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903B1 - 승강 용지함을 갖는 복사기용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승강 용지함을 갖는 복사기용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903B1
KR930005903B1 KR1019900004624A KR900004624A KR930005903B1 KR 930005903 B1 KR930005903 B1 KR 930005903B1 KR 1019900004624 A KR1019900004624 A KR 1019900004624A KR 900004624 A KR900004624 A KR 900004624A KR 930005903 B1 KR930005903 B1 KR 930005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tray
limit position
upper limit
tray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819A (ko
Inventor
무사까 마사떼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리코
켄지 히루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리코, 켄지 히루마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900016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ntrolled by height of pil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강 용지함을 갖는 복사기용 급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급지장치를 적용 가능한 복사기의 단면도.
제2도 및 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급지장치의 개략 투시도.
제4도는 제2도 및 3도에 도시된 급지장치의 사시도.
제5도는 제4도 급지장치의 일부 확대도.
제6도는 급지개구부 부근에 위치한 제4도 급지장치의 배열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7도는 급지장치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제어회로의 조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복사기 22 : 용지공급부
22A,22B,22C,22D,22E : 급지장치 22a,22b,22c,22d : 용지 카세트
22e : 용지함유니트(Paper tray unit) 34 : 용지함
본 발명은 용지함(tray)에 쌓여진 다수의 용지를 한장씩 연속적으로 급지하기 위한, 복사기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승강 가능한 용지함을 갖는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어 전자사진 복사기에 있어서 급지장치는 카세트 혹은 용지함으로부터 용지를 한장씩 공급하게 되어있다. 이같은 형태의 급지에서는 용지함에 재치된 용지중 최상부의 용지가 피드롤러(feed Roller)에 대하여 항상 눌려져야 한다. 따라서 용지함의 전체 혹은 일부에는 이동 가능구조를 제공하고 용지함에 기계적인 힘을 가하여 용지의 최상부가 피드롤러와 압력접촉(pressing contact)되게 하는 것이 보통이다.
한꺼번에 다수의 복사지, 예를들어 1000, 2000 혹은 3000를 공급할 수 있는 다량 급지장치(mass paper feeding device)가 신형복사기에 사용가능하다.
이같은 다량 급지장치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전기모터를 포함한 구동 메카니즘(the drive mechanism)에 의해 상하로 구동된다. 다량급지장치가 이용될때, 용지함(tray)은 그 상단위치에서 지지되고 용지뭉치의 상단은 피드롤러에 대하여 눌려진다. 복사기내에 형성된 급지개구부 부근에 용지가 끼는 것 같은 에러(error)가 발생하면 조작자는 급지개구부의 상태를 보고 만일 용지가 끼었으면 이를 제거한다.
그러나 다수의 용지가 용지함에 적재되어 급지개구부(paper feed opening)를 가리고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에러를 처리할때마다 용지함을 내리기 위해 구동메카니즘을 작동해야 하는 것이다. 특히 용지함에 남아있는 용지수가 비교적 적을때는 용지함의 긴 스트로크(Stroke)로 인해 용지함을 올리거나 내리는데 상당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용지함을 내리고 끼어있는 용지를 제거한 후 용지함을 올린 다음 용지의 상단이 급지용 피드롤러와 접촉할때까지 오래 기다려야 하는 것이다. 즉, 다량 급지장치내에 용지가 끼는 것 같은 에러가 발생했을때 이를 정상상태로 복귀시켜 복사조작을 할 수 있게 하려면 상당히 긴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함 부근에서 용지끼임(paper jam)이나 이와 유사한 에러가 검출되면 그 에러를 제거하여 복사 조작이 다시 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는 승강 용지함을 갖는, 복사기용 급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 용지함을 갖는, 전체적으로 개선된 복사기용 급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급지개구부를 통해 승강 용지함으로부터 다수의 용지를 한장씩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는, 용지함을 상하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카니즘, 용지함에 쌓인 용지를 급지개구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지부재, 용지함의 용지가 상기 급지부재에 의해 눌려지는 위치에 해당하는 용지함의 상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상한 위치센서, 용지함의 하한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하한 위치 센서, 및 용지함이 상한위치에 있는 동안 급지개구부의 부근에서 에러가 검출되면 용지함이 상한 및 하한위치 사이에 개재하는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정해진 스트로크만큼 용지함을 낮추는 구동메카니즘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을 구현화하는 급지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복사기 1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는 각종원고 이송장치(automatic document feeder,ADF)에 의해 자동적으로 혹은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유리플라텐 14로 이송되어 그 상부에 재치된다. 유리플라텐 14하부에는 유리플라텐14에 재치된 원고를 주사하기 위한 광학계 16이 설치되어 있다.
