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519A - 스로틀 밸브 및 열교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로틀 밸브 및 열교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519A
KR20230018519A KR1020237000111A KR20237000111A KR20230018519A KR 20230018519 A KR20230018519 A KR 20230018519A KR 1020237000111 A KR1020237000111 A KR 1020237000111A KR 20237000111 A KR20237000111 A KR 20237000111A KR 20230018519 A KR20230018519 A KR 20230018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avity
channel
sea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즈구오 송
즈쥔 캉
저우 위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679921.0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998577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912230.0A external-priority patent/CN11419853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930717.1A external-priority patent/CN114151578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1034402.5A external-priority patent/CN114279112B/zh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18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8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reversible cycles, e.g. bidirectional expansion restri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2Expansion valves having flow rate limiting means other than the valve member, e.g. having bypass orifices in the valv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25Expansion valves having two or mor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3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1/00Details of ejectors not being used as compression device; 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t Valve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스로틀 밸브 및 열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는 밸브관(10) 및 연통 부재(20)를 포함한다. 연통 부재(20)는 밸브관(10) 내에 설치되며 밸브관(10) 내부를 제1 밸브 캐비티(11)와 제2 밸브 캐비티(12)로 구분한다. 연통 부재(20)에는 제1 챔버(21), 제2 챔버(22), 제1 채널(23) 및 제2 채널(24)이 설치된다. 제1 채널(23)은 제1 챔버(21)와 제2 밸브 캐비티(12)를 연통시킨다. 제2 채널(24)은 제2 챔버(22)와 제1 밸브 캐비티(11)를 연통시킨다. 제1 채널(23)과 제2 채널(24)은 모두 연통 부재(20) 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직선형 채널로 설치된다.

Description

스로틀 밸브 및 열교환 시스템
본 출원은 2020년 7월 15일 출원된 출원번호는 202010679921.0이고 발명의 명칭은 "양방향 스로틀 밸브"인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 출원에 전체로서 인용되었다. 본 출원은 2020년 9월 7일 출원된 출원번호는 202010930717.1이고 발명의 명칭은 "플로우 밸브"인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 출원에 전체로서 인용되었다. 본 출원은 2020년 9월 2일 출원된 출원번호는 202010912230.0이고 발명의 명칭은 "플로우 밸브"인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 출원에 전체로서 인용되었다. 본 출원은 2020년 9월 27일 출원된 출원번호는 202011034402.5이고 발명의 명칭은 "스로틀 밸브 및 열교환 시스템"인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 출원에 전체로서 인용되었다.
본 출원은 밸브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로틀 밸브 및 열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로틀 밸브는 주로 공조 냉동 시스템에 적용되는, 냉동 시스템의 중요 구성 부분이다. 양방향 스로틀 밸브는 주로 냉난방형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며, 2개의 스로틀 밸브 어셈블리를 병렬 또는 직렬로 설치하여, 양방향 유통 기능을 구현한다.
종래의 스로틀 밸브는 부품이 비교적 많고, 조립 과정이 복잡하며, 생산 비용이 높다.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 과정을 단순화하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스로틀 밸브 및 열교환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은 스로틀 밸브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밸브관, 연통 부재,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 및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가 포함된다.
연통 부재는 상기 밸브관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관 내부를 제1 밸브 캐비티와 제2 밸브 캐비티로 구분한다. 상기 연통 부재에는 제1 챔버, 제2 챔버,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연통 부재의 상기 제1 밸브 캐비티에 근접한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연통 부재의 상기 제2 밸브 캐비티에 근접한 일단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밸브 캐비티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2 챔버와 상기 제1 밸브 캐비티를 연통시킨다.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챔버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1 밸브 캐비티 사이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챔버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2 밸브 캐비티 사이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연통 부재의 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직선형 채널로 설치된다.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연통 부재의 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직선형 채널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연통 부재의 외벽에 연통되는 제1 포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밸브 캐비티를 연통시킨다. 상기 연통 부재는 상기 제1 채널의 제1 포트 지점에 환형의 제1 오목홈이 설치된다.
그리고/또는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연통 부재의 외벽에 연통되는 제2 포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밸브 캐비티를 연통시킨다. 상기 연통 부재는 상기 제2 채널의 제2 포트 지점에 환형의 제2 오목홈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는 기둥형 구조이다. 상기 연통 부재의 외부 중간 구간에는 환형 외부 보스가 설치된다. 상기 환형 외부 보스와 상기 밸브관 중 하나에는 위치제한 돌기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위치제한 오목홈이 설치된다. 상기 돌기와 상기 위치제한 오목홈은 서로 매칭되어 상기 연통 부재와 상기 밸브관 사이의 밀봉 연결을 구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는 상기 제1 밸브 캐비티 내에 위치하는 제1 연결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제1 연결 구간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연결 구간의 외벽과 상기 밸브관의 내벽 사이는 제1 갭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연결 구간의 외벽에 연통되는 제2 포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2 포트는 상기 제1 갭과 연통된다.
그리고/또는 상기 연통 부재는 상기 제2 밸브 캐비티 내에 위치하는 제2 연결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챔버는 제2 연결 구간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연결 구간의 외벽과 상기 밸브관의 내벽 사이는 제2 갭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2 연결 구간의 외벽에 연통되는 제1 포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제2 갭과 연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 상기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동축으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상기 연통 부재와 용접 연결된다. 상기 제1 챔버는 단차 홀로 설치되고, 상기 단차 홀은 공경이 비교적 큰 일단이 상기 연통 부재의 일단면을 관통한다.
그리고/또는 상기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상기 연통 부재와 용접 연결된다. 상기 제2 챔버는 단차 홀로 설치된다. 상기 단차 홀은 공경이 비교적 큰 일단이 상기 연통 부재의 타단면을 관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하기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밸브 시트에는 제1 시트 캐비티, 제1 밸브 포트 및 제1 개구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시트 캐비티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 시트 캐비티와 연통된다.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상기 제1 챔버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제1 밸브 니들은 상기 제1 시트 캐비티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밸브 포트의 유통 면적의 크기를 조절한다.
제1 밀봉 헤드는 상기 제1 개구 지점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밀봉 헤드와 제1 밸브 시트 사이에는 상기 제1 시트 캐비티와 상기 제1 밸브 캐비티를 연통시키는 공극이 있다.
제1 탄성 부재는 양단이 상기 제1 밸브 니들과 상기 제1 밀봉 헤드에 각각 맞닿아, 상기 제1 밸브 니들이 상기 제1 밸브 포트의 유통 면적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갖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 캐비티는 서로 연통하는 제1 가이드 홀 및 제1 공정 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 홀은 상기 제1 밸브 포트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공정 홀은 상기 제1 개구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공정 홀의 공경은 상기 제1 가이드 홀의 공경보다 크거나 같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시트는 제1 소음 캐비티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제1 소음 캐비티는 상기 제1 밸브 포트의 상기 제1 시트 캐비티에서 먼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연통된다. 상기 제1 소음 캐비티의 내경은 상기 제1 밸브 포트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제1 시트 캐비티의 내경보다 작다.
상기 제1 채널 일단은 상기 제1 소음 캐비티를 연통시킨다.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1 소음 캐비티의 연통 지점에는 제1 플레어링이 설치된다. 상기 제1 플레어링의 내경은 상기 제1 채널에 근접한 일단에서 상기 제1 소음 캐비티에 근접한 일단까지 점차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하기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2 밸브 시트에는 제2 시트 캐비티, 제2 밸브 포트 및 제2 개구가 설치된다. 상기 제2 밸브 포트와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2 시트 캐비티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 시트 캐비티와 연통된다. 상기 제2 밸브 포트는 상기 제2 챔버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제2 밸브 니들은 상기 제2 시트 캐비티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밸브 포트의 유통 면적의 크기를 조절한다.
제2 밀봉 헤드는 상기 제2 개구 지점에 설치된다. 상기 제2 밀봉 헤드와 제2 밸브 시트 사이에는 상기 제2 시트 캐비티와 상기 제2 밸브 캐비티를 연통시키는 공극이 있다.
제2 탄성 부재는 양단이 상기 제2 밸브 니들과 상기 제2 밀봉 헤드에 각각 맞닿아, 상기 제2 밸브 니들이 상기 제2 밸브 포트의 유통 면적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갖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 캐비티는 서로 연통하는 제2 가이드 홀 및 제2 공정 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이드 홀은 상기 제2 밸브 포트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공정 홀은 상기 제2 개구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공정 홀의 공경은 상기 제2 가이드 홀의 공경보다 크거나 같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시트는 제2 소음 캐비티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제2 소음 캐비티는 상기 제2 밸브 포트의 상기 제2 시트 캐비티에서 먼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밸브 포트와 연통된다. 상기 제2 소음 캐비티의 내경은 상기 제2 밸브 포트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제2 시트 캐비티의 내경보다 작다.
