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292B1 - 이발기 - Google Patents

이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292B1
KR900002292B1 KR1019870009337A KR870009337A KR900002292B1 KR 900002292 B1 KR900002292 B1 KR 900002292B1 KR 1019870009337 A KR1019870009337 A KR 1019870009337A KR 870009337 A KR870009337 A KR 870009337A KR 900002292 B1 KR900002292 B1 KR 900002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teeth
movable blade
shea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631A (ko
Inventor
마사가쯔 아라끼
히데아끼 하라구찌
신이찌로오 쓰지무라
고우이찌 이와나가
Original Assignee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이 사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이 사다오 filed Critical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2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with provision for shearing hair of preselected or variabl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06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involving co-operating cutting elements both of which have shearing 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발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와 일치하는 이발기의 사시도,
제 2 도는 이발기의 종축단면도,
제 3a 도, 4a, 5a 도는 이발, 조발, 정발상태로 보여진 이발기의 커팅헤드의 부분 단면도,
제 3b, 4b, 5b 도는 이발, 조발, 정발상태에서 각각 커팅헤드의 정지날에 대한 가동날의 위치를 보여주는 부분 평면도,
제 6 도는 정지날의 부분도,
제 7a 도와 7b 도는 헤어스타일링 작동동안에 서로 다른 위치로 조작된 이발기를 보여주는 개략도,
제 8 도 내지 제 11 도는 이발기에서 채택가능한 구동모우터를 위한 몇가지의 제어회로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도,
제 12 도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수정된 이발기의 종축단면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 2 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일치되는 이발기의 종축단면도,
제 14 도는 제 13 도의 이발기의 커터헤드의 바닥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 15 도 내지 제 17 도는 각각 이발, 조발, 정발 상태에서의 정지날에 대한 빗살부재의 위치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제 18 도는 제 13 도의 수정된 이발기의 종축단면도,
제 19 도는 본 발명의 제 3 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일치하는 이발기의 종축단면도,
제 20 도는 제 19 도의 이발기의 커팅헤드의 부분 단면도,
제 21a, 22a, 23a 도는 이발, 조발, 정발상태를 도시하는 이발기의 커팅헤드의 부분 단면도,
제 21b, 22b, 23b 도는 이발, 조발 정발상태에서 커팅헤드의 정지날에 대한 가동날의 상대적인 위치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스위치손잡이
3 : 미끄럼부재 21 : 정지날
22 : 가동날 35 : 비틂 스프링
본 발명은 이발기, 더욱 자세히는 정발기능을 가진 이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특허 제 4,557,050 호에 사용자가 단일의 기구로서 헤어스타일을 가꿀 수 있는 양기능을 가지도록 그 이발능력에 부가하여 정발능력을 가진 이발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발능력에 대하여서는 정발능력을 가지거나 또는 가지지 아니하는 종래의 이발기가 효율적인 이발작동에 충분한 날카롭거나 깨끗한 절삭력을 제공하여 왔다. 그러나 날카로운 절삭특성은 머리카락을 자르는데에 특히 비숙련자가 정발할때에 오히려 부의 효과를 유발시킨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발과 정발의 특정한 헤어스타일을 위하여 분리 설계된 서로 다른 커터어셈부리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계획은 부품이 배가 될 뿐 아니라 커터어셈블리를 교체하여야 하는 부가적인 작동을 요구한다. 따라서 종래의 이발기는 이발, 조발, 정발을 단일의 커터어셈블리로써 각각 수행하는데에는 비숙련자에게 전적으로 만족스러운 것이 아니었다. 본 발명은 이발기에 대한 단일개념과 함께 협동함에 의하여 상기한 불편을 제거하고저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발기는 연장된 이의 열을 가지고 전방에지를 가지는 정지날과 가동날을 포함한다. 가동날은 정지날과 함께 절단 절속을 위한 왕복작동을 위한 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이발기가 이발상태, 조발상태, 정발상태의 어느하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전단능력의 효율적인 전단 영역을 제공하도록 정지날과 가동날을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모우드 선택장치를 가지는 것이다.
이발상태는 정지날의 전체이가 가동날의 전체이와 머리카락 전단 접속함에 의하여 정의되는 제 1 의 유효전단영역을 가진다. 조발상태는 정지날의 이의 특정지역이 가동날의 대응이와 전단 접속함에 의하여 정의되는 제 2 유효전단지역을 가진다. 정발상태는 정지날의 특정한 것들이 가동날의 대응이와 전단접속함에 의하여 정의되는 제 3 유효전단영역을 제공한다. 이발과 정발에, 조발까지 비숙련 사용자가 이발 모우드 보다도 더욱 감소된 절단능력의 조발능력에 의존할 수 있고 과도한 절단의 위험없이 조발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비숙련 사용자에 의하여 조발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을 가진 가동날과 정지날의 단일의 세트의 사용으로서 서로 다른 헤어스타일링 모우드의 설정이 가능한 이발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날은 가동날의 이가 정지날의 이와 전단 접속하도록 하는 정도의 깊이를 변화시키거나 그에 따라 유효한 커트길이를 변경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정지날은 깊은 깊이의 제 2 이에 의하여 택일되는 몇개의 군으로 나뉘어진 작은 깊이의 제 1 의 이를 가지는 혼성이의 열을 가진 전방에지로 형성된다. 가동날은 이발, 조발, 정발로 조작함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미끄럼 손잡이의 형태로서 모우드 선택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이발상태에서 제 1 이와 2에 상응하는 정지날의 제 2 이와 각각의 전체깊이는 상술한 제 1 유효전단영역을 정의하도록 가동날의 그것들과 전단 접속한다. 조발상태에서, 제 1, 제 2 의 정지날의 이의 각각의 깊이 바닥부만이 가동날의 이와 전단접속하여 상술한 제 2 유효전단영역을 만든다. 정발상태에서 정지날의 제 2 의 이의 각각의 바닥부만이 상술한 제 3 유효전단영역을 만들기 위하여 가동날의 이와 전단 접속한다. 이 장치에서 서로 다른 헤어스타일 모우드는 어떤 부가적인 절단부재나 유사한 복잡한 부재를 요구하지 아니하며 서로 다른 헤어스타일 모우드의 선택은 가동날을 상응하는 상태로 이동함에 의하여 간단히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동날이 이발, 조발, 정발상태를 제공하기 위하여 왕복운동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정지날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의 2번째 실시예에서 보면, 모우드 선택장치는 정지날의 전방에지와 평행한 전방에지를 가지며, 정지날에 매우 근접하여 설치된 빗살부재를 포함한다. 빗살부재는 정지날의 빗살의 수보다 적게 그 전방에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빗살이는 정지날의 빗살이의 간격보다 최소한 2배이상의 간격을 가진다. 빗살부재는 이발, 조발, 정발 상태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발상태에서 빗살부재는 전체 정지날이 이발을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상기 제 1 유효전단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상기 제 1 유효전단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모든 이를 노출시키도록 정지날의 이로부터 후퇴된다.