원고로부터의 반사, 즉 광화상이 감광드럼 18상에 집광되며 그 결과 원고를 나타내는 정전잠상이 상기 감광드럼 18상에 정전기적으로 형성된다. 이 정전잠상은 현상유니트 20을 지나는 동안 토너에 의해 현상된다. 현상된 화상 혹은 토너상은 용지공급부 22로부터 감광 드럼 18로 향해 이송된 용지와 일치된다.
전사차저(transfer charger) 24는 토너상을 감광드럼 18으로부터 용지에 전사시킨다. 토너상을 담고 있는 용지는 분리차저(separation charger) 26에 의해 강광드럼 18에서 분리된 후 벨트 28에 의해 정착유니트(fixing unit) 30으로 이송된다. 정착유니트 30을 나온 용지는 소터(sorter) 32로 향해 구동된다. 소터 32는 이같은 용지가 배분되는 복수의 빈(bins)을 갖는다.
본 발명은 복사기 10의 구조에 직접 관련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기 복사기 1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급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용지공급부 22는 5개의 급지장치 22A, 22B, 22C, 22D 및 22E를 갖는다. 상부의 4개 장치 22A, 22B, 22C 및 22D에는 각각 용지 카세트 22a, 22b, 22c 및 22d가 제공된다. 용지카세트 22a 내지 22d 각각은 외부로부터 복사기에 끼워져 삽입되고, 또한 해당하는 급지개구부로부터 탈착가능하게 되어있다. 최저부 급지장치 22E에는 용지함유니트 22e가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용지함유니트 22e는 급지장치 22A 내지 22E중 어느 하나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용지카세트 22a 내지 22d 중 어느 하나가 용지함유니트 22e 대신 최저부급지장치 22E상에 설치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제2도에 의하면, 용지함유니트 22e는 용지함(tray) 34 및 내부에 있는 한쌍의 측면 가이드 36 및 38을 갖는다. 용지함 34에는 최대 1000장을 적재할 수 있다. 용지함 34에 적재된 용지뭉치의 상단은 제3도에 도시된 구동메카니즘 40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해진 수준으로 유지된다. 보다 상세히는, 구동메카니즘 40은 전기모터 42를 가지며 용지함 34의 위치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용지함 34는 제3도에서의 한쌍의 지지바(support bar) 44 및 46상에 견고하게 지지되며 이들 지지바는 구동메카니즘 40에 의해 상하로 구동된다. 트랜스미션(transmission) 방식의 광학센서 혹은 하한센서가 용지함 34의 하한위치를 검출한다.
제4도는 용지함유니트 22e 및, 상기 용지함유니트 22e가 수납되는 최저부 급지개구부 내부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 50a는 용지함유니트 22e 혹은 용지카세트 중 어느 것을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급지개구부의 우측에 위치한다.
이와 유사한 가이드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급지개구부의 좌측에 위치한다. 지지부재 52 및 54는 용지함 유니트 22e의 후면상단에서 각각 가이드 부재 50a 및 50b와 부합되도륵 돌출되어 있다. 픽-업 롤러 어셈블리(a pick-up roller assembly) 56이 용지함유니트 22e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어셈블리 56 및 피드롤러 60이 구동축 58에 설치되어 있다. 피드롤러 60은 구동축 58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 픽업롤러어셈블리 또는 단지 구동축에 의해 지지되어 그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되어있다. 용지카세트중 어느 하나가 급지개구부에 세트되면 픽업롤러 어셈블리 56은 구동축 58로부터 제거된다.
