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738B1 -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738B1
KR920001738B1 KR1019870000250A KR870000250A KR920001738B1 KR 920001738 B1 KR920001738 B1 KR 920001738B1 KR 1019870000250 A KR1019870000250 A KR 1019870000250A KR 870000250 A KR870000250 A KR 870000250A KR 920001738 B1 KR920001738 B1 KR 920001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shield
guide
pair
drive ball
wind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033A (ko
Inventor
싱이찌 미노베
다쯔오 우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쯔우라 다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0468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6387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046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6388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05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6388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0600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63882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쯔우라 다까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70007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2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hielding only the rider's front
    • B62J17/04Wind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181Gearing toothed gear and recirculated unconnected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396Hand operated
    • Y10T74/20402Flexible transmitter [e.g., Bowden cable]
    • Y10T74/20444Flexible transmitter [e.g., Bowden cable] including rolling antifrictio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396Hand operated
    • Y10T74/20402Flexible transmitter [e.g., Bowden cable]
    • Y10T74/20462Specific cable connector or gu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를 결합한 이륜 모터 싸이클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모터 싸이클의 측면도.
제3도는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절단하여, 바람막이 장치의 바람막이 조립체와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을 도시하는 모터 싸이클의 부분 확대 정면도.
제4도는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절단하여, 안내튜브 수단과, 안내튜브 수단을 통하여 이동하는 구동볼 조립체와, 안내튜브 수단을 통해 구동볼 조립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도시하는 모터 싸이클의 부분 확대 측면도.
제5도는 바람막이 장치의 바람막이 조립체와 바람막이 안내부분들 뿐만 아니라 모터 싸이클의 프레임도 도시하는 제3도의 선 V-V를 따라서 취한 평단면도.
제6도는 바람막이와, 안내튜브 수단의 바람막이 안내부분들과, 모터 싸이클의 카울링을 도시하는 제3도의 선 VI-VI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
제7도는 안내튜브 수단의 바람막이 안내 부분들에 위하여 바람막이의 양쪽 측부들이 어떻게 활주가능하게 지지되어 안내되는 가를 도시하는 제3도의 선 VII-VII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
제8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모터 싸이클에 결합되는 바람막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9도는 바람막이 장치의 구동볼 조립체의 확대 분해 사시도.
제10도는 도시의 편리를 위하여 부분적으로 단면처리된 바람막이 조립체의 측면도.
제11도는 바람막이 조립체의 양쪽 측부가 어떻게 한쌍의 구동볼 조립체에 결합되고, 안내튜브 수단들에 의하여 어떻게 활주가능하게 지지되는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처리된 바람막이 장치의 정면도.
제12도는 바람막이가 안내튜브 수단의 바람막이 안내 부분들에 의하여 활주가능하게 지지되게 하도록 하는 슬라이더 수단의 확대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모터 싸이클 22 : 프레임
24 : 카울링 26 : 앞 바퀴
28 : 뒷 바퀴 34 : 안장
36 : 바람막이 조립체 40 : 구동볼 조립체
44 : 전기 모터 구동유닛 46 : 스프라켓
48 : 제1안내튜브 50 : 제2안내튜브
52 : 바람막이 안내부분 54 : 째짐부
104 : 유연성 선형요소 106 : 볼
116 : 컨넥터 170 : 연결아암
172, 188 : 슬라이더 M-M : 모터 싸이클의 중심선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항력의 감소 및 불순한 날씨로부터 운전자의 보호를 목적으로 모터 싸이클의 운전자 전방에 설치되어지는 바람막이에 관한 것이고, 특히 모터 싸이클 프레임에 대하여 바람막이의 높이가 연속해서 조정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모터 싸이클용 바람막이와, 이를 설치하는 모터 싸이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는 어떤 특별한 형태 또는 계층의 모터 싸이클에만 독점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청구범위에 청구된 ″모터 싸이클″은 차량에 장착된 프로펠러 엔진의 배기량에 관계없이, 이륜 또는 삼륜으로 작동하는 모든 모터 싸이클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몇몇 모터 싸이클, 특히 비교적 배기량이 큰 이륜 모터 싸이클은 매끄러운 외형의 보호 및 항력의 감소를 위해 카울링(cowling) 또는 페어링(fairing)과 결합되는 바람막이가 설치된다. 바람막이 그 자체는 불순한 날씨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날씨가 좋을때, 운전자가 바람막이 너머로 볼 수 있도록 바람막이가 하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이 불순한 날씨에 주행될때, 바람막이는 눈높이 이상으로 상승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운전자의 눈높이 또는 시계에 따른 2개의 극단 위치를 사이에서 바람막이는 어떠한 바람직한 높이로 조정되어져야 한다.
히크만(Hickman)의 미합중국 특허 제4,355,838호는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의 종래예를 나타낸다. 이 특허는 바람막이에 한쌍의 가늘고 긴 오목부재를, 카울리에 돌출 트랙부재를 부착한 것을 나타낸다. 바람막이와 결합된 오목부재는 돌출 틀랙부재를 따라서 원하는 높이의 위치까지 상승 및 하강된다. 바람막이의 선택된 위치에서 오목 및 돌출 트랙부재를 잠그기 위하여 잠금 나사가 제공된다.
이러한 공지된 장치의 결점은 바람막이의 높이 조정을 위하여 모터 싸이클을 정지해야만 되고, 운전자가 내려야만 가능하다. 조정 그 자체 또한 잠금나사를 풀고 조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비되는 등 문제가 많이있다. 또 다른 결점은, 오목 및 돌출트랙 부재가 약간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바람막이의 양쪽측부로부터 차량의 중앙을 향하여 옮겨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바람막이가 상승될 때, 바람막이에 부착된 오목부재는 미관상 좋지 않은 것 외에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한다.
