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264B1 -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 Google Patents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264B1
KR920001264B1 KR1019850006320A KR850006320A KR920001264B1 KR 920001264 B1 KR920001264 B1 KR 920001264B1 KR 1019850006320 A KR1019850006320 A KR 1019850006320A KR 850006320 A KR850006320 A KR 850006320A KR 920001264 B1 KR920001264 B1 KR 920001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servo
relay
poin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097A (ko
Inventor
헨리 요셉 모르단트 루도
Original Assignee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filed Critical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86000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다른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의 관련부분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헤드장착판과 연관된 서보장치의 확대 분해도.
제3도는 제1정지 위치에 있는 서보장치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정지 위치에 있는 서보장치와 브레이크 부재와 헤드장착판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제2정지위치에 있는 서보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제6도는 헤드장착판의 부분이 전진된 위치에 있고 가동부재가 이 판과 협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7도는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충격 릴레이에 대한 짧은 전기여자신호를 발생하는 제1 및 제2수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제8도의 제2수단의 약간 변형된 부분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헤드장착판 22 : 제2모터
27 : 아이들러휠 39 : 서보장치
40 : 서보휠 41,43 : 스핀들
45 : 기어휠 62 : 브레이크 부재
본 발명은 최소한 하나의 장치부분을 위치선정하기 위한 서보장치를 포함하는 자기테이프 카셋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보장치는 최소한 하나의 오목부분을 갖는 서보휠을 포함하며, 이것은 서보휠의 정지위치에서 모터구동휠과 대향하며, 이 서보휠은 편심캠과 래칭돌출부를 이송하고, 편심캠은 서보휠의 정지부분에서 스프링 힘에 의해 발생된 시동토크를 지배하며 이 서보장치는 래칭위치와 비작동위치사이에서 선회가능한 릴레이 아마츄어를 포함하며 충격 릴레이에 의해 끌려진 서보휠의 정지위치에서 연철소자를 이송하여, 그에 의해 릴레이 아마츄어를 래칭위치로 유지시키며 그 위치에서는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상의 정지돌출부가 서로 휠상의 래칭돌출부와 협동하여 정지돌출부가 서보휠을 정지위치로 래치시키며, 그 반면 충격 릴레이의 짧은 전기적 여기후에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는 래칭위치에서 비작동위치로 스프링 힘에 의해 선회하고, 비작동위치에서 정지돌출부는 래칭돌출부에서 떨어지며, 편심캠상에 영향을 미치는 시동토크의 영향하에서 서보휠은 회전하며, 서보휠의 외주는 모터구동휠에 맞물리며, 서보휠은 모터에 의하여 장치부분에 대한 위치로 구동되고, 래칭돌출부가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상의 리셋트돌출부와 협동한 후에,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는 비작동위치에서 래칭위치로 스프링 힘에 대향하여 복귀하며, 계속하여 래칭돌출부는 정지돌출부에 다시 인접하며, 정지돌출부는 서보휠을 정지위치로 래치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에 사용되는 제2수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는 키쇼전자 주식회사(일본)에서 발행된 서류로서 알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모터구동 휠은 톱니바퀴이고, 서보휠은 외주에 톱니가 제공된다. 하지만 모동구동휠과 서보휠 사이의 다른 협동방법도 가능하며 예를들면 독일 오펜레궁스리프트 2628287에서와 같이 마찰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여기에 제안된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는 충격 릴레이의 영향하에서 서보휠을 정지위치로 래치된 상태에 있도록 하는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충격 릴레이는 연철소자에 의하여 이 부재를 유인하는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의 래칭 위치에서 영구자석을 포함한다. 자석주위에 스위치에 의하여 전류원에 간단히 접속될 수 있는 전자석을 형성하도록 코일이 배치되어 있다. 영구자석에 비하여 전자석의 구조 및 배열은 전류원이 스위치온 되었을 때 영구자석이 자기적 중성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결과로,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는 더 이상 유인되지 않으며 스프링은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가 비작동위치로 선회되도록 하며, 따라서 서보휠이 해제되어 회전한다. 이 충격 릴레이의 장점은 전류원은 스위치 온되는 짧은 시간에만 필요하며, 이것은 충격 릴레이가 짧은 시간동안만 자기적으로 중성이면 되고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는 선회한다.
이 짧은 스위치 온은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의 전류원이 잠시만 부하되면 되고 충격 릴레이는 적은 전류만 소비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것은 배터리식 장치뿐만 아니라 최근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 설비에도 유용히 쓰일 수 있으며, 이러한 짧은 여기는 얻기 쉽다. 더우나 이러한 충격 릴레이는 콤팩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종래 전자석에 비해 매우 적은 열방출이 있을뿐이다. 공지의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는 종종 테이프 이탈이 발생하거나 재생신호가 왜곡성분을 포함하는 결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 이탈이 실제적으로 예방되고 재생신호가 더 적어지도록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는 정지위치에 대응하여 장치를 제1위치로부터 이동시키고, 작동위치에 대응하여 제2위치로 이동시키며 다시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서보장치는 장치부분이 점유하는 2위치를 결정하는 제1수단과, 충격 릴레이에 접속된 출력을 가지며 제1수단의 출력에 접속된 입력을 가지는 제2수단으로서 장치가 제1위치에 있는 순간이 아니라 제2위치에 있고 전원이 차단된 순간에 충격 릴레이에 짧은 전기여자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제2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사실에 근거를 둔 것이다. 공지의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는 예를들면 재생모드에 있을 때 전원이 차단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테이프 전송(자기테이프가 물려진 사이에서 캡스턴과 이와 함께 협동하는 압력롤러를 통하여 수행됨)이 정지되고, 캡스턴 및 압력롤러가 서로 압압된 상태로 유지된다. 재생헤드도 자기테이프에 대향한 채로 남아 있다. 이것은 자기테이프와 압력롤러의 변형을 초래한다.
다음에 전원이 회복되면 1) 자기테이프가 압력롤러에 고착되므로 테이프 이탈이 발생하며, 2) 재생신호에 왜곡을 초래할 수도 있는 압력롤러가 영구적으로 변형되므로 자기테이프 전송이 더 이상 일정해지지 않는다.
이러한 것을 피하기 위하여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장치부분(압력롤러를 이송하는 헤드장착판이나 압력롤러)은 상기 제2위치에 있게 되며, 전원이 차단되었을때에 제안된 제2수단은 짧은 전기여자신호를 제공하며 이것은 장치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수행되며 제1위치에 있을때도 그렇지 않다.
