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939B1 - 유 모 차 - Google Patents
유 모 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0939B1 KR910000939B1 KR1019880009516A KR880009516A KR910000939B1 KR 910000939 B1 KR910000939 B1 KR 910000939B1 KR 1019880009516 A KR1019880009516 A KR 1019880009516A KR 880009516 A KR880009516 A KR 880009516A KR 910000939 B1 KR910000939 B1 KR 9100009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push rod
- baby carriage
- connecting member
- st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only a single wheel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62B9/203—Handle bars; Handles movable from front end to rear end posi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좌측면을 도시하는 단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유모차의 압봉과 압봉연결부재의 연결부분을 유모차의 전방측에서 본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압봉을 대면밀기의 위치로 변경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4도는 압봉연결부재의 레그부와 압봉과의 겹침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조작레버를 단독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조작레버를 회동 조작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7도는 압봉연결부재의 중앙부분을 유모차의 전방측에서 본 도면.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부분의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회전부재의 정면도.
제10도는 그 평면도.
제11도는 그 정면단면도.
제12도는 제7도의 선A-A에 따라 본 부분을 도시하는 일부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박육띠의 산부를 손으로 압입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4도 및 제15도는 제8도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제14도는 조작보튼을 제2위치에 가져간 상태를 도시하고, 제15도는 조작보튼을 제3위치에 가져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6도는 압봉의 중앙부분의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에 도시되어 있는 고정부재의 정면도.
제18도는 그 측면도.
제19도는 제16도에 도시되어 있는 결합해제부재의 정면도.
제20도는 그 측면도.
제21도는 제16도에 도시되어 있는 스프링수납부재의 정면도.
제22도는 제16도에 도시되어 있는 캠부재의 정면도.
제23도는 제16도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회동후크가 비결합 위치로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24도는 회동후크가 부착되어 있는 부분을 유모차의 내면측에서 본 도면.
제25도는 핸드레일지지봉과 반전 브래킷의 연결부분을 유모차의 내면측에서 본 도면.
제26도는 압봉과 반전 브래킷의 연결부분을 유모차의 내면측에서 본 도면.
제27도는 유모차의 우측면측에 위치하는 압봉과 핸드레일지지봉과 좌석 지지봉과의 연결부분을 유모차의 후방측에서 본 도면.
제28도는 제27도의 단면도.
제29도는 제28도에 도시되어 있는 제1작용부재의 정면도.
제30도는 그 평면도.
제31도는 제28도에 도시되어 있는 개방상태 로크부재의 정면도.
제32도는 그 평면도.
제33도는 제28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계합해제부재를 중간높이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4도는 제33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결합해제부재를 최대높이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5도는 조작보튼에 관련한 부분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36도는 제35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스토퍼를 제거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37도는 제35도에 도시되어 있는 스토퍼의 평면도.
제38도는 제35도의 B-B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제39도는 제35도에 도시되어 있는 부분의 내부구조를 제38도의 화살표 C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40도는 압봉로크부재에 관련한 부분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41도는 제40도에 도시되어 있는 고정부재의 정면도.
제42도는 제40도에 도시되어 있는 결합해제부재의 정면도.
제43도는 제40도에 도시되어 있는 슬라이딩 후크의 정면도.
제44도는 슬라이딩 후크의 평면도.
제45도는 제40도에 대응한 도면으로서, 결합해제부재가 중간높이에 위치한 상태의 도면.
제46도는 제40도에 대응한 도면으로서, 결합해제부재가 최대높이에 위치한 상태의 도면.
제47도는 제28도에 대응한 도면으로서, 제1작용부재에 관련한 부분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제48도는 제47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결합해제부재가 중간높이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49도는 중앙부에 있어서 절곡가능하게 구성된 압봉연결부재의 도해적 평면도.
제50도는 제49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압봉연결부재가 절곡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51도는 제49도에 도시되어 있는 압봉연결부재의 중앙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52도는 제51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제1조작버튼이 상방으로 이동조작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53도는 제51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제1조작버튼 및 제2조작버튼이 함께 상방으로 이동조작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드레일부재 3 : 전방 레그
5 : 후방 레그 6 : 반전브래킷
8 : 핸드레일지지봉 9 : 좌석지지봉
10a, 10b : 압봉 11 : 압봉연결부재
15 : 회동후크 16, 17 : 결합핀
29 : 조작버튼 30, 31 : 회전부재
39 : 가요성 튜브 41 : 가요성 튜브
42 : 와이어 56 : 결합해제부재
59, 60 : 스프링 61 : 제2작용부
64 : 제1작용부 67 : 개방상태 로크부재
68 : 스프링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방상태의 로크해제 및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압봉의 로크해제를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련기술로서는, 일본국 특공소 58-32065호 공보 및 일본국 특공소 62-13230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가 있다. 이들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는 한쌍의 반전 브래킷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한쌍의 반전 브래킷은 각각 한쌍의 후방 레그의 중앙부에 한쪽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므로써 후방 레그의 상반부에 또는 하반부를 따라서 구를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모차가 펼쳐진 상태에 있어서는, 반전 브래킷이 후방 레그의 상반부에 연하는 위치에서 고정되므로써 유모차의 개방상태가 로크된다.
상기 반전 브래킷을 고정하기 위해, 반전 브래킷에 결합가능한 튜브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한쌍의 조작레버가 유모차의 좌우측면에 위치하는 한쌍의 압봉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레버와 튜브는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의 압봉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튜브를 이동시키면, 튜브와 반전 브래킷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반전 브래킷은 구를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즉, 유모차의 개방상태의 로크는 해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관련기술의 다른 예로서 일본국 실개소 60-105559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가 있다. 이 유모차의 압봉은 배면밀기위치 및 대면밀기위치의 2상태로 절환가능하게 되어 있다. 압봉을 배면밀기위치 또는 대면밀기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해, 회전후크와 이 회전후크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핀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후크는 좌우에 위치하는 한쌍의 압봉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 결합핀은 유모차 본체의 전방부 및 후방부의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후크를 회전조작하기 위해, 한쌍의 압봉에는 각각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압봉의 로크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한쌍의 손잡이를 양손으로 조작하여 회전후크를 회전시킨다.
일본국 특공소 58-32065호 공보 및 특공소 62-13230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에 있어서는 유모차의 개방상태의 후크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양손을 사용하여 한쌍의 조작레버를 회동조작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 일본국 실개소 60-105550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에 있어서는, 압봉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양손으로 한쌍의 손잡이를 조작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조작성을 고려했을 때, 로크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수단은 바로 옆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한손으로 조작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조작해야할 개소를 1개소만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유모차의 개방상태의 로크해제 및 압봉의 로크해제를 하나의 조작수단으로 조작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유모차는 일본국 특공소 58-32065호 공보 및 특공소 62-13230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구성 성분으로서 이하의 것을 구비한다.
a. 좌석의 양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핸드레일부재.
b. 그 상단부가 상기 핸드레일부재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에 전륜을 갖고 있는 한쌍의 전방 레그.
c. 그 상단부가 상기 핸드레일부재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에 후륜을 갖고 있는 한쌍의 후방 레그.
d. 상기 후방 레그의 중앙부에서 한쪽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므로써 상기 후방 레그의 상반부 또는 하반부를 따라 구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반전 브래킷.
e. 그 상단부가 상기 핸드레일부재의 후방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반전 브래킷의 다른쪽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핸드레일지지봉.
f. 좌석의 시트부의 양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며, 그 전방단이 상기 전방 레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방단이 상기 반전 브래킷의 다른쪽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좌석 지지봉.
유모차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반전 브래킷이 상기 후방 레그의 상반부에 연하는 위치에서 고정되므로써, 유모차의 개방상태가 로크된다. 또, 유모차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반전 브래킷이 상기 후방 레그의 하반부를 따라 위치한다.
이와 같은 유모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유모차는 하기의 것도 구비한다.
g.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며, 그 하단부가 상기 반전 브래킷의 다른쪽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므로써 배면밀기위치 및 대면밀기위치의 2상태로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쌍의 압봉.
h.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한쌍의 압봉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압봉연결부재.
i. 상기 압봉의 중앙부상에 부착되며, 결합위치와 비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압봉로크부재.
j. 상기 유모차의 본체상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위치에 있는 상기 압봉로크부재에 결합하여 상기 압봉을 배면 밀기위치 또는 대면 밀기위치에 고정시키는 결합수단.
k. 상방위치와 하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모차가 개방상태에서 하방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반전 브래킷에 결합되어 이 반전 브래킷을 상기 후방 레그의 상반부에 연하는 위치에서 고정하는 한쌍의 개방상태 로크부재.
l. 상기 개방상태 로크부재가 항상 하방위치에 위치하도록 편향시키는 한쌍의 편향수단.
m. 상기 압봉을 따라 최저높이위치, 중간높이위치 및 최대높이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또한 상기 중간높이에 위치했을 때 상기 개방상태 로크부재를 하방으로부터 밀어올려 상기 상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작용부와, 상기 최대높이에 위치했을 때 상기 압봉로크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압압하여 상기 비결합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작용부를 갖고 있는 한쌍의 결합해제부재.
n. 상기 한쌍의 결합해제부재가 항상 최저높이위치로 향하도록 편향시키는 한쌍의 편향수단.
p. 제1위치, 제2위치 및 제3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또한 상기 압봉연결부재의 중앙부에서 상기 와이어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조작수단.