상기 제2 채널 일단은 상기 제2 소음 캐비티를 연통시킨다.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2 소음 캐비티의 연통 지점에는 제2 플레어링이 설치된다. 상기 제2 플레어링의 내경은 상기 제2 채널에 근접한 일단에서 상기 제2 소음 캐비티에 근접한 일단까지 점차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제1 밸브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밸브 시트의 외벽 상에는 제1 위치제한 홈이 구비된다. 상기 연통 부재는 연통 본체 및 제1 연결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 구간은 상기 연통 본체 일단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제1 연결 구간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밸브 시트의 일부분은 상기 제1 연결 구간의 상기 제1 챔버 내에 관통 설치된다. 상기 제1 연결 구간의 단부와 상기 제1 위치제한 홈은 고정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시트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본체 구간, 네킹 구간 및 연결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구간, 상기 네킹 구간 및 상기 연결 구간 사이의 영역은 상기 제1 위치제한 홈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 구간은 상기 제1 챔버 내에 관통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간의 외벽 상에는 환형 단차가 구비된다. 상기 스로틀 밸브는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환형 단차 내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간의 외벽 상에는 환형 홈이 구비된다. 상기 스로틀 밸브는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환형 홈 내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간은 통형 구조이고, 상기 제1 연결 구간의 내벽과 상기 연결 구간의 외벽은 억지 끼워맞춤으로 매칭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시트의 외벽 상에는 위치제한 평면이 구비된다, 상기 위치제한 평면과 상기 제1 연결 구간의 내벽은 위치제한 매칭되어, 상기 제1 밸브 시트의 둘레 방향 위치를 제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제1 밸브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밸브 시트는 제1 밸브 포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제1 밸브 니들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밸브 니들은 상기 제1 밸브 시트의 캐비티체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밸브 니들은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차단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1 밸브 니들의 외벽 상에는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니들은 제1 니들체부 및 제1 니들체부 일단에 설치되는 제1 니들부를 포함한다. 상기 노치는 상기 제1 니들체부 상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니들부는 상기 제1 노치를 차단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니들체부의 양단은 모두 필릿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의 외벽 상에는 위치제한 오목홈이 설치된다. 상기 밸브관의 측벽 상에는 위치제한 돌기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제한 돌기와 상기 위치제한 오목홈은 클램핑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제1 밸브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밸브 시트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본체, 테이퍼형 구간 및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퍼형 구간의 반경 방향 치수는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 치수보다 크다. 상기 연결부는 수나사산을 구비한다. 상기 연통 부재는 연통 본체 및 상기 연통 본체 일단에 설치되는 제1 연결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 구간은 암나사산을 구비한다. 상기 암나사산과 상기 수나사산은 매칭된다. 상기 테이퍼형 구간의 둘레는 상기 제1 연결 구간과 맞닿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산과 상기 수나사산은 모두 테이퍼 나사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형 구간은 제1 테이퍼형면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테이퍼형면과 상기 테이퍼형 구간의 축선 사이의 협각은 A이다. 상기 제1 연결 구간 내에는 제2 테이퍼형면이 구비된다. 상기 제2 테이퍼형면과 상기 제1 연결 구간의 축선 사이의 협각은 B이다. 여기에서 A<B이다. 상기 제1 테이퍼형면의 둘레는 상기 제2 테이퍼형면과 맞닿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통형 구조이다. 상기 연결부의 측벽 상에는 슬롯이 구비된다. 상기 슬롯은 상기 연결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2개이고, 2개의 상기 슬롯은 상기 연결부를 두 부분으로 나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시트의 외벽 상에 조립 평면이 구비되거나, 상기 연통 부재의 외벽 상에 조립 평면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는 연통 본체, 연통 본체 일단에 설치되는 제1 연결 구간 및 연통 본체 타단에 설치되는 제2 연결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연통 본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챔버는 제1 연결 구간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챔버는 제2 연결 구간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연결 구간의 측벽은 사이드 홀을 구비한다. 상기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밀봉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밀봉 구조는 상기 제2 연결 구간의 상기 제2 챔버 내에 설치된다. 상기 밀봉 구조는 상기 제2 채널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 및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사이드 홀을 회피하는 회피 위치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구간은 직선통 구간 및 네킹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직선통 구간의 일단은 상기 연통 본체와 연결된다. 상기 네킹 구간은 상기 직선통 구간의 타단에 설치된다. 상기 네킹 구간의 반경 방향 치수는 상기 직선통 구간의 반경 방향 치수보다 작다. 상기 사이드 홀은 상기 직선통 구간 상에 위치한다. 상기 밀봉 구조는 상기 직선통 구간 내에 위치한다. 상기 네킹 구간의 내벽과 상기 밀봉 구조는 스톱되도록 매칭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는 밀봉 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밀봉 링은 상기 연통 본체의 단면 상에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밀봉 링은 상기 제2 채널의 개구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밀봉 링은 제2 챔버 내에 위치한다. 상기 밀봉 구조가 상기 차단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밀봉 구조는 상기 밀봉 링과 맞닿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 구조는 구형 구조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 구조는 가이드 슬리브 및 밀봉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상기 제2 연결 구간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밀봉부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 내에 설치된다. 상기 밀봉부는 탄성 재료로 제작한다.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제2 채널을 차단하는 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양단이 개방된 구조이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양단은 모두 상기 밀봉부와 리벳팅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구조이다.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개방된 일단이 상기 밀봉부와 리벳팅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환형체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외벽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내벽과 접촉된다. 상기 환형체는 상기 제2 채널과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본 출원은 열교환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상기 열교환 시스템은 압축기,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온도 강하 모듈 및 2개의 스로틀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스로틀 밸브는 상술한 스로틀 밸브이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모두 상기 압축기와 연결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하나의 상기 스로틀 밸브를 통해 상기 온도 강하 모듈과 연결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다른 하나의 상기 스로틀 밸브를 통해 상기 온도 강하 모듈과 연결된다. 2개의 상기 스로틀 밸브의 스로틀 방향은 반대이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스로틀 밸브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이 모두 연통 부재의 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직선형 채널로 설치된다. 유체가 제1 채널과 제2 채널 내에서 유동할 때, 유동 저항이 비교적 작아, 해당 스로틀 밸브의 안정성이 더욱 우수하다.
도 1은 본 출원 실시예 1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 실시예 1에 따른 연통 부재, 제1 밸브 시트 및 제2 밸브 시트의 조립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출원 실시예 1에 따른 연통 부재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출원 실시예 1에 따른 연통 부재의 측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출원 실시예 1에 따른 제1 밸브 시트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출원 실시예 1에 따른 제2 밸브 시트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 실시예 2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서 제1 밸브 시트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7에서 제1 밸브 니들의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제1 밸브 니들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 실시예 3에 따른 스로틀 밸브에서 제1 밸브 시트의 구조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제1 밸브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 실시예 4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스로틀 밸브를 다른 시야각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서 밸브 시트와 연통 부재의 조립도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밸브 시트와 연통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C지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5에서 밸브 시트의 구조도이다.
도 21은 도 20에서 D지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2는 도 20에서 밸브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15에서 연통 부재의 구조도이다.
도 24는 도 23에서 E지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5는 본 출원 실시예 5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26은 도 25에서 일부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7은 도 25에서 연통 부재의 구조도이다.
도 28은 도 25에서 연통 부재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29는 본 출원 실시예 6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30은 도 29에서 일부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1은 도 29에서 밀봉 구조의 개략도 1이다.
도 32는 도 29에서 밀봉 구조의 개략도 2이다.
도 33은 도 29에서 밀봉 구조의 개략도 3이다.
도 34는 본 출원 실시예 7에 따른 열교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10은 밸브관, 11은 제1 밸브 캐비티, 12는 제2 밸브 캐비티, 13은 위치제한 돌기, 20은 연통 부재, 21은 제1 챔버, 22는 제2 챔버, 23은 제1 채널, 231은 제1 포트, 232는 제1 플레어링, 24는 제2 채널, 241은 제2 포트, 242는 제2 플레어링, 25는 환형 외부 보스, 251은 위치제한 오목홈, 26은 제1 연결 구간, 261은 제1 갭, 262는 제2 테이퍼형면, 27은 제2 연결 구간, 271은 제2 갭, 272는 사이드 홀, 273은 직선통 구간, 274는 네킹 구간, 28은 제1 오목홈, 29는 제2 오목홈, 200은 연통 본체, 201은 밀봉 링, 30은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 31은 제1 밸브 시트, 310은 위치제한 평면, 311은 제1 시트 캐비티, 3111은 제1 가이드 홀, 3112는 제1 공정 홀, 312는 제1 밸브 포트, 313은 제1 개구, 314는 제1 소음 캐비티, 315는 제1 위치제한 홈, 316은 본체 구간, 317은 네킹 구간, 318은 연결 구간, 3181은 환형 단차, 3182는 환형 홈, 32는 제1 밸브 니들, 320은 노치, 321은 제1 니들체부, 3211은 필릿, 322는 제1 니들부, 323은 제1 장착부, 33은 제1 밀봉 헤드, 34는 제1 탄성 부재, 3101은 제1 본체, 3102는 테이퍼형 구간, 3103은 연결부, 3104는 제1 테이퍼형면, 3105는 슬롯, 3106은 조립 평면, 40은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 41은 제2 밸브 시트, 411은 제2 시트 캐비티, 4111은 제2 가이드 홀, 4112는 제2 공정 홀, 412는 제2 밸브 포트, 413은 제2 개구, 414는 제2 소음 캐비티, 42는 제2 밸브 니들, 421은 제2 니들체부, 422는 제2 니들부, 423은 제2 장착부, 43은 제2 밀봉 헤드, 44는 제2 탄성 부재, 50은 밀봉 구조, 51은 가이드 슬리브, 511은 두꺼운 벽 통, 512는 얇은 벽 통, 52는 밀봉부, 70은 밀봉 부재, 80은 스트레이너, 91은 압축기, 92는 실내 열교환기, 93은 실외 열교환기, 94는 온도 강하 모듈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방식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방식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방식은 본 출원의 전부가 아닌 일부 실시방식일 뿐이다. 본 출원의 실시방식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작업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설치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직접 설치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설치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직접 설치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직접 고정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출원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하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관련하여 나열된 항목의 임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6은 본 출원 실시예 1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스로틀 밸브를 제공하며, 해당 스로틀 밸브는 공조 냉동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로틀 밸브는 밸브관(10), 연통 부재(20),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 및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를 포함한다.
