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384B1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384B1
KR930009384B1 KR1019900020866A KR900020866A KR930009384B1 KR 930009384 B1 KR930009384 B1 KR 930009384B1 KR 1019900020866 A KR1019900020866 A KR 1019900020866A KR 900020866 A KR900020866 A KR 900020866A KR 930009384 B1 KR930009384 B1 KR 930009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mount
control
blow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508A (ko
Inventor
쯔로무 후지기
토시카즈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나르데꾸 가부시기가이샤
하라 사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나르데꾸 가부시기가이샤, 하라 사찌오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1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전체계통도.
제 2 도는 동 제어계통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의 전체제어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
제 4 도는 종합신호 T와 송풍기모우터의 단자전압과의 관계를 도시한 제어특성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요동제어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요동제어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요동제어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도시한 그래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요동제어에서 사용되는 제어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패턴도.
제 9 도는 종합신호 T와 송풍기모우터의 단자전압과의 관계를 도시한 제어특성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제어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제어패턴의 변형예를 도시한 패턴도.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제어패턴의 변형예를 도시한 패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공기조화장치 7a,8a,9a : 각불어내기출구
10 : 송풍기모우터 11 : 송풍기
36 : 차실에 설치된 설정기 42 : 풍량제어수단
T : 종합신호 U : 제어유닛
VB: 송풍기모우터의 단자전압
본 발명은 차실내의 냉온방을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공조장치, 특히 수동조작에 의해서 요구실내온도를 설정하므로써, 차실내외의 상황변화를 받아들여 차실내온도가 설정요구 온도가 되도록 자동제어하는 자동공조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실내온도설정기가 차실내에 설치되고, 승객이 이 실내온도설정기를 수동조작하므로써 요구차실온도의 설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설정차실온도와, 실제의 차실온도와의 편차에 의거해서 공기조화장치의 자동제어가 행해지는 것이 통상예이다.
일본국 특개소 62-18312호 공보에는 송풍량의 자동제어에 관하여, 상기 설정차실온도와, 실제의 차실온도와의 편차에 따라서, 이 편차가 클때는 송풍량을 크게하고, 다른 한편, 편차가 작을때는 송풍량을 작게해서 미풍상태를 유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인간은 자연계의 산들바람을 상쾌하다고 느낀다. 이 자연풍의 상쾌함은 미풍상태가 항상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 변화는 바람의 강약, 풍향등에 볼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극력자연풍의 상태와 기깝게 해서 승객에서 자연풍을 받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상쾌함을 주도록 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가령, 풍량을 미세하게 변화시켰을때는, 불어내기출구에 가동루우퍼를 부가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 경우 루우퍼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구동수단 혹은 이 구동수단과 루우퍼의 연계기구등을 부가하는데 따른 비용상승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풍량을 미세하게 변화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차실내의 실제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검출수단과 ; 차실내의 요구온도를 수동조작에 의해서 설정하는 실내온도설정 수단과 ; 차실에 조절공기(conditioning air)를 공급하는송풍기수단과 ; 실내온도검출수단과 실내온도설정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차실내의 실제온도와 요구온도사이의 편차가 소정치보다 더 클 때 송풍기 수단으로부터 송풍될 공기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차실내의 실제온도와 요구온도사이의 편차가 소정치보다 더 작을 때 송풍기수단으로부터 송풍될 공기량을 감소시키는 공기량제어수단과 ; 공기량제어수단으로부터 제어값신호를 