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817B1 -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 및 고체 제제 - Google Patents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 및 고체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817B1
KR102290817B1 KR1020207004290A KR20207004290A KR102290817B1 KR 102290817 B1 KR102290817 B1 KR 102290817B1 KR 1020207004290 A KR1020207004290 A KR 1020207004290A KR 20207004290 A KR20207004290 A KR 20207004290A KR 102290817 B1 KR102290817 B1 KR 102290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ink
inkjet
ink composition
printed image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9013A (ko
Inventor
유토 에노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3510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065512A1/ja
Publication of KR2020002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2Pigment 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40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e.g. golf balls, candles, wine c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23Digital print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ink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82Digital 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 B41M5/0088Digital 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by ink-jet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3/00L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Abstract

의약품이나 식품 등의 고체 제제 표면에 있어서의 인쇄 화상의 퇴색 및 변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 및 고체 제제가 제공된다.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은, 가식성의 레이크 안료와, 퇴색 억제제를 함유한다. 레이크 안료는, 적색 2 호, 적색 3 호, 적색 40 호, 적색 102 호, 황색 4 호, 황색 5 호, 청색 1 호 및 청색 2 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염료로 이루어지는 특정 레이크 안료를 함유한다. 퇴색 억제제는, 단당류, 이당류, 덱스트린류 및 당알코올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한다. 퇴색 억제제의 함유량은, 상기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50 질량% 이하이다.

Description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 및 고체 제제
이 출원은, 2017년 9월 26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2017-185400 호 및 2018년 9월 14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2018-172657호에 대응하고 있다. 이들 출원의 전체 개시 내용은 여기에 인용에 의해 편입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 및 고체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의약품이나 식품 등의 고체 제제 표면에 형성된 인쇄 화상의 퇴색이나 변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 및 고체 제제에 관한 것이다.
정제나 캡슐제 등에 대한 잉크젯용 잉크는, 안료를 분산시킨 안료 잉크와, 염료를 사용한 염료 잉크로 크게 구별된다. 염료 잉크는, 발색성이 우수하지만, 내습성 및 내광성에 과제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염료 잉크에는, 습기에 의한 번짐의 발생이나 광에 의한 퇴색 등의 과제가 있다. 그 반면, 안료 잉크는, 내습성 및 내광성에서는 우수하지만, 염료와 비교하면 발색성이 떨어진다.
특허문헌 1 은, 상기 서술한 염료와 안료의 양방의 이점을 갖는 가식성 (可食性) 의 잉크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 은, 레이크 안료를 분산시킨 레이크 안료 잉크를 개시하고 있다. 레이크 안료란, 물에 가용성인 염료를 불용화시켜, 안료화한 것이다. 따라서, 레이크 안료 잉크는, 염료 잉크와 같은 선명함을 가지면서, 또한 안료화되어 있기 때문에 내습성을 겸비한다.
그러나, 레이크 안료 잉크에 함유되어 있는 레이크 안료는, 원래가 염료이기 때문에, 내광성의 점에서 과제가 남는다. 즉, 레이크 안료의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되는 염료의 광 분해에 의해 인쇄 화상이 퇴색되고, 채도가 저하된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0-507820호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의약품이나 식품 등의 고체 제제 표면에 있어서의 인쇄 화상의 퇴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 및 고체 제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고체 제제에 대한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은, 가식성의 레이크 안료와, 퇴색 억제제를 함유한다. 상기 레이크 안료는, 적색 2 호, 적색 3 호, 적색 40 호, 적색 102 호, 황색 4 호, 황색 5 호, 청색 1 호 및 청색 2 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염료로 이루어지는 특정 레이크 안료를 함유한다. 상기 퇴색 억제제는, 단당류, 이당류, 덱스트린류 및 당알코올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한다. 상기 퇴색 억제제의 함유량은, 상기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50 질량% 이하이다. 상기 레이크 안료는, 임의 성분으로서, 상기 특정 레이크 안료 이외의 레이크 안료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특정 레이크 안료의 구성 성분인 염료는, 광 조사에 의해 분해 (광 분해) 되는 성질을 갖고 있다. 