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259B1 - 파일경사의 장력제어방법 및 그의 장치 - Google Patents

파일경사의 장력제어방법 및 그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259B1
KR910006259B1 KR1019880005289A KR880005289A KR910006259B1 KR 910006259 B1 KR910006259 B1 KR 910006259B1 KR 1019880005289 A KR1019880005289 A KR 1019880005289A KR 880005289 A KR880005289 A KR 880005289A KR 910006259 B1 KR910006259 B1 KR 910006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pile
tension roller
signal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158A (ko
Inventor
젠지 다무라
겐지 시쿠라다
아끼히꼬 나카다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1976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6226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090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6376B2/ja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4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12Controlling warp tension by means other than let-off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9/00Pile-fabric looms
    • D03D39/22Terry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일경사의 장력제어방법 및 그의 장치
제1도는 실시예1에 의한 본 발명의 장력제어장치의 블록선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의 블록선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동작시의 타임차아트도.
제4도는 짜기전과 텐숀로울(Tension roll)의 위치관계의 설명도이다.
제5도는 실시예2에 의한 본 발명의 파일직기의 장력제어장치의 블록선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1의 블록선도.
제7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1의 동작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2의 블록선도.
제9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3의 블록선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3의 동작설명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4의 회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4의 동작설명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5의 회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5의 동작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력제어장치 2 : 파일(Pile)경사
3 : 파일비임 4 : 송출모우터
5 : 가이드 로울 6 : 텐숀로울(Tension roll)
7 : 짜기전(경사와 천의 경계선) 8 : 텐숀레버(Tension roll)
9 : 지점축 10 : 천
11 : 구동원 12 : 송출모우터 구동부
13 : 위치검출기 14 : 장력설정부(장력제어계)
16 : 구동 제어부 17 : 스위칭부
18 : 위치검출기 19 : 장력설정기
20 : 장력설정기 21 : 가합점(加合點)
22 : 스위치 23 : 스위치
241, 242 : 설정기 261, 262 : 펄스발진기
25 : 회전 검출기 271, 272 : 카운터
281, 282 : 속도설정기 29: 가합점
30 : 속도증폭기 31 : 타코제네레이터(Tacho-generator)
32 : 펄스발생기 331, 332 : 스위치
34 : 조절기 361,362 : 스위치
37 : 로직 디코우드회로(Logic decode circuit)
38 : 로직 디코우드회로 39 : 로직 디코우드회로
40 : 직기의 주측 42 : 전류증폭기
41 : 가합점 43 : 전류검출기
51 : 속도지령부 52 : 정지지령부
101 : 장력제어장치 103, 104 : 설정유니트
105 : 지령기 106 : 전환기
107 : 구동유니트 112 : 회전축
116 : 지면의 경사 117 : 위사
130, 131 : 함수발생기 140 : 엔코우더(Encoder)
141, 142 : 함수발생기 151 : 펄스제네레이터
152 : F-V 변환기 153 : 컴퍼레이터
154, 155 : 임계치 설정기 156 : 기동 스위치
157 : 정지스위치 158 : 릴레이
158a, 158b, 158c, 158d, 158e : 접점
160, 161, 162 : 스위치 163 : 온디레이타이머(On delay timer)
163a : 접점
164 : 오프디레이타이머(Off delay timer)
164a : 접점 165 : 릴레이
166 : 디코우더(Decoder) 166a : 접점
167 : 릴레이 167a, 167b : 접점
170 : 펄스제네레이터 171 : 전류앰프
172 : 전류검출기 173 : 가합점
174 : A-D 변환기 175 : 펄스발진기
176 : 카운터 177 : 속도앰프
178 : 타코제네레이터 179 : 가합점
T : 장력신호 V1, V2: 속도신호
a : 계수 b : 정수
R1, R2: 회전구간 B : 정지신호
S : 위치신호
본 발명은, 파일(Pile)직기에 있어서, 파일경사의 장력을 테리모우션(Terry motion)과의 관련으로 적극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직기의 송출장치로부터 감는 장치로의 방향을 "전진"으로, 그 반대를 "후퇴"로 표현한다.
또한, "패스트 픽"(Fast pick)은, 위사를 짜기전까지 바디를 쓰는 것을 말하고, "루우즈 픽"(Lose pick)은, 위사를 짜기전(경사와 천의 경계선)까지 바디를 쓰지 않는 것을 말한다.
본 출원인은, 일본국 특원소 61-268317호의 "직기의 송출장치"에 의하여, 파일경사의 송출시에, 장력제어계와 속도제어계와를 교환하는 것을 이미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제어에 의하면, 파일 형성시에 제어계가 장력제어로부터 속도제어로 변환되어, 텐숀로울의 변위에 의하여 파일경사가 낮은 장력으로 급속히 송출된다. 이 결과, 파일의 빠짐이 없고, 소정길이의 파일이 확실하게 형성된다.
그런데, 천이동식의 파일직기를 예로 들면, 제어계가 속도제어로부터 장력제어로 변환될 때에, 속도제어에 의한 경사의 느슨한 상태로부터 장력제어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경사의 장력치가 급변하는 것이어서, 그 후에 장력제어계가 부하변동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된다.
즉, 장력제어계가 새로운 목표치에 응답하는 과정에서 진동하고, 경사장력도 목표치에 대하여 잠시 진동하는 것이 된다.
또한, 장력제어상태에서 짜기전이 바디를 쓰는 위치를 향하여 후퇴할 때에, 후퇴동작으로부터 후퇴정지상태로 옮겨졌을 때에, 그 텐숀로울이 운동시의 관성에 의하여, 필요이상으로 변위하고자 하기 때문에, 이때에도 제어계가 일시적으로 진동하여 불안정한 상태로 된다.