픽업롤러어셈블리 56은 각각 회전가능한 픽업롤러 62와 기어 64를 갖는다. 기어 66은 픽-업 롤러 62에 공동축으로 고정되고 기어 64와 맞물린다. 이와같이 하여 기어 68은 피드롤러 60과 공동축으로 고정되고 기어 64와 맞물린다. 이 구조에 있어서, 구동축 58이 회전됨에 따라 이는 피드롤러 60을 회전시키며 이는 다시 기어 68, 64 및 66을 통해 픽업롤러 62를 회전시킨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광학센서 70 및 72가 유지함유니트 22e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픽업롤러어셈블리 56부근에 위치한다. 센서 70 및 72 각각은 서로 마주보는 광방출 다이오드와 광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센서 70 및 72는 각각 용지 끝단검출센서 및 상단 검출센서로서의 역활을 한다.
용지함유니트 22e는 센서 70 및 72의 전방에서 축 76이 고정되는 프레임 74 를 갖는다. 필러(Feelers) 78 및 80은 상기 7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필러 78은 축 76에 지지된 허브(hub) 78a, 센서 70을 향해 뻗어있는 광차단면 78b 및 하부로 신장되고 상당길이를 갖는 검출편 78c를 갖는다. 검출편 78c 하부에 설치되는 것은 용지함 34상에 쌓여진 용지이다. 단 한장의 용지라도 용지함 34에 존재한다면 이는 검출편 78c를 들여올려 광차단면 78b가 센서 70의 광학통로내로 들어가게 한다. 용지함 34에 용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검출편 78c는 센서 7O 외측의 광차단편 78b까지 내려간다.
이와같이 하여 센서 70의 출력신호는 용지함에 용지의 존재 유무에 따라 2가지 수준중 어느 하나를 갖는다. 필러 80은 축 76에 의해 지지되는 허브 80a, 센서 72로 향하여 뻗어 있는 광차단편 80b, 및 픽업롤러 어셈블리 56을 향해 뻗은 검출편 80c를 갖는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뭉치 82는 픽업롤러 62 하부에 있는 용지함 34에 적재된다. 픽업롤러 62는 중력때문에 용지뭉치 82의 상단에 놓인다. 용지뭉치 82가 상승함에 따라 이는 픽업롤러 62에 힘을 가하고 이에 따라 검출편 80c를 위로 움직이게 한다.
보다 상세히는, 용지뭉치 82의 상단이 특정기준 수준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한 필러 80의 광차단편 80b 는 센서 72의 광학통로내에 남이있는다. 그러나 용지뭉치 82의 상단이 기준수준이상으로 올라가면 광차단편 80b는 센서 72의 광학통로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와같이 센서 72의 출력신호는 용지뭉치 82의 상단수준에 따라 2가지 수준중 어느 하나를 갖는다. 용지뭉치 82의 상단이 센서 72에 의해 검출됨에 따라 기준 수준 이하로 위치되면, 제3도에서의 모터 42가 작동되어 용지함 34를 상승시키고 이에따라 용지뭉치 82가 상승된다. 용지뭉치 82의 상단이 기준 수준에 도달됨에 따라 센서 72는 이를 검출하여 모터 42의 작동이 중단된다.
픽업롤러 62와 피드롤러 60이 최상단용지부터 순차적으로 용지를 공급하는 동안 용지뭉치 82의 상단은 기준수준 이하로 낮아진다. 그후 센서 72이 출력에 따라 모터 42가 다시 구동되며, 이에 따라 용지뭉치 82가 상승한다. 모터 42는 용지뭉치 82가 기준수준으로 복구되자 마자 작동을 멈춘다. 이 방법으로 용지뭉치 82 는 항상 정해진 수준으로 유지된다.
제7도에 따라 용지공급부 22의 조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함 34를 구동시키는 모터 42는 2개의 고형 릴레이 84 및 86의 출력단자와 AC 전원 85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갖는다. AC 전원 85는 AC 전원(100V)을 모터 42에 인가시킨다. 고형릴레이(solid-state relays) 84 및 86은 모터 42의 회전방향을 절환(switching)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며, 이에 따라 용지함 34가 상승하거나 하강된다. 콘트롤러 88은 마이크로 컴퓨터로써 설치되며, 고형릴레이 84와 86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하한센서 48, 용지끝단센서로 작동하는 센서 70 및 상한센서로 작동하는 센서 72는 콘트롤러 88의 입력 단자로 연결된다.