상기 한쌍의 결합해제부재가 최저높이에 위치할 때, 상기 조작수단은 제1위치에 있다. 상기 조작수단을 손으로 조작하여 상기 제2위치에 위치시켰을 때, 상기 한쌍의 결합해제부재는 상기 와이어 수단에 인장되어 상기 중간높이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조작수단을 손으로 조작하여 상기 제3위치에 위치시켰을 때, 상기 한쌍의 결합해제부재는 상기 와이어 수단에 인장되어 상기 최대높이 위치로 이동한다.
유모차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한쌍의 결합해제부재는 한쌍의 편향수단에 의해 편향되어 최저높이에 위치되고, 한쌍의 개방상태 로크부재는 한쌍의 편향수단에 의해 하방위치로 편향된다. 그 상태에서는 한쌍의 개방상태 로크부재는 한쌍의 편향수단에 의해 하방위치로 편향된다. 그 상태에서는 한쌍의 개방상태 로크부재는 한쌍의 반전 브래킷에 결합하고, 반전 브래킷을 후방 레그의 상반부에 연하는 위치에서 고정하고 있다. 그 결과, 유모차의 개방상태는 로크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한쌍의 압봉로크 부재는 결합위치에 있고, 유모차의 본체상에 설치된 결합 수단과 결합하여 압봉을 배면밀기위치 및 대면밀기위치에서 고정하고 있다. 조작수단은 제1위치에 있다.
다음에, 조작수단을 손으로 조작하여 제2위치에 위치시키면, 한쌍의 결합해제부재는 와이어 수단에 의해 인장되어 중간높이 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면, 결합해제부재의 제1작용부가 개방상태 로크부재를 하방으로부터 밀어올려 상방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개방상태 로크부재와 반전 브래킷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반전 브래킷은 구를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바꿔말하면, 조작수단을 제2위치에 위치시키면, 유모차의 개방상태의 로크는 해제된다.
다음에, 조작수단을 손으로 조작하여 제3위치에 위치시키면, 한쌍의 결합해제부재는 와이어 수단에 인장되어 최대높이 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면, 결합해제부재의 제2작용부가 압봉로크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압압하여 비결합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압봉로크부재와 결합수단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압봉의 로크가 해제된다. 따라서, 압봉을 회동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동작을 요약하면, 압봉연결부재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조작수단을 손으로 조작하여 제2위치에 위치시키면, 유모차의 개방상태의 로크가 해제된다. 그리고, 조작수단을 제3위치에 위치시키면, 압봉에 대한 로크가 해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봉연결부재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단일의 조작수단을 조작하므로써, 유모차의 개방상태의 로크를 해제한다든지 압봉의 로크를 해제한다든지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조작은 한손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단일의 조작수단이므로 그 조작이 상당히 간단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좌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제1도는 압봉이 배면밀기위치에 고정된 상태이고, 제3도는 압봉이 대면밀기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유모차의 우측면은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한 것과 대칭으로 나타난다.
유모차는 기본적인 구성 성분으로, 좌석의 양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핸드레일부재(1)와, 그 상단부가 핸드레일부재(1)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에 전륜(2)을 갖고 있는 한쌍의 전방 레그(3)과, 그 상단부가 핸드레일부재(1)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에 후륜(4)을 갖고 있는 한쌍의 후방 레그(5)와, 후방 레그(5)의 중앙부에서 한쪽단이 축(7)을 거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에 따라 후방 레그(5)의 상반부 또는 하반부를 따라 구르도록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반전 브래킷(6)과, 그 상단부가 핸드레일부재(1)의 후방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반전 브래킷(6)의 다른쪽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핸드레일지지봉(8)과, 좌석의 시트부에서 양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며 그 전방단이 전방 레그(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방단이 반전 브래킷(6)의 다른쪽 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좌석지지봉(9)을 구비하고 있다. 반전 브래킷(6)과 핸드레일지지봉(8) 및 좌석지지봉(9)은 축(1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유모차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반전 브래킷(6)이 후방 레그(5)의 상반부에 연하는 위치에 고정되므로써 유모차의 개방상태가 로크된다. 반전 브래킷(6)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면 유모차의 개방상태의 로크가 해제된다. 즉, 유모차를 절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모차의 절첩 동작에 따라, 반전 브래킷(6)은 제1도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유모차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는 반전 브래킷(6)은 제1도에 있어서 상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레그(5)의 하반부에 연하도록 위치한다. 이와 같은 절첩동작은 일본국 특공소 58-32065호 공보 또는 특공소 62-1323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유모차의 경우와 동일하다. 유모차가 절첩된 상태에서는 전륜(2)과 후륜(4)이 서로 가까워지고, 또 그들은 동일높이에 위치하여 유모차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3도를 참조하면, 유모차는 또한, 그 하단부가 핸드레일부재(1)의 후방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한쌍의 등받이부재(13)와, 상하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하단부가 축(12)을 거쳐 반전 브래킷(6)의 다른쪽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그에따라 배면밀기위치 및 대면밀기위치의 두 상태로 절환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쌍의 압봉(10a, 10b)과,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며 한쌍의 압봉(10a, 10b)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압봉연결부재(11)를 구비하고 있다.
등받이부재(13)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는 적당한 리클라이닝(reclining)조정수단에 의해 소요의 경사 각도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압봉(10a, 10b)의 중앙부에는 축(14)을 거쳐 한쌍의 회동후크(15)가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핸드레일부재(1)의 후방부 및 전방부에는 각각 결합핀(16, 17)이 설치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회동후크(15)가 한쪽 결합핀(16)에 결합하므로써 한쌍의 압봉(10a, 10b)을 배면밀기위치에서 고정하고 있다. 제3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회동후크(15)가 다른쪽 결합핀(17)에 결합하므로써 한쌍의 압봉(10a, 10b)을 대면밀기 상태에서 고정하고 있다.
제2도는 한쌍의 압봉(10a, 10b)과 압봉연결부재(11)의 연결부분을 유모차의 앞에서 본 도면이다. 압봉연결부재(11)는 한쌍의 압봉(10a, 10b)의 상방부에 서로 겹쳐지는 레그부(11a, 11b)를 갖고 있다. 이 압봉연결부재(11)는 한쌍의 압봉(10a, 10b)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4도는 압봉연결부재(11)의 한쪽 레그부(11a)와 압봉(10a)의 겹침부분을 상세히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압봉(10a)의 상방부는 압봉연결부재(11)의 레그부(11a)내에 끼워져 있다. 압봉(10a)에는 상하방향으로 길다란 장공(19)이 형성되어 있으며, 레그부(11a)에는 상기 장공(19)내를 삽입 관통하는 축(18)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압봉연결부재(11)는 축(18)이 장공(19)내를 이동할 수 있는 범위만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압봉연결부재(11)를 적당한 높이로 고정하기 위해, 압봉(10a)에는 상하방향으로 정렬한 복수개의 결합구멍(20, 21, 22)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레그부(11a)에는 축(23)을 거쳐 조작레버(24)가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5도에는 조작레버(24)가 단독으로 도시되어 있다. 조작레버(24)는 감입편(26)을 갖고 있다. 또, 조작레버(24)에는 장공(28)이 형성되어 있다. 감입편(26)은 축(27)을 포함하며, 이 축(27)은 장공(28)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4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조작레버(24)의 감입편(26)이 압봉(10a)의 결합구멍(22)내에 끼워지며, 그에 따라 압봉연결부재(11)의 이동이 금지되고 있다. 이 감합상태는 스프링(25)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된다. 압봉연결부재(11)의 높이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스프링(25)의 힘에 저항하여 조작레버(24)를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 상태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조작레버(24)의 감입편(26)은 결합구멍(22)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따라서, 압봉연결부재(11)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압봉연결부재(11)를 소정의 높이까지 이동시킨 후 조작레버(24)를 누르고 있던 손을 떼면, 조작레버(24)는 스프링(25)의 편향력에 의해 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감입편(26)이 결합구멍(20, 21, 22)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서 압봉연결부재(11)의 높이를 고정한다.
제7도는 압봉연결부재(11)의 중앙부를 유모차의 앞에서 본 도면이다. 제8도는 그 부분의 단면도이다. 압봉연결부재(11)의 중앙부에는 유모차의 개방상태의 로크의 해제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조작수단은 압봉연결부재(11)의 중앙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하나로 통합되는 조작버튼(29)과, 그 중앙부가 축(34)을 거쳐 압봉연결부재(11)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며 그 한쪽단이 핀과 장공의 조합을 거쳐 조작버튼(29)에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회전부재(30, 31)를 포함한다.
제8도에 명료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작버튼(29)에는 상하방향으로 길다란 장공(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봉연결부재(11)의 중앙부에는 상기 장공(33)내를 삽입 관통하는 축(32)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조작버튼(29)은 축(32)이 장공(33)내를 상대적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는 범위만큼 압봉연결부재(11)에 대해 상하이동할 수 있다.
제9도 내지 제11도에는 회전부재(30)가 단독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쌍의 회전부재(30, 31)는 각각 그 한쪽단에 핀(35, 37)을 갖고 있다. 이들 핀(35, 37)은 각각 조작버튼(29)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36, 38)내에 수용되어 있다. 장공(36, 38)은 압봉연결부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다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해서, 한쌍의 회전부재(30, 31)는 조작버튼(29)의 상하이동을 따라 서로 역방향으로 회동한다. 예를 들면, 제8도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조작버튼(29)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한쪽의 회전부재(30)는 축(3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다른쪽 회전부재(31)는 축(34)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제9도 및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중심구멍(46)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축(34)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것이며, 또 제9도 및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구멍(47)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핀(35)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8도에 부분적으로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압봉연결부재(11) 및 한쌍의 압봉(10a, 10b)내부에는 한쌍의 가요성 튜브(39, 41)가 느슨한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제4도에도 한쪽의 가요성 튜브(39)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한쪽 가요성 튜브(39)는 그 상단부가 부착부재(43)를 거쳐서 압봉연결부재(11)에 고정되고, 그 하단부가 한쪽 압봉(10a)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쪽 가요성 튜브(41)는 그 상단부가 부착부재(44)를 거쳐 압봉연결부재(11)에 고정되고, 그 하단부가 다른쪽 압봉(10b)에 고정되어 있다.