이들의 현상은, 리이드나 소오드를 쓰는 등, 바디 이동식의 파일직기에 대하여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제어 특성상 바람직하지 못하고, 또한 파일 조직의 형성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일직기에 있어서, 속도제어와 장력제어와의 전환시에, 변위가능한 텐숀로울에 제동력을 작용시켜, 각 전환과정에서의 제어계의 불안정한 응답상태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실시예에서는, 파일직기에 있어서, 파일경사의 텐숀로울의 제어를 속도제어에 의한 위치제어과정으로 부터 장력제어를 위한 토오크 제어과정으로 전환되는 사이에, 텐숀로울의 지지수단에 제동력을 작용시킴으로써, 텐숀로울의 변위를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이후에 계속되는 장력제어를 이전의 속도 제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실시예1의 발명은, 위치제어과정으로부터 토오크 제어과정으로 전환되는 과정뿐만이 아니라, 짜기전의 후퇴동작으로부터 후퇴정지로 전환되는 과정, 즉 토오크 제어로부터 위치제어로 전환되는 과정에서도, 텐숀로울의 지지수단에 제동력을 작용시킴으로써, 텐숀로울에 운동관성에 의한 오버 슈우트(Over-shoot)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실시예1의 발명에서는, 텐숀로울의 위치제어로부터 토오크제어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구동원에 정지력이 주어지기 때문에, 제어제가 불안정하지 않고, 또한 텐숀로울의 필요이상의 변위, 즉 오버 슈우트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1의 발명은, 직기의 운전중의 제어를 대상으로 하고 있고, 직기의 정지중에 대하여 필요한 배려를 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실시예1의 기술에 의하면, 직기의 정지중에도, 텐숀로울에 대하여 운전시와 동일한 제어가 행하여지게 된다. 이 때문에, 텐숀로울에 의하여 직기의 정지중에 파일경사에 부여되는 힘은, 정상운전시와 동일하지만, 그 힘의 작용시간이 정상운전시와 달라서, 장시간에 걸치기 때문에, 파일빠짐이 발생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파일빠짐은, 직기의 정지시에 한하지 않고, 파일빠짐량의 정도의 차는 있지만, 직기의 기동후의 과도적인 운전상태일때에도 동일하게 일어나기 쉬운 상태라고 할 수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직기의 정상운전시 즉 제직중에도, 정도의 차는 있어도, 파일빠짐이 발생하고 있다고 생각되지만, 장력의 작용시간이 짜는 싸이클에서 주기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각각의 파일빠짐량은, 일정하고, 따라서, 직물의 파일높이는, 대략 균일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직중의 파일빠짐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여기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시예1의 발명을 개량하고, 직기의 정지중, 또는 직기의 기동후의 과도적인 회전시에 있어서의 불균일한 파일빠짐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하에서, 실시예2의 발명은, 직기의 상태 즉 정지 또는 운전상태에 따라서, 파일경사의 장력제어기구의 텐숀로울에 대하여 목표치를 변경함으로서, 직기의 상태에 따라서, 파일경사의 장력을 변경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2의 발명은, 직기의 운전중에, 과도적인 운전기간과, 정상운전기간에 걸쳐서, 텐숀로울의 위치, 또는 텐숀로울의 텐숀레버에 작용시키는 토오크를 변화시킴으로써, 직기의 주측의 회전수에 따라서, 적절한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직기의 운전중에, 텐숀로울에 대한 목표치는, 텐숀로울의 위치, 텐숀레버에 작용시키는 토오크,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서, 파일짜는 제직과 연등하여 선택적으로 주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제1도 내지 제4도)]
제1도는, 본 발명의 장력제어장치(1)를 나타내고 있다.
다량의 파일경사(2)는, 파일비임(3)의 바깥둘레에 시이트형상으로 감겨져 있고, 송출모우터(4)의 회전에 의하여, 적극적으로 송출되고, 정해진 위치의 가이드 로울(5) 및 변위가능한 텐숀로울(6)의 바깥둘레에 감겨진 후, 제직의 진행에 따라서, 짜기전(7)의 방향으로 송출된다. 이 텐숀로울(6)은, 장력제어기구로서의 텐숀레버(8)의 앞끝단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텐숀레버(8)의 기초끝단부분은, 직기의 프레임등의 정해진 위치에 대하여 지점축(9)에 의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점축(9)은, 서어보모우터나 토오크모우터, 또는 로터리액츄에이터(Rotary actuator)등의 구동원(11)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물론, 이 구동원(11)은, 입력전류에 거의 비례하는 토오크를 발생하고, 이것을 지점축(9)에 작용시킴으로써, 텐숀로울(6)을 전후방향으로 변위시켜서, 파일경사(2)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한 송출모우터(4)는, 송출모우터 구동부(12)의 제어하에 두고 있다. 이 송출모우터 구동부(12)는, 위치검출기(13)에 의하여, 텐숀레버(8)의 변위를 검출하여, 텐숀레버(8)를 항상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도록, 송출모우터(4)를 구동하고, 파일경사(2)를 제직의 진행과 함께 짜기전(7)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송출하여 간다.
여기에서, 이 송출모우터 구동부(12)의 제어특성은, 통상, 클때는 정수로 응답한다. 이 때문에, 1회전중의 개구운동, 또는 천(10)의 이동 또는 파일형성시의 일시적인 파일경사(2)의 장력의 변동은, 송출모우터 구동부(12)의 제어대상으로 되어 있지 않다.
한편, 상기한 구동원(11)은, 장력제어계로서의 장력설정부(14), 속도제어계로서의 속도지령부(51), 정지지령부(52), 및 이들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구동제어부(16)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리고, 장력설정부(14), 속도지령부(51) 및 정지지령부(52)의 출력단은, 각각 스위칭부(17)의 입력쪽에 접속되어 있고, 그들의 출력으로서의 장력신호(T) 및 속도신호(V1)(V2)는, 택일적으로 구동제어부(16)의 입력으로 된다.