그러나, 퇴색 억제제는, 그러한 염료를 함유하는 특정 레이크 안료에 대하여 광 분해를 억제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그 때문에, 상기 구성의 수성 잉크 조성물에 있어서는, 인쇄 화상이 퇴색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퇴색 억제제의 함유량이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50 질량% 이하이므로, 당해 퇴색 억제제가 수성 잉크 조성물 중에 충분히 용해되지 못하고 석출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단당류가, 갈락토오스 또는 프룩토오스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이당류가, 말토오스 또는 트레할로오스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덱스트린류가, 시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당알코올류가, 환원 이소말툴로오스, 자일리톨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고체 제제에 인쇄되는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잉크젯용 수성 잉크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상기 잉크젯용 수성 잉크를 사용하여 잉크젯 방식에 의해 상기 고체 제제의 표면에 상기 인쇄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 공정과, 퇴색 억제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잉크젯용 수성 잉크는, 가식성의 레이크 안료와, 퇴색 억제제를 함유한다. 상기 레이크 안료는, 적색 2 호, 적색 3 호, 적색 40 호, 적색 102 호, 황색 4 호, 황색 5 호, 청색 1 호 및 청색 2 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염료로 이루어지는 특정 레이크 안료를 함유한다. 상기 퇴색 억제제는, 단당류, 이당류, 덱스트린류 및 당알코올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한다. 상기 퇴색 억제제의 함유량은, 상기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50 질량% 이하이다. 상기 레이크 안료는, 임의 성분으로서, 상기 특정 레이크 안료 이외의 레이크 안료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퇴색 억제 공정은, 상기 인쇄 화상 중의 퇴색 억제제가, 상기 특정 레이크 안료의 광 분해를 억제하는 공정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단당류 등의 퇴색 억제제를 함유한 수성 잉크 조성물을 함유하는 잉크젯용 수성 잉크를 준비하고 (준비 공정), 당해 수성 잉크를 사용하여 잉크젯 방식에 의해 고체 제제 표면에 인쇄를 실시한다 (인쇄 공정). 또한, 인쇄 화상 중의 퇴색 억제제가, 특정 레이크 안료의 광 분해를 억제한다 (퇴색 억제 공정). 이로써, 수성 잉크 조성물 중의 특정 레이크 안료의 광 분해에서 기인한 인쇄 화상의 퇴색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상기 방법이면, 잉크젯 방식에 의해 고체 제제에 인쇄된 인쇄 화상의 광 분해에서 기인한 퇴색을 억제하여, 인쇄 화상의 시인성을 양호한 것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제품 정보가 고체 제재 표면에 인쇄되는 경우에 조제 미스나 오음 (誤飮)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퇴색 억제 공정은, 인쇄 공정 직후의 고체 제제에 있어서의 인쇄 화상을 기준으로, 적산 광량이 120 만 룩스인 가시광을 조사한 후의 고체 제제에 있어서의 인쇄 화상의, JIS Z 8781 에 준거하는 L*a*b* 표색계의 색차 ΔE*(ab) 를 17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 이하)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단당류가, 갈락토오스 또는 프룩토오스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이당류가, 말토오스 또는 트레할로오스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덱스트린류가, 시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당알코올류가, 환원 이소말툴로오스, 자일리톨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잉크젯용 수성 잉크의 건조 피막을 표면에 갖는 고체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잉크젯용 수성 잉크는, 상기 수성 잉크 조성물을 함유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잉크젯용 잉크의 건조 피막 중에는 퇴색 억제제가 함유되어 있다. 당해 퇴색 억제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 조사에 의해 특정 레이크 안료가 광 분해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건조 피막이 형성하는 인쇄 화상의 퇴색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인쇄 화상의 시인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제 미스나 오음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고체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당류, 이당류, 덱스트린류 및 당알코올류로 이루어지는 퇴색 억제제가, 적색 2 호 등의 염료를 함유하는 특정 레이크 안료에 대한 광 조사에서 기인한 인쇄 화상의 퇴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의약품이나 식품 등의 고체 제제에 있어서의 인쇄 화상의 퇴색을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인쇄 화상의 내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 및 고체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또는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다음으로 서술하는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분명해진다.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 (이하,「수성 잉크 조성물」이라고 한다) 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수성 잉크 조성물은, 가식성의 레이크 안료와 퇴색 억제제를 적어도 함유하고, 주용매가 물인 수성 잉크이다. 또, 본 실시형태의 수성 잉크 조성물은, 약사법에서 정하는 의약품 첨가물, 일본 약국방 또는 식품 첨가물 공정서의 기준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가식성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잉크젯 기록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잉크젯 기록이란, 수성 잉크 조성물을 미세한 잉크젯 헤드로부터 액적으로서 토출하여, 그 액적을 기록 매체에 정착시켜, 화상 형성시키는 화상 기록 방식이다.
레이크 안료가 갖는「가식성」이란, 의약품 혹은 의약품 첨가물로서 경구 투여가 인정되고 있는 물질, 및/또는 식품 혹은 식품 첨가물로서 인정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레이크 안료는, 적색 2 호, 적색 3 호, 적색 40 호, 적색 102 호, 황색 4 호, 황색 5 호, 청색 1 호 및 청색 2 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염료로 이루어지는 특정 레이크 안료를 함유한다. 또, 레이크 안료는, 특정 레이크 안료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른 레이크 안료를 함유해도 된다. 다른 레이크 안료로는 가식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예로는, 알루미늄 레이크로 이루어지는 레이크 안료를 들 수 있다.
