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796A - 만두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만두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796A
KR20160099796A KR1020150021890A KR20150021890A KR20160099796A KR 20160099796 A KR20160099796 A KR 20160099796A KR 1020150021890 A KR1020150021890 A KR 1020150021890A KR 20150021890 A KR20150021890 A KR 20150021890A KR 20160099796 A KR20160099796 A KR 20160099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pling
unit
base material
sut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0801B1 (ko
Inventor
정풍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150021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8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99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P1/087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Abstract

만두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만두제조장치는: 이송부에 의해 이동되는 성형틀부와, 성형틀부에 만두피를 공급하는 만두피공급부와, 성형틀부에 공급된 만두피에 만두소를 공급하는 만두소공급부와, 성형틀부에 수용되는 만두를 봉합하는 만두봉합부 및 만두봉합부에 의해 봉합된 만두를 배출하는 만두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만두제조장치{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만두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만두 제조를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만두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만두는 밀가루 반죽으로 된 만두피의 내부에 만두속이 채워지게 되는데, 만두속이 채워진 만두피를 접합하는 작업의 난이도 때문에 종래에는 사람이 일일이 손으로 만두를 만들어야 했으므로 만두를 만드는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만두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들이 일부 제작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매우 조잡하고 만두재료의 공급에 있어서도 재료의 이송거리가 길어서 재료가 이송되는 도중에 기계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재료가 변질되거나 익어버려서 재료 자체의 맛이 변질되어 만두의 맛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생산된 만두의 형태도 좋은 형태를 유지하지 못해 만두로서의 상품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2012-0052115호(공개일:2012.05.23)에는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만두 제조를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만두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제조장치는: 이송부에 의해 이동되는 성형틀부와, 상기 성형틀부에 만두피를 공급하는 만두피공급부와, 상기 성형틀부에 공급된 만두피에 만두소를 공급하는 만두소공급부와, 상기 성형틀부에 수용되는 만두를 봉합하는 만두봉합부 및 상기 만두봉합부에 의해 봉합된 만두를 배출하는 만두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틀부는 만두피가 안착되는 성형플레이트와, 상기 성형플레이트에 구비되어 만두소의 충진 시 만두피가 함몰되어 상기 만두봉합부가 가압할 수 있는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수용틀 및 상기 수용틀 내부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만두를 밀어올리는 인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두피공급부는 판상의 모재를 공급하는 모재공급부 및 상기 모재공급부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를 펀칭하여 만두피를 형성하는 펀칭부 및 상기 모재공급부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가 상기 펀칭부를 경유하는 경로를 갖도록 하는 리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두피공급부는 상기 펀칭부에 의해 펀칭되고 남은 모재를 수거하여 재공급하는 재사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두소공급부는 만두소의 공급을 위한 메인호퍼와, 상기 메인호퍼의 내부에 구비되어 만두소를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 및 상기 배출부재에 의해 배출된 만두소를 만두피에 투입시키는 충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두봉합부는 봉합지지프레임과, 상기 봉합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마주하는 한 쌍의 가압집게부 및 상기 가압집게부를 작동시키는 봉합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두봉합부에 의해 봉합된 만두를 가압하여 만두형태를 형성하는 만두누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두배출부는 만두를 상기 성형틀부에서 밀어내는 푸쉬부와, 상기 푸쉬부에 의해 배출된 만두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만두를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 상기 만두소공급부 및 상기 만두배출부는 하나의 메인구동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제조장치는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만두 제조를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구동모터에 의해 복수개의 장치가 연동되고, 기구적인 연결에 의해 작동되므로 각 공정별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A-A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B-B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피공급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피공급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피공급부의 모재투입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피공급부의 펀칭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소공급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소공급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봉합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봉합부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봉합부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누름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누름부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배출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배출부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A-A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B-B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피공급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피공급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피공급부의 모재투입을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피공급부의 펀칭을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소공급부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소공급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봉합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봉합부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봉합부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누름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누름부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배출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배출부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만두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10)는 성형틀부(100), 만두피공급부(200), 만두소공급부(300), 만두봉합부(400) 및 만두배출부(600)를 포함한다.
성형틀부(100)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이송부(160)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이송부(160)는 메인구동모터(170)에 의해 회전된다. 이러한 메인구동모터는 감속모터로 이루어지며, 이송부(160)와 연결되어 만두의 공정별로, 간헐적으로 이송부(160)를 회전시킨다.
이송부(160)의 주변에는 만두피공급부(200), 만두소공급부(300), 만두봉합부(400), 만두누름부(500) 및 만두배출부(6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송부(160)에 의해 성형틀부(100)는 만두피공급부(200), 만두소공급부(300), 만두봉합부(400), 만두누름부(500) 및 만두배출부(600)에 대응되도록 순차적으로 반복 회전된다.
