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112B1 - 다목적 카메라 - Google Patents

다목적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112B1
KR860000112B1 KR1019840003598A KR840003598A KR860000112B1 KR 860000112 B1 KR860000112 B1 KR 860000112B1 KR 1019840003598 A KR1019840003598 A KR 1019840003598A KR 840003598 A KR840003598 A KR 840003598A KR 860000112 B1 KR860000112 B1 KR 860000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amera
single lens
lens reflex
viewf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577A (ko
Inventor
박세창
Original Assignee
박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창 filed Critical 박세창
Priority to KR1019840003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112B1/ko
Priority to US06/664,973 priority patent/US4624541A/en
Priority to JP60013389A priority patent/JPS619635A/ja
Priority to SE8500893A priority patent/SE8500893L/
Priority to DE19853506292 priority patent/DE3506292A1/de
Publication of KR86000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03B17/20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visible in viewfind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12Reflex cameras with single objective and a movable reflector or a partly-transmitting mirr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 Viewfinder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목적 카메라
제1도는 본 발명의 기어시스템을 표시한 배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측면도.
제3도는 제6도의 a-a선 절개사시도.
제4(a)도, 제4(b)도는 본 발명 6X초 점뷰파인더의 조절전후 상태의 정면도.
제5(a)도, 제5(b)도는 본 발명 AE뷰판인더의 조절한후 상태의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렌즈크기 및 필름과 초점거리 관계를 설명한 원리도.
제8도는 본 발명의 2초 점거리를 표시한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의 필름백의 평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필름백의 평면도.
제11도는 제12도의 기어시스템 발췌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기어시스템 구체화한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폴라로이드필름백의 정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폴라로이드필름백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레라기본몸체 13 : 다이알
21 : 하우징 23 : 프랜
25 : 해드피스 26 : 뷰파인더
27 : 리리스너브 28 : 푸쉬버튼
30 : 렌즈초점다이알 31 : 렌즈쉬프트너브
32 : 렌즈구경링 35 : 모우터드라이브셔터
36 : 패널멤버 37 : 힌지핀
38 : 버튼 39 : 필름쳄버
40 : 하우징도어 41 : 슬라이드녹
43, 44 : 로울로 45 : 아로운드로울러
46, 47, 48 : 중간기어 50 : 온토로울러
52 : 하우징도어 53 : 힌지핀
54 : 는슬라이드녹 55 : 푸쉬버튼
본 발명은 35mm 싱글렌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 lense reflex camera)로서, 아주 정교하고 고성능의 중형카메라(Middle Format Camera)의 기능을 가진 다목적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저렴한 35mm 싱글렌즈 리플렉스 카메라를 개조변형하여 중형카메라의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양 기능을 갖게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35mm 카메라가 폴라로이드 카메라의 기능도 갖도록 변형된 것이다.
종래의 카메라를 대별하면 소형인 35mm 카메라, 중형 카메라 및 대형 카메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종류마다 제각기 여러 장 단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너무 소형이기 때문에 소형의 원판이 사용됨으로서 색상을 포함한 사진의 질, 영상의 선면도,. 조절기능등이 중형카메라 만큼 좋지 않은 것이 결점이다.
바꾸어 말하면, 중형 카메라는 많은 조절기능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색상과 선명한 영상의 사진을 찍을 수 있으며 더구나 여러 상황하에서 여러가지의 사진을 사진사의 등력에 따라서 찍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중형 카메라는 너무 비싸며 크기 때문에 휴대하기 곤란한 단점을 지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세월이 지남에 따라 소형과 중형의 양 기능을 겸한 카메라가 요청되었다. 즉, 카메라가 소형이며 간결하고 쉽게 작동할 수 있으며 휴대하기 편리하면서도 마치 중화과 대형의 카메라의 같이 선명하며 색상이 피사체와 같고 질이 좋은 사진을 제작해 낼 수 있는 카메라가 요구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카메라의 결점을 시정하고 소형이면서도 중형 및 대형 카메라의 기능을 가진 카메라를 발명함을 목적으로 하여 완성하였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변형된 35mm 싱글렌즈리플렉스 카메라로서(이하 "35mm SLR 카메라"라고 칭함) 35mm SLR카메라 차체기능과 중형 카메라 또는 플라로이드 카메라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갖게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형된 35mm SLR 카메라로서 저렴하고 소형이며 간편하므로 쉽게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 카메라로 찍은 사진과 같이 색상의 선명, 피사체의 동일한 색깔의 영상등의 사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도 다른 목적들은 다음에 기술되는 구체적인 본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것들이다. 이것들은 본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이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까지를 포함시킨 것이다.