제2도는, 이들의 접속관계를 간략화하여, 관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상기한 장력설정부(14)는, 텐숀로울(6)의 위치를 텐숀레버(8)의 위치에서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위치검출기(18), 이것에 접속되어 있는 장력변화의 계수(a)설정용의 장력설정기(19), 및 기본적인 장력의 정수(b)를 설정하기 위한 장력설정기(20)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장력설정기(19),(20)는, 가합점(21)을 통하여 스위칭부(17)의 예를 들면, 아날로그 무접점식의 스위치(2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속도지령부(51) 및 정지지령부(52)는, 두 개의 펄스발진기(261),(262)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 입력단에서 직기의 주축(40)에 연결되어 있는 공통의 회전검출기(25), 및 각각 이동량의 설정기(241),(242)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출력쪽에서 업다운(Up down)형식의 카운터(271),(272)의 업입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카운터(271),(272)는 출력쪽에, 각각 속도설정기(281),(282), 스위칭부(17)의 스위치(331),(332)공통의 가합점(29), 속도지령부(51) 및 정지지령부(52)에 공통인 속도증폭기(30) 및 출력전압의 상한 설정용의 조절기(34)를 개재하여 스위칭부(17)의 스위치(2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구동원(11)에, 타코제네레이터(31) 및 펄스발생기(32)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타코제네레이터(31)는, 가합점(29)에 부귀환으로 되도록, 접속되어 있고, 또한 펄스발생기(32)는, 스위치(361),(362)를 개재하여, 카운터(271),(272)의 다운(DOWN)입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스위치(331),(332),(361),(362)는, 각각 로직 디코우드회로(37),(38)에 의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선택적으로 온으로 되도록 구동된다.
즉, 이들의 로직 디코우드회로(37),(38)는, 입력쪽에 회전검출기(25)에 접속되어 있고, 주축(40)의 소정의 1회전중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회전각으로 이들의 스위치(331),(332),(361),(362)의 온·오프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스위칭부(17)의 스위치(22),(23)는, 동일하게 로직 디코우드회로(39)에 의하여 온·오프제어되고, 출력쪽의 부분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고, 구동제어부(16)의 가합점(41) 및 전류증폭기(42)를 개재하여 구동원(1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류증폭기(42)의 출력전류는, 전류검출기(43)에 의하여 검출되며, 가합점(41)에 피이드백량으로서 부귀환되어 있다.
장력제어장치(1)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직기의 운전중에, 제직이 진행하면, 짜기전(7)이 순차적으로 전진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파일경사(2)의 장력은, 점차로 높아지고, 그에 따라서 텐숀레버(8)는, 지점축(9)을 중심으로 하여, 제1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 텐숀레버(8)의 변위는, 위치검출기(13)에 의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고, 송출모우터 구동부(12)의 입력신호로 된다.
그리하여, 송출모우터 구동부(12)는, 텐숀로울(6)의 위치를 판단하고, 송출모우터(4)를 구동하여, 파일경사(2)를 송출함으로써, 짜기전(7)의 이동에 추종하면서, 파일경사(2)를 순차적으로 전진방향으로 송출하여 간다.
지금, 파일조직이 예를 들면, 3본의 가로 타올이라고 하면 그 조직의 한번 반복은, 3픽(Pick), 즉, 직기의 주축(40)의 3회전마다 행하여진다.
또한, 천이동식의 타올짜기에서는, 바디사용의 위치가 항상 일정하지만, 천(10)이 앞뒤로 이동함으로서 바디사용위치와 짜기전(7)과의 간격으로 필요한 길이의 파일이 형성된다.
제3도는, 어떠한 반복주기중에, 직기의 회전수와의 관계에서, 파일경사(2)의 개구상황, 및 천(10)의 전진 및 후퇴의 이동상황과의 관계에서, 스위치(22),(23),(331),(332)의 온·오프상태 및 텐숀로울(6)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4도는, 짜기전(7)의 전후이동과의 관계에서, 텐숀로울(6)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파일경사(2)의 장력은,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천(10)의 이동과 파일의 형성과의 관계로, 1회 반복주기로 변환되어 있다.
또한, 제4도중에서, (1)의 상태는, 파일형성의 완료와 대응하고, (2),(3),(4)의 상태는, 루우즈픽(Lose Pick)이고, 또한 (5),(6)의 상태는, 패스트픽으로서, 이사이에 파일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장력제어장치(1)는, 짜기전(7)이 전진동작중일때에, 속도지령부(51)를 작동시켜, 구동원(11)을 속도제어계에 의하여 구동하고 나서, 정지지령부(52)를 작용시킨다.
또한, 짜기전(7)이 전진위치에서 정지하고 있을 때, 및 후퇴동작중일때에, 장력제어장치(1)는, 장력설정부(14)를 작동시켜 파일경사(2)이 장력을 목표의 장력치로 유지하기 위하여, 장력제어계로서 구동원(11)에 작용한다.
이 선택적인 전환을 위하여, 로직 디코우드회로(39)는, 주축(40)의 회전수를 검지하여, 직기의 회전구간(R1) 및 (R3)에서 스위치(23)를 온상태로 설정하고 있고, 또한 회전구간(R2)에서, 스위치(22)를 온상태로 설정하고 있다.
이 결과, 일련의 제어는, 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
우선, 파일형성후에, 직기의 회전구간(R1)에서는, 로직 디코우드회로(37),(38),(39)는, 회전검출기(25)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짜기전(7)이 앞쪽에로 이동개시하는 소정의 타이밍을 검출하고, 그 타이밍일때에, 각각 스위치(331),(361),(23)를 은상태로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펄스발진기(261)는, 회전검출기(25)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짜기전(7)이 전진방향에로 이동개시하는 소정의 타이밍을 검출하고, 그 타이밍일때에 텐숀로울(6)의 전진방향에로의 이동량을 설정하는 설정기(241)에 의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이동량에 알맞는 펄스수의 펄스를 발생하고, 이것을 카운터(271)의 업입력단에 출력한다.
그 시점에서, 카운터(271)는, 그 펄스수를 순차적으로 계수하여 가며, 그 계수치에 비례한 출력을 속도설정기(281)에 부여한다.
그리고, 이 출력은, 속도설정기(281)에 의하여, 속도신호(V1)로 하여, 온상태의 스위치(331) 및 가합점(29)를 거쳐, 속도증폭기(30)의 입력으로 되고, 거기에서 증폭된 후에, 구동제어부(16)의 입력으로 된다.
