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037B1 - 찢어 여는 깡통용 금속뚜껑 - Google Patents

찢어 여는 깡통용 금속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037B1
KR920006037B1 KR1019870000872A KR870000872A KR920006037B1 KR 920006037 B1 KR920006037 B1 KR 920006037B1 KR 1019870000872 A KR1019870000872 A KR 1019870000872A KR 870000872 A KR870000872 A KR 870000872A KR 920006037 B1 KR920006037 B1 KR 92000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ine
opening
ring
t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850A (ko
Inventor
볼프강피터
하인쯔하케
Original Assignee
쉬말바크-루베카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아킴 부트케·하투수트리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29567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2000603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쉬말바크-루베카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아킴 부트케·하투수트리터 filed Critical 쉬말바크-루베카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80009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complete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찢어 여는 깡통용 금속뚜껑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찢어 여는 뚜껑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르는 뚜껑의 부분적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따르는 뚜껑을 바닥에서 보았을때의 저면도.
제4도는 뚜껑의 종측선에 가로의 부분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리벳(고착점) 5 : 당겨 여는 링
7 : 요입선((notched line) 8 : 만곡된 시작부분
19 : 요입선 부분 12 : 당겨 여는 단부부분
15 : 파괴날 16 : 찢어 여는 시작부분
19 : 종방향중심선 20 : 요홈
39 : 폭
본 발명은 캔(can), 특히 청구범위 제1항에서 기재한 형상을 포함하는 장방형 혹은 사각형의 캔을 위한 찢어서 여는 금속뚜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뚜껑의 수많은 실시예가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원형, 장방형 혹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어느 하나에 속한다. 특히, 이러한 뚜껑은 완전히 찢어 버릴 수 있게 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요입선이 뚜껑의 모서리 벽 가까이에서 연장하고 거의 평행하여 캔상부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이후 "뚜껑형상부분"이라 호칭될 부분의 대부분이 요입된 선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찢어 여는 부분을 제거함에 의해 캔의 실질적인 전단면이 들어 날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상, 찢어 여는 부분은 찢어 열리는 출발부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작은 곡율반경에의해 한정된 면적을 형성하는 뚜껑의 윤곽으로부터 이 영역에서 요입선이 차이가 있는데 특징이 있고 여기서 요입선은 캔을 개봉할 때 초기에 파괴되게 된다. 이 영역에서, 캔으로부터 찢어서 여는 부분을 파괴하고 이를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당겨서 여는 링이 뚜껑 판재료로 부터 형성된 리벳에 의해 찢어 여는 부분과 거의 평면으로 접촉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요입선의 내부와 바깥에 뚜껑형상부분을 턱, 계단부, 리브 혹은 비이드에 의해 보강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또한 찢어열기를 시작하는 부분에 구비된 리브 혹은 비이드의 구조설계 혹은 방향은 캔이 열릴때 뚜껑형상부분 으로부터 최종 분리되는 찢어 여는 출발부분의 영역에 구비된 리브 혹은 비이드의 설계 혹은 방향과 다른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장방형 혹은 사각형의 캔은 종방향 중심선에 가로로 따라서, 찢어 여는 방향 가로로 연장하는 직선 혹은 만곡선 비이드를 구비한 찢어 여는 출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이드는 요입선이 처음 파괴되고 찢어 여는 부분이 실질적으로 뚜껑형상부분 으로부터 분리되어진 후 찢어 여는 시작 부분에서 쉬이트 말음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이 영역에서 통형상으로 부풀어 오름을 방지하는 수단이 된다. 뚜껑이 원형형상일 때 찢어 여는 방향에 가로로 연장한 이들 비이드는 찢어 여는 부분의 단부까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뚜껑이 장방 혹은 사각외형을 가질 때는 찢어 여는 부분의 이 만곡능력이 다르게 배향된 비이드에 의해 찢어 여는 부분의 다른 영역에서 다시 제거될 수 있다. 가로로 연장된 비이드들에 부가하여, 당겨 여는 링의 외형에 적용한 요홈들이 찢어 여는 시각부분에서와 같이 미리 구비된다. 가로로 연장한 비이드에 더해진 전술한 요홈은 강화를 위해 연결된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며, 이는 부가적으로 연결된 강화그룹과 인접 요입선부분 사이에 구비된 캡형상의 오목부분에 의해 보충된다.