수성 잉크 조성물을 구성하는 레이크 안료가 특정 레이크 안료만인 경우, 특정 레이크 안료의 함유량은,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5 질량% ∼ 12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 5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정 레이크 안료의 함유량이 0.5 질량% 이상이면, 인쇄 화상의 농도가 불충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정 레이크 안료의 함유량이 12 질량% 이하이면, 잉크젯 헤드의 노즐에 있어서, 레이크 안료 성분이 노즐에 석출됨으로써 발생하는 토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수성 잉크 조성물을 구성하는 레이크 안료에 특정 레이크 안료 이외의 다른 레이크 안료를 함유하는 경우, 다른 레이크 안료의 함유량은, 그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퇴색 억제제는, 자연광 등의 광 조사에 의해 특정 레이크 안료가 광 분해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특정 레이크 안료의 구성 성분에 함유되는 염료는 광 조사에 의해 광 분해되므로, 특정 레이크 안료만으로는, 인쇄 화상이 광 퇴색 (퇴색)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퇴색 억제제는, 그러한 특정 레이크 안료의 광 분해를 억제하므로, 인쇄 화상의 퇴색을 저감시킬 수 있다.
「퇴색」이란, 자연광 등의 영향에 의해 인쇄 화상 중에 함유되는 특정 레이크 안료가 광 분해되고, 이로써 인쇄 화상의 색조가 불가역적으로 변화하거나, 혹은 인쇄 화상이 열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퇴색 억제제는, 단당류, 이당류, 덱스트린류 및 당알코올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한다.
단당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예로는,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프룩토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갈락토오스 및 프룩토오스가 바람직하다.
이당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예로는, 자당 (수크로오스, 설탕), 락토오스 (젖당), 말토오스, 트레할로오스, 팔라티노오스 (이소말툴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말토오스 및 트레할로오스가 바람직하다.
덱스트린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예로는, 시클로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클로덱스트린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예로는,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γ-시클로덱스트린, δ-시클로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당알코올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예로는, 만니톨, 에리트리톨, 환원 이소말툴로오스, 자일리톨, 소르비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원 이소말툴로오스는, 이소말툴로오스를 수소화하거나 함으로써 환원시켜 얻어지는 화합물이다. 환원 이소말툴로오스는, α-D-글루코피라노실-1,1-만니톨 (이하,「GPM」이라고 한다) 과 α-D-글루코피라노실-1,6-소르비톨 (이하,「GPS-6」이라고 한다) 의 혼합물이다. GPM 과 GPS-6 의 혼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는 대략 등몰량으로 양자는 혼합된다. 상기 당알코올류 중,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환원 이소말툴로오스, 자일리톨 및 소르비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시한 각 퇴색 억제제는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퇴색 억제제의 함유량은,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50 질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 질량% ∼ 1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 10 질량% 이다. 특히, 퇴색 억제제로서 덱스트린류 또는 당알코올류를 사용하는 경우, 이것들의 함유량은,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1 질량% ∼ 1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 8 질량% 이다. 퇴색 억제제의 함유량을 50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당해 퇴색 억제제가 수성 잉크 조성물 중에 석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성 잉크 조성물은, 물 (주용매로서의 물) 을 함유한다. 물로는, 이온 교환수, 한외 여과수, 역침투수, 증류수 등의 순수, 또는 초순수 등의 이온성 불순물을 제거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자외선 조사 또는 과산화수소 첨가 등에 의해 멸균 처리한 물은, 장기간에 걸쳐서 곰팡이나 박테리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수성 잉크 조성물에 있어서는, 약사법에서 정하는 의약품 첨가물, 일본 약국방 또는 식품 첨가물 공정서의 기준에 적합한 것이면, 그 밖의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첨가제의 예로는, 표면 장력 조정제, 습윤제, 수용성 수지, 유기 아민, 계면 활성제, pH 조정제, 킬레이트화제, 방부제, 점도 조정제, 소포제 등을 들 수 있다. 표면 장력 조정제 및 습윤제를 제외하고, 이들 첨가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표면 장력 조정제 및 습윤제의 함유량에 대해서는, 각각 후술한다.
표면 장력 조정제의 예로는, 약사법 등의 기준에 적합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예로는, 카프릴산데카글리세릴, 라우르산헥사글리세린에스테르, 올레산헥사글리세린에스테르, 축합 리놀렌산테트라글리세린에스테르, HLB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값이 15 이하인 라우르산데카글리세릴, HLB 값이 13 미만인 올레산데카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카프릴산데카글리세릴로는,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시판품의 예로는, 료토 (등록 상표) 폴리글리에스테르 CE19D (상품명, 미츠비시 화학 푸즈 주식회사 제조, HLB 값 15), SY 글리스터 MCA750 (상품명, 사카모토 약품 공업 주식회사 제조, HLB 값 16)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HLB 값은, 그리핀법에 의한 HLB 값으로서, 하기 식에 의해 정의된다.
HLB 값 = 20 × (친수기의 식량의 합/분자량)
HLB 값은 0 ∼ 20 의 범위 내의 값이 되며, HLB 값이 클수록 친수성이 강해지고, HLB 값이 작을수록 소수성이 강해진다.
라우르산데카글리세릴로는, HLB 값이 15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HLB 값이 15 를 초과하는 라우르산데카글리세릴을 사용하면 잉크젯 헤드의 노즐의 막힘에서 기인하여 끊김 등이 발생하는 등, 토출 안정성이 저하된다. HLB 값의 하한은, 수용매에 대한 용해도의 관점에서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HLB 값이 15 이하인 라우르산데카글리세릴로는,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시판품의 예로는, NIKKOL (등록 상표) DECAGLYN 1-L (상품명, 닛코 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HLB 값 14.5), SY 글리스터 ML-750 (상품명, 사카모토 약품 공업 주식회사 제조, HLB 값 14.8) 등을 들 수 있다.
