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047B1 - Pwm 인버터 장치 - Google Patents

Pwm 인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047B1
KR910001047B1 KR1019880004068A KR880004068A KR910001047B1 KR 910001047 B1 KR910001047 B1 KR 910001047B1 KR 1019880004068 A KR1019880004068 A KR 1019880004068A KR 880004068 A KR880004068 A KR 880004068A KR 910001047 B1 KR910001047 B1 KR 910001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voltage
phase
signal
switch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4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727A (ko
Inventor
이사오 가미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80014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 H02M7/539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by pulse-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0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51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5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form or frequency
    • H02M7/52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form or frequency by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02M7/5387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with analogue control of three-phase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02M7/5387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with analogue control of three-phase output
    • H02M7/538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with analogue control of three-phase output based on synthesising a desired voltage vector via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fundamental voltage vectors, and corresponding dwelling ti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PWM 인버터 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한 블록도.
제2도는 단상 인버터의 주회로를 표시한 도면.
제3도는 종래의 PWM 신호작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3상 인버터장치의 회로구성도.
제5도는 전압백터(Vector)도.
제6도는 스위칭상태의 천이도.
제7도는 단락방지회로의 예를 표시한 도면.
제8도 및 제9도는 상기 단락방지회로에 의한 파형변형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단락방지회로 31 : 벡터(Vector)합성기
32,33 : 래치회로 34 : 2상 변조 PWM 신호작성회로
35 : 3상변조 PWM 신호작성회로 36 : 데이터선택기
37 : 절환신호발생회로
이 발명은 직류입력에서, 예컨대 트랜지스터등의 스위칭소자를 온.오프제어함으로써 소망의 다상교류전력을 얻는 PWM 인버터장치에 관한 것인데, 특히 온,오프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칭신호 즉 PWM 신호의 작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PWM 신호를 얻는 방법으로서, 종래 각상전압지령이 되는 정형파신호를 변조파인 삼각파신호와 비교하여 각 스위칭소자의 온.오프신호를 얻는 방법이 일반적이며, 예컨대, 1985년 9월 7일 발간 일본국의 「인버터응용 manual」(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의 28 - 34페이지에 풀브리지(full bridge)의 단상인버터를 예로서 원리를 설명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단상인버터의 PWM 신호를 공간전압벡터합성으로서 취급하는 방식이 있으며 단위시간당의 평균벡터가 소망의 순간전압 벡터의 지령치와 일치하도록 각 스위칭소자의 온,오프시간을 제어하는 방법이 개발되어있다.(일본국 특원소 59 - 251001호, 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 제2도는 상기 종래기술 1의 단상인버터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써, S1- S4는 트랜지스터등의 스위칭소자인데, 제3도에 이 스위칭소자에 대한 스위칭신호(온,오프신호)의 작성방법을 표시하였다.
제3도에 있어서, 제3a도는 정현파신호와 변조파인 삼각파의 관계를 나타내며 정현파신호의 진폭이 큰, 즉 고전압출력시의 정현파신호는 실선으로, 그리고 저전압시의 정현파신호는 쇄선으로 표시하였다.
제3b도는 상기 고전압출력시의 각 스위칭소자의 온,오프신호를 표시하며 동도(c)를 저전압시의 온,오프신호를 표시한다. 다음에, 상기 종래기술 2에 관하여, 제4도 -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에 있어서, 1은 PWM 제어방식의 3상 인버터의 주회로(이하 인버터라 한다)인데, 트랜지스터와 같이 스위칭소자(Sap),(Sbp),(Scp),(SaN),(SbN),(ScN)를 브리지 접촉시켰다. 2는 인버터부하인 3상 유도전동기의 일차권선, 3은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점호신호를 작성하는 점호신호발생회로이다.
제4도에 표시한 3상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이 인버터(1)에서 급전되는 경우의 전압벡터
Figure kpo00001
는 상기 종래기술 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5도에 표시한 인버터(1)의 스위칭소자의 온.오프상태에 대응된 이산적(離散的)인 전압벡터
Figure kpo00002
만 생기게 한다.