조발상태에서 빗살부재의 전방에지는 정지날의 바닥부가 비작동적으로 폐쇄되게 정지날의 바닥부 위로 연장되며 그러한 노출된 이, 즉 상기 제 2 유효전단영역을 형성하는 이들에 의하여 제한된 전단작동을 위하여 빗살이와 관련된 특정이의 전체깊이와 이의 정부부는 노출된 채 있다. 조발상태에서 빗살부재는 빗살이와 연관되어 있는 특정이만이 남은 이들이 동작하지 않게 하는 동안 제한된 전단작동을 위하여 노출하도록 정지날의 이의 전체 깊이위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한 제 3 유효전단영역을 만든다. 빗살부재를 포함하여 이발기는 가동날을 이동시킴을 요구하지 아니하고 헤어스타일링 작동의 서로 다른 모우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빗살이를 가진 빗살부재가 헤어스타일링 작동의 다른 모우드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지날과 관련되어 있는 이발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이발기의 제 1, 제 2 변형예는 가동날을 조발모우드에서 보다 이발모우드에서 더욱 빠르게 가동커터를 왕복동시키는 방식으로 가동날의 왕복동 속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장치를 가진다. 이 이발과 조발모우드 사이에서 전단되는 머리카락의 양을 크게 다르게 하여 조발작동을 더욱 느리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마감처리상태로 조발함에 있어서 더욱 용이하게 취급하게 한다. 이발모우드보다 더욱 느린 전단율로서 조발이 수행되게 하여 더욱 정교하고도 손쉬운 조발처리를 하게 하는 이발기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3번째의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서 각각 이발, 조발, 정발을 결정하는 제 1 , 제 2, 제 3 모우드 사이에서 가동날의 왕복동의 폭을 선택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제 1 모우드는 가동날의 각각의 이가 정지날의 이와 최대수와 전단 접속되도록 허용하는 왕복동의 최대폭을 가진다. 따라서 모든이가 이발을 위한 최대 전단적정능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효화된다. 제 2 모우드는 이발모우드에서보다 정지날의 더욱 적은 이와 전단접속을 가동날이 하게하는 왕복동의 중간폭을 제공하여 조발에 요구되는 감소된 전단능력을 제공한다. 제 3 모우드는 정지날의 이의 제한된 수만이, 정지날의 나머지 이가 거기에서의 전단접속에서 벗어나게 하여 전단이 정발목적을 위하여 유효한 특정위치에서만 가능하도록 하는 동안 가동날의 이와 전단 접속하게하는 왕복동의 최소의 폭을 제공한다. 따라서 가동날의 왕복동의 폭을 선택적으로 변경함에 의하여 다른 헤어스타일링 모우드를 제공할 수 있는 이발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상술한 장치는 모우터의 출력축의 회전운동을 가동날의 왕복동 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모우터 출력축과 가동날 사이에 연결된 단이진 편심축을 포함한다. 편심축은 각각 다른 편심도를 가진채 모우터 출력축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 1, 제 2, 제 3 단이진 부분이 형성된다. 편심축은 가동날과 접속되도록 선택된 편심축의 부분의 편심도에 종속되는 왕복동의 폭으로 구동하도록 가동날의 부분과 소정의 한 부분에서 접속가능하다. 서로 다른 스타일링 모우드 사이에서 단이지는 방식으로 가동날의 왕복동의 폭을 변경시키도록 다른 편심도의 부분을 가진 단이진 편심축을 통하여 가동날이 모우터에 구동 연결되는 것이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과 유통성은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할 것이다.
