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259A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259A
KR20220071259A KR1020227014527A KR20227014527A KR20220071259A KR 20220071259 A KR20220071259 A KR 20220071259A KR 1020227014527 A KR1020227014527 A KR 1020227014527A KR 20227014527 A KR20227014527 A KR 20227014527A KR 20220071259 A KR20220071259 A KR 20220071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coil
braid
tip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4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텟페이 구보키
게이이치 후지노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71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59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the catheter, sheath or lumens from collapsing due to outer forces, e.g. compressing forces, or caused by twisting or kin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6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e.g. stylets, mandrils, rods or wires to reinforce or adjust temporarily the stiffness, column strength or pushability of catheters which are already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3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the material being a coating or protect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61M25/0052Localized reinforcement, e.g. where only a specific part of the catheter is reinforced, for rapid exchange guidewire 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61M25/005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having a variable stiffness along the longitudinal axis, e.g. by varying the pitch of the coil or br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카테터의 토크 전달성을 확보하면서, 그 강성차에 기인하는 카테터의 킹크의 발생을 억제한다.
카테터는, 코일체와, 편조체와, 내측 수지층과, 완충재와, 외측 수지층을 구비한다. 편조체는, 복수의 소선을 편조하여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코일체의 내주측에 배치된 코일 내편조부와 코일체보다 선단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 코일 외편조부를 갖는다. 내측 수지층은, 편조체의 내주면을 피복한다. 완충재는, 편조체의 코일 외편조부에서의 코일체측의 부분에 접촉함과 아울러 코일체의 선단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완충재는, 편조체의 강성과 코일체의 강성과의 사이의 강성을 갖는다. 외측 수지층은, 편조체의 코일 외편조부와 완충재와 코일체의 외주면을 피복한다.

Description

카테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혈관 등에서의 협착부, 폐색부나 이상 혈관 등(이하, 「병변부」라고 함.)을 치료 또는 검사하는 방법으로서, 카테터를 이용한 방법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종래, 통 모양의 수지층 내에, 제1 블레이드와 제2 블레이드가 매설(埋設)된 카테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제1 블레이드와 제2 블레이드는, 어느 것이나, 복수의 소선을 편조하여 통 모양으로 형성된 편조체이다. 제1 블레이드는, 카테터의 선단으로부터 기단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블레이드는, 카테터에 중간 위치로부터 기단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카테터의 선단측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카테터의 선단측은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고, 카테터의 기단측은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19-37572호 공보
상기 종래의 카테터에서는, 제2 블레이드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선단측과 제2 블레이드가 배치된 기단측과의 강성차가 크기 때문에, 그 강성차에 기인하여 카테터의 선단측과 기단측과의 경계 부위가 구부러져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는 킹크(kink)가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과제는,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여 혈관 등에서의 병변부에 안내되는 카테터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자가 제안하는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지 않고 혈관 등에서의 병변부에 삽입되는 카테터에서 특히 해결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예를 들면, 이하의 형태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카테터는, 카테터로서, 코일체와, 복수의 소선(素線)을 편조(編組)하여 통 모양으로 형성된 편조체로서, 상기 코일체의 내주측에 배치된 코일 내편조부와 상기 코일체보다 선단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 코일 외편조부를 갖는 편조체와, 상기 편조체의 내주면을 피복하는 내측 수지층과, 상기 편조체의 상기 코일 외편조부에서의 상기 코일체측의 부분에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코일체의 선단에 접촉하고 있는 완충재로서, 상기 편조체의 강성과 상기 코일체의 강성과의 사이의 강성을 갖는 완충재와, 상기 편조체의 상기 코일 외편조부와 상기 완충재와 상기 코일체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외측 수지층을 구비한다.
본 카테터에서는, 카테터의 선단측(편조체의 코일 외편조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코일체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카테터의 기단측(편조체의 코일 내편조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코일체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테터의 선단측은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고, 카테터의 기단측은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의 선단측의 세경(細俓) 혈관의 선택 성능의 향상과, 카테터의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에의 토크 전달성(회전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카테터에는, 완충재가 구비되어 있다. 완충재는, 편조체의 코일 외편조부에서의 코일체측의 부분을 피복함과 아울러 코일체의 선단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완충재는, 편조체의 강성과 코일체의 강성과의 사이의 강성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코일체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선단측과 코일체가 배치된 기단측과의 강성차가 억제되고, 그 결과, 예를 들면, 카테터의 토크 전달성을 확보하면서, 그 강성차에 기인하여 카테터의 선단측과 기단측과의 경계 부위가 구부러져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는 킹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2) 상기 카테터에서, 상기 편조체의 상기 코일 외편조부는, 상기 카테터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게 되어 있는 축경부(縮俓部)와, 상기 축경부의 선단에 인접하고, 또한, 외경이 상기 카테터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동일한 동경부(同俓部)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카테터에 의하면, 코일 외편조부의 외경이 전체 길이에 걸쳐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게 되어 있는 구성에 비해, 코일 외편조부를 혈관에 삽입한 후, 그 혈관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3) 상기 카테터에서, 상기 카테터 중, 상기 코일 외편조부의 적어도 일부에서의 상기 내측 수지층의 내경은, 상기 코일 내편조부에서의 상기 내측 수지층의 내경보다 작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카테터에 의하면, 카테터의 기단측에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카테터 내에 넓은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카테터의 선단으로부터 유체(예를 들면 조영제)를 분사하는 경우에, 카테터의 기단측에서 다량의 유체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의 선단측에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카테터의 기단측으로부터 보내진 유체의 유속을 선단측에서 상승시켜, 카테터로부터의 유체의 분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상기 카테터에서, 상기 완충재의 선단측의 상기 카테터의 지름 방향의 길이는, 상기 완충재의 기단측의 상기 지름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카테터에 의하면, 완충재의 지름 방향의 길이가 균일한 구성에 비해, 카테터의 선단측과 기단측과의 강성차가 더욱 억제되어, 킹크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5) 상기 카테터에서, 상기 완충재는, 상기 코일체를 구성함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소선을 걸치도록 연장되어 있는 연출(延出) 부분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카테터에 의하면, 완충재가 연출 부분을 갖는 것에 의해, 완충재와 코일체의 밀착성이 높기 때문에, 카테터의 선단측과 기단측과의 강성차가 더욱 억제되어, 킹크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6) 상기 카테터에서, 상기 편조체의 간극에 충전되고 또한 상기 외측 수지층과 상기 내측 수지층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중수지층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카테터에서는, 중수지층에 의해서, 편조체의 흐트러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측 수지층과 내측 수지층의 접착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7)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카테터는, 코일체와, 복수의 소선을 편조하여 통 모양으로 형성된 편조체로서, 상기 코일체의 내주측에 배치된 코일 내편조부와 상기 코일체보다 선단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 코일 외편조부를 갖는 편조체와, 상기 편조체의 내주면을 피복하는 내측 수지층과, 상기 편조체의 상기 코일 외편조부와 상기 코일체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외측 수지층을 구비한다. 상기 카테터는, 상기 코일 외편조부를 포함하는 카테터 선단 부분과, 상기 코일체와 상기 코일 내편조부를 포함하는 카테터 기단 부분과, 상기 카테터의 축 방향에서의 상기 카테터 선단 부분과 상기 카테터 기단 부분을 연결하는 카테터 연결 부분을 갖고 있다. 상기 카테터 선단 부분의 휨 강성은, 0.005gf·cm2/cm 이상, 0.05gf·cm2/cm 미만이고, 상기 카테터 연결 부분의 휨 강성은, 0.05gf·cm2/cm 이상, 1.4gf·cm2/cm 미만이며, 상기 카테터 기단 부분의 휨 강성은, 1.4gf·cm2/cm 이상, 3.0gf·cm2/cm 이하이다.