콘트롤러 88의 다른 입력단자에 연결된 것은 용지함 34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에 감응하는 용지크기 센서 94 및 용지함 34에 남아있는 용지량에 감응하는 용지량 센서 96이다. 주스위치(a key switch) 90(제2도 참조)는 용지공급부 22의 상단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조작자에 의해 조작된다. 도어스위치 92는 도어 98, 제 4도의 위치에 감응되며, 이는 용지공급부 22의 외측단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콘트롤러 88은 복사기본체의 도시되지 않은 시스템 콘트롤러와외 여러가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라인으로 연결된다.
예를들어, 콘트롤러 88은 용지가 공급될 수 있는지 아닌지, 즉 용지함 34이 상한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달하며, 반면 시스템 콘트롤러는 용지끼임이 급지개구부부근에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한다.
제8도 내지 13도에 따라 콘트롤러 88의 작동에 대하여 기술한다.
제8도는 메인루틴(main routine)을 나타내며, 한편 제9도 내지 13도는 주루틴에 포함된 각각의 서부루틴을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서는 플랙(a flag) FTIM은 용지함 34가 주스위치 90의 조작에 의해 하강된 것을 나타내며, 플랙 FPEND는 용지함 34가 용지끝단 상태에 기인하여 하강된 것을 나타내며, 플랙 FUPM은 주스위치 90을 통해 야기된 용지함 34의 하강후 예정된 시간이 경과하는지의 여부를 정하며, TCNT는 타이머 카운트를 의미하며, 카운터 JCNT는 용지끼임의 경우에 사용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ON되면 초기화가 수행된다(스텝2,S2). 그후 통신프로세싱(S3), 업체크(S4), 개방/폐쇄체크(S5), 다운체크(S6), 타이머프로세싱(S7), 및 에러체크(S9)로 이루어진 반복프로세싱루프가 진행된다.
통신 프로세싱 S3에서는, 콘트롤러 88은 복사기 10의 시스템 콘트롤러와 여러가지 정보를 교환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체크 서브루틴(S4,제8도)은 플랙 FTIM의 상황을 측정하기 위한 S11로 시작된다. 통상 플랙 FTIM은(논리,logical) "0"이며, 이에따라 프로그램은 S12로 진행된다. S12에서는 플랙 FPEND의 상태가 측정된다.
통상 플랙 FPEND는 "0"이며, S13은 하한센서 48이 ON 상태인지의 여부를 알기 위해, 즉, 용지함 34가 그 하한위치에 유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알기 위해 수행된다.
S13의 답이 NO이면, 프로그램은 S14로 진행하며, 반면 YES이면 프로그램은 S14을 거치지 않고 S15로 진행된다. S14에서는 상한센서인 센서 72가 OFF상태인지의 여부, 즉, 용지함이 상한 위치가 아닌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가 측정된다. S14단계의 답이 YES이면, 고형 릴레이 84를 동작시키기 위한 단계 S5가 수행된다. S15수행후에는 센서 72가 ON상태인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 S16이 수행된다. S16의 답이 YES이면, 이는 용지함 34가 상한위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릴레이 84의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한 단계 S17이 수행 된다.
상술된 수행절차에 의해 용지함 34에 적재된 용지뭉치의 상단이 정확한 용지공급수준 이하로 떨어질때까지 용지가 순착적으로 소비됨에 따라 릴레이 84가 작동되어 모터 42를 전방으로 구동시켜 이에 따라 용지함 34가 상승된다. 용지뭉치의 상단이 적정수준에 도달하자마자, 즉 용지함 34의 상한위치가 검출되면, 모터 42를 OFF시키기 위해 릴레이 84의 작동이 중지되며, 그 결과 용지함 34는 정지된다. 단계 S11의 답이 YES이면 콘트롤러 88은 단계 S18내지 W20을 수행한다는 것도 주목된다.
제10도에는 다운체크단계(제8도의 단계 S6)가 도시되어 있다. 단계 21에서는, 콘트롤러 88이 상한센서 72가 ON상태인지의 여부, 즉 용지함 34가 상단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측정한다. 단계 S21의 답이 YES이면, 프로그램은 용지함 34에 용지가 존재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즉 용지끝 상태가 일어났는지의 여부를 알기 위하여 용지 끝센서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단계 S22가 진행된다. 단계 S22의 답이 NO라면, 주스위치 90의 상태를 알기 위한 단계 S23이 수행된다.