주기적으로 가변시키는 자연풍제어수단 구비하고 ; 자연풍제어수단은 매개변수로서 공기량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값신호를 사용하는 1차연산식(X)에 의거하여 송풍기수단으로부터 송풍될 공기량의 상한치를 결정하고 또한 매개변수로서 공기량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값신호를 사용하는 2차연산식(Y)에 의거하여 거기서부터 송풍될 공기량의 하한치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풍량이 작게 되는 안정기에 있어서, 그 송풍량이 가변으로 되기 때문에, 자연풍(산들바람)에 내재하는 바람의 강약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은 바람의 강약으로 인해, 자연풍을 받고있는 듯한 상쾌함을 느끼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자연제어를 행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장치를 그대로 유용할 수 있어, 별도로 새로이 부품을 부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대폭적인 비용상승을 초래하는 일은 없다는 실용적 이점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공기조화장치(100)의 전체계통도이며, 주요덕트(1)는 상류단부에 외기도입구(2)와 차실내공기를 흡입하는 내기도입구(3)를 가지고, 다른 한편, 하류단부에 제 1 유출구(4)와, 제 2 유출구(5)와, 제 3 유출구(6)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 1 유출구(4)는 히이터덕트(7)에 연통되고, 제 2 유출구(5)는 디퍼렌셜덕트(8)에 연통되고, 제 3 유출구(6)는 밴드덕트(9)에 연통되어, 이들 덕트(1)(7)(8)(9)에 의해서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히이터덕트(7)는 그 불어내기출구(7a)가 앞좌석승객의 발밑에 배치되고, 상기 디퍼렌셜덕트(8)는 그 제 1 불어내기출구(8a)가 창유리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고, 또 제 2 불어내기출구(8b)가 계기판의 좌우 양단부에 배치되어, 이 제 2 불어내기출구(8b)는 장면창유리의 코오너부에 저항되고 있다. 상기 밴드덕트(9)는 그 불어내기출구(9a)로부터 토출되는 공조공기가 앞좌석승객의 얼굴에 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주요덕트(1)의 내부에는 상류쪽에서부터 순서대로, 송풍기(11)와, 증발기(12)와, 히이터코어(13)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11)는 전동모우터(blowermotor) (10)에 의해서 구동된다.
상기 증발기(12)는 콘덴서(14), 엔진(15)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동되는 압축기(16), 팽창밸브(17)등과 함께 냉각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화살표와 같이 냉매가 순환한다.
상기 히이터코어(13)는 배관(18)을 개재해서 엔진(15)내 냉각수통로와 접속되고, 엔진(15)내 냉각수통로로부터 도출된 냉각수는 상류쪽배관(18a)을 통해서 히이터코어(13)에 인도되고, 히이터코어(13)를 통과한 냉각수는 하류쪽배관(18b)을 통해서 엔진(15)에 환류된다. 이 히이터코어(13)를 통과하는 냉각수는 그 양이 유량제어밸브(20)에 의해서 조정되고, 이 유량제어밸브(20)는 상기 상류쪽배관(18a)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호(19)는 냉각기이며, 화살표는 냉각수의 흐름방향을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주요덕트(1)에는 내외기도어(21), 에어믹스도어(22), 제 1 모우드도어(23), 제 2 모우드도어(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외기도어(21)에는 상기 외기도입구(2)와 내기도입구(3)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외기도입량과 차실내공기의 도입량을 도입비율을 조정하는 것이다. 상기 에어믹스도어(22)는 증발기(12)와 히이터코어(13)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히이터코어(13)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과, 이 히이터코어(13)를 바이패스하는 공기의 양과의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모우드도어(23)는 상기 히이터덕트(7)의 상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모우드도어(24)는 디퍼렌셜덕트(8)의 상류단부와, 밴드덕트(9)의 상류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제 2 모우드도어(23)(24)에 의해서, 히이터덕트(7), 디퍼렌셜덕트(8), 밴드덕트(9)에 인도되는 공조공기량의 비율이 조정된다(불어내기 모우드의 절환).
에어믹스도어(22)는 벨크랭크(25)를 개재해서 상기 유량제어밸브(20)와 연계되고, 또 이 벨크랭크(25)는 전동모우터(제 1 모우터)(26)에 연계되고, 이 전동모우터(26)에 의해서 에어믹스도어(22)가 개폐되는 동시에 유량제어밸브(20)의 밸브개방량이 조정된다. 전동모우터(26)의 작동량, 즉 에어믹스도어(22)의 개방도는 전위차계(27)에 의해서 검출된다.
제 1, 제 2 도중 부호(U)는 예를들면 마이크로컴퓨우터로 구성된 제어유닛으로서, 제어유닛(U)는 이미 아는 바와같이 CPU, ROM, RAM등을 가지고 있다. 제어유닛(U)에는 센서 혹은 스위치(31)∼(35)로부터의 각종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센서(31)는 차실내에 배치되어 차실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센서이다.