본 카테터에서는, 카테터의 선단측(편조체의 코일 외편조부가 위치하는 카테터 선단 부분)에 코일체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카테터의 기단측(편조체의 코일 내편조부가 위치하는 카테터 기단 부분)에 코일체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테터 선단 부분은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고, 카테터 기단 부분은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선단 부분의 세경 혈관의 선택 성능의 향상과, 카테터 기단 부분으로부터 카테터 선단 부분에의 토크 전달성(회전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카테터는, 카테터의 축 방향에서 카테터 선단 부분과 카테터 기단 부분을 연결하고 있는 카테터 연결 부분을 갖고 있다. 카테터 연결 부분은, 카테터 선단 부분의 강성과 카테터 기단 부분의 강성과의 사이의 강성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코일체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카테터 선단 부분과 코일체가 배치된 카테터 기단 부분과의 강성차가 억제되고, 그 결과, 예를 들면, 카테터의 토크 전달성을 확보하면서, 그 강성차에 기인하여 카테터의 선단측과 기단측과의 경계 부위가 구부러져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는 킹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부터, 가이딩 카테터를 혈관에 삽입하고, 그 가이딩 카테터의 내부에 가이드 와이어와 마이크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그들을 교대로 진행하는 시술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카테터를 삽입하는 부위로부터 치료 대칭 부위까지가 비교적으로 직선적인 혈관이면, 본 카테터와 가이드 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가이딩 카테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시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8) 상기 카테터에서, 상기 카테터 연결 부분에는, 상기 코일체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코일체의 상기 일부를 구성하는 소선은, 상기 카테터 연결 부분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가늘게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카테터에 의하면, 카테터 기단 부분과 카테터 연결 부분과의 강성차를 억제하면서, 카테터의 토크 전달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카테터 선단 부분과 카테터 기단 부분과의 강성차에 기인하는 카테터의 킹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9) 상기 카테터에서, 상기 카테터 연결 부분에는, 상기 코일 외편조부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코일 외편조부의 상기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소선의 지름은, 상기 코일체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굵게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카테터에 의하면, 카테터 선단 부분과 카테터 연결 부분과의 강성차를 억제하면서, 카테터의 토크 전달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카테터 선단 부분과 카테터 기단 부분과의 강성차에 기인하는 카테터의 킹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10) 상기 카테터에서, 상기 카테터의 외경은,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카테터에 의하면, 카테터의 외경이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구성에서, 카테터의 토크 전달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카테터 선단 부분과 카테터 기단 부분과의 강성차에 기인하는 카테터의 킹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여러가지의 형태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카테터의 제조 방법 등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종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카테터의 카테터 본체의 일부의 종단면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카테터에 구비된 편조체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의 위치에서의 카테터 본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의 위치에서의 카테터 본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VI-VI의 위치에서의 카테터 본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일부의 종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일부의 종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일부의 종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의 위치에서의 카테터 본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종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카테터의 일부의 종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카테터의 전체의 휨 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카테터에서의 카테터 선단 부분 및 카테터 연결 부분의 휨 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제6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일부의 종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제7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일부의 종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A. 제1 실시 형태:
A-1. 카테터(100)의 전체 구성: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100)의 종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1에서는, 후술하는 카테터 본체(10)의 상세 구성은 생략되어 있다. 도 2는, 카테터(100)의 카테터 본체(10)의 일부의 종단면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에는, 또한, 카테터(100)에서의 X1 부분의 구성(후술의 완충재(60))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카테터(100)의 종단면이란, 카테터(100)의 축 방향(길이 방향 도 1 및 도 2의 Z 축 방향)에 평행한 단면(도 1의 YZ 단면)을 말하며, 카테터(100)의 횡단면이란, 카테터(100)의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 1의 XY 단면)을 말한다. 도 1에서, Z 축 부방향측(후술의 커넥터(18)의 측)이, 의사 등의 시술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기단측(근위측)이며, Z 축 정방향측(커넥터(18)와는 반대측)이, 신체에 삽입되는 선단측(원위측)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카테터(100)가 전체적으로 Z 축 방향에 평행한 직선 모양으로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카테터(100)는 만곡시킬 수 있는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카테터(100)는, 혈관 등에서의 병변부를 치료 또는 검사하기 위해서, 혈관 등에 삽입되는 의료용 디바이스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100)는, 카테터 본체(10)와, 카테터 본체(10)의 기단에 장착된 커넥터(18)를 구비하고 있다.
카테터 본체(10)는, 선단 부분(12)과 기단 부분(14)을 갖는다. 선단 부분(12)은, 카테터 본체(10)의 선단을 포함하는 부분이며, 후술의 코일체(20)를 구비하지 않는 것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게 되어 있는 부분이다. 기단 부분(14)은, 카테터 본체(10)의 기단을 포함하는 부분이며, 코일체(20)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게 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10)는, 선단과 기단이 개구된 통 모양(예를 들면 원통 모양)의 부재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통 모양(원통 모양)」이란, 완전한 통 형상(원통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전체로서 대략 통 모양(대략 원통 형상, 예를 들면, 약간, 원추 형상이나, 일부에 요철이 있는 형상 등)이어도 된다. 카테터 본체(10)의 내부에는, 카테터 본체(10)의 선단으로부터 기단까지 연장되는 루멘(S)이 형성되어 있다. 루멘(S)에는, 예를 들면, 이상 혈관에 주입하는 색전 물질 등의 유체가 공급되거나,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와이어가 삽통(揷通)되거나 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10)는, 선단측 동경부(同俓部)(11A)와 기단측 동경부(11B)와 연결부(11C)를 갖는다. 선단측 동경부(11A)는. 카테터 본체(10)의 선단을 포함하는 부분이며, 선단측 동경부(11A)의 제1 외경(D1)은, 카테터(1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기단측 동경부(11B)는, 카테터 본체(10)의 기단을 포함하는 부분이며, 기단측 동경부(11B)의 제2 외경(D2)은, 선단측 동경부(11A)의 제1 외경(D1)보다도 크고, 또한, 카테터(1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연결부(11C)는, 선단측 동경부(11A)와 기단측 동경부(11B)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선단측 동경부(11A)와 기단측 동경부(11B)를 연결하는 부분이며, 연결부(11C)의 제3 외경(D3)은,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크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측 동경부(11A)와 연결부(11C)의 선단측이 상술의 선단 부분(12)을 구성하고, 연결부(11C)의 기단측과 기단측 동경부(11B)가 상술의 기단 부분(14)을 구성하고 있다.
카테터 본체(10)에서의 선단측의 제1 내주면(13A)의 제1 내경(E1)은, 제1 내주면(13A)에서의 카테터(100)의 축 방향(Z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카테터 본체(10)에서의 기단측의 제2 내주면(13B)의 제2 내경(E2)은, 제1 내주면(13A)의 제1 내경(E1)보다 크고, 또한, 제2 내주면(13B)에서의 카테터(1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제1 내주면(13A)과 제2 내주면(13B)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내주면(13C)은,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크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측 동경부(11A)와 연결부(11C)와의 경계의 위치(P1)와, 제1 내주면(13A)과 제3 내주면(13C)과의 경계의 위치(P2)는, 카테터(100)의 축 방향(Z축 방향)에서 대략 동일하다. 한편, 기단측 동경부(11B)와 연결부(11C)와의 경계의 위치(P3)는, 제2 내주면(13B)과 제3 내주면(13C)과의 경계의 위치(P4)보다도 기단측에 위치한다.
A-2. 카테터 본체(10)의 상세 구성: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10)는, 코일체(20)와, 편조체(30)와, 내측 수지층(40)과, 외측 수지층(50)과, 완충재(60)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편조체(30)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코일체(20)는, 복수의 소선(22)을 나선 모양으로 권회(卷回)하는 것에 의해 중공 원통 모양으로 형성한 코일 모양의 부재이다. 코일체(20)는, 카테터 본체(10)에서의 선단 부분(12)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기단 부분(14)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일체(20)는, 카테터 본체(10)에서의 기단으로부터 도중의 부위(상술의 연결부(11C) 부근)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카테터 본체(10)의 선단측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코일체(20)의 선단은, 카테터(100)의 축 방향(Z 축 방향)에서, 기단측 동경부(11B)와 연결부(11C)와의 경계의 위치(P3)보다도 카테터(100)의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카테터(100)의 기단 부분(14)으로부터 선단 부분(12)에의 토크 전달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되어 있다. 또한, 코일체(20)의 선단은, 제2 내주면(13B)과 제3 내주면(13C)과의 경계의 위치(P4)보다도 기단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코일체(20)의 존재에 기인하여 선단측 동경부(11A)나 연결부(11C)의 외경이 커지게 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소선(22)에는 금속 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금속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SUS302, SUS304, SUS316 등), Ni-Ti 합금 등의 초탄성 합금, 피아노선, 니켈-크롬계 합금, 또는 코발트 합금 같은 방사선 투과성 합금이나, 금, 백금, 텅스텐, 또는 이들의 원소를 포함하는 합금(예를 들어, 백금-니켈 합금)과 같은 방사선 불투과성 합금이 이용될 수 있다. 소선(22)의 외경은, 후술의 편조체(30)를 구성하는 소선(32)의 외경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선(22)의 강성은, 소선(32)의 강성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편조체(30)는, 복수개의 소선(32)이 편조된 통 모양의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조체(30)는, 복수의 소선(32)이 서로 교차하도록 짜여진 메쉬 모양의 구조를 갖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조체(30)는, 카테터 본체(10)에서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편조체(30)는, 두께가, 카테터(1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각 부재의 두께는, 카테터(100)의 지름 방향의 길이를 말한다.
편조체(30)는, 코일 외편조부(30A)와 코일 내편조부(30B)를 갖는다. 코일 내편조부(30B)는, 코일체(20)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코일 외편조부(30A)는, 코일 내편조부(30B)로부터 코일체(20)보다 선단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코일체(20)는, 편조체(30) 중, 코일 외편조부(30A)의 외주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고, 코일 내편조부(30B)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편조체(30)는, 카테터 본체(10)의 내주면(제1 내주면(13A), 제2 내주면(13B), 제3 내주면(13C))에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편조체(30) 중, 제1 내주면(13A)의 외주에 위치하는 부분은, 외경이 카테터(1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대략 동일한 제1 동경부(31A)로 되어 있다. 편조체(30) 중, 제2 내주면(13B)의 외주에 위치하는 부분은, 외경이, 제1 동경부(31A)의 외경보다도 크고, 또한, 카테터(1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대략 동일한 제2 동경부(31B)로 되어 있다. 편조체(30) 중, 제3 내주면(13C)의 외주에 위치하는 부분은, 외경이 선단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게 되어 있는 축경부(31C)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동경부(31A)와 축경부(31C)와 제2 동경부(31B)의 선단측이 코일 외편조부(30A)를 구성함과 아울러 선단 부분(12)에 포함되어 있고, 제2 동경부(31B)의 기단측이 코일 내편조부(30B)를 구성함과 아울러 기단 부분(14)에 포함되어 있다.