제 1 도 및 2 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장하우징(1)과 여기에 장착된 전기모우터(10)와 충전 바테리(15)를 포함한다. 스위치손잡이(2)는 바테리(15)로부터 모우터에 전원을 연결하거나 끊기 위하여 하우징(1)의 정부에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스위치(2)가 전방으로 밀려질때 미끄럼부재(3)의 후부단부에 있는 스프링 접촉자(4)가 모우터(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하우징(1)의 내측에 고정된 회로기판(16)상에 있는 대응 접속자(17)의 전기적 접속을 하게 되도록 이동 가능한 스위치손잡이(2)에 연결된 미끄럼부재(3)가 하우징(1)에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에지를 따라서 이의 열을 가지는 정지날(21)과 가동날(22)의 단일세트가 하우징(1)의 전방단부에 위치한다. 정지날(21)은 그 전방에지는 하우징(1)의 전방단부의 외방으로 돌출한채 기판(23)에 고정된다. 기판(23)은 하우징(1)의 전방 바닥에 떼어낼 수 있게 맞추어지고 기판(23)의 후부단부에 있는 고정홈(27)으로 연장된 스프링(6)에 의하여 가압되는 미끄럼 노브(5)에 의하여 정위치에 유지된다. 가동날(22)은 정지날(21)에 대하여 왕복동하도록 이동판(24)에 고정된다. 가동날(22)과 이동판(24)의 조합은 비틂스프링(25)(도면은 그중 하나만이 도시하고 있다)에 의하여 기판(23)상에 지지되고, 이 비틂 스프링(35)은 가동날(22)을 적절한 압력으로 정지날에 대하여 밀어줄뿐 아니라 이 조합체를 왕복운동시켜준다. 비틂 스프링(35)의 각각은 하우징(1)의 횡방향 연장한 피봇축 주위에서 피봇 가능하도록 기판(23)상에 지지되고 이 비틂 스프링(35)은 가동날(22)을 적절한 압력으로 정지날에 대하여 밀어줄 뿐 아니라 이 조합체를 왕복운동시켜준다. 비틂 스프링(35)의 각각은 하우징(1)의 횡방향 연장한 피봇축 주위에서 피봇가능하도록 기판(23)상에 지지되어 있고 코일형상부분의 전방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록커부재(30)에 의하여 그 코일형상부분에서 지지된다. 비틂스프링(35)의 한 연장부분(36)은 기판(23)에 훅 고정되고 다른 연장부분(37)은 가동날(22)이 정지날(21)에 대항하여 스프링 가압될 뿐아니라 비틂스프링(35)의 연장부분(37)은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왕복운동하게 이동판(24)과 접속한다. 이동판(24)은 모우터 출력축(11)의 회전이동을 가동날(22)의 왕복운동으로 바꾸어지는 편심연결을 통하여 모우터(10)의 출력축(11)과의 구동연결을 위하여 수직요우크다리(25)의 쌍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편심연결은 연결부재(12)상에 고정되고 편심적인 관계로 연결부재(12)를 통하여 출력축에 연결된 편심축(40)을 포함한다. 편심축(40)은 왕복동 경로로서 이동판(24)과 함께 가동날(22)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접속된 요우크다리(25) 사이에 연장된다. 미끄럼부재(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작동간(7)의 각각의 정면단부와 접촉하기 위하여 횡방향으로 위치한 레버(32)(도면에는 단지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의 한쌍이 록커부재(30)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가동날(22)은 비틂 스프링(35)을 통하여 록커부재(30)에 연결되고, 가동날(22)은 록커부재(30)가 그 피봇축(31)주위에서 피봇 작동함에 따라서 하우징(1)의 종축방향으로 전, 후방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외부에서 가하여지는 힘이 없을때, 록커부재(30)는 비틂 스프링(35)의 작동에 의하여 그 피봇축(31)주위에서 가동날(22)이 정지날(21)에 대하여 최후방 위치에서 유지되는 제 2 도의 위치로 스프링 편향된다. 따라서 미끄럼부재(3)의 작동간(7)이 레버(32)를 도면에 표시된 반시계방향으로 록커부재(30)를 피봇회전시키기 위하여 레버(32)를 밀게되며 가동날(22)과 이동판(24)은 비틂 스프링(35)의 편향가압에 대향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함께 힘을 가하며 가동날(22)은 비틂 스프링(35)의 탄성에 의하여 정지날(21)에 대향하여 밀려진채 유지되며, 이동판(24)의 요우크다리(25)는 모우터(10)와 가동날(22) 사이에서 구동연결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편심축(40)과 접속 유지된다.
작동간(7)의 전방단부는 제 3a 도와 5a 도에 보여진 단이진 방식으로 대응레버(31)와 접촉하기 위하여 단이진 쇼울더를 가지게 형성지어져 있다. 가동날(22)이 작동간(7)의 전방이동의 양에 따라서, 또는 스위치 손잡이(2)의 상응하는 미끄럼 이동에 따라서 제 3a 도 내지 5a 도(제 3b 도 내지 5b 도)의 3가지 다른 위치를 상정할 수 있다. 작동에 있어서 스위치 손잡이(2)가 제 5a 도와 5b 도의 위치로 작동간(7)이 나아가도록 조작되면 모우터(10)에는 하우징(1)의 종축방향 에 대하여 그 최후방 위치에 있는 가동날(22)을 왕복동 시키도록 전원이 가해진다. 모우터(10)는 작동간(7)의 더 이상의 이동에 있어서 가동날(22)을 제 4a 도와 4b 도의 상응하는 이동위치에 있는 가동날(22)을 왕복동시키도록 전원이 가해진다.