출발부분에서 요입된 선을 초기에 파괴하는데 큰 물리적 노력이 필요함이 공지되어 있다. 요입된 선을 초기에 파괴하고 난 후, 요입된 선의 파괴작업을 계속하는데 필요한 힘은 찢어 여는 부분이 그의 전폭에 결쳐 굽혀지거나 혹은 변형될 필요가 있을 때라 하더라도 무척 감소된다.
요입된 선이 초기에 상당히 파괴될 때 필요한 비교적 큰 물리적 힘을 얻기 위해, 대분분의 경우, 얇은 판재료로 만들어지고 접힌 변부 혹은 이와 유사한 방식에 의해 강화된 단단한 레바로 형성된 당겨서 여는 링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당겨 여는 링은 당겨서 여는 링을 찢어 여는 부분에 고착하는 점이 당겨 여는 링의 나머지 레바-형 몸체에 강하게 연결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배열 또한 그 자신을 고착하는 점이 휘어질 고착점에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이 점은 당겨 여는 링의 몸체에 의해 포위된다. 이 모든 경우에 당겨 여는 단부가 들어 올려져야 요입된 선을 전단작용에 의해 파괴할 수 있다. 필요한 힘은 당겨 여는 링으로부터 링몸체로 고착 리벳을 통하여 또, 링 몸체로부터 통상요입된 선 바로 위에 위치된 링의 파괴날로 전달되어 날을 아래로 밀게 된다. 요입된 선의 시작부분이 뚜껑의 코아벽 가까이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이 영역은 코아벽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레바-타입의 당겨 여는 링의 파괴날의 압력을 견디도록 뚜껑형상부분의 너머지 부분을 강화하는 작용을 한다. 요입선은 요입된 선의 이 영역에서 발생된 전단력에 의해 파괴되게 하는 이유가 된다.
많은 경우에, 고착 리벳상에 미치는 당김 효과의 결과로 찢어 여는 부분의 찢어 열기 시작하는 부분이 위로 변형되어 막같이 휘어버림으로 인해 이들 힘의 일부가 흡수되므로 요입선의 시작부분에 전단력에 완전히 공급될 수 없음을 볼수 있다. 이런 결점은 특히 판의 두께가 0.24mm 인 종래 판두께와 다른 두께가 사용되었을 경우와, 또 뚜껑을 제조하는데 두께가 작은 판을 사용하는 경우에 나타나게 된다. 판의 리벳의 양측으로 휘기때문에 파괴날이 요입선 넘어로 이동하고 효과를 줄이게 된다. 이 결점은 요입선을 세김에 의해 판재로가 이 영역에서 비교적 유약하게 되므로 더욱 강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 1항에서 대전제절의 현상을 포함하는 찢어 여는 뚜껑을 개선하여 얇은판이 사용되었을 때라도 당겨 여는 링 단부부분을 들어 올림에 따라 형성된 전단력이 당겨 여는 링의 파괴날 아래의 요입된 선의 초기 파괴작업에 더욱 완전한 효과를 주고 결과적으로, 효과적으로 앞서 기술된 결점이 피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제1항에서 기술된 현상에 의해 해결된다.
이 방식에서, 특히 최소의 판두께가 사용되었을때 고착 리벳을 내포한 찢어 열기 시작하는 부분의 극히 양호하게 강화된 한정된 영역이 얻어진다. 이는 당겨 여는 링부분이 들어 올리져 캔을 열려고 할때 이 영역이 막같이 휘게됨을 막아준다. 따라서 고착리뱃이 그의 원위치에서 유지되어 당겨 여는 링의 단부부분을 통해 나타난 힘이 찢어 여는 시작부분의 변형에는 덜 영향을 주고 요입선을 파괴하는데만 거의 전 힘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날이 요입된 선과 정렬되어 유지되도록 한다. 요홈과 비이드의 단면형성, 가로 연장 비이드의 칫수 및 요입된 다리의 직선연장부들은 이 영역의 안정화에 실직적으로 기여한다.
이와 관련하여, 청구범위 제2항에 기술된 형태의 비이드-타입 요홈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에 의해 찢어여는 시작부분의 결정적이고 확정된 영역이 필요한 정도까지 강화되고, 동시에 요입선이 파괴되고 특히 비틀림에 대항하는 큰 강도가 문제의 영역에서 얻어질 때 찢어 여는 시작부분의 최상단에 필요만곡이 촉진됨이 확실해 진다.
