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757A - 냉각 팬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냉각 팬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757A
KR20210063757A KR1020190152255A KR20190152255A KR20210063757A KR 20210063757 A KR20210063757 A KR 20210063757A KR 1020190152255 A KR1020190152255 A KR 1020190152255A KR 20190152255 A KR20190152255 A KR 20190152255A KR 20210063757 A KR20210063757 A KR 20210063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an
wireless charging
charging device
electronic devi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치환
구경하
김지홍
강동구
김건탁
박윤정
이규환
이해진
장세영
장현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2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3757A/ko
Priority to US16/952,595 priority patent/US11632881B2/en
Priority to PCT/KR2020/016383 priority patent/WO2021107504A1/en
Publication of KR20210063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09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9Overheat or overtemperatur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45Thermal management, e.g. inverter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냉각 팬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거치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에 배치되는 도전성 코일, 상기 거치부 내부에 위치하며, 관통 홀이 형성된 제2 브라켓, 상기 관통 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냉각 팬, 상기 관통 홀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냉각 팬과 이격되는 제2 냉각 팬 및 상기 관통 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을 격리시키는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 홀은,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제1 냉각 팬이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냉각 팬이 위치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 2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부에 볼류트(volute)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브라켓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냉각 팬 또는 상기 제2 냉각 팬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거치부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전달된 공기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 외부로 향하게 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 팬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충전 장치{COOLING FAN CONTROLLING METHOD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냉각 팬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발전함에 따라, 전자 장치를 위한 주변 기술 역시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을 위해서는 전원 공급 수단으로 사용되는 배터리의 주기적인 충전이 필수적인데, 전자 장치의 주기적 충전을 위해서 전자 장치에 유선 충전기(예: 충전 케이블, TA)을 연결하고,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를 충전시킬 수 있었다.기존의 유선 충전 방식은 유선 케이블을 전자 장치에 매번 접속시켜야만 해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으므로, 최근 들어 유선 케이블 대신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활용하여, 전자 장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이 사용되었다.
무선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충전하는 경우, 전자 장치 내부에 무선 전력 수신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로 인하여 전자 장치에 발열이 일어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발열을 통해 전자 장치 내부의 전기 소자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의 발열은 전자 장치 내부의 배터리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무선 충전을 중단하거나, 무선 충전 속도 또는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었다.
발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원활한 무선 충전을 위하여 무선 충전 장치에 거치된 전자 장치를 냉각시키는 방안이 요구되었으며, 이에 따라 흡입 공기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낮춤으로써, 전자 장치를 간접적으로 냉각시키는 간접 냉각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다만, 간접 냉각 방식은 무선 충전 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흡입 공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냉각하다 보니, 고출력 충전 또는 고속 충전 모드에서는 전자 장치를 원활하게 냉각하지 못할 수 있었다.
고속충전 또는 고출력 충전 모드에서 원활한 충전을 하기 위한 방안으로 냉각 팬(cooling fan)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 장치에 거치되는 전자 장치에 냉각 공기를 직접 분사함으로써, 전자 장치를 직접 냉각시킬 수 있었다.
직접 냉각 방식은 간접 냉각 방식에 비해 전자 장치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는 있으나, 냉각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배출구의 형성 위치 및 형상이 냉각 팬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직접 냉각 방식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는 하나의 냉각 팬을 활용할 수 있다. 하나의 냉각 팬을 활용할 경우, 냉각 팬의 위치 및/또는 무선 충전 장치에 전자 장치가 거치되는 방향(예: 가로 방향 거치 또는 세로 방향 거치)에 따라 냉각 공기의 유량, 냉각 공기와 전자 장치 사이의 접촉 면적의 차이가 발생하여 냉각 효율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개시는 듀얼 냉각 팬(dual cooling fan)을 이용하여 냉각 팬의 위치 및/또는 전자 장치의 거치 상태에 영향 없이 전자 장치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거치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에 배치되는 도전성 코일, 상기 거치부 내부에 위치하며, 관통 홀이 형성된 제2 브라켓, 상기 관통 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냉각 팬, 상기 관통 홀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냉각 팬과 이격되는 제2 냉각 팬 및 상기 관통 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을 격리시키는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 홀은,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제1 냉각 팬이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냉각 팬이 위치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 2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부에 볼류트(volute)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브라켓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냉각 팬 또는 상기 제2 냉각 팬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거치부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전달된 공기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 외부로 향하게 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거치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에 배치되는 도전성 코일, 상기 거치부 내부에 위치하며, 관통 홀이 형성된 제2 브라켓, 상기 관통 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냉각 팬, 상기 관통 홀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냉각 팬과 이격되는 제2 냉각 팬, 상기 관통 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을 격리시키는 격벽 및 상기 제1 냉각 팬 또는 상기 제2 냉각 팬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 홀은,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제1 냉각 팬이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냉각 팬이 위치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 2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부에 볼류트(volute)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브라켓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냉각 팬 또는 상기 제2 냉각 팬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거치부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전달된 공기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 외부로 향하게 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예를 들면, 무선 충전 장치에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사용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 환경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배치된 제1 냉각 팬 및 제2 냉각 팬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은 팬과 공기 배출부(예: 공기 배출홀) 사이의 거리를 단축하고, 무선 충전 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 공기의 유동 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무선 충전되는 전자 장치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별도의 팬 모듈(fan module)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팬 모듈을 사용할 때에 비해 팬의 직경을 키워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공급 전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빠른 무선 충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에 전자 장치가 세로 방향으로 거치되어, 무선 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에 전자 장치가 가로 방향으로 거치되어, 무선 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제1 냉각 팬 및/또는 제2 냉각 팬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무선 충전 장치 외부로 유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전자 장치가 거치된 상태에서 도 3a의 무선 충전 장치를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거치부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거치부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거치부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구성 요소 및 무선 충전 장치에 거치된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온도에 기초하여, 냉각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거치 상태에 기초하여, 냉각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는, 무선 충전 장치에 전자 장치가 세로 방향으로 거치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무선 충전 장치에 전자 장치가 가로 방향으로 거치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충전 모드에 따라, 냉각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사용 환경에 기초하여, 냉각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 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 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 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 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 요소들의 각각의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 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들 각각의 구성 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들 중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자 장치(10)가 