연통 부재(20)는 밸브관(10) 내에 설치되며 밸브관(10) 내부를 제1 밸브 캐비티(11)와 제2 밸브 캐비티(12)로 구분한다. 연통 부재(20)에는 제1 챔버(21), 제2 챔버(22), 제1 채널(23) 및 제2 채널(24)이 설치된다. 제1 챔버(21)는 연통 부재(20)의 제1 밸브 캐비티(11)에 근접한 일단에 위치하고, 제2 챔버(22)는 연통 부재(20)의 제2 밸브 캐비티(12)에 근접한 일단에 위치한다. 제1 채널(23)은 제1 챔버(21)와 제2 밸브 캐비티(12)를 연통시키고, 제2 채널(24)은 제2 챔버(22)와 제1 밸브 캐비티(11)를 연통시킨다.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는 제1 챔버(21) 지점에 설치되어, 제1 채널(23)과 제1 밸브 캐비티(11) 사이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는 제2 챔버(22) 지점에 설치되어, 제2 채널(24)과 제2 밸브 캐비티(12) 사이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작동 시, 유체는 제1 밸브 캐비티(11)로부터 제2 채널(24)로 유입된 다음, 제2 챔버(22)로 유입된 후,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로 유입되고, 최종적으로 제2 밸브 캐비티(12)로 유입될 수 있다. 유체는 제2 밸브 캐비티(12)로부터 제1 채널(23)로 유입된 다음, 제1 챔버(21)로 유입된 후,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로 유입되고, 최종적으로 제1 밸브 캐비티(11)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처럼, 해당 스로틀 밸브는 밸브관(10), 연통 부재(20),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 및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를 통해 양방향 유통 작용을 구현할 수 있다. 이는 부품이 비교적 적고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장착 시, 연통 부재(20)를 밸브관(10) 내에 장착하고,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와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를 각각 연통 부재(20) 양단에 장착하기만 하면, 해당 스로틀 밸브의 조립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장착 과정도 매우 간단하여 조립 과정 중의 고장 가능성을 줄이며 제품 일관성 향상에 도움이 되므로 스로틀 밸브의 생산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제품 일관성"은 대량 생산 시, 상이한 제품이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채널(23)은 연통 부재(20)의 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직선형 채널로 설치된다. 이처럼 유체가 제1 채널(23) 내에서 유동할 때, 유동 저항이 비교적 적어 해당 스로틀 밸브의 안정성이 더욱 우수하다. 이에 상응하도록, 제2 채널(24)도 연통 부재(20)의 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직선형 채널로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유체가 제2 채널(24) 내에서 유동할 때, 유동 저항이 비교적 적어 해당 스로틀 밸브의 안정성이 더욱 우수하다.
제1 채널(23)은 연통 부재(20)의 외벽에 연통되는 제1 포트(231)를 구비한다. 제1 채널(23)은 제1 포트(231)를 통해 제2 밸브 캐비티(12)를 연통시킨다. 연통 부재(20)는 제1 채널(23)의 제1 포트(231) 지점에 환형의 제1 오목홈(28)이 설치된다. 환형의 제1 오목홈(28)을 설치하여, 제1 채널(23)의 제1 포트(231) 지점에서 유체가 더 큰 유체 용량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유체 흐름이 쉽게 끊어지지 않아 유체 유동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유체를 더욱 잘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채널(24)은 연통 부재(20)의 외벽에 연통되는 제2 포트(241)를 구비한다. 제2 채널(24)은 제2 포트(241)를 통해 제1 밸브 캐비티(11)를 연통시킨다. 연통 부재(20)는 제2 채널(24)의 제2 포트(241) 지점에 환형의 제2 오목홈(29)이 설치된다. 환형의 제2 오목홈(29)을 설치하여, 제2 채널(24)의 제2 포트(241) 지점에서 유체가 더 큰 유체 용량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유체 흐름이 쉽게 끊어지지 않아 유체 유동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유체를 더욱 잘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통 부재(20),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 및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는 동축으로 설치된다. 동축 설치는 연통 부재(20),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 및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의 전체 점용 공간을 더욱 작게 만들어, 밸브관(10)의 소형화 설계에 도움이 되며, 해당 스로틀 밸브의 점용 공간이 크게 감소한다.
또한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연통 부재(20)는 기둥형 구조이다. 연통 부재(20)의 외부 중간 구간에는 환형 외부 보스(25)가 설치된다. 환형 외부 보스(25)와 밸브관(10) 중 하나에는 위치제한 돌기(13)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위치제한 오목홈(251)이 설치된다. 위치제한 돌기(13)와 위치제한 오목홈(251)은 클램핑되어 연통 부재(20)와 밸브관(10) 사이의 밀봉 연결 및 확실한 연결을 구현한다. 따라서 연통 부재(20)가 밸브관(10) 내에 장착될 때, 연통 부재(20)는 밸브관(10) 내부를 제1 밸브 캐비티(11)와 제2 밸브 캐비티(12)로 나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환형 외부 보스(25) 외벽에는 위치제한 오목홈(251)이 설치되고, 밸브관(10) 내벽에는 위치제한 돌기(13)가 설치된다.가공 시, 압출 변형 방식을 통해 안쪽으로 밸브관(10)을 가압하면, 밸브관(10) 내벽에 위치제한 돌기(1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가공 방식이 매우 간단하다. 물론 반대로도 가능하며, 환형 외부 보스(25) 외벽에 위치제한 돌기(13)가 설치되고, 밸브관(10) 내벽에 위치제한 오목홈(251)이 설치된다.
연통 부재(20)는 제1 밸브 캐비티(11) 내에 위치하는 제1 연결 구간(26)을 포함한다. 제1 챔버(21)는 제1 연결 구간(26)에 위치한다. 제1 연결 구간(26)의 외벽과 밸브관(10)의 내벽 사이는 제1 갭(261)을 형성한다. 제2 채널(24)의 제2 포트(241)는 제1 연결 구간(26)의 외벽에 연통된다. 제2 포트(241)는 제1 갭(261)과 연통되므로, 제2 채널(24)은 제1 밸브 캐비티(11)와 연통된다. 이처럼 구조가 매우 콤팩트하며 해당 스로틀 밸브의 소형화 설계에 유리하다.
연통 부재(20)는 제2 밸브 캐비티(12) 내에 위치하는 제2 연결 구간(27)을 포함한다. 제2 챔버(22)는 제2 연결 구간(27)에 위치한다. 제2 연결 구간(27)의 외벽과 밸브관(10)의 내벽 사이는 제2 갭(271)을 형성한다. 제1 채널(23)의 제1 포트(231)는 제2 연결 구간(27)의 외벽에 연통된다. 제1 포트(231)는 제2 갭(271)과 연통되므로, 제1 채널(23)은 제2 밸브 캐비티(12)와 연통된다. 이처럼 구조가 매우 콤팩트하며 해당 스로틀 밸브의 소형화 설계에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는 연통 부재(20)와 용접 연결된다. 용접 방식을 통해 연결하므로,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와 연통 부재(20) 사이의 연결이 견고하고 밀봉 성능이 우수하다. 용접 방식을 채택해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와 연통 부재(20)를 연결하면 가공 과정을 단순화하는 데 도움이 되며 제품의 일관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용접 시, 땜납이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와 제1 챔버(21) 사이의 틈으로 흘러 들어간다. 땜납을 더욱 잘 유입시키기 위해, 제1 챔버(21)는 단차 홀로 설치된다. 또한 해당 단차 홀 공경의 더 큰 일단은 연통 부재(20)의 일단면을 관통한다. 제1 챔버(21)는 단차 홀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의 일단을 제1 챔버(21)에 넣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땜납이 공경이 더 큰 일단으로부터 제1 챔버(21)로 유입되기가 더욱 쉽다. 따라서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와 연통 부재(20) 사이의 용접이 견고하다.
이에 상응하도록,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와 연통 부재(20)가 용접 연결된다. 용접 방식으로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와 연통 부재(20)를 연결하면,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와 연통 부재(20) 사이의 연결이 견고하고 밀봉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가공 과정을 단순화하는 데 도움이 되고 제품 일관성을 향상시키기가 유리하다. 제2 챔버(22)는 단차 홀로 설치된다. 해당 단차 홀 공경이 더 큰 일단은 연통 부재(20)의 타단을 관통한다. 제2 챔버(22)는 단차 홀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의 일단을 제2 챔버(22)에 넣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땜납이 공경이 더 큰 일단으로부터 제2 챔버(22)로 유입되기가 더욱 쉽다. 따라서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와 연통 부재(20) 사이의 용접이 견고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와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며, 제어 정밀도가 높고 사용 수명이 길다.
구체적으로, 도 1, 2 및 5를 참조하면,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는 제1 밸브 시트(31), 제1 밸브 니들(32), 제1 밀봉 헤드(33) 및 제1 탄성 부재(34)를 포함한다. 제1 밸브 시트(31)에는 제1 시트 캐비티(311), 제1 밸브 포트(312) 및 제1 개구(313)가 설치된다. 제1 밸브 포트(312)와 제1 개구(313)는 제1 시트 캐비티(31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제1 시트 캐비티(311)와 연통된다. 제1 밸브 포트(312)는 제1 챔버(21)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제1 밸브 니들(32)은 제1 시트 캐비티(311)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1 밸브 포트(312)의 유통 면적의 크기를 조절한다. 제1 밸브 포트(312)의 유통 면적이 0이면, 제1 밸브 포트(312)는 닫힌 상태이고, 제1 밸브 포트(312)의 유통 면적이 0보다 크면, 제1 밸브 포트(312)는 열린 상태이다."제1 밸브 포트(312)의 유통 면적의 크기를 조절"한다는 것은 제1 밸브 포트(312)가 열린 상태에서 유통 면적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제1 밸브 포트(312)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것도 포함한다. 제1 밀봉 헤드(33)는 제1 개구(313) 지점에 설치된다. 제1 밀봉 헤드(33)와 제1 밸브 시트(31) 사이에는 제1 시트 캐비티(311)와 제1 밸브 캐비티(11)를 연통시키는 공극이 있다. 제1 탄성 부재(34)는 양단이 제1 밸브 니들(32)과 제1 밀봉 헤드(33)에 각각 맞닿아, 제1 밸브 니들(32)이 제1 밸브 포트(312)의 유통 면적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갖도록 한다. 제1 밸브 포트(312)의 유통 면적이 0으로 감소하면, 제1 밸브 포트(312)가 닫힌다. 제1 채널(23) 내의 유체 압력이 제1 탄성 부재(34)의 탄성력보다 크면, 유체가 제1 밸브 니들(32)을 밀어 이동시켜 제1 탄성 부재(34)를 압축하여 제1 밸브 포트(312)를 열거나 제1 밸브 포트(312)의 유통 면적을 증가시킨다. 제1 채널(23) 내의 유체 압력이 클수록, 제1 밸브 포트(312)의 유통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유체가 제1 채널(23)로부터 제1 밸브 포트(312), 제1 시트 캐비티(311) 및 제1 개구(313)를 순차적으로 거쳐 최종적으로 제1 밸브 캐비티(11)로 유입된다. 제1 채널(23) 내의 유체 압력이 제1 탄성 부재(34)의 탄성력보다 작으면, 제1 탄성 부재(34)의 탄성력 작용 하에서, 제1 밸브 니들(32)이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밸브 포트(312)의 유통 면적을 감소시키며, 심지어 제1 밸브 포트(312)를 닫는다.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를 장착할 때, 제1 밸브 시트(31)와 제1 챔버(21) 내벽 사이의 용접 연결을 통해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30)와 연통 부재(20) 사이의 용접 연결을 구현한다.
