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289A - 차량도어에서 하강될수 있는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용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도어에서 하강될수 있는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용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289A
KR19980702289A KR1019970705686A KR19970705686A KR19980702289A KR 19980702289 A KR19980702289 A KR 19980702289A KR 1019970705686 A KR1019970705686 A KR 1019970705686A KR 19970705686 A KR19970705686 A KR 19970705686A KR 19980702289 A KR19980702289 A KR 19980702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
window
guide
barrel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3989B1 (ko
Inventor
호스트 웨버
저하드 호프만
Original Assignee
미첼 스토스체크
브로제 파르제테이레 지엠비에이치 앤드 씨오 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7538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8070228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첼 스토스체크, 브로제 파르제테이레 지엠비에이치 앤드 씨오 케이지 filed Critical 미첼 스토스체크
Publication of KR19980702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9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도어의 도어 샤프트에서 하강될 수 있으며 차량의 종방향에서 가상배럴형 슬리이브면의 구성부품이며 도어 샤프트에 설치된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트에 의하여 차량이 종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용 창유리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내레일은 차량의 횡방향으로 창유리 만곡부에 적합되는 제1 및 제2 만곡부를 갖고 있어 X-방향으로 창유리(1, 1o, 1u, 1', 1, 1')의 안내변부(10r, 10r', 10r, 10r')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회전지점(P, P', P, P')에 대하여 평행한 하측 창유리 변부를 지지하는 회전운동이 창유리(1, 1o, 1u, 1', 1, 1')의 변위 운동에 부가적으로 중첩된다.
창유리(1, 1o, 1u, 1', 1, 1')가 변위되는 가상 배럴형 슬리이브면(2o, 2u)은 동시에 창유리(1, 1o, 1u, 1', 1, 1')의 변위방향으로 회전되며 극단위치 사이의 변위운동중에는 언제나 창유리(1, 1o, 1u, 1', 1, 1')의 세 개의 지점이 극단 위치중의 하나에서 창유리(1, 1o, 1u, 1', 1, 1')와 관련된 배럴형 슬리이브면(2o, 2u)에 놓인다.

Description

차량도어에서 하강될수 있는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용 안내장치
제1a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의 변위중에 비회전위치와 회전위치에 있는 관련 가상 배럴형 슬리이브면과 최상측 위치에 있는 창유리의 측면도이고,
제1b도는 X-방향에 따른 제1a도의 개략도이며,
제2a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윈도우 리프트에 의한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의 변위운동중에 최상측 및 최하측 위치에 있는 창유리의 측면도이고,
제2b도는 X-방향에 다른 제2a도의 개략도이며,
제3도는 X-방향으로의 창유리의 부가적인 운동과 창유리의 오목하게 절단된 안내윤곽을 보여주는 제1a도와 유사한 측면도이고,
제4a도는 창유리의 두 개의 부가적인 중간 위치를 보여주는 제3도와 유사한 측면도이며,
제4b도는 창유리의 가상 배럴형 슬리이브면 및 회전대역의 상측위치와 하측위치 사이에 심하게 과장된 회전각도를 갖는 본 발명을 보여주는 제4a도의 확대 단면도이고,