장치부분이 제1위치에 있을 때 여자신호를 발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제1수단은 장치부분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제1수단은 상태가 장지부분의 위치에 관련된 스위치를 포함한다. 장치부분이 제1위치에 있으면 스위치는 예를들면 개방되고 장치부분이 제2위치에 있으면 스위치는 다른 상태(폐쇄)에 있게 된다.
제2수단은 그의 제어전극이 제1전위에서 제1위치에 접속되고, 제1주전극이 지연수단을 통하여 제2전위에서 제2점에 접속되고 제2주전극이 임피던스를 통하여 제3전위에서 제3점에 접속되고 제2수단의 출력에 접속되게 구성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 트랜지스터는 쌍극 트랜지스터나 FET 싸이리스터와 같은 형태이다.
상술된 회로는 집적화 되기 쉬운 장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3점에서의 전위는 제1 및 제2점보다 낮으며, 이 트랜지스터는 에미터 및 콜렉터가 제1 및 제2주전극을 구성하는 PNP 트랜지스터이다. 더 나아가서는 제1점은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의 정상 사용중에 상기 트랜지스터가 차단되는 전위이다. 이것은 제1점이 제2점의 전위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전위임을 의미한다. 이것을 일반적으로 컷 오프 되는 트랜지스터(전력소모의 관점에서 유리하고, 특히 배터리식 기기에서 더욱 유리)가 전원이 턴온된 순간에 간단히 턴온되어, 짧은 전기여자신호가 발생된다.
제1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제1임피던스를 통하여 NPN형의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이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제3점에 접속되며 콜렉터는 제2임피던스를 경유하여 제2점에, 또 다이오드 및 제3임피던스를 경유하여 PNP형의 제3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제3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제2수단의 출력을 구성하며 다이오드를 경유하여 제3점에 접속되며, 제3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제4임피던스를 경유하여 제4전위에의 제4점에 접속되고 그의 에미터는 상기 제4점에 직접 접속된다. 제2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제1임피던스를 경유하여 NPN형의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제2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제3점에 접속되고 그의 콜렉터는 제2임피던스를 경유하여 제2점에 접속되고 PNP형 제3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접속되며, 그의 에미터는 제3임피던스를 경유하여 PNP형 제4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제4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제2수단의 출력을 구성하고 다이오드를 통하여 제3점에 접속되며, 제4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제4임피던스를 통하여 제4전위의 제4점에 접속되고 그의 에미터는 상기 제4점에 직접 접속된다.
제1실시예는 제2수단이 입력이 NPN형의 제4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그의 에미터는 제3점에 접속되며 그의 콜렉터는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이것은 장치부분이 제1위치에 있음을 확인하는 수단이 되고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제2수단이 충격 릴레이에 대한 여기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일한 이유로 제2실시예는 제2수단의 입력이 제3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는 제너다이오드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과 제1점 사이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전원이 강화되는 순간과 변하는 것이 검출되는 순간 사이의 간격을 가동시킨다.이것은 특정한 재너전압을 갖는 제너다이오드를 선택하여 수행될 수 있다. 더구나 덜 효율적으로 정류된 전원전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실제적인 리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제1수단이 제3점에 접속된 단자와 제1수단의 출력에 접속된 다른 단자를 갖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이 스위치는 장치부분이 제1위치에 있으면 개방되고 제2위치에 있으면 폐쇄된다. 이런 방법으로 제2수단에 대한 소정의 입력신호가 얻어진다.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는 이제 좀더 상세하고 제한되지 않은 실시예를 통하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기술된다.
제1도에 도시된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는 데크판(1)을 포함하며 이것은 회전을 위하여 두개의 권선 스핀들(2) 및 (3)이 장착되어 있다. 이들의 하측 단부에서 권선 스핀들(2) 및 (3)은 외주에 톱니가 형성된 회전판(4), (5)에 각각 동축으로 접속되어 있다. 헤드장착판(6)은 양방향 화살표(7)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직각운동을 하도록 데크판(1)상에서 안내된다.
이후에 기술될 방법에서, 헤드장착판(6)은 권선 스핀들 및 그에 장착된 자기테이프 카세트에 비하여 수축된 제1위치를 점유한다. 그리고 이 위치로부터 헤드장착판은 제2 혹은 제3(전진된)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권선 스핀들(2) 및 (3)으로부터 헤드장착판의 거리는 제3(전진된)위치에서보다 제2위치에서 더 작게 된다. 헤드장착판(6)은 자기헤드(8),(9)를 이송하며, 이 자기헤드(8)는 기록/재생헤드가 결합된 것이고 자기헤드(9)는 본 실시예에서도 소거헤드이다.
압력롤러레버(10)는 데크판의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스핀들(11)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하도록 헤드장착판(6)에 장착되어 있다. 스핀들(11)로부터 떨어져 단부에서, 압력롤러레버(10)는 제6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캡스턴(13)에 입압되도록 구성된 압력롤러(12)를 이송한다. 이것은 헤드장착판(6)의 제2위치, 작동위치에서이다. 이 판의 제3(약간 전진된)위치에서 압력롤러(12)는 캡스턴(13)과 떨어진다. 캡스턴(13)는 데크판(1)에서 지지되며 이 판 밑에서 벨트(15)를 통해 제1모터(16)에 의해 구동되는 플라이휠(14)에 접속된다.
구동휠(17)은 회전판(4),(5)사이의 공간에서 데크판(1)상에 장착되며, 스핀들(18)상에 고정된다. 데크판(1)의 하측에서 스핀들(18)은 제2모터(22)에 의해 구동되는 워엄(21)에 맞물리는 워엄휠(19)을 장착한다. 모터(16) 및 (22)는 두개의 모터를 온오프하고 모터(22)의 회전방향을 반전할 수 있는 회로에 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더 나아가서 마이크로프로세서 회로(23)는 이후 자세히 기술될(제2도, 제7도 및 제8도 참조) 충격 릴레이에 접속된다.