올레산데카글리세릴로는, HLB 값이 13 미만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HLB 값이 13 이상인 것을 사용하면 잉크젯 헤드의 노즐의 막힘에서 기인하여 끊김 등이 발생하는 등, 토출 안정성이 저하된다. HLB 값의 하한은, 수용매에 대한 용해도의 관점에서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HLB 값이 13 미만인 올레산데카글리세릴로는,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시판품의 예로는, NIKKOL (등록 상표) DECAGLYN 1-OV (상품명, 닛코 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HLB 값 12), SY 글리스터 MO-7S (상품명, 사카모토 약품 공업 주식회사 제조, HLB 값 12.9) 등을 들 수 있다.
라우르산헥사글리세린에스테르로는,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시판품의 예로는, NIKKOL (등록 상표) HEXAGLYN 1-L (상품명, 닛코 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HLB 값 14.5), SY 글리스터 ML-500 (상품명, 사카모토 약품 공업 주식회사 제조, HLB 값 13.5) 등을 들 수 있다.
올레산헥사글리세린에스테르로는,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시판품의 예로는, SY 글리스터 MO-5S (상품명, 사카모토 약품 공업 주식회사 제조, HLB 값 11.6) 등을 들 수 있다.
축합 리놀렌산테트라글리세린에스테르로는,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시판품의 예로는, SY 글리스터 CR-310 (상품명, 사카모토 약품 공업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표면 장력 조정제의 함유량은,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 질량% ∼ 10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질량% ∼ 5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장력 조정제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이면,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실시한 경우, 잉크젯 헤드에 있어서의 노즐에서의 메니스커스 형성 불량 등에 의한 토출 불량을 방지하여, 당해 노즐의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토출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 한편, 표면 장력 조정제의 함유량이 10 질량% 이하이면, 표면 장력 조정제의 불용분이나 유화 불량에 의한 토출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습윤제는, 약사법 등의 기준에 적합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예로는,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습윤제의 첨가량은,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3 질량% ∼ 50 질량% 가 바람직하고, 10 질량% ∼ 4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습윤제의 함유량을 3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잉크젯 헤드의 노즐 근방에서의 막힘을 방지하여, 토출 성능의 더 나은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 한편, 습윤제의 함유량을 50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점도를 적당하게 제어할 수 있다.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
본 실시형태의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은, 전술한 수성 잉크 조성물을 함유하는 잉크젯용 수성 잉크 (이하,「수성 잉크」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수성 잉크를 사용하여 고체 제제에 대하여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하는 인쇄 공정과, 인쇄 화상의 퇴색을 억제하는 퇴색 억제 공정을 적어도 포함한다.
수성 잉크의 준비 공정은,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제조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제조 공정은, 전술한 각 성분을 적절한 방법으로 혼합함으로써 실시 가능하다. 즉, 레이크 안료, 퇴색 억제제, 물 및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혼합하고, 충분히 교반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막힘의 원인이 되는 조대 입자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를 실시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성 잉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각 재료의 혼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메커니컬 스터러, 마그네틱 스터러 등의 교반 장치를 구비한 용기에 순차적으로 재료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여과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원심 여과, 필터 여과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인쇄 공정은, 잉크젯 방식에 의해 고체 제제 표면에 화상 인쇄를 실시하는 공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세한 노즐로부터 고체 제제에 수성 잉크를 잉크 방울로서 토출하고, 잉크 방울을 고체 제제 표면에 부착시켜 화상 인쇄를 실시한다. 토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연속 분사형 (하전 제어형, 스프레이형 등), 온 디맨드형 (피에조 방식, 서멀 방식, 정전 흡인 방식 등) 등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잉크 방울의 토출량, 인쇄 속도 등의 인쇄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인쇄 공정은, 고체 제제의 표면에 부착된 잉크 방울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포함한다. 건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열풍 건조 외에, 자연 건조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또, 건조 시간이나 건조 온도 등의 건조 조건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잉크 방울의 토출량이나 수성 잉크 조성물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퇴색 억제 공정은, 광 조사에서 기인하여 특정 레이크 안료가 광 분해되는 것을, 인쇄 화상 중에 함유되는 퇴색 억제제에 의해 억제하는 공정이다. 예를 들어, 고체 제제 표면의 인쇄 화상에 적산 광량이 120 만 lux 인 가시광 (파장역 380 ㎚ ∼ 750 ㎚) 을 조사한 경우, 인쇄 화상의 색 변화를, 인쇄 직후의 인쇄 화상을 기준으로 하여,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색차 ΔE*(ab) 로 나타낸다. 퇴색 억제 공정은, 색차 ΔE*(ab) 를 17 이하, 바람직하게는 0 ∼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5 로 억제할 수 있다. 색차 ΔE*(ab) 를 17 이하로 함으로써, 인쇄 화상의 퇴색을 저감시켜, 양호한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체 제제 표면에 제품 정보 등을 인쇄하는 경우, 당해 제품 정보의 오인을 방지하여, 조제 미스나 오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인쇄 직후의 인쇄 화상이란, 전술과 동일하게, 건조 후의 인쇄 화상을 의미한다.
