기 때문에, 빵이 설구워진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9도∼제21도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9도에 있어서, (123)는 빵제조기 본체이며, 이 온체(123)내에 소성실(124)를 형성하고, 이 소성실(123)내에는 2개의 용기(125a), (125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용기(125a), (125b)의 내저부에는, 투입된 빵재료를 반죽하기 위한 반죽날개(126a), (126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풀리(127a), (127b) 및 벨트(128)을 개재해서 모우터(129)의 회전력이 반죽날개(126a), (126b)에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 용기(125a), (125b)의 아래쪽에는 가열수단인 히이터(130a), (130b)가 설치되어 있다.
(131a), (131b)는, 용기(125a), (125b)에 접촉한 온도센서(132a), (132b)가 접속되는 온도검지수단이며, 이 온도검지수단(131a), (131b)의 온도신호는 절환수단(133) 및 비교수단(134)에 출력되고 있다. 비교수단(134)는 설정치기억수단(135)로부터의 설저온도치와 온도검지수단(131a), (131b)로부터의 온도신호를 비교하여, 빨리 설정온도치에 도달하는 온도검지수단(131a) 혹은 (131b)를 판정한다. 이 판정결과에 의거해서 절환수단(133)은 온도검지수단(131a) 혹는 (131b)로부터의 온도신호를 절환하여, 제어수단(136)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수단(136)은 절환수단(133)으로부터의 온도신호에 절환하여, 소성공정에서의 히이터(130a), (130b)의 가열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수단(136), 절환수단(133) 비교수단(134) 및 설정치기억수단(135)는 마이크로컴퓨터(13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36)은 모우터 구동수단(138)과 히이터구동수단(139)를 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마이크로콤퓨터(137)의 제어순서를 제20도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운전을 개시하면, 스텝 A, B에서 반죽공정, 발효공정을 실행한다. 발효공정이 종료되면 히이터(130a), (130b)에 통전을 개시하여, 용기(125a), (125b)를 가열하는 소성공정으로 이행한다. 이 소성공정에 잇어서, 먼저, 스텝 C에서 용기(125a)의 온도가 설정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도달되어 있으면 스텝 F에서 온도검지수단(131a)쪽의 온도신호입력을 행한다 .또 스텝 C에서 설정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 D에서 용기(125b)가 설정치에 도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도달하고 있으면 스텝 E에서 온도검지수단(131b)쪽의 온도신호 입력을 행하고, 설정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 C로 되돌아가, 상기 내용을 반복한다. 그리고, 온도검지수단(131a), (131b)의 절환이 결정되면, 즉, 빨리 설정치에 도달한 온도신호의 입력을 행하면, 제어수단(136)은 스텝 G에서 그 입력하는 온도신호에 의거하여 히이터(130a), (130b)의 통전을 제어한다. 그리고, 스텝 H에서 소정시간경과하면 운전을 종료한다.