성형틀부(100)는 만두피가 안착되는 성형플레이트(110)와, 성형플레이트(110)에 구비되어 만두소의 충진 시 만두피가 함몰되어 만두봉합부(400)가 가압할 수 있는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수용틀(120) 및 수용틀(120) 내부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승강되어 만두를 밀어올리는 인출부재(130)를 포함한다.
성형플레이트(110)는 이송부(160)에서 승강되게 하는 제1작동부(140)를 포함한다. 제1작동부(140)는 성형플레이트(110)에 구비되는 제1작동바(142) 및 제1작동바(142)와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제1지지레일(144)을 포함한다. 즉, 이송부(160)에 의해 성형틀부(100)가 회전됨에 따라 제1작동바(142)가 제1지지레일(144)에 접촉되어 성형플레이트(110)를 승강시키며, 성형틀부(100)의 상면이 성형플레이트(110)의 상승에 의해 평평해지면, 만두피의 안착이 용이하다. 성형플레이트(110)를 승강시키는 제1작동부(140)는 후술되는 만두피공급부(200)와 만두봉합부(400)의 작동에 대응되어 작동된다.
수용틀(120)은 만두소의 충진 시 만두피와 만두소를 수용하고, 만두피의 형상을 유지시킨다. 보다 자세하게, 수용틀(120)은 마주하는 한 쌍의 립편으로 형성되어 수용틀(120)에 만두피는 반으로 접어지는 형태로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인출부재(130)는 만두배출부(600)에 의한 만두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수용틀(120)로부터 만두를 돌출시키는 제2작동부(150)를 포함한다. 제2작동부(150)는 인출부재(130)의 하부에 연장되는 제2작동바(152) 및 제2작동바(152)와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제2지지레일(154)을 포함한다.
만두피공급부(200)는 도 4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부(100)에 만두피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판상의 모재를 공급하는 모재공급부(210) 및 모재공급부(210)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를 펀칭하여 만두피를 형성하는 펀칭부(220)를 포함한다.
모재공급부(210)는 판상의 모재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모재가 롤형태로 공급되고, 이러한 롤형태의 모재가 복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모재공급부(210)에 의해 이송된다. 이때, 모재공급부(210)는 상호 마주보는 롤러로 형성되어 롤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모재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모재공급부(210)는 후술되는 펀칭부(220)의 상부에 구비되어 판상의 모재를 펀칭부(220)의 전측으로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212)를 포함한다. 모재공급부(210)에 의해 이송되는 모재는 펀칭부(220)의 전측 상부에서 하부로 드리워진다.
모재공급부(210)는 공급컨베이어(212)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브라켓(214)을 포함한다. 유동방지브라켓(214)은 모재의 가장자리가 수용되도록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모재가 드리워지는 펀칭부(220)의 전면 양측에 구비된다. 이때, 펀칭부(220)의 전측에는 모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된다.
펀칭부(220)는 모재공급부(210)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를 펀칭하여 만두피를 형성한다. 이러한 펀칭부(220)는 외력에 의해 승강되는 펀치(221) 및 펀치(221)의 단부에 구비되어 판상의 모재와 접촉되는 가압틀(222) 및 가압틀(222)과 대응되고, 가압틀(222)에 의해 절개된 만두피가 배출되도록 배출홀을 갖는 다이플레이트(225)를 포함한다. 펀치(221)를 승강시키는 외력은 캠구동 또는 실린더에 의한 구동방식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가압틀(222)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치 판상의 모재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223) 및 고정플레이트(223)에 의해 고정된 판상의 모재를 절단하는 커터(224)를 포함한다. 즉, 펀치(221)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커터(224)가 구비되어 판상의 모재를 절단함으로써, 복수개의 만두피를 한번에 형성할 수 있으며, 커터(224)의 가압에 의해 절단된 만두피는 다이플레이트(225)의 배출홀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면, 배출된 만두피는 성형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안착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223)는 커터(224)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만두피를 절단하는 부위의 주변을 다이플레이트(225)에 가압함으로써, 펀칭 시 모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만두피공급부(200)는 모재공급부(210)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가 펀칭부(220)를 경유하는 경로를 갖도록 리드부(230)를 포함한다. 리드부(230)는 펀칭부(220)의 후단에 구비되는 리드컨베이어(232) 및 모재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된 판상의 모재가 펀칭부(220)를 경유하도록 판상의 모재 선단을 리드컨베이어(232)로 투입하는 투입부(235)를 포함한다. 즉, 펀칭부(220)의 펀치(221)와 다이플레이트(225)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으로 모재를 투입부(235)에 의해 투입시키며, 투입부(235)에 의해 모재의 선단은 리드컨베이어(232)에 안착되어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투입부(235)는 투입플레이트(236) 및 투입플레이트(236)가 펀칭부(220) 내부로 이동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투입구동부재(237)를 포함한다. 여기서 투입플레이트(236)는 판상의 모재와 대응되도록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투입구동부재(237)는 실린더로 구성된다.
