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563B1 - 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563B1
KR890003563B1 KR1019850000771A KR850000771A KR890003563B1 KR 890003563 B1 KR890003563 B1 KR 890003563B1 KR 1019850000771 A KR1019850000771 A KR 1019850000771A KR 850000771 A KR850000771 A KR 850000771A KR 890003563 B1 KR890003563 B1 KR 890003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ping motor
disk
signal
outpu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0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113A (ko
Inventor
마꼬도 쇼지
히로시 쓰유구찌
쇼오죠 토오마
가즈히로 히라끼
쓰도무 모리따
Original Assignee
티악크 가부시끼가이샤
다니 가쯔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악크 가부시끼가이샤, 다니 가쯔마 filed Critical 티악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6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0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or absence of record in accessible stored position or on turnt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10Track finding or aligning by moving the head ; Provisions for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track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e. track following
    • G11B21/106Track finding or aligning by moving the head ; Provisions for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track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e. track following on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크 장치
제1도-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계가 있는 자기디스크장치를 설명하기위한 것으로서, 제1도는 자기디스크 카트리지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카트리지의 저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카트리지의 정면도.
제5도는 디스크장치의 회전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6도는 회전체와 디스크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제7도는 디스크장치를 보여주는 블럭도.
제8도는 제7도의 제어회로와 스텝핑모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럭도.
제9도는 및 제10도는 제7도와 제8도의 (A)-(N)점의 상태를 도시한 파형도.
제11도는 제어회로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블럭도.
제12도는 제7도 및 제11도 (A)-(N)점의 상태를 보여주는 파형도.
제13도는 제7도의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블럭도.
제14도는 제13도의 회로로 선택한 경우인 제7도 및 제8도의 각부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자기디스크 11 : 회전체
16 : 디스크회전용모터 17, 18 : 자기헤드
20 : 스텝핑모터 21 : 제어회로
22 : 전원단자 23 : 스윗칭·트랜지스터
25 : 회전검출기 31 : 레디검출회로
32 : 전원온 검출회로 33 : 디스크카트리지삽입검출회로
43 : 모터온신호 공급회로 44 : 프리레디검출회로
47 : 스텝프신호 공급단자 53 : 트랜지스터
54 : 다이오드 55 : +5V 전원라인
62 : 스텝핑모터 전압차단제어용 OR게이트 63 : 일정시간 펄스 발생회로
65 : 12V 인가시간결정용 OR게이트
본 발명은 플럽피 디스크(floppy disk)(프렉시블 자기디스크) 또는 이와 유사한 디스크를 사용하여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기 위한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디스크장치는 디스크회전기구와, 자기헤드(변환기)와, 헤드이동 기구와를 가지고 있다. 헤드이동기구는, 일반적으로 스텝프신호에 응답하는 스텝핑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직선운동을 얻기위한 회전-직선변환기구로 이루어지며, 헤드를 디스크의 반경방향(트랙교차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헤드를 소정트랙에 이동시킨후에 헤드를 그 트랙에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텝핑모터의 로터를 소망스런 위치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4상의 스텝핑모터를 1상 여자방식으로 구동할 경우에는, 스텝프동작의 최후의 여자가 제3상이라고 한다면, 로터를 제3상에 상응하도록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스텝프동작의 마지막에 여자된 권선에 정상적인 전류를 계속흐르게 하거나 절전을 도모하기위하여 정상전류 보다도 낮게 유지하는 전류만을 계속흐르게 하였다. 그러나 유지전류가 적은 경우, 그리고 유지전류를 차단한 경우에는 로터를 소정위치로 정확하게 유지하기가 어렵게된다. 즉 권선의 여자전류를 차단하면 로터가 여자전류에 따른 가계에의하여 구속을 받지 않게된다. 따라서 여자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로터의 유지위치가 10∼20μm 정도 어긋나는 적이었다. 그리고 디스크의 회전개시 및 정지나, 디스크카트리지의 착탈시의 진동으로 인해서도 로터의 위치 및 헤드위치가 차질이 생기는 수가 있다. 이와같은 종류의 문제는 스텝핑모터에 대한 높은 전압의 인가를 계속하면 해결되지만, 절전효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전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변환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장할 수가 있는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디스크를 회전하기위한 디스크회전기구와, 기록하고 재생하기위한 변환기와, 스텝프신호에 응답하여 변환기를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텝핑모터를 포함하는 헤드이동기구와, 적어도 스텝핑모터의 스텝프구동기간(예컨대, 실시예 t11∼t12, t21∼t22기간), 및 회전기구에 대하여 디스크를 장진한후 일정시간(예컨대 실시예의 t26Pt28)에 스텝핑모터에 높은 수준의 전압을 공급하고, 디스크가 회전기구로부터 이탈되고 있는 기간(예컨대, 실시예의 t23∼t24)에서는 스텝핑모터의 전압을 높은 수준보다도 낮은 값으로 하는 스텝핑모터 전압제어회로로 구성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를 이탈하고있는 기간에 스텝핑모터의 전압을 영 또는 낮은 수준으로하여 절전을 도모할지라도, 디스크를 장진한 후에 높은 수준(예컨대 12V)의 전압(정상 수준전압)을 공급하게 되므로 영이나 낮은 전압의 기간에서 변환기의 차질을 보정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제1도∼제1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와 유관한 자기디스크장치에 대하여 기술한다.
