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607B1 - 부분적으로 조성이 상이한 속이빈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부분적으로 조성이 상이한 속이빈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607B1
KR920001607B1 KR1019870005672A KR870005672A KR920001607B1 KR 920001607 B1 KR920001607 B1 KR 920001607B1 KR 1019870005672 A KR1019870005672 A KR 1019870005672A KR 870005672 A KR870005672 A KR 870005672A KR 920001607 B1 KR920001607 B1 KR 920001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plastic
molded article
plastic material
pari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212A (ko
Inventor
타츠야 나까가와
노부마사 타타라
Original Assignee
에쿠세루 가부시끼가이샤
타츠야 나까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쿠세루 가부시끼가이샤, 타츠야 나까가와 filed Critical 에쿠세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0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19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2Extrusion nozzles or die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25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49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two or more extruders to feed one die or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7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e.g. geometry, dimensions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0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tangentially different components within one layer, e.g. longitudinal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2/00Hollow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분적으로 조성이 상이한 속이빈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된 속이 빈 성형품 제조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부분도로서 굴대(5)가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개략도.
제3도는 제1도의 장치에 설치한 다이스(3)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4도 내지 6도는 제1도의 장치로 제조 가능한 복합 패리슨의 예를 나타내는 각 설명도.
제7도는 복합 패리슨을 형성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2개의 수지 사이의 친화성을 정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리슨 압출 장치 2 : 노즐
2a : 제1공급구 2b : 제2공급구
2c : 배출구 3 : 다이스
3a : 제1통로 3b : 제2통로
3c : 돌기부 5 : 굴대
5a : 융기부 6 : 제2공급 유니트
6a : 스크류 7 : 제1공급 유니트
7a : 스크류 8 : 위치 제어 장치
9 : 콘크롤러 10 : 복합 패리슨
10a : 제1부분 10b : 제2부분
본 발명은, 블로우 성형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플라스틱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분적으로 조성이 상이한 속이 빈 플라스틱 성형품 및 그 속이 빈 플라스틱 성형품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분이 열가소성 수지로 되고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와는 상이한 속이 빈 플라스틱 성형품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및 그 방법과 장치로 제조된 속이 빈 플라스틱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한 속이 빈 성형품을 제조하는 블로우(blow) 성형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제조된 속이 빈 플라스틱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노즐로부터 압출한 페리슨(parison)을 블로우 성형하여 소망의 형상의 속이 빈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은 종래 널리 행하여 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단일의 플라스틱 재료로 되는 패리슨을 사용하고 있고, 따라서 완성된 성형품은 단일의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단일의 플라스틱 재료는 플라스틱 재료의 균일한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며, 따라서, ″단일의 플라스틱 재료″라고 하는 용어는, 단일의 열가소성 수지재료로 된 플라스틱 재료 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두가지 이상의 수지 재료의 혼합물 및 조성에 있어서 균일한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단일의 플라스틱 재료″라고 하는 용어는 혼합물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조성이 실질적으로 균일하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와 같은 경우, 단일의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성형품의 특성이 균일한 플라스틱 성형품이 제조되었다.
따라서, 제조되는 플라스틱 성형품의 국소적인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서는, 성형품의 국소 두께가 더 얇거나 두꺼워져야 하였으며, 그러나, 국소적으로 얇게 또는 두껍게 하는 것은 어떤 경우에는 불가능하여 성형품의 특성은 제한되지 않을 수 없는 편이었다.
