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814B1 - 탄소섬유 제조용 피치 및 그 제법 - Google Patents

탄소섬유 제조용 피치 및 그 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814B1
KR930006814B1 KR1019850009646A KR850009646A KR930006814B1 KR 930006814 B1 KR930006814 B1 KR 930006814B1 KR 1019850009646 A KR1019850009646 A KR 1019850009646A KR 850009646 A KR850009646 A KR 850009646A KR 930006814 B1 KR930006814 B1 KR 930006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organic solvent
dissolution parameter
optically anisotropic
benz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991A (ko
Inventor
세이이찌 우에무라
히로아끼 다까시마
오사무 가또오
하지메 나까지마
Original Assignee
닛뽄 세끼유 가부시끼 가이샤
다데우찌 다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세끼유 가부시끼 가이샤, 다데우찌 다모오 filed Critical 닛뽄 세끼유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4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C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TAR; PYROLIGNEOUS ACID
    • C10C3/00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 C10C3/08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by selective extra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rking-Up Tar And Pitch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탄소섬유 제조용 피치 및 그 제법
제1도 및 2도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조된 섬유단면의 사진.
제3도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조된 섬유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탄소섬유 제조용으로 우수한 성질을 갖는 피치에 관한 것이다.
고강도 및 고탄성계수의 탄소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는 바, 이 방법에서는 피치를 열처리하여 광학이방성 액정(光學異方性液晶)을 40 내지 100% 함유하는 메조-상(meso-phase) 피치를 얻고, 다음에 이 메조상 피치를 용융 방사(彷系), 불용화(不容化) 및 탄화시킨다(예로서,일본특허공개공보 № 19127/1971).
메조-상의 함량이 40%나 그 이하인 피치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학이방성 대역과 등방성대역의 분리현상이 일어나며, 용융방사에서는 종종 단부파열이 일어나며, 심한경우 미용해 입자가 연결된 섬유가 생성된다. 이와 같은 섬유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처리하면 고강도 및 고탄성계수의 탄소섬유를 생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종래방법은 메조-상 피치 함량이 40 내지 100%, 특히 70 내지 100%인 피치를 사용함으로써 고강도 및 고탄성계수의 탄소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었다. 메조-상 함량이 40% 또는 그 이하인 피치를 사용함으로써 고강도 및 고탄성계수의 탄소섬유를 제조하고저하는 기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메조-상 함유량이 높은 피치는 연화점은 물론 점도가 대단히 높아서 용융방사를 350℃나 그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피치의 열분해와 열중합이 용융방사 과정에서 발생하기 쉽고, 따라서 등용가스의 발생과 불용성분의 형성이 관련되는 문제점이 있게되어 균일한 방사가 수행되기 어렵다.
더우기, 높은 메타-상 함량의 피치로부터 얻은 탄소섬유는 단면상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결정으로 구성된 소위 방사구조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종방향으로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야기시켜서 강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균일한 방사를 가능하게 하며, 저연화점과 저점도에 연관되는 메조-상 저함량 피치의 용해특성을 개선함으로써 고강도 및 고탄성계수의 탄소섬유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해매개변수가 7.4 내지 9.0인 유기용제에는 불용성이나 용해매개 변수가 9.2 내지 11.0인 유기용제에는 가용성인, 광학이방성 대역이 5 내지 40%인 탄소섬유 제조를 위한 피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술하는 방법에 의하여 탄소섬유 제조용 피치가 제조된다.
우선, 탄소질피치를 대체로 340 내지 500℃로 온도에서 1분 내지 30시간의 기간동안 열처리하여 광학이방성 대역이 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인 피치를 제조한다. 열처리는 질소와 같은 비활성가스를 통과시키는 분위기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활성 가스는 0.7 내지 5.0scfh/lb의 속도로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와 같이 얻은 광학이방성 대역이 5 내지 100%인 광학이방성 피치를, 용해매개 변수가 25℃에서 7.4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7.6 내지 8.4인 유기용제로 추출처리하여 불용분을 수집한다. 다음에 불용분을 용해매개 변수가 25℃에서 9.2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8인 유기용제로 추출처리하여 가용분을 수집한다. 이와 같이하여 광학이방성 대역이 5 내지 40%인 탄소섬유 제조용의 본 발명 피치가 얻어진다.