세로 방향으로 거치되어, 무선 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자 장치(10)가 가로 방향으로 거치되어, 무선 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100)의 하우징(110)은, 베이스(base, 120), 거치부(130), 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20)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하단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 장치(100)를 평면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130)는, 베이스(120)를 기준으로 일 방향(예: 도 1a의 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1a 참조)에 따르면, 거치부(130)는 베이스(120)와 일정한 경사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거치부(130)는 베이스(120)와 40˚ 내지 70˚, 30˚ 내지 80˚, 또는 70˚ 내지 90˚의 경사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거치부(130)는 베이스(120)와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40)는, 거치부(130)와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40)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커넥터 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커넥터 홀(141)을 통해 외부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장치(100)는 외부 케이블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만, 지지부(140)와 거치부(130)의 각도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거치부(130)와 지지부(140)는 일정한 경사 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홀(141)의 위치는 도면에 표시된 위치로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 충전 장치(10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커넥터 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베이스(120)의 가장자리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지지부(140)를 통해 거치부(130)에 전자 장치(10)를 거치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전자 장치(10)의 일면(예: 후면)이 거치부(130)의 일면에 접하게 되면, 지지부(140)가 거치부(130)에 접한 전자 장치(10)의 일 가장자리를 지지함으로써, 전자 장치(10)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자 장치(10)를 지지하는 구조 또는 전자 장치(10)를 지지하기 위한 방법은 본 발명에 기술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 또는 구조를 통해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적어도 일 측면이 전자 장치(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을 경우, 별도의 지지부(140)가 없더라도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전자 장치(10)를 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전자 장치(10)의 제 1 가장자리(10a) 또는 제 2 가장자리(10b)와 적어도 일부와 부분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다양한 방향으로 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예: 도 1b 참조)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세로 방향(예: 도 1b의 y방향) 으로 거치될 수 있으며, 다른 예시(예: 도 1c 참조)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가로 방향(예: 도 1c의 x 방향) 으로 거치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는 제1 방향(예: 도 1b의 x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가장자리(10a), 제1 가장자리(10a)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가장자리(10b), 제1 가장자리(10a) 및/또는 제2 가장자리 (10b)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2 방향(예: 도 1b의 y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가장자리 (10c), 제3 가장자리(10c)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4 가장자리(10d)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제1 가장자리(10a), 제2 가장자리(10b)를 폭 방향 가장자리로 지칭하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3 가장자리(10c), 제4 가장자리(10d)를 길이 방향 가장자리로 지칭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전자 장치(10)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 가로 방향으로 거치되는 경우(예: 도 1b 참조)는 전자 장치(10)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될 때, 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되는 일 가장자리가 폭 방향 가장자리(예: 제1 가장자리(10a), 제2 가장자리(10b))인 경우를 의미한다. 반대로, 전자 장치(10)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 세로 방향으로 거치되는 경우(예: 도 1c 참조)는 전자 장치(10)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될 때, 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되는 일 가장자리가 길이 방향 가장자리(예: 제3 가장자리(10c), 제4 가장자리(10d))인 경우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부(130)의 내부에는 도전성 코일(미도시) 및/또는 냉각 팬(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장치(100)는 도전성 코일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되는 전자 장치(10)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거나, 냉각 팬을 통해 전자 장치(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부(130)의 일면(예: 후면)에는 공기 유입홀(미도시)가 형성되고, 거치부(130)의 다른 일면(예: 전면)에는 공기 배출홀(예: 도 1a의 공기 배출홀(130a))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홀을 통해 거치부(13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냉각 팬의 회전에 의해 냉각될 수 있으며, 냉각 팬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공기 배출홀(130a)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 외부로 배출되어 전자 장치(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공기 배출홀(130a)은 일 예시로 거치부(130) 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띠 형상(예: 사각 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공기 배출홀(130a)이 형성되는 위치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공기 배출홀(130a)은 거치부(130) 전면의 일부 가장자리(예: 좌측 가장자리 및/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예: 도 1a의 무선 충전 장치(100))는, 하우징(110), 도전성 코일(240), 제1 브라켓(210), 제2 브라켓(220), 냉각 팬(250, 260),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27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부에 복수의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베이스(120)(예: 도 1a의 베이스 120)와 베이스를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거치부(130)(예: 도 1a의 거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로, 베이스(120)는 베이스 프레임(121)에 하단 커버(122)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부(130)는 거치부 프레임(131)에 전면 커버(132)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20)의 베이스 프레임(121)과 하단 커버(12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간을 통해 베이스(12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들(예: 인쇄 회로 기판(27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부(130)의 거치부 프레임(131)과 전면 커버(13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간을 통해 거치부(13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들(예: 도전성 코일(240), 냉각 팬(250, 26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121)과 하단 커버(122), 거치부 프레임(131)과 전면 커버(13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베이스(120) 및/또는 거치부(130)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간을 통해 베이스(120) 및/또는 거치부(130) 내부에는 복수의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132)의 하단 영역에는 지지부(140)(예: 도 1a의 지지부(140))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40)는 전면 커버(132)와 일정한 방향(예: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전자 장치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될 경우, 지지부(140)에 의해 전자 장치의 일 영역이 지지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자 장치(예: 도 1b, 1c의 전자 장치(10))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140)의 전자 장치가 거치되는 일면에는 안착 홈(14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안착 홈(142)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브라켓(210)은 거치부(130)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거치부(130)와 인접한 제1 브라켓(210)의 일면에는 도전성 코일(240)(또는 "전력 송신 코일")이 배치될 수 있으며, 도전성 코일(240)은 일 예시로 거치부(130)의 전면 커버(132)와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로, 무선 충전 장치(100)는 커넥터 홀(예: 도 1a의 커넥터 홀(141))을 통해 외부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케이블은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도전성 코일(24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도전성 코일(240)에 전원이 인가되면 도전성 코일(240)에서 유도 전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도전성 코일(240)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전자 장치 내부의 전력 수신 코일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전력 수신 코일에 발생된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100)가 전자 장치를 충전을 하는 방식은 자기 유도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자기 공명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코일(240)은 구리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된 코일이거나 필름과 같은 박막 타입(thin-type)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전면 커버(132)의 일면과 대체적으로 근접한 상태로 배치되거나, 일정한 간극을 가진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코일(240)은 제1 브라켓(210)의 상단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도전성 코일(241), 제1 브라켓(210)의 하단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도전성 코일(242)을 포함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외부에서 바라볼때, 제1 도전성 코일(241)과 제2 도전성 코일(242)의 일부 영역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 될 수 있다. 다만, 도전성 코일(240)가 제1 도전성 코일(241), 제2 도전성 코일(242)를 포함하는 것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시예에 따라 도전성 코일(240)은 하나의 도전성 코일을 포함하거나, 복수의 도전성 코일(예: 3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도전성 코일(241)과 제2 도전성 코일(242)는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브라켓(210)과 도전성 코일(240) 사이에는 차폐 부재(24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차폐 부재(243)는 도전성 코일(240)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차폐할 수 있다. 