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326A - 쾌삭강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쾌삭강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326A
KR20220131326A KR1020227029658A KR20227029658A KR20220131326A KR 20220131326 A KR20220131326 A KR 20220131326A KR 1020227029658 A KR1020227029658 A KR 1020227029658A KR 20227029658 A KR20227029658 A KR 20227029658A KR 20220131326 A KR20220131326 A KR 20220131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free
value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가사이
가즈아키 후쿠오카
기미히로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31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32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1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hot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02Hardening articles or materials formed by forging or rolling, with no further heating beyond that required for the 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7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rods of limited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2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drills; for milling cutters; for machine cutting t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Turn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Pb 의 비첨가임에도 불구하고, 저탄소 황납 복합 쾌삭강과 동등 이상의 피삭성을 갖는 쾌삭강을 제공한다. 질량% 로, C : 0.08 % 이하, Mn : 0.50 ∼ 1.50 %, P : 0.10 % 이하, S : 0.250 ∼ 0.500 %, N : 0.005 ∼ 0.015 %, O : 0.0100 초과 ∼ 0.0500 %, Cr : 0.50 ∼ 1.50 %, 및, Si, Al 및 Ti 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합계로 0.050 ∼ 0.500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하기 식 (1) 로 정해지는 A 값이 0.40 ∼ 2.00 을 만족하고, 하기 식 (2) 로 정해지는 B 값이 1.10 × 10-3 ∼ 1.50 × 10-2 를 만족하는 성분 조성과, 원상당경 5 ㎛ 이하의 황화물이 3000 개/㎟ 이상 분포하여 이루어지는 강 조직으로 한다.
A 값 = [Mn] / [Cr] … (1)
B 값 = (2[Si] + 2[Al] + [Ti]) × [O] … (2)
단, [M] 은 [ ] 안의 원소 M 의 함유량 (질량%)

Description

쾌삭강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쾌삭강, 특히, 피삭성 향상 원소인 황 및 미량의 납을 함유한 쾌삭강의 대체가 되는 강에 관한 것이며, 저탄소 황납 복합 쾌삭강과 동등 이상의 피삭성을 갖는 쾌삭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JIS 규격 SUM24L 로 대표되는 저탄소 황납 쾌삭강은, 쾌삭 원소로서, 다량의 납 Pb 및 황 S 첨가에 의해, 그 우수한 피삭성을 확보하고 있다.
철강 재료에 있어서, 납은, 절삭 가공에 있어서의 공구 마모의 저감이나 절삭 부스러기 처리성의 개선에 유용하다. 그 때문에, 납은 재료의 피삭성을 크게 개선하는 원소로서 중용되어, 많은 절삭 가공에 의해 제조되는 강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환경 의식의 고조에 수반하여, 환경 부하 물질의 사용을 세계적으로 폐지 또는 제한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납도 그 하나로서 들 수 있으며, 사용을 제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Pb 비첨가형의 쾌삭 비조질강이 개시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특허문헌 2 에도, Pb 비첨가형의 쾌삭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 에는, Mn 보다 S 와 화합물을 만들기 쉬운 Cr 을 첨가함으로써, Mn-Cr-S 계 개재물을 존재시켜, 피삭성을 확보한 쾌삭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55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60284호 일본 특허공보 평2-6824호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기술은, 대상으로 하는 강종이 C : 0.2 % 이상을 함유 한 비조질강이기 때문에 경질이고, 특수 원소인 Nd 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기술은, S 를 대량으로 첨가하고 있기 때문에, 열간 연성이 낮고, 연속 주조나 열간 압연 시에 균열이 발생하여, 표면 성상의 관점에서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Mn 첨가량을 줄여 Cr 및 S 를 첨가하는, 성분으로 하고 있지만, Cr 의 첨가량이 3.5 % 이상으로 높고, 저비용화가 어려운 데다가, 대량의 CrS 가 생성되기 때문에, 제강 공정의 재료 용제 처리가 어렵다는, 제조상의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Pb 가 비첨가임에도 불구하고, 저탄소 황납 복합 쾌삭강과 동등 이상의 피삭성을 가지며, 또한, 상기의 특허문헌 1 ∼ 3 과 같은, Nd 첨가나, 대량의 S 나 Cr 의 첨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쾌삭강을, 그 제조 방법과 함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하에 기재하는 지견을 얻기에 이르렀다.
(i) Mn, Cr 및 S 의 적당량 첨가 그리고 [Mn] / [Cr] 비의 적정화에 의해, 적당량의 황화물에 대하여, 그 조성을 Mn-Cr-S 의 복합계로 할 수 있다. 이 복합계 조성의 황화물은, 열간 가공 시에 미세화할 수 있고, 피삭성을 향상시킨다.