제5도는 차량의 두 개의 측면 창유리를 갖는 거울-대칭배럴형 슬리이브면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창유리 1o:최상측 위치에서의 창유리 1u:최하측 위치에서의 창유리
1';상측 중간 위치에서의 창유리 1;중앙의 중간위치에서의 창유리
1';하측 중간위치에서의 창유리 10ℓ;창유리변부(좌측)
10r;창유리변부(우측) 10r';상측 중간 위치에서의 우측 창유리 변부
10r;중앙의 중간 위치에서의 우측 창유리 변부
10r';하측 중간 위치에서의 우측 창유리 변부
10o;창유리 변부(상면) 10u;창유리 변부(저면) 100;기준지점
100o;기준지점(상면) 100u;기준지점(저면)
100';상측 중간 위치에서의 기준지점
100;중앙의 중간위치에서의 기준지점
100';하측 중간위치에서의 기준지점
2;배럴형 슬리이브면의 윤곽 2o;최상측 위치에서의 배럴형 슬리이브면의 윤곽
2u;최하측 위치에서의 배럴형 슬리이브면의 윤곽
2g;배럴형 슬리이브면의 대형 환상형 단부면의 윤곽
2go;상측 위치에서 배럴형 슬리이브면의 대형 환상형 단부면의 윤곽
2gu;하측 위치에서 배럴형 슬리이브면의 대형 환상형 단부면의 윤곽
2k;배럴형 슬리이브면의 소형 환상형 단부면의 윤곽
2ko;상측 위치에서 배럴형 슬리이브면의 소형 환상형 단부면의 윤곽
2ku;상측 위치에서 배럴형 슬리이브면의 소형 환상형 단부면의 윤곽
20;배럴형 슬리이브면의 X-축 및 회전가능한 대칭축
20o;최상측 위치에서 배럴형 슬리이브면의 x-축
20u;최하측 위치에서 배럴형 슬리이브면의 x-축
P;지점 P';상측 중간 위치에서의 순간지점 P;중앙의 중간위치에서의 순간지점
P';하측 중간위치에서의 순간지점 S;교차지점
R;반경 H;행정 Hr;우측 창유리 변부의 행정
Hℓ;좌측 창유리 변부의 행정 11;창유리(운전자의 좌석)
12;창유리(후면) 30;배럴형 슬리이브면의 Z-축 거울대칭축
30o;거울 대칭축 30u;거울 대칭축
본 발명은 근본적으로 구동장치에 연결된 케이블 드럼 상으로는 물론 평행한 안내레일의 단부에서 두쌍의 케이블 가이드 상으로 안내되는 폐쇄 케이블 루우프로 구성되는 공지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트를 기초로 한 것이다. 창유리와 연결될 수 있는 변위가능한 글라이더가 안내레일에 설치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레일에는 X-Z면 및 Y-Z면에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어, 변위운동중에 가상 배럴형 슬리이브면에 대한 창유리의 위치에 따라 창유리는 그의 하측변부를 평행하게 유지시키는 회전운동을 수행한다 이에 의하여 창유리의 세 개의 지점은 창유리의 시동위치와 관련되는 배럴형 슬리이브 면에 항상 위치된다.
제1a도는 차량도어의 두 개의 단부위치에서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1o, 1u)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창유리(1o)의 상측 단부 위치에서, 이것은 그의 회전가능한 대칭축(20o)이 하측 창유리변부(10u)에 평행하게 주행하는 가상 배럴형 슬리이브면(2o)의 구성부품이다. 이 창유리(1o, 1u)는 수직통로를 확실하게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창유리의 측변부(10ℓ, 10r)는 이와 관련되는 배럴형 슬리이브면(2o, 2u)의 거울대칭축(30o, 30u)에 대하여 평행하게 주행하도록 절단된다.
창유리가 그의 하측 단부위치(1u)로 하강하면, 가상 배럴형 슬리이브면(2o)은 슬리이브면(2u)의 하측위치로 명백히 회전하며, 이 경우 겉보기 회전지점은 두 개의 축(20o 및 20u)의 교차점(S)에 놓인다. 또한 이에 의하여 창유리(1o, 1u)는 동일한 각도로 회전운동을 수행한다. 창유리(1u)의 하측위치에서, 이는 여전히 관련 가상 슬리이브면(2o)과의 세 개의 접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기하학적 조건의 결과로, 가상 슬리이브면(2o)에 대한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1o, 1u)의 변위중에 창유리의 하측변부(10u)의 가이드는 하나의 폐쇄 케이블 루우프만을 갖는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트의 마찰없는 사용에 필요조건인 평해에 성공한다. 따라서, 슬리이브면(2o)은 창유리(1o, 1u)에 대한 변위작용중에 슬리이브면(2u)의 위치로 회전한다. 따라서 리프트 시스템 또는 도어에서 장력 상태가 일어남이 없이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트에 의하여 창유리 행정(H)이 보증될 수 있다.