또한, 2개의 상이한 플라스틱 재료를 갖는 2중층의 패리슨을 사용하여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상하층의 각층은 단일의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완성된 성형품에 있어서의 전체 특성은 두 개의 겹친층중 어느 한층에 의하여 재료의 특성이 지배적으로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2중층의 패리슨은 다른쪽의 층을 리브 형상으로 할 것이 필요하는 등, 그 적용은 극히 제한적으로 되지 않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서 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고, 임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망의 개소에 소망의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적용 범위가 극히 넓은, 신규한 속이 빈 성형품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소정의 개소를 부분적으로 조성이 상이한 플라스틱 재료로된 복합 패리슨을 사용하여 블로우 성형을 행하여 제조되는 속이 빈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이러한 복합 패리슨은 압출 노즐로부터 압출될 때 원통형상의 형태일 수 있고 또한 적어도 그 일부분은 나머지부분과는 상이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1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복잡 패리슨은 압출 노즐 바깥으로 압출될 때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복합 패리슨의 일부분은 패리슨의 나머지 부분을 구성하는 풀라스틱 재료와는 상이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복합 패리슨을 사용하기 때문에 블로우 성형을 행하여 제조된 속이 빈 성형품은, 그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또는 두껍게 하지 않고서도 자동적으로 부분적으로 특성이 다른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속이 빈 성형품은, 좋기로는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소망의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본 발명에 의하여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는 제품을 예시하면 아암레스트, 헤드레스트, 무릎패드, 콘솔박스, 콘솔박스나 글러브 박스등의 두껑, 필라 가니쉬(pillar garnishes),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스티어링휠의 패드 등의 자동차 부품만이 아니라, 예를들면, 의자, 작은 서류가방, 악기 케이스 등의 게이스류, 양식 변기의 착좌부, 공구상자, 쿨러 박스 등에 특히 적합하게 적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적용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 패리슨은 부분적으로 재질이 상이한 것이므로, 예를들면, 성형품이 인체에 접촉하는 부분은 비교적 유연성이 있는 연질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하고, 기타의 부분은 경질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서, 인체에 접촉하는 부분이외에는 형상유지 특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여 자동차의 프레임 등과 같이 고정된 물체에의 고정 설치하는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복합 패리슨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충분한 형상 유지 특성을 갖추게 되므로, 프레임과 같은 고정된 물체에 성형품을 장착하는 데에 안정성이 증가되고 장착이 용이하며, 동시에 성형품의 원하는 부분에 충분한 유연성을 줄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공조용 덕트에 적용하는 경우, 엔진 등으로부터의 열의 영향을 직접 받는 부분은 나이론등의 내열 특성이 높은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고, 다른 부분은 내열 특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저렴한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과 같은 금속등과 접촉하기 때문에 내마모 특성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만 내마모특성이 높은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복합 패리슨을 사용하여 필요로 되는 보강 부분에만 필요한 특성을 가지는 속이 빈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비용의 절감화가 도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제거하고, 또한 속이 빈 성형품을 제조하는 개량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분적으로 상이한 특성을 가지는 속이 빈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개량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어떠한 부분이라도 부분적으로 원하는 특성으로 가지는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개량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능률적 그리고 완전하게 어떤 원하는 형상과 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개량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 다른 목적은 단일 패리슨으로부터 제조되고 부분적으로 상이한 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합 구조를 가지는 속이 빈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속이 빈 플라스틱 성형품 제조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패리슨 압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장치(1)는, 패리슨 압출용의 노즐(2)을 갖추고 있고, 이 노즐(2)의 내부에는 다이스(3)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2)에는 제1의 플라스틱 재료가 공급되는 제1공급구(2a) 및 제2의 플라스틱 재료가 공급되는 제2공급구(2b) 및 패리슨이 노즐(2)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2c)가 형성되어 있다.
제1공급구(2a)는 다이스(3)를 통과하여 연속하여 뻗어 있는 제1통로(3a)를 통하여 배출구(2c)에로 연통하고 잇고, 또한 제2공급구(2b)는 다이스(3)내를 연속하여 뻗어 있으면서 제1통로(3a)와는 별도의 제2통로(3b)를 통하여서 배출구(2c)에로 연통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스(3)는 속이 빈 원통형상이고, 제1통로(3a)는 다이스(3)의 속이 빈 중앙 부분으로 형성되고, 또한 제2통로(3b)는 원통부 내에 소정의 각도(α)로 뻗어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이스(3)의 속이 빈 내부에는 제2통로(3b)가 제1통로(3a)와 합류하여 배출구(2c)에 이르는 합류 장소에 내측에 다소 돌출하는 돌기부(3c)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예에서의 돌기부(3c)역시 각도(α)의 원호로 되어 있다.
또한 패리슨 압출 장치(1)에는 노즐(2) 및 노즐(2) 내에 설치되어 있는 다이스(3)를 관통하여 굴대(5)가 설치되어 있다.