구동휠(17)위에서 스핀들(18)은 피보트 암(25)을 더 구비하며 이것의 단부는 핀(26)의 형태로 정지돌출부를 구비한 스핀들과 떨어져 있으며, 그의 하측 단부에는 톱니를 가진 아이들러 휠(27)이 저널되어 있고, 이 휠(27)은 회전판(4) 및 (5)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도시되지 않은 방법으로, 피보트암(25)은 마찰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며 이것은 핀(26)의 하측단부를 둘러싼 아이들러 휠(27)의 부분에 대향하여 방사방향으로 압력을 주는 자유단부를 갖는다.
스프링은 모터(22)의 회전방향이 반전되는 순간에 아이들러 휠(27)상에 부여되는 마찰토크의 결과로서 스핀들(18)의 주위에서 암(25)의 선회운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피보트 암(25)의 선회에 의하여 아이들러 휠(27)은 회전판을 구동하기 위해 회전판(4) 혹은 (5)에 연결된다.
앞으로 기술될 방법에서, 선회운동의 방향은 제2모터(22)의 회전방향에 좌우된다. 따라서,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상에 자기테이프 카세트가 있는 경우에, 카세트내의 자기테이프는 권선 스핀들(2) 혹은 (3)을 통하여 모터(22)에 의해 권취한다. 모터(22)는 기록 혹은 재생시에는 비교적 저속회전하며 고속권취시에는 고속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정지핀(26)의 반대측상에 헤드장착판(6)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은 데크판(1)에 대해 수직이며 화살표(7)에 대하여 평행인 평면에 비하여 대칭구조를 가진 상호 평행 림(28) 및 (29)이다. 따라서 좌측 림에 대하여만 기술한다. 헤드장착판(1)으로부터 림은 판의 운동방향으로 연장된다. 그의 단부근처에서 림은 정지벽(30b)과 판의 운동방향에 비해 경사져 있는 벽(30a)에 홈을 구성한다. 권선 스핀들(2),(3)을 향하여 헤드장착판(6)의 이동전에 제2모터(22)가 가동하면, 정지돌출부(26)가 림(28) 혹은 (29)의 홈(30)에 삽입되며(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결정됨) 헤드장착판(6)이 권선 스핀들(2) 및 (3)쪽으로 움직이면 정지벽(30b)은 정지돌출부(26)에 인접한다. 따라서 제2모터(22)가 시동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회로(22)를 통하여 헤드장착판(6)이 이동하면, 헤드장착판(6)은 차후 기술될 제3(진보된)위치에 있게 된다.이 위치에서 아이들러 휠(27)은 회전판(4) 혹은 (5)에 결합되며 권선 스핀들(2) 혹은 (3)의 자기테이프의 고속권취가 가능하고, 이것의 방향은 모터(22)의 회전방향에 좌우된다. 림(28),(29)에 선회가능한 암(25)의 협동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네덜란드 특허출원 제8304313호를 참조할 수 있다.
핀(31)에 장착된 U 혹은 V형 판 스프링(32)은 압력롤러레버(10)상에 가하며 인접기(33)는 스프링(32)의 영향하에서 시계방향으로 스핀들(1)에 대한 압력롤러레버의 선회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헤드장착판(6)상에 배열된다. 스프링(32)의 한 림은 압력롤러레버(10)에 대향하여 다른 림은 헤드장착판(6)에서 슬로트(35)내에 안내되는 핀(34)에 대향한다.
핀(34)는 데크판(1)에 접속된 피보트(37)에 대해 선회가능한 2암 가동레버(36)의 한 암의 자유단부에 장착된다. 다른 암의 자유단부에서 암 가동레버(26)는 핀(38)을 구비하며 이것은 이후에 자세히 기술될 데크판의 하부에 위치한 서보장치(39)에 데크판을 통하여 연장된다.
서보장치(39)는 스핀들(41)에 의해 데크판(1)에 회전가능하게 저널된 서보휠(40)을 포함한다. 또한 서보장치(39)는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42)를 포함하며, 이것은 데크판(1)의 하측에 장착된 스핀들(43)에 대해 선회가능하다.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42)는 데크판(1)의 하측에 장착된 충격 릴레이(44)와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기어휠(45)에 의해 구동되는 서보휠은 플라이 휠(14)의 스핀들에 단단히 장착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3도에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기어휠(45)이 회전하도록 하는 제1모터(16)에 의해 구동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보휠(40)은 스핀들(41)의 주위에 편심장착된 캠(46)을 구비하며, 스핀들(41)에 대하여 약 140°의 각도로 떨어진 2개의 래칭돌출부(47) 및 (48)를 구비한다. 서보휠(40)은 외주 톱니를 가지며 톱니가 없는 부분에는 홈(49) 및 (50)을 갖는데 이 홈은 서로 140°의 각도로 떨어져 있다. 2개의 래칭돌출부(47) 및 (48)에 기인하여 서보휠(40)은 제1정지위치(제3도 참조) 혹은 제2정지 위치를 점유하며, 홈(49) 및 (50)은 기어휠이 서보휠을 구동할 수 없도록 기어휠(45)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서보휠(40)는 스핀들(41)에 대하여 편심 설정된 릿지(51)를 구비한다.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42)는 4개의 암을 포함하는데, 즉, 견고 암(52), 탄성 암(53), 정지 암(54) 및 리셋트 암(55)이다. 리셋트 암(55)은 데크판(1)에 접속된 스프링(56)에 의해 부하되며 이것은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스핀들(43)에 대하여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42)가 일정하게 선회가능하게 한다. 리셋트 암(55)은 서보휠(40)의 외주 가까이 암(55)의 자유단부에서 구성된 리셋트 돌출부를 포함하며 이것은 또한 서로 각을 이루는 수렴성 벽 2개를 포함한다. 그의 단부에서 정지 암(54)은 후크로 구성된 정치돌출부(54a)를 구비하며 이 후크는 래칭돌출부(47) 혹은 (48)에 인접한 스핀들(43)의 가상원의 중심에 대하여 실제적으로 접선상태인 정지벽을 포함한다.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 정지위치에서 래칭돌출부(47) 및 (48)는 정지돌출부(54a)에 인접하여 서보휠(40)이 정지위치에 있도록 한다.
이 위치에서 정지 암(54)은 데크판(1)상의 정지부(57)에 대해 위치되며 이 정지부는 래칭위치에서 릴레이 아마츄어(42)의 위치를 설정한다. 그외 단부에서 탄성 암(53)은 훅크형태인 연결소자(58a)를 포함하며 스핀들(43)에 평행한 방향에서보이며 견고 암(52)의 단부 주위에서 지지체(58)로부터 연장되며, 제3도에 도시된 접속위치에서 지지체(58)로부터 떨어져 있는 견고 암(52)의 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지지체(58)는 판형의 연철소자(59)를 보유하는 보유부(58b)를 포함한다.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의 래칭 위치는 충격 릴레이(44)에 대항하여 끌려진 위치이다.
