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989B1 - 용강제어 정련법 및 정련장치 - Google Patents

용강제어 정련법 및 정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989B1
KR920009989B1 KR1019850006824A KR850006824A KR920009989B1 KR 920009989 B1 KR920009989 B1 KR 920009989B1 KR 1019850006824 A KR1019850006824 A KR 1019850006824A KR 850006824 A KR850006824 A KR 850006824A KR 920009989 B1 KR920009989 B1 KR 920009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gas
ladle
refining
bo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583A (ko
Inventor
가쯔히꼬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덴끼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나까하라 쯔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덴끼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나까하라 쯔네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덴끼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2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10Handling in a vacu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강제어 정련법 및 정련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실시예의 도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시간과 래들(ladle)내의 분위기 압력의 변화 및 용강온도 강하의 관계도.
제3도는 본 발명 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 버블링(bubbling)처리시간과 용강의 산소 함유량의 변화의 관계도.
제4도는 피아노 선재 SWRA 82A의 통상의 생산에 있어서의 처리시간 히스토그램.
제5도는 탈산 모니터계에 의한 탈산속도의 온라인 산출의 일예로, 약 10분에서 처리가 한계에 가까와짐을 나타낸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동종의 강의 처리 전후의 산소함유량의 히스토그램.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선재 SAE 9254의 비금속 개재물 직경 분포를 대기압하 버블링에 의한 것과의 비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래들 2 : 강제(鋼制)측벽
3 : 상부기밀덮개 4 : 하부기밀덮개
5,8 : 배기 덕트 6 : 필터식 제진 장치
7 : 필터 9 : 수봉식 진공펌퍼
10 : 봉수(封水)제어장치 11 : 기공 플러그
12 : 가스 홀드 업(hold up)제어계 13 : 레벨센서
14 : 압력조절밸브 15 : 진공배기밸브
16 : 제어기 17 : Co 농도계
18 : 기온계 19 : 퐁속계
20 : 진공펌프 회전수계 21 : CPU
22 : 탄산 모니터계 23 : 불활성 가스 취입 밸브
본 발명은 강의 인성, 내피로성, 냉간가공성 등에 대하여 유해한 강중산소 및 비금속 개재물 양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저감시키는 용강제어 정련법 및 그 정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품질 강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비금속 개재물의 양과 형태의 제어는 중요하며, 그를 위해서는 비금속 개재물의 원인의 하나인 용강중 산소의 저감과 용강중에 부유하고 있는 비금속 개재물을 분리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 탈산, 탈 개재물을 효율좋게 행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여러가지 로의 정련법이 실시 또는 제안되어 있다. 이는, 용해로에서는 예비정련만 행하고, 로의 래들에 있어서 마무리 정련을 행하는 방법이며, 본 발명도 이 로의 정련의 일종인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상, 이하에 여러가지 종래의 로외정련의 원리와 특징을 설명한다.
(1) 진공 탈가스법
이 방법은 특수강의 용융제련의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그 원리는 미탈산 내지 반탈산 용강을 고도의 진공하에서 교반하고, Co 반응을 급격히 유발시켜 탈수소와 탈산을 행하는 것이다.
얻어진 강의 수소 및 산소함유량은 극히 적으며, 비금속 개재물도 적지만, 약점으로서 슬래그 층을 배제하여 용강을 직접진공으로 노출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현탁한 비금속 개재물 입자의 슬래그 에의 흡착제거는 행해지지 않는다. 또 하나의 결점으로는 높은 진공도(
Figure kpo00001
1 Torr)를 요하고, 그를 위한 대용량 증기배출기가 사용되므로, 에너지 비용이 극히 높아진다.
(2) 래들·로법
이 방법은 탈산, 탈 개재물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원리는 래들을 Heroult 식 전기로와 같은 구조로 하고, 정련중 카바이드 슬래그를 공급한다. 반응촉진을 위해 래들 저부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아아크가 불안정하지 않을 정도로 취입하여 가스 버블링을 행하는 방법이다.