ΔE*(ab) 는, JIS Z 8781 에 준거하는 색차로서,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낸다. 즉, ΔE*(ab) 는, 인쇄 직후의 인쇄 화상으로부터의 색 변화를 나타낸다.
ΔE*(ab) = ((ΔL* 2)2 + (Δa* 2)2 + (Δb* 2)2)1/2 (1)
단, ΔL* 2, Δa* 2 및 Δb* 2 는, 각각 이하와 같이 나타낸다.
ΔL* 2 = L* 2 - L* 0
L* 0 은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에 있어서의 인쇄 공정 직후의 L*a*b* 표색계의 명도를 나타내고, L* 2 는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 120 만 lux 의 가시광을 조사한 후의 L*a*b* 표색계의 명도를 나타낸다.
Δa* 2 = a* 2 - a* 0
a* 0 은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에 있어서의 인쇄 공정 직후의 L*a*b* 표색계의 값을 나타내고, a* 2 는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 120 만 lux 의 가시광을 조사한 후의 L*a*b* 표색계의 값을 나타낸다.
Δb* 2 = b* 2 - b* 0
b* 0 은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에 있어서의 인쇄 공정 직후의 L*a*b* 표색계의 값을 나타내고, b* 2 는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 120 만 lux 의 가시광을 조사한 후의 L*a*b* 표색계의 값을 나타낸다.
(고체 제제)
본 명세서에 있어서,「고체 제제」란 식품 제제 및 의약 제제를 포함하는 용어이며, 고체 제제의 형태의 예로는, OD 정 (錠) (구강 내 붕괴정), 소정 (素錠), FC (필름 코트) 정, 당의정 등의 정제 또는 캡슐제를 들 수 있다. 또, 고체 제제는, 의약품 용도여도 되고, 식품 용도여도 된다. 식품 용도의 정제의 예로는, 정과 (錠菓) 나 서플리먼트 등의 건강 식품을 들 수 있다.
고체 제제의 표면에는, 수성 잉크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성 잉크를 사용하여, 잉크젯 기록 방법에 의해 직접 인쇄된 건조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인쇄 화상이 형성된다. 건조 피막은, 수성 잉크 조성물 중에 함유되어 있던 레이크 안료와 퇴색 억제제에 의해 적어도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고체 제제에 있어서는, 건조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인쇄 화상이 자연광 등의 광 조사에서 기인하여 퇴색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제품 정보 등 사용자에 대하여 식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쇄한 각종 정보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장기에 걸쳐 양호한 시인성을 유지하여, 조제 미스나 오음의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이하에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나 함유량 등은, 특별히 한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이 발명의 범위를 그것들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의 각 재료는 모두 약사법에서 정하는 의약품 첨가물, 일본 약국방 또는 식품 첨가물 공정서의 기준에 적합한 것이다.
(실시예 1)
하기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 레이크 안료로서 3.34 질량% 의 청색 2 호 (염료) 로 이루어지는 레이크 안료 (상품명 : 청색 2 호 알루미늄 레이크, 다이와 화성 주식회사 제조), 퇴색 억제제로서 5 질량% 의 환원 이소말툴로오스 (상품명 : 팔라티니트, 미츠이 제당 주식회사 제조), 표면 장력 조정제로서 1.66 질량% 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상품명 : SY 글리스터, 사카모토 약품 공업 주식회사 제조), 습윤제로서 25 질량% 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65 질량% 의 이온 교환수를 혼합하여, 청색의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0015274544-pct00001
이 실시예의 수성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잉크젯 기록 방법에 의해, FC 정의 일방의 면에 인쇄를 실시하였다. 인쇄는, 잉크젯 프린터 (PX-105, 세이코 엡슨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멀티 패스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또, 인쇄는 기온 25 ℃, 상대 습도 40 % 의 환경하에서 실시하였다. 그 후, 드라이어로 열풍을 직접 쬐어 인쇄면을 충분히 건조시켰다.
(비교예 1)
비교예 1 로서 사용한 수성 잉크 조성물은, 상기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였다.
