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058A - 미디어 처리 디바이스를 위한 리드 서브시스템 - Google Patents

미디어 처리 디바이스를 위한 리드 서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058A
KR20220050058A KR1020210134962A KR20210134962A KR20220050058A KR 20220050058 A KR20220050058 A KR 20220050058A KR 1020210134962 A KR1020210134962 A KR 1020210134962A KR 20210134962 A KR20210134962 A KR 20210134962A KR 20220050058 A KR20220050058 A KR 20220050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atch
media
printer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3042B1 (ko
Inventor
레이몬드 이. 메이나드
모간 하산 말론
마이클 에프. 세인트 저매인
Original Assignee
제브라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브라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브라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050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6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the guidance of continuous cop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kewed conveyance of the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41J29/023Framework with reduce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프린터는, 미디어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미디어 인클로저를 정의하는 내부 벽들의 세트 및 내부 벽들 중 하나에 있고, 고정 표면과 램프 표면을 포함하는 래치 리세스를 갖는 몸체;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리드;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리드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래치를 포함하며, 래치는, 잠금 위치를 향해 래치를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 리드가 폐쇄되고 래치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에 고정 표면과 체결하도록 구성된 후크 표면, 및 리드가 폐쇄되고 래치가 잠금해제 위치로 해제되는 경우에, 편향 부재를 통해, 램프 표면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리드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되는 캠 표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디어 처리 디바이스를 위한 리드 서브시스템{LID SUBSYSTEM FOR MEDIA PROCESSING DEVICES}
라벨 프린터와 같은 미디어 처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미디어에 표식(indicia)을 인쇄하거나 달리 도포(apply)함으로써, 처리를 위한 미디어의 공급(supply)을 저장할 수 있다. 미디어 처리 디바이스에 의해 저장된 미디어의 공급이 소진되는 경우에, 공급은, 신규 라벨 롤(roll of labels)과 같은 신규 공급을 설치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내부에 액세스함으로써 보충될 수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 내부를 액세스하는 것은 복잡하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작업일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에 대한 손상 및/또는 새로운 미디어의 부정확한 설치로 이어질 수 있다.
유사한 참조 번호가 별도의 도면들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하는 첨부 도면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청구된 발명을 포함하는 개념의 실시예들을 추가로 예시하고, 이들 실시예들의 다양한 원리 및 이점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프린터의 리드가 폐쇄 위치에 있는 프린터의 등각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린터의 리드가 개방 위치에 있는 프린터의 등각도이다.
도 3은 평면(S3)에서의 도 1의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래칭 메커니즘이 잠금 위치에 있는, 평면(S4)에서의 도 1의 프린터의 단면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래칭 메커니즘이 잠금해제(unlocked) 위치에 있는, 평면(S3)에서의 도 1의 프린터의 단면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1의 프린터의 개구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7a는 도 1의 프린터의 리드 프레임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7b는 도 1의 프린터의 리드 캐리지(carriage)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8a는 도 2의 프린터의 리드의 상세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리드의 인터레이싱 캐스텔레이션(interlacing castellations)이 결여된 리드에 의해 형성된 미디어 가이드 표면과 비교하여, 도 8a의 리드에 의해 형성된 미디어 가이드 표면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면들의 요소들이 단순성 및 명확성을 위해 도시된 것이며,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일부 요소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해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다른 요소들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장치 및 방법 구성 요소들은,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의 혜택을 받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해질 세부 사항들로 본 개시 내용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해하는 것과 관련된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만을 도시하도록, 도면들에서 통상의 기호들로 적절하게 표시되었다.
