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133A - 첨가제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첨가제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133A
KR20230042133A KR1020237008662A KR20237008662A KR20230042133A KR 20230042133 A KR20230042133 A KR 20230042133A KR 1020237008662 A KR1020237008662 A KR 1020237008662A KR 20237008662 A KR20237008662 A KR 20237008662A KR 20230042133 A KR20230042133 A KR 20230042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olyester
group
anhydride
es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8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글러 바크만
라이너 린케
에카르트 세이델
미카엘 라이젠
레자 사르반디
Original Assignee
티.엔 짐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엔 짐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엔 짐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42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13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20Polyesters having been prepared in the presence of compounds having one reactive group or more than two reactiv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52Polycarboxylic acids or polyhydroxy compound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two components contains aliphatic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9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3/91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의 하이드록실 말단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 폴리에스테르는 적어도 하나의 디카복실산과 적어도 하나의 디하이드록시 알코올로부터 제조되고, 디카복실산 무수물 및/또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 적어도 하나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이 진행되는 동안 및/또는 진행된 후에 첨가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첨가제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PROCESS FOR PREPARING POLYESTERS BY USING AN ADDITIVE}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특정의 첨가제가 첨가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에서 이 첨가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선행 기술은 폴리에스테르,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PBAT),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PBS)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PBT)를 제조하기 위한 다수의 방법을 기술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디카복실산은 디올 화합물과 반응한다.
수득된 폴리에스테르는 종종 임의의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예를 들어 발색의 품질이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방법은 더 빠르게 진행되어야 하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의 양은 감소되어야 하며, 디올의 필요량도 또한 감소되어야 한다. 게다가 용융 상 중에서 더 적은 분해를 보이고 용융 상 중에서 더 우수한 조절 가능 구성(build-up)을 보이는 제품도 필요하다.
종래 기술, 예를 들어 W096/15173, EP 2 268 702, EP 2 628758, WO 2014/067954 및 CN 102443149에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들 방법에서는 디카복실산 무수물 및/또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디카복실산 무수물과, 궁극적으로는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기 위한 단량체로서 사용된다. 이들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이드록실 말단기 대 카복실 말단기의 비로 표현되는 대응 하이드록실 말단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첨가되는 첨가제로서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내재하는 기술적 문제점은, 발색 품질이 개선되고, 공정이 더 빠르게 진행되며,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의 양이 감소하고, 디올의 필요량이 감소하며, 용융 상 중에서의 더 적은 분해와 용융 상 중에서의 더 우수한 조절 가능 구성이 달성되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폴리에스테르의 하이드록실 말단기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의해 해결되는데,
여기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카복실산 및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하이드록시 알코올로부터 제조되고,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카복실산 무수물 및/또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카복실산 무수물로서 모노- 및/또는 디카복실산 무수물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의 하이드록실 말단기를 감소시키는 것" 이라는 용어는, 첨가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중 하이드록실 말단기 양이 첨가제 없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중 하이드록실 말단기 양에 비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하이드록실 말단기의 감소된 양은 카복실 말단기의 양, 예를 들어 하이드록실 말단기 및 카복실 말단기의 차이 또는 하이드록실 말단기 및 카복실 말단기의 비로서 표현되는, 카복실 말단기의 양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카복실산 무수물은 2개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모노-이소시아네이트는 2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카복실산 무수물은, 단량체로서 사용되는 디카복실산의 기본 탄화수소 구조와 비교되었을 때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본 탄화수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일 구현예에서, 카복실산 무수물은, 바람직하게 글루타르산 무수물, 아세트산 무수물 및 숙신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모노-이소시아네이트는 페닐-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첨가제는 최종 폴리에스테르를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0.0 중량%, 구체적으로 약 0.2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구체적으로 예비 중축합 및/또는 중축합 동안, 또는 중축합 후에 첨가된 디카복실산 무수물 및/또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하이드록실 말단기(OH 말단기) 대 카복실 말단기(COOH 말단기)의 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이로써, 예컨대 단량체로서 1,4-부탄디올(BDO)이 사용된 생성물의 발색 및 안정성 개선과, 부산물인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의 감소가 달성된다.
PBAT 및 PBS에 있어서, 디카복실산 무수물은 이미 단량체로서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추가적인 OH 말단기 감소제로서 유효하지는 않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의 후반부에(예를 들어 중축합 동안 또는 중축합 후에) 첨가되는 첨가제는 OH 말단기를 감소시키기에 적합하다.