통상 조작자가 주스위치 90을 ON한다면, 프로그램은 단계 S24및 S25를 지나 단계 S26으로 나아간다. 단계 S25에서는, 플렉 FTIM이(논리) "1"로 세트되며 단계 S26에서는 고형릴레이 86이 작동된다. 단계 S27에서는, 하한 센서 48의 상태가 측정된다. 센서 48이 ON상태이면, 릴레이 86의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한 단계 S28이 수행된다.
보다 상세히는, 용지잔량을 알기 위해 혹은 용지를 공급하기 위해 조작자가 주스위치 90을 조작하면, 모터 42는 용지함 34를 하한위치까지 낮출 준비를 하고 용지함 34가 하한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작동을 중지한다. 동시에 플랙 FTIM은 "1"로 세트된다.
제11도에 도시된 타이머프로세싱은 상술된 바와 같이 플랙 FTIM이 "1"로 세트되었는가의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단계 S41로 시작된다. 단계 S41의 답이 YES이면, 콘트롤러 88은 카운터 TCNT를 먼저 작동시키고, 그후 이 단계가 수행될때마다 카운터 TCNT틀 순차적으로 증대시킨다(단계 S42).
주스위치 90이 ON된후 일정시간(예를들어 1분)이 경과하면, 카운터 TCNT가 일정값에 도달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S43). 단계 S4 3 의 답이 YES이면 플랙 FUPM은 "1"로 세트된다(단계 S44). 그리고나서 단계 S45에서 카운터 TCNT는 클리어(clear)되어 무력화된다.
제9도를 다시 참조하면, 단계 S18에서 측정되는 바와 같이 플랙 FUPM이 세트되면, 플랙 FTIM이 클리어되고(단계 S19) 그후 플랙 FUPM은 클리어된다(단계 S20). 그후 단계 S15가 수행된다.
단계 S15가 수행되면, 모터 42의 작동이 중지되어(단계 S17) 용지함 34가 정지된다. 이같은 절차에 의해, 주스위치 90에 의해 용지함 34가 저하되어 이같은 위치에 남을때, 이는 정해진 시간경과시 작동으로 상한위치로 돌아간다. 그러나, 용지공급부 22의 도어 98이 제12도에 도시된 단계 S51에서 측정된 바와 같이 개방되면, 콘트롤러 88은 단계 S52를 수행하여 모터 42의 작동을 멈춘다. 단계 S53내지 S55에서는, 플랙 FTIM, FPEND, 및 FURM이 클리어되어 용지함 34가 이동하지 않게 된다. 용지끝 상태가 제10도의 단계 S22에서 측정됨에 따라 프로그램은 단계 S29로 진행되며, 이에 따라 단계 S25는 수행되지 않는다. 그 결과 용지함 34는 상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용지함 34가 상한위치에 있는 동안 용지끝상태가 검출되면(단계 S21및 S22,제10도), 플랙 FPEND가 세트되며(단계 S29), 릴레이 86이 작동되며(단계 S30), 또한, 용지함이 하한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가 측정된다(단계 S31).
단계 S31의 답이 YES이면, 릴레이 86이 작동중지된다(단계 S32). 결과적으로 모터 42는 OFF되어 용지함의 운동이 중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함 34에 용지가 전부 소진되면, 용지는 자동으로 하한위치까지 하강한다. 제13도는 에러체크 서브루틴(제8도의 S8)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기 10이 콘트롤러에게 S61에서 측정되는 바와 같이 용지끼임의 발생을 알려주면, 릴레이 86이 작동되어 모터 42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고 용지함 34를 하강시킨다(단계 S62).
상한센서 72가 단계 S63에서 측정된 바와 같이 상한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중지하면, 콘트롤러 88은 카운터 JCNT가 일정값에 도달할때까지 카운터 JCNT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카운터 JCNT가 일정값에 도달하면, 즉 용지함 34가 단계 S65에서 측정된 바와 같이 상한위치로부터 이동된 후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릴레이 86은 작동중지되고 카운터 JCNT는 클리어된다(단계 S66).