차폐 부재(243)는 일 예시로 페라이트(ferri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전성 코일(240)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차폐할 수 있다면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브라켓(220)은 거치부(130) 내부의 제1 브라켓(210)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브라켓(220)은 제2 브라켓(220)을 관통하는 관통 홀(220a, 220b)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브라켓(220)의 관통 홀(220a, 220b) 내부에는 수평 방향(예: 도 2의 x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223)이 형성될 수 있다. 격벽(223)은 관통 홀(220a, 220b)의 수평한 방향(예: 도 2의 x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에 따라, 관통 홀(220a, 220b)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이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격벽(223)은 관통 홀(220a, 220b) 내부 공간을 제1 영역(221)과 제2 영역(222)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제1 영역(221)과 제2 영역(222)에는 제1 냉각팬(250)과 제2 냉각팬(260)이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격벽(223)은 관통 홀(220a, 220b) 내부 공간을 두 개의 영역(예: 제1 영역(221), 제2 영역(222))으로 나누어, 제1 냉각팬(250), 제2 냉각팬(260) 사이의 공기 유동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제1 영역(221)은 제2 브라켓(220)의 상단에 대응되는 관통 홀(220a)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영역(222)은 제2 브라켓(220)의 하단에 대응되는 관통 홀(220b)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은 격벽(223)에 의해 분리된 제2 브라켓(220)의 제1 영역(221)에 제 1 냉각팬(250)이 배치되고,제2 영역(222)에 제 2 냉각팬(26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냉각팬(250)과 제2 냉각팬(260)의 위치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의 위치가 바뀔 수도 있다.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은 일면이 제1 브라켓(210)과 대면하고, 다른 일면은 거치부(130)의 거치부 프레임(131)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부 프레임(131)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복수의 공기 유입홀(13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 유입홀(131a)을 통해 외부 공기가 거치부(1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거치부(130) 내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거치부 프레임(131)과 대면하도록 배치된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의 회전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제1 브라켓(21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공기 유동홀(210a)을 통해 제2 브라켓(220)에서 전면 커버(132)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공기 유동홀(210a)을 통해 전면 커버(132) 방향으로 유동한 냉각 공기는 전면 커버(132)에 형성된 공기 배출홀(130a)(예: 도 1a의 공기 배출홀(130a))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장치(100) 외부로 배출된 냉각 공기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되는 전자 장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 때, 공기 배출홀(130a)은 도 1a의 공기 배출홀(130a)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유동홀(210a)은 제1 브라켓(210)의 좌측 가장자리 및/또는 우측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공기 유동홀(210a)은 제1 브라켓(210)의 상단 가장자리, 좌측 가장자리, 하단 가장자리,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브라켓(220)의 제1 영역(221)과 제2 영역(222) 내부에는 복수의 돌출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230)는 일정 방향(예: 제1 영역(221), 또는 제 2 영역(222)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돌출부(231) 및/또는 제 2 돌출부(232)의 일부는 제 1 영역(221) 내부를 향해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 3 돌출부(233) 및/또는 제 4 돌출부(234)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영역(222) 내부를 향해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230)는 제1 영역(221), 제2 영역(22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손실되는 유동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다만, 돌출부(230)를 통한 유동 손실 방지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270)은 베이스(120)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270)에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인쇄 회로 기판(270) 상에는 프로세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냉각 팬(250), 제2 냉각 팬(260), 및/또는 도전성 코일(240)과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어, 제1 냉각 팬(250), 제2 냉각 팬(260), 및/또는 도전성 코일(240)을 제어하여 무선 충전 장치(100)를 구동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의 무선 충전 장치(100) 구동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3a는, 제1 냉각 팬(예: 도 2의 제1 냉각팬(250)) 및/또는 제2 냉각 팬(예: 도 2의 제2 냉각팬(260))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무선 충전 장치(100)(예: 도 2의 무선 충전 장치(100)) 외부로 유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전자 장치(10)가 거치된 상태에서 도 3a의 무선 충전 장치(100)를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a과 도 3b를 참조하여,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의 냉각 공기 유동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예: 도 2의 무선 충전 장치(100))는 거치부(130)(예: 도 1a의 거치부(130)), 거치부(130)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냉각 팬(250)(예: 도 2의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예: 도 2의 제2 냉각 팬(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부(130) 내부에는 제1 브라켓(210)(예: 도 2의 제1 브라켓(210))과 제2 브라켓(220)(예: 도 2의 제2 브라켓(22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2 브라켓(220)은 제1 브라켓(21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브라켓(210)은 거치부(130)의 전면(예: 도 3b의 거치부(130)의 상단면)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브라켓(220)은 거치부(130)의 후면(예: 도 3b의 거치부(130)의 하단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210)에는 도전성 코일(240)(예: 도 2의 도전성 코일(2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브라켓(220)에는 관통 홀(예: 도 2의 관통 홀(220a, 220b)이 형성되고, 관통 홀 내부에는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 홀 내부에는 격벽(223)(예: 도 2의 격벽(2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격벽(223)은 관통 홀 내부에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예: 도 2의 x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관통 홀 내부를 제1 영역(221)(예: 도 2의 제1 영역(221))과 제2 영역(222)(예: 도 2의 제2 영역(222))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1 냉각 팬(250)은 격벽(223)에 의해 구분된 관통 홀의 제1 영역(221)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냉각 팬(260)은 격벽(223)에 의해 구분된 관통 홀의 제2 영역(22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냉각 팬(250)이 배치되는 영역과 제2 냉각 팬(260)이 배치되는 영역은 격벽(223)에 의해 구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은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되는 전자 장치(10)를 독립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부(130) 후면(예: 도 3b의 거치부(130)의 하단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복수의 공기 유입홀(131a)(예: 도 2의 공기 유입홀(131a))이 형성될 수 있고, 거치부(130) 전면(예: 도 2의 전면 커버(132), 도 3의 거치부(130)의 상단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공기 배출홀(130a)(예: 도 2의 공기 배출홀(130a))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30) 후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홀(131a)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 외부의 공기가 무선 충전 장치(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2 브라켓(220)에 배치된 제1 냉각 팬(250), 및/또는 제2 냉각 팬(260)에 의해 냉각된 후,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의 전면에 형성된 공기 유동홀(210a)(예: 도 2의 공기 유동홀(210a))로 유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유동홀(210a)은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의 전면에 배치된 제1 브라켓(21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 유동홀(210a)은 거치부(130) 전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홀(131a)과 실질적으로 대응되거나,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시로, 공기 유동홀(210a)은 제1 브라켓(210)의 좌측 가장자리 영역 및/또는 우측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브라켓(210)의 상단 가장자리, 좌측 가장자리, 하단 가장자리,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냉각 팬(250) 및/또는 제2 냉각 팬(260)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공기 유동홀(210a)을 통과한 후, 거치부(130)의 전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홀(130a)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 외부로 배출된 냉각 공기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거치부(130)에 거치된 전자 장치(10)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고출력 또는 고속 무선 충전을 하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10)의 온도가 지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장치(100) 외부의 공기는 공기 유입홀(131a)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 내부로 유입되어 냉각될 수 있으며, 냉각된 공기는 공기 유동홀(210a)을 거친 후, 공기 배출홀(130a)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 외부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 3b 상에는 제2 냉각팬(260) 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공기 유입홀(131a), 공기 유동홀(210a), 공기 배출홀(130a)이 배치된 구조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냉각팬(250) 영역에도 제2 냉각팬(260)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공기 유입홀(131a), 공기 유동홀(210a), 또는 공기 배출홀(130a)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두 개의 냉각 팬(예: 제1 냉각 팬(250), 제2 냉각 팬(260))을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냉각 팬을 이용할 때보다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된 전자 장치(10)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냉각 효율은 열전달률(Q)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며, 열전달률(Q)은 뉴턴의 냉각 법칙(Newton's cooling law)에 의해,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외부 공기와 전자 장치(10)의 외부 사이의 온도 차이(ΔT)가 일정한 상태에서 대류 열 전달계수(h)와 냉각 면적(A)(또는 "공기 배출 영역")이 커질수록 증가하게 된다.
Figure pat00001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 장치(100) 외부의 공기를 냉각함에 따라, 하나의 냉각 팬을 이용할 때에 비해 냉각 면적을 증가(예: 2배)시킬 수 있다.
