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437A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437A
KR20190103437A KR1020197024355A KR20197024355A KR20190103437A KR 20190103437 A KR20190103437 A KR 20190103437A KR 1020197024355 A KR1020197024355 A KR 1020197024355A KR 20197024355 A KR20197024355 A KR 20197024355A KR 20190103437 A KR20190103437 A KR 20190103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rear end
gap
coil body
inn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호리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3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61M25/005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having a variable stiffness along the longitudinal axis, e.g. by varying the pitch of the coil or br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4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regions for increas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59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the catheter, sheath or lumens from collapsing due to outer forces, e.g. compressing forces, or caused by twisting or kinking

Abstract

카테터(1)는,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20)과의 사이에 간극(25)을 가지고, 소선(20) 사이의 간극(25)을 통해서 내층(10)과 외층(40)이 접합된 후단부(50)와, 후단부(50)보다도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20)이 서로 맞닿고, 또한, 내층(10)과 코일체(30)와의 사이에 공극(35)이 마련된 선단부(60)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카테터
본 발명은,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혈관, 담관, 췌관 등에 협착부 또는 폐색부가 형성되면, 혈액, 담즙(담액), 췌액 등의 흐름이 나빠져 버린다. 이러한 협착부 또는 폐색부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카테터를 이용한 치료 방법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혈관, 담관, 췌관 등은, 말단으로 갈수록 그 내강(內腔)(루멘(lumen))이 가늘어지고, 또한, 만곡 형상이 심해진다. 그 때문에, 협착부 또는 폐색부가 혈관, 담관, 췌관 등의 말단에 형성된 경우, 선행하여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는, 혈관, 담관, 췌관 등에 따라서 심하게 만곡된다. 그 때문에, 카테터에는, 만곡된 가이드 와이어에 대해서 추종하는 추종성이 요구된다. 또, 치료할 협착부 또는 폐색부까지 카테터를 압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카테터에는, 시술자의 압입력이나 회전력을 선단까지 효율 좋게 전달하는 압입성도 요구되어진다.
일반적으로, 카테터는, 내층(內層)과, 그 내층의 외주에 소선을 권회(卷回)하여 형성된 코일체와, 그 코일체의 외층(外層)을 피복하는 외층을 구비한다(예를 들면, 하기에 나타내는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를 참조).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카테터에서는, 코일체가 전체 길이에 따라서 내층과 외층에 완전히 피복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카테터가 만곡했을 때에, 코일체를 구성하는 소선은 만곡에 따른 움직임이 불가능하고(환언하면, 소선의 자유도가 부족하고), 그 결과, 가이드 와이어에 대한 추종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카테터에서는, 내층과 코일체와의 사이에, 또는/및, 코일체와 외층과의 사이에, 공극이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이 서로 맞닿지 않고, 그 결과, 시술자의 압입력이나 회전력을 카테터의 선단까지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3915862호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제5927974호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가이드 와이어에 대한 추종성이 뛰어나고, 또한, 시술자의 압입력이나 회전력을 선단까지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는, 이하에 열거되는 수단에 의해 해결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형태 1은, 내층(內層)과, 상기 내층의 외주에 소선을 권회(卷回)하여 형성된 코일체와, 상기 코일체의 외주를 피복하는 외층(外層)을 구비한 카테터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소선 사이에 간극을 가지고, 상기 소선 사이의 상기 간극을 통해서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이 접합된 후단부와, 상기 후단부보다도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소선이 서로 맞닿고, 또한, 상기 내층과 상기 코일체와의 사이에 공극이 마련된 선단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카테터이다.
본 발명의 형태 2는, 상기 후단부와 상기 선단부와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소선 사이의 간극이, 후단을 향해 넓어지는 중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선단부의 상기 공극은, 상기 중간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후단을 향해 상기 공극의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형태 1에 기재된 카테터이다.
