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882B1 -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882B1
KR100540882B1 KR1020040033141A KR20040033141A KR100540882B1 KR 100540882 B1 KR100540882 B1 KR 100540882B1 KR 1020040033141 A KR1020040033141 A KR 1020040033141A KR 20040033141 A KR20040033141 A KR 20040033141A KR 100540882 B1 KR100540882 B1 KR 100540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ans
guide means
guide
sun vis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9512A (ko
Inventor
이창섭
김동남
윤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엘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엘티
Priority to KR1020040033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882B1/ko
Priority to CNB2005800228712A priority patent/CN100554022C/zh
Priority to US11/596,139 priority patent/US7347480B2/en
Priority to PCT/KR2005/000832 priority patent/WO2005108140A1/en
Priority to JP2007513054A priority patent/JP4431172B2/ja
Priority to EP05726791A priority patent/EP1744918A4/en
Publication of KR20050039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72Investigating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02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changes of state or changes of phase; by investigating sin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바이저 몸체를 자동적으로 오버헤드 저장실의 밖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를 움직이는 차광 위치에 피벗시킬 수 있는 개량된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 안내봉과 하부 안내봉을 포함한다. 상부 주행구는 상부 안내봉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 주행구는 하부 안내봉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 중심축은 하부 주행구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마운팅 바는 회전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이저 바디가 고정 설치된다. 회동편은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편심되도록마운팅 바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연결 링크는 상부 주행구의 일측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회동편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속도차 발생장치는 상부 안내봉과 하부 주행구가 마운팅 바, 회동편 및 연결링크를 통한 연결 상태를 유지한 채 각각 상부 안내봉과 하부 안내봉을 따라서 활주할 때 상호 속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선바이저 어셈블리는 차실 내로 입사되는 빛을 수동 및 자동으로 바이저 바디로 차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고 편안한 운행이 될 수 있다.
차량,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Description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ELECTROMOTIVE SUNVISOR ASSEMBLY OF A VEHICLE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바이저 바디가 작동하기 이전을 보여주는 도 1에서 A - 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바이저 바디가 작동한 이후를 보여주는 도 1에서 A - 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에서 B - 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처음 위치의 바이저 바디를 보여주는 도 2의 선바이저 어셈블리를 C 방향에서 본 도면;
도 8은 중간 위치의 바이저 바디를 보여주는 도 2의 선바이저 어셈블리를 C 방향에서 본 도면;
도 9는 최종 위치의 바이저 바디를 보여주는 도2의 선바이저 어셈블리를 C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0은 도 3에서 보조 선바이저가 장착된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1은 도 7에서 보조 선바이저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7에서 보조 선바이저의 측면구동장치의 사시도;
도 13은 도 7에서 제 1 마운팅 플레이트와 제 2 마운팅 부분 만을 확대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5는 도 14에서 바이저 바디가 전진된 상태의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7는 도 16에서 바이저 바디가 전진된 상태의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서 바이저 바디가 전진된 상태의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서 바이저 바디가 전진된 상태의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서 바이저 바디가 전진된 상태의 도면;
도 23a는 도 22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23b는 도 22의 다른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5는 도 24에서 바이저 바디가 전진된 상태의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7은 도 26에서 바이저 바디가 전진된 상태의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 및
도 30은 도 29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량 14 : 윈드 시일드
VB : 바이저 바디 100 : 선바이저 어셈블리
110, 120, 220, 320, 420, 520, 620, 720, 820: 메인 몸체
130 : 상부 안내봉 132 : 하부 안내봉
160 : 가이드 레일
170, 270, 370 : 상부 주행구
172, 272, 374 : 하부 주행구
본 발명은 차량이나 기타 동 종류 것을 위한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인클로져, 즉 수납실 내에 수평 방향으로 수납된 바이저 바디가 전방의 차광 위치로 수평이동하면서 동시에 헤드 라이닝 및 윈드 시일드의 경사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동됨으로써 바이저 바디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측면 유리의 방향으로 보조 바이저 바디를 이동시켜 빛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개량된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선바이저의 경우, 설치 위치는 운전석과 조수석 상측 전방의 헤드 라이닝에 설치된다. 선바이저는 전방의 윈드 시일드 위치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 하부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다. 또한 선바이저는 측면 유리로 방향을 전환시켜 측면 유리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 선바이저 작동을 전동화시킨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대표적인 기술로서, 1991년 7월 16일자로 미야모토(Miyamoto)에 의하여 공개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5,031,952호에는 차량 또는 동 종류를 위한 선바이저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차량 루프와 헤드 라이닝 사이에 형성된 인클로져(enclosure) 내에 은폐 가능하게 수용된 저장 위치로부터 차광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 바이저 바디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으나, 인크로져 내에 수납된 상태로부터 차광 위치로의 수평 이동이 먼저 이루어진 후에 차광 위치에서 바이저 바디의 하방으로 선회 작동이 완전히 이루어져 운전자에게 필요한 각도 만큼 선바이저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이러한 선회 작동시에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측면유리의 방향으로 유입되는 밝은 햇빛이나 밝은 빛을 갖는 광원들로부터 차량의 탑승자들에게 차광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클로져, 즉 수납실 내에 수평 방향으로 수납된 바이저 바디가 전방의 차광 위치로 수평 이동하면서 동시에 헤드 라이닝 및 윈드 시일드의 경사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편향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바이저 바디의 하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윈드 시일드 뿐만 아니라 측면 유리를 통하여 차량의 탑승자들에게 전달되는 밝은 햇빛이나 교행하는 차량의 전조등 등의 광원들로부터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를 운전자의 운전 환경 변화 등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 구조물과 헤드 라이닝 사이의 수납실에 설치되며 차실 내로 입사되는 빛을 바이저 바디에 의해 차단시키기 위한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안내수단과 제 2 안내수단;
상기 제 1 안내수단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이동수단;