PWM 인버터는 이 이산적인 전압벡터를 고속으로 절환시킴으로써 등가적으로 연속적인 전압벡터를 발생시킨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제5도에 있어서,(0,0,0).(1,0,0)‥‥‥의 기호는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소자 대(對) Sa(Sap,SaN), Sb(Sbp,SbN), Sc(Scp.ScN)의 온,오프상태를 표시하는 기호로써, 기호 1은 첨가자(添加字) p가 있는 스위칭소자가 온, 그리고 첨가자 N가 있는 스위칭소자가 오프인 것을 표시하며 기호 0은 상기의 반전(反轉)을 표시한다.
단, (1.1.1) 및(0,0.0)는 다같이 부하단이 스위칭소자에 의하여 단락된 상태이며 전압벡터로서는 크기 0의 영벡터 0이 된다.
상기 종래기술 2에서는 이산적인 전압벡터의 단위시간 T1에 있어서 평균전압벡터가 소망의 임의의 순간 전압벡터에 일치하는 상기 전압벡터
Figure kpo00003
의 조합 및 각 발생시간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예컨대, 제5도에 있어서,
Figure kpo00004
에 끼워져 있는 영역에 크기
Figure kpo00005
의 전압벡터
Figure kpo00006
를 발생시키는 경우는, 전압벡터
Figure kpo00007
을 발생시켜 각 발생시간을 Ta,Tb,Tc라하면,
Figure kpo00008
(1)식에 있어서, θ'는
Figure kpo00009
로부터의 각도, K는 입력전류전압 Ed를 포함하는 계수이다. 상기 이산적인 전압벡터
Figure kpo00010
의 발생순서에 관하여는 시간적평균이라는 원리상으로부터 어떤 제약을 받는 것도 아니다. 즉. 시간 T1에 있어서(1)식으로 주어지는 각시간에 의하여
Figure kpo00011
의 순으로 절환시킨 경우도,
Figure kpo00012
의 순으로도 평균전압벡터는 동일하게 되며 임의의 절환순서에 있어서 평균벡터는 동일한 것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때 각 스위칭소자의 온,오프상태의 천이(스위칭 遷移)는 다르게 된다. 두개의 연속된 단위시간 2·T1에 있어서, 하기(a),(b)의 두가지 절환순서로 하였을 때의 각 스위칭소자 Sa,Sb,Sc의 스위칭천이 예를 표시한 것이다.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여기에서, 0벡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0,0,0),(1,1,1)의 두가지의 스위칭상태를 취할 수 있지만, 제6a,b도에 표시한( )내의 스위칭동작을 하였을 때, (a),(b)는 공히 스위칭 소자 대 Sb가 2배의 스위칭회수로되어 스위칭동작에 따라 소자손실이나 드라이브회로의 손실이 증대되며 또 특정한 상(相)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다시 제6a,b도의 스위칭천이도를 비교하면(a)에서는 2·T1기간에 각 상스위칭소자가 1회 스위칭하는데 대하여 (b)에서는 스위칭소자 대 Sa가 항상 1이며 스위칭이 불필요하게되며 스위칭소자 대 Sb,Sc의 1회의 스위칭에서 평균화가 달성되어 상기 손실면에서 유리해진다.
스위칭천이도(a)의 경우와 같이 각상의 스위칭동작이 필요한 스위칭천이의 경우를 3상 변조스위칭신호(이하 3상 변조라한다) 스위칭천이도(b)의 경우와 같이 1상의 스위칭동작이 불필요한 경우를 2상 변조스위칭신호(이하 2상변조라 한다)라 부르기로하면, 상기 종래기술 1의 삼각파비교방식은 3상 인버터에 적용시킨 경우, 스위칭천이는 제6a도의 천이패턴이 되어 3상 변조로 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상기 2상 변조는 최근 전압이용을(직류전압입력에 대한 최대교류출력전압의 비) 및 고조파성분의 실효치에 대하여 정현파신호의 삼각파비교에 비하여 유리하다. 상기 스위칭소자대 Sa(Sap,SaN), Sb(Sbp,SbN), Sc(Scp.ScN)는 양자가 동시에 온하였을때, 직류전압 Ed를 단락시켜 스위칭소자의 파괴를 초래케함으로 한쪽이 온일때 다른쪽을 오프로 제어하며 또 한쪽을 온상태에서 오프시키는 경우에 스위칭소자의 드라이브회로의 늦어짐이나 스위칭소자의 오프의 늦어짐이 있기 때문에 다른쪽의 온 신호를 정규의 타이밍 보다 늦게되는 단락방지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제7도는 이 단락방지회로의 일예를 1상(相)당 표시한 것으로서 온 딜레이(On delay) 요소(71)에 의하여 스위칭소자에 대한 온 신호를 소정시간 Td만큼 지연시키는 동작을 한다.