한쪽 가요성 튜브(39)내에는 와이어(40)가 밀착한 상태에서 활주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고 있다. 와이어(40)의 선단에는 선단핀(49)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선단핀(49)은 회전부재(31)의 다른쪽단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51)에 끼워져 있다. 제8도에서는 보여지지 않지만, 와이어(40)의 타단은 압봉(10a)의 하방부내에 수납되어 있는 결합해제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결합해제부재에 관련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마찬가지로, 다른쪽 가요성 튜브(41)내에도 와이어(42)가 밀착한 상태에서 활주가능하게 삽입 관통하고 있다. 와이어(42)의 선단에는 선단핀(50)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선단핀(50)은 회전부재(30)의 다른쪽단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48)내에 끼워져 있다. 와이어(42)의 타단도 압봉(10b)의 하방부내에 수납되어 있는 결합해제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40, 42)는 그 타단이 함께 스프링에 의해서 하방을 향해 인장되어 있다. 바꿔말하면, 한쪽 회전부재(31)는 제8도에 있어서 항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편향되고, 다른쪽 회전부재(30)는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편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작버튼(29)을 조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버튼(29)은 회전부재(30, 31)에 의해서 하방으로 압압되며, 최하방의 위치, 즉 제1위치에 위치된다.
조작버튼(29)은 상술한 제1위치 이외에, 제2위치 및 제3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버튼(29)에는 박육띠(45)가 형성된다. 제12도는 제7도의 A-A선상에서 본 부분단면도이다. 박육띠(45)는 전방으로 돌출한 산 형상으로 되며, 그 산의 정상부는 조작버튼(29)의 표면(29a)보다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박육띠(45)는 그 두께가 얇으므로, 탄력성을 갖는다. 따라서, 박육띠(45)를 손가락으로 전방으로부터 압입하면,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육띠(45)의 정상부는 내부로 인입되어, 조작버튼(29)의 표면(29a)과 면일치의 관계로 된다.
제8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조작버튼(29)을 손으로 조작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먼저 박육띠(45)가 압봉연결부재(11)의 저면부에 맞닿고, 그에따라 조작버튼(29)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 상태는 제14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제14도에 도시하는 조작버튼(29)의 위치가 제2위치이다. 조작버튼(29)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한쪽의 회전부재(31)가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따라 와이어(40)를 압봉(10a)에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쪽 회전부재(30)는 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에따라 와이어(42)를 압봉(10b)에 연하여 상방으로 끌어올린다.
제14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박육띠(45)를 손가락으로 압입하여 내부에 인입시키면, 조작버튼(29)를 더욱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해서, 조작버튼(29)을 제14도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더욱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가 제15도에 도시된다. 제15도에 도시하는 상태가 조작버튼(29)의 제3위치이다. 이상태에서 와이어(40, 42)는 함께 압봉(10a, 10b)을 따라 더욱 상방으로 끌어올려져 있다.
또한, 와이어(40, 42)를 내부에 삽입 관통시키고 있는 가요성 튜브(39, 41)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느슨한 상태로 압봉연결부재(11) 및 압봉(10a, 10b)내에 수납되어 있다. 가요성 튜브(39, 41)를 이와 같이 이완상태로 수납시킨 것은 압봉연결부재(11)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압봉연결부재(11)의 높이를 바꾸면, 가용성 튜브(39, 41)의 이완상태는 바뀌지만, 가요성 튜브(39, 41) 그 자체의 길이는 일정하다. 따라서, 압봉연결부재(11)의 높이를 변경해도 와이어(40, 42)에 대한 장력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16도는 유모차의 우측면측에 위치하는 압봉(10b)의 중앙부분을 유모차의 안쪽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압봉(10b)의 중앙부분에는 축(14)이 관통하고 있으며, 이 축(14)을 이용하여 회동후크(15), 캠부제(53) 및 고정부재(52)가 부착되어 있다. 회동후크(15)는 유모차의 내면측을 향하는 압봉(10b)의 측면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캠부재(53) 및 고정부재(52)는 압봉(10b)내에 수납되어 있다. 회동후크(15) 및 캠부재(53)는 축(14)과 일체로 되어 회전한다.
제17도 및 제18도에는 고정부재(52)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부재(52)의 하방부분에는 관통된 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축(14)은 이 구멍(54)내를 삽입 관통하고 있다.
제16도를 참조하면, 압봉연결부재(11)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연장해온 가요성 튜브(41)의 상방단은 부착부재(55)를 거쳐 고정부재(52)의 상방부에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다. 압봉(10b)내에는 결합해제부재(56)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이 결합해제부재(56)는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분(56a)을 갖고 있다. 압봉(10b)을 관통하고 있는 축(14)은 결합해제부재(56)의 공간부분(56a)내에 위치한다.
제16도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튜브(41)내를 삽입 관통하고 있는 와이어(42)의 하방단은 핀(57)을 거쳐 결합해제부재(56)의 상방부에 연결된다. 결합해제부재(56)와 고정부재(52)사이에는 스프링(60)이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결합해제부재(56)는 항상 하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바꿔말하면, 와이어(42)에는 항상 하방으로 향한 장력이 작용하고 있다.
축(14) 및 회동후크(15)와 일체로 회전하는 캠부재(53)상에는 스프링받이부재(58)가 놓여져 있다. 스프링받이부재(58)는 제21도에 단독으로 도시되어 있고, 캠부재(53)는 제22도에 단독으로 도시되어 있다. 캠부재(53)는 평면부분(53a)을 갖고 있으며, 이 평면부분(53a)상에 스프링받이부재(58)의 저면이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받이부재(58)와 결합해제부재(56) 사이에는 스프링(59)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59)의 작용에 의해 스프링받이부재(58)는 항상 하방을 향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59)의 스프링력은 결합해제부재(56)와 고정부재(52)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60)의 스프링력보다 작다.
제16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부제(53)가 축(14) 및 회동후크(15)와 함께 회전하면, 스프링받이부재(58)는 스프링(59)의 편향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한다.
제23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스프링받이부재(58)와 캠부제(53)의 관계는 불안정한 상태이며, 그들은 스프링(59)의 편향력에 의해 항상 제16도에 도시하는 안정상태로 복귀하려고 하고 있다.
제24도는 회동후크(15)가 유모차의 내면측을 향하는 압봉(10b)의 측면상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회동후크(15)는 핸드레일부재(1)의 후방부 및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핀(16, 17)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凹부(15a, 15b)를 갖고 있다. 또, 회동후크(15)의 하방부분은 하방정상부(15c)를 정점으로 하는 V자 형상이 되게 되어 있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후크(15)의 한쪽 결합凹부(15a)가 핸드레일부재(1)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핀(16)에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 한쌍의 압봉(10a, 10b)은 배면밀기의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후크(15)의 다른쪽 결합凹부(15b)가 핸드레일부재(1)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핀(17)에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압봉(10a, 10b)은 대면밀기의 상태로 고정된다.
제19도 및 제20도를 참조하면, 결합해제부재(56)에는 측방으로 돌출한 제2작용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작용부(61)는 압봉(10b)의 벽을 돌출하여, 유모차의 내면측으로 향한 압봉(10b)의 측면상에 돌출하고 있다. 제24도를 참조하면, 압봉(10b)에는 제2작용부(61)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길다란 장공(63)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해제부재(56)의 상하이동에 따라 제2작용부(61)는 장공(63)내를 상하이동한다.
또한, 회동후크(15)의 형상, 및 회동후크(15)와 결합핀(16, 17)과의 위치관계등은 이하에 설명하는 동작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선택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버튼(29)이 제1위치에 있을 때, 회동후크(15) 및 결합해제부재(56)는 제16도에 도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그 상태에서 회동후크(15)는 핸드레일부재(1)상에 설치된 결합핀(16 또는 17)과 결합하여, 한쌍의 압봉(10a, 10b)을 배변밀기위치 또는 대면밀기위치에서 고정하고 있다.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버튼(29)을 손으로 조작하여 제2위치에 위치시켰을때에는, 결합해제부재(56)는 와이어(42)에 인장되어 상방으로 이동한다. 결합해제부재(56)의 상방 이동에 따라, 제2작용부(61)도 상방으로 이동한다. 제2작용부(61)가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제16도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버튼(29)을 제2위치에 이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제2작용부(61)는 상방으로 이동하지만, 회동후크(15)를 하방으로부터 압압하도록하는 위치에까지는 도달하고 있지 않다.