이로써 필요충분한 품질의 강이 얻어지지만, 설비비가 상당히 높을 뿐 아니라, 반응속도가 작기 때문에 처리시간이 길며, 그 결과 가열전력, 내화물, 전극봉 등 조업비용도 상당히 높아지는 결점이 있다.
(3) 가스 버블링법
이 방법은 주로 온도 균일화와 탈 개재물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원리는 통기성 내화물을 통하여 불활성 가스를 이미 금속탈산된 용강에 취입하고, 비등처리하여 현탁한 비금속 개재물을 슬래그에 흡착제거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작업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지만, 탈산, 탈 개재물은 모두 불충분하다. 그 이유는 취입된 불활성 가스기포는 진공 탈가스법 (1)과 같이 강렬한 Co 비등반응을 유발시키지 않으며 용강이 분위기 공정에 의해 산화되기 때문이다.
(4) Ca 합금 취입법
이 방법의 원리는 Ca 합금가루를 불활성 가스와 함께 내화물 관을 통하여 직접 용강에 취입하고, 동시에 용강표면은 비산화성 염기성 슬래그로 덮어서 탈산, 탈황, 탈 개재물을 행하는 것이다.
얻어진 강의 품질수준, 반응속도는 모두 좋고, 설비비도 그다지 높지 않으나, 비싼 Ca 합금과 아르곤 가스를 다량으로 필요로하므로, 작업 비용에도 난점이 있을 뿐 아니라 Ca 또는 A1 등을 포함해서는 안되는 강종류에 대해서는 부적절하다.
상술한 종래 방법에서는, 각각 일장일단이 있으며, 높은 품질을 얻으려면 비용이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강의 탈산 및 탈 개재물을 효과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조건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1) 처리되는 용강을 정련 방식, 처리시간, 정련 목표 수준에 따라 적절한 예비정련이 필요하다.
(2) 탈산, 탈개재물 속도를 높이기 위해 용강의 교반이 불가피하며, 진공탈가스 처리와 같은 강렬한 Co 비등반응이 바람직하다.
(3) 비금속 개재물을 흡착제거시키기 위해 슬래그로 용강을 덮는 것. 슬래그 조성으로서는 비산화성이며, 또 탈황 및 복황방지를 증시하는 경우에는 염기성일 것.
(4) 정련중, 용강 및 슬래그 산화를 완전히 방지할 것. 슬래그중의 FeO 농도는 1%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는 먼저 가스 버블링법에 있어서의 비등현상에 미치는 분위기 압력의 영향을 상세히 관찰함과 동시에, 비동반응을 해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중요한 사실을 알아내었다.
즉, 용강초기조건, 슬래그 조성, 특성, 버블링 강도 및 분위기 압력(래들내의 분위기)등의 조건을 적절하게 함으로서, 효과적인 탈산 및 탈개재물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들 적정 조건을 해명하고, ① 가스 버블링법을 베이스로 하여, ② 이들을 진공에 가까운 저압력에 의해 진공 탈가스법과 같은 강렬한 Co 비등 반응을 유발시킴과 동시에 비산화 분위기를 확보하고, ③ 이때 탈개재물을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 반탈산용강을 적절한 슬래그와 함께 비등처리하고 ④ 조업비용을 대폭 낮추기 위해 필요 최저한도의 진공도를 얻음에 있어, 예를들어 수봉식 진공펌프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런 방법에 기초를 둔 발명은 일본국 특허출원 소56-75574호(특허공개 소57-192214호)로 출원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허공개소 57-192214호에 기술된 것과 관련하는 것으로서, 반탈산용강을 래들에 넣고 그 용강 표면을 비산화성 내지 FeO 5% 이하인 슬래그로 덮고 그 용강 상방의 분위기 압려을 30 내지 150 Torr로 하고, 상기 래들 저부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3분간이상 가스 버블링처리를 하는 방법 및 그 장치이다. 