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624B1 - 메모리를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를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624B1
KR900002624B1 KR1019860008703A KR860008703A KR900002624B1 KR 900002624 B1 KR900002624 B1 KR 900002624B1 KR 1019860008703 A KR1019860008703 A KR 1019860008703A KR 860008703 A KR860008703 A KR 860008703A KR 900002624 B1 KR900002624 B1 KR 900002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address
timing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633A (ko
Inventor
히사하루 다께우찌
떼루오 이따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
도시바 오디오. 비디오 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지마 고오다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 도시바 오디오. 비디오 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지마 고오다로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04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 G11B15/4731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 G11B15/473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e.g. for time base correction
    • G11B15/4735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e.g. for time base correction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37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by assembling picture element blocks in an intermediate st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메모리를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속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VTR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어드레스 소거 타이밍 제어기(16)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메모리 어드레스 제어기(17)의 내부구성 및 그 주변회로의 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 4a 도 내지 제 4p 도는 제 2 도의 어드레스 소거 타이밍 제어기(1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선도.
제 5a 도 내지 제 5m 도는 제 3 도의 메모리 어드레스 제어기(1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선도.
제 6 도는 제 2 도의 어드레스 소거 타이밍 제어기(16)에 응용되어 그 기능을 개선하는 회로를 도시한 블럭도.
제 7 도는 제 2 도의 회로요소(27) 및 (28)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회로를 도시한 블럭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회로의 입출력 특성을 예시하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 드럼 2,3 : 자기 헤드
4 : 자기 테이프 5 : 제어 헤드
6 : 캡스턴 7 : 핀치롤러
8 : 캡스턴 모터 9 : 캡스턴 모터 서어보 회로
10 : 저속 재생 속도 지정회로 11 : 실린더 서어보회로
12 : PLL 회로 13 : 증폭기
14 : 지연회로 15 : 동기화회로
16 : 어드레스 소거 타이밍 제어기 17 : 메모리 어드레스 제어기
18 : 재생 영상 신호 처리회로 19 : A/D 변환기
25 : 위상 비교기 26 : 에러 신호 처리회로
27 : 제산기 28 : 카운터
32 : 어드레스 변조기 60,62 : 비교기
본 발명은 메모리를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피일드 메모리를 이용한 개량된 저속 재생장치에 관한것이다.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VTR로 표기함)에 있어서 저속(slow)재생을 할 경우,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왔다.
(1) 캡스턴 모터의 회전을 단순히 늦추어서 저속 재생을 실시한다. 이 경우, 재생화면에 노이즈(noise)가 발생하는 일이 많다.
(2) 캡스턴 모터를 간헐구동시키고, 특수 재생용 헤드를 이용하여 노이즈가 없는 저속 재생을 실시한다.
(3) 캡스턴 모터의 회전을 늦추고, 압전소자상에 배치되어 기록 트랙의 폭방향으로 편이(편차이동)가 가능한 헤드를 이용하여 노이즈가 없는 저속 재생을 실시한다.
상기 (2),(3)의 방법에서는 노이즈가 없는 저속 재생 화면을 얻을수 있으나, (2)의 방법에서는 특수 재생용 헤드가 필요하고, (3)의 방법에서는 헤드의 변위를 위한 특별한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1)의 방법에서는 노이즈가 발생되어 실용적이 못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특수 재생용 헤드와 같은 기구부품에 의존하지 않고도 노이즈가 경감된 저속 재생이 가능한 VTR의 저속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저속 재생장치에서는, 자기 테이프를 간헐적으로 구동하여, 이 간헐구동중의 테이프 정지 상태에서 1피일드(field)분의 영상신호를 피일드 메모리에 서입(write)하고, 간헐구동중의 테이프 주행 상태에서는 피일드 메모리로부터 상기 서입된 신호를 판독(read)하도록 한다. 또한, 간헐 구동에 있어서 테이프 정지위치가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영상신호의 판독 타이밍 오차를 보정하여, 노이즈가 적은 안정된 저속 재생 화면을 얻을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VTR의 저속 재생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제 1 도 내지 제 3 도의 블럭도와, 제 4 도 및 제 5 도의 타이밍 선도를 참조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비디오용 자기 헤드(2), (3)는 180°의 상대각으로 회전드럼(1)에 설치된다. 이 회전드럼(1)에 밀착하여, 자기 테이프(4)가 캡스턴(6) 및 핀치롤러(7)에 의해 구동되어 주행한다. 이 자기 테이프(4)의 양측연부에 제어헤드(5)에 의한 제어신호(E5)가 기록 및 재생된다. 캡스턴(6)은 캡스턴 모터(8)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 캡스턴 모터(8)의 간헐구동제어는 캡스턴 모터 서어보 회로(9)에 의해 실행된다. 간헐 저속 재생시의 테이프 주행속도는, 저속 재생속도 지정회로(10)로부터 캡스턴 모터 서어보 회로(9)에 공급되는 속도지정신호(E10)에 의해 결정된다. 제어 헤드(5)로부터의 재생 제어신호(E5)는 증폭기(13)를 통해 소정 크기의 제어신호(E13)로 증폭된다. 소정크기의 이 제어신호(E13)는 캡스턴 서어보계의 기준데이타로서 캡스턴 모터 서어보회로(9)에 공급됨과 동시에, 지연회로(14)에 입력된다. 지연회로(14)로부터의 지연 출력(E14)은 동기화 회로(15)에 입력된다. 또한, 캡스턴 모터 서어보 회로(9)에는 후술하는 실린더 서어보 회로(11)의 수정발진에 의한 기준클럭(E9B)이 공급된다.
회전드럼(1)의 회전은 실린더 서어보회로(11)에 의해 제어된다. 이 실린더 서어보회로(11)는 위상고정루프(PLL) 회로(12)에 피일드펄스(E11A)를 공급한다. 이 피일드펄스(E11A)(예를들면, 60Hz)에 따라, PLL회로(12)는 실린더 서어보 기준신호(E9B)(예를 들면, 30Hz)로 위상고정된 동기화 신호(E12A)(예를 들면, 60Hz)를 동기화 회로(15)에 공급한다. 동기화 회로(15)는 이 동기화 신호(E12A)에 의해 지연출력(E14)을 짓터(jitter)가 없는 안정한 서입 타이밍 신호(E15)로 변환한다.
서입 타이밍 신호(E15)는 어드레스 소거 타이밍 제어기(위상 매칭회로)(16)에 입력된다. 이 어드레스 소거 타이밍 제어기(16)는 PLL 회로(12)로부터 위상 매칭(matching)전의 기준 어드레스 소거 신호(E12B)(예를들면, 60Hz)를 수신하고, 실린더 서어보회로(11)로부터는 피일드펄스(E11A)를, 재생수평동기신호 분리회로(180)로부터는 재생수평동기펄스(E180)를, 또한 판독영상 출력용의 판독수평동기신호 분리회로(210)로부터는 판독수평동기펄스(E210)를 각각 수신하여, 수신한 데이타 및 펄스에 따라 위상매칭된 어드레스 소거신호(E16)를 만들어낸다.