Sx는 스위칭신호, Sxp*는 (+)측 스위칭신호, SxN*는 (-)측 스위칭신호, Sxp는 (+)측 온신호, SxN는 (-)측 온신호이다. 따라서, 각 스위칭소자의 온신호는 상기와 같이 비선형요소에 의하여 변형시키게 된다.
상기 2상 변조에 의한 경우, 영레벨
Figure kpo00015
의 발생시간의 비율이 커지는 저전압영역에 있어서, 이 변형의 영향율이 크며 인버터출력전압의 왜곡율이 현저하게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하, 이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6b도에 표시한 2상 변조의 스위칭천이도에 있어서, 영벡터
Figure kpo00016
의 발생시간 To의 비율이 증대하고 시간 Ta,Tb,Tc의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스위칭소자 Sb,Sc가 0이 되는 상태계속시간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위칭신호(PWM 신호)가 요구된 경우의 상기 단락방지회로의 신호관계는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되며 (-)측의 스위칭소자의 온신호 Sxp가 단락방지기간 Td때문에 소실되어 항상 오프신호로 된다.
또 명백하게, 온신호의 펄스폭이 단락방지기간 Td이하의 온신호는 전부 소실되기 때문에, 이때 펄스폭의 미조정에 의한 출력전압의 제어는 불가능하므로 인하여 출력전압의 왜곡율은 소망의 출력전압이 낮은 경우도 있어 현저하게 증대한다.
이 영향은 특히 유도전동기와 같은 리액턴스부하에 급전하는 경우, 주파수와 전압이 비례관계에 있기때문에 리액턴스값이 지극히 작아지는 영역이므로 인하여 부하전류의 왜곡이 커져 유도전동기를 안정하게 운전할 수 있다.
또한, 부하전류를 검출하여 전류지령치와의 편차가 영이되도록 전압지령치를 변화시키는 전류 마이너루프(minor loop)를 부가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일종의 소실은 일종의 불감대로서 작용하게 되어 마이너루프의 파형개선효과는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계의 불안정요소로 되어 전류왜곡을 증대시키는 일도 있게 된다.
이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시키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스위칭신호를 2상 변조에 의하여 생성시킨 경우의 스위칭손실, 전압이용율, 고조파실효치의 면에 있어서의 잇점율이 있음과 동시에 단락방지회로등의 영향에 의한 스위칭신호의 변형에 따른 영향을 받기는데 어렵게하여 저전압출력영역에 있어서도 왜곡율이 작은 출력을 얻을 수 있는 PWM 인버터장치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상이 스위칭동작을 하는 3상 변조의 스위칭신호를 작성하는 제1의 수단과, 1상의 스위칭동작이 불필요한 2상 변조의 스위칭신호를 작성하는 제2의 수단등을 가지며 양수단을 인버터출력전압의 진폭치에 의하여 절환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발명에서는, 2상변동에 의한 스위칭신호의 온,오프듀티(on,off duty)비가 커져서 단락방지회로에 의한 영향이 커질 경우에는 3상 변조로 절환시키면 되므로 2상 변조에 의한 제어의 잇점과 3상 변조에 의한 제어의 잇점등을 공히 생기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31은 백터합성기로서, 상전압순간치지령치 Va',Vb',Vc'로부터 순간전압벡터의 지령치
Figure kpo00017
를 연산하여 벡터
Figure kpo00018
의 크기
Figure kpo00019
와 이벡터의 기준방향으로부터의 각도 θ를 출력한다.
32는 래치회로로서, 상기
Figure kpo00020
를 래치시킨다. 33은 래치회로로서 상기 각도 θ를 래치시킨다. 양래치회로(32)와(33)는 단위시간 T1마다 데이터를 입수하여 T1동안 데이터를 유지함으로써 전압백터의 평균치화를 도모할 수 있다.
34는 2상 변조의 PWM 신호를 작성하는 PWM 신호작성회로, 35는 3상 변조의 PWM 신호를 작성하는 PWM 신호작성회로, 36은 데이터선택기, 37은 절환신호발생회로이다. 상기(31) - (37)에 의하여 PWM 인버터의 점호신호발생회로(30)가 구성된다.