제1도∼제4도는 이 자기디스트장치로 사용하는 자기디스크카트리지(1)를 보여준다. 이 카트리지(1)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플럽피디스크라고 불리워지고 있으며, 직경 86mm의 기록매체디스크(2)를 강성이 있는 합성수지케이스(3)에 수용함으로써 구성되고 있다. 케이스(3)의 표면(4)과 이면(5) 양쪽에 헤드삽입용개구(6)(7)가 설치되어 있으며, 비상용시에는 이 개구(6)(7)는 슬라이드식인 셔터(8)에 의하여 닫혀지고있다. 다만 자기헤드가 하나의 장치에서는 개구(6)(7)의 한쪽에 패드(pad)가 삽입된다. 셔터(8)는 제1도에서 우축방향으로 용수철(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하여 편기되어 있으며 사용시에는 이 편기력에 거슬러서 좌측으로 이동된다. 더우기 셔터(8)의 개방은 케이스(3)의 요홈부(9)에 개방부재(도시하지 않았음)를 걸어맞춤시키고, 이것으로 셔터(8)의 측면을 밀어 누르므로서 이루어딘다. 이 실시예의 디스크카트리지(2)는 자기 쉬트(2a)와의 중앙에 장착핀 자성체금속 원판으로 구성되는 허브(2b)로 이루어지고있다. 디스크(2)는 클램퍼(clamper)로 밀어눌러서 회전시키는 것은 아니므로 케이스(3)의 이면(5)에만 회전구동용의 개구(10)가 설치되어있고, 이곳으로부터 허브(2b)가 노출되고있다. 이 허브(2b)에는 스핀들삽입용구멍(2c)가 구동핀삽입용구멍(2d)이 뚫려있다.
제5도는 디스크카트리지(1)를 사용하여 기록하고 재생할때에 디스크(2)에 걸어맞춤시키는 회전체(11)의 평면도이며, 제6도는 회전체(11)에 디스크(2)를 걸어맞춤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단면도이다. 회전체(11)는 중앙에 스핀들(12) 및 구동핀(13)이 있고, 다시 디스크(2) 중앙의 금속제 허브(2b)를 흡착하기위한 영구자석(14)을 가지고 있다. 구동핀(13)과 구멍(2d)과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달성하기 위해서는 구동핀(13)은 판용수철(15)에 의하여 지지되고, 그의 축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다. 또한 구동핀(13)은 축(13a)에 로울러(13b)를 자유자재로 변위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있다.
회전체(11)에 대하여 디스크(2)를 걸어맞춤시킬때에는 케이스(3)를 수반하여 디스크(2)를 회전체(11)위에 삽입시켜 허브(2b)를 자석(14)으로 흡인시킨다. 이때, 물론 디스크(2)의 스핀들삽입구멍(2c)이 회전체(11)의 스핀들(12)에 일치할 수 있도록 위치를 결정한다. 이 결과, 스핀들(12)과 구멍(2c)과의 걸어맞춤은 성립한다. 그러나 구동핀(13)과 구멍(2d)과는 반드시 일치하지않고, 만약 불일치할 경우에는 구동핀(13)위에 허브(2b)가 얹어지게되고, 자석(14)으로 흡입되고있는 허브(2b)에 의하여 구동핀(13)은 용수철(15)에 거슬러서 밀어내려지게 된다. 그후 회전체(11)를 회전하면 구동핀(13)과 구멍(2d)과의 위치관계가 변화하여 구동핀(13)과 구멍(2d)의 위치가 일치하게되고, 용수철(15)의 위쪽방향의 편기력에의하여 구동핀(13)이 구멍(2d)에 빠져들어가게되어 회전체(11)와 디스크(2)와의 완전한 걸어맞춤이 성립한다.
제7도에 도시한 자기디스크장치는 제1∼제4도에 도시한 카트리지(1)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것이다. 제7도에서, 회전체(11)는, 소정위치에 장전된 카트리지(1)의 케이스(3) 내의 디스크(2)를 회전하기위하여 제5도 및 제6도에서와 같이 구성되고, 디스크회전용 아우터로 터형모터(외측회전자)(16)에 직결되어있다. (17)(18)은 변환기로서의 자기헤드이며, 캐리지(19)에 부착되고, 디스크(2)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20)은 헤드이동기구를 구성하는 스텝핑모터이며, 리드스크류(lead screw)(19a)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회전-직선변환기구를 통하여 캐리지(19)를 구동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텝핑모터(20)는 제1상 권선, 제2상권선, 제3상권선, 및 제4상 권선을 가지는 4상구성의 스텝핑모터이며, 제어구동회로(21)에 의하여 1상 여자방식으로 구동된다. 다만 전원 온 시에 헤드(17)(18)를 디스크(2)의 트랙 영으로 확실하게 위치를 결정하기위하여 전원온 검출에 응답하여 제1상권선을 여자함과 아울러, 나머지 제2∼제4상 권선의 적어도 하나를 여자한다. 이로인하여, 제1상권선 여자시에 회전자가 제3권선에 대응한 위치에 안정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장치의 직류전원단자(22)와 모터(16)와의 사이에는 스위치소자로서의 트랜지스터(23)와 모터제어구동호로(24)가 설치되어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23)가 온의 기간인 때에만 모터(16)가 회전한다.
(25)는 디스크(2)의 회전검출기이며, 디스크(2) 및 회전체(11)와 더불어 회전하는 아우터로터(외측회전자)형 모터(16)의 로터(26)의 표면에 광반사 인덱스 즉 지표(27)를 검출하기위한 LED(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발광소자(28)와 포토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있는 수광소자(29)를 구비하고, 디스크(2)의 회전각도위치 및 회전속도를 검출한다. 회전체(11)의 구동핀(13)과 광반사지표(27)와는 일정한 각도위치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지표(27)의 검출에 의하여 구동핀삽입구멍(2d)의 위치를 알수가 있다. 발광소자(28)는 절전을 도모하기위하여 스위칭·트랜지스터(23)의 후단에 접속되고, 모터(16)에 동기해서 구동된다. 회전검출기(25)의 수광소자(29)에 접속된 파형정형회로(30)는 지표(27)의 검출에 대응한 펄스를 송출한다. 이 펄스의 위치에 따라 디스크(2)상의 구동핀삽입구멍(2d)의 위치를 알수 있으며, 펄스의 상호 간격에 의하여 회전속도를 알수가 있다.