프린터들 또는 다른 미디어 처리 디바이스들에 사용되는 라벨 롤과 같은 미디어 공급은, 예를 들어 롤 또는 다른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미디어가 소진되는 경우에, 주기적인 교체를 필요로 한다. 미디어 공급을 교체하려면, 일반적으로 작동자가 프린터 내부에 액세스해야 한다. 소비자 지향 프린터들은, 이러한 디바이스들을 작동 및 유지보수한 경험이 없는, 매우 다양한 작동자들에 의해 유지보수될 수 있다. 프린터의 내부에 대한 액세스는, 이러한 작동자들에 의해 부정확하게 수행되는 경우에 프린터 손상, 미디어의 부정확한 로딩 등을 초래할 수 있는 복잡한 다단계 프로세스일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예시들은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프린터는 몸체(몸체는, (i) 미디어 인클로저를 정의하는 내부 벽들의 세트, 및 (ii) 상기 내부 벽들 중 하나 안에 있고 고정(retaining) 표면과 램프(ramp) 표면을 포함한 래치 리세스(latch recess)를 포함함);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미디어 인클로저를 둘러싸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리드; 리드에 의해 지지되고,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리드에 대해 이동 가능한 래치를 포함하며, 래치는, (i) 잠금 위치를 향해 래치를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bias member), (ii) 리드가 폐쇄되고 래치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에 고정 표면과 체결하도록 구성된 후크(hook) 표면, 및 (iii) 리드가 폐쇄되고 래치가 잠금해제 위치로 해제되는 경우에, 편향 부재를 통해, 램프 표면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리드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되는 캠 표면을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추가 예시들은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프린터는, 몸체(몸체는 (i) 미디어 인클로저, 및 (ii) 미디어 배출구(outlet)를 정의하는 내부 벽들의 세트를 포함함);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미디어 인클로저를 둘러싸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리드를 포함하며, 리드는, (i) 제1 캐스텔레이션 세트를 갖는 제1 미디어 가이드 표면을 포함하는 프레임, (ii) 압반 롤러를 지지하는 캐리지를 포함하되, 캐리지는, 프레임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인클로저를 빠져나오는 미디어를 위한 연속 미디어 가이드를 정의하도록 제1 캐스텔레이션 세트와 인터레이싱하도록 구성된 제2 캐스텔레이션 세트를 갖는 제2 미디어 가이드 표면을 포함한다.
도 1은, 본원에서 프린터(100)로도 지칭되는 미디어 처리 디바이스(100)를 도시한다. 프린터(100)는, 예를 들어, 라벨 롤과 같은 미디어를 수용하고, 표식을 라벨에 도포하도록 구성된 데스크톱 라벨 프린터일 수 있으며, 라벨은 그 후 배출구(104)를 통해 프린터(100)를 빠져나갈 수 있다. 배출구는, 프린터(100)의 몸체(10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된다. 몸체(108)는, 프린터(100)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수용하고, 전술한 미디어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인클로저를 정의하는 벽들의 세트(예컨대, 도 1에서 볼 수 있는 외부 벽들의 세트, 및 본원에서 후술하는 내부 벽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미디어는, 예를 들어, 라벨 롤을 포함한 카트리지 형태로 인클로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프린터(100)는, 또한 몸체(108)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리드(112)를 포함한다. 리드(112)는, 전술한 미디어용 인클로저가 둘러싸인, 도 1에 도시된 폐쇄 위치와 인클로저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리드(112)는, 프린터(100)의 작동 중에 폐쇄 위치에서 리드(11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이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된다. 래칭 메커니즘은, 리드(112) 상에 제공되는 다른 레버 메커니즘 또는 버튼(116)을 누름으로써, 해제된다. 또한, 리드(112)는, 버튼(116)을 누르는 것(depression)에 응답하여, 리드(112)를 폐쇄 위치로부터 중간 위치(즉, 부분 개방 위치)로 전이시키는, 소정의 구조적 구성들을 포함한다. 중간 위치는, 래칭 메커니즘이 해제되었고 리드(112)가 스윙 개방될 수 있다는 명확한 시각적 표시를 작동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리드(112)는, 폐쇄 위치 또는 중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작동자에 의한 리드(11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소정의 구조적 구성들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리드(112)가 개방 위치에 있는 프린터(100)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리드(112)는 힌지(200)에서 몸체(108)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몸체(108) 내에 정의된 전술한 인클로저(204)는 도 2에도 도시되어 있으며, 라벨과 같은 미디어 롤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라벨은 카트리지로부터 분배되고, 배출구(104)에서 프린터(100)를 빠져나가기 전에 프린트헤드(printhead)(208)를 통과한다. 프린트헤드(208)는 압반 롤러(212)와 함께 닙(nip)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112) 내에서 지지되는 압반 롤러(212)는, 프린터(100)의 몸체(108) 내의 구동 메커니즘을 통해 구동된다.
도시된 예시에서, 압반 롤러(212)는 기어(216)에 결합되고, 기어(216)는, 몸체(108)에 장착되고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기어(220)와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명백한 바와 같이, 기어들(216 및 220)은, 리드(112)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체결되지 않는다. 대신에, 기어들(216 및 220)은, 리드(112)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체결된다.
