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3920A -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3920A
KR20220123920A KR1020210027477A KR20210027477A KR20220123920A KR 20220123920 A KR20220123920 A KR 20220123920A KR 1020210027477 A KR1020210027477 A KR 1020210027477A KR 20210027477 A KR20210027477 A KR 20210027477A KR 20220123920 A KR20220123920 A KR 20220123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upled
suturing
moving plat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1011B1 (ko
Inventor
장봉진
김세진
정다운
배순석
김상철
이용규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210027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011B1/ko
Priority to EP22763582.8A priority patent/EP4302616A1/en
Priority to CA3212348A priority patent/CA3212348A1/en
Priority to PCT/KR2022/002942 priority patent/WO2022186600A1/ko
Priority to AU2022229617A priority patent/AU2022229617A1/en
Priority to CN202280018895.4A priority patent/CN117015313A/zh
Priority to JP2023553120A priority patent/JP2024509526A/ja
Publication of KR2022012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6Apparatus for filling pieces of dough such as doughnuts
    • A21C9/063Applying a folding, wrapping, roll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04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forming the dough into a substantially disc-like shape with or without an outer rim, e.g. for making pie crusts, cake shells or pizza bas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Abstract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은, 공급받은 면대를 커팅하여 만두피를 형성하는 만두피 커팅장치와, 만두피 커팅장치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커팅된 상기 만두피가 안착되고 만두소를 공급받은 만두피를 가압하여 접어주는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와,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접어진 만두피를 가압하여 봉합하는 봉합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In-line dumpling forming system}
본 발명은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만두피용 면대를 공급받아 만두피를 커팅하고 만두소가 충진된 만두피를 접어 만두를 성형하는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두는 밀가루 반죽으로 된 만두피의 내부에 만두소가 채워지게 되는데, 만두소가 채워진 만두피를 접합하는 작업의 난이도 때문에 종래에는 사람이 일일이 손으로 만두를 만들어야 했다.
따라서, 만두를 만드는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만두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만두 성형장치들이 일부 제작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여 설치면적 대비 생산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만두 성형장치는 만두소가 충진 만두피를 접고 봉합하는 과정에서 만두피가 정확하게 봉합되지 않아 만두소가 만두피의 밖으로 나오는 봉합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7902호, (2004.07.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 면적이 작아 설치면적 대비 생산성이 높으며 정확한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어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면대를 커팅하여 만두피를 형성하는 만두피 커팅장치; 상기 만두피 커팅장치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커팅된 상기 만두피가 안착되고 만두소를 공급받은 상기 만두피를 가압하여 접어주는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 및 상기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접어진 상기 만두피를 가압하여 봉합하는 봉합장치를 포함하는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만두피 커팅장치는, 커팅장치 프레임; 상기 커팅장치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면대를 상기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에 형성된 돌출 커터로 1차적으로 가압하는 제1 면대 가압기; 및 상기 커팅장치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제1 면대 가압기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면대 가압기에 의해 1차적으로 가압된 상기 면대를 상기 돌출 커터로 2차적으로 가압하는 제2 면대 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대 가압기는, 상기 커팅장치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동 바아부; 상기 제1 회동 바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면대를 가압하는 제1 가압 롤러부; 및 상기 커팅장치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제1 회동 바아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회동 바아부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제1 가압 롤러부의 상기 돌출 커터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면대 가압기는, 상기 커팅장치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동 바아부; 상기 제2 회동 바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면대를 가압하는 제2 가압 롤러부; 및 상기 커팅장치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제2 회동 바아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회동 바아부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제2 가압 롤러부의 상기 돌출 커터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합장치는, 상기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에 의해 접어진 상기 만두피를 가압하는 제1 봉합패드와 상기 제1 봉합패드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봉합패드의 방향으로 상기 만두피를 가압하는 제2 봉합패드를 구비하는 봉합용 가압유닛; 상기 봉합용 가압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봉합패드와 제2 봉합패드를 이동시키는 봉합용 캠레일유닛; 및 상기 봉합용 가압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봉합용 가압유닛을 상기 봉합용 캠레일유닛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봉합용 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합용 가압유닛은 다수 개로 마련되며, 다수 개의 상기 봉합용 가압유닛은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봉합용 가압유닛은, 상기 봉합용 이동유닛에 연결되는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 상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봉합패드가 결합되는 제1 이동 플레이트부;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봉합용 캠레일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부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 상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봉합패드가 결합되는 제2 이동 플레이트부;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봉합용 캠레일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부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 상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 원위치 복귀부; 및 상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 원위치 복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는,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부에 결합된 제1 회전 중심축; 및 상기 제1 회전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회전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는,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부에 결합된 제2 회전 중심축; 및 상기 제2 회전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회전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원위치 복귀부는, 상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에 결합된 제1 복귀용 고정블록;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1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 및 상기 제1 복귀용 고정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을 가압하는 제1 복귀용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원위치 복귀부는, 상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에 결합된 제2 복귀용 고정블록;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제2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2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 및 상기 제2 복귀용 고정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을 가압하는 제2 복귀용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합용 캠레일유닛은, 측면부를 따라 상기 제1 회전 롤러가 이동되는 제1 봉합용 지지레일부; 및 측면부를 따라 상기 제2 회전 롤러가 이동되는 제2 봉합용 지지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면대를 커팅하여 만두피를 형성하는 만두피 커팅장치와, 만두피 커팅장치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만두소를 공급받은 만두피를 가압하여 접어주는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와,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접어진 만두피를 가압하여 봉합하는 봉합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만두피 커팅장치와 봉합장치를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의 상부 영역에 위치시켜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설치면적 대비 생산성이 높으며 만두를 정확한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어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우측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만두피 커팅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만두피 가압유닛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만두피 가압유닛의 접이용 회전구동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접이용 캠레일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봉합용 가압유닛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B-B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C-C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봉합용 캠레일유닛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만두피 커팅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만두피 가압유닛이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만두피 가압유닛의 접이용 회전구동모듈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접이용 캠레일유닛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봉합용 가압유닛이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B-B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0의 C-C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14는 도 1의 봉합용 캠레일유닛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두피용 면대를 공급하는 면대 공급장치(미도시)와, 만두피 커팅장치(100)와, 커팅된 만두피에 만두소를 공급하는 만두소 공급장치(미도시)와,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와, 봉합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면대 공급장치(미도시)는 만두피 커팅장치(1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만두피용 면대를 만두피 커팅장치(100)에 공급할 수 있다.