또한 제1 시트 캐비티(311)는 서로 연통하는 제1 가이드 홀(3111) 및 제1 공정 홀(3112)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 홀(3111)은 제1 밸브 포트(312)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제1 공정 홀(3112)은 제1 개구(313)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제1 공정 홀(3112)의 공경은 제1 가이드 홀(3111)의 공경보다 크거나 같다. 제1 가이드 홀(3111)은 제1 밸브 니들(32)이 이동 과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1 밸브 니들(32)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공정 홀(3112)의 공경이 제1 가이드 홀(3111)의 공경보다 크거나 같아 가공 시 제1 가이드 홀(3111)의 공경이 설계 요건이 충족되도록 보장한다. 또한 제1 밸브 니들(32)이 제1 가이드 홀(3111)에 원활하게 설치되고, 제1 밸브 니들(32)이 제1 가이드 홀(3111)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제1 개구(313) 지점에서 제1 밸브 시트(31)의 내경은 제1 공정 홀(3112)의 공경보다 크다. 따라서 제1 개구(313)와 제1 공정 홀(3112) 사이에 단차(미표시)가 형성되고, 제1 밀봉 헤드(33)는 해당 단차 지점에 맞닿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제1 밸브 니들(32), 제1 탄성 부재(34) 및 제1 밀봉 헤드(33)가 제1 밸브 시트(31)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제1 밸브 시트(31)의 구조도이다. 이때 제1 밸브 시트(31)의 제1 개구(313) 지점의 측벽은 직선관 모양이며, 제1 밸브 니들(32), 제1 탄성 부재(34) 및 제1 밀봉 헤드(33)를 제1 밸브 시트(31) 내에 순차적으로 장착하기가 용이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제1 밸브 니들(32), 제1 탄성 부재(34) 및 제1 밀봉 헤드(33)가 제1 밸브 시트(31)에 장착된 후 스로틀 밸브의 구조도이다. 제1 밸브 니들(32), 제1 탄성 부재(34) 및 제1 밀봉 헤드(33)를 제1 밸브 시트(31) 내에 장착한 후, 제1 밸브 시트(31)의 제1 개구(313) 지점의 측벽을 압출하여 해당 측벽을 변형시켜 테이퍼형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 밀봉 헤드(33)를 차단하여, 제1 밸브 시트(31) 내부 부품의 장착을 완료한다. 상기 제1 밀봉 헤드(33)는 T형이다. T형의 상단은 제1 개구(313) 지점에 고정되며 제1 밸브 시트(31)와의 사이에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공극이 있다. T형의 하단은 제1 탄성 부재(34)에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탄성 부재(34)는 압축 스프링이며, 압축 스프링의 일단은 제1 밀봉 헤드(33)의 일단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1 밸브 니들(32)은 제1 니들체부(321), 제1 니들체부(321) 일단에 설치된 제1 니들부(322) 및 제1 니들체부(321) 타단에 설치된 제1 장착부(32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니들체부(321)는 기둥형이다. 제1 니들체부(321)의 외벽은 제1 가이드 홀(3111)의 내벽과 슬라이딩되도록 매칭된다. 제1 니들체부(321)의 외벽에는 노치(320)가 개설된다. 따라서 유체가 노치(320)로부터 통과될 수 있다. 제1 니들부(322)는 제1 밸브 포트(312)와 매칭되어 제1 밸브 포트(312)의 유통 면적의 크기를 조절한다. 제1 탄성 부재(34)의 일단은 제1 장착부(323)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1 밸브 시트(31)에는 제1 소음 캐비티(314)가 더 설치된다. 제1 소음 캐비티(314)는 제1 밸브 포트(312)의 제1 시트 캐비티(311)에서 먼 일단에 설치되어 제1 밸브 포트(312)와 연통된다. 제1 소음 캐비티(314)의 내경은 제1 밸브 포트(312)의 내경보다 크고 제1 시트 캐비티(311)의 내경보다 작다. 제1 채널(23) 일단은 제1 소음 캐비티(314)를 연통시킨다. 제1 채널(23)과 제1 소음 캐비티(314)의 연통 지점에는 제1 플레어링(232)이 설치된다. 제1 플레어링(232)의 내경은 제1 채널(23)에 근접한 일단에서 제1 소음 캐비티(314)에 근접한 일단까지 점차 증가한다. 이와 같이, 제1 채널(23) 내의 유체가 제1 시트 캐비티(311)로 흐르면, 제1 플레어링(232), 제1 소음 캐비티(314) 및 제1 밸브 포트(312)를 순차적으로 지나며, 최종적으로 제1 시트 캐비티(311)로 유입된다. 제1 소음 캐비티(314)와 제1 플레어링(232)이 설치되므로, 유체가 제1 채널(23)에서 제1 시트 캐비티(311)로 흐를 때, 제1 채널(23)과 제1 시트 캐비티(311) 사이의 채널(제1 플레어링(232), 제1 소음 캐비티(314) 및 제1 밸브 포트(312)) 내경 변화가 상대적으로 비교적 완만하고 급격한 증가 또는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가 감소하고 소음 기능을 한다.
마찬가지로, 도 1, 2 및 6을 참조하면,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는 제2 밸브 시트(41), 제2 밸브 니들(42), 제2 밀봉 헤드(43) 및 제2 탄성 부재(44)를 포함한다. 제2 밸브 시트(41)에는 제2 시트 캐비티(411), 제2 밸브 포트(412) 및 제2 개구(413)가 설치된다. 제2 밸브 포트(412)와 제2 개구(413)는 제2 시트 캐비티(41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제2 시트 캐비티(411)와 연통된다. 제2 밸브 포트(412)는 제2 챔버(22)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제2 밸브 니들(42)은 제2 시트 캐비티(411)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2 밸브 포트(412)의 유통 면적의 크기를 조절한다. 제2 밸브 포트(412)의 유통 면적이 0이면, 제2 밸브 포트(412)는 닫힌 상태이고, 제2 밸브 포트(412)의 유통 면적이 0보다 크면, 제2 밸브 포트(412)는 열린 상태이다."제2 밸브 포트(412)의 유통 면적의 크기를 조절"한다는 것은 제2 밸브 포트(412)가 열린 상태에서 유통 면적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제2 밸브 포트(412)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것도 포함한다. 제2 밀봉 헤드(43)는 제2 개구(413) 지점에 설치된다. 제2 밀봉 헤드(43)와 제2 밸브 시트(41) 사이에는 제2 시트 캐비티(411)와 제2 밸브 캐비티(12)를 연통시키는 공극이 있다. 제2 탄성 부재(44)는 양단이 제2 밸브 니들(42)과 제2 밀봉 헤드(43)에 각각 맞닿아, 제2 밸브 니들(42)이 제2 밸브 포트(412)의 유통 면적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갖도록 한다. 제2 밸브 포트(412)의 유통 면적이 0으로 감소하면, 제2 밸브 포트(412)가 닫힌다. 제2 채널(24) 내의 유체 압력이 제2 탄성 부재(44)의 탄성력보다 크면, 유체가 제2 밸브 니들(42)을 밀어 이동시켜 제2 탄성 부재(44)를 압축하여 제2 밸브 포트(412)를 열거나 제2 밸브 포트(412)의 유통 면적을 증가시킨다. 제2 채널(24) 내의 유체 압력이 클수록, 제2 밸브 포트(412)의 유통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유체가 제2 채널(24)로부터 제2 밸브 포트(412), 제2 시트 캐비티(411) 및 제2 개구(413)를 순차적으로 거쳐 최종적으로 제2 밸브 캐비티(12)로 유입된다. 제2 채널(24) 내의 유체 압력이 제2 탄성 부재(44)의 탄성력보다 작으면, 제2 탄성 부재(44)의 탄성력 작용 하에서, 제2 밸브 니들(42)이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밸브 포트(412)의 유통 면적을 감소시키며, 심지어 제2 밸브 포트(412)를 닫는다.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를 장착할 때, 제2 밸브 시트(41)와 제2 챔버(22) 내벽 사이의 용접 연결을 통해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와 연통 부재(20) 사이의 용접 연결을 구현한다.