상기 소성공정에서의 각 용기(125a), (125b)의 온도변화를 제21도에 의해 설명한다. 도면중의 곡선 A는 소량의 빵재료를 투입한 용기의 온도변화를 표시하고, 곡선 B는 정격량의 빵재료를 투입한 용기의 온도변화를 표시하고 있다. 소성공정으로 이행하면 히이터(130a), (130b)에 통전을 시작하기 때문에, 용기의 온도는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설정온도 Tb에 어느한쪽의 용기(이 경우는 소량의 용기)가 도달하면, 곡선 A의 온도가 되도록 제어수단(136)은 히이터(130a), (130b)를 제어한다. 즉, 빵구이온도 Ta(Ta>Tb)에 도달할 때 까지 히이터(130a), (130b)에 통전하고 그 온도 Ta에 도달한 시점 ta에서 히이터(130a), (130b)의 통전을 온·오프하여, 빵구이온도 Ta를 유지한다. 한편, 용량이 많은 용기의 온도는 곡선 B와 같이 상승하고, ta시점에서 히이터(130a), (130b)의 가열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온도상승률은 더욱 저하여, 최종적으로는 빵구이온도 Ta에 도달한다. 이 경우, ta시점에서 히이터(130a), (130b)를 온·오프제어하고 있으나, 정격용량의 용기쪽의 히이터(130a) 혹는 (130b)를 제어하고, 소량의 용기쪽의 히이터(130a) 혹은 (130b)의 통전을 정지하면, 정격용량의 용기쪽으로 전달되는 열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정격용량의 용기의 온도상승률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2개의 빵구이완성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수단(134)에 있어서 온도신호를 입력하여 용기의 온도상승이 빠른 것을 판정하고 있었으나, 예를 들면, 온도상승률을 검지하고, 온도 상승률이 높은 것이 용기의 온도상승이 빠른것이라고 판정해도 되며, 요컨대 온도 상승이 빠른 것을 검지할 수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제5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빵재료의 양이 다른 복수개의 용기(125a), (125b)의 각 온도를 온도검지수단(131a), (131b)에 의해 검지하고, 그 검지한 온도중 가장 빨리 설정치에 도달하는 온도신호, 즉, 가장 빨재료가 적은 용기의 온도신호에 의거해서 가열수단을 제어하기 때문에, 빵의 지나친 구이를 방지할 수 있다.
제22도∼제24도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2도에 있어서, (140)은 빵제조기본체이며, 이 본체(140)내에 소성실(141)을 형성하고, 이 소성실(141)내에는 2개의 용기(142a), (142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용기(142a), (142b)의 아래쪽에는 가열수단인 히이터(143a), (143b)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용기(142a), (142b)의 내저부에는 투입된 빵재료를 반죽하기 위한 반족날개(144a), (144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풀리(145a), (145b) 및 벨트(146)을 개재해서 모우터(147)의 회전력이 반죽날개(144a), (144b)에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의 특징은 용기(142a), (142b)의 온도를 각각 검지하기 위하여 온도센서(148a), (148b)를 설치하고, 이 온도센서(148a), (148b)를 온도검지수단(149a), (149b)에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온도검지수단(149a), (149b)의 검지신호는 제어수단(150)에 출력되는 동시에, 온도상승률 검지수단(151a), (151b)으로 출력된다.
온도상승률 검지수단(151a), (151b)는 용기(142a), (142b)의 온도상승률을 검지하여, 제어수단(150)에 출력하고 있다. 제어수단(150)는 용기(142a), (142b)의 온도정보 및 온도상승정보에 의거해서 모우터구동수단(152) 및 히이터구동수단(153)를 제어한다.
다음에 상기 제어수단(150)의 제어수순서를 제23도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운전을 개시하면, 스텝 A에서 온도검지수단(149a), (149b)로부 터 온도신호를 입력하고, 반죽공정(스텝 B), 발효공정(스텝 C)을 실행하고, 소성공정으로 이행한다. 소성공정에 있어서, 먼저, 스텝 D에서 히이터(143a), (143b)에 통전을 한다. 소성공정에 있어서, 먼저, 스텝 D에서 히이터(143A), (143B)에 통전을 행한다. 그리고, 스텝 E에서 온도상승률검지수단(151a)로부터 용기(142a)의 온도상승률을 검지하고, 이 온도상승률이 설정치이상이면(스텝 F), 용기(142a)가 공취사(空炊事)라고 검지한다(스텝 J). 스텝 F에서 온도상승률이 설정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스텝 G에서, 온도상승률검지수단(151b)로부터 용기(142b)의 온도상승률은 검지하여, 이 온도상승률이 설정치이상이면(스텝 H), 용기(142b)가 공취사라고 검지한다(스텝 J). 스텝 H에서 설정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스텝 I에서 소정시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소정시간이내이면 스텝 E로 되돌아가 상기 동작을 반복하고, 소정시간경과하면 운전을 종료한다. 또한, 공취사검지(스텝 J)에 있어서, 예를 들면, 용기(142a)가 공취사라면 히이터(143b)를 오프하는 제어를 행하거나, 혹은 운전정지하는 것도 생각될 수 있다.