충격 릴레이(44)는 2개의 코일(61)이 감긴 림을 포함하는 영구자석(60)을 포함한다. 계속하여, 릴레이(44)는 마이크로프로세서 회로(23)의 제어하에서 도시되지 않은 전류원에 접속된 코일을 갖는 전자석과 영구자석을 포함한다.
충격 릴레이(44)의 작동은 코일(61)의 전류원에 접속되지 않았을 때 자석(60)이 영구자성의 결과로 연철소자(59)를 계속 끌어당긴다. 래칭 위치에서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42)는 정지부(57)와 충격 릴레이(44)에 의해 현 위치를 계속 유지한다. 전기펄스에 의해 생기는 코일(61)의 짧은 여기화는 자석(60)의 영구자성이 전자석에 의해 중성화 되도록 하여 연철소자(59)가 더이상 끌리지 않게 한다. 스프링(56)은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42)가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스핀들(43)에 대해 선회하게 한다.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는 플라스틱으로 된 하나의 구조체인 암(52) 내지 (55)을 포함하며, 조립을 위하여 연철소자(59)는 지지체(58)에 고정된다.
지지체(58)에 의해 훅크(58a)를 통하여 암(55)에 접속되어 있는 연철소자(59)는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 부재가 회전할때는 릴레이 아마츄어와 선회가능하고, 이것은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42)가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의 반대로 선회하면 연철소자(59)가 자석(60)에 의해 끌어당겨진 후에 조금더 선회할 수 있는 견고 암(52)에 기인한다. 이하 좀 더 자세히 기술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트 부재(62)는 회전판(4) 및 (5)로부터 떨어져 활주 가능하도록 데크판(1)내에 안내되며, 스프링(63)은 회전판(4),(5)로부터 브레이크 부재(62)가 계속 떨어지게 한다. 브레이크 부재(62)는 데크판(1)에서 슬로트(65)에 안내되는 돌출소자(64)를 장착한다. 서보휠(40)의 제1정지위치에서 소자(64)의 자유단부는 스프링(63)의 영향하에서 편심캠(46)을 가압하며, 화살표 d로 표시된 방향으로 스핀들(41)에 대하여 휠(40)을 회전하게 하는 시동 토크(화살표 c)를 가한다.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42)상의 정지돌출부(54a)가 래칭돌출부(47)에 결합되어 있는 한, 이 시동 토크 c는 아무 효력이 없다. 충격 릴레이(44)의 펄스형 여기화의 결과로 연철소자(59)가 더 이상 끌리지 않는다면,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42)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스핀들(43)에 대하여 선회가능하다. 이 경우에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42)는 탄성 암(53)을 제외하고는 모두 견고하며, 따라서 정지돌출부(54a)와 래칭돌출부(47) 사이의 마찰은 효과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 서보휠(40)의 해제후에 시동 토크(화살표 c)는 기어휠(45)에 맞물린 서보휠의 외주 톱니가 오도록 서보휠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모터(16)에 의해 구동되고, 화살표 a방향으로의 기어휠(45)의 회전으로서 화살표 d의 방향으로 서보휠이 더 회전하도록 한다.
헤드장착판(6)이 움직일 수 있는 거리에 의해, 제2모터(22)는 상기 판이 최전방 위치로 이동되면 충격릴레이(44)가 여기되는 순간에는 아직 시동되지 않으며 상기 판이 제3위치보다 덜 이동하면 제2모터(22)는 충격 릴레이가 전기적으로 여기되기 전에 시동되어야 한다. 서보휠(40)의 회전중에 가동레버(36)는 편심캠(46)에 의해 제5,6도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돌출부(48)가 릴레이 아마츄어부재(42)상의 리셋트돌출부(55a) 먼저 결합되기 때문에 이 레버는 이 위치를 확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래칭 위치에서 비작동위치(점선표시)로 이 부재를 선회가능하게 리셋트한다.
계속하여, 래칭돌출부(48)의 회전의 최종부분후에 이 돌출부는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42)상의 정지돌출부(54a)에 인접하여 서보휠(40)이 다시 래치되게 한다. 이 위치에서 서보휠(40)의 홈(50)은 기어휠(45)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기어휠(45)의 다음 회전은 서보휠(40)에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캠(46)에 의한 가동레버(36)의 선회운동중에는 압력이 핀(34)을 통하여 스프링(32)에 가해지며 이 스프링은 압력롤러레버(10)에 가압하게 된다. 이 힘의 결과로 압력롤러레버(10)가 인접부(33)에 인접하므로, 헤드장착판(6)은 제1 혹은 제2위치로 전진된다(충격 릴레이가 여기되기 전에 제2모터의 스위칭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 제2(전진된)위치에서 압력롤러(12)는 캡스턴(13)을 가압하여 헤드장착판(6)보다 조금 더 핀(34)이 움직이므로 압력롤러(12)에는 충분한 힘이 가해진다. 이것은 캠(46)과 장착판(6)사이의 전송에서의 가능한 공차를 보상하기에 충분하다. 캡스턴(13)에 의해 압력롤러(12)가 가압하는 순간에 기록 혹은 재생이 개시되며 테이프는 권선 스핀들(3)에 감긴다.
이 테이프의 단부가 도달되거나 혹은 정지버튼이 가동하면 충격 릴레이(44)는 재여기된다. 이 결과로,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는 래칭위치에서 비작동위치로 다시 움직이며, 그 반면에 래칭돌출부(48)는 정지돌출부(54a)로부터 떨어진다. 이 상황에서 가동레버(36)는 캠상에 시동토크를 발생시키는 스프링(32)에 의해 가동레버(36)상에 압력이 가해지는 방법으로 편심캠(46)에 가압하여,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42)의 해제후에 서보휠(40)은 화살표 d의 방향으로 좀 더 회전하며, 따라서 서보휠상의 주변톱니는 기어휠(45)에 다시 물린다.