또한,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버튼(29)을 제3위치로 이동시켰을 때 결합해제부재(56)는 더욱 상방으로 이동하고, 그에따라 제2작용부(61)도 더욱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상태가 제23도에 도시한 상태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버튼(29)을 제3위치로 이동시켰을때에는 제2작용부(61)가 회동후크(15)의 경사면(15d)을 하방으로부터 압압하고, 그것에 의해 회동후크(15)를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있다. 그결과, 회동후크(15)의 결합凹부(15a)와 결합핀(16)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한쌍의 압봉(10a, 10b)을 회동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4도에 도시하는 상태는 한쌍의 압봉(10a, 10b)이 대면밀기위치에서 고정되며, 또한 조작버튼(29)을 제2위치에까지 이동시켰을때의 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제24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조작버튼(29)을 제3위치에까지 이동시키면, 제2작용부(61)가 회동후크(15)의 경사면(15e)을 하방으로부터 압압하고, 그것에 의해서 회동후크(15)를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결과, 회동후크(15)의 결합凹부(15b)와 결합핀(17)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며, 한쌍의 압봉(10a, 10b)을 회동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5도는 유모차의 우측면측에 위치하는 반전 브래킷(6)과 핸드레일지지봉(8)의 연구부분을 유모차의 내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제26도는 유모차의 우측면측에 위치하는 압봉(10b)과 반전 브래킷(6)의 연결부분을 유모차의 내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 제27도는 유모차의 우측면측에 위치하는 반전 브래킷(6)에 관련한 부분을 유모차의 후방측에서 본 도면이며, 제28도는 그 부분의 단면도이다. 또한, 제25도 및 제26도에서는 편의상 좌석지지봉(9)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반전 브래킷(6)은 후방 레그(5)이 사이에 끼도록 하여 배치되고, 그 한쪽단은 축(7)을 거쳐 후방 레브(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반전 브래킷(6)의 다른쪽단에는 축(12)을 거쳐 좌석지지봉(9)의 후방단부, 핸드레일지지봉(8)의 하방단부 및 압봉(10b)의 하방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7도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레일지지봉(8), 후방 레브(5), 반전 브래킷(6)을 사이에두고, 압봉(10b)은 그들의 외측방측으로 위치하며, 좌석지지봉(9)은 그들의 내측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유모차가 펴진 상태에 있어서는, 반전 브래킷(6)이 후방 레그(5)의 상반부에 연하는 위치에서 고정되므로써 유모차의 개방상태가 로크된다. 또, 유모차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는 반전 브래킷(6)이 후방 레그(5)의 하반부에 연하도록 위치한다.
와이어(42)에 의해 인장되어 올라가는 결합해제부재(56)는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방부분에 하방공간(56b)을 갖고 있다. 이 하방공간(56b)내에는 제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해제부재의 일구성요소인 제1작용부(64)가 수용되어 있다. 이 제1작용부(64)의 전체 형태는 제29도 및 제30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1작용부(64)는 유모차의 내측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압상부(64a)를 갖고 있다. 이 압상부(64a)는 압봉(10b)의 벽을 넘어 돌출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봉(10b)에는 압상부(64a)를 안내하기 위한 장공(66)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제28도에 명료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결합해제부재(56)의 하방단부와 제1작용부(64)사이에는 양부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스프링(65)이 배치되어 있다.
제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레일지지봉(8)의 하방단 부분에도 상하방향으로 길다란 안내구멍(6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구멍(69)내에는 개방상태 로크부재(67)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수납된다. 제31도 및 제32도에는 개방상태 로크부재(67)가 단독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상태 로크부재(67)는 외측방측 및 내측방측으로 향해 돌출하고 있는 결합축부(67a)를 갖고 있다. 또, 제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상태 로크부재(67)와 핸드레일지지봉(8)사이에는 스프링(68)이 수납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개방상태 로크부재(67)는 항상 하방을 향하게 된다. 또한, 이 스프링(68)의 스프링력은 결합해제부재(56)와 제1작용부(64)사이에 수납되어 스프링(65)의 스프링력보다 작다.
제25도 및 제26도를 참조하면, 반전 브래킷(6)에는 개방상태 로크부재(67)의 결합축부(67a)를 받아들이도록 결합凹부(6a)가 형성되어 있다. 유모차가 펼쳐진 상태에서, 개방상태 로크부재(67)의 결합축부(67a)와 반전 브래킷(6)의 결합凹부(6a)가 결합상태에 있으므로, 반전 브래킷(6)의 회동이 금지되고, 유모차의 개방상태가 로크되어 있다.
제26도, 제27도 및 제28도를 참조하면, 개방상태 로크부재(67)의 결합축부(67a)와 반전 브래킷(6)의 결합부(6a)가 결합상태에 있을 때 결합축부(67a)는 제1작용부(64)의 압상부(64a)상에 맞닿아 위치하고 있다. 개방상태 로크부재(67)는 상방위치와 하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또, 결합해재부재(56)는 압봉(10b)을 따라 최저높이위치, 중간높이위치 및 최대높이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제28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개방상태 로크부재(67)가 하방위치에 있으며, 또 결합해제부재(56)는 최저높이위치에 있다. 제33도 및 제34도는 제28도에 대응한 도면이다. 제33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개방상태 로크부재(67)가 상방위치에 있고, 결합해제부재(56)가 중간높이위치에 있다. 제34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개방상태 로크부재(67)가 상방위치에 있으며, 결합해제부재(56)가 최대높이위치에 있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유모차의 좌측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며, 또 제16도 내지 제34도는 유모차의 우측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유모차의 좌우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의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완전히 동일하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에, 전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압봉(10a, 10b)이 배면밀기의 상태에서 고정되고, 또한 유모차의 개방상태가 로크되어 있다고 하자. 그 경우, 압봉연결부재(11)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버튼(29)은 제8도에 도시하는 제1위치에 있다. 또, 압봉(10b)의 중앙부에 부착되어 있는 회동후크(15)는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위치에 있다. 게다가, 결합해제부재(56)는 제16도 및 제28도에 도시하는 최저높이위치에 있다. 또, 개방상태 로크부재(67)는 제28도에 도시하는 하방위치에 있다.
다음에 조작버튼(29)을 손으로 조작하여 제14도에 도시하는 제2위치로 이동시켰다고 하자. 그러면, 한쌍의 회전부재(30, 31)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와이어(40, 42)를 한쌍의 압봉(10a, 10b)을 따라 상방으로 끌어올린다. 그러면, 결합해제부재(56)는 와이어(42)에 의해 인장되어 상방으로 이동하고, 중간높이위치에 이른다. 제16도에 있어서, 결합해제부재(56)의 제2작용부(61)가 중간높이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33도를 참조하면, 결합해제부재(56)가 중간높이위치에까지 이동하면, 개방상태 로크부재(67)가 제1작용부(64)의 압상부(64a)에 의해 밀어올려져서, 상방위치에 도달한다. 그 결과, 개방상태 로크부재(67)의 결합축부(67a)와 반전 브래킷(6)의 결합凹부(6a)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반전 브래킷(6)은 구를 수 있게 된다. 환언하면, 유모차의 개방상태의 로크가 해제되고, 유모차를 절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제1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버튼(29)의 박육띠(45)를 손가락으로 내부로 압입하고, 조작버튼(29)을 제3위치로 이동시켰다고 하자. 그러면,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해제부재(56)가 와이어(42)에 인장되어 최대높이위치에 도달한다. 결합해재부재(56)의 제2작용부(61)는 회동후크(15)의 경사면(15d)을 하방으로부터 압압하고, 그것에 의해 회동후크(15)를 비결합위치에 가져간다. 그 상태에서는 회동후크(15)의 결합凹부(15a)와 결합핀(16)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있으므로, 한쌍의 압봉(10a, 10b)을 회동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상태 로크부재(67) 및 제1작용부(64)는 더욱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으므로, 결합해제부재(56)는 스프링(65)을 압축하여 최대높이위치에 이른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서 압봉연결부재(1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버튼(29)을 제2위치로 이동시키면, 유모차의 개방상태의 로크가 해제된다. 그리고, 조작버튼(29)을 제3위치로 이동시키면, 한쌍의 압봉(10a, 10b)에 대한 로크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유모차의 개방상태의 로크의 해제 및 압봉에 대한 로크의 해제를 하나의 조작버튼(29)으로 조작하므로, 그 조작이 대단히 간단하다. 게다가, 조작버튼(29)으로 압봉 연결부재(11)의 중앙부의 1개소에 설치되어 있을 뿐이므로, 한손으로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도 내지 제34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등한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개방상태 로크부재(67)의 결합축부(67a)와 반전 브래킷(6)의 결합凹부(6a)를 결합시키므로써, 반전 브래킷(6)을 후방 레그(5)의 상반부에 따른 위치에서 고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결합축부(67a)와 결합凹부(6a)의 조합대신에,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소 58-32065호 공보나 특공소 62-13230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와 같이, 통형상의 튜브를 이용하여 반전 브래킷의 회동을 금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결합해제부재(56)와 제1작용부(64)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들을 일체로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 개방상태 로크부재(67)는 필요 이상으로 크게 상방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레그부의 구조의 변형예 중 몇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5도 내지 제39도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앞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하는 요소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그들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제35도를 참조하면, 압봉 연결부재(11)상에서 스토퍼(100)가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35도에서 스토퍼(100)는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위치로부터 좌방향 및 우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제36도는 제35도로부터 스토퍼(100)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 제37도는 스토퍼(100)의 평면도이다. 제38도는 제35도의 선B-B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36도를 참조하면, 압봉 연결부재(11)에는 그 벽을 관통하는 2개의 창부(105, 106)가 형성됨과 동시에, 4개의 오목부(107, 108, 109, 110)가 형성되어 있다. 제37도를 참조하면, 스토퍼(100)는 전체로서 판형상이며, 그 내면에 두 개의 갈퀴부(101, 102)와 두 개의 볼록부(103, 104)를 갖고 잇다. 제3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100)의 한쪽 갈퀴부(101)는 압봉 연결부재(11)의 한쪽 창부(105)에 끼어넣어져 결합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스토퍼(100)의 다른쪽 갈퀴부(102)도 압봉 연결부재(11)의 다른쪽 창부(106)에 끼어넣어져 결합하고 있다. 제3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100)가 중앙의 위치에 있을때에는 스토퍼(100)의 볼록부(103)가 압봉 연결부재(11)의 오목부(108)에 결합하고, 또 스토퍼(100)의 볼록부(104)가 압봉 연결부재(11)의 오목부(109)에 결합하고 있다. 이들의 결합관계에 의해, 스토퍼(100)의 자유스러운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다. 또, 제35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스토퍼(100)를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스토퍼(100)의 볼록부(103)가 압봉 연결부재(11)의 오목부(107)에 결합한다. 한편, 스토퍼(100)가 제35도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면, 스토퍼(100)의 볼록부(104)가 압봉 연결부재(11)의 오목부(110)에 결합하게 된다.