냉각 유량이 일정한 상태에서 냉각 면적만 증가하게 되면 냉각 공기의 유동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대류 열 전달계수(h)는 유동 속도에 비례하는데, 냉각 공기의 유동 속도가 감소하면 대류 열 전달계수(h)도 감소하게 되어, 냉각 면적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열전달률(Q)은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기존의 무선 충전 장치와 같이 하나의 냉각 팬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를 냉각하면서, 냉각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냉각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홀(130a)의 영역만 넓히는 경우, 냉각 공기의 유동 속도가 줄어들어 냉각 효율이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를 냉각함으로써, 하나의 냉각 팬을 이용할 때에 비해 냉각 유량을 일정량(예: 2배)으로 늘릴 수 있다. 냉각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냉각 공기의 유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냉각 면적을 늘릴 수 있다.
Single fan Dual fan 회전 속도 증가
h(W/m2·K) 10 10 15
A(m2) 0.01 0.02 0.02
ΔT(K) 15 15 15
Q(W) 1.5 3 4.5
표 1은, 한 개의 냉각 팬(single fan)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냉각할 때, 두 개의 냉각 팬(dual fan)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냉각할 때, 두 개의 냉각 팬을 이용하되, 냉각 팬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전자 장치를 냉각할 때의 열전달률 또는 냉각 효율을 비교한 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을 통해 냉각 면적을 2배로 증가시키면서도, 냉각 공기의 유동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하나의 냉각 팬을 이용하는 무선 충전 장치에 비해 열전달률(Q)를 2배 높일 수 있어,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되는 전자 장치(10)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사용 환경에 따라 제1 냉각 팬(250) 및/또는 제2 냉각 팬(26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1 냉각 팬(250) 및/또는 제2 냉각 팬(260)의 회전 속도 조절을 통해 냉각 효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시(예: 표 1 참조)로,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1 냉각 팬(250), 및/또는 제2 냉각 팬(26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대류 열 전달계수를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냉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미도시)로,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1 냉각 팬(250), 및/또는 제2 냉각 팬(26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켜 대류 열 전달계수를 낮출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냉각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사용 환경에 따라, 제1 냉각 팬(250) 및/또는 제2 냉각 팬(26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냉각 효율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무선 충전 장치(100)의 사용 환경에 따른 제1 냉각 팬(250), 제2 냉각 팬(260)의 회전 속도 제어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TA 입력 전면 온도 후면 온도
Single fan 11.9V, 1.4A 40.2(˚C) 40.4(˚C)
Dual fan 11.9V, 1.4A 37.4(˚C) 38.1(˚C)
표 2는,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무선 충전하는 과정에서 한 개의 냉각 팬(single fan)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냉각했을 때와 두 개의 냉각 팬(dual fan)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냉각했을 때의 전자 장치의 전면, 후면 온도를 비교한 표이다.
표 2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가 외부 케이블을 통해 11.9V, 1.4A를 공급 받는 조건에서, 한 개의 냉각 팬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 장치에 거치된 전자 장치를 냉각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전면 온도는 40.2˚C이고, 후면 온도는 40.4˚C일 수 있다. 반면, 두 개의 냉각 팬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 장치에 거치된 전자 장치를 냉각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전면 온도는 37.4˚C이고, 후면 온도는 38.4˚C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두 개의 냉각 팬을 이용하는 경우, 한 개의 냉각 팬을 이용할 때에 비해 전자 장치의 전면 온도를 2.8˚C만큼 더 낮출 수 있고, 후면 온도를 2.3˚C만큼 더 낮출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를 냉각함으로써, 하나의 냉각 팬을 이용하는 기존의 무선 충전 장치에 비해 전자 장치(10)를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예: 도 2의 무선 충전 장치(100))의 거치부(예: 도 2의 거치부(130))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거치부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거치부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관통 홀이 형성된 제2 브라켓(220)(예: 도 2의 제2 브라켓(220)), 제2 브라켓(220)의 관통 홀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냉각 팬(250)(예: 도 2의 제1 냉각 팬(250)), 및/또는 제2 냉각 팬(260)(예: 도 2의 제2 냉각 팬(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의 무선 충전 장치(100) 및/또는 도 3a와 도 3b의 무선 충전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브라켓(220)의 관통 홀은 관통 홀 내부에 형성된 격벽(223)(예: 도 2, 도 3a의 격벽(223))에 의해 제1 영역(221)(예: 도 2의 제1 영역(221))과 제2 영역(222)(예: 도 2의 제2 영역(222))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냉각 팬(250)은 제1 영역(221) 내에 배치되고, 제2 냉각 팬(260)은 제2 영역(22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221) 내에 배치된 제1 냉각 팬(250)과 제2 영역(222) 내에 배치된 제2 냉각 팬(260)은 격벽(223)에 의해 격리될 수 있다.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이 격리됨에 따라, 제1 냉각 팬(250)에 의해 냉각된 외부 공기가 제2 냉각 팬(260)이 배치된 제2 영역(222) 방향으로 유동하여 제2 냉각 팬(260)의 외부 공기 과정에 영향(예: 난류 발생)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격벽(223)을 통해 제2 냉각 팬(260)에 의해 냉각된 외부 공기가 제1 영역(221) 방향으로 유동하여 제1 냉각 팬(250)의 외부 공기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격벽(223)을 이용하여,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 사이의 공기 유동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 중 어느 하나의 냉각 팬(예: 제1 냉각 팬(250))만 구동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예: 도 4b)에 따라,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이 서로 다른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브라켓(220)의 제1 영역(221)과 제2 영역(222)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예: 도 2의 돌출부(230))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30)는 일 예시로, 제1 돌출부(231), 제2 돌출부(232), 제3 돌출부(233), 및/또는 제4 돌출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231)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브라켓(220)의 상단 일측에서 제1 영역(22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돌출부(232)의 적어도 일부는 격벽(223)으로부터 제1 영역 방향(221)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돌출부(233)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브라켓(220)의 하단 일측에서 제2 영역(22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4 돌출부(234)의 적어도 일부는 격벽(223)으로부터 제2 영역 방향(222)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221) 내에 형성된 제1 돌출부(231)와 제2 돌출부(232)는 서로 엇갈린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영역(222) 내에 형성된 제3 돌출부(233)와 제4 돌출부(234)도 서로 엇갈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예: 도 4a)로, 제1 돌출부(231)는 제2 브라켓(220)의 좌측 상단 영역에서 제1 영역(22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돌출부(232)는 격벽(223)의 우측 영역에서 제1 영역(22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제1 돌출부(231)는 제1 영역(221)의 좌측 상단 영역에 위치하고, 제2 돌출부(232)는 제1 영역(221)의 우측 하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돌출부(233)는 제2 브라켓(220의 우측 하단 영역에서 제2 영역(22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4 돌출부(234)는 격벽(223)의 좌측 영역에서 제2 영역(22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제3 돌출부(233)는 제2 영역(222)의 우측 하단 영역에 위치하고, 제4 돌출부(234)는 제2 영역(222)의 좌측 상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돌출부(231), 제2 돌출부(232), 제3 돌출부(233), 제4 돌출부(234)는 볼류트(volut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평면 상의 한점이 고정된 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하는 직선을 따라 일정한 속력으로 멀어질 때, 평면 상의 한점이 그리는 자취를 아르키메데스 와선(Archimedean spiral)이라고 하며, 본 개시에서 볼류트(volute) 형상은 아르키메데스 와선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형상을 의미한다.
