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626A - 요부 서포트 벨트 - Google Patents
요부 서포트 벨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7626A KR20220137626A KR1020227023912A KR20227023912A KR20220137626A KR 20220137626 A KR20220137626 A KR 20220137626A KR 1020227023912 A KR1020227023912 A KR 1020227023912A KR 20227023912 A KR20227023912 A KR 20227023912A KR 20220137626 A KR20220137626 A KR 202201376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ce
- support belt
- main body
- fastener
- base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4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11490 mineral woo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10000004177 elastic tissu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29920002215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20006122 polyamid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2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6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4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2292 Nylon 6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08930 Low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60 ara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235 aroma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71 adjuv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SPYQTSUDJAMAB-UHFFFAOYSA-N 2-chloro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Cl ISPYQTSUDJAMA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02 Nylon 6,6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571 Occupatio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3 Polyalk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830 Polyurethane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65 commerci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ZUPTXGVPYNUIT-UHFFFAOYSA-N isophthalamide Chemical compound NC(=O)C1=CC=CC(C(N)=O)=C1 QZUPTXGVPYNU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48 polybut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96 polyurethane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68 sex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KKEYFWRCBNTPAC-UHFFFAOYSA-L terephthalate(2-)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1 KKEYFWRCBNTPAC-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41D13/0562—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with hook and loop fastener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8—Mixed male and female memb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공업 세탁 내구성과 신축성을 양립한 공업 세탁 가능한 요부 서포트 벨트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요부 서포트 벨트는 띠형상인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베이스 생지,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 및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에서는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가 상기 베이스 생지에 봉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양방의 단부에서는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가 상기 베이스 생지에 봉착되어 있으며,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는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 수지를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의 질량에 대해서 95질량% 이상 함유하고,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를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의 질량에 대해서 95질량% 이상 함유하고, 상기 베이스 생지는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 및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베이스 생지의 25% 신장 시 응력(N/50㎜)/히스테리시스 로스율(%)]×[요부 서포트 벨트의 전단 응력(N)]은 60~300인 요부 서포트 벨트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요부 서포트 벨트에 관한 것이다.
직업성 질병 중 요통은 노동자가 업무 중에 걸리기 쉬운 병 중 하나이며, 다양한 직종에 확산되어 발생하고 있다. 요통 발생의 리스크가 높은 직업 종사자로서 중량물 운반이나 장거리 드라이브에 종사하는 운송업 사업자, 입원 환자의 간병이나 구급 환자의 대응이 필요한 의료 종사자를 들 수 있지만 최근에는 고령자 돌봄 등의 사회 복지 시설에서의 업무의 종사자의 요통 발생 건수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통은 직업 종사자의 연령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특히 초기 중에 대책을 취하는 사람은 적고, 요통의 증상이 진행될 때까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사람이 적지 않다. 또한, 일본은 저출산 고령화가 진행되어 생산 연령 인구의 감소라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지만 사회를 지탱한다는 측면에서는 65세 이상의 일하는 시니어나 일하는 여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귀중한 노동자의 건강 유지·증진은 지금까지 이상으로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직업복에 있어서도 종래로부터 안전성, 움직임 용이함, 식별성이라는 기능에 추가하여 노동자의 건강을 보다 적극적으로 유지한다는 시점이 중요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골반을 조이고, 고정함으로써 허리로의 부담을 경감하는 요부 서포트 벨트나 요부 서포터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이 요부 서포트 벨트는 허리 둘레에 권회해서 고정 장착하여 골반을 보강할 수 있는 벨트 본체부와, 일방은 벨트 본체의 거의 중앙에 고정하고, 타방은 벨트 본체의 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우작동 벨트와, 일방은 벨트 본체의 거의 중앙에 고정하고, 타방은 벨트 본체의 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좌작동 벨트를 구비하는 요부 서포트 벨트이다. 또한, 요부 서포터는 중앙에 폭넓은 허리 보호구 띠를 갖고 그 양측에 고정 장착 가능한 고정 장착구 띠를 갖는 서포터 본체를 설치하고, 상기 서포터 본체의 일측면에 상기 서포터 본체보다 폭이 좁은 보조 밴드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 밴드를 서포터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삽입 통과 구멍을 형성한 요부용 서포터이다. 그리고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요부 서포터의 서포터 본체는 발포 네오프렌 고무, 스펀지 고무, 우레탄폼 그 외의 축성을 갖는 신축성 기재를 갖고, 그 양측면에 나일론을 갖는 신축성 기재를 갖고, 그 양측면에 나일론 섬유 그 외의 적당한 섬유 재료로 편직된 표장천을 일체적으로 접착하고 있으며, 일측면측의 표장재는 면 파스너가 록킹되도록 표면이 루프로 형성되고, 둘레 가장자리에는 테를 두른 스티칭사 등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요부 서포트 벨트는 일반적으로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가 다른 의류를 손상시켜버릴 리스크가 있거나, 신축성이 풍부한 열에 영향을 받기 쉬운 소재가 많이 사용되어 있거나 하는 점에서 손세탁이 추장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업 세탁은 물론, 가정용 세탁기에서의 세탁에도 견딜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요부 서포트 벨트를 공업 세탁에 맡기면 요부 서포트 벨트는 줄어들고, 또한 부재가 각각 줄어들어버리는 점에서 외관 불량(웨이빙)이 발생한다. 즉, 공업 세탁에서는 통상 피세탁물에 대해서 물리적, 열적, 화학적,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힘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요부 서포트 벨트를 구성하는 부재는 수축하여 줄어듦이나 외관 변화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요부 서포트 벨트는 통상 상술한 바와 같이 손세탁이 추장되는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 사용자로부터는 요부 서포트 벨트를 손세탁하는 것은 매우 수고가 들기 때문에 세탁기나 공업 세탁 시설 등에서 자동 세정하고 싶다는 요망이 나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요부 서포트 벨트에 있어서 공업 세탁 시설 등에서 자동 세정해도 줄어듦이나 외관 변화가 작게 억제되는 공업 세탁 내구성이 있는 요부 서포트 벨트로의 개량을 고안했다.
여기에서 공업 세탁 내구성이 있는 요부 서포트 벨트란 공업 세탁을 실시해도 대폭적인 줄어듦이나 외관 변형이 없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요부 서포트 벨트의 성능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신축성이 요구된다. 또한, 요부 서포트 벨트의 성능이란 착용자의 요부에 대한 부담의 경감을 말한다. 또한, 신축성이란 신장한 요부 서포트 벨트의 원래의 치수로 회복하고자 하는 힘인 신장 회복성을 말한다. 요부 서포트 벨트의 공업 세탁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으로서는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재료는 일반적으로 신축성이 없고, 또한 신축성이 우수한 재료는 일반적으로 치수 안정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신축성에 특화된 재료를 많이 사용하면 요부 서포트 벨트를 세탁했을 때에 대폭적인 줄어듦이나 외관 변형이 일어나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공업 세탁 내구성과 신축성(신장 회복성이라고도 한다)을 양립한 요부 서포트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 및 더 바람직한 양태를 개시한다.
(1) 띠형상인 본체부를 구비하는 요부 서포트 벨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베이스 생지,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 및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에서는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가 상기 베이스 생지에 봉착(縫着)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양방의 단부에서는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가 상기 베이스 생지에 봉착되어 있으며,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는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 수지를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의 질량에 대해서 95질량% 이상 함유하고,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를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의 질량에 대해서 95질량% 이상 함유하고, 상기 베이스 생지는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 및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베이스 생지의 25% 신장 시 응력(N/50㎜)/히스테리시스 로스율(%)]×[요부 서포트 벨트의 전단 응력(N)]은 60~300인 요부 서포트 벨트.