본 발명의 형태 1의 카테터에서는,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 사이에 간극을 가지고, 소선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내층과 외층이 접합된 후단부와, 그 후단부보다도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이 서로 맞닿고, 또한, 내층과 코일체와의 사이에 공극이 마련된 선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선단부에서는, 카테터를 만곡시켰을 때에, 내층 또는 외층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어느 정도 자유도를 가진 코일체의 소선이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전에 삽입된 만곡된 가이드 와이어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되고, 또한, 어느 정도 자유도를 가진 코일체의 소선끼리가 축방향으로 서로 맞닿음으로써, 시술자의 회전력을 카테터의 선단까지 전달할 수 있다. 게다가, 후단부에서는, 코일체의 소선이 내층과 외층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카테터 샤프트의 강성이 향상되어, 시술자의 압입력을 효율 좋게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형태 2의 카테터에서는, 선단부의 공극이, 중간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후단을 향해 그 공극의 높이가 서서히 낮아진다. 그 때문에, 후단부와 선단부와의 사이에서의 급격한 강성의 변화를 저감할 수 있고, 그 결과, 후단부와 선단부와의 사이에서의 킹크(kink)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전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C-C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D-D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E-E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일부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 이해를 돕기 위해서, 외층의 일부, 코일체의 일부, 및 공극의 일부를 없앤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F-F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G-G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4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도 4를 참조하면서,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1)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도시 좌측이 체내에 삽입되는 선단측(원위측(遠位側)), 우측이 의사 등의 시술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후단측(근위측(近位側))으로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카테터(1)는, 예를 들면, 협착부 또는 폐색부를 치료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카테터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1)는, 주로, 카테터 샤프트(70)와, 카테터 샤프트(70)의 선단에 접합된 팁(tip)(80)과, 카테터 샤프트(70)의 후단에 접합된 커넥터(5)를 구비한다.
카테터 샤프트(7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내층(10)과, 내층(10)의 외주에 소선(20)을 권회(卷回)하여 형성된 코일체(30)와, 코일체(30)의 외주를 피복하는 외층(40)을 가지고 있다.
내층(10)은,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가이드 와이어나 다른 카테터를 삽입하기 위한 루멘(lumen)(12)을 구성한다. 내층(10)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실시 형태에서는, PTFE(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가 이용된다.
코일체(30)는, 단선으로 이루어지는 소선(20)을 선단측을 향해 우측 방향으로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되어 있다. 코일체(30)를 구성하는 소선(20)의 재료로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스테인리스강(SUS304)을 이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텅스텐이나 Ni-Ti 합금 등의 금속재료 뿐만 아니라, 강화 플라스틱(PEEK)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해도 좋다.
코일체(30)의 외주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층(40)이 형성되어 있다. 외층(40)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이 이용된다.
카테터 샤프트(70)의 선단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팁(80)이 접합되어 있다. 팁(80)은, 루멘(12)에 연통한 선단 개구부(75)를 가지는 중공 테이퍼 모양의 부재이다. 이 팁(80)을 형성하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 팁(80)에는, 방사선 불투과성의 분말을 함유시켜도 괜찮다. 예를 들면, 팁(80)이 약 65w%~ 약 90w%의 범위에서 방사선 불투과성의 분말(예를 들면, 텅스텐 분말)을 함유함으로써, 관동맥 조영시에 의사 등의 시술자가 카테터(1)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카테터 샤프트(70)는,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20)과의 사이에 간극(25)을 가지고, 소선(20) 사이의 간극(25)을 통해서 내층(10)과 외층(40)이 접합된 후단부(50)와, 후단부(50)보다도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20)이 서로 맞닿고, 또한, 내층(10)과 코일체(30)와의 사이에 공극(35)이 마련된 선단부(60)를 가지고 있다(도 2~도 4를 참조).