폴리에스테르, 구체적으로 PBAT, PBS 또는 PBT에 대해 모든 성분조성이 적용될 수 있지만, 상이한 공단량체의 존재 하 및 부재 하에 산과 디올을 기반으로 하는 코폴리에스테르와 다른 중축합물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모든 공정 단계 및 운용 매개변수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공정 매개변수, 구체적으로 하기 실시예에 기술된 공정 매개변수가 적용될 수 있는데, 다만 단일 공정 매개변수는 다른 매개변수와 발췌가능하게 연계되는 관계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매개변수 중 하나가 선정되어 다른 매개변수와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폴리에스테르의 불연속 및 연속 제조를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사용되는 성분들이 기술되어 있다.
지방족 디카복실산의 예로서는 분자식이 CnH2(n-1)O4이되, 단 n이 40 이하인 선형 산, 예컨대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또는 피멜산 뿐만 아니라, 사이클로헥산 디카복실산과 같이 사이클릭 고리를 가지는 이량체 산 또는 디카복실산이 있다. 또한 이 산의 에스테르(구체적으로 메틸산, 에틸산, 프로필산 또는 부틸산 에스테르) 및 산 무수물(예를 들어 숙신산 무수물)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분자식이 CnH2(n-1)O4이되, 단 n이 40 이하인 선형 산의 에스테르, 및 이클릭 고리를 가지는 이량체 산 또는 디카복실산의 에스테르는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및 부틸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산은 단일 화합물로서,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방향족 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 뿐만 아니라 푸란 고리를 가지는 산, 예컨대 푸란디카복실산이 사용될 수 있을뿐더러, 이것들의 각각의 에스테르(구체적으로 메틸산, 에틸산, 프로필산 또는 부틸산의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산은 단일 화합물로서,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OH 기를 2개 가지는 디올 지방족 또는 지환족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2개 ~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지방족 디올,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사메틸렌글리콜 또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에틸렌 글리콜 또는 트리메틸렌글리콜 또는 1,4-부탄디올 및 폴리테트라하이드로푸란 기반 폴리글리콜(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디올은 단일의 디올로서, 또는 둘 이상의 디올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 둘 다에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공지된 금속 및 유기금속 화합물이 촉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티타늄 촉매 또는 유기금속 티타늄 화합물(예를 들어,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이 바람직하다.
중합체의 탄성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폴리올, 예를 들어 분자량이 250 g/mol ~ 4000 g/mol인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산 및 디올의 총량을 기준으로 0.01 몰% 내지 40 몰%의 농도(구체적으로 0.01 몰% 내지 5 몰%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다.
수득된 폴리에스테르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 또는 개질하기 위해 분지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서는 3가 또는 그 이상의 다가 알코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트) 또는 적당한 3가 산(예를 들어 프로판-1,2,3-트리카복실산) 및/또는 산 무수물(예를 들어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또는 3가 또는 그 이상의 다가 옥소카복실산(예컨대 말산, 시트르산, 하이드록시이소프탈산)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안정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안정화제로서 인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서는 인산(H3P04), 트리에틸포스포노아세트산염(TEPA), 트리스-트리-에틸렌 글리콜 인산(TEGPA) 또는 3-포스포노프로피온산(CEPA)이 있다.
부탄디올, 테레프탈산 및 아디프산으로부터 제조된 생분해성 PBAT는 하기 성분조성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a) 단량체: 1,4-부탄디올(BDO), 테레프탈산(PTA), 아디프산(ADA);
(b) 탄성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PBAT 1 kg 당 분자량이 250 g 내지 4000 g인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올;
(c) PBAT 1 kg 당 0.01 g 내지 50 g의 분지화제(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글리세롤); 안정화제인 인 화합물(예컨대 트리에틸포스포노아세트산염(TEPA), 트리스-트리-에틸렌 글리톨 인산(TEGPA), 인산(H3P04))(각각의 경우 P의 양 = 5 ppm 내지 200 ppm);
(d) 상이한 유형의 것 또는 동일한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에스테르화 및 중축합 반응용 촉매;
(e) OH 말단기, 구체적으로 글루타르산 무수물, 아세트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또는 페닐-이소시아네이트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언급된 첨가제; 및
(f) 사슬 길이를 증가시키고, 말단기를 추가로 감소시키는, 선택적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기타 사슬 연장제.