굴대(5)의 하단의 근방에는 융기부(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예에 있어서는, 이 융기부(5a)는 원주형상의 연속된 융기부로 나타내어 있으나, 이것은 곡 연속된 원주 형상으로 설치하여야 할 필요는 없다.
도시예에 있어서는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융기부(5a)는 굴대(5)가 상승 위치에있는 경우에, 굴대(5)의 일부가 다이스(3)의 돌기부(3c)와 서로 접하여 제1통로(3a)를 부분적으로 폐색 가능하게 하는 형태로 설치하면 좋다.
또한, 제1통로(3a)는, 실제로는, 노즐(2) 및 다이스(3)와 굴대(5)의 사이에 형성된 환형의 간격에 의하여 정하여지고 있다.
굴대(5)는 그 상단을, 예를들면, 실린더 액튜에이터 등으로 되는 위치제어 장치(8)에 연결하여 놓아서, 따라서, 굴재(5)는 노즐(2) 및 다이스(3)의 조립체에 대하여 그 내부를 양방향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의 이동이 자유롭다.
제1도는, 굴대(5)가 상승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굴대(5)의 융기부(5a)가 다이스(3)의 돌기부(3c)와 서로 맞닿아 있으며, 따라서 환형상의 제1통로(3a)는 각도(α)로 이르는 그 일부가 폐색되어 있다.
한편, 제2도는, 굴대(3)를 하강위치로 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따라서 굴대(5)의 하단부는 노즐(2)의 하단 보다도 거리(d)만큼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굴대(5)의 융기부(5a)는 다이스(3)의 돌기부(3c)로부터 이탈되어 있고, 따라서 환형상의 제1통로(3a)는 부분적으로도 폐색되지 않고 배출구(2c)에 연결되어 통하고 있다.
또한, 도시예의 경우에는, 제1도의 상승 위치에 있어서도, 제2도의 하강 위치에 있어서도, 제2통로(3b)는 배출구(2c)에 연결되어 통하여진 대로이고 하등 부분적으로도 폐색되는 것은 없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리슨 압출장치(1)에는 제1공급구(2a)를 통하여 제1통로내 (3a)에 제1플라스틱 재료를 공급하는 제1공급 유니트(7)가 설치되어 있다.
제1공급유니트(7)는 오우거 스크류(7a)를 구비하고 있고, (도시하지 않은)흡퍼내에 수납되어 있는 제1플라스틱 재료를 스크류(7a)를 구동회전 시킴으로서 제1공급구(2a)내에 보내넣는다.
마찬가지로, 패리슨 압출 장치(1)에는 제2공급구(2b)를 통하여 제2통로(3b)에 제2플라스틱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2공급 유니트(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공급 유니트(6)도 오우거스크류(6a)를 구비하고 있으며,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흡퍼내에 수납되어 있는 제2플라스틱재료는 스크류(6a)에 의하여 제2공급구(2b)내에 보내넣어진다.
또한, 본 장치(1)의 전체적인 제어를 행하는 콘트롤러(9)가 설치되어 있고, 콘트롤러(l9)는 위치제어장치(8) 및 제1 및 제2공급 유니트(7),(6)에 접속되어 있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콘트롤러(9)는, 예를들면, 좋기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CPU등으로 형성하면 좋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춘 패리슨압출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굴대(5)를 제1도에 나타낸 상승위치에 유지한 대로, 콘트롤러(9)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제1 및 제2공급유니트(7),(6)를 구동시키면, 제1플라스틱 재료는, 제1공급유니트(7)로부터 제1공급구(2a) 및 제1통로(3a)를 통하여 배출구(2c)에 급송된다.
한편, 제2플라스틱 재료는, 제2공급 유니트(6)로부터 제2공급구(2b), 제2통로(3b)를 통하여, 배출구(2c)에 급송된다.
이 경우에, 굴대(5)의 융기부(5a)와 다이스(3)의 돌기(3c)가 서로 맞닿아 있어 단면이 환형인 제1통로(3a)는 각도(α)에 이르는만큼 폐색되어 있으므로, 제1플라스틱 재료로된 제1부분(10b)과 환형상의 각도(α)에 이르는 부분은 제2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제2부분(2b)으로된 복합 패리슨이 배출구(2c)로부터 외부에 배출된다.