만두피 커팅장치(100)는 공급받은 만두피용 면대(미도시)를 커팅하여 만두피(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만두피 커팅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에 지지되는 커팅장치 프레임(110)과, 커팅장치 프레임(110)에 지지되며 만두피용 면대를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에 형성된 돌출 커터(221a)로 1차적으로 가압하는 제1 면대 가압기(120)와, 커팅장치 프레임(110)에 지지되고 제1 면대 가압기(120)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면대 가압기(120)에 의해 1차적으로 가압된 만두피용 면대를 돌출 커터(221a)로 2차적으로 가압하는 제2 면대 가압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팅장치 프레임(110)은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의 후술할 접이장치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1 면대 가압기(120)는 커팅장치 프레임(1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면대 가압기(120)는 만두피용 면대를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에 형성된 후술할 돌출 커터(221a) 쪽으로 1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면대 가압기(1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장치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동 바아부(121)와, 제1 회동 바아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만두피용 면대를 가압하는 제1 가압 롤러부(122)와, 커팅장치 프레임(110)에 지지되고 제1 회동 바아부(121)에 연결되며 제1 회동 바아부(121)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제1 가압 롤러부(122)의 돌출 커터(221a)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동 바아부(121)는 커팅장치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동 바아부(121)는 길이가 긴 바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압 롤러부(122)는 제1 회동 바아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압 롤러부(122)는 만두피용 면대를 돌출 커터(221a)에 대해 살짝 눌러 주어 제2 면대 가압기(130)에 의해 최종적인 커팅 전에 만두피(만두피용 면대)를 정렬시킬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부(123)는 커팅장치 프레임(1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높이 조절부(123)는 제1 회동 바아부(121)에 연결되어 제1 회동 바아부(121)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제1 가압 롤러부(122)의 돌출 커터(221a)에 대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부(123)에 의한 제1 가압 롤러부(122)의 높이 조절에 의해 제1 가압 롤러부(122)의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높이 조절부(123)는, 제1 회동 바아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높이 조절용 실린더 로드(123a)와, 커팅장치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높이 조절용 실린더 로드(123a)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높이 조절용 실린더 로드(123a)를 이동시키는 제1 높이 조절용 가압실린더 본체(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대 가압기(130)는 커팅장치 프레임(110)에 지지되고 제1 면대 가압기(120)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면대 가압기(130)는 제1 면대 가압기(120)에 의해 1차적으로 가압된 만두피용 면대를 돌출 커터(221a)로 2차적으로 가압하여 만두피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면대 가압기(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장치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동 바아부(131)와, 제2 회동 바아부(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만두피용 면대를 가압하는 제2 가압 롤러부(132)와, 커팅장치 프레임(110)에 지지되고 제2 회동 바아부(131)에 연결되며 제2 회동 바아부(131)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제2 가압 롤러부(132)의 돌출 커터(221a)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동 바아부(131)는 커팅장치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회동 바아부(131)는 길이가 긴 바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압 롤러부(132)는 제2 회동 바아부(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압 롤러부(132)는 제1 가압 롤러부(122)에 의해 살짝 눌러진 만두피용 면대를 돌출 커터(221a) 쪽으로 최종적으로 가압하여 만두피용 면대에서 만두피가 커팅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높이 조절부(133)는 커팅장치 프레임(1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높이 조절부(133)는 제2 회동 바아부(131)에 연결되어 제2 회동 바아부(131)의 회동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제2 가압 롤러부(132)의 돌출 커터(221a)에 대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높이 조절부(133)에 의한 제2 가압 롤러부(132)의 높이 조절에 의해 제2 가압 롤러부(132)의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높이 조절부(133)는, 제2 회동 바아부(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높이 조절용 실린더 로드(133a)와, 커팅장치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높이 조절용 실린더 로드(133a)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높이 조절용 실린더 로드(133a)를 이동시키는 제2 높이 조절용 가압실린더 본체(133b)를 포함할 수 있다.
