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055A - 무선 충전기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055A
KR20220115055A KR1020220012185A KR20220012185A KR20220115055A KR 20220115055 A KR20220115055 A KR 20220115055A KR 1020220012185 A KR1020220012185 A KR 1020220012185A KR 20220012185 A KR20220012185 A KR 20220012185A KR 20220115055 A KR20220115055 A KR 20220115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wireless charger
heat dissipation
hous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4305B1 (ko
Inventor
하오 우
취안밍 리
준 췐
샤오웨이 후이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디지털 파워 테크놀러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디지털 파워 테크놀러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디지털 파워 테크놀러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Abstract

본 출원은 무선 충전기를 제공한다. 상기 무선 충전기는 하우징, 회로 기판 구성요소 및 열 전도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제1 공기 입구 및 제1 공기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공기 입구와 상기 제1 공기 출구 사이에 상기 제1 공기 입구 및 상기 제1 공기 출구와 연통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열 방산 공기 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회로 기판 구성요소는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 내에 위치한다. 상기 열 전도 구조체는 서로 연결되는 접촉부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에 노출되고, 상기 접촉부는 충전 대상 기기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과 접촉하며, 상기 접촉부,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 및 상기 충전 대상 기기가 협력하여 통풍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풍 채널은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과 연통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에서 제공되는 무선 충전기는 우수한 열 방산 능력과 우수한 신뢰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무선 충전기 {WIRELESS CHARGER}
본 출원은 무선 충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무선 충전기는 보조 충전 기기로서 인간의 생활 및 사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무선 충전기가 우수한 열 방산(heat dissipation)을 수행할 수 있는지가 전자 기기의 충전 전력과 충전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 충전기는 열 방산 능력이 좋지 않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기를 제공한다. 상기 무선 충전기는 우수한 열 방산 성능과 우수한 신뢰성을 갖는다.
본 출원은 무선 충전기를 제공하며, 상기 무선 충전기는,
하우징(housing); 회로 기판 구성요소(circuit board component); 및 열 전도 구조체(heat conduction structure)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공기 입구(air inlet) 및 제1 공기 출구(air outlet)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공기 입구와 상기 제1 공기 출구 사이에 상기 제1 공기 입구 및 상기 제1 공기 출구와 연통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열 방산 공기 채널(heat dissipation air channel)이 형성되며;
상기 회로 기판 구성요소는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 내에 위치하고;
상기 열 전도 구조체는 서로 연결되는 접촉부(contact part)와 연결부(connection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outer surface)에 노출되고, 상기 접촉부는 충전 대상 기기(to-be-charged device)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과 접촉하며, 상기 접촉부, 상기 하우징 외표면 및 상기 충전 대상 기기가 협력하여 통풍 채널(ventilation channel)을 형성하고, 상기 통풍 채널은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과 연통한다.
제1 공기 입구는 자연 풍이 무선 충전기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열 방산 공기 채널로 들어오는 개구부로 이해될 수 있고, 제1 공기 출구는 무선 충전기 및 충전 대상 기기의 열을 운반하는 공기가 열 방산 공기 채널에서 외부 환경으로 흐르는 개구부로 이해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열 방산 공기 채널은 제1 공기 입구 및 제1 공기 출구와 연통하므로, 열 방산 공기 채널, 제1 공기 입구 및 제1 공기 출구가 서로 협력하여 충전 대상 기기의 배면(back surface)의 열을 방산(放散)할 수 있도록 한다. 충전 대상 기기의 배면은 사용자가 이동 전화(휴대전화)를 들고 있을 때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가운 공기가 제1 공기 입구를 통해 무선 충전기로 들어온다. 차가운 공기가 무선 충전기의 열 방산 공기 채널에 흐를 때,
차가운 공기는 무선 충전기와 충전 대상 기기에 의해 발생한 열을 운반하여 뜨거워진 공기가 된다. 뜨거운 공기는 제1 공기 출구를 통해 무선 충전기 밖으로 흘러나가, 외부 환경으로 흘러들어간다. 이와 같이, 차가운 공기와 뜨거운 공기가 교대로 주기적으로 순환하여, 무선 충전기와 외부 환경 간의 끊임없는 열 교환을 완성하고, 무선 충전기가 항상 우수한 열 전도 성능을 갖도록 보장한다.
열 전도 구조체는 하우징의 외표면에서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된다.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열 전도 구조체의 일부는 충전 대상 기기와 접촉하고, 하우징 내에 위치한 열 전도 구조체의 일부는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과 접촉한다. 따라서, 충전 대상 기기의 열은 열 전도 구조체에 의한 열 전도를 통해 무선 충전기 내부로 전달되어, 충전 대상 기기의 열을 방산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열 전도 구조체의 일부로 사용되고, 충전 대상 기기와 직접 접촉하여 충전 대상 기기의 열을 열 전도 구조체에 전도할 수 있다. 연결부는 하우징에 위치하는 열 전도 구조체의 일부로 사용되고, 열 방산 공기 채널과 직접 접촉하여 충전 대상 기기의 열을 무선 충전기 내부로 더욱 전도하여, 무선 충전기의 열 전도 능력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충전 대상 기기의 열은 열 전도 구조체를 사용하여 무선 충전기의 내부로 전달되고, 무선 충전기의 열 방산 공기 채널을 통해 방산될 수 있어, 무선 충전기는 충전 대상 기기의 열을 방산할 수 있다. 배치의 경우, 무선 충전기의 열 전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충전 대상 기기의 온도가 단시간에 상승할 가능성은 무선 충전기의 열 전도 능력과 열 방산 기능을 기반으로 최소화되어, 충전 대상 기기는 열 평형이 우수하고, 무선 충전기는 우수한 작동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선 충전기는 충전 대상 기기에 우수한 열 방산 성능을 제공할 수 있어, 충전 대상 기기의 열 평형이 무선 충전기의 충전 전력에 쉽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무선 충전기의 충전 전력이 같을 때, 충전 대상 기기의 온도를 크게 낮출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선 충전기가 동일한 조건하에서 발열점(heating point)에 대한 열을 방산하는 경우, 즉, 무선 충전기가 동일한 열 방산 목표를 달성하는 경우, 무선 충전기의 열 방산 능력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것은 무선 충전기의 충전 능력과 사용자 경험을 더 좋게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무선 충전기의 작동 과정에서, 발열 소자로 사용된 전자 소자는 대량의 열을 발생시키며, 따라서 무선 충전기 내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발열점을 형성한다. 발열점의 온도는 높다. 발열점에 의해 발생하는 열은 적시에 효과적으로 방산되지 않으면, 무선 충전기의 작동 성능은 직접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국부적인 과열이 발생하면, 무선 충전기가 작동하지 않는. 또한, 발열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우징의 온도도 그에 상응하여 높다. 결과적으로, 하우징에서 국부적인 과열이 발생하고, 사용자 경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다시 말해, 무선 충전기의 열 평형도 무선 충전기의 작동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무선 충전기가 무선 충전기의 열을 방산할 수 있도록, 회로 기판 구성요소가 열 방산 공기 채널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무선 충전기는 무선 충전기와 충전 대상 기기 모두의 열을 방산할 수 있어, 무선 충전기와 충전 대상 기기의 열이 열 방산 공기 채널을 통해 효과적으로 방산될 수 있고, 무선 충전기 전체는 우수한 열 전도 온도 차이와 우수한 열 전달 효율을 갖는다. 이는 무선 충전기의 열 전도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또한, 접촉부, 하우징의 외표면 및 충전 대상 기기는 협력하여 열 방산 공기 채널과 연통하는 통풍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환경의 공기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통풍 채널로 안내할 수 있다. 이는 우수한 안내 기능을 갖는다. 또한, 무선 충전기의 하우징의 공간을 과도하게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무선 충전기의 하우징과 충전 대상 기기의 하우징이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무선 충전기 및 충전 대상 기기의 열을 방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충전 대상 기기와 접촉하는 열 전도면(heat conduction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열 전도면과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 사이에 높이 차이가 있다.