이 경우에 형성되는 복합 패리슨(10)을 제4도에 나타내고 있다.
복합 패리슨(10)은 원통형상을 하고 있으나, 그 각도(α)에 이르는 제2부분(10b)은 제2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기타의 제1부분(10a)은 제1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복합 패리슨(10)은 단일체로 되는 패리슨이나, 그 원주방향을 따라 조성이 상이하여 진다.
다음에서,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복합 패리슨(10)을 한쌍의 반쪽금형을 결합하여서 되는 대표적인 (도시하지 않음)금형내에 수납시킨다.
그리고, 금형내에 수납되어 있는 복합 패리슨(1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함으로서 블로우 성형을 행하여 소망의 형상의 속이 빈 성형품을 성형한다.
냉각후에, 금형을 개방하여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품을 꺼낸다.
이 경우에, 복합 패리슨(10)은 상이한 플라스틱 재료로 되는 부분(10a) 및 (10b)을 갖추고 있으므로, 즉, 제1플라스틱 재료로 되는 제1부분(10a)과 제2플라스틱 재료로 되는 제2부분(10b)으로 되어 최종적으로 성형되는 제품의 요망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특성이 상이한 속이 빈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자동차의 부품으로서의 무릎패드 등을 본 발명의 속이 빈 성형품으로서 제조하는 경우, 인체에 접촉하는 부분, 예를들면, 제2플라스틱 부분(10b)을 유연성이 높은 재질의 것으로 선정하고, 한편 인체에 접촉하지 않는부분, 예를들면 제1플라스틱 부분(10a)을 강도가 높은 재질의 것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속이 빈 성형품은, 무릎패드와 같이 적당한 정도의 유연성을 구비하는 인체에 접촉하는 부분과 차체의 프레임 등에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고강도 부분을 합쳐서 가질 수 있도록 된다.
다음에,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패리슨(10)을 형성하는 경우의 본 제조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의 복합 패리슨(10)은, 대략 제1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원통형상의 주된 부분의 제1부분(10a)으로 되고, 패리슨 곳곳에 제2플라스틱 재료로 되는 제2부분(10b),(10b)을 형성한 것이다(도시예에서는 2개).
그리고, 이 경우도, 제6도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방향에 있어서는, 제2플라스틱 재료 부분(10b), (10b)은 소정의 각도(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도 α)에 이르게만 설치하고 있다.
제5도의 복합 패리슨(1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우선, 콘트롤러(9)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본 제조장치(1)의 굴대(5)를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강 위치에 위치시켜, 제1통로(3a)를 완전히 환형상 상태로 개방한 상태로 한다.
다음에, 콘트롤러(9)로부터의 다른 지령에 따라 제2공급 유니트(6)는 정지시킨 대로에서, 제1공급 유니트(7)만을 구동시켜서, 제1플라스틱 재료를 제1통로에 보내 넣는다.
따라서, 제1플라스틱 재료는 완전히 개방된 제1통로(3a)를 통하여 배출구(2c)로부터 완전히 제1플라스틱 재료로만 된 원통형상으로 장치(1)의 외부로 배출된다.
제1플라스틱 재료로 된 패리슨(10)이 소정의 길이로 압출되는 즈음에서, 콘트롤러(9)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굴대(5)가 상방향으로 끌어 올려져서 제1도에 나타낸 상승 위치로 되고, 환형상의 굴대(5)의 융기부(5a)와 돌기부(3c)사이에서 제1통로(3a)를 부분적으로 각도 α만큼 폐색시킨다.
동시에, 콘트롤러(9)로 부터의 다른 지령에 따라, 제2공급 유니트(6)가 구동을 개시시키고, 따라서 제2플라스틱 재료가 제2공급구(2b)를 통하여 제2통로(3b)내에 공급된다.