어드레스 소거 신호(E16)와 서입 타이밍 신호(E15)는 메모리 어드레스 제어기(17)에 입력된다. 이들의 신호에 따라, 메모리 어드레스 제어기(17)는 판독어드레스 또는 서입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데이타(E17A)와, 판독모드(R) 또는 서입모드(W)의 한 모드를 지정하는 모드지정신호(E17B)를 화상메모리(20)에 공급한다.
제 1 선택스위치(SW1)는 실린더 서어보회로(11)로부터의 헤드절환펄스(E11B)에 의해 자기헤드(2),(3)의 출력(E2),(E3)을 1피일드마다 교대로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이 스위치(SW1)의 출력신호(S1)는 재생영상신호 처리회로(18)에 입력된다.
재생영상신호 처리회로(18)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E18)는 재생수평동기신호 분리회로(T80) 및 A/D 변환기(19)에 입력된다. 재생수평동기신호 분리회로(180)는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E18)로부터 재생수평동기펄스(E180)를 분리하여, 이것을 어드레스 소거 타이밍 제어기(16)에 공급한다. A/D 변환기(19)는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E18)를, 예를들면, 6비트의 디지탈 비디오 데이타(E19)로 변환한다. 상기 비디오 데이타(E19)는, 모드지정신호(E17B)가 서입모드(W)를 지정할때, 어드레스 데이타(E17A)에 의해 결정되는 화상 메모리(20)의 어드레스로 서입된다. 이 서입모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타(E19)는 또한 제 2 선택스위치(SW2)를 통해 D/A 변환기(21)로 직접 공급되기도 한다.
화상메모리(20)에 비디오 데이타(E19)의 서입이 완료되면, 모드지정신호(E17B)는 판독모드(R)를 지정하는 논리 레벨로 변한다. 그결과, 제 2 선택스위치(SW2)가 절환되어, 비디오 데이타(E19) 대신에 어드레스 데이타(E17A)에 대응되는 화상 메모리(20)의 판독출력데이타(E20)가 D/A 변환기(21)에 입력된다. D/A변환기(21)는 입력된 비디오 데이타(E19)나 판독출력데이타(E20)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E21)를 비디오 출력단자(22)로 송출한다.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E21)는 또한 판독수평동기신호 분리회로(210)에 입력된다. 판독수평동기신호분리회로(210)는 입력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부터 판독수평동기펄스(E210)를 분리하여, 이것을 어드레스 소거 타이밍 제어기(16)에 공급한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의 저속 재생장치의 동작을 살펴 보기로 한다.
간헐구동되는 자기 테이프(4)의 일시정지 위치는, 테이프 주행기구의 정밀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 트랙 위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르지 못할 때가 있다. 이에따라, 재생 비디오 신호(E18)의 시간축이 고르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예를들면, 화상메모리(20)로부터 판독을 계속하다가 환서(換書)하고자 할경우, 그때까지 판독하고 있던 화상메모리(20)의 판독출력 데이타(E20)와 서입데이타(E19)(이 서입데이타(E19)는 제 2 선택스위치)(SW2)를 통해 통해 출력신호(S2)가 되기도 한다)와의 사이에 시간적인 불연속이 생긴다. 이 시간적인 불연속은 그 시점에서의 수평동기신호의 위상이 다른 시점에서의 수평동기신호의 위상과 상이함을 의미하고, 이것은 수평방향의 스큐(skew)의 변화가 된다. 그러므로, 제 2 선택스위치(SW2)에 의해 선택된 영상출력(S2)에는, 화상메모리(20)에 저장된 화상의 내용이 바뀔때마다(즉, 환서될 때마다)불규칙한 스큐(skew)가 순간적으로 발생하여, 재생화상이 보기 좋지 못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하여 상기의 문제를 해결한다. 즉, 우선 제 4 도 m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상메모리(20)의 판독 타이밍의 제어를 자유주행 기간과 동기화 기간으로 구분한다. 자유주행 기간으로서는 화상메모리(20)에 대한 신호의 서입이 종료한 후로부터 테이프 이동(제 4 도 c)이 완료될때 까지가 포함된다.
자유주행 기간은 간헐구동 및 그 영향이 남아있는 기간을 위해, 재생 비디오 신호(E18)의 시간축이 안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기간중에는 화상메모리(20)로부터의 판독 동작을 재생 비디오 신호(E18)의 시간축과 독립하여 실시한다. 이를 위해서는, 어드레스 소거 신호(E16)를 PLL 회로(12)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어드레스 소거 신호(E18B)와 동기시켜 발생되도록 하면된다.
다음에, 동기화 기간을 가능한한 길게 확보하고, 이 기간내에서 약간씩 판독 데이타(E20)의 시간축과 실제의 재생신호(E18), 즉, 서입데이타(E19)의 시간축을 매칭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들면, 어드레스 소거 신호(E16)의 타이밍을 연속하는 피일드마다 약간씩 빨리하고(또는 늦추고), 화상메모리(20)의 내용의 다음 환서때까지 판독데이타(E20)를 서입데이타(E19)에 대하여 동기화 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유주행 기간에 있어서, 예를들면, 판독수평동기펄스(E210)가 재생수평동기펄스(E180)보다 위상지연 되었다고 하면, 동기화 기간내에 판독수평동기펄스(E210)의 위상 진행처리가 실행되어, 판독수평동기펄스(E210)는 재생수평동기펄스(E180)와 위상이 같아지게 된다. 위상이 같아진 다음, 서입 타이밍 신호(E20)에 의한 화상메모리(20)의 환서가 실행된다.
이와같이, 어드레스 소거 신호(E16)를 피일드마다 약간씩 수정하면, 스큐의 발생은 이들의 수정 피일드로 분산된다. 따라서, 수정을 실행하지 않은 경우와 같이 화상메모리(20)를 환서할때 스큐가 집중되는 일은 없다.
상술한 판독수평동기펄스(E210)와 재생수평동기펄스(E180)와의 동기화(위상매칭)는, 제 2 도에 상세히 도시한, 어드레스 소거 타이밍 제어기(16)에 의해 실행된다.
제 1 도의 수평동기 분리회로(180), (210)로부터의 수평동기펄스(E180), (E210)는 각각 제 2 도의 위상비교기(25)의 각 입력단자(23),(24)에 공급된다. 위상비교기(25)는 수평동기펄스(E180)과 (E210)의 위상차를 나타내는 신호(E25)를 에러신호처리회로(26)에 공급한다. 에러신호처리회로(26)는 상기 위상차 신호(E25)에 소정의 처리를 하고, 수평동기펄스(E180)과 (E210)의 위상차(시간차) 아날로그 신호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에러 디지탈 데이타(E26)를 제산기(divider))(27)에 공급한다. 상기 에러신호 처리회로(26)는 통상 입력단자(23)의 재생수평동기펄스(E180)와 입력단자(24)의 판독수평동기펄스(E210)와의 위상차에 대응되는 디지탈 데이타를 발생하는 A/D변환기로 구성한다.