보다 진보된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가 일본 특허출원제 60-8176호에 기술되고 청구되어 있다. 이러한 두번째 종래 기술은 유연성 재료로된 한쌍의 치형 구동 테이프들과, 두 구동 테이프들과 기어 결합되는 하나의 피니언 기어를 사용한다. 구동 테이프들은 한쪽 단부가 바람막이의 하부 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서로 평행한 관계를 아래로 연장하고, 카울링상에 있는 안내수단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연장하는 수평 부분들을 구비하도록 서로를 향하여 직각으로 꺽이게 된다. 서로 수직으로 평향된 두 구동 테이프들의 수평 부분들은 확실하게 맞물려 있는 피니언. 기어의 위, 아래로 각각 연장하고, 피니언 기어는 카울링 상의 중앙부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가 양쪽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한쌍의 구동 테이프들은 안내수단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고, 동시에 바람막이를 카울링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시킨다. 바람막이 높이 조정에 필요한 모든 것은 피니언측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구조의 간단함과 조작의 용이함에도 불구하고, 두번째 종래 기술은 자체의 결점들을 가진다. 이러한 결점들 중 하나는 구동 테이프들이 부분적으로 바람막이와 겹쳐서, 상기의 첫번째 종래 장치와 같이 바람막이의 중앙부분에서 운전자의 전방시계에 장애를 준다. 또 다른 결점은, 테이프와 피니언 기어가 단지 바람막이를 상하로 움직이기 위하여 작동한다는 것이다. 즉, 바람막이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추가의 별도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또 다른 결점은 피니언 축을 회전시켜 한쌍의 구동 테이프들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단한 양의 토오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직각으로 꺾여어있는 안내경로를 따라서 구동 테이프들이 미끄러져야 하기 때문이며, 더우기, 구동 테이프들이 직각으로 꺾여진 곳에서 비틀려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제거하여, 운전자가 전방시계에 아무런 장애를 주지 않으며, 유연성 구동 테이프를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장치와 비교하여, 작동력이 보다 적게 요구되는 수단에 의하여 모터 싸이클의 바람막이의 높이를 조정 가능하게 하고, 바람막이를 바람막이의 상승 및 하강수단의 경로와 동일한 경로를 따라서 정확히 안내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사전 결정된 안내경로를 따라서 모터 싸이클의 프레임 수단에 관계한 왕복운동을 위하여, 모터 싸이클의 중심선을 교차하여 대칭으로 배치되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로 요약된다. 한쌍의 안내수단들은 프레임 수단의 양쪽 측부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각각의 안내수단들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는 한쌍의 가늘고 긴 유연성 구동볼 조립체들은, 안내수단을 따르는 구동볼 조립체들의 길이 방향과 이동과 함께 사전결정된 안내경로를 따라서 바람막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바람막이의 양쪽 측부에 결합된다. 한쌍의 스프라켓들은, 구동볼 조립체들을 안내수단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시켜 바람막이를 안내수단의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을 따라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하여, 프레임 수단의 양쪽 측부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각각의 구동을 조립체들과 작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러므로, 구동볼 조립체와 이것의 안내수단을 모터 싸이클의 양쪽 측부상에서 바람막이와 떨어져 배치됨을 알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수단은 바람막이가 상승, 하강, 또는 어느 위치에 있던지간에 상관없이 운전자가 전방시계에 장애를 주지않는다.
바람직하게, 각 구동볼 조립체는 와이어 또는 유연성 선형 요소에 직렬로 꿰어진 강성 플라스틱의 구동볼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구동볼 조립체를 안내하기 위하여, 안내수단은 구동볼 조립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튜브들사이의 공간에서 끝과 끝이 연결되어 유지되는 2개의 안내튜브들을 포함한다. 스프라켓은, 2개의 안내튜브들 사이의 연결 공간에서 볼들이 연속적으로 노출됨으로써, 관련된 구동볼 조립체의 볼들을 구동결합하기 위하여 원주에 한정된 일련의 오목부들을 가진다.
한쌍의 스프라켓들은 수동 또는 동력 구동으로 양쪽 방향으로 회전되어진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축선이 일치하는 두 스프라켓들에 연결되는 가역성 전기모터를 사용한다. 운전자는 양쪽 방향으로 모터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서, 운전석에 앉아서 바람막이를 필요한 높이로 조정시킬 수 있다.
비록, 바람막이의 길이가 길어서 이에 상응하는 길이의 안내튜브들이 필요할지라도, 이러한 안내수단들의 설치를 위하여 필요한 공간인 두쌍의 안내튜브들이 차량의 양쪽 측부상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안내 수단들은, 어떤 예리한 방향 회전 또는 작은 반경의 곡률없이 배열되어지게 되고, 이러한 것에 의하여 구동볼 조립체들이 최소한의 마찰을 가지고 활주하는 것을 허용한다.
두쌍의 안내튜브들중 한쌍은 바람막이의 양쪽 측부를 따라서 연장한 바람막이 안내부분을 포함하여, 각각의 바람막이 안내부분은, 바람막이를 향하여 개방되고 바람막이 안내부분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째짐부를 가진다. 구동볼 조립체들의 한쪽 단부들은 안내튜브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에 있는 길이방향의 째짐부를 통하여 바람막이의 양쪽 측부에 연결된다. 바람막이는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의 한쪽 단부들이 전후진 함으로써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을 따라서 상승 및 하강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람막이는 양쪽 측부로부터 측면으로 돌출한 한쌍의 슬라이더 수단들을 가져서, 길이방향의 째짐부를 통하여 안내튜브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과 활주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바람막이의 상하운동은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에 의하여 안내된다: 즉, 바람막이 안내부분은 바람막이와 구동볼 조립체의 일부분을 안내하는 2중의 목적을 만족시키며, 바람막이만의 별도 안내수단이 요구되지 않는다. 부가적인 잇점으로서, 바람막이에 연결된 구동볼 조립체들의 한쪽 단부가 바람막이의 경로를 따라서 정확하게 이동하도록 강요되어서, 구동볼 조립체들상에 발휘되는 작동력이 바람막이로 완전하게 전달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슬라이더 수단의 특이한 구조에 있다. 슬라이더 수단은, 바람막이의 한쪽 측부에 부착되는 제1단부와 길이 방향의 째짐부를 통하여 한쪽 바람막이 안내부분에 수용되는 제2단부를 가지는 아우트리거와, 아우트리거의 제2단부상에 형성되어 파이프 형상의 바람막이 안내부분 안에서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의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고무 또는 탄성재로 형성된 슬라이더는 어떠한 횡적 움직임도 없이 바람막이 안내부분 안에 수용된다. 바람막이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강성의 접합부분들 사이에서 움직이는 것 보다는 오히려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차량의 주행동안 바람막이의 진동이 크게 감소될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정중에 바람막이는 매끈하고 소음이 없이 움직인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잇점, 및 이를 실현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다음의 기술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연구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교적 큰 배기량(1700cc이상)을 가지는 이륜 모터 싸이클에 적합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모터 싸이클(20)은, 전방 단부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전방 단부를 덮는 카울링(24)을 구비한 프레임(22,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과, 앞바퀴(26) 및 뒷바퀴(28)와, 기어박스와 구동부품들을 구비한 내연기관(30)과, 가솔린 탱크(32)와 안장(34)을 포함한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부분적으로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링(24)은, 카울링에 관계한 상승 및 하강운동이 본 발명의 개선된 수단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는 바람막이 조립체(36)를 구비한다. 바람막이 조립체(36)는, 바람막이(37)와, 바람막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바람막이 프레임(39)을 포함한다. 이러한 바람막이 조립체는 제3도 및 제4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되는 최하강 위치와 2점 쇄선으로 도시되는 최 상승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바람막이 조립체(36)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개선수단은, 한쌍의 안내튜브 수단(38,38')들과, 각각의 안내튜브 수단(38,38')들을 통하여 활주하며 바람막이 조립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바람막이 프레임(39)에 결합되는 한쌍의 구동볼 조립체(40,40')들과, 안내튜브 수단들을 통한 전진 및 후진을 위하여 각각의 구동볼 조립체(40,40')들과 구동결합하는 한쌍의 스프라켓(46,46')들 및 가역성 전기모터 구동 유닛(44)을 가지는 구동 매카니즘(42)을 포함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추가하여 제5도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튜브 수단(38,38')들은 제1안내튜브(48,48')들과 제2안내튜브(50,50')들을 포함한다. 두쌍의 안내튜브들은, 스프라켓(46,46')들과 구동결합을 위하여 구동볼 조립체들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튜브들(48,50 및 48',50')사이의 공간에서 서로 마주하는 단부들을 가진다. 제1안내튜브(48,48')들은 바람막이(37)의 양쪽측부상에서 직선으로 연장하는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들과, 길이 방향의 째짐부(54,54')들을 포함한다. 바람막이(37)는 바람막이 프레임(39)을 통하여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안에 있는 구동볼 조립체(40,40')에 연결되고, 째짐부(54,54')를 통하여 이들 안내부분안에서 활주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므로, 안내튜브 수단(38,38')들을 통하여 구동볼 조립체(40,40')들의 전진 및 후진의 활주운동에 따라서, 바람막이 조립체(36)는 제1안내튜브(48,48')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을 따라서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2개의 극단위치 사이를 상승 및 하강한다.
