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219A - 특정용 공구 - Google Patents

특정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219A
KR20230145219A KR1020237033438A KR20237033438A KR20230145219A KR 20230145219 A KR20230145219 A KR 20230145219A KR 1020237033438 A KR1020237033438 A KR 1020237033438A KR 20237033438 A KR20237033438 A KR 20237033438A KR 20230145219 A KR20230145219 A KR 20230145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distance
chain
opposing portion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862B1 (ko
Inventor
츠토무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5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특정용 공구(30)는 판 부재(31)를 구비한다. 판 부재(31)는 대향부(33~36)를 구비한다. 대향부(34)는 대향부(33)와 대향한다. 대향부(34)는 대향부(33)와에 의해서 거리(L1)의 폭을 가지는 노치(41)를 형성한다. 대향부(36)는 대향부(35)와 대향한다. 대향부(36)는 대향부(35)와에 의해서 거리(L2)의 폭을 가지는 노치(42)를 형성한다.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특정용 공구
본 개시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기 위한 공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에스컬레이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에는 다양한 체인이 사용된다.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점검에 있어서 체인의 신장률이 측정된다. 측정된 신장률이 기준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체인의 교환이 필요하게 된다. 해당 기준값은 체인의 사이즈에 따라 정해지는 값이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0-241588호 공보
에스컬레이터의 보수원은, 상기 기준값을 결정하기 위해서, 점검시에 체인의 사이즈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은, 좁은 기계실의 후미진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 것도 있어, 그 확인 작업에 수고가 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개시의 목적은,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는 특정용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특정용 공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기 위한 공구이다. 해당 특정용 공구는 제1 판 부재를 구비한다. 제1 판 부재는 제1 대향부와, 제1 대향부와 대향하고, 제1 대향부와에 의해서 제1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1 노치를 형성하는 제2 대향부와, 제3 대향부와, 제3 대향부와 대향하고, 제3 대향부와에 의해서 제2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2 노치를 형성하는 제4 대향부를 구비한다. 제1 거리 및 제2 거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의 폭에 맞추어 설정된다.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작다.
본 개시에 따른 특정용 공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기 위한 공구이다. 해당 특정용 공구는 통 부재와, 통 부재의 제1 가장자리부에 마련된 제1 판 부재와, 제1 가장자리부에 마련되고, 제1 판 부재와의 사이에 제1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1 홈이 형성된 제2 판 부재와, 제1 가장자리부에 마련되고, 제1 판 부재와의 사이에 제2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2 홈이 형성된 제3 판 부재를 구비한다. 제1 거리 및 제2 거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의 폭에 맞추어 설정된다.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작다.
본 개시에 따른 특정용 공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도 1은 에스컬레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체인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체인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특정용 공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특정용 공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특정용 공구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특정용 공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를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특정용 공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특정용 공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특정용 공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행한다.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에스컬레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에스컬레이터는 트러스(1), 및 스텝(2)을 구비한다. 트러스(1)는 상하의 층에 걸쳐 놓여있다. 승객은 스텝(2)에 올라 탑승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하차구(3)로 이동한다. 즉, 도 1은 상향의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에스컬레이터는, 하향의 에스컬레이터여도 된다.
하차구(3)의 하방에, 기계실(4)이 마련된다. 기계실(4)은 트러스(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기계실(4)은 바닥판(5)에 의해서 막혀져 있다. 바닥판(5)은 하차구(3)의 바닥을 형성한다. 기계실(4)에, 전동기(6) 및 제어 장치(7)가 마련된다. 전동기(6)는 스프로킷(8)을 구동한다. 제어 장치(7)는 전동기(6)를 제어한다.
스프로킷(8)이 마련된 축(9)에, 스프로킷(10 및 11)이 마련된다. 스프로킷(10 및 11)은 스프로킷(8)과 함께 회전한다. 스프로킷(10)에, 스텝 체인(12)이 감겨 걸려져 있다. 스텝 체인(12)에 다수의 스텝 축(13)이 마련된다. 각 스텝 축(13)에 스텝(2)이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스텝 체인(12)에 다수의 스텝(2)이 연결된다. 스텝 체인(12)에 견인되는 것에 의해, 스텝(2)은 이동한다.
