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631A - 무선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631A
KR20180017631A KR1020160101754A KR20160101754A KR20180017631A KR 20180017631 A KR20180017631 A KR 20180017631A KR 1020160101754 A KR1020160101754 A KR 1020160101754A KR 20160101754 A KR20160101754 A KR 20160101754A KR 20180017631 A KR20180017631 A KR 20180017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reless charging
hole
various embodiment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1747B1 (ko
Inventor
문홍기
김기현
서재일
김지홍
박윤선
이우람
장세영
홍종철
구경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1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747B1/ko
Priority to EP17839688.3A priority patent/EP3490101B1/en
Priority to EP20185526.9A priority patent/EP3793058A1/en
Priority to PCT/KR2017/007931 priority patent/WO2018030670A1/ko
Priority to US16/324,527 priority patent/US11503745B2/en
Publication of KR20180017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631A/ko
Priority to US18/055,271 priority patent/US1173593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09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홀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코일부; 상기 코일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차폐재; 및 상기 코일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회전하도록 구성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장치{WIRELESS 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 장치는 전기 에너지를 전자기파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선 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외부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가 공명 방식 등 다양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시, 무선 충전 장치의 내부 부품들 사이에 배치 정렬(alignment)이 맞지 않아 효율 저하로 인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에서 발생한 열은 팬(fan)을 이용한 공기의 강제 대류 방식으로 냉각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의 팬을 이용한 강제 대류 방식의 냉각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가 제한적이어서 냉각 효율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의 냉각이 원활하게 되지 않을 경우 사용성에 제약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무선 충전 시에 발생하는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냉각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홀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코일부; 상기 코일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차폐재; 및 상기 코일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회전하도록 구성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무선 충전 시에 발생하는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 유로를 확보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일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일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일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외부 장치가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외부 장치가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외부 장치가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g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외부 장치가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h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외부 장치가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일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포함되는 차폐재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포함되는 브라켓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포함되는 브라켓 및 팬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포함되는 가이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포함되는 가이드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포함되는 가이드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제 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사용자 기기와 제2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 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일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일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일 사시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a,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1 하우징(103), 패드(101), 제2 하우징(109), 제3 하우징(105), 가이드(107) 및 지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3), 패드(101), 제2 하우징(109), 제3 하우징(105), 가이드(107) 및 지지부(111)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충전이 필요한 외부 장치에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충전이 필요한 외부 장치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 안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03)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3)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3)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외관 디자인을 형성하는 사출재질의 지지체(지지 구조물)일 수 있다. 제1 하우징(103)의 일면은 다수 개의 홀(103a)을 포함할 수 있다. 홀(103a)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일 방향을 따라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03)은 전력을 인가 받기 위한 외부 장치를 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하우징(103)은 외부 장치를 안착하도록 구성된 안착부(103b)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03b)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면서 제1 하우징(103)의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성일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안착부(103b)에 외부 장치를 안착함으로써 외부 장치에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드(101)는 제1 하우징(103)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하우징(103)이 홈을 포함할 수 있고, 패드(101)는 이러한 홈에 실장될 수 있다. 패드(101)는 패드(101)의 외면이 제1 하우징(103)의 상면에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패드(101)는, 제1 하우징(103)에 놓이는 외부 장치와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드(101)는 고무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외부 장치와의 마찰력을 발생시켜 외부 장치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패드(101)는 예를 들면,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109)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09)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09)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외관 디자인을 형성하는 사출재질의 지지체(지지 구조물)일 수 있다. 제2 하우징(109)의 일면은 다수 개의 홀(109a)를 포함할 수 있다. 