다음에, 이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2상 변조의 PWM 신호작성회로(34)는 예컨대 제6b도에 표시한 스위칭천이도가 되는 스위칭모드를 부여하는 스위칭신호를 작성한다. 한편, 3상 변조의 PWM 신호작성회로(35)는 예컨대 제6a도에 표시한 스위칭천이도가 되는 스위칭모드를 부여하는 스위칭신호를 작성한다.
이들의 각 스위칭신호는 다음 단계의 데이터선택기(36)에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상 변조의 스위칭 신호가 크게 변형을 받는 것은 온,오프듀티비가 큰 상(相)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이것은 영벡터 0의 발생시간 To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또 인버터를 출력전압의 진폭이 작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또 인버터를 출력전압의 진폭이 작아지는 것과도 같은 것이다.
따라서 인버터의 출력전압진폭과 오로지 대응하는 전압벡터지령치의 크기
Figure kpo00021
에 의하여
Figure kpo00022
기 어느같이 하로 되면, 2상 변조에서 3상 변조로 절환한다. 절환신호발생회로(37)는
Figure kpo00023
가 상기 어느값 이하로 되면 절환신호를 데이터선택기(36)를 송출시킨다. 이로 인하여, 데이터선택기(36)는 단락방지회로(7)에 송출시키는 스위칭신호를 2상 변조에서 3상 변조로 절환시킨다.
3상 변조의 스위칭모드의 제6a도에 표시하였으나 여기에서, 영벡터 0의 발생시간 To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우를 보면, 스위칭소자 대 Sa,Sb,Sc의 각상의 스위칭상태 0 및 1의 비가 1이 가깝게 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은 제3b도 및 (c)의 비교에 의하여 저전압일수록 스위치신호의 듀티가 50%에 가까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펄스가 단락방지회로(7)에 입력되는 경우의 변형을 제9도에 표시하였다. 3상 변조의 경우는 저전압일수록, 온,오프의 펄스폭이 넓어지므로 2상 변조(제8도)와 같은 펄스의 손실은 생기지 않는다. 그렇지만, Sxp,SxN의 온은 Td분만큼 지연되기 때문에 이 영향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온 및 오프펄스의 폭을 조정하는 것은 가능한 것이며 Td이하의 온 펄스가 완전히 소실되는 2상 변조에 비교하여 영향은 상당히 작아진다.
또한 상기 미조정이 가능한 것은 전류마이너루프를 부가함으로써. 이 영향을 보상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2상 변조가 불감대를 생기게 하는 점이 큰 잇점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PWM 변조작성방법으로서 종래기술 2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실질적으로 3상 변조, 2상 변조신호를 작성하는 것이면 다른 방법도 무방하다.
또 절환신호발생회로(37)는 전압벡터지령치의 크기
Figure kpo00024
를 입력시켜 감시하지만, 이 절환은 요컨대 2상 변조에 있어서 각 스위칭신호의 온펄스폭이 영벡터 0의 증가에 의하여 작아지는 것을 피하고져하는 것이 그 목적이며 스위칭상태에 대응하는 량(量)이면 어느것이나 무방하며 예컨대 주파수지령신호나 영벡터발생시간 To등의 제반량을 입력시켜서 감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발명은 이상 실명한 바와 같이 2상 변조와 3상 변조를 절환시키는 구조로 함으로써 인버터의 출력전압의 왜곡율이 극단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된 운전을 달성할 수 있으며, 또 입력직류전압에 대한 교류전력전압비를 높게 취할 수 있으며 또한 스위칭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직류전압을 입력하여, 스위칭소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고 있으며 적어도 상기 직류전압의 (+)극측에 일단이 접속되는 (+)측 스위칭소자의 전부가 동시에 온인상태와, 상기 직류전압의 (-)극측에 일단이 접속되는 (-)측 스위칭소자의 점부가 동시에 온인 상태와, (+)측 스위칭소자 군(群), (-)측 스위칭소자군 중 어느 스위칭소자군도 전부 동시에 온이 아닌 상태로 조합시키며 또 상기 상태의 계속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소망의 다상 교류전력전압을 얻는 PWM 인버터장치에 있어서, 각상의 스위칭소자중 어느 것에 관하여도 스위칭소자가 1회 스위칭하는 기간에 다른상의 스위칭이 적어도 1회 행하도록된 스위칭신호를 작성하는 제1의 수단과, 어느 한쌍이 스위칭하는 기간에 한번도 스위칭하지 않는 상이 적어도 1상 존재하도록된 스위칭신호를 작성하는 제2의 수단, 제1의 수단과 상기 제2의 수단을 절환시키는 절환수단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절환수단이 인버터출력전압의 진폭치 혹은 그 상당량에 의하여 절환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터 장치.
