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422A - 잉크, 이것을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잉크, 이것을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422A
KR20230000422A KR1020220060714A KR20220060714A KR20230000422A KR 20230000422 A KR20230000422 A KR 20230000422A KR 1020220060714 A KR1020220060714 A KR 1020220060714A KR 20220060714 A KR20220060714 A KR 20220060714A KR 20230000422 A KR20230000422 A KR 20230000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printing
tablet
blue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미 고바야시
나츠키 아사미
Original Assignee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00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42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2Pigment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23Digital print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ink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8Printing inks based on natur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Ink Jet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칼리성 정제에의 인쇄에 적합한 잉크, 이것을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는, 알칼리성 정제에 청색 또는 푸른 기를 포함한 색으로 식별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잉크젯용 잉크로서, 적어도 식용 청색 1호와 셀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잉크, 이것을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INK,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ING TABLET USING THE SAME, AND TABLET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잉크, 이것을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제에 있어서, 문자나 기호 등의 식별 정보를 인쇄함으로써, 정제의 식별성을 높여, 조제자에 의한 조제 미스 방지나, 사용자의 오음(誤飮) 방지 등이 도모되고 있다.
정제에의 인쇄 방법으로는, 잉크젯 방식의 인쇄를 들 수 있다. 잉크젯 방식의 인쇄에 따르면, 정제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인쇄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OD정(구강내 붕괴정)과 같은 붕괴의 우려가 높은 정제에 대해서도 적합하게 인쇄를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잉크젯 방식의 인쇄에 있어서, 염료를 포함한 잉크(염료 잉크)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염료 잉크에 따르면, 안료를 포함한 잉크에 비해 인쇄된 문자 등이 진하게 발색되기 쉬워, 식별 정보의 시인성이 좋아진다. 또한, 안료를 포함한 잉크는, 안료가 용매에 분산된 상태이기 때문에, 잉크젯 헤드의 노즐로부터의 토출성이 나빠, 토출 불량을 일으켜, 인쇄 불량이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염료 잉크에 있어서는, 염료가 용매에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젯 헤드의 노즐로부터의 토출성을 확보하기 쉬워 인쇄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36279호 공보
본 발명은, 알칼리성 정제에의 인쇄에 적합한 잉크, 이것을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는, 알칼리성 정제에 식별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잉크젯용 잉크로서, 적어도 식용 청색 1호를 포함한 색소와, 셀락과, 물, 그리고 에탄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의 제조 방법은,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인쇄 헤드에, 상기한 잉크를 공급하고, 상기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알칼리성 정제에 대하여 상기한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로 식별 정보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는, 알칼리성 정제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알칼리성 정제에 대하여,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인쇄를 행하는 인쇄 헤드를 가지며,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잉크젯 방식의 인쇄에서는, 잉크젯 헤드 내에 충전된 잉크를 잉크젯 헤드 선단의 노즐에 있는 개구로부터 토출한다. 이 노즐의 개구 내 혹은 개구 주변에서 잉크가 건조되어 부착되고, 개구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막히면, 토출 불량이 된다. 또한, 잉크의 점성이 높으면, 노즐로부터 정상적으로 토출될 수 없어, 토출 불량이 된다. 인쇄 대상인 정제의 표면에는, 잉크젯 헤드의 노즐로부터 토출된 잉크의 액적이 착탄(着彈)되고, 이 착탄된 액적에 의해 형성되는 인쇄 도트(점)를 조합하여, 점묘로 문자나 기호 등이 인쇄된다. 이때, 토출 불량이 있으면, 문자나 기호가 되는 패턴으로 인쇄 도트가 형성되지 않아, 인쇄가 흐려 보이거나, 원하는 문자나 기호로 보이지 않거나 하여, 인쇄 불량이 된다.
또한, 정제의 표면에 착탄된 잉크가 좀처럼 건조되지 않으면, 인쇄 후의 반송 등으로 잉크가 벗겨지거나, 다른 정제나 반송 장치 등에 부착되어 더럽혀질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정제의 인쇄에 사용하는 잉크젯용 잉크의 특성으로서, 노즐로부터의 토출성과, 인쇄 후의 건조성을 겸비할 필요가 있다.