각각의 표제하에서, 모터 싸이클(20)의 다양한 부분들 및 구성품,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에 관하여 다음에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1도,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됨으로써 알 수 있듯이, 모터 싸이클(20)에서 짝을 이루는 모든 부분 및 구성품들을 제1도의 중심(M-M)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중심선(M-M)은 앞바퀴(26)와 뒤바퀴(28)의 중심선을 통과하는 수직의 평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 밖에 달리 기재된 것을 제외하면, 짝을 이룬부분 및 구성품들중 좌측의 것들을 중심으로 기술될 것이고, 우측의 것들은 좌측부분 및 구성품들을 지시하기 위하여 사용된 숫자에 프라임(')을 표시함으로써 동일한 기술내용이 우측의 부분 및 구성품에도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후에 사용된 좌우측 표기는 안장(34)에 앉은 모터 사이클 운전자를 중심으로 중심선(M-M)의 좌우측을 참고한다는 것도 또한 알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제2도는 모터 싸이클(20)의 좌측을 도시한다.
모터 싸이클의 다양한 부분 및 구성품들은 다음과 같은 표제의 목록으로 다음에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1. 모터 싸이클 프레임
2. 카울링
3. 안내튜브 수단
A. 제1안내튜브
B. 제2안내튜브
4. 구동볼 조립체
5. 구동볼 조립체용 구동 메카니즘
6. 바람막이 조립체
A. 바람막이
B. 바람막이 프레임
7. 구동볼 조립체와 바람막이 조립체의 연결
8. 바람막이 조립체의 안내
9. 결론
1. 모터 싸이클 프레임
제3도,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모터 싸이클 프레임(22)은 중심선(M-M)을 중심으로 대칭이다. 제3도의 정면도와 제5도의 평면도에 도시되었듯이, 모터 싸이클 프레임(22)은 대체로 Y자 형태이며, 중심선(M-M)상에 높인 주 프레임 부재(56)와 주 프레임 부재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윗쪽으로 연장한 한쌍의 분지 프레임 부재(58,58')들을 포함한다. 덧붙여서, 제5도의 측면도에 도시되었듯이, 분지 프레임 부재(58,58')는 가로누운 U자의 형상으로 뒷쪽을 향하여 굽어있다. 분지 프레임 부재(58,58')는 제2도의 조향핸들(60)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전방을 향하여 조향핸들 이상으로 연장한 전방단부 부분을 가진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좌측의 분지 프레임 부재(58)만 3개의 돌출편(62)들이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편(62)은 구멍(65)을 가진다. 이들 돌출편(62)들은, 구동 메카니즘과 연결시켜, 다음에 기술됨으로서 모터 싸이클 프레임(22)에 구동 메카니즘을 설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2. 카울링
페어링, 정면 엔진덮개등으로 알려진 카울링(24)은 제1도에서 제7도까지의 모든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카울링(24)은 일반적으로 모터 싸이클(20)의 전방을 향하고 있으며, 일체의 구조로 되어있는 정면부(64)와 측면부(66,66')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정면부(64)와 측면부(66,66')들은 전형적인 특성 때문에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하여 모터 싸이클 프레임(22)에 고정된다.
제2도 및 제4도와 같은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링(24)의 정면부(64)는 가로누운 V자 형태로 굽어있고, V자의 꼭지점이 앞바퀴(26)의 약간 윗쪽으로 위치되어, 카울링 정면부(64)는 상부부분(68)과 하부부분(70)을 가지는 것으로써 간주될 수 있다. 카울링 정면부(64)의 상부부분(68)은 상기 꼭지점으로부터 조향핸들의 바로 윗쪽까지 후방을 향하여 윗쪽으로 연장하고, 전방을 향하여 약간 불록하게 된다. 카울링 정면부(64)의 하부부분(70)은 상기 꼭지점으로부터 앞바퀴(26) 바로 뒷쪽 지점까지 후방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전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된다. 제1도 및 제3도는 하부부분(70)이 제2도의 모터 싸이클의 전방포크(71)를 통과하여 연장함으로써 두갈래로 갈라지게 되는 것을 도시한다.
카울링(24)의 측면부(66,66')들은 카울링 정면부(64)의 하부부분(70,70')들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한다. 제5도에서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링 측면부(66,66')들은 이것들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함으로써 서로로부터 갈라져서, 모터 싸이클의 정면부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바람막이 높이조정 메카니즘의 안내튜브 수단(38,38')들, 및 구동 메카니즘을 보호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링 정면부(64)의 상부부분(68)은 바람막이 절취부(72)를 제공하도록 홈이 파져있다. 대체로 직사각형의 형상인 바람막이 절취부(72)는 카울링 정면부(64)의 상부로부터 조향핸들(60)의 약간 윗쪽의 높이 지점까지 아랫쪽으로 연장한다. 바람막이 절취부(72)는 높이에 관계없이 카울링 정면부(64)의 바로 뒷쪽에 놓여있는 바람막이(37)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차단된다. 카울링 정면부(64)의 상부부분(68)은 전조등(76)을 노출시키는 전도등 개방부(74)를 가진다.
제3도, 제4도, 특히 제6도에서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링 정면부(64)의 상부부분(68)은 L자형상 단면의 림(78,78')들을 제공하도록 서로를 향하여 더욱 뒷쪽으로 굽은 양쪽 측면 가장자리 부분들을 가진다. 이러한 L자형 림(78,78')들은 가로막힌 공간(80,80')들을 제공하려하고, 제1안내튜브(48,48')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하여 서로를 향하여 개방한다. 다른 말로하면, L자형 림들은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들을 감추도록 제공된다. 바람막이(37)의 양쪽 측면부분들이 상당한 여유의 틈새를 갖고 가로막힌 공간(80,80')안에 수용된다는 것이 제6도로부터 또한 알 수 있을 것이다.
3. 안내튜브 수단
안내튜브 수단(38,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다른쪽 안내튜브 수단(38')과 동일한 구조임)은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싸이클 프레임(22)의 좌측에서 중심선(M-M)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4도는, 안내튜브 수단(38)이 구동볼 조립체(40)용 안내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는 단부들을 가진 제1 및 제2안내튜브(48,50)들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제1안내튜브(48)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은 바람막이의 높이를 조정할때 바람막이 조립체(36)를 안내하는 추가의 목적을 제공한다.
A. 제1안내튜브
제1안내튜브(48,48')들이 제3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되어 있지만, 구조를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제3도, 제4도 및 제8도를 주로 참조할 것이다. 제1안내튜브들중 좌측의 것(48)은 제4도의 좌측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영문자 J의 거울에 비친 모양과 같다. 따라서, 제4도 및 제8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내튜브(48)는 카울링 정면부분(64)의 한쪽 측부를 따라서 직선으로 연장한 바람막이 안내부분(52)과, 바람막이 안내부분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연장한 굴곡부(82)와, 굴곡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아랫쪽으로 더욱 연장한 직선단부 부분(84)을 포함한다.