따라서, 각도(α)에 이르는 부분에는 제2플라스틱 재료가 배출구(2c)에 공급됨으로서, 제5도에서와 같이 제2프라스틱 재료로된 제2부분(10b)이 복합패리슨(10)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복합 패리슨(10)이 길이 방향으로 제2부분(10b)의 길이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소정의 길이로 배출된 후에, 콘트롤러(9)로부터의 또다른 지령에 의하여 제2공급 유니트(6)를 정지시킨다.
이와 동시에, 굴대(5)를, 다시 제2도에 나타낸 하강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서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복합 패리슨(10)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이와 같이하여 형성되는 복합 패리슨(10)을 금형내에 수납시켜 블로우 성형함으로서 소망의 형상의 속이 빈 성형품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7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플라스틱 재료로 되는 복합 패리슨(10)을 형성하는 경우의 2개의 수지의 친화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또한, 이들의 표에서 나타낸 조합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은 이들의 조합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2개 이상의 재료의 조합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한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패리슨 내에서 부분적으로 특성이 상이한 속이 빈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는 것만이 아니고 그일체성 및 형상의 선택성이 한층 확대되고 있다.
또한, 형성되는 복합 패리슨은 원통형상이어서 그 두께를 일정하게 할 수가 있으므로, 종래의 블로우 성형의 프로세스를 그대로 적용하여 임의의 형상의 속이 빈 성형품을 제조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제조가 간단하여 제조 비용이 저렴하여 진다.
상기 예에서는 한 개의 돌기부(3c)만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돌기부(3c)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 외에, 상기 에에 있어서는, 제1통로(3a) 및 제2통로(3b) 두 개 만이 설치되었으나, 3개 이상의 통로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3개 이상의 상이한 재료가 공급되어 복합 패리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스티렌, 우레탄, 엘라스토머 등과 같은 열가소성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품은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나눠어 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최종 성형품은 속이 빈 것이 아닐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여러 가지의 변형, 구조의 변경, 대용품의 치환등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상기한 설명과 도시는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한 요지로서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소정 부분을 제외하고, 대략 원형을 이루는 제1통로(3a)를 배출구(2c)에 통하도록 연결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구(2c)의 상기 소정부분에 통하도록 연결하는 제2통로(3b)를 연결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통로에 제1플라스틱 재료를, 상기 제2통로에 제2플라스틱 재료를 각각, 공급하므로서 상기 제1, 제2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패리슨(10)을 성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복합 패리슨 성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플라스틱 재료는 특성이 상이한 복합 패리슨 성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플라스틱 재료중 하나는 비교적 유연하고 다른 하나는 비교적 강도가 큰 복합 패리슨 성형방법.
  4. 한쌍의 제1통로(3a) 및 제2통로(3b) 각각이 배출구(2c)에 연결되어 통하도록 설치하는 제1단계와, 제1플라스틱 재료를 제1통로(3a)에 공급하는 제2단계와, 제2플라스틱 재료를 제2통로(3b)에 공급하는 제3단계와, 소정시간 동안 상기 제3단계를 일시적으로 작동중지하여 대기시키는 제4단계로 구성되는 복합 패리슨 성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가 작동중지하여 대기하는 소정의 시간 동안에 상기 제1통로(3a)를 부분적으로 폐색시키는 제5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합 패리슨 성형방법.
  6. 제1공급구(2a)로부터 배출구(2c)가지 연결하여 통하게 한 제1통로(3a)와, 제2공급구(2b)로부터 배출구(2c)까지 연결하여 통하게 한 제2통로(3b)와, 상기 제1공급구(2a)를 통하여, 제1플라스틱 재료를 제1통로(3a)내로 공급하는 제1공급유니트(7)와, 상기 제2공급구(2b)를 통하여 제2플라스틱 재료를 제2통로(3b)내로 공급하는 제2공급유니트(6)와, 상기 제1 및 제2통로(3a),(3b)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정 부분을 폐색시키는 폐색수단으로 구성되는 복합패리슨 성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및 제2통로(3a),(3b)가 형성되어 있는 주 몸체와, 제1통로(3a)내에서 제1통로(3a)의 부분을 따라 뻗어 있는 굴대(5)로 구성되고, 상기 굴대(5)는, 제1통로(3a)가 상기 폐색수단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폐색되는 제1위치와, 제1통로(3a)가 폐색수단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폐색되지 않는 제2위치 사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임이 자유롭고, 또한 굴대(5)에는 폐색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부분을 융기부(5a)가 설치되어 있는 복합 패리슨 성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 몸체는 일정거리에 걸쳐 제1통로(3a)내부로 돌출한 돌기부(3c)를 갖추고있고, 이 돌기부(3c)는 상기 굴대(5)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굴대(5)의 융기부(5a)와 접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통로(3a)는 융기부(5a)와 돌기부(3c)사이의 접촉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양의 시간만틈 부분적으로 폐색되는 복합 패리슨 성형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제1 및 제2공급 수단과 폐색 수단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공급 수단과 폐색수단에도 연결된 조절수단으로 구성된 복합 패리슨 성형장치.