이 지점에서 창유리(1o)의 하측변부(10u)는 또한 슬리이브면(2o)의 축(20o)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창유리의 하측변부(10u)가 창유리의 각각의 위치에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주행한다는 사실을 변경하는 것은 아니다.
제1b도는 X-방향에 따라 제1a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 경우 상기 방향에서 돌출된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1o, 1u)의 표면은 검게 나타나 있다.
또한 이것이 행정(H) 만큼 이동된 후 창유리(1u)의 하측변부(10u)에 대한 창유리(1o)의 하측변부(10u)의 평행통로를 보면 명백하다 더욱이 제1b도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창유리(1o)는 그의 상측위치에서 상측 비회전 배럴형 슬리이브면(2o)과 관련되어 있다.
이 슬리이브면(2o)은 대형 직경을 갖는 두 개의 원중 관련된 상측원(2go) 및 소형직경의 관련된 원(2ko)에 의한 표시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배럴형 슬리이브면(2o)의 절단이 창유리의 측변부(10ℓ, 10r)를 따라 직접 일어나게 된다.
정의에 의하면 창유리(1o)는 그의 상측 단부위치에서 관련 가상 배럴형 슬리이브면(2o)의 일부를 정확하게 모사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그의 측변부(10ℓ, 10r)는 회전축(20o)을 갖는 상측 배럴형 슬리이브면(2o)에 속하는 원(2go, 2ko)의 윤곽과 일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간단하면서도 동시에 과장된 표현을 선택하여야만 하였다는 점을 밝혀둔다. 따라서 창유리(1u)의 모서리 지점의 위치는 실제적인 비율로 나타내질 수 없었다. 창유리(1o, 1u)의 변위운동으로 그의 모서리 지점은 X-방향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슬리이브면(20)의 대형 및 소형 반경에 놓이게 된다.
참조부호(20u)는 X-방향에 놓이는 소형환상 단부면으로부터 회전축(20u)의 출구점을 나타낸다 창유리(1u)의 하측위치에서 그의 표면은 회전 슬리이브면(2u)을 갖는 어떠한 균일한 대역도 모사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제2a 및 2b도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에서 설명된 DE-A1 40 08 229에 따른 윈도우 리프트를 통하여 수행된 바와 같이 케이블 윈도우 리프트에 의하여 조절가능한 창유리(1ㅇ, 1u)에 관한 유사한 실례를 보인 것이다.
따라서, 창유리(1o, 1u)의 변위는 동일한 배럴형 슬리이브면(2)에서 행하여지며, 이 경우 일정각도의 회전이 슬리이브면에서 달성된다. 이에 의하여 창유리(1o, 1u)는 안내변부로서 작용하는 우측변부(10r)의 대역에서 창유리의 좌측변부(10ℓ)보다 큰 통로를 자동적으로 커버한다 그러나 이는 상측 위치에서 창유리(1o)의 하측변부(10u)와 하측위치에서 창유리(1u)의 하측변부(10u) 사이에 각위치를 최종적으로 생기게 하는 상이한 행정길이(Hℓ 및 Hr)에 해당한다.
드로오 변부(통로라인)로서 작용하는 우측 창유리변부(10r)의 경사위치의 결과로 창유리의 변위중에 X-방향으로 전진 변위가 동시에 일어난다.
또한 제2b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창유리(1o 및 1u)의 하측 변부(10u)는 상이한 행정길이(Hℓ 및 Hr)의 결과로 평행하게 주행하지 않는다.(제1b도 참조)
제3도는 실질적으로 제1a도와 일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Z-축에 평행한 수직 통로 방향은 창유리(1o)에 대하여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Z-축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주행하는 통로라인에 대하여 선택되었다. 그러나 이 통로라인은 평소와 다름 없이 직선을 그리지 않지만 창유리(1o, 1u)의 회전운동으로 인하여 변위과정중에 원호를 그린다.