파형정형회로(30)의 출력에 걸어맞춤된 레디검출회로(31)는 기록하고 재생준비가 완료된 상태 즉 기록·재생가능상태를 검출하는 회로이며, 모터(16)가 회전을 개시한 후부터 소정시간(예컨대 420ms)이 경과하고, 또한 모터(16)의 회전속도가 정상회전속도의 90% 이상으로 되었을때 높은 수준의 래디검출신호(기록·재생분비완료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12V의 전원단자 (22)에 접속되고 +5V의 전원단자(55)에 접속된 전원은 검출회로(32)는, 전원단자(22)에 전력이 공급되고, 전원전압이 일정치(예컨대 정상전압의 70∼80%)로 되었음을 전압비교기로 검출하고, +5V의 전원단자(55)의 전압이 일정치(정상전압의 70∼80%)로 되었음을 검출하고, +12V와 +5V중의 어느것이든 검출되었을때 높은 수준의 전원온신호를 송출하는 것이다.
(33)은 디스크카트리지 삽입검출회로이며, 카트리지(1)의 삽입통로에 배치된 발광소자(34)와 수광소자(35)로 이루어지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에 의하여 카트리지(1)가 회전체(11)위에 삽입되어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고, 높은 수준의 디스크삽입검출신호를 발생한다.
전원온 검출회로(32)와 디스트카트리지 삽입검출회로(33)의 출력에 의하여 스위칭·트랜지스터(23)를 제어하기위하여 타이머(36), AND게이트(37), 트리거펄스 형성회로(38), AND게이트(100), OR게이트(39), RS후립프후럽프(10), OR게이트(41), 호픈클레크터형의 NAND게이트(42)가 설치되어있다. 이들을 제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타이머(36)는 전원온 검출회로(32)에 접속되고, 제9(a)도의 t1시점에서 발생하는 전원온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일정시간(T1=12ms)에서만 제9(b)도에서와 같이
Figure kpo00001
단자로부터 낮은 수준출력을 발생하고, 역으로
Figure kpo00002
단자로부터 높은 수준출력을 발생한다. 이 타이머(36)의 t1∼t2의 낮은 수준기간은, 1상여자방식의 스텝핑모터(20)를 전원온 검출신호에 의하여 다상여자하고, 트랙 영위치를 확실하게 얻는 기간에 대응하고있다. AND게이트(37)는, 타이머(36)의
Figure kpo00003
출력과 전원온 검출회로(32)의 출력을 입력하고, 타이머(36)의 출력이 높은 수준의 기간에서만 높은 수준의 전원온 검출신호를 통과시킨다. 따라서, 제9도의 t2시점에서 AND게이트(37)의 출력을 입력하고, AND게이트(37)의 출력이 t2시점에서 높은 수준으로 올라서게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9(c)도의 높은수준의 트리거신호를 출력한다. OR게이트(39)는 트리거펄스 형성회로(38)의 출력과 AND게이트(100)의 출력을 입력하고, 어느쪽의신호든 통과시킨다.
RS후립프후럽프(40)의 셋트단자R는 OR게이트(39)의 출력으로 접속되고, 리셋트단자R는 레디검출회로(31)의 출력으로 접속되어있다. 따라서, 제9도의 t2시점에서 전원온에 의하여 발생하는 트리거신호에의한 후립프후럽프(40)는 셋트되어 제9(f)도에서와 같이
Figure kpo00004
출력단자로부터 높은 수준의 출력이 송출되고, 그후 시점의 레디검출신호에 응답하여 리셋트된다. 전원온 개시시에 이미 카트리지(1)가 삽입되어있는 경우에는, 디스크카트리지 삽입검출회로(33)의 출력이 제9(d)도에서와 같이, t2시점 보다도 먼저 높은 수준으로 상승한다. 그러나 게이트(100)에 디스크카트리지 삽입검출회로(33)의 출력과 타이머(36)의
Figure kpo00005
출력이 입력하고 있으므로 타이머(36)의
Figure kpo00006
출력이 낮은 수준의기간(t1∼t2)에 AND게이트(100)의 출력이 높은 수준으로되고, 후립프후럽프(40)가 셋트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제10도에서와 같이 전원온 상태에서 t24시점에서 높은 수준의 디스크카트리지 삽입검출신호가 발생되면 제10(f)도에서와 같이 이 앞쪽 가장자리에서 후립프후럽프(40)가 셋트된다. 제10도에서와 같이 전원이 미리 투입되고있는 상태에서 디크스카트리지를 삽입할때에는, 타이머(36)의
Figure kpo00007
출력은 높은 수준으로 타이머(36)의 출력과는 관계없이 디스크카트리지 삽입검출회로(33)의 높은 수준신호는 즉시 후립프후럽프(40)로 입력한다. OR게이트(41)의 한쪽의 입력단자는 후립프후럽프(40)의
Figure kpo00008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입력단자는 모터온신호공급회로(43)에 접속되어있다. 모터온신호공급회로는, 일반적으로 프롭피디스크 코트로울러하고 불리우는 외부장치로부터 모터(16)를 온으로하는 명령을 발생하는 회로로서, 예컨대 제9(g)도의 t7∼t16, t17이후의 기간, 또는 제10(g)도의 t29이후에 높은 수준의 모터온신호를 발생한다.