제39도는 제35도에 도시한 부분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는 제38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따라서, 압봉 연결부재(11)의 2개의 창부(105, 106), 스토퍼(100)의 갈퀴부(101, 102)가 관찰된다. 스토퍼(100)의 갈퀴부(101)에 대응하여, 조작버튼(29)에는 당벽부(112), 제1절결부(114) 및 제2절결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제1절결부(114) 및 제2절결부(116)는 당벽부(112)를 사이에 끼워지도록 위치하고 있다. 또, 제2절결부(116)는 제1절결부(114)에 비해 그 절결의 정도가 크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스토퍼(100)의 갈퀴부(102)에 대응하여, 조작버튼(29)에는 당벽부(111), 제1절결부(113) 및 제2절결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제1절결부(113) 및 제2절결부(115)는 당벽부(111)를 사이에 끼워지도록 위치하고 있다. 제2절결부(115)는 제1절결부(113)에 비해 그 절결위 정도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유모차의 통상의 사용상태에 있어서는, 스토퍼(100)는 제35도 및 제39도에 도시된 중앙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스토퍼(100)가 중앙위치에 있을 때, 조작버튼(29)의 당벽부(112, 111)는 각각 스토퍼(100)의 갈퀴부(101, 102)에 맞닿고 있다. 그 때문에, 조작버튼(29)은 상방으로 이동할 수가 없다. 따라서, 사람의 오조작에 의해 조작버튼(29)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유모차의 개방상태의 로크가 불의에 해제된다든지, 압봉에 대한 로크가 불의에 해제한다든지 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다음에, 유모차의 개방상태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토퍼(100)를 제35도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39도에 있어서 갈퀴부(101, 102)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갈퀴부(101, 102)는 각각 조작버튼(29)의 제1절결부(113, 114)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조작버튼(29)을 갈퀴부(101, 102)에 맞닿을 때까지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조작버튼(29)은 전술한 제2위치에 위치하고, 유모차에 대한 개방상태의 로크를 해제한다.
한편, 제39도에 있어서 스토퍼(100)의 갈퀴부(101, 102)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갈퀴부(101, 102)는 각각 조작버튼(29)의 제2절결부(115, 116)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조작버튼(29)을 갈퀴부(101, 102)에 맞닿을 때까지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조작버튼(29)은 전술한 제3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압봉에 대한 로크가 해제된다.
제40도 내지 제46도는 제16도에 도시한 압봉로크 부재에 관련한 부분의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40도는 제16도에 대응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또는 상당의 요소를 표시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압봉로크 부재로서의 회동후크(15)가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제40도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압봉로크 부재로서 압봉(10b)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된 슬라이딩 후크(117)가 사용되고 있다. 제41도는 제17도에 대응한 도면이며, 고정부재(52)를 도시하고 있다. 제41도에 도시한 고정부재(52)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119) 및 둥근 구멍(12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52)는 둥근 구멍(120)을 삽입 관통하는 축(121)을 거쳐 압봉(10b)에 고정된다.
제42도는 제19도에 대응한 도면이며, 결합해제부재(56)를 도시하고 있다. 제42도에 도시되어 있는 결합해제부재(56)에서는 리브(118)가 전술한 제2작용부(61)의 작용을 한다.
제43도는 슬라이딩 후크(117)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제44도는 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후크(117)는 압봉(10b)을 둘러쌀 수 있는 슬리브의 형태로 되어 있다.
압봉(10b)에는 제41도에 도시하는 고정부재(52)의 장공(119)과 정렬한 위치에 장공(119)과 동일크기의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40도를 참조하면, 압봉(10b)내에는 스프링받이부재(122)가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받이부재(122)와 슬라이딩 후크(117)는 고정부재(52)의 장공(119) 및 압봉(10b)의 장공을 삽입 관통하는 축(123)을 거쳐 서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후크(117) 및 스프링받이부재(122)는 축(123)이 고정부재(52)의 장공(119) 및 압봉(10b)의 장공내를 이동할 수 있는 범위만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40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축(123)은 고정부재(52)의 장공(119) 및 압봉(10b)의 장공 하방단에 위치하고 있다. 제4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해제부재(56)와 스프링받이부재(122)사이에는 스프링(59)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56)은 스프링받이부재(122)가 항상 하방으로 향해 이동되도록 한다. 슬라이딩 후크(117)가 제40도에 도시하는 하방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딩 후크(117)는 결합핀(16)과 결합하여 압봉의 위치를 고정하고 있다.
제45도는 결합해제부재(56)가 와이어(42)에 인장되어 중간높이위치에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45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후크(117)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있지 않다.
제46도는 제23도에 대응한 도면이며, 결합해제부재(56)가 와이어(42)에 인장되어 최대높이 위치에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46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결합해제부재(56)의 리브(118)가 스프링받이부재(122)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고 있다. 스프링받이부재(122)와 슬라이딩 후크(117)는 축(123)을 거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프링받이부재(122)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슬라이딩 후크(117)도 상방으로 이동하며, 결합핀(16)과의 결합을 해제하고 있다.
제47도는 제28도에 대응한 도면이며, 결합해제부재(56)의 제1작용부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8도에 도시한 구조에서는 제1작용부(64)가 결합해제부재(56)와는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제47도에 도시한 구조의 경우, 결합해제부재(56)는 제1작용부(124)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제48도는 제33도에 대응한 도면이며, 결합해제부재(56)가 중간높이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48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개방상태 로크부재(67)의 결합축부(67a)와 반전 브래킷(6)의 결합凹부(6a)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상태 로크부재(67)는 제48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더욱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여유가 있으므로, 결합해제부재(56)는 더욱 상방으로 이동하며 최대높이 위치에까지 도달할 수가 있다.
유모차 중에는 그 펼쳐진 상태에서 절첩상태로 이행할 때, 전후방향의 길이치수를 줄일 수 있을뿐 아니라 폭방향의 치수도 줄일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이 있다. 제49도 내지 제53도에 도시한 변형예는 그와 같은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한쌍의 압봉(10a, 10b)을 연결하는 압봉연결부재(11)는 유모차의 절첩시에 있어서 폭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기 위해, 그 대략 중앙부분에 있어서 절곡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49도 및 제50도는 그와 같은 압봉연결부재(11)를 도해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단면도이다. 도시하는 압봉연결부재(11)는 3개의 부재, 즉 중앙부재(125), 우측방부재(126) 및 좌측방부재(127)로 구성되어 있다. 우측방부재(126)는 그 일단이 축(128)을 거쳐서 중앙부재(12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또 그 타단이 한쪽 압봉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좌측방부재(127)는 그 일단이 축(129)을 거쳐 중앙부재(12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 타단이 다른쪽 압봉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49도는 유모차가 펼쳐저 있는 상태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좌측방부재(127), 중앙부재(125) 및 우측방부재(126)는 대략 직선상으로 정렬하고 있다. 제50도는 유모차가 절첩되어 있는 상태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좌측방부재(127)와 중앙부재(125)는 굴곡한 관계로 되며, 또 우측방부재(126)와 중앙부재(125)도 굴곡한 관계로 되어 있다.
제49도 및 제50도를 참조하면, 우측방부재(126)상에는 직선상으로 연장하는 제1홈부(130) 및 제2홈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방부재(127)상에도 직선상의 형태로 되어있는 제1홈부(132) 및 제2홈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재(125)상에는 그 양단부가 전술한 홈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된 로크판(134)이 배치되어 있다. 로크판(134)이 우측방부재(126)의 제1홈부(130) 및 좌측방부재(127)의 제1홈부(132)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는 중앙부재(125)에 대한 우측방부재(126)의 회전 및 중앙부재(125)에 대한 좌측방부재(127)의 회전이 금지된다. 즉, 제49도에 도시하는 직선상의 정렬상태는 고정 유지된다.
제5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판(134)이 우측방부재(126)의 제2홈부(131) 및 좌측방부재(127)의 제2홈부(133)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도, 중앙부재(125)에 대한 우측방부재(126)의 회전 및 중앙부재(125)에 대한 좌측방부재(127)의 회전이 금지된다. 즉, 제50도에 도시하는 굴곡된 상태가 고정 유지된다.
유모차를 개방상태로부터 절첩상태로 이행시킬 경우, 혹은 절첩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이행시킬 경우에는 로크판(134)과 홈부의 결합을 해제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를 위한 구조는 제51도 내지 제53도를 참조하면 명백해진다.
