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271B1 - 조립 부분품의 공급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 부분품의 공급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271B1
KR910007271B1 KR1019850009189A KR850009189A KR910007271B1 KR 910007271 B1 KR910007271 B1 KR 910007271B1 KR 1019850009189 A KR1019850009189 A KR 1019850009189A KR 850009189 A KR850009189 A KR 850009189A KR 910007271 B1 KR910007271 B1 KR 910007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assage
assembly part
assembly
tong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693A (ko
Inventor
스티히트 발터
Original Assignee
스티히트 발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히트 발터 filed Critical 스티히트 발터
Publication of KR860004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4Feeding the articles from hoppers to machines or 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 부분품의 공급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조립 부분품을 공급 및 인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중 분리 또는 인출장치를 약도로 도시한 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 부분품 공급 인출장치로서, 무더기로 공급되는 조립 부분품들을 가지런히 정돈하고, 따로따로 분리한 다음에 공작물 운반대 위에 배치된 공작물에 이를 조립하는 일련의 기계장치에 의하여 조립 부분품을 공급 또는 인출하는 장치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준비부위내에 있는 집게장치와 이러한 준비부위 내에서 조립 부분품에 병렬된 시험장치가 달려 있는 조립 부분품 공급 인출장치를 제4도의 (Ⅲ-Ⅲ)선으로 절단한 측면도.
제4도는 조립 부분품의 공급 인출장치를 제3도의 (Ⅳ-Ⅳ)선으로 절단한 평면도.
제5도는 흡입식 집게 삽입물이 달린 집게장치의 측면도.
제6도는 브래킷 암(bracket arm)이 제공되어 있는 집게장치가 달린 조립 부분품의 공급 인출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장치를 제6도의 (Ⅶ-Ⅶ)선에 따라 절단한 부분전면도.
제8도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장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치 2 : 조립 부분품
7 : 운반장치 9 : 인출 분리장치
17 : 기판(基板) 22 : 집게장치
23 : 활대(滑台) 25 : 공이
27 : 노즐 33 : 조립장치
49 : 조작장치 52 : 공작물
53 : 공작물 운반대 61 : 지지롤러
64 : 압축스프링 68 : 실린더 피스톤장치
71 : 케이스 75 : 끼워맞춤핀
76 : 톱니바퀴 77 : 홈
78 : 스프링 79 : 암나사
81 : 롤러축받이 87 : 회전실린더
92 : 천공 95 : 시험장치
103 : 인장(引張)장치 103 : 피스톤 막대
125 : 조임나사 126 : 자유회전장치
본 발명은 예정된 인출위치내에 공급되는 조립 부분품의 공급 또는 인출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립 부분품의 공급 및 인출방법과 장치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서, 공작물 공급장치, 조작장치 또는 조종장치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조립 부분품의 공급 인출장치(DE-OS 30 35 191에 의한)에는 서로 각(角)이 지게 직선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안내통로가 제공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잡는 도구 또는 장치를 3개의 입체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조작장치에 인접하여 있는 조립 부분품이 운반통에 실려서 선형운반장치를 거쳐 공급된 후 조립 부분품의 운반장치 평면과 수직으로 들어 올려지고 이와 같이 들어 올려진 위치에서 잡는 도구에 의하여 잡혀진 다음에 공작물 운반대 위에 놓여있는 공작물 위에 내려 놓여진다. 이러한 방법과 장치는 실제에 있어서 양호하다는 것이 실증되었다. 그러나, 이것으로서는 모든 경우에 만족스러운 해결을 보지 못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 및 장치로서, 조립 부분품의 공급 및 분리를 단순화시키고, 조립 부분품을 공급장치로부터 공작물의 조립위치까지 장해없이 쉽게 안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는 운반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조립 부분품을 분리위치 또는 인출위치로 운반한 다음에, 인출위치에 예비배치된 조립 부분품을 고정시키고, 인출할 조립 부분품을 그 안내된 위치에서 잡아 후속 조립 부분품의 운반방향에 따라 이 후속 조립 부분품과 분리시키고, 준비부위 또는 인도부위로 운반함으로써 이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각 조립 부분품을 그 다음에 오는 조립 부분품과 장해없이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조립 부분품이 그 안내된 위치에 잡혀있고, 그 위치에서 잡는 장치 등에 대향하여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후속 조립 부분품의 운동방향에 따라 이 후속 조립 부분품과 분리됨으로써 조립 부분품에 예각이나 돌기부 또는 기타 결함이 있는 경우에도, 인출자체는 방해를 받지 아니한다. 이러한 돌기부 등이 조립 부분품의 운반과정에 방해가 되는 경우에는 이 조립 부분품은 운반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방해가 생기기 전에 이미 제거되어 버린다. 그 외에도, 서로 인접하여 있는 조립 부분품들이 전기의 힘이나 점착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운반도중 분리될 조립 부분품은 고정되어 있는 인접한 조립 부분품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이 조립 부분품을 손상시킴이 없이 분리될 조립 부분품을 그 인접 조립 부분품으로부터 간단히 떼어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도 끌어내려는 조립 부분품을 잡아서 운반력, 분리력 또는 이탈력 등을 이용하여 이를 이동하게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적당한 과정에 의하여 조립 부분품의 운반력으로 이동시키는 다른 조립 부분품에 의하여 분리 또는 인출위치로 밀어내고, 이 조립 부분품의 운반방향으로 끌어낼 조립 부분품의 인접한 조립 부분품을 운반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고정시키고, 끌어낼 조립 부분품을 안내통로에 따라 인출위치까지 안내되는 영역내에서 집게장치 등으로 잡고, 이러한 잡는 도구를 이용하여 인출 준비부위로, 특히 인출부위에 대향하여 회전하거나 선회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해결방법에 의하면 조립 부분품을 인접한 조립 부분품에 의하여 인출위치로 밀어낼 수 있기 때문에 인출부위를 전술한 진동운동에 결부시켜서 또는 자유로이 지지할 수 있다. 이 해결방법의 또다른 장점은 인출할 조립 부분품을 안내통로를 거쳐 인출위치까지 안내하는 영역내에서 잡기 때문에, 조립 부분품을 인출위치 또는 집게장치내로 인도하거나 들여보내는 것이 방해받지 아니한다는 점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외에도, 조립 부분품을 끌어낼 때 조립 부분품이 잡히는 영역내에서 인출부위까지 원활하게 안내되기 때문에, 고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조립 부분품은 안내통로와 집게장치 사이에 놓여있는 중간운반로에 의하여 그 공급위치에 대향하여 일정한 회전위치 또는 선회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집게장치는 매우 짧은 행정(行程) 시간내에 준비부위내의 정확한 위치에 놓여있는 조립 부분품을 공작물 또는 공작물운반대 위에 내려놓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조립 부분품을 인출부위와 준비부위 사이에서 시험 또는 검사하고, 이러한 중간운반통로를 조립 부분품의 시험 또는 검사를 위하여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행정시간을 허비함이 없이 부정확하거나 잘못된 조립 부분품을 신속히 제거하고, 이러한 조립 부분품이 공작물이나 공작물운반대에 있는 조립위치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미 정돈된 조립 부분품을 운반장치의 영역내에 있는 인출부위 앞에 저장하여 두고, 조립 부분품을 운반장치의 이와 관계없는 영역내에서 미리 분리하여 정돈하여 놓으면, 검사과정중 잘못되거나 손상된 조립 부분품을 제거할 때 또다른 조립 부분품이 인출될 수 있게 준비되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조립 부분품을 분리 및 정돈하기 위한 안내통로를 조립 부분품이 저장된 영역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독자적으로 동작시키면 조립 부분품이 충분히 저장되어 있는 때에는 조립 부분품을 분리 및 정돈하기 위한 안내통로의 전방에 배치된 공급장치와 이러한 안내통로에 병렬된 진동구동장치 등도 저장영역내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또 다른 변형에 있어서, 조립 부분품을 정돈 또는 분리장치를 거쳐 진동작용에 의하여 운반하고, 독자적인 진동작용에 의하여 안내통로중 바로 다음의 영역내에 저장시키고, 인출위치에 인접하여 있는 조립 부분품을 진동속에 인동되는 이러한 조립 부분품에 의하여 다수의 안내통로 부분이 제공되어 있고, 특히 조립 부분품의 운반방향에 따라 서로 상대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 조립 부분품을 잡을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정지된 안내통로쪽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조절할 수 있는 안내통로 부분의 바로 앞에 배치된 조립 부분품을 마지막 조립 부분품이 잡혀서 인출되는 동안 계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운반력을 조립 부분품이 분리되어 정돈되고 안내통로의 영역 및 이러한 조립 부분품이 운반되어 저장되는 영역내의 여러가지 조건에 순응시킬 수 있다. 그외에도, 조립 부분품을 안내통로 부분으로 이동시켜서 이를 쉽게 잡을 수 있게 한다.