이 결과로, 서보휠은 다시 구동되며, 핀(38)은 캠(46)과 릿지(41)사이에서 안내되며 가동레버(36)는 스핀들(37)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뒤로 선회한다. 이것은 핀(34)에서 헤드장착판(6)의 슬로트(35)의 단부벽에 가압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이 판은 화살표(7)의 방향으로 후퇴(제1)위치로 이동한다. 서보휠(40)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캠(46)은 브레이크 부재(6)의 돌출소자(64)상에 힘을 가하여 브레이크 부재가 회전판(4) 및 (5)를 향해 쉽게 움직이게 한다. 계속하여, 서보휠(40)의 회전중에 브레이크 부재가 가동하여 회전판(4), (5)는 정지된다.
화살표 d 방향으로의 회전중에 래칭돌출부(47)는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4)2상의 리셋트 돌출부(55a)와 협동하여 비작동위치에서 래칭위치(제3도 참조)로 상기 부재를 회수하도록 작용한다. 계속하여, 래칭돌출부(47)는 정지돌출부(54a)에 다시 인접하며 따라서 서보는 제3도에 도시된 제1정지 위치를 다시 점유한다. 이 방법으로 서보휠은 제1정지위치(제3도)에서 제2정지위치(제5도)로 이동하며 다시 제1정지위치로(제3도) 이송한다.
헤드장착판(6)은 철수(제1)위치에서 진전된(제2 혹은 제3)위치로 이동하며 다시 철수위치로 오고, 헤드장착판의 회수운동중에 브레이크 부재(62)는 회전판을 정지시키도록 작동한다. 상술된 구조는 충격 릴레이와 협동하는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가 해제될 서보휠을 가동시키기 위하여 오직 짧은 순간만 여기되면 된다. 이 펄스형 여기화의 결과로 코일(61)에는 매우 작은 전류만 흐르며 열 방출은 최소가 된다. 이것은 콤팩트 배터리용 기구나 마이크로프로세서 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설비에 특별한 장점을 제공한다.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42)의 구조는 서보장치가 효과적으로 보상되도록 공차를 갖는다. 비작동위치에서 래칭위치로의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42)의 리세팅은 실제 필요한 것보다 조금 큰 거리를 움직일 수 있으며 부재(42)의 견고 암(52)의 과도선회운동은 연철소자(59)가 자석(60)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서 연철소자(59)와 충격 릴레이 사이의 비교적 큰 거리에 다리를 놓는 것이 가능하다.
헤드장착판(6)은 데크판(1)상에 장착된 스위치(76)(제2도 참조)와 협동하는 돌출부(6a)를 포함한다. 헤드장착판(6)이 제1(혹은 철수)위치에 있으면 스위치(76)는 개방된다. 헤드장착판(6)이 가장 전진된(제2)위치에 있으면(“재생” 혹은 “기록”의 경우에; 이때에 압력롤러(12)는 캡스턴(13)을 가압), 돌출부(6a)는 스위치(76)의 한 림에 의해 압력을 받으며, 따라서 스위치는 폐쇄된다. 헤드장착판의 중간(제3)위치에서 폐쇄된다.(“고속 감기”시에; 압력롤러(12)가 캡스턴(13)으로부터 해제). 이 스위치는 헤드장착판(6) 및 압력롤러(13)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전원의 단락의 경우에도 필요하며, 제7도,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여 제1 및 제2수단에 대한 설명에서 명백해진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수단의 1실시예를 도시한다.
제7도는 헤드장착판(6)이 제2위치에서 있는가를 결정하는 서보장치의 형태로서 제1수단을 도시한다. 이것은 압력롤러(12) 및 캡스턴(13)이 서로 압력을 가하는지를 검출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7도는 서보장치로서 제2수단(72)을 도시한다. 제2수단(72)은 제1수단(71)의 출력(74)에 접속된 입력(73)과 충격 릴레이(44)에 접속된 출력(65)(특히 이 릴레이의 코일(61)에서)을 가지며 장치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서보장치에 대한 전원이 컷 오프하는 순간에 충격 릴레이(44)에 펄스형 여기신호를 공급하는 서보를 포함한다.
제1수단(71)은 장치의 위치에 관련된 스위치(76)를 포함한다. 제2수단(72)은 PNP 트랜지스터(77)를 포함하며 이것의 베이스는 제1전위 V1에서 제1점에 접속되며, 에미터는 저항(78)과 캐패시터(79)에 의해 구성된 지연수단을 통하여 제2전위 V2의 제2점에 접속되고, 콜렉터는 저항(80)으로 구성된 임피던스를 통하여 전위 V0(접지)의 제3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77)의 콜렉터는 저항(81)의 형태로 임피던스로 통하여 NPN 트랜지스터(82)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이 트랜지스터(82)는 V0(접지)에 접속된 에미터를 가지며 그의 콜렉터는 저항(83)을 통하여 제2점에 접속되어 있다.
제2수단(72)의 입력(73)은 저항(84)을 통하여 NPN 트랜지스터(85)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이 트랜지스터는 V0(접지)에 접속된 에미터를 가지며, 콜렉터는 트랜지스터(82)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82)의 콜렉터는 저항(87)으로 된 임피던스와 다이오드(86)를 통하여 PNP 트랜지스터(88)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88)의 베이스는 저항(89)를 통하여 전위 V4에 제4점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88)의 에미터는 V4에 직접 접속된다. 이것의 콜렉터는 다이오드(90)를 통하여 제2수단(72)의 출력을 형성하며, 역시 V0(접지)에 접속된다.
수단(71)의 스위치(76)의 단자(76a)는 V0(접지)에 접속되고 다른 단자(76b)는 출력(74)에 접속되며 저항으로된 임피던스(91)를 경유하여 V4에 접속된다.
V1은 예를들어 12V이고, V2=8V, V4는 5V이다.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가 “재생”“기록”상태 혹은“고속 감기”모드에 있으면, 스위치(76)는 폐쇄되고 상기 전압은 V1,V2및 V4에 나타난다. 스위치(76)가 폐쇄되므로, 트랜지스터(85)는 컷 오프되고 트랜지스터(82)의 베이스 전압은 트랜지스터(77)의 셋팅에 의해 결정된다. 트랜지스터(77)의 베이스 전압이 에미터전압보다 높으므로, 이 트랜지스터는 컷 오프된다. 트랜지스터(77)의 콜렉터전압 및 트랜지스터(82)의 베이스전압은 낮으며(0V) 따라서 트랜지스터(82)는 오프된다.