제 3b 도 내지 5b 도에서 보여지듯이 정지날(21)은 큰 깊이의 제 2 이(21b)(도면에는 그 하나만이 도시됨)와 적은 깊이의 제 1 이(21a)로 구성된 이의 열을 그 전방에지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가동날(22)은 동일한 깊이의 열이 그 전방에지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더 깊은 깊이의 제 2 이(21b)는 적은 깊이의 제 1 이(21a)가 제 2 이(21b)에 의하여 교대로 반복되는 몇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진 방식으로 열에서 매 3번 나타난다. 가동날(22)이 제 3a 도와 3b 도의 최전방위치로 이동되어 정지날과 가동날(21, 22) 사이에 최소의 여유공간(A)을 남기게 되며 유효전단영역이 제 1 이(21a)의 전체길이에 의하여 형성되고 정지날(21)의 제 2 이(21b)의 대응 깊이가 가동날(22)의 이와 전단 접속하는 이발모우드를 만들기 위하여 정지날(21)과 협동한다. 따라서, 이발모우드에서 정지날(21)의 전체이는 이발작동을 위하여 바람직한 날카로운 전단수행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진다. 가동날(22)이 제 4 a 도와 제 4b 도의 중간위치로 날(21, 22)의 전방에지 사이의 중개공간(B)을 가진체 이동되어지면 정지날(21)의 제 1 , 제 2 이(21a, 21b)의 바닥부만이 이발모우드와 비교하여 비교적 거친 전단 수행을 제공하게 되는 가동날(22)의 이와 전단 접속하게 됨에 의해서만 유효전단영역이 정의되는 조발모우드를 만들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조발모우드는 따라서 정지날(22)의 모든이가 머리카락을 자르게 사용되나, 짧게 잘려진 머리카락인 경우에는 쉽게 조발을 하거나 이발모우드가 상대적으로 날카로운 이를 가지거나 짧게 깎아버리는 특성에 의하여 이발모우드에서는 어려운 이발마감작업의 사용을 위한 머리스타일 마감능력을 제공한다. 이 조발모우드에서 가동날(22)의 전방에지는 조발작동에 가장 적합한 1.5㎜의 거리로서 정지날의 그것으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져 있다. 가동날(22)이 날(21, 22)의 전방에서 사이에 최대여유(C)를 가진채 제 5a 도와 5b 도의 최후방위치로 이동할때, 정지날(21)의 제 2 이(21b)만이 적합한 조발수행능력을 제공하는 가동날(22)의 이와 전단접속하기 위하여 그 바닥부를 가진다. 상기한 세가지의 서로 다른 헤어스타일 모우드 사이의 선택은 사용자의 손의 엄지손가락을 이발기에 댐에 의하여 스위치손잡이(2)는 간단히 조작되어지고 그에 따라 이발시에 중단없이 수행되어진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제 7a 도의 조발작동으로부터 제 7b 도의 이발작동으로, 또는 그 역으로 용이하게 조작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피이발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게 되어 있는 정지날(21)의 각이 바닥에지는 제 6 도에 보여지듯이 둥글게 되어 있으며 이발동안에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게 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날(22)은 왕복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지만, 정지날(21)이 가동날(22)에 대하여 정지날(21)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하여 헤어스타일링 모우드를 바꾸기 위하여 가동날(22)에 대한 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조발모우드는 2가지 모우드 사이의 단위 시간당 머리카락 절단양을 크게 다르게 하기 위하여 이발모우드 보다 가동날(22)의 왕복의 감소된 속도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조발작동이 더욱 느린 간격으로 수행되어지고 그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조발에 있어서 더욱 많은 시간이나 여유를 상대적으로 제공하여 더욱 기술적인 조발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 모우터(10)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모우터(10)와 배터리(15) 사이에 연결된 제어회로가 채택되어진다. 제어회로는 제 8 도의 전압조절회로(V1), 제 9 도의 전압조절회로(V2), 제 10 도의 다이오우드(D)를 가진 회로, 또는 제 11 도의 저항(R)을 가진 회로중 어느하나일 수 있다. 각 제어회로에 있어서, 바이패스스위치(S)는 저, 고속의 각각에서 모우터(10)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스위치(S)는 스위치손잡이(2)의 미끄럼 이동과 동기되어 작동하거나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스위치 슬라이드(8)는 기대(16)상에 형성된 제어회로의 바이패스스위치(S)의 작동을 위하여 하우징(1)의 바닥내에 설치된다. 비록 상기한 제어회로는 이발모우드와 조발모우드 사이에서 왕복동율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정발모우드에서의 왕복 속도의 변화를 위해서도 유효하다.
[제 2 실시예(제 3 도 내지 제 7 도)]
제 13 도 내지 제 14 도와 관련하여, 이발기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제 2 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일치하여 설명되어진다. 이발기는 모우터(60)와 재충전바테리(65)가 장착된 하우징(51)의 전방단부에 형성된 커터헤드(70)를 포함한다. 커터헤드(70)는 기판(73)에 장착된 정지날(71)과 정지날(71)상에서 왕복동 가능하게 모우터(60)에 의하여 구동되는 가동날(72)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커터헤드(70)에는 위로 향해있는 미끄럼 플랜지(92)가 기판(73)의 측면측에 있는 대응 레일(78)과 미끄럼 접속하여 정지날(71)에 대하여 하우징(51)의 종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채 기판(73)의 바닥상에 장착된 빗살부재(90)를 가진다. 가동날(72)은 이동판(74)상에 있고 한쌍의 비틂스프링(제 13 도에 그 하나만이 도시됨)에 의하여 왕복동에 수직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되어있는 반면 왕복동이 가능하도록 된 방식으로 기판(73)상에 지지된다. 비틂스프링(85)의 각각은 가동날(72)을 정지날(71)에 대하여 적당한 압력으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밀도록 그 코일부가 기판(73)의 후부단부에 고정적으로 수납된다. 