제1 영역(221) 내에 배치된 볼류트 형상의 제1 돌출부(231)와 제2 돌출부(232)는 제1 냉각 팬(250)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유동 과정에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영역(222) 내에 배치된 볼류트 형상의 제3 돌출부(233)와 제4 돌출부(234)는 제2 냉각 팬(260)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유동 과정에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영역(221) 또는 제2 영역(222) 내에 별도의 돌출부(예: 제1 돌출부(231)와 제2 돌출부(232), 또는 제3 돌출부(233)와 제4 돌출부(234))가 없는 경우, 제1 냉각 팬(250)과 제1 영역(221)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또는 제2 냉각 팬(260)과 제2 영역(222)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 공기가 유동하는 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게 되어, 냉각 공기가 유동하는 위치에 따라 냉각 공기의 유동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유동 위치에 따라 냉각 공기의 유동 속도가 가변되는 경우, 제1 냉각 팬(250) 및/또는 제2 냉각 팬(260)의 냉각 과정에서 제1 영역(221)의 일 영역(예: 제1 영역(221)의 상단 가장 자리 영역) 또는 제2 영역(222)의 일 영역(예: 제2 영역(222)의 하단 가장 자리 영역)에는 난류(turbulence)가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난류에 의해 냉각 공기의 유동 손실이 발생하여 냉각 효율이 줄어들 수 있다.
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1 영역(221)과 제2 영역(222) 내에 배치되는 볼류트 형상의 제1 돌출부(231), 제2 돌출부(232), 제3 돌출부(233), 및/또는 제4 돌출부(234)를 통해 제1 영역(221)과 제2 영역(222) 내에서 냉각 공기가 유동하는 면적(이하 '유동 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냉각 공기의 유동 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냉각 공기의 유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영역(221) 또는 제2 영역(222)의 일 영역에서 난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냉각 팬(260)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공기가 유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 3 돌출부(233) 및/또는 제 4 돌출부(234)의 형상에 따라 가이드 되어 일정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되어 공기가 다른 방향으로 흐르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이 줄어 들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볼류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30)를 이용하여 난류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냉각 공기의 유동 손실을 방지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이 격벽(223)에 의해 격리됨에 따라,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일 예시로,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돌출부(231), 제2 돌출부(232), 제3 돌출부(233), 제4 돌출부(234)의 배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4a)에 따라,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이 동일한 방향(예: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돌출부(232)와 제4 돌출부(234)는 격벽(223)을 기준으로 엇갈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2 돌출부(232)는 격벽(223)의 우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돌출부(234)는 격벽(223)의 좌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232)가 격벽(223)의 우측 영역에 배치되고, 제4 돌출부(234)가 격벽(223)의 좌측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제1 돌출부(231)는 제2 브라켓(220)의 상단 좌측 영역에 배치되고, 제3 돌출부(233)는 제2 브라켓(220)의 하단 우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2 돌출부(232)와 제4 돌출부(234)가 배치되는 위치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제2 돌출부(232)는 격벽(223)의 좌측 영역에 배치되고, 제4 돌출부(232)는 격벽(223)의 우측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예: 도 4b)에 따라,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돌출부(232)와 제4 돌출부(234)는 격벽(223)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2 돌출부(232)와 제4 돌출부(234)는 격벽(223)의 우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돌출부(231)는 제2 브라켓(220)의 상단 좌측 영역에 배치되고, 제3 돌출부(233)는 제2 브라켓(220)의 하단 좌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2 돌출부(232)와 제4 돌출부(234)는 격벽(223)의 좌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돌출부(231)는 제2 브라켓(220)의 상단 우측 영역에 배치되고, 제3 돌출부(233)는 제2 브라켓(220)의 하단 우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은 동일할 수도 있으나, 실시예(예: 도 4c)에 따라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의 직경이 상이할 수도 있다.
일 예시(예: 도 4c 참조)로, 제1 냉각 팬(250)은 제1 직경(D1)을 갖는 냉각 팬일 수 있으며, 제2 냉각 팬(260)은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D2)을 갖는 냉각 팬일 수 있다. 다만,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의 직경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제1 냉각 팬(250)의 직경이 제2 냉각 팬(260)의 직경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의 구성 요소 및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된 전자 장치(10) 사이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도전성 코일(240), 제1 냉각 팬(250), 제2 냉각 팬(260), 프로세서(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 도 3a, 도 3b, 도 4a, 도 4b, 및/또는 도 4c의 무선 충전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00)는 도전성 코일(240), 제1 냉각 팬(250), 및/또는 제2 냉각 팬(260)과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시로, 프로세서(500)는 도전성 코일(240)과 작동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도전성 코일(24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도전성 코일(240)을 통해 전자 장치(예: 도 1b, 1c의 전자 장치(10))의 거치 상태(예: 가로 거치, 세로 거치)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프로세서(500)는 제1 냉각 팬(250) 및/또는 제2 냉각 팬(260)과 작동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냉각 팬(250) 및/또는 제2 냉각 팬(2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00)는, 제1 냉각 팬(250) 및/또는 제2 냉각 팬(260)의 활성화(예: on), 비활성화(예: off), 회전 속도, 및/또는 회전 방향(예: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00)는 무선 통신(미도시된 무선충전 in-band 통신부 또는 별도의 BT, Wi-Fi, NFC 등의 근거리 통신부 등)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되는 전자 장치(10)(예: 도 1b의 전자 장치(10))로부터 전자 장치(10)의 장치 정보(예: 온도, 전자 장치(10)의 현재 위치, 현재 시간, 충전 모드(charging mode)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도전성 코일(240), 제1 냉각 팬(250), 및/또는 제2 냉각 팬(26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예: 도 5의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전자 장치(예: 도 5의 전자 장치(10))의 온도에 기초하여, 냉각 팬(예: 도 5의 제1 냉각팬(250), 제2 냉각팬(260))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1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예: 도 5의 무선 충전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5의 프로세서(500))는, 무선 충전 장치에 거치된 전자 장치(예: 도 1b, 도 1c의 전자 장치(10))의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충전 과정에서 전자 장치의 온도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예시로,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충전 장치에 거치된 전자 장치의 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 장치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예: 도 1a의 거치부(130))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온도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온도 센서로부터 거치부에 거치된 전자 장치의 온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장치에 거치된 전자 장치의 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부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충전 장치에 거치된 전자장치의 온도 센서의 값을 무선충전 in-band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 방법으로 전달 받을 수 있다.