제2수단(72)의 제2입력에 “고”신호가 나타나는 순간은 트랜지스터(88)의 베이스상에 나타나는 전압이 에미터상의 전압보다 높다. 트랜지스터(88)가 컷 오프되면 출력(75)을 통한 릴레이(44)에는 여기신호가 인가되지 않는다.
전원이 끊어지면 전압 V1은 값 V1(=12V)에서 0으로 감소한다. V1이 V4(=5V)로 감소하는 동안에 트랜지스터(77)의 베이스상의 전압은 에미터의 전압보다 낮다. 이것은 저항(78)과 지연을 제공하는 케패시터(79)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결과로 트랜지스터(77)의 에미터상의 전압은 특별한 기간동안 V2를 유지한다. 트랜지스터(77)가 순간적으로 온됨에 따라, 트랜지스터(77)의 콜렉터 전압과 트랜지스터(82)의 베이스전압이 증가하면 트랜지스터(82)도 순간적으로 온된다. 계속하여, 트랜지스터(88)의 베이스전압이 접지전위로 내려가면, 트랜지스터(88)는 순간적으로 도전되며, 충격 릴레이(44)는 전기 여기신호를 짧은 순간만 수신한다. 따라서, 서보장치는 헤드장착판을 철수(제1)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플라이 휠(44)은 서보휠(40)이 관력각을 넘어서 회전할 수 있는 충분한 운동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헤드장착판이 이미 제1위치에 있다면, 스위치(76)는 개방된다. 트랜지스터(85)의 베이스 전압은 “고”이며 그래서 이 트랜지스터는 도전한다. 트랜지스터(82)의 베이스 전압이 낮기(0V) 때문에 이 트랜지스터는 항상 컷 오프된다. 제2수단(72)는 전원이 단락될 경우 여기신호를 발생할 수 없다.
제2입력(92)은 마이크로프로세서(23)의 부분을 형성하는 제어유니트(93)에 의해 전원이 온될때 종래의 방법으로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를 제어하도록 사용된다. 장치가“재생”상태에 있으면, 제어유니트(93)는 입력(92)상에 “저”(0V) 신호를 발생한다. 이 경우에 트랜지스터(88)는 짧게 온되며 충격 릴레이(44)의 코일(61)은 짧게 여기된다. 장치가 스위치 오프되면, 제어유니트(93)는 입력(92)상에 “저”(0V)신호를 짧게 발생한다. 따라서 충격 릴레이는 재여기되며 헤드장착판은 그의 제1철수 위치를 확보한다. 따라서, 전원의 컷 오프 경우에 장치가 “재생”모드에 있거나 “고속감기” 혹은 “기록”모드에 있더라도 여기신호는 공급된다.
전압 V1및 V2는 같을 수 있다. 대신에 V1이 V2보다 높을수도 있다. 제2의 경우에 전원이 강하되는 순간과 이것이 검출되는 순간사이의 시간은 더 길다. V4역시 V2와 같을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릴레이(44)의 작동전압이 이 릴레이의 정확한 작동을 위해 V2보다 낮아야 한다. 대신에 V4가 V2보다 낮을 수 있다.
제8도는 제2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V2는 V1과 같다. 이것은 트랜지스터(77)의 베이스와 에미터가 연관 임피던스를 경유하여 동일전압에 접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NPN 트랜지스터(82)의 콜렉터후 회로는 약간 다르다. 트랜지스터(82)의 콜렉터는 PNP 트랜지스터(94)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94)의 에미터는 임피던스(94)를 통하여 트랜지스터(88)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제2입력(92)에 직접 접속된다. 또한 입력(27)은 임피던스(84)를 통하여 트랜지스터의(94)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94)의 베이스는 임피던스를 통하여 V4에 접속된다.
회로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가 “재생”에 셋트되면, 스위치(76)는 폐쇄된다. 트랜지스터(94)의 베이스는 비교적 낮으며, 이것은 트랜지스터(94)가 “온”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94)의 콜렉터 전압은 트랜지스터(94)에 전류가 도통되는 것을 결정한다. 제7도에 따라 기술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82)의 전원이 컷 오프될 때 짧게 도전한다. 트랜지스터(94) 및 트랜지스터(82)의 콜렉터 전압은 순간적으로 낮아지며, 전류는 트랜지스터(94)내에 흐른다. 계속하여 트랜지스터(88)의 베이스가 “저”상태가 되면 트랜지스터(88)가 도전되고 릴레이(44)가 여기된다.
서보장치는 헤드장착판(6)을 제1위치로 복귀시킨다. 헤드장착판이 제1위치에 이미 있으면, 스위치(76)는 개방된다. 트랜지스터(94)의 베이스 전압이 “고”이면, 트랜지스터(94)는 컷 오프된다. 트랜지스터(88)의 베이스가 “고”가 되고, 트랜지스터(88)가 오프된다. 트랜지스터(77)에 의한 전압강하의 검출결과는 트랜지스터(94)에 의해 금지되며 이 경우에 그러한 검출은 릴레이(44)에 공급되는 여기신호를 초래하지 않는다.
제어유니트(93)에 의한 테이프 데크의 정상제어는 입력(92)을 통해 처리된다.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가 “재생”모드 혹은 “고속감기”모드에 있음에 따라 “재생”모드 혹은 “고속감기”모드가 스위치 오프되어야 하며, 제어유니트(93)는 입력(92)에 “저”신호를 공급한다. 트랜지스터(88)는 짧게 도전하며, 충격 릴레이(44)는 여기신호를 짧게 수신한다.
트랜지스터(82)의 콜렉터는 다이오드(95)를 경유하여 제2수단의 제2출력(96)에 접속된다. 출력(96)은 제어유니트(93)의 리셋트입력(97)에 접속된다. 이 접속은 다음의 목적을 수행한다.