상기 제 2 안내수단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이동수단;
상기 제 2 이동수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중심축;
상기 회전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이저 바디가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 바;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마운팅 바로부터 돌출 형성된 회동편;
상기 제 1 이동수단의 일측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회동편편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연결 링크; 및
상기 제 1 이동수단과 제 2 이동수단이 상기 마운팅 바, 상기 회동편 및 상기 연결링크를 통한 연결 상태를 유지한 채 각각 상기 제 1 안내수단과 제 2 안내 수단을 따라서 활주할 때 상호 속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속도차 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센서가 운전자의 운전환경 변화의 정도를 탐지하는 제 1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제 1 단계에서 탐지된 변화치 데이터를 생성시켜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는 제 2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제 2 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각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모터 드라이브로 출력하는 제 3 단계;
상기 모터 드라이브가 상기 제 3 단계로부터 입력받은 제어 신호에 따른 모터 구동신호를 모터로 출력하는 상기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출력 신호에 따라 모터가 구동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에 의하면, 제 1 안내수단과, 이와 평행하게 설치된 제 2 안내수단, 제 1 안내수단에 설치되는 제 1 이동수단, 제 2 안내수단에 설치되는 제 2 이동수단, 제 2 이동수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공되는 회전 중심축, 회전 중심축에 설치되며 바이저 바디가 설치되며 회동편이 형성되는 마운팅 바, 마운팅 바의 회동편과 제 1 이동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 및 제 1 이동수단과 제 2 이동수단 사이에 속도 차이를 발생하는 속도차 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선바이저 어셈블리는 햇빛이나 교행하는 다른 차량의 전조등의 빛이 차실 내로 유입될 때, 그 빛을 수동 및 자동으로 바이저 바디 뿐만 아니라 보조 바이저 바디로 차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고 편안한 운행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바이저 어셈블리(100)를 차량(10)에 적용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은 루프 구조물(12)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드 시일드(14)는 루프 구조물(12)의 전방 단부에 경사상으로 설치된다. 측면 유리(도시 안됨)는 루프 구조물(12)의 측방 단부에 수직(Z 방향)으로 설치된다. 전방 프레임(18)은 루프 구조물(12)의 전방 하부 표면에 가로 방향(X 방향)으로 설치된다. 중앙 프레임(20)은 전방 프레임(18)에 일단이 접촉되어 루프 구조물(12)의 전방 하부 표면에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설치된다. 선바이저 어셈블리(100)가 내부에 수용되는 수납실(24)을 한정하도록 루프 구조물(12)의 내측에 헤드 라이닝(22)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100)의 경우 바이저 바디(VB)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루프 구조물(12)과 헤드라이닝(22)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실(24) 내에 설치된다. 물론, 차량의 구조에 따라서, 바이저 바디(VB)가 수납실(24) 내로 수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서 선바이저 어셈블리(100)의 분해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A - 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서 B - 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 어셈블리(100)는 메인 몸체(110)를 포함한 다. 메인 몸체(110)는 상부 바디(112)와 하부 바디(114)를 포함한다. 상부 바디(112)에는 상부 축공(112a)이 양단에 형성된다. 하부 바디(114)에는 하부 축공(114a)이 양단에 형성된다. 상부 바디(112)와 하부 바디(114)의 양단의 전면에는 간격 유지구(116)가 세워져 결합된다. 각각의 간격 유지구(116) 사이에는 제 1 안내수단으로서 상부 안내봉(130), 그리고 제 2 안내수단으로서 하부 안내봉(132)이 설치된다.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속도차 발생수단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 바디(112)와 하부 바디(114)의 양단에 설치되는 회전축(142)에 한 쌍의 제 1 풀리(140)와 제 2 풀리(140a)가 각각 설치된다. 제 1 풀리(140)는 제 2 풀리(140a)의 상측에 위치된다. 제 1 풀리(140)들에는 제 1 벨트(144)가 연결되고, 제 2 풀리(140a)들에는 제 2 벨트(144a)가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풀리(140)의 직경은 제 2 풀리(140a)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풀리(140)와 제 2 풀리(140a)가 동일한 속도록 회전하는 경우에도 제 1 벨트(144)의 주행 속도가 제 2 벨트(144a)의 주행 속도 보다 빠르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모터(146)의 주축(146a)의 자유 단부에는 주동기어(146b)가 결합된다. 상부 바디(112)의 일단으로 노출된 회전축(142)들 중 하나에는 연결축(148)이 결합된다. 그 연결축(148)에는 종동기어(148a)가 결합된다. 베벨, 헬리컬 타입의 종동기어(148a)에 주동기어(146b)가 기어 결합되어 모터(146)의 회전력을 연결축(148) 및 회전축(142)를 통하여 벨트 풀리(140)(140a)에 전달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공간상의 제약이 크지 않는 경우에는 연결축(148) 또는 회전축(142)에 직접 모터(146)의 회전력이 인가될 수도 있다.
제 1 벨트(144)의 일측면에는 제 1 이동수단으로서 상부 주행구(170)가 설치되고, 제 2 벨트(144a)의 일측면에는 제 2 이동수단으로서 하부 주행구(172)가 설치된다. 상부 주행구(170)의 일측면에는 연결 링크(174)의 고정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연결 링크(174)의 자유 단부에는 작동홈(174a)이 형성된다. 하부 주행구(172)의 일측면에 회전 중심축(176)이 돌출된다. 회전 중심축(176)에는 바이저 바디(VB)의 마운팅 바(176b)가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회전 중심축(176)을 중심으로 하여 이로부터 편심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회동편(176a)의 단부는 연결링크(174)와 연결된다. 이로써 상부 주행구(170)와 하부 주행구(172)의 링크 연결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이저 바디(VB)는 마운팅 바(176b)를 감싸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몸체(110)의 반대편을 지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레일(16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이드 레일(160)은 상부 바디(112) 및 하부 바디(114)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 레일(160)과 상부 바디(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바(162)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 중심축(17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마운팅 바(176b)의 자유 단부에는 롤러 설치편(178)이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된다. 롤러 설치편(178)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롤러(178a)가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된다. 가이드 롤 러(178a)는 가이드 레일(160)의 상부 표면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주행 도중 태양이나 다른 차량의 전조등의 빛이 전방의 윈드 시일드(14)를 통해 차실 내로 유입될 경우, 차량의 운전자는 운전석 근처에 설치된 수동 스위치(도시안됨)을 누른다. 이에, 선바이저 어셈블리(100)의 모터(146)가 회전 작동되고, 그 모터(146)의 회전력은 주축(146a), 주동 기어(146b), 종동 기어(148a) 및 연결축(148)을 경유하여 회전축(142)에 전달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축(142)은 제 1 풀리(140) 및 제 2 풀리(140a)를 회전시키면서, 제 1 벨트(144) 및 제 2 벨트(144a)가 전후 방향(Y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제 1 벨트(144)에 설치된 상부 주행구(170)는 제 1 벨트(144)의 주행 속도에 따라 이송된다. 또한 제 2 벨트(144a)에 설치된 하부 주행구(172)도 제 2 벨트(144a)의 주행 속도에 따라 이송된다. 이때, 상부 주행구(170)는 상부 안내봉(130)을 따라 활주 이동되고, 하부 주행구(172)는 하부 안내봉(132)을 따라 활주 이동된다. 여기서, 상부 주행구(170)의 주행 속도는 하부 주행구(172)의 주행 속도 보다 빠르다. 이와 같은 속도 상의 차이는 처음에는 상부 주행구(170) 보다 하부 주행구(172)가 앞서 위치된 상태에서 있다가, 나중에는 상부 주행구(170)가 하부 주행구(172) 보다 더 먼 거리를 주행하는 결과로 나타난다.