(2)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이며, 또한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1로 한 경우의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로부터 0.05~0.2의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가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이며, 또한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1로 한 경우의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1 단부로부터 0.2~0.3의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1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가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이며, 또한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1로 한 경우의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2 단부로부터 0.2~0.3의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2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가 노출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요부 서포트 벨트.
(3) 띠형상인 보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부의 일방의 면의 양방의 단부에는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보조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보조부의 중앙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 봉착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부의 제 2 지수 [보조부의 25% 신장 시 응력(N/50㎜)×본체부의 길이(㎝)]/[보조부의 길이(㎝)×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은 2.5~4.0인 (1) 또는 (2)에 기재된 요부 서포트 벨트.
(4) 상기 베이스 생지가 편지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요부 서포트 벨트.
(5) 상기 베이스 생지는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요부 서포트 벨트.
(6)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가 고유 점도차가 0.30 이상인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가 섬유 길이 방향을 따라 접합된 바이메탈 복합 섬유인 (1) 내징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요부 서포트 벨트.
(7)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가 고유 점도차가 0.30 이상인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가 섬유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된 바이메탈 복합 섬유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요부 서포트 벨트.
(8) 상기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인 (6) 또는 (7)에 기재된 요부 서포트 벨트.
(9)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복합 섬유인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요부 서포트 벨트.
(10)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의 섬도가 100~400dtex인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요부 서포트 벨트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 공업 세탁 내구성과 신축성을 양립한 요부 서포트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예의 요부 서포트 벨트를 본체부의 제 1 면측을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예의 요부 서포트 벨트를 본체부의 제 2 면측을 정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보조부의 일방의 단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예의 요부 서포트 벨트를 본체부의 제 2 면측으로부터 봤을 때에 보조부의 양단을 본체부에 부착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요부 서포트 벨트의 A-A'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예의 요부 서포트 벨트를 본체부의 제 2 면측을 정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보조부의 일방의 단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예의 요부 서포트 벨트를 본체부의 제 2 면측으로부터 봤을 때에 보조부의 양단을 본체부에 부착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요부 서포트 벨트의 A-A'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개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일실시형태예의 요부 서포트 벨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 서포트 벨트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요부 서포트 벨트를 본체부의 제 1 면측을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요부 서포트 벨트를 본체부의 제 2 면측을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요부 서포트 벨트의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요부 서포트 벨트는 띠형상인 본체부(1)와 띠형상인 보조부(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띠형상인 본체부에 추가하여, 상기 띠형상인 보조부를 구비함으로써 조임압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작업의 강도에 의해 필요한 조임압으로 착용자의 허리를 보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부는 베이스 생지(5),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3),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에서는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가 상기 베이스 생지에 봉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양방의 단부에서는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가 상기 베이스 생지에 봉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에 배치된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와,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양방의 단부 중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를 갖고 있지 않은 쪽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가 록킹부를 형성하고, 요부 서포트 벨트에 의해 착용자의 요부를 조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예의 요부 서포트 벨트를 본체부의 제 2 면측으로부터 봤을 때에 보조부의 양단을 본체부에 부착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이며, 또한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도 3 중의 L1)를 1로 한 경우의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로부터 0.05~0.2의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가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이며, 또한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도 3 중의 L1)를 1로 한 경우의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1 단부로부터 0.2~0.3의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1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가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이며, 또한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도 3 중의 L1)를 1로 한 경우의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2 단부로부터 0.2~0.3의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2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가 노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의 노출 면적이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의 노출 면적보다 작아지고,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의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로의 부착 위치에 의해 본체부의 조임압의 조절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에 배치된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와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양방의 단부 중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를 갖고 있지 않은 쪽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가 록킹부를 형성했을 때에는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가 전혀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요부 서포트 벨트를 세탁할 때에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의 숫면 돌기 부분이 다른 의류를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와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의 접착 면적은 클수록 단단하게 연결되고, 전단 응력이 충분한 것이 되기 때문에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도 3 중의 L1)를 1로 한 경우의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로부터 0.07~0.2의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가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도 3 중의 L1)를 1로 한 경우의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로부터 0.1~0.2의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가 노출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도 3 중의 L1)는 착용자의 동위에 대해서 1.07~1.60배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업적으로 제품 설계하는 경우 동위의 범위마다 사이즈 전개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예를 들면 동위 65~85㎝, 85~100㎝, 100~110㎝와 같이 3단계로 전개할 때 동위가 65~85㎝이면 100㎝, 동위가 85~100㎝이면 110㎝, 동위가 100~110㎝이면 120㎝라는 것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동위란 웨이스트 사이즈인 것을 말하고, 늑골의 최하단과 요골의 중간의 주위 길이를 나타낸다.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동위에 대해서 1.07배 이상의 길이로 함으로써 착용자가 요부 서포트 벨트를 착용했을 때에 충분한 겹침 부분이 생겨 무리 없이 조일 수 있다. 또한,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동위에 대해서 1.60배 이하로 함으로써 착용자가 서포트 벨트를 착용했을 때의 겹침 부분이 적당한 것이 되어 적절한 착압으로 조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점에서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착용자의 동위에 대해서 1.07~1.60배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사이즈 전개의 상한×1.07배 이상이며, 상기 사이즈의 장착자가 장착했을 때 암면 부재가 숫면 부재의 노출면의 전체를 덮은 상태로 장착할 수 있는 길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부터 일반적인 체격의 장착자의 동위로서 55~135㎝ 정도의 범위를 상정하면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도 3 중의 L1)는 75~150㎝ 정도인 것이 장착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업적으로 설정되는 빈도가 많은 동위로서 65~115㎝ 정도의 범위를 상정하면 90~13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착용자가 장착했을 때에 적당한 겹침 부분이 생겨 무리 없이 조일 수 있는 요부 서포트 벨트가 된다.