정제에는, 알칼리성 원료를 함유하고 있거나 혹은 알칼리성 성분으로 코팅되어 있어, 그 표면(적어도 인쇄 대상 부위)이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정제(이하, 단순히 「알칼리성 정제」라고 함)가 있다. 알칼리성 정제에 대하여, 염료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면, 염료에 따라서는, 경시적으로, 인쇄한 문자 등이 변색이나 번짐을 일으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청색 잉크에 있어서는, 예컨대 청색 염료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식용 청색 1호(브릴리언트 블루 FCF)를 포함한 잉크로 알칼리성 정제에 인쇄하여, 온도 40℃, 습도 75% RH의 환경 하에 보관하면, 인쇄된 식별 정보가 1∼2일 만에 연보라색으로 변색되고, 번짐이 발생한다. 즉, 인쇄 직후의 색 혹은 원하는 색(소정의 색)과 상이한 색으로 변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예컨대 청색을 포함한 기업의 로고 마크나, 일러스트 등을 인쇄한 경우에는, 그 인상이 변해 버린다. 또한, 문자를 인쇄했을 때에는, 발생한 번짐에 의해, 문자가 불선명해져서 정제의 식별성이 저하된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들은, 알칼리성 정제에 대하여, 색소로서 식용 청색 1호를 이용한 경우에도 적합하게 식별 정보를 인쇄할 수 있는 잉크를 발명하였다.
[잉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잉크는, 잉크젯용 잉크이며, 특히 알칼리성 정제에의 인쇄에 적합한 청색 잉크이다. 색소로서 적어도 식용 청색 1호를 포함하고, 수지로서 적어도 셀락을 포함한다. 그 밖에, 필요에 따라, 유화제, 착향료, 방부제 등을 배합하여도 좋다. 잉크의 조제에 있어서는, 각 조성물로서, 일본약국방이나 식품 첨가물 공정서에서 인정된 것 등, 식용 가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소)
본 실시형태의 잉크는, 색소로서 적어도 식용 청색 1호(브릴리언트 블루 FCF)를 포함한다. 또한, 식용 청색 1호와 함께 치자나무 청색소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잉크는 상기한 식용 청색 1호나, 치자나무 청색소 이외에 다른 색소를 더 병용함으로써, 청색이나, 푸른 기를 포함한 원하는 색으로 조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의 색소로는, 종래 공지의 합성 식용 색소, 천연 식용 색소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푸른 기를 포함한 색이란, 예컨대 녹색이나 보라색 등, 색 성분에 청을 포함한 색을 말한다.
합성 식용 색소로서, 예컨대, 타르계 색소, 천연 색소 유도체, 천연계 합성 색소, 이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고, 타르계 색소로는, 식용 적색 2호, 식용 적색 3호, 식용 적색 40호, 식용 적색 102호, 식용 적색 104호, 식용 적색 105호, 식용 적색 106호, 식용 황색 4호, 식용 황색 5호, 식용 청색 2호, 식용 적색 2호 알루미늄레이크, 식용 적색 3호 알루미늄레이크, 식용 적색 40호 알루미늄레이크, 식용 황색 4호 알루미늄레이크, 식용 5호 알루미늄레이크, 식용 청색 2호 알루미늄레이크 등, 천연 색소 유도체로는, 동클로로필, 동클로로필린나트륨, 노르빅신칼륨 등, 천연계 합성 색소로는, β-카로틴, 리보플라빈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식용 색소로는, 예컨대, 식물 탄말 색소, 안토시아닌계 색소, 카로티노이드계 색소, 퀴논계 색소, 플라보노이드계 색소, 베타인계 색소, 모나스커스 색소, 그 밖의 천연물을 기원으로 하는 색소를 들 수 있다. 