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201A - 샤프펜슬 - Google Patents

샤프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201A
KR20220024201A KR1020217042987A KR20217042987A KR20220024201A KR 20220024201 A KR20220024201 A KR 20220024201A KR 1020217042987 A KR1020217042987 A KR 1020217042987A KR 20217042987 A KR20217042987 A KR 20217042987A KR 20220024201 A KR20220024201 A KR 20220024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m
axial direction
display body
shaft
mechanical penc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2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케 사나다
노부카즈 세리
유지 카와라자키
타쿠미 카지와라
토모하루 오오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14920A external-priority patent/JP73086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14924A external-priority patent/JP731261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20220024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3Propelling pencils with lead sections or lead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6Pencil-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00Nib holder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샤프펜슬(10)은, 축통(20)과, 축통(20)에 지지된 꼭지쇠 유닛(30)과, 꼭지쇠 유닛(30)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유지지한 심(LE)을 조출하는(내보내는) 척(41)을 가진 심 보유지지 유닛(40)과,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표시체(70)를 가진다. 표시체(70)는, 축통(20) 내에 있어서의 척(41)의 후방에 형성된 심 수용 공간(S)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한다. 적어도 특정의 위치에 있는 표시체(70)를 축통(20)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다. 표시체(70)가 축방향(AD)을 따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심 수용 공간(S)의 후단과, 꼭지쇠 유닛(30)의 전단 사이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LA)는, 심 수용 공간(S) 내에 수용되는 예비 심(SLE)의 길이(LX)의 2배 이상이다.

Description

샤프펜슬
본 개시는 샤프펜슬에 관한 것이다.
전단으로부터 심을 조출(내보냄) 가능한 샤프펜슬이 알려져 있다. 샤프펜슬은, 전단으로부터 심을 돌출시킨 상태에서 지면 등에의 필기에 이용된다. 샤프펜슬은, 축통 내에 예비 심을 수용하기 위한 심 수용 공간을 가지고 있다. 심 수용 공간 내의 예비 심을 다 사용한 경우에는, 심 수용 공간에 예비 심을 보충하게 된다.
JP1979-33737A 및 JP1979-20730A에 개시된 샤프펜슬은, 심 수용 공간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표시체를 가지고 있다. 표시체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심 수용 공간 내에 예비 심이 없는 경우, 표시체는 전방에 위치하고, 심 수용 공간 내에 예비 심이 있는 경우, 표시체는 후방에 위치한다. 표시체의 위치를 축통의 외부로부터 시인(보고 확인)함으로써, 심 수용 공간 내의 예비 심의 유무를 파악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샤프펜슬의 사용에 있어서, 심이 조출되는 전단 개구로부터 새로운 예비 심을 삽입하는 것이나, 샤프펜슬의 전단 개구로부터 크게 돌출한 심을 샤프펜슬 내로 후퇴시키는 것도 생각된다. 이 때, 샤프펜슬의 심 수용 공간 내를 향해 삽입된 심과, 심 수용 공간 내의 예비 심이 일직선 상에 늘어서는 것도 상정된다. 이 경우, 샤프펜슬 내에 심을 다(완전히) 삽입할 수 없는 것이나, 나아가서는 심이 부러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문제는, 시인성(視認性)을 고려해서 축방향으로 긴 표시체가 마련되어 있는 샤프펜슬에 있어서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샤프펜슬의 심 보유지지(保持) 유닛에 보유지지된 심이 심 수용 공간 내의 예비 심과 일직선 상에 늘어섬으로써, 그 심이 후퇴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나 그 심이나 예비 심이 부러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에 대처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한다.