펀칭부(220)에는 투입플레이트(236)를 직선으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부(240)가 형성된다. 안내가이드부(240)는 펀치(221)와 다이플레이트(225) 사이 공간 양측에 구비되며, 투입플레이트(236)는 안내가이드부(240)에 가장자리가 수용되어 직선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는 판상의 모재를 투입플레이트(236)가 모재의 하중에 의한 쳐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투입플레이트(236)의 선단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모재의 선단을 상부로 들어주어 모재의 선단이 리드컨베이어(232)에 안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리드컨베이어(232)는 선단이 높게 형성되어 후단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모재의 자중에 의해 마찰력을 향상시켜 투입부(235)에 의해 안착된 모재의 선단이 리드컨베이어(23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만두피공급부(200)는 펀칭부(220)에 의해 펀칭되고 남은 모재를 재공급하는 재사용부(250)를 포함한다. 재사용부(250)는 리드컨베이어(232)의 하부에 구비되어 남은 모재를 모재공급부(210)에서 공급되는 모재와 함께 압연하는 것으로서, 재사용부(250)는 남은 모재와 모재공급부(210)에서 공급되는 모재를 함께 압연하는 제1,2압연롤러(252,254)를 포함한다. 제1,2압연롤러(252,254)는 리드컨베이어(232)의 단부 하부에 구비되며, 제1,2압연롤러(252,254)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리드컨베이어(232)에서 낙하하는 남은 모재를 용이하게 압연할 수 있다.
만두소공급부(300)는 도 8과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부(100)에 공급된 만두피에 만두소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만두소의 공급을 위한 메인호퍼(310)와, 메인호퍼(3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만두소를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320) 및 배출부재(320)에 의해 배출된 만두소를 만두피에 투입시키는 충진부(330)를 포함한다.
충진부(330)는 만두소공급프레임(332)과, 만두소공급프레임(332)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배출부재(320)에 의해 만두소가 충진되는 가압관부(333)와, 가압관부(333)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가압관부(333)의 만두소를 외부로 밀어내는 충진샤프트(334) 및 가압관부(333)와 충진샤프트(334)를 작동시키는 충진작동부(335)를 포함한다. 즉, 가압관부(333)에 만두소가 충진되면, 충진샤프트(334)가 가압관부(333)내에서 하강하여 만두피에 만두소를 충진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관부(333)의 하강에 의해 만두피를 수용틀(120)에 삽입시킬 수 있다.
충진작동부(335)는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충진캠플레이트(336)와, 충진캠플레이트(336)의 회전에 의해 가압관부(333)와 충진샤프트(334)를 간헐적으로 승강시키도록 각각 구비되는 충진승강샤프트(337) 및 충진캠플레이트(336)의 회전을 충진승강샤프트(337)의 승강운동으로 전환하도록 충진승강샤프트(337)와 충진캠플레이트(336)를 연결하는 충진링크브라켓(338)을 포함한다.
만두봉합부(40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부(100)에 수용되는 만두를 봉합하는 것으로서, 봉합지지프레임(410)과, 봉합지지프레임(4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마주하는 한 쌍의 가압집게부(420) 및 가압집게부(420)를 작동시키는 봉합작동부(450)를 포함한다. 가압집게부(420)는 중앙부가 봉합지지프레임(410)에 힌지 연결되고, 상단은 각각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봉합작동부(450)와 연결되므로써, 봉합작동부(450)의 작동에 의해 가압집게부(420)는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피벗운동될 수 있다.
봉합작동부(450)는 만두봉합부(40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봉합구동부(460) 및 봉합구동부(460)의 동력을 가압집게부(420)의 피벗운동으로 전환하는 봉합동력전달부(470)를 포함한다. 그리고, 봉합구동부(460)는 봉합구동모터(462)와 봉합구동모터(462)에 의해 회전되는 봉합캠플레이트(464) 및 봉합캠플레이트(464)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동력전달부에 결합되며, 양단이 피벗운동하는 봉합작동브라켓(466)을 포함한다. 봉합캠플레이트(464)의 일면에는 캠홈부(465)가 구비되고, 봉합작동브라켓(466)의 일단은 캠홈부(465)에 삽입되는 작동축이 구비된다. 이때, 작동축에는 롤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봉합작동브라켓(466)은 중심부가 힌지 연결되므로써, 봉합작동브라켓(466)은 피벗운동이 가능하다.