다음에, 공취사검지의 제24도에 의해 설명한다. 도면중의 곡선 A는 빵재료를 투입하고 있지 않는 용기의 온도변화를 표시하고, 곡선 B는 빵재료를 투입하고 있는 용기의 연도변화를 표시하고 있다. 지금, 히이터에 통전하면, 각각의 용기는 온도상승을 행하나, 온소상승률은 공취사용기의 쪽이 높고(△TA>△TB), 이 용기의 온도상승률 △TA가 설정치이상으로 된 것을 시간 ta에서 검지하면, 제어수단(150)이 히이터를 제어해서, 공취사검지쪽의 용기의 온상승률을 저하시킨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빵재료를 투입한 용기와 동일하게 되어 TC라는 빵구이온도로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성실(141)에 세트한 용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로부터 온도상승률을 판정하고, 이 온도상승률이 설정치이상으로 되면, 이 용기를 공취사하고 판정하기 때문에, 용기가 고온으로 되기전에 공취사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1∼제6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용기를 2개의 소성실로 세트할 경우를 표시하였으나, 예를 들면 3개이상의 소성실로 세트하는 것에서도, 제1∼제6의 실시예의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할것도 없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제5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성공정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온도검지수단의 신호에 의거해서 가열수단인 히이터를 제어하도록한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 내용을 발효공정에 적용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어수단은 온도검지수단의 신호에 의거해서 가열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또 상기 제3의 실시예∼제5의 실시예의 내용을 빵재료를 반죽하는 반족공정에 적용하였을 경우는, 제어수단을 반죽공정에 있어서, 온도검지수단의 신호에 의거해서 반죽수단을 구동시키고, 소정치에 도달하였을 경우, 반죽공정을 종료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전체의 용기의 온도를 보다 발효온도에 접근시킨 상태에서 다음 공정의 발효공정으로 이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발효불량이고, 빵의 완성이 극단적으로 나빠진다고 하는 일은 없어지는 것이다.
또, 가열수단은, 상기 각 실시예에는 표시한 전기히이터외에 연소기나 고주파 가열기등을 생각할 수 있으며, 또 반죽수단도 실시예의 반죽날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빵제조기는, 빵재료를 수납하는 복수개의 용기와, 이 복수개의 용기를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수납하는 소성실과, 상기 각 용기내의 빵재료를 반죽하기 위하여, 상기 각 용기의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반죽수단과, 각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반죽수단, 가열수단을 제어하여 반죽공정, 발효공정, 소성공정등의 빵제조공정을 진행시키는 제어수단과, 상기 용기의 외곽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온도검지수단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수단이 반죽수단, 가열수단을 제어하므로서, 1개의 빵 또는 복수개의 빵을 제조가능하게 한 것으로서, 이 구성에 의해, 대가족의 가정에 있어서, 2개이상의 빵을 만들고 싶은 경우는, 복수개의 용기에 각각 빵재료를 넣으므로서, 2개이상의 빵을 동시에 구울 수 있고, 또 대가족의 가정 혹은 소인원수의 가정에 있어서 1개의 빵을 굽고 싶을 경우에 있어서도 복수개의 용기의 어느 1개의 빵재료를 넣으므로서, 간단하게 구울 수 있다.