상기 센서(32)는 외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센서이다. 상기 센서(33)는 차실내에 침입하는 일사량을 검출하는 일사센서이다. 상기 센서(34)는 주요덕트(1) 내에 있어서의 증발기(12)의 하류쪽에 배치되어 증발기(12)를 통과한 후의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덕트센서이다. 상기 스위치(35)는 엔진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스위치이다. 또, 상기 제어유닛(U)에는 차실에 설치된 설정기(36)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고, 이 설정기(36)에는 온도설정, 풍량설정, 내외기설정, 불어내기모우드 설정등의 각종 수동스위치가 설치되고, 또 자동(AUTO)스위치가 설치되어, 이 자동스위치가 ON되었을 때 자동제어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유닛(U)으로부터 구동회로(40)를 개재해서, 상기 에어믹스도어(22)용 모우터(제 1 모우터)(26), 모우드도어(23)(24)용 모우터(제 2 모우터)(29), 내외기도어(21)용 모우터(제 3 모우터)(30) 및 압축기(16)용 릴레이(41)에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또 상기 제어유닛(U)로부터 풍량제어수단(42)를 개재해서 송풍기모우터(10)에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제어유닛(U)에 의한 제어내용에 대해서, 그 개요를 설명한다.
상기 설정기(36)에 있어서, 상기 자동스위치가 OFF되어 있을때는, 이 설정기(36)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설정된 불어내기모우드등에 의거한 제어조건이 생성되어, 그 제어신호가 출력된다(수동제어). 다른 한편 상기 자동(AUTO)스위치가 ON되었을때는 제 3 도에 있어서, 순서도로 도시한 바와같이 제어유닛(U)의 마이크로컴퓨우터(CPU)를 리세트하고 (S1), CPU가 폭주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한 후(S2), 체크모우드에 의해서 고장의 유무를 판정하고(S3,S4), 고장이 없음을 확인해서 온도검출수단과 온도설정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거해서 종합신호 T를 다음식에서 산출한다(S5).
T=(tr-25)+α(ta-25)+β(td-12)-γ(Td-25)
여기서
tr: 실내센서온도
ta: 외기센서온도
td: 덕트센서온도
Td: 실내온도설정치(요구실내온도)
α,β,γ : 보정계수
또한 보정계수 α,β,γ는 공조시스템이나 차체특성에 따라 최적치가 다르기 때문에, 실제로 차테스트에 의해 그 값을 결정한다.
상기 종합신호 T는 기본적으로 상기 설정기(36)에 의해서 수동설정된 요구실내온도 Td와 실제의 실내온도 tr과의 편차를 의미하는 것이며, 이편차를 외기온도등으로 보정해서 상기 편차의 적정화를 도모한 것이다.
CPU에 의해 산출된 상기 종합신호 T의 값에 의거해서 에어믹스도어(22)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히이터코어(13)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한다(제 3 도, S6).
계속해서 송풍기모우터(10)의 단자전압 VB를 제어하므로써, 송풍기(11)의 송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제어를 행하고(S7), 압축기(16)의 작동정지를 제어하고(S8), 불어내기모우드를 선택해서 정하고(S9), 내외기도어(21)를 구동해서 내외기도입의 절환제어를 행하는 것이다(S10), 이와같이 상기 AUTO스위치가 ON되었을때는 상기 종합신호 T에 의거해서 종합적으로 공조제어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풍량제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종합신호 T의 절대치가 클수록 실내온도(tr)와 설정온도(Td)와의 차가 크고, 그 온도차(편차)를 신속하게 줄이기 위하여 송풍기모우터(10)의 단자전압 VB를 최대로 해서 풍량을 강으로 하고, 이에 의해 냉방 혹은 난방능력을 최대한 높인다. 다음에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d)에 가까워지고, 냉방 혹은 난방능력에 여력이 발생함에 따라서 단자전압 VB를 서서히 소정의 구배에 의해서 저하시켜 풍량을 무단계로 약하게 해간다. 그리고 종합신호 T의 값이 0에 가까운 범위 즉 실내온도와 설정온도가 소정치 이하가 되는 안정기에 달하면, 단자전압 VB를 최대전압으로 하고, 풍량을 미약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이들 상태변화를 제 4 도에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 4 도중, 괄호안의 숫자는 외기온도 25℃, 설정온도 25℃, 덕트센서 12℃일 때 대응하는 실내온도를 표시한다.