가동날(72)의 모우터 출력축(61)에 대한 구동연결은 제 1 실시예에서 언급한 방식으로 편심축(80)과 이동판(74)상에 있는 요우크 다리(75)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정지날(71)은 가동날(72)의 이가 제 1 실시예와는 반대로된 채 계속적인 전단접속을 하는 전방에지에 있어서 동일 깊이의 이의 열을 가진다. 제 14 도 내지 17 도에 보여지는 바와같이, 빗살부재(90)는 그 전방에지내에 정지날(71)의 이의 간격의 대략 3배 정도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빗살이(91)의 열을 가진채 형성되며, 각 빗살이(91)는 정지날(71)의 이보다 약간 큰 형상을 가진다. 작동에 있어서, 빗살부재(90)는 제 15 도의 이발위치, 제 16 도의 조발위치, 제 17도의 정발위치의 어느하나에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조작되며 각 위치로 클릭이동한다. 빗살부재(90)가 그 최후방 위치로 후퇴되거나 또는 제 15 도의 이발위치로 후퇴하면 정지날(71)의 전체이는 가동날(72)의 전체이와 함께 유효전단영역을 형성하여 이발작동이 정지날과 가동날(71, 72)의 전체이를 통하여 유효화 되게 한다. 빗살부재(90)가 제 16 도의 조발위치 또는 그 중간위치로 나아가게 되면 빗살부재(90)의 전방에지는 이의 정부부분과 빗살부재(91)의 연관된 정지날(71)의 특정이의 전체 깊이는 노출된채 남겨두고 이들 부분을 폐쇄하기 위하여 정지날(71)의 이의 바닥부위로 연장되며, 정지날(71)의 이의 특정부분이 가동날(72)의 이와 더욱 제한된 전단접속을 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조발작동은 제한된 머리카락 전단 능력을 가지면서 더욱 용이하게 유효화될 수 있다. 빗살부재(91)가 그 최전방위치로 나아가거나 제 17 도의 조발위치로 나아가면 빗살부재(90)의 전방에지는 빗살부재(91)와 관련된 정지날(71)의 특정이만을 노출하도록 정지날(71)의 전방에지를 지나서 연장되며, 그러한 특정이 에서만 전단이 일어나고 그에 따라 조발수행을 제공하게 된다. 비록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빗살부재(90)가 기판(73)의 바닥에 부착되어 있지만 빗살이를 가진 빗살부재와 유사한 부재(90a)가 제 18 도에 보여진 정지날(71)과 기판(73) 사이에 유지되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51)의 바닥상에 있는 미끄럼손잡이(59)에 의하여 작동된다. 이때에 가동날의 왕복속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제 1 실시예에 적용이 가능한 제어회로가 제 2 실시예의 이발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제 3 실시예(제 19 도 내지 23도)]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발기는 그 구성에 있어서 정지날(121)의 형상과 가동날을 위한 구동기구를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모우터(110)는 이발기 하우징(121)내에 장착되며 가동날(122)이 정지날(121)상에서 왕복동 하도록 하기 위하여 스위치손잡이(102)의 조작에 의하여 전원이 가하여 진다. 커터헤드(120)는 정지날(121)이 제 19 도에서 보여진 바와같이 노브(105)에 의하여 하우징(1d)의 정면바닥내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고 정지날(121)이 고정되는 기판(123)을 가진다. 가동날(122)은 왕복동 경로내에서 함께 왕복동하게 구동되며 이동판(124)에 연결된다. 이동판(124)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가동날(122)이 정지날(121)에 대하여 스프링 가압되며 비틂스프링(135)의 탄성 연장부분(136, 137)과 마찬가지로 왕복동하게 허용한다. 각 비틂스프링(135)의 코일 부분은 그 피봇축(131)에 대하여 피봇 작동가능하게 기판(123)의 후부상에 장착되는 록커부재(130)내에 수납된다. 비틂스프링(135)의 탄성에 의하여 록커부재(130)는 도면에 보여지는 바와같이 시계방향으로 가압되며 후방으로 이동판(124)을 대응하여 가압한다.
록커부재(130)는 한쌍의 반경방향 연장체의 측방으로 간격이 떨어진 레버(132)를 (도면에는 그중 하나만이 도시됨)가지며 그 각각은 스위치손잡이(102)의 미끄럼이동과 동기적으로 하우징(101)내에서 미끄럼 가능한 작동간(107)과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록커부재(130)는 가동날(122)의 왕복동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판(124)을 이동시키도록 스위치손잡이(102)의 작동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피봇회전하게 된다. 제 20 도에 가장 잘 보여지듯이 이동판(124)은 가동날(122)내에 있는 개구(128)로 연장된 일체형 스터드(126)와 함께 형성되어 가동날(122)은 이동판(124)이 가동날(122)의 왕복동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제 20 도에 보여진 점선에 의하여 지시되는 다른 위치로 가동날(122)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되는 동안 이동판(124)과 함께 왕복동하게 구동된다. 결속구(112)를 통하여 모우터출력축(111)에 연결된 편심축(140)은 모우터출력축(111)의 회전에 따라서 함께 왕복동 하도록 이동판(124)과 가동날(122)을 구동 시키도록 요우크다리(125)의 한쌍 적어도 하나에 있는 수직리브(129)와 접속된 이동판(124)상에 있는 수직으로 선 요우크라리(125)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편심축(140)은 세가지 부분(141, 142, 143)을 가지는 단이진 축의 형태이며 모우터 출력축(111)의 중심축에 대하여 서로 다른 편심도를 가진다. 이동판(124)이 스위치손잡이(102)의 조작에 의하여 하우징(101)의 종축방향으로 이동되어짐에 따라 서로 다른 편심도의 3부분(141, 142, 143)의 어느하나와 요우크다리(125)상의 수직리브(129)는 선택적으로 접속한다.
편심도는 결속구(112)로부터 떨어진 인접부분에서 보다 결속구(112)에 더욱 가까운 부분에서 더욱 크다. 이발기의 작동은 제 21 도 내지 제 23 도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면에서 보여지듯이 정지날(121)과 가동날(122)의 각각은 전방에지를 따라서 고르게 간격이 져있는 동일한 깊이의 이의 열을 가지나 서로서로 그 피치는 다르다.
왕복동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반면, 제 1 실시예의 전술한 방향과는 반대로 가동날(122)은 왕복동한다. 이동판(124)이 제 21a 도의 최후방 위치에서 유지되어지면 이동판(124)의 리브는 141 부분에서 최대의 편심도(E1)로 편심축(140)과 접속하여 그에 따라서 제 21b 도에 지시된 최대 폭(D1)으로 가동날(122)을 왕복동 시킨다.