"높이 차이가 있다"는 것은 다음과 같이 이해될 수 있다: 접촉부가 열 방산면(heat dissipation surface)으로부터 완전히 돌출되거나, 접촉부의 일부가 하우징에 내장되고, 일부는 열 방산면에 노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열 전도면과 열 방산면의 높이 차이를 실제 요건에 기초하여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어, 형성된 통풍 채널이 외부 공기를 무선 충전기 내부로 최대한 유도할 수 있다. 이는 무선 충전기의 열 방산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충전 대상 기기를 향하는 열 방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제1 측부(side part)와 제2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는 상기 열 방산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열 방산면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 사이에는 간극(gap)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측부 및 제2 측부 모두는 본체의 상단(top)에서 본체의 하단(bottom)까지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1 측부 및 제2 측부는 긴 띠 형상(long strip shape)일 수 있으며, 열 방산면의 양 에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의 표면적을 과도하게 차지하지 않고 충전 대상 기기의 열을 전도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의 간극을 사용하여 충전 대상 기기도 무선 충전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어, 충전 대상 기기와 무선 충전기 사이에 통풍 채널을 형성하여 열 방산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이는 무선 충전기의 열 전도 능력과 열 방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형 구조체(integral structure)이고, 상기 일체형 구조체는 가요성(flexible)이다.
예를 들어, 접촉부와 연결부는 일체형 구조체이다. 다시 말해, 열 전도 구조체 전체가 일체형 구조체일 수 있다. 일체형 구조체를 사용하여 제조된 열 전도 구조체는 가공 단계가 더 적다. 이는 제조 비용과 시간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무선 충전기의 가공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 전도 구조체가 더 유연하여, 열 전도 구조체가 구부러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촉부는 연결부에 대해 구부러질 수 있어(이는 연결부가 접촉부에 대해 구부러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음), 접촉부의 형태가 하우징의 앙각(elevation angle)에 따라 변화할 수 있어, 하우징의 앙각이 변경 가능한 경우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요건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구조체는 열 파이프(heat pipe) 또는 증기 챔버(vapor chamber)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무선 충전기에는 높은 열 전도 성능을 갖고 충전 대상 기기의 열을 효과적으로 전도할 수 있는 열 전도 재료가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엄격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무선 충전기는 열 방산 구조체(heat dissipation structur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방산 구조체는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 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열 방산 구조체는 상기 회로 기판 구성요소에 인접하며, 상기 열 전도 구조체는 열을 전도하여, 상기 열 방산 구조체가 상기 회로 기판 구성요소 및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열을 방산하도록 한다.
열 방산 구조체가 열 전도 구조체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열 방산 구조체를 이용하여 열 전도 구조체의 열을 방산할 수 있어, 열 방산 구조체가 충전 대상 기기 및 무선 충전기 모두의 열을 방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열 방산 구조의 사용 성능을 다양화하여, 무선 충전기의 열 방산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무선 충전기의 충전 능력과 사용자 경험을 더 좋게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하우징은 제2 공기 입구 및 제2 공기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공기 입구와 상기 제1 공기 출구 사이에 상기 제2 공기 입구 및 제2 공기 출구와 연통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냉각 공기 채널(cooling air channel)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 공기 채널은 상기 열 방산 구조체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열 방산 구조체는 반도체 냉각 부재(semiconductor cooling member) 및 제1 열 싱크(heat sink)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냉각 부재는 차가운 면(cold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열 싱크는 상기 차가운 면과 상기 접촉부 사이에 위치한다.
열 전도 구조체는 충전 대상 기기에 의해 발생한 열을 반도체 냉각 부재의 차가운 면에 전도하고, 차가운 면은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차가운 면에 배치된 제2 열 싱크의 열 방산 핀은 지속적으로 냉각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공기 출구를 통해 냉각 공기 채널로 들어오는 바람은 제2 열 싱크의 열 방산 핀의 작용으로 바람의 온도가 낮아진 후에 냉각되므로, 냉각된 차가운 공기가 제2 공기 출구를 통해 흘러나가 충전 대상 기기 쪽으로 불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열 방산 구조체는 제2 열 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냉각 부재는 상기 차가운 면과 대향하여 배치된 뜨거운 면(hot surfac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열 싱크는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 내에 위치하고 상기 뜨거운 면과 연결된다.
차가운 면에 의해 흡수된 열은 뜨거운 면을 이용하여 방출될 수 있고, 열은 제1 열 싱크의 열 방산 핀의 작용으로 효과적으로 방산되므로, 뜨거운 공기가 열 방출 공기 채널에 흘러 무선 충전기 밖으로 나가게 되어, 열 교환을 통해 무선 충전기의 열을 방산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하우징은 본체(body) 및 베이스(base)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하단(bottom)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충전 대상 기기를 향하는 표면은 상기 열 방산면이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열 방산면에 연결된 지지면(bearing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은 천공(perforation)이 제공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본체의 상단(top)에서 상기 본체의 하단까지 연장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천공을 통과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위치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접촉부와 상기 연결부는 비스듬히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접촉부의 일부는 하우징 외부에 배치되고, 일부는 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하우징 외부에 위치한 충전 대상 기기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열 방산 구조체를 쉽고 빠르게 연결하여, 충전 대상 기기의 열이 무선 충전기로 전달되어 열 방산 구조체를 이용하여 방산되도록 할 수 있다. 접촉부와 연결부는 비스듬히 배치된다. 이는 무선 충전기의 외관 형태에 완전히 적응할 수 있고, 무선 충전기 하우징 내부의 좁은 공간 배치에 잘 적응하여, 복수의 공간 구성의 애플리케이션 요건이 충족될 수 있도록 하고, 유연성이 강하다. 이는 무선 충전기의 소형화 발전 추세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연결부에 대해 구부러지도록 상기 접촉부를 구동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의 앙각이 조절 가능한 경우, 본체는 베이스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연결부에 대해 구부러지도록 접촉부를 구동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접촉부와 연결부 사이의 끼인각은 본체와 베이스 사이의 끼인각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기의 앙각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충전 대상 기기와 열 방산 구조체 사이에 열 전도 구조체가 항상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신뢰성이 우수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수용 공간(accommodation space)이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2 수용 공간이 상기 베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 상기 회로 기판 구성요소, 상기 열 방산 구조체 및 상기 열 전도 구조체는 모두 상기 제2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공기 입구는 상기 열 방산면에 위치하고,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은 상기 제1 수용 공간에서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공기 출구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무선 충전기는 제1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1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공기 입구에 대응하며, 상기 제1 공기 입구를 통해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로 들어온 공기는 상기 제1 팬에 의해 상기 제1 공기 출구를 통해 흘러나가게 되어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배면(back surface)의 열을 방산하고,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배면은 상기 열 방산면을 향하는 표면이다.
열 방산 공기 채널은 제1 공기 입구 및 제1 공기 출구와 연통하기 때문에, 열 방산 공기 채널이 제1 수용 공간에서 제2 수용 공간까지 연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와 제2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열 방산 공기 채널을 형성하고, 열 방산 공기 채널은 본체에서 베이스까지 연장되어, 열 방산 공기 채널이 하우징의 각 부분에 고르게 분포된다. 이는 하우징의 온도 균형 성능(temperature balance performance)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어, 하우징이 우수한 열 전도 온도 차이와 우수한 열 방산 효율을 갖도록 하여, 무선 충전기의 열 방산 성능을 더욱 향상시킨다.
제1 팬은 무선 충전기 내의 공기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동력원이고, 하우징의 열 방산 공기 채널 내에 배치되어 제1 공기 입구에 대응하고, 회로 기판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기로 들어오는 공기는 제1 팬에 의해 열 방산 공기 채널로 흐르게 될 수 있다. 이는 무선 충전기의 공기 흐름 및 열 발산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제1 팬은 원심 팬(centrifugal fan), 축류 팬(axial fan), 압전 팬(piezoelectric fan)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2 공기 입구는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bottom surface)에 위치하고, 상기 냉각 공기 채널은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기 출구는 상기 베이스의 지지면에 위치하며;
상기 무선 충전기는 제2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팬은 상기 제2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공기 입구에 대응하고, 상기 제2 팬과 상기 제1 열 싱크는 협력하여, 상기 제2 공기 입구를 통해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들어오는 공기가 냉각된 다음 상기 제2 공기 출구를 통해 흘러나가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전면(front surface)의 열을 방산하도록 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전면은 상기 열 방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표면이다.