제51도는 제8도에 대응한 도면이다. 로크판(134)은 스프링(135, 136)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즉, 로크판(134)은 스프링(135, 136)에 의해 항상 우측방부재(126)의 홈부(130, 131) 및 좌측방부재(127)의 홈부(132, 133)에 끼워지도록 도시되어 있다. 제51도 내지 제53도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원판형상의 회전부재(137, 138)가 채용되어 있다. 회전부재(137, 138)는 각각 축(139, 140)을 갖고 있다. 원판상 형태의 회전부재(137, 138)를 사용하는 것의 이점은 회전부재(138, 138)가 회전했을 때, 와이어(40, 42)가 회전부재(137, 138)의 원호형상의 외면을 따라서 연장하게 되므로써, 와이어(40, 42)의 변위량이 제8도에 도시한 구조의 것에 비해 크게 된다고 하는 것이다.
게다가, 제51도 내지 제53도에 도시한 구조에서는 2개의 조작버튼, 즉 제1조작버튼(141) 및 제2조작버튼(142)이 채용되어 있다. 제2조작버튼(142)은 제51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제2조작버튼(142)의 상단부는 로크판(134)의 하면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제1조작버튼(141)은 제2조작버튼(142)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51도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조작버튼(141)의 상단부는 회전부재(137)의 축부(139) 및 회전부재(138)의 축부(140)에 맞닿고 있다. 따라서, 제1조작버튼(141)이 제51도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면, 한쪽 회전부재(137)는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다른쪽 회전부재(138)는 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제 제49도 내지 제53도에 도시되어 있는 구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유모차의 압봉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조작버튼(141)만을 손으로 조작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상태가 제52도에 도시된 상태이다. 제2조작버튼(142)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제1조작버튼(141)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부재(137, 138)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결과 결합해제부재가 최대높이 위치에 위치한다.
다음에, 유모차의 개방상태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조작버튼(141) 및 제2조작버튼(142)을 동시에 이동 조작한다. 그 상태가 제53도에 도시된 상태이다. 제2조작버튼(142)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로크판(134)도 상방으로 이동하며, 그 결과 로크판(134)이 우측방부재(126)의 제1홈부(130) 및 좌측방부재(127)의 제1홈부(132)로부터 벗어나 있다. 또, 제1조작버튼(141)에 의해 소정량 회전한 회전부재(137, 138)는 결합해제부재를 중간높이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 상태에서는 유모차의 개방상태에 대한 로크가 해제되어 있다. 이렇게해서, 유모차를 절첩상태로 이행시키게 되지만, 이 절첩동작에 따라 압봉 연결부재(11)는 그 폭방향의 치수를 줄이기 위해 제5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서 절곡된다. 유모차가 최종적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제1조작버튼(141) 및 제2조작버튼(142)으로부터 손을 떼면, 로크판(134)이 스프링(135, 136)의 편향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그 결과 제5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판(134)이 우측방부재(126)의 제2홈부(131) 및 좌측방부재(127)의 제2홈부(133)에 끼어넣어진다.
Claims (14)
- 좌석의 양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핸드레일부재(1)와, 그 상단부가 상기 핸드레일부재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에 전륜을 갖고 있는 한쌍의 전방 레그(3)와, 그 상단부가 상기 핸드레일부재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에 후륜을 갖고 있는 한쌍의 후방 레그(5)와, 상기 후방 레그의 중앙부에서 한쪽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므로써 상기 후방 레그의 상반부 또는 하반부를 따라 구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반전 브래킷(6)과, 그 상단부는 상기 핸드레일부재의 후방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반전 브래킷의 다른쪽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핸드레일지지봉(8)과, 좌석의 시트부의 양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며, 그 전방단이 상기 전방 레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방단이 상기 반전 브래킷의 다른쪽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좌석지지봉(9)을 구비하고, 유모차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반전 브래킷(6)이 상기 후방 레그(5)의 상분부에 연하는 위치에서 고정되므로써, 유모차의 개방상태가 로크되며, 유모차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반전 브래킷(6)이 상기 후방 레그(5)의 하반부를 따라 위치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며, 그 하단부가 상기 반전 브래킷의 다른쪽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에따라 배면밀기위치 및 대면밀기위치의 두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쌍의 압봉(10a, 10b)과,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한쌍의 압봉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압봉 연결부재(11)와, 상기 압봉의 중앙부상에 부착되며, 결합위치와 비결합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회동 후크(15)와, 상기 유모차의 본체상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 위치에 있는 상기 회동 후크(15)에 결합하여 상기 압봉을 배면밀기위치 또는 대면밀기위치로 고정하는 결합핀(16, 17)과, 상방위치와 하방위치 상기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유모차의 개방상태에서 하방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반전 브래킷(6)에 결합하여 이 반전 브래킷을 상기 후방 레그(5)의 상반부에 연하는 위치에서 고정하는 한쌍의 개방상태 로크부재(67)와, 상기 개방상태 로크부재(67)가 항상 하방위치에 위치하도록하는 한쌍의 스프링(68)과, 상기 압봉(10a, 10b)을 따라 최저높이위치, 중간높이위치 및 최대높이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중간높이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개방상태 로크부재(67)를 하방으로부터 밀어올려 상기 상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작용부(64)와, 상기 최대높이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압봉로크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압압하여 상기 비결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작용부(61)를 갖고 있는 한쌍의 결합해제부재(56)와, 상기 한쌍의 결합해제부재(56)가 항상 최저높이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한쌍의 스프링(60)과, 상기 한쌍의 압봉(10a, 10b) 및 상기 압봉연결부재(11)를 따라 연장하며, 상기 한쌍의 결합해제부재(56)를 연결하는 와이어수단(40, 42)과, 제1위치, 제2위치 및 제3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압봉 연결부재(11)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수단(40, 42)에 연결되어 있는 조작수단(29, 30, 31)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결합해제부재(56)가 최저높이위치에 있을때에는, 상기 조작수단(29, 30, 31)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조작수단(29, 30, 31)을 손으로 조작하여 상기 제2위치로 위치시켰을 때, 상기 한쌍의 결합해제부재(56)는 상기 와이어수단(40, 42)에 인장되어 상기 중간높이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조작수단(29, 30, 31)을 손으로 조작하여 상기 제3위치로 위치시켰을 때, 상기 한쌍의 결합해제부재(56)는 상기 와이어수단(40, 42)에 인장되어 상기 최대높이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봉로크부재는 상기 압봉상에 축을 거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회동후크(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봉로크부재는 상기 압봉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된 슬라이딩후크(1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상태 로크부재는 상기 좌석지지봉의 하방부위를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결합축(67)이며, 상기 반전 브래킷(6)은 상기 결합축을 받아들이는 결합凹부(6a)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압봉연결부재(11)의 중앙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끼어넣어진 조작버튼(29)과, 그 중앙부가 축을 거쳐 상기 압봉연결부재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한쪽단이 상기 조작버튼(29)에 접촉하고 있는 한쌍의 회전부재(30, 31)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회전부재는 상기 조작버튼의 상하이동에 따라 서로 역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한쌍의 결합해제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 수단은 상기 압봉연결부재의 중앙부에 있어서 분리되고, 한쪽의 분리단부는 상기 한쌍의 회전부재중 한쪽 회전부재의 타방단에 연결되며, 다른쪽 분리단부는 다른쪽 회전부재의 타방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회전부재(30, 31)는 각각 그 한쪽단이 핀(35, 37)과 장공(36, 38)의 조합을 거쳐 상기 조작버튼(29)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봉연결부재(11)는 상기 한쌍의 압봉의 상방부에 서로 겹치는 레그부(11a, 11b)를 갖고, 또한 상기 한쌍의 압봉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봉연결부재(11) 및 상기 한쌍의 압봉(10a, 10b)내부에는 한쌍의 가요성 튜브(39, 41)가 이완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고, 한쪽의 가요성 튜브는 그 상단부가 상기 압봉연결부재에 고정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한쪽의 압봉에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쪽의 가요성 튜브는 그 상단부가 상기 압봉연결부재에 고정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다른쪽 압봉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수단은 상기 한쌍의 가요성 튜브내를 밀착한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삽입 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봉연결부재(11)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작수단이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작수단에 결합하여 이 조작수단의 이동을 금지할 수 있는 스토퍼(100)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 후하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후방 레그(5)와, 상기 후방 레그의 중앙부에서 한쪽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것에 의해 상기 후방 레그의 상반부 또는 하반부를 따라 구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반전 브래킷(6)과, 하방단이 상기 반전 브래킷의 다른쪽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압봉(10a, 10b)을 구비하고, 유모차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반전 브래킷(6)이 상기 후방 레그(5)의 상반부에 연하는 위치에서 고정되므로써, 유모차의 개방상태가 로크되며, 유모차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반전 브래킷(6)이 상기 후방 레그의 하반부를 따라 위치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한쌍의 압봉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압봉연결부재(11)와, 