거기에서, 구동제어부(16)는, 주어진 속도신호(V1)에 대응하는 전류를 발생하고, 구동원(11)을 순간적으로 구동하고, 파일경사(2)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텐숀레버(8)를 회전운동시켜, 텐숀로울(6)을 제3도의 (1)의 상태로부터 제3도의 (2)의 상태와 같이 짜기전(7)의 전진속도보다도 빠른 속도로 급속하게 전진시켜, 텐숀로울(6)을 짜기전(7)의 전진량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변위시킨다.(텐숀로울의 위치제어과정).
이와 같이 하여, 텐숀레버(8)는, 짜기전(7)의 전진에 선행하여 이동하고, 파일경사(2)를 일시적으로 느슨한 상태로 한다.
이 결과, 파일경사(2)의 장력이 파일빠짐을 하지 않는 낮은 값에서 설정되기 때문에, 파일의 형성은, 확실하다.
이 사이에, 구동원(11)의 회전량은, 펄스발생기(32)에 의하여 펄스수로서 검출되고, 카운터(271)의 다운 입력단에 입력된다.
카운터(271)의 계수치가 "0"의 되었을 때에, 구동제어부(16)는, 속도지령부(51)로부터의 속도신호(V1)를 잃어버리고, 그 대신에 정지지령부(52)로부터 계수치 "0"에 대응하는 정지신호(B)를 구동제어부(16)로 보내고, 구동원(11)의 회전구동을 정지시키고, 거기에 제동력을 작용시킨다(정지위치 제어과정).
따라서, 텐숀로울(6)은, 소정의 위치에서, 즉시 정지하고, 제동상태에 들어간다.
이 후에, 천(10)이 전진하고, 그 짜기전(7)이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파일경사(2)는, 느슨한 상태로부터 팽팽한 상태로 되어, 설정치의 장력에 가까워진다.
이와 같이, 텐숀레버(8)는, 속도신호(V1)로 전진한 후에, 정지신호(B)에서 즉시 정지하고, 정지시의 관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필요이상으로 이동하지 않고, 즉시 안정한 정지상태로 된다.
다음에, 직기의 회전구간(R2)에서는 로직 디코우드회로(39)는, 회전검출기(25)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짜기전(7)이 전진위치에서 정지하는 소정의 타이밍을 검출하고, 그 타이밍일때에 스위치(22)를 온, 또한 스위치(23)를 오프의 상태로 설정한다.
따라서, 구동제어부(16)에, 목표의 장력신호(T)가 입력된다.
즉, 장력설정부(14)는, 목표의 장력신호(T)를 발생하고, 스위칭부(17)의 스위치(22)의 온상태에 의하여, 그것을 구동제부(16)에 보내고 있다.
여기에서, 장력신호(T)는, 장력설정기(19),(20)에 의하여, 식 T=aS+b로서 표시된다.
식중에서, 계수(a)는, 직선의 식의 경사에 상당하고, 장력설정기(19)에 의하여 위치검출기(18)의 위치신호(S)를 분할하는 비율이고, 위치검출기(18)에 대응한 장력변화를 조정한다.
또한, 정수(b)는, 기본장력에 대응하여, 장력설정기(20)에 의하여 미리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관계식은, 일반적인 직선의 식 "y=ax+b"의 식이기 때문에, 목표의 장력신호(T)는, 임의의 경사에서, 더욱이 임의의 높이의 직선의 식으로서 부여된다.
이와 같이, 구동제어부(16)는, 이 장력신호(T)를 입력으로 하여, 토오크모우터 등의 구동원(11)의 구동출력으로서의 전류를 변화시켜, 지점측(9)에 필요한 토오크를 부여함으로써, 이것을 텐숀로울(6)에 적용시켜, 토오크와 파일경사(2)와의 균형에 의하여, 파일경사(2)의 장력을 목표의 장력에 설정하여 간다(토오크제어과정).
이때에, 텐숀레버(8)는, 제3도의 (3),(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비임(3)으로부터의 송출에 따라서, 균형을 위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또한, 직기의 회전구간(R3)에서는, 로직 디코우드회로(37),(38),(39)는, 짜기전(7)에 후퇴동작을 개시하는 시점으로부터 후퇴위치에서 정지할때까지의 사이의 소정의 타이밍을 검출하고, 각각 스위치(332),(362),(23)를 온상태로 설정한다.
동시에, 펄스발진기(262)는, 회전검출기(25)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상기한 바와 같은 소정의 타이밍을 검출하고, 그 시점에서 이동량의 설정기(242)에 의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이동량에 알맞는 펄스수의 펄스를 발생하여, 이것을 카운터(272)의 업입력단에 출력한다.
여기에서는, 이동량의 설정기(242)에 미리 "0"을 설정함으로써, 카운터(272)의 업입력단에는, 펄스수 "0"가 입력되고 속도증폭기(30)의 입력쪽에는 "0"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이 된다. 여기에서, 구동제어부(16)는, 구동원(11)을 즉시 정시시켜, 그것에 제동력을 작용시킨다(정지위치 제어과정).
따라서, 텐숀레버(8)는, 앞에서의 토오크제어과정에서, 짜기전(7)의 후퇴동작에 따라서, 경사의 소정장력에서 균형을 잡기 위하여 후방에 이동하고 있었지만, 짜기전(7)의 후퇴정지전의 상기한 소정의 타이밍으로 즉시 정지하고, 짜기전(7)의 정지시에 관성을 갖지 않고, 안정된 경사장력상태를 실현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직기는, 1회반복을 완료하고, 다음에 새로운 반복을 동일하게 계속하여 가는 것이 된다.
물론, 회전수 0→1→2→0마다, 위사(44)가 1개씩 위압되어 간다.
이러한 구동원(11)의 회전중에, 타코제네레이터(31)는, 구동원(11)의 회전속도에 비례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이것을 가합점(29)에 부귀환시키고 있기 때문에, 구동원(11)의 회전속도는, 필요이상으로 빨라지지 않는다.
상기한 실시예는, 1예로서, 회전구간(R3)에 있어서, 이동량의 설정기(242)에 "0"을 설정하여 두고, 텐숀로울(6)에 제동만을 작용시켰지만 필요에 따라서, 이 제동에 앞서서, 경사(2)를 느슨하게 하는 방향, 즉 텐숀로울(6)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속도제어를 행하게 하여도 좋다.