유기용제추출은 일반적으로 대기압이나 가압하에서, 상온 또는 고온에서, 예컨대 15 내지 23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유기용제대 피치의 혼합비율은 압력과 온도와 같은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으나, 피치 1부당 10 내지 150부의 유기용제 비율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이 처리는 바람직하게는 가용분의 50%나 그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모든 가용분을 추출하기에 충분한 기간동안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용해매개변수가 7.4 내지 9.0인 유기용제에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용해매개변수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것 뿐만아니라, 용해매개변수가 7.4 내지 9.0범위에 조정된 두 종류 이상의 용제 혼합물도 역시 포함된다. 후자의 경우 2종 이상의 유기용제중 어느 것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7.4 내지 9.0범위 밖의 용해매개변수를 갖더라도 혼합용제의 용해매개변수를 7.4 내지 9.0범위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해매개변수가 9.2 내지 11.0인 유기용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혼합물 일 수 있다.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용해매개변수가 7.4 내지 9.0인 유기용제의 특수예로서는 4염화탄소(8.6=용해매개 변수, 이하동일), 1,1-디클로로에탄(8.9), 1,2-디클로로푸로판(9.0), 염화푸로필(8.4), 메틸에틸에테르(7.6), 푸란(8.4), 1-클로로부탄(8.4), 염화 t-부틸(7.5), 디에틸에테르(7.4), 이소부틸아민(8.5), 시클로헥산(8.2), 크실렌(8.8), 옥탄(7.6) 및 쿠멘(8.8) 등이 열거된다.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용해도 인수가 9.2 내지 11.0인 유기용제의 특수예로서는 2황화탄소(10.0), 클로로포름(9.3), 디클로로메탄(9.7), 1,1,2-트리클로로에탄(9.6), 아세톤(10.0), 메틸에틸케톤(9.3), 피리딘(10.6), 디클로로벤젠(10.0), 클로로벤젠(9.5), 벤젠(9.2), 나프탈렌(10.6) 및 니트로벤젠(10.2)이 열거된다.
둘이상의 유기용제를 조합하는 경우 혼합용제가 예정된 용해도 매개변수를 갖게하는 어떠한 조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탄소섬유 제조용 피치는 압출방사, 원심분리방사 또는 분무방사와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용융 방사한다.
다음에 용융방사로 얻은 피치섬유를 산화가스 분위기중에서 불용화 처리한다. 산화가스로서는 산소, 오존, 공기, 산화질소, 할로겐 및 2산화 유황과 같은 1종이상의 산화가스를 이용한다. 불용화처리는 처리될 물질, 즉 용융방사된 피치섬유를 연화시키고 변형시키지 않는 온도조건하에서 수행한다. 예컨대 20°내지 360℃, 바람직하게는 20°내지 300℃의 온도를 이용한다. 이 처리는 일반적으로 5분 내지 10시간의 기간동안 수행한다.
다음에 불용화된 탄소섬유를 비활성가스 분위기에서 탄화 또는 흑연화시킨다. 탄화는 일반적으로 800°내지 200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탄화에 요구되는 시간은 일반적으로 0.5분 내지 10시간이다. 흑연화가 더 수행되는 경우 이것은 2000°내지 3000℃의 온도에서 1초 내지 1시간동안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탄소섬유제조용 피치의 용융방사는 균일한 방사를 이루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1000m/분이나 그 이상의 속도로의 방사를 가능하게 한다. 방사는 1500m/분이나 그 이상의 속도에서도 어려움없이 방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치로부터 얻은 탄소섬유는 결정이 단면상에서 모자이크로 배열된 소위 불규칙구조를 갖는다. 적당한 조건하에서는 결정이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소위 양파구조가 이루어지며, 그 결과 섬유에 균열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고강도의 탄소섬유가 제조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실시예에 따라 다음에 더욱 상세히 기술하고져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라비아 원유로부터 얻은 경유를 접촉분해시켜, 성질이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은 중유를 생성시켰다. 중유를 15㎏/㎠·G의 압력과 43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열처리한 다음 250℃/1㎜Hg에서 증류하여 85℃에서 연화하고, 25%의 벤젠불용분을 함유하는 피치를 얻었다.