봉합동력전달부(470)는 봉합구동부(460)에 의해 간헐적으로 승강되는 봉합승강샤프트(472) 및 봉합승강샤프트(472)의 승강운동을 가압집게부(420)의 피벗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봉합링크부(474)를 포함한다. 봉합링크부(474)는 봉합지지프레임(4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봉합승강샤프트(472)와 힌지 연결되는 봉합링크브라켓(476) 및 봉합링크브라켓(476)에 일단이 각각 편심되게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가압집게부(420)에 힌지 연결되는 봉합링크바(477)를 포함한다. 봉합링크브라켓(476)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3방향으로 연장바가 형성되고, 후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바는 봉합승강샤프트(472)와 힌지 연결되며, 나머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바는 봉합링크바(477)와 각각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봉합승강샤프트(472)의 상하이동은 봉합링크브라켓(476)을 회전시키고, 봉합링크브라켓(476)의 회전에 의해 봉합링크바(477)가 이동되므로 봉합링크바(477)와 연결되는 각각의 가압집게부(420)는 피벗운동을 하게 된다.
가압집게부(420)의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문양형성블럭(430)이 구비된다. 문양형성블럭(430)은 만두의 봉합부위의 결속력을 증대함은 물론, 문양을 형성한다. 이러한 문양형성블럭(430)은 가압집게부(420) 각각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문양형성블럭(430)의 전면에는 수용틀(120)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호 엇갈리는 요철(432)이 형성된다. 엇갈리는 요철(432)에 의해 만두의 봉합부위가 보다 많은 면적으로 접촉되므로 봉합력이 향상된다.
문양형성블럭(430)은 가압집게부(420)에서 착탈부(440)에 의해 분리 가능하다. 착탈부(440)는 가압집게부(420)에 형성되어 문양형성블럭(430)이 안착되는 안착리브(442) 및 안착리브(442)에 안착된 문양형성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444)를 포함한다. 안착리브(442)는 가압집게부(420)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즉,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문양형성블럭(430)의 각 모서리가 접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문양형성블럭(430)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444)는 가압집게부(420)와 문양형성블럭(430)을 고정하는 고정나사로 이루어진다. 고정부재(444)는 문양형성블럭(430)을 착탈할 수 있는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10)는 만두누름부(500)를 더 포함한다. 만두누름부(500)는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두봉합부(400)에 의해 봉합된 만두를 가압하여 만두형태를 형성한다. 이러한 만두누름부(500)는 만두의 봉합부위가 수용되는 수용홈(512)이 형성되는 누름틀부(510) 및 누름틀부(510)를 승강시키는 누름작동부(520)를 포함한다. 즉, 수용홈(512)에 만두의 봉합부위가 수용되므로 만두의 형태파손을 방지하고, 봉합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하방으로 눌려지게 되어 만두는 평평한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누름작동부(520)는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이는 만두의 배출시 만두의 정렬이 용이하고 많은 만두가 동일한 형태로 배출될 수 있어 제품포장이 용이하다.
만두배출부(600)는 도 15와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만두봉합부(400)에 의해 봉합된 만두를 배출하는 것으로, 만두를 성형틀부(100)에서 밀어내는 푸쉬부(610)와, 푸쉬부(610)에 의해 배출된 만두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640) 및 이송컨베이어(640)에 만두를 정렬시키는 정렬부(650)를 포함한다. 푸쉬부(610)는 배출구동부(620) 및 배출구동부(620)의 동력에 의해 만두측으로 직선운동하는 푸쉬바(630)를 포함한다. 푸쉬바(630)는 배출구동부(620)와 연결되고, 단부는 성형틀부(100) 및 수용틀(12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분기된다. 그리고, 푸쉬부(610)의 단부에는 만두의 둘레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형성하는 푸쉬블럭이 구비된다.
배출구동부(620)는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배출캠플레이트(621)와 배출캠플레이트(621)의 회전에 의해 간헐적으로 승강되는 배출승강샤프트(622)와, 배출캠플레이트(621)의 회전을 배출승강샤프트(622)의 승강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배출링크브라켓(624) 및 배출승강샤프트(622)의 승강운동을 푸쉬바(630)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기어부(625)를 포함한다.
전환기어부(625)는 배출승강샤프트(622)에 형성되는 제1기어부(626)와, 제1기어부(626)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2기어부(627) 및 제2기어부(627)에 의해 회동되어 푸쉬바(630)를 직선운동시키는 관절브라켓(628)을 포함한다. 제1,2기어부(626,627)는 랙피니언기어로 형성되어 배출승강샤프트(622)의 승강이 제2기어부(627)의 회전으로 전환되고, 제2기어부(627)에는 관절브라켓(628)이 구비되어 제2기어부(627)의 회전은 관절브라켓(628)에 의해 푸쉬바(630)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된다. 즉, 배출승강샤프트(622)의 상하운동은 푸쉬바(630)의 수평운동으로 전환되어 만두를 이송컨베이어(640)로 배출시킨다.