OR게이트(41)는, 후립프후럽프(40)의 높은 수준출력과, 모터온신호공급회로(43)의 모터온신호와의 어느쪽이든 통과시키고, 이 출력을 다음단계의 NAND게이트(42)의 한쪽에 입력케한다. NAND게이트(42)의 다른한쪽의 입력은 디스크카트리지 삽입검출회로(33)에 접속되고 있으므로, NAND게이트(42)는 디스크카트리지 삽입검출신호가 발생하고 있을때에만 전단계의 OR게이트(41)의 높은 수준출력에 응답하여 낮은 수준출력을 발생한다. NAND게이트(42)의 출력단자는 트랜지스터(23)의 베이스에 접속되어있다. NAND게이트(42)는 디스크카트리지 삽입검출회로(33)로부터 높은 수준의 디스크카트리지 삽입검출신호가 발생하고있는 기간에있어, 후립프후럽프(40) 또는 모터온신호공급회로(43)로부터 높은 수준의 출력이 발생하고있는 기간에서만 낮은 수준(L)출력상태로 된다. 따라서 스위칭·트랜지스터(23)는 제9도 및 제10(a)도에서와 같이 t2∼t5, t7∼t16, t17이후, t24∼t27, t29이후에서만 온으로되고, 이 기간에서만 모터(16)가 구동되고 또한 발광소자(28)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7도의 디스크장치는, 프리레디검출회로(44)를 가지고 있다. 이 프리레디검출회로(44)는 파형정형회로(30)의 출력에 의하여 레디검출신호가 얻어지는 시점 보다도 약 40ms전의 상태를 검출한다. 이 프리레디신호의 발생시점은, 모터(16)의 회전 개시시점 t2, t7, t17으로부터 약 380ms 정도의 시점 t4, t8, t18이다. 또한 이시점, t4, t8, t18에서 부터 레디신호 발생시점 t5, t9, t19까지의 약 40ms는, 스텝핑모터(20)의 로터의 위치를 정확하게 보정하기위하여 요구되는 시간에 상당한다.
(45)는 헤드로드용 플런져 솔레노이드(plunger solendid)이며, 헤드로드신호 공급단자(46)의신호에 응답하여 헤드(17)(18)를 기록·재생가능상태로 디스크(2)에 접촉시키는 것이다.
제7도의 제어구동회로(21)에는, 스텝프신호 공급단자(47), 스텝프방향신호 공급단자(48), 전원단자(22)가 접속되어있는외에, 스텝핑모터(20)를 절전제어하기 위하여 프레디레디검출신호(44)의 출력라인(44a), RS후립프후럽프(40)의 출력라인(40a), 타이머(36)의
Figure kpo00009
출력단자의 출력라인(36a)과
Figure kpo00010
출력라인(36b), 그리고 헤드로드신호 공급단자(46)가 접속되어 있다.
제8도는 제7도의 제어회로(21) 및 스텝핑모터(20)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스텝핑모터(20)는, 제1, 제2, 제3, 그리고 제4상권선(48)(49)(50)(51)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한끝은 공통접속되고 있으며 이 공통라인(52)은, 트랜재스터(53)를 통하여 +12V의 전원단자 (22)에 접속되고, 또한 다이오드(54)를 통하여 +5V의 전원라인(55)에 접속되어 있다. 각 권선(48)∼(51)의 다른 끝은 각각의 오픈 콜레크터형 NAND게이트 (56)(57)(58)(59)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있다.
(60)은 제어신호 발생회로이며, 스텝프신호 공급단자(47)로부터 공급되는 스템프신호와, 스텝프방향신호 공급단자(48)로부터 공급되는 스텝프방향신호에 의하여 스텝핑모터(20)의 권선(48)∼(51)에 여자전류를 흐르게 하기위한 여자신호를 발생하고, 각각의 NAND게이트 (56)∼(59)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제어회로(60)는, 제9도의 t1시점의 전원온 검출에 응답하여 헤드(17)(18)를 디스크 (2)의 트랙 영위치로 복귀되도록 스텝핑모터(20)를 제어하고, 통상 제1상을 트랙 영에 대응시키므로, 제9(i)도에서와 같이, 제1상여자신호를 제1상 NAND게이트(56)에 공급한다. 이로인하여, 로터를 제1상으로 유지하고 헤드(17)(18)를 트랙 영으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특허출원 제1249/1984년에서 본원 출원인이 설명한 바와같이, 4상스텝핑모터를 1상여자방식으로 구동하는 경우, 로터가 제3상에 위치하면, 제1상권선에 전류를 흐르게하여도 로터를 변위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제2상을 강제적으로 여자하기위한 OR게이트(61)가 설치되고, 제어신호발생신호(60)의 출력은 이 OR게이트(61)를 통하여 제2상의 NAND게이트(57)에 접속되어있다. OR게이트(61)에는 타이머(36)의
Figure kpo00011
출력단자가 입력되고, 제2상의 NAND게이트(57)에 제9(j)도에서와 같이 t1∼t2기간에 여자신호가 공급된다. 이 결과 t1∼t2기간에는 다상여자되고, 예컨대 제3에 로터가 위치하고있어도, 이곳으로부터 탈출시켜도 로터를 제1상으로 옮길 수 있게된다. 특히, 전원 투입시에 자기헤드(17)(18)를 트랙 영으로 옮기기위한 스텝프신호가 단자(17)에서 입력되고, 헤드, (17)(18)는 트랙 영으로부터 대폭적으로 어긋나있는 경우에는 헤드(17)(18)는 트랙 영으로 이동되고, 그후 제1상권선(48)으로 여자전류가 공급된다.