출발피치를 400℃에서 1시간동안 600㎖/분의 속도로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열처리하여 연화점이 215℃이고 35%의 메조-상을 함유하는 광학이방성 피치(1)를 얻었다.
광학이방성 피치(1)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피치(1) 5g당 100㎖의 시클로헥산(용해도 매개변수 : 8.2)의 비율로 25℃에서 헥산으로 추출처리하여 시클로헥산 불용분을 수집하였다.
다음에 시클로헥산 불용분을 80℃에서 시클로헥산 불용분 5g당 100㎖의 니트로벤젠(용해도 매개변수 : 10.2)의 비율로 추출처리하여 니트로벤젠 가용분을 수집하였다.
니트로벤젠 가용분으로부터 니트로벤젠을 제거하여, 203℃에서 연화하고 25%의 메조상을 함유하는 탄소섬유 제조용 피치(2)를 생성시켰다.
이와 같이 얻은 피치(2)를 직경 0.3㎜ψ이고 L/D=2인 방사기를 사용하여 248℃에서 용융방사시켜 11-13μ 피치섬유를 제조하였다. 이 피치섬유를 다음의 조건하에 불용화, 탄화 및 흑연화처리하였다.
불용화-2용적%의 NO2를 함유하는 산소중에서 5℃/분의 속도로 300℃까지 가열하고 이온도에 5분간 유지시켰다.
탄 화-질소중에서 1000℃까지 10℃/분의 속도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30분간 유지시켰다.
흑연화-질소중에서 2500℃까지 25℃/분의 속도로 가열하였다.
이와 같이 얻은 탄소섬유는 285㎏/㎟의 강도와 32톤/㎟의 영율을 가졌다.
탄소섬유의 단면은 미세한 불규칙구조를 나타내었다.(제1도 참조. 제1도는 단면구조의 사진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출발피치 30gr을 400℃의 온도에서 600㎖/분의 속도로 질소를 통과시키고 교반하면서 6시간동안 열-처리하였다. 277℃에서 연화하고, 95%의 메조-상을 함유하는 광학이방성 피치(3)를 얻었다.
광학이방성 피치(3)를 미세하게 분쇄한 다음 60℃에서 피치(3) 5g당 용제 100㎖의 비율로 헥산-벤젠 1:1의 혼합용제(용해도 매개변수 : 8.2)로 추출처리하여 헥산-벤젠 혼합용제 불용분을 수집하였다.
헥산-벤젠 혼합용제 불용분을 80℃에서 불용분 3g당 용제 100㎖의 비율로 벤젠-퀴놀린 1:1 혼합용제(용해매개변수 : 10.5)로 추출처리하여 벤젠-퀴놀린 혼합용제 가용분을 수집하였다.
벤젠-퀴놀린 혼합용제 가용분으로부터 용제를 제거하여 220℃에서 연화하고 35%의 메조상을 함유하는 탄소섬유 제조용 피치(4)를 생성시켰다.
이와 같이 제조된 피치(4)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사기를 사용하여 268℃에서 용융방사한 다음 불용화, 탄화 및 흑연화시켜 탄소섬유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탄소섬유의 인장강도는 370㎏/㎟이고, 영율은 48톤/㎟이었다.