왜냐하면, 이 회전구간(R3)은, 파일형성의 구간이며, 이 짜기전(7)의 후퇴이동시에 파일경사(2)에 전연 장력을 부여하지 않도록 하는 쪽이 바람직하지만, 직물종류에 따라서는, 짜기전(7)의 후퇴이동량(파일길이)에 대하여, 파일경사(2)의 개구동작에 의한 경사길이 증가분쪽이 크기 때문에, 제동만으로는 경사장력이 증가하여서, 정규의 파일길이가 얻어지지 않거나, 또는 파일이 빠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이 제동제어에 앞서는 속도제어는, 설정기(242)에 소망의 이동량을 설정하여 두면 용이하게 실현할 수가 있다.
이때에 속도신호(V2)는, 앞에서 설명한 회전구간(R1)에 있어서의 속도신호(V1)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때의 텐숀로울이(6)의 변위를 제2도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구간(R1),(R3)의 각 제동기간은, 속도제어계 또는 장력제어계의 종료시점으로부터, 다음의 목표치의 변화의 시점까지 계속하면 좋고, 따라서 그 길이는 적당하게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회전구간(R1),(R2),(R3)을 규제하는 각 소정의 타이밍은, 직물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임을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는, 텐숀레버(8)를 지점축(9)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지만, 이 텐숀로울(6)은, 직선방향의 안내수단에 의하여, 파일경사(2)에 대하여, 장력의 증감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여도 좋다.
상기한 실시예는, 파일형성의 사이클(패스트 픽-Fast pick)에 있어서 발생하는 급격한 파일경사(2)의 장력변동을 억제하는 것을 주안에 두고, 위치제어, 토오크제어, 및 정지위치 제어의 3개를 조합시킨 것이지만, 이들 3개의 제어의 전환시기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다.
즉, 상기한 파일형성 사이클이외에도, 예를 들면 바디사용시나, 경사개구시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장력변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이들 3개의 제어를 조합시켜서 실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2]
우선, 제5도는, 정상운전시 이외에서의 장력제어장치(101)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장력제어장치(101)는, 장력제어기구의 존재를 전제로 하고, 특정적인 부분으로서, 설정 유니트(103),(104), 지령기(105), 전환기(106) 및 구동유니트(10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장력제어기구는, 파일경사(2)에 대하여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텐숀레버(8)의 앞끝단에서, 텐숀로울(6)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텐숀레버(8)의 기초끝단부분은, 정해진 위치에서, 토오크모우터나 서어보모우터등의 구동원(11)의 회전축(112)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파일경사(2)는, 파일비임(3)으로부터 시이트형상으로 공급되고, 가이드 로울(5)를 통하여 텐숀로울(6)에 감겨지며, 짜기전(7)에서 지면의 경사(116)와 만나서, 위사(117)와 교차하여, 파일직물로서 천(10)으로 된다.
그리고, 정지용의 설정유니트(103) 및 운전용의 설정유니트(104)는, 각각 직기의 상태에 따라서 소정의 목표치를 부여하기 때문에, 지령기(105)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환기(106)의 스위치(160),(161),(162)를 개재하여, 상기한 구동원(11)의 구동유니트(107)에 접속되어 있다.
지령기(105)는, 직기의 상태 즉 정지상태 또는 운전상태를 직기의 주축의 회전수나 운전신호, 정지신호 등에 의하여 확인하고, 정지중에, 전환기(106)의 스위치(160)를 온으로 하고, 또한 제직동작중에서 기동초기의 과도기에 스위치(161)를 온상태로 설정하고, 그후의 정상시에 스위치(162)를 온상태로 설정하며, 또한 정지시에 과도적으로 스위치(161)를 다시 온상태로 설정한다.
이 때문에, 직기의 정지중에는, 설정유니트(103)로부터의 목표치가 구동유니트(17)에 부여되고, 또한 직기의 운전중, 즉 제직동작중에는, 설정유니트(104)로부터 어느 것인가 한 개의 목표치가 구동유니트(107)에 부여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유니트(107)는, 직기의 정지중에, 구동원(11)에 대하여 정지중의 목표치에 따라서, 소정의 토오크를 작용시키거나, 또는 소정의 회전변위를 부여함으로써, 파일경사(2)의 장력을 소정의 값으로 설정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구동유니트(107)는, 직기의 운전중에, 파일짜기동작과 연동하여서 목표치를 구동원(11)에 부여하고, 텐숀레버(8)의 회전축(112)에 대한 토오크 또는 회전량을 억제함으로써, 텐숀로울(6)을 소정의 위치에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파일경사(2)의 장력은, 파일짜기동작과의 관련에서, 소정의 장력치로 설정되어 간다.
또한, 이 지령기(105)는, 직기의 운전중에, 주축(40)의 회전속도등으로부터 과도상태 또는 정상상태를 식별하고, 설정유니트(104)에서 각각의 상태에 대응하는 목표치를 스위치(161),(162)의 택일적인 전환에 의하여 출력한다.
이 결과, 파일경사(2)의 장력은, 파일짜기동작중에, 과도상태 또는 정상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이 장력제어에서는, 직기의 정지기간 또는 운전기간 또한 운전기간 중의 과도기간이나, 정상기간에 따라서, 장력제어기구에 적절한 목표치가 선택적으로 부여되고, 직기의 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장력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파일짜기 과정에서, 어떠한 상태에서도, 파일경사의 파일빠짐이 적으므로, 균일한 파일조직을 얻을 수가 있다.
[구체예1(제6도 및 제7도)]
이 구체예는, 직기의 주축(40)의 회전속도 즉, 단위시간당의 회전수에 따라서, 목표치로서 토오크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예이다.
즉, 직기의 주축(40)의 회전속도는, 지령기(105)의 내부의 펄스제네레이터(151)에 의하여 검출되고, F-V변환기(152)에 의하여 회전속도에 비례하는 전압(E)으로서 변환되어, 컴퍼레이터(153)의 입력으로 된다.