냉각 공기 채널은 제2 공기 입구 및 제2 공기 출구와 연통하기 때문에, 냉각 공기 채널은 제2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냉각 공기 채널을 형성하고, 냉각 공기 채널은 베이스의 일단(one end)에서 베이스의 타단(other end)까지 확장되어, 냉각 공기 채널이 베이스 내부에 고르게 분포된다. 이는 냉각 공기 채널에서 냉각된 공기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충전 대상 기기로 불어넣어, 충전 대상 기기의 온도를 더욱 낮추고 사용자 경험을 더 좋게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제2 팬은 무선 충전기 내부의 공기를 흐르게 하는 동력원으로 하우징의 냉각 공기 채널에 배치되어 제2 공기 입구에 대응하며, 회로기판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기로 들어오는 공기는 제2 팬에 의해 냉각 공기 채널 내에서 흐를 수 있게 된다. 이는 무선 충전기의 공기 흐름 및 열 발산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제2 팬은 원심 팬, 축류 팬, 압전 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팬은 무선 충전기 내의 공기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동력원이고, 하우징의 냉각 공기 채널 내에 배치되어 제2 공기 입구에 대응하고, 회로 기판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기로 들어오는 공기는 제2 팬에 의해 냉각 공기 채널 내에 흐를 수 있게 된다. 이는 무선 충전기의 공기 흐름 및 열 발산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제2 팬은 원심 팬, 축류 팬, 압전 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열 방산 구조체는 코일 구성요소(coil componen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 구성요소는 상기 제1 수용 공간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코일 구성요소의 상기 열 방산면에 대한 직교 투영(orthogonal projection)은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 사이의 간극 영역의 상기 열 방산면에 대한 직교 투영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제1 측부와 제2 측부가 코일 구성요소의 전력 신호 전달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배치될 수 있어, 코일 구성요소의 유도 범위가 더 넓어지고, 무선 충전기의 충전 전력이 최적화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무선 충전기는 핀(fin)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내벽(inner wall) 및/또는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내벽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는 열 방산 면적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고, 열 방산을 향상시키며, 무선 충전기의 열 방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핀과 내벽은 일체형 구조체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핀은 예를 들어, 핀형 핀(pin-shaped fin), 부채형 핀(fan-shaped fin) 및 고리형 핀(ring-shaped fin)과 같이 다양한 핀 유형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는 이를 엄격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를 충전 대상 기기에 적용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점에서 본 무선 충전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를 충전 대상 기기에 적용하는 간략한 개략도로서, 충전 대상 기기가 세로로 놓인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를 충전 대상 기기에 적용하는 또 다른 단순화된 개략도로서, 충전 대상 기기가 가로로 놓인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의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의 부분 구조의 다른 개략도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먼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용어를 설명한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만을 설명하며 3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 세 가지 경우: A만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B만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복수"는 "둘 이상"을 의미한다.
"고정하다(fasten)"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가 B에 고정된다"는 것은 A가 B에 직접 연결되고 연결 후 존재하는 상대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일 수 있거나, A가 B에 중간 매개체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연결 후 존재하는 상대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적인 구현을 명확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무선 충전기(100)를 제공한다. 무선 충전기(100)는 요건에 기초하여, 정격 무선 충전 전력(예: 최대 40W 또는 최대 50W)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허용되는 경우, 무선 충전기(100)의 부피는 가능한 한 작을 수 있으며, 무선 충전기(100)는 저속 충전 및 고속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100)는 이동 전화 충전기 또는 온보드(on-board) 충전기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충전기(100)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충전 대상 기기(200)를 충전하는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송신단(transmit end)으로서 사용되는 무선 충전기(100)에 송신 코일이 배치되고, 수신단(receive end)으로서 사용되는 충전 대상 기기(200)에 수신 코일이 배치되며,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에 에너지 결합이 수행되어, 전기 에너지가 무선 충전기(100)와 충전 대상 기기(200) 사이에 송신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송신 코일은 전자기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고, 수신 코일은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기 신호를 전류로 변환하여, 무선 충전 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무선 충전기(100)는 사용자가 외출 시 복수의 전원 어댑터 및 전원 케이블을 지참해야 하는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충전 대상 기기(200)를 추가로 충전할 수 있다. 이는 무선 충전기(100)의 휴대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충전 대상 기기(200)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무선 충전기(100)에 충전 대상 기기(200)를 올려놓아, 무선 충전기(100)가 충전 대상 기기(200)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충전기(100)가 충전 대상 기기(200)를 충전할 때, 무선 충전기(100)는 수직 상태이거나 수평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이는 무선 충전기(100)의 사용 모드를 다양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충전기(100)가 광범위한 사용자와 풍부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가진 이동 전화와 같은 충전 대상 기기(200)를 충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충전기(100)의 작동 과정에서, 사용자는 충전 대상 기기(200)를 사용(예: 음성 통화, 화상 채팅, 오디오/비디오 재생, 소프트웨어 오피스)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충전 대상 기기(200)의 사용으로 인해, 충전 대상 기기(200)의 온도가 단시간에 어느 정도 상승할 수 있다. 충전 대상 기기(200)의 일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무선 충전기(100)의 충전 속도에 영향을 미치고, 무선 충전기(100)의 충전 전력이 제한된다. 다시 말해, 충전 대상 기기(200)의 열 평형은 무선 충전기(100)의 동작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무선 충전기(100)의 전력향상을 더욱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충전기(100)가 충전 대상 기기(200)에 제공하는 열 방산 성능이 특히 중요하다.
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무선 충전기(100)는 종래 기술의 열 방산 레이아웃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무선 충전기(100)의 열 방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기(100)의 열 전도 능력을 최적화함으로써 무선 충전기(100)의 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신뢰성이 우수하다.
무선 충전기(100)의 무선 충전 기능은 다른 모델의 이동 전화을 유연하게 지원할 수 있으며, 다른 모델의 이동 전화에 대해 동일하거나 다른 충전 전원이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모델 C1의 이동 전화에는 최대 40W의 무선 충전 전력이 제공될 수 있고, 모델 C2 및 C3의 이동 전화에는 최대 15W의 무선 충전 전력이 제공될 수 있으며, 모델 C4의 이동 전화에는 최대 10W의 무선 충전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기(100)는 더 많은 모델의 충전 대상 기기(200)에 적응할 수 있다. 이는 무선 충전기(100)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무선 충전기(100)는 하우징(10), 회로 기판 구성요소(20), 열 전도 구조체(30), 열 방산 구조체(40), 코일 구성요소(50), 제1 팬(60) 및 제2 팬(7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은 공기가 흐르는 방향이다.
도 1 및 도 2는 하우징(10), 회로 기판 구성요소(20), 열 전도 구조체(30), 열 방산 구조체(40), 코일 구성요소(50), 제1 팬(60) 및 제2 팬(70) 사이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기기들의 연결 위치, 구체적인 구조 및 수량을 특별히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 도시된 구조는 무선 충전기(100)에 대한 특정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기(100)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결합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분할하거나, 구성요소의 배치가 다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하우징(10)은 무선 충전기(100)의 하우징 구조체로서, 무선 충전기(100)의 각종 구성요소를 수용 및 밀봉하여, 무선 충전기(100)의 각종 구성요소를 외부의 먼지,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따라서, 하우징(10)은 우수한 보호 기능을 갖는다.