만두소 공급장치(미도시)는 만두피 커팅장치(100)에 의해 커팅된 만두피에 만두소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만두소 공급장치(미도시)는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하부 영역에 배치된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에 지지된 만두피의 상면에 만두소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만두소 공급장치(미도시)는 만두피 커팅장치(100)와 봉합장치(3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는 만두피 커팅장치(10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는 만두소를 공급받은 만두피를 하부에서 가압하여 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는, 지면에 지지되는 접이장치 프레임(210)과, 만두피가 순차적으로 접어지도록 만두피를 순차적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만두피 접이부(SF, GF)를 구비하는 만두피 가압유닛(220)과, 만두피 가압유닛(22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만두피 가압유닛(220)에 연결되어 만두피 접이부(SF, GF)를 이동시키는 접이용 캠레일유닛(230)과, 만두피 가압유닛(220)에 연결되며 만두피 가압유닛(220)을 접이용 캠레일유닛(230)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접이용 이동유닛(240)을 포함할 수 있다.
만두피 가압유닛(2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마련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 개의 만두피 가압유닛(220)들은 접이용 이동유닛(240)의 후술할 접이용 체인부(241)에 결합되며, 접이용 체인부(241)의 회전을 따라 연속적으로 회전되며 이송되어 만두피를 만두피 커팅장치(100)에서 봉합장치(30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만두피 가압유닛(220)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용 이동유닛(240)에 연결되며 만두피 접이부(SF, GF)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 플레이트부(221)와, 상단 플레이트부(221)에 연결되며 만두피 접이부(SF, GF)를 회전시키는 접이용 회전구동모듈(222)과, 접이용 캠레일유닛(230)에 연결되며 상단 플레이트부(221)를 지지하는 상단 플레이트 지지부(2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플레이트부(221)에는 만두피 가압유닛(220)에 의해 커팅된 만두피가 안착되는 만두피 안착영역(K)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만두피 안착영역(K)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마련되어 상단 플레이트부(22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단 플레이트부(221)는 만두피 접이부(SF, GF)의 구동 시 만두피의 일 영역이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단 플레이트부(221)에는 만두피 안착영역(K)의 둘레를 구획하는 돌출 커터(221a)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 커터(221a)는 상단 플레이트부(221)의 상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돌출 커터(221a)는 만두피 가압유닛(220)에 의해 가압되는 만두피용 면대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돌출 커터(221a)의 형상으로 만두피를 커팅할 수 있다.
만두피 접이부(SF, GF)는 상단 플레이트부(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만두피 접이부(SF, GF)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두피를 1차적으로 가압하는 서포트 핑거(SF)와, 서포트 핑거(SF)에 의해 가압된 만두피를 2차적으로 가압하는 만두피의 가장자리 영역을 모아주는 게더링 핑거(GF)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포트 핑거(SF)는 2개로 마련되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 핑거(SF)는 접이용 이동유닛(240)에 의해 이송되는 만두피 가압유닛(220)의 이송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만두피를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 핑거(SF)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더링 핑거(GF)보다 먼저 미리 설정된 제1 서포트 핑거용 회동 각도만큼 회동되어 만두피 안착영역(K)에 놓인 만두피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만두피의 양측을 살짝 들어준 후 회동되지 않고 정지할 수 있다(도 7(b) 참조).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핑거(SF)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플레이트부(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팅용 몸체(SF1)와, 서포팅용 몸체(SF1)의 측벽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만두피에 접촉되는 서포팅용 플랜지(SF2)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팅용 몸체(SF1)에는 상단 플레이트부(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용 회전중심축(SF3)이 형성될 수 있다.
서포팅용 플랜지(SF2)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접어진 만두피와의 접촉면적을 늘려 만두피를 더욱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게더링 핑거(GF)는 서포트 핑거(SF) 의해 가압된 만두피를 2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게더링 핑거(GF)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마련되어 만두피 안착영역(K)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게더링 핑거(GF)에는 상단 플레이트부(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게더링용 회전중심축(GF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게더링 핑거(GF)는 서포트 핑거(SF)의 회동이 시작된 후 또는 서포트 핑거(SF)가 제1 서포트 핑거용 회동 각도만큼 회동된 후에 미리 설정된 게더링 핑거용 회동 각도만큼 회동될 수 있다(도 7(c) 참조).