이 폭(D1)은 가동날(122)의 각 이가 정지날(121)의 이의 최대수와 전단 접속하게 하여 정지날(121)의 모든이와 가동날(122)의 모든이가 이발자동을 위한 최대 전단능력을 주기 위하여 최대한 유효하게 사용된다. 작동간(107)이 제 22a 도의 중간위치로 이동판(124)을 수평 이동시키기 위하여 나아갈때, 리브(129)는 제 22b 도의 지시된 중간폭(D2)에서 가동날(122)을 왕복동시키기 위하여 중간편심도(E2)의 부분(142)에서 편심축(140)과 접속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가동날(122)의 각 이는 이발모우드에 비하여 감소된 전단능력을 가진 조발모우드를 제공하기 위하여 진폭(D2)내에서 나타나는 정지날(122)의 제한된 이의 수와 협력한다.
즉 이발모우드에 비하여 정지날(121)의 이의 수보다 적으나 하나 이상의 이가 조발을 위하여 유효한 더욱 감소된 능력의 이발전단을 수행하기 위하여 가동날(122)의 각 이와 협동한다. 작동간(107)이 제 23a 도의 최전방위치로 이동판(124)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더욱 전진하면 리브(129)는 제 23b 도에 도시된 왕복동의 최소폭(D3)으로 가동날(122)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최소 편심도(E3)의 부분 (143)에서 편심축(140)과 접속한다.
최소진폭(D3)은 정지날(21)이 정지날(121)의 이의 어떤 특정한것(제 23b 도에서 T로 표시됨)에서 정지날(121)의 인근한 사이에서 피치의 적어도 2배이상의 간격을 두고 있도록 한채 가동날(122)과 전단 접속하도록 허용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정발상태를 제공한다. 그러나 정발작동은 부분적인 이에서 유효화되며 정지날(121)과 가공날(122)이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짐에 기인한다.

Claims (9)

  1. 연장된 이의 열을 가진 전방에지를 가지는 정지날과, 연장된 이의 열을 가진 전방에지를 가지는 가동날과, 날의 이들 사이에서 전단 접속된 정지날에 대하여 상기 가동날의 왕복동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가지는 이발기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전단능력의 유효전단영역을 각각 가지는 이발, 조발, 정발상태의 어느 하나에서 정지날과 가동날을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모우드 선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발상태는 가동날의 이와 정지날의 전체 이가 전단 접속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 1 유효전단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조발상태는 상기 가동날의 대응 이와 상기 정지날의 특정 영역이 전단 접속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 2 유효전단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정발상태는 상기 가동날의 대응이와 정지날의 특정이들이 전단 접속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 3 유효전단영역을 제공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우드선택장치가 상기 가동날과 상기 정지날 사이의 거리를 변경시키는 방향으로 정지날로 가동날의 상대적인 이동작동을 유효화 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날은 큰깊이의 제 2 이와 작은깊이의 제 1 이로 구성된 이의 열을 가진채 그 전방에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이는 상기 제 2 이에 의하여 교대되는 몇개의 그룹으로 분할되며, 상기 모우드 선택장치는 가동날의 이와 정지날의 제 2 이의 대응깊이와 제 1 이의 전체 깊이가 전단접속하는 상기 이발상태로 선택적으로 상대적인 이동을 상기 가동날이 하게 하여 상기 제 1 유효전단영역을 형성하고, 정지날의 제 2 이와 제 1 이의 각각의 바닥부만이 상기 가동날의 이와 전단 접속하는 상기 조발상태로 선택적으로 상대적인 이동을 상기 가동날이 하게 하여 상기 제 2 유효전단 영역을 형성하고, 정지날의 제 2 이의 각각의 바닥부만이 가동날의 이와 전단접속하는 상기 정발상태로 선택적인 상대적 이동을 상기 가동날이 하게 하여 상기 제 3 유효전단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우드 선택장치는 상기 가동날과 상기 정지날의 전방에지 사이의 거리를 변경시키는 방향으로 가동날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동날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날은 적은 깊이의 제 1 이와 더큰 깊이의 제 2 이로 구성된 이의 열을 가진채 그 전방에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이는 상기 제 2 이에 의하여 교대되는 몇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지며, 상기 모우드 선택장치는 가동날의 이와 정지날의 제 2 이의 대응 깊이와 제 1 이의 각각의 전체깊이가 전단접속하는 상기 이발상태로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유효전단영역을 형성하고, 정지날의 제 2 이와 제 1 이의 각각의 바닥부만이 상기 가동날의 이와 전단접속하는 상기 조발상태로 선택적으로 상대적인 이동을 상기 가동날이 하게 하여 상기 제 2 유효전단영역을 형성하고, 정지날의 제 2 이의 각각의 바닥부만이 가동날의 이와 전단접속하는 상기 정발상태로 선택적인 상대적 이동을 상기 가동날이 하게 하여 상기 제 3 유효전단영역을 형성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가동날의 전방에지가 가동날이 조발상태로 이동되어질때 1.5㎜의 거리만큼 정지날의 전방에지로부터 가동날의 전방에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발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우드 선택장치가 상기 정지날의 이의 열과 평행하게 배열된 빗살이의 제한된 수로서 그 전방에지에 형성되고 정지날의 이의 열보다 적어도 2배의 간격으로 각각 떨어져 있는 빗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정지날에 대하여 전방에지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빗살부재는 빗살부재가 모든 이를 노출시키도록 정지날의 이의 후방으로 후퇴하는 이발상태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1 유효전단영역을 형성하고, 그러한 노출된 이에 의하여 제한된 전단작동을 위하여 빗살이와 연관된 특정이의 전체깊이와 이의 정부 부분이 노출된채 남기면서 상기 정지날의 이의 바닥부 위로 빗살부재의 전방에지가 연장되어 이들 부분이 비 자동적으로 되는 조발상태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2 유효전단영역을 형성하고 나머지 이가 비작동적으로 되게하면서 더욱 제한된 전단작동을 위하여 빗살이와 연관된 특정이만을 노출시키도록 정지날의 이의 전체 깊이위로 빗살부재가 연장되는 정발상태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3 유효전단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발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우드 선택장치는 상기 이발, 조발, 정발상태를 각각 결정하는 서로 다른 폭의 제 1, 제 2, 제 3 모우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가동날의 왕복동의 폭을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우드는 정지날의 이의 최대수와의 전단접속을 가동날의 각 이가 하도록 허용하는 왕복동의 최대폭을 제공하여 그에 따라 가동날과 정지날의 전체이가 최대 전단능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장 유효하게 사용되어지는 상기 제 1 유효전단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모우드는 제 1 모우드의 이보다 적은 수의 정지날의 이와 가동날의 각 이가 전단접속하게 허용하여 왕복동의 중간폭을 제공하여 감소된 전단능력을 유효화 시키는 