전술한 래칭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버튼(116)을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리드(112)에 대해 이동 가능한 래치(224)(본 예시에서는 두 개의 래치(224)가 포함됨)를 포함한다. 래치(들)(224)는 몸체(108) 내에 정의된 대응하는 래치 리세스(228)(도시된 예시에서 두 개의 리세스(228))와 체결한다. 래치(224) 및 래치 리세스(228)의 추가 구성들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압반 롤러(212) 및 기어(216)는 래치(224)와 함께 리드(112)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리드(112)는 프레임(232)을 포함하고, 래치(224) 및 압반 롤러(212)는, 래치(224)가 래치 리세스(228)와 체결하여 리드(112)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는 잠금 위치, 및 래치(224)가 래치 리세스(228)로부터 분리되어 리드(112)의 개방을 허용하는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프레임(232)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예시에서, 래치(224) 및 압반 롤러(212)는, 리드(112)의 프레임(23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캐리지(236)에 의해, 프레임(232)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하에서 알 수 있듯이, 캐리지(236)의 회전은, 래치(224)의 잠금과 잠금해제, 기어들(216 및 220)의 체결과 분리, 및 리드(112)를 전술한 중간 위치로 전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평면(S3)에서 취해진 프린터(1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캐리지(236)는 프레임(232) 내에서 가시적이다(visible). 캐리지(236)는, 프레임(232) 내의 상보적 리세스 내로 돌출하는 스핀들(spindle)(300)에 의해, 프레임(232)에 결합된다. 따라서, 캐리지(236)는 스핀들(300)을 중심으로 프레임(232)에 대해 회전한다. 캐리지는, 캐리지(236)의 본체를 버튼(116)에 연결하는 아암(arm)(304)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예시들에서, 버튼(116)은 아암(304) 및 캐리지(236)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방향(308)으로 버튼(116)을 누르는 것은, 방향(312)으로의 스핀들(300)을 중심으로 한 캐리지(236)의 회전을 야기한다.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캐리지(236)의 회전은, 또한 캐리지(236)로부터 연장되는 래치(224)를 회전시킨다.
방향(312)으로의 회전은, 래치(224)를 잠금해제 위치로 이동시킨다(잠금 위치는 도 3에 도시됨). 따라서, 캐리지(236)와 래치(224) 및 버튼(116)은, 잠금 위치를 향해, 예를 들어 프레임(232)과 아암(304) 사이의 코일 스프링(316)과 같은 편향 부재에 의해 편향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평면(S4)에서 취해진 단면의 상세도가 도시된다. 도 4의 단면도는, 캐리지(236)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래치(224), 및 프린터(100)의 몸체(108)의 래치 리세스(228)의 구조를 보여준다. 특히, 래치 리세스(228) 및 래치(224)는, 특정 조건 하에서 서로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표면을 포함한다.
래치(224)는, 특히, 후크 표면(400), 및 캠 표면(404)을 포함한다. 리세스(228)는 차례로, 고정 표면(408)과 램프 표면(412)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224)가 잠금 위치에 있고 리드(112)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후크 표면은, 래치(224)(그리고 따라서, 전체로서 리드(112))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 표면과 체결한다. 그 결과, 압반 롤러(212)의 기어(216)는, 또한 전술한 구동 기어(220)와 체결된다. 또한, 압반 롤러(212)는 프린트헤드(208)(명료화를 위해 도 4에 미도시)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미디어가 그를 통해 인출되는 닙을 형성한다. 즉, 리드(112)가 폐쇄 위치에 있고 래치(224)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프린터(100)는 작동 상태에 있으며, 이 상태에서 미디어는 인클로저(204)로부터 인출되고 배출구(104)를 통해 빠져나가기 전에 프린트헤드(208)에서 처리될 수 있다.
