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355B1 -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로우더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로우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355B1
KR860001355B1 KR1019830003206A KR830003206A KR860001355B1 KR 860001355 B1 KR860001355 B1 KR 860001355B1 KR 1019830003206 A KR1019830003206 A KR 1019830003206A KR 830003206 A KR830003206 A KR 830003206A KR 860001355 B1 KR860001355 B1 KR 860001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tire vulcanizer
fluid pressure
loader
vulca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395A (ko
Inventor
아끼라 하세가와
가쯔요시 사까구찌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주 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야노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2607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28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3301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4933A/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주 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야노 다까시 filed Critical 미쯔비시주 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5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3Loading or unloading the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로우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단면도.
제3도는 제2도 중 스토퍼(25)의 확대도.
제4도는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
제5도는 제4도 중 V부확대도.
제6도는 제3실시예의 측단면도.
제7도는 제6도 중 VII-VII선단면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측면도.
제10도는 주요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브래킷 4,27,133,147,151 : 유체압력실린더
11 : 공통플레이트 15,127 : 부음
19, 131c : 클릭 24 : 스토퍼봉
25 : 스토퍼 26 : 너트
101 : 프레스본체 135 : 안내로드
본 발명은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로우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로우더장치는 생타이어를 타이어 가황기에 반입하기 위한 것이며, 또 언로우더장치는 타이어가황기로 가황된 후의 타이어를 타이어 가황기에서 타이어를 공냉하는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에 반송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에서는 양쪽 공통되는 장치 및 각각에 적합한 것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타이어 가황기의 스윙식 로우더는 일본국 특허공고 소 52-3786호 공보에 기재한 바와같이 2개의 타이어를 동시에 가황하기 위해서 프레스본체의 양측에 별개로 착설되어 있으며, 이들의 승강을 위해 실린더 등의 승강장치를 각각 착설하고 있으므로 생산비와 보전의 면에서 불리하였다.
또, 프레스본체 중심과의 중심을 맞추는 방법으로 스윙 중심 부근에서의 고정스토퍼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로우더 자체와 타이어의 관성에 의해 고정스토퍼에 걸리는 힘이 커서, 가황기에의 로우딩에 있어서 타이어 중심의 안정성을 결여하고 있었다.
한편, 종래의 타이어 가황기의 언로우더장치는 가황이 끝난 타이어를 높은 장소에서 낙하시켜서, 타이어의 자체중량에 의해 경사콘베이어의 로울러 위를 이동시켜서, 포스트큐어인플레이트(이하 P.C.I.라 함)에 착설된 스토퍼로 P.C.I.와 중심 맞춤을 행하면서 소정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그 후 P.C.I.로 타이어를 파지해서 인플레이트 작업을 행한 것이 일반적이나, 종래의 언로우더에서는 P.C.I.와 중심을 맞추는 것이 반드시 정밀도를 좋게 행하여 진다고는 할 수 없는 불편이 있다. 또 중심맞춤의 정밀도를 좋게 하려고 제안되어 있는 장치로서는, 일본국 특허출원소 53-57733호 및 동 소 54-1074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으나 어느것도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일본국 특허출원소 53-57733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는, 가황을 끝낸 타이어는, 가동프레스 비임에 착설된 척에 의해 P.C.I.에 직접 반송되는 것으로서,
① 상부금형이 수평방향으로 스윙하는 것에는 적용할 수 있으나, 상부금형이 수직승강 밖에 행하지 않는 프레스에는 적용할 수 없다.
② 척과 가황기 블래더 파지링과의 감합 때문에 척의 형상,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③ 가동비임이 중량물이기 때문에, 그 정지 정밀도의 유지에 주위를 요한다.
또, 일본국 특허원소 54-1074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는, 가황을 끝낸 타이어는 한번 경사로울러 콘베이어상에 배출되고, 그 후 척으로 파지되어서 P.C.I.에 반입되는 것으로서,
① 타이어의 경량화에 수반하여 경사상태로 파지하면 그 자체 중량만으로는 수평위치를 취하는데 확실성이 빈약하고 또한 타이어의 특히 측벽부가 매우 유연화 되어 있으며, 경사콘베이어상에서의 타이어 외주에서의 위치 결정이 불안정하고, 척으로의 파지 자체를 행할 수 없다.