상기 제 2 유효전단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 3 모우드는 가동날의 남은 이가 전단 접속이 되지 않게하면서 가동날의 대응 이와 정지날의 소정의 수의 이가 전단접속하게 하는 왕복동의 폭을 제공하여 전단이 정지날의 특정 이에서만 발생하는 상기 제 3 유효전단영역을 형성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발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가동날의 왕복동 운동으로 그 회전운동이 변환되는 출력축을 가진 모우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모우터 출력축에 그 일단부에서 연결되는 단이진 편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편심축은 제 1, 제 2, 제 3 단이진 부분을 가지며 각각은 모우터 출력축의 축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편심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각각의 단이진 부분은 편심축의 회전에 있어서, 왕복동 시키도록 상기 가동날의 부분과 선택적으로 접속가능하고 상기 편심도는 이 부분들이 가동날과 접속할때 왕복동의 상기 제 1, 제 2, 제 3 모우드를 각각 형성하도록 제 1, 제 2, 제 3 모우드로부터 단이진 형태로 감소되어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발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가동날의 왕복동속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장치와 연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발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가동날의 왕복동 속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장치와 연관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발기.
KR1019870009337A 1986-08-26 1987-08-26 이발기 KR900002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00665A JPS6354187A (ja) 1986-08-26 1986-08-26 電気バリカン
JP61-200665 1986-08-26
JP200665 1986-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631A KR880002631A (ko) 1988-05-10
KR900002292B1 true KR900002292B1 (ko) 1990-04-10

Family

ID=1642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337A KR900002292B1 (ko) 1986-08-26 1987-08-26 이발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25546A (ko)
JP (1) JPS6354187A (ko)
KR (1) KR900002292B1 (ko)
DE (1) DE37269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2760B2 (ja) * 1988-12-15 1998-01-26 松下電工株式会社 散髪方法
JPH03155892A (ja) * 1989-08-28 1991-07-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ヘアカッター
JP2826151B2 (ja) * 1990-02-15 1998-11-18 松下電工株式会社 ヘアカッター
JP3080975B2 (ja) * 1990-06-15 2000-08-28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気バリカン
US5438611A (en) * 1991-05-20 1995-08-01 Ntp Incorporated Electronic mail system with RF communications to mobile processors originating from outside of the electronic mai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5436960A (en) * 1991-05-20 1995-07-25 Campana, Jr.; Thomas J. Electronic mail system with RF communications to mobile processor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5479472A (en) * 1991-05-20 1995-12-26 Ntp Incorporated System for interconnecting electronic mail systems by RF communication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H04348789A (ja) * 1991-05-28 1992-12-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ヘアカッター
US6243955B1 (en) * 1999-04-16 2001-06-12 Anthony Glen Forbers Hair clipper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020160753A1 (en) * 1999-12-06 2002-10-31 Campana Thomas J. Electronic mail system with RF communications to mobile processors
US20030131480A1 (en) * 2002-01-11 2003-07-17 Conair Corporation Hair clipper with turbo-cutting mode
DE102004058847A1 (de) * 2003-12-04 2005-06-30 Wella Ag Schneidkopf für eine elektrische Haarschneidemaschine
IL160955A0 (en) * 2004-03-18 2004-08-31 Epilady 2000 Llc Comb adjusting mechanism for hair clipper
KR100576168B1 (ko) * 2004-10-06 2006-05-03 오태준 전기 바리깡
KR200396689Y1 (ko) * 2005-06-21 2005-09-26 오태준 전기 바리깡
JP5074679B2 (ja) 2005-08-26 2012-1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バリカン
DE102006002670A1 (de) * 2006-01-19 2007-01-25 Wahl Gmbh Gehäuse
JP4251183B2 (ja) * 2006-01-23 2009-04-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ヘアカッター
JP4251184B2 (ja) * 2006-01-23 2009-04-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ヘアカッター
EP2114637A1 (de) * 2007-02-01 2009-11-11 Braun GmbH Haarentfernungsgerät
DE102007050379A1 (de) * 2007-10-22 2009-04-23 Braun Gmbh Haartrimmer
DE102007050381A1 (de) * 2007-10-22 2009-04-23 Braun Gmbh Haarentfernungsgerät
US7841091B2 (en) * 2007-11-15 2010-11-30 Wahl Clipper Corporation Bladeset for a hair cutting apparatus
US20090139093A1 (en) * 2007-12-03 2009-06-04 Ronald Moreschini Split, reciprocating, hair cutting comb
JP2010004992A (ja) * 2008-06-25 2010-01-1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バリカン刃、及び電動バリカン
US20080282550A1 (en) * 2008-06-30 2008-11-20 Andis Company Blade assembly
JP2010124875A (ja) * 2008-11-25 2010-06-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バリカン
US9027252B2 (en) * 2010-03-19 2015-05-12 Wahl Clipper Corporation Low resistance hair clipper blade tooth profile