그후의 실시에 의해 상기 용강의 비등반응시의 용강비등 높이로서 후에 상술하는 바와같이, 가스 홀드·업(△H/H)을 0.1 내지 0.5의 예정치로 제어하여 처리를 행하면, 항상 신속하고 안정된 반응속도가 얻어짐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특징으로서 상기 버블링처리시에 비등강도로서 가스 홀드·업(△H/H)을 0.1 내지 0.5의 예정치로서 제어하는, 신속하고 안정된 용강제어 정련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제2특징으로서, 상기 가스 홀드업(△H/H)을 0.1 내지 0.5의 예정치로 하면서, 진공배기가스중의 Co 농도와 유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탈산진행 상황을 모니터하면서 정련종점을 온라인으로 판정하는 용강제어 정련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제3특징으로서, 상기 제1,제2방법의 실시에 사용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즉 측벽을 기밀구조로 하고, 또 상하에 진공 덮개를 셋트하여 전체를 기밀로 하고, 저부에 불활성가스 취입장치를 설치한 래들과, 상기 상부진공 덮개에 배기 덕트를 통해서 연결된 수봉식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 상류측에 설치된 필터식 제진장치와, 마찬가지로 하류측에 부설된 봉수를 순환하고 또 그 수온을 30℃ 이하로 유지하는 봉수제어장치를 구비하고, 또 용강 비등높이를 검출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장치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가스취입 압력조절밸브 및 진공배기 밸브를 자동조절할 수 있는 제어기로 아루어지는 가스 홀등·업 제어계를 구비한 용강 정련장치이며, 또 상기 장치에 부설되는 장치를 포함하는 용강정련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래들로서, 저부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기 위한 통기성 내화물로 이루어지는 기공성 플러그(11)가 설치되어 있다. 래들(1)의 강제측벽(2)은 기밀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기밀덮개(3)가 셋트되고, 하부에는 기밀덮개(4)가 셋트되어 랜들(1)내부가 기밀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 기밀덮개에는 배기 덕트(5)를 거쳐서 필터식 제진장치(6)가 접속되어 있다. 제진장치(6)는 내부의 필터(7)에 배기를 통과시켜 주므로서 분진을 제거하는 것이다.
제진된 배기는 배기 덕트(8)을 통해서 수봉식 진공펌프(9)에 의해 배기된다. 수봉식 진공펌프의 도달 진공도는 별로 좋지 않지만, 진공도 30 내지 150Torr가 적합하고, 게다가 조업 비용이 싸며, 정비도 용이하다.
수봉식 진공펌프(9)의 하류측에 봉수제어장치(10)가 부착되어 있다. 봉수 제어장치(10)는 진공펌프(9)의 봉수를 순환시키고, 또 그 수온을 3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기밀덮개(3)에는 용강의 비등높이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레벨센서(13)가 설치되어 그 신호를 받고, 기공성 플러그(11)로의 취입가스 압력조절밸브(14)와 배기 덕트(5)중에 있는 진공 배기밸브(15) 및 불활성 가스 취입밸브(23)등을 제어하는 제어기(16)등으로 이루어진 가스 홀드업 제어계(12)를 설치한다. 진공펌프(9)의 하류측 덕트내에 Co 농도계(17), 기온계(18), 풍속계(19) 또는 풍속계(19) 대신에 진공펌프 회전수계(20)를 설치한다. 이들의 각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는 CPU(21)에 입력하여 본 장치의 운전중 Co 총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탈산량을 연속적으로 산출한다. 상기 장치(17,18,19,20) 및 CPU(21)는 탈산 모니트계(22)를 이룬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정련장치에 의해 본 발명의 용강제어 정련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용해로(예를들면, 전기 아아크로)에 있어서, 용강은 Mn 또는 Si에 의해 예비 탈산되고, 비산화성 및 염기성 슬래그와 함께 래들(1)로 출강된다.