인출위치와 준비위치 사이에서 인출되는 조립 부분품을 원하는 인도위치로 회전 또는 선회시킬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예정된 위치내에 있는 조립 부분품을 준비부위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준비부위내에서 특정한 치수나 공차를 시험할 수 있다.
그러나, 집게측면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 집게장치를 인출부위에서 집게측면에 병렬된 2개의 멈춤부재 사이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집게측면을 개방시키고, 장치의 멈춤부재들이 중간위치에 있을 때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 유지시키고, 조립 부분품을 집게장치의 집게측면에 배치된 안내통로 부분에 공급하고, 후속 조립 부분품을 고정시킨 다음에, 집게측면을 폐쇄부위로 이동시켜서 조립 부분품을 잡게하고, 집게장치를 준비부위 또는 인도부위내에서 조절하는 것이 방법상으로 유리하다. 이에 의하여 완전히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최종위치만이 제공된 집게장치에 있어서도, 집게장치중 집게측면의 개구부 넓이를 중간부위내에 한정시킬 수 있고, 이러한 중간부위내에서 집게측면이 그 사이로 조립 부분품을 밀어넣을 수 있을만큼 폐쇄되게 하며, 이러한 조립 부분품이 집게측면을 통하여 안내되는 영역내에서 잡히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집게측면을 안내통로의 일부로서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조립 부분품의 운반장치, 하나씩 잇달아 운반되는 조립 부분품의 안내통로, 인출 또는 분리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인출 또는 분리장치에 안내통로의 단면모양에 흡사한 형상과 조립 부분품을 고정시키는 장치가 제공되어 있고, 인출부위내에는 인출 또는 분리장치상에 배치된 안내통로 부분이 운반방향에서 보아 전방에 배치된 안내통로의 안내통로 부분과 유사하게 합동으로 형성되거나 배치되고, 인출 또는 분리장치가 구동장치에 의하여 조립 부분품의 운반방향에 따라 전방에 배치된 안내통로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것 등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현저한 특징은 인출부위내에서 전방에 배치된 안내통로와 합동으로 형성되거나 배치된 안내통로 부분을 안내통로의 세로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고정장치와 결합시킴으로써 마지막 조립 부분품을 운반방향으로 끌어내여 재가공 단계에 공급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출 또는 분리장치중 인출 또는 인도(引渡)부위내에 또는 그 사이에 있는 준비부위내에 조립 부분품 또는 조립 부분품용의 여러가지 운반통로의 시험장치가 병렬되어 있다. 이러한 시험장치에 의하여 결함이 있거나 하자가 있는 불량제품을 만들어낼 부정확한 치수의 조립 부분품을 제거할 수 있다. 인출장치중 인출부위와 인도부위 사이의 중간운반로상에 준비부위를 제공함으로써 조립 부분품의 시험결과에 따라 이러한 여러가지 운반로를 재가공용, 손상된 부분의 제거용 또는 사후가공용 등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인출 또는 분리장치를 수개의 부분으로 형성하고, 그중 하나에는 고정된 안내통로 부분을 제공하는 반면에, 다른 하나에는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이동할 수 있는 안내통로 부분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인출 또는 분리장치를 전방에 배치되고, 진동구동장치에 의하여 진동하게 되는 이러한 안내통로와는 관계없이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이동하는 안내통로 부분 사이의 이동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다.
그외에도 분리장치 또는 인출장치를 진동기에 의하여 진동속에 이동하는 안내통로와 관계없이 지지하는 경우에는 조립 부분품의 이동을 더 쉽게 할 수 있다.
조절할 수 있는 안내통로 부분을 조립 부분품의 운반방향과 평행으로 뻗어있는 안내기둥(柱)상에서 전위(轉位)될 수 있게 안내되고,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활대안에 위치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가동 안내통로 부분의 조용하고 정확한 안내가 보장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또다른 간단한 구조에 있어서는 가동 안내통로 부분이 조립 부분품의 운반평면에 대하여는 수직으로, 운반방향에 대하여는 경사지게 뻗어있는 축 둘레를 선회할 수 있게 활대내에 놓여져 있고, 회전 또는 진동구동장치와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조립 부분품의 운반방향으로의 세로운동이 선회 또는 회전운동과 동시에 행하여지게 할 수 있다. 가동 안내통로 부분을 브래킷 암의 한쪽 끝부분에 배치하고, 그 다른 한쪽 끝부분은 회전 또는 선회구동장치와 연결시키면 조립부분품이 회전하거나 선회할 때 공간 소요를 적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출 또는 분리장치의 가동 안내통로 부분이 특히 서로 이동할 수 있는 집게측면이 제공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인출범위내에서 개방부위와 폐쇄부위 사이에 있는 중간부위로 이동할 수 있는 집게장치상에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가동 안내통로부분 자체를 동시에 집게장치로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외에도, 중간부위에 의하여 조립 부분품을 방해없이 원할하게 가동 안내통로 부분내로 들여보낼 수 있다.
그러나, 집게측면을 지지헤드내에 놓이게 하고, 이 지지헤드에 원통형 케이스를 접속시키고, 결합장치에 의하여 정지판 또는 인장장치와 회전할 수 없게 결합시키고, 특히 원통형 케이스의 지지헤드와 대향하는 끝부분에 예를들면, 톱니바퀴와 같은 구동기구 또는 조절할 수 있는 정지장치를 제공하면 더 유리하다. 이에 의하여 원통형 케이스의 간단한 정지의 이점과 회전을 저지하는 정지의 이점을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양집게측면 사이에 한측면에는 개방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프링 장치를, 다른 측면에는 폐쇄부위 또는 개방부위를 고정시키고, 특히 조절할 수 있는 정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양집게측면에 그 운동방향으로 배열된 폐쇄구동장치를 병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구동장치는 조립 부분품이 집게측면에 의하여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만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집게측면을 조립 부분품의 운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집게측면에 그 개방운동을 인출부위내에 한정시키고, 특히 조절할 수 있는 멈추개를 병렬한다면 이에 의하여 제어를 위한 추가비용없이 집게측면의 중간부위를 실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집게장치의 집게측면에 집게삽입용 정지부재를 제공하고, 서로 대향하여 평행으로 뻗어있는 축. 둘레를 선회할 수 있게 설치하고, 정지부재에 대향하여 있는 집게측면의 끝부분에 끼워맞춤 핀을 병렬시키고, 이 끼워맞춤 핀을 예를들면, 실린더 피스톤장치와 같은 폐쇄구동장치와 결합시킴으로써 여러가지의 조립 부분품용 집게장치를 어느 경우에나 응용할 수 있고, 집게를 각 조립 부분품이나 안내통로에 알맞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그러나, 구동도구(예 : 톱니바퀴)를 또다른 구동도구(예 : 회전실린더)의 톱니바퀴와 맞물리게 하고, 이 회전실린더를 받침판위에 배치하고, 이 받침판을 원통형 케이스에 놓여있는 받침블록에 고정시킴으로써 집게장치와 회전실린더 사이의 직접적 결합을 실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받침블록상에 집게장치용 안내도구에 병렬된 정지블록이 제공되어 있어서, 받침블록이 정지요소를 지지하고, 선회작용의 종단위치를 정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있다. 그러나, 집게측면, 집게삽입 부분 또는 조절할 수 있는 정지블록 등에 기점압(岐點壓) 센서장치를 병렬시킴으로써 집게장치의 각 위치를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와는 관계없이 조립 부분품의 존재도 제어할 수 있다.