안토시아닌계 색소로는, 적무 색소, 적양배추 색소, 적미 색소, 엘더베리 색소, 카우베리 색소, 구즈베리 색소, 크랜베리 색소, 새먼베리 색소, 차조기 색소, 팀블베리 색소, 스트로베리 색소, 다크 스위트 체리 색소, 체리 색소, 히비스커스 색소, 허클베리 색소, 포도 과즙 색소, 포도 과피 색소, 블랙커런트 색소, 블랙베리 색소, 블루베리 색소, 플럼 색소, 워슬베리 색소, 보이젠베리 색소, 뽕나무 색소, 자색고구마 색소, 자색옥수수 색소, 자색마 색소, 라즈베리 색소, 레드커런트 색소, 로건베리 색소, 그 밖의 안토시아닌계 색소를 들 수 있다.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로는, 아나토 색소, 치자나무 황색소, 그 밖의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를 들 수 있다. 퀴논계 색소로는, 코치닐 색소, 자근 색소, 락 색소, 그 밖의 퀴논계 색소를 들 수 있다. 플라보노이드계 색소로는 홍화 황색소, 고량 색소, 양파 색소, 그 밖의 플라보노이드계 색소를 들 수 있다. 베타인계 색소로는, 비트 레드 색소를 들 수 있다. 모나스쿠스 색소로는, 홍국 색소, 홍국 황색소를 들 수 있다. 그 밖의 천연물을 기원으로 하는 색소로는 울금 색소, 치자나무 적색소, 스피루리나 청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색소의 함유량은, 잉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10 중량 퍼센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8 중량 퍼센트이다. 색소의 함유량이 0.1 중량 퍼센트보다 적으면 인쇄색이 흐려 시인성이 나빠진다. 또한, 10 중량 퍼센트보다 많으면 잉크 점도의 상승에 의해, 잉크가 정상적으로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인쇄 불량이 된다.
(수지)
수지 성분을 잉크에 배합함으로써, 정제에의 잉크의 밀착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정제에 인쇄된 후에 건조되어 피막이 되기 때문에, 내찰과성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잉크에 있어서는, 수지로서 셀락을 사용한다. 셀락이란, 랙깍지벌레가 분비하는 수지형 물질을 정제하여 얻어진 수지이며, 복수 종의 수지산 에스테르, 왁스, 색소 등의 혼합물이다. 잉크에의 배합에는, 셀락에 표백 처리가 행해진 백색 셀락이나, 색소나 왁스를 제거하는 처리가 행해진 정제 셀락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에 셀락을 배합함으로써, 잉크의 점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노즐로부터 토출하기 위해 적당한 점도로 조정할 수 있다.
셀락의 함유량은, 잉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5∼10 중량 퍼센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중량 퍼센트이다. 셀락의 함유량이 0.5 중량 퍼센트보다 적으면, 알칼리성 정제에 인쇄하여, 온도 40℃, 습도 75% RH의 환경 하에 보관했을 때에, 인쇄된 식별 정보가 1∼2일 만에 연보라색으로 변색되고, 번짐이 발생해 버린다. 또한, 10 중량 퍼센트보다 많으면 잉크 점도의 상승에 의해, 잉크가 정상적으로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인쇄 불량이 된다.