② 경사콘베이어로의 가황기로부터의 배출장치가 필요하며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점에 비추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인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로우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은 정밀도 좋게 중심위치 맞춤을 행할 수 있는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로우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의 정밀도 향상을 위하여, 타이어 가황기의 중심에 정확히 생타이어의 중심을 맞추고, 생타이어의 반입정밀도를 향상시키며, 또한 경제적인 로우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것의 결점을 제거할 수 있는 타이어 가황기의 언로우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로우더장치는 가황기본체에 연결된 상하방향으로 뻗은 한쌍의 안내로드와, 동 안내로드에 움직일 수 있게 고정된 구동수단에 의해 상, 하 방향에 이동 가능한 공통 플레이트, 동 공통플레이트와 일체화 되어서 상하방향에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안내로드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한 한쌍의 부음(BOOM), 동부음(BOOM)의 일단에 형성된 확축 가능한 파지클릭을 가진 타이어 파지수단 및 상기 부음(BOOM)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는 수단으로 된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한쌍의 부음(BOOM)과 공통플레이트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부음(BOOM)을 상하방향에 움직이는 구동수단이 1개로 되고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경제적임과 동시에 부음의 요동범위를 규제하는 수단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중심맞추기로 정밀도도 좋게 정확히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장치는 고정브레킷에 설치되고, 로드가 상하방향으로 신축하는 유체압력 실린더, 상기 고정브래킷에 입설된 한쌍의 안내로드, 단부가 상기 안내로드에 단부가 유합되고, 상기 유체압력 실린더의 로드단과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공통플레이트, 상기 각각의 안내로드에 단부가 유합되고, 타단부에 획축 가능한 파지클릭을 가진 파지수단이 형성된 한쌍의 부음, 단부가 상기 공통플레이트와 상기 각각의 부음 도중에 연결되어서 상기 각각의 부음을 상기 안내로드를 중심으로 요동시키는 한쌍의 제2유체압력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공통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에 스토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음 도중에 형성된 스토퍼의 구멍에 끼워 넣어서 상기 부음의 요동에 수반해서 상기 스토퍼의 구멍내를 접동하는 한쌍의 스토퍼봉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이 장치에 의하면, 2개의 안내로드에 공통플레이트를 유합시켜서 유체압력실린더로 공통플레이트를 승강시켜서 위치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안내로드의 힘을 받았을 때의 휨량이 작아지며, 또, 안내로드와 공통플레이트와의 사이의 간극에 의한 공통플레이트의 요동거림도 2개의 안내로드로 완화되어서 작아지기 때문에, 로우더장치의 생타이어를 반입할 때에, 생타이어를 정확한 위치에 파지수단으로 파지할 수 있고, 생타이어의 반입이 장확하게 행하여짐과 동시에 1개의 유체입력 실린더로 승강시키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또 부음의 요동 및 스트토우크도 스토퍼봉 단부의 스토퍼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므로서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 부음의 스토퍼 위치도 스토퍼가 스토퍼 부재에 당접해서 기계적으로 위치 결정하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기의 언로우더장치는 타이어 가황기와 P.C.I.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이어 가황기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뻗은 회전축과, 동 회전축에 일단부가 결합하여 유체압력 실린더로 타이어 가황기의 금형중심 위치에서 P.C.I.의 P.C.I. 링 중심위치까지 요동하고, 또한 상기 회전축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는 부음, 동 부음의 타단에 형성되고 또한 가황이 끝난 타이어의 비이트부를 의하면, 유체압력실린더로 타이어 가황기와, P.C.I.의 중심위치에 까지 부음이 요동하기 때문에, 중심위치 맞춤이 확실하게 정밀도 좋게 행하여지고, 또 부음 자체가 상하동 요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하 방향에만 이동하는 금형의 경우에서도, 벌어진 상태의 금형 사이에 용이하게 부음이 침입해서 타이어를 파지할 수 있고 구조도 간단하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로우더장치 및 언로우더장치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고, 또한 양자의 기본구조는 같은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먼저, 로우더장치의 제 1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3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타이어 가황기 본체(1)에 일련의 볼트(2)로 고정된 브래킷(3) 상면에는 유체압력 실린더(4)를 볼트(5)로 고정하고, 또한 2개의 안내로드(6)를 볼트(7)로 고정하고 있다. 안내로드(6)의 상단은, 지지재(8)에 형성된 구멍에 움직일 수 없게 고정시키고 지지재(8)를 볼트(9)로 가황기본체(1)에 고정하고 있다. 공통플레이트(11)은 유체압력 실린더(4)의 로드선단의 나사부(4a)와 나사로 결합되고, 공통플레이트(11)의 일단은 2개의 원통형상을 이루고 그 내면에는 상하 2개의 보올베어링(12)의 외륜을 커버(13)와 볼트(14)로 고정하고 있다. 한쌍의 부음(15)의 일단(15a)은 원통형상으로 그 내면 상하단에는 부쉬(16a)(16b)를 움직일 수 없게 고정시켜, 상하 부쉬(16a)(16b)의 내면은 안내로드(6)와 움직일 수 있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부음(15)의 일단부분(15b)에 볼트(16)를 사용하여 척본체(17)를 고정하고 있다.