602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601 동작에서 수신된 전자 장치의 온도(˚C)를 지정된 값(˚C)과 비교할 수 있다. 무선 충전 과정에서 전자 장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증가하면, 전자 장치 내부의 배터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선 충전이 중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602 동작에서 거치된 전자 장치의 온도와 지정된 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냉각 팬(예: 도 2의 제1 냉각 팬(250)) 또는 제2 냉각 팬(예: 도 2의 제2 냉각 팬(260))의 구동을 제어하여 무선 충전 과정에서 전자 장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602 동작에서 거치된 전자 장치의 온도가 지정된 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603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프로세서는, 제1 냉각 팬과 제2 냉각 팬을 모두 구동 시켜 전자 장치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의 온도와 지정된 값 사이의 차이에 따라, 제1 냉각 팬과 제2 냉각 팬을 모두 구동 시키되, 제1 냉각 팬 및/또는 제2 냉각 팬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회전 속도를 낮출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의 온도가 일정한 위험 온도(예: 전자 장치에 심각하게 손해를 가 할 수 있는 온도)일 경우 또는 일정 시간동안 측정한 온도가 내려가지 않을 경우 회전 속도를 높여서 냉각을 빠르게 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반대로, 602 동작에서 거치된 전자 장치의 온도가 지정된 값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604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프로세서는, 제1 냉각 팬, 제2 냉각 팬 중 어느 하나의 냉각 팬만 구동 시킬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의 온도가 높은 경우, 제1 냉각 팬과 제2 냉각 팬을 모두 구동 시켜 전자 장치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온도가 높지 않은 경우, 제1 냉각 팬, 제2 냉각 팬 중 하나의 냉각 팬을 구동 시켜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예: 도 5의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전자 장치(예: 도 5의 전자 장치(10)의 거치 상태에 기초하여, 냉각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자 장치(10)가 세로 방향으로 거치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자 장치(10)가 가로 방향으로 거치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의 전자 장치의 거치 상태에 기초하여, 냉각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 도 8a와 도 8b의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701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예: 도 5의 무선 충전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5의 프로세서(500))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된 전자 장치(10)(예: 도 5의 전자 장치(10))의 거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자 장치(10)가 거치되는 경우, 도전성 코일(241, 242)에 자력 및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전성 코일(241, 242)에 발생되는 자력 및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의 거치 여부 및/또는 전자 장치(10)의 거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100) 내부에는 제1 도전성 코일(241)(예: 도 2의 제1 도전성 코일(241)), 제2 도전성 코일(242)(예: 도 2의 제2 도전성 코일(242))이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도전성 코일(241), 제2 도전성 코일(242)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코일에 자력 및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자 장치가 거치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일 예시(예: 도 8a)로, 제1 도전성 코일(241), 및 제2 도전성 코일(242)에 자력 및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전자 장치(10)가 세로 방향으로 거치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시(예: 도 8b)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제1 도전성 코일(241)에는 자력 및 신호가 아예 발생하지 않거나, 거의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도전성 코일(242)에 자력 및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전자 장치(10)가 가로 방향으로 거치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702 동작에서 전자 장치(10)가 세로 방향으로 거치된 것으로 인식된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703 동작에서 제1 냉각 팬(250)(예: 도 2의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예: 도 2의 제2 냉각 팬(260))을 모두 구동 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는 703 동작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된 전자 장치(10)의 상단 영역(예: 제1 냉각 팬(250)과 대응되는 영역)과 하단 영역(예: 제2 냉각 팬(260)과 대응되는 영역))이 고르게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702 동작에서 전자 장치(10)가 가로 방향으로 거치된 것으로 인식된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704 동작에서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 중 어느 하나의 냉각 팬만 구동 시킬 수 있다. 일 예시로, 프로세서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하단 영역에 배치된 제2 냉각 팬(260)만 구동 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자 장치(10)가 가로 방향으로 거치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의 상단 영역에 배치된 제1 냉각 팬(250)의 구동은 불필요하므로, 프로세서는 704 동작을 통해 무선 충전 과정에서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자 장치(10)(예: 휴대용 전자 장치)가 가로 방향으로 거치된 상태에서 제2 전자 장치(11)(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10) 상단에 추가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제1 도전성 코일(241), 및/또는 제2 도전성 코일(242)에 발생되는 자력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자 장치(10) 외에 제2 전자 장치(11)가 추가적으로 거치되었는지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자 장치(10)와 제2 전자 장치(11)가 함께 거치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을 모두 구동 시켜, 전자 장치(10)와 제2 전자 장치(11)를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10)와 제2 전자 장치(11)의 온도에 따라, 제1 냉각 팬(250)과 제2 냉각 팬(260)의 회전 속도를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예: 도 5의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충전 모드에 따라, 냉각 팬(예: 도 5의 제1 냉각팬(250), 제2 냉각팬(260))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901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예: 도 5의 무선 충전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5의 프로세서(500))는,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 충전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무선 충전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모드(charging mode)는 무선 충전 속도 및/또는 외부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제1 충전 모드, 제1 충전 모드보다 고속 충전이 가능한 제2 충전 모드, 제2 충전 모드보다 고속 충전이 가능한 제3 충전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드의 구분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제1 충전 모드, 제2 충전 모드, 제3 충전 모드, 제N 충전 모드(N은 자연수)로 구분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무선 충전 모드가 제1 충전 모드, 제2 충전 모드, 제3 충전 모드가 구분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902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901 동작에서 확인된 무선 충전 장치의 현재 무선 충전 모드가 제1 충전 모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901 동작에서 제1 충전 모드로 확인되는 경우, 903 동작을 통해 제1 냉각 팬과 제2 냉각 팬 중 어느 하나의 냉각 팬만 구동 시킬 수 있다.
제1 충전 모드는 상대적으로 저 출력의 충전 모드여서, 전자 장치가 제1 충전 모드로 무선 충전되는 경우, 전자 장치의 온도가 크게 상승하지 않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제1 충전 모드일 때, 하나의 냉각 팬만 구동 시켜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902 동작에서 무선 충전 장치의 현재 충전 모드가 제1 충전 모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904 동작을 통해 901 동작에서 확인된 무선 충전 장치의 현재 무선 충전 모드가 제2 충전 모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904 동작에서 제2 충전 모드로 확인되는 경우, 제1 충전 모드일 때에 비해 전자 장치의 온도가 크게 증가할 수 있으므로, 905 동작을 통해 제1 냉각 팬과 제2 냉각 팬을 함께 구동 시킬 수 있다.