스프로킷(11)에, 핸드레일 체인(14)이 감겨 걸려져 있다. 핸드레일 체인(14)은 전동기(6)의 구동력을 구동 장치(15)에 전달한다. 구동 장치(15)는 이동 핸드레일(16)을 구동한다.
스텝 체인(12) 및 핸드레일 체인(14)은,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는 체인의 일례이다.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다른 체인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구동 장치(15)에, 이동 핸드레일(16)에 접촉하는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체인이 구비된다.
보수원은, 에스컬레이터의 점검에 있어서, 이들 체인의 신장률을 측정하고, 측정한 신장률을 기준값과 비교한다. 보수원은, 해당 기준값을 결정하기 위해서,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기 위한 공구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체인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체인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체인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체인은 내측 링크(20), 및 외측 링크(21)를 구비한다.
내측 링크(20)는 한 쌍의 내측 플레이트(22), 한 쌍의 부시(23), 및 한 쌍의 롤러(24)를 구비한다. 한 쌍의 내측 플레이트(22)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각 부시(23)는 한 쌍의 내측 플레이트(22)를 연결한다. 롤러(24)는 부시(23)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부시(23)는 롤러(24)를 관통한다. 롤러(24)는 한 쌍의 내측 플레이트(22) 사이에 배치된다.
외측 링크(21)는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25), 및 한 쌍의 핀(26)을 구비한다.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25)는, 내측 링크(20)를 사이에 끼워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각 핀(26)은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25)를 연결한다. 핀(26)은 부시(23)를 관통한다. 이것에 의해, 외측 링크(21)와 내측 링크(20)가 연결된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특정용 공구(30)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정용 공구(30)는 판 부재(31), 및 끈 모양 부재(32)를 구비한다. 일례로서, 판 부재(31)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판 부재(31)에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도 2 참조)에 따른 복수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노치를 형성하기 위한 대향부(33~40)가 판 부재(31)에 구비되어 있다. 대향부(33) 및 대향부(34)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33)와 대향부(34)에 의해서, 거리 L1의 폭을 가지는 노치(41)가 형성된다. 거리 L1은, 표기 「RS80」에 의해서 특정되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즉, 대향부(33) 및 대향부(34)는, RS8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그 사이에 꼭 들어맞도록 마련되어 있다.
대향부(35) 및 대향부(36)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35)와 대향부(36)에 의해서, 거리 L2의 폭을 가지는 노치(42)가 형성된다. 거리 L2는, 표기 「RS60」에 의해서 특정되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거리 L2는, 거리 L1보다 작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노치(42)는 노치(41)의 내측에서 개구된다.
대향부(37) 및 대향부(38)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37)와 대향부(38)에 의해서, 거리 L3의 폭을 가지는 노치(43)가 형성된다. 거리 L3는, 표기 「RS50」에 의해서 특정되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거리 L3는, 거리 L2보다 작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노치(43)는 노치(42)의 내측에서 개구된다.
대향부(39) 및 대향부(40)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39)와 대향부(40)에 의해서, 거리 L4의 폭을 가지는 노치(44)가 형성된다. 거리 L4는, 표기 「RS40」에 의해서 특정되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거리 L4는, 거리 L3보다 작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노치(44)는 노치(43)의 내측에서 개구된다.
또한, 판 부재(31)에 관통공(45)이 형성된다. 끈 모양 부재(32)는 관통공(45)을 이용하여 판 부재(31)에 연결된다.