척본체(17)에는 3개의 안내홈(17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안내홈(17a)에 접동 가능한 2개의 클릭(18)과 1개의 클릭(19)이 삽입되어 있다. 클릭(18)의 상단에는 로드(18a)를 일체형으로 하고, 클릭(19)의 상단에는 그것과 일체형을 이루는 플랜지(19a)를 착설하고, 유체압력 실린더(20)를 볼트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고 있다. 유체압력 실린더(20)의 로드선단의 클레비스(20a)의 상하명에 3개의 핀구멍을 가진 상하의 판(21) 2매에 3개의 핀(22)을 움직일 수 있게 고정시켜, 그 외부측의 2개의 핀(22)에는 각각 레버(23)의 일단을 움직일 수 있게 고정시키고 있다. 또한 레버(23)의 다른 일단은 클릭(18) 상단의 로드(18a)에 움직일 수 있게 고정시키고 있다.
좌우 한쌍의 스트퍼봉(24)의 일단(24a)에는 핀구멍을 형성하고 공통플레이트(11)와 일체형을 이루는 핀(11a)에 움직일 수 있게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봉(24)의 중앙부는 원주형상을 이루고, 스토퍼(25)에 형성된 구멍과 움직일 수 있게 고정하고 있다. 또 너트(26)은 스토퍼봉(24)을 고정하고 있다. 스토퍼(25)는 제3도에 표시함과 같이 하단은 원주형상을 이루는 부음(15)에 형성된 네모 기둥(15c)의 구멍에 움직일 수 있게 고정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유체압력 실린더(27)의 후단 클레비스(27a)는 공통플레이트(11)와 일체로 된 핀(11b)에 움직일 수 있게 고정시켜 유체압력 실린더(27)의 로드선단(27b)은 핀(28)을 사용하여 부음(15)에 형성된 연결구(15e)에 움직일 수 있게 고정되어 있다. (29)는 가황전의 생타이어 단면을 표시하고, (30)은 생타이어 재치대를 표시한다.
생타이어 재치대(30)에 재치된 생타이어(29)를 클릭(18)(19)이 파지하고, 그 후 유체압력 실린더(4)를 위쪽으로 움직이면 생타이어(29)는 클릭(18)(19)에 파지되어서 상승한다.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한 후 유체압력 실린더(27)를 신장하면 부음(15)은 회동하여 스토퍼봉(24) 일단의 너트(26)가 스토퍼(25)에 닿아서 생타이어(29)는 타이어 가황기 본체(1)의 금형 중심에 지지된다. 그 후, 유체압력실린더(4)를 아래로 움직여서(29)를 필요한 높이로 고정한 후에, 유체압력실린더(20)를 수축하면 클릭(18)(19)은 척본체의 안내홈(17a)을 중심방향을 향하여 이동하고, 생타이어(29)를 개방한다. 그 후 유체압력 실린더(4)를 필요한 높이까지 위쪽으로 움직여서 유체압력 실린더(27)를 수축하면 스토퍼봉의 일단부(24a)와 스토퍼(25)가 당접해서 부음(15)이 정지한다. 유체압력 실린더(4)를 아래로 움직여서 클릭(18)(19)을 생타이어(29)에 삽입 후 유체압력 실린더(20)를 신장하면 클릭(18)(19) 외부방향에 열리고, 생타이어를 파지하여, 제2도에 표시한 형상이 되어 1싸이클이 종료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설명함과 같이, 공통플레이트(11)를 한쌍의 안내로드(6)로 승강시키므로서 안내로드(6)의 휨, 안내로드(6)와 공통플레이트(11) 사이의 간격에 의한 요동이 완화되어서, 생타이어를 정확히 방송할 수 있고 로우더의 정밀도가 향상함과 동시에, 좌우 한쌍의 부음(15)을 각각 안내로드(6)의 각각을 중심으로 해서 개별적으로 회동시키므로서, 부음(15)의 승강구동과, 안내로드(6)를 겸용할 수 있어, 고정밀도로 또한 경제적인 회동시키므로서, 부음(15)의 승강구동과, 안내로드(6)를 겸용할 수 있어, 고정밀도로 또한 경제적인 로우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동부음(15)에 대하여, 접동 가능하고 동 회동스트로우크단에 있어서 기계적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스토퍼봉(24)에 의해 회동 스트로우크단에서의 부음(15)의 정지가 정확히 행하여지고 또한 미조정이 가능하다. 이것은, 부음(15)의 회동반경이 큰 곳에서 위치 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회동중심 부근에서의 스토퍼 방식에 비해 대폭적으로 정밀도가 향상된다.