다른 종속항은 U형상요홈과 보강을 위해 열결되는 그룹의 더욱 유리한 개량과 관련된다. 이 관계에서, U형상요홈의 두다리의 폭 및/혹은 깊이가 청구범위에 따라 형성되었을때 특히 유리하다.
필요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리벳을 포함하는 찢어 여는 시작부분의 영역이 평판형태로 보강되어 이 영역에서 막같은 팽창이 크게 제거되로록 한다. 반면, 고착점과 요입선 시작부분 사이의 영역이 아래로 쉽게 휘어져 파괴에 필요한 힘을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부로 휘어질 영역은 당겨 여는 링에 장력을 가함에 의해 요입된 선의 안전한 파괴작업을 계속하도록 가능한대로 정확히 한정된 채 남아잇게 된다, 이들 필요는 적절한 방식으로 비이드 그룹을 만듦에 의해 충족된다.
이후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문제의 뚜껑은 생선 캔과 같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장방형의 뚜껑이 실시예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사용된 뚜껑은 사각 혹은 원형이어도 좋다. 뚜껑은 판재료로 만들어지고 선호적으로 두께가 통상의 두께 0.24mm보다 작은두께를 가진 판재료로 만들어 진다.
통상과 같이, 뚜껑은 변부(2)를 접어 형성되어 코아벽을 통해 뚜껑형상부분(3)으로 바뀐다. 찢어 여는 부분(6)은 뚜껑형상 부분내에서 자체에 포함된 요입선(7)에 의해 형성된다. 도면은 실질적으로 찢어 여는 부분의 찢어 여는 시작부분(l6)만 보였다. 요입선(7)이 뚜껑의 나머지 영역내의 뚜껑변부의 코아벽 가까이로 연장하고 있지만, 그의 팽창은 뚜껑의 윤곽으로부터 찢어 여는 시작부분(16)의 영역에서 이탈한다. 찢어 여는 시작부분(16)은 제2도에서 좌단을 향하여 모이고 뚜껑의 단부에서 요입선의 비교적 급하게 만곡된 시작부분(8)으로 바뀌는 요입선의 두 직선 부분에 의해 정의된다. 판재료로 형성된 리벳(4)에 의해 당겨 여는 링(5)이 단부영역에 부착된다. 전술한 당겨 여는 링은 단단한 레바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대부분의 경우, 얇은 판으로 형성되고 변부를 맡아 보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당겨 여는 링몸체는 뚜껑판에 직접 고착되어 리벳(4)에 의해 그와 납작하게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당겨 여는 링은 고착점이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제2도에서 점선으로 정의된 당겨 여는 링몸체의 고착부분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도시된 예에서, 당겨 여는 링의 종방향 중심선은 장방향을 가지는 뚜껑의 종방향 중심선(19)과 일치된다. 그러나, 당겨 여는 링의 빗나간 방향도 또한 구비된다. 당겨 여는 링은 요입선의 시작부분(8)과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열된 파괴날(15)의 형상으로 된 전방단부를 가지고 있다. 떨어진 단부에는 당겨 여는 링(5)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링같은 형상을 가진 당겨 여는 단부부분(12)을 가진다.
찢어 여는 시작부분(16)에 인접한 찢어 여는 부분의 다른 영역(17)에는 판이 뚜껑변부에 평행하게 또 뚜껑변부에 평행한 요입선부분(10)에 팽행하게 각기 연장하는 리브 혹은 비이드에 의해 혹은 요홈(20)에 의해 보강된다. 이 영역에서, 찢어여는 부분의 폭(39)은 거의 뚜껑에 의해 폐쇄될 캔의 내측폭에 해당한다.
당겨 여는 링(5)의 단부부분(12)이 캔을 열기 위해 들어 올려질 때 찢어 여는 시작부분의 막형태 팽창을 방해하기 위해 U-형상의 비이드-형상요홈(23)(24)이 고착점(4) 가까이의 당겨 여는 링아래에 구비된다. 전술한 요홈은 단부부분(12) 아래에 위치된 웨브형태부분(123)과 상기 웨브형태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요입된선 시작부분(8)을 향하여 돌출하고 당겨 여는 링(5)의 종방향 중심선(19)에 가로로 연장하는 공통선(28)상의 (26)에서 갑작스럽게 끝난 두다리 혹은 아암을 포함한다. 선(28)은 리벳(4)의 기동몸(4a)에 관해 접선으로 연장한다. 웨브형상부분(123)은 당겨 여는 단부부분(12)과 일렬로 형성된다. 만일 당겨 여는 단부부분(12)과 일렬로 형성된다. 만일 당겨 여는 단부부분(12)이 링형상으로 형성되면, 웨브형부분(123)역시 링형상 단부부분(12)에 일치하는 비이드폭(23)을 가진 행당부분 링형상 연장부를 가지게 된다.