(pH 조정제)
셀락은, 알코올류에 용해되는 것 외에, 알칼리성 수용액에도 용해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잉크를 알칼리성으로 만듦으로써, 셀락이 석출되지 않고 용해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pH 조정제로는, 식품 첨가물로서 인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락을 포함한 잉크가 인쇄된 후에 내수성을 얻기 위해, 잉크가 건조될 때에 휘발되는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탄산암모늄이나, 탄산수소암모늄을 사용할 수 있다. 잉크의 pH는 6.5∼1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탄올)
에탄올은, 천연 양조의 발효 에틸알코올이나 사탕수수 알코올 등이 바람직하다. 에탄올의 함유량은, 잉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5∼60 중량 퍼센트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 퍼센트이다. 에탄올의 함유량이 5 중량 퍼센트보다 적으면 잉크의 건조성이 나빠, 예컨대, 건조에 인쇄 후 3초 이상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인쇄 후의 반송 등으로 인해 잉크가 벗겨지거나, 다른 정제나 반송 장치 등에 부착되어 더럽혀진다. 또한, 잉크의 표면 장력이 높아져서 인쇄된 잉크가 정제의 표면에 튀기 쉬워진다. 즉, 정제의 표면에 젖어 확산되지 않기 때문에 좀처럼 건조되지 않고, 정제 표면과의 접촉 면적이 적기 때문에 부착력이 작아져서, 예컨대 24시간 후에도 문지르면 벗겨지게 된다. 또한, 60 중량 퍼센트보다 많으면 잉크젯 노즐의 개구 내 혹은 개구부 주변에서 잉크가 건조되어 부착되고, 개구부를 막음으로써 토출 불량이나, 토출된 잉크의 비상 방향의 어긋남이 발생하여, 인쇄 불량이 된다.
(수용성 고비점 유기용제)
수용성 고비점 유기용제는, 잉크젯 헤드의 노즐의 건조를 막을 목적으로 사용한다. 수용성 고비점 유기용제로는, 예컨대,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으로부터 1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수용성 고비점 유기용제의 함유량은, 잉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60 중량 퍼센트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 중량 퍼센트이다. 수용성 고비점 유기용제가 1중량 퍼센트보다 적으면, 잉크젯 노즐에서의 잉크의 건조에 의한 인쇄 불량이 된다. 또한, 60 중량 퍼센트보다 많으면, 잉크 점도의 상승에 의해, 잉크가 정상적으로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인쇄 불량이 된다.
(유화제)
유화제는, 예컨대, 레시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로부터 수용성인 것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유화제는 반드시 배합하지는 않아도 좋지만, 배합하는 경우의 유화제의 함유량은, 잉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5 중량 퍼센트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 중량 퍼센트이다. 함유량이, 0.01 중량 퍼센트보다 적으면, 잉크의 표면 장력이 커져, 노즐 개구부로부터 적절한 메니스커스 상태가 되지 않는 일이 일어나기 때문에, 노즐로부터 잉크가 토출되거나, 토출되더라도 소정의 위치에 착탄되지 않거나 함으로써 인쇄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5 중량 퍼센트보다 많으면, 잉크의 증점이나, 시간의 경과와 함께 석출물이 생김으로써, 노즐이 막히거나 하여, 역시 인쇄 불량이 발생한다.
(잉크의 제조)
다음에, 표 1에 나타낸 실시예 및 비교예로써 본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일례이며,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2는, 표 1에 나타낸 각 조성물을, 표 1에 나타낸 배합 비율로 조제하였다. 또한, 표 1에 나타낸 배합 비율은, 모두 중량 퍼센트에 의한 표시이다. 실시예 1∼3은, 식용 청색 1호와 셀락을 배합한 잉크이다. 비교예 1은 색소로서 식용 청색 1호를 배합한 잉크이며(셀락은 포함하지 않음), 비교예 2는 색소로서 치자나무 청색소를 배합한 잉크이다.
또한, 비교예 1에 대해서는, 셀락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프로필렌글리콜의 비율을 늘림으로써, 잉크젯 헤드에 의한 인쇄에 있어서, 적당한 점도가 되도록 조정하고 있다. 비교예 2에 대해서는, 치자나무 청색소를 용해시키기 위해, 다른 실시예나 비교예와 비교하여, 정제수의 비율이 높고, 에탄올의 비율이 낮게 되어 있다.
조제의 조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표 1에 나타낸 색소를 제외한 전부를 50℃로 가온하면서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각 성분이 용해된 후, 표 1에 나타낸 색소를 혼합하여, 50℃에서 1시간 더 교반하였다. 그 후 1시간 정치시키고, 실온이 될 때까지 냉각하고 나서 여과함으로써 잉크를 조제하였다.
