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569B1 - 타원형통의 함석뚜껑 - Google Patents

타원형통의 함석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569B1
KR900005569B1 KR1019850005254A KR850005254A KR900005569B1 KR 900005569 B1 KR900005569 B1 KR 900005569B1 KR 1019850005254 A KR1019850005254 A KR 1019850005254A KR 850005254 A KR850005254 A KR 850005254A KR 900005569 B1 KR900005569 B1 KR 900005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notch line
shaped
str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751A (ko
Inventor
훼프트 페터
페터 울프강
하케 헤인쯔
뤼허 췌트겐
베르그스타이너 요한
드로베 울프강
엔겔캐 휘트쯔
헤빙하우스 발터
퀴네르트 시에그프리드
Original Assignee
쉬말바크-루베카 아크티엔게젤샤프트
하트무트 리터 에카르트 클라우스 니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쉬말바크-루베카 아크티엔게젤샤프트, 하트무트 리터 에카르트 클라우스 니쩌 filed Critical 쉬말바크-루베카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60001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completely by means of a tearing tab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Wrappers (AREA)
  • Package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Spring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원형통의 함석뚜껑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한자-포매트"(Hansa-format)통의 덮개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덮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뚜껑 2 : 가장자리 평면
3 : 중심벽 4 : 리벳
5 : 당겨여는고리 6 : 뚜껑잔여부분
7 : 손잡이끝 10 : 노치선
11 : 시작부분 14 : 노치선부분
17,18 : 끝점 26 : 뜯어여는 부분
28 : 보강홈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서 말하는 특징을 가진 예를 들면, 한자포매트(Hansaformat)의 비원형, 특히 타원형 통의 함석뚜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뚜껑은 실제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대개 높이가 낮고 끝이 원호처럼 둥글게 되어있는 길쭉한 통을 덮는데 이용된다. 이와 같은 뚜껑은 통속에 들어있는 내용물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전체가 단번에 열리게 만들어져 있다. 즉 뜯어여는 부분이 분리된 후, 뚜껑잔여 부분이 전체적으로 떼어지게 되어 있다. 여기에는 생산기술상의 이유뿐 아니라, 뜯어여는 부분을 안전하고 쉽게 열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다소 조건이 따르게 된다.
전술한 종류의 통과 뚜껑은 이제까지 얇은 함석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뚜껑의 뜯어여는 부분이 비교적 불안정하고, 따라서 탄력의 저장능력이 크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내용물을 흘리지 아니하고 통을 여는데 곤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여러해 전부터 시판되고 있는 전술한 종류의 통들에 있어서는 여는 과정을 쉽게 하고, 앞에서 지적한 문제점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당겨여는 고리를 들어올리는 끝부분과 이에 대향하는 뚜껑의 뜯어여는 부분 끝에 서로 방향이 다른 여러 가지의 가는 홈들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 홈들은 당겨여는 고리 부분에서는 통의 세로 중앙선에 대하여 수직선으로 또는 쉽게 구부러지게 형성 및 배치되어 있고, 뜯어여는 부분의 끝에는 여러개의 홈들이 세로 중앙선에 대하여 평행으로 또는 뜯어여는 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파여져 있다. 그러므로, 뜯어여는 부분이 갑자기 열리기 시작할 때에는 함석이 쉽게 펴지고, 반면에 뜯어여는 부분이 끝까지 열린 때에는 홈들에 의하여 거의 판자처럼 뻣뻣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히 당겨여는 고리부분과 끝부분에 여러 가지의 홈들이 파여있는 이러한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뚜껑으로 다년간에 걸쳐 경험한 바에 의하면, 오늘날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함석뚜껑에 있어서는 뜯어여는 부분이 뚜껑에서 분리되는 마지막 단계에서 탁하고 열리는 뚜껑부분(뜯어여는 부분)이 걷잡을 수 없이 뒤쪽으로 튕겨져 통의 내용물속에 잠기기 때문에 소스가 튀기게 되며, 뚜껑에 달라붙어 있는 소스부분까지도 뒤로 튕기는 작용으로 인하여 튀겨나는 것을 아직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의 끝부분이 반원형으로 구부려져 있어서, 다른 비원통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통에 타원형 윤곽이 제공되어 있는 한자-포매트 통에 있어서도 또한 같다.