그외에도, 인장장치에 집게장치의 원통형 케이스를 수용하고 개구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인장장치쪽으로 향한 집게장치중 지지헤드의 전면의 단면과 거의 동일한 단면형을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정지판을 지지헤드의 외부치수와 거의 같은 이동부재와 중간접속을 시켜서 원통형 케이스에 접속시키고, 이러한 원통형 케이스를 집게장치의 운통형 케이스에 일치시키고, 집게장치를 이 원통형 케이스를 수용하는 지지물체내에 놓이게 하고, 이와 같은 지지물체의 외부치수를 집게장치를 수용하는 받침블록에 일치시키고, 이 받침블록이 받침판에 병렬된 회전구동장치를 위한 받침판을 지지하게 하고, 이에 의하여 다수의 유사한 구성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조립 부분품을 안내통로에서 인도 위치까지 중간운반하는 이러한 통로상에 여러가지 다른 운동이 일어날 수 있게 한다.
끝으로 인장장치 또는 지지물이나 받침블록의 전면을 도관을 지지하고 조립판을 수용할 수 있게 형성하고, 지지물이나 받침블록을 단일천공이 뚫려있는 받침판 위에 지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천공을 조작장치의 고정판에 병렬시킴으로써 구동장치, 센서기구 등의 공급판을 쉽게 배열할 수 있고, 집게장치가 회전운동, 선회운동 또는 운반운동이 진행되는 동안 이러한 도관으로 인하여 방해를 받지 아니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조립 부분품(2 내지 6)을 공급 또는 인출하고 장치(1)를 도시한 것이다. 조립 부분품(2-6)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립 부분품들에는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간단히 설명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참조숫자를 붙였다. 조립 부분품(2-6)을 공급 또는 인출하고 이 장치(1)에는 조립 부분품(2-6)용 안내통로가 있는 운반장치(7)가 포함되어 있다. 운반장치(7)의 다음에는 운반방향(화살표 10)으로 인출 또는 분리장치(9)가 배치되어 있다. 조립 부분품(2-6)의 운반방향(화살표 10)으로의 운반은 안내통로(8)의 영역내에서, 도면에 약도로 표시되고, 진동발생기로서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는 진동구동장치(11)에 의하여 실시된다.
안내통로(8)상에 있는 조립 부분품(6)에는 측면안내 및 고도안내를 위한 안내통로 부분(12)이 병렬되어 있고, 조립 부분품(6)의 상면에는 추가로 안내통로 부분(13)이 병렬되어 있으며, 이 안내통로 부분(13)은 조립 부분품(6)의 안내통로 부분(12)의 수직안내벽에 따라 윗쪽으로 솟구쳐서 안내통로의 밖으로 튀겨나가거나 서로 겹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인출 또는 분리장치(9)에는 고정된 안내통로 부분(14, 15)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안내통로 부분의 기능은 안내통로 부분(12, 13)의 기능과 같으며, 그외에 작용방법은 안내통로 부분(12)과 동일하고, 운반방향(화살표 10)에 따라 안내통로 부분(14)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다른 안내통로 부분(16)이 제공되어 있다. 안내통로 부분 (14, 15)은 기판(17)위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 기판은 진동구동장치(11)도 지지한다. 안내통로 부분(14, 15)에 의하여 안내되는 조립 부분품(5)은 안내통로(8)의 영역내에서 진동공급운동에 따르는 조립 부분품(6)에 의하여 전진하게 되며, 이러한 진동송출운동은 정지되어 있는 안내통로 부분(14, 15)상에 있는 조립 부분품(15)이 조립 부분품(4)의 자리를 차지할 때까지 이 조립 부분품(5)을 전방으로 밀어낸다. 인출 또는 분리장치(9)가 도면에 표시된 위치에 있을 때, 조립 부분품(4)은 조립 부분품을 고정시키는 장치(18)에 의하여 운반방향(화살표 10)에 따라 전진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가동안내통로 부분(16)은 운반방향(화살표 10)에 대하여 평행으로 뻗어있는 안내기둥(19)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안내통로 부분(16)은 집게장치(22)의 서로 대향하여 움직이는 집게측면(21)의 집게삽입 부분(20)내에 배치되어 있다. 집게장치(22)는 안내기둥 (19)에 따라서 조립 부분품(2-6)의 운동방향(화살표 10)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활대(23)내에 지지되어 있다. 활대(23)는 구동장치에 의하여 실선으로 표시된 조립 부분품(2)용 인출부위로부터 끌어내어지고, 조립 부분품(2)은 예를들면 조작장치의 집게장치(24)에 의하여 인출되어 공작물위에 조립될 수 있고, 공작물내에서는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이동되고, 이 위치내에서는 안내통로 부분(16)이 안내통로 부분(14)고 동열(同列)로 배치된다.
집게장치(22)는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게 되고, 이 위치에서 가동안내통로 부분(16)이 고정되어 있는 안내통로 부분(14)과 동열로 배치되어 있어서, 조립 부분품(4)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18)의 공이(25)가 위로 들어올려지기 때문에, 이 조립 부분품(4)은 진동구동장치(11)의 추진력이나 공급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조립 부분품(6)에 의하여 인출위치로 운반된 다음에, 실선으로 표시된 조립 부분품(3)의 위치에 있게 된다.
조립 부분품의 추진운동의 크기는 예를 들면, 안내통로 부분(15)상에 배치할 수 있는 멈추개(26)에 의하여 한정된다. 집게장치(22)의 인출부위내에 있는 집게측면(21) 또는 집게삽입 부분(20)의 위치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집게삽입 부분(20)은 근소하게 개방된 위치내에 있기 때문에, 조립 부분품은 그 뒤에 따라오는 조립 부분품(6)의 작용에 의하여 장치중 멈추개(26)까지 방해없이 이동될 수 있다. 조립 부분품(3)의 인출부위에는 예를들면, 안내통로 부분(15)내에는 노즐이 배치되어 있고, 이 노즐은 도관(28)과 연결되어 있다. 기점압 센서장치에 의하여 조립 부분품(3)이 인출위치에 있는가의 여부를 확인하고, 집게측면(21)을 서로 연속하여 움직여서 조립 부분품(3)을 잡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들면 2개의 집게삽입 부분(20)중 적어도 하나에 노즐(27)을 배치하고, 이 노즐로 하여금 조립 부분품(3 또는 2)이 틀림없이 잡혀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점압 센서장치와도 협동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집게삽입 부분(20)의 위치는 점선으로 표시된 집게장치(22)의 인출부위와 실선으로 표시된 인도부위내에 있다. 조립 부분품(2)이 후속집게장치(24)에 의하여 잡히게 되면, 집게삽입물(20) 또는 집게측면(21)은 인출부위중 점선위치내에서 서로 떨어져 움직이고, 조립 부분품(2)을 그 조립 또는 저장위치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집게장치(22)의 인출부위중 집게삽입 부분(20)의 선 및 점으로 표시된 위치들 사이의 거리(29)와 집게장치(22)의 실선으로 표시된 인도부위중 집게삽입 부분(20)의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와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 사이의 거리(30)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집게삽입 부분(20)의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의 거리(30)는 인출부위내에 표시된 집게삽입 부분(20)의 중간위치와 조립 부분품(2-6)에 인접한 위치 사이의 거리(29)보다 더 크다. 이와 같이 집게삽입 부분(20) 또는 집게측면(21) 사이의 개방폭이 다르게 제공되어 있는 것은 예를들면, 조립 부분품(2)의 인출이 후속집게장치(24)에 의하여 방해를 받지 아니하게 하는 반면에 집게장치(22)의 인출부위(점선으로 표시된부위)에서는 조립 부분품(2-6)이 방해없이 안내통로 부분(16)내로 들어달 수 있을만큼 집게삽입 부분(20)이 넓게 개방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안내통로 부분(16)이 되도록 가깝게 인접하여 있게하고, 조립 부분품(2-6)이 세로뿐 아니라 가로로도 안내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이것은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집게측면(21), 집게 또는 집게삽입 부분(20)의 중간위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전술한 인출 또는 분리장치(9)를 이용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 부분품(2-6)은 진동구동장치(11)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진동운반운동에 의하여 안내통로(8)를 따라 인출 또는 분리장치의 방향으로 운반된다. 이때 조립 부분품(2-6)은 조립 부분품(6)에서 가하여지는 공급력에 의하여 정지되어있는 안내통로 부분(14, 16)상에서 전방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 시점에서 집게장치(22)는 안내통로 부분(16)이 안내통로 부분(14)과 동열로 되는 인출부위(점선으로 표시됨)내에 있다. 안내통로 부분(14 또는 16)의 서로 평행으로 대향하여 있는 수직평면에는 조립 부분품(2-6)의 길이(32)보다 더 긴 간격(31)이 제공되어 있다. 즉, 집게측면(21) 또는 집게삽입 부분(20)은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 있게 된다. 조립 부분품(2)은 안내통로부분(14, 16)의 영역내에서는 진동에 의하여 이동되는 후속조립 부분품(6)의 작용에 의하여 조립 부분품(3)이 멈추개(26)에 도달할 때까지 앞으로 더 밀려간다. 조립 부분품(3)이 노즐(27)에 의하여 기점압 센서장치 위에 고정되어 있으면 집게삽입물(20) 또는 집게측면(21)이 그 폐쇄위치로 이동되어 조립 부분품(3)을 잡게 된다. 이와 동시에 후속조립 부분품(4)을 고정시키는 장치(18)의 공이(25)가 밖으로 나와서 조립 부분품(4)을 누르기 때문에, 이 조립 부분품은 안내통로부분(14, 15)에 대하여 그 위치에 고정된다.