도 4는 대향부(34)의 가장자리, 대향부(36)의 가장자리, 대향부(38)의 가장자리, 및 대향부(40)의 가장자리가 일직선 모양으로 배치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특정용 공구(3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대향부(34)의 가장자리, 대향부(36)의 가장자리, 대향부(38)의 가장자리, 및 대향부(40)의 가장자리는, 도 5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일직선 모양으로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
도 6은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수원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용 공구(30)를 체인에 갖다 댄다. 구체적으로, 보수원은 끈 모양 부재(32)를 손가락 혹은 손목에 건 상태에서 판 부재(31)를 유지한다. 그리고, 보수원은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에 대해서 판 부재(31)를 측방으로부터 맞댄다. 보수원은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노치를 찾아내는 것에 의해,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이면, 보수원은 사용되고 있는 체인이 RS60의 체인이라고 특정할 수 있다.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보수원은, 예를 들어 체인이 좁은 기계실(4)의 후미진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그 체인의 사이즈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용 공구(30)의 판 부재(31)에 4개의 노치(41~44)가 형성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은 일례이다. 판 부재(31)에 2개 혹은 3개의 노치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판 부재(31)에 5개 이상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7은 특정용 공구(3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를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는, 도 4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판 부재(31)에 대향부(33~40)가 구비된다. 또한, 판 부재(31)에 노치(41~44)가 형성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는, 노치(41~44)가 각각 독립해서 판 부재(31)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4에 나타내는 예와 상위하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노치(41) 및 노치(42)는, 옆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된다. 노치(41) 및 노치(42)는, 동일 방향으로 개구된다. 노치(43) 및 노치(44)는, 옆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된다. 노치(43) 및 노치(44)는, 동일 방향으로 개구된다. 노치(44)는 노치(41)가 개구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다. 노치(43)는 노치(42)가 개구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는, 끈 모양 부재(32)를 대신하여 폴딩부(46)를 구비하는 점에서 도 4에 나타내는 예와 상위하다. 폴딩부(46)는 판 부재(31)에 마련된다. 폴딩부(46)는 판 부재(31)와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보수원은 폴딩부(46)를 잡고 특정용 공구(30)를 체인에 갖다 댄다. 특정용 공구(30)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딩부(46)에 끈 모양 부재(32)가 연결되어도 된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는 경우, 보수원은 특정용 공구(30)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운 상태에서 체인에 갖다 대도 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예이면, 특정용 공구(30)를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에 갖다 댔을 때, 해당 외측 플레이트(25)에 인접하는 외측 플레이트(25)에 판 부재(31)가 간섭하지 않는다.
도 10은 특정용 공구(3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는, 특정용 공구(30)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의 (b)는, 특정용 공구(3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의 (c)는, 특정용 공구(3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는, 판 부재(31), 및 판 부재(47)를 구비한다.
일례로서, 판 부재(31) 및 판 부재(47)는, 각각, 일정 두께를 가지는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판 부재(47)는 판 부재(31)에 마련된다. 판 부재(47)는 판 부재(31)와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판 부재(31)와 판 부재(47)는, 전체적으로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 부재(31)는 서로 대향하는 대향부(33 및 34)와 서로 대향하는 대향부(39및 40)를 구비한다. 즉, 판 부재(31)에, 노치(41) 및 노치(44)가 형성된다. 노치(44)는 노치(41)가 개구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다.
판 부재(47)는 서로 대향하는 대향부(35 및 36)와 서로 대향하는 대향부(37및 38)를 구비한다. 즉, 판 부재(47)에, 노치(42) 및 노치(43)가 형성된다. 노치(43)는 노치(42)가 개구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는 경우, 보수원은 특정용 공구(30)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부재(47)를 세운 상태에서 체인에 갖다 대도 된다. 판 부재(47)는 판 부재(31)에 대해서 직각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용 공구(30)가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에 갖다 대어져도, 해당 외측 플레이트(25)에 인접하는 외측 플레이트(25)에 판 부재(31)는 간섭하지 않는다. 판 부재(31)를 체인에 갖다 대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 판 부재(47)는 판 부재(31)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마련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판 부재(31)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판 부재(47)는 노치(41) 및 노치(44)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 부재(47)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판 부재(31)는 노치(42) 및 노치(43)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특정용 공구(3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박스형의 특정용 공구(30)를 나타낸다. 도 12의 (a)는, 특정용 공구(30)의 정면도이다. 도 12의 (b)는, 특정용 공구(30)의 평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는, 통 부재(48), 및 판 부재(49~52)를 구비한다.
일례로서, 판 부재(49~52)는, 각각, 일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의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판 부재(49~52)는 통 부재(48)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에 마련된다. 판 부재(49~52)는 각각의 표면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판 부재(49~52)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도 2 참조)에 따른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홈을 형성하기 위한 대향부(53~60)가 판 부재(49~52)에 구비된다. 또한, 대향부(53~60)는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 대향부(33~40)가 가지는 기능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진다.