JP5923750B2 (ja) * 2012-04-06 2016-05-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バリカン
US9656400B2 (en) * 2012-11-21 2017-05-23 Matthew W. Krenik Hair cutting techniques for automated hair cutting system
WO2014191867A1 (en) * 2013-05-30 2014-12-04 Koninklijke Philips N.V. Stationary cutting blade for a hair clipping device
JP6568064B2 (ja) * 2013-11-06 2019-08-2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身体部位を処置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014253B2 (en) 2014-09-17 2021-05-25 Andis Company Blade assembly having entrapped spring
US9770836B2 (en) 2014-09-17 2017-09-26 Andis Company Blade assembly having entrapped spring
JP6341379B2 (ja) * 2014-09-30 2018-06-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トリマーの刃およびこれを備えるトリマー
JP6222793B2 (ja) * 2014-11-06 2017-11-0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ヘアクリッピング装置
US9713877B2 (en) 2014-11-12 2017-07-25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with drag reduction
USD779123S1 (en) 2014-11-12 2017-02-14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USD794871S1 (en) 2016-01-15 2017-08-15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USD795497S1 (en) 2016-01-15 2017-08-22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USD802214S1 (en) 2016-06-10 2017-11-07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USD802217S1 (en) 2016-06-10 2017-11-07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USD802216S1 (en) 2016-06-10 2017-11-07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USD802215S1 (en) 2016-06-10 2017-11-07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EP3461603A1 (en) * 2017-09-29 2019-04-03 Koninklijke Philips N.V. A hair cut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5292A (en) * 1931-04-24 1933-01-24 Brown & Sharpe Mfg Clipper
US1908385A (en) * 1931-10-10 1933-05-09 Wahl Clipper Corp Clipper attachment
DE649465C (de) * 1935-02-09 1937-08-25 Ernst Clemens Matthes Haarschneidemaschine mit wellenfoermig verlaufenden Schneidkanten
US2118850A (en) * 1935-03-06 1938-05-31 Marcel Francois Rene Haircutting means
US2470287A (en) * 1945-06-12 1949-05-17 Clarence E Carter Hair clipper
US3357101A (en) * 1966-03-14 1967-12-12 Hermetic Coil Co Inc Hair clipper
JPS5097677U (ko) * 1973-12-29 1975-08-14
JPS5260751A (en) * 1975-11-12 1977-05-19 Tokyo Electric Co Ltd Electric clipper
NL7700504A (nl) * 1977-01-19 1978-07-21 Philips Nv Haarknipapparaat.
ZA78707B (en) * 1977-07-08 1979-01-31 Wahl Clipper Corp Hair trimming head
JPS5436859A (en) * 1977-08-25 1979-03-17 Hitachi Maxell Ltd Reciprocating type electric shearing machine
JPS5932154B2 (ja) * 1978-01-18 1984-08-07 松下電工株式会社 カッタ−の往復駆動装置
JPS54121873A (en) * 1978-03-10 1979-09-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air cutter
JPS5839180A (ja) * 1981-09-02 1983-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相関追尾装置
JPS6037753B2 (ja) * 1981-12-15 1985-08-28 松下電工株式会社 ヘアカツタ−
US4594777A (en) * 1982-09-16 1986-06-17 Sanyo Electric Co., Ltd. Electric shaver with a drive regulator
EP0119285A1 (de) * 1983-03-16 1984-09-26 Dieter W. Liedtke Haarschneidegerät
DE3310706A1 (de) * 1983-03-24 1984-09-27 Wella Ag, 6100 Darmstadt Elektrische haarschneidemaschine
JPS602473U (ja) * 1983-06-16 1985-01-10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気バリカン
DE3477356D1 (en) * 1983-12-15 1989-04-27 Hitachi Maxell Electric hair clipper
DE3529516A1 (de) * 1985-08-17 1987-02-26 Braun Ag Haarschneidemaschine, insbesondere elektrische haarschneide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54187A (ja) 1988-03-08
US4825546A (en) 1989-05-02
KR880002631A (ko) 1988-05-10
DE3726962C2 (ko) 1991-06-27
DE3726962A1 (de) 1988-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292B1 (ko) 이발기
US5054199A (en) Hair cutter
JP3860297B2 (ja) 髪の毛を切るためのバリカン
US4614036A (en) Comb attachment for a hair clipper
KR100803865B1 (ko) 이발기
US4845847A (en) Dry shaver with a slidable trimmer handle
JPS62114588A (ja) バリカン
US4274199A (en) Electric shaver
US3858314A (en) Drive assembly for an electric shaver
US5123159A (en) Hair clipper
US3962783A (en) Trimming unit
WO2008068952A1 (ja) ヘアカッター
US20050055834A1 (en) Electric hair trimmer
US4138809A (en) Hair trimmer
US6082004A (en) Reciprocating type electric shaver
US3874079A (en) Auxiliary trimmer assembly for an electric shaver
US3028668A (en) Dry shaver with rocking cutter
US4131995A (en) Smoothing comb for a hair trimmer
GB1472734A (en) Skin engaging means for an electric dry shaver
JPS5951310B2 (ja) 毛↓−トリミング装置
JPS5839180Y2 (ja) 電動バリカン
JPS63158093A (ja) ヘアカツタ−
JP2569393Y2 (ja) 電気かみそり
KR820000944B1 (ko) 정발기(整髮機)
US2253156A (en) Shav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