무선 충전기(100)가 수평형 충전기인 경우, 무선 충전기(100)의 내부 구성요소는 집중된 형태로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 전체는 충전 대상 기기(200)를 가로로 놓을 수 있는 구조적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수평 놓기(horizontal placement)는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충전 대상 기기(200)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무선 충전기(100)가 수직형 충전기인 경우, 무선 충전기(100)의 내부 구성요소는 분산된 형태로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 전체는 충전 대상 기기(200)를 경사지게 놓을 수 있는 구조적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경사 놓기(inclined placement)는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충전 대상 기기(200)가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제1 공기 입구(13), 제2공기입구(14), 제1 공기 출구(15), 제2 공기 출구(16), 열 방산 공기 채널(17) 및 냉각 공기 채널(18)을 구비한다. 제1 공기 입구(13), 제2 공기 입구(14), 제1 공기 출구(15) 및 제2 공기 출구(16)는 모두 하우징(10)의 외표면(101)에 배치된 개구부(opening)이다. 예를 들어, 개구부는 하우징(10)의 외표면(101)에 외면에 배치된 구멍형 구조체(hole-like structure)일 수 있거나, 하우징(10)의 외표면(101)에 배치된 홈형 구조체(groove-like structure)일 수도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열 방산 공기 채널(17)과 냉각 공기 채널(18)이 배치되고, 열 방산 공기 채널(17)과 냉각 공기 채널(18)은 각각 열 전도 구조체(30)의 접촉부(31)의 두 반대 측에 위치한다. 열 방산 공기 채널(17)이 제1 공기 입구(13) 및 제1 공기 출구(15)와 연통하므로, 열 방산 공기 채널(17), 제1 공기 입구(13) 및 제1 공기 출구(15)는 서로 협력하여 충전 대상 기기(200)의 전면(220)의 열을 방산할 수 있다. 충전 대상 기기(200)의 전면(220)은 사용자가 이동 전화를 들고 있을 때 사용자에게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표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냉각 공기 채널(18)이 제2 공기 입구(14) 및 제2 공기 출구(16)와 연통하므로, 냉각 공기 채널(18), 제2 공기 입구(14) 및 제2 공기 출구(16)는 서로 협력하여 충전 대상 기기(200)의 전면(210)의 열을 방산할 수 있다. 충전 대상 기기(200)의 전면(210)은 사용자가 이동 전화를 들고 있을 때 사용자를 향하는 표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공기 입구(13)는 무선 충전기(100)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자연풍이 무선 충전기(100)로 들어오는 개구부로 이해될 수 있고, 제1 공기 출구(15)는 무선 충전기(100) 및 충전 대상 기기(200)의 열을 운반하는 공기가 열 방산 공기 채널(17)로부터 외부 환경으로 흐르게 하는 개구부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공기 입구(14)는 무선 충전기(100)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자연 풍이 무선 충전기(100)로 들어오는 개구부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공기 출구(16)는 냉각 공기 채널(18)에서 냉각된 공기가 무선 충전기(100)의 외부로 흘러 충전 대상 기기(200)의 전면(210)으로 송풍되는 개구부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가운 공기의 일부는 제1 공기 입구(13)를 통해 무선 충전기(100)로 들어간다. 차가운 공기는 무선 충전기(100) 내의 열 방산 공기 채널(17) 내에 흐를 때, 무선 충전기(100) 및 충전 대상 기기(200)에서 발생한 열을 운반하여 뜨거운 공기가 된다. 뜨거운 공기는 제1 공기 출구(15)를 통해 무선 충전기(100)의 밖으로 흘러나가서, 외부 환경으로 흘러든다. 이와 같이, 차가운 공기와 뜨거운 공기가 교대로 주기적으로 순환하여, 무선 충전기(100)와 외부 환경 간의 끊임없는 열교환을 완성하고, 무선 충전기(100)의 열 전도 성능이 항상 양호하도록 보장한다. 차가운 공기의 다른 일부는 제2 공기 입구(14)를 통해 무선 충전기(100)로 들어간다. 차가운 공기가 무선 충전기(100) 내의 냉각 공기 채널(18) 내로 흐를 때, 차가운 공기의 온도가 더 낮아진 후에 냉각된다. 냉각된 공기는 제2 공기 출구(16)를 통해 전원 어댑터를 밖으로 흘러서, 충전 대상 기기(200)의 전면(210)으로 송풍된다. 충전 대상 기기(200)의 전면(210)은 열 방산을 수행한다.
회로 기판 구성요소(20)는 무선 충전기(100)의 핵심 구성요소이며, 하우징(10) 내부의 열 방산 공기 채널(17)에 수용되어, 무선 충전기(100)의 주요 구성요소들이 함께 일체화되어 각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회로 기판 구성요소(20)는 회로 기판(21) 및 회로 기판(21)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전자 소자(22)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21)은 전자 소자(22)를 지지하기 위한 매체로 이해될 수 있다. 회로 기판(21)은 전자 소자(22)를 위한 전기적 연결, 보호, 지지, 열 방산 및 조립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소자(22)의 열을 전도하기 위한 열 전도 부재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소자(22)는 무선 충전기(100)의 작동 과정에서 발열하는 구성요소로 이해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21)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소자(22)는 칩 또는 회로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열 전도 구조체(30)는 무선 충전기(100)의 열 전도 구성요소이며, 서로 연결되는 접촉부(31)와 연결부(32)를 포함한다. 접촉부(31)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의 외표면(101)에 노출되며, 충전 대상 기기(200)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연결부(32)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연결부(32)는 열 방산 공기 채널(17) 및 냉각 공기 채널(18)과 접촉한다. 접촉부(31), 하우징(10)의 외표면(101) 및 충전 대상 기기(200)는 협력하여 열 방산 공기 채널(17)과 연통하는 통풍 채널(80)을 형성한다.
"접촉부(31)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의 외표면(101)에 노출된다"는 것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31)의 전체가 하우징(10)의 외표면(101)에 노출되거나; 접촉부(31)의 일부는 하우징(10)의 외표면(101)에 노출되고, 일부는 하우징(10)에 배치되거나; 충전 대상 기기(200)와 접촉하는 접촉부(31)의 표면이 하우징(10)의 외표면(101)과 동일 평면에 있다.
예를 들어, 접촉부(31)와 연결부(32)는 일체형 구조체이다. 다시 말해, 열 전도 구조체(30) 전체가 일체형 구조체일 수 있다. 일체형 구조체를 사용하여 제조된 열 전도 구조체(30)는 더 적은 공정 단계를 갖는다. 이는 제조 비용 및 시간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하고, 무선 충전기(100)의 공정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 전도 구조체(30)는 더 유연하여, 열 전도 구조체(30)가 구부러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촉부(31)는 연결부(32)에 대해 구부러질 수 있어(연결부(32)가 접촉부(31)에 대해 구부러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음), 접촉부(31)의 형태가 하우징(10)의 앙각에 따라 변화하여, 하우징(10)의 앙각이 변화할 수 있는 경우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요건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구조체(30)는 열 파이프 또는 증기 챔버(Vapor Chambers, VC)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무선 충전기(100)에는 높은 열 전도 성능을 갖고 충전 대상 기기(200)의 열을 효과적으로 전도할 수 있는 열 전도 재료가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엄격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열 전도 구조체(30)는 하우징(10)의 외표면(101)으로부터 하우징(10)의 내부로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외부에 노출되는 열 전도 구조체(30)의 일부는, 충전 대상 기기(200)와 접하고, 하우징(10) 내에 위치하는 열 전도 구조체(30)의 일부는 열 방산 공기 채널(17)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충전 대상 기기(200)의 열은 열 전도 구조체(30)에 의한 열 전도를 통해 무선 충전기(100) 내부로 전달되어, 충전 대상 기기(200)의 열을 방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촉부(31)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 외부에 위치하는 열 전도 구조체(30)의 일부로 사용되며, 충전 대상 기기(200)와 직접 접촉하여 충전 대상 기기(200)의 열을 열 전도 구조체(30)에 전도할 수 있다. 연결부(32)는 하우징(10) 내에 위치하는 열 전도 구조체(30)의 일부로 사용되고, 열 방산 공기 채널(17)와 직접 접촉하여 충전 대상 기기(200)의 열을 무선 충전기(100) 내부로 더 전도하여, 무선 충전기(100)의 열 전도 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충전 대상 기기(200)의 열은 열 전도 구조체(30)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기(100) 내부로 전달될 수 있으며, 무선 충전기(100)의 열 방산 공기 채널(17)를 통해 방산되어, 무선 충전기(100)가 충전 대상 기기(200)의 열을 방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배치의 경우, 무선 충전기(100)의 열 전도 능력이 향상될 수 있고, 충전 대상 기기(200)의 온도가 짧은 시간 내에 상승할 가능성은 충전 대상 기기(200)의 열 전도 능력 및 열 방산 기능에 기초하여 최소화되어, 충전 대상 기기(200)의 열 평형이 양호하고, 무선 충전기(100)가 양호한 작동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무선 충전기(100)는 충전 대상 기기(200)에 우수한 열 방산 성능을 제공하여, 충전 대상 기기의 열 평형이 무선 충전기(100)의 충전 전력에 쉽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기(100)가 동일한 충전 전력을 갖는 경우, 충전 대상 기기(200)의 온도를 크게 낮출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선 충전기(100)가 동일한 조건하에서 발열점에 대한 열을 방산할 때, 즉 무선 충전기(100)가 동일한 열 방산 목표를 달성하는 경우, 무선 충전기(100)의 열 방산 능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는 무선 충전기(100)의 충전 전력 및 사용자 경험을 더 좋게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무선 충전기(100)의 작동 과정에서, 발열 소자로서 사용되는 전자 소자(22)는 많은 양의 열을 발생시키며, 이에 따라 무선 충전기(100) 내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발열점을 형성한다. 발열점의 온도는 높다. 발열점이 발생하는 열이 적시에 효과적으로 방산되지 않으면, 무선 충전기(100)의 작동 성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국부적 과열이 발생하면, 무선 충전기(100)가 작동하지 않는다. 또한, 발열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우징(10)의 온도도 그에 상응하여 높다. 결과적으로, 하우징(10) 내에서 국부적인 과열이 발생하고, 사용자 경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다시 말해, 무선 충전기(100)의 열 평형도 무선 충전기(100)의 동작 성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회로 기판 구성요소(20)은 열 방산 공기 채널(17) 내에 배치되어, 무선 충전기(100)가 무선 충전기(100)의 열을 방산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무선 충전기(100)는 무선 충전기(100)와 충전 대상 기기(200)의 열을 모두 방산할 수 있어, 무선 충전기(100)와 충전 대상 기기(200)의 열은 열 방산 공기 채널(17)을 통해 효과적으로 방산될 수 있고, 무선 충전기(100) 전체는 양호한 열 전도 온도차 및 양호한 열 전달 효율을 갖는다. 이는 무선 충전기(100)의 열 전도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또한, 접촉부(31), 하우징(10)의 외표면(101) 및 충전 대상 기기(200)는 협력하여 열 방산 공기 유로(17)와 연통하는 통풍 채널(8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환경의 공기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통풍 채널(80)로 안내될 수 있다. 이것은 우수한 안내 기능을 갖는다. 또한, 무선 충전기(100)의 하우징(10)과 충전 대상 기기(200)의 하우징이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은 무선 충전기(100)의 하우징(10) 내의 공간을 과도하게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이는 또한 무선 충전기(100) 및 충전 대상 기기(200)의 열을 방산하는 역할을 한다.