4개의 NAND게이트(56)∼(59)의 다른쪽의 입력단자는, 스텝핑모터(20)에 대한 전압공급을 차단제어하기위한 OR게이트(62)에 접속되어있다. 이 OR게이트(62)의 출력이 낮은 수준(L)의 경우에는 NAND게이트(56)∼(59)의 출력이 반드시 높은 수준(H)으로되고, 권선(48)∼(51)의 전류는 위상제어신호 발생회로(60)의 출력의 유뮤에 관계없이 차단된다.
(63)은 리트리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된 일정시간 펄스 발생회로로서, 낮은 수준의 계시(計時)출력을 얻을 수 있는 타이머출력라인(36a), 프리레디출력라인(44a), 그리고 스텝프신호 공급단자(47)에 각각 접속되고, 제7도의 타이머(36)에의한 계시의 종료(제9도 t2시점), 제7도의 프리레디 검출신호(44)에서의 프리레디검출신호의 발생(제9도 t4, t8, t18시점), 최후의 스텝프신호(제9도 t12, t22시점)에 응답하여 일정시간(T2=50ms)의 높은 펄스를 발생하는 회로이다. 이 펄스 발생회로(63)는 리트리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이므로 T2=50ms 보다도 충분히 짧은 간격으로 입력하는 각기의 스텝프신호로 트리거되며, 최후의 스텝펄스에서 T2=50ms 경과한후에 낮은 수준출력으로된다. 따라서 t11∼t12의 스텝프 구동기간에서도 높은 수준출력을 발생한다.
(64)는 헤드로드시 안정화제어신호 발생회로이며, 헤드로드신호 공급단자(46)로부터 공급되는 헤드로드신호의 앞쪽 가장자리에 동기하여 일정기간(T3=80ms)의 높은 수준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65)는 12V 인가시간 결정용 OR게이트이며, 타이머출력라인(36b)에 접속된 제1의 입력단자 일정시간 펄스 발생회로(63)의 출력에 접속된 제2의 입력단자, 헤드로드시 안정화제어신호 발생회로(64)에 접속된 제3의 입력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어느쪽의 높은 수준신호 일지라고, 통과시킨다. 이 OR게이트(65)의 출력단자는 오픈클레크터 형식의 NOT회로(66)에 접속되고있는 동시에 OR게이트(62)의 하나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있다. NOT회로(66)의 출력단자 PNP형 트랜지스터(53)의 베이스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OR게이트의 높은 수준신호에 대응한 NOT회로(66)의 낮은 수준출력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53)는 온으로되고, 스텝핑모터(20)에 +27V의 높은 수준전압(정상 수준전압)이 공급된다. 즉 제9(k)도의 스텝핑모터전압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다음의 (가)∼(바)에서 스텝핑모터전압 +12V로 된다.
(가) 타이머출력라니(36b)에서 얻어지는 T1=12ms의 높은 수준펄스에 대응하는 t1∼t2기간.
(나) 타이머출력라인(36a)의 낮은 수준의 종료에 응답한 일전시간 펄스 발생회로(63)의 출력에 대응하는 t2∼t3기간.
(다)전원온, 또는 모터온신호, 또는 디스크카트리지 삽입에 응답한 프리레디검출라인(44a)에서 얻어지는 제9도 및 제10(l)도의 프리레디검출신호의 각기의 솟아오르는 시점 t4, t8, t18, t26에 응답한 펄스 발생회로(63)의 출력에 대응하는 t4∼t6, t8∼t10, t18∼t20, t26∼t28기간.
(라)스텝프신호 공급단자(47)로부터 공급되는 제9(m)도에서 보여주는 t1∼t12, t21∼t22의 스텝프신호발생기간.
(마) 제9(m)도의 최후의 스텝프신호의 발생시점 t12, t22에 응답한 펄스 발생회로(63)의 일전시간 출력이 얻어지는 기간.
(바) 제9(n)도의 t14시점의 헤드로드신호의 상승에 응답하여 헤드로드시 안정화 제어신호 발생회로(64)에서 얻어지는 일정시간(T3=80ms)에 대응하는 t14∼t15기간.
상기 (가)∼(바)의 기간에서는, 다이오드(54)는 오프로된다. 또한 이 기간은 OR게이트(62)의 출력이 높은 수준으로되므로, 스텝핑모터(20)의 각 권선(48)∼(51)의 어느것이든간에 전류를 흐르게할 수 있는 상태에 있게된다. 상기 (가)∼(바)의 기간이외에는, 스텝핑모터(20)에 +5V의 전원라인(55)으로부터 +5V의 전압이 인가되거나, 또는 OR게이트(62)의 전 수준출력에 응답하여 모든 NAND게이트(56)∼(59)의 출력이 높은 수준(+12V)으로되며, 실질적으로 스텝핑모터(20)의 전압 및 전류는 차단된다. 또한 제10도에서 명백하여진 바와같이, 디스크카트리지 삽압검출에 동기하여 디스크모터(16)가 회전하고, 프리레디검출시점 t26에서 스텝핑모터(20)의 전압이 +12V로된다. 또한 t23∼t24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디스크카트리지(1)가 이탈되고있는 기간에서는 스텝핑모터(20)의 전압이 영볼트로 된다.