보다 상세히는, 급지작동이 진행하는 도중에 용지공급개구부 부근에서 용지끼임이나 이와 유사한 에러가 발생하면(용지함 34는 상한위치에 머무르고 있는 상태), 용지함 34는 자동으로 하강한다. 이때, 상기 용지함 34의 하향이동은 비교적 적으며, 즉 용지함 34은 용지와 피드롤러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이 제거된 후 오직 사전에 설정된 스트로크(Stroke)만큼 하강되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 경우, 용지함 34의 하강 위치는 상한 및 하한 위치사이에 있다. 이같은 용지함 34의 작은 범위는 조작자가 용지공급개구부의 상태를 보거나 끼어있는 용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용지공급 개구부 앞에서 픽업롤러 62의 하단과 용지뭉치 82의 상단사이의 최소한의 필요한 공간 S을 형성한다(제6도 참조). 한편, 조작자가 상기 공간 S을 통해 끼어있는 용지를 제거한후 도어 98을 닫으면, 예를들어, 용지함 34는 제9도에 도시된 프로세싱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된다.
상술한 하향 스트로크와 같이, 상향 스트로크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용지함 34는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상한위치(적정 용지공급위치)에 도달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장시간 기다리지 않고도 급지동작을 속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지공급 개구부 부근에서 용지끼임이나 이와 유사한 에러가 발생되면, 용지함 34이 모터 42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는 용지 공급압력을 제거하고 용지함 34을 상한위치와 하한위치 사이의 위치에 멈추게 하여 용지공급 개구부앞에서 픽업롤러 62와 하단과 용지뭉치 82의 상단사이의 공간 S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조작자는 그 공간 S을 통하여 끼어있는 용지를 보고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용지함 34은 하한위치보다 상부에 있기 때문에, 끼어있는 용지를 제거한 후 용지함이 상승될때 비교적 짧은 스트로크에 의해 상한위치까지 복귀될 것이다. 이는 조작자로 하여금 최소한의 대기시간으로 용지공급조작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을 근거로 하여 이 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상승 가능한 용지함수단(tray means)에 적재된 다수의 용지를 용지공급개구부를 통해 한장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용지함수단을 상하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 용지함수단에 적재된 용지를 용지공급 개구부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급지수단 ; 상기 용지함수단에 적재된 용지가 상기 급지수단에 의해 눌려지는 위치에 해당하는 용지함수단의 상한위치(upper limit position)를 검출하기 위한 상한위치 검출수단 ; 상기 용지함수단의 하한위치(lower limit position)을 검출하기 위한 하한위치 검출수단 ; 및 상기 용지함수단이 상기 상한위치에 있는 동안 용지 공급 개구부의 부근에서 에러가 검출되었을때, 상기 용지함 수단이 상기 상한위치와 하한위치 사이의 위치에 도달될때까지 정해진 스트로크(stroke)만큼 상기 용지함수단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용 급지장치.
  2.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함수단이 상한위치와 하한위치 사이의 위치까지 하강될때 픽업롤러 62의 하단과 용지뭉치 82의 상단사이에서 에러(Error)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크기를 갖는 공간(Spsce)(S)이 상기 용지공급 개구부에 인접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용 급지장치.