웨브형부분(123)으로의 정이영역에서 다리(124)는 넓어진다. 이들의 폭은 이들의 자유단(26)을 항하는 방향으로 계속감소한다. 이들의 깊이 또한 이 방향으로 감소한다. 다리(124)의 내부형성부분 플랭크(flank)(29)은 종방향 중심선(l9)에 관해 직선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당겨 여는 링의 종방향 중심선에 가로로 연장하는 U-형상요홈(123)(124)와 비이드(21)(22)는 결합되어 하나의 비이드 그룹을 형성한다. 전술한 비이드그룹의 비이드의 전부는 동일한깊이이다. 가로로 연장하고 더 짧은 비이드(21)는 웨브(123)와 다리 (124)사이의 전이점에서 U-형상요홈을 교차하고, 한편 가로로 연장하고 더긴 비이드(22)는 제3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링형상 웨브부분(123)에 붙는다. 제2도에서 직선으로 형성된 가로 연장 비이드(21)(22)는 약간 만곡되어 있다. 거의 반원형 면적을 가지는 융기부분(25)이 가로 연장 비이드(21)(22)사이의 단부부분(12)의 링개구부내에 남는다. 짧은비이드(21)와 두 다리(124)사이에 편평한 형태의 부분(11)이 뚜껑형상부분(3)의 평면에 남아 있다. 이 부분에는 당겨 여는 링(4)을 위해 고착리벳이 구비된다. 가로 연장 비이드(21)(22)의 각각은 인접 요입선 부분(9)까지 바로 돌출한다. 나머지거리 (31)는 거의 비이드의 폭(34)에 해당한다.
상기 배열은 당겨 여는 링(5)의 고착형태에 의해 혹은 전술한 당겨 여는 링(5)의 약간의 변형에 의해 단부부분(12)의 적어도 일부가 비이드의 깊이를 적어도 일부 맞물게 하여 이 배열형태에 의해 당겨 여는 링이 동시에 교착점을 중심으로 비틀림에 대해 신뢰할 수 있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가로로 길게 연장한비이드(22)에 관한 단부부분(12)의 배열과 위치는 단부가 당겨 여는 링의 부분(12)의 끝단에 손톱 혹은 손끝 어느 것으로든 사용하여 전술한 단부부분을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는 것이다. 제3도에서 부호(32)는 접힌 뚜껑변부(2)내의 씨일링 콤파운드를 표시한다.
적어도 제3도에 따른 선호된 실시예에서 다리(124), 또 웨브-형부분(123) 및 가로 연장 비이드(21)(22)는 제4도에서(3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고 있다.