제산기(27)는 어드레스 에러 데이타(E26)를 소정의 데이타(E28)로 나누어서, 어드레스 변조 데이타(E27)를 출력시킨다. 상기 소정의 데이타(E28)는 카운터(28)의 카운트 출력으로 얻어진다. 카운터(28)는 입력단자(29)를 각 피일드의 개시부를 나타내는 피일드펄스(E11A)를 수신하고, 입력단자(30)를 통해서는 서입 타이밍 신호(E15)를 수신하며, 또한 입력단자(31)를 통해서는 제 1 도의 저속 재생속도 지정회로(10)로부터 저속 재생 속도비 m의 데이타를 수신한다.
이 카운터(28)는 저속 재생 속도비 m에 대응되는 초기치가 서입 타이밍 신호(E15)에 의해 로드(load)되고, 이 초기치로부터 피일드펄스(E11A)에 의해 다운카운트(down count)를 하는 다운카운터를 사용하면된다(또는, 이 카운터(28)는 저속 재생 속도비 m에 대응되는 최대 카운트치가 서입 타이밍 신호(E15)에 의해 로드되고, 카운트 0으로부터 피일드펄스(E11A)를 업카운트하는 업카운터를 사용해도 된다.
제산기(27)로부터의 어드레스 변조 데이타(E27)는 어드레스 변조기(32)에 공급된다. 이 어드레스 변조기(32)는, 입력단자(33)를 통해 제 1 도의 PLL 회로(12)로부터 공급되는 기준 어드레스 소거 신호(E12B)를 어드레스 변조 데이타(E27)에 따라 지연시키고, 출력단자(34)를 통해 어드레스 소거 신호(E16)를 송출한다. 이 어드레스 소거 신호(E16)는 제 1 도에 도시된 메모리 어드레스 제어기(17)내의 어드레스 카운터(제 3 도의 (17a) 참조)를 실제로 소거하는데 사용된다. 이 어드레스 변조기(32)는, 예를들면, 제산기(27)의 출력 어드레스 변조 데이타(E27)의 내용에 따라 지연시간이 변화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지연 라인이나, 또는 제산기(27)의 출력 어드레스 변조 데이타(E27)에 의해 기준 어드레스 소거 펄스(E12B)의 발생시부터 어드레스 소거 신호( E16)의 발생시까지의 클럭수를 결정하는 디지탈 지연회로로 구성된다.
어드레스 소거 타이밍 제어기(16)의 동작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위상비교기(25)에서는 재생수평동기펄스(E180)와 판독수평동기펄스(E210)의 위상이 비교된다. 이 위상비교 출력(E25)은 에러신호처리회로(26)에 입력되어, 여기서 펄스(E180)와 펄스(E210)의 시간차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에러 데이타(E26)를 얻는다. 한편, 카운터(28)는 저속 재생 속도비 m의 데이타와 서입 타이밍 신호(E15)에 따라 피일드펄스(E11A) (피일드의 개시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카운트하여, 현재로부터 몇번째 피일드에서 메모리(20)에 대한 서입을 실행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데이타(E28)를 출력한다. 이 카운터(28)의 출력데이타(E28)는 제산기(27)에 입력되어, 여기서 전술한 에러 신호처리회로(26)의 출력데이타(E26)를 상기 소정의 데이타(E28)로 나누게 된다. 이 결과로서의 출력 데이타(E27)는 다음의 어드레스 소거 시점에서 보정해야할 어드레스 변조 데이타를 나타낸다. 이 어드레스 변조 데이타(E27)는 어드레스 변조회로(32)에 입력되어, PLL 회로(12)로부터의 기준 어드레스 소거 신호(E12B)의 위상을 약간 변화시킨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어드레스 소거 신호(E16)에 의해 재생신호(E19)와 화상메모리(20)로부터의 판독신호(E20)와의 시간차는 적어지는 방향으로 보정된다.
제 1 도의 어드레스 소거 타이밍 제어기(16)로부터의 어드레스 소거 신호(E16)에 의해 동작하는 메모리 어드레스 제어기(17)와 화상 메모리(20) 및 그 주변회로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어드레스 카운터(17A)는 어드레스 소거 신호(E16)(제 4 도 h 및 제 5 도 e 참조)에 의해서 소거된다. 이 어드레스 카운터(17A)는, 색 부반송파와 동일 주파수 fsc(NTSC시스템에서는 3.58MHz)인 클럭 CK(제 5 도 참조)을 카운트하여, 이 카운트값에 따른 어드레스 데이타(E17A)(제 5 도 f 참조)를 화상 메모리(20)에 공급한다. 또한, 서입 타이밍 신호(E15)(제 4 도 e 및 제 5 도 g 참조)는 D형 플립플롭(17B)의 D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 플립플롭(17B)은 상기 클럭 CK에 의해 클럭되어, 모드지정신호(E17B)(제 5 도 h 참조)를 출력한다. 이 모드지정신호(E17B)는, 서입 타이밍 신호(E15)의 상승후의 최초의 클럭 CK 발생전까지는 논리레벨 "0"의 서입 모드(W)를 나타내고, 이 클럭 CK의 발생후는 논리레벨 "1"의 판독 모드(R)를 나타낸다.
상기 모드지정신호(E17B)는 화상메모리(20)의 판독/서입 절환입력단(R/W)에 인가된다. DRAM으로 구성되는 화상메모리(20)는 모드지정신호(E17B)와 어드레스 데이타(E17A)와 어드레스 데이타(E17A)외에, 색 부반송파 및 상기 클럭 CK과 동일한 주파수 fsc의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Figure kpo00001
)펄스와, 또한 상기와 동일한 주파수 fsc의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Figure kpo00002
)펄스를 수신한다. 그리고, 모드지정신호(E17B) 가 논리 "0", 즉 서입모드(W)이면, (
Figure kpo00003
), (
Figure kpo00004
) 및 (E17A)에 따라 입력데이타(18비트 병렬 서입데이타)(E19*)가 어드레스 데이타(E17A)로 지정되는 화상메모리(20)의 어드레스에 저장되고, 모드지정신호(E17B)가 논리 "1", 즉 판독모드(R)이면, 저장된 데이타(18비트 병렬데이타)(E20)(제 5 도 i 참조)가 화상메모리(20)로부터 판독된다.