  10. 성형품의 일면으로부터 그 반대면으로 이어지는 성형품의 적어도 소정 부분은 제1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성형품의 나머지 부분은 제2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면서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 패리슨(10)으로부터 소망의 형상으로 제조되는 플라스틱 성형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상기 복합 패리슨(10)을 블로우 성형하여 제조하는 플라스틱 성형품.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플라스틱 재료는 경도가 상이한 플라스틱 성형품.
  13. 제10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플라스틱 재료는 열저항 특성이 상이한 플라스틱 성형품.
  14. 제10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플라스틱 재료는 내마모 특성이 상이한 플라스틱 성형품.
KR1019870005672A 1986-06-04 1987-06-04 부분적으로 조성이 상이한 속이빈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920001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8127 1986-06-04
JP61128127A JPH0611516B2 (ja) 1986-06-04 1986-06-04 部分的に組成の異なる中空成形品及びその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212A KR880000212A (ko) 1988-03-24
KR920001607B1 true KR920001607B1 (ko) 1992-02-20

Family

ID=1497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672A KR920001607B1 (ko) 1986-06-04 1987-06-04 부분적으로 조성이 상이한 속이빈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56796A (ko)
JP (1) JPH0611516B2 (ko)
KR (1) KR920001607B1 (ko)
DE (1) DE3718605A1 (ko)
GB (1) GB2191145B (ko)
SE (1) SE4671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79756A5 (ko) * 1989-02-27 1992-04-15 Soplar Sa
US5460772A (en) * 1991-12-27 1995-10-24 Nippon Steel Chemical Co., Ltd. Process for multilayer blow molding
IL105159A (en) * 1993-03-24 1996-11-14 Pipex Ltd Extrusion of thermostatic materials
NL9300572A (nl) * 1993-03-31 1994-10-17 Cordis Europ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extrusieprofiel met over de lengte varierende eigenschappen en daarmee vervaardigde catheter.
DE4411123C1 (de) * 1994-03-30 1995-08-31 Alcan Gmbh Entlüftungsschlauch
FR2730183B1 (fr) 1995-02-07 1997-03-14 Oreal Procede d'obtention d'un recipient comportant des bandes decoratives, machine de coextrusion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et recipient obtenu par ce procede
DE19534514C1 (de) * 1995-09-16 1997-01-23 Moeller Plas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US6090338A (en) * 1996-08-23 2000-07-18 Moeller Plast Gmbh Method and devices for coating a carrier part
IT1290520B1 (it) * 1997-04-03 1998-12-04 Pirelli Metodo ed apparato di estrusione per realizzare fasce battistrada per pneumatici di veicoli
DE19715120A1 (de) 1997-04-11 1998-10-15 Basf Ag Thermoplastische Formkörper mit Segmenten unterschiedlicher Steifigkeit
CA2367819C (en) * 1999-03-24 2008-09-02 Lynn E. Cargill Article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article having individual material properties
IT1311996B1 (it) * 1999-03-30 2002-03-22 Uniloy S R L S U Ora Uniloy Mi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corpi cavi composti da piu' materiali erelativo metodo.