또한 제2 시트 캐비티(411)는 서로 연통하는 제2 가이드 홀(4111) 및 제2 공정 홀(4112)을 포함한다. 제2 가이드 홀(4111)은 제2 밸브 포트(412)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제2 공정 홀(4112)은 제2 개구(413)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제2 공정 홀(4112)의 공경은 제2 가이드 홀(4111)의 공경보다 크거나 같다. 제2 가이드 홀(4111)은 제2 밸브 니들(42)이 이동 과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2 밸브 니들(42)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공정 홀(4112)의 공경이 제2 가이드 홀(4111)의 공경보다 크거나 같아 가공 시 제2 가이드 홀(4111)의 공경이 설계 요건이 충족되도록 보장한다. 또한 제2 밸브 니들(42)이 제2 가이드 홀(4111)에 원활하게 설치되고, 제2 밸브 니들(42)이 제2 가이드 홀(4111)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제2 개구(413) 지점에서 제2 밸브 시트(41)의 내경은 제2 공정 홀(4112)의 공경보다 크다. 따라서 제2 개구(413)와 제2 공정 홀(4112) 사이에 단차(미표시)가 형성되고, 제2 밀봉 헤드(43)는 해당 단차 지점에 맞닿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제2 밸브 니들(42), 제2 탄성 부재(44) 및 제2 밀봉 헤드(43)가 제2 밸브 시트(41)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제2 밸브 시트(41)의 구조도이다. 이때 제2 밸브 시트(41)의 제2 개구(413) 지점의 측벽은 직선관 모양이며, 제2 밸브 니들(42), 제2 탄성 부재(44) 및 제2 밀봉 헤드(43)를 제2 밸브 시트(41) 내에 순차적으로 장착하기가 용이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제2 밸브 니들(42), 제2 탄성 부재(44) 및 제2 밀봉 헤드(43)가 제2 밸브 시트(41)에 장착된 후 스로틀 밸브의 구조도이다. 제2 밸브 니들(42), 제2 탄성 부재(44) 및 제2 밀봉 헤드(43)를 제2 밸브 시트(41) 내에 장착한 후, 제2 밸브 시트(41)의 제2 개구(413) 지점의 측벽을 압출하여 해당 측벽을 변형시켜 테이퍼형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2 밀봉 헤드(43)를 차단하여, 제2 밸브 시트(41) 내부 부품의 장착을 완료한다. 상기 제2 밀봉 헤드(43)는 T형이다. T형의 상단은 제2 개구(413) 지점에 고정되며 제2 밸브 시트(41)와의 사이에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공극이 있다. T형의 하단은 제2 탄성 부재(44)에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탄성 부재(44)는 압축 스프링이며, 압축 스프링의 일단은 제2 밀봉 헤드(43)의 일단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2 밸브 니들(42)은 제2 니들체부(421), 제2 니들체부(421) 일단에 설치된 제2 니들부(422) 및 제2 니들체부(421) 타단에 설치된 제2 장착부(42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2 니들체부(421)는 기둥형이다. 제2 니들체부(421)의 외벽은 제2 가이드 홀(4111)의 내벽과 슬라이딩되도록 매칭된다. 제2 니들체부(421)의 외벽에는 노치(미표시)가 개설된다. 따라서 유체가 노치로부터 통과될 수 있다. 제2 니들부(422)는 제1 개구(313)와 매칭되어 제2 밸브 포트(412)의 유통 면적의 크기를 조절한다. 제2 탄성 부재(44)의 일단은 제2 장착부(423)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2 밸브 시트(41)에는 제2 소음 캐비티(414)가 더 설치된다. 제2 소음 캐비티(414)는 제2 밸브 포트(412)의 제2 시트 캐비티(411)에서 먼 일단에 설치되어 제2 밸브 포트(412)와 연통된다. 제2 소음 캐비티(414)의 내경은 제2 밸브 포트(412)의 내경보다 크고 제2 시트 캐비티(411)의 내경보다 작다. 제2 채널(24) 일단은 제2 소음 캐비티(414)를 연통시킨다. 제2 채널(24)과 제2 소음 캐비티(414)의 연통 지점에는 제2 플레어링(242)이 설치된다. 제2 플레어링(242)의 내경은 제2 채널(24)에 근접한 일단에서 제2 소음 캐비티(414)에 근접한 일단까지 점차 증가한다. 이와 같이, 제2 채널(24) 내의 유체가 제2 시트 캐비티(411)로 흐르면, 제2 플레어링(242), 제2 소음 캐비티(414) 및 제1 개구(313)를 순차적으로 지나며, 최종적으로 제2 시트 캐비티(411)로 유입된다. 제2 소음 캐비티(414)와 제2 플레어링(242)이 설치되므로, 유체가 제2 채널(24)에서 제2 시트 캐비티(411)로 흐를 때, 제2 채널(24)과 제2 시트 캐비티(411) 사이의 채널(제2 플레어링(242), 제2 소음 캐비티(414) 및 제1 개구(313)) 내경 변화가 상대적으로 비교적 완만하고 급격한 증가 또는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가 감소하고 소음 기능을 한다.
[실시예 2]
도 7 내지 12는 본 출원 실시예 2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구조도이다. 해당 실시예 2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연통 부재(20)와 제1 밸브 시트(31) 사이의 연결 방식, 및 연통 부재(20)와 제2 밸브 시트(41) 사이의 연결 방식이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밸브 시트(31)와 제2 밸브 시트(41)는 구조가 동일하며, 연통 부재(20)와의 연결 방식도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제1 밸브 시트(31)와 연통 부재(20) 사이의 연결 방식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밸브 시트(31)의 외벽 상에는 제1 위치제한 홈(315)이 구비된다. 연통 부재(20)는 연통 본체(200), 연통 본체(200) 일단에 설치되는 제1 연결 구간(26) 및 연통 본체(200) 타단에 설치되는 제2 연결 구간(27)을 포함한다. 즉, 제1 연결 구간(26)과 제2 연결 구간(27)은 연통 본체(200)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제1 연결 구간(26)과 제2 연결 구간(27)은 모두 통형이다. 제1 밸브 시트(31)의 일부는 제1 연결 구간(26) 내에 관통 설치된다. 즉, 제1 밸브 시트(31)의 일부는 제1 챔버(21) 내에 관토오 설치된다. 제1 연결 구간(26)의 단부는 제1 위치제한 홈(315)과 고정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 구간(26)의 단부는 제1 위치제한 홈(315)의 내벽과 리벳팅된다. 해당 고정 연결은 구체적으로 포트가 결합되는 리벳팅 방식이다. 다른 실시방식에서 용접, 나사산 연결 등 다른 방식으로 제1 연결 구간(26)의 단부와 제1 위치제한 홈(315)을 고정 연결할 수도 있다.
해당 방식을 채택하면, 제1 밸브 시트(31)의 일부 구조가 연통 부재(20)의 제1 연결 구간(26) 내에 관통 설치된다. 또한 제1 연결 구간(26)의 끝단이 제1 밸브 시트(31) 상의 제1 위치제한 홈(315)의 내벽과 리벳팅된다. 이와 같이 삽입 연결 및 리벳팅 방식을 통해 제1 밸브 시트(31)와 연통 부재(20)를 확실하게 연결하고, 이들 둘의 밀봉성을 향상시켜 스로틀 밸브의 신뢰성을 제고한다. 선택적으로, 제1 밸브 시트(31)의 단면은 연통 본체(200)와 맞닿는다. 이는 축방향에서 제1 밸브 시트(31)와 연통 부재(20)에 대한 위치제한을 더욱잘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밸브 시트(31)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본체 구간(316), 네킹 구간(317) 및 연결 구간(318)을 포함한다. 본체 구간(316), 네킹 구간(317) 및 연결 구간(318) 사이의 영역은 제1 위치제한 홈(315)을 형성한다. 연결 구간(318)은 제1 연결 구간(26) 내에 관통 설치된다. 상술한 설치를 통해, 제1 위치제한 홈(315)을 형성하였다. 제1 위치제한 홈(315)의 존재로 인해, 제1 연결 구간(26)의 단부의 리벳팅 변형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구간(318)의 외벽 상에는 환형 단차(3181)가 구비된다. 스로틀 밸브는 밀봉 부재(70)를 더 포함한다. 밀봉 부재(70)는 환형 단차(3181) 내에 설치된다. 밀봉 부재(70) 설치를 통해, 제1 밸브 시트(31)와 연통 부재(20)의 확실한 밀봉을 구현하고 스로틀 밸브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 구간(26)의 단부와 제1 위치제한 홈(315)의 내벽이 리벳팅된 후, 제1 연결 구간(26)은 밀봉 부재(70)를 가압하여 밀봉 효과를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연결 구간(318)은 통형 구조이다. 제1 연결 구간(26)의 내벽과 연결 구간(318)의 외벽은 억지 끼워맞춤으로 매칭된다. 억지 끼워맞춤을 채택하여, 제1 연결 구간(26)과 연결 구간(318)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1 밸브 시트(31)와 연통 부재(20)의 동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밸브 시트(31)의 외벽 상에는 위치제한 평면(310)이 구비된다. 위치제한 평면(310)과 제1 연결 구간(26)의 내벽은 위치제한 매칭되어, 제1 밸브 시트(31)의 둘레 방향 위치를 제한한다. 위치제한 평면(310) 설치를 통해 제1 밸브 시트(31)의 둘레 방향에 대한 위치를 제한하여 제1 밸브 시트(3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제1 연결 구간(26)의 내벽 상에는 제1 밸브 시트(31)를 향해 돌출된 돌출점이 구비된다. 돌출점은 위치제한 평면(310)과 맞닿는다. 이처럼 돌출점과 위치제한 평면(310)의 매칭을 통해 제1 밸브 시트(31)와 연통 부재(20)의 둘레 방향 위치제한을 구현한다. 돌출점은 제1 연결 구간(26) 상에 충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현성할 수 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1 밸브 니들(32)은 제1 밸브 시트(31)의 캐비티체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1 밸브 니들(32)은 제1 밸브 포트(312)를 차단하는 데 사용된다. 제1 밸브 니들(32)의 외벽 상에는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320)가 구비된다. 제1 밸브 니들(32)이 제1 밸브 포트(312)를 차단한 후, 유체가 유동되지 않는다. 제1 밸브 니들(32)가 제1 밸브 포트(312)를 차단하지 않은 경우, 유체는 노치(320)와 제1 밸브 포트(312)를 통과할 수 있다. 여기에서, 노치(320)는 복수개이다. 복수개의 노치(320)는 제1 밸브 니들(3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다. 이는 유통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밸브 니들(32)은 제1 니들체부(321), 제1 니들체부(321) 일단에 설치된 제1 니들부(322) 및 제1 니들체부(321) 타단에 설치된 제1 장착부(32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니들체부(321)은 기둥형이며, 제1 니들부(322)는 니들형이고, 제1 밸브 포트(312)를 차단하는 데 사용된다. 노치(320)는 제1 니들체부(321) 상에 위치한다. 여기에서, 제1 니들체부(321)의 양단에는 모두 필릿(3211)이 구비된다. 제1 니들체부(321)의 양단에는 모두 필릿(3211)이 설치되어, 제1 밸브 니들(32)이 원활하게 운동하고 제1 밸브 니들(32)이 기울어질 때의 저항이 낮도록 보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니들부(322)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원기둥 구간, 테이퍼형 기둥 구간 및 제2 원기둥 구간을 포함한다. 제2 원기둥 구간의 직경은 제1 원기둥 구간의 직경보다 작다. 상술한 설치를 통해, 제1 니들부(322)가 제1 밸브 포트(312) 내에 삽입되고 제1 밸브 포트(312)를 차단하기가 용이해진다.
제2 밸브 시트(41)와 연통 부재(20) 사이의 연결 방식은 상술한 제1 밸브 시트(31)와 연통 부재(20) 사이의 연결 방식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밀봉 헤드(33)와 제1 밸브 시트(31)의 단부는 리벳팅된다. 마찬가지로, 제2 밀봉 헤드(43)와 제2 밸브 시트(41)의 단부는 리벳팅된다.