카울링(24)에 바람막이 안내부분을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제1안내튜브(48)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에 부착된 한쌍의 브라켓(86)들이 제4도 및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도시되지 않은 부가 수단이 제1안내튜브(48)를 모터 싸이클 프레임(22)에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으로서, 제1안내튜브(48)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은 카울링 정면부(64)의 상부부분(68) 좌측을 따라서 형성된 가로막힌 공간(80)안에 수용된다. 바람막이 안내부분(52)에 있는 째짐부(54)는 카울링 정면부(64)의 우측을 향하게 된다.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들은 바람막이 조립체(36)의 양쪽 측부를 따라서 서로 나란하게 연장하고, 굴곡부(82)로부터 윗쪽으로 연장함으로써 모터 싸이클의 후방을 향하여 비스듬이 기울게 되고, 이러한 것에 의하여 한정하는 경로를 따라서 바람막이 조립체는 두 제한 위치사이를 전후진한다. 제4도로부터 이해될 것으로서, 구동볼 조립체(40,40')들은, 바람막이 조립체가 실선의 하강위치로부터 2점 쇄선의 상승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게 됨으로써,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에 추가하여 굴곡부(82,82') 및 직선 단부부분(84,84')들을 통하여 이동한다.
계속해서 상세히 기술되는 제2안내튜브(50,50')들 뿐만 아니라, 제1안내튜브(48,48')들, 특히 제1안내튜브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들이 모터 싸이클 프레임(22)과 바람막이 조립체(36)의 양쪽 측부에 위치되는 것은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다. 이렇게 위치됨으로써, 제1안내튜브(48,48')들은 모터 싸이클의 운전자에게 바람막이(37)를 통한 차량 전방의 전체적인 시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장점으로서, 이러한 안내튜브 수단 또는 비슷한 것이 카울링의 정면부에 배치되는 종래의 기술보다. 모터 싸이클 프레임의 양쪽 측부에 배치되는 제1안내튜브(48,48')들에 부과되는 설치의 제한은 적다. 그러므로, 비록 바람막이 조립체(36)의 행정이 매우 길지라도, 일치하게 증가된 길이의 안내튜브 수단이 예리한 곡선이나 굴곡없이 배치되어, 과도한 마찰저항 없이 안내튜브 수단을 통한 구동볼 조립체(40)의 이동을 가능하게 만든다. 구동볼 조립체가 안내튜브 수단을 통해 이동하여서 바람막이 조립체(36)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큰 힘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제1안내튜브(48,48')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이 수직의 평면에서 카울링 정면부(64)의 곡선과 일치하여 굽혀있기 보다는 오히려 직선으로 연장한 것이 또한 주목할만한 것이다. 공지된 종래의 모든 장치에서는 바람막이가 카울링 정면부의 곡선을 따라서 안내되어 졌었다. 이러한 종래의 곡선경로는 바람막이가 상승되었을때 운전자를 향하여 너무 많이 기울기 때문에 불편하다. 대체로 직선인 본 발명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들은 행정동안 어떠한 위치에서도 운전자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바람막이(37)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B. 제2안내튜브
제2안내튜브(50,50')들이 제5도에 모두 도시되었을지라도, 제2안내튜브들중 대표적인 좌측의 것(50)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안내튜브(50)는 단일 길이의 튜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끝과 끝을 연결하여 결합된 2개의 구획(88,90)들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되었다. 제2안내튜브(50)의 제1구획(88)은 제2구획(90)보다 짧고, 제2안내튜브(50)는 제1안내튜브(48)보다 짧다. 거의 직선으로 되어있는 제1구획(88)은 구동볼 조립체(40)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공간을 가지도록 제1안내튜브(48)의 단부(94)와 마주하여 유지되는 단부(92)를 가진다. 구동볼 조립체(40)의 노출부분은 스프라켓(46)에 의하여 안내튜브 수단(38)안에서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하도록 스프라켓(46)과 맞물리게 된다. 제1구획(88)의 다른쪽 단부(96)는 테이퍼져서 제2안내튜브(50)의 제2구획(90)의 단부(98)안에 압착 끼움된다.
제2안내튜브(50)의 제1구획(88)은 이것들이 제1안내튜브(48)의 단부(94)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함으로써, 윗쪽으로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제1안내튜브(48)의 직선단부부분(84)은 제2안내튜브(50)의 제1구획(88)과 둔각을 이루고, 그 결과 확실한 구동결합을 위하여 스프라켓(46) 부근에서 구동볼 조립체(40)가 굽어진다.
제2안내튜브(50)의 제2구획(90)은 클램프 밴드(100)에 의하여 제1구획(88)의 단부(96)와 압착되는 단부(98)를 가진다. 단부와 단부를 결합함으로써, 제2안내튜브(50)의 제1 및 제2구획(88,90)들은 최소의 설치 공간 필요성을 가진 바람막이 조립체(36)용의 구동볼 조립체(40)를 위하여 보다 큰 행정을 제공하도록 중심선(M-M)과 평행인 면에서 완만하게 굴곡된다. 제2구획(90)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있는 몇개의 클램프(102)에 의해 카울링(24) 또는 모터 싸이클 프레임(22)에 고정된다. 도시되지 않은 유사한 수단이 제2안내튜브(50)의 제1구획(88)을 카울링 또는 모터 싸이클 프레임에 체결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4. 구동볼 조립체
한쌍의 구동볼 조립체(40,40')들이 제3도, 제4도, 제5도, 제8도 및 제11도에 도시되었지만, 대표적인 구동볼 조립체(40)는 제9도에 확대되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구동볼 조립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관련된 안내 수단과 함께 각 구동볼 조립체는 새로운 것이 아니고, 미야우찌(Miyauchi)등에 의하여 1986년 2월 24일 제출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832,241호(특허되었으나, 특허번호는 확인되지 않음)에 기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출원에서, 안내수단을 가진 하나의 구동볼 조립체는 차창 조정기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만들어 졌다.
특히 제9도를 참조하여, 구동볼 조립체(40)은 선형요소(104)와, 서로 접촉관계로 선형요소에 꿰어지는 일련의 볼(106)들을 포함한다. 선형요소(104)는 비연신성 재료, 특히 강선으로 되어야 한다. 볼(106)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강성재로 되어있으며, 강성 플라스틱은 금속보다 가볍기 때문에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볼(106)에 있는 구멍(108)을 통해 끼워진 선형요소(104)는 한쌍의 링 또는 스토퍼(110,112)들에 장착되는 양쪽의 단부들을 가진다. 선형요소(104)의 한쪽 단부(114)는 컨넥터(116)를 통하여 스토퍼(110)에 장착되어서, 볼(106)들이 선형요소(104)의 단부(114)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상세히 설명될 컨넥터(116)는 구동볼 조립체(40)와 함께 바람막이 조립체(36)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볼 조립체(40)를 바람막이 조립체(36)의 한쪽 측부에 연결시도록 제공한다.