KR1019880004068A 1987-05-20 1988-04-11 Pwm 인버터 장치 KR910001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24654A JP2577738B2 (ja) 1987-05-20 1987-05-20 Pwmインバ−タ装置
JP?62-124654 1987-05-20
JP124654 1987-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727A KR880014727A (ko) 1988-12-24
KR910001047B1 true KR910001047B1 (ko) 1991-02-21

Family

ID=1489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4068A KR910001047B1 (ko) 1987-05-20 1988-04-11 Pwm 인버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47743A (ko)
JP (1) JP2577738B2 (ko)
KR (1) KR910001047B1 (ko)
DE (1) DE38173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8058B2 (ja) * 1988-04-27 1998-02-25 富士電機株式会社 三相電圧形インバータのpwm制御方法
US5072354A (en) * 1989-05-16 1991-12-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ulse-width modulation type inverter apparatus
US5227961A (en) * 1990-02-26 1993-07-13 General Electric Company Symmetrical delay circuit
EP0467694B1 (en) * 1990-07-20 1997-09-17 Kabushiki Kaisha Toshiba Three-phase PWM signal generating device for inverters
US5115386A (en) * 1990-10-15 1992-05-19 Hitachi, Ltd. Circuit for controlling an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a method therefor and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JPH05199796A (ja) * 1992-01-17 1993-08-06 Meidensha Corp 可変速駆動装置の電流制御方式
US5650708A (en) * 1992-12-08 1997-07-22 Nippondenso Co., Ltd. Inverter control apparatus using a two-phase modulation method
JP3395920B2 (ja) * 1994-07-05 2003-04-14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バータ制御装置
JPH08340691A (ja) * 1995-06-08 1996-12-24 Nippondenso Co Ltd インバータ制御装置
US5861727A (en) * 1996-04-17 1999-01-19 Dana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switched reluctance motor between multi-phase operating mode and a reduced phase operating mode
US5808440A (en) * 1996-11-22 1998-09-15 Western Digital Corporation Hybri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three-phase brushless DC motor
US6069808A (en) * 1997-05-21 2000-05-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mmetrical space vector PWM DC-AC converter controller
JP3483740B2 (ja) * 1997-08-29 2004-01-06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JP2002136152A (ja) * 2000-10-18 2002-05-10 Yaskawa Electric Corp Pwm制御インバ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677668B2 (ja) * 2000-12-25 2011-04-27 株式会社デンソー 多相交流モータ駆動制御装置
US20060071627A1 (en) * 2002-03-28 2006-04-06 Ho Eddy Y Y Motor current reconstruction via DC bus current measurement
US6972539B1 (en) 2003-04-30 2005-12-06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employing commutation phase modulation and current modulation of a spindle motor
US7053587B2 (en) * 2004-02-10 2006-05-30 Denso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ree-phase AC motor on two-phase modulation technique
JP4493433B2 (ja) * 2004-07-26 2010-06-3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インバータ制御装置
GB2458726B (en) * 2005-04-27 2010-06-23 Yaskawa Denki Seisakusho Kk Power transforming apparatus and power transforming method
CN101171741B (zh) * 2005-04-27 2010-06-09 株式会社安川电机 功率变换装置
US7348758B2 (en) * 2005-10-26 2008-03-25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Audible noise reduction for single current shunt platform
JP4798490B2 (ja) * 2006-02-06 2011-10-19 学校法人明治大学 三相交流電動機の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4715715B2 (ja) * 2006-10-20 2011-07-06 株式会社デンソー 3相回転機の制御装置
JP5018516B2 (ja) * 2008-01-31 2012-09-0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回転電機制御装置
JP4748171B2 (ja) * 2008-02-08 2011-08-17 株式会社デンソー Eps用モータ駆動装置
JP2010115090A (ja) * 2008-11-10 2010-05-20 Ricoh Co Ltd モータ駆動装置
JP4616397B2 (ja) 2009-02-23 2011-01-1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Pwm整流器
EP2413488A4 (en) * 2009-04-16 2017-08-16 Meidensha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power conversion device