데이타(E19*) 및 (E20)는 각각 제 2 선택스위치(SW2)의 입력단자(A) 및 (B)에 입력된다. 제 2 선택스위치(SW2)는, 모드지정신호(E17B)가 논리 "0"일때는 입력단자(A)의 데이타(E19*)를 선택하고, 모드지정신호(E17B)가 논리 "1"일때에는 입력단자(B)의 데이타(E20)를 선택한다. 이와같이 선택된 18비트 병렬 데이타(E19*)나 (E20)(제 5 도 j참조)는, 병렬/직렬 변환기(200)에 클럭 CK의 타이밍으로 로드된다. 로드된 18비트 병렬 데이타(제 5 도 k참조)는, 상기 클럭 CK의 3배의 주파수 3 fsc를 갖는 샘플링 클럭 CKs(제 5 도 b참조)에 의해 6비트 단위로 샘플링되어, 병렬 6비트를 1단위로 하는 직렬데이타 S2(제 5 도 l 참조)로 변환된다. 이 직렬 데이타 S2는 제 1 도의 D/A 변환기(21)를 통해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E21)로 변환된다.
화상메모리(20)에 입력된 데이타 (E19*)는, A/D 변환기(19)로부터의 6비트 서입데이타(E19)(제 5 도 a참조)를 직렬/병렬 변환기(190)에 의해 6비트를 1조로 하여 3조분을 묶어서 직렬/병렬 변환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직력/병렬 변환은, 병렬/직렬 변환기(200)와 동일하게 상기 샘플링 클럭 CKs을 사용해서 실시한다. 이와같이, 직렬/병렬 변환기(190)와 병렬/직렬 변환기(200)를 공통의 샘플링 클럭 CKs으로 구동하면, 제 2 선택스위치(SW2)로 비디오 데이타(E19*),(E20)의 절환을 실시해도 비디오 출력 S2에 포함되는 색 부반송 파의 위상이 연속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면, 색변환기(chroma inverter) 의 처리 회로가 없어도 제 2 선택스위치(SW2)의 절환동작에 따르는 색의 소멸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제 4 도 및 제 5 도의 타이밍선도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VTR이 저속 재생모드로 될때, 캡스턴 모터 서어보회로(9)로부터의 구동펄스(E9A)(제 4a 도)에 의해 캡스턴 모터(8)가 간헐구동된다. 이 구동펄스(E9A)에 의해 캡스턴(6)이 간헐적으로 회전하여, 캡스턴(6) 및 핀치롤러(7)의 사이에 지지되는 자기 테이프(4)는 제 4 도 c에 도시한 바와같이 간헐구동된다.
저속 재생의 속도제어는 자기 테이프(4)의 정지시간을 변화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즉 캡스턴모터(8)에 대한 구동펄스(E9A)의 펄스 간격을 넓히면 정지시간이 길어지고, 정지시간을 길게 취할수록 저속 재생속도가 늦어지게 된다. 상기의 구동펄스 간격 제어는 간헐 저속재생 속도 지정회로(10)로부터의 속도지정신호(E10)에 의해 실행된다.
간헐구동중의 자기 테이프(4)의 정지는 이하와 같이하여 실행된다. 즉, 간헐 저속 재생중의 자기 테이프(4)의 주행이(1프레임 분의 이동시), 제어 헤드(5)에 의해 자기 테이프(4)의 양측연부에 기록된 제어신호(E5)(제 4b 도)가 재생된다. 자기 테이프(4)의 정지타이밍은 증폭회로(13)에서 증폭된 제어신호(E13)를 지연회로(14)에서 적당히 지연시킨 신호(E14)에 의해 결정된다. 이 경우, 자기 테이프(4)의 정지위치(간헐구동중의 정지위치), 가능한한 큰 재생출력(S1)(제 4f 도)이 자기헤드(2) 또는 (3)로부터 얻어지는 위치로 선택된다.
또, 화상메모리(20)에 대한 서입은 간헐구동중 자기 테이프(4)가 거의 정지한 시점에서 실행된다. 그 이유는 재생 화상의 노이즈 방지, 1수직기간중의 수평 주사선 수의 안정화, 서입/판독의 수평 동기 위상의 연속화등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테이프 정지시에 자기 헤드(2), (3)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타(E19)를 화상메모리(20)에 서입하고, 테이프 주행시 이 화상메모리(20)에 서입된 비디오 데이타(E20)를 판독함으로써 노이즈가 없는 재생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간헐구동중의 자기 테이프(4)의 정지상태의 검출은 지연회로(14)의 출력신호(E14)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 출력신호(E14)는 실린더 서어보회로(11)로부터의 기준펄스(E11A)(제 4g 도)에 위상고정되어 있는 PLL회로(12)의 디지탈 출력(E12A)과 동기회로(15)에서 동기된다. 이와같이 하면, 영상신호 1피일드 분의 신호의 서입기간에 대응하는 펄스 폭을 가진 서입타이밍신호(E15)(제 4e 도)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기준펄스(피일드 펄스)(E11A)의 위상은 제 1 선택스위치(SW1)에 대한 헤드절환펄스(E11B)의 위상과는 다르다.
한편 PLL회로(12)의 출력(E12A)은 헤드절환펄스(E11B)와 거의 동상(同相)이고, 지터가 없는 안정된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입 타이밍 신호(E15)에 의한 화상메모리(20)에의 서입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자기 테이프(4)로부터 자기 헤드(2) 및 (3)에 의해 재생된 재생영상신호(E2),(E3)는 제 1 선택스위치(SW1)에 의하여 1피일드마다 교대로 취출되어 연속재생신호(S1)(제 4f 도)로 형성된 후, 재생영상신호처리호로(18)에 입력된다. 재생영상신호처리회로(18)에서는 연속 재생 신호(S1)중에서 휘도신호가 분리되어 FM 복조되고, 또 주파수 변환된 색신호가 동일하게 분리되어 그 주파수가 정규의 색 부반송파 주파수(NTSC에서는 3.58MHz)로 역변환된다. 그리고 이들의 휘도신호와 색신호가 가산되어 재생영상신호처리회로(18)로부터 출력된다. 이 출력 아날로그 신호(합성영상신호)(E18)는 다음에 A/D 변환기(19)에 입력되어 디지탈 비디오 데이타(E19) 로 변환된다. 이 A/D변환 동작의 클럭은, 예를들면, 상기 주파수 역변환후의 색신호의 기준주파수(fsc)를 3배로 한 주파수(3 fsc)로 실행한다. 메모리 어드레스 제어기(17)에 동기화회로(15)로부터의 서입타이밍신호(E15)가 인가되면, 메모리 어드레스 제어기(17)로부터 화상메모리(20)에 서입명령(E17B)이 발신되어, A/D 변환기(19)의 출력(E19)이 화상 메모리(20)에 서입된다.
메모리 동작속도에 따라, 디지탈신호(E19) 또는 (E19*)를 복수 샘플분(예를들면 3샘플분)을 모아서 서입/판독을 하는 것은 제 3 도에서와 같다.
서입타이밍신호(E15)는 상기와 같이 1피일드 기간에 걸쳐서 주어지므로, 1피일드 단위로 디지탈 영상신호(E19), (E19*)가 화상메모리(20)에 서입된다. 이때의 화상메모리(20)에 대한 서입 어드레스 명령(E17A)은 메모리 어드레스 제어기(17)로부터 공급된다.