또한,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는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 수지를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의 질량에 대해서 95질량% 이상 함유하고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 수지는 일반적으로 내열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의 질량에 대해서 95질량% 이상을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 수지로 함으로써 공업 세탁 중의 세척 공정이나 건조 공정 등의 높은 온도의 열이 가해지는 공정에 있어서 부재의 수축 및 외관 변형의 억제에 공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는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 수지를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의 질량에 대해서 95질량% 이상 함유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 수지 이외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안료나 난연제 등의 조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약은 없다. 그러나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는 그 숫면 돌기부가 다른 의류를 손상시킴으로써 다른 의류의 표면에 필링이 일어나기 쉽다. 이것을 고려하면 숫면 돌기부의 선단 부분이 둥그스름한 「버섯형」의 형태의 성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의 구조체를 갖는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 열가소성의 고무 탄성체를 들 수 있다. 특별히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종류에 제약은 없지만 내열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관점으로부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하드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의 소프트 세그먼트의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를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의 질량에 대해서 95질량% 이상 함유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나일론 수지나 아라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나일론 수지는 나일론6, 나일론66 등의 지방족 골격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를 말하고, 아라미드 수지는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또는 이들을 주골격으로 하는 공중합체 등의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말한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치수 안정성에는 조금 뒤떨어지지만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모두 충분한 치수 안정성을 갖는 수지이다.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의 소재에 폴리아미드 수지를 채용함으로써 공업 세탁 중의 세척 공정이나 건조 공정 등의 높은 온도의 열이 가해지는 공정에 있어서 충분히 부재의 수축 및 외관 변형의 억제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는 일반적으로 마모 내구성이 우수하며,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사용함으로써 면 파스너의 착탈을 반복했을 때나 공업 세탁 중의 세척 공정에서의 다른 의복과의 마찰이 발생할 때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성형체는 치수 안정성이 특히 우수하며,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의 소재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채용함으로써 공업 세탁 중의 세척 공정이나 건조 공정 등의 높은 온도의 열이 가해지는 공정에 있어서 부재의 수축 및 외관 변형의 억제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를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의 질량에 대해서 95질량% 이상 함유하고 있으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이외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안료나 난연제 등의 조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보다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요부 서포트 벨트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의 질량에 대해서 95질량%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공업 세탁 중의 세척 공정이나 건조 공정 중의 부재의 수축 및 외관 변화의 억제, 및/또는 요부 서포트 벨트를 반복하여 사용했을 때 세척 공정에서의 다른 의복과의 마찰에 대한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로서는 편지나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편지이면 환편지나 위편지, 경편지에 의한 것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제약은 없다. 또한,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사용되는 편지로서는 표면이 플레인형상인 것이나 메시형상인 것을 들 수 있지만 메시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시형상의 포백은 동 사이즈, 동 소재의 메시형상이 아닌 포백에 대해서 체적이 작고, 포함되는 실 양도 적다. 실 양이 적으면 치수 변화의 절대값도 작아진다. 따라서,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의 치수 변화를 작게 억제하기 위해 메시형상의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사용하는 직물로서는 표면이 루프형상으로 되어 있는 직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편물보다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요부 서포트 벨트의 면 파스너 암면 부재로서 사용했을 때 세탁 시의 치수 변화율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보다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요부 서포트 벨트로 하기 위해서는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로서는 표면이 루프형상으로 되어 있는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생지는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 및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섬유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권축 섬유는 일반적으로 서로 융점이 상이한 고융점 성분과 저융점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섬유, 서로 고유 점도가 상이한 고점도 성분과 저점도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섬유, 또는 수축률이 상이한 고수축 성분과 저수축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섬유인 것을 말하고, 저융점 성분, 고수축 성분 등의 편방의 성분을 열에 의해 타방 성분보다 더 강하게 활성화시킬 때에 3차원의 스파이럴형상 권축이 현재화된 섬유이며, 이 3차원의 스파이럴형상 권축에 의해 섬유가 신축성 및 탄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권축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의 수지는 공업 세탁 중의 세척 및 건조 공정에서 높은 온도의 열에 노출되어도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생지나 부재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는 열에 의해 권축이 현재화되어 권축 섬유가 되는 것이다. 권축의 현재화는 베이스 생지로 하기 전의 단계, 즉 섬유의 형태로 행해도, 베이스 생지로 한 후에 행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권축 현재화 전의 원사에 대해서도 편의상 권축 섬유라고 칭한다.
특히, 스트레치성이 우수한 것을 얻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의 고점도 성분(고수축 성분)과 저점도 성분(저수축 성분)은 고유 점도차가 0.30 이상인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가 섬유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된 바이메탈 복합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복합함으로써 권축 특성이 우수한 원사가 된다. 특히, 고유 점도차를 0.50 이상으로 크게 하면 신축성이 더 우수한 원사가 되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고유 점도차가 1.50을 초과하면 얻어지는 실의 권축 특성은 양호하지만 방사 사조가 고점도 성분측으로 과도하게 구부러지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제사할 수가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안정된 제사성과 스트레치 회복성의 양방을 충족하기 위해 고유 점도차는 0.30 이상 1.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의 조합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약은 없지만 고유 점도차가 있는 2종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한 경우 어느 정도의 스트레치성을 얻을 수는 있지만 직물로 했을 때의 스트레치성이 불충분해져 만족스러운 스트레치성 직물이 얻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장 회복성은 상기 3차원의 스파이럴형상 권축의 지름 및 단필라멘트의 권축 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3차원의 스파이럴형상 권축의 지름 및 단필라멘트의 권축 수는 고유 점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고융점 성분과 저융점 성분의 수축차(탄성 회복률차를 포함한다)에 의해 결정된다고 해도 좋고, 수축차가 클수록 스파이럴형상 권축의 지름이 작고, 단위 필라멘트당 권축 수가 많아진다. 스트레치 소재로서는 스파이럴형상 권축의 지름이 작은 것, 단위 필라멘트당 권축 수가 많은 것(즉, 신장 특성이 우수하여 돋보이는 것), 스파이럴형상 권축의 내처짐성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신장 특성이 우수하고, 돋보이는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로서 비교적 수축차가 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머 중 적어도 1성분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조합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조합을 보다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머 중 적어도 1성분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 장섬유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동등한 역학적 특성이나 화학적 특성을 가지면서 신장 회복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스파이럴형상 권축의 신축 특성은 저융점 성분(저수축 성분)을 지점으로 한 고융점 성분(고수축 성분)의 신축 특성이 지배적이게 되기 때문에 고융점 성분에 사용하는 중합체에는 높은 신장성과 회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저융점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융점 성분으로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의 단섬유 단면형상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또는 편심 심초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단면형상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또는 편심 심초형임으로써 사조에 열이 부여되었을 때에 스파이럴형상 권축이 발현되어 사조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 중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구조 쪽이 단순하며, 방사성이 우수하다는 이유로부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의 단섬유 단면형상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의 점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는 고유 점도차가 0.30 이상인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된 바이메탈 복합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종으로서는 상기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의 바이메탈 복합 섬유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란 우레탄 결합을 갖고, 유연성이 있는 「소프트」 세그먼트와, 단단한 「하드」 세그먼트가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지속적이며 매우 높은 신축성을 구비하고 있는 섬유이다. 또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히트 세트 공정을 거침으로써 높은 치수 안정성이 얻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베이스 생지에 채용할 때에는 베이스 생지 작성 시에 히트 세트를 행함으로써 베이스 생지에 충분한 치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 및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모두 신축성 및 탄성을 갖는 탄성 섬유이며, 이들을 사용해서 베이스 생지를 작성함으로써 베이스 생지에도 신축성 및 탄성이 발현된다. 이 신축성 및 탄성에 의해 베이스 생지를 좌우 또는 상하로 잡아 늘리면 베이스 생지를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리고자 하는 신장 회복력이 발생한다. 이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생지를 조금 잡아 늘린 상태로 상술한 록킹부에 의해 고정해서 요부에 권취하면 요부를 일정한 압력으로 조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부터 상기 베이스 생지는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 및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섬유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와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어느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양자를 복합적으로 사용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와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이외의 섬유를 사용하고 있어도 좋고, 그 경우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 및/또는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베이스 생지의 질량에 대해서 20질량%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 및/또는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베이스 생지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20질량% 이상 포함함으로써 베이스 생지의 신축성 및 탄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만을 상기 베이스 생지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량의 상한은 특별히 없고, 100질량%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이어도 좋다. 한편,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함유량의 상한은 80질량%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과도한 장력을 가하면 파단되어버린다. 따라서, 20질량% 이상을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이외의 섬유로 구성함으로써 베이스 생지에 충분한 강도가 나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부터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함유량은 8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의 섬도는 100~400dtex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섬도는 1000~150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의 섬도를 100dtex 이상으로 함으로써 본체부에 사용되는 베이스 생지의 신장 시 응력이나 신장 회복성이 충분한 것이 되고, 상기 베이스 생지를 채용한 요부 서포트 벨트를 조금 잡아 늘린 상태로 상술한 록킹부에 의해 고정해서 요부에 권취한 경우에 요부를 충분한 압력으로 조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의 섬도를 400dtex 이하로 함으로써 적당한 강성과 신체로의 밀착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의 섬도를 200dtex 이하로 함으로써 본체부에 사용되는 베이스 생지의 신장 시 응력 및 후술하는 회복 시 응력이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아 충분한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섬도를 1000dtex 이상으로 함으로써 본체부에 사용되는 베이스 생지의 신장 시 응력이나 신장 회복성이 충분한 것이 되고, 상기 베이스 생지를 채용한 요부 서포트 벨트를 조금 잡아 늘린 상태로 상술한 록킹부에 의해 고정해서 요부에 권취한 경우에 요부를 충분한 압력으로 조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섬도를 1500dtex 이하로 함으로써 본체부에 사용되는 베이스 생지의 신장 시 응력 및 후술하는 회복 시 응력이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고, 또한 편성 시의 공정 통과성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부터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의 섬도는 100~400dtex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섬도는 1000~150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생지는 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업 세탁 가능한 요부 서포트 벨트에 사용되는 상기 베이스 생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치수 안정성과 신축성이 필요해진다. 치수 안정성에 대해서는 베이스 생지에 상술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필요한 치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신축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소재의 특성만이어도 발현되지만 보다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되는 요부 서포트 벨트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베이스 생지가 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생지가 편지임으로써 베이스 생지의 구조적인 신축성도 가해져 보다 신축성이 우수한 요부 서포트 벨트가 된다. 또한, 편지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약은 없지만 횡편지, 환편지, 경편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베이스 생지의 신축의 방향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관점으로터 경편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베이스 생지의 25% 신장 시 응력(N/50㎜)/히스테리시스 로스율(%)]×[요부 서포트 벨트의 전단 응력(N)]은 60~300이다.