또한, 혼합하는 색소는, 분체(粉體)의 상태여도 좋고, 물 등의 액체에 용해시킨 용액이나, 분산시킨 페이스트형으로 하여도 좋다. 최종적으로, 색소가 균등하게 용해 혹은 혼합되면 좋다.
Figure pat00001
(잉크의 평가)
조제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2의 잉크에 대해서,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노즐로부터의 토출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인쇄 대상의 정제에 문자를 인쇄하고, 인자(印字)의 내광성, 인자의 경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각 평가 방법은 후술함). 각 평가에 있어서는, 알칼리성 정제의 일종인 산화마그네슘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OD정을 인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노즐로부터의 토출성 평가>
노즐로부터의 토출성은, 잉크젯 헤드에 잉크를 충전하고, 15분 방치한 후에, 인쇄 테스트를 행하여, 인쇄 불량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 각 인쇄 도트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 인쇄 도트의 결손이 있거나 또는(/및) 각 인쇄 도트가 소정 위치에 착탄되지 않았다.
<인자의 내광성 평가>
인자의 내광성은, 정제에 인쇄한 후, 무포장 상태에서 1000룩스로, 50일간 광노출시켜, 인자의 퇴색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 인자에 퇴색은 보이지 않았다.
×: 인자가 퇴색되었다.
<인자의 경시 안정성 평가>
인자의 경시 안정성은, 인쇄한 정제를 40℃, 75% RH의 환경 하에, 2주간 보관하고, 인쇄 직후와 비교하여, 문자의 번짐 유무와, 색의 변화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번짐은 없고, 변색도 없었다.
△: 원하는 색과 상이한 색으로 약간 변색되었다. 또는(/및) 인자의 시인에 문제없을 정도로 번짐이 보였다.
×: 원하는 색과 상이한 색으로 변색되었다. 또는(/및) 인자가 번져, 읽기 어렵게 되었다.
(결과)
표 1에 나타낸 실시예 1∼3의 실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색소로서 식용 청색 1호를 사용하고, 수지로서 셀락을 배합한 잉크는, 알칼리성 정제에의 인쇄에 사용한 경우에, 인자의 내광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잉크였다. 또한, 색소로서 식용 청색 1호 이외에 치자나무 청색소도 배합한 잉크가 특히 양호하였다. 이하, 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잉크는, 색소로서 식용 청색 1호를 포함하고, 수지로서 셀락을 포함한다. 실시예 1의 잉크를 잉크젯 헤드에 충전하고, 인쇄를 행한 결과, 각 인쇄 도트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었다. 내광성 평가에 있어서, 알칼리성 정제에 인쇄된 인자는, 인쇄 직후의 색과 변화가 없었다. 경시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는, 약간 청색이 흐려지고, 또한 약간의 번짐이 보였지만, 시인에는 문제없는 정도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잉크는, 색소로서, 식용 청색 1호 이외에 치자나무 청색소도 포함하고, 수지로서 셀락을 포함한다. 실시예 2의 잉크를 잉크젯 헤드에 충전하고, 인쇄를 행한 결과, 각 인쇄 도트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었다. 내광성 평가에 있어서, 알칼리성 정제에 인쇄된 인자는, 인쇄 직후의 색과 변화가 없었다. 경시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도, 경시적인 변색이나 번짐은 보이지 않아, 인자를 양호하게 읽을 수 있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잉크도,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색소로서 식용 청색 1호 이외에 치자나무 청색소를 포함한다. 실시예 3의 잉크를 잉크젯 헤드에 충전하고, 인쇄를 행한 결과, 각 인쇄 도트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었다. 내광성 평가에 있어서, 알칼리성 정제에 인쇄된 인자는, 인쇄 직후의 색과 변화가 없었다. 경시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도, 경시적인 변색이나 번짐은 보이지 않아, 인자를 양호하게 읽을 수 있었다.