종래 회동중심 부근에서만 스토퍼를 설치할 수 없었던 것은, 본 실시예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가황기 내에서는 금형이 승강하는 등, 로우더의 가황기 금형중심상에서는 스토퍼를 설치할 수가 없고, 또 가황기의 구조와 용도 등에 따라 스페이스에 제약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본 실시예의 스토퍼 방식은 상기의 제약에 관계없이 설정할 수 있는 매우 유효한 방식은 상기의 제약에 관계없이 설정할 수 있는 매우 유효한 방식인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로우더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링(31)은 척본체(17)에 볼트 등으로 고정하고, 그 외주는 생타이어(29)의 비이드부(29a)에 적합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클력(18)(19) 하단의 타이어와의 접촉부는, 제5도에 표시함과 같이, 타이어 비이드부의 형상과 대체로 합치하고, 비이드 하면의 안내를 용이하게 하는 凹부(R1)(혹은 데이퍼)와 그의 선단에 여유분(R2)(혹은 데이퍼)을 가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황된 타이어의 비이드 치수가 바뀐 경우 각각의 타이어 치수에 적합하도록 한 외주형상을 가진 링(31)을, 필요에 따라서 교환 사용하므로서 확실하게 타이어를 파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기타는 제1의 실시예와 똑같은 효과를 가지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6도 및 제7도는 다시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좌우 한쌍의 원통(32)은 그 내면 상하단에 부슈(33)를 움직일 수 없게 고정시켜 안내로드(6)에 대해 접동 가능하게 하고, 또 그 외면 상하단에 보올베어링(34)이 내륜을 움직을 수 없게 고정시키고 있다. 원통(32)의 상단에는 플랜지(36)를 볼트(37)로 고정하고 또 원통(32)의 하단은 공통플레이트(38)을 볼트(39)로 고정하고 있다. 부음(40)의 원통부 내면 상하단은 보올베어링(34)에 외륜과 움직일 수 없게 고정시키고 있다. 기타는 제1의 실시예와 같으며, 또 작용효과도 같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 대신에 좌우 타이어 높이가 다른 경우에, 로우더본체(타이어파지체)(17)를 부음(15)에 대하여, 나사봉 등에 의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언로우더 장치의 실시예를 제8도 내지 제10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프레스본체(101)의 상부에 부착된 가압용 유체압력 실린더(102)는 그 로드(102a)의 선단나사로 볼스타(103)에 고정하고 볼스타(103)에는 상부 단열판(104), 상부열판(105) 및 상부금형(106)을 볼트로 고정하고, 유체압력 실린더(102)의 로드(102a)는 유체압의 작용에 의해 상하동에서 상부금형(106)을 승강시킨다. 프레스본체(101)의 하방에 착설된 원판(101a)의 상면에는, 하부단열판(107), 하부열판(108) 및 하부금형(109)을 볼트로 고정하고 있다. 하부단열판(107), 하부열판(108) 및 하부열판(109)에는, 그 중앙부분에 원통형의 구멍을 형성하여 비이드 리프터(110)와 움직일 수 있게 고정되어 있다. 비이드 리프터(110)와 하부 비이드링(111)은 베이어 니트기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가황이 끝난 타이어(112)는 유체압력 실린더(113)에 의해 비이드 리프터(110) 및 비이드링(111)을 개재하여 상승운동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P.C.I.가대(114)의 상면에 고정된 베어링(115)에 삽입된 회전축(116)은 회전기구에 사용하여 180°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축(116)에는, 원반(117)이나 볼트 등을 사용해서 고정되어 있다. 원반(117)의 다른 한면에는 상부 P.C.I.링(118a)을 볼트 등을 사용해서 고정하고, 원반(117)의 중앙부에는 베이어너트(119)가 스냅링(153)을 사용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베이어너트(119)의 선단(119a)은 베이어너트 형상을 하고, 다른 일단에 회동용(回動用) 핀(119b)이 착설하고 있고. 베이어너트링(120)은 그 내면에 베이어너트(119)의 선단(119a)에 적합하는 베이어너트 부분(120a)을 구비하고, 상면측에는 하부 P.C.I.링(118b)을 보울드 등으로 고정하고, 또한 다른 하면측에 링크(121b)가 볼트(122)로 고정되어 있다. 로울러 콘베이어(123)는 복수개의 로울러(123a)를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핀(123b)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유체압력 실린더(124)가 위쪽으로 움직이므로서 필요한 각도까지 로울러콘베이어(123)를 경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핀(125)(126)은 유체압력 실린더(124)의 상하단 연결용이다. 가황이 끝난 타이어(112)를 부음(127)을 회동시켜서 P.C.I.