게더링 핑거(GF)의 회동이 시작된 후 또는 게더링 핑거(GF)가 게더링 핑거용 회동 각도만큼 회동된 후에 서포트 핑거(SF)가 미리 설정된 제2 서포트 핑거용 회동 각도만큼 회동될 수 있다(도 7(d) 참조). 여기서, 제2 서포트 핑거용 회동 각도는 제2 서포트 핑거용 회동 각도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서포트 핑거(SF)가 제1 서포트 핑거용 회동 각도로 회동한 후 게더링 핑거(GF)가 게더링 핑거용 회동 각도로 회동한 다음 서포트 핑거(SF)가 제2 서포트 핑거용 회동 각도로 회동함으로써, 만두피의 가장자리 영역을 가운데로 모아 만두피를 접어줄 수 있고, 서포트 핑거(SF)의 1차적인 가압 후 게더링 핑거(GF)가 2차적으로 만두피를 가압하고 서포트 핑거(SF)가 만두피를 최종적으로 다시 가압하여 만두소가 만두피에서 빠져나오지 않으면서 만두피가 정확하게 접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접이용 회전구동모듈(222)은 상단 플레이트부(221)에 연결될 수 있다. 접이용 회전구동모듈(222)은 만두피 접이부(SF, GF)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용 회전구동모듈(222)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플레이트부(221)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상단 플레이트부(22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단 플레이트부(223)와, 중단 플레이트부(223)에 힌지 결합되고 게더링 핑거(GF)에 힌지 결합되는 게더링 핑거용 링크부(224)와, 중단 플레이트부(223)에 연결되어 중단 플레이트부(223)를 상단 플레이트부(221)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중단 플레이트 이동부(225)와, 중단 플레이트부(223)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상단 플레이트부(22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단 플레이트부(223)를 관통하는 관통 몸체(N)를 구비하는 하단 플레이트부(226)와, 관통 몸체(N)에 힌지 결합되고 서포트 핑거(SF)에 힌지 결합되는 서포트 핑거용 링크부(227)와, 하단 플레이트부(226)에 연결되어 하단 플레이트부(226)를 상단 플레이트부(221)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하단 플레이트 이동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중단 플레이트부(223)는 하단 플레이트부(226)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단 플레이트부(223)는 상단 플레이트부(221)에 결합된 중단 플레이트용 가이드축(R1)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단 플레이트부(22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게더링 핑거용 링크부(224)는 바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더링 핑거용 링크부(224)의 일단부 영역은 중단 플레이트부(2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게더링 핑거용 링크부(224)의 타단부 영역은 게더링 핑거(GF)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중단 플레이트 이동부(225)는 중단 플레이트부(223)에 연결되어 중단 플레이트부(223)를 상단 플레이트부(221)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단 플레이트 이동부(225)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플레이트부(226)를 관통하며 중단 플레이트부(223)에 결합되는 게더링 핑거용 승하강 몸체(225a)와, 게더링 핑거용 승하강 몸체(22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접이용 캠레일유닛(230)에 연결되는 게더링 핑거용 회전롤러(225b)를 포함할 수 있다.
게더링 핑거용 회전롤러(225b)는 접이용 캠레일유닛(230)의 게더링 핑거용 지지레일부(232)의 상면에 연결되어 게더링 핑거용 지지레일부(232)의 상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게더링 핑거용 지지레일부(232)의 상면의 형상에 따라 게더링 핑거용 회전롤러(225b)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러한 게더링 핑거용 회전롤러(225b)의 상측으로의 이동은 게더링 핑거용 승하강 몸체(225a)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게더링 핑거용 승하강 몸체(225a)의 상측으로의 이동은 중단 플레이트부(223)를 상단 플레이트부(221)의 방향으로 상승시키고, 중단 플레이트부(223)의 상승은 게더링 핑거용 링크부(224)를 상승시켜 게더링 핑거(GF)를 회전시켜 게더링 핑거(GF)가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하단 플레이트부(226)는 중단 플레이트부(223)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단 플레이트부(226)는 상단 플레이트부(221)에 결합된 하단 플레이트용 가이드축(R2)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단 플레이트부(22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단 플레이트부(226)에는 상단 플레이트부(22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중단 플레이트부(223)를 관통하는 관통 몸체(N)가 마련될 수 있다. 중단 플레이트부(223)에는 관통 몸체(N)가 관통하는 절개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핑거용 링크부(227)는 바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핑거용 링크부(227)의 일단부 영역은 관통 몸체(N)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 핑거용 링크부(227)의 타단부 영역은 서포트 핑거(SF)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단 플레이트 이동부(228)는 하단 플레이트부(226)에 연결되어 하단 플레이트부(226)를 상단 플레이트부(221)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단 플레이트 이동부(228)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플레이트부(226)에 결합되는 서포트 핑거용 승하강 몸체(228a)와, 서포트 핑거용 승하강 몸체(228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접이용 캠레일유닛(230)에 연결되는 서포트 핑거용 회전롤러(228b)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핑거용 회전롤러(228b)는 접이용 캠레일유닛(230)의 서포트 핑거용 지지레일부(231)의 상면에 연결되어 서포트 핑거용 지지레일부(231)의 상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 핑거용 지지레일부(231)의 상면의 형상에 따라 서포트 핑거용 회전롤러(228b)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러한 서포트 핑거용 회전롤러(228b)의 상측으로의 이동은 서포트 핑거용 승하강 몸체(228a)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서포트 핑거용 승하강 몸체(228a)의 상측으로의 이동은 하단 플레이트부(226)를 상단 플레이트부(221)의 방향으로 상승시키고, 하단 플레이트부(226)의 상승은 관통 몸체(N)를 상승시켜 서포트 핑거용 링크부(227)를 상승시키게 되고, 상승된 서포트 핑거용 링크부(227)는 서포트 핑거(SF)를 회전시켜 서포트 핑거(SF)가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상단 플레이트 지지부(229)는 접이용 캠레일유닛(230)에 연결되어 상단 플레이트부(221)를 지지할 수 있다.