안내통로 부분(15)은 도면에서 명백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면에서 조립 부분품(4)이 있는 영역을 넘어서 집게삽입물(20)의 인출부위내에까지 뻗어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이 영역내에 있는 조립 부분품(3)에는 고정되어 있는 안내통로 부분(14)의 끝을 넘어서 돌기한 하부 안내통로 부분을 제공할 수 있고, 이 안내통로 부분은 예를들면, 진동기계가 심하게 진동하거나 작동할 때 또는 다른 주위의 영향으로 인하여 조립 부분품(3)이 아래로 떨어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립 부분품(3)이 도면에서 위치하는 자리에서 집게삽입 부분(20) 사이로 아래로부터 지지된다. 도면에서는 더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집게삽입 부분(20)이 또는 집게장치(22)를 점선으로 표시하였으며, 도면에서 조립 부분품(3)이 있는 위치에는 집게삽입 부분(20)이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을 때 한개의 조립 부분품만이 들어갈 수 있다. 안내통로 부분(15)을 안내통로 부분(14)의 끝을 넘어서 안내통로 부분(16)쪽으로 연장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조리 부분품의 아래쪽에 추가안내통로 부분품을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있는 조립 부분품만이 집게장치(22)내로 들어오게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조립 부분품(3)을 집게장치(22)의 한수단, 일반적으로는 활대(23)에 의하여 안내기둥(19)에 따라 운반방향(화살표 10)으로 조립 부분품(4)으로부터 떼어서, 예를들면 제1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위치에서는 조립 부분품의 치수를 검사하거나, 뒤에 배치된 조작장치의 집게장치(24)에 의하여 조립 부분품(2)을 잡아서 조립위치 또는 저장위치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와 같은 방법의 장점은 무엇보다도 인출위치내에 있는 조립 부분품의 인출은 어떤 운동에 의하여 운반방향(화살표 10)으로 행하여지고, 인출위치내에 있는 조립 부분품(3)의 방향으로 돌출한 조립 부분품(4)의 돌기부는 이러한 인출운동을 방해할 수 없기 때문에, 조립 부분품(3 또는 2)의 인출이 예를들면 후속조립 부분품 넘어로 돌출한 돌기부에 의하여 방해받지 아니한다는 점이다. 이와 동시에, 인출위치에서 끌려나와 인도위치로 이동되는 조립 부분품(2 또는 3)을 잡아서 그 위치를 집게장치(22)와 대향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예를들면 후속조립 부분품(4)이 기름찌끼, 접착 또는 전자력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러한 조립 부분품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이로 인하여 조립 부분품이 변경되거나 떨어지지 아니한다.
제2도는 완전자동조립기계(33)의 일부와 조립 부분품(2)의 공급 및 인출장치(1)를 도시한 것이다. 조립 부분품(2)의 인출 및 공급장치(6)에는 벙커속에 무질서하게 들어있는 다량의 조립 부분품(2)으로부터 일부만을 인출하여 다음에 배치된 운반장치(7)에 공급하는 운반장치(34)가 포함되어 있다. 이 운반장치(7)에는 정돈 또는 분리장치(36)를 이용하여 조립 부분품(2)을 일렬로 정돈시킴으로써 모든 조립 부분품(2)이 예정된 위치에 놓이게 되는 영역(35)이 포함되어 있다. 한 영역(37)내에는 여기에 운반된 조립 부분품(2)이 저장되고, 여기에는 센서기구(38,39)가 안내통로(8)에 따라 제공되어 있고, 운반장치(7)의 영역(37)내의 최저 충전고와 최대충전고(充塡高)를 확인한다. 운반장치(7)의 영역(37)이 센서기구(39)에 이르기까지 조립 부분품(2-6)으로 충전된 경우에는 센서기구(39)에 의하여 운반장치(34)에 의한 조립 부분품의 추가운반과 운반장치(7)의 영역(35)내에서의 조립 부분품(2)의 정돈 또는 분리를 중지시킬 수 있다. 센서기구(38)에 의하여 제어되는 최저충전고가 미달된 경우에는 추가조립 부분품(2)이 원하는 위치로 운반될 수 있도록 진술한 장치를 다시 접속시킬 수 있다. 운반장치(7)의 영역(35, 37)은 서로 의존됨이 없이 진동구동장치(11)에 의하여 기판(17)위에 지지된다. 운반장치(7)의 영역(37)의 진동구동장치(11)도 지지하는 기판(17)위에는 인출 또는 분리장치(40)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인출 분리장치는 직접 기판(17)위에 지지되고, 고정안내통로 부분(41)과 가동안내통로 부분(4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안내통로 부분(42)은 집게장치(43)상에 배치되어 있다. 집게장치(43)는 활대(44)내에서 회전구동장치(45)에 의하여 집게장치(43)의 종축(46)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활대는 구동장치(48)에 의하여 안내기둥(47)에 따라 조립 부분품(2)의 운반방향(화살표 10)으로 선회할 수 있고, 안내통로 부분(41, 42)이 동열로 되는 점선으로 표시된 부위로부터 집게장치(43)의 실선으로 표시된 부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집게장치(43)는 회전구동장치에 의하여 종축(46) 둘레를 여러가지 각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집게장치(43)내에 있는 조립 부분품(2)은 인도부위에 있는 집게장치(43)로부터 예를들면, 조작장치(49)의 일부인 또다른 집게장치(24)에 의하여 끌어낼 수 있다. 조작장치(49)에 의하여 끌어낼 수 있다. 조작장치(49)에 의하여 안내기둥(50, 51)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서로 수직되는 축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러한 집게장치(24)를 이용하여 조립 부분품(2)을 공작물(52)위에 내려놓거나 조립할 수 있다. 공작물(52) 자체는 롤러 구동장치(55)에 의하여 안내장치(54)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작물운반대(53)상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공작물운반대(53)를 조작장치(49)의 영역내에 정지 및 유지시키기 위하여 분리장치(56)가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기계대로 구성된 조립기계(33)의 기계대상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장치(54)와 롤러구동장치(55)는 동 발명인의 DE-OS 33 04 091, DE-OS 34 11 452 및 DE-OS 27 56 422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집게장치(43, 24)는 이미 간단한 약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동일한 부분이나 구성부품들로 구성된 복잡한 조립기계용으로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제3도는 인출 또는 분리장치(40)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집게장치(43)는 인출위치에 대하여 90°선회한 인도부위에 있다.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집게측면(57)은 지지헤드(59)내에 지지되어 있는 서로 평행으로 뻗은 축(58) 둘레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조립 부분품(2)을 잡거나 정지시키기 위하여 집게측면(57)에는 집게삽입 부분(60)이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집게삽입 부분의 형태는 조립 부분품(2)의 여러가지 외형이나, 이보다 앞에 배치된 안내통로(8)의 구조에 적합하게 되어있다. 집게삽입 부분(60)에 대향하여 있는 집게측면(57)의 종단영역내에는 지지롤러(61)가 배치되어 있고, 이 지지롤러는 집게측면(57)내에 유지되는 회전축(62)상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축(58)과 집게삽입 부분(60) 사이에는 압축스프링(64)이 포함된 스프링장치(63)가 배치되어 있다. 집게측면(57)의 이러한 압축스프링(64)의 작용에 의하여 지지축(65)의 작용에 맞서서 점선으로 표시한 개방부위쪽으로 눌리게 된다. 이제 조립 부분품(2)을 잡거나, 정지시키면 지지축(67)을 구상(球狀) 안내장치(66)내에서 예를들면, 실린더 피스톤장치(68)와 같은 폐쇄구동장치(67)에 의하여 집게측면(57)쪽으로 밀어낸다. 2개의 지지롤러(61)는 지지축(65)의 끝부분에 제공된 경사면(69)-특히 집게측면(57)쪽으로 향하여 있는 지지축(65)의 끝은 원추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에 의하여 공급방향(화살표 70)에 대하여 경사지게 따로따로 눌리고, 집게삽입 부분(60)이 있는 집게측면(57)은 압축스프링(64)의 작용에 의하여 실선으로 표시된 부위로 함께 눌리기 때문에, 조립 부분품(2)을 잡게 된다.