대향부(53) 및 대향부(54)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53)는 판 부재(49)에 구비된다. 대향부(54)는 판 부재(50)에 구비된다. 대향부(53)와 대향부(54)에 의해서, 거리 L1의 폭을 가지는 홈(61)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리 L1은, RS8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즉, 판 부재(49)와 판 부재(50)와의 사이에는, RS8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61)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부(55) 및 대향부(56)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55)는 판 부재(50)에 구비된다. 대향부(56)는 판 부재(51)에 구비된다. 대향부(55)와 대향부(56)에 의해서, 거리 L2의 폭을 가지는 홈(62)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리 L2는, RS6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즉, 판 부재(50)와 판 부재(51)와의 사이에는, RS6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6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홈(62)은 홈(61)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대향부(57) 및 대향부(58)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57)는 판 부재(51)에 구비된다. 대향부(58)는 판 부재(52)에 구비된다. 대향부(57)와 대향부(58)에 의해서, 거리 L3의 폭을 가지는 홈(63)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리 L3는, RS5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즉, 판 부재(51)와 판 부재(52)와의 사이에는, RS5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6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홈(63)은 홈(61)에 대해서 일직선 모양으로 되고, 또한 홈(62)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대향부(59) 및 대향부(60)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59)는 판 부재(52)에 구비된다. 대향부(60)는 판 부재(49)에 구비된다. 대향부(59)와 대향부(60)에 의해서, 거리 L4의 폭을 가지는 홈(64)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리 L4는, RS4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즉, 판 부재(52)와 판 부재(49)와의 사이에는, RS4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6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홈(64)은 홈(62)에 대해서 일직선 모양으로 되고, 또한 홈(61) 및 홈(63)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통 부재(48)에는, 유지할 때의 미끄럼 방지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관통공(65)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수원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용 공구(30)를 체인에 갖다 댄다. 구체적으로, 보수원은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에 대해서 통 부재(48)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측을 맞댄다. 보수원은,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을 찾아내는 것에 의해,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이면, 보수원은 사용되고 있는 체인이 RS60의 체인이라고 특정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특정용 공구(30)의 통 부재(48)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측에 4개의 홈(61~64)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다. 이것은 일례이다. 특정용 공구(30)에 2개 혹은 3개의 홈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특정용 공구(30)에 5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4는 특정용 공구(3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b)는, 특정용 공구(30)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4의 (a)는, 특정용 공구(3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4의 (c)는, 특정용 공구(30)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박스형의 특정용 공구(30)를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는, 도 12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홈(61~64)이 형성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통 부재(48)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측에 4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통 부재(48)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측에 2개의 홈이, 다른 일방의 가장자리부측에 2개의 홈이 형성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는, 통 부재(48)와, 판 부재(49, 50a, 50b, 51, 52a, 및 52b)를 구비한다.
일례로서, 판 부재(49, 50a, 50b, 51, 52a, 및 52b)는, 각각, 일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의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판 부재(49, 50a, 및 52a)는 통 부재(48)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에 마련된다. 판 부재(49, 50a, 및 52a)는 각각의 표면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판 부재(49, 50a, 및 52a)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도 2 참조)에 따른 2개의 홈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2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대향부(53, 54, 59, 및 60)가 판 부재(49, 50a, 및 52a)에 구비된다.
대향부(53) 및 대향부(54)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53)는 판 부재(49)에 구비된다. 대향부(54)는 판 부재(50a)에 구비된다. 대향부(53)와 대향부(54)에 의해서, 거리 L1의 폭을 가지는 홈(61)이 형성된다. 즉, 판 부재(49)와 판 부재(50a)와의 사이에는, RS8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61)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부(59) 및 대향부(60)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59)는 판 부재(52a)에 구비된다. 대향부(60)는 판 부재(49)에 구비된다. 대향부(59)와 대향부(60)에 의해서, 거리 L4의 폭을 가지는 홈(64)이 형성된다. 즉, 판 부재(52a)와 판 부재(49)와의 사이에는, RS4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6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홈(64)은 홈(61)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판 부재(50b, 51, 및 52b)는 통 부재(48)의 다른 일방의 가장자리부에 마련된다. 판 부재(50b, 51, 및 52b)는 각각의 표면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판 부재(50b, 51, 및 52b)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의 폭(W1)에 따른 2개의 홈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2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대향부(55~58)가 판 부재(50b, 51, 및 52b)에 구비된다.