버튼(116)을 누르는 경우에, 캐리지(236)는 시계 방향으로(도 4에 도시된 배향) 회전한다. 캐리지의 회전은, 이제 명백해지듯이, 후크 표면(400)을 고정 표면(408)으로부터 해제시켜, 리드(112)로 하여금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의 래치(224)의 해제 이후의 도 4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버튼(116)은, 도 4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부터 눌러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따라서 캐리지(236)는 도 4에 도시된 배향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후크 표면(400)은 고정 표면(408)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캠 표면(404)은 램프 표면(412)과 체결된다. 편향 부재(316)의 작용은 캐리지(236)를 반시계 방향으로, 다시 잠금 위치를 향해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캠 표면(404)이 (리드(112) 상에 충분한 하향 압력이 없는 경우) 재잠금되기보다는, 램프 표면과 체결되기 때문에, 캠 표면(404)은 대신에 램프 표면(412) 상에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압력은 캠 표면(404)으로 하여금 램프 표면(412)을 따라 미끄러지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표면(412)은, 리드(112)를 폐쇄 위치에서 중간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이러한 슬라이딩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경사가 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배출구(104)에서, 리드(112)는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를 향해 들어올려져있다. 도시된 전이 위치는, 리드(112)가 래칭되지 않고 개방될 준비가 되었다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추가 개방은, 캠 표면(404)이 램프 표면(412)의 상단부에 도달한 후에, 예를 들어, 작동자로부터의, 추가적인 기계적 입력을 필요로 함).
편향 부재(316)에 의해 리드(112)의 부분 개방을 가능하게 하도록, 램프 표면(412)은 캐리지(236)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가 진다. 즉, 캐리지(236)는 (편향 부재(31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편향된다. 이러한 회전에서, 래치(224)는, 일반적으로 좌측 아래에서 우측 위로 이동한다. 램프 표면(412)은 유사한 궤적을 따른다. 명백한 바와 같이, 각도 범위는 램프 표면(412)에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 표면(412)은 90도 미만의 (수평에 대한) 각도(50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램프 표면(412)의 각도(500)는 60 내지 80도 사이일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램프 표면은 약 75도의 각도를 가지며, 램프 표면(412)의 상단부(버튼(116)에 더 가까움)는 프린터(100)의 후방 쪽으로 더 치우쳐 있고(즉, 힌지(200)에 더 가까움), 램프 표면의 하단부는 프린터(100)의 전방 쪽으로 더 치우쳐 있다(즉, 배출구(104)에 더 가까움). 보다 일반적으로, 램프 표면(412)의 각도는, (편향 부재(316)의 결과로서) 캠 표면(404)에 의해 가해진 힘이 캠 표면(404)과 램프 표면(412) 사이의 마찰을 극복하기에 충분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배열의 예시적인 이점은, 리드(112)가 래칭되지 않고 개방될 준비가 되었을 때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이러한 표시가 추가 편향 부재 없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편향 부재(316)는 버튼(116)을 상향 편향시키고 래치를 잠금 위치로 편향시키고, 래치(224)가 해제되는 경우에 리드(112)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캠 표면(404)을 통해 힘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리드(112)는 또한 언더컷(undercut)(504)을 포함한다. 언더컷(504)은, 리드(112)의 제1 전방 표면(508)이 제2 전방 표면(512)을 넘어 연장되는, 리드(112)의 영역이며, 언더컷(504) 상에 상향 압력을 가함으로써 작동자로 하여금 리드(112)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도 6을 참조하면, 리드(112)는 작동자에 의해 한 손으로 개방될 수 있고, 개방 동안에 손을 재위치시키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작동자는 먼저 손가락 끝(600)을 이용해 방향(308)으로 버튼(116)을 누를 수 있다. 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튼(116)을 누르는 것은, 작동자가 손가락 끝(600)을 통해 인가한 압력을 해제할 때, 래치(224)를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하고 편향 부재(316)가 리드(112)를 부분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명백한 바와 같이, 버튼(116)을 누르는 것은, 또한 기어들(216 및 220)을 분리시키고, 따라서 리드(112)의 개방을 준비하기 위해 몸체(108) 내의 구동 메커니즘으로부터 압반 롤러(212)를 분리시킨다. 그 다음, 작동자는 엄지손가락(604)을 언더컷(504) 아래에 삽입하고, 리드(112)를 방향(608)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116)을 누르는 것은 리드(112)를 상승시키는 동안에 손가락 끝(600)이 파지할 수 있는 에지를 제공한다.
도 2 및 도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몸체(108)는 배출구(104)의 일부분을 정의하지만, 배출구(104)는 또한 리드(112)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의된다. 즉, 배출구(104)의 하부는 몸체(108)에 의해 정의되고, 배출구(104)의 상부는 리드(112)에 의해 정의된다. 이와 같이, 몸체(108)와 리드(112) 둘 모두는, 프린트헤드(208)와 압반 롤러(212)에 의해 형성된 닙으로부터 배출구(104)까지 미디어를 가이드하기 위한, 미디어 가이드 표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 표면 내의 갭은, 미디어의 선단 에지가 갭에 걸리게 하여, 프린터(100)의 작동을 방해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중단시킬 수 있다.