정렬부(650)는 이송컨베이어(640)의 상부에 구비되어 푸쉬부(610)에 의해 배출된 만두와 접촉되어 만두를 정렬시키는 접촉플레이트(652) 및 이송컨베이어(640)에 의한 만두의 이송경로를 개방하도록 접촉플레이트(652)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654)를 포함한다. 이동부재(654)는 접촉플레이트(652)를 회전시키는 정렬구동모터로 이루어진다. 즉, 이동부재(654)의 회전축은 접촉플레이트(652)에 편심되게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이송컨베이어(640)에 의한 만두의 이송경로가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이송부(160), 만두소공급부(300) 및 만두배출부(600)는 단일의 메인구동모터(170)에 의해 구동된다. 즉, 각각의 이송부(160), 만두소공급부(300) 및 만두배출부(600)는 메인구동모터(170)와 벨트(B)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성형틀부(100)는 이송부(16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며, 이송부(160)의 구동에 의해 성형틀부(100)는 이송부(160)의 궤적을 따라 간헐적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부(100)는 각각의 만두피공급부(200), 만두소공급부(300), 만두봉합부(400), 만두누름부(500) 및 만두배출부(600)를 거쳐 만두를 제조한다.
이처럼 이송부(160)에 의해 회전되는 성형틀부(100)에 만두피가 안착된다. 우선, 만두피공급을 살펴보면, 판상의 모재가 모재공급부(210)에 공급되고, 공급컨베이어(212)로 이루어진 모재공급부(210)는 모재를 펀칭부(220)로 이송한다. 모재는 펀칭부(220)의 전측 상부에서 하부로 자중에 의해 드리워진다. 이때, 모재의 가장자리는 유동방지브라켓(214)에 수용된 상태로 바람등의 외부요인의 영향없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투입구동부재(237)의 작동에 의해 투입플레이트(236)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투입플레이트(236)에는 모재의 선단부가 얹혀지게 되고, 투입플레이트(236)의 이동에 의해 모재는 펀칭부(220) 내부로 삽입되며, 모재의 선단부는 펀칭부(220)의 후측에 구비되는 리드컨베이어(232)에 얹혀진다. 이때, 투입플레이트(236)는 안내가이드부(240)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므로 모재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 투입플레이트(236)는 정확하게 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 투입플레이트(236)는 투입구동부재(237)의 작동으로 후퇴되고, 모재는 리드컨베이어(232)에 의해 이끌어질 수 있다.
따라서, 리드컨베이어(232)에 의해 선단이 이끌어지는 모재는 펀치(221)와 다이플레이트(225)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리드컨베이어(232)는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써, 모재의 하중에 의해 리드컨베이어(232)에서 마찰력이 증가하여 이탈되지 않고, 모재의 원활한 흐름을 유지시킬 수 있다.
모재는 펀칭부(220)의 작동에 의해 만두피를 형성한다. 외력에 의해 펀치(221)가 하강하게 되고, 펀치(221)에 구비되는 가압틀(222)이 모재에 접촉되므로써, 모재를 절단하여 만두피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5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221)의 하강에 의해 고정플레이트(223)가 모재를 다이플레이트(225)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한 후 커터(224)가 모재를 절단하게 된다. 커터(224)에 의해 절단된 만두피는 다이플레이트(225)의 배출홀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성형틀부(100)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성형틀부(100)의 성형플레이트(110)는 제1작동부(140)에 의해 상승되어 만두피는 평평한 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후, 펀치(221)가 상승하고, 리드컨베이어(232)에 의해 모재가 이송되며, 펀치(221)의 펀칭과 리드컨베이어(232)에 의한 모재의 이송이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만두피를 형성한다. 만두피가 절단되고 남은 모재는 재사용부(250)에 의해 회수되어 모재공급부(210)에서 공급되는 모재와 함께 재사용될 수 있다.
재사용부(250)는 리드컨베이어(23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압연롤러(252,254)로 이루어져 모재공급부(210)에서 공급되는 모재와 만두피를 형성하고 남은 모재가 제1,2압연롤러(252,254)에 의해 압연되어 재공급함으로써,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지닌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만두피공급부(200)에서 성형틀부(100)로 만두피가 공급되면, 성형틀부(100)는 이송부(160)에 의해 만두소공급부(300)로 이송되어 만두피에 만두소를 충진한다.
이를 살펴보면, 만두소공급프레임(332)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관부(333)에 만두소가 충진되면, 충진작동부(335)에 의해 가압관부(333)와 충진샤프트(334)를 하강시켜 만두피에 만두소를 충진시킨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구동모터(170)의 구동력에 의해 충진캠플레이트(336)가 회전되고, 충진캠플레이트(336)의 회전은 충진링크브라켓(338)에 의해 충진승강샤프트(337)의 승강운동으로 전환되어 가압관부(333)와 충진샤프트(334)를 동시에 하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은 가압관부(333)가 만두피를 수용틀(120)에 삽입시키고, 수용틀(120)에 함몰 삽입된 만두피에 충진샤프트(334)가 만두소를 충진시킬 수 있다.