래들(1)을 하부기밀덮개(4)위에 정치하고, 다음에 래들(1)위에 상부 기밀덮개(3)를 셋트한다. 수봉식 진공펌프(9)를 운전하여 래들(1)중의 공기를 배기하고, 제진장치(6)에서 분진을 제거하면서 배기한다.
래들(1)내의 압력을 30 내지 150Torr로 유지하면서 래들(1)의 저부의 기공성 플러그(11)를 통해 불활성가스, 예를들면 N2또는 Ar 가스등을 용강(12)중에 취입하고, 분위기 압력 30 내지 150Torr의 상태에서 3분간 이상 유지하여 강력한 가스 버블링(비등)처리를 행한다.
200Torr 보다 높은 분위기 압력에서는 버블링에 의해 교란이 일어나지만, 분위기 압력이 200Torr 이하로 되면, 버블링 현상을 단순한 교란으로부터 일변하여 강렬한 비등현상으로 된다. 그 결과, 용강 및 슬래그 표면 전역에 걸쳐서 미세한 기포가 발생하며, 카라멜형으로 수백 ㎜부풀어 오른다. 이 상태에서 3분간 이상 처리하고 적절하게 그 중간에서 성분의 미세조정을 행한다.
반응속도는 비등세기에 의존하지만, 당연히 비등이 강렬할 수록 정련이 단시간에 마무리되므로서, 열손실, 내화물손실, 생산성의 관점에서 볼때 유리하다.
그 때문에, 한정된 시간내에서, 용강의 비등 높이를 소정의 고위 레벨로 안정시켜서 처리하는 것이 중요한 기술적 의미를 갖게 된다. 이 목적으로 레벨센서(13)가 사용된다. 이 센서(1)로부터의 레벨신호에 응해 가스 홀드업 제어계(12)가 작동하고, 제어기(16)에 의해 취입가스 압력밸브(14) 및 진공배기밸브(15)가 조절된다. 예를들면, 비등 레벨이 낮을때는 즉시 취입가스 압력밸브(14)가 조절되고, 다량의 불활성 가스가 취입된다. 반면 비등 높이가 소정의 레벨을 초과하면 취입가스 압력밸브(14) 및 진공배기밸브(15)의 개구는 줄어든다. 마찬가지로 상기 레벨을 초과할때는 상기 밸브의 차단과 함께 래들 상부 진공실로 불활성 가스밸브(23)로부터 순식간에 다량의 불활성 가스 취입이 이루어지고, 비등의 침정화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가스 홀드 업”이라 함은 액중의 기포 체류율 또는 체적율로서, 기체(기체+액체) 또는 기체/액체로서 정의된다. 이것은 기체-액체간의 반응 세기의 척도로서 사용되고 있고, 여기서는 정치상태의 용강 표면 높이를 H라 하고, 비등중의 용강표면 높이와 정치상태의 용강표면 높이의 차를 △H라 하면, △H/H로 표시된다.
레벨센서(13)는 비등처리 직전의 정치상태의 용강표면높이(또는 길이) H와 비등중의 표면 레벨 H′를 검출하고, H′가 안전성을 위해 허용치 이하로 하고, H′-H=△H를 연산하여 △H/H가 소정치로 되도록 제어신호를 내면좋다.