링(118b) 중심에 이송된 장소에서 링(121b)은 좌우의 베이어니트링(120)에 연결하여 그 중아에는 핀(128)을 사용해서 클레비스(129)가 연결되어 있다. (130a)는 유체압력 실린더(130)의 로드단면을 표시하고, 유체압력 실린더(130)의 헤드측은 핀을 사용하여 상측의 링크(121a)에 연결되어 있다. 부음(127)의 선단에는 척본체(131a)를 볼트 등으로 고정하고, 액체압력 실린더(131b)의 신축작용에 의해 클릭(131c)과 클릭(131d)은 척본체(131a)에 형성된 안내홈을 가이드로 해서 바깥측 또는 내측 방향에 이동하고, 가황이 끝난 타이어(112)는 그 상부 비이드 내경에서 파지 또는 개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브랫킷(132)은 프레스본체(101)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고, 그 하면에 유체압력 실린더(133)를 볼트(134)로 고정해서 브랫킷(132)의 상면에는 2개의 안내로드(135)를 볼트(136)로 고정하고 있다. 안내로드(135)의 상단은 프레스본체(101)에 고정된 지지구(101b)로 파지되어 있다. 부음(127)의 1단은 원통(127a)상에 형성되고 원통(127a)의 내면상단에는 부쉬(137)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켜 부쉬(137)의 내면을 안내로드(135)와 움직일 수 있게 고정시키고 있다. 원통(127a)의 하단은 상측 보올베어링(138)의 내륜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켜서, 스냅링(139)으로 고정하고 있다. 외통(140)의 내면 위쪽은 상측 보올베이링(142)의 외륜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켜, 그 밑에 스페이서(141)를 삽입하고, 다시 그 하방에 하측 보올베어링(142)의 외륨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켜, 스냅링(143)으로 고정하고 있다. 통(144)은 그 내면에 부쉬(145)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켜, 부쉬(145)의 내면을 안내로드(135)와 움직일 수 있게 고정시키고 있다. 통(144)의 외면하단은 나사를 착설한다.
이 너트(147)는 하측 보올베어링(142)의 내륜과 공통플레이트(146)를 고정하고 있다.
부음(127)의 하면에서 유체압력 실린더(147)를 실린더받침(148)과 볼트(149)로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유체압력 실린더(147)의 로드 선단의 클레비스(147a)는 외통(140)과 일체형을 이루는 아암(140a)에 핀(150)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유체압력 실린더(151)는 유체압력 실린더(151)와 후단을 공통플레이트(146)와 일체형을 이루는 핀(146a)에 연결하고, 유체압력 실린더(151)의 로드선단 클레비스(151a)는 외통(140)과 일체형을 이루는 아암(140b)에 핀(152)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유체압력 실린더(133)의 로드선단(133a)은 공통플레이트(146)에 나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 척조립체는 좌우(제8도에 있어서는 상하 한쌍을 가지고, 다시 이들 동작을 위할 부품도 각 한쌍을 가지고 있으나, 좌우쌍인 부품에는 같은 번호를 붙여서 설명되어 있다. 가황이 완료하면 가압용 유체압력 실린더(102)를 유체압력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위쪽으로 움직이게 해서 상승한계(상사점)에서 정지시킨다. 유체압력 실린더(113)를 마찬가지고 위쪽으로 움직이게 해서 하부비이드 링(111)에 의해 가황이 끝난 타이어(112)를 하부금형(109)에서 벗겨냄과 동시에 소정의 높이로 대기시킨다. 대기중의 척조립체(131a)-(131d)를 유체압력 실린더(151)의 수축 또는 신장작용으로 가황이 끝난 타이어(112)의 위쪽중심으로 이송시킨다. 그 후 유체압력 실린더(133)를 아래쪽을 움직이게 해서 공통플레이트(146)를 내린뒤 유체압력 실린더(131b)를 신장해서 클릭(131c) 및 (132d)를 벌려 제9도에 점선으로 표시함과 같이 가황이 끝난 타이어(112)의 상부 비이드부 (112a)를 파지한다. 유체압력 실린더(133)를 상단까지 상승시킨 후 유체압력 실린더(147)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유체압력 실린더(151)를 수축 또는 신장시키면 척(131a)-(131d)은 P.C.I.링(118b) 위의 중심으로 이동한다. 유체압력 실린더(133)를 아래로 움직여서, 가황이 끝난 타이어의 하부 비이드부(112b)로 하부 P.C.I.링(118b)에 삽입한 후, 상기한 것과 반대인 조작을 행하여, 척(131a)-(131d)을 대기위치로 이송해 둔다. 유체압력 실린더(130)를 수축시켜, 가황이 끝난 타이어의 비이드부(112a)를 상부 P.C.I.링(118a)에 밀착시킨 후 베이어니트(119)의 상단에 착설된 핀(119b)을 유체압력 실린더 등을 사용하여 회동하면 베이어니트(119)의 선단(119a), 베이어니트 부분(120a)의 베이어니트 기구에 의해 가황이 끝난 타이어(112)는 클램프 되어 내부의 통기구로부터 도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인프레이트 된다. 소정시간 경과 후 회전기구를 사용하여 회전축(116)을 180°회전하고 상기와 반대인 조작을 행해서 가황이 끝난 타이어(112)를 개방한다.