상방위치와 하방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유모차의 개방상태에서 하방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반전 브래킷에 결합하여 이 반전 브래킷을 상기 후방 레그의 상반부에 연하는 위치에서 고정하는 한쌍의 개방상태 로크부재(67)와, 상기 개방상태 로크부재가 항상 하방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한쌍의 스프링(68)과, 상기 한쌍의 압봉 및 상기 압봉연결부재를 따라 연장하며, 상기 한쌍의 개방상태 로크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수단(40, 42)과, 제1위치 및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압봉연결부재의 중앙부에서 상기 와이어수단에 연결되는 조작수단(29, 30, 31)을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개방상태 로크부재가 상기 하방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한쌍의 개방상태 로크부재는 상기 와이어수단에 인장되어 상기 상방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압봉연결부재(11)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됨, 상기 조작수단(29, 30, 31)이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작수단에 결합되어 이 조작수단의 이동을 금지할 수 있는 스토퍼(1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압봉연결부재의 중앙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끼워넣어진 조작버튼(29)과, 그 중앙부가 축을 거쳐 상기 압봉연결부재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한쪽단이 상기 조작버튼(29)에 접촉하고 있는 한쌍의 회전부재(30, 31)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회전부재는, 상기 조작버튼의 상하이동에 따라 서로 역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한쌍의 개상상태 로크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수단은 상기 압봉연결부재의 중앙부에서 분리되고, 한쪽의 분리단부는 상기 한쌍의 회전부재중 한쪽 회전부재의 타방단에 연결되며, 다른쪽 분리단부는 다른쪽 회전부재의 타방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 상하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하단부가 유모차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그에따라 배면밀기위치 및 대면밀기위치 이 두 상태로 절환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쌍의 압봉(10a, 10b)과, 상기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한쌍의 압봉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압봉연결부재(11)와, 상기 압봉의 중앙부상에 부착되며, 결합위치와 비결합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회동 후크(15)와, 상기 유모차의 본체상에 설치되며, 결합위치에 있는 상기 압봉로크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압봉을 배면밀기위치 또는 대면밀기위치로 고정하는 결합핀(16, 17)과, 상기 압봉로크부재가 항상 상기 결합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한쌍의 스프링(59)과, 상기 한쌍의 압봉 및 상기 압봉연결부재를 따라 연장하며, 상기 한쌍의 압봉로크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수단(40, 42)과, 제1위치 및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압봉연결부재의 중앙부에서 상기 와이어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조작수단(29, 30, 31)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압봉로크부재가 상기 결합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제1의 위치에 있고, 상기 조작수단을 손으로 조작하여 상기 제2위치로 위치시켰을 때, 상기 한쌍의 압봉로크부재는 상기 와이어수단에 인장되어 상기 비결합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압봉연결부재상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조작수단이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직 수단과 결합하여 이 조작수단의이동을 금지할 수 있는 스토퍼(1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봉연결부재의 중앙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끼어넣어진 조작버튼(29)과, 그 중앙부가 축을 거쳐 상기 압봉연결부재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한쪽단이 상기 조작버튼에 접촉하고 있는 한쌍의 회전부재(30, 31)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회전부재는 상기 조작버튼의 상하이동에 따라 서로 역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한쌍의 압봉로크부재로부터 연장되온 상기 와이어수단은 상기 압봉연결부재의 중앙부에 분리되고, 한쪽의 분리단부는 상기 한쌍의 회전부재중 한쪽 회전부재의 타방단에 연결되며, 다른쪽 분리단부는 다른쪽 회전부재의 타방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 후하방으로 연장하는 후방 레그(5)와, 상기 후방 레그의 중앙부에서 한쪽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므로써 상기 후방 레그의 상반부 또는 하반부를 따라 구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반전 브래킷(6)과, 하방단이 상기 반전 브래킷의 타방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압봉(10a, 10b)을 구비하고, 유모차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반전 브래킷이 상기 후방 레그의 상반부에 연하는 위치에서 고정되므로써, 유모차의 개방상태가 로크되며, 유모차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반전 브래킷이 상기 후방 레그의 하반부를 따라 위치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방위치와 하방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유모차의 개방상태에서 하방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반전 브래킷과 결합하여 이 반전 브래킷을 상기 후방 레그의 상반부에 연하는 위치에서 고정하는 개방상태 로크부재(67)와, 상기 개방상태 로크부재가 항상 하방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스프링(68)과, 상기 압봉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개방상태 로크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수단(40, 42)과,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압봉의 상방부에서 상기 와이어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조작수단(29, 30, 31)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상태 로크부재가 상기 하방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제1위치에 있고, 상기 조작수단을 손으로 조작하여 상기 제2위치에 위치시켰을 때, 상기 개방상태 로크부재는 상기 와이어수단에 의해 인장되어 상기 상방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압봉상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조작수단이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작수단과 결합하여 이 조작수단의 이동을 금지할 수 있는 스토퍼(1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2188276 | 1987-07-28 | ||
JP62-188276 | 1987-07-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1817A KR890001817A (ko) | 1989-04-06 |
KR910000939B1 true KR910000939B1 (ko) | 1991-02-19 |
Family
ID=1622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80009516A KR910000939B1 (ko) | 1987-07-28 | 1988-07-28 | 유 모 차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2) | US4846494A (ko) |
EP (2) | EP0494701A3 (ko) |
KR (1) | KR910000939B1 (ko) |
CN (1) | CN1007610B (ko) |
AU (1) | AU599820B2 (ko) |
DE (1) | DE3884094T2 (ko) |
ES (1) | ES2043828T3 (ko) |
HK (1) | HK124294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21138Y2 (ja) * | 1989-06-21 | 1996-12-25 | コンビ株式会社 | うば車の操舵機構 |
JP2722119B2 (ja) * | 1989-08-17 | 1998-03-04 | 株式会社ムラオ・アンド・カンパニー | スプールの残ラップ除去装置 |
DE9005592U1 (de) * | 1990-05-16 | 1990-07-19 | Fischer, Werner, 8620 Lichtenfels | Verstellbare Haltevorrichtung für die Sitzrückenlehne eines Kinderwagens |
US5056805A (en) * | 1990-06-05 | 1991-10-15 | Wang Chia Ho | Stroller |
US5205579A (en) * | 1990-10-08 | 1993-04-27 | Combi Corporation | Handle bar for baby carriage |
US5692760A (en) * | 1991-09-30 | 1997-12-02 | Pickering; Richard E. | Child transport device |
JP2542450Y2 (ja) * | 1992-10-27 | 1997-07-30 | コンビ株式会社 | ベビーカーの手押し杆に設ける開閉操作機構 |
ES2114355B1 (es) * | 1993-02-18 | 1999-01-16 | Jane Sa | Mejoras introducidas en el objeto de la patente principal n- p9300487 por: "dispositivo para el bloqueo y desbloqueo del plegado de coches-silla infantiles." |
ES2070071B1 (es) * | 1993-02-18 | 1998-02-16 | Jane Sa | Dispositivo para el bloqueo y desbloqueo del plegado de coches-silla infantiles. |
US5454584A (en) * | 1993-04-20 | 1995-10-03 |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 Collapsable stroller |
JP2542123Y2 (ja) * | 1993-09-30 | 1997-07-23 | コンビ株式会社 | ベビーカーの遠隔操作機構 |
IT230530Y1 (it) * | 1993-11-29 | 1999-06-07 | Perego Pines Gmbh | Passeggino con regolazione dello schienale a comando centralizzato |
JP3385113B2 (ja) * | 1994-10-20 | 2003-03-10 |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 乳母車の握り棒 |
US5549311A (en) * | 1995-08-29 | 1996-08-27 | Huang; Li-Chu C. | Armrest and handle assembly for a stroller |
USD382837S (en) * | 1995-11-09 | 1997-08-26 |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 All-terrain stroller with swivel wheels |
US5988669A (en) * | 1996-10-25 | 1999-11-23 | Evenflo Company, Inc. | Stroller with grip handle |
USD396673S (en) | 1996-10-25 | 1998-08-04 | Gerry Baby Products | Stroller |
USD414144S (en) | 1996-10-25 | 1999-09-21 | Gerry Baby Products | Stroller |
US6139046A (en) * | 1996-10-25 | 2000-10-31 | Evenflo Company, Inc. | Stroller with improved features |
GB2319227B (en) * | 1996-11-11 | 2000-09-27 | Huang Li Chu Chen | Foldable mechanisim for a stroller |
ATE207023T1 (de) * | 1997-04-17 | 2001-11-15 | Tolges Kunststoffverarbeitung | Gelenk für den schiebegriff eines kleinfahrzeuges |
US6068284A (en) * | 1997-07-29 | 2000-05-30 |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 Stroller with one hand release mechanism and one hand release mechanism thereof |
US6557885B1 (en) | 1997-08-15 | 2003-05-06 |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 Stroller with release latch |