또한, 비등 높이는 취입 가스압(유량), 용강내의 Co 노동, 정련 반응세기, 래들내의 분위기압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다음에, 정련의 진행 상황과 종점을 파악하기 위해, Co 농도계(17), 그외의 검출기, CPU(21)로 구성되는 탈산 모니터계(22)가 제공된다. 탈산속도(ppm/분)가 소정의 값까지 내려오면, 미리 CPU(21)에 입력하고 있는 데이타와 대비하여 연산하고, 정련 말기라고 판정하면, 연산기(21)는 그러한 뜻의 표시신호를 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진공내의 불활성 가스에 의한 가스 버블링에 의해, 용강중의 산소 및 비금속 개재물이 유효하게 제거된다. 탈산 및 탈개재물이 끝나면, 진공펌프(9) 및 불활성 가스의 취입을 막고, 상부 기미덮개(3)를 래들(1)로부터 떼어내서 주조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해로에서 예비 탈산된 반탈산 용강은 산소함유량이 100±30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탈산 용강을 사용하는 이유는 로내에서 비산화성 슬래그를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고, 또 래들 감압시에 Co 비등 반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미탈산에서는 래들중의 정련시간을 길게 필요로 하여 적절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슬래그를 비산화성으로 해둔 것은 정련시에 용강이 슬래그에 의해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통상 슬래그의 FeO 함유량이 5% 이하이면 정련 초기에 급속하게 FeO가 환원되어, FeO 1% 이하가 얻어지고, 염기성으로 해두는 것은 정련시에 복인산화, 복유황화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 용강 상방의 분위기를 30 내지 150Torr로한 이유는, 150Torr을 초과하면 탈산속도가 작고, 소정의 탈산소에 도달하는 처리시간이 길게되며, 조업 비용상 불리하다. 한편, 탈산속도는 본래 저압일수록 커서 유리하지만, 30Torr 미만에서는 수봉식 펌프로서는 이 이하의 압력에도 도달할 수 없고, 다른 방식의 진공 배기장치, 예를들어 증기 이젝터등이 필요하게 되며, 그 경우, 운전을 위한 에너지 비용이 과대하게 되어 비용절감의 목적에서 벗어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래들내 압력이 낮을 수록 탈산속도가 크게 되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같지만, 슬래그가 공존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의 정도가 작게 되고, 30Torr 미만의 진공도의 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도 상기 압력 한정의 근거로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를 예를들면 N2, Ar, 탄화수소 가스 등이 사용된다. 이것은 용강 및 슬래그에 대하여 유해한 화학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단지 물리적인 교반 및 함유가스의 분리등의 작용으로만 기여하는 것이다.
또, 가스 버블링 처리를 3분 이상 행하는 것은, 탈산 속도가 약 10ppm/분 정도로서 소정의 탈산도를 얻음에 있에 3분 미만에서는 곤란하기 때문이다.
다음에,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래들의 측벽을 기밀 구조로 한 이유는 배기되어야 할 공간 용적을 될 수 있는 한 작게 설계하면 단시간에 소정의 진공도에 달해 그결과 정련시간을 단축할 수 있지만 그것을 위해서는 래들 그 자체를 진공 탱크로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또, 배기장치로서 수봉식 진공펌프를 사용하는 이유는, 이젝터 방식에 비해 기계적 진공펌프는 운전 코스트가 압도적으로 유리한 반면 정련에 사용한 경우 다량의 분진과 열때문에 보수가 극히 불리하다. 그러나, 그중 수봉식 진공펌프의 도달진공도는 그다지 좋지 않지만 보수성이 가장 양호하기 때문이다.
당연 기계식의 펌프로 보수성이 용인될 수 있는 정도라면 다른 기종도 좋다.
또, 상기 진공펌프의 상류측에 필터식 제진장치를 부설한 이유는, 진공펌프의 보수상 필요하고, 봉수의 분진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방진 방식으로서는 진공을 위해 정전 흡착법은 적용할 수 없고 약간의 압력 손실이 있지만 필터식이 실용적이다.
그리고, 상기 진공펌프의 하류측에 봉수를 순환시키고 또 그 수온을 30℃ 이하로 유지하는 봉수제어장치를 부설한 이유는, 봉수온도가 상승하면 증기압이 급격히 크게되고 도달 진공도가 나쁘게 되기 때문에 항상 저온(≤30℃)의 봉수를 진공 펌프로 보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가스 홀드업 제어계가 설치된 이유는, 허용할 수 있는 최고의 비등 높이를 유지함과 동시에 오버플로우 혹은 래들 불완전 건조에 의한 내화물중의 수분에 의한 급격 비등 발생이라고 하는 대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탈산 모니터계를 설치한 이유는 탈산의 종점에 정확을 기하고 쓸데없는 운전이 행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에 관하여 설명한다.