[실시예 3]
도 13 및 14는 본 출원 실시예 3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구조도이다. 실시예 3에 있어서, 실시예 2와 다른 점은, 연결 구간(318)의 외벽 상에는 환형 홈(3182)이 구비되고, 스로틀 밸브는 밀봉 부재(70)를 더 포함하며, 밀봉 부재(70)는 환형 홈(3182) 내에 설치된다는 것이다. 밀봉 부재(70) 설치를 통해, 제1 밸브 시트(31)와 연통 부재(20)의 확실한 밀봉 및 제2 밸브 시트(41)와 연통 부재(20)의 확실한 밀봉을 구현하고 플로우 밸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 구간(26)의 단부와 제1 위치제한 홈(315)의 내벽이 리벳팅된 후, 제1 연결 구간(26)은 밀봉 부재(70)를 가압하여 밀봉 효과를 향상시킨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 구간(27)의 단부와 제1 위치제한 홈(315)의 내벽이 리벳팅된 후, 제2 연결 구간(27)은 밀봉 부재(70)를 가압하여 밀봉 효과를 향상시킨다.
해당 방식을 통해, 연통 부재(20)와 제1 밸브 시트(31)에 리벳팅 고정 방식을 채택하며, 연통 부재(20)와 제2 밸브 시트(41)도 리벳팅 고정 방식을 채택한다. 리벳팅과 동시에 하단의 밀봉 부재/밀봉링을 압축 변형시켜, 이들 둘 사이의 연결을 더욱 확실하게 만들어, 밀봉 효과를 향상시킴으로 유량 조절 정밀도를 개선한다. 또한 연통 부재(20)와 제1 밸브 시트(31)가 억지 끼워맞춤으로 매칭되는 부분은 축방향 길이를 가지며, 이는 연통 부재(20)와 제1 밸브 시트(31) 사이의 동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마찬가기로, 연통 부재(20)와 제2 밸브 시트(41)가 억지 끼워맞춤으로 매칭되는 부분은 축방향 길이를 가지며, 이는 연통 부재(20)와 제2 밸브 시트(41) 사이의 동축도를 보장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5 내지 24는 본 출원 실시예 4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구조도이다.
실시예 4와 실시예 2의 차이점은, 연통 부재(20)와 제1 밸브 시트(31) 사이의 연결 방식, 및 연통 부재(20)와 제2 밸브 시트(41) 사이의 연결 방식이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밸브 시트(31)와 제2 밸브 시트(41)는 구조가 동일하며, 연통 부재(20)와의 연결 방식도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제1 밸브 시트(31)와 연통 부재(20) 사이의 연결 방식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 내지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밸브 시트(31)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본체(3101), 테이퍼형 구간(3102) 및 연결부(3103)를 포함한다. 테이퍼형 구간(3102)의 반경 방향 치수는 연결부(3103)의 반경 방향 치수보다 크며, 연결부(3103)는 수나사산을 구비한다. 연통 부재(20)는 연통 본체(200), 연통 본체(200) 일단에 설치되는 제1 연결 구간(26) 및 연통 본체(200) 타단에 설치되는 제2 연결 구간(27)을 포함한다. 즉, 제1 연결 구간(26)과 제2 연결 구간(27)은 연통 본체(200)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제1 연결 구간(26)과 제2 연결 구간(27)은 모두 통형이다. 또한 제1 연결 구간(26)과 제2 연결 구간(27)은 모두 암나사산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암나사산은 수나사산과 매칭된다. 테이퍼형 구간(3102)의 둘레는 제1 연결 구간(26)과 맞닿는다.
해당 방식을 채택하여, 제1 밸브 시트(31)와 연통 부재(20)는 나사산 연결된다. 이는 구조가 간단하고 연결을 신뢰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 시트(31)의 테이퍼형 구간(3102)의 둘레는 연통 부재(20)의 제1 연결 구간(26)과 맞닿는다. 이는 선 밀봉의 방식을 통해 제1 밸브 시트(31)와 연통 부재(20)의 밀봉을 구현하며, 스로틀 밸브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은 모두 테이퍼 나사이다. 테이퍼 나사 연결을 채택해, 제1 밸브 시트(31)와 연통 부재(20)의 연결 밀봉성을 더욱 향상시킨다.물론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은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나사산을 채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테이퍼형 구간(3102)은 제1 테이퍼형면(3014)을 구비한다. 제1 테이퍼형면(3104)과 테이퍼형 구간(3102)의 축선 사이의 협각은 A이다. 제1 연결 구간(26) 내에는 제2 테이퍼형면(262)이 구비된다. 제2 테이퍼형면(262)과 제1 연결 구간(26)의 축선 사이의 협각은 B이다. 여기에서 A<B이다. 제1 테이퍼형면(3104)의 둘레는 제2 테이퍼형면(262)과 맞닿는다. 상술한 설치를 통해, 제1 테이퍼형면(3104)의 둘레와 제2 테이퍼형면(262)은 선 밀봉을 구현하며, 밀봉 효과가 우수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3103)는 통형 구조이다. 연결부(3103)의 측벽 상에는 슬롯(3105)이 구비되고, 슬롯(3105)은 연결부(3103)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슬롯(3105) 설치를 통해, 연결부(3103)를 반경 방향으로 쉽게 탄성 변형시킨다. 이는 연결부(3103)를 제1 연결 구간(26) 내에 조이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연결부(3103)가 제1 연결 구간(26)을 확장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롯(3105)은 2개이며, 2개의 슬롯(3105)은 연결부(3103)를 두 부분으로 나눈다. 상술한 설치를 통해, 연결부(3103)의 반경 방향 변형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슬롯(3105)의 개수는 다른 수량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밸브 시트(31)의 외벽 상에 조립 평면(3106)이 구비되거나, 연통 부재(20)의 외벽 상에 조립 평면(3106)이 구비된다. 조립 평면(3106) 설치를 통해, 도구를 사용하여 제1 밸브 시트(31) 또는 연통 부재(20)를 클램핑하기가 용이하다. 이는 제1 밸브 시트(31) 또는 연통 부재(2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 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밸브 시트(41)와 연통 부재(20) 사이의 연결 방식은 상술한 제1 밸브 시트(31)와 연통 부재(20) 사이의 연결 방식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선택적으로, 플로우 밸브는 스트레이너(80)를 더 포함한다. 스트레이너(80)는 밸브관(10) 내에 설치된다. 이는 스트레이너(80)를 통해 유체 중의 불순물을 여과하고 스로틀 밸브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테이퍼 나사를 이용해 밸브 시트(즉, 제1 밸브 시트(31)와 제2 밸브 시트(41))와 고정 부재를 연결하는 동시에, 선 밀봉을 구현한다. 또한 테이퍼 나사 중간에 수직 홈이 개설되어, 탄성 변형을 일으켜 연통 부재가 확장되어 끊어지지 않을 정도까지 밸브 시트를 계속해서 조일 수 있다.
[실시예 5]
도 25 내지 28은 본 출원 실시예 5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구조도이다.
실시예 5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40)가 밀봉 구조(50)로 설치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통 부재(20)는 연통 본체(200), 연통 본체(200) 일단에 설치되는 제1 연결 구간(26) 및 연통 본체(200) 타단에 설치되는 제2 연결 구간(27)을 포함한다. 즉, 제1 연결 구간(26)과 제2 연결 구간(27)은 연통 본체(200)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제1 채널(23)과 제2 채널(24)은 연통 본체(200)에 위치한다. 제1 챔버(21)는 제1 연결 구간(26)에 위치하고, 제2 챔버(22)는 제2 연결 구간(27)에 위치한다. 제1 밸브 시트(31)는 제1 연결 구간(26)에 연결된다. 제2 연결 구간(27)의 측벽에는 사이드 홀(272)이 구비된다. 밀봉 구조(50)는 제2 연결 구간(27)의 제2 챔버(22)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밀봉 구조(50)는 제2 채널(24)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 및 제2 채널(24)과 사이드 홀(272)을 회피하는 회피 위치를 구비한다.
해당 방식을 채택하여, 연통 부재(20)의 제2 연결 구간(27) 내에서 밀봉 구조(50)의 이동을 통해 채널을 폐쇄 또는 연통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낮다. 또한 상기 구조는 스로틀 밸브가 양방향 유통, 단방향 스로틀의 기능을 갖도록 한다. 해당 스로틀 밸브는 구조가 간단하고, 공정성이 우수하며, 밀봉성이 우수하고, 스로틀 방향의 유량 일관성이 높다.
구체적으로, 제2 갭(271), 제1 채널(23), 제1 밸브 포트(312) 및 노치(320)는 정방향 채널을 형성한다. 제1 갭(261), 제2 채널(24), 제2 챔버(22), 사이드 홀(272) 및 제2 갭(271)은 역방향 채널을 형성한다. 밸브관(10) 내의 유체가 연통 부재(20)로부터 제1 밸브 시트(31)의 방향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밀봉 구조(50)는 차단 위치에 있고, 제1 밸브 니들(32)은 제1 밸브 포트(312)를 회피하며, 정방향 채널이 연통되고, 역방향 채널은 폐쇄된다. 밸브관(10) 내의 유체가 제1 밸브 시트(31)로부터 연통 부재(20)의 방향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밀봉 구조(50)는 회피 위치에 있고, 제1 밸브 니들(32)은 제1 밸브 포트(312)를 차단하며, 정방향 채널이 폐쇄되고, 역방향 채널이 연통된다. 이처럼 유체는 스로틀 밸브 내의 두 방향에서 균일하게 유동할 수 있다. 유체는 제1 밸브 니들(32) 또는 밀봉 구조(50)가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으므로, 채널이 자동으로 연통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연결 구간(27)은 직선통 구간(273) 및 네킹 구간(274)을 포함한다. 직선통 구간(273)의 일단은 연통 본체(200)와 연결된다. 네킹 구간(274)은 직선통 구간(273)의 타단에 설치된다. 네킹 구간(274)의 반경 방향 치수는 직선통 구간(273)의 반경 방향 치수보다 작다. 사이드 홀(272)은 직선통 구간(273) 상에 위치한다. 밀봉 구조(50)는 직선통 구간(273) 내에 위치한다. 네킹 구간(274)의 내벽과 밀봉 구조(50)는 스톱되도록 매칭된다. 이처럼 네킹 구간(274)을 통해 밀봉 구조(50)에 대한 위치제한을 수행하여, 밀봉 구조(50)가 직선통 구간(273)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킹 구간(274)은 리벳팅 방식에 의해 형성되어, 생산이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통 부재(20)는 밀봉 링(201)을 더 포함한다. 밀봉 링(201)은 연통 본체(200)의 단면 상에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밀봉 링(201)은 제2 채널(24)의 개구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밀봉 링(201)은 제2 챔버(22) 내에 위치한다. 밀봉 구조(50)가 차단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밀봉 구조(50)는 밀봉 링(201)과 맞닿는다. 이처럼 밀봉 구조(50)와 밀봉 링(201)의 긴밀한 매칭을 통해 밀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밀봉 링(201)은 밀봉 구조(50)를 향하는 일측이 필릿 구조, 뾰족한 모서리 구조 또는 평면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구조(50)는 구형 구조이다. 이는 스로틀 밸브의 밀봉성을 향상시킨다. 밀봉 구조(50)는 탄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구조(50)와 접촉되는 유체, 예를 들어 냉매는 고무류의 밀봉 재료를 부식시키거나 그 성능을 변화시켜 밀봉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때 밀봉 구조(50)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강 재료로 제작되며, 스테인리스강 볼 또는 스테인리스강 기둥 등 직선통 구간(273)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임의 구조일 수 있다.