이러한 종래의 통에 있어서는 노치선이 당겨여는 고리가 부착되어 있는 부분에서만 통의 윤곽으로부터 뻗어있고, 기타 부분에서는 노치선이 모든 위치에서 뚜껑핵심벽으로부터 좁은 간격으로 이 뚜껑의 핵심벽에 대하여 평행으로 뻗어 있는데, 이것은 당겨여는 고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뚜껑의 끝부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서 말하는 특징이 있는 통을 개량하여 뜯어여는 부분이 통에서 분리되는 마지막 단계에서 이 뜯어여는 부분이 가장자리로부터 종래의 통에 비하여 내용물이 훨씬 적게 튀겨나게 함으로써 통을 열 때 불편이 적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비원통형을 위한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뚜껑은 뚜껑 가장자리에 의하여 형성된 뚜껑이 요부를 들어올리는 뜯어여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뜯어여는 부분이 뚜껑의 한쪽 끝에 있는 시작부분과 뚜껑의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어 폐곡선을 이루는 노치선(notch line)에 의하여 형성되고, 이 뜯어여는 부분이 시작부분 근처에서 뜯는 부분과 평행하게 맞닿아 있도록 고착된 지렛대 모양의 당겨여는 고리를 포함하며, 이 당겨여는 고리의 끝이 뚜껑의 길이 방향으로 놓여 있으며, 뜯어여는 부분이 미리정해진 뚜껑의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놓여진 여러개의 줄모양의 보강홈에 의하여 널빤지처럼 빳빳해 지도록 되어 있으며, 뜯어여는 부분이 현모양의 노치선에 의해 시작부문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뚜껑의 한쪽 끝에서부터 정의되며, 이 노치선이 원호모양의 뚜껑가장자리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인접한 가로방향의 노치선부분에 원호 모양으로 연장된 노치선구간에 연결되며, 상기한 현모양의 노치선의 길이가 뜯어여는 부분이 가장 넓은폭보다 상당히 짧고 서로 대략적으로 평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원호 모양의 뚜껑의 핵심벽으로부터 현모양의 노치선까지의 거리가 뚜껑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측정시 2mm 내지 15mm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과제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의한 방법으로 해결한다.
새로운 형성에 의하여 특히 직선이나 현모양으로된 부분과 인접되어 있는 노치선부분이 다각형으로 뻗어있는 때에는 뜯어여는 범위중 마지막 3분의 1에서 계속적으로 개방되려는 힘이 크게 약화된다. 이에 따라 뜯어여는 부분을 약간만 아치형으로 하면 함석내에 저장되는 열탄력이 적어진다. 이러한 작용은 이 부분에 홈이나 기타의 변형을 특별히 배열하거나 형성함으로써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직선으로된 노치선부분은 뜯어여는 부분의 폭보다 길이가 상당히 짧은 경첩모양의 선분으로 된다. 판자모양의 끝부분은 큰 힘을 소비하지 아니하고서도 선 둘레를 한번 정도 선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후에 튕겨나는 경향없이 쉽게 행하여진다. 직선으로된 노치선부분내에 있는 잔여벽의 두께를 확대시키면 뚜껑이 열릴 때 전체가 단번에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위에서 말한 기능이 더욱 확실하게 된다. 뚜껑이 단번에 열리면 함석이 그만큼 세게 되튀기게 된다. 개방과정은 직선으로된 노치선부분의 끝점에서 종료된다. 직선으로된 노치선부분의 잔여벽 두께를 기타 부분의 잔여벽 두께보다 20 내지 70% 더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모양으로된 노치선부분의 길이는 뜯어여는 부분에서 가장 넓은 폭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뚜껑의 길이 방향 중앙선에 대하여 수직 대칭적으로 배치된 현모양으로된 노치선부분의 길이는 뜯어여는 부분의 최대폭의 반과 거의 동일하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한자-포매트의 뚜껑에 있어서 그러하다. 직선으로된 노치선부분의 끝점은 뚜껑의 세로변에 따라 뻗어있는 직선으로된 노치부분의 대응끝점과 활모양으로 또는 뚜껑윤곽의 굴곡에 대하여 거의 평행으로 뻗어있는 노치선부분 위에서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 결합노치선을 뚜껑의 끝부분에서 핵심벽이 뻗어있는 방향에 대하여 직선형으로 특히 현모양으로 형성하고, 뚜껑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여러 가지 검사로 뻗어있는 하나 이상의 현모양으로된 노치선부분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계속적인 견인력이 감소되고, 뜯어여는 부분이 세게 말려서 세게 되튕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중앙선에 따라 측정한 현모양의 노치선과 뚜껑 핵심벽 사이의 거리는 현모양으로된 부분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다. 