(ii) 상기의 황화물이 미세할수록, 윤활 작용이 커져, 구성날끝이라고 불리는 공구 표면에 부착되는 경질상 (硬質相) 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어, 절삭 부스러기 처리성, 표면 조도를 포함한 피삭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iii) 강 중의 S 량의 상승과 함께 피삭성이 향상되는 것은 종래 알려져 있다. 한편, 열간 가공성 혹은 기계적 성질의 이방성의 문제로부터 강 중에 첨가할 수 있는 S 량의 상한값은 존재한다. 본 발명의 황화물은 미세하기 때문에, 절삭 부스러기 처리성, 표면 조도를 포함한 피삭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강 중에 존재하는 황화물이 미세하면, 절삭 부스러기 처리성, 표면 조도를 포함한 피삭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따라서, 강 중에 황화물을 미세하게 분포시키면, 상기의 열간 가공성 혹은 기계적 성질의 이방성의 관점에서의 S 량의 상한값을 초과하지 않아도, 양호한 피삭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질량% 로,
C : 0.08 % 이하,
Mn : 0.50 ∼ 1.50 %,
P : 0.100 % 이하,
S : 0.250 ∼ 0.500 %,
N : 0.0050 ∼ 0.0150 %,
O : 0.0100 % 초과 0.0500 % 이하,
Cr : 0.50 ∼ 1.50 % 및,
Si, Al 및 Ti 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합계로 0.050 ∼ 0.500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하기 식 (1) 로 정해지는 A 값이 0.40 ∼ 2.00 을 만족하고, 하기 식 (2) 로 정해지는 B 값이 1.10 × 10-3 ∼ 1.50 × 10-2 를 만족하는 성분 조성을 가지며,
원상당경 5 ㎛ 이하의 황화물이 3000 개/㎟ 이상 분포하여 이루어지는 강 조직을 갖는 쾌삭강.
A 값 = [Mn] / [Cr] … (1)
B 값 = (2[Si] + 2[Al] + [Ti]) × [O] … (2)
단, [M] 은 [ ] 안의 원소 M 의 함유량 (질량%)
2. 상기 성분 조성은, 또한, 질량% 로,
Ca : 0.0010 % 이하,
Se : 0.30 % 이하,
Te : 0.15 % 이하,
Bi : 0.20 % 이하,
Sn : 0.020 % 이하,
Sb : 0.025 % 이하,
B : 0.010 % 이하,
Cu : 0.50 % 이하,
Ni : 0.50 % 이하,
V : 0.20 % 이하,
Zr : 0.050 % 이하,
Nb : 0.100 % 이하 및
Mg : 0.0050 % 이하
중의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쾌삭강.
3. 질량% 로,
C : 0.08 % 이하,
Mn : 0.50 ∼ 1.50 %,
P : 0.100 % 이하,
S : 0.250 ∼ 0.500 %,
N : 0.0050 ∼ 0.0150 %,
O : 0.0100 % 초과 0.0500 % 이하,
Cr : 0.50 ∼ 1.50 % 및,
Si, Al 및 Ti 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합계로 0.050 ∼ 0.500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하기 식 (1) 로 정해지는 A 값이 0.40 ∼ 2.00 을 만족하고, 하기 식 (2) 로 정해지는 B 값이 1.10 × 10-3 ∼ 1.50 × 10-2 를 만족하는 성분 조성을 가지며,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 (斷面) 의 한 변의 길이가 250 ㎜ 이상인 직사각형의 주편 (鑄片) 을, 가열 온도 1120 ℃ 이상, 감면율 60 % 이상으로 압연하여 빌릿으로 하고, 그 빌릿을 가열 온도 : 1050 ℃ 이상, 감면율 95 % 이상으로 열간 가공하는 쾌삭강의 제조 방법.
A 값 = [Mn] / [Cr] … (1)
B 값 = (2[Si] + 2[Al] + [Ti]) × [O] … (2)
단, [M] 은 [ ] 안의 원소 M 의 함유량 (질량%)
4. 상기 성분 조성은, 또한, 질량% 로,
Ca : 0.0010 % 이하,
Se : 0.30 % 이하,
Te : 0.15 % 이하,
Bi : 0.20 % 이하,
Sn : 0.020 % 이하,
Sb : 0.025 % 이하,
B : 0.010 % 이하,
Cu : 0.50 % 이하,
Ni : 0.50 % 이하,
V : 0.20 % 이하,
Zr : 0.050 % 이하,
Nb : 0.100 % 이하 및
Mg : 0.0050 % 이하
중의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상기 3 에 기재된 쾌삭강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납을 첨가하지 않고도, 피삭성이 우수한 쾌삭강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쾌삭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쾌삭강의 성분 조성에 있어서의 각 성분 함유량의 한정 이유부터 설명한다. 또한, 성분에 관한 % 표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를 의미한다.