본 발명을 간단히 표시하면 35mm SLR 카메라에 옵티칼시스템(optical system)조절할 수 있는 뷰파인더(View Finder), 기어시스템으로서 부착한 필름백(Film Back) 및 폴라로이드(Polaroid)필름백을 변경 개량하여 조합시킨 것으로 소형카메라의 제기능을 다할 뿐만 아니라 중형 카메라 또는 폴라로이드 카메라의 장점을 가지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 효과를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5mm SLR 카메라는 카메라기본몸체(10)의 우측에 셔터스피드 세렉터(11) 및 필름애드밴스레버(12)를 한자리에 두었고, 또한 셔티스피드세렉터(11)의 여러가지 셔터스피드를 나타내는 다이알(13)을 두었다(도면 제6도).
카메라 기본몸체(10) 좌측에는 ASA필름 스피드인디케이터(15)와 필름을 카메라에서 인출하기 위하여 필름을 감는 레버(14)가 있다. 그리고 기본몸체(10)내부의 필름 애드밴스 샤프트(17)에 필름스프로켓(16)을 두되 필름애드밴스레버(12)를 작동함에 따라 필름을 앞으로 전진시키기 위하여 필름의 양측 가장자리 구멍에 맞게 사슬톱니모양으로 만들어 졌다. 사진을 촬영함으로써 촬영된 필름이 필름로터리기어(19)에 의하여 필름스토레이지샤프트(18)에 감기게 된다.
도면 제2도는 단지 제1도의 측면도만을 표시한 것이고 도면 제3도 및 제4도는 제1도의 35mm SLR 카메라가 어떻게 변형 개조되어 본 발명을 이루었는가를 나타낸 것이다. 기본적으로 2가지 중요부분이 변형개조되었는데 그 한가지는 필름플레인이 35 mm 이외에 120mm 나 220mm 크기의 필름에 맞게 개조되었고 다른 한가지는 필름플레인의 재배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뷰판이더를 착설한 것이다.
도면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21)내에 35mm 필름에 적용되는 필름에 적용되는 필름프랜(22)과 120mm나 22mm필름에 적용되는 피름프랜(23)이 설치되었다. 왜냐하면 미러(24)중심으로부터 필름프랜(22)과 120mm나 22mm필름에 적용되는 필름프랜(23)이 설치되었다. 왜냐하면 미러(24)중심으로부터 필름프랜(23)까지의 거리가 고 미러(24)중심으로부터 초점스크린의 거리와 같아야 하기 대문이며 초점 스크린은 필름프랜의 변형에 의하여 생성되는 새초점거리에 맞게 조정해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카메라에는 붙어있지 않은 해드피스(25)가 도면 제4a도, 제4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초점스크린(뷰파인더)으로 대치되었다. 즉 제4a도에서 예를들면 뷰파인더(26)를 해드피스(25)에 부착시키는 것이다. 이 뷰파인더는 릴리스너브(27)로 카메라에 착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뷰파인더는 도면 제5a도, 제5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AE파인더외에 종래의 6X 초점뷰파인더(제4도), 로티리뷰파인더, 프리즘파인더, 웨이스트레벨파인더를 부착할 수 있되 종래의 것과 다르게 1.25인치(30mm) 늘이고 줄일 수 있게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이다. 이 뷰파인더를 120mm나 220mm필름이 적용될 수 있는 필름프랜(23)에 맞게 하기 위하여 푸쉬버튼(28)을 눌러서 30mm 길게하는 것이다.