상단 플레이트 지지부(229)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플레이트부(221)에 결합되는 상단 플레이트용 지지몸체(229a)와, 상단 플레이트용 지지몸체(229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접이용 캠레일유닛(230)에 연결되는 상단 플레이트용 회전롤러(22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플레이트용 회전롤러(229b)는 접이용 캠레일유닛(230)의 상단 플레이트용 지지레일부(233)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단 플레이트용 지지레일부(233)의 상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단 플레이트용 지지레일부(233)의 상면은 서포트 핑거용 지지레일부(231)와 게더링 핑거용 지지레일부(232)의 상면과 달리 경사 없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이동과정에서 상단 플레이트부(221)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접이용 캠레일유닛(230)은 접이장치 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이용 캠레일유닛(230)은 만두피 가압유닛(2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만두피 가압유닛(220)이 만두피 커팅장치(100)에서 봉합장치(300)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만두피 가압유닛(220)에 연결되어 만두피 접이부(SF, GF)를 이동(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용 캠레일유닛(230)은, 도 1,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을 따라 서포트 핑거용 회전롤러(228b)가 이동되는 서포트 핑거용 지지레일부(231)와, 서포트 핑거용 지지레일부(231)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부면을 따라 게더링 핑거용 회전롤러(225b)가 이동되는 게더링 핑거용 지지레일부(232)와, 서포트 핑거용 지지레일부(231)와 게더링 핑거용 지지레일부(232)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부면을 따라 상단 플레이트용 회전롤러(229b)가 이동되는 상단 플레이트용 지지레일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핑거용 지지레일부(231)는 길이가 긴 바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 핑거용 지지레일부(231)의 상부면을 따라 서포트 핑거용 회전롤러(228b)가 이동될 수 있다.
게더링 핑거용 지지레일부(232)는 서포트 핑거용 지지레일부(231)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게더링 핑거용 지지레일부(232)의 상부면을 따라 게더링 핑거용 회전롤러(225b)가 이동될 수 있다.
서포트 핑거용 회전롤러(228b)가 게더링 핑거용 회전롤러(225b)보다 먼저 상승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핑거용 지지레일부(231)의 전면부의 상부면이 게더링 핑거용 지지레일부(232)의 전면부보다 앞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게더링 핑거용 지지레일부(232)와 서포트 핑거용 지지레일부(231)의 상단부의 부위별 높이에 따라 게더링 핑거용 회전롤러(225b)와 서포트 핑거용 회전롤러(228b)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게더링 핑거용 회전롤러(225b)와 서포트 핑거용 회전롤러(228b)의 상승에 따라 서포트 핑거(SF)와 게더링 핑거(GF)를 회전되어 상승할 수 있다.
접이용 이동유닛(240)은 만두피 가압유닛(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접이용 이동유닛(240)은 만두피 가압유닛(220)을 접이용 캠레일유닛(230)에 대해 상대이동 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용 이동유닛(2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두피 가압유닛(220)에 결합되는 접이용 체인부(241)와, 접이용 체인부(241)에 연결되는 접이용 풀리부(242)와, 접이용 풀리부(242)에 연결되어 접이용 풀리부(242)를 회전시키는 접이용 구동모터(24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이용 체인부(241)는 만두피 가압유닛(220)의 상단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이용 체인부(241)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단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 영역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접이용 풀리부(242)는 접이장치 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이용 풀리부(242)는 접이용 체인부(241)에 연결될 수 있다.
접이용 구동모터(243)는 접이장치 프레임(2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접이용 구동모터(243)는 접이용 풀리부(242)에 연결되어 접이용 풀리부(2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봉합장치(300)는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봉합장치(300)는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에 의해 접어진 만두피를 가압하여 봉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합장치(300)는, 도 1, 도 2,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장치 프레임(210)에 지지되는 봉합장치 프레임(310)과,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에 의해 접어진 만두피를 가압하는 제1 봉합패드(P1)와 제1 봉합패드(P1)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제1 봉합패드(P1)의 방향으로 만두피를 가압하는 제2 봉합패드(P2)를 구비하는 봉합용 가압유닛(320)과, 봉합용 가압유닛(32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봉합용 가압유닛(320)에 연결되어 제1 봉합패드(P1)와 제2 봉합패드(P2)를 이동시키는 봉합용 캠레일유닛(330)과, 봉합용 가압유닛(320)에 연결되며 봉합용 가압유닛(320)을 봉합용 캠레일유닛(330)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봉합용 이동유닛(340)을 포함할 수 있다.
봉합용 가압유닛(3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마련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 개의 봉합용 가압유닛(320)들은 봉합용 이동유닛(340)의 후술할 봉합용 체인부(341)에 결합되며, 봉합용 체인부(341)의 회전을 따라 연속적으로 회전되어 만두피 커팅장치(100)에서 봉합장치(30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합용 가압유닛(320)은, 도 1, 도 2,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에 의해 접어진 만두피를 가압하는 제1 봉합패드(P1)와 제1 봉합패드(P1)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제1 봉합패드(P1)의 방향으로 만두피를 가압하는 제2 봉합패드(P2)와, 봉합용 이동유닛(340)에 연결되는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와,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봉합패드(P1)가 결합되는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와,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에 결합되며 봉합용 캠레일유닛(330)에 연결되어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323)와, 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봉합패드(P2)가 결합되는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와,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에 결합되며 봉합용 캠레일유닛(330)에 연결되어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325)와,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에 결합되며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에 연결되어 제1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323)에 의해 이동된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 원위치 복귀부(326)와,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에 결합되며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에 연결되어 제2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325)에 의해 이동된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 원위치 복귀부(3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봉합패드(P1)와 제1 봉합패드(P1)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봉합패드(P1)와 제1 봉합패드(P1)는 다수 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봉합패드(P1)와 제1 봉합패드(P1)의 사이에는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에 의해 만두피가 접어진 만두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봉합패드(P1)와 제2 봉합패드(P2)가 서로를 향하여 접근하여 사이에 배치된 만두를 가압하여 만두피를 최종적으로 봉합할 수 있다.