탄소섬유의 단면적은 제1도에 유사한 미세 불규칙구조를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1]
35%의 메조상을 함유하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광학이방성 피치(1)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용융방사하였다. 단부파열이 종종 일어났고, 연속방사는 불가능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이 출발피치를 400℃에서 200㎏/㎠·G의 수소압하에 9시간동안 100g의 출발피치에 대하여 3g의 촉매의 비율로, 코발트-몰리브덴 담체 촉매의 존재하에 처리하였다. 다음에 촉매를 분리하여 45℃에서 연화하고 1.0%의 벤젠불용분을 함유하는 수소 첨가된 피치를 얻었다.
수소첨가된 피치 30g을 400℃에서 4시간동안 600㎖/분의 속도로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교반하에 열처리하여 188℃에서 연화하고, 30%의 메조상을 함유하는 광학이방성 피치(5)를 얻었다.
광학이방성 피치(5)를 미세하게 분쇄한 다음, 60중량%의 헥산과 40중량%의 벤젠으로 된 혼합용제(용해도매개변수 : 8.0)로, 60℃에서 피치(5) 3g당 용제 100㎖의 비율로 추출처리하여 헥산-벤젠 혼합용제 불용분을 수집하였다.
다음에 벤젠-헥산 혼합용제 불용분을 90중량%의 벤젠과 10중량%의 퀴놀린으로 구성된 혼합용제(용해도매개변수 : 9.4)로, 80℃에서, 불용분 3g당 용제 100㎖의 비율로 추출처리하여 벤젠-퀴놀린 혼합용제 가용분을 수집하였다.
벤젠-퀴놀린 혼합용제 가용분으로부터 용제를 제거하여, 208℃에서 연화하고 33%의 메조상을 함유하는 탄소섬유 제조용 피치(6)를 얻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탄소섬유제조용 피치(6)를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방사기를 사용하여 253℃에서 용융방사한 다음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불용화, 탄화 및 흑연화시켰다.
이와 같이 얻는 탄소섬유는 390㎏/㎟의 인장강도와 54톤/㎟의 영율을 갖고 있었다.
탄소섬유의 단면은 미세한 양파구조를 가졌다. 단면구조사진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비교실시예 2]
30%의 메조상을 함유하는, 실시예 3에서 사용한 광학이방성 피치(5)를 동일한 방사기를 사용하여 230℃에서 용융방사하였다.
단부파열이 종종 일어났고 연속방사는 불가능하였다. 피치섬유의 사진이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치섬유는 선으로 결합된 불용성 입자에 유사하다.
[실시예 4]
830℃에서 수행한 나프타의 증기열분해에서 부산물로서 형성된 중유의 성질이 표 2에 기재되어 있는 바, 이 중유를 15㎏/㎠의 압력하에 400℃의 온도에서 3시간동안 처리한 다음 250℃/1㎜Hg에서 증류하여 82℃에서 연화하고, 29% 벤젠불용분을 함유하는 출발 피치를 얻었다.
출발피치 30g을 400℃의 온도에서 10시간동안, 600㎖/분의 속도로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교반하에 열처리하여, 321℃에서 연화하고, 98%의 메조-상을 함유하는 광학이방성피치(7)를 얻었다.
광학 이방성피치(7)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용제 추출처리하여, 245℃에서 연화하고 18%의 메조상을 함유하는 탄소섬유 제조용 피치(8)를 얻었다.
이와 같이 제조한 탄소섬유 제조용피치(8)를 295℃에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방사기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한 다음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불용화, 탄화 및 흑연화시켜 탄소섬유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얻은 탄소섬유는 255㎏/㎟의 인장강도와 27톤/㎟의 영계수를 가졌다.
[표 1]
Figure kpo00001
[표 2]
Figure kpo00002
첨부도면에서, 제1도~제3도는 실시예에서 제조된 탄소섬유의 현미경사진이다.

Claims (4)

  1. 용해매개변수가 7.4 내지 9.0인 유기 용제에는 불용성이나, 용해매개변수가 9.2 내지 11.0인 유기용제에는 가용성인, 광학이방성 대역을 5 내지 4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제조용 피치.