<비교예 1>
비교예 1의 잉크는, 색소로서 식용 청색 1호를 포함하고, 수지 성분은 포함하지 않는 잉크이다. 비교예 1의 잉크를 잉크젯 헤드에 충전하고, 인쇄를 행한 결과, 각 인쇄 도트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었다. 내광성 평가에 있어서, 알칼리성 정제에 인쇄된 인자는, 인쇄 직후의 색과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경시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 1∼2일 정도 만에 인자가 연보라색으로 변색되었다. 또한, 인자의 번짐도 생겨, 인자를 읽기 어려운 상태가 되었다.
<비교예 2>
비교예 2의 잉크는, 색소로서 치자나무 청색소를 포함하고, 수지 성분은 포함하지 않는 잉크이다. 치자나무 색소를 비롯한 천연 색소로는, 인자에 충분한 농도를 얻기 위해, 다량으로 배합할 필요가 있다. 비교예 1의 잉크에서는, 인자의 시인에 충분한 양의 치자나무 색소를 배합한 결과, 잉크의 점도가 높아져서, 노즐로부터의 토출성이 나빠졌다. 또한, 비교예 2에 나타낸 조성에 있어서도 실시예 1보다 청색의 농도가 흐려지고 있다. 내광성 평가에 있어서는, 인자에 퇴색이 생겨, 인자가 거의 소실되었다. 경시 안정성 평가에서는, 인자의 번짐이나 변색은 보이지 않았다.
(정리)
이상, 설명한 결과로부터,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식용 청색 1호와 셀락을 배합한 잉크에 따르면, 노즐로부터의 토출성이 안정되어, 인쇄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잉크는, 내광성 및 경시 안정성이 높아, 인쇄된 식별 정보의 변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쇄의 번짐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후에, 정제를 보관한 후에도 식별 정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조제 미스나, 오음을 방지할 수 있다.
수지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잉크에 비해 셀락을 포함한 잉크는 내광성·경시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것은, 셀락을 배합함으로써, 인쇄된 잉크는 건조되어 정제 상에서 피막이 되어, 식용 청색 1호의 색소가, 알칼리성 정제의 알칼리에 의한 분해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셀락은, 산을 갖는 수지이기 때문에, 알칼리성 정제와 중화 작용이 일어나 색소에 대한 알칼리의 영향을 작게 억제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식용 청색 1호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또한 발색도 우수한 색소이지만, 알칼리성 정제에의 인쇄에 있어서는, 경시 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사용에는 부적합하였다. 이에 반해, 셀락을 배합함으로써, 식용 청색 1호를 알칼리성 정제의 인쇄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종래, 정제에 인쇄하기 위한 잉크젯용 잉크에 있어서, 셀락이 배합되어 있는 잉크는, 에탄올의 함유량이 높은 것이 많았다(예컨대, 잉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60 중량 퍼센트 정도). 에탄올의 함유량이 높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 불량의 원인이 된다. 셀락이 알칼리성 수용액에 용해되는 것을 이용하고, 잉크의 용매를 예컨대 전술한 pH 조정제를 이용하여 알칼리성으로 조정하면, 에탄올의 함유량을 억제했다고 해도 셀락이 용해된 잉크를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색소로서 식용 청색 1호 이외에 치자나무 청색소도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용 청색 1호와 치자나무 청색소 양쪽 모두를 배합함으로써, 색소가 식용 청색 1호 단독인 경우에 비해 잉크의 경시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비교예 2의 결과로부터, 치자나무 청색소를 포함한 잉크는,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식용 청색 1호 이외에 치자나무 청색소도 배합함으로써, 경시 안정성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정제 인쇄 장치]
정제에의 식별 정보 인쇄에는, 정제 인쇄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정제 인쇄 장치는, 반송 장치와,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갖는다. 반송 장치는, 예컨대 정제를 흡인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흡인 반송 장치이다. 인쇄 헤드는, 반송 장치의 반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인쇄 헤드의 아래쪽을 통과하는 정제를 향해,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하고, 정제에 식별 정보를 인쇄한다. 이 정제 인쇄 장치의 인쇄 헤드에, 전술한 적어도 식용 청색 1호와 셀락을 배합한 잉크를 공급하고, 반송되는 알칼리성 정제에 대하여 인쇄를 행함으로써, 알칼리성 정제에 대하여, 청색 또는 푸른 기를 포함한 색의 식별 정보를 인쇄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잉크에는, 필요에 따라, 착향료, 방부제(정균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하여도 좋다. 물론, 인쇄 대상이 약제나 식품 등인 경우는, 이들도 식용 가능한 것을 선택하면 좋다. 또한, 잉크의 각 조성물을 혼합할 때에, 가열 등의 전처리나 후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잉크의 조제에 있어서의 교반에는, 자석 교반기, 프로펠라 교반기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반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잉크에는, 식물 탄말 색소, 이산화티탄, 알루미늄레이크 등, 소위 안료도 배합하여도 좋다. 안료를 배합한 잉크의 조제에는, 안료의 분산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 분산 처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산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볼밀, 롤밀, 샌드밀, 비드밀 등을 들 수 있다.