여기에서 베이스 생지의 25% 신장 시 응력이란 요부 서포트 벨트의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 베이스 생지의 길이 방향이 되도록 시험편을 샘플링하고, 후술하는 25% 신장 시 응력의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인 것이다. 이 값이 크면 베이스 생지가 늘어나기 어려워 베이스 생지를 잡아 늘리는 것에 가해지는 힘이 큰 것을 나타내고, 반대로 이 값이 작으면 베이스 생지가 늘어나기 쉬워 베이스 생지를 잡아 늘리는 것에 가해지는 힘이 작은 것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베이스 생지의 25% 신장 시 응력은 5N/50㎜ 이상 35N/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생지의 25% 신장 시 응력이 5N/50㎜ 이상임으로써 요부 서포트 벨트 신장력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생지의 25% 신장 시 응력이 35N/50㎜ 이하임으로써 베이스 생지의 신장력이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고, 착용감이 우수한 것이 된다. 여기에서 25% 신장 시 응력은 작을수록 생지가 늘어나기 쉬워 착용했을 때의 피트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25N/5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이란 베이스 생지의 25% 신장 시 응력을 측정한 후에 동 속도로 원래의 길이로 하고 있었을 때의 신장 시의 응력과 회복 시의 응력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는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은 0% 신장 시로부터 25% 신장 시까지의 응력(신장 시 응력)의 적분값으로부터 25% 신장 시로부터 0% 신장 시까지의 응력(회복 시 응력)의 적분값을 뺀 값을 0% 신장 시로부터 25% 신장 시까지의 응력(신장 시 응력)의 적분값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베이스 생지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이 크면 베이스 생지가 처지기 쉬운 것을 나타내고, 반대로 베이스 생지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이 작으면 베이스 생지가 처지기 어렵고, 신장 회복성(신축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관점으로부터 베이스 생지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은 20%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생지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이 20% 이상임으로써 요부 서포트 벨트를 착용했을 때에 조금만 생지가 늘어나 익숙해지기 때문에 조임압이 지나치게 오르지 않고, 착용감이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베이스 생지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이 70% 이하임으로써 베이스 생지가 지나치게 처지지 않고, 반복해서 요부 서포트 벨트를 사용해도 일정한 압으로 착용자의 신체를 조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은 작을수록 신장 회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요부 서포트 벨트의 전단 응력은 요부 서포트 벨트 본체부의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의해 요부 서포트 벨트 본체부의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의 노출면을 모두 덮은 상태로 후술하는 JIS L3416(2010년)에 준한 면 파스너의 전단 응력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이 요부 서포트 벨트의 전단 응력의 값이 크면 요부 서포트 벨트의 록킹부가 풀리기 어려워 단단하게 착용자의 신체를 조이게 되는 것을 나타내고, 반대로 요부 서포트 벨트의 전단 응력의 값이 작으면 요부 서포트 벨트의 록킹부가 풀리기 쉬워 착용자의 신체를 조이는 힘이 작아져 버리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요부 서포트 벨트의 전단 응력은 200N 이상 400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부 서포트 벨트의 전단 응력이 200N 이상임으로써 요부 서포트 벨트 록킹부의 접착 강도를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요부 서포트 벨트의 전단 응력이 400N 이하임으로써 착용자가 요부 서포트 벨트를 풀 때에 힘을 들이지 않고 조작할 수 있고, 요부 서포트 벨트의 착탈 시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점에서 베이스 생지의 25% 신장 시 응력(N/50㎜)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적당한 신장력으로 착용감이 우수한 요부 서포트 벨트가 되고,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요부 서포트 벨트가 처지지 않고 일정한 조임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되고, 또한 요부 서포트 벨트의 전단 응력(N)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요부 서포트 벨트가 풀리는 일 없이, 또한 착탈 시의 작업성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베이스 생지의 25% 신장 시 응력(N/50㎜)/히스테리시스 로스율(%)]×[요부 서포트 벨트의 전단 응력(N))]은 적당한 장력으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고, 벨트가 풀리는 일 없이 장시간 착용이 가능한 요부 서포트 벨트인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착용자의 신체로의 부하를 경감하여 보호하는 요부 서포트 벨트의 최저한의 성능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값을 사용해서 나타내는 상기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의 하한은 60이다. 또한, 베이스 생지의 25% 신장 시 응력의 값이 지나치게 크면 착용자의 착용감에 악영향을 미치고, 또한 요부 서포트 벨트의 전단 응력의 값이 지나치게 크면 요부 서포트 벨트 록킹부의 탈부착이 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의 상한은 300이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부터 상기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는 60~30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 서포트 벨트는 보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중의 부호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조부의 일방의 면의 양방의 단부에는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가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보조부의 양방의 단부를 요부 서포트 벨트의 본체부의 제 2 면에 배치된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부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보조부의 신장도가 바뀌고, 이것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로의 조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보조부의 중앙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 봉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보조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보조부의 중앙부에 의해 상기 보조부를 잡아 늘릴 때의 기점이 형성된다. 이 기점에 의해 요부 서포트 벨트의 중앙부를 지점으로 해서 보조부를 잡아 늘려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부착할 수 있고, 착용자의 신체를 보다 단단하게 조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부의 제 2 지수 [보조부의 25% 신장 시 응력(N/50㎜)×본체부의 길이(㎝)]/[보조부의 길이(㎝)×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은 2.5~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부의 제 2 지수란 보조부 25% 신장 시 응력(N/50㎜)을 보조부의 길이(㎝)와 본체부의 길이(㎝)의 비(보조부의 길이(㎝)/본체부의 길이(㎝))로 나눈 값을 히스테리시스 로스율(%)로 또 나눈 값인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 보조부의 25% 신장 시 응력이란 요부 서포트 벨트의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 보조부의 길이 방향이 되도록 시험편을 샘플링하고, 후술하는 25% 신장 시 응력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인 것이다. 이 값이 크면 보조부가 늘어나기 어려워 파워가 큰 것을 나타내고, 반대로 이 값이 작으면 보조부가 늘어나기 쉬워 파워가 작은 것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관점으로부터 보조부의 25% 신장 시 응력은 10N/50㎜ 이상 30N/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부의 25% 신장 시 응력이 10N/50㎜ 이상임으로써 보조부를 잡아 늘려 본체부의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부착했을 때에 최저한의 조임압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조임압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15N/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부의 25% 신장 시 응력이 30N/50㎜ 이하임으로써 보조부를 잡아 늘려 본체부의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부착할 때에 착용자가 별로 힘을 들이지 않고 간단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조부의 길이는 도 3 중의 L2로 나타내고 있지만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보조부의 길이인 것을 말한다. 본체부의 길이는 도 3 중의 L1로 나타내고 있으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인 것을 말한다. 보조부의 길이와 본체부의 길이의 비(보조부의 길이/본체부의 길이)는 0.45 이상 0.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부의 길이와 본체부의 길이의 비(보조부의 길이/본체부의 길이)가 0.45 이상임으로써 착용자가 보조부를 잡아 늘려 본체부의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부착할 때에 잡아 늘리기 쉬워진다. 