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70)의 선단부(60)에서는, 대략 초승달 모양의 1개의 공극(35)이 마련되어 있고, 이 공극(35)은, 코일체(30)의 소선(20)을 따라서, 내층(10)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나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카테터 샤프트(70)의 선단부(60)에서는, 코일체(30)의 인접하는 소선(20)이 서로 맞닿고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70)의 후단부(50)에서는, 외층(40)이, 소선(20) 사이의 간극(25)을 통해서 내층(10)에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카테터 샤프트(70)의 후단부(50)에서는, 코일체(30)의 소선(20)이, 내층(10)과 외층(40)에 피복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테터(1)는, 선단부(60)와 후단부(50)에서 다른 구조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를 만곡시켰을 때에, 선단부(60)에서는, 내층(10) 또는 외층(40)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어느 정도 자유도를 가진 코일체(30)의 소선(20)이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전에 삽입된 만곡된 가이드 와이어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되고, 또한, 자유도를 가진 코일체(30)의 소선(20)끼리가 축방향으로 서로 맞닿음으로써, 시술자의 회전력을 카테터(1)의 선단까지 전달할 수 있다. 또, 후단부(50)에서는, 코일체(30)의 소선(20)이 내층(10)과 외층(40)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카테터 샤프트(70)의 강성이 향상되어, 시술자의 압입력을 효율 좋게 전달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도 8을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의 카테터(2)를 설명한다. 도 1~도 4에 나타낸 카테터(1)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카테터(2)에서는, 단선(單線)으로 이루어지는 소선(20)을 권회하여 형성된 코일체(30) 대신에, 10개의 소선(20a)을 선단측을 향해 우측 방향으로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된 코일체(30a)를 이용하고 있다(도 6~도 8을 참조).
코일체(30a)를 구성하는 소선(20a)에 이용하는 재료로서, 코일체(30)의 소선(20)과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강(SUS304) 뿐만 아니라, 텅스텐이나 Ni-Ti 합금등의 금속재료, 강화 플라스틱(PEEK)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해도 좋다. 또, 코일체(30a)를 구성하는 소선(20a)의 갯수는, 10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이면 좋다.
카테터(2)에서는,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20a)과의 사이에 간극(25a)을 가지고, 소선(20a) 사이의 간극(25a)을 통해서 내층(10)과 외층(40a)이 접합된 후단부(50a)와, 후단부(50a)보다도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20a)이 서로 맞닿고, 또한, 내층(10)과 코일체(30a)와의 사이에 공극(35a)이 마련된 선단부(60a)를 구비한 카테터 샤프트(70a)로 이루어진다(도 5~도 8을 참조).
구체적으로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70a)의 선단부(60a)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20a)과 내층(10)으로 형성된 대략 삼각형 모양의 10개의 공극(35a)이 마련되어 있고, 이 각각의 공극(35a)은, 코일체(30a)를 구성하는 10개의 소선(20a)을 따라서, 내층(10)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나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8을 참조). 또, 카테터 샤프트(70a)의 선단부(60a)에서는, 코일체(30a)의 인접하는 소선(20a)이 서로 맞닿고 있다.
한편,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70a)의 후단부(50a)에서는, 외층(40a)이, 소선(20a) 사이의 간극(25a)을 통해서 내층(10)에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카테터 샤프트(70a)의 후단부(50a)에서는, 코일체(30a)의 소선(20a)이, 내층(10)과 외층(40a)에 피복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테터(2)는, 선단부(60a)와 후단부(50a)에서 다른 구조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2)를 만곡시켰을 때에, 선단부(60a)에서는, 내층(10) 또는 외층(40a)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어느 정도 자유도를 가진 코일체(30a)의 소선(20a)이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전에 삽입된 만곡된 가이드 와이어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되고, 또한, 자유도를 가진 코일체(30a)의 소선(20a)끼리가 축방향으로 서로 맞닿음으로써, 시술자의 회전력을 카테터(2)의 선단까지 전달할 수 있다. 또, 후단부(50a)에서는, 코일체(30a)의 소선(20a)이 내층(10)과 외층(40a)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카테터 샤프트(70a)의 강성이 향상되어, 시술자의 압입력을 효율 좋게 전달할 수도 있다.