JP5298003B2 (ja) * 2009-12-28 2013-09-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速度制御装置および速度制御方法
CN103081333B (zh) * 2010-08-23 2015-07-08 东芝三菱电机产业系统株式会社 电力转换装置
JP5333422B2 (ja) * 2010-12-07 2013-11-0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変換装置
DE102011017705A1 (de) * 2011-04-28 2012-10-31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Drehfeldmaschine
JP5309232B2 (ja) 2012-02-01 2013-10-0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変調方式の選択部を有するモータ駆動用のpwm整流器
CN104081639B (zh) * 2012-02-09 2018-04-2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隔离开关模式电源中变压器通量密度的控制
CN104253552B (zh) * 2013-06-28 2019-10-29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变频器的脉宽调制方法和装置
JP6260502B2 (ja) * 2014-09-16 2018-01-17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制御装置
JP6217667B2 (ja) * 2015-02-19 2017-10-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WO2017168522A1 (ja) 2016-03-28 2017-10-0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JPWO2022130480A1 (ko) * 2020-12-15 2022-06-23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198B2 (ja) * 1978-12-06 1985-05-09 株式会社東芝 インバ−タの制御装置
DE3131361A1 (de) * 1981-08-07 1983-02-24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aststromregelung eines polsumrichters
DE3573497D1 (de) * 1984-03-08 1989-11-09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Digital pwmed pulse generator
JP2585507B2 (ja) * 1984-11-27 1997-02-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ンバ−タ装置の制御装置
JPS61273175A (ja) * 1985-05-27 1986-12-03 Toshiba Corp 電力変換装置の電流制御装置
JPS62118774A (ja) * 1985-11-18 1987-05-30 Toshiba Corp インバ−タのパルス幅変調信号発生方式
US4729082A (en) * 1985-11-21 1988-03-01 Kabushiki Kaisha Toshiba Control device for power converter
JPH0669305B2 (ja) * 1986-03-05 1994-08-31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インバータによるモー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47743A (en) 1989-07-11
KR880014727A (ko) 1988-12-24
JPS63290170A (ja) 1988-11-28
JP2577738B2 (ja) 1997-02-05
DE3817338A1 (de) 1988-12-08
DE3817338C2 (ko) 199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047B1 (ko) Pwm 인버터 장치
KR100334048B1 (ko) 인버터 제어 장치
Bode et al. Implementation of three level hysteresis current control for a single phase voltage source inverter
US6310787B2 (en) Multiway power converter
EP126112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wm pulse
Zhou et al. Dead-time effect and compensations of three-level neutral point clamp inverters for high-performance drive applications
US5623192A (en) Apparatus for carrying out current control for variable speed driver and method for carrying out current control therefor
US5990658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lected voltage on motor supply lines
US5625550A (en) Apparatus used with AC motors for compensating for turn on delay errors
US7426122B2 (en) Power-converter control apparatus employing pulse width modulation and adjusting duration of a zero-voltage vector
EP0808016A1 (en) PWM inverter apparatus
US5376872A (en) Control device for voltage type pulse width modulation inverter
Walczyna et al. Space vector PWM strategy for 3-level inverters with direct self-control
KR910000102B1 (ko) 비동기모우터의 안정화 전원용 주파수변환기
TWI784727B (zh) 馬達驅動電路及馬達模組
KR20190031747A (ko) 불연속 변조 기법을 이용한 고속철도 추진제어 장치용 단상 pwm 컨버터 및 그 제어 방법
JP3182322B2 (ja) Npcインバータのpwm制御装置
JP4277360B2 (ja) 3レベル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JP2689575B2 (ja) 三相電圧形インバータのpwm制御方式
JPH09149658A (ja) 直列多重型インバータ装置
EP4071998A1 (en) Pwm inverte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H02202368A (ja) Pwmインバータの制御方法
KR100319551B1 (ko) 히스테리시스전류제어기를이용한앤피시인버터의제어장치
KR0125326B1 (ko) 가변속 구동기의 전류 제어를 실시하는 장치 및 그 실시 방법
JP2644255B2 (ja) インバータ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