그러나, 핵심벽으로부터의 거리는 뜯어여는 부분이 통으로부터 분리될 때 내용물이 튀어나지 아니할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자 포매트통의 뚜껑(1)에는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포매트통의 전형적인 타원형윤곽과 종래의 통에 있어서와 같이, 가장 자리평면(2)에 인접하여 뚜껑잔여 부분(6)속으로 뻗어있는 가파른 핵심벽(3)이 제공되어 있다. 뚜껑잔여부분(6)에는 뚜껑잔여부분중에서 폭이 가장 넓은 부분을 수용하고, 하나 이상의 노치선(10)에 의하여 그 범위가 한정되는 뜯어여는 부분(26)이 제공되어 있다. 노치선(10)은 자체적으로 페쇄되어 있고, 뚜껑의 세로변과 약간의 간격을 두면서 핵심벽에 대하여 평행으로 뻗어 있으며, 이 핵심벽 부분에서는 직선으로된 노치선부분(12,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치선부분은 원호모양으로 뻗어있는 핵심벽(3)에 의하여 범위가 정하여지는 뚜껑잔여부분(6)의 끝부분에서 핵심벽 가까이에 놓여있는 출발점부분(11)에 수렵된다. 뜯어여는 부분중 이 부분에는 지렛대모양의 당겨여는 고리(5)가 리벳(4)에 의하여 뚜껑잔여부분과 평평하게 맞닿도록 놓이게 고정되어 있고, 그 한끝은 노치선의 출발점부분(11) 위에 놓여있는데 반하여, 다른 한끝은 뚜껑의 세로 중앙선(8)이 뻗어있는 방향에 손잡이 끝부분(7)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뜯어여는 부분의 당겨여는 고리부분에는 길이방향 중앙선(8)에 대하여 비스듬히 뻗어있는 2개 이상의 가는 홈(9,9a)이 제공되어 있고, 이 홈들은 직선 또는 약간 구부러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뜯어여는 부분(26)의 다른 부분에는 보강홈(28,29)이 제공되어 있고, 이러한 홈들은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길이방향변과 서로에 대하여서뿐 아니라, 길이방향 중앙선(8)에 대하여도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고, 뜯어여는 부분이 가로방향으로 넓게 분포되어 있다. 노치선의 출발점부분(11)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뜯어여는 부분(26)에는 원호모양으로 뻗어있는 핵심벽(3)에 대하여 현모양으로 뻗어있는 직선으로 된 노치선부분(14)이 제공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직선부분은 길이방향 중앙선(8)에 대하여 수직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핵심벽(3)으로부터 현모양의 노치선 부분(14)까지의 거리(20)는 길이방향 중앙선(8)상에서 측정하여 2 내지 15mm이다.
이 거리는 6 내지 10mm가 바람직하다. 현모양으로된 노치선부분중 그 양끝점(17)사이의 길이(21)는 뜯어여는 부분(26)의 최대폭(25)의 약 반에 상당한다. 현모양으로된 노치선부분(14)의 끝점(17)은 뚜껑의 길이방향변에 대하여 평행으로 뻗은 직선의 노치선부분(12,13)에 속하는 끝점(18)과 결합노치선부분위에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노치선부분은 경우에 따라 원호모양으로 뻗은 핵심벽(3)에 따라 굴곡이 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결합노치선은 직선으로 원호모양의 핵심벽에 대하여 현모양으로 형성 및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노치선은 직선이면서 길이방향 중앙선(8)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경사로 제공되어 있는 2개의 현모양으로된 분절(15,16)로 구성되어 있다.
실제로는 핵심벽(3)이 뜯어여는 부분(26)의 끝부분에서 원호형으로 제공되어 있는 뜯어여는 부분내에서는 노치선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각형으로 뻗어있는 것이 가장 합목적적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결합노치선의 분절(15,16)은 동일한 크기로도 할 수 있고, 크기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현모양으로된 노치선부분(14)에 노치선(10)의 다른 부분들보다 더 큰 잔여벽 두께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장여벽두께는 통상적인 노치선의 잔여벽두께보다 20 내지 70% 더 두껍게 할 수 있다.
현모양으로된 노치선부분(14)에 가하여지는 판과 작용을 지지하기 위하여 가느다란 홈(28,29)이 제공되어 있다.