지지축(65)용 구상안내장치(66)는 지지헤드(59)에 접속된 원통형 케이스(71)내에 고정되어 있다. 2개의 구상안내장치(66)는 거리케이스에 의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 있으며, 원통형 케이스(71)의 내부 천공내에서는 안전링에 의하여 세로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원통형 케이스(71)쪽으로 향하여 있는 지지헤드(59)의 전면에는 멈추개(73)가 달린 정지판(72)이 병렬되어 있는데, 그 작용에 관하여는 제4도에 의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정지판(72)은 예를들면, 끼워맘춤 핀(75)과 같은 결합장치(74)에 의하여 지지헤드(59)와 회전하지 못하게 결합되어 있다.
원통형 케이스(71)는 지지헤드(59)와 반대방향을 향한 끝부분이 구동장치(예 : 톱니바퀴 76)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벨트바퀴 또는 톱니벨트바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원통형 케이스(71)내에는 결합부재로서 홈(77)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홈에는 톱니바퀴(76)과 원통형 케이스(71) 사이를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결합하기 위하여 스프링(78)이 삽입되어 있다. 톱니바퀴(76)를 원통형 케이스의 세로방향(화살표 70)으로 위치하게 하는 것은 원통형 케이스의 외측나사(80)위에 지지되어 있는 암나사(79)에 의하여 행한다. 이와 동시에, 롤러축받이(81)의 내부링은 톱니바퀴(76)에 의하여 제자리에 위치하고, 이 롤러축받이는 거리케이스에 의하여 정지판(72)상에 지지되어 있고 또다른 롤러축받이(81)의 내부링은 원통형 케이스(71)상의 제자리에 위치하게 한다. 롤러축받이(81)의 외부링은 받침블록(82)내에 지지되어 있고, 이 받침블록(82)은 안내기둥(47)에 따라 안내통로(8)의 세로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는 활대(44)상에 고정되어 있다.
활대(44)를 안내기둥(47)에 따라 밀어내기 위하여 구동장치(48)가 활대(44)와 결합되어 있다. 집게장치(43)의 인도부위는 멈추개(83)에 의하여, 그 인출부위는 안내기둥(47)의 영역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고, 활대(44)에 병렬되어 있는 멈추개(84)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원통형 케이스(71) 또는 지지헤드(59)와 조립 부분품(2)을 잡고 있는 집게측면(57)을 점선으로 표시된 인출부위로부터 안내통로(8)의 영역으로 또는 인출 또는 분리장치(40)의 고정된 안내통로 부분(41)을 실선으로 표시된 인도부위로 선회시키기 위하여 톱니바퀴(76)가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전실린더(87)로 형성된 회전구동장치(86)인 또다른 톱니바퀴(85)와 맞물려 있다. 회전실린더(87)는 받침블록(82)에 지지되어 있는 받침판(88)상에 지지되어 있다.
제4도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받침블록(82)과 활대(44)는 일체적으로 이동되며, 구상안내장치(89)에 의하여 서로 평행으로 뻗어있는 2개의 안내기둥(47)에 안내된다. 받침블록(82)상에는 조절할 수 있는 정지블록(90, 91)이 배치되어 있다. 정지블록(90, 91)에는 멈추개면으로 통하는 천공(92)이 제공되어 있다. 정지블록(90)에는 원통형 케이스(71)의 회전부위를 고정되어 있는 안내통로 부분(41)쪽으로 향한 종단 부위내로 확정시키기 위하여 멈추개(93)가 병렬되어 있고, 정지블록(91)에는 멈추개(73)가 병렬되어 있다.
이러한 멈추개(73, 93)를 정지판(72)위에 배열시킴으로써 원통형 케이스의 회전각을 90°범위 안에서 조정하게 된다. 멈추개(73 또는 93)가 정지블록(90 또는 91)중 하나에 인접하여 있으면, 천공(92)과 그 다음에 배치되어 있는 기점압 센서장치에 의하여 집게장치(43)의 그때 그때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이 도면에 의하여 축(58)이 지지헤드(59) 또는 집게측면(57)내에 들어있음을 명백히 알 수 있다. 그외에도, 지지축(65)이 지지롤러(61)쪽으로 향하여 있는 종단영역내에 달개지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명백히 알 수 있다.
고정안내통로 부분(41)쪽으로 향한 멈추개(94), 즉 예를들면 조절하 수 있게 지지되고, 역암나사에 의하여 고정되고 내부천공이 뚫린 나사핀으로 형성된 멈추개는 지지축(65)이 뒤로 물러날 때 집게측면(57) 또는 집게삽입 부분(60)을 개방부위와 폐쇄부위 사이에 있는 중간부위내에 멈추게 하는데 이용된다. 여기에 있어서, 그 위에 안내통로 부분(42)이 배치되어 있는 집게삽입 부분(60)에는 조립 부분품(2)을 잡을 수 있는 치수보다 약간 큰 간격이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이 조립 부분품(2)은 후속조립 부분품에 의하여 방해를 받지 아니하고 집게장치(43)내로 밀려들어갈 수 있다. 집게측면(57)을 멈추개(94)에 인접시키는 것은 기점압 센서장치에 의하여 멈추개내에 제공된 내부천공을 거쳐 제어할 수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게장치(43)의 인출영역 또는 인출부위와 인도부위 사이의 준비부위내에는 시험장치(95)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시험장치(95)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97)의 크기를 조절하는 시험침(96)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시험침(96)에는 천공(98)이 제공되어 있고, 기점압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이 천공을 거쳐 시험침(96)이 천공(97)속에 꼭 들어맞았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천공(97)의 직경이 너무 작게 제공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험침(96)이 이 천공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이에 따라 장애신호가 인출 또는 분리장치에 발산된다. 천공(97)의 직경이 너무 크게 제공되어 있는 경우에도, 시험침(96)과 천공(97) 사이에서 기점압이 생기지 아니하기 때문에 동일한 현상이 일어난다. 이와 같은 장애신호가 발생한 때에는 결함있는 조립 부분품은 불량품 운반로에 공급되고, 인출부위에 있는 집게장치가 안내통로(8)의 영역으로 되돌아와서 또다른 조립 부분품을 잡게된다. 이러한 반복운동 과정에 의하여 조립 부분품을 후속집게장치의 영역내로 질서있게 신속히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완전자동식 조립기계에서의 조립과정이 중단되지 아니한다.
제5도는 집게장치(43)가 집게측면(57)에 갈음하여 흡입식 집게삽입 부분(99)을 제공하고, 그안에 안내통로 부분(42)을 배치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안내통로 부분(42)내로 안내되는 조립 부분품(2)은 도관(100)을 거쳐 발생되는 진공에 의하여 잡혀져서 집게장치(43)상에 있는 그 위치에 유지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지지축(65)에 갈음하여 피스톤막대로 흡입식 집게삽입 부분(99)을 높이 들어올리거나, 조절할 수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인출 또는 분리장치(101)에 병렬된 집게장치(102)의 배열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집게장치(102)는 제3도에 도시한 집게장치(43)와 마찬가지로 원통형 케이스(71)와 그안에 집게측면(57)이 지지되어 있는 지지헤드(59)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3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숫자를 사용하였다. 집게측면(57)은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지지축(65)으로 작동시킨다. 집게측면(57)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폐쇄구동장치(67)을 이용한다. 그러나, 집게측면(57)내에 삽입되어 있는 집게삽입 부분(60)은 조립 부분품(2)용의 고정안내통로 부분(42)이 원통형 케이스(71)의 종축에 대하여 측면으로 이동되도록 작동된다.