다시 도면 제4a도에서 설명하면 뷰파인더의 1.25인치 길어진 것 즉, 초점 거리가 30mm 길어짐으로서 35mm 필름프랜에 해당하는 약 40mm의 초점거리를 120mm나 220mm 필름프랜에 해당하는 초점거리 약 70mm에 맞추어지는 것이다.
도면 제4b도는 단지 제4a도의 뷰파인더의 뒷면을 표시한 것으로 120mm 또는 220mm 필름을 찍을 수 있게 길게한 것이다. 도면 제5a도, 제5b도는 AE파인더로서 도면 제4(a)도, 제4(b)도의 6X 초점뷰파인더에 비하여 아이피스(29)를 두어 각을 지게한 것이다.
도면 제6도는 제4도 및 제5도에서 표시한 뷰파인더(26)와 제3도에 표시한 하우징(21)을 장설한 본 발명의 변형개조된 35mm SLR 카메라의 정면도이다. 또한 제6도는 옵티칼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카메라상위의 렌즈주위에 위치한 렌즈초점다이알(30), 초점 거리를 변경시키는 렌즈쉬프트너브(31), 렌즈(32) 및 렌즈구경링(33)을 표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면 제6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기본몸체 우측의자동 피름와인더(34)는 모우터 드라이브셔터(35)르 제공하고, 매초 6후레임의 속도로 작동하여 싱글 후레임으로 작동되고 기존 중형카메라 보다 훨씬 고속으로 되어 있다.
이 모우터드라이브셔터(35)는 더 우측으로 바싹 당겨져 위치하여쓰므로 손잡이를 쥐었을때 인지가 곧닿을 수 있게 하였다. 그러므로 손가락을 구부려야 하는 단점을 제거한 것이다. 도면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필름프랜(22)은 렌즈시스템으로부터 약 43mm의 초점거리에 위치하고 있고 120mm 나 220mm필름에 적용되는 필름프랜(23)은 렌즈시스템으로부터 약 70mm의 초점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필름프랜의 위치는 다음과 같은 계산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도면 제7도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35mm SLR 카메라의 작은 원의 초점과 중형카메라의 작은 원의 초점과 중형카메라의 작은 원의 초점과 중형카메라의 초점이 같이 만나고 있기 때문에 한 렌즈로서 소형과 중형카메라의 기능을 겸할 수 있게한 것이다.
또한 35mm SLR 카메라의 작은 원의 직사각형의 가로와 세로가 24mm, 36mm 이므로 다음 꼐산과 같이 필름프랜(22)이 약 43mm의 초점거리에 위치하는 것이다.
Figure kpo00001
그리고 중형 카메라의 가로와 세로가 41.5mm, 56mm이므로 다음 계산과 같이 필름프랜(23)이 약 70mm의 초점거리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Figure kpo00002
상기의 계산과 같이 본 발명의 뷰파인더는 카메라가 35mm 카메라로서 작동할 때는 초점거리를 43mm 로 조절해 주어야 하고 120mm 나 220mm 필름에 맞는 중형카메라로서 작동할 때는 70mm로 조절해 주어야 한다.
본 발명의 조절될 수 있는 뷰파인더(26)는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6X 초점뷰파인더나 AE파인더 이외에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뷰파인더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면 제8도 35mm 카메라를 중형카메라로 변형시킬때 실제의 필름크기를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즉 35mm 필름의 실제적인 크기에 해당하는 거리는 23mm이고 120mm나 22mm 필름에 해당하는 실제적인 거리는 55mm이므로 도면 제8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35mm는 120mm나 220로 변형할때는 약 30mm의 조절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뷰파인더의 조절 길이이며 이는 미러의 중심에서 초점스크린의 거리가 언제든지 미러의 중심에서 필름후레임에 위치한 필름면의 거리와 같아야 된다는 원리에 입각한 것임을 알아두어야 한다. 도면 제9도 및 제10도는 35mmSLR 카메라에 하우징(21)의 필름백을 어떻게 착설하여 120mm나 220mm필름에 맞게 필름프랜을 바꾸고 중형 카메라로 변형시킬 수 있는 가에 대한 것을 표시한 것이다.