용해로에 있어서, 고탄소강의 용강은 비산화성 및 염기성의 슬래그하에서 산소함유량 100±30ppm으로 예비 탈산된 후, 슬래그와 함께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정련장치의 래들(1)로 출강된다.
래들(1)을 가능한 빨리 기밀로 하고 수봉식 전공펌프(9)를 운전하여 용강 상방의 분위기를 감압함과 동시에 래들(1)저부로부터 아르곤 가스를 불어넣는다.
이 사이의 시간과 분위기 압력의 변화 및 용강 온도의 강하의 관계는 제2도에 도시한 대로이다. 또 압력은 급격히 내려가고, 약 2분 이후 일정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 버블링 처리시간과 용강의 산소 함유량의 관계는 제3도에 도시한 대로다.
래들내 용강위의 분위기 압력이 200Torr 이하로 되면 강렬한 비등현상으로 탈산, 탈 비금속 개재물이 급속히 진전한다. 본 발명에서는 버블링 작업을 통해 이 비등 높이를 높은 수준으로 하여 안정하게 유지하여 처리를 진행한다.
비등높이의 최적치는 △H/H=600m/1800㎜=0.3으로 이때 정련시간은 6분에서 완료한다. △H/H가 0.1 내지 0.5의 범위에 있으면 좋다.
정련 필요시간은 가스 홀드업에 비례한다.
제4도는 피아노 선재 SWRA 82A의 통상의 생산에 있어서의 버블링 처리시간 히스토그램이고, 약 10분에서 만족스런 정련이 완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5도는 탈산 모니터계에 의한 탈산속도의 온라인 산출의 일예로, 약 10분간의 처리에서 탈산의 한계에 가까운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처리전 및 처리후의 산소 함유량의 히스토그램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해 고도로 탈산됨과 동시에 극히 변동이 작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선재 SAE 9254의 비금속 개재물 직경 분포를 종래의 대기압 버블링법에 의한 것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은 강의 청정화가 우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1특징으로서, 반 탈산용강을 래들에 넣고, 상기 용량표면을 비산화성(FeO≤5%) 및 염기성의 슬래그로 덮기 때문에 정련시 용강이 산화하거나 복인산, 복유황화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비금속 개재물이 흡착제거되기 쉽고, 또 상기 용강 상방의 분위기압을 20 내지 150Torr로 하며, 상기 래들 저부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3분이상 가스 버블링 처리할때 상기 시점의 용강 비등 높이로부터 급속히 불활성 가스의 취입량을 증가하여, 강렬한 Co 비등 반응을 유발시켜 용강을 정련중 고미등상태로 안정 유지하여 탈산, 탈비금속 개재물을 유효하게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특징으로서, 극히 용이하게 탈산 상황을 바로 알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특징으로서, 용강비등 높이를 검출하는 레벨센서를 포함하는 가스 홀드업 제어계를 정련장치에 구비하고 있으므로 정련을 안정하게 또한 단시간에 완료할 수 있고 더우기 안전운전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특징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용강의 정련 완료를 온라인으로 알 수 있고, 본 정련작업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특수한 실시예를 참고로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그 정신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 변경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은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자라면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Claims (5)

  1. 반탈산 용강을 래들에 넣고 그 용강표면을 비산화성 내지 FeO가 5% 이하인 슬래그로 덮고, 상기 용강 상방의 분위기 압력을 30 내지 150Torr로 하고, 상기 래들 저부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며, 가스 버블링 처리할때의 용강비등 높이로서 가스 홀드·업(△H/H)이 0.1 내지 0.5로 되도록 불활성 가스 취입압력 및 진공배기 밸브를 조절하여 소정의 가스 홀드·업으로 유지하면서 정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제어 정련법. 단, △H : 비등중인 용강표면 높이와 정치용강표면 높이의 차, H : 정치용강 표면높이.