원통형 케이스(71)는 인장장치(103)내에 고정되어 있고, 이 인자장치에는 원통형 케이스(71)의 수용개구부에 대하여 수직되는 방향으로 외부규격이 지지헤드(59)에 일치하는 이행부재(104) 아래에 원통형 케이스(71)와 치수가 같은 원통형 케이스(105)가 제공되어 있다. 이 원통형 케이스(105)는 인장장치(103)내에 들어있고, 이 인장장치도 이행부재(104)에 의하여 원통형 케이스(105)-제7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원통형 케이스(105)는 롤러축받이(107)에 의하여 지지물(106)내에 지지되어 있다. 롤러축받이(107)의 내부링은 톱니바퀴(108)에 의하여 그 위치가 정하여지고, 이 톱니바퀴는 원통형 케이스내에 배치된 홈과 스프링에 의하여 이 스프링과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암나사(109)에 의하여 원통형 케이스(105)의 세로방향으로 그 위치가 정하여진다. 그 다음에 또다른 롤러축받이(107)의 내부링은 거리 케이스에 의하여 지지되고, 이 롤러축받이는 또다른 중간부재에 의하여 정지판(110)상에 지지되며, 이 정지판은 제3도의 실시예에 상응하는 결합장치(74)에 의하여 인장장치(103)와 회전할 수 있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 정지판상에 배치된 멈추개(111)에는 정지블록(112, 113)이 병렬되어 있고, 이 정지블록은 이를 위하여 지지물(106)에 제공되어 있는 홈속에 배치되어 있다. 톱니바퀴(108)는 제6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톱니바퀴(114)와 맞물려 있고, 이 톱니바퀴(114)는 예를들면, 회전실린더(116)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 진동구동장치(115)와 연결된다. 이러한 진동구동장치(115)는 지지물(106)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판(117)상에 배치되어 있다. 집게장치(102)는 조립판(118)에 의하여 제2도에 도시한 활대(44)와 동일한 활대(119)상에서 안내기둥(47)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안내통로 부분(42)은 집게측면(57)을 지지하고 있는 원통형 케이스(71)의 세로 중앙축에 대한 편심배열과 톱니바퀴(108)를 지지하는 원통형 케이스(105)에 대한 그 편심배열에 의하여 제7도 및 제8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활대(119)가 안내기둥(47)에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선회구동장치(115)에 의하여 선회하는 때에는 집게가 인출 또는 분리장치(101)의 고정안내통로 부분(41)으로부터 근소한 거리만 떨어지게 되고, 측면뿐 아니라 상·하도도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험침 또는 거리 게이지가 제공되어 있는 시험장치(120, 121)에 의하여 시험장치(121)상의 시험침을 통과하는 공작물의 두께와 전후로 연속하여 배치된 천공의 적합성 또는 동열배열을 시험장치(120)의 시험침으로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90°정도로 선회함으로써 조립 부분품(2)을 시험장치(120, 121)에 병렬된 준비부위로부터 인출위치로 선회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한 집게장치(24)와 같은 후속집게장치에 의하여 조립 부분품을 끌어내어 또다른 가공단계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집게삽입 부분 또는 집게삽입 부분이 달린 집게장치의 배열은 거의 동일한 부분들로 이루어지나 약간 다른 부분들로도 구성할 수 있다.
집게장치(102)에는 폐쇄구동장치(67)의 피스톤막대(123)와 결합되어 있는 수용부재내에 지지축(122)을 끼워넣어서, 수용부재가 이것과 신속히 결합하여 지지축(122)의 세로방향으로 균일한 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폐쇄구동장치(67)를 형성하는 실린더 피스톤장치(68)는 종모양의 정지부재(124)에 의하여 원통형 케이스(71)의 외측나사에 맞물리게 되고, 조임나사(125)에 의하여 죄여진다.원통형 케이스(71)상에서의 종이모양으로 된 정지부재(124)의 위치 또는 고정부위에 따라 폐쇄구동장치(67)의 행정(行程)과 개방된 위치에서의 집게삽입 부분(60)의 개방폭을 미리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3도 및 제4도에 의한 집게장치(43)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축(65)이 자유회전장치(126)에 의하여 폐쇄구동장치(67)의 피스톤막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집게장치(43)의 회전운동이 폐쇄구동장치(67)의 피스톤막대와 피스톤에 전달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범위안에서 전술한 집게장치, 집게측면, 집게삽입 부분 등과 이와 관련하여 설명한 회전구동장치 및 선회구동장치에 갈음하여 임의로 형성한 조립 부분품용 집게장치 또는 지지장치를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실시하는데 응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그외에도, 평행집게, 흡입식 집게 또는 기타 조립 부분품에 대하여 수력 또는 전기력에 의한 지지력을 가할 수 있는 집게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도 도시한 진동구동장치가 달린 안내통로와 다른 운반장치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예를들면, 컨베이이 벨트를 이용하여 운반한 조립 부분품들을 인출부위에 도달하기 전에 축적구간내에 끌어모은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따라 이를 분리하는데 응용할 수 있다.
각 구동장치에 압축공기 또는 진공을 지장없이 공급하고 제어기구의 도관접속 및 집게장치의 기타 시스템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이행부재(104)로부터 반대쪽에 있는 인장장치(103)의 측면과 지지물(106)상에 전선용 또는 압축공기도관용 고정부재의 프레임의 치수에 따라 프레임내에 배치된 천공(129)이 제공되어 있는 조립판(127, 128)이 배치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관(130)은 회전부재와 고정부재 사이로 이러한 조립판(127, 128)에 의하여 이 도관(130)이 여러가지 가동기계부분의 회전에 따라 사이에 끼이거나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그외에도, 이에 의하여 도관의 배열으 간결하게 함으로써 손상된 부분을 신속히 수리하고, 관리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Claims (23)

  1. 인출부위중 예정된 위치로 공급되는 조립 부분품을 공급 또는 인출하는 방법으로서, 운반력에 의하여 이동되는 조립 부분품(2-6)을 분리 또는 인출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인출위치 앞에 배치된 조립 부분품(4)을 고정시키고, 인출할 조립 부분품(3)을 순서에 따라 안내된 위치에서 잡은 다음에, 후속조립 부분품의 운반방향으로 이 후속조립 부분품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준비부위 또는 인도부위로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조립 부분품(2-6)이 운반력으로 이동되는 또다른 조립 부분품에 의하여 분리 또는 인출부위내로 밀려나고, 조립 부분품의 운반방향과 반대방향을 인출할 조립 부분품(3)에 바로 인접하여 있는 조립 부분품(4)을 운반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고, 인출할 조립부분품(3)을 안내통로(8)를 따라 인출부위로 안내되는 부위내에서 잡고, 특히 인출하기 위한 준비부위내에서 집게장치(24)에 의하여 인출부위쪽으로 회전 또는 선회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립 부분품(2, 3)을 인출부위 또는 준비부위에서 검사 또는 시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이미 정돈된 조립 부분품(2-6)을 인출부위 앞에서 운반방향에 있는 한 영역내에 저장하고, 이 조립 부분품(2-6)을 이러한 영역과 관계없는 운반장치(7)의 한 영역내에서 먼저 분리 및 정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조립 부분품(2-6)을 진동작용에 의하여 정돈 또는 분리장치(36)를 거쳐 운반하고, 독립적인 진동작용을 하는 안내통로(8)의 다음에 배치된 영역내에 저장하고, 이와 같이 진동속에 이동되는 조립 부분품(6)에 의하여 인출부위 바로 다음에 놓여있는 조립 부분품(3-5)을 조립 부분품(2-6)의 운반방향(10)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조립 부분품들을 잡을 수 있게 형성된 다수의 안내통로 부분(14, 15, 16, 41, 42)이 제공되어 있는 정지된 안내통로로 밀어내고, 가동안내통로 부분(16, 42)의 바로 앞에 배치된 조립 부분품(4)과 최종조립 부분품(3)을 잡아서 인출하는 동안 고정시켜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인출부위와 준비부위 사이에서 인출된 조립 부분품(2, 3)을 원하는 인도부위로 회전 또는 선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집게장치(22, 43, 102)를 집게측면(21, 57)이 폐쇄부위내에 있을 때 인출부위내에서 집게측면에 병렬된 2개의 멈추개(94) 사이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집게측면(21, 57)을 개방시키고, 멈추개(94)에 접촉하게 되면 폐쇄부위와 개방부위 사이의 중간부위내에 유지시키고, 조립 부분품(2, 3)을 집게측면내에 배치된 집게장치(22, 43, 102)의 안내통로 부분(16, 42)에 공급하고, 바로 인접한 조립 부분품(4)을 고정시키고, 집게측면(21, 57)을 그 폐쇄부위내로 이동시키고, 조립 부분품(2, 3)을 잡고, 집게장치를 준비부위 또는 인도부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을 하는 방법.