홀(109a)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일 방향을 따라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하우징(105)은 제1 하우징(103) 및 제2 하우징(10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하우징(105)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제3 하우징(105)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하우징(105)은 외관 디자인을 형성하는 사출재질의 지지체(지지 구조물)일 수 있다. 제3 하우징(105)의 일면은 다수 개의 홀(105a)를 포함할 수 있다. 홀(105a)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일 방향을 따라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107)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측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107)는 외부 장치의 크기에 맞게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107)는 제1 하우징(103)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가이드(107)는 제1 하우징(103)에 안착되는 외부 장치를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107)는 외부 장치에 압력을 가하여 외부 장치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111)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111)는 무선 충전 장치(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지지부(111)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외관 디자인을 형성하는 사출재질 또는 금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1)의 일 면은 설치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평평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가 차량에 설치된 경우, 지지부(111)를 통해 차량의 주행 중 진동 또는 흔들림 발생에도 외부 장치에 무선 충전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외부 장치가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외부 장치가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외부 장치가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g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외부 장치가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h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외부 장치가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예시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d, 도 1e, 도 1f, 도 1g 및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00)에 외부 장치(10)가 실장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제1 하우징(103)에 외부 장치(10)가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하우징(103)의 안착부(103b) 상에 외부 장치(10)가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도 1e 및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00)의 가이드(107)는 이동을 통해 외부 장치(1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가이드(107)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외부 장치(10)가 제1 하우징(103)에 안착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107)는 제1 하우징(10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도 1g 및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07)는 이동을 통해 외부 장치(10)를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107)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외부 장치(10)와 접촉할 수 있다. 가이드(107)는 제1 하우징(103)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 장치(1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가이드(107)는 외부 장치(10)와의 접촉을 통해 외부 장치(1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가 차량에 설치된 경우, 가이드(107)를 통해 차량의 주행 중 진동 또는 흔들림 발생에도 외부 장치(10)에 무선 충전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00)는 패드(201), 제1 하우징(203), 제3 하우징(205), 코일부(207), 차폐재(209), 브라켓(211), 팬(213), 인쇄 기판 어셈블리(printed board assembly, PBA)(215), 제1 플레이트(217), 가이드(219), 제2 플레이트(211), 기어(gear)(223), 마운트(mount)(225) 및 제2 하우징(22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드(201)는 일 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201a)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01a)는 패드(201)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기(201a)는 패드(201)에서 도면의 제1 방향(D1)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201a)는 외부 장치(도 1의 도면부호 10)가 제1 하우징(203)에 안착될 때, 외부 장치(10)와 제1 하우징(203)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돌기(201a)는 외부 장치(10)가 제1 하우징(203)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돌기(201a)에 의해 외부 장치(10) 및 제1 하우징(20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을 통해 공기가 제1 하우징(203)의 홀(203a)로 유입될 수 있다. 돌기(201a)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도면의 제2 방향(D2)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돌기(201a)를 통해 제2 방향(D2)으로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201a)는, 예를 들면, 0.1 mm 내지 0.4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패드(201)에 돌기(201a)가 다수 개 포함될 때, 다수 개의 돌기(201a)는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돌기(201a)는 다양한 개수 및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203)은 제1 방향(D1)으로 향하는 제1 면(203b), 및 제1 방향(D1)의 반대인 제2 방향(D2)으로 향하는 제2 면(20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03)은 제1 면(203b) 및 제2 면(203c)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203a)을 포함할 수 있다. 홀(203a)은 외부의 공기가 무선 충전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홀(203a)은 제2 방향(D2)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홀(203a)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팬(2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하우징(205)은 제1 하우징(203)의 제2 면(203c)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하우징(205)은 제1 하우징(203)의 제2 면(203c)에서 제2 방향(D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3 하우징(205)은 제1 하우징(203) 및 제2 하우징(22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하우징(205)은 제1 방향(D1)으로 향하는 제1 면(205d), 및 제2 방향(D2)으로 향하는 제2 면(205e)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우징(205)은 제1 면(205d) 및 제2 면(205e)을 관통하는 홀(205a)을 포함할 수 있다. 홀(205a)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205a)은 외부의 공기가 무선 충전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홀(205a)은 제1 하우징(203)의 홀(203a)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홀(205a)은 제2 방향(D2)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홀(205a)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팬(2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하우징(205)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교차하는 제3 방향(D3)으로 향하는 제3 면(205f)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우징(205)은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과 교차하는 제4 방향(D4)으로 향하는 제4 면(205g)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하우징(205)은 제3 면(205f)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205b)을 포함할 수 있다. 