소선(32)에는 금속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금속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텅스텐, 스테인리스강(SUS302, SUS304, SUS316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내측 수지층(40)은, 편조체(30)의 내주면을 피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수지층(40)은, 카테터 본체(10)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편조체(30)의 내주면측을 전체 길이에 걸쳐서 피복하고 있다. 즉, 내측 수지층(40)은, 카테터 본체(10)의 내주면(상술의 내주면(13A, 13B, 13C))을 구성하고 있다. 내측 수지층(40)의 두께는, 카테터(1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카테터 본체(10) 중, 코일 외편조부(30A)의 적어도 일부에서의 내측 수지층(40)의 내경(선단측의 제1 내주면(13A)의 제1 내경(E1))은, 코일 내편조부(30B)에서의 내측 수지층(40)의 내경(기단측의 제2 내주면(13B)의 제2 내경(E2))보다 작다. 또한, 내측 수지층(40)은, 편조체(30)의 내주면에 밀착함과 아울러, 그 편조체(30)를 구성하는 소선(32) 사이의 각 간극에 파고 들어가 있다. 내측 수지층(40)은,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완충재(60)는, 편조체(30)의 코일 외편조부(30A)에서의 코일체(20)측의 부분에 접촉함과 아울러 코일체(20)의 선단에 접촉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재(60)의 카테터(100)의 축 방향(Z 축 방향)에서 본 형상은 환(環) 모양이며, 코일 외편조부(30A)에서의 코일체(20)측의 부분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완충재(60)는, 코일 외편조부(30A)에서의 제2 동경부(31B)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또한, 완충재(60)의 내주면이, 제2 동경부(31B)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완충재(60)와 편조체(30)와의 밀착성이 높기 때문에, 완충재(60)에 의한 선단 부분(12)과 기단 부분(14)과의 강성차의 억제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완충재(60)의 선단측의 두께는, 완충재(60)의 기단측의 두께보다도 얇다. 구체적으로는, 완충재(60)는, 제1 두께(L1)를 갖는 육박부(肉薄部)(두께가 얇은 부분)(62)와, 육박부(62)의 기단에 인접하고, 또한, 제1 두께(L1)보다 두꺼운 제2 두께(L2)를 갖는 육후부(肉厚薄)(두께가 두꺼운 부분)(64)를 갖는다. 또한, 완충재(60)의 내주면은, 완충재(6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내경이 대략 동일하고, 완충재(60)의 외주면은, 선단측(육박부(62))의 외경이 기단측(육후부(64))의 외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완충재(60)의 외주면에는, 카테터(100)의 선단측을 향하는 단차면(6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완충재(60)의 선단면(65)은, 카테터(100)의 선단측을 향하고 있다. 완충재(60)가 단차면(63)과 선단면(65) 중 적어도 일방을 가지는 것에 의해, 완충재(60)와 코일체(20)와의 이격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카테터 본체(10)를 체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완충재(60)의 단차면(63)이나 선단면(65)이 외측 수지층(50)으로부터 압압력(押壓力)을 받는 것에 의해, 완충재(60)가 코일체(20)의 선단에 밀어 붙여지기 때문에, 완충재(60)와 코일체(20)와의 이격을 억제할 수 있다.
완충재(60)의 강성(휨 강성, 비틀림 강성)은, 편조체(30)의 강성과 코일체(20)의 강성과의 사이의 강성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재(60)의 강성은, 편조체(30)의 강성보다 높고, 코일체(20)의 강성보다도 낮다. 또한, 완충재(60)와 편조체(30)와 코일체(20)와의 강성의 대소 관계는, 예를 들면, 각 부재의 조성 성분과 가공 정도에 의해서 특정할 수 있다. 완충재(60)로서는,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테플론(등록 상표) 등의 불소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각종 합성 수지 재료 등의 수지 및 그들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를 사용한다.
완충재(60)는, 카테터(100)의 축 방향(Z 축 방향)에서, 기단측 동경부(11B)와 연결부(11C)와의 경계의 위치(P3)와 제2 내주면(13B)과 제3 내주면(13C)과의 경계의 위치(P4)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완충재(60)가, 카테터 본체(10)에서의 비교적 두꺼운 부분에 배치되기 때문에, 완충재(60)의 주위의 외측 수지층(50)이 얇게 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2의 X1 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충재(60)는, 코일체(20)를 구성함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소선(22)을 걸치도록 연장되어 있는 연출(延出) 부분(66)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 완충재(60)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소선(22)을 걸치게 됨과 아울러 복수의 소선(22) 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에 들어가 있다. 이 때문에, 완충재(60)와 코일체(20)와의 밀착성이 보다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연출 부분(66)은, 코일체(20)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연출 부분(66)을 갖는 완충재(60)는, 예를 들면, 환 모양의 수지 재료를, 편조체(30)의 외주에 끼워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외측 수지층(50)은, 편조체(30)에서의 코일 외편조부(30A)와 완충재(60)와 코일체(20)의 외주면을 피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수지층(50)은 카테터 본체(10)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코일 외편조부(30A)와 완충재(60)와 코일체(20)의 외주면측을 전체 길이에 걸쳐 피복하고 있다. 즉, 외측 수지층(50)은, 카테터 본체(10)의 외주면을 구성하고 있다. 외측 수지층(50)은, 두께가, 카테터(1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거의 동일하다. 외측 수지층(50)은,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수지층(40)과 외측 수지층(50)은, 서로 동일한 종류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서로 다른 종류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외측 수지층(50)에서의 선단부에는 환(環) 모양의 팁(tip)(19)이 매설(埋設)되어 있다.
도 4는, 도 2의 IV-IV의 위치에서의 카테터 본체(10)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V-V의 위치에서의 카테터 본체(10)의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VI-VI의 위치에서의 카테터 본체(10)의 횡단면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10)에서의 선단측 동경부(11A)는, 편조체(30)(코일 외편조부(30A))와 내측 수지층(40)과 외측 수지층(50)을 구비하고, 또한, 코일체(20)를 구비하지 않는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10)에서의 기단측 동경부(11B)는, 편조체(30)(코일 내편조부(30B))와 내측 수지층(40)과 외측 수지층(50)에 더하여, 코일체(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10)에서의 연결부(11C)의 일부는, 편조체(30)(코일 외편조부(30A))와 내측 수지층(40)과 외측 수지층(50)을 구비하고, 또한, 코일체(20)를 구비하지는 않지만 완충재(60)를 구비하고 있다.