그 결과, 마운팅 바(176b)는 연결 링크(174)와 회동편(176a)의 연동 작용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작동된다. 이를 첨부 도면 제 7 도 내지 제 9 도를 이 용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바이저 바디(VB)는 수평 상태(도 7 참조)로 있다가 상부 주행구(170)의 주행 작동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도 8 참조)되어 경사상으로 위치된다(도 9 참조). 이와 함께, 회동편(176a)은 연결 링크(174)의 작동홈(174a)과 하부 주행구(172)의 회전 중심축(176)을 중심으로 회동 작동된다. 따라서, 마운팅 바(176b)는 연결 링크(174)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작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바이저 바디(VB)는 처음에는 헤드 라이닝(22)에 거의 접촉된 수평 상태로 있다가, 전방의 윈드 시일드(14) 방향(Y 방향)으로 갈수록 거의 수직 상태로 위치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처음에는 상부 주행구(170)가 하부 주행구(172) 보다 뒤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헤드 라이닝(22)에 거의 접촉된 상태로 위치한다. 이후, 상부 주행구(170)가 윈드 시일드(14)의 방향(Y 방향)으로 갈수록 상부 주행구(170)가 하부 주행구(172) 보다 앞에 위치한다. 그 결과, 바이저 바디(VB)는 윈드 시일드(14)의 방향으로 갈수록 헤드 라이닝(22)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로 회동 작동된다. 참고로, 운전자는 버튼 조작에 의해 모터(146)의 작동을 제어하여 회전축(142)의 회전 정도를 제어하고, 결과적으로 상부 주행구(170) 및 하부 주행구(172)의 주행 정도를 조절하여 바이저 바디(VB)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바이저 바디(VB)의 사용이 불필요할 경우, 운전자는 리턴 스위치(도시 안됨)를 조작한다. 그 모터(146)의 역회전에 의하여, 제 1 풀리(140), 제 2 풀리(140a)가 역회전된다. 이에, 제 1 벨트(144)와 제 2 벨트(144a) 역시 역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부 주행구(170)와 하부 주행구(172)는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을 따라 후진된다. 이에, 마운팅 바(176b)는 연결 링크(174)와 회동편(176a)의 연동 작용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 작동된다. 그 결과, 바이저 바디(VB)는 헤드 라이닝(22)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상태로 있다가 후퇴하면서 수평인 상태로 위치 변환된다.
도 10은 도 3에서 보조 바이저 바디(VB1)가 추가로 장착된 선바이저 어셈블리(100)를 보여준다. 도 11은 도 10에서 보조 바이저 바디(VB1)의 사용 상태를 보여준다. 도 12는 도 10에서 보조 선바이저의 측면구동장치를 보여준다. 도 13은 도 10에서 제 1 마운팅 플레이트와 제 2 마운팅 부분만을 확대하여 보여준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 어셈블리(100)에는 보조 선바이저 어셈블리(11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보조 선바이저 어셈블리(1100)는 제 1 프레임(1112)과 제 2 프레임(1114)을 구비한다. 제 1 프레임(1112)은 메인 몸체(110)의 내측면에 일단이 수평으로 설치된다. 제 1 프레임(1112)의 저면 모서리에는 제 2 프레임(1114)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 프레임(1114)에는 보조 바이저 바디(VB1)가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프레임(1112)의 일측 모서리에는 제 1 마운팅 플레이트(1116)가 설치된다. 제 1 마운팅 플레이트(1116)에는 제 1 회동축(1118)이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제 1 회동축(1118)의 하단에는 제 2 회동축(1122)이 양단이 각각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된다. 이렇게 돌출된 제 2 회동축(1122)의 양단에는 제 2 마운팅 플레이트(1120)가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이들 제 2 마운팅 플레이트(1120)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 보도록 배열된다. 제 2 마운팅 플레이트(1120)의 자유 단부에는 고정핀(1124)이 끼워진다. 제 2 회동축(1122)에는 일단이 제 2 회동축(1122)에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핀(1124)이 결합되는 리턴 스프링(1126)이 설치된다. 리턴 스프링(1126)은 제 2 프레임(1114)이 제 1 프레임(1112)의 방향으로 복귀하려는 힘을 갖게 한다.
특히, 제 1 프레임(1112)의 일측 모서리의 저면에는 제 2 프레임(1114)의 회전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구(1128)가 설치된다. 안내구(1128)는 일측변이 오목하게 형성된 삼각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회동축(1118)의 상단에는 제 1 종동기어(1134)가 결합된다. 제 1 종동기어(1134)에는 보조 바이저 바디 구동 모터(1130)의 제 1 주동기어(1132)가 결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보조 바이저 바디를 구비한 실시 예의 작용을 살펴 본다.
다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주행 도중 태양이나 다른 차량의 전조등의 빛이 측면 유리(16)를 통해 차실 내로 유입될 경우, 차량의 운전자는 운전석 근처에 설치된 수동 스위치(도시안됨)를 누른다. 이에, 보조 바이저 바디 구동 모터(1130)가 회전 작동되고, 그 회전력은 제 1 주동기어(1132)를 회전시킨다. 제 1 주동기어(1132)가 회전 작동되면, 이와 기어 결합된 제 1 종동기어(1134)에 의해 제 1 회동축(1118)이 회전 작동된다. 그 과정에서, 제 2 마운팅 플레이트(1120)들은 제 2 프레임(1114)과 함께 수평 상태에서 회동되다가, 제 2 마운팅 플레이트(1120) 중 하나가 안내구(1128)의 곡면을 따라 안내되어 수직 상태로 변환 된다. 이 과정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처음에는 보조 바이저 바디(VB1)가 설치된 제 2 프레임(1114)이 제 1 프레임(1112)과 거의 수평인 상태에 있다(이는, 도 12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됨). 이어, 보조 바이저 바디 구동모터(1130)의 구동력에 의해, 제 2 프레임(1114)는 제 1 프레임(1112)에 대하여 거의 45도 정도의 각도로 회전된다(이는, 도 12에서 점선으로 표시됨). 마지막으로, 보조 바이저 바디 구동모터(1130)의 구동력이 계속 전달되면, 제 2 프레임(1114)는 제 1 프레임(1112)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하방향 회전된다(이는, 도 13에서 실선으로 표시됨).