상기 풍량제어(제 3 도 S7)에 있어서,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합신호 T가 δTδ의 영역에 있을때는, 즉 풍량이 작게 되는 영역에서는 하기와 같은 요동제어가 행해진다. 여기에 상기 δ는 미리 정해진 소정치이다.
상기 요동제어는 풍량이 작은 영역에 있어서, 송풍량(송풍기 단자전압 VB)을 미세하게 강약시키는 것이며, 이 송풍량의 변화폭을 하기의 2개식에 의거해서 규정하도록 하고 있다.
X=1.11VBO+0.23
Y=0.26VBO+2.68
여기에 VBO는 상기 종합신호 T에 의거해서 설정된 송풍기모우터(10)의 단자전압을 표시한다.
이상의 내용을 전체로 해서, 제 5 도, 제 6 도에 도시한 순서도에 의거해서 요동제어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5 도에 있어서, 먼저 S20에 종합신호 T(제 3 도 S5)를 판독한 후, S21에 있어서, 이 종합신호 T가 소정의 범위이내 δTδ인지 아닌지의 판별이 행해져 YES일때는 S22로 진행하여 송풍기모우터(10)의 단자전압 VBO(종합신호 T에 의거해서 설정된 전압 : 이하 기준전압이라고 함)의 판독이 행해진다. 그리고 다음의 S23에 있어서, 상기한 2개의 식에 의거해서 송풍량의 변화폭을 규정하는 X,Y의 연산이 이루어지고, S24에서 요동제어가 실행된다.
제 6 도는 요동제어(제 5 도 S24)의 상세한 설명이다.
먼저 S25에 있어서, 송풍기모우터(10)의 단자전압VB를 소정치(V)가 작게하는 처리가 행해지고, 이 단자전압 VB를 서서히 작게하는 처리는 단자전압 VB가 상기 하한치 Y와 동등해질 때 까지 행해진다(S26). 이에 의해 상기 기준전압 VBO아래서 얻어지는 풍량은 하한전압 Y에서 얻어지는 풍량까지 약화시키게 된다. 그후 S27에 있어서 송풍기모우터(10)의 단자전압 VB를 상기 하한치 Y로 하는 설정처리가 행해지고, 이 하한치 Y에 의거한 송풍기모우터(10)의 풍량제어는 소정시간(예를들면 1∼2초간) 계속된다(S28).
그리고, 이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S29에 진행해서 이번에는 상기 단자전압 VB를 소정치(V) 크게하는 처리가 행해지고, 이 단자전압 VB를 서서히 크게하는 처리는 단자전압 VB가 상기 상한치 X와 동등해질때까지 행해진다(S30).
이에 의해 상기 하한치 Y에서 얻어지는 풍량은 상기 상한치 X에서 얻어지는 풍량까지 서서히 강화시키게 된다. 그후 S31에 있어서, 송풍기모우터(10)의 단자전압 VB를 상기 상한치 X로 하는 설정처리가 행해지고, 이 상한치 X에 의거한 송풍기모우터(10)의 제어는 소정시간(예를들면 1∼2초간) 계속된다(S32).
이상의 제어에 의해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기준전압 VB가 거의 일정치(최소치)가 되는 안정기에 있어서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한치 Y와 상기 상한치 X와의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풍량이 강약되게 된다. 또,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합신호 T가 δTδ의 범위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를 제외한 준안정기에서는, 상기 기본전압 VBO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상한치 X 혹은 하한치 Y가 변동하면서 상기한 요동제어가 행해지게 된다.