A-3. 본 실시 형태의 효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카테터(100)에서는, 카테터(100)의 선단측(편조체(30)의 코일 외편조부(30A)가 위치하는 선단 부분(12))에 코일체(20)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카테터의 기단측(편조체(30)의 코일 내편조부(30B)가 위치하는 기단 부분(14))에 코일체(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테터(100)의 선단 부분(12)은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고, 카테터(100)의 기단 부분(14)은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00)의 선단 부분(12)의 세경 혈관의 선택 성능의 향상(굵은 본관으로부터 지엽과 같이 연장되는 복수의 세경 혈관의 각각을 정밀도 좋게 선택할 수 있는 성능)과, 카테터(100)의 기단 부분(14)으로부터 선단 부분(12)에의 토크 전달성(회전 성능, 손잡이 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카테터(100)에는, 완충재(60)가 구비되어 있다. 완충재(60)는, 편조체(30)의 코일 외편조부(30A)에서의 코일체(20)측의 부분에 접촉함과 아울러 코일체(20)의 선단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완충재(60)는, 편조체(30)의 강성과 코일체(20)의 강성과의 사이의 강성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코일체(2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선단 부분(12)과 코일체(20)가 배치된 기단 부분(14)과의 강성차가 억제되고, 그 결과, 예를 들면, 카테터(100)의 토크 전달성을 확보하면서, 그 강성차에 기인하여 카테터(100)의 선단측과 기단측과의 경계 부위가 구부러져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는 킹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수술 현장에서는 시술 시간의 단축이 요구된다. 이 요구에 대하여,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를 거듭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지 않고, 병변부에 도달 가능한 카테터를 제안하는 것에 의해, 시술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깨달았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카테터(100)는, 선단이,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지 않고 병변부에 도달 가능하고, 선단 부분(12)의 세경 혈관의 선택 성능과, 기단 부분(14)으로부터 선단 부분(12)에의 토크 전달성이 높고, 또한, 킹크가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운동기 카테터 치료(TAME: Transcatheter arterial micro embolization) 등의 카테터 색전술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십견 등의 동통(疼痛)이 천연(遷延)하는 질환에는, 이상 혈관이 증폭되고, 잔존하고 있으며, 이 이상 혈관이 동통의 원인이 되고 있다. 카테터(100)는,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지 않고, 이상 혈관이 잔존하는 병변부에 도달시킬 수 있다. 이어서, 카테터(100)의 루멘(S)을 통해 색전 물질을 이상 혈관에 주입하는 것에 의해, 이상 혈관을 감소시켜 동통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편조체(30)의 코일 외편조부(30A)는, 카테터(100)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게 되어 있는 축경부(31C)와, 축경부(31C)의 선단에 인접하고, 또한, 외경이 카테터(1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축경부(31C)의 선단의 외경과 동일)한 제1 동경부(31A)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코일 외편조부(30A)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코일 외편조부(30A)의 외경이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게 되어 있는 구성에 비해, 코일 외편조부(30A)를 혈관에 삽입한 후, 혈관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테터 본체(10) 중, 코일 외편조부(30A)의 적어도 일부에서의 내측 수지층(40)의 내경(선단측의 제1 내주면(13A)의 제1 내경(E1))은, 코일 내편조부(30B)에서의 내측 수지층(40)의 내경(기단측의 제2 내주면(13B)의 제2 내경(E2))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카테터(100)의 기단 부분(14)에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카테터(100) 내에 넓은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카테터(100)의 선단으로부터 유체(액체나 기체, 예를 들면 조영제)를 분사하는 경우에, 카테터(100)의 기단 부분(14)에서 다량의 유체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100)의 선단 부분(12)에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카테터(100)의 기단 부분(14)으로부터 보내진 유체의 유속을 선단 부분(12)에서 상승시켜, 카테터(100)의 선단으로부터의 유체의 분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재(60)의 선단측의 두께는, 완충재(60)의 기단측의 두께보다도 얇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완충재(60)의 두께가 균일한 구성에 비해, 카테터(100)의 선단 부분(12)과 기단 부분(14)과의 강성차가 더욱 억제되어, 킹크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재(60)는, 코일체(20)를 구성함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소선(22)을 걸치도록 연장되어 있는 연장 부분(66)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완충재(60)가 연출 부분(66)을 갖는 것에 의해, 완충재(60)와 코일체(20)와의 밀착성이 높기 때문에, 카테터(100)의 선단 부분(12)과 기단 부분(14)과의 강성차가 더욱 억제되어, 킹크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B. 제2 실시 형태:
도 7은, 본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100a)의 일부의 종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제2 실시 형태의 카테터(100a)의 구성 중,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100)와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기단측 동경부(11B)와 연결부(11C)와의 경계의 위치(P3)와, 제2 내주면(13B)과 제3 내주면(13C)과의 경계의 위치(P4)가, 카테터(100)의 축 방향(Z 축 방향)에서 대략 동일하다는 점에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또한, 코일체(20)의 선단은, 제2 내주면(13B)과 제3 내주면(13C)과의 경계의 위치(P4)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체(20)의 선단이 동일 위치(P4)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은 구성에 비해, 카테터(100)의 기단 부분(14)으로부터 선단 부분(12)에의 토크 전달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재(60a)는, 코일 외편조부(30A)에서의 축경부(31C)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또한, 완충재(60)의 내주면이, 축경부(31C)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완충재(60a)가 코일체(20) 및 편조체(3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카테터 본체(10)를 체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완충재(60a)가 외측 수지층(50)으로부터 압압력을 받는 것에 의해, 완충재(60)가 코일체(20)의 선단과 편조체(30)에 밀어 붙여지기 때문에, 완충재(60a)가 코일체(20) 및 편조체(3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완충재(60a)의 선단측의 두께는, 완충재(60a)의 기단측의 두께보다도 얇다. 구체적으로는, 완충재(60a)는, 제1 완충재(62a)와 제2 완충재(64a)와 제3 완충재(66a)를 갖는다. 제2 완충재(64a)는, 제1 완충재(62a)의 기단측에 위치하고, 제2 완충재(64a)의 두께는, 제1 완충재(62a)의 두께보다 두껍다. 제3 완충재(66a)는, 제2 완충재(64a)의 기단측에 위치하고, 제3 완충재(66a)의 두께는, 제2 완충재(64a)의 두께보다 두껍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완충재(60a)의 두께가 균일한 구성에 비해, 카테터(100a)의 선단 부분(12)과 기단 부분(14)과의 강성차가 더욱 억제되어, 킹크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완충재(62a)와 제2 완충재(64a)와 제3 완충재(66a)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서로 별체여도 되고,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완충재(60a)는, 코일체(20)를 구성함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소선(22)을 걸치도록 연장되어 있는 연출 부분(68a)을 갖는다. 이 때문에, 완충재(60a)와 코일체(20)의 밀착성이 보다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연출 부분(68a)은 코일체(20)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C. 제3 실시 형태:
도 8은, 본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100b)의 일부의 종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3 실시 형태의 카테터(100b)의 구성 중,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3 실시 형태에서, 카테터(100b)의 카테터 본체(10b)는, 축 방향(Z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내경과 외경이 대략 동일하다는 점에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또한, 완충재(60b)는,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두께가 연속적으로 얇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두께가 단계적으로 얇게 되어 있는 구성에 비해, 카테터(100b)의 선단 부분(12b)과 기단 부분(14b)과의 강성차가 더욱 억제되어, 킹크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D. 제4 실시 형태:
도 9는, 본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100c)의 일부의 종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0은, 그 X-X의 위치에서의 횡단면도이다. 제4 실시 형태의 카테터(100c)의 구성 중,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카테터(100c)의 카테터 본체(10c)는, 축 방향(Z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편조체(30)의 간극에 수지가 충전되어 형성되는 중수지층(70)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수지층(40c)은, 편조체(30)의 내주면을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편조체(30)의 간극에는 파고 들어가 있지 않는다. 그 대신에, 중수지층(70)이 편조체(30)의 간극에 충전되어 형성되어 있다. 중수지층(70)은, 내측 수지층(40c)과 외측 수지층(50) 모두에 접촉하고 있다. 내측 수지층(40c)과 외측 수지층(50)을 다른 수지를 채용하는 경우로서, 그들의 접착성이 높지 않은 경우에는, 중수지층(70)의 수지로서, 내측 수지층(40c)과 외측 수지층(50) 모두에 높은 접착성을 갖는 수지를 채용하면, 중수지층(70)에 의해서 수지층 사이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E. 제5 실시 형태:
E-1. 카테터(200)의 전체 구성:
도 11은,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200)의 종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에서는, 카테터 본체(110)의 상세 구성을 생략하고 있지만, 도 12는, 카테터 본체(110)의 일부의 종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카테터(200)가 전체적으로 Z 축 방향에 평행한 직선 모양으로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카테터(200)는 만곡시킬 수 있는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카테터(200)는, 카테터 본체(110)와, 그 기단에 장착된 커넥터(118)를 구비하고 있다. 카테터 본체(110)는, 카테터 선단 부분(112)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과 카테터 연결 부분(116)을 가지고 있다.
카테터 선단 부분(112)은, 카테터 본체(110)의 선단을 포함하는 부분이며, 코일체(120)를 구비하지 않는 것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게 되어 있는 부분이다. 카테터 기단 부분(114)은, 카테터 본체(110)의 기단을 포함하는 부분이며, 코일체(120)에서의 기단측 코일(124)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게 되어 있는 부분이다. 카테터 연결 부분(116)은, 카테터(200)의 축 방향에서 카테터 선단 부분(112)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을 연결하고 있는 부분이며, 코일체(120)에서의 후술의 연결측 코일(126)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카테터 선단 부분(112)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과의 강성차를 억제하는 부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110)는, 선단과 기단이 개구된 통 모양(예를 들면 원통 모양)의 부재이다. 카테터 본체(110)의 내부에는, 카테터 본체(110)의 선단으로부터 기단까지 연장되는 루멘(S)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110)는, 선단측 동경부(111A)와 기단측 동경부(111B)와 연결부(111C)를 갖고 있다. 선단측 동경부(111A)는, 카테터 본체(110)의 선단을 포함하는 부분이며, 선단측 동경부(111A)의 제1 외경(D1)은, 카테터(2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기단측 동경부(111B)는, 카테터 본체(110)의 기단을 포함하는 부분이며, 기단측 동경부(111B)의 제2 외경(D2)은, 선단측 동경부(111A)의 제1 외경(D1)보다도 크고, 또한, 카테터(2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연결부(111C)는, 선단측 동경부(111A)와 기단측 동경부(111B)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선단측 동경부(111A)와 기단측 동경부(111B)를 연결하는 부분이며, 연결부(111C)의 제3 외경(D3)은,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크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측 동경부(111A)가 카테터 선단 부분(112)을 구성하며, 기단측 동경부(111B)가 카테터 기단 부분(114)을 구성하고, 연결부(111C)가 카테터 연결 부분(116)을 구성하고 있다.
카테터 본체(110)의 선단측의 제1 내주면(113A)의 제1 내경(E1)은, 제1 내주면(113A)에서의 카테터(200)의 축 방향(Z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카테터 본체(110)의 기단측의 제2 내주면(113B)의 제2 내경(E2)은, 제1 내주면(113A)의 제1 내경(E1)보다도 크고, 또한, 제2 내주면(113B)에서의 카테터(2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제1 내주면(113A)과 제2 내주면(113B)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내주면(113C)은,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크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측 동경부(111A)와 연결부(111C)와의 경계의 위치(P1)와, 제1 내주면(113A)과 제3 내주면(113C)과의 경계의 위치(P2)는, 카테터(200)의 축 방향(Z 축 방향)에서 대략 동일하다. 기단측 동경부(111B)와 연결부(111C)와의 경계의 위치(P3)와, 제2 내주면(113B)과 제3 내주면(113C)과의 경계의 위치(P4)는, 축 방향에서 대략 동일하다.