OR게이트(62)는 프리레디검출라인(44a)에 접속된 제1의 입력단자와, 후립프후럽프 출력라인(40a)에 접속된 제2의 입력단자와, OR게이트(65)에 접속된 제3의 입력단자와를 가지고 있으며, 출력단자는 NAND게이트(56)∼(59)의 입력단자에 각각 접속되어있다. 이 OR게이트(62)의 3개의 입력단자의 어느쪽인가에 높은 수준의 신호가 공급되고 있을때에, NAND게이트(56)∼(59)는 제어신호 발생회로(2)의 출력에 응답하고, 4개의 NAND게이트(56)∼(59)에서 선택된 것의 출력이 낮은 수준으로되며, 선택된 여자권선에 전류가 흐르게된다. 그러나 OR게이트(62)의 어느쪽의 입력이 낮은 수준인 때에는, 4개의 NAND게이트(56)∼(59)의 어느쪽의 출력일지라도 높은 수준(+12V)으로되며, 스텝핑모터(20)에 대한 전압 및 전류공급은 차단된다. 즉 제9(k)도에서와 같이, t6∼t8기간, 그리고 t16∼t18기간에는 스텝핑모터(20)의 권선(48)∼(51)의 어느쪽으로도 전압 및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t6∼t8기간이 시작되는t16시점은, 트랜지스터(25)가 오프를 개시할때 즉, 디스크회전용모터(16)의 오프시와 거의 대응하고 있다. 또한 t16∼t18기간의 t16시점은, 모터온 신호의 소멸에의한 트랜지스터(23)의 오프시점 즉 모터(16)의 오프시점에 대응하고, t18시점은 프리레디신호 발생시점에 대응하고있다.
OR게이트(65)의 출력이 낮은 수준에서 OR게이트(62)의 출력이 높은 수준의 기간, 즉 t3∼t4, t10∼t11, t13∼t14, t15∼t16, t20∼t21기간은 스텝핑모터(20)에 +5V가 공급된다.
이상에서 명백하여진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장치는 다음과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A) 제10도에서 명백해진 바와같이, 적어도 t23∼t24의 카트리지 이탈시에는 스텝핑모터전압이 영볼트이며, 절전상태에 있다. 그후, t24에서 제10(d)도에서와 같이 카트리지를 삽입하면, 스텝핑모터(20)에 5V가 인가되고, 또한 모터(16)가 회전하기 시작하며, t26에서의 프리레디신호에 동기하여 t26∼t28의 일정기간(T2=50ms)에만 12V가 스텝핑모터(20)에 인가된다. 이 결과 카트리지(1)를 넣고 빼는데 있어서의 진동에의한 스텝핑모터(20)의 로터의 차질을 보정할 수가 있다. 모터(16)의 회전개시 및 정지에 따른 진동에의한 스텝핑모터(20)의 로터의 어느쪽이든 동시에 보정된다. 이와같이, 카트리지 삽입시에는 +12V를 부가하여 로터 및 헤드의 위치를 보정하면, 설혹 모터온 신호가, t28시점 보다도 먼저 공급되고, t27의 레디검출신호의 발생직후에 데이터기록재생이 개시되었다 하더라도, 정확한 트랙위치에서 이것을 실행할 수가 있다.
(B) 디스크회전용모터(16)의 오프에 거의 대응시켜서, 제9도의 t6∼t8, 그리고 t16∼t18, 제10도의 t24이전, t28이후의 기간에서 스텝핑모터(20)의 인가전압을 영으로 되게하므로, 대폭적인 절전효과를 얻을 수 있다.
(C) 스텝핑모터(20)의 인자전압을 영으로해도 프리레디신호 발생시점 t8, 및 t18으로부터 일정시간(T2=50ms), 즉 레디검출시점 t5, t9, t19보다도 적어도 먼저 높은 수준의 12V(정상수준접압)를 인가하므로, 레디검출시점 즉 기록·재생 준비완료 검출시점에서 스텝핑모터(20)의 로터의 위치 및 헤드위치를 소망위치로 할수있다. 따라서, 기록하고 재생을 정확하게 할수있다.
(D) 모터온 신호발생시점 t7, t17과 동시에 스텝핑모터(20)에 +12V를 인가하지 않고, 이것보다 지연된 프리레디 신호발생 시점 t8, t18에서 +12V를 인가하므로, 양쪽의 기동전류가 동시에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전원회로의 전력용량을 적게할 수 있다.
(E) t11∼t12에서와 같이 최후의 스텝핑신호에 동기해서 일정시간(T2=50ms)+12V를 스텝핑모터(20)에 인가하므로, 헤드(17)(18)의 최종위치를 정확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F) t14∼t15에서와 같이 헤드로드시에 +12V를 스텝핑모터(20)에 인가하므로, 헤드로드시에서의 헤드(17)(18)의 위치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G) 모토온 신호에 기안하는 구동과는 별도로, 전원온 검출신호와 디스크 삽입검출신호로 디스크화전용모터(16)를 회전하므로, 디스크(2)와 회전체(11)와의 걸어맞춤을 미리 성립시킬 수 있으며, 기록·재생을 신소하게 개시할 수 있다.
(H) 전원온 검출신호 및 디스크삽입 검출신호에의한 모터(16)의 회전을 계속시키지 않고, 레디검출신호 발생에 동기하여 차단하고 있으므로, 전력소비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I)발광소자(28)에대한 전력공급을 모터(16)와 같이 제어하게 되므로, 절전효과가 크게된다.
(J) 타이머(26)를 설치하고, 전원온 검출신호에의한 후립프후럽프(40)의 셋트를 지연시키고 있으므로, 전원온시의 스텝핑모터(20)의 구동과 디스크회전용모터(16)의 구동에 시간차를 줄수가 있어, 전원단자(22)에 접속되는 전원회로의 용량을 적게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변형예가 가능한 것이다.