또한, 보조부의 길이와 본체부의 길이의 비(보조부의 길이/본체부의 길이)가 0.65 이하임으로써 착용자가 보조부를 잡아 늘려 본체부의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부착할 때에 보조부를 잡아 늘리는 신도의 조정 영역을 확보할 수 있고, 착용자의 체형이나 작업의 강도에 맞춘 조임압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보조부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이란 보조부의 25% 신장 시 응력을 측정한 후에 동 속도로 원래의 길이로 하고 있었을 때의 신장 시의 응력과 회복 시의 응력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는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보조부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은 0% 신장 시로부터 25% 신장 시까지의 응력(신장 시 응력)의 적분값으로부터 25% 신장 시로부터 0% 신장 시까지의 응력(회복 시 응력)의 적분값을 뺀 값을 0% 신장 시로부터 25% 신장 시까지의 응력(신장 시 응력)의 적분값의 총합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이 보조부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이 크면 보조부가 처지기 쉬운 것을 나타내고, 반대로 보조부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이 작으면 보조부가 처지기 어렵고, 신장 회복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관점으로부터 보조부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은 5%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부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이 5% 이상임으로써 보조부를 잡아 늘려 본체부의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부착했을 때에 조임압이 지나치게 오르지 않아 착용감이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보조부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이 20% 이하임으로써 보조부가 지나치게 처지지 않고, 반복해서 요부 서포트 벨트를 사용해도 일정한 압으로 착용자의 신체를 조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은 작을수록 신장 회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의 점에서 보조부의 25% 신장 시 응력(N/50㎜)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적당한 조임압의 요부 서포트 벨트가 되고, 또한 보조부의 길이(㎝)/본체부의 길이(㎝)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착용자의 체형이나 작업의 강도에 맞춘 조임압의 조정 시의 작업성이 우수하고, 조임압의 조정 범위도 최적인 요부 서포트 벨트가 되고, 보조부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적당한 조임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요부 서포트 벨트이다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부의 제 2 지수 [보조부의 25% 신장 시 응력(N/50㎜)×본체부의 길이(㎝)]/[보조부의 길이(㎝)×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은 적당한 조임압이며, 조임압의 조정도 최적인 범위로 할 수 있고, 조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요부 서포트 벨트인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착용자의 신체로의 부하를 경감하여 보호하는 요부 서포트 벨트의 최저한의 성능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값을 사용해서 나타내는 상기 보조부의 제 2 지수가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부의 25% 신장 시 응력의 값이 지나치게 크면 보조부를 본체부의 제 2 면에 배치된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부착할 때에 보조부를 잡아당기면서 부착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또한 요부 서포트 벨트의 보조부의 길이와 본체부의 길이의 비(보조부의 길이/본체부의 길이)의 값이 지나치게 작아도 마찬가지로 보조부를 본체부의 제 2 면에 배치된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부착할 때에 보조부를 잡아당기면서 부착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상기 보조부의 제 2 지수는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부터 상기 보조부의 제 2 지수는 2.5~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 서포트 벨트는 띠형상인 본체부와 띠형상인 보조부 외에 부자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부자재로서는 도 1의 부호 7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본 자재나, 도 2의 부호 6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테이프 자재, 도 3의 부호 8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파이핑 자재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부자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업 세탁 내구성을 고려하여 이하와 같은 자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자재로서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열변형이 억제된다는 관점으로부터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수지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프 자재로서는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소재를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직물로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100%의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파이핑 자재로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부 서포트 벨트 본체의 단부 주위를 덮기 때문에 사용 소재로서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바람직하고, 폴리아미드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섬유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요부 서포트 벨트 본체부에 신축성이 있기 때문에 파이핑 자재에도 본체부의 신축으로 추종하기 위해 신축성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관점으로부터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업 세탁 시의 치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파이핑 자재는 직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파이핑 자재는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사용한 직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 특히 파이핑 자재에는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요부 서포트 벨트 전체의 치수 변화율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섬유 100%의 직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부자재의 배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약은 없지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생지의 제 1 면 및 제 2 면에 적층하고, 바느질 선(9)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바느질 등으로 봉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바느질 선이 들어감으로써 요부 서포트 벨트 본체부의 신축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부자재의 파츠 수는 10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측정 방법)
(25% 신장 시 응력)
베이스 생지 및 보조부 샘플의 25% 신장 시의 응력을 SHIMADZU CORPORATION제 AUTOGRAPH AG-50kNG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폭 50㎜, 길이 220㎜로 재단한 시험편을 5장 용의했다. 이어서, 5장의 시험편 중 1장의 시험편을 지퍼 간 거리 100㎜에서 상기 측정 기기에 부착하고, 잡아당김 속도 300㎜/min으로 시험편이 25% 신장하는 점까지 잡아당겨 원래의 길이로 되돌렸다. 마찬가지의 것을 다른 4장의 시험편에 대해서도 행하고, 5장의 시험편 각각에 대해서 25% 신장 시의 응력을 측정했다. 여기에서 말하는 「25% 신장 시의 응력」이란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5장의 포백의 신도가 25%일 때의 신장 응력의 평균값을 말한다. 여기에서 베이스 생지의 25% 신장 시 응력을 측정할 때에는 시험편의 길이 방향이 상기 요부 서포트 벨트의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동일하도록 시험편을 베이스 생지로부터 샘플링하는 것으로 하고, 보조부의 25% 신장 시 응력을 측정할 때에는 시험편의 길이 방향이 상기 요부 서포트 벨트의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동일하도록 시험편을 보조부로부터 샘플링하는 것으로 한다.
(히스테리시스 로스율)
베이스 생지 및 보조부 샘플의 25% 신장 시의 응력을 SHIMADZU CORPORATION제 AUTOGRAPH AG-50kNG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폭 50㎜, 길이 220㎜로 재단한 시험편을 5장 준비했다. 이어서, 5장의 시험편 중 1장의 시험편을 지퍼 간 거리 100㎜에서 상기 측정 기기에 부착하고, 잡아당김 속도 300㎜/min으로 시험편이 25% 신장하는 점까지 잡아당기고, 동 속도로 원래의 길이로 되돌렸다. 마찬가지의 것을 다른 4장의 시험편에 대해서도 행하고, 5장의 시험편 각각에 대해서 0% 신장 시로부터 25% 신장 시까지의 응력(신장 시 응력)과 25% 신장 시로부터 0% 신장 시까지의 응력(회복 시 응력)을 0.2초마다 경시적으로 측정했다. 측정값에 대해서 0% 신장 시로부터 25% 신장 시까지의 응력(신장 시 응력)의 적분값의 총합과 25% 신장 시로부터 0% 신장 시까지의 응력(회복 시 응력)의 적분값의 총합을 산출하고, 0% 신장 시로부터 25% 신장 시까지의 응력(신장 시 응력)의 적분값의 총합으로부터 25% 신장 시로부터 0% 신장 시까지의 응력(회복 시 응력)의 적분값의 총합을 빼고, 0% 신장 시로부터 25% 신장 시까지의 응력(신장 시 응력)의 적분값의 총합의 값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함으로써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을 산출했다. 여기에서 말하는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이란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5장의 포백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의 평균값을 말한다. 여기에서 베이스 생지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을 측정할 때에는 시험편의 길이 방향이 상기 요부 서포트 벨트의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동일하도록 시험편을 베이스 생지로부터 샘플링하는 것으로 하고, 보조부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을 측정할 때에는 시험편의 길이 방향이 상기 요부 서포트 벨트의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동일하도록 시험편을 보조부로부터 샘플링하는 것으로 한다.