또, 카테터(2)에서는, 카테터(1)의 선단부(60)의 공극(35)에 비해, 선단부(60a)의 공극(35a)을 늘릴 수 있다. 그 때문에, 선단부(60a)에서의 코일체(30a)의 소선(20a)은, 자유도가 더 증가되고, 그 결과, 가이드 와이어에 대한 추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시술자가 카테터(2)를 회전시켰을 때, 카테터(1)의 코일체(30)의 소선(20)에 비해, 코일체(30a)의 소선(20a)끼리가 축방향으로 확실히 맞닿기 쉽기 때문에, 시술자의 회전력을 카테터(2)의 선단까지 보다 전달시키기 쉬워진다.
또, 외층(40a)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외층(40)과 마찬가지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이 이용된다.
다음으로, 도 9~도 11을 참조하면서, 제3 실시 형태의 카테터(3)를 설명한다. 도 5~도 8에 나타낸 카테터(2)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카테터(3)에서는, 내층(10)과 코일체(30a)와의 사이에, 브레이드(braid)(90)와, 이 브레이드(90)를 피복하는 중간층(100)을 더 구비한다.
이 브레이드(90)는, 제1 소선과 제2 소선이 서로 그물코 모양(메쉬 형상)으로 짜여진 것이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6개의 제1 소선과 6개의 제2 소선과의 합계 12개(6개×6개)의 소선이 교호로 짜여져 있다.
제1 브레이드(90)를 구성하는 제1 소선 및 제2 소선의 재료는, 동일한 재료라도 좋고, 다른 재료를 이용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텅스텐으로 이루어지는 제1 소선과 스테인리스강(SUS304)으로 이루어지는 제2 소선을 이용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금속 이외의 수지 재료(예를 들면, 강화 플라스틱)를 이용해도 괜찮다.
중간층(100)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외층(40a)과 마찬가지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이 이용된다.
카테터(3)에서는,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20a)과의 사이에 간극(25a)을 가지고, 소선(20a) 사이의 간극(25a)을 통해서 중간층(100)과 외층(40a)이 접합된 후단부(50b)와, 후단부(50b)보다도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20a)이 서로 맞닿고, 또한, 중간층(100)과 코일체(30a)와의 사이에 공극(35a)이 마련된 선단부(60b)를 구비한 카테터 샤프트(70b)로 이루어진다(도 9~도 11을 참조).
구체적으로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70b)의 선단부(60b)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20a)과 중간층(100)으로 형성된 대략 삼각형 모양의 10개의 공극(35a)이 마련되어 있고, 이 각각의 공극(35a)은, 코일체(30a)를 구성하는 10개의 소선(20a)을 따라서, 내층(10)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나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카테터 샤프트(70b)의 선단부(60b)에서는, 코일체(30a)의 인접하는 소선(20a)이 서로 맞닿고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70b)의 후단부(50b)에서는, 외층(40a)이, 소선(20a) 사이의 간극(25a)을 통해서 중간층(100)에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카테터 샤프트(70b)의 후단부(50b)에서는, 코일체(30a)의 소선(20a)이, 중간층(100)과 외층(40a)에 피복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테터(3)는, 선단부(60b)와 후단부(50b)에서 다른 구조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3)를 만곡시켰을 때에, 선단부(60b)에서는, 중간층(100) 또는 외층(40a)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어느 정도 자유도를 가진 코일체(30a)의 소선(20a)이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전에 삽입된 만곡된 가이드 와이어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되고, 또한, 자유도를 가진 코일체(30a)의 소선(20a)끼리가 축방향으로 서로 맞닿음으로써, 시술자의 회전력을 카테터(3)의 선단까지 전달할 수 있다. 또, 후단부(50b)에서는, 코일체(30a)의 소선(20a)이 중간층(100)과 외층(40a)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카테터 샤프트(70b)의 강성이 향상되어, 시술자의 압입력을 효율 좋게 전달할 수도 있다.