선형요소(104)의 다른쪽 단부(118)는, 플랜지(128,130)들을 가진 원통형의 한쌍의 마주한 스프링 리테이너(124,126)들에 있는 보어(120,122)들을 연속적으로 통과한 후에 스토퍼(112)에 고정된다. 이러한 플랜지들은 나선형 압축 스프링(132)의 자리로서 제공되고, 나선형 압축 스프링(132)은 두 스프링 리테이너(124,126)들의 원통형 몸체위로 올라타게 된다. 따라서, 볼(106)들은 서로 촘촘한 접촉으로 스프링(132)에 의하여 미리 눌려지고, 이러한 것에 의하여 스프라켓(46)과 적절한 맞물림을 위하여 일정한 피치거리가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5. 구동볼 조립체용 구동 메카니즘
구동볼 조립체(40,40')들을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메카니즘(42)이 제2도, 제3도, 제4도, 제5도 및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구동 메카니즘(42)이 양쪽 구동볼 조립체(40,40')들에 작용함으로써, 구동 메카니즘의 모든 요소들이 기술될 것이다.
구동 메카니즘(42)은, 모터 싸이클(20)에 횡으로 연장한 구동축(134)상에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스프라켓(46,46')들을 포함하고, 어떠한 편리한 방법으로 프레임(2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4도는, 스프라켓(46)이 제1안내튜브(48)와 제2안내튜브(50) 사이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한다. 볼(106)들이 제1 및 제2안내튜브들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노출됨으로써, 스프라켓(40,40')의 (46,46')들은 구동 조립체(40,40')의 볼(106)들과 구동결합하기 위하여 원주에 형성된 오목부(136,136')들을 가진다.
구동축(134)은, 가역 전기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는 구동유닛(44)을 통하여 연장하고, 구동유닛에 의해 구동된다. 모터 구동유닛(44)은, 모터 싸이클 프레임(22)의 좌측 분지 프레임 부재(58)상에 있는 돌출편(62)의 구멍(65)에 나사 결합되어 브라켓(138)에 견고하게 설치한다.
바람직하게, 스프라켓(46,46')들은 모터 싸이클 프레임(22)에 고정된 스프라켓 하우징으로 둘러싸일 수도 있다. 스프라켓 하우징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언급된 미합중국 특허 제832,241호에 게재되어 있다. 스프라켓 하우징들을, 그 안에서 한정되고 구동볼 조립체(40 또는 40')를 위하여 스프라켓(46 또는 46')의 원주의 일부분 주위로 연장하는 곡선의 안내통로를 가진다. 제1안내튜브(48,48')들과 제2안내튜브(50,50')들의 마주한 단부들은 상기 곡선의 안내통로와 개방 소통하여 스프라켓 하우징에 직접 연결된다. 구동볼 조립체(40,40')들은 스프라켓 하우징안에 있는 이러한 곡선의 안내통로를 통하여 활주되어서, 스프라켓(46,46')들과 결합하여 안내되어질 것이다.
따라서, 구동볼 조립체(40,40')들은, 모터 구동 유닛(44)에 의하여 스프라켓(46,46')들이 양쪽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안내튜브 수단(38,38')에서 전후진 운동을 한다. 모터 구동유닛(44)의 회전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운전자의 조작이 용이한 곳에 제공되어, 그 결과 제1안내튜브(48,48')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을 따라 바람막이 조립체(36)이 이동의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6. 바람막이 조립체
바람막이 조립체(36)는 첨부된 도면들중 제9도 및 제12도 외의 모든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제3도, 제8도, 제10도 및 제11도가 주로 참조될 것이다. 대체로 바람막이(37)와 바람막이 프레임(39)을 포함하는 바람막이 조립체(36)는, 제1안내튜브(48,48')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에 의하여 한정된 경우를 따라 카울링에 관계한 상승 및 하강운동을 위하여, 카울링 정면부(64)의 상부부분(68) 바로뒤에 배치되어 모터 싸이클(20)의 중심선(M-M)을 교차한다.
A. 바람막이
바람막이(37)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물질의 창유리 또는 판넬의 형태를 취하고, 대체로 위쪽을 향하여 테이퍼진 직사각형의 형태이다. 바람막이(37)의 상부부분(142)은 앞쪽으로 굽어져 있는데 반하여, 바람막이의 나머지 주요부분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카울링 정면부(64)의 상부부분(68)의 굴곡부와 일치하게 굴곡되어 있다.
대체로 형상에 있어서 직사각형인 바람막이(37)는 제1안내튜브(48,48')들의 바람막이안내부분(52,52')을 따라서 연장하는 측부(144,144')들을 가진다. 바람막이 절취부(146,146')들은 바람막이 측부(144,144')들의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떨어져있는 2쌍의 구멍(148,148')들은 바람막이(37)를 바람막이 프레임(39)에 체결하는 나사(150,150')들을 수용하도록 바람막이 측부(144,144')들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B. 바람막이 프레임
얇은 금속재료 만들어진 바람막이 프레임(39)은, 투명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바람막이(37)를 구동볼 조립체(40,40')들에 연결시켜 제1안내튜브(48,48')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상에서 바람막이(37)를 활주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바람막이(37)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바람막이 프레임(39)은 대체로 U자 형상이며,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막이(37)의 하단 가장자리(162)를 따라서 연장한 하부림브(160, limb)와, 바람막이의 양쪽을 측부(144,144')들을 따라서 연장한 측면림브(164,164')들을 포함한다. 하부림브(160)는 수평면에서 바람막이(37)의 곡률과 대략 동일한 반경으로 굽어있다. 측면림브(164,164')들은 계단부(166,166')로 하부림브(160)에 연결되어서, 하부림브가 측면림브들의 뒷쪽으로 위치하게 된다.
바람막이 프레임(39)의 측면림브(164,164')들은 여러쌍들의 구멍(168,168')을 가진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막이 프레임(39)의 하부림브(160)는, 바람막이 프레임이 도면에서와 같이 바람막이 뒤에 위치될때 바람막이 프레임에 있는 구멍(168,168')들이 바람막이(37)에 있는 구멍(148,148')들과 일치하도록 바람막이(37)의 하단 가장자리보다 짧다. 태핑 나사(150,150')들이 구멍(148,148')들을 통하여 구멍(168,168')들에 체결됨으로써, 바람막이(37)와 바람막이 프레임(39)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7. 구동볼 조립체와 바람막이 조립체의 연결
바람막이 조립체(36)를 구동볼 조립체(40,40')들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앞에서 언급된 한쌍의 컨넥터(116,116')들이 구동볼 조립체에 제공된다. 컨넥터(116,116')들은 제3도, 제4도, 제5도, 제8도, 제9도,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8도, 제9도 및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으로서, 대표적인 좌측의 컨넥터(116)는 직사격형의 얇은 금속 조각으로 형성된 연결아암(170)과, 연결아암(170)의 한쪽 단부에 아암과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슬라이더(172)를 포함한다. 연결아암(170)은, 연결아암에 있는 구멍(176)을 통하여 연장하는 태핑나사(174)에 의하여 바람막이 조립체(36)의 좌측에 인접하여 체결되고, 바람막이 프레임(39)의 하부림부(160)의 좌측 단부에 인접해있는 구멍(178)에 결합된다.
따라서, 바람막이 조립체(36)의 좌측부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된 연결아암(170)은 길이방향의 째짐부(54)를 통하여 제1안내튜브(48)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내로 연장한다. 연결아암(70)의 단부에 잇는 원통형 슬라이더(172)는 길이 방향의 활주 운동을 위하여 제1안내튜브(48)안에 수용된다. 제4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넥터(116)의 슬라이더(172)는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구멍(180)을 가진다. 구동볼 조립체(40)의 선형요소(104)의 한쪽 단부(114)는 구멍(180)을 통하여 스토퍼(110)에 연결된다.