유체압력 실린더(124)를 위쪽으로 움직이게 하면 로울러콘베이어(123)는 핀(123b)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소정의 경사를 얻는다. 이것에 의해 타이어는, 제9도의 하부 P.C.I.링(118b)에서 들어 올려지고 그 자중의 분력에 의해 로울러(123a) 위해 반송되어서, 1싸이클을 종료한다.
본 실시에의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① 가황이 끝난 타이어는, 가황이 금형중심에서, 직접 P.C.I.링상에 이송되고, 더우기 타이어 구조장 가장 강성이 높은 비이드부를 파지하고, 또한 항상 수평으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P.C.I.링에의 중심 낮춤이 정확하고 또한 확실하기 때문에, 종래의 경사콘베이어 위를 굴러가는 방식에 비교하여 복잡한 구조를 추가하는 일없이, 동작의 안정성이 비약적으로 향상할 뿐만 아니라, 타이어 균등성이 종래보다 대폭 향상된다. 또한 P.C.I.에 있어서, 타이어를 인프레이트 하여, 공냉하지만 인프레이트에 의한 타이어내 코우드의 스트레치에 의해서 공냉중에 타이어의 변형이 생기기 때문에, P.C.I.에 정확히 타이어를 고정하는 것이, 타이어 품질의 개선에 유익한 것은 널리 안려져 있는 것이다.
② 타이어가 직접 반송되기 때문에 반송시간이 종래보다 짧고, 반송중의 타이어 냉각에 의한 변형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동시에 가황기 싸이클 시간의 단축에 연결되는 것이다.
③ 승강이 2개의 가이드(135)에 행하여지기 때문에 언로우더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또한 좌우 한쌍의 언로우더에서 동 가이드 및 승강기구를 겸용하기 때문에, 장치를 간소화할 수 있다.
④ 언로우더의 요동은, 가황기 중심, 대기위치, P.C.I. 주심의 3위치를 제어할 필요가 있고, 특허 가황기중심, P.C.I.중심에서는 고정밀도가 요구되나 본 발명과 같이, 2개의 액압실린더로 3개 위치간을 요동시키므로서 각 실린더의 스트로우크단(또는, 스트토우크단 부근에서의 메타니칼스토퍼)로, 각 위치 결정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간소하고 또한 확실한 동작이 실현된다.
⑤ P.C.I. 의 로울러 콘베이어 경사가능하게 하므로서 P.C.I. 에서의 타이어 반출입이 언로우더와 간섭하는 일없이,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예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예를들면, ① 프레스의 형식은, 본 실시예만이 아니라, 종래부터 다수 사용되고 있는 메카니칼크랭크식 프레스를 이용해도 된다. ② 언로우더 요동 외에, 수평 혹은, 일부 경사작동으로 변경하는 것도 공지기술에 의해 용이하다. ③ 척클릭(131c)(131d)의 수(數), 개폐방식에 대하여서는, 예를들면 이제까지 다수 제안되고 있는 생타이어의 가황기에의 로우딩장치와 같은 것이라도 되며, 또한 정밀도 항상을 위해서, 타이어 비이드 내부와 움직일 수 있게 고정되어 있는 링과, 반경방향에 확축자재(擴縮自在)한 복수의 클릭 및 동 선단에 타이어 비이트 형상에 대체로 합치하는 만곡부 및 그 선단의 경상부를 함께 갖는 형식으로도 된다. ④ 본 언로우더를 보강하므로서 비어드 리프트(110)를 사용하지 않고 타이어의 하부금형(109)으로부터의 벗겨내기도 동시에 본 형식의 언로우더로 실시가 가능하다. ⑤본 실시예의 승강가이드 구동방식 외에 한쌍의 언로우더를 각각 개별적으로 승강가이드로 구동할 수도 있다. ⑥ P.C.I. 의 형식도,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116)의 아래쪽에서 타이어의 반출입을 행하고 있으나, P.C.I.높이 등을 변경하므로서 상부에서도 가능하다. ⑦ 타이어가 가황기 상부금형에 지지되어, 금형이 벌리는 형식의 가황기에 있어서는, 본 언로우더를 상하 반대로 하여, 상부금형에서 벗겨진 타이어를 밀에서 파지하여 P.C.I. 에 이송하고 추가 기구에 의해 언로우더를 역회전시켜서 본 실시예와 같이 P.C.I. 에 타이어를 설치하거나, 혹은 역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상부 P.C.I. 링에 타이어를 고정하게 한 다음, 추가 설치한 타이어 파지장치로 타이어를 지지해두고, 하부 P.C.I. 링을 결합시켜도 된다.