여기에서, 컴퍼레이터(153)는 F-V변환기(152)의 출력으로서의 전압(E)과, 임계치설정기(154),(155)의 임계치(A),(B)와를 비교하여,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기의 정지중 즉 E≤B일때에 스위치(160)를 온상태로 설정하고, 또한 직기의 기동후에 과도운전기간 즉 B<E<A일때에, 스위치(161)를 온으로 한 후에, 정상운전으로 들어가서 A≤E로 되면, 스위치(162)를 온상태로 설정한다. 이 때문에, 함수발생기(130),(141),(142)는, 주축(40)의 엔코우더(140)의 출력에 따라서, 주축(40)의 1회전중의 각도, 또는 여러 회전에 걸친 1짜기 사이클의 각 시점에 대응한 토오크의 목표치를 구동유니트(107)에 보낸다.
구동유니트(107)의 전류앰프(171)는, 각각의 토오크의 목표치에 따라서, 구동원(11)을 구동하여 텐숀레버(8)에 소정의 토오크를 작용시킨다.
또한, 이 전류검출기(172)의 출력은, 전류검출기(172)에 의하여 검출되고, 토오크제어계의 피이드백 신호로서 가합점(173)에 부귀환시킨다.
[구체예2(제8도)]
이 구체예는, 주축(40)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목표치로서 텐숀로울(6)의 위치를 제어하는 예이다.
이 때문에, 함수발생기(130),(141),(142)의 출력은, 구동유니트(107)의 내부에서, A-D변환기(174)에 의하여 디지털량의 출력으로 변환되고, 또한 펄스발진기(175)에 의하여 디지털출력에 비례하는 펄스수의 출력으로 변환되고, 카운터(176)의 업입력단에 부여된다.
그리하여, 이 카운터(176)는, 속도앰프(177), 전류앰프(171)를 구동하고, 펄스모우터등의 구동원(111)을 펄스수에 대응하는 회전량만을 구동한다.
또한, 이때의 회전속도는, 타코제네레이터(178)에 의하여 검출되고, 가합점(179)에 부귀환된다.
또한, 이때의 구동원(11)의 회전량은, 펄스제네레이터(170)에 의하여 검출되고, 펄스서오보제어를 위하여 카운터(176)의 다운입력단에 보내진다.
따라서, 카운터(176)의 카운트값이 "0"이 되면, 카운터(176)의 출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구동원(11)은, 텐숀레버(8)를 목표의 위치까지 변위시켜서, 거기에서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구체예3(제9도 및 제10도)]
구체예는, 주축(40)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목표치로서 토오크패턴(Torque pattern)을 비례적으로 변경하는 예이다.
F-V변환기(152)의 출력은, 하나의 함수발생기(131)에 입력된다.
그리하여, 이 함수발생기(131)는, F-V변환기(152)의 출력전압에 비례하여, 다시 말하자면, 주축(40)의 회전속도에 비례한 출력을 주축(40)의 회전각도 또는 짜기사이클에 따라서 출력한다.
이 때문에, 구동원(11)은, 주측(40)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구동원(11)에 목표의 토오크의 출력을 인가한다.
물론, 주측(40)의 회전속도가 "0"일때에, 즉 직기가 정지하고 있을 때에, 함수발생기(131)는, 정지상태에 대응하는 목표치를 구동원(11)에 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함수발생기(131)는, 이 예에 의하면, 설정유니트(103),(104)이외에, 전환기(106)의 기능도 겸용하고 있는 것이 된다.
이 결과, 텐숀레버(8)에 부여되는 토오크패턴은 제10도에서와 같이, 주축(40)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비례적으로 변화한다.
또한, 이 예에서의 파일짜기동작은, 천이동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짜기전(7)의 후퇴 또는 전진동작과 대응하여, 목표치로서의 토오크는, 계단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파일짜기 동작과의관련에서, 파일경사(2)의 장력은, 파일빠짐이 없도록,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구체예4(제11도 및 제12도)]
이 구체예는, 기동스위치(156)와 정지스위치(157)와의 관련에서, 타이머수단등에 의하여 스위치(160),(161),(162)를 전환시키는 예이다.
직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스위치(160)가 온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가동스위치(156)가 온상태로 설정되면, 릴레이(158)가 유지접점(158a)을 온상태로 설정하고, 또한 접점(158b)을 닫기 때문에, 온디레이타이머(On delay timer)(163) 및 오프디레이타이머(Off delay timer)(164)가 동시에 동작하고, 그들의 접점(163a),(164a)을 제12도에서와 같이 설정한다.
회전의 초기의 과도적인 운전기간에 걸쳐서, 릴레이(165)에 의하여 스위치(161)가 온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그 시간이 경과하면, 정상운전을 위한, 온디레이타이머(163)에 의하여 스위치(162)가 온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그 후에 정지스위치(157)가 오프상태로 설정되면, 그로부터 일정한 시간사이에, 오프디레이타이머(164)가 동작하고, 정지시의 과도적인 운전 때문에, 릴레이(165)에 의하여 스위치(161)가 온상태로 설정된다.
[구체예5(제13도 및 제14도)]
이 구체예는, 주축(40)의 회전각도에 의하여, 과도적인 동작기간에 걸쳐서, 스위치(161)를 제어하는 예이다. 또한, 정지시의 제어는, 상기한 구체예4와 동일하다.
기동스위치(156)가 온상태로 설정되면, 릴레이(158)의 접점(158a),(158b),(158c),(158d)이 온으로, 또한 접점(158e)이 오프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직기가 기동하고, 디코우더(166)로부터 최초의 펄스신호가 입력되면, 접점(166a)이 닫히고, 릴레이(167)가 그 접점(167a)을 온상태로, 또한 접점(167b)을 오프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과도기간 중에, 스위치(161)가 온상태로 되고, 또한 그 후에 정상운전에 들어가면, 스위치(162)가 온상태로 설정된다.
이후에, 정지시의 제어는, 상기한 제11도의 경우와 동일하게 행하여진다.
상기한 구체예3을 제외한 각각의 구체예에 있어서, 과도회전기간을 보다 더 복수로 세분하고, 이 세분한 각 회전상태에 따른 목표치를 설정하고, 전환제어하더라도 좋다.
또한, 정상회전기간에 있어서도 회전수가 크게 변동하는 일이 있는 경우에, 상기와 동일하게, 복수의 목표치를 설정하고, 전환제어하더라도 좋다.