US6050576A (en) * | 1998-02-24 | 2000-04-18 | Tanner; Thomas J. | Ground level loading cart |
FR2783482B1 (fr) * | 1998-09-23 | 2000-12-01 | Ampafrance | Poussette pliante, a poignee inclinable et equipee d'une commande de pliage deportee |
DE29819218U1 (de) * | 1998-10-28 | 1999-03-25 | Fa. Joh. Georg Hartan, 96242 Sonnefeld | Fahrgestell für einen Kinder- oder Puppenwagen |
TW429918U (en) * | 2000-02-15 | 2001-04-11 | Kingstar Business Group | Structure to integrate the handle and the frame of baby carriage |
CN2440403Y (zh) * | 2000-07-26 | 2001-08-01 |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 婴儿车可单手收合结构 |
JP4812948B2 (ja) * | 2001-03-05 | 2011-11-09 | コンビ株式会社 | ベビーカー |
US6485216B1 (en) * | 2001-06-20 | 2002-11-26 | Pao-Hsien Cheng | Control device for folding movement of a stroller |
JP4184761B2 (ja) * | 2002-11-11 | 2008-11-19 |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折畳式乳母車 |
TWM257304U (en) * | 2003-05-06 | 2005-02-21 | Link Treasure Ltd | Framework structure for baby carriage |
FR2856366B1 (fr) * | 2003-06-23 | 2005-11-18 | Ampafrance | Voiture d'enfant a chassis pliant comprenant deux moyens de verrouillage pliage, distincts, et chassis correspondant |
DE10328886A1 (de) * | 2003-06-26 | 2005-01-20 | Hauck Gmbh & Co Kg | Kinderwagen mit Faltmechanismus |
US7686322B2 (en) | 2004-04-30 | 2010-03-30 | Chicco Usa, Inc. | Foldable stroller with memory recline |
ES1062849Y (es) * | 2006-05-12 | 2006-11-01 | Jane Sa | Dispositivo para el accionamiento de mecanismos por cable |
US20090102149A1 (en) * | 2007-10-22 | 2009-04-23 |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
CA2704419C (en) * | 2007-11-01 | 2013-07-02 | Chicco Usa, Inc. | Folding stroller actuating system |
US8100429B2 (en) | 2008-03-31 | 2012-01-24 | Artsana Usa, Inc. | Three dimensional folding stroller with infant carrier attachment and one hand actuated seat recline |
US8240700B2 (en) * | 2008-08-15 | 2012-08-14 | Artsana Usa, Inc. | Stroller with travel seat attachment |
ES2533792T3 (es) * | 2008-08-15 | 2015-04-14 | Artsana Usa Inc. | Cochecito |
CN101797931B (zh) * | 2009-02-03 | 2012-07-04 |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 婴儿车组件总成 |
US8534698B2 (en) * | 2009-02-27 | 2013-09-17 |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 Fold latch for a foldable stroller |
CN101844574B (zh) * | 2009-03-23 | 2013-02-13 |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 推车 |
USD636300S1 (en) | 2009-08-14 | 2011-04-19 | Artsana Usa, Inc. | Stroller |
US8240698B2 (en) * | 2009-09-16 | 2012-08-14 | Bumbleride Inc. | Collapsible structure for baby stroller |
CN102100463B (zh) * | 2009-12-18 | 2014-03-26 |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 婴幼儿承载装置及具有安全锁的操作机构 |
US20110175309A1 (en) * | 2010-01-15 | 2011-07-21 | Chicco Usa, Inc. | Stroller basket |
US20110175306A1 (en) * | 2010-01-19 | 2011-07-21 | Chicco Usa, Inc. | Reclinable stroller seat |
CN102211602B (zh) * | 2010-04-07 | 2015-09-30 |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 婴儿承载装置及其操作方法 |
US8646802B2 (en) | 2010-10-08 | 2014-02-11 | Baby Trend Inc. | Stroller with a receiving frame and support straps for receiving a car seat |
USD722541S1 (en) | 2010-10-08 | 2015-02-17 | Baby Trend Inc. | Double stroller |
USD654405S1 (en) * | 2010-10-08 | 2012-02-21 | Baby Trend Inc. | Stroller |
US8641077B2 (en) | 2010-10-08 | 2014-02-04 | Baby Trend Inc. | Stroller with a receiving frame and support straps for receiving car seats |
USD651140S1 (en) | 2010-12-20 | 2011-12-27 | Artsana Usa, Inc. | Stroller frame tubing |
US20130113185A1 (en) * | 2011-11-07 | 2013-05-09 | Dynamic Brands, Llc | Baby stroller |
CN107972722A (zh) * | 2016-10-25 | 2018-05-01 | 环玮健康科技国际企业股份有限公司 | 具安全性的婴儿车可收折车架 |
US11122913B2 (en) * | 2017-06-14 | 2021-09-21 | Wonderland Switzerland Ag | Bassinet locking mechanism, bassinet releasing mechanism, foldable bassinet apparatus |
US10654507B2 (en) | 2017-07-12 | 2020-05-19 | Staphen Dewitt Holdings Llc | Apparatus for setting a push-from-behind transportation device by pulling in a leading or abreast position |
US11001289B2 (en) * | 2019-01-10 | 2021-05-11 | Evenflo Company, Inc. | Stroller convertible for multiple modes of use |
KR102594794B1 (ko) | 2019-06-13 | 2023-10-27 |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 휠 달린 이송 장치 |
TWI764758B (zh) * | 2019-08-12 | 2022-05-11 | 瑞士商明門瑞士股份有限公司 | 釋鎖裝置及嬰兒車 |
CN112477970A (zh) * | 2019-09-11 | 2021-03-12 |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 婴幼儿推车及其换向机构 |
US11479285B2 (en) | 2019-09-11 | 2022-10-25 | Wonderland Switzerland Ag | Wheeled carrying apparatus |
CN112623012A (zh) * | 2019-10-09 | 2021-04-09 | 阿蒙有限公司 | 可折叠的婴儿车 |
USD966156S1 (en) | 2020-03-31 | 2022-10-11 | Stahpen Dewilt Holdings LLC | Steer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91397A (en) * | 1977-06-15 | 1980-03-04 | Kassai Kabushikikaisha | Baby carriage |
JPS6031795B2 (ja) | 1981-08-13 | 1985-07-24 | 東レ株式会社 | ジルコニア焼結体 |
JPS60105559A (ja) * | 1983-11-14 | 1985-06-11 | Tokyo Electric Co Ltd | 印字装置 |
JPS60105559U (ja) * | 1983-12-26 | 1985-07-18 |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 乳母車の押棒のロツク機構 |
JPH0414304Y2 (ko) * | 1984-09-04 | 1992-03-31 | ||
US4660850A (en) * | 1984-10-12 | 1987-04-28 | Combi Co., Ltd. | Baby stroller |
JPS6213230A (ja) * | 1985-07-11 | 1987-01-22 | ア−ルシ−エ− コ−ポレ−ション | 印刷回路基板を貫通する部品リード線の切断折曲げ装置 |
JPH085388B2 (ja) * | 1986-06-16 | 1996-01-24 | アツプリカ葛西株式会社 | 乳母車の押棒 |
CA1316952C (en) * | 1986-08-22 | 1993-04-27 | Shinroku Nakao | Foldable baby carriage |
JP3669715B2 (ja) * | 1993-01-18 | 2005-07-13 | 日本精工株式会社 | 回転支持部 |
-
1988
- 1988-07-27 DE DE88306919T patent/DE3884094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07-27 ES ES88306919T patent/ES2043828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07-27 EP EP19920105539 patent/EP0494701A3/en not_active Withdrawn
- 1988-07-27 US US07/224,921 patent/US4846494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07-27 EP EP88306919A patent/EP030182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07-28 CN CN88104723A patent/CN1007610B/zh not_active Expired
- 1988-07-28 AU AU20140/88A patent/AU599820B2/en not_active Ceased
- 1988-07-28 KR KR1019880009516A patent/KR91000093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9
- 1989-05-19 US US07/354,483 patent/US4906017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
- 1994-11-10 HK HK124294A patent/HK124294A/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599820B2 (en) | 1990-07-26 |
EP0301828A2 (en) | 1989-02-01 |
KR890001817A (ko) | 1989-04-06 |
US4906017A (en) | 1990-03-06 |
DE3884094D1 (de) | 1993-10-21 |
HK124294A (en) | 1994-11-18 |
EP0494701A3 (en) | 1992-09-09 |
CN1031204A (zh) | 1989-02-22 |
US4846494A (en) | 1989-07-11 |
AU2014088A (en) | 1989-02-02 |
EP0301828A3 (en) | 1990-05-09 |
EP0301828B1 (en) | 1993-09-15 |
CN1007610B (zh) | 1990-04-18 |
DE3884094T2 (de) | 1994-01-13 |
ES2043828T3 (es) | 1994-01-01 |
EP0494701A2 (en) | 1992-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10000939B1 (ko) | 유 모 차 | |
US4660850A (en) | Baby stroller | |
JP4416881B2 (ja) | ベビーカーの折畳み操作装置 | |
US5205579A (en) | Handle bar for baby carriage | |
EP0595096B1 (en) | Locking/unlocking manipulation mechanism disposed on the handlebars of baby carriage | |
US8480116B2 (en) | Infant carrier apparatus having an adjustable handle assembly | |
JP4812948B2 (ja) | ベビーカー | |
CN210882284U (zh) | 一种座椅背靠可联动收合的婴儿车 | |
JP4942977B2 (ja) | ベビーカー | |
JP5177353B2 (ja) | 移動家具、天板付き家具及び椅子 | |
JPS591622B2 (ja) | 乳母車の押し棒の方向変更機構 | |
US11696650B2 (en) | Child carrier | |
CN216140048U (zh) | 儿童推车 | |
TW202241747A (zh) | 車架與嬰兒車 | |
JP2000159121A (ja) | 乳母車 | |
CN210502813U (zh) | 儿童推车的解锁装置、儿童用品的解锁装置及儿童推车 | |
JPH0671887B2 (ja) | 乳母車 | |
JP2725866B2 (ja) | ベビーカー及びこれを組み立て及び折り畳む方法 | |
JP2021041922A (ja) | ベビーカー及びそのリバーシブル機構 | |
JPH01233160A (ja) | 折畳み式乳母車 | |
JP3746110B2 (ja) | ベビーシート用ガードアームのロック機構 | |
JPS5832065B2 (ja) | 乳母車 | |
CN217835730U (zh) | 一种儿童推车的解锁机构 | |
JPH0546543Y2 (ko) | ||
CN217532960U (zh) | 收车关节及儿童推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124 Year of fee payment: 1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