이에 따라, 제 2 마운팅 플레이트(1120)에 결합된 제 2 프레임(1114)은 제 1 프레임(1112)에 대하여 거의 수직 하방으로 회동 작동된다. 이렇게 되면, 제 2 프레임(1114)에 감싸진 보조 바이저 바디(VB1)는 차량(10)의 측면 유리(16)의 방향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보조 바이저 바디(VB1)는 측면 유리(16)를 통해 차실 내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를 구서하는 다른 추가적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실시 예들은 앞서 설명된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발명에서 속도차 발생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 예들이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를 보여준다. 도 15는 도 14에서 바이저 바디가 전진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몸체(120)의 일측면에는 요홈부(120a)가 형성되고, 그 요홈부(120a)에는 서로에 대해 평행한 제 1 랙기어부(122)와 제 2 랙기어부(122a)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부 주행구(170)의 상면에는 다수의 기어가 내장된 제 1 기어박스(124)가 설치되고, 그 제 1 기어박스(124)의 저면 일측에는 제 1 랙기어부(122)와 연결되는 제 1 구동기어(124a)가 돌출되고, 저면 타측에는 제 1 기어박스(124) 내부의 기어들과 연결되는 제 1 모터(124b)가 설치된다. 반면에, 하부 주행구(172)의 저면에는 다수의 기어가 내장된 제 2 기어박스(126)가 설치되고, 제 2 기어박스(126)의 저면 일측에는 제 2 랙기어부(122a)와 연결되는 제 2 구동기어(126a)가 돌출되고, 저면 타측에는 제 2 기어박스(126) 내부의 기어들과 연결되는 제 2 모터(126b)가 설치된다. 특히, 제 1 모터(124b)의 회전 속도는 제 2 모터(126b)의 회전 속도에 비해 빠르게 세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바이저 어셈블리(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즉, 운전자의 구동 조작에 의해 제 1 모터(124b)와 제 2 모터(126b)가 구동되면, 그 회전력은 제 1 기어박스(124)와 제 2 기어박스(126)의 기어들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 1 구동기어(124a)와 제 2 구동기어(126a)를 회전시킨다. 이에, 제 1 구동기어(124a)는 제 1 랙기어부(122), 제 2 구동기어(126a)는 제 2 랙기어부(122a)를 따라 전진한다. 이와 함께, 상부 주행구(170)와 하부 주행구(172)가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을 따라 전진하면서 상부 주행구(170)가 하부 주행구(172) 보다 앞서 진행하게 되고, 이로써 회동편(176a)과 연결링크(174)의 작용에 따라, 도 15에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바(176b)에 결합된 바이저 바디(VB)가 회전 중심축(176)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서 수평 상태로부터 수직 상태로 각도 변환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바이저 바디가 전진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단부가 폐쇄된 메인 몸체(220)에는 작동공(220a)이 길이 방향으로 넓게 형성된다. 메인 몸체(220)의 상부 안내봉(130)에 설치된 상부 주행구(170)의 배면에는 상부 이동 랙기어(222)의 일단이 설치되고, 하부 안내봉(132)에 설치된 하부 주행구(172)의 배면에는 하부 이동 랙기어(224)의 일단이 설치된다. 상부 이동랙기어(222)와 하부 이동 랙기어(224)의 자유 단부는 메인 몸체(220)의 일단으로 돌출된다. 그 메인 몸체(220)의 일단에는 제 3 구동기어(226)와 제 4 구동기어(226a)가 상하로 배치되고, 이들 기어들(226)(226a)은 메인 몸체(2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 3 모터(226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제 3 구동기어(226)의 직경은 제 4 구동기어(226a)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바이저 어셈블리(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즉, 운전자의 구동 조작에 의해 제 3 모터(226b)가 작동되면, 제 3 구동기어(226)와 제 4 구동기어(226a)는 동시에 회전된다. 이에, 이들 기어(226)(226a)와 결합된 상부 이동 랙기어(222)와 하부 이동 랙기어(224)는 상부 주행구(170)와 하부 주행구(172)와 함께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을 따라 동시에 진행되는데, 이 경우에도 상부 주행구(170)의 주행 속도가 하부 주행구(172)의 주행 속도 보다 빠르게 진해된다. 그 결과, 앞서 설명된 실시 예와 동일하게, 바이저 바디(VB)는 수평 상태로 있다가 수직 상태로 각도 변환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를 보여준다. 도 19는 도 18에서 바이저 바디가 전진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몸체(320)의 요홈부(320a)의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에는 상부 주행구(270)와 하부 주행구(272)가 각각 설치된다. 하부 주행구(272)는 상부 주행구(270)가 끼워지는 안착홈(272a)이 형성된다. 상부 주행구(270)와 하부 주행구(272)의 상면에는 제 1 링크(322)와 제 2 링크(324)의 일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이때, 상부 주행구(270)와 하부 주행구(272)의 속도 차를 발새하기 위하여, 제 1 링크(322)의 길이는 제 2 링크(324) 보다 길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레일(160)을 메인 몸체(320)에 결합하기 위한 연결바(162)에는 제 4 모터(328)가 설치된다. 제 4 모터(328)의 상면에는 제 3 링크(326)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제 1 링크(322)와 제 2 링크(324)의 자유 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바이저 어셈블리(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즉, 운전자의 구동 조작에 의해 제 4 모터(328)가 작동되면, 제 3 링크(32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3 링크(326)의 회전력은 제 1 링크(322)와 제 2 링크(324)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부 주행구(270)는 상부 안내봉(130)을 따라 전진됨과 동시에, 하부 주행구(272)는 하부 안내봉(132)을 따라 전진된다. 이때, 상부 주행구(270)의 전진 속도는 하부 주행구(272) 보다 빠르다. 그 결과, 앞서 설명된 실시 예 들과 같이, 바이저 바디(VB)는 수평 상태로 있다가 수직 상태로 각도 변환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를 보여준다. 도 21는 도 20에서 바이저 바디가 전진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몸체(420)의 일측에는 요홈부(420a)가 형성된다. 메인 몸체(420)의 폐쇄된 일단에는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한 제 1 실린더(422)와 제 2 실린더(424)를 설치한다. 제 1 실린더(422)와 제 2 실린더(424)의 전면에는 제 1 작동봉(426)과 제 2 작동봉(428)이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작동봉(426)과 제 2 작동봉(428)은 메인 몸체(420)의 폐쇄된 일단을 관통하여 상부 주행구(170)와 하부 주행구(172)에 연결된다. 특히, 제 1 실린더(422)의 제 1 작동봉(426)의 진행 속도는 제 2 실린더(424)의 제 2 작동봉(428) 보다 빠르게 세팅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바이저 어셈블리(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즉, 운전자의 구동 조작에 의해 제 1 실린더(422)와 제 2 실린더(424)가 작동되면, 제 1 작동봉(426)과 제 2 작동봉(428)은 상부 주행구(170) 및 하부 주행구(172)를 밀어 전진시킨다. 그러면, 상부 주행구(170)와 하부 주행구(170)는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공(132)을 따라 전진된다. 이때, 상부 주행구(170)의 전진 속도는 하부 주행구(172) 보다 빠르다. 