또, JP1979-33737A 및 JP1979-20730A의 샤프펜슬에서는, 심 수용 공간 내의 심가루(芯粉)가, 표시체와 표시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형 부분 사이로 들어가는 일이 있다. 이 경우, 통형 부분의 내면이 심가루로 더러워져 버려, 통형 부분의 외부로부터 표시체를 관찰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심 수용 공간 내의 심가루에 의해서 표시체의 시인성이 해쳐지는(방해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의 샤프펜슬은,
축통과,
상기 축통에 지지된 꼭지쇠(口金, cap) 유닛과,
상기 꼭지쇠 유닛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유지지한 심을 조출하는 척을 가진 심 보유지지 유닛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축통 내에 있어서의 상기 척의 후방에 형성된 심 수용 공간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표시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특정의 위치에 있는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고,
상기 표시체가 상기 축방향을 따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상기 심 수용 공간의 후단과, 상기 꼭지쇠 유닛의 전단 사이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심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는 예비 심의 길이의 2배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2의 샤프펜슬은,
축통과,
상기 축통에 지지된 꼭지쇠 유닛과,
상기 꼭지쇠 유닛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유지지한 심을 조출하는 척을 가진 심 보유지지 유닛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축통 내에 있어서의 상기 척의 후방에 형성된 심 수용 공간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표시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특정의 위치에 있는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고,
상기 심 수용 공간을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앞측으로부터 구획하는 앞벽면에는, 한 개의 심만을 삽입 가능한 안치수를 가지고 또한 상기 척으로 통하는 심 송출 구멍이, 개구되고,
상기 앞벽면은, 상기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심 송출 구멍으로부터 이간됨에 따라서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기울고,
상기 앞벽면의 상기 축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45°보다 크고 85° 미만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3의 샤프펜슬은,
축통과,
상기 축통에 지지된 꼭지쇠 유닛과,
상기 꼭지쇠 유닛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유지지한 심을 조출하는 척을 가진 심 보유지지 유닛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축통 내에 있어서의 상기 척의 후방에 형성된 심 수용 공간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표시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특정의 위치에 있는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고,
상기 심 수용 공간은, 축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폭이 좁아진 축폭부(縮幅部)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에 수용된 예비심 상에 지지된 표시체를,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에 수용된 예비심 상에 지지되는 위치보다도 상기 축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표시체를,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에 수용된 예비심 상에 지지된 표시체와, 상기 심 수용 공간에 수용된 예비심 상에 지지되는 위치보다도 상기 축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표시체는,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다른 표시로서 관찰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상기 축방향을 따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상기 심 수용 공간의 길이는, 상기 예비 심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상기 축방향을 따라 가장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상기 심 수용 공간의 길이는, 상기 예비 심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에는,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에 개구된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깊이는, 상기 표시체의 축방향을 따른 길이의 절반(半分)보다도 커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는, 상기 오목부를 구획하는 내측 벽면 및 바닥 벽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 벽면은, 상기 축방향과 평행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의 전단과 상기 꼭지쇠 유닛의 상기 전단 사이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예비 심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을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앞측으로부터 구획하는 앞벽면이 마련되고,
한 개의 심만을 삽입 가능한 안치수를 가지고 또한 상기 척으로 통하는 심 송출 구멍이, 상기 앞벽면에 개구되고,
상기 심 수용 공간의 전단과 상기 꼭지쇠 유닛의 상기 전단 사이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예비 심의 길이의 절반보다도 길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을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앞측으로부터 구획하는 앞벽면에는, 한 개의 심만을 삽입 가능한 안치수를 가지고 또한 상기 척으로 통하는 심 송출 구멍이, 개구되고,
상기 앞벽면은, 상기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심 송출 구멍으로부터 이간됨에 따라서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기울고,
상기 앞벽면의 상기 축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45°보다 크고 85° 미만이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앞벽면은 회전 대칭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은, 축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폭이 좁아진 축폭부를 가지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축폭부까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예비 심의 길이의 절반보다도 길고, 상기 예비 심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은,
상기 축통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중간통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심 보유지지 유닛은, 상기 척의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또한 개구된 후단이 상기 중간통 부재 내에 삽입된 심 수용통을, 더 가지고,
상기 중간통 부재는, 통형 본체부와, 상기 통형 본체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한 안쪽 리브를 가지고, 상기 축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안쪽 리브가 상기 심 수용통의 후단면과 접촉해서 상기 심 보유지지 유닛을 전방으로 누르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안쪽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통 부재의 안폭은, 상기 심 수용통의 안폭보다도 작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안쪽 리브까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예비 심의 길이의 절반보다도 길고, 상기 예비 심의 길이보다 짧아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안쪽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통 부재의 안폭은, 상기 심 수용통의 안폭보다도 커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안쪽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통 부재의 안폭은, 상기 심 수용통의 안폭과 동일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표시체 본체부와, 상기 축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표시체 본체부로부터 돌출한 플랜지부를 가지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1.5 ㎜ 이하이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표시체 본체부의 전단 부분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표시체 본체부의 주위에 둘레형(周狀)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축통에는, 상기 축통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게 하는 창부가,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이동 가능해지는 범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해서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둘레방향에 있어서 상기 창부가 마련된 범위에 적어도 걸쳐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축통에는, 상기 축통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게 하는 창부가,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이동 가능해지는 범위의 일부분과 겹치도록 해서 마련되고,