대향부(55) 및 대향부(56)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55)는 판 부재(50b)에 구비된다. 대향부(56)는 판 부재(51)에 구비된다. 대향부(55)와 대향부(56)에 의해서, 거리 L2의 폭을 가지는 홈(62)이 형성된다. 즉, 판 부재(50b)와 판 부재(51)와의 사이에는, RS6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62)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부(57) 및 대향부(58)는 서로 대향한다. 대향부(57)는 판 부재(51)에 구비된다. 대향부(58)는 판 부재(52b)에 구비된다. 대향부(57)와 대향부(58)에 의해서, 거리 L3의 폭을 가지는 홈(63)이 형성된다. 즉, 판 부재(51)와 판 부재(52b)와의 사이에는, RS50의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6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홈(63)은 홈(62)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보수원은, 도 14에 나타내는 특정용 공구(30)를 이용하여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경우, 도 13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특정용 공구(30)를 체인에 갖다 댄다. 보수원은, 외측 플레이트(25)가 꼭 들어맞는 홈을 찾아내는 것에 의해,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할 수 있다.
특정용 공구(30)를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25)에 갖다 댈 때에 해당 외측 플레이트(25)에 인접하는 외측 플레이트(25)에 판 부재(52a)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판 부재(52a)는 대향부(53)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판 부재(50a)는 대향부(60)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판 부재(50b)는 대향부(57)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판 부재(52b)는 대향부(56)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개시에 따른 특정용 공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1 : 트러스 2 : 스텝
3 : 하차구 4 : 기계실
5 : 바닥판 6 : 전동기
7 : 제어 장치 8 : 스프로킷
9 : 축 10~11 : 스프로킷
12 : 스텝 체인 13 : 스텝 축
14 : 핸드레일 체인 15 : 구동 장치
16 : 이동 핸드레일 20 : 내측 링크
21 : 외측 링크 22 : 내측 플레이트
23 : 부시 24 : 롤러
25 : 외측 플레이트 26 : 핀
30 : 특정용 공구 31 : 판 부재
32 : 끈 모양 부재 33~40 : 대향부
41~44 : 노치 45 : 관통공
46 : 폴딩부 47 : 판 부재
48 : 통 부재 49~52 : 판 부재
50a~50b : 판 부재 52a~52b : 판 부재
53~60 : 대향부 61~64 : 홈
65 : 관통공

Claims (9)

  1.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용 공구로서,
    제1 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판 부재는,
    제1 대향부와,
    상기 제1 대향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1 대향부와에 의해서 제1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1 노치를 형성하는 제2 대향부와,
    제3 대향부와,
    상기 제3 대향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3 대향부와에 의해서 제2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2 노치를 형성하는 제4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의 폭에 맞추어 설정되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특정용 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치는 상기 제1 노치가 개구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는 특정용 공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치는 상기 제1 노치의 내측에서 개구되는 특정용 공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 부재에 마련된 제2 판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판 부재는,
    제5 대향부와,
    상기 제5 대향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5 대향부와에 의해서 제3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3 노치를 형성하는 제6 대향부와,
    제7 대향부와,
    상기 제7 대향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7 대향부와에 의해서 제4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4 노치를 형성하는 제8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거리 및 상기 제4 거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의 폭에 맞추어 설정되고,
    상기 제3 거리 및 상기 제4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작고,
    상기 제4 거리는 상기 제3 거리보다 작은 특정용 공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판 부재는 상기 제1 판 부재에 대해서 직각 또는 비스듬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판 부재는, 상기 제1 판 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1 노치 및 상기 제2 노치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판 부재는, 상기 제2 판 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3 노치 및 상기 제4 노치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특정용 공구.
  6.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인의 사이즈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용 공구로서,
    통 부재와,
    상기 통 부재의 제1 가장자리부에 마련된 제1 판 부재와,
    상기 제1 가장자리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판 부재와의 사이에 제1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1 홈이 형성된 제2 판 부재와,
    상기 제1 가장자리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판 부재와의 사이에 제2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2 홈이 형성된 제3 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의 폭에 맞추어 설정되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특정용 공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홈과 직교하도록 배치된 특정용 공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 부재의 제2 가장자리부에 마련된 제4 판 부재와,
    상기 제2 가장자리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4 판 부재와의 사이에 제3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3 홈이 형성된 제5 판 부재와,
    상기 제2 가장자리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4 판 부재와의 사이에 제4 거리의 폭을 가지는 제4 홈이 형성된 제6 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3 거리 및 상기 제4 거리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의 폭에 맞추어 설정되고,
    상기 제3 거리 및 상기 제4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작고,
    상기 제4 거리는 상기 제3 거리보다 작은 특정용 공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홈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4 홈은 상기 제3 홈과 직교하도록 배치된 특정용 공구.