(a) 제8도의 프리레디검출라인(44a)의 대신에, 제11도에서와 같이, 모터온 신호공급회로(43)의 출력라인(43a)을 설정하고, 제7도의 모터온 신호공급회로(43)로부터 발생하는 모터온신호를 입력시켜 OR게이트(62)와 펄스 발생회로(63)에 공급해도 무방하다. 이로인하여 제12도의 모터온 신호발생시점 t7에 응답하여 펄스발생회로(63)에서 일정시간 T2=50ms의 펄스가 발생하고, 스텝핑모터(20)에 제12도 t7∼t8에서와 같이 +12V가 인가된다. 이 결과, 스텝핑모터(20)의 전압이 영으로 되는 t6∼t7기간의 모터의 변위가 보정된다. 더우기 레디검출전의 +12V의 인가는, 모터온 신호발생으로부터 레디검출시점까지의 기간내의 전부라도 무방하다.
(b) t6∼t8, t16∼t18기간의 스텝핑모터(20)의 전압을 영볼트로 되게하지 않고, +12V 보다도 낮은 임의의 전압으로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c) 프리레디검출회로(44)를 회전검출에 의하여 프리레디검출신호를 발생하지않고, OR게이트(41)의 출력펄스의 앞쪽 가장자리에 응답시켜 일정기간을 타이머로 설정하고, 이 일정시간(예컨대, 380ms)종료시점을 프리레디상태로 해두어도 무방하다.
(d) 스텝핑모터(20)의 전원을 차단을, OR게이트(62)와 NAND게이트(56)∼(59)에서 행하는 대신, 공통라인(52)에 트랜지스터를 접속하고, 이 오프제어로 행하여도 무방하다.
(e) 디스크회전검출기(25)를 자석과 자전변환소자와의 조하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f)후립프후럽프(40)의 셋트신호로 계시를 개시하는 타이머를 설치하고, 이 타이머가 일정시간(예컨대420ms)에 도달하였을때, 그리고 디스크(2)의 회전속도가 90%에 달했을때에 레디검출을하고, 이것을 후립프후럽프(40)의 리셋트신호로 삼어도 무방하다.
(g) 이 실시예에서는, 디스크회전체(11)에 대향하는 클럼프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클럼프부재를 사용하는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h) 자기디스크(2)에 인덱스(지표)홀이있고, 이 인덱스홀에서 회전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는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i) 전원의 용량이 큰 경우, 또는 스텝핑모터(20)를 전원온시에 구동할 필요가 없을때에는, 제9도의 t1∼t2를 지연시키지않고, 후립프후럽프(40)를 셋트해도 무방하다.
(j)실시예에서는, 제9도의 t11∼t12에서 발생하는 스텝프펄스의 앞쪽 가장자리에서 펄스 발생회로(63)로서의 트리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트리거하고 있으나, 각 스텝프펄스의 뒷쪽 가장자리에서 트리거하돌고 하여도 무방하다.
(k) 제7도의 장치의 변형으로서 타이머의
Figure kpo00012
출력의 뒷쪽 가장자리에서 트리거되는 T2=50ms 이상의 타이머(37a)를 제13도에서와 같이 설정하고, 이 출력을 AND게이트(37)에 입력시켜 전원온의 검출시점을 T1+T2이상으로 지연시켜서, 제14도에서와 같이 후립프후럽프(40)의 셋트 및 트랜지스터(23)의 온시점을 t2보다도 T2만큼 지연시켜도 무방하다. 이로인하여 스텝핑모터(20)에 +20V가 인가되고있는 기간에 모터(16)가 기동되는것이 방지되고, 전원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타이머(37a)를 설치하는 대신에, 제8도의 펄스 발생회로(63)로부터 타이머(36)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펄스의 뒷쪽 가장자리에서 제7도의 후립프후럽프(401)를 트리거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l) 스텝프구동기간(t11∼t12)의 스텝핑모터의 전압과, T2기간에 공급하는 스텝핑모터의 전압과에 차이를 갖도록해도 무방하다. 요컨대, T2기간의 높은 수준의 전압은 로터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는 전압이라면 좋다.
(m)카트리지(1)의 삽입에 동기하여 +12V를 스텝핑모터(20)에 부가하여도 무방하다. 즉 제10도의 t24시점에서 +12V를 인가해도 무방하다.
(n) 헤드(17)(18)를, 카트리지(1)의 삽입중에는 항상 디스크(2)에 접촉시켜두어도 무방하다.
(m) 스텝핑모터(20)와 캐리지(19)와의 사이의 회전-직접운동의 변환은 벨트 또는 피니온과 텍크등에서 행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2)

  1. 기록매체드시크를 회전하기위한 디스크회전기구와, 기록하고 재생하기위한 변환기(17, 18)와, 스텝프신호에 응답하여 변환기를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텝핑모터(20)를 포함하는 변환기 이동기구와, 적어도 스텝핑모터의 스텝프구동기간(예컨대, t11∼t12, t21∼t22) 및 회전기구에대한 디스크의 장전후에서의 일정시간 예컨대, t26∼t28에서 스텝핑모터에 높은 수준의 전압을 공급하고, 적어도 디스크의 회전기구로부터 이탈되고있는 기간(예컨대, t23∼t24)에서는, 스텝핑 모터의 전압을 높은 수준 보다도 낮은 값으로 하는 스텝핑모터 전압제어회로로 이루어지는 디스크장치.
  2. 전술한 낮은 값은 영볼트인 특허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디스크장치.