Claims (5)

  1. 비원형인 통(can)을 위한 금속판으로된 뚜껑(1)으로서, 뚜껑 가장자리에 의하여 형성된 뚜껑의 요부를 들어 올리는 뜯어여는 부분(26)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뜯어여는 부분(26)뚜껑의 한쪽 끝에 있는 시작부분과 뚜껑의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어 폐곡선을 이루는 노치선(notchline)에 의하여 형성되고, 이 뜯어여는 부분(26)이 시작부분(11) 근처에서 뜯어여는 부분(26)과 평행하게 맞닿아 있도록 고착된 지렛대 모양의 당겨여는 고리를 포함하며, 이 당겨여는 고리(5)의 끝이 뚜껑(1)의 길이방향으로 놓여있으며, 뜯어여는 부분(26)이 미리정해진 뚜껑의 가로 혹은 세로방향으로 놓여진 여러개의 줄모양의 보강홈(28)에 의하여 널빤지처럼 빳빳해지도록 되어 있으며, 뜯어여는 부분(26)이 현모양의 노치선(10)에 의해 시작부분(11)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뚜껑의 한쪽끝에서부터 정의되며, 이 노치선(10)이 원호모양의 뚜껑가장자리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인접한 가로 방향의 노치선부분에 원호모양으로 연장된 노치선(10)구간에 연결되며, 상기한 현모양의 노치선의 길이가 뜯어여는 부분(26)의 가장 넓은 폭보다 상당히 짧고 서로 대략적으로 평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원호모양의 뚜껑의 핵심벽으로부터 현모양의 노치선까지의 거리가 뚜껑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측정시 2mm 내지 15mm인 특징을 가진 타원형통의 함석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원호모양인 뚜껑의 핵심벽과 현모양의 노치선 사이의 거리가 6mm 내지 10mm인 특징을 가진 뚜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현모양의 노치선의 길이가 뜯어여는 부분의 가장 큰 폭의 약 절반에 해당되는 특징을 가진 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현모양의 노치선의 끝부분이 뚜껑의 가로 중심선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연장되며 뚜껑의 가장자리의 원호모양의 연장선으로부터 각각 편차가 있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직선노치선 구간을 통하여 뚜껑의 가로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두 개의 가로노치선의 끝부분과 함께 연결된 특징을 가진 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현모양의 노치선의 잔여벽두께가 잔여노치선 구간에서의 잔여벽두께보다 약 20% 내지 70%가 두꺼운 특징을 가진 뚜껑.
KR1019850005254A 1984-08-17 1985-07-23 타원형통의 함석뚜껑 KR900005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430382.0 1984-08-17
DE19843430382 DE3430382A1 (de) 1984-08-17 1984-08-17 Deckel aus blech, insb. langovale dosen im z.b. hansaformat
DEP3430382.0 1984-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751A KR860001751A (ko) 1986-03-22
KR900005569B1 true KR900005569B1 (ko) 1990-07-31

Family

ID=624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254A KR900005569B1 (ko) 1984-08-17 1985-07-23 타원형통의 함석뚜껑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4593834A (ko)
EP (1) EP0171650B1 (ko)
JP (1) JPS6160449A (ko)
KR (1) KR900005569B1 (ko)
AT (1) ATE39662T1 (ko)
AU (1) AU577878B2 (ko)
BR (1) BR8503776A (ko)
CA (1) CA1245996A (ko)
DD (1) DD236068A5 (ko)
DE (2) DE3430382A1 (ko)
DK (1) DK170745B1 (ko)
ES (1) ES288625Y (ko)
GR (1) GR852001B (ko)
IS (1) IS1335B6 (ko)
NO (1) NO169223C (ko)
PL (1) PL145427B1 (ko)
PT (1) PT80972B (ko)
SU (1) SU1389674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5226A1 (de) * 1985-10-02 1987-04-16 Schmalbach Lubeca Deckel aus blech fuer unrunde dosen, insb. langovale dosen im hansa-format
DE3607402A1 (de) * 1986-03-06 1987-09-10 Schmalbach Lubeca Aufreissdeckel aus metall fuer dosen
USD405010S (en) 1994-11-03 1999-02-02 Schmalbach-Lubeca Ag Can lid
FI19992715A (fi) * 1999-12-17 2001-06-18 Mauri Maekinen Purkin, kuten säilyketölkin, kansi
UA82326C2 (uk) * 2002-08-14 2008-04-10 Фаерстар Аг Паливна коробка, кришка, термозварний лист для виготовлення кришки та джерело обігрівання або світла
DK3257773T3 (da) 2016-06-16 2019-05-27 Ardagh Mp Group Netherlands Bv Låg til en rund aflang dåse og en rund aflang dåse forsynet med et sådant lå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44113C (de) * 1932-02-12 1937-04-24 Transitoria Ab Blechgefaess, insbesondere Konservendose
US3441171A (en) * 1968-03-11 1969-04-29 Continental Can Co Easy-opening container panel structure
DE1761867C3 (de) * 1968-07-16 1979-06-07 Schmalbach-Lubeca-Gmbh, 3300 Braunschweig Aufreißdeckel aus Blech, insbesondere für Konservendosen
US3478918A (en) * 1968-08-14 1969-11-18 American Can Co Full open end closure
US3591037A (en) * 1969-02-24 1971-07-06 Aluminum Co Of America Container with removable panel portion
DE1959353A1 (de) * 1969-11-26 1971-06-03 Leckermaeulchen Fischkonserven Nietverbindung zwischen Grifflasche und Aufreissflaeche von Behaeltern,Dosen od.dgl.