잉크의 여과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심 여과, 필터 여과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전술한 정제로는, 적어도 인쇄 대상 부위가 알칼리성이면, 의약용, 음식용, 세정용, 공업용 혹은 방향용으로서 사용되는 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제로는, 전술한 나정(소정)이나 필름 코팅정(필름 코트정) 이외에도 예컨대 당의정, 장용정, 젤라틴 피복정, 다층정, 유핵정 등이 있고, 경질 캡슐이나 연질 캡슐 등 각종 캡슐정도 정제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정제의 형상으로는, 원반형이나 렌즈형, 삼각형, 타원형 등 각종 형상이 있다. 또한, 인쇄 대상의 정제가 약제용이나 음식용인 경우에는, 사용하는 잉크의 조성으로서 식용 가능한 것이 적합하지만, 당연히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식용 가능하지 않은 조성이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 신규한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더불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9)

  1. 알칼리성 정제에 식별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잉크젯용 잉크로서,
    적어도 식용 청색 1호를 포함한 색소와,
    셀락과,
    물, 그리고
    에탄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로서, 치자나무 청색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식용 청색 1호와, 치자나무 청색소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락의 함유량이 0.5∼10 중량 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5. 제1항에 있어서, pH 조정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pH 조정제는, 탄산암모늄 또는 탄산수소암모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의 함유량이 0.1∼10 중량 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성 정제는, 산화마그네슘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8.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인쇄 헤드에, 제1항에 기재된 잉크를 공급하고,
    상기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알칼리성 정제에 대하여 상기 잉크로 청색 또는 푸른 기를 포함한 색의 식별 정보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9. 알칼리성 정제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알칼리성 정제에 대하여,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인쇄를 행하는 인쇄 헤드
    를 가지며,
    상기 인쇄 헤드는, 제1항에 기재된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청색 또는 푸른 기를 포함한 색의 식별 정보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KR1020220060714A 2021-06-24 2022-05-18 잉크, 이것을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 KR202300004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05131A JP2023003827A (ja) 2021-06-24 2021-06-24 インク、これを用いた印刷錠剤の製造方法及び錠剤印刷装置
JPJP-P-2021-105131 2021-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422A true KR20230000422A (ko) 2023-01-02

Family

ID=8469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714A KR20230000422A (ko) 2021-06-24 2022-05-18 잉크, 이것을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2023003827A (ko)
KR (1) KR20230000422A (ko)
CN (1) CN115521660B (ko)
TW (1) TWI825795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6279A (ja) 2010-05-07 2011-11-24 Union Chemicar Co Ltd 可食性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7731A (ja) * 1992-12-28 1994-07-19 Sanei Gen F F I Inc 中性食品の着色法
US5800601A (en) * 1995-11-06 1998-09-01 Videojet Systems International, Inc. Food grade jet inks
JP2006169301A (ja) * 2004-12-14 2006-06-29 Union Chemicar Co Ltd 可食性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JP2007106913A (ja) * 2005-10-14 2007-04-26 Fuji Shikiso Kk インキ組成物
JP2007106915A (ja) * 2005-10-14 2007-04-26 Fuji Shikiso Kk インキ組成物
JP2008179737A (ja) * 2007-01-26 2008-08-07 Toyo Ink Mfg Co Ltd 炭インキ