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는 길이가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의 양측 단부 영역은 봉합용 이동유닛(340)의 후술할 접이용 체인부(24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의 하부면에는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와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 각각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가이드레일(321a)과 제2 가이드레일(321b)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에는 후술할 제1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326b)이 관통하는 제1 관통공(321c)과 후술할 제2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327b)이 관통하는 제2 관통공(321d)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는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의 제1 가이드레일(321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에 대해 상대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에는 다수 개의 제1 봉합패드(P1)가 결합되며, 다수 개의 제1 봉합패드(P1)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323)는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323)는 봉합용 캠레일유닛(330)의 후술할 제1 봉합용 지지레일부(331)에 연결되어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32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에 결합된 제1 회전 중심축(323a)과, 제1 회전 중심축(32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회전 롤러(3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롤러(323b)는 봉합용 캠레일유닛(330)의 제1 봉합용 지지레일부(331)의 측면부에 연결되어 제1 봉합용 지지레일부(331)의 측면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봉합용 지지레일부(331)의 측면부의 형상에 따라 제1 회전 롤러(323b)가 수평방향(도 10 및 도 11의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러한 제1 회전 롤러(323b)의 좌측으로의 이동은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에 결합된 제1 봉합패드(P1) 역시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는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의 제2 가이드레일(321b)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에 대해 상대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에는 다수 개의 제2 봉합패드(P2)가 결합되며, 다수 개의 제2 봉합패드(P2)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325)는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325)는 봉합용 캠레일유닛(330)의 후술할 제2 봉합용 지지레일부(332)에 연결되어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32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에 결합된 제2 회전 중심축(325a)과, 제2 회전 중심축(32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회전 롤러(32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 롤러(325b)는 봉합용 캠레일유닛(330)의 제2 봉합용 지지레일부(332)의 측면부에 연결되어 제2 봉합용 지지레일부(332)의 측면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봉합용 지지레일부(332)의 측면부의 형상에 따라 제2 회전 롤러(325b)가 수평방향(도 10 및 도 11의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러한 제2 회전 롤러(325b)의 우측으로의 이동은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를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에 결합된 제2 봉합패드(P2) 역시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원위치 복귀부(326)는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원위치 복귀부(326)는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에 연결되어 제1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323)에 의해 이동된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원위치 복귀부(326)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에 결합된 제1 복귀용 고정블록(326a)과,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에 결합되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에 형성된 제1 관통공(321c)을 관통하는 제1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326b)과, 제1 복귀용 고정블록(326a)에 결합되며 제1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326b)에 연결되어 제1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326b)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복귀용 탄성체(32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복귀용 고정블록(326a)은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의 상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326b)은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의 상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326b)은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의 제1 관통공(321c)을 관통하여 제1 복귀용 고정블록(326a)에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복귀용 탄성체(326c)의 일단부는 제1 복귀용 고정블록(326a)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1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326b)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복귀용 탄성체(326c)는 제1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323)에 의해 이동된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제2 원위치 복귀부(327)는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원위치 복귀부(327)는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에 연결되어 제2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325)에 의해 이동된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원위치 복귀부(327)는,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에 결합된 제2 복귀용 고정블록(327a)과,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에 결합되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에 형성된 제2 관통공(321d)을 관통하는 제2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327b)과, 제2 복귀용 고정블록(327a)에 결합되며 제2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327b)에 연결되어 제2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327b)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복귀용 탄성체(327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복귀용 고정블록(327a)은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의 상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327b)은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의 상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327b)은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의 제2 관통공(321d)을 관통하여 제2 복귀용 고정블록(327a)에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복귀용 탄성체(327c)의 일단부는 제2 복귀용 고정블록(327a)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327b)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복귀용 탄성체(327c)는 제2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325)에 의해 이동된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봉합용 캠레일유닛(330)은 봉합장치 프레임(3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봉합용 캠레일유닛(330)은 봉합용 가압유닛(3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봉합용 가압유닛(320)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봉합용 가압유닛(320)에 연결되어 제1 봉합패드(P1)와 제2 봉합패드(P2)를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합용 캠레일유닛(330)은, 도 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를 따라 제1 회전 롤러(323b)가 이동되는 제1 봉합용 지지레일부(331)와, 측면부를 따라 제2 회전 롤러(325b)가 이동되는 제2 봉합용 지지레일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봉합용 지지레일부(331)의 측면부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1 봉합용 지지레일부(331)의 경사진 측면부에 접촉된 제1 회전 롤러(323b)는 도 14에서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전 롤러(323b)의 죄측으로의 이동은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제1 이동 플레이트부(322)에 결합된 제1 봉합패드(P1) 역시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봉합용 지지레일부(332)의 측면부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2 봉합용 지지레일부(332)의 경사진 측면부에 접촉된 제2 회전 롤러(325b)는 도 14에서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회전 롤러(325b)의 우측으로의 이동은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를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제2 이동 플레이트부(324)에 결합된 제2 봉합패드(P2) 역시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봉합용 이동유닛(340)은 봉합용 가압유닛(3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봉합용 이동유닛(340)은 봉합용 가압유닛(320)을 봉합용 캠레일유닛(330)에 대해 상대이동 시킬 수 있다.
봉합용 이동유닛(3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용 가압유닛(320)이 결합되는 봉합용 체인부(341)와, 봉합용 체인부(341)에 연결되는 봉합용 풀리부(342)와, 봉합용 풀리부(342)에 연결되어 봉합용 풀리부(342)를 회전시키는 봉합용 구동모터(343)를 포함할 수 있다.