또한, 비교예 1 의 수성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잉크젯 기록 방법에 의해 FC 정에 인쇄를 실시하였다. 이로써, 비교예 1 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광 퇴색 억제성에 관한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샘플에 있어서의 수성 잉크 조성물의 퇴색 억제성에 대해서는, 이하의 시험을 실시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즉,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에 관련된 수성 잉크 조성물에 의한 잉크젯 인쇄 후의 FC 정 (샘플) 에 대해, 각각 색채 색차계 (형번 : VSS7700, 닛폰 전색 공업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 0, a* 0, b* 0 을 각각 측정하였다. 이것들은,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하기의 표 2 에서는, 적산 광량 0 lux 에서의 L*, a*, b* 의 값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계속해서, ICH (International Council for Harmonis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for Pharmaceuticals for Human Use) 의 가이드라인에 준거한 광 안정성 시험 장치 (나가노 사이언스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밀폐된 유리제 병 내에 보존한 인쇄 후의 샘플에 대하여 광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때의 적산 광량은 30 만 룩스, 60 만 룩스, 120 만 룩스 (120 만 룩스는, 실내 형광등하 환산으로 50 일분) 로 하였다. 그 후, 다시 색채 색차계를 사용하여, 각 샘플의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 2, a* 2, b* 2 를 각각 측정하였다. 이것들은,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하기의 표 2 에서는, 적산 광량 30 만 lux, 60 만 lux, 120 만 lux 에서의 L*, a*, b* 의 값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각 표 중에 나타내는 색차 ΔE*(ab)2, 명도차 ΔL* 2, 색도차 Δa* 2 및 Δb* 2, 채도차 ΔC*(ab)2, 그리고 색상차 ΔH*(ab)2 는, 각각 하기 일반식 (2) ∼ (7) 에 의해 산출하였다.
ΔE*(ab)2 = ((ΔL* 2)2 + (Δa* 2)2 + (Δb* 2)2)1/2 (2)
ΔL* 2 = L* 2 - L* 0 (3)
Δa* 2 = a* 2 - a* 0 (4)
Δb* 2 = b* 2 - b* 0 (5)
ΔC*(ab)2 = ((Δa* 2)2 + (Δb* 2)2)1/2 (6)
ΔH*(ab)2 = (ΔE*(ab)2 2 - ΔL* 2 2 - ΔC*(ab)2 2)1/2 (7)
Figure 112020015274544-pct00002
(결과)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의 샘플에 있어서는, 색차 ΔE*(ab)2 가 인쇄 직후와 비교하여 모두 커져, 인쇄 화상이 대폭 광 퇴색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한편, 실시예 1 의 샘플에 있어서는, FC 정에 인쇄된 인쇄 화상의 색차 ΔE*(ab)2 의 증가가 대폭 억제되어, 전부 9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5 이하, 상세하게는 3 이하, 보다 상세하게는 1.5 이하, 더욱 상세하게는 1.2 이하) 가 되었다. 이로써, 실시예 1 에 있어서는, 인쇄 화상 중의 레이크 안료의 구성 성분인 청색 2 호 (염료) 의 광 분해를 저감시킬 수 있어, 퇴색의 저감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 레이크 안료로서 8 질량% 의 황색 4 호 (염료) 로 이루어지는 레이크 안료 (상품명 : 황색 4 호 알루미늄 레이크, 다이와 화성 주식회사 제조), 안료 분산제로서 1 질량% 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상품명 : TEGO (등록 상표) Dispers 715W, Evonik 사 제조, 질량 평균 분자량 3000), 분산 안정제로서 1 질량% 의 말산이나트륨 (와코 순약 공업 주식회사 제조), 및 분산매로서 50 질량% 의 이온 교환수를 용기 중에서 혼합하고, 혼합액을 분산기 (페인트 쉐이커, 아사다 철공 주식회사 제조) 로 분산시켜, 특정 레이크 안료의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계속해서, 제조된 특정 레이크 안료의 분산액에, 퇴색 억제제로서 12 질량% 의 환원 이소말툴로오스 (상품명 : 팔라티니트, 미츠이 제당 주식회사 제조), 습윤제로서 15 질량% 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표면 장력 조정제로서 2 질량% 의 모노카프릴산데카글리세릴 (상품명 : SY 글리스터 MCA750, 사카모토 약품 공업 주식회사 제조, HLB 값 16) 을 첨가하고, 추가로 11 질량% 의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황색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퇴색 억제제를 갈락토오스 (와코 순약 공업 주식회사 제조) 로 변경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4)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퇴색 억제제를 말토오스 (와코 순약 공업 주식회사 제조) 로 변경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2)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퇴색 억제제를 첨가하지 않고, 이온 교환수의 합계 함유량 73 질량% 로 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였다.
Figure 112020015274544-pct00003
(결과)
전술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경우와 동일하게, 각각의 수성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잉크젯 기록 방법에 의해, 소정의 일방의 면에 인쇄를 실시하고, 그 후, 인쇄면을 충분히 건조시켰다. 그리고, 수성 잉크 조성물의 퇴색 억제성에 대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경우와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하기의 표 4 는, 적산 광량 120 만 lux 에서의 L*, a*, b* 의 측정값에 대응하는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15274544-pct00004
표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2 의 샘플에 있어서는, 색차 ΔE*(ab)2 가 인쇄 직후와 비교하여 커져, 인쇄 화상이 대폭 광 퇴색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한편, 실시예 2 ∼ 4 의 샘플에 있어서는, 소정에 인쇄된 인쇄 화상의 색차 ΔE*(ab)2 의 증가가 대폭 억제되어, 전부 9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5 이하, 상세하게는 3 이하) 가 되었다. 이로써, 실시예 2 ∼ 4 에 있어서는, 인쇄 화상 중의 레이크 안료의 구성 성분인 황색 4 호 (염료) 의 광 분해를 저감시킬 수 있어, 퇴색의 저감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표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 레이크 안료를 적색 102 호로 이루어지는 레이크 안료 (상품명 : 적색 102 호 알루미늄 레이크, 다이와 화성 주식회사 제조) 로 변경하여, 적색의 잉크젯용 수성 잉크로 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6)
표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퇴색 억제제를 갈락토오스 (와코 순약 공업 주식회사 제조) 로 변경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7)
표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퇴색 억제제를 말토오스 (와코 순약 공업 주식회사 제조) 로 변경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3)
표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퇴색 억제제를 첨가하지 않고, 이온 교환수의 합계 함유량 73 질량% 로 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였다.