일 구현예에서,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에스테르화 단계(에스테르 교환반응), 예비 중축합 단계 및 중축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들은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 보통 이용되는 단계로서, 당 업자는 이 단계들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고 있다. 구체적으로 첨가제는 예비 중축합 및/또는 중축합 단계 동안, 그리고/또는 중축합 후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복실산 무수물 또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언급된 첨가제의 폴리에스테르 중 하이드록실 말단기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용도로써 몇 가지 이점이 달성된다. 수득된 폴리에스테르는 임의의 요건을 충족한다. 예를 들어 발색의 품질이 개선된다. 본 방법은 더 빠르게 진행되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의 양은 감소하며, 디올의 필요량도 또한 감소한다. 용융 상 중에서의 더 적은 분해와 용융 상 중에서의 더 우수한 조절 가능 구성이 달성된 추가의 생성물들이 얻어진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예시되는데,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실시예 1 및 비교 실시예 1
처음부터 끝까지의 반응 단계들에 10 l 용량의 고압 멸균기를 사용하였다.
하기와 같이 실시예 1을 수행하였다.
에스테르화:
성분 조성
1385.1 g의 테레프탈산(PTA)
1089.4 g의 부탄디올(BDO, 몰 비 1:1.45)
1.460 g의 Hombifast HS-06(최종 중합체 관련 Ti = 60 ppm)
47.4 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PEG 400, 13 kg/to)
2.55 g의 펜타에리트리톨(0.7 kg/to)
PTA의 에스테르화
단량체 및 촉매를 반응기에 넣고 연속으로 교반하였다. 비활성 상태로 만든 다음 반응기를 가열하였다. 생성물 온도가 195℃에 도달했을 때(시간 측정 시작), 압력을 15분 이내에 400 mbar로 감소시키고, 생성물 온도를 더 올려 240℃로 만들었다. 120분 후에 에스테르화가 완료되었다.
BDO 중 아디프산 용액의 제조
성분조성:
1319.5 g의 아디프산(ADA)
789.3 g의 BDO(몰 비 1.00)
BDO를 용기에 채우고 나서 아디프산을 첨가하였다. 질소로 용기를 비활성 상태로 만들었다. 혼합물을 약간의 과압 하에서 160℃까지 가열하고, PTA 에스테르화가 끝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 시간 동안, 아디프산을 BDO에 용해하였다.
에스테르화의 계속 진행:
약 5분 이내에 아디프산-BDO-용액을 에스테르화 반응기에 공급하였다. 공급물을 공급하고 설정 가열 온도를 낮춘 결과, 생성물 온도는 190℃로 떨어졌고, 진행중이던 에스테르화 온도는 212℃로 상승하였다. 축합물의 수율은 시간 측정 시작 후 총 160분 경과시 에스테르화 반응의 목표 수준을 보였다.
예비 중축합:
축합 시스템을 에스테르화 축합기로부터 예비 중축합 냉각 트랩으로 전환한 다음, 5분 이내에 압력을 150 mbar로 감소시키고 나서, 다시 5 분 이내에 압력을 35 mbar로 감소시켰다. 이 목표 압력을 10 분 동안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용융 온도는 평균 235℃였다. 전체 예비 중축합 시간은 20분이었다.
중축합 촉매의 첨가:
Tyzor TnBT 촉매(Dorf Ketal, 최종 중합체 관련 Ti = 80 ppm) 2.07 g의 양만큼을 공급한 후, BDO 10 g을 반응기에 한꺼번에 공급(flashing down)하였다.
중축합:
축합 시스템을 예비 중축합 냉각 트랩으로부터 중축합 냉각 트랩으로 전환하였다. 15분 이내에 압력을 1 mbar 미만으로 감소시켰다. 중축합 동안의 온도는 240℃였다.
중축합 시간(190 분)이 경과한 후, 숙신산 무수물 20 g을 중축합 반응에 공급하였는데, 이 양은 최종 중합체 기준 0.55%에 해당하는 양이다.
중축합 시간은 340분이었다. 질소로 진공 상태를 풀어준 후, 중합체를 압력에 의해 방출한 다음, 과립화하였더니, 최종 중합체 생성물의 고유 점도는 1.6 dL/g이었다.
비교 실시예 1은, 숙신산이 첨가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상이하였다. 특히 비교 실시예 1과 비교하며 기술한 실시예 1의 더욱 상세한 설명을 하기 표 1에 제시하였다.
요약하면, 우선 테레프탈산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한 다음, 아디프산을 BDO와 함께 공급하고, 이를 후속 반응을 위해 예비 가열하여 예비생성물에 공급하였다. 부탄디올 대 산의 몰 비는 상이하게 선택하였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1의 THF 값은 비교 실시예 1의 THF 값보다 더 적었는데, 이 점은 열 분해가 더 많이 일어났음을 나타낸다.