또, 카테터(3)에서는, 내층(10)의 외주에 브레이드(90)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만곡한 상태에서 카테터(3)를 회전시켰을 때에, 자유도를 가진 코일체(30a)의 소선(20a)이 내층(10)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브레이드(90)에 의해 루멘(12)이 찌그러져, 가이드 와이어가 슬라이드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서, 제4 실시 형태의 카테터(4)를 설명한다. 도 9~도 11에 나타낸 카테터(3)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카테터(4)에서는, 카테터(3)에 더하여, 후단부(50c)와 선단부(60c)와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20b)과의 사이의 간극이, 후단을 향해 간극(25b)으로부터 간극(25c)까지 넓어지는 중간부(110)를 구비하며, 선단부(60c)의 공극(35b)은, 중간부(110)까지 연장되어 있고, 후단을 향해 공극(35b)의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테터(4)의 카테터 샤프트(70c)는, 선단부(60c)에서는, 카테터(3)의 카테터 샤프트(70b)의 선단부(60b)와 마찬가지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20b)과 중간층(100)으로 형성된 대략 삼각형 모양의 10개의 공극(35b)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각각의 공극(35b)은, 코일체(30b)를 구성하는 10개의 소선(20b)을 따라서, 내층(10)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나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카테터 샤프트(70c)의 선단부(60c)에서는, 코일체(30b)의 인접하는 소선(20b)이 서로 맞닿고 있다.
한편, 중간부(110)에서는,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20b)과의 사이의 간극이, 간극(25b)으로부터 간극(25c)까지 넓어짐에 따라, 선단부(60c)로부터 연장되는 공극(35b)의 높이가, 후단을 향해 서서히 낮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코일체(30b)의 소선(20b)은, 후단을 향해 외층(40b)에 피복되어 고정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환언하면, 소선(20b)의 자유도는, 후단을 향해 감소하고 있다).
후단부(50c)에서는, 카테터(3)의 카테터 샤프트(70b)의 후단부(50b)와 마찬가지로, 외층(40b)이, 소선(20b) 사이의 간극(25a)을 통해서 중간층(100)에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단부(50c)에서는, 코일체(30b)의 소선(20b)이, 중간층(100)과 외층(40b)에 피복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테터(4)는, 선단부(60c)의 공극(35b)이, 중간부(110)까지 연장되어 있고, 후단을 향해 그 공극(35b)이 서서히 작아진다. 그 때문에, 카테터(3)에 비해, 후단부(50c)와 선단부(60c)와의 사이에서의 급격한 강성의 변화를 저감할 수 있고, 그 결과, 후단부(50c)와 선단부(60c)와의 사이에서의 킹크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외층(40b)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외층(40, 40a)과 마찬가지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이 이용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코일체(30)는, 1개의 소선(20)을 선단측을 향해 우측 방향으로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되어 있었다. 또, 코일체(30a, 30b)는, 10개의 소선(20a, 20b)을 선단측을 향해 우측 방향으로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코일체(30, 30a, 30b)를 구성하는 소선(20, 20a, 20b)의 권회 방향은, 한정되지 않고, 선단측을 향해 좌측 방향으로 나선 모양으로 권회해도 좋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공극(35, 35a, 35b)은, 코일체(30, 30a, 30b)의 소선(20, 20a, 20b)을 따라서, 내층(10)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나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공극(35, 35a, 35b)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코일체(30, 30a, 30b)를 구성하는 소선(20, 20a, 20b)에 평선(平線)을 이용함으로써, 내층(10)과 코일체(30, 30a, 30b)와의 사이에, 튜브 모양의 공극(35, 35a, 35b)을 마련해도 좋다.