[실시예 6]
도 29 내지 33은 본 출원 실시예 6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구조도이다.
실시예 6과 실시예 5의 차이점은, 밀봉 구조(50)의 구조가 상이하다는 것이다.
실시예 6에서 밀봉 구조(50)는 가이드 슬리브(51) 및 밀봉부(52)를 포함한다. 가이드 슬리브(51)는 제2 연결 구간(27)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밀봉부(52)는 가이드 슬리브(51) 내에 설치된다. 밀봉부(52)는 탄성 재료로 제작된다. 밀봉부(52)는 제2 채널(24)을 차단하는 데 사용된다. 가이드 슬리브(51)는 스테인리스강 재료로 제작되며 제2 연결 구간(27)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렇게 조합된 밀봉 구조(50)의 이동은 더욱 원활하다.
구체적으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슬리브(51)는 양단이 개방된 구조이며, 가이드 슬리브(51)의 양단은 모두 밀봉부(52)와 리벳팅된다. 리벳팅 방식을 채택하면, 연결이 확실하고 가공이 용이하다.
또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슬리브(51)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구조이다. 가이드 슬리브(51)는 개방된 일단이 밀봉부(52)와 리벳팅된다. 이는 마찬가지로 가이드 슬리브(51)와 밀봉부(52)의 우수한 연결 및 위치제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가이드 슬리브(51)는 두꺼운 벽 통(511) 및 두꺼운 벽 통(511) 단부에 설치되는 얇은 벽 통(512)을 포함한다. 밀봉부(52)는 두꺼운 벽 통(511) 내에 위치하며, 얇은 벽 통(512)은 밀봉부(52)와 리벳팅된다. 얇은 벽 통(512)의 벽 두께는 두꺼운 벽 통(511)보다 얇다. 이는 리벳팅 작업을 용이하게 만든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52)는 본체(521) 및 본체(521) 상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환형체(522)를 포함한다. 본체(521)의 외벽은 가이드 슬리브(51)의 내벽과 접촉되고, 환형체(522)는 제2 채널(24)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환형체(522) 설치를 통해, 밀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밀봉 헤드(33)와 제1 밸브 시트(31)가 리벳팅되고, 연통 부재(20)와 밸브관(10)이 리벳팅된다. 이러한 연결은 강도가 높다. 연통 부재(20)와 제1 밸브 시트(31)는 나사산 연결되거나, 연통 부재(20)와 제1 밸브 시트(31)는 리벳팅된다. 스로틀 밸브는 2개의 스트레이너(80)를 더 포함한다. 제1 밸브 시트(31)와 연통 부재(20)는 2개의 스트레이너(80) 사이에 위치한다.
[실시예 7]
도 34는 본 출원 실시예 7에 따른 열교환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실시예 7은 열교환 시스템을 제공한다. 열교환 시스템은 압축기(91), 실내 열교환기(92), 실외 열교환기(93), 온도 강하 모듈(94) 및 2개의 상술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를 포함한다. 실내 열교환기(92)와 실외 열교환기(93)는 모두 압축기(91)와 연결된다. 실내 열교환기(92)는 하나의 스로틀 밸브를 통해 온도 강하 모듈(94)과 연결된다. 실외 열교환기(93)는 다른 하나의 스로틀 밸브를 통해 온도 강하 모듈(94)과 연결된다. 2개의 스로틀 밸브의 스로틀 방향은 반대이다. 온도 강하 모듈(94)은 제어기, 방열기로 이해할 수도 있다. 해당 방식은 에너지 이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어 녹색 친환경적이다. 스로틀 밸브는 모세관을 대체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기기에서는 전자 팽창 밸브를 대체할 수도 있으며, 비용을 절감시킨다.
상기 실시방식의 각 기술적 특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실시방식 중 각 기술적 특징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의 조합에 모순이 없는 한 이는 모두 본 발명에 기술된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실시예가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한다. 본 출원의 사상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를 적절하게 변경 및 수정한 것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36)

  1.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밸브관;
    상기 밸브관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관 내부를 제1 밸브 캐비티와 제2 밸브 캐비티로 구분하는 연통 부재 - 상기 연통 부재에는 제1 챔버, 제2 챔버,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연통 부재의 상기 제1 밸브 캐비티에 근접한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연통 부재의 상기 제2 밸브 캐비티에 근접한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밸브 캐비티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2 챔버와 상기 제1 밸브 캐비티를 연통시킴 - ;
    상기 제1 챔버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1 밸브 캐비티 사이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챔버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2 밸브 캐비티 사이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연통 부재의 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직선형 채널로 설치되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연통 부재의 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직선형 채널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연통 부재의 외벽에 연통되는 제1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밸브 캐비티를 연통시키고, 상기 연통 부재는 상기 제1 채널의 제1 포트 지점에 환형의 제1 오목홈이 설치되고; 및/또는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연통 부재의 외벽에 연통되는 제2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밸브 캐비티를 연통시키고, 상기 연통 부재는 상기 제2 채널의 제2 포트 지점에 환형의 제2 오목홈이 설치되는 스로틀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는 기둥형 구조이고, 상기 연통 부재의 외부 중간 구간에는 환형 외부 보스가 설치되고, 상기 환형 외부 보스와 상기 밸브관 중 하나에는 위치제한 돌기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위치제한 오목홈이 설치되고, 상기 돌기와 상기 위치제한 오목홈은 서로 매칭되어 상기 연통 부재와 상기 밸브관 사이의 밀봉 연결을 구현하는 스로틀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는 상기 제1 밸브 캐비티 내에 위치하는 제1 연결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제1 연결 구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연결 구간의 외벽과 상기 밸브관의 내벽 사이는 제1 갭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연결 구간의 외벽에 연통되는 제2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포트는 상기 제1 갭과 연통되고; 및/또는
    상기 연통 부재는 상기 제2 밸브 캐비티 내에 위치하는 제2 연결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챔버는 제2 연결 구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연결 구간의 외벽과 상기 밸브관의 내벽 사이는 제2 갭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2 연결 구간의 외벽에 연통되는 제1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제2 갭과 연통되는 스로틀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 상기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동축으로 설치되는 스로틀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상기 연통 부재와 용접 연결되고, 상기 제1 챔버는 단차 홀로 설치되고, 상기 단차 홀은 공경이 비교적 큰 일단이 상기 연통 부재의 일단면을 관통하고; 및/또는
    상기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상기 연통 부재와 용접 연결되고, 상기 제2 챔버는 단차 홀로 설치되고, 상기 단차 홀은 공경이 비교적 큰 일단이 상기 연통 부재의 타단면을 관통하는 스로틀 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제1 시트 캐비티, 제1 밸브 포트 및 제1 개구가 설치된 제1 밸브 시트 -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시트 캐비티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 시트 캐비티와 연통되고,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상기 제1 챔버에 근접하게 설치됨 - ;
    상기 제1 시트 캐비티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밸브 포트의 유통 면적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1 밸브 니들;
    상기 제1 개구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밸브 시트와의 사이에 상기 제1 시트 캐비티와 상기 제1 밸브 캐비티를 연통시키는 공극이 있는 제1 밀봉 헤드; 및
    양단이 상기 제1 밸브 니들과 상기 제1 밀봉 헤드에 각각 맞닿아, 상기 제1 밸브 니들이 상기 제1 밸브 포트의 유통 면적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갖도록 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스로틀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 캐비티는 서로 연통하는 제1 가이드 홀 및 제1 공정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홀은 상기 제1 밸브 포트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공정 홀은 상기 제1 개구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공정 홀의 공경은 상기 제1 가이드 홀의 공경보다 크거나 같은 스로틀 밸브.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시트는 제1 소음 캐비티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소음 캐비티는 상기 제1 밸브 포트의 상기 제1 시트 캐비티에서 먼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연통되고, 상기 제1 소음 캐비티의 내경은 상기 제1 밸브 포트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제1 시트 캐비티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제1 채널 일단은 상기 제1 소음 캐비티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1 소음 캐비티의 연통 지점에는 제1 플레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플레어링의 내경은 상기 제1 채널에 근접한 일단에서 상기 제1 소음 캐비티에 근접한 일단까지 점차 증가하는 스로틀 밸브.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제2 시트 캐비티, 제2 밸브 포트 및 제2 개구가 설치된 제2 밸브 시트 - 상기 제2 밸브 포트와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2 시트 캐비티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 시트 캐비티와 연통되고, 상기 제2 밸브 포트는 상기 제2 챔버에 근접하게 설치됨 - ;
    상기 제2 시트 캐비티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밸브 포트의 유통 면적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2 밸브 니들;
    상기 제2 개구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밸브 시트와의 사이에 상기 제2 시트 캐비티와 상기 제2 밸브 캐비티를 연통시키는 공극이 있는 제2 밀봉 헤드; 및
    양단이 상기 제2 밸브 니들과 상기 제2 밀봉 헤드에 각각 맞닿아, 상기 제2 밸브 니들이 상기 제2 밸브 포트의 유통 면적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갖도록 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스로틀 밸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 캐비티는 서로 연통하는 제2 가이드 홀 및 제2 공정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 홀은 상기 제2 밸브 포트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공정 홀은 상기 제2 개구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공정 홀의 공경은 상기 제2 가이드 홀의 공경보다 크거나 같은 스로틀 밸브.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시트는 제2 소음 캐비티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2 소음 캐비티는 상기 제2 밸브 포트의 상기 제2 시트 캐비티에서 먼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밸브 포트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소음 캐비티의 내경은 상기 제2 밸브 포트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제2 시트 캐비티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제2 채널 일단은 상기 제2 소음 캐비티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2 소음 캐비티의 연통 지점에는 제2 플레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2 플레어링의 내경은 상기 제2 채널에 근접한 일단에서 상기 제2 소음 캐비티에 근접한 일단까지 점차 증가하는 스로틀 밸브.