숙신산 무수물을 중축합에 첨가하여 COOH 말단기 기준 OH 말단기의 감소를 달성하였으며, 그 결과 중합체의 전체 구조 변형이 초래되었다. 중축합 동안 숙신산 무수물을 중합체에 공급하였더니 색 값이 개선되었다. 이 점은,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발색 부반응이 감소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2
PBT를 상이한 첨가제 3가지와 혼합하고, 용융한 다음, 3분 ~ 3.2분의 체류 시간 동안 250℃ ~ 251℃에서 반응시켜 펠릿으로 만들었다.
하기 표 2에 결과를 보였다. OH 말단기는 이러한 첨가제들과 혼합되지 않은 PBT의 OH기에 비하여 감소하였음이 확인된다.
Figure pat00002

Claims (14)

  1.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에스테르는 적어도 하나의 디카복실산과 적어도 하나의 디하이드록시 알코올을 베이스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공정으로부터 제조되고,
    카복실산 무수물 및/또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공정에 첨가되고,
    상기 첨가제는 예비 중축합 단계 동안 및/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하이드록실 말단기 양이 감소되는 중축합 단계 동안 첨가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첨가제로서 사용된 상기 카복실산 무수물은 단량체로서 사용된 상기 디카복실산의 기본 탄화수소 구조와 비교되었을 때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본 탄화수소 구조를 가지는 방법.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실산 무수물은 글루타르산 무수물, 아세트산 무수물 및 숙신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는 페닐-이소시아네이트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최종 폴리에스테르를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디카복실산과 디하이드록시 알코올, 에스테르와 디하이드록시 알코올, 또는 산 무수물과 디하이드록시 알코올로 제조되는 한편, 상기 디카복실산은
    a) 분자식이 CnH2(n-1)O4이되, 단 n이 40 이하인 선형 이량체산, 및
    b) 사이클릭 고리를 가지는 이량체 산 또는 이량체 디카복실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에스테르는,
    c) 상기 a) 및 b) 산의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산 무수물은,
    d) 상기 a) 및 b) 산의 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디카복실산은 단일 화합물,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한편,
    상기 디하이드록시 알코올은 -OH기를 2개 가지는 지방족 또는 지환족 화합물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이량체산은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및 피멜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릭 고리를 가지는 디카복실산은 사이클로헥산 디카복실산인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b) 산의 에스테르는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및 부틸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b) 산의 산 무수물은 숙신산 무수물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상기 디카복실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 푸란 고리를 가지는 산, 또는 이것들의 각각의 에스테르로 제조될 수 있고,
    이러한 산은 단일 화합물,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디하이드록시 알코올은 탄소 원자를 2개 내지 10개 가지는 디하이드록시 알코올, 폴리테트라하이드로푸란 기반 폴리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디하이드록시 알코올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디하이드록시 알코올은 단일 화합물,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푸란 고리를 가지는 산은 푸란디카복실산인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에스테르는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및 부틸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원자를 2개 내지 10개 가지는 디하이드록시 알코올은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사메틸렌글리콜, 및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방법.
KR1020237008662A 2017-07-06 2017-07-06 첨가제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2300421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7036603A KR20200027923A (ko) 2017-07-06 2017-07-06 첨가제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PCT/EP2017/067033 WO2019007522A1 (en) 2017-07-06 2017-07-06 PROCESS FOR PREPARING POLYESTERS USING AN ADDITIV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603A Division KR20200027923A (ko) 2017-07-06 2017-07-06 첨가제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133A true KR20230042133A (ko) 2023-03-27

Family

ID=593664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8662A KR20230042133A (ko) 2017-07-06 2017-07-06 첨가제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197036603A KR20200027923A (ko) 2017-07-06 2017-07-06 첨가제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603A KR20200027923A (ko) 2017-07-06 2017-07-06 첨가제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254785B2 (ko)
EP (1) EP3649177B1 (ko)
JP (1) JP2020528467A (ko)
KR (2) KR20230042133A (ko)
CN (1) CN110869414A (ko)
BR (1) BR112020000064A2 (ko)
DK (1) DK3649177T3 (ko)
EA (1) EA039666B1 (ko)
ES (1) ES2930754T3 (ko)
LT (1) LT3649177T (ko)
PH (1) PH12019550260A1 (ko)
PL (1) PL3649177T3 (ko)
WO (1) WO2019007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6158B (zh) * 2020-12-08 2023-02-28 绵阳麦思威尔科技有限公司 一种水性醇酸树脂的改性方法、改性中间体和改性水性醇酸树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7737A (en) 1970-12-23 1979-04-03 Internationale Octrooi Maatschappij Octropa B.V. Powder coating composition employing mixture of polyepoxide resin with modified polyester resin