또, 카테터(2~4)에서는, 선단부(60a, 60b, 60c)에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20a)과 내층(10)에 의해 형성된 대략 삼각형 모양의 10개의 공극(35a), 혹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20a)과 중간층(100)에 의해 형성된 대략 삼각형 모양의 10개의 공극(35a, 35b)이 마련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공극(35a, 35b)의 수는, 코일체(30a, 30b)를 구성하는 소선(20a, 20b)의 갯수와 일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공극(35a, 35b)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공극(35a, 35b) 중, 3개소를 수지층에 의해 메우고, 나머지의 7개소를 공극(35a, 35b)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또, 제4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카테터(4)는, 제3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카테터(3)를 베이스로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카테터(1, 2)를 베이스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카테터(1, 2)에서, 후단부(50, 50a)와 선단부(60, 60a)와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소선(20, 20a)과의 사이의 간극(35, 35a)이, 후단을 향해 넓어지는 중간부(110)를 구비하며, 선단부(60, 60a)의 공극(35, 35a)이, 중간부(110)까지 연장되어 있고, 후단을 향해 그 공극(35, 35a)의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고 있어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1, 2, 3, 4 : 카테터 5 : 커넥터
10 : 내층 12 : 루멘
20, 20a, 20b : 소선 25, 25a, 25b, 25c : 간극
30, 30a, 30b : 코일체 35, 35a, 35b : 공극
40, 40a, 40b : 외층 50, 50a, 50b, 50c : 후단부
60, 60a, 60b, 60c : 선단부 70, 70a, 70b, 70c : 카테터 샤프트
75 : 선단 개구부 80 : 팁
90 : 브레이드 100 : 중간층
110 : 중간부

Claims (2)

  1. 내층(內層)과,
    상기 내층의 외주에 소선을 권회(卷回)하여 형성된 코일체와,
    상기 코일체의 외주를 피복하는 외층(外層)을 구비한 카테터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소선 사이에 간극을 가지고, 상기 소선 사이의 상기 간극을 통해서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이 접합된 후단부와,
    상기 후단부보다도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소선이 서로 맞닿고, 또한, 상기 내층과 상기 코일체와의 사이에 공극이 마련된 선단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단부와 상기 선단부와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소선 사이의 간극이, 후단을 향해 넓어지는 중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선단부의 상기 공극은, 상기 중간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후단을 향해 상기 공극의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카테터.
KR1020197024355A 2017-03-10 2017-03-10 카테터 KR201901034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09693 WO2018163401A1 (ja) 2017-03-10 2017-03-10 カテーテ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437A true KR20190103437A (ko) 2019-09-04

Family

ID=6344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355A KR20190103437A (ko) 2017-03-10 2017-03-10 카테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91307B2 (ko)
EP (1) EP3593848B1 (ko)
JP (1) JPWO2018163401A1 (ko)
KR (1) KR20190103437A (ko)
CN (1) CN110312542B (ko)
WO (1) WO2018163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038A (ko) * 2018-01-26 2020-09-16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카테터
CN114555168A (zh) * 2019-11-08 2022-05-27 朝日英达科株式会社 导管
CN111467650A (zh) * 2020-05-27 2020-07-31 深圳北芯生命科技有限公司 微导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7974A (ja) 1982-08-06 1984-02-14 Daicel Chem Ind Ltd 紙用接着剤
JP3915862B2 (ja) 2000-02-09 2007-05-16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7974B2 (ja) 1980-03-31 1984-07-10 工業技術院長 光情報処理装置
US5423774A (en) * 1994-05-17 1995-06-13 Arrow International Investment Corp. Introducer sheath with irregular outer surface
JP3587567B2 (ja) * 1994-09-08 2004-11-10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チューブ
WO1998007523A1 (en) * 1996-08-23 1998-02-26 Pursley Matt D Apparatus and method for nonextrusion manufacturing of catheters
US20020156460A1 (en) * 2001-04-20 2002-10-24 Scimed Life Systems, Inc Microcatheter with improved distal tip and transitions