한쌍의 구동볼 조립체(40,40')들이 한쌍의 컨넥터(116,116')들에 의하여 바람막이 조립체의 양쪽 측부에 연결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바람막이 조립체(36)는 안내튜브 수단(38,38')들을 통한 한쌍의 구동볼 조립체(40,40')들의 길이방향의 변위와 함께 제1안내튜브(48,48')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을 따라서 상승 및 하강운동을 한다.
8. 바람막이 조립체의 안내
제3도, 제4도, 제8도, 제11도 및 제12도를 참조하면, 바람막이 조립체(30)의 제1안내튜브(48,48')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을 따라서 어떻게 안내되는지 알 수 있게된다. 제8도 및 제11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막이 프레임(39)의 좌측 측면림브(164)는, 측면림브의 길이방향으로 떨어져서 형성된 2개의 아우트리거(182)들을 가진다.
아우트리거(182)의 구조가 제12도에 상세히 도시되어있다. 아우트리거(182)의 형태는 L자형이며, 측면림브(164)로부터 뒷쪽으로 꺾여있는 연결편(184)과, 제1안내튜브(48)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안으로 째짐부(54)를 통한 틈을 가지고 연장하도록 연결편의 후방단부로부터 직각으로 꺾여있는 단부부분(186)을 포함한다. 하부 아우트리거(182)의 연결편(184)은, 하부 아우트리거(182)의 단부부분(186)이 상부 아우트리거의 단부부분과 바람막이 프레임(39)의 하부림브(160)의 좌측단부를 잇는 선상에 있도록 상부 아우트리거의 연결편보다 짧다는 것이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아우트리거(182)의 단부부분(186)은 제1안내튜브(48)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에 활주가능하게 수용된 슬라이더(188)에 연결된다. 슬라이더(188)는 고무 또는 탄성재와 같은 원통형 조각으로서 도시되고, 아우트리거(182)의 단부부분(186)을 적합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표면에 형성된 슬롯(190)을 가진다. 바람막이 조립체(36)의 양쪽 측부가 슬라이더(188,188')들을 운반하는 2쌍의 아우트리거(182,182')들을 거쳐서 제1안내튜브(48,48')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에 의하여 활주가능하게 지지된다는 것이 앞에서 명백하게 기술되었다. 제1안내튜브(48,48')가 구동볼 조립체(40,40')뿐만 아니라 바람막이 조립체(36)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공된다는 것은 이미 언급된 본 발명의 한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2가지 잇점을 제공한다. 하나의 바람막이 조립체만을 위한 안내수단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른하나는, 바람막이 조립체와 구동볼 조립체들의 단부가 연결되어, 바람막이 조립체와 구동볼 조립체들이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에 의하여 실제적으로 동일한 경로를 따르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서, 아우트리거(182,182')상에 있는 탄성재료된 원통형 슬라이더(188,188')들은 횡적 움직임 없이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안에 끼워지는 크기를 가진다. 아우트리거들이 바람막이(37)에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모터 싸이클(22)의 주행동안 바람막이의 진동은 최소의 정도로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비록, 바람막이가 어느 정도 진동한다해도, 탄성재의 슬라이더(188,188')들은 제1안내튜브(48,48')들과, 제1안내튜브들에 견고하게 연결된 차량의 다른 부분들로부터의 이러한 진동을 감쇠하고 고립시키도록 작용한다.
9. 결론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싸이클의 개선된 바람막이 조립체(36)의 높이는 구동볼 조립체(40,40')들이 스프라켓(46,46')들에 의하여 동시에 어느 한쪽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조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바람막이 조립체(36)가 제3도 및 제4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하강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고, 이 위치에 있을때 바람막이 조립체(36)의 대략 절반 정도가 카울링(26)의 바람막이 절취부(72)의 하부가장자리 이상 윗쪽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하강위치로부터 바람막이 조립체(36)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모터 구동 유닛(44)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스프라켓(46,46')들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그러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진다. 그런후에 스프라켓(46,46')들과 맞물리는 구동볼 조립체(40,40')들은 제4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안내튜브 수단(38,38')들을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다. 구동볼 조립체(40,40')들의 선도단부가 제1안내튜브(48,48')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을 통하여 윗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컨넥터(116,116')들을 통하여 구동볼 조립체들에 견고하게 연결된 바람막이 프레임(39)을 가지는 바람막이 조립체(36)도 윗쪽으로 이동할 것이다.
모터 구동 유닛(44)은 바람막이 조립체(36)가 두 제한 위치들 사이의 필요한 높이까지 상승하였을때 회전을 멈추게 된다. 물론, 바람막이 조립체(36)는 제3도 및 제4도에서 2점 쇄선으로 지시된 최 상승 위치까지 상승될 수 있고, 이 위치에서 바람막이(37)는 카울링(24)에 있는 바람막이 절취부(72)를 통하여 완전하게 노출된다.
바람막이 조립체(36)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스프라켓(46,46')들은 모터 구동 유닛(44)에 의하여 제4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이때, 구동볼 조립체(40,40')들은 제4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안내 튜브 수단(38,38')들을 통하여 동시에 이동하고, 그 결과 조립체(36)는 제1안내튜브(48,48')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52,52') 아래로 선형의 하강을 한다.