US4234707A (en) 1977-11-10 1980-11-18 Ciba-Geigy Corporation Polymeric light stabilizers for plastics
US4361681A (en) 1980-11-03 1982-11-3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reduced acetaldehyde generation rate
US4910287A (en) 1989-01-06 1990-03-20 Ruco Polymer Corporation 1-methyl imidazole catalyzed carboxyl terminated polyester
JPH05279462A (ja) * 1992-04-03 1993-10-26 Teijin Ltd 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H06157736A (ja) 1992-11-26 1994-06-07 Toyobo Co Ltd 末端変性共重合ポリ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DE4440858A1 (de) 1994-11-15 1996-05-23 Basf Ag Biologisch abbaubare Polymer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bioabbaubarer Formkörper
US5700860A (en) * 1995-03-27 1997-12-23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Liquid crystal orienting agent
JPH09157373A (ja) 1995-12-06 1997-06-17 Mitsubishi Chem Corp 可塑剤の製造法
JP3880750B2 (ja) * 1999-02-24 2007-02-14 三井化学株式会社 高分子固体電解質
US6342578B1 (en) 2000-12-06 2002-01-29 Arteva North America S.A.R.L. Copolyester with high carboxyl end groups and a method for making
US8476364B2 (en) * 2007-03-29 2013-07-02 Beaulieu Group, Llc Polymer manufacturing process
KR101543489B1 (ko) 2008-04-15 2015-08-10 바스프 에스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제조 방법
EP2268704A1 (de) 2008-04-15 2011-01-05 Basf Se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biologisch abbaubaren polyestern
CN102443149B (zh) 2011-10-28 2014-09-10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生产可生物降解的脂肪-芳香族共聚酯的方法
US20130261222A1 (en) 2012-03-28 2013-10-03 The Sherwin-Williams Company Polyester binder material for coating composition
KR20140018468A (ko) 2012-07-30 2014-02-13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의 분할 투입에 의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ES2599165T3 (es) 2012-10-29 2017-01-31 Uhde Inventa-Fischer Gmbh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ón de un poliéster o un copoliéster de alto peso molecular así como mezclas poliméricas que los contie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49177B1 (en) 2022-11-02
EA202090191A1 (ru) 2020-06-03
EP3649177A1 (en) 2020-05-13
PH12019550260A1 (en) 2020-07-13
CN110869414A (zh) 2020-03-06
ES2930754T3 (es) 2022-12-21
JP2020528467A (ja) 2020-09-24
EA039666B1 (ru) 2022-02-24
DK3649177T3 (da) 2022-12-12
KR20200027923A (ko) 2020-03-13
US11254785B2 (en) 2022-02-22
PL3649177T3 (pl) 2023-01-23
WO2019007522A1 (en) 2019-01-10
LT3649177T (lt) 2022-12-27
BR112020000064A2 (pt) 2020-07-14
US20200102421A1 (en)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2500B2 (en) Crystalline polyester resin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TWI577711B (zh) 製造脂肪族聚酯之方法
KR19990021909A (ko) 티타늄함유 촉매-억제제 조합을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CN111100276B (zh) 一种可生物降解聚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
CN1847284A (zh) 聚(醚-酯)多元醇及其制备方法
JPS6111968B2 (ko)
US4096122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esters of 1,4-butanediol
US20140350211A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esters
KR20060094419A (ko)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JP4540279B2 (ja) テレフタル酸及びブタンジオールからの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の連続的製法
KR102426474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3328272B1 (ja) テレフタル酸及びブタンジオールからの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の連続的製法
KR20160024698A (ko) 부산물의 함량이 낮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 방법
KR20230042133A (ko) 첨가제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189114B1 (ko) 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
EP1069145B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ester using a distannoxane catalyst
KR20160047218A (ko) 부산물의 함량이 낮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연속 제조 방법
US6300462B1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ethylene-2,6-naphthalene dicarboxylate
JP4306038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の製造法
EP3962985B1 (en) Polyesters from lignin-based monomers
KR20080063025A (ko) 개선된 폴리에스테르의 중합공정
CN116003762A (zh) 一种2,5-呋喃二甲酸基聚酯及其制备方法
CN117551263A (zh) 一种脂肪族聚酯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017028A (ko)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마스크
EA040076B1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получ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разлагающихся сложных полиэфир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