전원의 전압변등의 결과로서 전압 V1(예를들면 12 혹은 8V)이 짧게 감소하며 계속하여 먼저 값으로 저장되고 트랜지스터(77)는 전압감소를 검출하며, 일반적으로 낮고(예를들면 5V) 제어유니트(93)에 전원으로 제공되는 전압 V4는 이 시간 간격동안 일정하게 유지된다.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는 상기의 짧은 전압 감소전에 “재생”모드에 있었다면, 충격 릴레이(44)는 이 전압 감소의 검출결과로서 짧은 여기신호를 수신하며, 헤드장착판(6)은 제1위치로 이동한다. 제어유니트(93)용 전원이 정상 레벨을 유지하므로, 제어유니트(93)의 내부상태를 변하지 않는다. 이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이며, 제어유니트(93)의 내부상태가 “재생”상태로 계속 있을때까지는 헤드장착판(6)이 이미 제1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트랜지스터(82)의 콜렉터에서 다이오드(95)를 통한 제어유니트(93)의 리셋트입력(97)으로의 접속은 상기의 경우에서 제어유니트(93)에 리셋트 펄스를 제공하며, 따라서 제어유니트(93)는 특별한 초기상태를 리셋트 된다.
제9도는 제8도의 회로의 연장도이다.
제9도는 제8도의 회로의 관련된 부분만을 도시한다. 제너다이오드(98)는 트랜지스터(77)의 베이스에서 점 V1의 접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단계는 그 목적을 위해 동작한다. 첫째로, 전압 V1에 대하여 더 낮은 스므딩(더 싼)전원의 사용이 가능하다. 캐패시터(79)의 스므딩 작용은 트랜지스터(79)의 에미터상의 좀 더 일정한 전압을 유지한다. 전압 V1과 트랜지스터(77)의 베이스 전압상의 큰 리플의 경우에, 트랜지스터는 제너다이오드(98)의 결핍에서의 바람직하지 못한 리플로서 동일 주파수로 짧게 턴온된다. 이것은 적절한 브레이크다운 전압을 갖는 제너다이오드(98)에 의해 예방된다.
더구나, 전원전압 강하순간과 트랜지스터(77)의 검출순간 사이의 시간간격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시간간격은 제너다이오드(98)의 브레이크다운 전압의 값에 좌우된다. 브레이크 전압을 감소하거나 증가함에 의해 시간간격도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단(72) 및 (72´)은 마이크로프로세서(23)에 집적화 될 수 있다. 대신에, 제2수단이 분리 IC내에 집적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즉 제1 및 제2수단은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덜란드 특허출원 제8402145호(PHN 11.087)에 기재된 장치에 사용가능하고 이 단계는 예로써 기쇼전자 주식회사(일본)의 서보제어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실시예의 일반적인 수정이 본 발명의 청구범위로 제한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들면, 도시된 서보장치는 압력롤러를 이송하는 헤드장착판에만 사용될 필요는 없다. 서보장치는 헤드의 회전을 개시하도록(예를들어 오토리버스 테이프 데크에서), 또 자기테이프 카세트는 삽입하거나 추출하도록, 또한 기어휠을 변위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최소한 하나의 부분을 위치시키기 위한 서보장치를 포함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로서, 상기 서보장치는 홈부분을 갖는 서보휠을 포함하고, 서보휠의 정지위치에서 모터구동 휠과 대면하며, 상기 서보휠은 편심캠과 래칭돌출부를 구비하고, 이 편심캠은 서보휠의 정지위치에서, 스프링힘에 의해 발생된 시동토크를 전달하며, 상기 서보장치는 래칭위치와 비작동위치 사이에서 선회가능한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를 포함하며 이것은 충격 릴레이에 의해 유도되는 서보휠의 정지위치에서 연철소자를 구비하며 그에 의해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를 래칭위치에 유지시키며, 이 위치는 서보상의 래칭돌출부를 협동하는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상의 정지돌출부이며, 이렇게 하여 정지돌출부는 래치된 서보휠의 정지위치에 유지되고, 충격 릴레이의 짧은 전기 여기화후에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는 래칭위치로부터 비작동위치로 스프링 힘에 의해 선회하며, 상기 비작동위치에서 정지돌출부는 래칭돌출부와 분리되고, 편심캠상의 시동 토크의 영향하에 서보휠은 회전하며, 서보휠의 외주는 모터 구동휠과 결합되어 상기 래칭돌출부가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상의 리셋트 부재와 협동한 후에, 장치부분을 위치시키도록 서보휠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따라서 릴레이 아마츄어 부재는 비작동위치에서 래칭위치로 스프링힘에 반향하여 복귀되고, 계속하여 래칭돌출부는 다시 서보휠을 정지위치에 래치시키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정지위치에 대응하는 제1위치에서 상기 장치의 작동위치에 대응하는 제2위치로 상기 장치를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1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서보장치가 상기 장치가 점유하는 2위치를 결정하는 제1수단과, 제1수단의 출력에 접속된 입력과 충격 릴레이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 제2수단으로서, 이 제2수단은 상기 장치가 제1위치에 있지 않고 제2위치에 있다면 전원이 컷 오프되는 순간에 충격 릴레이에 짧은 전기 여기신호를 제공하는 능력이 있는 제2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수단이 상기 장치의 위치에 대한 상태를 갖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전위에서 제1점에 접속된 제어전극을 가지며, 지연수단을 경유하여 제2전위에서 제2점에 접속된 제1주전극을 가지며, 임피던스를 경유하여 제3전위에서 제3점 및 제2수단의 출력에 접속된 제2주전극을 가지는 트랜지스터를 제2수단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3점이 제1점 및 제2점보다 낮은 전위를 가지며, 트랜지스터는 에미터 및 콜렉터가 제1주전극 및 제2주전극을 각각 구성하는 PNP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가 제1임피던스를 경유하여 NPN형의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이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제3점에 접속되고, 그의 콜렉터는 제2임피던스를 경유하여 제2점에 접속되며, 다이오드 및 제3임피던스를 통하여 PNP형의 제3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제2수단의 출력을 구성하며 다이오드를 통하여 제3점에 접속되고, 제3트래지스터의 베이스는 제4임피던스를 통하여 제4전위에서 제4점에 접속되며 그의 에미터는 제4점에 직접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트랜지스터의 콜렉터가 제1임피던스를 경유하여 NPN형의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고, 제2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제3점에 접속되며 그의 콜렉터는 제2임피던스를 통하여 제2점에 접속되고 PNP형의 제3트랜지스터는 콜렉터에 접속되며, 그의 에미터는 제3임피던스를 통하여 PNP형의 제4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상기 제4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제2수단의 출력을 구성하며 다이오드를 경유하여 제3점에 접속되고, 제4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제4임피던스를 경유하여 제4전위에서 제4점에 접속되며 그의 에미터는 제4점에 직접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제2수단의 입력이 NPN형의 제4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그의 에미터는 제3점에 접속되고 콜렉터는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제2수단의 입력이 제3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제너다이오드가 제1점과 상기 최초 언급된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 사이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제1수단이 한 단자는 제3점에 접속되고 다른 단자는 제1수단의 출력에 접속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장치가 제1위치에 있으면 개방되고 제2위치에 있으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제2수단이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에 사용되게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KR1019850006320A 1984-08-30 1985-08-30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KR920001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402637A NL8402637A (nl) 1984-08-30 1984-08-30 Magneetbandcassetteapparaat met een servoinrichting.