반경(R)을 갖는 안내변부(10r)의 적당히 적합시킨 절단부는 코치워크 측부에 대하 안내대역이 대응하는 볼록디자인을 갖는 경우 정확한 창유리 안내를 가능하게 한다.
이동하는 순간 지점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4a도는 제3도의 변형예로서 창유리(1)의 중간위치(1', 1, 1')를 도시한 것이며, 제4b도는 심하게 과장된 상세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4a도에 의하면, 기준지점(1000o)[창유리 상측 변부(10o)와 안내변부(10r)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 지점]은 창유리(1)가 점유하는 위치가 어디이든가에 관계없이 지점(P)으로부터 시작하여 반경(R)을 갖는 원호에 대략 위치된다.
이에 의하여 반경(R)은 안내변부(10r)에서 직립하여야 한다.
그러나 제4b도에서 과장되게 확대된 부분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창유리(1', 1, 1')의 중간위치에서 동일한 길이를 갖는 안내변부(10r', 10r, 10r')상의 관련 기준지점(100', 100, 100')에서 직교는 공통지점을 형성하지 않지만 이동하는 순간지점(P', P, P')을 형성한다. 심지어 직교의 연장에 의하여 이들은 상이한 지점에서 교차한다.
변위운동중에 회전되며 적용할 경우 X-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되는 배럴형 슬리이브면(2o, 2u)의 창유리(1)의 복합나선 이동통로는 간단한 수학적 상관관계로 기술될 수 없다. 그러나 반복적인 구성 방법으로 매우 만족스러운 기술적 해결을 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개개의 경우에 충분히 발휘하는 한계조건이 적절히 고려될 수 있다.(예컨대 Z-축에 대한 통로라인의 각도)
제5도는 자동차에 속하며 회전축(20)상에 상측단부위치에 위치되는 두개의 창유리911 및 12)를 갖는 가상 배럴형 슬리이브면(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창유리(11)는 거울 대칭축(30)에 의하여 우측 변부 대역에서 절단되어 있다. 그의 우측 안내 변부는 Z-축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창유리(11)가 기술된 발명에 따라 하강하면 이것은 배럴직경이 보다 작게 된다는 의미에서 전진변위를 일으키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배럴형 슬리이브면(2)의 우측 절반부에 위치되는 다른 창유리(12)는 다른 한편으로는 이것이 하강 될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개개의 창유리의 배럴형 슬리이브면의 기하학적 데이타를 다르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동일한 차량의 두 개의 창유리의 본 발명에 따른 조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라서 도어 샤프트에서 하강될 수 있는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용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트의 안내레일의 특별한 디자인을 통하여 그리고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 일반적으로 이룰 수 있는 약간의 변형에 의하여 차량 코치워크에 이상적으로는 창유리의 안내윤곽에 이용할 경우 본 발명은 케이블 윈도우 리프트의 정확한 평행통로를 통하여 곡률반경이 안내레일의 대역에서 상당히 다른 창유리를 승강 및 하강시키기에 일반적으로 적당하지 않는 케이블 윈도우 리프트가 사용될 수 있게 한다.
DE 40 08 229 A1에는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두 개의 폐쇄 케이블 루우프로 차량 창유리를 승강 및 하강 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두 개의 케이블 드럼이 개개의 평행축에 설치되어 서로 마찰결합 또는 키이 결합을 이루고 있다. 두 개의 케이블 드럼 중 하나는 수동장치나 또는 전기 장치에 의하여 구동된다. 두 개의 케이블 루우프의 각각은 단부에 제공된 케이블 가이드상으로 수직 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된다.
이 장치의 변형에 따르면, 상이한 직경을 갖는 케이블 드럼의 조합이 제공되며 이로써 두 개의 케이블 루우프 사이에서 대응하는 병진운동비가 발생된다.
따라서, 윈도우 리프트를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의 특정 통로 조건에 적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엔트레인먼트 부재의 느린 변위 속도와 작은 변위 통로를 갖는 안내레일이 작은 창유리 반경을 갖는 측부에 설치되고 엔트레인먼트 부재의 빠른 변위속도와 큰변위 통로를 갖는 안내레일이 큰 창유리에 반경을 갖는 측부에 설치된다.