C : 0.08 % 이하
C 는, 강의 강도 및 피삭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원소이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0.08 % 를 초과하면, 탄화물이 석출하여 경질화하기 때문에, 피삭성이 열화한다. 따라서, C 함유량은, 0.08 %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7 % 이하의 범위 내로 한다. 또한,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는, C 함유량을 0.01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0.03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n : 0.50 ∼ 1.50 %
Mn 은 피삭성의 향상에 중요한 황화물 형성 원소이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0.50 % 미만에서는, 황화물량이 적기 때문에 충분한 피삭성이 얻어지지 않으므로, 하한을 0.50 %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60 % 이상으로 한다. 한편, 그 함유량이 1.50 % 를 초과하면, 황화물이 조대화 (粗大化) 하는 것에 더하여, 길게 신장하여 피삭성이 저하된다. 또,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므로, Mn 함유량의 상한값은 1.50 %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40 % 미만으로 한다.
P : 0.100 % 이하
P 는, 절삭 가공 시에 구성날끝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마무리면 조도를 저감시키는 데 유효한 원소이다. 이 관점에서, P 는 0.010 % 이상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그 함유량이 0.100 % 를 초과하면, 재질이 경질화하기 때문에 피삭성을 저하시킴과 함께, 열간 가공성 및 연성 (延性) 을 현저히 저하시킨다. 따라서, P 함유량은, 0.100 %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80 % 이하로 한다.
S : 0.250 ∼ 0.500 %
S 는, 피삭성의 향상에 유효한 황화물 형성 원소이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0.250 % 미만에서는 미세한 황화물이 적기 때문에 피삭성이 향상되지 않는다. 한편, 그 함유량이 0.500 % 를 초과하면, 황화물이 지나치게 조대화하여, 미세한 황화물의 개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피삭성이 저하된다. 또, 열간 가공성 그리고 중요한 기계적 특성인 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S 함유량은, 0.250 ∼ 0.500 % 의 범위 내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300 %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0.450 % 이하이다.
N : 0.0050 ∼ 0.0150 %
N 은, Cr 등과 질화물을 형성하고, 절삭 가공 중의 온도 상승에 의해 질화물이 분해함으로써, 공구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한다. 이 막은 공구 표면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어, 공구 수명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0.0050 % 이상 함유시킨다. 바람직하게는, 0.0060 % 이상이다. 한편, 0.0150 % 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벨라그의 효과가 포화하는 것에 더하여, 재질이 경질화하기 때문에, 공구 수명이 짧아진다. 그 때문에, N 의 함유량은, 0.0050 ∼ 0.0150 %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120 % 이하이다.
O : 0.0100 % 초과 0.0500 % 이하
O 는, 산화물을 형성하고, 황화물의 석출핵이 되는 것에 더하여, 압연 등의 열간 가공 시에 있어서의 황화물의 신장을 억제하는 데 유효한 원소이며, 이 작용에 의해 피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벨라그라고 불리는 공구 표면의 산화 피막의 생성에 기여하는 중요한 원소이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0.0100 % 이하에서는, 황화물의 신장 억제 효과가 충분하지 않아, 신장한 황화물이 잔존하여, 본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O 의 함유량은, 0.0100 % 초과로 한다. 한편, 0.0500 % 를 초과하여 첨가해도 황화물의 신장 억제 효과가 포화하는 것에 더하여, 경질인 산화물계 개재물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피삭성이 저하된다. 또한, 과잉인 양의 첨가는 경제적으로 불리하기 때문에, 상한을 0.0500 % 로 한다.
Cr : 0.50 ∼ 1.50 %
Cr 은, 황화물을 형성하고, 절삭 시의 윤활 작용에 의해 피삭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또, 압연 등의 열간 가공 시에 있어서의 황화물의 신장을 억제시키기 때문에, 피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0.50 % 미만에서는, 황화물의 생성이 충분하지 않고, 신장한 황화물이 잔존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본래의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다. 한편, 1.50 % 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경질화하는 것에 더하여, 황화물이 조대해지고, 또한 신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포화하여, 오히려 피삭성이 저하된다. 또, 과잉인 양의 합금 비용의 첨가는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따라서, Cr 함유량은, 0.50 ∼ 1.50 %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70 %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1.30 % 이하이다.