NL8402637 1984-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097A KR860002097A (ko) 1986-03-26
KR920001264B1 true KR920001264B1 (ko) 1992-02-08

Family

ID=1984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320A KR920001264B1 (ko) 1984-08-30 1985-08-30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49440A (ko)
EP (1) EP0174677B1 (ko)
JP (1) JPH0834019B2 (ko)
KR (1) KR920001264B1 (ko)
AT (1) ATE90471T1 (ko)
DE (1) DE3587392T2 (ko)
NL (1) NL84026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502056A (nl) * 1985-07-17 1987-02-16 Philips Nv Magneetbandapparaat met tenminste een een servowiel omvattende schakelinrichting voor het schakelen van een apparaatfunktie.
NL8502055A (nl) * 1985-07-17 1987-02-16 Philips Nv Magneetbandapparaat.
JPH07111797B2 (ja) * 1985-09-09 1995-11-29 ソニー株式会社 モ−ド切換機構のトリガ機構
JP2565203B2 (ja) * 1987-06-30 1996-12-18 ソニー株式会社 リバ−ス式記録再生装置のモ−ド切換機構
DE3734605A1 (de) * 1987-10-13 1989-04-27 Blaupunkt Werke Gmbh Magnetische schaltvorrichtung fuer einen servoantrieb eines cassettenrecorders
GB9116265D0 (en) * 1991-07-27 1991-09-11 Normalair Garrett Ltd Cassette recorder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47636B (de) * 1965-01-20 1966-06-27 Philips Nv Einrichtung zum Ausschalten mindestens eines der Betriebszustände eines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ätes
DE1905326B1 (de) * 1969-02-04 1970-05-14 Welle Anstalt Des Oeffentliche Verfahren zum Abschalten dem Transport bandfoermiger Ton-und/oder Bildtraeger dienender Laufwerke
DE1938122A1 (de) * 1969-07-26 1971-03-04 Licentia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Ausloesung von gedrueckten Tasten des Druckschalters von Tonbandgeraeten
JPS5120893B1 (ko) * 1970-08-21 1976-06-29
JPS532264Y2 (ko) * 1972-02-25 1978-01-21
DE2534661A1 (de) * 1974-08-02 1976-02-19 Itsuki Prof Ban Magnetbandgeraet mit kassettenhalterung
US3976263A (en) * 1974-10-29 1976-08-24 Technical Incorporated Operating system in a magnetic tape reproducer and recorder
GB1548664A (en) * 1975-06-24 1979-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JPS53140007A (en) * 1977-05-13 1978-12-06 Hitachi Ltd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cassette tape recorder
FR2411463A1 (fr) * 1977-12-09 1979-07-06 Staar Sa Dispositif assurant un sens preferentiel de defilement d'une bande magnetique dans un appareil d'enregistrement et de reproduction du type bidirectionnel
DE2809247A1 (de) * 1978-03-03 1979-09-13 Lenco Ag Steuerschaltung eines kopfschlittenmotors fuer magnetbandgeraete
GB2029998B (en) * 1978-09-15 1982-08-18 Sony Corp Mode changing apparatus in a tape recorder
JPS6021419B2 (ja) * 1979-03-30 1985-05-2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カセツトテ−プレコ−ダ−の動作選択装置
JPS57149548U (ko) * 1981-03-11 1982-09-20
JPS57172557A (en) * 1981-04-15 1982-10-23 Toshiba Corp Video tape recorder
JPS5870448A (ja) * 1981-10-21 1983-04-26 Sony Corp 切換機構
JPS592248A (ja) * 1982-06-25 1984-01-07 Zenshirou Uehara テ−プレコ−ダの駆動装置
JPH0754594B2 (ja) * 1982-11-08 1995-06-07 株式会社セコー技研 磁気録音再生機のモ−ド転換装置
JPS60119650A (ja) * 1983-12-02 1985-06-27 Clarion Co Ltd チャンネルチェンジ機構の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74677B1 (en) 1993-06-09
JPH0834019B2 (ja) 1996-03-29
US4649440A (en) 1987-03-10
DE3587392D1 (de) 1993-07-15
DE3587392T2 (de) 1994-01-05
KR860002097A (ko) 1986-03-26
ATE90471T1 (de) 1993-06-15
JPS6166246A (ja) 1986-04-05
NL8402637A (nl) 1986-03-17
EP0174677A1 (en) 1986-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6142A (en) Magnetic disk apparatus
US4413291A (en) Cassette tape player-recorder
US4031554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890003563B1 (ko) 디스크 장치
KR920001264B1 (ko)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CA1203021A (en) Mode changing apparatus for a tape recorder
KR890003564B1 (ko) 디스크장치
US4313142A (en) Mode changing apparatus for a tape recorder
KR890003561B1 (ko) 디스크 장치
US4665451A (en) Servo with impulse relay for a magnetic-tape-cassette apparatus
US4390751A (en) End of rewind detection in a telephone answering device having remote playout
US4460933A (en) Mode changeover apparatus for magnetic recorder/player
US4118743A (en) Cassette tape recorder with memory controlled selective by-pass
JPS609945Y2 (ja) カセツトテ−プレコ−ダ−
JPH0656688B2 (ja) ディスク装置
JPH0652610B2 (ja) ディスク装置
JPS6045486B2 (ja) テ−プレコ−ダのテ−プ弛み取り装置
JPS5939323Y2 (ja) 磁気録音再生装置
JP2609092B2 (ja) 磁気デイスク装置
JPH0652615B2 (ja) ディスク装置
JPH0652614B2 (ja) ディスク装置
US3424965A (en) Device for switching the movements of a tape-shaped record carrier in recording and/or play-back apparatus
JPS5912772Y2 (ja) テ−プレコ−ダ−の制御回路
JPH0441422B2 (ko)
JPH033866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