비록 본 발명의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가 카울링을 가지는 2륜 모터 싸이클 용으로 적합한 것으로 기술되고 도시되었을지라도, 이는 본 발명의 여러가지 가능한 적용중에 단지 하나에 불과함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넓은 범위안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스프라켓들은 가역 전기 모터 대신에 핸드 크랭크 의하여 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의 단부부분상에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아우트리거가 바람막이 조립체의 각 측부에 단지 하나만 제공될 수 있고, 각 구동볼 조립체에 바람막이 조립체를 연결시키는 컨넥터의 슬라이더는 바람막이 조립체를 안내하기 위한 추가의 슬라이더로서 작용하도록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모터 싸이클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의 프레임 수단을 가지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에 있어서, (a) 안내경로를 따라서 상기 프레임 수단에 관계한 왕복 운동을 위하여 모터 싸이클의 중심선을 갈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안내경로를 따라서 연장하는 한쌍의 양쪽 측부들을 가지는 바람막이와; (b) 모터 싸이클 운전자의 전방시계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모터 싸이클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모터 싸이클의 상기 프레임 수단의 양쪽 측부들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바람막이의 양쪽 측부들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바람막이의 안내경로를 한정하는 한쌍의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을 포함하는 한쌍의 안내수단들과; (c) 각각의 상기 안내수단들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는 한쌍의 가늘고 긴유연성 구동볼 조립체들과; (d) 상기 안내수단들을 통한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의 길이방향의 이동과 함께 상기 안내경로를 따라서 상기 바람막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람막이의 양쪽 측부들을 상기 한쌍의 구동볼 조립체들에 각각 연결시키기 위한 한쌍의 컨넥터 수단들과; (e) 상기 한쌍의 구동볼 조립체들을 각각 맞물어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 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내수단들을 따라서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을 길이방향으로 전후진시켜, 그 결과 상기 바람막이를 상기 안내수단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을 따라서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양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스프라켓들을, 가지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막이의 양쪽 측부들상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수단들이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과 상기 바람막이를 안내하는 2중의 목적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한쌍의 안내수단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들과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한쌍의 슬라이더 수단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안내수단들의 각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이 직선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4. 모터 싸이클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의 프레임 수단을 가지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에 있어서, (a) 안내경로를 따라서 상기 모터 싸이클의 프레임 수단에 관계한 왕복 운동을 위하여 모터 싸이클의 중심선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안내경로를 따라서 연장하는 한쌍의 측부들을 가지는 바람막이와; (b) 모터 싸이클 운전자의 전방시계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모터 싸이클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모터 싸이클의 프레임 수단의 양쪽 측부들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바람막이의 양쪽 측부들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바람막이의 안내경로를 한정하는 한쌍의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을 포함하는 한쌍의 안내튜브 수단들과; (c) 상기 안내튜브 수단들을 통하여 길이방향의 활주운동을 하기 위하여 상기 각 안내튜브 수단 안에 하나씩 수용되며, 유연성 선형 요소와, 상기 선형 요소에 꿰어진 일련의 볼들을 각각 포함하는 한쌍의 구동볼 조립체들과; (d) 상기 안내튜브 수단들을 통한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의 길이방향의 이동과 함께 상기 안내경로를 따라서 상기 바람막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람막이의 양쪽 측부들을 상기 한쌍의 구동볼 조립체들에 각각 연결시키기 위한 컨넥터 수단들과; (e) 상기 안내튜브 수단들을 통하여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 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과 구동결합하기 위하여 원주에 한정된 일련의 오목부들을 각각 가지며, 상기 안내튜브 수단들을 따라서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을 길이방향으로 전후진시켜, 그 결과 상기 바람막이를 상기 안내 튜브 수단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을 따라서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양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스프라켓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째짐부를 상기 안내튜브 수단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이 각각 가지며, 상기 안내튜브 수단들이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과 상기 바람막이를 안내하는 2층의 목적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바람막이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째짐부를 통하여 상기 안내튜브 수단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에 활주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슬라이더 수단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수단들이, (a) 상기 바람막이의 한쪽의 측부에 고정되는 제1단부, 및 상기 안내튜브 수단들중 한쪽 바람막이 안내부분에 수용하는 제2단부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아우트리거들과; (b) 상기 아우트리거의 제2단부상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튜브 수단들중 한쪽 바람막이 안내부분에 끼워지게 되는 슬라이더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라이더 수단의 아우트리거는 강성제로 형성된데 반하여, 상기 슬라이더는 탄성재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모터 싸이클의 주행동안 상기 바람막이의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바람막이 안내부분의 횡방향으로 움직임이 없이 상기 안내튜브 수단들의 한쪽 바람막이 안내부분 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라이더 수단들의 슬라이더는 상기 아우트리거의 제2단부를 적합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형성된 슬롯을 가지는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안내튜브 수단들의 각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이 직선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째짐부를 상기 안내튜브 수단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이 각각 가지며, 상기 컨넥터 수단들은 상기 바람막이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길이방향의 째짐부를 통하여 상기 안내튜브 수단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아암들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아암들의 각각은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의 한쪽 단부들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 수단들의 각 연결아암들은 상기 바람막이에 고정되는 제1단부와, 상기 안내튜브 수단의 바람막이안내부분안에 활주가능하게 끼워지게 되는 원통형상의 슬라이더로 형성된 제2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 수단들의 각 연결아암들의 원통형 슬라이더는 상기 구동볼 조립체의 유연성 선형요소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볼 조립체들의 볼들은 상기 유연성 선형요소의 한쪽 단부로부터의 빠짐이 방지되고, 상기 각 구동볼 조립체들은 (a) 상기 유연성 선형요소의 다른쪽 단부가 고정되는 제1스프링 리테이너와; (b) 상기 유연성 선형요소가 느슨하게 관통하여 연장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된 보어를 가지며, 상기 제1스프링 리테이너와 마주하고 상기 일련의 볼들과 인접하여 배치된 제2스프링 리테이너와; (c) 상기 볼들을 서로 촘촘한 접촉으로 미리 누르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 리테이너들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의 볼들을 강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의 유연성 선형요소들은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15. (a) 전방을 향한 카울링 포함하는 프레임 수단과; (b) 상기 카울링에 바로되에서 중심선과 평행한 관계로 중심선의 양쪽 측부들상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의 째짐부를 각각 가지며 제1단부로부터 제2단부를 향하여 연장한 한쌍의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을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 수단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제1안내튜브 수단들과; (c)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안내튜브들의 제2단부와 마주하여 유지되는 제1단부들 각각 가지며, 상기 프레임 수단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제2안내튜브 수단들과; (d) 상기 제1 및 제2안내튜브 수단들을 통한 길이방향의 활주이동을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안내튜브를 안에 각각 수용되고 유연성 선형요소와, 상기 유연성 선형요소에 꿰어져 상기 제1안내튜브들의 제2단부와 상기 제2안내튜브들의 제1단부 사이의 공간에서 일부분이 노출되는 일련의 볼들을 각각 포함하는 한쌍의 구동볼 조립체들과; (e) 상기 제1안내튜브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과 함께 상기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을 따라서 상승 및 하강하기 위하여 상기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에 있는 길이방향의 째짐부를 통하여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에 각각 연결되는 양족 측부들을 가지는 바람막이와; (f) 상기 바람막이가 상기 바람막이 안내부분들을 따라서 안내되도록, 상기 바람막이의 양쪽 측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길이방향의 째짐부들을 통하여 상기 제1안내튜브들의 바람막이 안내부분들 안에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더 수단들과; (g) 상기 프레임 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의 볼들과 각각 구동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1안내튜브들의 제2단부와 상기 제2안내튜브들의 제1단부사이에 배치되며, 양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어서,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을 상기 제1 및 제2안내튜브들을 따라서 전후진시켜, 그결과 상기 바람막이를 상기 제1 및 제2안내튜브들을 따라서 상승 및 하강시키는 한쌍을 스프라켓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라켓들 부근의 상기 구동볼 조립체들을 구부리기 위하여, 상기 제1안내튜브들의 제2단부에 인접한 상기 제1안내튜브들의 부분이 상기 제2안내튜브들의 제1단부에 인접한 상기 제2안내튜브들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라켓들을 양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 수단에 설치되는 가역성 전기 모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싸이클.