또한 이 제 6 도의 S25 혹은 S29에 표시한 소정치(V)를 작은 값으로 해서 상기 단자전압 VB를 리니어로 변화시켜도 되고, 혹은 이 소정치(V)를 어느정도 큰값으로 해서 상기 단자전압 VB를 단계적으로 변화시켜도 된다. 또 S28에서 말하는 소정시간과, S32에서 말하는 소정시간이 다른 것이어도 되고, 또 이들 소정시간을 가변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예를들면 제 6 도에 도시한 루우프를 통과한 횟수에 따라서 상기 소정시간을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본 제어에 의거한 풍량의 강약에 있어서, 그 주기가 불규칙하게 변화하게 되고, 차실에 보내지는 바람을 한층 더 자연풍(산들바람) 상태에 가깝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제 8 도∼제 12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안정기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전압 VB의 변화를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턴화시키고, 1주기 20초에서 1개의 패턴을 실행시켜 이 패턴을 반복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어패턴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종합신호 T가 안정기에 들어갔을때는, 송풍기모우터(10)의 단자전압 VB를 V1=4.3 에서부터 V2=7.4 의 범위내에서 단계적으로 오르내리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 8 도에 도시한 제어패턴은 미리 설정되어, 이 패턴을 제어유닛 U내의 ROM에 보존해둔다.
이상의 내용을 전제로 해서 제 10 도에 도시한 순서도에 의거해서, 제어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송풍기제어의 개시후, 공조제어가 자동제어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S40), 자동제어가 아닐 경우에는 S41에 진행해서 후술하는 타이머의 카운트를 정지하고 수동제어를 행한다(S42).
상기 S40에 있어서 자동제어일 경우에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가까워져 종합신호 T의 절대치가 적어지고, 안정기에 달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S43), 안정기에 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S44에 진행해서 후술하는 타이머의 카운트를 정지하고, 통상의 자동제어를 행한다(S45).
상기 S43에 있어서 안정기에 달했다고 판정되었을때는 S46에 진행해서 타이머 t가 가동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이 타이머 t가 가동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S47에 진행해서 타이머 t의 카운트를 개시한 후 S48에 있어서 상기 단자전압 VB를 VB(1)(제 8 도 참조)로 하는 설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다음에 상기 S46에 돌아왔을때는 타이머 t가 작동하고 있다고 하므로써 S49에 진행하고, 이 타이머 t의 카운트한 시간 t1이 2초 경과할때까지는 상기 단자전압 VB는 VB(1) 상태로 유지된다. 그후 상기 시간 t1이 t1=2초가 되었을때는 S50에 진행해서 단자전압 VB를 VB(2)(제 8 도 참조)로 하는 설정단자전압의 변경이 행해진다. 또한 제 10 도의 S50에서 표시한 VB(i+1)은 전회의 단자전압이 VB(1)이라고 하면 VB(2)를 의미하는 것이며, 전회의 단자전압이 VB(10)일때는 VB(1)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S50에서 단자전압 VB의 변경이 행해졌을 때에는 S51에 진행해서 타이머 t를 클리어한 다음 재차 개시된다.
이상의 제어에 의해 종합신호 T가 안정기가 되었을때는 제 8 도에 도시한 제어패턴하에서 요동제어가 행해지고, 1주기 20초하에서 주기적으로 풍량이 강약되게 된다(제 9 도 참조).
제 11 도, 제 12 도는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1 도의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 8 도에 도시한 제어패턴과는 다른 제어패턴을 1 또는 그 이상 준비해두어, 이들 복수의 제어패턴을 조합해서 상기 요동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들면 제 10 도에 도시한 S50에 있어서, 제 8 도의 VB(10)이 설정되었을때는, 다음회의 단자전압 VB의 설정으로부터 제 11 도의 제어패턴으로 절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패턴에 있어서, 단자전압 VB의 변화폭(V1,V2)을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V1=4.0, V2=8.0와 같이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타이머 t의 세트시간을 적당히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같은 변형예에 의하면, 바람의 요동상태의 변화가 다양화하는 동시에 제어패턴의 주기에 대해서도 다양화하게 되므로 한층 더 자연풍에 가까운 쾌적한 불어내기 바람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차실내의 실제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검출수단(31)과 ; 차실내의 요구온도를 수동조작에 의해서 설정하는 실내온도 설정수단(36)과 ; 차실에 조절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수단(11)과 ; 실내온도검출수단과 실내온도설정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차실내의 실제온도와 요구온도사이의 편차(T)가 소정치보다 더 클 때 송풍기수단으로부터 송풍될 공기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차실내의 실제온도와 요구온도사이의 편차가 소정치보다 더 작을 때 송풍기수단으로부터 송풍될 공기량을 감소시키는 공기량제어수단(U, S7)과 ; 공기량제어수단으로부터 제어값신호를 검출하는 제어량검출수단(U,S22)과 ; 그리고 제어량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송풍기수단으로부터 송풍될 공기량이 최소로 되는 안정단계로 접근할 때 공기량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값신호를 주기적으로 가변시키는 자연풍제어수단(U)을 구비하고 ; 자연풍제어수단은 매개변수로서 공기량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값신호를 사용하는 1차연산식(X)에 의거하여 송풍기수단으로부터 송풍될 공기량의 상한치를 결정하고 또한 매개변수로서 공기량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값신호를 사용하는 2차연산식(Y)에 의거하여, 거기서부터 송풍될 공기량의 하한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2. 