(요부 서포트 벨트의 전단 응력)
요부 서포트 벨트 본체부의 면 파스너 접착 시 최대 전단 응력을 「요부 서포트 벨트의 전단 응력」으로 해서 JIS L3416(2010년)에 준하여 SHIMADZU CORPORATION제 AUTOGRAPH AG-50kNG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요부 서포트 벨트를 제품의 상태로 본체부의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의해 요부 서포트 벨트 본체부의 숫면 부재의 노출면을 모두 덮은 상태가 되도록 접착하고, 이 시험편을 지퍼 간 거리 130㎜에서 상기 측정 기기에 부착하고, 잡아당김 속도 300㎜/min으로 시험편의 접착면이 떨어질 때까지 잡아당겼다. 마찬가지의 것을 동일한 요부 서포트 벨트로 4회 반복하고, 5회 각각에 대해서 최대 응력을 측정했다. 여기에서 말하는「요부 서포트 벨트의 전단 응력」이란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5회의 최대 응력의 평균값을 말한다.
(고유 점도)
오쏘클로로페놀(이하, OCP라고 약기한다) 10㎖ 중에 시료 폴리머를 0.8g 녹이고, 25℃에서 오스트발트 점도계를 사용해서 상대 점도(ηr)를 하기 식에 의해 구하고, Ⅳ를 산출했다.
ηr=η/η0=(t×d)/(t0×d0)
Ⅳ=0.0242ηr+0.2634
여기에서 η: 폴리머 용액의 점도, η0: OCP의 점도, t: 용액의 낙하 시간(초), d: 용액의 밀도(g/㎤), t0: OCP의 낙하 시간(초), d0: OCP의 밀도(g/㎤)이다.
(섬도)
JIS L1013(2010년) 8.3.1 B법에 의거하여 섬도를 측정했다. 산출된 섬도(tex)의 값을 10배하여 섬도(dtex)로 했다. 또한, 베이스 생지에 포함되는 섬유의 섬도를 측정할 때에는 구성사를 뽑아내서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생지로부터 인출한 실이 기정 길이에 모자란 경우에는 인출한 실의 길이(m)와 그 무게(g)로부터 10000m당 무게(g)를 산출하여 섬도(dtex)로 한다.
(평가 방법)
(요부 서포트 벨트의 조임압)
실온 20℃, 상대 습도 50%로 컨트롤된 시험실 내에서 에어팩 의복압 측정기(AMI Techno Co., LTD.제, AMI3037-5S-II)를 사용하고, 측정용 더미(더미 돌 KDMD-100(adult); KATO TECH CO.,LTD.제)에 요부 서포트 벨트를 장착하여 측정에 제공했다. 착압 측정에는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100㎝인 것을 사용하고, 본체부가 16㎝ 겹치도록 제 1 면에 배치된 면 파스너 숫면과 제 2 면에 배치된 면 파스너 암면을 접착하고, 그 후 보조 벨트를 좌우 5㎝씩 잡아 늘려 고정했다. 또한, 요부 서포트 벨트의 장착은 요부 서포트 벨트의 후방 중심을 측정용 더미의 후방 중심에 맞추고, 그곳으로부터 좌우로 균등하게 신장시켜 후술하는 착압 센서 부착 개소를 모두 덮도록 장착시켰다. 측정은 측정용 더미의 복측에 있는 좌우의 상전장골극 상의 2개소 및 측정용 더미의 후방측에 있는 좌우의 상후장골극 상과 그 중점의 3개소, 합계 5개소에 착압 센서를 부착하고, 요부 서포트 벨트를 측정용 더미의 요부에 장착했을 때의 입위 자세 시의 의복압을 계측하고, 좌우의 상전장골극 상의 2개소 및 측정용 더미의 후방측에 있는 좌우의 상후장골극 상과 그 중점의 3개소, 합계 5개소의 착압의 값을 평균하여 착압값을 산출했다. 여기에서 「요부 서포트 벨트의 조임압」이란 측정용 더미를 사용해서 상기 측정을 3회 반복했을 때의 착압값의 평균을 말한다.
(요부 서포트 벨트의 치수 변화율 및 치수 안정성)
요부 서포트 벨트 본체부의 록킹부를 록킹한 상태로 JIS L1096(2010년) F-2법 및 I-2법에 의거하여 10회 세탁을 실시했다. 상술한 세탁 시험 실시 전후에서의 도 3 중에 나타낸 요부 서포트 벨트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L1)의 길이를 계측했다. 세탁 시험 실시 전후에서의 요부 서포트 벨트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L1)의 변화율([(세탁 후의 L1-세탁 전의 L1)/세탁 전의 L1]×100(%))을 구하고, 이것을 요부 서포트 벨트의 치수 변화율(%)로 해서 요부 서포트 벨트의 치수 안정성을 평가했다. 여기에서 「요부 서포트 벨트의 치수 안정성」은 요부 서포트 벨트의 치수 변화율이 ±3% 이내이면 「A」, ±3%보다 크고 ±5% 이내이면 「B」, ±5%보다 크면 「C」로 해서 평가했다.
(세탁 후의 요부 서포트 벨트의 외관 변화)
상술한 바와 같이 요부 서포트 벨트 본체부의 록킹부를 록킹한 상태로 JIS L1096(2010년) F-2법 및 I-2법에 의거하여 10회 세탁을 실시했다. 이어서, 세탁 후의 요부 서포트 벨트의 외관을 확인하여 웨이빙이나 풀림이 없는지 확인하고, 세탁 후의 요부 서포트 벨트의 외관 변화를 평가했다. 여기에서 「세탁 후의 요부 서포트 벨트의 외관 변화」는 세탁 후의 요부 서포트 벨트의 외관을 확인하고, 웨이빙 및 풀림의 등급 판정 결과를 종합하여 판정했다. 우선, 웨이빙 및 풀림 각각에 대해서 세탁 전후에서 변화 없음을 「5급」, 세탁 후에 약간 또는 부분적인 표면 보풀 또는 웨이빙이 보이는 경우에는 「4급」, 세탁 후에 중간 정도의 표면 보풀 또는 웨이빙이 보이는 경우를 「3급」, 세탁 후에 명료한 보풀 또는 웨이빙이 보이는 경우를 「2급」, 세탁 후에 밀집한 또는 심한 보풀 또는 전체적인 웨이빙이 보이는 경우에는 「1급」으로 해서 등급 판정을 행했다. 여기에서 각 등급의 중간의 정도이었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4급과 5급 사이의 정도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4-5급」으로 판정하는 것으로 했다. 「세탁 후의 요부 서포트 벨트의 외관 변화」는 웨이빙 및 풀림의 등급 판정 결과로부터 외관 변화가 특히 작은 것을 「A」, 외관 변화가 작은 것을 「B」, 외관 변화가 큰 것을 「C」로 해서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의 복합 섬유)
고유 점도 1.43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유 점도 0.51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해서 각각 익스트루더를 사용해서 285℃, 260℃에서 용융 후 복합비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50:50의 비율이 되도록 펌프 계량을 행하여 구금에 유입시켜 복합 방사 장치를 사용해서 방사하고, 섬도 165dtex 68f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복합 섬유를 얻었다.
(실시예)
(실시예 1)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의 복합 섬유인 165dtex의 폴리에스테르계 권축 섬유를 사용하고, 코스 방향 밀도 42개/2.54㎝, 웰 방향 밀도 40개/2.54㎝의 경편생지를 편성하고, 폴리에스테르 100질량%의 베이스 생지용의 생지 A를 얻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권축 섬유의 권축 현재화는 생지 편성 후의 마무리 세트의 단계에서 행했다.