906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904 동작에서 무선 충전 장치의 현재 충전 모드가 제2 충전 모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의 현재 충전 모드가 제3 충전 모드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906 동작에서 제3 충전 모드인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907 동작을 통해, 제1 냉각 팬과 제2 냉각 팬을 함께 구동 시키고, 제1 냉각 팬과 제2 냉각 팬의 회전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예시로, 프로세서가 905 동작에서 제1 냉각 팬과 제2 냉각 팬을 제1 회전 속도로 회전시킨 경우, 907 동작에서는 제1 냉각 팬과 제2 냉각 팬을 제1 회전 속도보다 빠른 제2 회전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의 출력에 따라 구동되는 냉각 팬의 개수를 조절하거나, 냉각 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무선 충전 과정에서 전자 장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 장치의 온도 증가로 무선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예: 도 5의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사용 환경에 기초하여, 냉각 팬(예: 도 5의 제1 냉각팬(250), 제2 냉각팬(260))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1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예: 도 5의 무선 충전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5의 프로세서(500))는, 무선 충전 장치에 거치되는 전자 장치(예: 도 5의 전자 장치(10))으로부터 무선 충전 장치의 사용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위치, 시간, 또는 장소 등을 포함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사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1002 동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프로세서는, 1001 동작에서 수신된 사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냉각 팬(예: 도 2의 제1 냉각 팬(250)), 제2 냉각 팬(예: 도 2의 제2 냉각 팬(2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충전 장치의 프로세서는, 제1 냉각 팬 및/또는 제2 냉각 팬의 활성화(예: on), 비활성화(예: off), 회전 방향(예: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 또는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시로, 프로세서는 1001 동작에서 수신된 사용 환경 정보로부터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현재 시간이 사용자가 설정한 취침 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제1 냉각 팬과 제2 냉각 팬을 모두 구동 시키지 않거나, 제1 냉각 팬과 제2 냉각 팬 중 어느 하나의 냉각 팬만 구동 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프로세서는, 현재 시간이 사용자가 설정한 취침 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제1 냉각 팬 및/또는 제2 냉각 팬을 구동 시키되, 제1 냉각 팬 및/또는 제2 냉각 팬의 회전 속도를 낮춰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1001 동작에서 수신된 사용 환경 정보로부터 현재 무선 충전 장치 또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무선 충전 장치 또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냉각 팬 및/또는 제2 냉각 팬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로, 프로세서는 1001 동작을 통해 확인된 무선 충전 장치 또는 전자 장치의 위치가 일반적인 장소(예: 사무실, 거실)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1 냉각 팬과 제2 냉각 팬을 함께 구동 시키거나, 제1 냉각 팬 및/또는 제2 냉각 팬의 회전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는 1001 동작을 통해 확인된 무선 충전 장치 또는 전자 장치의 위치가 사용자가 설정한 장소(예: 침실, 도서관, 공공 장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1 냉각 팬과 제2 냉각 팬 중 어느 하나의 냉각 팬만 구동 시키거나, 제1 냉각 팬 및/또는 제2 냉각 팬의 회전 속도를 낮춰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프로세서는 무선 충전 장치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1 냉각 팬 및/또는 제2 냉각 팬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 장치에 거치되는 전자 장치의 온도, 거치 상태뿐만 아니라, 무선 충전이 진행되는 환경(예: 무선 충전 장치의 온도, 무선 충전 위치)에 응답하여, 냉각 팬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 장치(예: 도 2의 무선 충전 장치(100))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b, 1c의 전자 장치(1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예: 도 1a의 거치부(130))를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1a의 하우징(110)), 상기 거치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브라켓(예: 도 2의 제1 브라켓(210)), 상기 제1 브라켓에 배치되는 도전성 코일(예: 도 2의 도전성 코일(240)), 상기 거치부 내부에 위치하며, 관통 홀이 형성된 제2 브라켓(예: 도 2의 제2 브라켓(220)), 상기 관통 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냉각 팬(예: 도 2의 제1 냉각 팬(250)), 상기 관통 홀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냉각 팬과 이격되는 제2 냉각 팬(예: 도 2의 제2 냉각 팬(260)) 및 상기 관통 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을 격리시키는 격벽(예: 도 2의 격벽(223))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 홀은,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제1 냉각 팬이 배치되는 제1 영역(예: 도 2의 제1 영역(221))과 상기 제2 냉각 팬이 위치하는 제2 영역(예: 도 2의 제2 영역(222))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부에 볼류트(volute)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예: 도 2의 돌출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브라켓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냉각 팬 또는 상기 제2 냉각 팬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거치부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제1 개구부(예: 도 3b의 공기 유동홀(210a))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전달된 공기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 외부로 향하게 하는 제2 개구부(예: 도 2, 도 3b의 공기 배출홀(130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단 일측에서 상기 제1 영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예: 도 4a의 제1 돌출부(231)), 상기 격벽에서 상기 제1 영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돌출부와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예: 도 4a의 제2 돌출부(232)),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단 일측에서 상기 제2 영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 돌출부(예: 도 4a의 제3 돌출부(233)) 및 상기 격벽에서 상기 제2 영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3 돌출부와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는 제4 돌출부(예: 도 4a의 제4 돌출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거치부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4a, 도 4b 참조)에 따르면,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예: 도 4c)에 따르면, 상기 제1 냉각 팬의 직경(예: 도 4c의 D1)과 상기 제2 냉각 팬(예: 도 4c의 D2)의 직경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4a 참조)에 따르면,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상기 제4 돌출부와 엇갈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예: 도 4b 참조)에 따르면, 상기 제1 냉각 팬은, 상기 제2 냉각 팬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상기 제4 돌출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 장치(예: 도 2의 무선 충전 장치(100))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b, 1c의 전자 장치(1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예: 도 1a의 거치부(130))를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1a의 하우징(110)), 상기 거치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브라켓(예: 도 2의 제1 브라켓(210)), 상기 제1 브라켓에 배치되는 도전성 코일(예: 도 2의 도전성 코일(240)), 상기 거치부 내부에 위치하며, 관통 홀이 형성된 제2 브라켓(예: 도 2의 제2 브라켓(220)), 상기 관통 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냉각 팬(예: 도 2의 제1 냉각 팬(250)), 상기 관통 홀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냉각 팬과 이격되는 제2 냉각 팬(예: 도 2의 제2 냉각 팬(260)) 및 상기 관통 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을 격리시키는 격벽(예: 도 2의 격벽(223)) 및 상기 제1 냉각 팬 또는 상기 제2 냉각 팬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예: 도 5의 프로세서(500))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 홀은,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제1 냉각 팬이 배치되는 제1 영역(예: 도 2의 제1 영역(221))과 상기 제2 냉각 팬이 위치하는 제2 영역(예: 도 2의 제2 영역(222))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격벅의 적어도 일부에 볼류트(volute)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예: 도 2의 돌출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브라켓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냉각 팬 또는 상기 제2 냉각 팬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거치부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제1 개구부(예: 도 3b의 공기 유동홀(210a))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전달된 공기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 외부로 향하게 하는 제2 개구부(예: 도 2, 도 3b의 공기 배출홀(130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거치되는 상기 거치부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온도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거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냉각 팬 또는 상기 제2 냉각 팬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 센서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6 참조)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외부 전자 장치의 온도 데이터가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을 구동하고, 상기 수신된 외부 전자 장치의 온도 데이터가 지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 중 어느 하나의 냉각 팬만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전성 코일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방향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7 참조)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세로 방향으로 거치된 것(예: 도 1b의 전자 장치(10))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을 구동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가로 방향으로 거치된 것(예: 도 1c의 전자 장치(10))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 중 어느 하나의 냉각 팬만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9 참조)에 따르면, 제1 충전 모드(charging mode)인 경우,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 중 어느 하나의 냉각 팬만 구동하고, 제2 충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을 제1 속도로 구동하며, 제3 충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의 회전 속도를 상기 제1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10 참조)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사용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의 구동 또는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 환경 정보는, 무선 충전 장치의 온도, 무선 충전 장치의 사용 시간, 무선 충전 장치의 사용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에서의 냉각 팬을 제어하는 방법은, 무선 충전 장치(예: 도 2의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상기 무선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b, 도 1c의 전자 장치(10))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사용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 환경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배치된 제1 냉각 팬(예: 도 2의 제1 냉각 팬(250)) 및 제2 냉각 팬(예: 도 2의 제2 냉각 팬(260)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 환경 정보는, 무선 충전 장치(예: 도 2의 무선 충전 장치(100)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도 1b, 1c의 전자 장치(10))의 방향(예: 가로, 세로), 위치(예: 좌, 우, 중앙 등), 장소(예: 사무실, 거실, 침실, 도서관, 공공 장소 등), 온도, 충전 모드,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 설정된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다른 사용 환경 정보를 더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다른 사용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사용 환경 정보는, 무선 충전 장치(예: 도 2의 무선 충전 장치(100)의 방향(예: 가로, 세로), 위치(예: 좌, 우, 중앙 등), 장소(예: 사무실, 거실, 침실, 도서관, 공공 장소 등), 온도, 무선 충전 장치를 사용한 시간, 또는 무선 충전 장치에 설정된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거치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에 배치되는 도전성 코일;
    상기 거치부 내부에 위치하며, 관통 홀이 형성된 제2 브라켓;
    상기 관통 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냉각 팬;
    상기 관통 홀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냉각 팬과 이격되는 제2 냉각 팬; 및
    상기 관통 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을 격리시키는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 홀은,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제1 냉각 팬이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냉각 팬이 위치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부에 볼류트(volute)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브라켓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냉각 팬 또는 상기 제2 냉각 팬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거치부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전달된 공기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 외부로 향하게 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단 일측에서 상기 제1 영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
    상기 격벽에서 상기 제1 영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돌출부와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단 일측에서 상기 제2 영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 돌출부; 및
    상기 격벽에서 상기 제2 영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3 돌출부와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는 제4 돌출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거치부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무선 충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팬의 직경과 상기 제2 냉각 팬의 직경이 서로 다른 무선 충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상기 제4 돌출부와 엇갈린 위치에 배치되는 무선 충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팬은, 상기 제2 냉각 팬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상기 제4 돌출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무선 충전 장치.