E-2. 카테터 본체(110)의 상세 구성: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110)는, 코일체(120)와, 편조체(130)와, 내측 수지층(140)과, 외측 수지층(150)을 구비하고 있다. 카테터(200)는, 완충재를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기 제1~제4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코일체(120)는, 복수의 소선(122)을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는 것에 의해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코일 모양의 부재이다. 코일체(120)는, 카테터 본체(110)에서의 카테터 선단 부분(112)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카테터 기단 부분(114) 및 카테터 연결 부분(116)에 배치되어 있다.
소선(122)에는 금속 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금속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SUS302, SUS304, SUS316 등), Ni-Ti 합금 등의 초탄성 합금, 피아노선, 니켈-크롬계 합금, 또는 코발트 합금 같은 방사선 투과성 합금이나, 금, 백금, 텅스텐, 또는 이들의 원소를 포함하는 합금(예를 들어, 백금-니켈 합금)과 같은 방사선 불투과성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소선(122)의 외경은, 후술의 편조체(130)를 구성하는 소선(132)의 외경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선(122)의 강성은, 소선(132)의 강성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편조체(130)는, 복수개의 소선(132)이 편조된 통 모양의 부재이다. 편조체(130)는, 복수의 소선(132)이 서로 교차하도록 짜여진 메쉬 모양의 구조를 갖고 있다(예를 들면, 도 3 참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조체(130)는, 카테터 본체(110)에서의 기단부로부터 선단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편조체(130)는, 두께가, 카테터(2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편조체(130)는, 코일 외편조부(130A)와 코일 내편조부(130B)를 갖는다. 코일 내편조부(130B)는, 코일체(120)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코일 외편조부(130A)는, 코일 내편조부(130B)로부터 코일체(120)보다 선단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코일체(120)는, 편조체(130) 중, 코일 외편조부(130A)의 외주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고, 코일 내편조부(130B)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편조체(130)는, 카테터 본체(110)의 내주면(제1 내주면(113A), 제2 내주면(113B), 제3 내주면(113C))에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편조체(130) 중, 제1 내주면(113A)의 외주에 위치하는 부분은, 외경이 카테터(2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대략 동일한 제1 동경부(131A)로 되어 있다. 편조체(130) 중, 제2 내주면(113B)의 외주에 위치하는 부분은, 외경이, 제1 동경부(131A)의 외경보다도 크고, 또한, 카테터(2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대략 동일한 제2 동경부(131B)로 되어 있다. 편조체(130) 중, 제3 내주면(113C)의 외주에 위치하는 부분은, 외경이 선단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게 되어 있는 축경부(131C)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동경부(131A)와 축경부(131C)의 선단측이 코일 외편조부(130A)를 구성함과 아울러 카테터 선단 부분(112) 및 카테터 연결 부분(116)의 선단측에 포함되어 있고, 축경부(131C)의 기단측과 제2 동경부(131B)가 코일 내편조부(30B)를 구성함과 아울러 카테터 연결 부분(116)의 기단측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에 포함되어 있다.
소선(132)에는 금속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금속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텅스텐, 스테인리스강(SUS302, SUS304, SUS316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내측 수지층(140)은, 편조체(130)의 내주면을 피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수지층(140)은, 카테터 본체(110)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편조체(130)의 내주면측을 전체 길이에 걸쳐 피복하고 있다. 즉, 내측 수지층(140)은, 카테터 본체(110)의 내주면(상술의 내주면(113A, 113B, 113C))을 구성하고 있다. 내측 수지층(140)의 두께는, 카테터(2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카테터 본체(110) 중, 코일 외편조부(130A)의 적어도 일부에서의 내측 수지층(140)의 내경(선단측의 제1 내주면(113A)의 제1 내경(E1))은, 코일 내편조부(130B)에 있어서의 내측 수지층(140)의 내경(기단측의 제2 내주면(113B)의 제2 내경(E2))보다 작다. 또한, 내측 수지층(140)은, 편조체(130)의 내주면에 밀착함과 아울러, 그 편조체(130)를 구성하는 소선(132) 사이의 각 간극에 파고 들어가 있다. 내측 수지층(140)은,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측 수지층(150)은, 편조체(130)에서의 코일 외편조부(130A)와 코일체(120)의 외주면을 피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수지층(150)은, 카테터 본체(110)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코일 외편조부(130A)와 코일체(120)의 외주면측을 전체 길이에 걸쳐 피복하고 있다. 즉, 외측 수지층(150)은, 카테터 본체(110)의 외주면을 구성하고 있다. 외측 수지층(150)은, 두께가, 카테터(2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외측 수지층(150)은,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수지층(140)과 외측 수지층(150)은, 서로 동일한 종류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서로 다른 종류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외측 수지층(150)에서의 선단부에는, 환 모양의 팁(119)이 매설되어 있다.
코일체(120)는, 기단측 코일(124)과 연결측 코일(126)을 갖고 있다. 기단측 코일(124)을 구성하고 있는 소선(122)의 외경은, 카테터(200)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즉, 기단측 코일(124)의 휨 강성은,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연결측 코일(126)을 구성하고 있는 소선(122)은 연결측 코일(126)(코일체(120))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연속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다. 즉, 연결측 코일(126)의 휨 강성은, 연결측 코일(126)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소선(122)은, 연결측 코일(126)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단계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어도 된다. 기단측 코일(124)의 선단과 연결측 코일(126)의 기단은 연속적이고 또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카테터 선단 부분(112)의 기단의 위치는, 위치(P3)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카테터 기단 부분(114)에는 기단측 코일(124)이 배치되어 있다. 카테터 연결 부분(116)에는 연결측 코일(126)이 배치되어 있다.
카테터 선단 부분(112)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과 카테터 연결 부분(116)에서의 휨 강성의 관계(이하, 「규정 휨 강성 관계」라고 함)는 다음과 같다.
「카테터 선단 부분의 휨 강성」: 0.005gf·cm2/cm 이상, 0.05gf·cm2/cm 미만
「카테터 연결 부분의 휨 강성」: 0.05gf·cm2/cm 이상, 1.4gf·cm2/cm 미만
「카테터 기단 부분의 휨 강성」: 1.4gf·cm2/cm 이상, 3.0gf·cm2/cm 이하
도 13은, 카테터(200)의 전체 휨 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4는, 카테터(200)에서의 카테터 선단 부분(112) 및 카테터 연결 부분(116)의 휨 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도면의 종축은, 카테터의 휨 강성(gf·cm2/cm)이고, 횡축은, 카테터의 선단으로부터의 거리(mm)이다. 각 도면 중의 그래프 G1은, 카테터(200)의 휨 강성을 나타내고 있고, 그래프 G2는, 공지의 가이딩 카테터의 휨 강성을 나타내고 있고, 그래프 G3은, 공지의 마이크로 카테터의 휨 강성을 나타내고 있다.