Claims (7)

  1. 텐숀로울(6)을 변위가능한 상태에서 지지하고, 이 텐숀로울(6)에 파일경사(2)를 감고, 이 텐숀로울(6)의 위치변화에 의하여 파일경사(2)의 장력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장력제어기구에 있어서, 파일경사(2)의 장력이 급격하게 변화할 때에 텐숀로울(6)을 목표의 속도로서 파일경사장력의 완화방향에 소정의 위치까지 강제적으로 변위시키는 텐숀로울(6)의 위치제어과정과, 파일경사(2)의 장력을 목표치로 유지할 때에 텐숀로울(6)의 회전운동중심에 목표의 토오크를 작용시키는 토오크제어과정과, 소정의 시기에 텐숀로울(6)을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상태로 유지하는 정지위치 제어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경사의 장력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텐숀로울(6)을 변위가능한 상태에서 지지하고, 이 텐숀로울(6)에 파일경사(2)를 감고, 이 텐숀로울(6)의 위치변화에 의하여 파일경사(2)의 장력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장력제어기구에 있어서, 패스트픽시에 텐숀로울(6)을 목표의 속도로서 파일경사(2)의 송출방향의 소정의 위치까지 강제적으로 변위시키는 텐숀로울(6)의 위치제어과정과, 루우즈픽시에 텐숀로울(6)의 회전운동중심에 목표의 토오크를 작용시키는 토오크제어과정과, 상기의 각 제어과정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의 변환시에 텐숀로울(6)을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상태로 유지하는 정지위치제어과정으로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경사의 장력제어방법.
  3. 텐숀로울(6)을 변위가능한 상태에서 지지하고, 이 텐숀로울(6)에 파일경사(2)를 감고, 이 텐숀로울(6)의 위치변화에 의하여 파일경사(2)의 장력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장력제어기구에 있어서, 텐숀로울(6)을 목표의 속도로서 파일경사장력의 변화가 적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강제적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속도신호를 출력하는 속도지령부(51)와, 텐숀로울(6)을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정지지령부(52)와, 텐숀로울(6)의 회전운동중심에 목표의 토오크를 작용시키기 위한 장력신호를 출력하는 장력설정부(14)와, 상기 속도지령부(51)로부터의 속도신호와 상기 정지지령부(52)로부터의 정지신호와 상기 장력설정부(14)로부터의 장력신호와를 직기의 회전과 동기하여 1회반복주기의 소정의 회전각사이에서 각각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부(17)와, 이 스위칭부(17)로부터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구동출력을 발생하는 구동제어부(16)와, 이 구동제어부(16)로부터의 구동출력을 받아서 상기 장력제어기구를 텐숀로울(6)의 변위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원(1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경사의 장력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텐숀로울(6)을 변위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이 텐숀로울(6)에 파일경사(2)를 감고, 이 텐숀로울(6)의 위치변화에 의하여 파일경사(2)의 장력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장력제어기구에 있어서, 직기의 회전과 동기하고 있는 1회전중의 소정의 회전각으로 속도신호 및 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속도지령부(51)와, 목표의 경사장력에 대응하는 장력신호를 발생하는 장력설정부(14)와, 패스트픽시에 상기 속도지령부(51)로부터의 속도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루우즈픽시에 상기 장력설정부(14)로부터의 장력신호를 각각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17)와, 이 스위칭부(17)로부터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구동출력을 발생하는 구동제어부(16)와, 이 구동제어부(16)로부터의 구동출력을 받아서 상기 장력제어기구를 텐숀로울(6)의 변위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원(1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경사의 장력제어장치.
  5. 텐숀로울(6)에 파일경사(2)를 감고, 이 텐숀로울(6)의 위치를 구동원(11)에 의하여 변위시키고, 파일경사(2)의 장력을 파일짜기의 제직과 연동시켜서 제어하는 장력제어기구에 있어서, 직기의 정지중의 목표치를 부여하는 정지용의 설정유니트(103)와, 제직동작중의 목표치를 부여하는 운전용의 설정유니트(104)와, 직기의 정지·제직동작상태를 식별하여 각각의 상태마다 전환지령을 출력하는 지령기(105)와, 이 지령기(105)의 전환지령에 따라서 운전용의 설정유니트(104)로부터의 목표치 및 정지용의 설정유니트(103)로부터의 목표치중 어느 것인가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전환기(106)와, 목표치에 따라서 구동원(11)을 구동하는 구동유니트(10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경사의 장력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운전용의 설정유니트(104)에 과도상태 및 정상상태마다 다른 목표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경사의 장력제어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운전용의 설정유니트(104)의 목표치를 텐숀로울(6)의 위치, 텐숀로울(6)의 텐숀레버(8)에 부여하는 토오크 및 이들의 조합중 어느 것인가 하나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경사의 장력제어장치.
KR1019880005289A 1987-05-08 1988-05-07 파일경사의 장력제어방법 및 그의 장치 KR910006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976 1987-05-08
JP11197687A JP2622685B2 (ja) 1987-05-08 1987-05-08 パイルたて糸の張力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62209063A JP2516376B2 (ja) 1987-08-21 1987-08-21 パイル織機の張力制御装置
JP209063 1987-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158A KR880014158A (ko) 1988-12-23
KR910006259B1 true KR910006259B1 (ko) 1991-08-19

Family

ID=2645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289A KR910006259B1 (ko) 1987-05-08 1988-05-07 파일경사의 장력제어방법 및 그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84597A (ko)
EP (2) EP0290039B1 (ko)
KR (1) KR910006259B1 (ko)
DE (2) DE385251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8901071D1 (de) * 1988-07-08 1992-05-07 Sulzer Ag Frottierverfahren und webmaschine mit florbildungsorganen.