  2. 광학이방성 피치를 용해매개변수가 7.4 내지 9.0인 유기용제로 추출처리하여 불용분을 수집하고, 상기 불용분을 용해매개변수가 9.2 내지 11.0인 유기용제로 추출처리하여 가용분을 수집하며, 이에 의하여 5 내지 40%의 광학이방성 대역을 포함하는 피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치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용해매개변수가 7.4 내지 9.0인 유기용제가 4염화탄소, 1,1-디클로로에탄, 1,2-디클로로푸르판, 염화푸로필, 메틸에틸에테르, 푸란, 1-디클로로부탄, 염화 t-부틸, 디에틸에테르, 이소부틸아민, 시클로헥산, 크실렌, 옥탄 또는 쿠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용해매개변수가 9.2 내지 11.0인 유기용제가 2황화탄소, 클로로포롬, 디클로로메탄, 1,1,2-트리클로로에탄,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피리딘, 디클로로벤젠, 클로로벤젠, 벤젠, 나프탈렌 또는 니트로 벤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50009646A 1984-12-28 1985-12-20 탄소섬유 제조용 피치 및 그 제법 KR930006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74280 1984-12-28
JP59274280A JPH0670220B2 (ja) 1984-12-28 1984-12-28 炭素繊維用ピッチの製造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991A KR860004991A (ko) 1986-07-16
KR930006814B1 true KR930006814B1 (ko) 1993-07-24

Family

ID=1753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646A KR930006814B1 (ko) 1984-12-28 1985-12-20 탄소섬유 제조용 피치 및 그 제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20919A (ko)
JP (1) JPH0670220B2 (ko)
KR (1) KR930006814B1 (ko)
DE (1) DE3546205C2 (ko)
FR (1) FR2575487B1 (ko)
GB (1) GB21689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7790A (ja) * 1984-10-05 1986-05-06 Kawasaki Steel Corp 炭素繊維用プリカ−サ−ピツチの製造方法
US4773985A (en) * 1985-04-12 1988-09-27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ethod of optimizing mesophase formation in graphite and coke precursors
DE3603883A1 (de) * 1986-02-07 1987-08-13 Ruetgerswerk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einkohlenteerpech-rohstoffen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und deren verwendung
DE3610375A1 (de) * 1986-03-27 1987-10-01 Ruetgerswerk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hlenstoffaser-vorprodukts und daraus hergestellte kohlenstoffasern
US4816202A (en) * 1986-10-09 1989-03-28 Idemitsu Kosan Co., Ltd. Method of melt spinning pitch
JP2535207B2 (ja) * 1988-06-30 1996-09-18 日本石油株式会社 圧縮物性に優れたピッチ系炭素繊維およびその製造法
US5032250A (en) * 1988-12-22 1991-07-16 Conoco Inc. Process for isolating mesophase pitch
US5437927A (en) * 1989-02-16 1995-08-01 Conoco Inc. Pitch carbon fiber spinning process
US5061413A (en) * 1989-02-23 1991-10-29 Nippon Oi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pitch-based carbon fibers
EP0482560B1 (en) * 1990-10-22 1998-01-2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Spinning pitch for carbon fibers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JP2787517B2 (ja) * 1991-05-16 1998-08-20 日本石油株式会社 圧縮物性に優れたピッチ系炭素繊維の製造方法
KR102529745B1 (ko) * 2021-04-19 2023-05-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인조흑연용 피치의 제조 방법
KR102583031B1 (ko) * 2021-07-01 2023-09-27 한국화학연구원 헤테로상 바인더 피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헤테로상 바인더 피치
KR102389550B1 (ko) * 2021-09-24 2022-04-21 한국화학연구원 2단 용매 추출 방식에 기반하는 중질유 유래 탄소섬유용 이방성피치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63979C (de) * 1945-03-27 1953-01-22 Michael Barthel & Co Verfahren zur Gewinnung von Lackharzen, Teeroelen und Benzolunloeslichem aus Steinkohlenteer
US3087887A (en) * 1959-12-21 1963-04-30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Method for manufacturing of specification paving and industrial asphalts
CA1019919A (en) * 1972-03-30 1977-11-01 Leonard S. Singer High modulus, high strength carbon fibers produced from mesophase pitch