또, 화상 메모리(20)에 대한 새로운 서입(다음의 1필드 분의 영상신호의 서입)이 실행될 때는 어드레스 소거 신호(E16)에 의하여 최초의 어드레스를 소거하여, 최초의 서입어드레스가 지정되도록 되어 있다(이것을 어드레스 소거라 한다). 이 어드레스 소거는 후기하는 화상메모리(20)로부터의 판독시에도 실생된다. 즉 1피일드분의 영상신호를 판독한 후에 어드레스는 재차 처음의 판독어드레스(최초의 서입 어드레스와 같음)에 설정되고, 동일한 영상신호의 판독이 반복된다.
또, 어드레스 소거신호(E16)(제 4h 도)는 PLL회로(12)로 부터의 신호(E12B)(제 4o 도)에 따라 어드레스 소거 타이밍 제어기(16)로부터 메모리 어드레스 제어기(17)에 공급된다.
화상메모리(20)로부터의 판독은 메모리 어드레스 제어기(17)에 공급되는 판독타이밍신호(E15)(제 4e 도),(제 4g 도)에 따라서 실행된다. 이 경우에 서입타이밍과 판독 타이밍은 모드지정신호(E17B)(제 5h 도)의 논리 레벨로 구별되어 논리 "1"레벨일때에는 판독모드(R)가 되고, 논리 "0"레벨시에는 서입모드(W)가 된다. 화상메모리(20)로부터 판독된 비디오 데이타(E20)는 제 2 선택스위치(SW2)를 통해 D/A변환기(21)에 입력되고, 여기에서 디지탈 데이타(S2)(=E20)로부터 아날로그 신호(E21)(제 4i 도)로 변환된다. 그리고, 출력단자(22)에 영상신호로서 출력된다.
또, 제 2 선택스위치(SW2)는 메모리 어드레스 제어기(17)로 부터의 모드지정신호(E17B)에 의하여 절환제어되는 것으로, 화상메모리(20)가 판독모드시에, 제 2 선택스위치(SW2)는 단자(a)측으로 접속된다. 화상메모리(20)에의 영상신호데이타(E19)의 서입시에는 제 2 선택스위치(SW2)는 단자(b)에 접속되고 화상 메모리(20)에 서입된 데이타(E19)는 동시에 제 2 선택스위치(SW2)를 통하여 D/A변환기(21)에 입력된다. 따라서 화상메모리(20)에의 서입중에 출력단자(22)로부터의 비디오 출력신호(E21)는 도중에 절환되는 일은 없다.
여기에서, 1피일드를 1단위로 취했을 때, 위상비교기(25)의 아날로그 출력(E25)을 el(제 4j 도)로 표시하고, 에러신호 처리회로(26)의 디지탈 출력(E26)을 al(제 4k 도)로 표시한다. i(1≤i≤n)는 피일드 번호를 표시하고, j는 카운터(28)의 출력(E28)값을 표시한다. al의 내용은 el의 내용에 소정의 관계로 대응한다(예를 들면, al=Rㆍel+1).
또, k,l 또는 '0'을 포함하는 정수이고, 에러신호처리회로(26)에서의 신호처리시의 보정치를 표시한다. 위상비교기(25)가 직접 디지탈 데이타로서의 위상차 신호(E25)를 출력할 경우는 k=0가 된다. 위상차 신호(E25)가 어드레스 데이타에 대하여 오프세트를 가지는 경우, 1이 그 오프세트를 보정한다.
여기에서, 표준테이프 속도에 대한 저속재생테이프 속도의 비를 저속재생속도비 m로 표시하면 1≤j≤m이 된다. 제 4j 도 내지 제 4p 도는 m=10(제 4l 도)의 경우를 표시한다.
j(=E28)는 서입타이밍신호(E15)(제 4e 도)의 1주기내에서 앞으로 몇 피일드분의 판독이 화상메모리(20)에서 실행이 되는가를 표시한다(제 4p 도).
계산기(27)에서는 E26/E28=dl=al/j의 제산이 실시되어 제산출력 dl(E27)(제 4n 도)이 얻어진다. 이 제산출력 dl은 제 4m 도의 동기화 기간중 적분되고 적분치 Σl의 값인(E27)이 어드레스 변조기(32)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동기화기간중의 기준 어드레스 소거 펄스(E12B)(제 4o 도)는 지터가 없는 안정된 펄스이기 때문에 동기화 기간중의 dl의 적분치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어드레스 변조를 실행한다. 이 적분치는(도시하지 않는 적분회로 또는 어큐뮬 레이터에 의하여 실행된다(적분을 취하지 않고 개개의 dl로 어드레스 변조를 실행하면 dl<Σdl이기 때문에 1회의 어드레스 변조에 의한 어드레스 변환량이 적어지므로 효율적이 못된다.
그러나, 자유주행기간중은 기준 어드레스 소거펄스(E12B)의 시간측에 요동(지터)이 발생되므로 dl 의 적분을 취하지 않고 개개의 dl로 어드레스 변조를 실행한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자유주행기간과 동기화 기간의 절환타이밍은 서입타이밍펄스(E15)의 하강에지로 트리거되는 단일출력(one shot)의 펄스를 사용해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절환은 카운터(28)의 내용에 따라 실시해도 된다.
또, 저속재생의 속도가 대단히 낮은 경우는 자유주행 기간후 일정시간 경과시까지 동기화를 끝내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위상비교기(25)는 단자(23), (24)의 입력 타이밍 간격을 어떤 클럭으로 카운트하는 디지탈 위상비교기로서 A/D 변환기(26)로 바꾸어 그 디지탈치에 계수를 곱하거나, 정수를 가ㆍ감산하는 디지탈 연산회로로 해도 된다. 또 상기 클럭으로서 주파수 fsc의 상기 어드레스 클럭 CK을 사용하면 그대로 위상비교기(25)의 출력(E25)을 어드레스 에러 데이타(E26)로서 이용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에러신호처리회로(26)는 불필요해진다.
또, 위상비교기(25)에서의 비교대상은 재생 수직 동기신호와 판독수직동기신호로 할 수도 있다. 또 어드레스 소거 타이밍 제어기(16)로서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구성의 것이외에 아날로그 또는 디지탈의 가변지연선을 사용하여 기준 어드레스 소거 신호(E12B)에 대한 지연시간을 위상차( E25)에 따라 변경하여 위상매칭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판독수평동기펄스(E210)를 실린더 서어보회로(11)의 기준클럭 대신 실린더 서어보회로(11)에 부여하여 화상메모리(20)로부터의 판독신호(E20)에 실린더 서어보계의 회전위상을 맞추도록 해도 된다.
또, 제 2 도에 있어서, 재생수평 동기신호(E18)와 판독수평 동기신호(E210)의 위상차(E25)가 과태 또는 과소일때는 에러 검출로서 이 위상차 신호(E25)를 별도로 준비한 표준치로 치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의 구성을 제 6 도에 도시한다.