차실내의 실제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검출수단(31)과 ; 차실내의 요구온도를 수동조작에 의해서 설정하는 실내온도설정수단(36)과 ; 차실에 조절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수단(11)과 ; 실내온도검출수단과 실내온도설정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차실내의 실제온도와 요구온도사이의 편차(T)가 소정치보다 더 클 때 송풍기수단으로부터 송풍될 공기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차실내의 실제온도와 요구온도사이의 편차가 소정치보다 더 작을 때 송풍기수단으로부터 송풍될 공기량을 감소시키는 공기량제어수단(U,S7)과 ; 공기량제어수단으로부터 제어값신호를 검출하는 제어량검출수단(U,S22)과 ; 그리고 제어량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송풍기수단으로부터 송풍될 공기량이 거기서부터 송풍될 공기량이 최소로 되는 안정상태의 부근인 준안정단계에 접근할 때 공기량제어수단의 제어값신호를 주기적으로 가변시키는 자연풍제어수단(U)을 구비하고 ; 자연풍제어수단은 매개변수로서 공기량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값신호를 사용하는 1차연산식(X)에 의거하여 송풍기수단으로부터 송풍될 공기량의 상한치를 결정하고 또한 매개변수로서 공기량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값신호를 사용하는 2차연산식(Y)에 의거하여 거기서부터 송풍될 공기량의 하한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9900020866A 1989-12-19 1990-12-18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930009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714389 1989-12-19
JP1-327143 1989-12-19
JP33846889 1989-12-28
JP1-338468 1989-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508A KR910011508A (ko) 1991-08-07
KR930009384B1 true KR930009384B1 (ko) 1993-10-02

Family

ID=2657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866A KR930009384B1 (ko) 1989-12-19 1990-12-18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102041A (ko)
KR (1) KR930009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6090B2 (ja) * 1995-06-06 2004-12-0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US5653386A (en) * 1995-07-28 1997-08-05 Chrysler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climate within a vehicle
KR100328468B1 (ko) * 1999-06-02 2002-03-16 이석규 차량의 자동 시동 제어장치
FR2806226B1 (fr) * 2000-03-07 2002-05-31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commande d'un compresseur electrique pour circuit de climatisation
US9233596B2 (en) 2013-11-04 2016-01-12 Henry C. Chu Auxiliary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DE202015004835U1 (de) * 2015-07-07 2016-10-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Belüf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312A (ja) * 1985-07-18 1987-01-2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JPH0717149B2 (ja) * 1987-11-25 1995-03-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空調装置
JPH0761763B2 (ja) * 1987-12-21 1995-07-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508A (ko) 1991-08-07
US5102041A (en) 199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5649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evaporator temperature of an air conditioner as a function of the outside dew point
US5971844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93000938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S6189113A (ja) 車両用空調装置
JPS612181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4442001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3266713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3493895B2 (ja) 自動車用空調制御装置
JP3325592B2 (ja) 車両の後室空調装置
KR0144367B1 (ko) 차량용 공기조절장치
JPS6218086Y2 (ko)
JPH0723254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58514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335572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H0622566Y2 (ja) 車両用空調装置のデミスト制御装置
JPH0213208Y2 (ko)
JPH0620808B2 (ja) 自動車用空調制御装置
JPS62299422A (ja) 車輛用空気調和装置
JPH04173415A (ja) 車両用左右独立型空調装置の偏日射補正装置
JP2732130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3020124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の日射量遅延制御装置
JP2767300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816753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の空調バランス制御装置
JP200628190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7172143A (ja) 車両用空調装置の送風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