홀(205b)은 제3 방향(D3)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205b)은 외부의 공기가 무선 충전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홀(205b)은 제3 방향(D3)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홀(205b)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측면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팬(2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하우징(205)은 제4 면(205g)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205c)을 포함할 수 있다. 홀(205c)은 제4 방향(D4)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205c)은 무선 충전 장치(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또는 제3 방향(D3)을 따라 형성되는 공기 유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홀(205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팬(213)을 통해 순환한 후 코일부(207) 또는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 등에서 발생하는 열과 함께 홀(205c)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부(207)는 제1 하우징(203) 및 제2 하우징(22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부(207)는 외부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일부(207)는 송신 코일일 수 있다. 코일부(207)는 전자기 유도현상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의 수신 코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코일부(207)는 원형, 사각형 또는 링형일 수 있다. 코일부(207)는 동작 시에 열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폐재(209)는 코일부(207)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차폐재(209)는 코일부(207)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재(209)는 코일부(207)가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발생하는 전자기장으로부터 다른 전기물(예를 들면, 팬(213) 또는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 등)을 보호하고,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차폐재(209)는, 예를 들면, 페라이트(ferrite)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폐재(209)는 홀(209a)을 포함할 수 있다. 홀(209a)은 제1 하우징(203)의 홀(203a), 제3 하우징의 홀(205a) 또는 제3 하우징의 홀(205b)과 함께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홀(209a)은 제2 방향(D2)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홀(209a)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팬(2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211)은 코일부(207) 및 차폐재(209)를 지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211)은 팬(213)을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211)은 다양한 구성을 지지할 수 있는 내부 사출 구조물일 수 있다. 브라켓(211)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을 따라 형성되는 홀(211a)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11)은 제4 방향(D4)을 따라 형성되는 홀(211b)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11)의 홀(211a, 211b)을 통해, 팬(213)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211)의 홀(211a)을 통해 제2 방향(D2)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홀(211a)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팬(2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211)의 홀(211b)은 무선 충전 장치(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211b)은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또는 제3 방향(D3)을 따라 형성되는 공기 유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팬(213)을 통해 순환한 후 코일부(207) 또는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 등에서 발생하는 열과 함께 홀(211b)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팬(213)은 코일부(207) 및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팬(213)은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팬(213)은 코일부(207) 및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 사이에서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줄 수 있다. 팬(213)은 공기의 순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팬(213)은 에어 플로우 팬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다르면, 팬(213)은 코일부(207)와 상하 적층 구조로, 대면하게 장착될 수 있다. 팬(213)은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와 상하 적층 구조로, 대면하게 장착될 수 있다. 팬(213)은 차페재(209) 및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와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을 통해 공기 이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을 통해서, 코일부(207) 또는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에 의해 발생한 열을 포함하는 공기가 팬(21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다르면,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는 팬(213)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는 전원 공급 장치 및 무선 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무선 충전 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회로는 I/F, 제어회로, I/F 콘트롤, DC-AC 인버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I/F는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회로는 무선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I/F 콘트롤은 전원 공급 장치의 전압변경 지원여부 확인을 위한 통신 I/F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DC-AC 인버터는 전원 공급 장치의 DC 전원을 스위칭하여 AC 전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217)는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에서 제2 방향(D2)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7)는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7)는 사출재질의 지지체(지지 구조물)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219)는 제1 하우징(203) 및 제2 하우징(22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219)는 사출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19)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암(arm)(219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암(219a)은 외부 장치를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 암(219a)은 외부 장치와 접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219)는 제3 방향(D3)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219)는 제1 가이드(219-1) 및 제2 가이드(21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219-1) 및 제2 가이드(219-2)는 각각 제3 방향(D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9-1) 및 제2 가이드(219-2)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제1 가이드(219-1) 및 제2 가이드(219-2)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219)는 홀(219b)을 포함할 수 있다. 홀(219b)은 제1 방향(D1)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홀(219b)은 외부의 공기가 무선 충전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홀(219b)을 통해 제1 방향(D1)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팬(2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홀(219b)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팬(2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레이트(221)는 가이드(219)에서 제2 방향(D2)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7)는 가이드(219)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7)는 사출재질의 지지체(지지 구조물)일 수 있다.