열 방산 구조체(40)는 무선 충전기(100)의 주요 열 방산 구조체이고, 하우징(10) 내부의 열 방산 공기 채널(17)에 수용되고 열 전도 구조체(30)의 접촉부(31)와 연결되고, 또한 회로 기판 구성요소(20)에 인접한다. 열 전도 구조체(30)는 열을 전도하여, 열 방산 구조체(40)가 회로 기판 구성요소(20)과 충전 대상 기기(200)에 대한 열을 방산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열 방산 구조체(40)의 우수한 열 방산 기능으로 인해, 무선 충전기(100) 내부로 전도된 열은 적시에 효과적으로 방산되어, 무선 충전기(100)에 대한 온도 균형을 수행하고, 무선 충전기(1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존재하는 열 방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 방산 구조체(40)가 열 전도 구조체(3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열 방산 구조체(40)를 이용하여 열 전도 구조체(30)의 열을 방산할 수 있어, 열 방산 구조체(40)가 충전 대상 기기(200)와 무선 충전기(100) 모두에 대한 열을 방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열 방산 구조체(40)의 사용 성능을 다양화하여, 무선 충전기(100)의 열 방산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무선 충전기(100)의 충전 전력 및 사용자 경험을 더 좋게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한다. 코일 구성요소(50)는 전술한 송신 코일로 이해될 수 있고, 회로 기판 구성요소(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력의 작용에 따라 전자기 신호를 외부에 전송할 수 있고, 충전 대상 기기(200)에 배치된 수신 코일에 결합될 수 있다. 코일 구성요소(50)는 적층 방식으로 배치된 코일(51) 및 자기 시트(magnetic sheet)(5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51)은 전자기 유도 코일(51)일 수 있다. 전자기 유도 코일(51)은 전원이 켜진 동안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충전 대상 기기(200)에 출력한다. 자기 시트(52)는 코일(51)의 자기장 세기를 강화하고, 에너지 전달 효율을 증대시키고, 충전 대상 기기(200)의 충전 속도를 높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코일 구성요소(50)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하나의 코일 구성요소(50)가 있는 경우, 코일 구성요소(50)는 하나의 충전 대상 기기(200)만을 충전할 수 있고, 일대일 관계로 충전 대상 기기(200)에 대응한다. 복수의 코일 구성요소(50)가 있는 경우, 코일 구성요소(50)는 하나의 충전 대상 기기(200)만을 충전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코일 구성요소(50)가 다대일 관계로 단 하나의 충전 대상 기기(200)에 대응한다. 대안으로, 복수의 코일 구성요소(50)가 복수의 대상 기기(200)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코일 구성요소(50)가 다대다 관계로 복수의 충전 대상 기기(200)에 대응한다. 복수의 코일 구성요소(50)를 배치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복수의 코일 구성요소(50)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복수의 코일 구성요소(50)가 중첩된다. "복수의 코일 구성요소(50)가 중첩된다"는 것은 두 개의 인접한 코일 구성요소(50) 사이에 공통의 중첩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에서 하나의 코일 구성요소(50)의 직교 투영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에서 다른 코일 구성요소(50)의 직교 투영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100)가 더 큰 유도 범위를 갖는 듀얼 코일(51)을 갖도록, 2개의 코일 구성요소(50)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충전기(100)는 도 4에 도시된 충전 대상 기기(200)의 수직 놓기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도 5에 도시된 충전 대상 기기(200)의 수평 놓기 시나리오에도 적용될 수 있어, 복수의 시나리오에서 충전 대상 기기(200)의 애플리케이션 요건을 적응 및 지원하여, 무선 충전기(100)의 충전 속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무선 충전기(100)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가능한 구현에서, 코일 구성요소(50)는 코일(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자기 시트(52)의 일측에 배치된 지지체(support)(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53)는 금속 재료일 수 있고, 코일(51)과 자기 시트(52)에 대한 온도 균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코일(51)이 있는 경우, 복수의 코일(51)은 하나의 지지체(53)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지지체(53)가 복수의 코일(51)에 대한 온도 균형을 수행한다.
제1 팬(60)은 무선 충전기(100) 내의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동력원이며, 하우징(10)의 열 방산 공기 채널(17) 내에 배치되어 제1 공기 입구(13)에 대응하고, 회로 기판 구성요소(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기(100)로 들어오는 공기가 제1 팬(60)에 의해 열 방산 공기 채널(17) 내에서 흐를 수 있게 된다. 이는 무선 충전기(100)의 공기 흐름 및 열 발산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제1 팬(60)은 원심 팬, 축류 팬, 압전 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팬(70)은 무선 충전기(100) 내부의 공기를 흐르게 하는 동력원으로 하우징(10)의 냉각 공기 채널(18)에 배치되어 제2 공기 입구(14)에 대응되며 회로 기판 구성요소(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기(100)로 들어오는 공기는 제2 팬(70)에 의해 냉각 공기 채널(18) 내에서 흐를 수 있게 된다. 이는 무선 충전기(100)의 공기 흐름 및 열 방산 성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제2 팬(70)은 원심 팬, 축류 팬, 압전 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무선 충전기(100)의 구조적 가능성, 즉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연결 위치,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 충전기(100)가 수직형 충전기인 예를 주로 설명에 사용한다. 무선 충전기(100)가 수직형 충전기인 경우, 무선 충전기(100)는 앙각이 고정된 충전기 또는 앙각이 조절 가능한 충전기일 수 있으며, 세로 화면 충전 또는 가로 화면 충전을 지원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엄격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하우징(10)은 본체(11)와 베이스(12)를 포함하고, 본체(11)의 하단은 베이스(12)에 연결된다. 본체(11)는 주로 충전 대상 기기(200)를 지지하는 하우징 구조체로 이해될 수 있다. 베이스(12)는 무선 충전기(100)에 대한 양호한 접촉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물체 지지대(책상 또는 찻상과 같은) 상에 놓일 수 있는 하우징 구조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체(11)와 베이스(12)는 비스듬히 배치되어, 하우징(10) 전체가 수직 구조를 나타내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우수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는 베이스(12)에 대해 고정된다. 즉 본체(11)와 베이스(12) 사이의 끼인각이 고정된다. 본체(11)와 베이스(12) 사이의 끼인각의 각도 범위는 0° 내지 90°의 각도 범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체(11)는 베이스(1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즉, 본체(11)는 베이스(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본체(11)와 베이스(12) 사이의 끼인 각도는 조정 가능하다. 본체(11)와 베이스(12) 사이의 끼인각의 각도 범위는 0° 내지 90°의 각도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와 베이스(12) 사이의 끼인각은 60°일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기(100)의 앙각은 실제 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시나리오에서 애플리케이션 요건에 보다 능동적으로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되어, 사용자가 충전 대상 기기(200)를 충전하면서 충전 대상 기기(2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조작의 편안함과 강력한 편의성을 갖는다.
본체(11)와 베이스(12)는 일체형 구조체일 수 있으며, 즉 하우징(10) 전체가 일체형 구조체일 수 있다. 일체형 구조체를 사용하여 제조된 하우징(10)은 더 적은 공정 단계를 갖는다. 이는 무선 충전기(100)의 제조 비용 및 시간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가공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와 베이스(12)는 용접, 접착, 압착, 나사를 사용한 고정 등의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 구조체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일체형 구조체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1)는 베이스(12)에 연결되어 일체의 구조체를 형성한다.