즉, 비교기(25)의 출력(E25)은 비교기(60), (62) 및 선택기(66) 및 선택기(66)에 입력된다. 비교기(60)에서는 소정의 최대치 데이타 Emax와 위상차 신호(E25)가 비교된다. E25>Emax일때는, 비교기(60)는 논리 레벨 "1"의 과대 레벨 검출 출력(E60)을, OR게이트(64)를 통해 선택기(66)로 보낸다. 그러면 선택기(66)는 화상 메모리(20)에 있어서의 서입과 판독의 타이밍이 거의 일치할때의 위상차 신호(E25)에 상당하는 표준치 Eref를 선택한다. 이와같이 선택된 데이타(E25*)가 위상차 신호(E25) 대신에 어드레스 에러 카운터(26)에 입력된다.
한편 비교기(62)에서는 소정의 최소치 데이타 Emin 위상차 신호(E25)가 비교된다. E25<Emin일때는, 비교기(62)는 논리 레벨 "1"의 과소 레벨 검출 출력(E62)을 OR게이트(64)를 통해 선택기(66)로 보낸다. 그러면 선택기(66)는 위상차 신호(E25)가 아니고 Eref를 선택하여(E25*)=Eref를 출력한다.
Emin<E25<Mmax일때는 (E60),(E62)가 다같이 논리레벨 "0"이므로 선택기(66)는 위상차 신호(E25)를 선택하여(E25*)=(E25)를 출력한다. 이 경우는 위상차신호(E25)의 크기가 극소로 되므로 어드레스 소거펄스(E16)의 발생 타이밍이 어드레스 변조기(32)에 의하여 수정된다.
제 6 도의 구성을 제 2 도와 병용하면 화상메모리(20)의 서입타이밍(E180)과 판독타이밍(E210)과의 차가 어느 범위(Emin-Emax)에 들어있을때만 어드레스 변조가 실행되고, 그 이외에는(착 어느한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과대할 때)어드레스 변조를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E180)과 (E210)과의 사이에 과대한 타이밍의 불일치로 인한 동기화 기간내의, (E180)과 (E210)의 위상 매칭이 끝나지 않는 결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처음부터(E180)과 (E210)이 거의 동상으로서 위상 매칭이 불필요할 때, 어드레스변조에 의하여 화상 메모리(20)의 판독타이밍이 약간씩 변동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제 7 도는 제 2 도의 제산기(27) 및 카운터(28)의 기능을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즉 어드레스 에러 데이타(E26)은 비교기(70) 및 (2)에 입력된다. 비교기(70)는 소정의 비교 데이터 +a0와 어드레스 에러 데이타(E26)를 비교하여 E26>+a0이면 논리 레벨 "1"의 절환신호(E70)를 선택기(74)에 공급한다. 그러면, 선택기(74)는 소정치 +b0를 선택하여 어드레스 변조 데이타 E27=+b0를 출력한다. 한편 비교기(2)는 소정의 비교 데이타 a0와 어드레스 에러 데이타(E26)를 비교하여 E26<-a0이면 논리 레벨 "1"의 절환신호(E)를 선택기(74)에 공급한다. 그리하여, 선택기(4)는 소정치 -b0를 선택하여 어드레스 변조 데이타 E27=-b0를 출력한다. 만약 -a0≤E26≤+a0이면, 즉 제 2 도의 펄스(E180)와 (E210) 의 위상 매칭이 불필요할 때는 절환신호(E70),(E72)는 다같이 논리 레벨 "0"이 되고, 선택기(74)은 0레벨을 선택하여 E27=0가 된다.
상기 제 7 도의 구성의 입력(E26) 대 출력(E27)특성은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된다.
제 7 도의 구성은 위상비교의 결과치(E25)가 어떤 일정치보다 크면 어드레스 변조동작을 실시하여 (E180)와 (E210)의 위상차를 적게하는 방향으로, 어느 일정치 b0를 가산 또는 감산하는 식의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즉,(E26)이 어떤 오차범위 ±a0에 들어갈때까지 각 피일드당 ±b0에 의하여 일정한 보정을 실행하는 것이다. 「어떤 일정치보다 크면」이라는 한정은 어드레스 변조데이타(E27)가 0근처에서 +,-의 보정을 반복해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1회당의 보정치(±b0)를 작게 할 수 있는(예를들면 충분히 늦은 저속재생)조건에 있어서는, 이 한정(±a0)를 제거할 수도 있다. 제 7 도의 변형예로서는 위상차(E25)가 크기에 따라, 복수단계의 값(±a0,±a1,±a2…)를 정해놓고 이들에 따른 보정치(±b0,±b1,±b2…)를 사용할 것도 고려된다.
또, 제 1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입타이밍 신호(E15)의 작성에 직접 헤드스위칭펄스(E11B)를 사용하고 있지 않으나, 이것은 이하의 이유 때문이다. 즉 테이프를 간헐구동하면 회전드럼(1)이 테이프(4)에 의하여 약간 요동되어, 회전드럼(4)의 회전을 검출해서 만드는 통상의 헤드스위칭펄스의 타이밍이 요동을 가진다. 그리고 이것이 화상메모리(20)의 어드레스의 초기화(어드레스 소거)의 타이밍의 요동이 되어서 판독화상이 흔들린다. 본 실시예는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헤드스위칭펄스(E11B)가 아니고 지터가 없는 PLL회로(12)의 출력(E12B)를 사용하고 있다.
또, 일반적으로 간헐 테이프 구동시에는 테이프와 헤드의 상대속도가 변화하므로 수평동기 주파수가 변화한다. 따라서 이 주파수의 변동을 보정하기 위하여 회전드럼(1)의 회전수를 높이거나 맞추어서 재생수평동기 주파수를 통상의 주파수(NSTC에서는 15,75KHz)로 접근시키는 것이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 보정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이러한 보정으로 드럼회전주기와 필드 메모리의 판독주기와의 어긋남이 발생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실린더모터(8)의 구동력이 충분히 강하고 간헐구동에 의한 실린더회전 속도의 변동이 발생하지 않으면, 헤드스위칭펄스(E11B)를 기준 어드레스 소거 펄스(E12B) 대신 사용해서 서입 타이밍신호(E15)를 작성해도 된다. 이 경우 PLL회로(12)는 필요가 없다. 또 본 실시예의 PLL회로(12)는 아날로그식의 것도, 디지탈식의 것도 좋다.
또, PLL회로(12) 대신에 카운터회로를 사용하여 그 클럭을 실린더 서어보 기준신호(E9B)와 공통화(또는 일정한 대응관계)하여 이 카운터 회로에 의하여 필요한 위상의 동기화 신호(E12A)를 얻어도 된다.