본 예시에서, 프레임(232) 및 캐리지(236)는 모두 압반 롤러(212)와 배출구(104) 사이에 가이드 표면을 포함한다. 압반 롤러(212)(및 캐리지(236))가 리드(112)의 프레임(232)에 대해 이동하기 때문에, 이들 가이드 표면은, 프레임(232)에 대한 캐리지(236)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미디어에 대해 비교적 갭이 없는 가이드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프레임(232) 및 캐리지(236)는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32)은 캐리지(236)의 스핀들(3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스핀들 하우징(700)뿐만 아니라, 캐리지(236)가 프레임(232)에 설치되는 경우에 압반 롤러(212)를 노출시키는 개구(704)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232)은 개구(704)의 전방 에지에 캐스텔레이션 세트(708)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알 수 있듯이, 캐스텔레이션(708)은, 프레임(232) 내에서 캐리지(236)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연속 미디어 가이드를 형성하기 위해, 캐리지(236)의 상보적 구조체와 상호 작용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캐리지(236)는, 버튼(116)이 부착될 수 있는 마운트(712)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반 롤러(212)는 한 쌍의 대향하는 샤프트 하우징(716)에 의해 캐리지(236)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캐리지(236)는, 또한 그의 전방 에지에 캐스텔레이션 세트(720)를 포함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개구(704)를 통해 돌출된 압반 롤러(212) 및 캐리지(236)의 일부와 함께, 리드(112)의 하부면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32)의 캐스텔레이션(708)은 미디어 가이드 표면의 전방 부분을 형성하고, 캐리지(236)의 캐스텔레이션(720)은 미디어 가이드 표면의 후방 부분을 형성한다. 캐리지(236) 및 프레임(232)이 만나는 연속 미디어 가이드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캐스텔레이션(708 및 720)은 인터레이싱된다(interlaced). 최종 미디어 가이드 표면은 연속적인 것으로 지칭되는데, 그 이유는 미디어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즉, 압반 롤러(212)의 길이(8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미디어 자체의 폭과 같거나 더 큰 표면에서의 끊김(예컨대, 인접하는 캐스텔레이션(708) 또는 인접하는 캐스텔레이션(720) 사이의 끊김)이 없기 때문이다.
미디어는 일반적으로 압반 롤러의 길이(800)보다 더 넓지 않다. 따라서, 인터레이싱된 캐스텔레이션은 길이(800)보다 더 큰 길이로 끊기지 않는 미디어 가이드 표면을 제공한다. 일부 예시에서, 각각의 캐스텔레이션은 길이(800)의 약 1/4의 폭을 갖는다. 도시된 예시에서, 미디어 가이드 표면에서의 끊김은 길이(800)의 약 1/10을 초과하지 않는다. 이제 명백한 바와 같이, (캐스텔레이션(708 및 720)의 부재시) 도 8b에 도시된 갭(804)과 같이, 미디어 가이드 표면에서 충분한 길이의 끊김은, 방향(806)으로 이동하는 미디어(808)의 선단 에지로 하여금, 갭(804)에 걸리게 할 수 있다. 도 8b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표면에 조그만 끊김을 제공하면, 이러한 걸림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면서, 캐리지(236)와 프레임(232) 사이의 이동을 여전히 허용한다. 또한 명백한 바와 같이, 이러한 가이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인터레이싱 캐스텔레이션을 사용하면, 양쪽 이동 방향에서 미디어(808)가 걸리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한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보다는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야 하며, 이러한 모든 변형은 본 교시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임의의 이점, 장점, 또는 해결책을 생성하거나 두드러지게 할 수 있는 이점, 장점,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 및 임의의 요소(들)는, 임의의 또는 모든 청구범위 중에 중요하거나, 필수적이거나, 핵심적인 특징 또는 요소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의 특허 출원 기간 동안 이루어진 임의의 보정 사항 및 발행된 청구범위의 모든 균등물을 포함하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또한, 본 문서에서, 제1 및 제2, 상단 및 하단 등과 같은 관계 용어는, 이러한 엔티티(entity)들 또는 동작(action)들 간의 임의의 실제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암시하지 않고서, 하나의 엔티티 또는 동작을 다른 하나의 엔티티 또는 동작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갖다(has)", "갖는(having)", "포함하다(includes)", "포함하는(including)", "함유하다(contains)", "함유하는(containing)"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cover)하도록 의도되어, 요소들의 리스트를 포함하고(comprises), 갖고(has), 포함하고(includes), 함유하는(contains)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이들 요소만을 포함하지 않고, 이러한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명시적으로 나열되거나 내재되지 않은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를 포함한다(comprises)", "~를 갖는다(has)", "~를 포함한다(includes)", "~를 함유한다(contains)"가 선행하여 기재된 요소는, 더 많은 제약 없이, 그 요소를 포함하거나(comprises), 갖거나(has), 포함하거나(includes), 함유하는(contains),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추가적인 동일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 "하나" 및 "일"은 본원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으로 정의된다. 용어 "실질적으로", "본질적으로", "대략", "약"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버전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에 근접한 것으로 정의되고,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용어는 10% 이내로, 다른 실시예에서 5% 이내로, 다른 실시예에서 1% 이내로, 다른 실시예에서 0.5% 이내로 정의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결합된"은, 반드시 직접적이고 반드시 기계적일 필요는 없지만, 연결된 것으로 정의된다. 