본체(11)는 열 방산면(111)을 포함하며, 열 방산면(111)은 충전 대상 기기(200)를 향하는 본체(11)의 표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충전 대상 기기(200)가 무선 충전기(100) 위에 놓일 때, 충전 대상 기기(200)의 전면(220)은 열 방산면(111)과 직접 마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열 방산면(111)은 하우징(10)의 외표면(101)이고, 여기서 외표면(101), 열 전도 구조체(30)의 접촉부(31) 및 충전 대상 기기(200)는 공동으로 통풍 채널(8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공기 입구(13)는 열 방산면(111)에 배치되어, 제1 공기 입구(13)가 통풍 채널(80)와 직접 연통하여, 통풍 채널(80)를 통해 들어오는 공기가 본체(11)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제1 공기 입구(13)는 하나 이상 있을 수 있다. 제1 공기 입구(13)는 열 방산면(11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거나, 열 방산면(111)의 에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기 입구(13)가 복수 개 있는 경우, 복수의 제1 공기 입구(13)는 열 방산면(111)의 한 영역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복수의 제1 공기 입구(13)는 열 방산면(111)의 여러 영역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접촉부(31)는 열 방산면(111)에 연결되고, 접촉부(31)의 적어도 일부는 열 방산면(111)에 노출되어, 접촉부(31), 열 방산면(111) 및 충전 대상 기기(200)는 협력하여 통풍 채널(80)을 형성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접촉부(31)는 충전 대상 기기(200)와 접촉하는 열 전도면(311)을 포함하고, 열 전도면(311)은 열 방산면(111)과 동일 편면에 있어 공동으로 하우징(10)의 외표면(101)을 형성한다. 열 방산면(111)과 열 전도면(311)에 의해 공동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0)의 외표면에는 열 방산 홈이 더 배치되고, 열 방산 홈의 개구부는 열 방산면(111)에서 열 전도면(311)까지 연장된다. 제1 공기 입구(13)는 열 방산 홈의 홈벽(groove wall)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 구현에서, 접촉부(31)의 열 전도면(311)을 제외한 접촉부(31)의 일부가 하우징(10)에 내장되어, 열 전도면(311)이 열 방산면과 동일 평면에 있도록 한다. 따라서, 열 전도면(311), 열 방산면(111), 열 방산 홈 및 충전 대상 기기(200)는 공동으로 통풍 채널(80)을 형성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접촉부(31)는 충전 대상 기기(200)와 접촉하는 열 전도면(311)을 포함하고, 열 전도면(311)과 하우징(10)의 외표면(101), 즉 열 방산면(111) 사이에는 높이 차이가 있다. "높이 차이가 있다"는 것은 다음과 같이 이해될 수 있다: 접촉부(31)가 열 방산면(111)으로부터 완전히 돌출되거나, 접촉부(31)의 일부는 하우징(10)에 내장되고, 일부는 열 방산면(111)에 노출된다.
따라서, 열 전도면(311)과 열 방산면(111)의 높이 차이는 실제 요건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어, 형성된 통풍 채널(80)이 외부의 공기를 최대한 무선 충전기(100) 내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무선 충전기(100)의 열 방산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한다. 예를 들어, 접촉부(31)는 제1 측부(side part)(312)와 제2 측부(313)를 포함한다. 제1 측부(312)와 제2 측부(313)는 열 방산면(111)으로부터 돌출되고 열 방산면(111)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다. 제1 측부(312)와 제2 측부(313) 사이에는 간극이 배치된다. 제1 측부(312)와 제2 측부(313)는 모두 본체(11)의 상단에서 본체(11)의 하단까지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1 측부(312) 및 제2 측부(313)는 긴 띠 형상일 수 있으며, 열 방산면(111)의 두 에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의 표면적을 과도하게 차지하지 않으면서 충전 대상 기기(200)의 열이 전도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31)의 간극을 사용함으로써 충전 대상 기기(200)는 또한 하우징(10)과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통풍 채널(80)이 충전 대상 기기(200)와 무선 충전기(100) 사이에 형성되어 열 방산면적(111)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는 무선 충전기(100)의 열 전도 능력 및 열 방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본체(11) 내에 제1 수용 공간(112)이 배치되고, 제1 수용 공간(112)은 제1 공기 입구(13)와 연통하며, 제1 팬(60) 및 코일 구성요소(50)가 제1 수용 공간(11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팬(60)이 제1 수용 공간(112)에 위치하고 제1 공기 입구(13)에 대응한다. "제1 팬(60)이 제1 공기 입구(13)에 대응한다"는 것은 다음과 같이 이해될 수 있다: 제1 공기 입구(13)를 통해 제1 수용 공간(112)으로 들어오는 바람은 제1 팬(60) 쪽으로 불 수 있고, 제1 공기 입구(13)를 통해 열 방산 공기 채널(17)로 들어오는 공기는 제1 팬(60)에 의해 제1 공기 출구(15)를 통해 밖으로 흐르게 되어 충전 대상 기기(200)의 전면(220)의 열을 방산할 수 있다. 충전 대상 기기(200)의 전면(220)은 열 방산면(111)을 향하는 표면이다.
제1 수용 공간(112)에서 코일 구성요소(50)와 제1 팬(60) 사이에는 간극이 배치된다. 코일 구성요소(50)의 위치는 한정된 영역에서만 송신 신호를 제공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코일 구성요소(50)의 위치는 충전 대상 기기(200)의 놓기 시나리오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코일 구성요소(50)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대상 기기(200)가 세로로 놓이는 경우, 코일 구성요소(50)는 충전 대상 기기(200)가 세로로 놓일 때 존재하는 수신 코일의 위치를 감지하여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 충전 대상 기기(200)가 가로로 놓이는 경우, 충전 대상 기기(200)가 가로로 놓일 때 존재하는 수신 코일의 위치를 감지하여 코일 구성요소(50)를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 구성요소(50)는 가동 성능(movable performance) 덕분에 항상 수신 코일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높은 무선 충전 정확도 및 효율을 가지며, 다수의 시나리오에서 무선 충전기(100)의 적용 시나리오 요건에 적응하는 것을 돕는다.
도 7을 참조한다. 예를 들어, 코일 구성요소(50)의 열 방산면(111)에서의 직교 투영은 제1 측부(312)와 제2 측부(313) 사이의 간극 영역의 열 방산면(111)에서의 직교 투영의 범위 내이다. 따라서, 제1 측부(312) 및 제2 측부(313)는 코일 구성요소(50)의 전력 신호 송신을 방해하지 않고 배치될 수 있으므로, 코일 구성요소(50)의 유도 범위가 더 넓어지고, 무선 충전기(100)의 충전 전력이 최적화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베이스(12)는 지지면(121), 바닥면(122) 및 바닥면(122)에 연결된 측면(123)을 포함한다. 지지면(121)은 열 방산면(111)에 연결된다. 충전 대상 기기(200)가 무선 충전기(100)에 놓여 있을 때, 충전 대상 기기(200)의 하단이 지지면(121)과 접촉한다. 바닥면(122)은 무선 충전기(100)가 물체 지지대에 놓일 때 바로 물체 지지대를 향하는 표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측면(123)은 바닥면(122)과 연결되고 본체(11)와 떨어져 있다. 제2 수용 공간(124)은 베이스(12) 내에 배치되고, 제2 수용 공간(124)은 제1 수용 공간(112), 제2 공기 입구(14), 제1 공기 출구(15) 및 제2 공기 출구(16)와 연통한다.
제1 공기 출구(15)는 측면(123)에 배치될 수 있어, 제1 공기 출구(15)가 열 방산 공기 채널(17)과 직접 연통하여, 열 방산 공기 채널(17)에서 열을 운반하는 공기가 무선 충전기(100) 밖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제1 공기 출구(15)는 하나 이상 있을 수 있다. 제1 공기 출구(15)는 측면(123)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거나, 측면(123)의 에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공기 출구(15)가 있는 경우, 복수의 제1 공기 출구(15)는 측면(123)의 한 영역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복수의 제1 공기 출구(15)는 측면(123)의 여러 영역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열 방산 공기 채널(17)은 제1 공기 입구(13) 및 제1 공기 출구(15)와 연통하기 때문에, 열 방산 공기 채널(17)이 제1 수용 공간(112)에서 제2 수용 공간(124)까지 연장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수용 공간(112)의 적어도 일부와 제2 수용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는 열 방산 공기 채널(17)을 형성하고, 열 방산 공기 채널(17)은 본체(11)에서 베이스(12)까지 연장되므로, 열 방산 공기 채널(17)이 하우징(10)의 각 부분에 고르게 분포된다. 이는 하우징(10)의 온도 균형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어, 하우징(10)이 양호한 열 전도 온도 차이 및 양호한 열 방산 효율을 갖도록 하여, 무선 충전기(100)의 열 방산 능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제2 공기 입구(14)는 바닥면(122)에 배치되어, 제2 공기 입구(14)가 냉각 공기 채널(18)과 직접 연통하여, 냉각 공기 채널(18)에서 열을 운반하는 공기가 무선 충전기(100) 밖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제2 공기 입구(14)는 하나 이상 있을 수 있다. 제2 공기 입구(14)는 바닥면(122)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거나, 바닥면(122)의 에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공기 입구(14)가 있는 경우, 복수의 제2 공기 입구(14)는 바닥면(122)의 한 영역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복수의 제2 공기 입구(14)는 바닥면(121)의 여러 영역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무선 충전기(100)는 미끄럼 방지 구조체(anti-slip structure)를 더 포함하고, 미끄럼 방지 구조체는 베이스(12)의 바닥면(122)에 배치되어, 무선 충전기(100)가 우수한 배치 안정성을 갖도록 한다.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 구조체는 미끄럼 방지 패드(anti-slip pad)일 수 있다.