카테터(200)의 휨 강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즉, 상온에서, 카테터(200)에서의 측정 대상 개소의 기단측의 부분을, 토크 게이지를 통해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한편, 카테터(200)에서의 측정 대상 개소의 선단측의 부분을 이동 척에 고정한다. 이어서, 이동 척을, 카테터(200)의 축에 직교하는 2 방향으로, 각각 만곡선 모양의 궤적을 그리도록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200)를, 2 방향으로 각각 90도씩 요동시켜 휨 변형시켰다. 그리고, 이 때의 토크 게이지에서 측정되는 토크 하중의 최대값을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휨 강성을 구한다. 가이딩 카테터나 마이크로 카테터의 휨 강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도 13의 그래프 G1 및 그래프 G2에 의하면, 카테터(200)의 카테터 기단 부분(114)은, 가이딩 카테터와 대략 동등한 강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의 그래프 G1 및 그래프 G3에 의하면, 카테터(200)의 카테터 선단 부분(112)은, 마이크로 카테터의 선단 부분과 대략 동등한 강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카테터(200)에서는, 카테터 연결 부분(116)의 존재에 의해, 카테터 선단 부분(112)의 기단으로부터 카테터 기단 부분(114)의 선단을 향해 휨 강성이 연속적으로 크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E-3. 본 실시 형태의 효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카테터(200)에서는, 카테터(200)의 선단측(코일 외편조부(130A)가 위치하는 카테터 선단 부분(112))에 코일체(120)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카테터(200)의 기단측(코일 내편조부(130B)가 위치하는 카테터 기단 부분(114))에는 코일체(120)(기단측 코일(124))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테터 선단 부분(112)은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고, 카테터 기단 부분(114)은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선단 부분(112)의 세경 혈관의 선택 성능의 향상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으로부터 카테터 선단 부분(112)으로의 토크 전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카테터(200)는, 카테터 선단 부분(112)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을 연결하고 있는 카테터 연결 부분(116)을 갖고 있다. 카테터 연결 부분(116)은, 카테터 선단 부분(112)의 강성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의 강성과의 사이의 강성을 갖는다(상기 규정 휨 강성 관계). 이것에 의해, 코일체(12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카테터 선단 부분(112)과 코일체(120)가 배치된 카테터 기단 부분(114)과의 강성차가 억제되고, 그 결과, 예를 들면, 카테터(200)의 토크 전달성을 확보하면서, 그 강성차에 기인하여 카테터(200)의 선단측과 기단측과의 경계 부위가 구부러져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는 킹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테터와 가이드 와이어를 혈관 내에서 진행하는 시술에서는, 가이딩 카테터를 혈관에 삽입하고, 가이딩 카테터의 내부에 마이크로 카테터와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여, 그들 교대로 진행하는 조작을 행한다. 이것에 대해서, 본 카테터(22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본 카테터(200)와 가이드 와이어를 사용하면, 가이딩 카테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가이드 와이어와 본 카테터(200)와 교대로 진행하는 조작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카테터(200)를 혈관에 천자(穿刺) 부위로부터 치료 부위까지 비교적 스트레이트한 혈관인 경우, 분기 혈관을 선택하는 것이 1회 또는 2회인 경우, 구체적으로는, 운동기 카테터 치료(TAME) 등의 카테터 색전술에는 가이딩 카테터가 불필요해진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카테터(200)는, 카테터 선단 부분(112)의 휨 강성이 마이크로 카테터 레벨의 낮은 정도이고, 카테터 기단 부분(114)의 휨 강성이 가이딩 카테터 레벨의 높은 정도이다. 그들을 연결하는 카테터 연결 부분(116)은, 카테터 기단 부분(114)과 카테터 선단 부분(112)과의 강성차를 채우고 있고, 카테터 선단 부분(112)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과의 강성차에 기인하는 카테터(200)의 킹크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특정의 시술에서, 가이딩 카테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이드 와이어와 본 카테터(200)와 교대로 진행하는 조작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F. 제6 실시 형태:
도 15는, 본 제6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200a)의 일부의 종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추가로, 카테터(200a)에서의 X2의 부분의 구성(후술의 연결측 코일(126a) 및 연결측 편조체(134C))이 확대되어 나타나 있다. 제6 실시 형태의 카테터(200a)의 구성 중, 상술한 제5 실시 형태의 카테터(2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6 실시 형태에서는, 기단측 동경부(111B)와 연결부(111C)와의 경계의 위치(P3)는, 제2 내주면(113B)과 제3 내주면(113C)과의 경계의 위치(P4)보다도 기단측에 위치하는 점에서, 상기 제5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코일체(120a)의 선단은, 카테터(200a)의 축 방향(Z 축 방향)에서 위치(P3)보다도 카테터(200a)의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카테터(200)의 카테터 기단 부분(114a)으로부터 카테터 선단 부분(112a)에의 토크 전달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되어 있다. 또한, 코일체(120a)의 선단은, 위치(P4)보다도 기단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코일체(120a)의 존재에 기인하여 선단측 동경부(111A)나 연결부(111C)의 외경이 크게 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카테터(200a)는, 카테터 선단 부분(112a)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a)과 카테터 연결 부분(116a)을 갖고 있다.
카테터 선단 부분(112a)은,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카테터 선단 부분(112)과 마찬가지로, 카테터 본체(110a)의 선단을 포함하는 부분이며, 후술의 코일체(120a)를 구비하지 않는 것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게 되어 있는 부분이다. 카테터 기단 부분(114a)은,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카테터 기단 부분(114)과 마찬가지로, 카테터 본체(110a)의 기단을 포함하는 부분이며, 코일체(120a)에서 후술의 기단측 코일(124a)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게 되어 있는 부분이다. 카테터 연결 부분(116a)은, 카테터(200a)의 축 방향에서 카테터 선단 부분(112a)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a)을 연결하는 부분이며, 후술의 연결측 코일(126a) 및 연결측 편조체(134C)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카테터 선단 부분(112a)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a)의 강성차를 억제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코일체(120a)는, 기단측 코일(124a)과 연결측 코일(126a)을 갖고 있다. 기단측 코일(124a)은,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코일체(120)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기단측 코일(124a)을 구성하고 있는 소선(122a)의 지름은, 카테터(200a)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즉, 기단측 코일(124a)의 휨 강성은,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연결측 코일(126a)을 구성하고 있는 소선(122a)은, 연결측 코일(126a)(코일체(120a))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연속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다. 즉, 연결측 코일(126a)의 휨 강성은, 연결측 코일(126a)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소선(122a)은, 연결측 코일(126a)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단계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어도 된다. 기단측 코일(124a)의 선단과 연결측 코일(126a)의 기단은 연속적이고 또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편조체(130a)는, 선단측 편조체(134A)와 후단측 편조체(134B)와 연결측 편조체(134C)를 갖고 있다. 선단측 편조체(134A)는, 편조체(130a)의 선단을 포함함과 아울러 코일체(120a)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이며, 선단측 편조체(134A)를 구성하는 소선(132a)의 지름은, 선단측 편조체(134A)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즉, 선단측 편조체(134A)의 휨 강성은,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후단측 편조체(134B)는, 편조체(130a)의 후단을 포함함과 아울러 코일체(120a)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는 부분이며, 후단측 편조체(134B)를 구성하는 소선(132a)의 지름은, 후단측 편조체(134B)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대략 동일하다. 즉, 후단측 편조체(134B)의 휨 강성은,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또한, 선단측 편조체(134A)를 구성하는 소선(132a)의 지름과 후단측 편조체(134B)를 구성하는 소선(132a)의 지름은 대략 동일하다.
연결측 편조체(134C)는, 축 방향에서 선단측 편조체(134A)와 후단측 편조체(134B)를 연결하고 있는 부분이다. 연결측 편조체(134C)의 선단측이 코일체(120a)보다 선단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연결측 편조체(134C)의 기단측이 코일체(120a)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측 편조체(134C)를 구성하는 소선(132a)은, 연결측 편조체(134C)의 선단으로부터 코일체(120a)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굵게 되어 있다. 즉, 연결측 편조체(134C)의 휨 강성은, 연결측 편조체(134C)의 선단으로부터 코일체(120a)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연속적으로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측 편조체(134C)를 구성하는 소선(132a)은, 연결측 편조체(134C)의 기단으로부터 코일체(120a)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굵게 되어 있다. 즉, 연결측 편조체(134C)의 휨 강성은, 연결측 편조체(134C)의 기단으로부터 코일체(120a)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연속적으로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측 편조체(134C)의 휨 강성은, 연결측 편조체(134C)의 선단 또는 기단으로부터 코일체(120a)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단계적으로 높게 되어 있어도 된다. 선단측 편조체(134A)의 기단과 연결측 편조체(134C)의 선단은 연속적이고 또한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측 편조체(134C)의 기단과 후단측 편조체(134B)의 선단은 연속적이고 또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카테터 선단 부분(112a)에는, 선단측 편조체(134A)가 배치되어 있다. 카테터 기단 부분(114a)에는, 기단측 코일(124a) 및 후단측 편조체(134B)가 배치되어 있다. 카테터 연결 부분(116a)에는 연결측 코일(126a) 및 연결측 편조체(134C)가 배치되어 있다.
카테터 선단 부분(112a)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a)과 카테터 연결 부분(116a)에서의 휨 강성은,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규정 휨 강성 관계와 동일하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200a)에서는, 코일체(120a)의 일부(연결측 코일(126a))가 카테터 연결 부분(116a)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측 코일(126a)을 구성하는 소선(122a)은, 카테터 연결 부분(116a)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가늘게 되어 있다. 또한, 코일 외편조부(130A)의 일부(연결측 편조체(134C))가 카테터 연결 부분(116a)에 배치되어 있고, 이 연결측 편조체(134C)의 선단측을 구성하는 소선(132a)의 지름은, 연결측 편조체(134C)의 선단으로부터 코일체(120a)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테터 기단 부분(114a)과 카테터 연결 부분(116a)과의 강성차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측 편조체(134C)의 기단측을 구성하는 소선(132a)의 지름은, 연결측 편조체(134C)의 기단으로부터 코일체(120a)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테터 연결 부분(116a)에서, 코일체(120a)를 구성하는 소선(122a)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연결측 코일(126a)이 연결측 편조체(134C)에 의해서 보강된다.
G. 제7 실시 형태:
도 16은, 본 제7 실시 형태의 카테터(200b)에서의 일부의 종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제7 실시 형태의 카테터(200b)의 구성 중, 상술한 제5 실시 형태의 카테터(2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카테터(200b)의 카테터 본체(110b)는, 축 방향(Z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내경과 외경이 대략 동일하다는 점에서, 상기 제5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카테터(200b)는, 카테터 선단 부분(112b)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b)과 카테터 연결 부분(116b)을 갖고 있다.