또, 수평동기신호 분리회로에 도시하지 않는 펄스(E210)용의 레지스터를 포함해서 어떤 피일드의 판독시에 이 레지스터 펄스(E210)의 발생 타이밍을 표시하는 데이타를 펄스(E180)를 대신하는 데이타로서 저장하고, 다음의 피일드 판독시에 얻은 펄스(E210)와 상기 ㅔ지스터의 내용(E180)과의 위상차를 검출해서 어드레스변조를 실행해도 좋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노이즈가 적은 저속 재생화면을 얻을 수 있다. 또 간헐구동을 하고 있으므로 초저속 재생의 경우에서도 이 간헐 구동시에 제어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문에 테이프를 연속적으로 초저속으로 구동할때와 달리 제어신호 재생상의 문제는 없다. 또 화상메모리에는 노이즈가 가장 적은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테이프의 간헐구동시에 노이즈가 발생되어 문제가 없고, 테이프 주행중의 제어를 정밀하게 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또 테이프 정지위치의 변동등에 의한 스큐의 영향을 없앨 수 있고, 안정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비디오 테이프(4)로부터의 재생제어신호(E5)에 따라 서입 타이밍신호(E15)를 만들어내는 신호발생회로(9) 내지 (15)와, 상기 비디오 테이프(4)로부터의 재생영상신호(E18)의 정보(E19)를 상기 서입타이밍신호(E15) 및 소정의 어드레스 소거신호(E16)에 따라 기억하는 메모리장치(17), (19)내지 (21)와,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소거신호(E16)는 상기 메모리장치(20)의 서입 및 판독 개시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 저속재생을 실시할때, 상기 메모리장치(20)에 있어서의 서입 타이밍 및 판독타이밍의 오차(E25)를 검출하고, 이 오차(E25)가 실질적으로 최소가 되도록 상기 소정 어드레스 소거신호(E16)의 발생타이밍을 수정하는 어드레스 소거회로(16)(180),(21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를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회로가 ; 상기 메모리장치(20)에 있어서의 상기 영상신호정보(E19)의 서입위상과 그 판독위상과의 차를 표시하는 위상차 데이타(E26)를 제공하는 위상차 검출회로(180),(210),(25),(26)와, 표준테이프 주행속도에 대한 저속 재생시의 테이프 주행속도의 비를 표시하는 저속재생속도비 m에 따라 변경되는 것으로, 상기 서입타이밍신호(E15)가 발생되고 나서 몇 피일드분의 영상신호정보(E20)가 상기 메모리장치(20)로부터 판독되었는지를 표시하는 카운트 데이타(E28)를 제공하는 카운터(28)와, 상기 위상차 데이타(E26)와 상기 수정데이타(E28)와의 비(E26/E28)에 따라 기준 어드레스 소거펄스(E12B)의 발생 타이밍을 변경해서 상기 소정 어드레스 소거펄스(E16)를 제공하는 타이밍 변경회로(27)(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를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소거회로가 ; 상기 메모리장치(20)에 있어서의 상기 영상신호정보(E19)의 서입위상과 그 판독위상과의 차를 표시하는 위상차 데이타(E26)를 제공하는 위상차 검출회로(180),(210),(25),(26)와 ; 상기 위상차 데이타(E26)를 소정의 비교 데이타(+a0),(-a0)와 비교하여 이 위상차 데이타(E26)의 내용이 상기 비교데이타로 정해지는 범위(±a0)에 들어 있을때만 상기 서입/판독타이밍의 오차(E25)를 작게하는 내용의 수정데이타(+b0) 또는 (-b0)를 제공하는 비교기(70∼74)와 ; 상기 수정데이타(±b0)에 따라 기준 어드레스 소거 펄스(E21B)의 발생타이밍을 변경하여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소거 펄스(E16)을 제공하는 타이밍 변경회로(27),(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를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검출회로가 ; 상기 서입위상과 상기 판독위상과의 차(E25)의 크기가 소정의 범위(Emax-Emin)에 들어갈때는 이 위상차(E25)를 선택하고, 상기 위상차(E25)의 크기가 상기 소정의 범위(Emax-Emin)에 수용되지 않을때는 소정의 기준위상 데이타(Eref)를 선택하여 선택 데이타(E25*)를 제공하는 데이타 선택회로(60-66)와, 상기 기준 위상 데이타(Eref)는 상기 서입위상과 상기 판독위상과의 차가 실제로 최소가 될때의 상기 위상차 데이타(E26)에 대응하고 ; 상기 선택데이타(E25*)를 상기 위상차 데이타(E26)로서 출력하는 데이타처리회로(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를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장치가, 상기 재생영상신호(E19)를 소정의 클럭신호(CK)에 따라서 서입데이타(E19*)로 변환하는 제 1 변환회로(190)와 ; 상기 어드레스 소거신호(E16)에 의하여 소거되고, 상기 소정의 클럭신호(CK)를 카운트함으로써 어드레스 데이타(E17A)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카운터 수단(17A)과 ; 서입시에는 상기 어드레스 데이타(E17A)로 지정되는 어드레스에 상기 서입 데이타(E19*)를 저장하고, 판독시에는 상기 어드레스 데이타(E17A)로 지정되는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서입 데이타(E19*)에 상당하는 판독 데이타(E20)를 출력하는 메모리(20)와 ; 상기 소정의 클럭신호(CK)에 따라, 상기 서입시에는 상기 서입데이타(E19*)를 재생영상데이타(S2)로 변환하고, 상기 판독시에는 상기 판독데이타를 상기 재생영상데이타(S2)로 변환하는 변환회로(SW2,200)와 ; 상기 재생영상 데이타(S2)를 아날로그의 복합영상신호(E21)로 변환하는 제 3 변환회로(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를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입 타이밍 신호(E15)의 한 주기의 전반에 형성되는 자유주행 기간중에서는 상기 비디오 테이프(4)를 소정의 피일드 수만큼 주행시키고, 상기 서입타이밍신호(E15)의 한주기의 후반에 형성되는 동기화기간중에는 상기 비디오 테이프(4)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테이프 간헐구동 제어회로(6) 내지 (9)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소거수단이 ; 상기 자유주행 기간중에서, 상기 재생영상신호(E18)의 시간축 변동에 의존하지 않는 기준 어드레스 소거 펄스(E12B)의 위상을, 상기 서입/판독 타이밍의 오차(E25)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소정 어드레스 소거 신호(E16)를 출력하는 위상조절회로(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를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회로가 ; 상기 재생 제어신호(E5)를 소정량 지연시켜서 지연시간(E14)를 만들어내는 지연장치(13), (14)와 ; 상기 동기화기간중에 있어서, 상기 재생영상신호(E18)의 피일드 변화에 대응하는 동기화 펄스(E12A)에 따라 상기 지연신호(E14)를 상기 서입타이밍신호(E15)로 변환하는 동기화회로(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를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소거 수단이 ; 상기 자유주행 기간중에 있어서, 상기 재생영상신호(E18)의 시간축 변동에 의존하지 않는 기준어드레스 소거펄스(E12B)의 위상을, 상기 서입/판독 타이밍의 어긋남(E25)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조절하여 상기 소정 어드레스 소거신호(E16)를 출력하는 위상조절회로(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 장치.