그 결과, 바이저 바디(VB)는 수평 상태로 있다가 수직 상태로 각도 변환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를 보여준다. 도 23은 도 22에서 바이저 바디가 전진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몸체(520)의 일측에는 요홈부(520a)가 형성된다. 메인 몸체(520) 의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은 메인 몸체(520)의 폐쇄된 양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의 일단에는 제 5 모터(522)와 제 6 모터(524)가 설치된다. 제 5 모터(522)의 회전 속도는 제 6 모터(524)의 회전 속도 보다 빠르게 세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바이저 어셈블리(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즉, 운전자의 구동 조작에 의해 제 5 모터(522)와 제 6 모터(524)가 작동되면,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은 동일 방향으로 속도 차를 가지면서 회전된다. 그러면, 상부 주행구(170)와 하부 주행구(172)는 각각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을 따라 전진된다. 이때, 상부 주행구(170)의 전진 속도는 하부 주행구(172) 보다 빠르다. 그 결과, 앞서 설명된 실시 예들과 같이, 바이저 바디(VB)는 수평 상태로 있다가 수직 상태로 각도 변환된다.
한편, 첨부된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모터(522)와 제 6 모터(524) 중 하나만 사용될 수 있다. 이때에는 메인 몸체(520)의 폐쇄된 단면에 상부 연결기어(526)와 하부 연결기어(526a)가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상부 연결기어(526)와 하부 연결기어(526a)는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은 모두 오른 나사가 적용되는 경우이다. 상부 연결기어(526)와 하부 연결기어(526a)의 사이에는 아이들러(528)가 설치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첨부된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 중 하나는 왼나사를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오른 나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에는 아이들러(528)가 필요없이 상부 연결기어(526)와 하부 연결기어(526a)를 직접 연결시켜 사용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를 보여준다. 도 25는 도 24에서 바이저 바디가 전진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몸체(620)의 일측에는 요홈부(620a)가 형성된다. 메인 몸체(620)에는 제 1 리니어모터(622)와 제 2 리니어모터(624)가 포함된다. 이들 모터(622)(624)는 고정부(Stator)와 가동부(Armature)로 이루어진다. 이들 고정부와 가동부는 도면상에 표시되지 않았다. 제 1 리니어모터(622)의 일측면에는 상부 안내공(622a)이 형성되고 제 2 리니어모터(624)의 일측면에는 하부 안내공(624a)이 형성된다. 제 1 리니어모터(622)의 가동부는 상부 주행구(170)와 연결되고, 제 2 리니어모터(624)의 가동부는 하부 주행구(172)와 연결된다. 제 1 리니어모터(622)의 가동부는 제 2 리니어모터(624)의 가동 속도에 비해 빠른 속도로 진행하도록 셋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바이저 어셈블리(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즉, 운전자의 구동 조작에 의해 제 1 리니어모터(622)와 제 2 리니어모터(624)가 작동되면, 자장의 변화에 의해 가동부는 상부 안내공(622a)과 하부 안내공(624a)을 따라 주행한다. 이렇게 되면, 각 가동부와 연결된 상부 주행구(170)와 하부 주행구(172)는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을 따라 주행한다. 이때, 상부 주행구(170)의 전진 속도는 하부 주행구(172) 보다 빠르다. 그 결과, 바이저 바디(VB)는 수평 상태로 있다가 수직 상태로 각도 변환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를 보여준다. 도 27은 도 26에서 바이저 바디가 전진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몸체(720)의 일측에는 요홈부(720a)가 형성된다. 상부 주행구(370)의 상면에는 상부 작동봉(372)이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다. 하부 주행구(374)의 상면에는 하부 작동봉(376)이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다. 하부 주행구(374)에는 상부 주행구(370)의 수납홈(376a)이 형성된다. 메인 몸체(720)와 가이드 레일(160) 사이에는 연결바(162)의 양단이 고정된다. 연결바(162)는 가이드 레일(160)과 메인 몸체(72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다. 그 이유는, 연결바(162)의 저면에 회전 원판(722)을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회전 원판(722)의 일측에는 상부 작동봉(372)과 하부 작동봉(376)이 끼워져 안내되는 방사상의 슬릿(724)이 형성된다. 회전 원판(722)의 중앙의 축결합된 부위는 제 7 모터(726)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바이저 어셈블리(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즉, 운전자의 구동 조작에 의해 제 7 모터(726)가 작동되면, 회전 원판(722)은 축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된다. 이에, 상부 작동봉(372)과 하부 작동봉(376)은 슬릿(724)의 바깥 위치에서 내측 위치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부 주행구(370)와 하부 주행구(374)는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을 따라 전진된다. 이때, 상부 주행구(370)와 하부 주행구(374)는 회전원판(722)의 회전 각속도와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의 곱에 비례하는 속도로 주행하기 때문에, 회 전 중심으로부터 보다 먼 거리에 위치하는 상부 주행구(370)의 전진 속도는 하부 주행구(374) 보다 빠르게 된다. 그 결과, 바이저 바디(VB)는 수평 상태로 있다가 수직 상태로 각도 변환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를 보여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몸체(820)의 일측에는 작동공(820a)이 형성된다. 메인 몸체(820)는 일단의 높이가 타단 보다 높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은 메인 몸체(820)의 폐쇄된 양단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부 안내봉(130)은 하부 안내봉(132)에 대하여 일단이 타단 보다 먼 거리에 배치된다. 작동 링크(822)는 직선상의 막대 중앙을 예각 형상을 갖도록 꺽어 형성된다. 이때 작동 링크(822)의 일단과 꺽인 부위는 상부 주행구(370)와 하부 주행구(374)의 전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타단은 하부 안내봉(132)과 거의 평행한 상태로 위치된다. 메인 몸체(820)의 바닥에는 제 3 랙기어부(824)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하부 주행구(374)의 저면에는 제 3 기어박스(826)가 설치되고, 배면에는 제 3 랙기어부(824)와 연결되는 제 5 구동기어(827)가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제 3 기어박스(826)의 일측 상면에는 제 8 모터(828)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바이저 어셈블리(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즉, 운전자의 구동 조작에 의해 제 8 모터(828)가 작동되면, 제 3 기어박스(826)에 내장된 기어들이 연동되어 제 5 구동기어(827)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후, 제 5 구동기어(827)는 제 3 랙기어부(824)를 따라 이동된다. 그 결과, 상부 주행구(370)와 하부 주행구(374)는 상부 안내봉(130)과 하부 안내봉(132)을 따라 전진된다. 이때, 상부 주행구(370)는 하부 주행구(374) 보다 계속 앞선 상태로 전진된다. 그 결과, 바이저 바디(VB)는 수평 상태로 있다가 수직 상태로 각도 변환된다.