JPS5039633B2 (ko) * 1972-11-11 1975-12-18
US4208267A (en) * 1977-07-08 1980-06-17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Forming optically anisotropic pitches
JPS5456604A (en) * 1977-10-14 1979-05-07 Sumitomo Metal Ind Ltd Pitch having excellent coal-modifying charactreistics
US4184942A (en) * 1978-05-05 1980-01-22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Neomesophase formation
JPS55119792A (en) * 1979-03-07 1980-09-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Operation testing of electrooptical smoke detector
US4277325A (en) * 1979-04-13 1981-07-07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Treatment of pitches in carbon artifact manufacture
US4277324A (en) * 1979-04-13 1981-07-07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Treatment of pitches in carbon artifact manufacture
JPS5657881A (en) * 1979-09-28 1981-05-20 Union Carbide Corp Manufacture of intermediate phase pitch and carbon fiber
JPS5788016A (en) * 1980-11-19 1982-06-01 Toa Nenryo Kogyo Kk Optically anisotropic carbonaceous pitch for carbon material, its manufacture, and manufacture of carbonaceous pitch fiber and carbon fiber
US4402928A (en) * 1981-03-27 1983-09-06 Union Carbide Corporation Carbon fiber production using high pressure treatment of a precursor material
US4443324A (en) * 1982-06-14 1984-04-17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 Low melting mesophase pitches
US4465586A (en) * 1982-06-14 1984-08-14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Formation of optically anisotropic pitches
US4503026A (en) * 1983-03-14 1985-03-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pinnable precursors from petroleum pitch, fibers spun therefrom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US4502943A (en) * 1983-03-28 1985-03-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st-treatment of spinnable precursors from petroleum pitch
FR2804227B1 (fr) * 2000-01-24 2002-12-13 Labinal Ensemble de pilotage et/ou de controle d'organes fonctionnels d'un av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75487A1 (fr) 1986-07-04
FR2575487B1 (fr) 1988-04-29
JPH0670220B2 (ja) 1994-09-07
DE3546205C2 (de) 1994-09-15
GB2168996A (en) 1986-07-02
GB2168996B (en) 1989-01-11
KR860004991A (ko) 1986-07-16
US4620919A (en) 1986-11-04
JPS61155491A (ja) 1986-07-15
DE3546205A1 (de) 1986-07-03
GB8531695D0 (en) 1986-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814B1 (ko) 탄소섬유 제조용 피치 및 그 제법
US4016247A (en) Production of carbon shaped articles having high anisotropy
KR860000421A (ko) 핏치-기제의 탄소 또는 흑연섬유 및 그 제법
JPH0354997B2 (ko)
US4115527A (en) Production of carbon fibers having high anisotropy
JPS635433B2 (ko)
US5340511A (en) Production of carbon fibre
KR880002095B1 (ko) 탄소섬유용 피치
JPH0637725B2 (ja) 炭素繊維の製法
JPS5938280A (ja) 炭素繊維プリカ−サ−ピツチの製造方法
JPS60170694A (ja) 炭素繊維プリカ−サ−ピツチの製造方法
JPH0150275B2 (ko)
JPS59164386A (ja) 炭素繊維用プリカーサーピッチの製造方法
JPS58101191A (ja) メソ相ピツチおよび該ピツチ系炭素繊維の製造方法
DE3311424C2 (ko)
JP2931593B2 (ja) 炭素材料用メソフェースピッチ
JPS58191222A (ja) ピッチ系炭素繊維の製造法
JPS5747921A (en) Preparation of carbon fiber
JPH054434B2 (ko)
JP3018660B2 (ja) 炭素繊維用紡糸ピ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34977A (ja) 等方性ピッチの製造方法
JPH0367123B2 (ko)
EP0172955A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precursor pitch for carbon fiber
JPH0424217A (ja) 汎用炭素繊維用プリカーサーピッチの製造方法
JPH04209830A (ja) 炭素繊維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