특정 방식으로 "구성된" 디바이스 또는 구조체는 적어도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열거되지 않은 방식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특정 비-프로세서 회로와 연결하여 본원에 설명된 방법 및/또는 장치의 기능의 일부, 대부분, 또는 모두를 구현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맞춤형 프로세서 및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와 같은 하나 이상의 특수 프로세서(또는 "프로세싱 디바이스")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고유 저장 프로그램 명령어(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모두 포함)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은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를 갖지 않는 상태 기계에 의해, 또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기능 또는 특정 기능들의 일부 조합이 맞춤형 로직으로서 구현된다. 물론, 두 가지 접근법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는, 본원에서 설명되고 청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도록 (예를 들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시는, 하드 디스크, 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ROM(읽기 전용 메모리), PROM(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EPROM(소거 가능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EEPROM(전기적으로 소거 가능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및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예를 들어 이용 가능한 시간, 현재 기술, 및 경제적 고려사항에 의해 동기 부여되는 가능한 많은 설계 선택 및 가능한 최대 노력에도 불구하고, 본원에 개시된 개념 및 원리에 의해 가이드되는 경우에, 최소한의 실험으로 이러한 소프트웨어 명령어 및 프로그램 및 IC를 쉽게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개시 내용의 요약은 독자가 기술적 개시 내용의 본질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는, 청구범위의 범주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는 상황에서 제출된다. 또한, 전술한 발명의 설명에서, 본 개시 내용을 간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구성들이 다양한 실시예에서 함께 그룹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방법은, 청구된 실시예들이 각각의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으로 인용되는 것보다 많은 구성들을 필요로 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하의 청구범위가 반영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체는 단일의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구성들보다 적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는 본원에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며, 각각의 청구범위는 그 자체가 별도의 청구 주체로서 독립적이다.

Claims (16)

  1. 프린터로서,
    몸체 - 상기 몸체는,
    (i) 미디어 인클로저를 정의하는 내부 벽들의 세트, 및
    (ii) 상기 내부 벽들 중 하나 안에 있고, 고정(retaining) 표면과 램프 표면을 포함하는 래치 리세스를 포함함 -;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미디어 인클로저를 둘러싸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리드; 및
    상기 리드에 의해 지지되고,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리드에 대해 이동 가능한 래치 - 상기 래치는,
    (i) 상기 잠금 위치를 향해 상기 래치를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
    (ii) 상기 리드가 폐쇄되고 상기 래치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고정 표면과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후크 표면, 및
    (iii) 상기 리드가 폐쇄되고 상기 래치가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편향 부재를 통해, 상기 램프 표면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 상기 리드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캠 표면을 포함함 -를 포함하는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리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램프 표면은 상기 래치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가 지는, 프린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한 캐리지를 지지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캐리지로부터 연장되는, 프린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상기 캐리지에 부착되고 상기 리드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을 누르는 것(depression)은 상기 래치를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프린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캐리지 사이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프린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상기 캐리지에 의해 지지되는 압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리드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고 상기 래치가 상기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압반 롤러에 결합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의 상기 래치의 이동은, 상기 압반 롤러를 상기 구동 메커니즘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프린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 미디어 가이드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제1 미디어 가이드 표면과 협동하여 상기 인클로저를 빠져나가는 미디어를 위한 연속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미디어 가이드 표면을 포함하는, 프린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가이드 표면의 후방부, 및 상기 제2 미디어 가이드 표면의 전방부는 각각 상보적인 인터레이싱 캐스텔레이션을 포함하는, 프린터.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캐스텔레이션은 상기 미디어의 폭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프린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상부면에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을 눌렸을 때 상기 래치를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드는, 상기 리드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몸체의 외부 벽에 대해 레지(ledge)를 형성하도록 상기 리드의 전방 에지에 언더컷 부분을 포함하는, 프린터.