KR1019900004624A 1989-04-06 1990-04-04 승강 용지함을 갖는 복사기용 급지장치 KR930005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7473 1989-04-06
JP1087473A JPH02265825A (ja) 1989-04-06 1989-04-06 昇降給紙トレイ装置
JP?1-87473 1989-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819A KR900016819A (ko) 1990-11-14
KR930005903B1 true KR930005903B1 (ko) 1993-06-25

Family

ID=1391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624A KR930005903B1 (ko) 1989-04-06 1990-04-04 승강 용지함을 갖는 복사기용 급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23637A (ko)
JP (1) JPH02265825A (ko)
KR (1) KR930005903B1 (ko)
DE (1) DE4011296A1 (ko)
GB (1) GB22299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20429C1 (ko) * 1990-06-27 1991-11-21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6900 Heidelberg, De
JP2884737B2 (ja) * 1990-08-02 1999-04-19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472183A (en) * 1994-03-17 1995-12-05 Nisca Corporation Sheet feeding device with multiple sheet stackers
DE4426298A1 (de) * 1994-07-25 1996-02-08 Avery Dennison Corp Einzelblatteinzug
WO1996011111A1 (fr) * 1994-10-06 1996-04-18 Pfu Limited Systeme et dispositif d'alimentation en papier pour imprimantes
JP3682836B2 (ja) * 1998-10-30 2005-08-17 リコー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93388B2 (ja) 1998-11-10 2009-07-08 東北リコー株式会社 印刷装置における給紙装置
JP3978354B2 (ja) * 2002-03-08 2007-09-19 パナソニック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複合機及び複写機
US7029006B2 (en) * 2002-08-29 2006-04-18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238161A (ja) * 2003-02-06 2004-08-26 Sharp Corp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751293B2 (ja) * 2003-07-02 2006-03-01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533878B2 (en) * 2004-06-10 2009-05-19 Lexmark International, Inc. Printer media transport for variable length media
US7568850B2 (en) * 2004-08-18 2009-08-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stack control
EP1717174B2 (de) * 2005-04-27 2012-06-27 Koenig & Bauer AG Anleger mit Sicherheitseinrichtung
US20060244197A1 (en) * 2005-04-29 2006-11-02 Ecr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holding imaging plates and/or delivering imaging plates to an imaging system
JP4123444B2 (ja) * 2005-05-11 2008-07-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084289A (ja) * 2005-09-22 2007-04-05 Oki Data Corp 印刷装置
CN101516750B (zh) * 2006-09-13 2013-01-09 株式会社东芝 纸张类处理装置、纸张类取出装置及纸张类取出装置的取出方法
JP5146103B2 (ja) * 2008-05-19 2013-02-20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積載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29683B2 (ja) * 2014-03-17 2018-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32600A (ja) * 2016-01-28 2017-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
JP6858551B2 (ja) * 2016-12-26 2021-04-14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給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89088B (de) * 1963-11-07 1965-03-18 Roland Offsetmaschf Vorrichtung zum Abfuehlen der Hoehe von Bogenstapeln
US3558127A (en) * 1968-11-19 1971-01-26 Xerox Corp Sheet handling apparatus
DD115336A1 (ko) * 1974-03-28 1975-09-20
US4332375A (en) * 1979-05-10 1982-06-01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Copy sheet-feeding apparatus
DE3618728A1 (de) * 1985-06-04 1986-12-04 Ricoh Co., Ltd., Tokio/Tokyo Steuerungseinrichtung fuer die papierzufuehrung in einem kopiergeraet
US4801135A (en) * 1987-06-19 1989-01-31 Xerox Corporation Sheet handling apparatus
US4852869A (en) * 1987-07-31 1989-08-01 Kabushiki Kaisha Toshiba Feed apparatus capable of feeding image forming media by relatively small drive p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819A (ko) 1990-11-14
JPH02265825A (ja) 1990-10-30
GB2229999A (en) 1990-10-10
GB9007696D0 (en) 1990-06-06
DE4011296A1 (de) 1990-10-11
US5123637A (en) 1992-06-23
GB2229999B (en) 199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903B1 (ko) 승강 용지함을 갖는 복사기용 급지장치
US4108427A (en) Feeding device
US5060923A (en) Automatic document conveying device for an image processing machine
US558134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removable waste toner collecting container
JPS6333153B2 (ko)
JP3467144B2 (ja) 綴じ原稿検出機能を備えた自動原稿送り装置
JPH0920434A (ja) 画像形成装置
JPH0616194B2 (ja) 電子写真装置
US613796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2265824A (ja) 昇降給紙トレイ装置
JPS6265851A (ja) 給紙装置の制御方法
JPH054733A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3622531B2 (ja) シート供給装置
JP2654471B2 (ja) 電子写真複写装置
JPH02204224A (ja) 給紙装置
JPS6265863A (ja) 給紙装置の制御方法
JPS6265845A (ja) 給紙装置の制御方法
JPH07277533A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供給装置
JP2558460Y2 (ja) 給紙装置
JPH05741A (ja) 給紙装置
JPS59177228A (ja) 画像形成装置
JPS6265846A (ja) 給紙装置の制御方法
JP3365666B2 (ja) 画像形成装置
JPS6283939A (ja) 給紙装置の制御方法
JPS6265848A (ja) 給紙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