계속해서,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로서 압출 성형 타입의 MOLD MAGIC(등록 상표)(Kuraray Fastening Co., Ltd.제)(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제 100질량%)인 숫면 부재 A를 얻었다.
또한,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로서 나일론 100질량%(나일론6 섬유)인 메시형상의 편지로 이루어지는 암면 부재 A를 얻었다. 또한, 보조부 자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나일론 섬유, 및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인 평고무 A를 얻은 후 이들을 사용해서 외관이 도 1,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형태의 요부 서포트 벨트를 작성했다.
여기에서 요부 서포트 벨트의 길이 방향과 생지 A의 웰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생지를 재단하고, 봉제했다. 이때 요부 서포트 벨트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1로 한 경우에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로부터 0.10의 위치와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면 파스너 숫면 부재가 노출되어 있으며,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1 단부로부터 0.26의 위치와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1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가 노출되어 있으며,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2 단부로부터 0.26의 위치와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2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가 노출되도록 전체 길이 100㎝의 요부 서포트 벨트를 작성했다.
상기 요부 서포트 벨트에 대해서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보조부의 제 2 지수, 조임압, 공업 세탁 내구성(치수 안정성,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보조 부재를 나일론 섬유 및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평고무 B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요부 서포트 벨트를 얻었다. 상기 요부 서포트 벨트에 대해서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보조부의 제 2 지수, 조임압, 공업 세탁 내구성(치수 안정성,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1240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및 235dtex의 나일론 섬유(나일론6 섬유)를 사용하고, 코스 방향 밀도 42개/2.54㎝, 웰 방향 밀도 30개/2.54㎝의 경편생지를 편성하고, 폴리우레탄 23질량%, 나일론 77질량%의 베이스 생지용의 생지 B를 얻었다. 베이스 생지를 생지 B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요부 서포트 벨트를 얻었다. 상기 요부 서포트 벨트에 대해서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보조부의 제 2 지수, 조임압, 공업 세탁 내구성(치수 안정성,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로서 나일론 100질량%(나일론6 섬유)인 플레인형상의 편지로 이루어지는 암면 부재 B를 얻었다.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암면 부재 B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요부 서포트 벨트를 얻었다. 상기 서포트 벨트에 대해서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보조부의 제 2 지수, 조임압, 공업 세탁 내구성(치수 안정성,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의 복합 섬유인 165dtex의 폴리에스테르계 권축 섬유를 사용하고, 코스 방향 밀도 42개/2.54㎝, 웰 방향 밀도 40개/2.54㎝의 경편생지를 편성하고, 폴리에스테르 100질량%의 베이스 생지용의 생지 A를 얻었다.
계속해서,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로서 압출 성형 타입의 MOLD MAGIC(등록 상표)(Kuraray Fastening Co., Ltd.제)(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 100질량% 함유)인 숫면 부재 A를 얻었다.
또한,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로서 나일론 100질량%(나일론6 섬유)인 플레인형상의 편지로 이루어지는 암면 부재 B를 얻었다. 또한, 보조 부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권축 섬유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100질량%의 편지인 평고무 C를 얻은 후 이들을 사용해서 외관이 도 1,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형태의 요부 서포트 벨트를 작성했다. 여기에서 요부 서포트 벨트의 길이 방향과, 생지 A의 웰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생지를 재단하고, 봉제했다. 이때 요부 서포트 벨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했다. 상기 요부 서포트 벨트에 대해서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보조부의 제 2 지수, 조임압, 공업 세탁 내구성(치수 안정성,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로서 폴리에스테르 100질량%(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인 표면이 루프형상으로 된 직물로 이루어지는 암면 부재 D를 얻었다.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암면 부재 D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요부 서포트 벨트를 얻었다. 상기 서포트 벨트에 대해서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보조부의 제 2 지수, 조임압, 공업 세탁 내구성(치수 안정성,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의 복합 섬유인 165dtex의 폴리에스테르계 권축 섬유를 사용하고, 코스 방향 밀도 42개/2.54㎝, 웰 방향 밀도 40개/2.54㎝의 경편생지를 편성하고, 폴리에스테르 100질량%의 베이스 생지용의 생지 A를 얻었다.
계속해서,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로서 압출 성형 타입의 MOLD MAGIC(등록 상표)(Kuraray Fastening Co., Ltd.제)(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 100질량%)인 숫면 부재 A를 얻었다.
또한,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로서 폴리에스테르 100질량%(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인 표면이 루프형상의 직물로 이루어지는 암면 부재 D를 얻었다. 또한, 보조부 자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나일론 섬유 및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인 평고무 A를 얻은 후 이들을 사용해서 외관이 도 1,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형태의 요부 서포트 벨트를 작성했다. 여기에서 요부 서포트 벨트의 길이 방향과, 생지 A의 코스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생지를 재단하고, 봉제했다. 이때 요부 서포트 벨트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1로 한 경우에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로부터 0.08의 위치와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면 파스너 숫면 부재가 노출되어 있으며,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1 단부로부터 0.26의 위치와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1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가 노출되어 있으며,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2 단부로부터 0.26의 위치와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2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가 노출되도록 전체 길이 100㎝의 요부 서포트 벨트를 작성했다. 상기 요부 서포트 벨트에 대해서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보조부의 제 2 지수, 조임압, 공업 세탁 내구성(치수 안정성,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8)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의 복합 섬유인 330dtex의 폴리에스테르계 권축 섬유를 사용하고, 코스 방향 밀도 42개/2.54㎝, 웰 방향 밀도 40개/2.54㎝의 경편생지를 편성하고, 폴리에스테르 100질량%의 베이스 생지용의 생지 E를 얻었다. 베이스 생지를 생지 E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해서 요부 서포트 벨트를 얻었다. 상기 요부 서포트 벨트에 대해서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보조부의 제 2 지수, 조임압, 공업 세탁 내구성(치수 안정성,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9)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의 복합 섬유인 84dtex의 폴리에스테르계 권축 섬유를 사용하고, 코스 방향 밀도 47개/2.54㎝, 웰 방향 밀도 66개/2.54㎝의 직물생지를 편성하고, 폴리에스테르 100질량%의 베이스 생지용의 생지 F를 얻었다. 베이스 생지를 생지 F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해서 요부 서포트 벨트를 얻었다. 상기 요부 서포트 벨트에 대해서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보조부의 제 2 지수, 조임압, 공업 세탁 내구성(치수 안정성,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의 복합 섬유인 84dtex의 폴리에스테르계 권축 섬유를 사용하고, 코스 방향 밀도 47개/2.54㎝, 웰 방향 밀도 66개/2.54㎝의 직물생지를 편성하고, 폴리에스테르 100질량%의 베이스 생지용의 생지 G를 얻었다. 베이스 생지를 생지 G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해서 요부 서포트 벨트를 얻었다. 상기 요부 서포트 벨트에 대해서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보조부의 제 2 지수, 조임압, 공업 세탁 내구성(치수 안정성,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700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연신사))를 사용하고, 코스 방향 밀도 17개/2.54㎝, 웰 방향 밀도 20개/2.54㎝의 경편생지를 편성하고, 폴리에스테르 100질량%의 베이스 생지용의 생지 C를 얻었다.
베이스 생지에 상기 생지 C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요부 서포트 벨트를 작성했다. 상기 요부 서포트 벨트에 대해서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보조부의 제 2 지수, 조임압, 공업 세탁 내구성(치수 안정성,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
156dtex의 나일론 섬유를 사용하고, 코스 방향 밀도 33개/2.54㎝, 웰 방향 밀도 41개/2.54㎝의 경편생지를 편성하고, 나일론 100질량%의 베이스 생지용의 생지 D를 얻었다.