FR2639366A1 (fr) * 1988-11-18 1990-05-25 Muguet Grizard Sa Machine a tisser equipee d'un regulateur de tension pour rouleau de devidage ou d'appel d'une nappe textile
JP2668565B2 (ja) * 1988-11-30 1997-10-2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回転数制御方法
US5002095A (en) * 1989-10-17 1991-03-26 Fieldcrest Cannon, Inc. Electronic control of terry pile warp yarn dispensing rate
DE4325038C2 (de) * 1992-08-18 1995-08-31 Regatron Ag Regeleinrichtung für den Vorschub von Wickelgut einer Webmaschine
IT1271951B (it) * 1993-02-11 1997-06-10 Nuovipignone Ind Meccaniche Ef Sistema per mantenere costante l'altezza del riccio della spugna durante la retromarcia del telaio per spugna.
EP0682131B1 (de) * 1994-05-10 2001-11-28 Sulzer Textil AG Verfahren zur Regelung des Bewegungsablaufes des Florkettablasses und Frottierweb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5524461A (en) * 1995-04-24 1996-06-11 Techno-Craft, Inc. Control system for yarn feed gearbox
BE1009386A3 (nl) * 1995-05-11 1997-03-04 Michel Van De Wiele N V Gecombineerde poolgeversturing en poolkettingboomaflaat voor poolweefmachines.
JPH0969013A (ja) * 1995-08-31 1997-03-11 Fanuc Ltd サーボモータを用いたサーボ系の制御モード切り換え方法
US6029715A (en) * 1997-10-06 2000-02-29 Tsudakoma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controlling pile warp tension on pile fabric loom
DE50211453D1 (de) * 2002-02-06 2008-02-14 Schoenherr Textilmaschinenbau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instellung und Überwachung der Kettfadenspannung an Webmaschinen
JP2004011065A (ja) * 2002-06-07 2004-01-15 Tsudakoma Corp パイル織機
JP4651082B2 (ja) * 2004-12-10 2011-03-16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パイル経糸張力の調整方法
EP1686207B1 (en) * 2005-01-31 2012-07-04 Luigi Omodeo Zorini Textile machine with yarn feeding control
CN101070658B (zh) * 2007-04-29 2010-11-17 江苏万工科技集团有限公司 喷气织机的打纬力矩自动调节装置
US7598683B1 (en) 2007-07-31 2009-10-06 Lsi Industries, Inc. Control of light intensity using pulses of a fixed duration and frequency
US8604709B2 (en) 2007-07-31 2013-12-10 Lsi Industr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to DC loads
US8903577B2 (en) 2009-10-30 2014-12-02 Lsi Industries, Inc. Traction system for electrically powered vehicles
US9828704B2 (en) * 2015-09-10 2017-11-28 Welspun India Limited Terry article with synthetic filament yarns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5420918B (zh) * 2016-01-18 2017-10-20 河北浩凯建材有限公司 一种毛条织机中的送纱机构及毛条毛高的调节方法
JP7063594B2 (ja) * 2017-12-12 2022-05-09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パイル織機におけるパイル高さ異常の検出方法、及びパイル高さ異常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パイル織機
BE1027384B1 (nl) * 2019-06-20 2021-01-28 Vandewiele Nv Gaapvormingsinrichting
CN112831893B (zh) * 2020-12-29 2022-05-06 浙江理工大学 一种无位移传感器的毛经纱连续张力调节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0665A (en) * 1981-01-21 1984-11-06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Weft-bar (set mark) prevention system for a loom
JPS5994648A (ja) * 1982-11-16 1984-05-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織機における経糸送り出し制御方法
JPS59157355A (ja) * 1983-02-28 1984-09-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織機の運転開始方法
EP0139805B1 (de) * 1983-11-01 1988-03-09 GebràœDer Sulzer Aktiengesellschaft Frottierstoffwebmachine
JPS60155757A (ja) * 1984-01-20 1985-08-15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電動送り出し・巻取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CH664389A5 (de) * 1984-10-16 1988-02-29 Saurer Ag Adolph Einrichtung zur steuerung der kettfadenspannung durch lageverschiebung eines streichbaumes an einer webmaschine.
US4721134A (en) * 1986-08-04 1988-01-26 West Point Pepperell, Inc. Terry loop ratio control device
JPH0726284B2 (ja) * 1986-11-10 1995-03-22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送り出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78079B1 (en) 1996-04-10
DE3852518D1 (de) 1995-02-02
EP0578079A2 (en) 1994-01-12
EP0578079A3 (en) 1994-01-26
KR880014158A (ko) 1988-12-23
DE3852518T2 (de) 1995-05-04
DE3855205D1 (de) 1996-05-15
EP0290039A3 (en) 1991-07-31
EP0290039A2 (en) 1988-11-09
EP0290039B1 (en) 1994-12-21
DE3855205T2 (de) 1996-09-05
US4884597A (en) 198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6259B1 (ko) 파일경사의 장력제어방법 및 그의 장치
EP0151940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tor-driven let-off and take-up system for looms
JP2710046B2 (ja) パイル織機のたて糸張力制御方法
US4949759A (en) Seersucker loom with tension regulation of puckering warp
JP2622685B2 (ja) パイルたて糸の張力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342940A (ja) よこ入れ制御装置
JPH09109220A (ja) 射出成形機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H0360941B2 (ko)
KR100535720B1 (ko) 직기의 위단 방지방법 및 장치
JP2516376B2 (ja) パイル織機の張力制御装置
JPS63120141A (ja) 織機の送り出し装置
JP4189249B2 (ja) 織機における織段防止装置
JP2002173849A (ja) パイル経糸制御方法およびパイル経糸制御装置
JPS63145450A (ja) 織機の経糸張度制御方法
JP2596782B2 (ja) 織機の起動方法
JP4098150B2 (ja) 織機の織段防止装置
JPH05148743A (ja) 織機における起動方法及び装置
JP2796840B2 (ja) 織機の同期ずれ防止方法
JPH11117150A (ja) パイル織機のパイル経糸張力制御方法
KR950011436B1 (ko) 수치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권사장치 및 권사제어방법
JP2003221762A (ja) 織機運転制御方法
JPH0647027Y2 (ja) パイル織機のパイル糸張力制御装置
JPH09250056A (ja) 無杼織機のよこ入れ方法およびよこ入れ装置
JPH0718074B2 (ja) 多色織機のよこ糸供給装置
JP2004323998A (ja) 経糸ビームの駆動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