KR1019850000771A 1984-02-10 1985-02-07 디스크 장치 KR890003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4011 1984-02-10
JP59024011A JPS60170078A (ja) 1984-02-10 1984-02-10 デイス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113A KR850006113A (ko) 1985-09-28
KR890003563B1 true KR890003563B1 (ko) 1989-09-23

Family

ID=12126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0771A KR890003563B1 (ko) 1984-02-10 1985-02-07 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83706A (ko)
EP (1) EP0152070B1 (ko)
JP (1) JPS60170078A (ko)
KR (1) KR890003563B1 (ko)
DE (1) DE358293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2200A (en) * 1988-02-04 1995-03-28 Conner Peripherals, Inc. Low-power hard disk drive system architecture
JPH0695427B2 (ja) * 1988-08-30 1994-11-24 株式会社東芝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リード/ライト駆動制御回路
JP2644553B2 (ja) * 1988-11-11 1997-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H04149858A (ja) * 1990-10-15 1992-05-22 Teac Corp ディスク装置
JP2629528B2 (ja) * 1992-08-21 1997-07-09 ティアック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装置
US5412809A (en) * 1992-11-12 1995-05-02 Mitsumi Electric Co., Ltd. Disk drive power control circuit and method
US5452277A (en) * 1993-12-30 1995-09-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aptive system for optimizing disk drive power consumption
JP2858542B2 (ja) 1994-06-03 1999-02-1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コンピュータ用ディスク・ドライブの電力消費を節減する方法及び装置
US5481733A (en) * 1994-06-15 1996-01-02 Panasonic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anaging the power distributed to a disk drive in a laptop computer
JPH08235761A (ja) * 1994-11-17 1996-09-13 Integral Peripherals Inc ディスク駆動装置における電力節減の方法
US5682273A (en) * 1995-06-30 1997-10-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k drive for portable computer with adaptive demand-driven power management
US5675567A (en) * 1995-09-08 1997-10-07 Imation Corp.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disk drive
US5954820A (en) * 1997-09-26 1999-09-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with adaptive demand-driven power management
JP2001035070A (ja) * 1999-07-14 2001-02-09 Mitsumi Electric Co Ltd フロッピーディスクドライブ制御装置およびステッピングモータ制御回路
JP2003115177A (ja) * 2001-10-02 2003-04-18 Mitsumi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ドライブ制御方法
EP3219738B1 (de) 2016-03-15 2020-04-29 Evonik Operations GmbH Herstellung von viskoelastischen polyurethansystemen unter einsatz von blockpolymeren mit verknüpften siloxanblöcken als zellöffner
US11790947B1 (en) 2022-05-03 2023-10-17 Seagate Technology Llc Idle power saving for actua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7619A (ko) * 1973-10-17 1975-06-06
US4005493A (en) * 1975-02-25 1977-01-25 Sycor, Inc. Method and means for moving recording heads in disc-type recorders
US4277732A (en) * 1979-08-03 1981-07-07 Graphtek, Inc. Low power stepping motor driver circuit and method
JPS5687237A (en) * 1979-12-14 1981-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or reproducing device
US4376293A (en) * 1979-12-27 1983-03-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ic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JPS56130864A (en) * 1980-03-18 1981-10-14 Victor Co Of Japan Ltd Reproduction device for disc shap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S56134357A (en) * 1980-03-22 1981-10-21 Canon Inc Driving control unit
US4383209A (en) * 1980-10-15 1983-05-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ntrol system for transducer positioning motor
US4395742A (en) * 1980-10-15 1983-07-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ome apparatus
US4459527A (en) * 1980-12-01 1984-07-10 Cubic Western Data Stepper motor control circuit
JPS57164473A (en) * 1981-03-31 1982-10-09 Fujitsu Ltd Magnetic disk device
US4458273A (en) * 1981-04-28 1984-07-03 Iomega Corporation Magnetic disk driv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S581856A (ja) * 1981-06-25 1983-01-07 Ricoh Co Ltd フロツピ−デイスクドライブ装置
JPS5829177A (ja) * 1981-08-12 1983-02-21 Toshiba Corp 磁気デイスク装置の電源供給制御回路
JPS58164062A (ja) * 1982-03-24 1983-09-28 Teac Co 磁気デイスク装置
JPS59116959A (ja) * 1982-12-23 1984-07-06 Canon Inc 記録又は再生装置
JPS59185073A (ja) * 1983-04-01 1984-10-20 Teac Co 磁気デイスク駆動装置
JPS59198562A (ja) * 1983-04-25 1984-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ロツピ−デイスク装置
JPS6061951A (ja) * 1983-09-14 1985-04-09 Teac Co デイスク駆動装置
JPS59104761A (ja) * 1983-11-08 1984-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ロツピイデイ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45262B2 (ko) 1990-10-08
KR850006113A (ko) 1985-09-28
JPS60170078A (ja) 1985-09-03
DE3582936D1 (de) 1991-07-04
EP0152070B1 (en) 1991-05-29
EP0152070A2 (en) 1985-08-21
US4783706A (en) 1988-11-08
EP0152070A3 (en) 198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563B1 (ko) 디스크 장치
KR890003564B1 (ko) 디스크장치
KR890003559B1 (ko) 디스크 구동장치
US4779260A (en) Recording or reproducing device
JPH0142071B2 (ko)
US5317241A (en) Rotary drive for a data carrier
JPH10164893A (ja) 記録装置用モータ駆動装置
EP0163947B1 (en) Stepping motor control apparatus
KR890003561B1 (ko) 디스크 장치
KR920001264B1 (ko)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KR890003562B1 (ko) 디스크장치
JPH0237021B2 (ko)
JPS58164062A (ja) 磁気デイスク装置
JPH0364951B2 (ko)
JPH0656688B2 (ja) ディスク装置
JPH0652610B2 (ja) ディスク装置
JPH0652615B2 (ja) ディスク装置
JPH0652614B2 (ja) ディスク装置
JPH06195862A (ja) ディスク装置
JPH0335745B2 (ko)
JPH0241830B2 (ko)
JP2822831B2 (ja) ステッピングモ−タ制御装置
JPS6363981B2 (ko)
JPS63113857A (ja) デイスクドライブ装置
JPS6120868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