제2 공기 출구(16)는 지지면(121)에 배치되어, 제2 공기 출구(16)가 냉각 공기 채널(18)과 직접 연통하여, 냉각 공기 채널(18)에서 열을 운반하는 공기가 무선 채널 밖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제2 공기 출구(16)는 하나 이상이 있을 수 있다. 제2 공기 출구(16)는 지지면(121)의 에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면(121)의 에지 영역은 충전 대상 기기(200)에 의해 막히지 않고 충전 대상 기기(200)의 전면(210)에 대해 열 방산이 수행되는 위치로 이해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공기 출구(16)가 있는 경우, 복수의 제2 공기 출구(16)는 지지면(121)의 한 영역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복수의 제2 공기 출구(16)는 지지면(121)의 여러 영역에 분산 배치될 수 있 있다.
냉각 공기 채널(18)은 제2 공기 입구(14) 및 제2 공기 출구(16)와 연통하기 때문에, 냉각 공기 채널(18)은 제2 수용 공간(124)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수용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는 냉각 공기 채널(18)을 형성하고, 냉각 공기 채널(18)은 베이스(12)의 일단에서 베이스(12)의 타단까지 연장되므로, 냉각 공기 채널(18)이 베이스(12) 내부에 고르게 분포된다. 이는 냉각 공기 채널(18)에서 냉각된 공기가 충전 대상 기기(200)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송풍되도록 하여, 충전 대상 기기(200)의 온도를 더욱 낮추고, 사용자 경험을 더 좋게 향상시킨다.
가능한 구현에서, 무선 충전기(100)는 제한 구조체(limiting structure)를 더 포함하고, 제한 구조체는 베이스(12)의 지지면(121)에 배치되고, 본체(11)는 베이스(12)와 협력하여 충전 대상 기기(200)를 지지하고 제한한다. 예를 들어, 제한 구조체는 지지면(121)에 배치된 돌출부(protrusion)일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열 방산 공기 채널(17) 및 냉각 공기 채널(18) 모두가 무선 충전기(100)에 통합되어, 열 방산 공기 채널(17)은 충전 대상 기기(200)의 전면에 대한 열을 방산할 수 있고, 냉각 공기 채널(18)은 충전 대상 기기(200)의 전면(21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충전 대상 기기(200)와 무선 충전기(100) 모두의 열 방산 요건이 고려되고, 방산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따라서, 이는 무선 충전기(100)의 충전 전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제2 팬(70), 연결부(32), 열 방산 구조체(40) 및 회로 기판 구성요소(20)는 제2 수용 공간(124)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팬(70)은 제2 수용 공간(124)에 위치하며 제2 공기 입구(14)에 대응한다. "제2 팬(70)이 제2 공기 입구(14)에 대응한다"는 것은 다음과 같이 이해될 수 있다: 제2 공기 입구(14)를 통해 제2 수용 공간(124)으로 들어오는 바람은 제1 팬(70) 쪽으로 불 수 있고, 제2 공기 입구(14)를 통해 냉각 공기 채널(18)로 들어오는 공기는 제2 팬(70)에 의해 냉각된 다음 제2 공기 출구(16)를 통해 밖으로 흐르게 되어 충전 대상 기기(200)의 전면(220)에 대한 열을 방산할 수 있다. 충전 대상 기기(200)의 전면(210)은 열 방산면(111)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표면이다.
지지면(121)에는 천공(穿孔)(125)이 제공될 수 있다. 천공(125)은 열 방산면(111)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고, 천공(125)과 제2 공기 출구(16)는 지지면(121)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다. 접촉부(31)는 본체(11)의 상단에서 본체(11)의 하단까지 연장되고, 접촉부(31)는 천공(125)을 관통하며, 접촉부(31)는 제2 수용 공간(124)에 위치한 연결부(32)와 연결되고, 접촉부(31)와 연결부(32)는 비스듬히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접촉부(31)의 일부는 하우징(10)의 외부에 배치되고, 일부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한 충전 대상 기기(200)와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하는 열 방산 구조체(40)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연결하여, 충전 대상 기기(200)의 열이 무선 충전기(100)로 전달되어 열 방산 구조체(40)를 이용하여 방산될 수 있도록 한다. 접촉부(31)와 연결부(32)는 비스듬히 배치된다. 이는 무선 충전기(100)의 외관 형태에 완전히 적응할 수 있고, 무선 충전기(100)의 하우징(10) 내부의 좁은 공간 배치에 잘 적응하여, 복수의 공간 구성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요건을 충족하고 유연성이 강하다. 이는 무선 충전기(100)의 소형화 발전 추세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된다.
무선 충전기(100)의 앙각이 조정 가능한 경우, 본체(11)는 베이스(12)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연결부(32)에 대해 구부러지도록 접촉부(31)를 구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접촉부(31)와 연결부(32) 사이의 끼인각은 본체(11)와 베이스(12) 사이의 끼인각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기(100)의 앙각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열 전도 구조체(30)는 충전 대상 기기(200)와 열 방산 구조체(40) 사이에 항상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신뢰성이 우수하다.
열 방산 구조체(40)는 반도체 냉각 부재(41), 제1 열 싱크(42), 및 제2 열 싱크(42)를 포함한다. 반도체 냉각 부재(41)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차가운 면(412)과 뜨거운 면(411)을 포함한다. 제1 열 싱크(42)는 뜨거운 면(411)에 배치되고 열 방산 공기 채널(17)에 위치된다. 제2 열 싱크(42)는 차가운 면(412)과 접촉부(31) 사이에 위치된다.