  8. 조립 부분품용 운반장치, 하나씩 연속하여 운반되는 조립 부분품용 안내통로 및 제1항 내지 제7항중 한항에 의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인출 또는 분리장치로 구성된 조립 부분품의 공급 또는 인출장치로서, 인출 또는 분리장치(9)에 안내통로(8)의 단면에 상응하는 형상과 조립 부분품(2-6)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18)가 제공되어 있고, 인출부위내에 인출 또는 분리장치(9)상에 배치된 안내통로 부분(16, 42)이 운반방향에서 보아 앞서 배치된 안내통로(8)의 안내통로 부분(14, 15, 41)에 대하여 거의 합동을 형성되어 있거나 배치되어 있고, 인출 또는 분리장치(9)가 구동장치(48)에 의하여 조립 부분품(2-6)의 운반방향(10)으로 선행안내통로(8)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인출 또는 분리장치(9)가 인출 또는 인도부위 또는 그 사이에 있는 분비부위내에서 조립 부분품(2-6) 또는 조립 부분품(2-6)용의 여러가지 운반로를 점검하는 시험장치(95, 120, 121)와 병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인출 또는 분리장치(9)가 여러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안내통로 부분과 구동장치(48)와 결합된 가동안내통로 부분(14,15,41 : 16,42)에 제공되어 있고, 특히 인출 또는 분리장치(9)가 진동구동장치(11)에 의하여 진동속에 이동할 수 있는 선행안내통로(8)와는관계없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가동안내통로 부분(16,42)이 조립 부분품(2-6)의 운반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뻗어있는 안내기둥(19,47)상에서 이동할 수 있게 안내되고, 구동장치(48)와 결합되어 있는 활대(44)내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가동안내통로 부분(16,42)에 특히 활대(44)내에서 운반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또는 조립 부분품(2-6)의 운반방향(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뻗어있는 축 둘레를 선회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회전 또는 선회구동장치(86,115)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가동안내통로 부분(16,42)이 브래킷 암의 한 종단 영역내에 배치되어 있고, 브래킷 암의 다른 종단영역은 회전 또는 선회구동장치(86,115)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인출 또는 분리장치(9)의 가동안내통로 부분(16,42)이 서로 대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집게측면(21,57)이 제고되어 있는 집게장치(22,43,102)상에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집게측면들이 경우에 따라서는 인출부위에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 있는 중간위치로 이동하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집게측면(21,57)이 원통형 케이스(71)가 접속되어 있고, 결합장치(74)를 거쳐 정지판(72) 또는 인장장치(103)와 회전하지 못하게 결합되어 있는 지지헤드(59)내에 지지되어 있고, 특히 지지헤드(59)로부터 반대방향을 향한 원통형 케이스(71)의 종단영역내에는 구동장치(예 : 톱니바퀴)(76,108) 또는 조절할 수 있는 정지장치의 시트(seat)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2개의 집게측면(21,57) 사이에 집게측면들을 개방방향으로 작용하게 하는 스프링장치(63)와 폐쇄부위 또는 개방부위를 정하는 조절가능한 정지장치가 제공되어 있고, 2개의 집게측면(21,57)에 그 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폐쇄구동장치(67)가 병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집게측면(57)에 조립 부분품(2-6)의 운반방향(10)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집게측면에 인출부위내에서 그 개방운동을 제한하고 조절가능한 멈추개(94)가 병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8항에 있어서, 집게장치(22,43,102)의 집게측면(21,57)에 집게삽입 부분(20,60)용 지지물이 제공되어 있고, 이 집게측면들이 서로 평행으로 뻗어있는 축(58) 둘레를 선회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고, 지지물에 대향하여 있는 집게측면(21,57)의 끝부분에 지지축(65)이 병열되어 있고, 이 지지축이 폐쇄구동장치(67), 예를들면 실린더 피스톤장치(68)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8항에 있어서, 구동장치(예 : 톱니바퀴)가 받침판(88)상에 배치되어 있는 회전구동장치(예 : 회전실린더 87)의 또다른 톱니바퀴(85)와 맞물리게 되고, 이 받침판(88)이 원통형 케이스(71)를 지지하는 받침블록(82)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8항에 있어서, 받침블록(82)상에 집게장치(22,43,102)용 안내부재에 병렬된 정지블록(90,112,113)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8항에 있어서, 집게측면(21,57), 집게삽입 부분(20,60) 또는 조절할 수 있는 정지블록(90,112,113)등에 기점압 센서장치가 병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8항에 있어서, 인장장치(103)에는 집게장치(102)의 원통형 케이스(71)의 수용개구부에 대하여 수직되는 방향으로 인장장치(103)쪽으로 향한 집게장치(102)의 지지헤드(59)의 전면과 거의 동일한단면형상이 제공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정지판(110)을 지지헤드(59)의 외부치수와 거의 같은 이행부재와 중간접속시킴으로써 원통형 케이스(105)에 접속되고, 이 원통형 케이스가 집게장치(102)의 원통형 케이스(71)에 일치하고, 집게장치가 이러한 원통형 케이스(105)를 수옹하기 위한 지지물(106)내에 지지되어 있고, 이 지지물의 외부치수가 집게장치(22,43,102)를 수용하기 위한 받침블록(82)에 일치하고, 이 받침블록이 받침판(88)에 병렬된 회전구동장치(86)용 받침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8항에 있어서, 인장장치(103), 지지물 또는 받침블록(82)의 전면이 도관(130)을 지지하는 조립판(127,128)을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지지물 또는 받침블록이 조작장치의 고정판상에 대응하는 천공들이 병렬되는 단일형의 천공들이 제공된 받침판상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50009189A 1984-12-06 1985-12-06 조립 부분품의 공급방법 및 장치 KR910007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3869/84 1984-12-06
AT0386984A AT390908B (de) 1984-12-06 1984-12-06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fuehren von montagetei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693A KR860004693A (ko) 1986-07-11
KR910007271B1 true KR910007271B1 (ko) 1991-09-24

Family

ID=355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189A KR910007271B1 (ko) 1984-12-06 1985-12-06 조립 부분품의 공급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4892180A (ko)
JP (1) JPS61206721A (ko)
KR (1) KR910007271B1 (ko)
CN (1) CN1017608B (ko)
AT (1) AT390908B (ko)
AU (1) AU578127B2 (ko)
CA (1) CA1285239C (ko)
CH (1) CH674975A5 (ko)
CS (1) CS272210B2 (ko)
DE (1) DE3542496C2 (ko)
ES (1) ES8705328A1 (ko)
FI (1) FI91143C (ko)
FR (1) FR2574383B1 (ko)
GB (1) GB2169258B (ko)
HU (1) HU208273B (ko)
IN (1) IN165576B (ko)
IT (1) IT1200852B (ko)
NL (1) NL8503342A (ko)
SU (1) SU1593562A3 (ko)
YU (1) YU446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656B1 (ko) * 2005-09-30 2007-07-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시트고무 자동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3472B (de) * 1990-09-04 1998-02-25 Sticht Fertigungstech Stiwa Teilezufuhrsystem für montageteile
DE4430846C2 (de) * 1994-08-31 1997-04-10 Jenoptik Jena Gmbh Einrichtung zur Umsetzung eines Transportobjektes zwischen zwei Endlagen
DE10012958B4 (de) * 2000-03-16 2006-05-18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Abheben von Fördergut, insbesondere Werkstückträgern, von einer Förderbahn
US6879389B2 (en) * 2002-06-03 2005-04-12 Innoventor Engineering,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mall parts inspection
CN102189509B (zh) * 2011-03-22 2012-08-22 南车戚墅堰机车有限公司 多件小箱体类零件加工装备
CN102189510A (zh) * 2011-03-22 2011-09-21 南车戚墅堰机车有限公司 箱体类零件正放加工装备
CN102530542B (zh) * 2011-12-20 2013-09-04 上海电机学院 一种自动分离零件的输送装置
CN104117970B (zh) * 2014-07-22 2016-03-30 广东明晖气动科技有限公司 胶扣打钉机送扣结构
CN105359882B (zh) * 2015-11-24 2019-01-08 姚屠乾 农用插杆机
CN105359884B (zh) * 2015-11-24 2019-01-29 绍兴南乙辛纺织有限公司 农用插杆装置