그러나 엄격하게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를 변위시키기 위하여는 비교적 높은 기술비용이 필요하다는 결정이 있다. 케이블 루우프와 케이블 드럼의 이중 구조는 상당히 높은 비용에 이르게 한다. 윈도우 리프트의 조작중에 만곡부가 일치하며 엔트레인먼트 부재(슬라이더)가 동일한 길이의 통로를 커버하는 두 개의 안내 레일을 갖는 통상적인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트에 의한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의 변위는 창유리의 하강중에 경사운동을 야기시켜 창유리가 최소한 한 지점에서 도어 샤프트에 대한 힘을 지지하게 한다. 이로 인하여 윈도우 리프트 시스템 및 도어 본체에서 장력이 야기된다. 더욱이 증가된 시스템 마찰은 증가된 구동 모우먼트를 요하게 되어 보다 강력하며 보다 비용집약적인 모터의 사용을 요하게 된다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유리의 하측변부의 아주 정밀한 평행 통로가 심지어 엄격하게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의 경우에도 보증되도록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트를 갖는 차량 도어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개발은 비용이 많이 드는 추가적인 수단 및 추가적인 부품 없이도 달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특징부를 통하여 달성된다. 특허청구의 범위의 종속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를 기술한 것이다.
Y-방향으로 만곡된 종래의 안내레일로부터 시작하여 창유리의 만곡부에 적합시키므로써, 본 발명에 다른 안내레일은 변위방향을 가로지른 만곡부를 추가적으로 갖는다. 두 개의 축(방향)으로 만곡된 안내레일의 디자인은 창유리의 안내 벽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극)을 중심으로한 회전운동이 창유리의 변위운동에 중첩되도록 선택된다. 이는 구성부품이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인 가상 배럴형 슬리이브면이 창문의 변위중에 동시에 변위방향으로 회전된다는 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예컨대 창유리가 낙하할 때 마찬가지로 상기 가상 배럴형 슬리이브면이 하향회전된다. 이들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창유리가 폐쇄된 창유리 위치의 슬리이브면에서 이상적인 균일 위치를 떠난 후 이 배럴형(시동) 슬리이브면의 세 개의 지점에 놓이게 함으로서 실제적으로 이상적인 변위운동을 달성하도록 한다.
순간 지점의 위치 및 특히 창유리의 안내 변부로부터 순간지점의 거리는 많은 매개변수에 따라 달라진다.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배럴형상(더욱 원통형이거나 더욱 구면); -창유리의 통로 라인(이는 창유리의 절단변부와 일치 할 수 있다. 주로 B-컬럼측); -X-방향에서 배럴형 슬리이브면의 Z-축으로부터 통로라인의 각도편차; -창유리의 행정; -배럴형 슬리이브면의 거울-대칭 Z-축에 대한 창유리의 위치 이동하는 순간지점의 위치에 대한 전술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양적 효과를 나타내기란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반복적인 구성방법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를 디자인 하는데 가장 적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근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으로부터 유래한다.
-배럴형상이 보올에 가까와져서 원통형상으로부터 벗어나면 벗어날수록 창유리는 더욱더 엄격히 회전하므로 창유리가 배럴의 거울-대칭축에 의하여 절단되지 않는 경우 창유리 안내변부의 반경(R)은 더 작게 된다.
-창유리의 통로라인과 수직 Z-축 사이의 각도가 크면 클수록 감소하는 배럴 반경의 X-방향으로 창유리의 전진 이동은 그만큼 더 커지므로 X-축으로부터 창유리의 회전각도도 또한 커진다.
-창유리 리프트가 크면 클수록(따라서 배럴형 슬리이브면에 대한 회전각도가 크면 클소록) X-축으로부터 변위과정중에 창유리의 회전은 그만큼 더욱 엄격하다.