봉합용 체인부(341)는 봉합용 가압유닛(320)의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봉합용 체인부(341)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321)의 양측 단부 영역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봉합용 풀리부(342)는 봉합장치 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봉합용 풀리부(342)에는 봉합용 체인부(341)가 연결될 수 있다.
봉합용 구동모터(343)는 봉합장치 프레임(3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봉합용 구동모터(343)는 봉합용 풀리부(342)에 연결되어 봉합용 풀리부(3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만두피 커팅장치(100)가 만두피용 면대를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의 만두피 가압유닛(220)으로 가압할 수 있다. 만두피 커팅장치(100)의 가압에 의해 커팅된 만두피는 만두피 안착영역(K)에 배치될 수 있다.
만두피 가압유닛(220)은 접이용 이동유닛(240)에 의해 이동되어 서포트 핑거용 회전롤러(228b)와 게더링 핑거용 회전롤러(225b)가 접이용 캠레일유닛(230)의 서포트 핑거용 지지레일부(231)와 게더링 핑거용 지지레일부(232)의 상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접이용 캠레일유닛(230)의 서포트 핑거용 지지레일부(231)와 게더링 핑거용 지지레일부(232)의 상부면 형상에 따라 서포트 핑거용 회전롤러(228b)와 게더링 핑거용 회전롤러(225b)가 상승하여 서포트 핑거(SF)와 게더링 핑거(GF)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어 상승할 수 있다.
이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서포트 핑거(SF)가 게더링 핑거(GF)보다 먼저 회동되어 만두피 안착영역(K)에 놓인 만두피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만두피의 양측을 살짝 들 수 있다.
이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게더링 핑거(GF)가 회전되어 서포트 핑거(SF)에 의해 가압된 만두피를 2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다음,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서포트 핑거(SF)가 더 큰 각도로 회전되어 만두피를 강하게 누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서포트 핑거(SF)와 게더링 핑거(GF)의 상승에 의해 만두피가 접어지며, 접어진 만두피는 계속 이동되어 봉합장치(300)에 도달될 수 있다.
봉합장치(300)는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에 의해 만두피가 접어진 만두를 제1 봉합패드(P1)와 제2 봉합패드(P2)로 가압하여 만두피를 붙여주어 만두를 최종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은, 공급받은 만두피용 면대를 커팅하여 만두피를 형성하는 만두피 커팅장치(100)와, 만두피 커팅장치(10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만두소를 공급받은 만두피를 가압하여 접어주는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와,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접어진 만두피를 가압하여 봉합하는 봉합장치(300)를 구비함으로써, 만두피 커팅장치(100)와 봉합장치(300)를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200)의 상부 영역에 위치시켜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설치면적 대비 생산성이 높으며 만두를 정확한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어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만두피 커팅장치 110: 커팅장치 프레임
120: 제1 면대 가압기 130: 제2 면대 가압기
200: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 300: 봉합장치

Claims (12)

  1. 면대를 커팅하여 만두피를 형성하는 만두피 커팅장치;
    상기 만두피 커팅장치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커팅된 상기 만두피가 안착되고 만두소를 공급받은 상기 만두피를 가압하여 접어주는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 및
    상기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접어진 상기 만두피를 가압하여 봉합하는 봉합장치를 포함하는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피 커팅장치는,
    커팅장치 프레임;
    상기 커팅장치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면대를 상기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에 형성된 돌출 커터로 1차적으로 가압하는 제1 면대 가압기; 및
    상기 커팅장치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제1 면대 가압기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면대 가압기에 의해 1차적으로 가압된 상기 면대를 상기 돌출 커터로 2차적으로 가압하는 제2 면대 가압기를 포함하는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대 가압기는,
    상기 커팅장치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동 바아부;
    상기 제1 회동 바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면대를 가압하는 제1 가압 롤러부; 및
    상기 커팅장치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제1 회동 바아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회동 바아부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제1 가압 롤러부의 상기 돌출 커터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대 가압기는,
    상기 커팅장치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동 바아부;
    상기 제2 회동 바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면대를 가압하는 제2 가압 롤러부; 및
    상기 커팅장치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제2 회동 바아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회동 바아부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제2 가압 롤러부의 상기 돌출 커터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장치는,
    상기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에 의해 접어진 상기 만두피를 가압하는 제1 봉합패드와 상기 제1 봉합패드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봉합패드의 방향으로 상기 만두피를 가압하는 제2 봉합패드를 구비하는 봉합용 가압유닛;
    상기 봉합용 가압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봉합패드와 제2 봉합패드를 이동시키는 봉합용 캠레일유닛; 및
    상기 봉합용 가압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봉합용 가압유닛을 상기 봉합용 캠레일유닛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봉합용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용 가압유닛은 다수 개로 마련되며, 다수 개의 상기 봉합용 가압유닛은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용 가압유닛은,
    상기 봉합용 이동유닛에 연결되는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
    상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봉합패드가 결합되는 제1 이동 플레이트부;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봉합용 캠레일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부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
    상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봉합패드가 결합되는 제2 이동 플레이트부;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봉합용 캠레일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부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
    상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 원위치 복귀부; 및