Si, Al 및 Ti 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합계로 0.050 ∼ 0.500 %
Si, Al 및 Ti 는, 탈산 원소임과 함께, 절삭 중에 산소와 결합함으로써, 벨라그라고 불리는 산화 피막을 공구 표면에 형성한다. 벨라그는 공구와 피삭재간의 마찰을 경감하기 때문에, 공구 마모가 억제된다. 각각의 첨가량의 합계가 0.050 % 미만에서는, 벨라그의 생성량이 적기 때문에, 합계 0.050 %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70 % 이상이다. 한편, 합계로 0.500 % 를 초과한 첨가는, 그 효과가 포화할 뿐만 아니라, 산화물의 양이 많아져, 어브레시브 마모가 현저해지고, 공구 수명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그 때문에, 이들 원소의 합계의 첨가량의 상한은 0.500 %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450 % 이하이다.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하거나, 혹은 추가로, 후술하는 임의 함유 성분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상의 성분, 혹은 추가로 후술하는 임의 함유 성분과, 잔부의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상의 성분 조성에 있어서, 다음 식 (1) 로 정의되는 A 값이 0.40 ∼ 2.00 인 것이 중요하다.
A 값 = [Mn] / [Cr] … (1)
단, [M] 은 [ ] 안의 원소 M 의 함유량 (질량%)
즉, A 값은, 압연 등의 열간 가공 시에 있어서의 Mn-Cr-S 계 황화물의 미세화를 좌우하는 중요한 지표로, 이 A 값을 한정함으로써, 미세한 황화물이 얻어지고, 피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A 값이 0.40 미만이면, 황화물 중의 Cr 량이 감소하고, Mn-S 단독계의 황화물이 생성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황화물이 조대해지기 쉽고, 피삭성이 열화한다. 한편, A 값이 2.00 을 초과하면, 미세한 황화물의 개수 자체가 감소한다. 따라서, A 값은 0.40 ∼ 2.00 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50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1.80 이하이다.
또한, 이상의 성분 조성에 있어서, 다음 식 (2) 로 정의되는 B 값이 1.10 × 10-3 ∼ 1.50 × 10-2 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
B 값 = (2[Si] + 2[Al] + [Ti]) × [O] … (2)
단, [M] 은 [ ] 안의 원소 M 의 함유량 (질량%)
즉, B 값은, 절삭 가공 시의 산화 피막의 생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지표이며, B 값을 특정한 범위 내로 함으로써, 안정적인 벨라그라고 불리는 산화 피막이 얻어져, 피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B 값이 1.10 × 10-3 미만이면, 산화 피막이 형성되기 어려워지고, 피삭성의 향상 효과가 작아진다. 한편, B 값이 1.50 × 10-2 를 초과하면, 산화 피막의 형성 작용이 포화함과 함께, 강 중에 경질인 산화물이 많이 정출하기 때문에, 어브레시브 마모에 의해 공구 마모가 커진다. 따라서, B 값은 1.10 × 10-3 ∼ 1.50 × 10-2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20 × 10-3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1.30 × 10-2 이하이다.
다음으로, 임의 함유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기본 성분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다음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Ca : 0.0010 % 이하,
Se : 0.30 % 이하,
Te : 0.15 % 이하,
Bi : 0.20 % 이하,
Sn : 0.020 % 이하,
Sb : 0.025 % 이하,
B : 0.010 % 이하,
Cu : 0.50 % 이하,
Ni : 0.50 % 이하,
V : 0.20 % 이하,
Zr : 0.050 % 이하,
Nb : 0.100 % 이하 및
Mg : 0.0050 % 이하
중의 적어도 1 종
Ca, Se, Te, Bi, Sn, Sb, B, Cu, Ni, V, Zr, Nb, Mg 는, 어느 것도 피삭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갖기 때문에, 피삭성이 중시되는 경우에 첨가되어도 된다. 피삭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이들 원소를 함유시키는 경우, 그 첨가량이, Ca : 0.0001 % 미만, Se : 0.02 % 미만, Te : 0.10 % 미만, Bi : 0.02 % 미만, Sn : 0.003 미만 %, Sb : 0.003 % 미만, B : 0.003 % 미만, Cu : 0.05 % 미만, Ni : 0.05 % 미만, V : 0.005 % 미만, Zr : 0.005 % 미만, Nb : 0.005 % 미만, Mg : 0.0005 % 미만으로는 충분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으므로, 각각, Ca : 0.0001 % 이상, Se : 0.02 % 이상, Te : 0.10 % 이상, Bi : 0.02 % 이상, Sn : 0.003 % 이상, Sb : 0.003 % 이상, B : 0.003 % 이상, Cu : 0.05 % 이상, Ni : 0.05 % 이상, V : 0.005 % 이상, Zr : 0.005 % 이상, Nb : 0.005 % 이상, Mg : 0.0005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Ca : 0.0010 % 초과, Se : 0.30 % 초과, Te : 0.15 % 초과, Bi : 0.20 % 초과, Sn : 0.020 % 초과, Sb : 0.025 % 초과, B : 0.010 % 초과, Cu : 0.50 % 초과, Ni : 0.50 % 초과, V : 0.20 % 초과, Zr : 0.050 % 초과, Nb : 0.100 % 초과, Mg : 0.0050 % 초과의 첨가량에서는, 이 효과가 포화해 버리고, 또, 경제적으로도 불리하다. 따라서, 이들 원소의 함유량은 각각, Ca : 0.0010 % 이하, Se : 0.30 % 이하, Te : 0.15 % 이하, Bi : 0.20 % 이하, Sn : 0.020 % 이하, Sb : 0.025 % 이하, B : 0.010 % 이하, Cu : 0.50 % 이하, Ni : 0.50 % 이하, V : 0.20 % 이하, Zr : 0.050 % 이하, Nb : 0.100 % 이하, Mg : 0.0050 % 이하로 한다.