참고로, 앞서 설명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된 속도차 발생수단을 대신하여 벨트, 체인, 와이어, 4절 링크, 유압, 공압 실린더, 리니어모터 및 제네바 기구 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 어셈블리(100)와 보조 선바이저 어셈블리(110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환 조작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은 수동 조작의 경우를 예를 들었지만, 여기서는 자동 조작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의 운전 환경 변화의 정도를 탐지한다. 즉, 의자조정장치(900)에 의해 의자의 등받이 회전각도, 의자의 전, 후진 위치 등을 조정한다. 사이드미러 조정장치(910)에 의해 사이드 미러의 회전 각도를 조정한다. 룸미러 조정장치(920)에 의해 룸 미러의 회전 각도를 조정한다. 이때, 상기의 데이타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메모리 시트(Memory seat)의 기능을 이용한다. 윈드 시일드(14) 및 측면 유리(16)를 통해 입사되는 광 신호를 광센서(960)로 탐지한다(S1).
그 탐지된 신호를 메모리 장치(930)에 출력한다. 그 출력된 탐지 신호를 입 력받은 메모리 장치(930)는 통계(Statistics)를 통해 얻은 테이블(Table)과 비교하여 탐지된 비교치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940)로 출력한다(S2).
상기 각 데이터를 입력받은 중앙처리장치(940)는 공간상의 운전자의 눈 위치를 추정하는 한편, 빛의 세기와 방향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감지된 눈 위치 및 빛의 세기와 방향 신호를 모터 회전 각도 테이블과 대비한 후, 상기 각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모터 드라이버(950)로 출력한다(S3).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모터 드라이버(950)는 상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른 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한다(S4).
상기 모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바이저 바디(VB)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146)와 보조 바이저 바디 구동 모터(1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 작동된다. 이에 따라, 바이저 바디(VB)의 회동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운전자의 눈 및 빛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서 빛의 차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즉, 윈드 시일드(14)의 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은 바이저 바디(VB)에 의해 차단되고, 측면 유리(16)의 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은 보조 바이저 바디(VB1)에 의해 차단된다(S5).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인클로져, 즉 수납실 내에 수평 방향으로 수납된 바이저 바디가 전방의 차광 위치로 수평 이동하면서 동시에 헤드 라이닝 및 윈드 시일드의 경사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편향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바이저 바디의 하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윈드 시일드 뿐만 아니라 측면 유리를 통하여 차량의 탑승자들에게 전달되는 밝은 햇빛이나 교행하는 차량의 전조등 등의 광원들로부터 빛을 차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술한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를 운전자의 운전 환경 변화 등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통상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19)

  1. 차량의 루프 구조물과 헤드 라이닝 사이의 수납실에 설치되며 차실 내로 입사되는 빛을 바이저 바디에 의해 차단시키기 위한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안내수단과 제 2 안내수단;
    상기 제 1 안내수단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이동수단;
    상기 제 2 안내수단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이동수단;
    상기 제 2 이동수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중심축;
    상기 회전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이저 바디가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 바;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마운팅 바로부터 돌출 형성된 회동편;
    상기 제 1 이동수단의 일측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회동편편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연결 링크; 및
    상기 제 1 이동수단과 제 2 이동수단이 상기 마운팅 바, 상기 회동편 및 상기 연결링크를 통한 연결 상태를 유지한 채 각각 상기 제 1 안내수단과 제 2 안내 수단을 따라서 활주할 때 상호 속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속도차 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수단과 제 2 안내수단은 메인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몸체는
    각각의 양단에 상부 축공과 하부 축공이 관통되는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 및
    상기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양단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간격 유지구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바의 일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헤드 라이닝의 상부 표면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를 안내하도록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몸체에는 측면 유리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보조 선바이저 어셈블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선바이저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몸체의 일측에 수평 설치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프레임의 일측 모서리를 중 심으로 회동 작동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하여 수평 위치에서 수직 위치로 회동 작동되는 회동부재; 및
    상기 제 2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보조 바이저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6. 상기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 1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제 1 마운팅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 1 회동축;
    상기 제 1 회동축의 하단에 양단이 돌출 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제 2 회동축;
    상기 제 2 회동축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 2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제 2 마운팅 플레이트의 자유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핀;
    상기 제 2 회동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핀에 결합되는 리턴 스프링;
    상기 제 1 프레임의 일측 모서리의 저면에는 상기 제 2 프레임의 회전 방향을 유도하도록 일측 변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내구;
    상기 제 1 회동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 1 종동기어;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종동기어(1134)에 결합 되는 제 1 주동기어; 및