  13. 제1항에 있어서,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제1 밸브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시트의 외벽 상에는 제1 위치제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연통 부재는 연통 본체 및 제1 연결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구간은 상기 연통 본체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제1 연결 구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밸브 시트의 일부분은 상기 제1 연결 구간의 상기 제1 챔버 내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구간의 단부와 상기 제1 위치제한 홈은 고정 연결되는 스로틀 밸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시트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본체 구간, 네킹 구간 및 연결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구간, 상기 네킹 구간 및 상기 연결 구간 사이의 영역은 상기 제1 위치제한 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 구간은 상기 제1 챔버 내에 관통 설치되는 스로틀 밸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간의 외벽 상에는 환형 단차가 구비되고, 상기 스로틀 밸브는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환형 단차 내에 설치되는 스로틀 밸브.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간의 외벽 상에는 환형 홈이 구비되고, 상기 스로틀 밸브는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환형 홈 내에 설치되는 스로틀 밸브.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간은 통형 구조이고, 상기 제1 연결 구간의 내벽과 상기 연결 구간의 외벽은 억지 끼워맞춤으로 매칭되는 스로틀 밸브.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시트의 외벽 상에는 위치제한 평면이 구비되고, 상기 위치제한 평면과 상기 제1 연결 구간의 내벽은 위치제한 매칭되어, 상기 제1 밸브 시트의 둘레 방향 위치를 제한하는 스로틀 밸브.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제1 밸브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시트는 제1 밸브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제1 밸브 니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니들은 상기 제1 밸브 시트의 캐비티체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밸브 니들은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차단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밸브 니들의 외벽 상에는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가 구비되는 스로틀 밸브.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니들은 제1 니들체부 및 제1 니들체부 일단에 설치되는 제1 니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제1 니들체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니들부는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차단하는 데 사용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니들체부의 양단은 모두 필릿을 구비하는 스로틀 밸브.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의 외벽 상에는 위치제한 오목홈이 설치되고, 상기 밸브관의 측벽 상에는 위치제한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 돌기와 상기 위치제한 오목홈은 클램핑되는 스로틀 밸브.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제1 밸브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시트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본체, 테이퍼형 구간 및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형 구간의 반경 방향 치수는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 치수보다 크고, 상기 연결부는 수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연통 부재는 연통 본체 및 상기 연통 본체 일단에 설치되는 제1 연결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구간은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암나사산과 상기 수나사산은 매칭되며, 상기 테이퍼형 구간의 둘레는 상기 제1 연결 구간과 맞닿는 스로틀 밸브.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산과 상기 수나사산은 모두 테이퍼 나사인 스로틀 밸브.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형 구간은 제1 테이퍼형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테이퍼형면과 상기 테이퍼형 구간의 축선 사이의 협각은 A이고, 상기 제1 연결 구간 내에는 제2 테이퍼형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테이퍼형면과 상기 제1 연결 구간의 축선 사이의 협각은 B이고, 여기에서 A<B이고, 상기 제1 테이퍼형면의 둘레는 상기 제2 테이퍼형면과 맞닿는 스로틀 밸브.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통형 구조이고, 상기 연결부의 측벽 상에는 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연결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로틀 밸브.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2개이고, 2개의 상기 슬롯은 상기 연결부를 두 부분으로 나누는 스로틀 밸브.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시트의 외벽 상에 조립 평면이 구비되거나, 상기 연통 부재의 외벽 상에 조립 평면이 구비되는 스로틀 밸브.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는 연통 본체, 연통 본체 일단에 설치되는 제1 연결 구간 및 연통 본체 타단에 설치되는 제2 연결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연통 본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챔버는 제1 연결 구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챔버는 제2 연결 구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연결 구간의 측벽은 사이드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밸브 코어 어셈블리는 밀봉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밀봉 구조는 상기 제2 연결 구간의 상기 제2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밀봉 구조는 상기 제2 채널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 및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사이드 홀을 회피하는 회피 위치를 구비하는 스로틀 밸브.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구간은 직선통 구간 및 네킹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직선통 구간의 일단은 상기 연통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네킹 구간은 상기 직선통 구간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네킹 구간의 반경 방향 치수는 상기 직선통 구간의 반경 방향 치수보다 작고, 상기 사이드 홀은 상기 직선통 구간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밀봉 구조는 상기 직선통 구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네킹 구간의 내벽과 상기 밀봉 구조는 스톱되도록 매칭되는 스로틀 밸브.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는 밀봉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 링은 상기 연통 본체의 단면 상에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밀봉 링은 상기 제2 채널의 개구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밀봉 링은 제2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밀봉 구조가 상기 차단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밀봉 구조는 상기 밀봉 링과 맞닿는 스로틀 밸브.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구조는 구형 구조인 스로틀 밸브.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구조는 가이드 슬리브 및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상기 제2 연결 구간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밀봉부는 탄성 재료로 제작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제2 채널을 차단하는 데 사용되는 스로틀 밸브.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양단이 개방된 구조이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양단은 모두 상기 밀봉부와 리벳팅되는 스로틀 밸브.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구조이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개방된 일단이 상기 밀봉부와 리벳팅되는 스로틀 밸브.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환형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벽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내벽과 접촉되고, 상기 환형체는 상기 제2 채널과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스로틀 밸브.
  36. 열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시스템은 압축기,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온도 강하 모듈 및 2개의 스로틀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로틀 밸브는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로틀 밸브이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모두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하나의 상기 스로틀 밸브를 통해 상기 온도 강하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다른 하나의 상기 스로틀 밸브를 통해 상기 온도 강하 모듈과 연결되고, 2개의 상기 스로틀 밸브의 스로틀 방향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시스템.
KR1020237000111A 2020-07-15 2021-07-13 스로틀 밸브 및 열교환 시스템 KR202300185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679921.0 2020-07-15
CN202010679921.0A CN111998577A (zh) 2020-07-15 2020-07-15 双向节流阀
CN202010912230.0A CN114198539B (zh) 2020-09-02 2020-09-02 流量阀
CN202010912230.0 2020-09-02
CN202010930717.1A CN114151578A (zh) 2020-09-07 2020-09-07 流量阀
CN202010930717.1 2020-09-07
CN202011034402.5A CN114279112B (zh) 2020-09-27 2020-09-27 节流阀及换热系统
CN202011034402.5 2020-09-27
PCT/CN2021/106024 WO2022012537A1 (zh) 2020-07-15 2021-07-13 节流阀及换热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519A true KR20230018519A (ko) 2023-02-07

Family

ID=7955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111A KR20230018519A (ko) 2020-07-15 2021-07-13 스로틀 밸브 및 열교환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478846B2 (ko)
KR (1) KR20230018519A (ko)
WO (1) WO2022012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3051A (zh) * 2022-05-27 2022-08-19 冰山松洋生物科技(大连)有限公司 接头结构、培养箱消杀系统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2698B2 (ja) * 1995-08-29 2003-09-29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双方向定圧膨張弁
JP2001027342A (ja) 1999-07-14 2001-01-30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バルブ
JP4106867B2 (ja) 2000-12-20 2008-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流量制御装置、空気調和装置
JP4451407B2 (ja) 2005-07-22 2010-04-14 太平洋工業株式会社 双方向定圧膨張弁
CN201297812Y (zh) 2008-10-24 2009-08-26 金仁召 一种家用空调节流管
CN202420050U (zh) * 2012-01-17 2012-09-05 新昌县富士精工科技有限公司 空调用双向节流阀
CN102878733B (zh) * 2012-10-26 2015-09-30 温岭市恒发空调部件有限公司 一种膨胀阀组件和单向膨胀阀及双向流通膨胀阀
JP5971871B2 (ja) 2014-04-21 2016-08-17 株式会社鷺宮製作所 絞り装置
JP6404191B2 (ja) 2015-06-03 2018-10-10 株式会社鷺宮製作所 絞り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JP6817914B2 (ja) 2017-08-28 2021-01-20 株式会社鷺宮製作所 絞り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JP6687821B1 (ja) 2018-10-25 2020-04-28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フロート式逆止弁
CN109539642A (zh) * 2019-01-18 2019-03-29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节流装置及空调器
CN209926473U (zh) * 2019-03-20 2020-01-1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CN111998577A (zh) * 2020-07-15 2020-11-27 盾安环境技术有限公司 双向节流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2537A1 (zh) 2022-01-20
JP2023534783A (ja) 2023-08-14
JP7478846B2 (ja) 202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9432B1 (en) Reversing valve and cooling system having same
KR20230018519A (ko) 스로틀 밸브 및 열교환 시스템
US20150354876A1 (en) Automatic Two-Way Expansion Valve
JP2021513040A (ja) 電子膨張弁
CN110439785B (zh) 滑阀组件、压缩机及制冷装置
CN111998577A (zh) 双向节流阀
CN215763449U (zh) 流体控制组件
CN212746974U (zh) 节流装置及空调系统
KR20240052059A (ko) 리버싱 밸브
WO2020238825A1 (zh) 涡旋压缩机
JP6378114B2 (ja) スライド弁及び冷凍サイクル
JP7120618B2 (ja) スプール弁
JP6832299B2 (ja) スライド式切換弁、および、それを備える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WO2019129190A1 (zh) 电磁切换阀
CN112757863B (zh) 流体管理组件、热管理组件及热管理系统
CN214699339U (zh) 组合阀
CN216479056U (zh) 导阀及四通阀
CN219139929U (zh) 四通阀、空调设备及多联机空调设备
CN211503341U (zh) 一种膨胀阀
CN216742973U (zh) 导阀及四通阀
CN220204790U (zh) 一种单向式自调节膨胀阀
CN110397758B (zh) 一种膨胀阀及补气增焓系统
CN113623902B (zh) 节流装置及空调系统
CN114279112B (zh) 节流阀及换热系统
CN220168643U (zh) 截止阀及空调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