US3682350A (en) * 1970-02-18 1972-08-08 Dorn Co V Easy opening rectangular metal container
US3653536A (en) * 1970-08-31 1972-04-04 Aluminum Co Of America Easy opening device for a rectangular container end
US3735892A (en) * 1970-10-26 1973-05-29 American Can Co Full open end having chordal start tear score sections
DE2909076C2 (de) * 1979-03-08 1984-01-26 Schmalbach-Lubeca Gmbh, 3300 Braunschweig Menüdose
DE2909074C2 (de) * 1979-03-08 1983-05-26 Schmalbach-Lubeca Gmbh, 3300 Braunschweig Aufreißdeckel aus Blech für Dosen von langgestreckt rechteckigem Umriß mit abgerundeten Ecken, insb. Mehrportionen-Menüdosen
DE3535226A1 (de) * 1985-10-02 1987-04-16 Schmalbach Lubeca Deckel aus blech fuer unrunde dosen, insb. langovale dosen im hansa-form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853245L (no) 1986-02-18
JPS6160449A (ja) 1986-03-28
IS3025A7 (is) 1986-02-18
DE3430382A1 (de) 1986-02-27
DE3430382C2 (ko) 1989-09-28
KR860001751A (ko) 1986-03-22
AU577878B2 (en) 1988-10-06
BR8503776A (pt) 1986-05-20
EP0171650A3 (en) 1987-04-22
EP0171650B1 (de) 1989-01-04
PT80972B (pt) 1987-08-19
AU4526685A (en) 1986-02-20
DK371485A (da) 1986-02-18
NO169223C (no) 1992-05-27
NO169223B (no) 1992-02-17
EP0171650A2 (de) 1986-02-19
PL254827A1 (en) 1986-06-17
IS1335B6 (is) 1989-01-13
JPH0227224B2 (ko) 1990-06-15
ATE39662T1 (de) 1989-01-15
DK170745B1 (da) 1996-01-08
PT80972A (en) 1985-09-01
DD236068A5 (de) 1986-05-28
ES288625U (es) 1986-01-01
PL145427B1 (en) 1988-09-30
SU1389674A3 (ru) 1988-04-15
GR852001B (ko) 1985-12-16
DE3567193D1 (en) 1989-02-09
CA1245996A (en) 1988-12-06
DK371485D0 (da) 1985-08-15
ES288625Y (es) 1986-09-01
US4593834A (en) 198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0820B1 (en) Metal can end with plastics closure
US3227304A (en) Can opening arrangement
JP4786236B2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キャップ
US4361251A (en) Detachment resistant retained lever tab
KR900005569B1 (ko) 타원형통의 함석뚜껑
KR100942867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US4417668A (en) Easy open can end with pull tab having retained tear strip with stress relief means
GB2075463A (en) Non-detachably tab-opened container
US3334778A (en) Can top with opener and spoon
JPH06179445A (ja) 容易開口罐蓋
JP2003512262A (ja) より容易に開口し、衛生性の高められた缶蓋構造
KR910000162B1 (ko) 비원형통, 특히 한자포매트(hansa format)인 장타원통의 함석 뚜껑
DE2715420A1 (de) Grifflasche, vorzugsweise aus blech, fuer aufreissdeckel
KR920006037B1 (ko) 찢어 여는 깡통용 금속뚜껑
MXPA04004911A (es) Extremo de recipiente de abertura facil.
US3980201A (en) Pop-top can lid
EP0158711A2 (en) A container lid having a safe open edge
US3216609A (en) Can closure
US3341055A (en) Container opening device
US3894651A (en) Non-removable opener
CA1160166A (en) Can
JP4076258B2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H0798234B2 (ja) 容易開口罐蓋
KR200371280Y1 (ko) 마개
GB2168313A (en) Pull can having aluminium can e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5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