JP2010047626A (ja) * 2008-08-19 2010-03-04 Union Chemicar Co Ltd 可食性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JP5028442B2 (ja) * 2009-04-13 2012-09-19 紀州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キ、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02101954B (zh) * 2009-12-21 2013-04-24 上海延安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食用油墨基底印字的基质及其制备方法
CN102485814B (zh) * 2010-12-01 2014-04-09 上海全金康馨油墨科技有限公司 药用印刷油墨及其制备方法
CN104487094B (zh) * 2012-07-20 2017-05-17 大塚制药株式会社 表面具有干燥油墨被膜的片剂、及用于喷墨打印机的油墨
JP5744082B2 (ja) * 2013-02-20 2015-07-01 紀州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キ、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5830551B2 (ja) * 2014-01-30 2015-12-09 大原薬品工業株式会社 医薬品錠剤印刷用のインク組成物
JP6264190B2 (ja) * 2014-05-19 2018-01-24 凸版印刷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インクおよび錠剤
JP5995910B2 (ja) * 2014-05-27 2016-09-21 紀州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及びその作製方法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を用いた印字方法
CN105860668A (zh) * 2016-06-07 2016-08-17 湖北科亿华科技有限公司 一种喷墨印刷用的可食用油墨的制备方法及其使用方法
CN106280685A (zh) * 2016-08-17 2017-01-04 湖北科亿华科技有限公司 一种耐水可食用印刷油墨及其制备方法
CN112262183A (zh) * 2018-03-29 2021-01-22 凸版印刷株式会社 喷墨油墨和片剂
WO2019194254A1 (ja) * 2018-04-04 2019-10-10 凸版印刷株式会社 青色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及び錠剤
JP2020029537A (ja) * 2018-08-24 2020-02-27 紀州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及びその作製方法
CN110194906A (zh) * 2019-06-17 2019-09-03 广州素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食用级虫胶混合液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6279A (ja) 2010-05-07 2011-11-24 Union Chemicar Co Ltd 可食性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21660B (zh) 2024-02-27
TW202317713A (zh) 2023-05-01
JP2023061947A (ja) 2023-05-02
JP2023003827A (ja) 2023-01-17
CN115521660A (zh) 2022-12-27
TWI825795B (zh) 202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88212B (zh) 喷墨用水性油墨组合物、固体制剂的印刷图像褪色抑制方法和固体制剂
DE69729080T2 (de) Lebensmittelechten tintenstrahltinten
US6747072B1 (en) White ink for marking candy substrates
JP7084145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インク組成物及び固体製剤
EP4209557A1 (en) Inkjet ink and tablet
JP6264190B2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インクおよび錠剤
EP4209556A1 (en) Inkjet ink and tablet
CN111094475B (zh) 喷墨用水性油墨组合物、固体制剂的印刷图像的褪色抑制方法和固体制剂
JP7243887B2 (ja) 青色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及び錠剤
JP201508557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10047626A (ja) 可食性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JP7246207B2 (ja)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KR20230000422A (ko) 잉크, 이것을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
JP7154956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オーバーコート組成物及び印刷物
TW202409217A (zh) 鹼性片劑
JP2022140301A (ja) インク、これを用いた印刷錠剤の製造方法及び錠剤印刷装置
JP2019094365A (ja)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CN115073971A (zh) 油墨、使用其的印刷片剂的制造方法及片剂印刷装置
JP2001031897A (ja) 卵殻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キ
JP6574065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インク組成物及び固体製剤
JP7061805B2 (ja)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JP7193895B1 (ja) 錠剤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JP2019178215A (ja) 潜像用水性インク前駆体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潜像用水性インク組成物
JP2019094364A (ja)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KR102290817B1 (ko)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 및 고체 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