이때, 만두피가 수용틀(120)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만두피의 함몰된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수용틀(120)은 마주하는 립편으로 형성되어 만두피의 봉합부위가 상부로 볼록한 원호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만두소가 충진된 만두피는 만두봉합부(400)에 의해 봉합된다. 먼저, 만두봉합부(400)에 의한 만두봉합시 성형틀부(100)의 성형플레이트(110)는 제1작동부(140)에 의해 하강되어 가압집게부(420)에 의한 봉합작동이 가능하도록 공간이 확보된다. 만두봉합부(4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만두소가 충진된 만두피의 상단 일부는 수용틀(12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이고, 이처럼 노출된 만두피의 상단은 가압집게부(420)에 의해 가압되어 봉합된다.
이때, 만두봉합부(400)는 만두의 상단에 구비되어 만두의 상단 일부에만 접촉되므로 만두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단에 별도로 구비되는 구조에 의해 구조를 간단하여 청소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도 11 또는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구동모터(462)에 의해 봉합캠플레이트(464)가 회전하게 되고, 봉합캠플레이트(464)의 회전에 의해 캠홈부(465)와 연결되는 봉합작동브라켓(466)은 피벗운동을 하게 된다. 봉합작동브라켓(466)의 피벗운동은 봉합승강샤프트(472)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며, 봉합승강샤프트(472)의 직선운동은 봉합링크부(474)에 의해 가압집게부(420)의 피벗운동으로 전환된다. 즉, 봉합승강샤프트(472)는 봉합링크브라켓(476)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바에 힌지 연결되므로 봉합승강샤프트(472)의 상하이동은 봉합링크브라켓(476)을 회전시키고, 봉합링크브라켓(476)의 회전은 각각의 봉합링크바(477)에 의해 한 쌍의 가압집게부(42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피벗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집게부(420)의 상호 마주하는 면에는 문양형성블럭(430)이 구비되므로 만두피의 봉합부위는 문양형성블럭(430)의 형상으로 봉합될 수 있다. 문양형성블럭(430)의 전면에는 요철(432)이 형성되어 봉합부위는 요철(432)형상으로 봉합되며, 엇갈리는 요철(432)에 의해 봉합부위가 보다 많은 면적으로 접촉되므로 봉합력이 향상되며,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문양형성블럭(430)은 착탈부(440)에 의해 착탈 가능하므로 문양형성블럭(430)의 파손 및 오염 시 교체 및 청소가 용이하다. 이는 고정부재(444)를 풀어 가압집게부(420)로부터 문양형성블럭(430)을 분리하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가능하며, 장착시에는 문양형성블럭(430)이 가압집게부(420)의 안착리브(442)에 각 모서리가 안착되므로 정확한 위치 고정이 가능하여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후, 봉합이 완료된 만두는 만두누름부(500)에 의해 만두형태를 형성한다. 이는 누름작동부(520)에 의해 승강되는 누름틀부(510)가 만두의 상부를 가압하여 만두의 평평한 바닥면을 형성한다. 이때, 누름틀부(510)에는 만두의 봉합부위가 수용되는 수용홈(512)이 형성되어 만두의 전체적인 외형을 파손되지 않는다. 만두의 바닥면을 평평하게 하는 것은 만두배출부(600)에 의해 만두 배출시 만두가 세워질 수 있게 하여 정렬과 포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만두누름부(500)에 의해 누려진 만두는 만두배출부(600)에 도달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만두배출작동을 살펴보면,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구동모터(170)의 구동력에 의해 배출캠플레이트(621)가 회전되면, 배출링크브라켓(624)에 의해 배출승강샤프트(622)가 간헐적으로 승강되고, 이러한 배출승강샤프트(622)의 승강은 전환기어부(625)에 의해 푸쉬바(630)를 성형틀부(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직선운동시킨다. 즉, 푸쉬바(630)의 수평이동에 의해 성형틀부(100)의 만두는 이송컨베이어(640)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수용틀(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출부재(130)는 제2작동부(150)에 의해 상승되어 수용틀(120)의 외부로 만두를 들어올린 상태이므로 만두의 배출이 용이하다.