Claims (11)

  1. 빵재료를 수납하는 복수개의 용기(39, 44, 77a, 77b, 93a, 93b, 108a, 108b, 125a, 125b, 142a, 142b)와, 이복수개의 용기를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수납하는 소성실(34, 76, 92, 107, 124, 141)과, 상기 각 용기내의 빵재료를 반죽하기 위하여, 상기 각용기의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반죽수단(43, 48, 79a, 79b, 94a, 94b, 109a, 109b, 126a, 126b, 144a, 144b)과 각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36, 37, 78a, 78b, 98a, 98b, 113a, 113b, 130a, 130b, 143a, 143b)과, 상기 반죽수단, 가열수단을 제어하여 반죽공정, 발효공정, 소성공정등의 빵제조공정을 진행시키는 제어수단(61, 87, 102, 119, 136, 150)과, 상기 용기의 외곽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지수단(38, 84, 99a, 99b, 114a, 114b, 131a, 131b, 149a, 149b)을 가지고, 상기 온도검지수단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수단이 반죽수단, 가열수단을 제어하므로써, 1개의 빵 또는 복수개의 빵을 제조가능하게한 빵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용기를 2개의 용기로 구성하고, 또한 용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지수단은 1개로하고, 이 1개의 온도검지수단은 2개의 용기중, 어느 한쪽의 용기의 온도를 검지하고, 이 검지신호에 의해 제어수단을 구동시키는 동시에, 다른쪽의 용기는 간주제어하도록한 빵제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용기의 각각을 독자적으로 검지하는 복수개의 온도검지수단과, 각 용기의 소성실에의 세트상태를 검지하는 용기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이 용기검지수단은 용기가 세트된 쪽의 온도검지수단의 신호를 제어수단의 입력신호로 하는 빵제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용기의 각각을 독자적으로 검지하는 복수개의 온도검지수단과, 상기 각 온도검지수단의 신호를 입력하여 온도평균을 연산하는 평균온도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이 평균온도검지수단의 신호에 의해, 제어수단이 발효공정 또는 소성공정에 있어서 가열수단을 제어하도록한 빵제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용기의 각각을 독자적으로 검지하는 복수개의 온도검지수단과, 상기 각 온도검지수단의 신호를 입력하여 온도평균을 연산하는 평균온도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이 평균온도검지수단의 신호에 의해, 제어수단이 반죽공정에 있어서 반죽수단을 제어하도록한 빵제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용기의 각각을 독자적으로 검지하는 복수개의 온도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이들 온도검지수단중, 가장 늦게 설정치로 도달한 어느 1개의 신호에 의해, 제어수단이 발효공정 또는 소성공정에 있어서 가열수단을 제어하도록한 빵제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용기의 각각을 독자적으로 검지하는 복수개의 온도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이들 온도검지수단중, 가장 늦게 설정치로 도달한 어느 1개의 신호에 의해, 제어수단이 반죽공정에 있어서 반죽수단을 제어하도록한 빵제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용기의 각각을 독자적으로 검지하는 복수개의 온도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이들 온도검지수단중, 가장 빨리 설정치로 도달한 어느 1개의 신호에 의해, 제어수단이 발효공정 또는 소성공정에 있어서 가열수단을 제어하도록한 빵제조기.
  9.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용기의 각각을 독자적으로 검지하는 복수개의 온도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이들 온도검지수단중, 가장 빠리 설정치로 도달한 어느 1개의 신호에 의해, 제어수단이 반죽공정에 있어서 반죽수단을 제어하도록한 빵제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용기의 각각을 독자적으로 검지하는 복수개의 온도검지수단과, 상기 각 온도검지수단의 온도상승률을 검지하는 온도상승률검지수단을 설치하고, 빵제조공정을 진행시키는 제어수단이, 상기 온도상승률이 설정치이상으로 되는 용기를 공취사라고 판정하도록 한 빵제조기.
  11. 제2항에 있어서, 1개의 온도검지수단이 온도를 검지하는 용기의 소성실에의 세트유무를 검지하고, 그 용기가 소성실에 세트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빵제조의 프로그램동작을 시키지 않는 검지수단을 설치한 빵제조기.