35mm 카메라의 백파넬이나 도어를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제거하고 파넬을 착탈할 수 있게 스프링바이어 힌지핀(37)과 버튼(38)으로 파넬멤버(36)를 착설하였다. 필름백의 하우징(21)은 필름 쳄버를 가지고 있고 슬라이드녹(41)을 작동하여 개폐할 수 있는 하우징도어(40)가 있다.
또한 필름쳄버(39)는 필름로타리기어(42)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필름릴(49)에 감겨진 새 필름을 로울러(43)(44)를 지나 필름프랜(23)을 통과하여 아로운드로울러(45)를 거쳐 온로로울러(50)에 이르게하여 앞으로 전진하게 한다. 하우징(21)내의 필름백내에서 필름이 감기게 하기 위하여 필름로타리기어(42)는 중간기어(46)(47)(48) 및 필름애드밴스샤프트(17)에 있는 기본기어(20)를 거쳐서 필름애드밴스레버(12)에 연결되어 있다.
도면 제11도 및 제12도에서 상세히 도시된 대로 필름애드밴스레버(12)를 작동하여 필름애드밴스샤프트(17)상의 기본기어(20)가 작동되어 중간기어들을 움직여서 하우징(21)에 필름백안의 필름로타리기어(42)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도면 제13도 및 제14도는 35mm 카메라가 어떻게 풀라로이스카메라의 기능을 겸할수 있는가에 대하여 변형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35mm 카메라의 배면을 제거하고 폴라로이드백을 부착시킨 것이다.도면 제13도에서 표시된 대로 필름쳄버(51)는 하우징도어(52)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하우징을 힌지핀(53)과 슬라이드녹(54)으로서 부착시킨 것이다. 카메라의 배후에 폴라로이드를 부착시킨 다음에 하우징도어(52)는 푸쉬버튼(55)을 누름으로써 힌지핀(53)을 풀어주어 필름쳄범(51)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다시 필름 쳄버는 도면 제9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35mm 카메라의 배후에 통상의 기술에 의 하여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플로라이드필름을 카메라의 배후에 부착시켰기 때문엥 필름프랜과 초점거리가 자동적으로 변화되어 뷰파인더(26)를 초점거리에 맞게 조절함이 절대로 필요한 것이다. 통상적인 폴라이드 펙케이지를 사용할 때 새로 이루어지는 필름프랜에 알맞는 초점거리에 상승하게 뷰파인더를 약 20mm 길게하면 본 발명에 합당한 것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이 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가 유도할 수 있는 여러가지 변형과 모방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안에 속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12)

  1. 중형카메라 및 보다 고도한 카메라기능을 가진 싱글렌즈 리플렉스카메라에 있어서, 필름애드밴스레버(12)를 작동시킴으로서 필름이 전진할 수 있게 연결된 필름그프로켓(16)을 가진 필름애드밴스샤프트(17), 필름스토레이지샤프트(18) 및 필름애드밴스레버(12)를 가진 기본 카메라몸체(10)반사미러가 있는 렌즈시스템, 싱글렌즈리플렉스 카메라의 뒷쪽에 착설한 하우징(21)의 필름 백이 그 자체의 필름프랜(22) 120mm나 220mm 필름이 적용될 수 있는 필름프랜(23)으로 변형시킬 수 있게한 필름백, 필름애드밴스레버(12)를 작동함으로서 변형된 필름프랜(23)까지 필름을 작동시켜 필름백내의 필름애드밴스시스템과 필름애드밴스샤프트(17)를 잘 연결시킨 시킨 기어시스템, 그리고 싱글렌즈 리플렉스카메라의 필름프랜(22)과 중형카메라의 필름프랜(23)이 겸용될 수 있게 즉 미터의 중심으로부터 원하는 필름프랜의 거리와 미러의 중심으로부터 초점스크린의 거리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이써게한 조절뷰파인더(26)가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초점거리와 미러의 거리가 변화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뷰파인더(26)가 있는 싱글렌즈리플렉스 다목적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초점거리조절길이가 약 30mm까지인 조절뷰파인더(26)를 가진 싱글렌즈리플렉스 다목적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몸체(10)에서 착탈할 수 있는 뷰파인더(26)을 가진 싱글렌즈리플렉스 다목적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기본기어(20)가 필름백의 기어시스템과 연결된 필름 애드밴스샤프트(17)가 있는 싱글렌즈리플렉스 다목적 카메라.