카테터 선단 부분(112b)은, 카테터 본체(110b)의 선단을 포함하는 부분이며, 후술의 코일체(120b)를 구비하지 않는 것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게 되어 있는 부분이다. 카테터 기단 부분(114b)은, 카테터 본체(110b)의 기단을 포함하는 부분이며, 코일체(120b)에서의 후술의 기단측 코일(124b)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게 되어 있는 부분이다. 카테터 연결 부분(116b)은, 카테터(200b)의 축 방향에서 카테터 선단 부분(112b)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b)을 연결하고 있는 부분이며, 코일체(120b)에서의 후술의 연결측 코일(126b)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카테터 선단 부분(112b)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b)과의 강성차를 억제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코일체(120b)는, 기단측 코일(124b)과 연결측 코일(126b)을 갖고 있다. 기단측 코일(124b)은,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코일체(20b)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기단측 코일(124b)을 구성하는 소선(122b)의 지름은, 카테터(200b)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즉, 기단측 코일(124b)의 휨 강성은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연결측 코일(126b)을 구성하고 있는 소선(122b)은, 연결측 코일(126b)(코일체(120b))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연속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다. 즉, 연결측 코일(126b)의 휨 강성은, 연결측 코일(126b)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소선(122b)은, 연결측 코일(126b)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단계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어도 된다. 기단측 코일(124b)의 선단과 연결측 코일(126b)의 기단은 연속적이고 또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카테터 기단 부분(114b)에는, 기단측 코일(124b)이 배치되어 있다. 카테터 연결 부분(116b)에는, 연결측 코일(126b)이 배치되어 있다.
카테터 선단 부분(112b)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b)과 카테터 연결 부분(116b)에서의 휨 강성의 관계는,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규정 휨 강성 관계와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카테터(200b)에 의하면, 카테터(200b)의 외경이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구성에서, 카테터(200b)의 토크 전달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카테터 선단 부분(112b)과 카테터 기단 부분(114b)과의 강성차에 기인하는 카테터(200b)의 킹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H. 변형 형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체(20, 120, 120a, 120b)는, 복수 개의 소선(22, 122, 122a, 122b)이 권회된 통 모양의 부재이지만, 코일체(20, 120, 120a, 120b)를, 1 개의 소선(22, 122, 122a, 122b)을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는 것에 의해 중공 원통 모양으로 형성한 코일 형상의 부재로 해도 된다. 또한, 1 개의 소선(22, 122, 122a, 122b) 또는 복수 개의 소선(22, 122, 122a, 122b)을 꼬아 얻어지는 꼬임 선을 1 개 또는 복수 개 권회하여 얻어지는 통 모양의 부재를 코일 본체(20, 120, 120a, 120b)에 이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100, 100a, 100b, 100c, 200, 200a, 200b)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예이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체(20, 120, 120a, 120b)와 편조체(30, 130, 130a)와 내측 수지층(40, 140)과 외측 수지층(50, 150)과 완충재(60, 60a, 60b)와 중수지층(70)은, 모두, 1 피스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피스에 의해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 중수지층(70)을 마련하고 있고, 상기 제1~3 실시 형태에서는, 편조체(30)의 간극에 내측 수지층(40)을 형성하는 수지를 충전하고 있다. 이들의 형태에 의해, 편조체(30)의 간극에 충전되는 수지에 의해서, 편조체(30)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외측 수지층(50)을 형성하는 수지를 편조체(30)의 간극에 충전해도 된다.
상기 제1~4 실시 형태에서의 내측 수지층(40) 및 외측 수지층(50)과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중수지층(70)과의 표면에 다른 층과 접착성이 높아지도록 표면 처리를 가해도 된다.
상기 제1~6 실시 형태에서, 예를 들면, 선단측 동경부(11A, 111A)와 연결부(11C, 111C)와의 경계의 위치(P1)는, 제1 내주면(13A, 113A)과 제3 내주면(13C, 113C)과의 경계의 위치(P2)보다도 카테터(100, 200a)의 선단측에 위치해도 되고, 기단측에 위치해도 된다. 또한, 기단측 동경부(11B, 111B)와 연결부(11C, 111C)와의 경계의 위치(P3)는, 제2 내주면(13B, 113B)과 제3 내주면(13C, 113C)과의 경계의 위치(P4)와 동일한 위치여도 되고, 선단측에 위치해도 된다.
상기 제1~제4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재(60, 60a, 60b)의 축 방향에서 본 형상은, 환 모양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편조체(30)의 외주를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완충재(60, 60a, 60b)의 두께는,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해도 된다.
상기 제1, 제2 및 제4 실시 형태에서, 편조체(30)에서의 축경부(31C)는, 외경이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단계적으로 크게 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제6 실시 형태에서, 연결측 코일(126a)을 구비하지 않고, 코일 본체(120a)를 구성하는 소선(122a)이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한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제5~제7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측 코일(126, 126a, 126b)이나 연결측 편조체(134C)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규정 휨 강성 관계를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내측 수지층(140) 및 외측 수지층(150)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의 영률과, 부재의 단면 형상과 크기로 정해지는 단면 2차 모멘트(단면 형상과 단면의 크기 중 적어도 일방) 중 적어도 일방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규정 휨 강성 관계를 만족시켜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카테터(100, 100a, 100b, 100c, 200, 200a, 200b)에서의 각 부재의 재료는, 어디까지나 일예이며,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
10: 카테터 본체(제1 및 제2 실시 형태)
10b: 카테터 본체(제3 실시 형태)
10c: 카테터 본체(제4 실시 형태)
11A: 선단측 동경부(제1~제4 실시 형태)
11B: 기단측 동경부(제1~제4 실시 형태)
11C: 연결부(제1~제4 실시 형태)
12: 선단 부분(제1 및 제2 실시 형태)
12b: 선단 부분(제3 실시 형태)
13A: 제1 내주면(제1~제4 실시 형태)
13B: 제2 내주면(제1~제4 실시 형태)
13C: 제3 내주면(제1~제4 실시 형태)
14: 기단 부분(제1 및 제2 실시 형태)
14b: 기단 부분(제3 실시 형태)
18: 커넥터(제1~제4 실시 형태)
19: 팁(제1~제4 실시 형태)
20: 코일체(제1~제4 실시 형태)
22: 소선(코일체)(제1~제4 실시 형태)
30: 편조체(제1~제4 실시 형태)
30A: 코일 외편조부(제1~제4 실시 형태)
30B: 코일 내편조부(제1~제4 실시 형태)
31A: 제1 동경부(제1~제4 실시 형태)
31B: 제2 동경부(제1~제4 실시 형태)
31C: 축경부(제1~제4 실시 형태)
32: 소선(편조체)(제1~제4 실시 형태)
40: 내측 수지층(제1~제3 실시 형태)
40c: 내측 수지층(제4 실시 형태)
50: 외측 수지층(제1~제4 실시 형태)
60: 완충재(제1 및 제4 실시 형태)
60a: 완충재(제2 실시 형태)
60b: 완충재(제3 실시 형태)
62: 육박부
62a: 제1 완충재
63: 단차면
64: 육후부
64a: 제2 완충재
65: 선단면
66: 연출 부분
66a: 제3 완충재
68a: 연출 부분
70: 중수지층
100: 카테터(제1 실시 형태)
100a: 카테터(제2 실시 형태)
100b: 카테터(제3 실시 형태)
100c: 카테터(제4 실시 형태)
110: 카테터 본체(제5 실시 형태)
110a: 카테터 본체(제6 실시 형태)
110b: 카테터 본체(제7 실시 형태)
111A: 선단측 동경부(제5 및 제6 실시 형태)
111B: 기단측 동경부(제5 및 제6 실시 형태)
111C: 연결부(제5 및 제6 실시 형태)
112: 카테터 선단 부분(제5 실시 형태)
112a: 카테터 선단 부분(제6 실시 형태)
112b: 카테터 선단 부분(제7 실시 형태)
113A: 제1 내주면(제5 및 제6 실시 형태)
113B: 제2 내주면(제5 및 제6 실시 형태)
113C: 제3 내주면(제5 및 제6 실시 형태)
114: 카테터 기단 부분(제5 실시 형태)
114a: 카테터 기단 부분(제6 실시 형태)
114b: 카테터 기단 부분(제7 실시 형태)
116: 카테터 연결 부분(제5 실시 형태)
116a: 카테터 연결 부분(제6 실시 형태)
116b: 카테터 연결 부분(제7 실시 형태)
118: 커넥터(제5~제7 실시 형태)
119: 팁(제5~제7 실시 형태)
120: 코일체(제5 실시 형태)
120a: 코일체(제6 실시 형태)
120b: 코일체(제7 실시 형태)
122: 소선(코일체)(제5 실시 형태)
122a: 소선(코일체)(제6 실시 형태)
122b: 소선(코일체)(제7 실시 형태)
124: 기단측 코일(제5 실시 형태)
124a: 기단측 코일(제6 실시 형태)
124b: 기단측 코일(제7 실시 형태)
126: 연결측 코일(제5 실시 형태)
126a: 연결측 코일(제6 실시 형태)
126b: 연결측 코일(제7 실시 형태)
130: 편조체(제5 및 제7 실시 형태)
130a: 편조체(제6 실시 형태)
130A: 코일 외편조부(제5~제7 실시 형태)
130B: 코일 내편조부(제5~제7 실시 형태)
131A: 제1 동경부(제5 및 제6 실시 형태)
131B: 제2 동경부(제5 및 제6 실시 형태)
131C: 축경부(제5 및 제6 실시 형태)
132: 소선(편조체)(제5 및 제7 실시 형태)
132a: 소선(편조체)(제6 실시 형태)
134A: 선단측 편조체(제6 실시 형태)
134B: 기단측 편조체(제6 실시 형태)
134C: 연결측 편조체(제6 실시 형태)
140: 내측 수지층(제5~제7 실시 형태)
150: 외측 수지층(제5~제7 실시 형태)
200: 카테터(제5 실시 형태)
200a: 카테터(제6 실시 형태)
200b: 카테터(제7 실시 형태)
D1: 제1 외경
D2: 제2 외경
D3: 제3 외경
E1: 제1 내경
E2: 제2 내경
L1: 제1 두께
L2: 제2 두께

Claims (10)

  1. 카테터로서,
    코일체와,
    복수의 소선(素線)을 편조(編組)하여 통 모양으로 형성된 편조체로서, 상기 코일체의 내주측에 배치된 코일 내편조부와 상기 코일체보다 선단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 코일 외편조부를 갖는 편조체와,
    상기 편조체의 내주면을 피복하는 내측 수지층과,
    상기 편조체의 상기 코일 외편조부에서의 상기 코일체측의 부분에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코일체의 선단에 접촉하고 있는 완충재로서, 상기 편조체의 강성과 상기 코일체의 강성과의 사이의 강성을 갖는 완충재와,
    상기 편조체의 상기 코일 외편조부와 상기 완충재와 상기 코일체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외측 수지층을 구비하는,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조체의 상기 코일 외편조부는, 상기 카테터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게 되어 있는 축경부(縮俓部)와, 상기 축경부의 선단에 인접하고, 또한, 외경이 상기 카테터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동일한 동경부(同俓部)를 갖는, 카테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중, 상기 코일 외편조부의 적어도 일부에서의 상기 내측 수지층의 내경은, 상기 코일 내편조부에서의 상기 내측 수지층의 내경보다 작은, 카테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의 선단측의 상기 카테터의 지름 방향의 길이는, 상기 완충재의 기단측의 상기 지름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카테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상기 코일체를 구성함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소선을 걸치도록 연장되어 있는 연출(延出) 부분을 갖는, 카테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체의 간극에 충전되고 또한 상기 외측 수지층과 상기 내측 수지층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중수지층을 갖는, 카테터.