Claims (6)

  1. 뚜껑의 한 타원형 측부에서 시작부분(8)과 함께 끝없는 요입선(7)로 둘러싸인 찢어 여는 부분(6)을 갖는 둥굴지 않는 캔 특히 장방형, 타원형 캔용의 금속뚜껑(1)에서 요입선(7)은 뚜껑의 긴 직선측부에 평행하게 움직이고 시작부분(8)을 향해 모이며, 리벳(4)으로 그것에 고정되고 찢어 여는 부분(6)위에 평평하게 배열된 캔개구부의 당겨 여는 링(5)을 가진 요입선의 시작부분 근처에 찢어 여는 부분이 갖춰지며 한 단부는 요입선(7)의 시작부분(8)위에 놓여 있는 파괴날(15)로 설계되며 반대단부는 당겨 여는 단부부분(12)으로 설계되며, 두 모이는 요입선부분(9)사이의 찢어 여는 부분의 지역이 뚜껑의 세로축에 수직으로 배열된 최소한 두개의 비이드(21,22)를 갖추면서, 0.24mm이하의 두께를 갖는 얇은 금속판을 사용하는 경우 모이는 요입선부분(9)나 거기에 고정된 당겨 여는 링(5)의 위치사이의 찢어 여는 부분(6)의 금속판을 안정화 시킬 목적으로, U형상의 요홈(23,24)가 찢어여는 부분(6)안에 갖춰지고 U형상요홈(24)의 똑바른 다리(124)는 서로에 대해 그리고 뚜껑(1)의 종방향 중심선(19)에 평행으로 움직이며 요입선의 시작부분(8)을 향해 방향잡히고 시작부분(8)을 마주보는 리벳(4)의 축부위에 리벳축(4a)에 접선적으로 뚜껑의 종방향중심선(19)에 수직으로 배열된 공통의 직선(28)에서 뚜껑과 가로비이드(21,22)의 최소한 하나 (21)을 가로질러 당겨 여는 링(5)의 리벳(4)의 어느쪽 측부에나 배열되며 U형상요홈(23,24)의 나머지 부분은 당겨 여는 링(5)의 당여 여는 단부부분(12)의 윤곽 밑에 배열되고 그것에 본질적으로 맞게 되어 있으며 가로비이드(21,22)는 가로 비이드(21,22)의 폭에 상응하는 것으로 부터 일정한 거리(31)까지 모이는 요입선 부분(9)의 각각을 행해 뻗어가는 특징이 있는 찢어 여는 금속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U형상요홈(23,24)의 다리(124)의 횡단면이 대략 사다리꼴인 특징을 갖는 금속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두다리(124)를 연결하는 U형상요홈(23,24)의 한 부분이 제2의 가로 비이드를 통해 접선적으로 움직이는 금속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U형상요홈의 다리(124)의 깊이와 폭은 자유단(26)을 향해 꾸준히 감소하는 특징이 있는 금속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가로비이드(21,22)와 다리(124)를 연결하는 비이드 부분은 사다리꼴 횡단면을 갖고 본질적으로 같은 깊이가 되는 특징이 있는 금속뚜껑.
  6. 제1항에 있어서, 완료된 뚜껑의 당겨 여는 단부부분(12)가 U형상요홈(23,24)의 깊이에 부분적으로 있게 되는 특징이 있는 금속뚜껑.
KR1019870000872A 1986-03-06 1987-02-04 찢어 여는 깡통용 금속뚜껑 KR920006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607402.0 1986-03-06
DE19863607402 DE3607402A1 (de) 1986-03-06 1986-03-06 Aufreissdeckel aus metall fuer dos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850A KR880009850A (ko) 1988-10-05
KR920006037B1 true KR920006037B1 (ko) 1992-07-27

Family

ID=629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872A KR920006037B1 (ko) 1986-03-06 1987-02-04 찢어 여는 깡통용 금속뚜껑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4767020A (ko)
EP (1) EP0236736B1 (ko)
JP (1) JPS62208358A (ko)
KR (1) KR920006037B1 (ko)
AT (1) ATE53554T1 (ko)
AU (1) AU590685B2 (ko)
BR (1) BR8700944A (ko)
CA (1) CA1273303A (ko)
DD (1) DD254715B5 (ko)
DE (2) DE3607402A1 (ko)
DK (1) DK166912B1 (ko)
ES (1) ES2004227A6 (ko)
GR (1) GR870362B (ko)
IS (1) IS1340B6 (ko)
NO (1) NO171053C (ko)
PL (1) PL155245B1 (ko)
PT (1) PT84403B (ko)
SU (1) SU1547703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5226A1 (de) * 1985-10-02 1987-04-16 Schmalbach Lubeca Deckel aus blech fuer unrunde dosen, insb. langovale dosen im hansa-format
FR2687372B1 (fr) * 1992-02-19 1995-05-19 Lorraine Laminage Couvercle a ouverture facile et recipient muni d'un tel couvercle.
USD405010S (en) 1994-11-03 1999-02-02 Schmalbach-Lubeca Ag Can lid
US5934498A (en) * 1997-09-19 1999-08-10 Aluminum Company Of America Convenience easy opening end with large removal panel
ES2238116B1 (es) * 2002-11-07 2006-12-01 Mivisa Envases, S.A.U. Tapa de facil apertura.