  2. 반탈산 용강을 래들에 넣고 그 용강표면을 비산화성 내지 FeO가 5% 이하인 슬래그로 덮고, 상기 용강 상방의 분위기 압력을 30 내지 150Torr로 하고, 상기 래들 저부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가스 버블링 처리할때의 용강비등 높이로서, 가스 홀드·업(△H/H, 여기서 △H는 비등중의 용강 표면 높이와 정치용강 표면 높이의 차, H는 정치용강 표면높이)이 0.1 내지 0.5로 되도록 불활성 가스 취입압력 및 진공배기 밸브를 조절하여 소정의 가스 홀드·업으로 유지하여 정련하면서, 진공배기 가스중의 Co 농도와 유량을 컴퓨터로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또 연산하여 탈산 진행 상황을 모니터하면서 정련 종점을 온라인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제어 정련법.
  3. 측벽을 기밀구조로 하고, 또 상하에 진공 덮개를 셋트하여 전체를 기밀하고, 저부에 불활성가스 취입 장치를 설치한 래들과, 상기 상부진공덮개에 배기 덕트를 통해서 연결된 수봉식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 상류측에 설치된 필터식 제진장치와, 마찬가지로 하류측에 부설된 봉수를 순환하고 또 그 수온을 30℃ 이하로 유지하는 봉수제어장치를 구비하고, 또 용강 비등 높이를 검출하는 레벨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가스 취입 압력 조절밸브 및 진공배기밸브를 자동조절할 수 있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가스 홀드·업 제어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정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가스 홀드·업 제어계 용강 상측에 대한 불활성 가스를 순간적으로 대략 취입하는 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정련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진공펌프 하류측 덕트내에 적어도 Co 농도계와, 풍속계, 또는 따로 진공펌프 회전수계를 설치하고, 이들과 CPU로 탈산 모니터계를 형성.
KR1019850006824A 1984-09-18 1985-09-18 용강제어 정련법 및 정련장치 KR920009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96191A JPS6173817A (ja) 1984-09-18 1984-09-18 溶鋼制御精錬法および精錬装置
JP84-196191 1984-09-18
JP196191 1984-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583A KR860002583A (ko) 1986-04-26
KR920009989B1 true KR920009989B1 (ko) 1992-11-10

Family

ID=1635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824A KR920009989B1 (ko) 1984-09-18 1985-09-18 용강제어 정련법 및 정련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04137A (ko)
EP (1) EP0178480B1 (ko)
JP (1) JPS6173817A (ko)
KR (1) KR920009989B1 (ko)
BR (1) BR8504529A (ko)
CA (1) CA1238788A (ko)
DE (1) DE358627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0286A (en) * 1988-06-22 1989-03-07 Inland Steel Company Method for reducing dissolved oxygen and carbon contents in molten steel
JPH0234715A (ja) * 1988-07-25 1990-02-05 Sumitomo Electric Ind Ltd 鋼の溶解及び二次精錬方法
RU2064660C1 (ru) * 1993-12-06 1996-07-27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ижнетагильский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комбинат"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зеркала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металла
US5520718A (en) * 1994-09-02 1996-05-28 Inland Steel Company Steelmaking degassing method
KR100424816B1 (ko) * 1999-12-28 2004-03-27 주식회사 포스코 크롬 함유 용강의 진공정련장치
US6666902B1 (en) * 2000-05-12 2003-12-23 Nippon Steel Corporation Ladle refining apparatus and ladle refining method using it
BRPI0216050B1 (pt) * 2001-09-20 2015-12-29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aparelho de refino para aços ao cromo fundidos
CN101076352A (zh) * 2004-12-13 2007-11-21 赛托斯生物技术公司 Il-15抗原阵列及其用途
GB0427832D0 (en) * 2004-12-20 2005-01-19 Boc Group Plc Degassing molten metal
CN103173593B (zh) * 2013-04-11 2014-09-03 什邡市三裕锻件有限公司 基于机械泵组的钢液真空精炼系统