KR1019870000250A 1986-01-13 1987-01-13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KR920001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4680 1986-01-13
JP61-4681 1986-01-13
JP61004680A JPS62163879A (ja) 1986-01-13 1986-01-13 騎乗型自動車用ウインドスクリ−ンの昇降装置
JP4681 1986-01-13
JP4680 1986-01-13
JP61004681A JPS62163880A (ja) 1986-01-13 1986-01-13 騎乗型自動車用ウインドスクリ−ンの昇降装置
JP61-5999 1986-01-14
JP61005999A JPS62163881A (ja) 1986-01-14 1986-01-14 騎乗型自動車用ウインドスクリ−ンの昇降装置
JP61-6000 1986-01-14
JP61006000A JPS62163882A (ja) 1986-01-14 1986-01-14 騎乗型自動車用ウインドスクリ−ンの昇降装置
JP6000 1986-01-14
JP5999 1986-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033A KR870007033A (ko) 1987-08-14
KR920001738B1 true KR920001738B1 (ko) 1992-02-24

Family

ID=2745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250A KR920001738B1 (ko) 1986-01-13 1987-01-13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07017A (ko)
KR (1) KR920001738B1 (ko)
DE (1) DE3700761A1 (ko)
FR (1) FR2592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04401U1 (ko) * 1988-03-31 1988-06-23 Hosak-Robb, Baerbel, 8000 Muenchen, De
US4884544A (en) * 1988-04-12 1989-12-05 Cable Manufacturing And Assembly Company, Inc. Control cable
US5015027A (en) * 1988-09-28 1991-05-14 Rifaat Mahassen S Sun visor
IT1273241B (it) * 1994-02-02 1997-07-07 Diego Sodo Parabrezza a scomparsa per scooter
US5488881A (en) * 1994-07-22 1996-02-06 Lin; Hung-Chung Mechanical transmission mechanism with rolling means
FR2748445B1 (fr) * 1996-05-07 1998-10-09 Marietta Jean Jacques Dispositif permettant de transformer un pare brise de moto ou cyclomoteur en deux tailles
US5855404A (en) * 1996-11-25 1999-01-05 Saunders; Charles A. Motorcycle windshield fairing
US5857727A (en) * 1997-04-25 1999-01-12 Vetter; Craig W. Retractable windshield and flare panel assembly
US6254166B1 (en) * 2000-06-30 2001-07-03 Barry A. Willey Adjustable, readily removable windshield
US6293606B1 (en) 2000-07-19 2001-09-25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Adjustable motorcycle windshield
JP3843206B2 (ja) * 2000-09-25 2006-1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クリーン装着構造
DE10065131B4 (de) * 2000-12-29 2009-04-09 Hs Products Karosseriesysteme Gmbh Windschild für Motorräder
JP4090717B2 (ja) * 2001-09-11 2008-05-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US6641196B1 (en) * 2002-07-11 2003-11-04 Corbin Pacific, Inc. Adjustable fairing for vehicle
CA2504452A1 (en) * 2002-10-31 2004-05-21 Sheryl E. Siegel Pharmaceutical identification
JP2004161069A (ja) * 2002-11-11 2004-06-10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ウインドスクリーン装置
US8037921B2 (en) 2006-06-05 2011-10-18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Track and guide system for a door
US7748431B2 (en) 2006-06-05 2010-07-06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Track and guide system for a door
US20080073930A1 (en) * 2006-07-12 2008-03-27 Edwards Jerry A Motorcycle windshield
US7458626B1 (en) 2006-10-31 2008-12-02 Mark Stadnyk Motorcycle and windshield mount system
US7832783B1 (en) 2006-10-31 2010-11-16 Mark Stadnyk Motorcycle secondary windshield mount system
US7748746B2 (en) 2007-01-17 2010-07-06 Polaris Industries Inc. Fuel tank arrangement for a vehicle
US7832516B2 (en) * 2007-01-17 2010-11-16 Polaris Industries Inc. Adjustable foot control for vehicle
US7669682B2 (en) * 2007-01-17 2010-03-02 Polaris Industries Inc. Rear suspension for a two wheeled vehicle
JP5063233B2 (ja) * 2007-07-20 2012-10-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用いるウインドスクリーン支持機構
CN102818845A (zh) * 2012-07-26 2012-12-12 清华大学 用于检测管式结构的装置
BE1020855A3 (nl) * 2012-08-07 2014-06-03 Binon Paul Robotiseren van een vast of manueel verstelbaar motorfiets windscherm.
JP6300743B2 (ja) * 2015-02-27 2018-03-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におけるスクリーン可動装置
ES2614457B1 (es) * 2015-11-30 2018-03-12 Jorge CRUZ MARTÍNEZ Sistema de parabrisas móvil para vehículos
US10766557B2 (en) * 2016-03-30 2020-09-08 Honda Motor Co., Ltd. Screen control device
DE112018007650T5 (de) * 2018-05-23 2021-03-18 Honda Motor Co., Ltd. Fahrzeug des Sattelsitztyps
CN114516380B (zh) * 2022-02-14 2024-01-16 力帆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摩托车电动升降风挡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414A (en) * 1908-05-02 1910-11-15 Joseph Hadka Wind-shield.
GB449826A (en) * 1935-03-25 1936-07-06 Amal Ltd Improved stay and operating device for hinged or sliding windows, doors, and the like
CH283624A (de) * 1950-09-09 1952-06-15 Rueger Ernst Windschutzvorrichtung für Motorräder.
AT195778B (de) * 1955-08-05 1958-02-25 Andreas Egger Auf- und abschiebbare Windschutzvorrichtung für Motorroller, Motorräder od. dgl.
GB1033153A (en) * 1961-05-17 1966-06-15 Wilmot Breeden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hicle window regulators
US4353590A (en) * 1976-11-26 1982-10-12 Yang Yin-Lung Controllable motorcycle windshield
US4355838A (en) * 1980-05-09 1982-10-26 Hickman John S Motorcycle fairing
US4402642A (en) * 1981-01-12 1983-09-06 Universal Automatic Corporation Machine tool bar feed
US4606571A (en) * 1983-04-20 1986-08-1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djustable front windshield structure of open-top vehicle
JPS608176A (ja) * 1983-06-29 1985-0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天蓋車両用のウインドスクリ−ン支持構造
JPS6228562A (ja) * 1985-07-29 1987-02-06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窓ガラスの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07017A (en) 1987-11-17
DE3700761A1 (de) 1987-07-16
FR2592852A1 (fr) 1987-07-17
DE3700761C2 (ko) 1992-01-02
FR2592852B1 (fr) 1994-01-14
KR870007033A (ko) 198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738B1 (ko) 모터 싸이클용 높이 조정 가능한 바람막이 장치
JP2572118B2 (ja) 自動車のサンバイザー装置
US4908988A (en) Self-driving closure device
US5537782A (en) Electrically-operated displacement device for windows or sliding roofs of motor vehicles
US4389818A (en) Power operated automobile window glass regulating mechanism
US4696509A (en) Windshield adjustment device
JPH0254255B2 (ko)
FR2381161A1 (fr) Dispositif d'actionnement de glace a commande electrique,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0253989B1 (ko) 차량도어에서 하강될수 있는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용 안내장치
KR20050039512A (ko)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CA2098557C (en) Vehicle door glass regulator
CN1735520A (zh) 用于汽车天窗的支撑框架
JPS608176A (ja) 無天蓋車両用のウインドスクリ−ン支持構造
US4716681A (en) Window regulator for an automotive vehicle
JPH06166327A (ja) サンルーフ装置
US4693127A (en) Dual cam window regulator apparatus and method
USRE24706E (en) Glare shield for curved windshields
JPS62163882A (ja) 騎乗型自動車用ウインドスクリ−ンの昇降装置
KR970005372Y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미러의 진동방지장치
JPS62120286A (ja) 自動2輪車のウィンドスクリ−ン昇降装置
KR900009161Y1 (ko) 자동차용 차광조절구
KR970001525Y1 (ko) 자동차의 스포일러
JPS644631Y2 (ko)
JPH0712233Y2 (ja) 自動2輪車の風防装置
KR0153332B1 (ko) 자동차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