Claims (16)

  1. 가황기본체(1)에 연결된 상하방향에 뻗은 한쌍의 안내로드(6), 동 안내로드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공통플레이트(11), 동 공통플레이트와 일체화 되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안내로드의 중심에 요동 가능한 한쌍의 부음(15)과, 동 부음의 일단에 착설된 확축 가능한 파지클릭을 가진 타이어 파지수단 및 상기 부음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로우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플레이트(11)에 대하여, 상기 부음(15)이 회전자재에 연결되어서 일체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로우더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플레이트(11)와 상기 부음(15)과의 사이에 연결된 유체압력 실린더에 의해 부음을 요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로우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플레이트(1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이 공통플레이트와 가황기본체(1)와의 사이에 연결된 유체압력 실린더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로우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음(15)의 요동범위를 규제하는 수단이 부음을 요동시키는 유체압력 실린더의 스트로우크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더우더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음(15)의 요동범위를 규제하는 수단이 부음을 요동시키는 유체압력 실린더의 스트로우크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더우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드(6)가 가황기본체(1)의 앞면측에 착설되고, 상기 부음(15)이 가황기의 앞쪽 위치에 설치된 타이어 재치대(30)와 가황과의 금형중심과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드(6)가 가황기본체(1)의 후면측에서 타이어 가황기와 포스트큐어 인프레이트(P. C. I.)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부음(15)이 가황기의 금형중심과 포스터큐어 인프레이트의 링 중심과의 사이를 요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기의 언로우더장치.
  9. 고정브래킷(3)에 설치되고, 로드가 상하방향으로 신축하는 유체압력 실린더, 상기 고정브래킷에 입설된 한쌍의 안내로드(6), 단부가 상기 안내로드에 움직일 수 있게 고정되고 상기 유체압력 실린더의 로드단과 연결되어 상하방향에 이동가능한 공통플레이트(11), 상기 각각의 안내로드에 단부가 움직일 수 있게 고정되고, 타단부가 확축 가능한 파지클릭을 가진 파지수단이 설치된 한쌍의 부음(15), 단부가 상기 공통플레이트와 상기 각각의 부음 도중에 연결되어서 상기 각각의 부음을 상기 안내로드를 중심으로 요동시키는 한쌍의 제2유체압력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공통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에 스토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음의 도중에 형성된 스토퍼(25)의 구멍에 삽입해서 상기 부음의 요동에 수반하여 상기 스토퍼의 구멍내를 접동하는 한쌍의 스토퍼봉(24)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이 타이어 비이드 치수에 적합하는 링(31)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퍼봉(24)의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부재가 스트로우크의 미조정을 행할 수 있는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장치.
  12. 타이어 가황기와 포스트큐어 인트레이트(P. C. I.)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이어 가황기의 본체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에 뻗은 회전축(116), 동회전축의 일단부가 결합하고 유체압력 실린더로 상기 타이어 가황기의 금형중심 위치에서 포스트큐어 인프레이트(P. C. I.)의 포스트큐어 인트레이트 링 중심위치까지 요동하고, 또한 상기 회전축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는 부음(127), 동 부음의 타단에 착설되어서 또한 가황이 끝난 타이어(112)의 비이드부를 파지하는 확축 가능한 파지클릭을 구비한 파지수단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기의 언로우더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16), 부음(127) 및 파지수단을 좌우 한쌍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기의 언로우더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부음(127)이 공통플레이트(146) 상에 착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기의 언로우더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46)를 한개의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시키므로서 좌우 한쌍의 부음(127)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기의 언로우더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음(127)의 금형중심 위치까지의 이동과 포스트큐어 인프레이트(P. C. I.) 중심까지의 이동을 각각 다른 유체압력 실린더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타이어 가황기의 언로우더장치.