DE10024949A1 (de) * 2000-05-22 2001-11-29 Kautex Textron Gmbh & Co Kg Kunststoffbehältnis
US6640349B2 (en) * 2001-08-02 2003-11-04 Centoco Plastics Limited Toilet seat
US7052260B1 (en) * 2003-06-18 2006-05-30 Extrutech International, Inc. Polymer processing system including decompression chamber and method for using same
EP1559529A3 (en) * 2004-02-02 2005-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forms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and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US20060038310A1 (en) 2004-07-29 2006-02-23 Erik Lips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extruded striped plastic products with variations in width of the stripes along the length of the products and for blow molding articles formed from such extruded parts
WO2006026684A2 (en) * 2004-08-31 2006-03-09 Consumer Innovation Partners Lp Semi-collapsible container
ITMI20050103A1 (it) * 2005-01-26 2006-07-27 Uniloy Milacron S R L Dispositivo adattatore per testa di estrusione in continuo per il soffiaggio di corpi cavi
WO2007098837A1 (de) * 2006-02-27 2007-09-07 Alpla-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Herstellverfahren für extrusionsgeblasene kunststoffflaschen und extrusionsgeblasene kunststoffflasche
DE102006034318C5 (de) * 2006-07-21 2011-02-24 Henkel Ag & Co. Kgaa Mehrschichtige Verpackung
EP2202046A1 (de) * 2008-12-29 2010-06-30 W. Müller GmbH Verfahren, Extrusionskopf und Vorrichtung für die Herstellung eines schlauchförmigen Formlings aus extrudierbarem Kunststoff
DE102013202799A1 (de) * 2013-02-21 2014-08-21 Battenfeld-Cincinnati Germany Gmb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rohren
NL2013834B1 (en) * 2014-11-20 2016-10-11 Rinze Henricus Adrianus Willemsen Louis Method of forming a tube-like container, with a viscous liquid, and tube-like container.
US9707898B1 (en) * 2016-07-11 2017-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truded multi-layer molded running board
US11155057B2 (en) 2017-06-14 2021-10-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material blow molding split extrusion head and process
US11040475B2 (en) 2017-09-08 2021-06-22 Graham Packaging Company, L.P. Vertically added processing for blow molding machine
EP4045856A1 (en) * 2019-10-29 2022-08-24 Igloo Products Corp. Two-shot blow molded cooler
DE102021118705A1 (de) 2021-07-20 2023-01-26 Bodo Richter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die biaxiale Kunststoff-Extrusion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537801A (en) * 1957-03-05 Colombo Roberto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y extrusion articles from different thermoplastic materials
GB402195A (en) * 1931-08-12 1933-11-30 Goodyear Tire & Rubber Improvements relating to pneumatic tyres and to the manufacture of the same
GB997212A (en) * 1962-12-31 1965-07-07 Ici Ltd The production of striped thermoplastic extrudates
GB1094471A (en) * 1963-05-16 1967-12-13 Charles Tennant & Company Ltd A method of manufacture of globular light bowls
US3257482A (en) * 1963-06-17 1966-06-21 Phillips Petroleum Co Process for making plastic container
DE1261657B (de) * 1964-03-23 1968-02-22 Kautex Werke Gmbh Spritzkopf zum Herstellen von schlauchfoermigen Straengen
FR1436158A (fr) * 1964-04-01 1966-04-22 Continental Can Co Procédé et appareil de fabrication de récipients enduits
US3409710A (en) * 1965-01-19 1968-11-05 Continental Can Co Method of molding dual wall container and closure
DE1934336U (de) * 1965-12-16 1966-03-10 Sueddeutsche Kabelwerke Zweign Spritzkopf zum sektorspritzen.