  11. 프린터로서,
    (i) 미디어 인클로저, 및 (ii) 미디어 배출구를 정의하는 내부 벽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미디어 인클로저를 둘러싸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는,
    (i) 제1 캐스텔레이션 세트를 갖는 제1 미디어 가이드 표면을 포함하는 프레임,
    (ii) 압반 롤러를 지지하는 캐리지 - 상기 캐리지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인클로저를 빠져나오는 미디어를 위한 연속 미디어 가이드를 정의하기 위해 상기 제1 캐스텔레이션 세트와 인터레이싱하도록 구성된 제2 캐스텔레이션 세트를 갖는 제2 미디어 가이드 표면을 포함함 -를 포함하는, 프린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미디어 가이드 표면은 상기 리드가 폐쇄되는 경우에 상기 미디어 출구에 인접하는, 프린터.
  13.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캐스텔레이션은 상기 미디어의 폭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프린터.
  14.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캐스텔레이션은 상기 미디어의 폭의 1/4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프린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 및 상기 래치는, 상기 리드를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몸체에 고정시키는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프린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리드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압반 롤러에 결합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의 상기 캐리지의 이동은, 상기 압반 롤러를 상기 구동 메커니즘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프린터.
KR1020210134962A 2020-10-15 2021-10-12 미디어 처리 디바이스를 위한 리드 서브시스템 KR102663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71,615 US11772395B2 (en) 2020-10-15 2020-10-15 Lid subsystem for media processing devices
US17/071,615 2020-10-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6617A Division KR20240069684A (ko) 2020-10-15 2024-04-29 미디어 처리 디바이스를 위한 리드 서브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058A true KR20220050058A (ko) 2022-04-22
KR102663042B1 KR102663042B1 (ko) 2024-05-16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59158A (ja) 2023-10-31
US11772395B2 (en) 2023-10-03
CN114368225A (zh) 2022-04-19
GB2602378B (en) 2023-05-24
CN114368225B (zh) 2024-03-01
JP2022065661A (ja) 2022-04-27
DE102021126570A1 (de) 2022-04-21
GB202114531D0 (en) 2021-11-24
US20240059085A1 (en) 2024-02-22
GB2602378A (en) 2022-06-29
CN117901555A (zh) 2024-04-19
US20220118780A1 (en) 2022-04-21
JP7384879B2 (ja)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8125B1 (en) Cash box provided with self-locking mechanism
US8833808B2 (en) Lock device for vehicle
US7920373B2 (en) Cover unit, electronic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916052B2 (en) Cover locking/unlocking mechanism and a printer having the cover locking/unlocking mechanism
US20240059085A1 (en) Lid Subsystem for Media Processing Devices
JP5908292B2 (ja) プリンタ及びその用紙ガイド機構
WO2016013569A1 (ja) プリンタ装置
KR20150002536A (ko) 서멀 프린터
KR102663042B1 (ko) 미디어 처리 디바이스를 위한 리드 서브시스템
US9475299B2 (en) Tape printer
KR20240069684A (ko) 미디어 처리 디바이스를 위한 리드 서브시스템
KR102006297B1 (ko) 핸들부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CN213383548U (zh) 嵌入式打印机
JP2020128095A (ja) プリンタ
KR102006306B1 (ko) 핸들부를 교체할 수 있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JPH08282277A (ja) スナッチロック装置
JP6287913B2 (ja) カード・カセット装置
JP5640851B2 (ja) ユニット装置
EP3124273A1 (en) Tape printing device and tape printing system
JP3244366B2 (ja) ロック機構
JP6721390B2 (ja) プリンタ
JP2004255865A (ja) カバーロック機構付きプリンタ
JP2016113828A (ja) 電子錠装置
JP2016199140A (ja) 収納装置
JPH0344654A (ja) 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