KR1019890700194A 1987-06-05 1988-05-27 빵제조기 KR930010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1666 1987-06-05
JP62141665A JPS63305824A (ja) 1987-06-05 1987-06-05 パン製造機
JP141665 1987-06-05
JP62141666A JPS63305825A (ja) 1987-06-05 1987-06-05 パン製造機
JP281223 1987-11-06
JP28122387A JP2506839B2 (ja) 1987-11-06 1987-11-06 製パン機
JP28600187A JP2506845B2 (ja) 1987-11-12 1987-11-12 製パン機
JP286003 1987-11-12
JP62286002A JP2517016B2 (ja) 1987-11-12 1987-11-12 製パン機
JP286001 1987-11-12
JP286002 1987-11-12
JP28600387A JP2506846B2 (ja) 1987-11-12 1987-11-12 製パン機
JP62300746A JP2517022B2 (ja) 1987-11-27 1987-11-27 製パン機
JP300746 1987-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225B1 true KR930010225B1 (ko) 1993-10-15

Family

ID=275660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194A KR890701048A (ko) 1987-06-05 1988-05-27 빵제조기
KR1019890700194A KR930010225B1 (ko) 1987-06-05 1988-05-27 빵제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194A KR890701048A (ko) 1987-06-05 1988-05-27 빵제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2) KR890701048A (ko)
AU (1) AU595717B2 (ko)
GB (1) GB2213698B (ko)
WO (1) WO19880096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17260D0 (en) * 1988-07-20 1988-08-24 Kenwood Ltd Breadmaking machines
KR910001223B1 (ko) * 1988-08-29 1991-0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빵기의 요구르트 제조장치 및 방법
US4903588A (en) * 1988-09-05 1990-02-27 Kabushiki Kaisha Toshiba Bread baking apparatus
DE3933036C3 (de) * 1989-10-04 1996-02-08 Braun Ag Motorbetriebene Mehrzweckküchenmaschine
DE4215882A1 (de) * 1992-05-14 1993-11-18 Braun Ag Küchenmaschine
EP0659342A1 (en) * 1993-12-02 1995-06-28 Eloofa Industries Co., Ltd. Multi-purpose food treating device
US5438915A (en) * 1994-01-28 1995-08-08 Chen; Shang-Hsien Temperature sensor assembly for an automatic baking machine
US5392695A (en) * 1994-04-05 1995-02-28 Circulair, Inc. Automatic breadmaking machine
US5463937A (en) * 1994-10-25 1995-11-07 The West Bend Company Automatic breadmaker with plural kneading members
CN2530558Y (zh) * 2002-02-05 2003-01-15 广东德豪润达电气股份有限公司 由带齿轮减速器的交流电动机驱动的面包机
KR100473061B1 (ko) 2002-09-14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US20050120888A1 (en) * 2003-12-09 2005-06-09 Donglei Wang Multi-function breadmak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8553A (en) * 1979-11-30 1981-06-27 Tokyo Shibaura Electric Co Bread making apparatus
JPS625314A (ja) * 1985-07-01 1987-0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動製パン機
JPS6331626A (ja) * 1986-07-25 1988-02-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ンメ−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95717B2 (en) 1990-04-05
GB2213698A (en) 1989-08-23
GB2213698B (en) 1991-05-22
AU1796888A (en) 1989-01-04
GB8902287D0 (en) 1989-04-05
KR890701048A (ko) 1989-12-19
WO1988009640A1 (en) 1988-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809B1 (ko) 자동 제빵기
KR930010225B1 (ko) 빵제조기
US5415081A (en) Bread making apparatus
JP4668856B2 (ja) 製パン機
JPH0417642B2 (ko)
JP2002051920A (ja) 卓上型調理器
JP3398068B2 (ja) 調理器
JPH0411627Y2 (ko)
US5860355A (en) Automatic bread maker
JPS6142382Y2 (ko)
JP2532897B2 (ja) パン製造機
JP2800215B2 (ja) 自動製パン機
JP2517037B2 (ja) パン製造機
JPS63153023A (ja) 電気製パン機
JPH0737044Y2 (ja) 加熱装置
JPH1156642A (ja) 製パン装置
JP2558833B2 (ja) 製パン機
JPH074327B2 (ja) パン製造機
JP4961216B2 (ja) 自動製パン器
JPH0720460B2 (ja) パン製造機
JPS62142524A (ja) 全自動製パン機
JPH0560363B2 (ko)
JPH01158916A (ja) パン製造機
JPH07322958A (ja) 製パン器
JPS63168136A (ja) 自動製パン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