  7. 카테터로서,
    코일체와,
    복수의 소선을 편조하여 통 모양으로 형성된 편조체로서, 상기 코일체의 내주측에 배치된 코일 내편조부와 상기 코일체보다 선단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 코일 외편조부를 갖는 편조체와,
    상기 편조체의 내주면을 피복하는 내측 수지층과,
    상기 편조체의 상기 코일 외편조부와 상기 코일체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외측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카테터는, 상기 코일 외편조부를 포함하는 카테터 선단 부분과, 상기 코일체와 상기 코일 내편조부를 포함하는 카테터 기단 부분과, 상기 카테터의 축 방향에서의 상기 카테터 선단 부분과 상기 카테터 기단 부분을 연결하는 카테터 연결 부분을 갖고,
    상기 카테터 선단 부분의 휨 강성은, 0.005gf·cm2/cm 이상, 0.05gf·cm2/cm 미만이며,
    상기 카테터 연결 부분의 휨 강성은, 0.05gf·cm2/cm 이상, 1.4gf·cm2/cm 미만이며,
    상기 카테터 기단 부분의 휨 강성은, 1.4gf·cm2/cm 이상, 3.0gf·cm2/cm 이하인, 카테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연결 부분에는, 상기 코일체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코일체의 상기 일부를 구성하는 소선은, 상기 카테터 연결 부분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가늘게 되어 있는, 카테터.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연결 부분에는, 상기 코일 외편조부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코일 외편조부의 상기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소선의 지름은, 상기 코일체의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굵게 되어 있는, 카테터.
  10.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외경은,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카테터.
KR1020227014527A 2019-11-08 2020-11-04 카테터 KR202200712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43835 2019-11-08
JPPCT/JP2019/043835 2019-11-08
PCT/JP2020/041146 WO2021090821A1 (ja) 2019-11-08 2020-11-04 カテーテ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259A true KR20220071259A (ko) 2022-05-31

Family

ID=7584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527A KR20220071259A (ko) 2019-11-08 2020-11-04 카테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57901A1 (ko)
EP (1) EP4056220A4 (ko)
JP (2) JP7304424B2 (ko)
KR (1) KR20220071259A (ko)
CN (1) CN114555168A (ko)
WO (1) WO2021090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65511B1 (en) 2017-01-06 2023-10-18 Incept, LLC Thromboresistant coatings for aneurysm treatment devices
WO2019146086A1 (ja) * 2018-01-26 2019-08-01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WO2019189533A1 (ja) * 2018-03-29 2019-10-03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組立体
US11395665B2 (en) 2018-05-01 2022-07-26 Incept, Llc Devices and methods for removing obstructive material, from an intravascular site
EP3787523A4 (en) 2018-05-01 2022-02-23 Incept, LLC DEVICES AND METHODS FOR REMOVAL OF OBSTRUCTIVE MATERIAL FROM AN INTRAVASCULAR SITE
US11471582B2 (en) 2018-07-06 2022-10-18 Incept, Llc Vacuum transfer tool for extendable catheter
US11517335B2 (en) 2018-07-06 2022-12-06 Incept, Llc Sealed neurovascular extendable catheter
US11766539B2 (en) 2019-03-29 2023-09-26 Incept, Llc Enhanced flexibility neurovascular catheter
CN113347916A (zh) 2019-10-15 2021-09-03 因普瑞缇夫护理公司 用于多变量卒中检测的系统和方法
WO2021127004A1 (en) 2019-12-18 2021-06-24 Imperative Car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venous thromboembolic disease
US11633272B2 (en) 2019-12-18 2023-04-25 Imperative Care, Inc. Manually rotatable thrombus engagement tool
US20210316127A1 (en) 2019-12-18 2021-10-14 Imperative Care, Inc. Hemostasis valve
AU2021235887A1 (en) 2020-03-10 2022-09-08 Imperative Care, Inc. Enhanced flexibility neurovascular catheter
JP2023059318A (ja) * 2021-10-15 2023-04-27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および、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
CN115970127A (zh) * 2022-12-30 2023-04-18 江苏赛腾医疗科技有限公司 医用插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7572A (ja) 2017-08-25 2019-03-1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カテーテル、及び、カテーテルキ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0309A (ja) * 1998-06-12 2000-01-07 Asahi Intecc Co Ltd カテーテルチューブ
JP2000140119A (ja) * 2000-01-01 2000-05-23 Terumo Corp カテ―テルおよびカテ―テル器具
JP4205570B2 (ja) * 2003-12-10 2009-01-07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4743800B2 (ja) * 2008-10-11 2011-08-10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2012213507A (ja) * 2011-03-31 2012-11-08 Sumitomo Bakelite Co Ltd 医療機器
US10905851B2 (en) * 2012-03-23 2021-02-02 Acist Medical Systems, Inc. Catheter sheath and methods thereof
JP6381138B2 (ja) * 2015-02-13 2018-08-29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EP3056238B1 (en) * 2015-02-13 2019-08-28 Asahi Intecc Co., Ltd. Catheter
US20170072165A1 (en) * 2015-09-11 2017-03-16 Cathera, Inc. Catheter shaft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190103437A (ko) * 2017-03-10 2019-09-04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카테터
KR102333910B1 (ko) * 2017-06-30 2021-12-02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카테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7572A (ja) 2017-08-25 2019-03-1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カテーテル、及び、カテーテルキ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6220A1 (en) 2022-09-14
JP7304424B2 (ja) 2023-07-06
EP4056220A4 (en) 2024-03-06
JP2023099801A (ja) 2023-07-13
JPWO2021090821A1 (ko) 2021-05-14
WO2021090821A1 (ja) 2021-05-14
CN114555168A (zh) 2022-05-27
US20220257901A1 (en) 202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71259A (ko) 카테터
KR102117499B1 (ko) 카테터
EP1938859A1 (en) Guide wire
US11633567B2 (en) Catheter and balloon catheter
JP2008194185A (ja) ガイドワイヤ
US20240058574A1 (en) Medical cathet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104998337A (zh) 导丝
CN111672010A (zh) 微导管
US10610667B2 (en) Micro support catheter
JP6089876B2 (ja) 医療機器
WO2019004100A1 (ja) カテーテル、セパレータおよび吸引システム
JP3179894U (ja) カテーテル
CN110193130B (zh) 导丝
JP6379803B2 (ja) カテーテル
JP2553401B2 (ja) カテーテル
WO2023062929A1 (ja) カテーテル、および、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
US20220096802A1 (en) Guide wire
CN218010599U (zh) 微导管
US20220323720A1 (en) Support catheter and tube
WO2020255737A1 (ja) カテーテル
JP7256582B2 (ja) ガイドワイヤ
WO2024053201A1 (ja) カテーテル
JP2018083006A (ja) 医療機器
JP2022175116A (ja) カテーテル
JP2023049725A (ja) 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