(강 조직)
원상당경 5 ㎛ 이하의 황화물이 3000 개/㎟ 이상 분포
피삭성에 관해서는, 황화물이 적당히 미세 분산되어 있었던 편이, 절삭 가공 시의 공구와 피삭재의 사이의 윤활 작용에는 유리하다. 이를 위해서는, 원상당경 5 ㎛ 이하의 황화물이 일정량 이상으로 분산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원상당경 5 ㎛ 이하의 황화물은 공구와 피삭재간의 윤활에 유효할 뿐만 아니라, 절삭 부스러기의 분단성에도 유효하고, 피삭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그 때문에, 원상당경으로 5 ㎛ 이하의 황화물의 개수가 3000 개/㎟ 이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쾌삭강을 제조하기 위한 조건에 대해서 서술한다.
즉, 상기한 성분 조성을 가지며,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한 변의 길이가 250 ㎜ 이상인 직사각형의 주편을, 가열 온도 1120 ℃ 이상, 감면율 60 % 이상으로 압연하여 빌릿으로 하고, 그 빌릿을 가열 온도 : 1050 ℃ 이상, 감면율 95 % 이상으로 열간 가공한다.
(주편)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한 변의 길이가 250 ㎜ 이상인 직사각형 단면
먼저, 상기 성분 조성으로 조정된 용강을, 주조하여 주편으로 하지만, 주편으로는,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한 변의 길이가 250 ㎜ 이상인 직사각형의 주편을 사용한다.
그 주편은, 연속 주조법이나 조괴법에 의해 직사각형 단면의 주편으로서 제조한다. 그 때, 직사각형 단면의 한 변의 길이가 250 ㎜ 보다 작으면, 주편 응고 시에 황화물립의 사이즈가 커진다. 그 때문에, 계속해서 강편 압연으로 빌릿으로 한 후에도 조대한 황화물이 잔존하기 때문에, 최종적인 열간 가공된 후의 황화물의 미세화에 불리해진다. 그 때문에, 주편의 단면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는 250 ㎜ 이상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 이상으로 한다. 또한, 주편의 단면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에 대해, 상한은 특별히 규제할 필요는 없지만, 주조에 이어지는 열간 압연의 실현성의 관점에서, 상기 길이는 6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편으로부터 빌릿으로의 열간 압연)
주편의 가열 온도 : 1120 ℃ 이상
주편은, 열간 압연되어 빌릿으로 되지만, 이 열간 압연 시의 가열 온도는 1120 ℃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가열 온도가 1120 ℃ 미만에서는, 주조 단계에 있어서 냉각 - 응고할 때에 정출한 조대한 황화물이 고용하지 않아, 빌릿된 후에도 조대한 황화물이 잔존하게 된다. 그 결과, 잇따르는 열간 가공 후에도 황화물이 조대한 채로, 원하는 미세한 황화물의 분포 상태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주편을 빌릿으로 열간 압연할 때의 가열 온도는 112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150 ℃ 이상으로 한다. 또한, 주편의 가열 온도에 대해, 상한은 특별히 규제할 필요는 없지만, 스케일 로스 억제의 관점에서, 가열 온도는 13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편으로부터 빌릿으로의 열간 압연의 감면율 : 60 % 이상
응고 시에 정출한 황화물립의 사이즈는 크기 때문에, 강편 압연으로 어느 정도 사이즈를 작게 해 둘 필요가 있다. 열간 압연에서의 감면율이 적으면 황화물립이 큰 상태로 빌릿이 된다. 그 때문에, 계속해서 빌릿을 봉강 (棒鋼) 이나 선재로 열간 가공할 때의 가열 시 - 압연 시에, 황화물립을 미세화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주편으로부터 빌릿으로 60 % 이상의 감면율로 열간 압연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열간 압연의 감면율 (%) 은, 열간 압연 전의 주편의, 열간 압연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의 단면적을 S0, 열간 압연에 의해 제조한 빌릿의 열간 압연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의 단면적을 S1 로 하여, 다음 식