US20050178379A1 (en) * 2004-01-14 2005-08-18 Michael Weinberger Alcohol gel fireplace burner
US7909195B2 (en) * 2005-09-23 2011-03-22 Wm. Wrigley Jr. Company Two-piece container lid assembly
US7810681B2 (en) * 2006-12-22 2010-10-12 Portola Packaging, Inc. Internal container bore mount fitment
DK3257773T3 (da) 2016-06-16 2019-05-27 Ardagh Mp Group Netherlands Bv Låg til en rund aflang dåse og en rund aflang dåse forsynet med et sådant låg
GB2580900B (en) * 2019-01-23 2021-05-19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Can end with ribs to increase panel stiffnes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227762U (de) * 1972-11-02 Wehrstedt & Soehne Voll-Aufreißdeckel für Konservendosen
US3662916A (en) * 1970-11-23 1972-05-16 Continental Can Co Easy opening container
US3752353A (en) * 1972-01-24 1973-08-14 Campbell Soup Co Can end
AU463119B2 (en) * 1972-08-07 1975-07-17 Van Dorn Company Easy opening rectangular metal container
US3891117A (en) * 1974-05-24 1975-06-24 Dorn Co V Easy-opening can end construction
JPS5345750A (en) * 1976-10-06 1978-04-24 Sanyo Electric Co Ltd Hot water boiler
US4143788A (en) * 1977-08-15 1979-03-13 The Continental Group, Inc. Child resistant safety closure
US4406378A (en) * 1981-07-06 1983-09-27 Automated Container Corporation Metallic convenience closure
US4524879A (en) * 1984-06-18 1985-06-25 Van Dorn Company Can end pour spout and pull tab construction
DE3430382A1 (de) * 1984-08-17 1986-02-27 Schmalbach-Lubeca AG, 3300 Braunschweig Deckel aus blech, insb. langovale dosen im z.b. hansaform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S3186A7 (is) 1987-09-07
KR880009850A (ko) 1988-10-05
PL264442A1 (en) 1988-06-23
SU1547703A3 (ru) 1990-02-28
JPH0329668B2 (ko) 1991-04-24
NO171053B (no) 1992-10-12
EP0236736A2 (de) 1987-09-16
NO171053C (no) 1993-01-20
DD254715B5 (de) 1997-01-23
DE3607402C2 (ko) 1991-03-07
EP0236736B1 (de) 1990-06-13
AU590685B2 (en) 1989-11-09
EP0236736A3 (en) 1988-06-29
BR8700944A (pt) 1987-12-29
DE3607402A1 (de) 1987-09-10
JPS62208358A (ja) 1987-09-12
ATE53554T1 (de) 1990-06-15
DE3763179D1 (de) 1990-07-19
DK166912B1 (da) 1993-08-02
PT84403B (pt) 1989-10-04
DK113487A (da) 1987-09-07
US4767020A (en) 1988-08-30
DD254715A5 (de) 1988-03-09
AU6974487A (en) 1987-09-10
GR870362B (en) 1987-06-30
IS1340B6 (is) 1989-01-13
CA1273303A (en) 1990-08-28
NO870954D0 (no) 1987-03-06
ES2004227A6 (es) 1988-12-16
PL155245B1 (en) 1991-11-29
PT84403A (de) 1987-04-01
NO870954L (no) 1987-09-07
DK113487D0 (da) 1987-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227B1 (ko) 용기 마개의 손잡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920006037B1 (ko) 찢어 여는 깡통용 금속뚜껑
CA1178906A (en) Full opening steel can end construction
US3941277A (en) Embossed can end construction
US4286728A (en) Tab and ecology end
US3227304A (en) Can opening arrangement
WO1999001351A3 (en) End closure with improved openability
US3951299A (en) Horse-shoe shaped vent score
EP2448834B1 (en) Lid for containers of substances and container of substances thus equipped
USRE30349E (en) Easy-opening container wall with coreline vent
US3881630A (en) Pop-in container closure
JPH0329667B2 (ko)
CA1049940A (en) Container end closure
IE904503A1 (en) Easily openable cover of sheet, especially sheet metal.
US3604589A (en) Antifracture coin for panelled can ends
CA1160166A (en) Can
US4165015A (en) Lanced scored and punched easy opening panel arrangements
US3430802A (en) Easy-opening can
US3437229A (en) Soft lift tab
JP3883089B2 (ja) 開口容易な缶蓋
US4143788A (en) Child resistant safety closure
RU2745368C2 (ru) Крышка для округлой продолговатой банки и округлая продолговатая банка с такой крышкой
JPS6333805Y2 (ko)
CA1104075A (en) Tab construction for easy opening container
JPH09301365A (ja) 開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