-창유리가 거울-대칭축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면 할수록, 따라서 창유리가 배럴형 슬리이브면의 보다 현저한 만곡부의 대역으로 보다 격력하게 이동하면 할수록 X-축으로부터 창유리의 회전작용은 그만큼 더욱 현저해 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의하면, 창유리의 안내윤곽은 이것이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의 회전운동에 적합하다.
A- 또는 B-컬럼측 창유리 변부는 정면 창유리의 안내 윤곽으로서 작용하고 B- 또는 C-컬럼측 창유리 변부는 배면 창유리에 대한 안내 윤곽으로서 사용된다. 안내레일의 관련 안내윤곽은 창유리 변부와 맞추어지는 만곡부 즉 반대로 만곡된 만곡부를 갖고 있다. 만곡부는 두 개의 기준지점(예컨대, 창유리의 안내 변부의 상측 및 하측 모서리 지점)이 윈도우 리프트의 조작중에 이동되는 원의 단면을 형성한다.
배럴형 슬리이브면의 회전각도가 작고 창유리의 안내변부의 “이상적인” 만곡부가 예컨대 직선으로부터 약 1㎜의 하나의 편차만을 갖는다고 가정하면, 만곡 안내 변부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로 자동차의 도어 코치워크의 안내단면은 발생되는 가는 캡을 커버한다.
X-Z-면으로 안내레일의 돌출은 원호상 윤곽을 형성하고 Y-Z-면으로 돌출된 안내레일의 윤곽은 만곡되기 때문에 안내레일은 클리어 나선디자인을 갖는다.
따라서, 창유리의 변위중에 창유리의 Z-방향으로 일어자는 회전운동과 X-방향으로 일어나는 전진변위가 중첩된다.
본 발명은 특히 비용효율적인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트를 재료-집약적 특수 디자인을 제외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구면으로 만곡된 모든 창유리를 이동시키기에 적당하다.
본 발명의 윤곽선 케이스는 가상 배럴형 슬리이브면의 거울-대칭축(Z-축에 평행)이 창유리를 중앙에서 대략 분할하는 경우에 존재한다.
이와 같은 특별한 경우에 있어서, 창유리는 어떠한 경사운동도 행하지 않게 되며 종래의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트에 의하면 아무런 문제없이 변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laims (6)

  1. 차량도어의 도어 샤프트에서 하강될 수 있고 차량의 종방향(X-방향)에서 가상 배럴형 슬리이브면의 구성부품이며 차량의 종축방향(X-방향)에서 도어 샤프트에 설치된 이중 스트랜드 케이블 윈도우 리프트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리프트 기구의 안내레일은 차량의 횡방향(Y-방향)으로 창유리 만곡부에 적합되는 제1만곡부를 가지며 단부에서 폐쇄 케이블 루우프가 안내되는 케이블 가이드를 지지하며, 케이블 루우프는 창유리의 안내레일에서 안내되는 엔트레인먼트 부재외 고정관계를 이루어 구동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용 안내장치에 있어서 안내레일 각각은 제1만곡부를 가로질러 제2 만곡부를 부가적으로 갖고 있어 X-방향으로 창유리(1, 1o, 1u, 1', 1, 1')의 안내변부(10r, 10r', 10r, 10r')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회전지점(P, P', P, P')에 대하여 평행한 하측 창유리 변부를 지지하는 회전운동이 창유리(1, 1o, 1u, 1', 1, 1')의 변위 운동에 부가적으로 중첩되고, 창유리가 변위되는 가상 배럴형 슬리이브면(2o, 2u)이 동시에 창유리(1, 1o, 1u, 1', 1, 1')의 변위방향으로 회전되고, 극단위치 사이의 변위 운동중에는 언제나 창유리(1, 1o, 1u, 1', 1, 1')의 세 개의 모서리지점이 극단위치중의 하나에서 창유리와 관련된 배럴형 슬리이브면(2o, 2u)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창유리(1, 1o, 1u, 1', 1, 1')가 회전하는 회전지점은 이동하는 순간지점(P', P, P')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안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창유리(1o, 1u)의 안내변부(10r)는 회전면에서 만곡되고 안내레일의 관련 안내윤곽은 무프레임 도어에 있어서 차량 코치워크의 결합윤곽을 적용하는 경우 대응되게 만곡되며, X-Z면으로 돌출된 만곡부는 창유리(1o, 1u)의 안내변부의 두 개의 기준지점이 조작중에 이동되는 원의 부분의 모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안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안내변부(10r)의 기준지점 창유리(1o, 1u)의 최상측 모서리지점(100o) 및 최하측 모서리지점(100u)은 안내라인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안내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Z면으로 돌출되는 안내 레일의 윤곽은 배럴형 창유리(2o, 2u)가 그의 조작중에 변위운동과 회전운동에 더하여 X-방향으로 전진변위를 받도록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안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안내레일은 X-방향으로 배럴형 창유리(2o, 2u)의 회전운동과 전진변위의 중첩운동이 나선형 라인을 그리도록 나선형 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안내장치.