기어(223) 및 마운트(225)는 제1 하우징(203) 및 제2 하우징(22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어(223) 및 마운트(225)는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지지부(111)와 결합될 수 있다. 기어(223) 및 마운트(225)는 지지부(111)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27)은 제1 하우징(203)의 제2 면(203c)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27)은 제1 하우징(203)의 제2 면(203c)에서 제2 방향(D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27)은 적어도 하나의 홀(227a)을 포함할 수 있다. 홀(227a)은 제1 방향(D1)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홀(227a)은 외부의 공기가 무선 충전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하우징(227)의 홀(227a)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무선 충전 장치(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홀(227a)을 통해 제1 방향(D1)으로 유입된 공기는 팬(2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홀(227a)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팬(2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홀(227a)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가 팬(213)을 통해 순환함으로써, 코일부(207) 또는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 등에서 발생하는 열과 함께 홀(227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일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a 및 도 2b에서 제3 방향(D3)으로 바라본 단면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00)는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기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2 방향(D2)으로 형성되는 공기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03), 제3 하우징(205), 차폐재(209) 및 브라켓(211) 등에서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홀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제2 방향(D2)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면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팬(2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3 하우징(205)에서 제4 방향(D4)을 따라 형성되는 홀(205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향(D2)으로 유입된 공기가 팬(213)을 통해 순환함으로써, 코일부(207) 또는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 등에서 발생하는 열과 함께 제4 방향(D4)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제2 방향(D2)으로의 공기 유로를 통해 코일부(207) 또는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의 발열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고, 냉각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제3 방향(D3)으로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3 하우징(205)에서 제3 방향(D3)으로 형성되는 홀을 통해 제3 방향(D3)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측면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팬(2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3 하우징(205)에서 제4 방향(D4)을 따라 형성되는 홀(205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방향(D3)으로 유입된 공기가 팬(213)을 통해 순환함으로써, 코일부(207) 또는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 등에서 발생하는 열과 함께 제4 방향(D4)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제3 방향(D3)으로의 공기 유로를 통해 코일부(207) 또는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의 발열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고, 냉각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1 방향(D1)으로 형성되는 공기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2 하우징(227)에서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형성되는 홀을 통해 제1 방향(D1)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가이드(219)에서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형성되는 홀을 통해 제1 방향(D1)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후면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팬(2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3 하우징(205)에서 제4 방향(D4)을 따라 형성되는 홀(205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D1)으로 유입된 공기가 팬(213)을 통해 순환함으로써, 코일부(207) 또는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 등에서 발생하는 열과 함께 제4 방향(D4)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제1 방향(D1)으로의 공기 유로를 통해 코일부(207) 또는 인쇄 기판 어셈블리(215)의 발열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고, 냉각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포함되는 차폐재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재(209)는 다수 개의 홀(209a)을 포함할 수 있다. 홀(209a)은 제1 직경(R1)을 포함할 수 있다. 홀(209a)의 제1 직경(R1)은 예를 들면, 2 파이(π) 이상 4 파이(π) 미만일 수 있다. 다수 개의 홀(209a)은 제1 간격(pitch)(P1)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재(209)는 다수 개의 홀(209a)을 포함할 수 있다. 홀(209a)은 제2 직경(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직경(R2)은 제1 직경(R1)보다 클 수 있다. 홀(209a)의 제2 직경(R2)은 예를 들면, 4 파이(π) 이상 6 파이(π) 미만일 수 있다. 다수 개의 홀(209a)은 제2 간격(P2)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간격(P2)은 제1 간격(P1)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재(209)는 다수 개의 홀(209a)을 포함할 수 있다. 홀(209a)은 제3 직경(R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직경(R3)은 제2 직경(R2)보다 클 수 있다. 홀(209a)의 제3 직경(R3)은 예를 들면, 6 파이(π) 이상 8 파이(π) 미만일 수 있다. 다수 개의 홀(209a)은 제3 간격(P3)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간격(P2)은 제2 간격(P2)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100)에 포함되는 차폐재(209)가 다수 개의 홀(209a)을 포함함으로써,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면의 온도 및 내부 부품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도 5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포함되는 브라켓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11)은 제4 방향(D4)을 따라 형성되는 홀(211b)을 포함할 수 있다. 홀(211b)이 배치되는 브라켓(211)은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홀(211b)을 형성하는 브라켓(211)은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제1 두께(T1)는 홀(211b)과 인접하지 않은 브라켓(211)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홀(211b)에 인접한 브라켓(211)의 두께가 인접하지 않은 브라켓(21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됨으로써, 홀(211b)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다.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포함되는 브라켓 및 팬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11)은 팬(213)을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211) 내에 팬(213)이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211)의 홀(211b)은 팬(213)의 회전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홀(211b)은 다양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공기 유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홀(211b)은, 유입된 공기가 팬(213)을 통해 순환한 후 무선 충전 장치 내부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과 함께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홀(211b)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4 방향(D4)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포함되는 가이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19)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암(arm)(219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암(219a)은 외부 장치를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 암(219a)은 외부 장치와 접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219)는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형성되는 홀(219b)를 포함할 수 있다. 홀(219b)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의 제1 방향(D1)으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즉, 홀(219b)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의 후면으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팬(213)으로 전달할 수 있다. 홀(219b)은 다양한 크기, 형상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포함되는 가이드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가이드(219)의 홀(219b)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의 제1 방향(D1)으로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19)의 홀(219b)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의 후면으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In)될 수 있다.