  11.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거치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에 배치되는 도전성 코일;
    상기 거치부 내부에 위치하며, 관통 홀이 형성된 제2 브라켓;
    상기 관통 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냉각 팬;
    상기 관통 홀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냉각 팬과 이격되는 제2 냉각 팬;
    상기 관통 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을 격리시키는 격벽; 및
    상기 제1 냉각 팬 또는 상기 제2 냉각 팬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 홀은,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제1 냉각 팬이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냉각 팬이 위치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 2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부에 볼류트(volute)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브라켓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냉각 팬 또는 상기 제2 냉각 팬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거치부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전달된 공기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 외부로 향하게 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거치되는 상기 거치부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온도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거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냉각 팬 또는 상기 제2 냉각 팬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 센서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외부 전자 장치의 온도 데이터가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을 구동하고,
    상기 수신된 외부 전자 장치의 온도 데이터가 지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 중 어느 하나의 냉각 팬만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전성 코일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방향을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세로 방향으로 거치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을 구동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가로 방향으로 거치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 중 어느 하나의 냉각 팬만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충전 모드(charging mode)인 경우,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 중 어느 하나의 냉각 팬만 구동하고,
    제2 충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을 제 1 속도로 구동하며,
    제3 충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의 회전 속도를 상기 제 1 속도보다 빠른 제 2 속도로 구동하는 무선 충전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사용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냉각 팬과 상기 제2 냉각 팬의 구동 또는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20. 무선 충전 장치에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사용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 환경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배치된 제1 냉각 팬 및 제2 냉각 팬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152255A 2019-11-25 2019-11-25 냉각 팬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충전 장치 KR20210063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55A KR20210063757A (ko) 2019-11-25 2019-11-25 냉각 팬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충전 장치
US16/952,595 US11632881B2 (en) 2019-11-25 2020-11-19 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 fan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PCT/KR2020/016383 WO2021107504A1 (en) 2019-11-25 2020-11-19 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 fan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55A KR20210063757A (ko) 2019-11-25 2019-11-25 냉각 팬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757A true KR20210063757A (ko) 2021-06-02

Family

ID=7597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255A KR20210063757A (ko) 2019-11-25 2019-11-25 냉각 팬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32881B2 (ko)
KR (1) KR20210063757A (ko)
WO (1) WO20211075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055A (ko) * 2021-02-09 2022-08-17 후아웨이 디지털 파워 테크놀러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충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564B1 (ko) * 2017-03-24 202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상태에 따른 외부 장치 제어 방법 및 장치
EP3858123A4 (en) * 2018-12-24 2022-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LER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TWM599406U (zh) * 2020-02-20 2020-08-01 貿聯國際股份有限公司 擴充座
US11910561B2 (en) * 2021-01-27 2024-02-20 Polaris Industries Inc. Cooled wireless mobile device charger
US11917792B2 (en) * 2021-07-28 2024-02-27 Dell Products L.P. Dual opposed outlet fan with two impelle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8511B2 (en) 2004-10-08 2009-05-05 Smith H Kevin Cooling system for a vehicle drive assembly
TWI318861B (en) 2005-06-10 2009-12-21 Hon Hai Prec Ind Co Ltd Heat dissipation module employing twin-fan
KR101712100B1 (ko) * 2010-01-12 2017-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2641747B1 (ko) * 2016-08-10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KR102661490B1 (ko) * 2016-12-23 202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KR20180074377A (ko)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배터리의 온도에 기반한 발열 제어 방법
KR101918229B1 (ko) 2017-01-04 201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되는 이동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및 차량
KR102377279B1 (ko) * 2017-03-28 202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9656B1 (ko) * 2017-04-11 2018-07-18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용 무선충전 장치
US10978881B2 (en) * 2017-04-28 2021-04-13 Ventiva, Inc.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CN108551193A (zh) 2018-06-07 2018-09-18 成都益睿信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多功能车载手机无线充电器
US20200091755A1 (en) * 2018-09-19 2020-03-19 Apple Inc. Inductive charging dock
KR20200129924A (ko) 2019-05-10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더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055A (ko) * 2021-02-09 2022-08-17 후아웨이 디지털 파워 테크놀러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61034A1 (en) 2021-05-27
US11632881B2 (en) 2023-04-18
WO2021107504A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3757A (ko) 냉각 팬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충전 장치
US6574102B2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computer and docking structure thereof
EP3627653A1 (en) Inductive charging dock
US11735936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9617152B (zh) 无线充电装置
CN204143299U (zh) 信息处理装置
JP5998296B1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ためのエンクロージャ及び計算構成要素を有するコンパク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のためのエンクロージャ
CN113036838B (zh) 无线充电器
CN109586365A (zh) 无线充电装置
EP4092867A2 (en) Gaps between transmitters and receivers in wireless power systems and rela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CN208047118U (zh) 压电风扇模组、具有该压电风扇模组的电子设备和保护套
TWI823149B (zh) 連接線、線纜連接器、充電器以及充電器組件
JPWO2004075615A1 (ja) 電子機器の冷却構造及び冷却方法
CN113852144A (zh) 无线充电装置
WO2019136691A1 (zh) 自带散热功能的无线充电器
CN211629895U (zh) 无线充电座
KR101588881B1 (ko) 올인원 컴퓨터
CN211556914U (zh) 无线充电座
CN113746176A (zh) 无线充电座及其散热座以及利用该无线充电座进行充电的方法
CN220382802U (zh) 无线充电器
CN113258623A (zh) 无线充电座
CN113193609A (zh) 无线充电座
CN216218415U (zh) 电子设备组件及其散热装置
CN211830242U (zh) 一种半导体制冷手机降温无线充电集于一体的装置
CN220850064U (zh) 离心风扇、充电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