    상기 제 1 주동기어가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보조 바이저 바디 구동 모터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수단과 제 2 이동수단이 상기 제 1 안내수단과 제 2 안내수단을 활주할 때 상호 속도 차이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안내수단과 상기 제 2 안내수단은 상기 메인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안내수단과 제 2 안내수단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안내봉과 하부 안내봉의 일단에 속도차를 갖는 제 5 모터와 제 6 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수단과 제 2 안내수단이 모두 오른 나사일 때, 상기 제 1 안내수단과 제 2 안내수단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 5 모터와 제 6 모터 중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안내수단에는 상부 연결기어가 연결되며 상기 제 2 안내수단에는 하부 연결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상부 연결기어와 하부 연결기어의 사이에는 아이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수단과 제 2 안내수단 중 하나는 왼나사이 며 다른 하나는 오른나사이고, 상기 제 1 안내수단과 상기 제 2 안내수단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 5 모터와 제 6 모터 중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안내수단에는 상부 연결기어가 연결되며 상기 제 2 안내수단에는 하부 연결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상부 연결기어와 하부 연결기어는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차 발생수단은
    한 쌍의 제 1 풀리;
    상기 제 1 풀리에 비해 직경이 작은 한 쌍의 제 2 풀리;
    상기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 사이의 양단에 상기 제 1 풀리와 제 2 풀리 한쌍을 1개조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시키는 한 쌍의 회전축;
    상기 제 1 풀리들과 상기 제 2 풀리들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직진 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1 벨트와 제 2 벨트; 및
    상기 회전축 중 하나의 일측 단부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수단과 제 2 이동수단이 상기 제 1 안내수단과 제 2 안내수단을 활주할 때 상호 속도 차이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몸체의 일측면에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에는 서로에 대해 평행한 제 1 랙기어부와 제 2 랙기어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안내수단의 상면에는 다수의 기어가 내장된 제 1 기어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기어박스의 저면 일측에는 상기 제 1 랙기어부와 연결되는 제 1 구동기어가 돌출되며 저면 타측에는 상기 제 1 기어박스 내부의 기어들과 연결되는 제 1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이동수단의 저면에는 다수의 기어가 내장된 제 2 기어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기어박스의 저면 일측에는 상기 제 2 랙기어부와 연결되는 제 2 구동기어가 돌출되고, 저면 타측에는 상기 제 2 기어박스 내부의 기어들과 연결되는 제 2 모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수단과 제 2 이동수단이 상기 제 1 안내수단과 제 2 안내수단을 활주할 때 상호 속도 차이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이동수단에는 상기 제 1 이동수단이 끼워지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이동수단과 상기 제 2 이동수단에는 제 1 링크(322)와 제 2 링크(324)의 일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기 제 1 이동수단과 상기 제 2 이동수단의 속도 차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링크의 길이는 제 2 링크 보다 길게 형성시키고, 상기 제 1 링크와 제 2 링크의 고정단부에는 제 3 링크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 3 링크의 타단은 제 4 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수단과 제 2 이동수단이 상기 제 1 안내수단과 제 2 안내수단을 활주할 때 상호 속도 차이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몸체의 폐쇄된 일단에는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한 제 1 실린더와 제 2 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실린더와 제 2 실린더의 일측면에는 제 1 작동봉과 제 2 작동봉이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작동봉과 제 2 작동봉은 상기 메인 몸체의 폐쇄된 일단을 관통하여 제 1 이동수단과 제 2 이동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1 실린더의 제 1 작동봉의 진행 속도는 상기 제 2 실린더의 제 2 작동봉 보다 빠르게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수단과 제 2 이동수단이 상기 제 1 안내수단과 제 2 안내수단을 활주할 때 상호 속도 차이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몸체에는 제 1 리니어모터와 제 2 리니어모터가 서로에 대해 수평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 1 리니어모터와 상기 제 2 리니어모터는 고정부(Stator)와 가동부(Armature)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리니어모터의 일측면에는 상부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리니어모터의 일측면에는 하부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리니어모터의 가동부는 상기 제 1 이동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리니어모터의 가동부는 상기 제 2 이동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리니어모터의 가동부는 상기 제 2 리니어모터의 주행 속도에 비해 빠른 속도로 진행하도록 셋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수단과 제 2 이동수단이 상기 제 1 안내수단과 제 2 안내수단을 활주할 때 상호 속도 차이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이동수단의 상면에는 상부 작동봉이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제 2 이동수단의 상면에는 하부 작동봉이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제 2 이동수단에는 상기 제 1 이동수단의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몸체와 가이드 레일 사이에는 연결바가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메인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고, 상기 연결바의 저면에 회전 원판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기 회전 원판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작동봉과 하부 작동봉이 끼워져 안내되는 방사상의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원판의 중앙의 축결합된 부위는 제 7 모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16. 차량의 루프 구조물과 헤드 라이닝 사이의 수납실에 설치되며 차실 내로 입사되는 빛을 바이저 바디에 의해 차단시키기 위한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 1 안내수단;
    상기 제 1 안내수단에 대하여 일단은 높고 타단은 낮도록 경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2 안내수단;
    상기 제 1 안내수단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이동수단;
    상기 제 2 안내수단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이동수단;
    상기 제 2 이동수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중심축;
    상기 회전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이저 바디가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 바;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마운팅 바로부터 돌출 형성된 회동편;
    상기 제 1 이동수단의 일측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회동편편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연결 링크; 및
    상기 제 1 이동수단과 제 2 이동수단이 상기 마운팅 바, 상기 회동편 및 상기 연결링크를 통한 연결 상태를 유지한 채 각각 상기 제 1 안내수단과 제 2 안내 수단을 따라서 활주할 때 상호 속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속도차 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40033141A 2004-05-11 2004-05-11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KR100540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141A KR100540882B1 (ko) 2004-05-11 2004-05-11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CNB2005800228712A CN100554022C (zh) 2004-05-11 2005-03-22 车辆的电动遮阳板组件
US11/596,139 US7347480B2 (en) 2004-05-11 2005-03-22 Electromotive sunvisor assembly of a vehicle and the method thereof
PCT/KR2005/000832 WO2005108140A1 (en) 2004-05-11 2005-03-22 Electromotive sunvisor assembly of a vehicle and the method thereof