    상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 원위치 복귀부를 포함하는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는,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부에 결합된 제1 회전 중심축; 및
    상기 제1 회전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회전 롤러를 포함하는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용 이동부는,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부에 결합된 제2 회전 중심축; 및
    상기 제2 회전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회전 롤러를 포함하는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위치 복귀부는,
    상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에 결합된 제1 복귀용 고정블록;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1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 및
    상기 제1 복귀용 고정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을 가압하는 제1 복귀용 탄성체를 포함하는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위치 복귀부는,
    상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에 결합된 제2 복귀용 고정블록;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봉합용 지지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제2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2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 및
    상기 제2 복귀용 고정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용 돌출블록을 가압하는 제2 복귀용 탄성체를 포함하는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용 캠레일유닛은,
    측면부를 따라 상기 제1 회전 롤러가 이동되는 제1 봉합용 지지레일부; 및
    측면부를 따라 상기 제2 회전 롤러가 이동되는 제2 봉합용 지지레일부를 포함하는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KR1020210027477A 2021-03-02 2021-03-02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KR102581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477A KR102581011B1 (ko) 2021-03-02 2021-03-02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EP22763582.8A EP4302616A1 (en) 2021-03-02 2022-03-02 In-line dumpling molding system
CA3212348A CA3212348A1 (en) 2021-03-02 2022-03-02 In-line dumpling molding system
PCT/KR2022/002942 WO2022186600A1 (ko) 2021-03-02 2022-03-02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AU2022229617A AU2022229617A1 (en) 2021-03-02 2022-03-02 In-line dumpling molding system
CN202280018895.4A CN117015313A (zh) 2021-03-02 2022-03-02 直列式饺子成型系统
JP2023553120A JP2024509526A (ja) 2021-03-02 2022-03-02 インライン方式の餃子成形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477A KR102581011B1 (ko) 2021-03-02 2021-03-02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920A true KR20220123920A (ko) 2022-09-13
KR102581011B1 KR102581011B1 (ko) 2023-09-20

Family

ID=8315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477A KR102581011B1 (ko) 2021-03-02 2021-03-02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302616A1 (ko)
JP (1) JP2024509526A (ko)
KR (1) KR102581011B1 (ko)
CN (1) CN117015313A (ko)
AU (1) AU2022229617A1 (ko)
CA (1) CA3212348A1 (ko)
WO (1) WO202218660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02Y1 (ko) 2004-05-04 2004-07-30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교자 및 포자만두의 자동 만두성형기
KR20160099796A (ko) * 2015-02-12 2016-08-23 주식회사대한기계 만두제조장치
KR20180114661A (ko) * 2017-04-11 2018-10-19 (주)한솔기계 만두 성형장치
CN212520602U (zh) * 2020-08-13 2021-02-12 郑州思念食品有限公司 馄饨皮制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7001A (zh) * 2015-07-08 2020-06-05 通用磨坊销售公司 自动包饺机
CN105360196B (zh) * 2015-11-24 2018-08-31 哈尔滨金美乐商业机械有限公司 饺子加工系统
KR102073611B1 (ko) * 2018-08-21 2020-02-06 (주)대한기계 만두 제조 장치
JP7079221B2 (ja) * 2019-04-26 2022-06-01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折り畳み食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02Y1 (ko) 2004-05-04 2004-07-30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교자 및 포자만두의 자동 만두성형기
KR20160099796A (ko) * 2015-02-12 2016-08-23 주식회사대한기계 만두제조장치
KR20180114661A (ko) * 2017-04-11 2018-10-19 (주)한솔기계 만두 성형장치
CN212520602U (zh) * 2020-08-13 2021-02-12 郑州思念食品有限公司 馄饨皮制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6600A1 (ko) 2022-09-09
EP4302616A1 (en) 2024-01-10
CA3212348A1 (en) 2022-09-09
CN117015313A (zh) 2023-11-07
KR102581011B1 (ko) 2023-09-20
JP2024509526A (ja) 2024-03-04
AU2022229617A1 (en)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8240B2 (en) Mold set, compressive device and dumpling forming machine
JP6509790B2 (ja) 食品生地の丸め成形装置及び丸め成形方法
KR20220123920A (ko)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TW202038749A (zh) 折疊食品的成形方法及成形裝置
KR20220123921A (ko)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
JP5941519B2 (ja) 食品生地の成形方法及び装置
US5964134A (en) Trim apparatus and method for trimming an article from a thermoplastic sheet
CN203028080U (zh) 饺子成型装置及使用该装置的饺子机
US4240337A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erection of cardboard trays
PT98572B (pt) Maquina e processo para preparar pizas
US2014046A (en) Box folding mechanism
CN215013071U (zh) 一种模具机构及其仿手工自动包馅机
CN220805915U (zh) 一种鞋底切割机的激光加工机构
CN219599660U (zh) 一种轮胎生产用剪裁装置
JP3081738U (ja) 圧縮空気成形機の下金型押し上げ機構構造
CN212419284U (zh) 一种便于支撑型钢的六工位冲孔机
CN220500110U (zh) 一种切边装置
JP7390335B2 (ja) 折り畳み食品の成形装置
CN215395583U (zh) 一种用于轮胎生产的橡胶条裁断设备
CN220660999U (zh) 一种包装印刷用的切割装置
JP2002153199A (ja) 食品素材に対する襞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2007135447A (ja) 食品製造装置
CN219985841U (zh) 一种90度角成型机
KR102286618B1 (ko) 레일 굴곡에 기인한 성형 동작 가변형 회전식 손만두 자동 성형장치
JP2767191B2 (ja) 靴下の仕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