CN105359883B (zh) * 2015-11-24 2018-11-13 嘉兴市新飞腾塑业有限公司 农田插杆装置
CN105359881B (zh) * 2015-11-24 2019-01-15 连云港国旺塑业有限公司 田垄插杆机
CN105475034B (zh) * 2015-11-24 2018-12-21 俞斌 插杆装置
CN105855829B (zh) * 2016-05-28 2018-05-01 上海大学 滤芯中心管自动分离装置
CN105895421B (zh) * 2016-06-21 2017-10-17 吴中区木渎蒯斌模具加工厂 行程开关触头部分组装机的推拉装置
CN106041449B (zh) * 2016-07-20 2023-10-27 梁启明 滴斗、导管装配装置
CN107457547A (zh) * 2017-08-02 2017-12-12 深圳市众创立科技有限公司 一种铜针送料装置
CN108068112A (zh) * 2017-11-02 2018-05-25 中车工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同一工位加工工件的装置、实现方法及加工方法
CN113714243A (zh) * 2020-05-25 2021-11-30 北京恒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电能表自动拆解线
CN113997031B (zh) * 2021-11-02 2023-10-03 昆山万禾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转轴零件的排序穿料方法
DE102022205283A1 (de) 2022-05-25 2023-11-30 OPTIMA pharma GmbH Zufüh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führen von Kleinteile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4811A (en) * 1960-12-27 1963-04-09 Raytheon Co Article handling
CH385717A (de) * 1961-07-17 1964-12-15 Sig Schweiz Industrieges Vorrichtung zum Trennen und Positionieren von flachen Gegenständen an einer Verpackungsmaschine
CH435114A (de) * 1965-08-28 1967-04-30 Sapal Plieuses Automatique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ennen von in einer Reihe nacheinander ankommenden flachen Gegenständen
CH507854A (de) * 1969-05-08 1971-05-31 Sig Schweiz Industrieges Verfahren zur Trennung von auf einer Eingangsförderbahn aufeinander folgenden Gegenständ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3733006A (en) * 1971-07-12 1973-05-15 A Klancnik Work piece feeder for machine
JPS499869A (ko) * 1972-04-22 1974-01-28
US4050610A (en) * 1975-01-29 1977-09-27 Frank L. Wells Company Coil spring feeding apparatus
US3938650A (en) * 1975-02-27 1976-02-17 Franklin Electric Subsidiaries, Inc. Indexing article separating and feeding conveyor
FR2367610A1 (fr) * 1976-10-15 1978-05-12 Dubuit Jean Louis Dispositif de chargement pour machine a imprimer, et machine a imprimer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DE7737111U1 (de) * 1976-12-17 1980-09-04 Epple-Buxbaum-Werke Ag, Wels (Oesterreich) Vorrichtung zum beladen von werkzeugmaschinen, insbesondere drehmaschinen
DE2710661C2 (de) * 1977-03-11 1984-04-12 Index-Werke Kg Hahn & Tessky, 7300 Esslingen Einrichtung zum Transport eines Werkstückes zwischen einem Werkstückspeicher und einer Werkzeugmaschine
SU722733A1 (ru) * 1977-04-18 1980-03-25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ый Научно-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Металлорежущих Станков Автооператор
US4134486A (en) * 1977-06-24 1979-01-16 Cincinnati Milacron Inc. Workpiece detection circuit
JPS5431173A (en) * 1977-08-12 1979-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Nut transporting apparatus
AT379340B (de) * 1979-10-31 1985-12-27 Sticht Walter Einrichtung zur herstellung bzw. handhabung von werkstuecken
EP0076231A3 (de) * 1981-09-24 1984-04-25 Franz Schäfer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seriellen Bearbeiten und/oder zur Montage von Werkstücken
US4441852A (en) * 1981-09-28 1984-04-10 Dixon Automatic Tool, Inc. Parts handling machine
JPS5856737U (ja) * 1981-10-12 1983-04-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デイスタツカにおけるスタツク搬送コンベアのスタツク分離装置
US4482044A (en) * 1982-05-03 1984-11-13 Mathewson Corporation Apparatus for separating nested coils
US4636126A (en) * 1985-02-25 1987-01-13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pickup st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656B1 (ko) * 2005-09-30 2007-07-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시트고무 자동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S272210B2 (en) 1991-01-15
FI91143B (fi) 1994-02-15
CS880285A2 (en) 1990-04-11
IT8523104A0 (it) 1985-12-05
IN165576B (ko) 1989-11-18
HU208273B (en) 1993-09-28
CA1285239C (en) 1991-06-25
FI91143C (fi) 1994-05-25
ES8705328A1 (es) 1987-05-01
FI854771A (fi) 1986-06-07
DE3542496A1 (de) 1986-06-19
IT1200852B (it) 1989-01-27
US4892180A (en) 1990-01-09
FR2574383A1 (fr) 1986-06-13
FR2574383B1 (fr) 1989-08-18
ATA386984A (de) 1990-01-15
YU187285A (en) 1988-10-31
CN1017608B (zh) 1992-07-29
AT390908B (de) 1990-07-25
YU44696B (en) 1990-12-31
HUH3087A (en) 1986-08-28
AU5076785A (en) 1986-06-12
GB2169258A (en) 1986-07-09
ES549603A0 (es) 1987-05-01
KR860004693A (ko) 1986-07-11
GB8529837D0 (en) 1986-01-15
FI854771A0 (fi) 1985-12-02
GB2169258B (en) 1989-06-01
SU1593562A3 (ru) 1990-09-15
DE3542496C2 (de) 1996-08-14
CH674975A5 (ko) 1990-08-15
NL8503342A (nl) 1986-07-01
JPS61206721A (ja) 1986-09-13
AU578127B2 (en) 1988-10-13
CN85109407A (zh) 1986-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271B1 (ko) 조립 부분품의 공급방법 및 장치
US56493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and placing components
US6030171A (en) Battery plate feeder having oscillating pick-up head
UA46789C2 (uk) Спосіб спрямовування на заправку розірваного волокна для намотування на котушку
JPH01321929A (ja) スライバ配給装置
US4842181A (en) Apparatus for loading food for alignment with food sticks
EP0155863B1 (en) Stocker in reel supply apparatus
US20060201988A1 (en) Rivet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US4742613A (en) Cable core self-aligning apparatus
KR101738812B1 (ko) 피검사부품 피딩장치
US4370804A (en) Electronic component inserting apparatus
US4583899A (en) Apparatus for inserting pouring spouts into container tops
JPH0719713B2 (ja) 自動巻線のためのワークの受け渡し方法並びにその装置
US4245934A (en) Conveying rod-like articles
CN210480404U (zh) 残纱检测装置及喂纱纱管处理装置
GB2301120A (en) Device for removing wound bobbins from a textile machine
CN219092806U (zh) 一种精密紧固件分选设备
KR20110003287A (ko) 플라즈마 컷팅 자동화 설비
KR100576587B1 (ko) 전자부품의 공급장치
JPH01194406A (ja) 巻線、巻線仕上げ連続自動加工装置
JPS62257429A (ja) 精紡機等における満・空ボビン移送装置
JP2975735B2 (ja) 板状部品積層接着装置
KR910004927Y1 (ko) 반도체 부품 테이핑기의 부품 정렬 공급장치
FI56347C (fi) Saett och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spikband avsedda att anvaendas i spikindrivningsapparater
JP2702971B2 (ja) 緊締部品の検査仕分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