열 전도 구조체(30)는 충전 대상 기기(200)에 의해 발생한 열을 반도체 냉각 부재(41)의 차가운 면(412)으로 전도하고, 차가운 면(412)은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차가운 면(412)에 배치된 제2 열 싱크(42)의 열 방산 핀은 지속적으로 냉각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공기 출구(16)를 통해 냉각 공기 채널(18)로 들어오는 바람은 제2 열 싱크(42)의 열 방산 핀의 작용으로 바람의 온도가 더욱 낮아진 후에 냉각될 수 있어, 냉각된 차가운 공기가 제2 공기 출구(16)를 통해 흘러나가 충전 대상 기기(200) 쪽으로 불 수 있다. 차가운 면(412)에 의해 흡수된 열은 뜨거운 면(411)을 이용하여 방출될 수 있고, 열은 제1 열 히트 싱크(42)의 열 방산 핀의 작용으로 효과적으로 방산되므로, 뜨거운 공기가 열 방산 공기 채널(17)로 흘러 무선 충전기(100) 밖으로 나가게 되어, 열 교환을 통해 무선 충전기(100)에 대한 열을 방산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무선 충전기(100)는 핀(fin)을 더 포함하고, 핀은 제1 수용 공간(112)의 내벽 및/또는 제2 수용 공간(124)의 내벽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핀은 열 방산 공기 채널(17)의 내벽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열 방산면적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고, 무선 충전기(100)의 열 방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핀과 내벽이 일체형 구조체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핀은 핀형 핀, 부채형 핀 및 고리형 핀과 같이 다양한 핀 유형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엄격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방법 및 핵심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의 아이디어에 기초하여 구체적인 구현 및 적용 범위와 관련하여 본 출원을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13)

  1. 무선 충전기로서,
    하우징(housing);
    회로 기판 구성요소(circuit board component); 및
    열 전도 구조체(heat conduction structure)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공기 입구(air inlet) 및 제1 공기 출구(air outlet)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공기 입구와 상기 제1 공기 출구 사이에 상기 제1 공기 입구 및 상기 제1 공기 출구와 연통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열 방산 공기 채널(heat dissipation air channel)이 형성되며;
    상기 회로 기판 구성요소는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heat dissipation air channel) 내에 위치하고;
    상기 열 전도 구조체는 서로 연결되는 접촉부(contact part)와 연결부(connection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에 노출되고, 상기 접촉부는 충전 대상 기기(to-be-charged device)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과 접촉하며, 상기 접촉부, 상기 하우징 외표면 및 상기 충전 대상 기기가 협력하여 통풍 채널(ventilation channel)을 형성하고, 상기 통풍 채널은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과 연통하는,
    무선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충전 대상 기기와 접촉하는 열 전도면(heat conduction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열 전도면과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은 사이에 높이 차이가 있는, 무선 충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충전 대상 기기를 향하는 열 방산면(heat dissipation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제1 측부(side part)와 제2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는 상기 열 방산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열 방산면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 사이에는 간극(gap)이 배치되는, 무선 충전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형 구조체(integral structure)이고, 상기 일체형 구조체는 가요성인, 무선 충전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기는 열 방산 구조체(heat dissipation structur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방산 구조체는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 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열 방산 구조체는 상기 회로 기판 구성요소에 인접하며, 상기 열 전도 구조체는 열을 전도하여, 상기 열 방산 구조체가 상기 회로 기판 구성요소 및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열을 방산하도록 하는, 무선 충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2 공기 입구 및 제2 공기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공기 입구와 상기 제1 공기 출구 사이에 상기 제2 공기 입구 및 제2 공기 출구와 연통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냉각 공기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 공기 채널은 상기 열 방산 구조체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접촉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열 방산 구조체는 반도체 냉각 부재(semiconductor cooling member) 및 제1 열 싱크(heat sink)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냉각 부재는 차가운 면(cold surface)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열 싱크는 상기 차가운 면과 상기 접촉부 사이에 위치하는, 무선 충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 방산 구조체는 제2 열 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냉각 부재는 상기 차가운 면과 대향하여 배치된 뜨거운 면(hot surfac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열 싱크는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 내에 위치하고 상기 뜨거운 면과 연결되는, 무선 충전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본체(body) 및 베이스(base)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하단(bottom)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충전 대상 기기를 향하는 표면은 상기 열 방산면이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열 방산면에 연결된 지지면(bearing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에는 천공(perforation)이 제공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본체의 상단(top)에서 상기 본체의 하단까지 연장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천공을 관통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위치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접촉부와 상기 연결부는 비스듬히 배치되는, 무선 충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연결부에 대해 구부러지도록 상기 접촉부를 구동할 수 있는, 무선 충전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입구와 연통하는 제1 수용 공간(semiconductor cooling member)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2 수용 공간이 상기 베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 상기 회로 기판 구성요소, 상기 열 방산 구조체 및 상기 열 전도 구조체는 모두 상기 제2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공기 입구는 상기 열 방산면에 위치하고,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은 상기 제1 수용 공간에서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공기 출구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무선 충전기는 제1 팬(fan)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1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공기 입구에 대응하며, 상기 제1 공기 입구를 통해 상기 열 방산 공기 채널로 들어오는 공기는 상기 제1 팬에 의해 상기 제1 공기 출구를 통해 흘러나가게 되어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배면(back surface)의 열을 방산하고,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배면은 상기 열 방산면을 향하는 표면인, 무선 충전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입구는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bottom surface)에 위치하고, 상기 냉각 공기 채널은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기 출구는 상기 베이스의 지지면에 위치하며;
    상기 무선 충전기는 제2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팬은 상기 제2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공기 입구에 대응하고, 상기 제2 팬과 상기 제1 열 싱크는 협력하여, 상기 제2 공기 입구를 통해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들어오는 공기가 냉각된 다음 상기 제2 공기 출구를 통해 흘러나가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전면(front surface)에 대한 열을 방산하도록 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전면은 상기 열 방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표면인, 무선 충전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 방산 구조체는 코일 구성요소(coil componen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 구성요소는 상기 제1 수용 공간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코일 구성요소의 상기 열 방산면에 대한 직교 투영(orthogonal projection)은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 사이의 간극 영역의 상기 열 방산면에 대한 직교 투영의 범위 내에 있는, 무선 충전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기는 핀(fin)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내벽(inner wall) 및/또는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내벽에 위치하는, 무선 충전기.
KR1020220012185A 2021-02-09 2022-01-27 무선 충전기 KR102624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177984.0 2021-02-09
CN202110177984.0A CN113036838B (zh) 2021-02-09 2021-02-09 无线充电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055A true KR20220115055A (ko) 2022-08-17
KR102624305B1 KR102624305B1 (ko) 2024-01-11

Family

ID=7646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185A KR102624305B1 (ko) 2021-02-09 2022-01-27 무선 충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56732A1 (ko)
EP (1) EP4040625B1 (ko)
JP (1) JP2022122262A (ko)
KR (1) KR102624305B1 (ko)
CN (1) CN113036838B (ko)
BR (1) BR10202200091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744148U (zh) * 2019-11-05 2020-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底座
US20230074238A1 (en) * 2021-09-02 2023-03-09 Molex Cvs Dabendorf Gmbh Wireless charger with venting system
TWI822408B (zh) * 2022-08-01 2023-11-11 英業達股份有限公司 無線充電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631A (ko) * 2016-08-10 201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US20200091755A1 (en) * 2018-09-19 2020-03-19 Apple Inc. Inductive charging dock
CN212323818U (zh) * 2020-06-15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座和电子设备
KR20210063757A (ko) * 2019-11-25 202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 팬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충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5179B2 (ja) * 2009-10-14 2012-11-1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外部装置
KR102414050B1 (ko) * 2017-07-10 2022-06-28 주식회사 바른 무선 충전 장치의 휴대 단말기 직접 냉각 구조
US20190115781A1 (en) * 2017-10-16 2019-04-18 Daobin Feng Wireless charger
WO2019136692A1 (zh) * 2018-01-12 2019-07-18 深圳市迪奥科科技有限公司 自带散热功能的无线充电支架
CN208401601U (zh) * 2018-07-27 2019-01-18 深圳市誉品智能光电科技有限公司 无线充电器
CN208690979U (zh) * 2018-09-21 2019-04-02 陈宜强 一种立式无线充电器的风冷散热结构
CN208738898U (zh) * 2018-09-30 2019-04-12 深圳市誉品智能光电科技有限公司 无线充电器
WO2020138917A1 (en) * 2018-12-24 2020-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ler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CN209913516U (zh) * 2019-02-25 2020-01-07 厦门立琪电子有限公司 一种带散热功能的无线充电器
CN110932415B (zh) * 2019-12-19 2023-08-22 昆山联滔电子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器
CN211183543U (zh) * 2020-01-20 2020-08-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设备及无线充电系统
CN211981547U (zh) * 2020-05-27 2020-11-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座
CN212323769U (zh) * 2020-05-28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座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631A (ko) * 2016-08-10 201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US20200091755A1 (en) * 2018-09-19 2020-03-19 Apple Inc. Inductive charging dock
KR20210063757A (ko) * 2019-11-25 202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 팬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충전 장치
CN212323818U (zh) * 2020-06-15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座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36838B (zh) 2024-04-09
EP4040625A1 (en) 2022-08-10
JP2022122262A (ja) 2022-08-22
EP4040625B1 (en) 2023-10-04
CN113036838A (zh) 2021-06-25
US20220256732A1 (en) 2022-08-11
BR102022000910A2 (pt) 2022-08-23
KR102624305B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4305B1 (ko) 무선 충전기
CN109729689B (zh) 一种无线充电设备
CN110932415B (zh) 一种无线充电器
JP7379312B2 (ja) ワイヤレス充電装置
CN112383153A (zh) 一种具有冷却装置的无线充电器
CN113133279B (zh) 电子设备
CN211859633U (zh) 无线充电底座
CN113726027A (zh) 无线充电装置
CN213152665U (zh) 一种散热装置及电子设备
WO2022161165A1 (zh) 散热背夹和电子设备组件
CN211556914U (zh) 无线充电座
CN113270922A (zh) 无线充电设备
CN113852144A (zh) 无线充电装置
CN112839493A (zh) 一种无线充电散热器及无线充电散热支架
US20240088708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WO2023030268A1 (zh) 便携式挂脖空调
CN214206267U (zh) 一种无线充电散热器及无线充电散热支架
CN216851432U (zh) 无线充电装置
CN214850521U (zh) 无线充电器
CN218976396U (zh) 双通道散热无线充电器
CN218269381U (zh) 多功能便携调温装置
CN210074809U (zh) 一种散热座及无线充电装置
CN115279145A (zh) 一种半导体制冷无线充电一体化装置及移动终端配件
CN116963423A (zh) 一种通信设备
CN114554784A (zh) 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