도 6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포함되는 가이드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219)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3 방향(D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219)는 제1 하우징(203)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219)는 제1 하우징(203)에 안착되는 외부 장치의 크기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219)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219)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된 부분에서 제2 두께(T2)를 가지는 부분과, 제2 두께(T2)보다 두꺼운 제3 두께(T3)를 가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19)의 제3 방향(D3)으로 연장된 부분에서, 제3 하우징(205)과 가까운 부분은 제2 두께(T2)를 가지고, 제3 하우징(205)과 먼 부분은 제3 두께(T3)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219)가 외부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제3 하우징(205)과 가까워지도록 배치될 때, 제3 두께(T3)보다 얇은 제2 두께(T2)를 가지는 부분과 제3 하우징(205)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219) 및 제3 하우징(205) 사이의 공간을 통한 공기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홀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코일부; 상기 코일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차폐재; 및 상기 코일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회전하도록 구성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팬은 상기 제1 하우징의 홀 및 상기 차폐재의 홀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면에 패드가 더 배치되고, 상기 패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면에 외부 장치를 안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외부 장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2 방향으로 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향하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팬은 상기 제3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4 방향으로 향하는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은 무선 충전 장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 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암(ar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의 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팬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는 두께가 다른 부분을 적어도 어느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에서 상기 제1 하우징과 가까운 부분이 상기 제1 하우징과 먼 부분부다 두께가 더 작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일부 및 상기 차폐재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팬은 상기 브라켓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홀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4 방향으로 형성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방향으로 형성되는 홀은 무선 충전 장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코일부;
    상기 코일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차폐재; 및
    상기 코일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회전하도록 구성된 팬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제1 하우징의 홀 및 상기 차폐재의 홀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전달받는 무선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면에 패드가 더 배치되고,
    상기 패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면에 외부 장치를 안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외부 장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무선 충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2 방향으로 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향하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제3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전달받는 무선 충전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4 방향으로 향하는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은 무선 충전 장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무선 충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 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암(arm)을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의 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팬으로 전달되는 무선 충전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두께가 다른 부분을 적어도 어느 하나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서 상기 제1 하우징과 가까운 부분이 상기 제1 하우징과 먼 부분부다 두께가 더 작은 무선 충전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 및 상기 차폐재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홀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브라켓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홀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전달받는 무선 충전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4 방향으로 형성되는 홀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방향으로 형성되는 홀은 무선 충전 장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무선 충전 장치.
KR1020160101754A 2016-08-10 2016-08-10 무선 충전 장치 KR10264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754A KR102641747B1 (ko) 2016-08-10 2016-08-10 무선 충전 장치
EP17839688.3A EP3490101B1 (en) 2016-08-10 2017-07-24 Wireless charging device
EP20185526.9A EP3793058A1 (en) 2016-08-10 2017-07-24 Wireless charging device
PCT/KR2017/007931 WO2018030670A1 (ko) 2016-08-10 2017-07-24 무선 충전 장치
US16/324,527 US11503745B2 (en) 2016-08-10 2017-07-24 Wireless charging device
US18/055,271 US11735936B2 (en) 2016-08-10 2022-11-14 Wireless charg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754A KR102641747B1 (ko) 2016-08-10 2016-08-10 무선 충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631A true KR20180017631A (ko) 2018-02-21
KR102641747B1 KR102641747B1 (ko) 2024-02-29

Family