JP2007513054A JP4431172B2 (ja) 2004-05-11 2005-03-22 車両の電動サンバイザアセンブリ及びその制御方法
EP05726791A EP1744918A4 (en) 2004-05-11 2005-03-22 ELECTRIC MOTOR SUNSET ARRANGEMENT OF A VEHICLE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141A KR100540882B1 (ko) 2004-05-11 2004-05-11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512A KR20050039512A (ko) 2005-04-29
KR100540882B1 true KR100540882B1 (ko) 2006-01-10

Family

ID=3532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141A KR100540882B1 (ko) 2004-05-11 2004-05-11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47480B2 (ko)
EP (1) EP1744918A4 (ko)
JP (1) JP4431172B2 (ko)
KR (1) KR100540882B1 (ko)
CN (1) CN100554022C (ko)
WO (1) WO20051081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0870A1 (de) * 2006-03-07 2007-09-27 Asmo Co., Ltd., Kosai Automatische Sonnenblendenvorrichtung
JP5050793B2 (ja) * 2007-11-13 2012-10-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US20090174217A1 (en) * 2008-01-07 2009-07-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Integrated Shade Assembly for a Vehicle Window
DE202010009658U1 (de) * 2010-02-22 2011-02-10 Wieser, Karl Automatische Sonnenblende für Pkws
CN101828819B (zh) * 2010-06-01 2015-12-09 王一川 适时视频自动颈部保健椅
CN102205784B (zh) * 2011-01-20 2012-11-28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带化妆镜的滑动遮阳板结构
FR2979595B1 (fr) * 2011-09-07 2016-01-08 Valeo Vision Module optique pour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US8714621B2 (en) * 2011-12-21 2014-05-06 Marcus Automotive, Llc Visor with movable pivot
DE102013209796A1 (de) * 2012-05-30 2013-12-05 Kyowa Sangyo Co., Ltd. Sonnenblende für ein fahrzeug
JP5976403B2 (ja) * 2012-06-05 2016-08-23 共和産業株式会社 車両用サンバイザ
US9878598B2 (en) 2012-08-31 2018-01-30 Daniel Boehmer Windshield setting system
US10232790B1 (en) 2013-03-14 2019-03-19 John B. Adrain Secure storage device
US10773654B2 (en) 2013-03-14 2020-09-15 John B. Adrain Secure storage device
RU2581510C1 (ru) * 2015-01-19 2016-04-20 Олег Александрович Валов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щающее глаза водителя автомобиля от попадания прямого солнечного излучения
US9963019B2 (en) * 2016-05-11 2018-05-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n visor having extended range of motion
CN107554248B (zh) * 2017-07-19 2021-06-18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遮阳板、遮阳系统以及车辆
KR20200134829A (ko) * 2019-05-23 2020-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출식 선바이저
KR20210109099A (ko) * 2020-02-26 2021-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림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 선바이저
EP3875295A1 (en) * 2020-03-06 2021-09-08 Grupo Antolin-Ingenieria, S.A. Vehicle roof assembly with retractable sunvisor
CN113071654B (zh) * 2021-03-26 2023-03-24 陕西飞机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多角度调节遮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6151A (en) * 1963-07-31 1965-12-28 Gen Motors Corp Electrically-operable visor systems
JPS62210122A (ja) * 1986-03-11 1987-09-16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FR2630978B1 (fr) * 1988-05-05 1991-04-12 Rockwell Cim Pare-soleil coulissant pour interieur d'automobile
JP2572118B2 (ja) * 1988-11-11 1997-01-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サンバイザー装置
JPH02200518A (ja) * 1989-01-27 1990-08-08 Nissan Motor Co Ltd 電動スライド式サンバイザ
US5298732A (en) 1993-02-18 1994-03-29 Emee, Inc. Automatic visor for continuously repositioning a shading object to shade a designated location from a direct radiation source
JPH082251A (ja) * 1994-06-16 1996-01-09 Kazumasa Miyagishi 電動サンバイザー
KR19980052269A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자동 선바이저 장치
KR19980069330A (ko) 1997-02-27 1998-10-26 김영귀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선바이저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US6759643B2 (en) * 2001-09-04 2004-07-06 Exon Science, Inc. Automatic sunshade curtain with sustained state at transition
US7140664B2 (en) * 2004-04-26 2006-11-28 Kyowa Sangyo Co., Ltd. Vehicle sun visors
US7275778B2 (en) * 2004-06-25 2007-10-02 Kyoma Sangyo Co, Ltd Vehicle sun visors
US7108307B1 (en) * 2005-03-02 2006-09-19 Asmo Co., Ltd. Vehicle sun vis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35689A (zh) 2007-09-12
WO2005108140A1 (en) 2005-11-17
KR20050039512A (ko) 2005-04-29
EP1744918A1 (en) 2007-01-24
JP4431172B2 (ja) 2010-03-10
EP1744918A4 (en) 2009-08-05
CN100554022C (zh) 2009-10-28
US20070228765A1 (en) 2007-10-04
US7347480B2 (en) 2008-03-25
JP2007537093A (ja) 200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882B1 (ko) 차량의 전동 선바이저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JP2572118B2 (ja) 自動車のサンバイザー装置
US7328931B2 (en) Vehicle sun visor apparatus
US5946860A (en) Pane guide for a spherically curved window pane which can be lowered in a vehicle door
WO2007034853A1 (ja) 車両用統合ミラー装置
MXPA97006215A (en) Glass guide for a window window currently curved, which can be lowered in a vehic door
KR101670674B1 (ko) 전동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장치
US5720508A (en) Powered glare screen device
KR20220076898A (ko) 차량용 선바이저
KR100578473B1 (ko) 차량용 측면 선바이저 조립체
KR0174042B1 (ko) 자동차의 선바이저 자동 구동장치
CN114834355B (zh) 一种汽车外后视镜
KR0130671Y1 (ko) 오토 선 바이저
KR0140678Y1 (ko) 아웃사이드 미러에 내설되는 차양장치
KR200414708Y1 (ko) 차량용 차광기구
KR20220102819A (ko) 슬라이드웨이를 구비한 은폐식 자동차 차광판 장치
KR19980045274U (ko) 차량용 이동식 썬바이저
JP2007245964A (ja) 車両用サンバイザー装置
JP2005162177A (ja)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KR0132291Y1 (ko) 자동차의 실내 거울 조립체
RU2222438C2 (ru) Автомобиль,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прогулочный
CN110337605A (zh) 具有可手动收回装置的可收回板式显示装置
KR19990029219U (ko) 자동차의 선 바이저
RU2221706C2 (ru) Ветровое стекло автомобиля
JP2005280426A (ja) 車両用ミラーの防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