100 × (S0 ― S1) / S0
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빌릿의 열간 가공)
가열 온도 : 1050 ℃ 이상
빌릿을 봉강 혹은 선재로 열간 가공할 때의 가열 온도는 중요한 인자이다. 가열 온도가 1050 ℃ 미만에서는, 황화물이 미세 분산하지 않기 때문에, 절삭 가공 시의 윤활 작용이 적어진다. 그 결과, 공구 마모가 커지기 때문에, 공구 수명도 짧아진다. 따라서, 빌릿의 가열 온도는 1050 ℃ 이상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80 ℃ 이상이다. 또한, 상한은 특별히 규제할 필요는 없지만, 스케일 로스에 의한 수율 저하 억제의 관점에서 125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간 가공의 감면율 : 95 % 이상
빌릿을 봉강 혹은 선재로 열간 가공할 때의 감면율도 황화물의 미세화를 위해서 중요한 인자이다. 이 감면율이 95 % 미만에서는, 황화물의 미세화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감면율의 하한을 95 % 로 하였다. 여기서, 열간 가공의 감면율은, 열간 압연 전의 빌릿의, 열간 가공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의 단면적을 S1, 열간 가공에 의해 제조한 봉강 혹은 선재의 열간 가공 방향 (연신 방향) 으로 수직인 단면의 단면적을 S2 로 하여, 다음 식
100 × (S1 ― S2) / S1
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상기, 강편의 사이즈와 가열 온도, 게다가 빌릿 사이즈와 가열 온도, 감면율을 적정한 범위로 함으로써, 황화물을 미세화하고, 피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표 1 에 나타내는 화학 조성의 강을, 연속 주조기로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이 표 2-1 및 표 2-2 에 나타내는 치수인 직사각형 형상의 주편으로 하였다. 얻어진 주편을 표 2-1 및 표 2-2 에 나타내는 제조 조건으로 봉강으로 압연하였다. 본 발명 강 및 비교 강에 대해 이하와 같은 시험에 제공하였다. 즉, 주편을, 표 2-1 및 표 2-2 에 나타내는 가열 온도, 감면율로 열간 압연을 실시하고, 장편 치수 및 단편 치수가 표 2-1 및 표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사각 빌릿으로 하였다. 얻어진 빌릿을 표 2-1 및 표 2-2 에 나타내는 가열 온도로 가열하고, 열간 압연하여 표 2-1 및 표 2-2 에 나타내는 직경의 봉강으로 하였다. 얻어진 봉강 (본 발명 강 및 비교 강) 을, 이하에 나타내는 시험에 제공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1
얻어진 봉강의 압연 방향과 평행한 단면으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고, 그 단면의 둘레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의 1/4 위치에 대해,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에 의한 관찰을 실시하여, 강 중의 황화물의 원상당경과 수밀도 (數密度) 를 조사하였다. 여기서, 에너지 분산형 X 선 분석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EDX) 으로 석출물의 조성 분석을 실시하고, EDX 로 황화물인 것을 확인한 석출물에 대해, 얻어진 SEM 이미지를 화상 해석하여 2치화를 실시하고, 원상당경과 수밀도를 구하였다.
피삭성은, 외주 선삭 시험에 의해 평가하였다. 절삭 기계로서 시티즌 머시너리 제조 BNC-34C5 를 사용하고, 선삭 팁은 히타치 툴 제조의 초경 (超硬) EX35 바이트 TNGG160404R-N, 홀더는 쿄세라 제조 DTGNR2020 을 각각 사용하였다. 또, 윤활제는 유시로 화학 제조 유시로켄 FGE1010 의 15 배 희석 에멀션 액을 사용하였다. 절삭 조건은, 절삭 속도 150 m/min, 이송 속도 0.10 ㎜/rev, 절입량 2.0 ㎜, 가공 길이 10 m 로 실시하였다.
피삭성의 평가는, 10 m 길이에 걸치는 절삭 시험 종료 후의 공구의 플랭크면 마모 Vb 에 의해 실시하였다. 절삭 시험 종료 후의 플랭크면 마모 Vb 가 200 ㎛ 이하인 경우를 양호로 하여 「○」, 플랭크면 마모가 200 ㎛ 초과인 경우를 열등한 것으로 하여 「×」 로 하였다.