Figure 112020015274544-pct00005
(결과)
전술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경우와 동일하게, 각각의 수성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잉크젯 기록 방법에 의해, 소정의 일방의 면에 인쇄를 실시하고, 그 후, 인쇄면을 충분히 건조시켰다. 그리고, 수성 잉크 조성물의 퇴색 억제성에 대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경우와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하기의 표 6 은, 적산 광량 120 만 lux 에서의 L*, a*, b* 의 측정값에 대응하는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15578248-pct00007
표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3 의 샘플에 있어서는, 색차 ΔE*(ab)2 가 인쇄 직후와 비교하여 커져, 인쇄 화상이 대폭 광 퇴색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한편, 실시예 5 ∼ 7 의 샘플에 있어서는, 소정에 인쇄된 인쇄 화상의 색차 ΔE*(ab)2 의 증가가 대폭 억제되어, 전부 9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7.5 이하) 가 되었다. 이로써, 실시예 5 ∼ 7 에 있어서는, 인쇄 화상 중의 레이크 안료의 구성 성분인 적색 102 호 (염료) 의 광 분해를 저감시킬 수 있어, 퇴색의 저감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실시예 1 ∼ 7 에서 나타낸 청색 2 호, 황색 4 호 및 적색 102 호의 염료 뿐만 아니라, 적색 2 호, 적색 3 호, 적색 40 호, 적색 102 호, 황색 4 호, 황색 5 호, 청색 1 호 및 청색 2 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염료로 이루어지는 특정 레이크 안료를 사용한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레이크 안료가, 이들 특정 레이크 안료 이외에도, 임의 성분으로서 다른 레이크 안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레이크로 이루어지는 레이크 안료를 함유하고 있어도, 특정 레이크 안료에 관하여 동일한 퇴색 억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퇴색 억제제의 함유량은, 전술한 실시예 샘플에서는, 5 질량% 이지만, 50 질량% 까지의 함유량이면, 석출을 발생시키지 않고 용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50 질량% 이하이면, 상기 실시예와 동등 이상의 퇴색 억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0.5 질량% 이상이면, 동일한 퇴색 억제 효과가 확인되고 있다. 퇴색 억제제의 함유량이 1 질량% ∼ 1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 10 질량%) 이면, 노즐 막힘 등의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 왔지만, 이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분명히 하기 위해 사용된 구체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2)

  1. 고체 제제에 대한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로서,
    가식성의 레이크 안료와, 퇴색 억제제를 함유하고,
    상기 레이크 안료가, 적색 2 호, 적색 3 호, 적색 40 호, 적색 102 호, 황색 4 호, 황색 5 호, 청색 1 호 및 청색 2 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염료를 불용화하여 안료화한 특정 레이크 안료를 함유하고,
    상기 퇴색 억제제가, 환원 이소말툴로오스, 갈락토오스 및 말토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고,
    상기 퇴색 억제제의 함유량이 상기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50 질량% 이하인,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고체 제제에 인쇄되는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으로서,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을 함유하는 잉크젯용 수성 잉크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으로서, 상기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이, 가식성의 레이크 안료와, 퇴색 억제제를 함유하고, 상기 레이크 안료가, 적색 2 호, 적색 3 호, 적색 40 호, 적색 102 호, 황색 4 호, 황색 5 호, 청색 1 호 및 청색 2 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염료를 불용화하여 안료화한 특정 레이크 안료를 함유하고, 상기 퇴색 억제제가 환원 이소말툴로오스, 갈락토오스 및 말토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고, 상기 퇴색 억제제의 함유량이 상기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50 질량% 이하인, 공정과,
    상기 잉크젯용 수성 잉크를 사용하여, 잉크젯 방식에 의해 상기 고체 제제의 표면에 상기 인쇄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 공정과,
    상기 인쇄 화상 중의 퇴색 억제제가, 상기 특정 레이크 안료의 광 분해를 억제하는 퇴색 억제 공정을 포함하는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퇴색 억제 공정은, 인쇄 공정 직후의 고체 제제에 있어서의 인쇄 화상을 기준으로, 적산 광량이 120 만 룩스인 가시광을 조사한 후의 고체 제제에 있어서의 인쇄 화상의, JIS Z 8781 에 준거하는 L*a*b* 표색계의 색차 ΔE*(ab) 를 9 이하로 하는,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잉크젯용 수성 잉크의 건조 피막을 표면에 갖는 고체 제제로서,
    상기 잉크젯용 수성 잉크는, 제 1 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을 함유하는, 고체 제제.