베이스 생지에 상기 생지 D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요부 서포트 벨트를 작성했다. 상기 요부 서포트 벨트에 대해서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보조부의 제 2 지수, 조임압, 공업 세탁 내구성(치수 안정성,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로서 나일론6 섬유로 이루어지는 표면이 플레인형상인 편지와 두께 3㎜의 폴리우레탄폼의 적층 구조의 포백으로 이루어지는 암면 부재 C(나일론 71.9질량%)를 얻었다. 이 암면 부재 C를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에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요부 서포트 벨트를 작성했다. 상기 요부 서포트 벨트에 대해서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보조부의 제 2 지수, 조임압, 공업 세탁 내구성(치수 안정성,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1: 본체부
2: 보조부
3: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 4: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
5: 베이스 생지 6: 테이프 자재
7: 본 자재 8: 파이핑 자재
9: 바느질 선
3: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 4: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
5: 베이스 생지 6: 테이프 자재
7: 본 자재 8: 파이핑 자재
9: 바느질 선
Claims (9)
- 띠형상인 본체부를 구비하는 요부 서포트 벨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베이스 생지,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 및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에서는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가 상기 베이스 생지에 봉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양방의 단부에서는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가 상기 베이스 생지에 봉착되어 있으며,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는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 수지를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의 질량에 대해서 95질량% 이상 함유하고,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를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의 질량에 대해서 95질량% 이상 함유하고,
상기 베이스 생지는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 및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생지의 제 1 지수 [베이스 생지의 25% 신장 시 응력(N/50㎜)/히스테리시스 로스율(%)]×[요부 서포트 벨트의 전단 응력(N)]은 60~300인 요부 서포트 벨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이며, 또한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1로 한 경우의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로부터 0.05~0.2의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제 1 면의 제 1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상기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가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이며, 또한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1로 한 경우의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1 단부로부터 0.2~0.3의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1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가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이며, 또한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1로 한 경우의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2 단부로부터 0.2~0.3의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제 2 면의 제 2 단부 사이의 면의 전체 면에 상기 면 파스너의 암면 부재가 노출되어 있는 요부 서포트 벨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띠형상인 보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부의 일방의 면의 양방의 단부에는 면 파스너의 숫면 부재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보조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보조부의 중앙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 봉착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부의 제 2 지수 [보조부의 25% 신장 시 응력(N/50㎜)×본체부의 길이(㎝)]/[보조부의 길이(㎝)×히스테리시스 로스율(%)]은 2.5~4.0인 요부 서포트 벨트.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생지가 편지인 요부 서포트 벨트.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생지는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요부 서포트 벨트.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가 고유 점도차가 0.30 이상인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가 섬유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된 바이메탈 복합 섬유인 요부 서포트 벨트.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인 요부 서포트 벨트.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복합 섬유인 요부 서포트 벨트.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권축 섬유의 섬도가 100~400dtex인 요부 서포트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021217 | 2020-02-12 | ||
JPJP-P-2020-021217 | 2020-02-12 | ||
PCT/JP2021/004572 WO2021161955A1 (ja) | 2020-02-12 | 2021-02-08 | 腰部サポートベル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7626A true KR20220137626A (ko) | 2022-10-12 |
Family
ID=77292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23912A KR20220137626A (ko) | 2020-02-12 | 2021-02-08 | 요부 서포트 벨트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4104703A4 (ko) |
JP (1) | JPWO2021161955A1 (ko) |
KR (1) | KR20220137626A (ko) |
CN (1) | CN115038351A (ko) |
WO (1) | WO202116195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233607A1 (de) * | 2022-10-27 | 2023-08-30 | Brack, Jacqueline | Gürtel zum tragen um eine körpermitt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82794A (ja) | 1994-12-28 | 1996-07-16 | Nichiban Co Ltd | 腰部用サポ−タ− |
JP2017179663A (ja) | 2016-03-31 | 2017-10-05 | 中山式産業株式会社 | 骨盤補強ベルト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76131A (en) * | 1990-04-30 | 1993-01-05 | Ergodyne Corporation | Back support |
JP4292763B2 (ja) * | 2001-08-01 | 2009-07-08 | 東レ株式会社 | 複合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3245108A (ja) * | 2002-02-26 | 2003-09-02 | Kuraray Co Ltd | 耐久性に優れたループ面ファスナー |
JP2003325208A (ja) * | 2002-05-09 | 2003-11-18 | Asahi Kasei Corp | 面ファスナー雌材及び面ファスナー |
JP2014046138A (ja) * | 2012-09-04 | 2014-03-17 | Gunze Ltd | 腰部支持具 |
DE102013010085A1 (de) * | 2013-06-10 | 2014-12-11 | Gottlieb Binder Gmbh & Co. Kg | Flächenförmiges Haftverschlussteil und Reinigungssystem mit einem solchen flächenförmigen Haftverschlussteil |
JP6413123B2 (ja) * | 2014-07-02 | 2018-10-31 |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 布製ループ面ファスナー |
JP2018076628A (ja) * | 2016-11-11 | 2018-05-17 | 美津濃株式会社 | 腰用サポーター |
JP6829150B2 (ja) * | 2017-05-23 | 2021-02-10 | 帝人株式会社 | 装飾物品 |
-
2021
- 2021-02-08 CN CN202180013029.1A patent/CN115038351A/zh not_active Withdrawn
- 2021-02-08 KR KR1020227023912A patent/KR20220137626A/ko unknown
- 2021-02-08 JP JP2021540535A patent/JPWO2021161955A1/ja active Pending
- 2021-02-08 EP EP21754357.8A patent/EP4104703A4/en active Pending
- 2021-02-08 WO PCT/JP2021/004572 patent/WO2021161955A1/ja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82794A (ja) | 1994-12-28 | 1996-07-16 | Nichiban Co Ltd | 腰部用サポ−タ− |
JP2017179663A (ja) | 2016-03-31 | 2017-10-05 | 中山式産業株式会社 | 骨盤補強ベル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161955A1 (ja) | 2021-08-19 |
JPWO2021161955A1 (ko) | 2021-08-19 |
EP4104703A4 (en) | 2024-03-06 |
EP4104703A1 (en) | 2022-12-21 |
CN115038351A (zh) | 2022-09-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638188B (zh) | 下衣 | |
CN109788809B (zh) | 下衣 | |
US6156001A (en) | Garment or sanitary protection made of an elastic fabric directly engageable by "velcro" fasteners | |
JP6702709B2 (ja) | 衣料 | |
AU735927B2 (en) | A nonwoven composite, a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a use thereof | |
KR20190016121A (ko) | 면 파스너 및 면 파스너용 걸어맞춤 소자의 조합 | |
KR20220137626A (ko) | 요부 서포트 벨트 | |
JP4831724B2 (ja) | 人体サポート用部材 | |
US20030000004A1 (en) | Trousers for cyclist and method of making same | |
JP6111604B2 (ja) | 腹部保護衣類 | |
JP6523517B2 (ja) | 腹腔圧迫ベルト、衣料および腹腔圧迫ベルトの装着方法 | |
CN211882250U (zh) | 一种新型针织裤 | |
TWI693901B (zh) | 內衣及胸罩 | |
JP2013237955A (ja) | 防護服 | |
JP6899261B2 (ja) | 腰ベルト及びこれを含む下衣 | |
JP4560618B2 (ja) | ストレッチベルト | |
JP4995584B2 (ja) | 下衣 | |
JP3741210B2 (ja) | サポーター | |
CN218889326U (zh) | 一种裤腰和裤子 | |
CN214229933U (zh) | 新型无纺布防护服 | |
JP2003129360A (ja) | ラッセル編地 | |
CN215124667U (zh) | 一种骨科手术服 | |
JP6979560B2 (ja) | ブラジャー用チューブトップ | |
JP2019049062A (ja) | ブラジャー | |
JP2015150323A (ja) | 装着用支持パッド及びこれを備えた衣類、三次元立体網状構造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