표 2-1 및 표 2-2 에 발명 강과 비교 강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표 2-1 및 표 2-2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강은 비교 강에 대하여 양호한 피삭성을 갖고 있다.
[표 2-1]
Figure pct00002
[표 2-2]
Figure pct00003

Claims (4)

  1. 질량% 로,
    C : 0.08 % 이하,
    Mn : 0.50 ∼ 1.50 %,
    P : 0.100 % 이하,
    S : 0.250 ∼ 0.500 %,
    N : 0.0050 ∼ 0.0150 %,
    O : 0.0100 % 초과 0.0500 % 이하,
    Cr : 0.50 ∼ 1.50 % 및,
    Si, Al 및 Ti 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합계로 0.050 ∼ 0.500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하기 식 (1) 로 정해지는 A 값이 0.40 ∼ 2.00 을 만족하고, 하기 식 (2) 로 정해지는 B 값이 1.10 × 10-3 ∼ 1.50 × 10-2 를 만족하는 성분 조성을 가지며,
    원상당경 5 ㎛ 이하의 황화물이 3000 개/㎟ 이상 분포하여 이루어지는 강 조직을 갖는 쾌삭강.
    A 값 = [Mn] / [Cr] … (1)
    B 값 = (2[Si] + 2[Al] + [Ti]) × [O] … (2)
    단, [M] 은 [ ] 안의 원소 M 의 함유량 (질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조성은, 또한, 질량% 로,
    Ca : 0.0010 % 이하,
    Se : 0.30 % 이하,
    Te : 0.15 % 이하,
    Bi : 0.20 % 이하,
    Sn : 0.020 % 이하,
    Sb : 0.025 % 이하,
    B : 0.010 % 이하,
    Cu : 0.50 % 이하,
    Ni : 0.50 % 이하,
    V : 0.20 % 이하,
    Zr : 0.050 % 이하,
    Nb : 0.100 % 이하 및
    Mg : 0.0050 % 이하
    중의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쾌삭강.
  3. 질량% 로,
    C : 0.08 % 이하,
    Mn : 0.50 ∼ 1.50 %,
    P : 0.100 % 이하,
    S : 0.250 ∼ 0.500 %,
    N : 0.0050 ∼ 0.0150 %,
    O : 0.0100 % 초과 0.0500 % 이하,
    Cr : 0.50 ∼ 1.50 % 및,
    Si, Al 및 Ti 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합계로 0.050 ∼ 0.500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하기 식 (1) 로 정해지는 A 값이 0.40 ∼ 2.00 을 만족하고, 하기 식 (2) 로 정해지는 B 값이 1.10 × 10-3 ∼ 1.50 × 10-2 를 만족하는 성분 조성을 가지며,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 (斷面) 의 한 변의 길이가 250 ㎜ 이상인 직사각형의 주편 (鑄片) 을, 가열 온도 1120 ℃ 이상, 감면율 60 % 이상으로 압연하여 빌릿으로 하고, 그 빌릿을 가열 온도 : 1050 ℃ 이상, 감면율 95 % 이상으로 열간 가공하는 쾌삭강의 제조 방법.
    A 값 = [Mn] / [Cr] … (1)
    B 값 = (2[Si] + 2[Al] + [Ti]) × [O] … (2)
    단, [M] 은 [ ] 안의 원소 M 의 함유량 (질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조성은, 또한, 질량% 로,
    Ca : 0.0010 % 이하,
    Se : 0.30 % 이하,
    Te : 0.15 % 이하,
    Bi : 0.20 % 이하,
    Sn : 0.020 % 이하,
    Sb : 0.025 % 이하,
    B : 0.010 % 이하,
    Cu : 0.50 % 이하,
    Ni : 0.50 % 이하,
    V : 0.20 % 이하,
    Zr : 0.050 % 이하,
    Nb : 0.100 % 이하 및
    Mg : 0.0050 % 이하
    중의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쾌삭강의 제조 방법.