KR1020207004290A 2017-09-26 2018-09-21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 및 고체 제제 KR102290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85400 2017-09-26
JP2017185400 2017-09-26
JPJP-P-2018-172657 2018-09-14
JP2018172657A JP7190297B2 (ja) 2017-09-26 2018-09-14 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インク組成物、固体製剤の印刷画像の褪色抑制方法及び固体製剤
PCT/JP2018/035107 WO2019065512A1 (ja) 2017-09-26 2018-09-21 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インク組成物、固体製剤の印刷画像の褪色抑制方法及び固体製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013A KR20200029013A (ko) 2020-03-17
KR102290817B1 true KR102290817B1 (ko) 2021-08-17

Family

ID=6617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290A KR102290817B1 (ko) 2017-09-26 2018-09-21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 및 고체 제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190297B2 (ko)
KR (1) KR1022908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354A (ja) * 1999-03-19 2000-12-05 Sanei Gen Ffi Inc 退色防止剤
JP2001115070A (ja) 1999-10-19 2001-04-24 Mitsubishi Chemicals Corp 記録液、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液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12111824A (ja) * 2010-11-24 2012-06-14 Union Chemicar Co Ltd 口腔内崩壊性錠剤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JP2015081315A (ja) * 2013-10-24 2015-04-27 ユニオンケミカー株式会社 口腔内崩壊性錠剤用インクジェット黒色インク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037A (en) * 1975-07-16 1977-01-29 Pentel Kk Fluorescent ink composition
JPS57179263A (en) * 1981-04-27 1982-11-04 Toyo Ink Mfg Co Ltd Edible ink
JPH0692550B2 (ja) * 1987-12-03 1994-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淡色マゼンタインク及びカラー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GB9507881D0 (en) * 1995-04-18 1995-05-31 Domino Printing Sciences Plc Printing inks
US5800601A (en) 1995-11-06 1998-09-01 Videojet Systems International, Inc. Food grade jet inks
EP1752498A4 (en) 2004-05-07 2008-09-24 San Ei Gen Ffi Inc PROCESS FOR PROTECTING THE PROTECTION OF TEA COLOR AND TARPAINING COMPOSITION WITH PROTECTIVE PROTECTION
JP2011115070A (ja) 2009-12-01 2011-06-16 Asakawa Shizen Shokuhin Kogyo:Kk 飲料水及び飲料水製造装置
JP2011236279A (ja) 2010-05-07 2011-11-24 Union Chemicar Co Ltd 可食性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354A (ja) * 1999-03-19 2000-12-05 Sanei Gen Ffi Inc 退色防止剤
JP2001115070A (ja) 1999-10-19 2001-04-24 Mitsubishi Chemicals Corp 記録液、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液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12111824A (ja) * 2010-11-24 2012-06-14 Union Chemicar Co Ltd 口腔内崩壊性錠剤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JP2015081315A (ja) * 2013-10-24 2015-04-27 ユニオンケミカー株式会社 口腔内崩壊性錠剤用インクジェット黒色インク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59925A (ja) 2019-04-18
JP7190297B2 (ja) 2022-12-15
KR20200029013A (ko)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88212B (zh) 喷墨用水性油墨组合物、固体制剂的印刷图像褪色抑制方法和固体制剂
JP7084145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インク組成物及び固体製剤
US8960884B2 (en) White ink for ink jet recording and recording apparatus
DE69729080T2 (de) Lebensmittelechten tintenstrahltinten
CN111094475B (zh) 喷墨用水性油墨组合物、固体制剂的印刷图像的褪色抑制方法和固体制剂
KR20080111116A (ko) 잉크젯 기록용 잉크 조성물, 기록 방법, 및 기록물
JP570795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KR102028815B1 (ko) 안료 조성물 및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
WO2018088142A1 (ja) 顔料定着用組成物及び固体製剤
JP6637276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インク組成物及び固体製剤
KR102290817B1 (ko) 잉크젯용 수성 잉크 조성물, 고체 제제의 인쇄 화상의 퇴색 억제 방법 및 고체 제제
JP7154956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オーバーコート組成物及び印刷物
WO2016063891A1 (ja) 顔料組成物及び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インク組成物
JP6574065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インク組成物及び固体製剤
JP6993278B2 (ja) 潜像用水性インク前駆体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潜像用水性インク組成物
JP6912551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インク組成物及び固体製剤
TWI825795B (zh) 油墨、使用其的印刷片劑的製造方法及片劑印刷裝置
JP7193895B1 (ja) 錠剤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JP7061805B2 (ja)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TW202409217A (zh) 鹼性片劑
JP2023031452A (ja)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記録方法、および記録物
JP201411850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のインク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18177940A (ja) インクセ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21024874A (ja) 水系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17101093A (ja) 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インク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