  10. 자기테이프(4)로부터 재생된 영상신호(E18)를 디지탈신호(E19)로 변환하는 A/D변환기(19)와, A/D변환기(19)의 출력(E19)을 메모리(20)에 서입하는 서입제어회로(17)와, 이 메모리(20)로부터 디지탈신호(E20)를 판독하는 판독 제어회로와, 이 판독제어회로(17)에 의하여 메모리(20)로부터 판독한 디지탈신호(E20)를 아날로그 신호(E21)로 변환하는 A/D변환기(21)와, 상기 메모리(20)의 판독신호(E20)와 서입신호(E19)와의 타이밍 오차를 보정하는 보정회로(16)와, 자기 테이프(4)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는 간헐구동장치(6-9)를 구비하고, 저속재생시에 자기테이프(라)를 간헐구동시키고 이 간헐구동 기간중의 테이프(4)의 정지상태시에 메모리(20)에 A/D 변환기(19)의 출력(E19)를 서입하고, 간헐구동 기간중의 테이프 주행상태시에는 메모리(20)로부터 이 서입신호(E20)를 판독해서 재생신호(E21)를 얻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 장치.
KR1019860008703A 1985-10-18 1986-10-17 메모리를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장치 KR900002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31298 1985-10-18
JP60231298A JPH07123299B2 (ja) 1985-10-18 1985-10-18 ビデオテ−プレコ−ダのスロ−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633A KR870004633A (ko) 1987-05-11
KR900002624B1 true KR900002624B1 (ko) 1990-04-20

Family

ID=1692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703A KR900002624B1 (ko) 1985-10-18 1986-10-17 메모리를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96123A (ko)
JP (1) JPH07123299B2 (ko)
KR (1) KR900002624B1 (ko)
DE (1) DE3635255A1 (ko)
GB (1) GB21851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4515A (en) * 1986-10-28 1993-05-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ideo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758010A (en) * 1987-03-19 1998-05-26 Canon Kabushiki Kaisha Reproducing apparatus with time base corrector
US4890165A (en) * 1987-04-06 1989-12-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for producing video signals of high information density in time base direction
JP2697831B2 (ja) * 1987-11-04 1998-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再生装置
JP2564874B2 (ja) * 1988-02-09 1996-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ビデオ信号記録再生装置
DE3807630C1 (ko) * 1988-03-09 1989-06-08 Nokia Graetz Gmbh, 7530 Pforzheim, De
US6408127B1 (en) * 1988-04-27 2002-06-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4975788A (en) * 1988-05-31 1990-12-04 Matsushita Electrical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skew corrector
JPH02228888A (ja) * 1989-03-02 1990-09-11 Canon Inc ビデオ・メモリ装置
JP2881980B2 (ja) * 1990-06-29 1999-04-1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EP0465053B1 (en) * 1990-06-29 2002-08-28 Sony Corporation Dis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100221067B1 (ko) * 1991-03-30 1999-09-15 윤종용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슬로우 또는 서치시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DE4121622C1 (ko) * 1991-06-29 1992-03-26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Hollaend. Stiftung & Co Kg, 8510 Fuerth, De
JP3230319B2 (ja) * 1992-07-09 2001-11-19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再生装置
JPH0686228A (ja) * 1992-08-31 1994-03-25 Sony Corp タイムベースコレクタ
US6243529B1 (en) * 1993-03-30 2001-06-05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synthesizing fractions of image data obtained from plural reads of a track
JPH0778412A (ja) * 1993-07-13 1995-03-20 Sony Corp 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再生装置及び方法
DE69421483T2 (de) * 1993-08-04 2000-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erät zur magnetischen Aufzeichnung und Wiedergabe mit Zeitlupenwiedergabe
JP3591028B2 (ja) * 1995-01-25 2004-11-17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
JPH1064244A (ja) * 1996-08-23 1998-03-06 Sony Corp 記録媒体、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2132A (en) * 1970-05-23 1973-06-26 Nippon Electric Co Drum servo system of a video tape recorder for an electronic editing
JPS5444831A (en) * 1977-09-13 1979-04-09 Nec Corp Correcting equipment for time-axis error
AU523619B2 (en) * 1978-04-07 1982-08-05 Sony Corporation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US4389678A (en) * 1979-10-05 1983-06-21 Nippon Electric Co., Ltd. Digital time-base corrector for special motion reproduction by helical-scan VTR
JPS5780880A (en) * 1980-11-07 1982-05-20 Sony Corp Video signal reproducing device
US4558375A (en) * 1983-04-27 1985-12-10 Sontheimer Carl Gustav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trieving video information in two modes on a single laser recording disc
JPS60119175A (ja) * 1983-11-30 1985-06-26 Fuji Xerox Co Ltd 2値画情報圧縮復号化装置
JPS60127079A (ja) * 1983-12-14 1985-07-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溶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35255C2 (ko) 1988-01-21
GB2185143A (en) 1987-07-08
GB2185143B (en) 1990-08-01
GB8624866D0 (en) 1986-11-19
JPH07123299B2 (ja) 1995-12-25
KR870004633A (ko) 1987-05-11
JPS6292686A (ja) 1987-04-28
DE3635255A1 (de) 1987-04-23
US4796123A (en) 198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624B1 (ko) 메모리를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장치
JPS6110379A (ja) スキユ−歪除去装置
EP0369481B1 (en) Video signal display apparatus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KR100197594B1 (ko) 배속재생을 위한 가변콘트롤신호 기록/재생장치 및 그 방법
US4853781A (en) Video format signal processing system
JP2757505B2 (ja) 時間軸補正装置
US5280396A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correcting time base of video signal
US4876614A (en) Track-readjusted magnetic-tape recorder with transverse tracking
KR920002669B1 (ko) 정극성의 수평동기신호를 갖는 영상신호를 기록하는데 적합한 영상신호의 기록재생장치 및 방법
US4774594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component color video signals time-axis compressed on a recording medium using write clock signals centered between read clock signals
US5065385A (en) Time base control system with coarse and fine correction for a spindle servo
KR930005339B1 (ko) 더블 어지뮤즈 4헤드 vtr에서 변속재생시 에러 보정회로
EP0483823B1 (en) Rotating-head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JP2722458B2 (ja) 映像信号再生装置
JP3555410B2 (ja) 映像信号再生装置
EP0600376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carrying out high-speed reproduction with use of line memory
JPS6016027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661110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7105934B2 (ja) ビデオ信号再生装置
JPH078966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832902B2 (ja) ビデオ信号再生装置
JPS62234476A (ja) デイジタル映像信号再生装置
JPH03259685A (ja) 時間軸補正装置
JPH0546756B2 (ko)
JPH08102904A (ja) 画像の縦揺れ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