  6. 제1항에 있어서, 로얼러에 의하여 필름의 필름프랜(23)을 통과할 수 있게한 필름저장의 하우징(21)의 필름백이 있는 필름애드밴스시스템을 가진 싱글렌즈리플렉스 다목적 카메라.
  7.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21)의 필름백이 43mm-70mm의 초점거리를 변형시킬 수 있는 필름백이 있는 싱글렌즈리플렉스 다목적 카메라.
  8. 제1항에 있어서, 초점다이알(30)이 카메라의 정면에 위치한 싱글렌즈 리플렉스 다목적 카메라.
  9. 제1항에 있어서, 렌즈주위에 위치한 초점다이알(30)을 가진 싱글렌즈리플렉스 다목적 카메라.
  10. 제1항에 있어서, 필름자동와인딩장치 부위에 모터드라이브셔터(35)가 있어 인지를 구부림없이 쓸수 있게한 싱글렌즈리플렉스 다목적 카메라.
  11. 폴라로이드카메라 기능을 가진 싱글렌즈리플렉스카메라에 있어서 기본 카메라 몸체(10), 리플렉스미러를 가진 렌즈시스템, 기본 카메라 몸체 뒤쪽에 장착하여 싱글렌즈리플렉스 카메라의 필름프랜(22)을 폴라로이드 필름프랜으로 변경시키는 카메라본체 후면에 연결되도록 한 폴라로이드 필름객이 있는 싱글렌즈리플랙스 카메라의 폴라로이드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게 즉 미러의 중심으로부터 원하는 필름프랜의 거리와 미러의 중심으로부터 초점으로부터 초점스크린의 거리가 동일하게 조절될 수 있게한 조절뷰파인더(26)를 가진 다목적 카메라.
  12. 제11항에 있어서 폴라로이드필름백과 알맞게 약 20mm 조절할 수 있는 조절뷰파인더(26)를 가진 싱클렌즈 리플렉스 다목적 카메라.