KR1019830003206A 1982-07-14 1983-07-14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로우더장치 KR860001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2607 1982-07-14
JP12260782A JPS5912829A (ja) 1982-07-14 1982-07-14 タイヤ加硫機のロ−ダ装置
JP12330182A JPS5914933A (ja) 1982-07-15 1982-07-15 タイヤ加硫機のアンロ−ダ
JP123301 1982-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395A KR840005395A (ko) 1984-11-12
KR860001355B1 true KR860001355B1 (ko) 1986-09-16

Family

ID=2645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206A KR860001355B1 (ko) 1982-07-14 1983-07-14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로우더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449903A (ko)
KR (1) KR860001355B1 (ko)
DE (1) DE3325693C2 (ko)
GB (1) GB21261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032A (ja) * 1982-07-06 1984-01-14 Mitsubishi Heavy Ind Ltd 生タイヤの供給装置
EP0099507B1 (en) * 1982-07-23 1989-12-27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green tires
JPS6161812A (ja) * 1984-09-04 1986-03-29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機のアンロ−ダ
DE3443947C2 (de) * 1984-12-01 1996-02-22 Krupp Ag Hoesch Krupp Beschickungssystem
DE3918209C2 (de) * 1989-06-03 1998-07-16 Krupp Ag Hoesch Krupp Vorrichtung zum Beschicken einer Reifenheizpresse
JPH0735053B2 (ja) * 1991-09-11 1995-04-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機のリム間隔調整装置
JPH05131463A (ja) * 1991-11-13 1993-05-28 Kobe Steel Ltd ポストキユアインフレータ上下リム及び上下リム交換装置
KR0127103B1 (ko) * 1993-04-30 1998-04-02 윤양중 타이어 가황기의 언로우더 장치
DE102005053296B4 (de) 2005-11-08 2009-08-13 Kuka Innote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ierten Stapeln von Reifen auf einem Träger
DE102007026956A1 (de) 2007-06-12 2008-12-18 Kuka Innotec Gmbh Verfahren und System zum Roboter geführten Depalettieren von Reifen
EP2708351B1 (en) * 2012-09-13 2018-02-2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loader, green tire preformer and tire loader system and methods for loading a green tire onto a tire press and for bringing the bead areas of a tire into alignment
US8807976B1 (en) 2012-09-13 2014-08-1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ead area rotation apparatus
CN106739049B (zh) * 2016-12-30 2023-04-11 中策橡胶(天津)有限公司 一种轮胎硫化机机械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6874A (en) * 1919-12-30 macbeth and e
US1407193A (en) * 1920-05-14 1922-02-21 August P Diescher Manufacture of rubber tires, etc.
US1931638A (en) * 1929-01-12 1933-10-24 Morgan And Wright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ires
GB899926A (en) * 1959-01-22 1962-06-27 Cleveland Trust Co Tire curing press and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therefor
US3380115A (en) * 1966-01-28 1968-04-30 Mcneil Corp Universal tire press loader
DE1579278A1 (de) * 1966-10-27 1970-07-30 Herbert Maschf L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rgeformter Reifen in eine Reifenvulkanisierpresse
US3564649A (en) * 1969-01-21 1971-02-23 Mcneil Corp Tire press loader and unloader
AT296799B (de) * 1969-07-17 1972-02-25 Bruno Edler Verfahren zur Runderneuerung eines Fahrzeugreifen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S5947981B2 (ja) * 1980-06-14 1984-11-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への未加硫タイヤ装入方法並びに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325693C2 (de) 1985-08-08
GB2126153B (en) 1986-04-23
US4449903A (en) 1984-05-22
GB2126153A (en) 1984-03-21
DE3325693A1 (de) 1984-01-26
KR840005395A (ko) 1984-11-12
GB8318881D0 (en) 198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355B1 (ko) 타이어 가황기의 로우더 또는 언로우더장치
GB1207881A (en) Tire curing apparatus and methods of vulcanising tires
US3936251A (en) Press notably for vulcanizing tires
US4105486A (en) Tire component transfer
CN105563512B (zh) 一种硫化机及其装胎机械手
KR840001705B1 (ko) 타이어 가류기(加硫機)에의 미가류타이어 적재장치
KR950012844B1 (ko) 후경화(post-cure) 타이어 인플레이터의 상부 및 하부림과 상부 및 하부림의 대체장치
SU537618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грузки заготовок покрышек в вулканизационный пресс
US3343208A (en) Device for removing a pneumatic tire from the curing unit and for postinflating and discharging it
KR910005129B1 (ko) 타이어수리장치
KR860000662B1 (ko) 로우더 장치
KR100301943B1 (ko) 타이어 가황기
EP16426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ulcanizing tire
JP3272595B2 (ja) タイヤ加硫用ローダ
US4834636A (en) Tire centering and removal device for a tire vulcanizing press
JP3569170B2 (ja)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JP2799256B2 (ja)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及びそれへの搬入装置
CN86100360A (zh) 装配于硫化压机中用来对拟取下之轮胎进行定心的装置
EP0173843B1 (en) Unloader for a tire curing machine
JPH0367006B2 (ko)
KR101414263B1 (ko) 그린타이어 형상 유지 장치
JPH02155614A (ja) 加硫機へのタイヤ装着方法及びタイヤ装着装置
CN220661794U (zh) 一种斜交胎机械式硫化机轮胎两工位后充气装置
JP2000202833A (ja) タイヤ搬出入装置
JPH06246747A (ja) タイヤ加硫機のアンロ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