KR1020237033438A 2021-06-01 2022-03-29 특정용 공구 KR102643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92391A JP7107409B1 (ja) 2021-06-01 2021-06-01 特定用工具
JPJP-P-2021-092391 2021-06-01
PCT/JP2022/015361 WO2022254924A1 (ja) 2021-06-01 2022-03-29 特定用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219A true KR20230145219A (ko) 2023-10-17
KR102643862B1 KR102643862B1 (ko) 2024-03-07

Family

ID=8260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438A KR102643862B1 (ko) 2021-06-01 2022-03-29 특정용 공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07409B1 (ko)
KR (1) KR102643862B1 (ko)
CN (1) CN117355476B (ko)
WO (1) WO20222549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89343B2 (ja) 2021-02-24 2024-05-23 Jfe建材株式会社 フラッシングのサイズ確認治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3474A (ja) * 2003-04-18 2004-11-2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ロープゲージ
JP2010241588A (ja) 2009-04-10 2010-10-2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乗客コンベアの手摺駆動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の異常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0305U (ko) * 1989-04-24 1990-11-22
JPH1151602A (ja) * 1997-08-01 1999-02-26 Honda Motor Co Ltd キーの寸法測定治具
JP2002087750A (ja) * 2000-09-07 2002-03-27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踏板チェーン伸び検出装置
US20050160611A1 (en) 2004-01-22 2005-07-28 Nave Gerald A. Wire gauging tool
JP6604615B2 (ja) * 2016-11-24 2019-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チェーン伸び検出装置、チェーン伸び検出方法および乗客コンベヤ
CN106629367B (zh) * 2016-12-05 2018-07-17 日立电梯(广州)自动扶梯有限公司 检测梯级链伸长的系统
JP7353731B2 (ja) 2018-03-14 2023-10-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収納テープ供給用テープフィーダの選定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判定治具
JP6801048B2 (ja) * 2019-06-10 2020-12-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CN211552658U (zh) * 2019-12-31 2020-09-22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简便的多规格扶梯驱动链条伸长率测量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3474A (ja) * 2003-04-18 2004-11-2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ロープゲージ
JP2010241588A (ja) 2009-04-10 2010-10-2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乗客コンベアの手摺駆動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の異常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862B1 (ko) 2024-03-07
CN117355476A (zh) 2024-01-05
JP7107409B1 (ja) 2022-07-27
JP2022184497A (ja) 2022-12-13
CN117355476B (zh) 2024-04-16
WO2022254924A1 (ja)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3862B1 (ko) 특정용 공구
WO2013190675A1 (ja) 乗客コンベア
JP6376791B2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おもり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US20150346111A1 (en) Backlight inspection equipment
ATE316508T1 (de) Stapelvorrichtung für plattenglieder, verfahren zum stapeln von plattengliedern und gestapelte plattenglieder
JP5474123B2 (ja) エスカレータ
WO2021084707A1 (ja) 乗客コンベアのチェーンの点検治具および点検方法
JP6152963B2 (ja) エレベータ、エレベータの追加連結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H0724335Y2 (ja) フリーフローコンベヤ
JP2008297056A (ja) 乗客コンベアの床板
JP6211216B2 (ja) エレベータ、エレベータの引上レバー連結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H07101654A (ja) エレベーターの戸の足
KR102012433B1 (ko) 승강장치용 방화도어장치
KR200269290Y1 (ko)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KR101647333B1 (ko) 롱피치형 롤러체인 어셈블리의 마모시험장치
JP2011148628A (ja) マンコンベアのステップ装置
JP6930651B1 (ja) 点検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
JP2018193190A (ja) 足場装置及び足場装置の設置方法
WO2023022071A1 (ja)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固定用ブラケット
JP5901409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径確認治具
KR102051603B1 (ko) 대형복합가공기의 엘리베이터 이송작동시스템
JP4042391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
JP6381852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Darji et al. Spouted Pouches Rail Stacking System
JP2017160035A (ja) エスカレータのラチェット隙間点検支援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