KR1019840003598A 1984-06-23 1984-06-23 다목적 카메라 KR860000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3598A KR860000112B1 (ko) 1984-06-23 1984-06-23 다목적 카메라
US06/664,973 US4624541A (en) 1984-06-23 1984-10-26 Multiple function camera
JP60013389A JPS619635A (ja) 1984-06-23 1985-01-25 一眼レフカメラ
SE8500893A SE8500893L (sv) 1984-06-23 1985-02-22 Flerfunktionskamera
DE19853506292 DE3506292A1 (de) 1984-06-23 1985-02-22 Mehrfunktionsk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3598A KR860000112B1 (ko) 1984-06-23 1984-06-23 다목적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577A KR860000577A (ko) 1986-01-29
KR860000112B1 true KR860000112B1 (ko) 1986-02-19

Family

ID=1923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598A KR860000112B1 (ko) 1984-06-23 1984-06-23 다목적 카메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24541A (ko)
JP (1) JPS619635A (ko)
KR (1) KR860000112B1 (ko)
DE (1) DE3506292A1 (ko)
SE (1) SE8500893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0243A (ja) * 1988-05-30 1989-12-04 Kyocera Corp カメラ
DE19534231C2 (de) * 1995-09-15 1998-04-16 Rollei Fototechnic Gmbh Kamerasystem
AU5595000A (en) * 1999-06-04 2000-12-28 Douglas Schwartz Compact medium format bellows camera with interchangeable backs
KR100412485B1 (ko) * 2001-06-22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인출가능한 촬상장치용 뷰파인더 및 이를 구비한촬상장치
US8073322B1 (en) * 2010-08-05 2011-12-06 Evan Morris Cohen Simultaneous exposure of parallel rolls of film for existing film camera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8547A (en) * 1968-08-16 1972-02-01 Minolta Camera Kk Film winding apparatus in camera with interchangeable film back
JPS524926Y2 (ko) * 1971-12-20 1977-02-01
SE364372B (ko) * 1972-01-17 1974-02-18 Hasselblad
US3765313A (en) * 1972-07-03 1973-10-16 Berkey Photo Inc View finder
JPS5343523A (en) * 1976-10-01 1978-04-19 Canon Inc Finder construction for single lens reflex camera
JPS54115129A (en) * 1978-02-28 1979-09-07 Asahi Optical Co Ltd Camera capable of using both brony film and 70 mm film
US4199240A (en) * 1978-05-02 1980-04-22 Polaroid Corporation Film pack for small format film units
DE2840296A1 (de) * 1978-09-15 1980-04-03 Agfa Gevaert Ag Fotografische kamera
JPS6210750Y2 (ko) * 1980-10-30 1987-03-13
JPH0629935B2 (ja) * 1981-02-06 1994-04-20 旭光学工業株式会社 自動巻上カメラ
US4348086A (en) * 1981-10-30 1982-09-07 Martin Forscher Camera attachment for obtaining instantaneous contact prints
JPS58132225A (ja) * 1982-02-01 1983-08-06 Nippon Kogaku Kk <Nikon> 一眼レフカメラの交換フアインダ装置
CH658324A5 (de) * 1982-06-08 1986-10-31 Grass Markus Adapter fuer eine sofortbildkassette zur anordnung derselben an einer kleinbildkamera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506292A1 (de) 1986-01-02
JPS619635A (ja) 1986-01-17
KR860000577A (ko) 1986-01-29
SE8500893L (sv) 1985-12-24
US4624541A (en) 1986-11-25
SE8500893D0 (sv) 1985-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44909B2 (ja) 証明写真撮影装置
KR860000112B1 (ko) 다목적 카메라
US4101912A (en) Data recording device for camera
US6327440B1 (en) Camera
JP3164247B2 (ja) 証明写真撮影用カメラ
JPH0643521A (ja) カメラのパララックス補正装置
US3967290A (en) Miniature mirror reflex camera
JP3179918B2 (ja) 一眼レフカメラ
JPH0442136A (ja) 連写撮影モードを有するカメラ
JP2814597B2 (ja) フィルムサイズ切替え可能なカメラ
JPH0222632A (ja) カメラ
JPH04316030A (ja) パノラマ撮影機能付きカメラ
JPH06180469A (ja) ストロボ装置付きアスペクト比可変カメラ
JPS63298233A (ja) トリミング情報記録機能付きのカメラ
JPH07199048A (ja) 被写体の速度記録機能付カメラ
JPH01316726A (ja) カメラシステム
AT357041B (de) Projektionsgeraet
JPH0750737Y2 (ja) パノラマ2枚撮りカメラ
JP2667989B2 (ja) カメラシステム
JPH0377931A (ja) フィルムサイズ切替え可能なカメラ
JPS59191021A (ja) 接写機構組込み可変焦点カメラ
JPH0541974B2 (ko)
JPH06160972A (ja) カメラ
JPH02141736A (ja) カメラの表示装置
JPH0289039A (ja) カメラのミラ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2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