그리고, 이송컨베이어(640)에는 푸쉬바(630)에 의한 만두의 배출시 만두가 접촉플레이트(652)에 접촉될 수 있어 만두는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640)에 한 행씩 정렬된다. 또한, 만두의 정렬이 완료되면,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이동부재(654)에 의해 접촉플레이트(652)가 회전되어 이송컨베이어(640)에 의한 만두의 이송경로를 개방하여 만두의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이처럼 이송컨베이어(640)에 한행씩 정렬된 만두는 이송되어 용이하게 포장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제조장치에 의하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만두 제조를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구동모터에 의해 복수개의 장치가 연동되고, 기구적인 연결에 의해 작동되므로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만두제조장치 100 : 성형틀부
110 : 성형플레이트 120 : 수용틀
130 : 인출부재 140 : 제1작동부
142 : 제1작동바 144 : 제1지지레일
150 : 제2작동부 152 : 제2작동바
154 : 제2지지레일 160 : 이송부
170 : 메인구동모터 200 : 만두피공급부
210 : 모재공급부 212 : 공급컨베이어
214 : 유동방지브라켓 220 : 펀칭부
221 : 펀치 222 : 가압틀
223 : 고정플레이트 224 : 커터
225 : 다이플레이트 230 : 리드부
232 : 리드컨베이어 235 : 투입부
236 : 투입플레이트 237 : 투입구동부재
240 : 안내가이드부 250 : 재사용부
252 : 제1압연롤러 254 : 제2압연롤러
255 : 간격조절부 300 : 만두소공급부
310 : 메인호퍼 320 : 배출부재
330 : 충진부 332 : 만두소공급프레임
333 : 가압관부 334 : 충진샤프트
335 : 충진작동부 336 : 충진캠플레이트
337 : 충진승강샤프트 338 : 충진링크브라켓
400 : 만두봉합부 410 : 봉합지지프레임
420 : 가압집게부 430 : 문양형성블럭
432 : 요철 440 : 착탈부
442 : 안착리브 444 : 고정부재
450 : 봉합작동부 460 : 봉합구동부
462 : 봉합구동모터 464 : 봉합캠플레이트
465 : 캠홈부 466 : 봉합작동브라켓
470 : 봉합동력전달부 472 : 봉합승강샤프트
474 : 봉합링크부 476 : 봉합링크브라켓
477 : 봉합링크바 500 : 만두누름부
510 : 누름틀부 512 : 수용홈
520 : 누름작동부 600 : 만두배출부
610 : 푸쉬부 620 : 배출구동부
621 : 배출캠플레이트 622 : 배출승강샤프트
624 : 배출링크브라켓 625 : 전환기어부
626 : 제1기어부 627 : 제2기어부
628 : 관절브라켓 630 : 푸쉬바
632 : 푸쉬블럭 640 : 이송컨베이어
650 : 정렬부 652 : 접촉플레이트
654 : 이동부재

Claims (9)

  1. 이송부에 의해 이동되는 성형틀부;
    상기 성형틀부에 만두피를 공급하는 만두피공급부;
    상기 성형틀부에 공급된 만두피에 만두소를 공급하는 만두소공급부;
    상기 성형틀부에 수용되는 만두를 봉합하는 만두봉합부; 및
    상기 만두봉합부에 의해 봉합된 만두를 배출하는 만두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부는 만두피가 안착되는 성형플레이트;
    상기 성형플레이트에 구비되어 만두소의 충진 시 만두피가 함몰되어 상기 만두봉합부가 가압할 수 있는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수용틀; 및
    상기 수용틀 내부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만두를 밀어올리는 인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피공급부는 판상의 모재를 공급하는 모재공급부; 및
    상기 모재공급부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를 펀칭하여 만두피를 형성하는 펀칭부; 및
    상기 모재공급부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가 상기 펀칭부를 경유하는 경로를 갖도록 하는 리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주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피공급부는 상기 펀칭부에 의해 펀칭되고 남은 모재를 수거하여 재공급하는 재사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소공급부는 만두소의 공급을 위한 메인호퍼;
    상기 메인호퍼의 내부에 구비되어 만두소를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 및
    상기 배출부재에 의해 배출된 만두소를 만두피에 투입시키는 충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봉합부는 봉합지지프레임;
    상기 봉합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마주하는 한 쌍의 가압집게부; 및
    상기 가압집게부를 작동시키는 봉합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제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봉합부에 의해 봉합된 만두를 가압하여 만두형태를 형성하는 만두누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제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배출부는 만두를 상기 성형틀부에서 밀어내는 푸쉬부;
    상기 푸쉬부에 의해 배출된 만두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만두를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제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 상기 만두소공급부 및 상기 만두배출부는 하나의 메인구동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제조장치.