KR1020227029658A 2020-03-31 2021-03-31 쾌삭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313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63748 2020-03-31
JPJP-P-2020-063748 2020-03-31
PCT/JP2021/014050 WO2021201179A1 (ja) 2020-03-31 2021-03-31 快削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326A true KR20220131326A (ko) 2022-09-27

Family

ID=7792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658A KR20220131326A (ko) 2020-03-31 2021-03-31 쾌삭강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93440A1 (ko)
EP (1) EP4130302A1 (ko)
JP (1) JP7024921B1 (ko)
KR (1) KR20220131326A (ko)
CN (1) CN115349026B (ko)
TW (1) TWI747777B (ko)
WO (1) WO202120117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824A (ja) 1988-06-27 1990-01-11 Mitsubishi Rayon Co Ltd 濾過方法および装置
JPH0925539A (ja) 1995-07-11 1997-01-28 Sumitomo Metal Ind Ltd 強度と靭性に優れた快削非調質鋼
JP2000160284A (ja) 1998-11-25 2000-06-13 Sumitomo Metal Ind Ltd 快削鋼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9823A (ja) * 2001-02-22 2002-09-06 Kawasaki Steel Corp 快削鋼の製造方法
JP2003003234A (ja) * 2001-06-19 2003-01-08 Daido Steel Co Ltd 被削性にすぐれたプラスチック成形金型用の快削鋼
JP4295959B2 (ja) * 2002-06-26 2009-07-15 Jfe条鋼株式会社 表面疵の少ない被削性に優れた硫黄および硫黄複合快削鋼
JP4264329B2 (ja) * 2002-11-15 2009-05-1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被削性に優れる鋼
JP4323778B2 (ja) * 2002-11-15 2009-09-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被削性に優れる鋼の製造方法
JP3978394B2 (ja) * 2002-12-02 2007-09-19 Jfe条鋼株式会社 被削性に優れた硫黄および硫黄複合快削鋼
JP4310800B2 (ja) * 2003-03-05 2009-08-12 大同特殊鋼株式会社 高硫黄快削鋼
JP3918787B2 (ja) * 2003-08-01 2007-05-2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低炭素快削鋼
JP4265776B2 (ja) * 2004-02-18 2009-05-20 Jfe条鋼株式会社 被削性に優れた硫黄および硫黄複合快削鋼
JP4924422B2 (ja) * 2005-05-30 2012-04-2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低炭素硫黄快削鋼
JP4544126B2 (ja) * 2005-10-19 2010-09-1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低炭素硫黄快削鋼の製造方法
JP4876638B2 (ja) * 2006-03-08 2012-02-1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低炭素硫黄快削鋼材
JP5092578B2 (ja) * 2007-06-26 2012-12-0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低炭素硫黄快削鋼
KR101027246B1 (ko) * 2008-08-06 2011-04-06 주식회사 포스코 절삭성이 우수한 친환경 무연쾌삭강 및 그 제조방법
CN102952995A (zh) * 2011-08-25 2013-03-06 徐芗明 环保型无铅易切削钢及其冶金方法
CN103966531B (zh) * 2014-04-29 2016-03-09 江苏省沙钢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硫化物形态优异的低碳高硫易切削钢的生产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824A (ja) 1988-06-27 1990-01-11 Mitsubishi Rayon Co Ltd 濾過方法および装置
JPH0925539A (ja) 1995-07-11 1997-01-28 Sumitomo Metal Ind Ltd 強度と靭性に優れた快削非調質鋼
JP2000160284A (ja) 1998-11-25 2000-06-13 Sumitomo Metal Ind Ltd 快削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24921B1 (ja) 2022-02-24
JPWO2021201179A1 (ko) 2021-10-07
TW202138590A (zh) 2021-10-16
CN115349026B (zh) 2024-03-12
WO2021201179A1 (ja) 2021-10-07
TWI747777B (zh) 2021-11-21
US20230193440A1 (en) 2023-06-22
EP4130302A1 (en) 2023-02-08
CN115349026A (zh)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07047B (zh) 麻田散鐵系s快削不鏽鋼
JP4986203B2 (ja) 工具寿命に優れたbn快削鋼
JP5092578B2 (ja) 低炭素硫黄快削鋼
WO2014125770A1 (ja) 鉛快削鋼
JP6055400B2 (ja) 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131326A (ko) 쾌삭강 및 그 제조 방법
JP4348163B2 (ja) 被削性に優れる鋼及びその製造方法
AU2006241390B2 (en) Free-cutting steel having excellent high temperature ductility
JP2019183257A (ja) フェライト系s快削ステンレス鋼
JP6814655B2 (ja) フェライト系快削ステンレス線材
KR20220144864A (ko) 쾌삭강 및 그 제조 방법
JP6927444B1 (ja) 快削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717990B (zh) 快削鋼及其製造方法
JP2005307241A (ja) 高硫黄快削鋼
JP5583986B2 (ja) 鍛造性に優れ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快削鋼棒線
JP3901582B2 (ja) 金型用快削鋼
JP4222112B2 (ja) 高硫黄快削鋼
JP2005307243A (ja) 高硫黄快削鋼
JP2008240053A (ja) 冷間鍛造性と被削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快削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