ID=6116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754A KR102641747B1 (ko) 2016-08-10 2016-08-10 무선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503745B2 (ko)
EP (2) EP3490101B1 (ko)
KR (1) KR102641747B1 (ko)
WO (1) WO201803067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319A (ko) * 2018-06-01 2019-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WO2021206511A1 (ko) * 2020-04-10 2021-10-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장치용 거치대
KR20220115055A (ko) * 2021-02-09 2022-08-17 후아웨이 디지털 파워 테크놀러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충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15984A1 (en) * 2018-01-09 2019-07-11 Aptiv Technologies Limited Wireless device charger with cooling device
CN109193853A (zh) * 2018-10-15 2019-01-11 郑州莱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移动充电装置
US11243583B2 (en) 2018-12-24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ler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10960826B2 (en) * 2019-06-13 2021-03-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aving a track assembly and a carriage assembly
CN211744148U (zh) * 2019-11-05 2020-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底座
KR20210063757A (ko) 2019-11-25 202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 팬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충전 장치
CN111613422B (zh) * 2020-05-15 2021-08-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座
US20230074238A1 (en) * 2021-09-02 2023-03-09 Molex Cvs Dabendorf Gmbh Wireless charger with vent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566U (ko) * 2010-04-30 2010-05-31 주식회사 기프트케이알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KR20140072294A (ko) * 2012-11-29 2014-06-1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쿨링 시스템을 갖는 휴대 및 충전 겸용 거치대
KR20150021318A (ko) * 2013-08-20 2015-03-02 주식회사 솔라리스 방열기능을 갖춘 무선충전 방식의 휴대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944B1 (ko) 2004-10-23 200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열촉진부를 구비한 충전거치대
WO2010026805A1 (ja) * 2008-09-03 2010-03-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US8970180B2 (en) * 2009-04-07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cheduling
US8922329B2 (en) * 2009-07-23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Battery charging to extend battery life and improve efficiency
KR20140100381A (ko) 2013-02-05 2014-08-14 주식회사 대창 휴대 기기 충전 장치
WO2014148853A1 (ko) 2013-03-20 2014-09-25 주식회사 대창 무선 충전 장치
WO2014209401A1 (en) * 2013-06-28 2014-12-3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aggregate compute, memory and input/output resources across devices
KR200483224Y1 (ko) 2014-09-18 2017-05-02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무선충전장치
KR102337934B1 (ko) * 2014-11-04 2021-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으로 전력을 공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60181849A1 (en) * 2014-12-22 2016-06-2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management in wireless charging devices
US20160190850A1 (en) * 2014-12-24 2016-06-30 Intel Corporation Enhanced wireless charging through active cooling
KR102241991B1 (ko) * 2015-08-13 2021-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566U (ko) * 2010-04-30 2010-05-31 주식회사 기프트케이알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KR20140072294A (ko) * 2012-11-29 2014-06-1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쿨링 시스템을 갖는 휴대 및 충전 겸용 거치대
KR20150021318A (ko) * 2013-08-20 2015-03-02 주식회사 솔라리스 방열기능을 갖춘 무선충전 방식의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319A (ko) * 2018-06-01 2019-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WO2021206511A1 (ko) * 2020-04-10 2021-10-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장치용 거치대
KR20220115055A (ko) * 2021-02-09 2022-08-17 후아웨이 디지털 파워 테크놀러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747B1 (ko) 2024-02-29
EP3793058A1 (en) 2021-03-17
US11503745B2 (en) 2022-11-15
US20190223329A1 (en) 2019-07-18
US11735936B2 (en) 2023-08-22
EP3490101A1 (en) 2019-05-29
WO2018030670A1 (ko) 2018-02-15
US20230075973A1 (en) 2023-03-09
EP3490101A4 (en) 2019-05-29
EP3490101B1 (en)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7631A (ko) 무선 충전 장치
EP2982411B1 (en) Magnetic stimulation device
EP2752960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EP3301789B1 (en) Electric rotary machine assembly
CN108124027B (zh) 电子设备
JP2009004513A (ja) 非接触電力伝送機器
JP2019201130A (ja) コイル装置
JP2013106428A (ja) 無接点充電用充電台
US20230074957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JP2010136556A (ja) 電線保護管
US11193644B2 (en) Reflector device for a light module with electromagnetic shielding
KR102520466B1 (ko) 스피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JP7209563B2 (ja) 車載装置
KR20140080786A (ko) 브레이크 일체형 모터 조립체
JP5788846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および該エレベータ用巻上機を備えたエレベータ
EP2706550A1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JP6671995B2 (ja) 画像形成装置
CN220710208U (zh) 一种继电器
JP5156140B1 (ja) 通信装置
JP2011098286A (ja) 振動ユニットおよび振動発生装置
KR20220165880A (ko) 음향 조명 디바이스
KR101051728B1 (ko) 마이크로 전자빔 증발원
JP2015177614A (ja) 給電装置
JP2015019473A (ja) 非接触充電装置
EP2845688A2 (en) Oscillation reducing suspension device for a fan motor of a combustion-powered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