KR1020150021890A 2015-02-12 2015-02-12 만두제조장치 KR101770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90A KR101770801B1 (ko) 2015-02-12 2015-02-12 만두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90A KR101770801B1 (ko) 2015-02-12 2015-02-12 만두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796A true KR20160099796A (ko) 2016-08-23
KR101770801B1 KR101770801B1 (ko) 2017-08-24

Family

ID=5687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890A KR101770801B1 (ko) 2015-02-12 2015-02-12 만두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801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3903A (zh) * 2017-07-19 2018-02-13 防城港市港口区晶通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酿豆腐泡装置
KR20200108988A (ko) * 2019-03-12 2020-09-22 정민구 계란피만두 성형 자동화장치
KR102225589B1 (ko) * 2020-06-03 2021-03-09 강병도 손만두 자동성형장치
KR102253899B1 (ko) * 2020-09-15 2021-05-20 씨제이제일제당 ㈜ 만두 자동화 성형장치
KR102254465B1 (ko) * 2020-09-15 2021-05-21 씨제이제일제당 ㈜ 만두 자동화 성형장치
KR102254460B1 (ko) * 2020-09-15 2021-05-21 씨제이제일제당 ㈜ 만두 자동화 성형장치
KR20210115241A (ko) *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대한기계 만두성형장치
KR20220003854A (ko) * 2020-07-02 2022-01-11 (주)한솔기계 만두 성형시스템
WO2022186600A1 (ko) * 2021-03-02 2022-09-09 씨제이제일제당 (주)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KR20220123921A (ko) * 2021-03-02 2022-09-13 씨제이제일제당 (주)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
KR20220125963A (ko) *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대한기계 만두배출장치
KR20230054025A (ko) 2021-10-15 2023-04-24 허우열 만두 제조 장치
WO2023136461A1 (ko) * 2022-01-17 2023-07-20 씨제이제일제당 (주) 만두소 충진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만두 자동 제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150B1 (ko) * 2018-09-28 2019-02-19 마영모 냉동 만두 제조 방법
KR102021293B1 (ko) 2019-07-03 2019-09-16 신명호 통새우 수제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021292B1 (ko) 2019-07-03 2019-09-16 신명호 통새우 수제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035Y1 (ko) * 2002-05-01 2002-08-13 성재원 만두제조용 만두 성형틀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3903A (zh) * 2017-07-19 2018-02-13 防城港市港口区晶通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酿豆腐泡装置
KR20200108988A (ko) * 2019-03-12 2020-09-22 정민구 계란피만두 성형 자동화장치
KR20210115241A (ko) *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대한기계 만두성형장치
KR102225589B1 (ko) * 2020-06-03 2021-03-09 강병도 손만두 자동성형장치
KR20220003854A (ko) * 2020-07-02 2022-01-11 (주)한솔기계 만두 성형시스템
KR102253899B1 (ko) * 2020-09-15 2021-05-20 씨제이제일제당 ㈜ 만두 자동화 성형장치
KR102254460B1 (ko) * 2020-09-15 2021-05-21 씨제이제일제당 ㈜ 만두 자동화 성형장치
KR102254465B1 (ko) * 2020-09-15 2021-05-21 씨제이제일제당 ㈜ 만두 자동화 성형장치
WO2022186600A1 (ko) * 2021-03-02 2022-09-09 씨제이제일제당 (주)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KR20220123921A (ko) * 2021-03-02 2022-09-13 씨제이제일제당 (주) 만두 성형용 하부접이 장치
KR20220123920A (ko) * 2021-03-02 2022-09-13 씨제이제일제당 (주) 인라인 방식의 만두 성형 시스템
KR20220125963A (ko) *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대한기계 만두배출장치
KR20230054025A (ko) 2021-10-15 2023-04-24 허우열 만두 제조 장치
WO2023136461A1 (ko) * 2022-01-17 2023-07-20 씨제이제일제당 (주) 만두소 충진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만두 자동 제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801B1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801B1 (ko) 만두제조장치
KR20160099799A (ko) 만두제조장치
EP3616521B1 (en) Stuffed food forming method
USRE42176E1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filling and closing mesh bags from a continuous roll of tubular mesh
EP3616522B1 (en) Stuffed food forming machine
KR101964205B1 (ko) 꼬치용 자동 제조장치
KR101950150B1 (ko) 냉동 만두 제조 방법
CN209965096U (zh) 一种蛋挞自动制作装置
KR101718973B1 (ko) 만두피 성형장치
EP2092828A2 (en) Machine and process for making stuffed pasta
KR20160099800A (ko) 만두제조장치
KR20160099797A (ko) 만두제조장치
KR101977713B1 (ko) 비닐장갑 제조장치
EP1717146B1 (en) Method and device for packaging products
CN208947668U (zh) 包装机
KR20160099798A (ko) 만두제조장치
US6544158B2 (en) High speed feeding apparatus for clamshell die cutter
CN116692157A (zh) 一种固体饮品包装箱封口装置
CN109159475B (zh) 箱体输送线、包装箱组装设备及箱体预处理方法
US6435079B2 (en) Machine for preparing food products
JPH09285261A (ja) いなり寿司充填装置
CN113443188A (zh) 四边封立体袋包装机
CN109159476B (zh) 包装箱组装装置
JP2011062107A (ja) おにぎりの具材供給装置
CN109303085B (zh) 设置有利用非接触性抓爪切面装置的面皮输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