CN108241384A (zh) * 2016-12-26 2018-07-03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钢包底吹氩气流量的控制装置和控制方法
CN111679622B (zh) * 2019-03-11 2023-08-15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调控钢包底吹氩气流量的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67391A (en) * 1965-11-18 1969-10-15 Lectromel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Oxygen Content Monitoring of Molten Steel During Vacuum Deoxidation
US3574603A (en) * 1967-09-15 1971-04-13 Amsted Ind Inc Method for producing stainless steel
DE2321644B2 (de) * 1973-04-28 1976-06-10 Verfahren zum entschwefeln von stahlschmelzen
DE2527156B2 (de) * 1975-06-18 1980-09-04 Thyssen Niederrhein Ag Huetten- Und Walzwerke, 4200 Oberhausen Verfahren zur Vorbehandlung einer Stahlschmelze beim Stranggießen
SE449373B (sv) * 1977-07-01 1987-04-27 Dso Cherna Metalurgia Sett och anordning for raffinering av jernbaserade smeltor i elektrisk reaktionsugn
US4210442A (en) * 1979-02-07 1980-07-01 Union Carbide Corporation Argon in the basic oxygen process to control slopping
JPS569319A (en) * 1979-07-05 1981-01-30 Nippon Steel Corp Vacuum treatment controller for molten steel
JPS57192214A (en) * 1981-05-18 1982-11-26 Sumitomo Electric Ind Ltd Molten steel-refin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S5831045A (ja) * 1981-08-17 1983-02-23 Daido Steel Co Ltd 金属溶湯の真空脱ガス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586277D1 (de) 1992-08-06
JPH029087B2 (ko) 1990-02-28
EP0178480A3 (en) 1988-04-06
JPS6173817A (ja) 1986-04-16
US4604137A (en) 1986-08-05
CA1238788A (en) 1988-07-05
EP0178480B1 (en) 1992-07-01
EP0178480A2 (en) 1986-04-23
KR860002583A (ko) 1986-04-26
BR8504529A (pt) 1986-07-15
DE3586277T2 (de) 199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989B1 (ko) 용강제어 정련법 및 정련장치
US5143355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xygen-free copper
JP3287204B2 (ja) Rh真空脱ガス装置における終点炭素濃度制御方法及び炭素濃度制御装置
EP4339303A1 (en) Method for refining molten steel
US3236630A (en) Oxygen steelmaking
JPH0146563B2 (ko)
JP4686917B2 (ja) 真空脱ガス設備における溶鋼の溶製方法
JP3623816B2 (ja) 真空精錬炉及びその操業方法
RU2348699C2 (ru) Способ вакуумного рафинирования жидкой стали в ковше
TWI805460B (zh) 熔鋼之脫氧精煉方法、鋼材之製造方法及該鋼材
EP4095269A1 (en) Method for conducting decarburization refining of molten steel under reduced pressure
Yamauchi et al. Effect of partial pressure of CO2 on the distribution ratios of Sb and Cu between Na2CO3 slag and molten copper at 1523 K
JP3987149B2 (ja) クロム含有鋼の精錬方法および装置
JP3126374B2 (ja) 溶鋼の真空脱炭処理制御方法
SU707974A1 (ru) Способ деазотации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JPH0128807B2 (ko)
Chang et al. Kinetics of deoxidation of liquid copper by graphite particles during submerged injection
JPH02209417A (ja) 脱ガス精錬方法
JPH09296213A (ja) クロム含有鋼の溶製方法および装置
RU2002815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стали в разливочном ковше
JPS62139809A (ja) 減圧下での溶鋼の精錬方法及び装置
JP3282487B2 (ja) ホーロー用鋼の製造方法
Dioxide 141. Steel degassing Based on the Circulating Degassing Process.
Houston et al. Argon Degassing of Steel: Do experiments in a 1-ton ladle point to a new commercial method of steel degassing?
JP2001158911A (ja) 溶鋼の真空脱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