JP4098613B2 (ja) * 2002-12-11 2008-06-11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中空撚線コイル体と、それを用いて成る医療用器具、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US7445684B2 (en) * 2003-12-11 2008-11-04 Pursley Matt D Catheter having fibrous reinforcem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8235968B2 (en) * 2004-04-13 2012-08-07 Gyrus Acmi, Inc. Atraumatic ureteral access sheath
US20060030835A1 (en) * 2004-06-29 2006-02-09 Sherman Darren R Catheter shaft tubes and methods of making
CN101001658A (zh) * 2004-08-10 2007-07-18 株式会社钟化 医疗用导管及其制造方法
WO2006016481A1 (ja) * 2004-08-10 2006-02-16 Kaneka Corporation 医療用カテーテルチューブ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4693091B2 (ja) * 2004-12-21 2011-06-01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754843B2 (ja) 2005-02-21 2011-08-2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メディカルデバイス カテーテル
JP2007000392A (ja) * 2005-06-24 2007-01-11 Kaneka Corp カテーテルチューブ
JP2007236472A (ja) * 2006-03-06 2007-09-20 Terumo Corp カテーテル
JP4743800B2 (ja) * 2008-10-11 2011-08-10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CN101933821B (zh) * 2009-06-30 2014-03-12 上海微创医疗器械(集团)有限公司 一种微导管
JP5636656B2 (ja) * 2009-09-17 2014-12-10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5399301B2 (ja) * 2010-03-12 2014-01-29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
US8034045B1 (en) * 2010-05-05 2011-10-11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heath
JP2012213507A (ja) * 2011-03-31 2012-11-08 Sumitomo Bakelite Co Ltd 医療機器
CA2852224A1 (en) * 2011-10-14 2013-04-18 Volcano Corporation Medical tubing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5927974B2 (ja) 2012-02-17 2016-06-0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医療機器
JP6149855B2 (ja) * 2012-02-28 2017-06-2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医療機器
US10905851B2 (en) * 2012-03-23 2021-02-02 Acist Medical Systems, Inc. Catheter sheath and methods thereof
WO2014076748A1 (ja) * 2012-11-13 2014-05-22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
CN103861195B (zh) * 2012-12-14 2016-10-26 上海微创医疗器械(集团)有限公司 经桡动脉介入超滑导丝
CN104707235A (zh) * 2013-12-17 2015-06-17 常州乐奥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微导管
JP5901078B2 (ja) * 2014-03-25 2016-04-06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5954748B2 (ja) * 2014-04-25 2016-07-20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6344762B2 (ja) * 2014-05-21 2018-06-20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CN107148289A (zh) * 2014-09-15 2017-09-08 业聚医疗股份有限公司 血管再进入导管
CN204352346U (zh) * 2014-12-09 2015-05-27 孙小薇 带有编织缠丝加强层的一体式柔性渐变血管微导管
CN205586340U (zh) * 2016-02-22 2016-09-21 中国医科大学附属盛京医院 一种管壁中加入金属编织网的医用导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7974A (ja) 1982-08-06 1984-02-14 Daicel Chem Ind Ltd 紙用接着剤
JP3915862B2 (ja) 2000-02-09 2007-05-16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81278A1 (en) 2019-12-19
US11491307B2 (en) 2022-11-08
EP3593848B1 (en) 2022-04-20
EP3593848A4 (en) 2020-12-23
CN110312542A (zh) 2019-10-08
WO2018163401A1 (ja) 2018-09-13
EP3593848A1 (en) 2020-01-15
JPWO2018163401A1 (ja) 2019-11-07
CN110312542B (zh)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734B1 (ko) 카테터
JP5954748B2 (ja) カテーテル
EP2517749A1 (en) Catheter
US10245412B2 (en) Catheter
WO2018055706A1 (ja) カテーテル及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11633567B2 (en) Catheter and balloon catheter
KR102333910B1 (ko) 카테터
EP3546007B1 (en) Catheter and balloon catheter
US11491307B2 (en) Catheter
US11027094B2 (en) Tubular body and catheter having tubular body
KR20200007024A (ko) 카테터
JP6868319B2 (ja) カテーテル
JP6811511B2 (ja) カテーテル及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
CN111565785A (zh) 导管
CN113301937B (zh) 导管以及导管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