KR1019970705686A 1995-02-14 1996-02-13 차량도어에서 하강될수 있는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용 안내장치 KR100253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04781.8 1995-02-14
DE19504781A DE19504781C1 (de) 1995-02-14 1995-02-14 Scheibenführung für eine absenkbare sphärisch gekrümmte Fensterscheibe in einer Fahrzeugtü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289A true KR19980702289A (ko) 1998-07-15
KR100253989B1 KR100253989B1 (ko) 2000-04-15

Family

ID=775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686A KR100253989B1 (ko) 1995-02-14 1996-02-13 차량도어에서 하강될수 있는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용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946860A (ko)
EP (1) EP0809747B1 (ko)
JP (1) JPH11500796A (ko)
KR (1) KR100253989B1 (ko)
CN (1) CN1071833C (ko)
BR (1) BR9606952A (ko)
DE (2) DE19504781C1 (ko)
ES (1) ES2122797T3 (ko)
IN (1) IN185471B (ko)
MX (1) MX9706215A (ko)
WO (1) WO1996025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8243B1 (en) 1998-12-03 2004-03-02 Nippon Sheet Glas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ent glass sheet
DE19859527B4 (de) * 1998-12-14 2004-07-2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Verstelleinrichtung für eine Fensterscheibe eines Kraftfahrzeuges
JP2000290029A (ja) 1999-04-01 2000-10-17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板成形用ベルトおよびこのベルトを用いた曲げガラス板の製造方法
US6976335B1 (en) 1999-07-23 2005-12-20 Nippon Sheet Glass Co., Ltd. Bi-directionally-curved vehicle window pane and vehicle door structure incorporating the same
MY126647A (en) 1999-07-23 2006-10-31 Nippon Sheet Glass Co Ltd Curved glass sheet for vehicle window
DE19942643C2 (de) * 1999-08-30 2001-07-12 Brose Fahrzeugteile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s Seilfensterhebers an einer Fahrzeugtür sowie Fahrzeugtür eines Kraftfahrzeugs
DE19961268C1 (de) * 1999-12-18 2001-02-08 Ekrem Ayran Vorrichtung zum Anheben und Absenken einer Fahrzeugscheibe
US6550185B2 (en) * 2001-08-02 2003-04-22 Meritor Light Vehicle Technology, Llc Vehicle door and window regulator assembly for driving a window in a helical path
DE102004017322A1 (de) * 2004-04-06 2005-11-03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Trommelgehäuse
ES2255393B1 (es) * 2004-06-23 2007-03-16 Melchor Daumal Castellon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de las ventanillas laterales posteriores de vehiculos descapotables.