US3368740A (en) * 1967-01-17 1968-02-13 Tower Packaging Company Sheet material with film tear line
GB1141670A (en) * 1967-12-22 1969-01-29 Dow Chemical Co Extrusion die
GB1214890A (en) * 1967-12-22 1970-12-09 Saiag Soc Per Az Ind Articoli Extrusion die for making flexible sealing strips
US3565147A (en) * 1968-11-27 1971-02-23 Steven Ausnit Plastic bag having reinforced closure
BE757444A (fr) * 1969-10-13 1971-03-16 Sherwood Medical Ind Inc Appareil d'extrusion
US4056344A (en) * 1970-09-01 1977-11-01 Lemelson Jerome H Apparatus for producing composite extrusions
GB1392291A (en) * 1971-05-19 1975-04-30 Creators Ltd Reinforced tubes of plastics or elastomeric materials
GB1456198A (en) * 1972-11-29 1976-11-17 Ici Ltd Reinforced containers
JPS5237026A (en) * 1975-09-17 1977-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ropout prevention method
US4149839A (en) * 1975-12-30 1979-04-17 Ishikawajima-Harima Jukogyo Kabushiki Kaisha Blow molding apparatus
JPS5422465A (en) * 1977-07-21 1979-02-20 Teraoka Shoichi Method of molding oneebody mold goods from plural members
US4239474A (en) * 1979-06-29 1980-12-16 Excell Corporation Apparatus for molding a plastic pipe
JPS5753175A (en) * 1980-09-16 1982-03-30 Nec Corp Absence transfer system
JPS5818232A (ja) * 1981-07-28 1983-02-02 Mitsubishi Chem Ind Ltd 多層吹込成形法
US4510115A (en) * 1982-11-03 1985-04-09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Method for forming layered thermoplastic articles
JPS60168625A (ja) * 1984-02-13 1985-09-02 Ekuseru Kk 複合材質を備えた中空成形品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JPS6021229A (ja) * 1983-07-18 1985-02-02 Inoue Mtp Co Ltd ア−ムレストの製造方法
GB2150918B (en) * 1983-12-06 1987-05-07 Peak Plastic & Metal Prod Packaging tubes for electronic components
DE3405257C2 (de) * 1984-02-15 1986-05-22 Reifenhäuser GmbH & Co Maschinenfabrik, 5210 Troisdorf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Strangpressen einer mehrschichtigen Kunststoffbahn
JPS6132733A (ja) * 1984-07-25 1986-02-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二重パイプ成形用押し出し成形金型
FR2572012B1 (fr) * 1984-10-18 1987-03-06 Solvay Bloc d'alimentation reglable pour filiere de coextru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18605A1 (de) 1987-12-10
SE8702314L (sv) 1987-12-05
JPH0611516B2 (ja) 1994-02-16
GB2191145A (en) 1987-12-09
SE8702314D0 (sv) 1987-06-03
GB2191145B (en) 1990-08-15
JPS62284721A (ja) 1987-12-10
GB8712974D0 (en) 1987-07-08
DE3718605C2 (ko) 1990-11-22
KR880000212A (ko) 1988-03-24
US5156796A (en) 1992-10-20
SE467199B (sv) 199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607B1 (ko) 부분적으로 조성이 상이한 속이빈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및 장치
US6284169B1 (en) Method of extrusion blow molding of a hollow body
US8075301B2 (en) Suction blowmold for producing extrusion suction-blowmolded plastic molded parts
JP3037988B2 (ja) 合成樹脂製蛇腹製品の射出ブロー成形方法
JP4282168B2 (ja) 自動車計器パネル用外装体の製造方法
JP2574595B2 (ja) 部分的に組成の異なるパリソンの形成方法及び装置
JPH04249118A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US6612613B1 (en) Vehicle interior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851624A (en) Soft touch top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B2295349A (en) Extruding curved pipes
JPH0359814B2 (ko)
JPH09155962A (ja) 多層ブロー成形方法
JP2791934B2 (ja) 合成樹脂製自動車空調用ダクト管のブロー成形方法
JPH03189109A (ja) ブロー成形シートフレーム及びその成形方法
JPH1029241A (ja) ブロー成形方法
JP2805017B2 (ja) 車輛用エアバ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CN2242172Y (zh) 内发泡塑料板材成型装置
US20060076716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ulding semi-finished pieces made from open-cell material
JP2752462B2 (ja) 樹脂成形品のブロー成形方法
JPH0144493B2 (ko)
JPH02248211A (ja) パリソン径制御装置
JP3202780B2 (ja) 樹脂成形品のブロー成形方法
JPH09226000A (ja) 合成樹脂製自動車空調用ダクト管のブロー成形装置
JP2000296548A (ja) 異なる材料から製造される中空体の製造のための装置、及び関連する方法
JPH0664025A (ja) 樹脂成形品のブロー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