US20100043295A1 (en) * 2008-08-20 2010-02-25 Geoffrey Barr Automatic cable tensioner for cable drive window regulators
US20100043173A1 (en) * 2008-08-20 2010-02-25 Geoffrey Barr Adjustable upstop for frameless automotive door
US8453383B2 (en) * 2008-08-20 2013-06-04 Inteva Products, Llc Adjustable glass clamp for cable drive window regulators
DE102010003882B4 (de) 2010-04-12 2016-03-31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Verfahren zum Ermitteln einer Sollbewegung, zum Bewegen und zum Modifizieren eines verfahrbaren Bauteils
DE102010031013A1 (de) * 2010-07-06 2012-01-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Kraftfahrzeug-Fensterheber
DE102010031015A1 (de) 2010-07-06 2012-01-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Führungsschiene für einen Fensterheber und Türsystem für eine Fahrzeugtür
CN107729624B (zh) * 2017-09-22 2021-04-16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车门玻璃及导轨的设计方法
CN108086851A (zh) * 2017-12-12 2018-05-29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车窗玻璃升降系统
CN111425103B (zh) * 2020-04-28 2021-06-04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升降角速度相等的双导轨玻璃升降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6803A (en) * 1968-05-28 1969-09-16 Gen Motors Corp Guide arrangement
JPS51141123A (en) * 1975-05-29 1976-12-04 Nissan Motor Co Ltd Guide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window glass
DE3116917C2 (de) * 1981-04-29 1985-01-24 Audi Nsu Auto Union Ag, 7107 Neckarsulm Fensterheber, insbesondere für Personenkraftwagen
JPS60166772U (ja) * 1984-04-12 1985-11-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ガラスガイド構造
DE3718840C1 (en) * 1987-06-05 1988-06-23 Audi Ag Window lifter for motor vehicles
US4935986A (en) * 1987-10-02 1990-06-26 Consolidated Industrial Corporation Window slider
DE4008229C2 (de) * 1990-03-15 1998-08-13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m Heben und Senken einer Kraftfahrzeugfensterscheibe
US5159781A (en) * 1990-10-04 1992-11-03 Ford Motor Company Window panel position regulating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22797T3 (es) 1998-12-16
US5946860A (en) 1999-09-07
EP0809747A1 (de) 1997-12-03
KR100253989B1 (ko) 2000-04-15
DE19504781C1 (de) 1996-08-22
MX9706215A (es) 1998-02-28
CN1174586A (zh) 1998-02-25
WO1996025580A1 (de) 1996-08-22
IN185471B (ko) 2001-02-03
EP0809747B1 (de) 1998-07-29
BR9606952A (pt) 1997-10-28
DE59600385D1 (de) 1998-09-03
JPH11500796A (ja) 1999-01-19
CN1071833C (zh)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2289A (ko) 차량도어에서 하강될수 있는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용 안내장치
US5673515A (en) Two-strand cable window regulator for operation of a spherically curved window
US4908988A (en) Self-driving closure device
EP0928646B1 (en) Bending device
MXPA97006215A (en) Glass guide for a window window currently curved, which can be lowered in a vehic door
KR100540882B1 (ko)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JPS57140246A (en) Driving device of motor driven mirror
JP2005504906A (ja) 自動車のダブルストランド式ケーブルウィンドウリフタによって移動されるウィンドウガラスを調節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3888047A (en) Window regulator for motor vehicle
US3273285A (en) Window regulator mechanism
KR20080078891A (ko) 슬라이딩 도어
JPH0673946A (ja) 車両のドアガラスレギュレータ
KR101939176B1 (ko) 벤딩 머신용 가공물 장력조절장치
US5081792A (en) Window regulator with orthogonal pushout for flush window
US6966095B2 (en) Linear-tracking windshield wiper system for wiping a rectangular field
KR100562347B1 (ko) 벤딩 장치
JP2012188887A (ja) オートスライドドア装置
US3925932A (en) Window regulator mechanism
EP0205211A2 (en) Door window regulator driving system
KR0162578B1 (ko) 자동차의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JP3904382B2 (ja) アーム式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及びその組立方法
JP2977267B2 (ja) 自動車ドアのウインドガラス案内構造
JPS6340079A (ja) 自動車の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ユレ−タ
JP2746629B2 (ja) 自動車用窓ガラスの上昇規制装置
JPH0813911A (ja) 自動車用窓ガラスの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