상기 심 수용 공간에 수용된 예비 심에 의해서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부터 지지된 표시체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창부보다도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축통에는, 상기 축통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게 하는 창부가,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이동 가능해지는 범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해서 마련되고,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형 부분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창부와 겹치는 영역의 내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축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표시체 본체부로부터 돌출한 후방 플랜지부를, 더 가지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플랜지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1.5 ㎜ 이하이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플랜지부는, 상기 표시체 본체부의 후단 부분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플랜지부는, 상기 표시체 본체부의 주위를 둘레형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축통에는, 상기 축통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게 하는 창부가,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이동 가능해지는 범위의 일부분과 겹치도록 해서 마련되고,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가장 전방으로 이동한 표시체의 상기 후방 플랜지부는, 상기 창부보다도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형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표시체보다도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형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후방 플랜지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보다도 길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면적은, 상기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통형 부분과 표시체 사이의 간극(隙間)의 면적보다도 커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은,
상기 축통 내에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또한 상기 축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심 보유지지 유닛을 전방으로 누르는 노크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노크 유닛은,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상기 통형 부분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축통은,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상기 통형 부분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제1 내지 제3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축통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중간통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심 보유지지 유닛은, 상기 척의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또한 개구된 후단이 상기 중간통 부재 내에 삽입된 심 수용통을, 더 가지고,
상기 노크 유닛의 상기 통형 부분은, 상기 중간통 부재에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샤프펜슬의 심 보유지지 유닛에 보유지지된 심이 심 수용 공간 내의 예비 심과 일직선 상에 늘어섬으로써, 그 심을 후퇴시킬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나 그 심이나 예비 심이 부러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의 샤프펜슬은,
축통과,
상기 축통에 지지된 꼭지쇠 유닛과,
상기 꼭지쇠 유닛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유지지한 심을 조출하는 척을 가진 심 보유지지 유닛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축통 내에 있어서의 상기 척의 후방에 형성된 심 수용 공간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표시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특정의 위치에 있는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고,
상기 표시체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표시체 본체부와, 상기 축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표시체 본체부로부터 돌출한 플랜지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2의 샤프펜슬은,
축통과,
상기 축통에 지지된 꼭지쇠 유닛과,
상기 꼭지쇠 유닛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유지지한 심을 조출하는 척을 가진 심 보유지지 유닛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축통 내에 있어서의 상기 척의 후방에 형성된 심 수용 공간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표시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특정의 위치에 있는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고,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형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1.5 ㎜ 이하이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표시체 본체부의 주위에 둘레형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축통에는, 상기 축통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게 하는 창부가,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이동 가능해지는 범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해서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둘레방향에 있어서 상기 창부가 마련된 범위에 적어도 걸쳐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축통에는, 상기 축통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게 하는 창부가,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이동 가능해지는 범위의 일부분과 겹치도록 해서 마련되고,
상기 심 수용 공간에 수용된 예비 심에 의해서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부터 지지된 표시체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창부보다도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축통에는, 상기 축통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게 하는 창부가,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이동 가능해지는 범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해서 마련되고,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형 부분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창부와 겹치는 영역의 내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축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표시체 본체부로부터 돌출한 후방 플랜지부를, 더 가지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플랜지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1.5 ㎜ 이하이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플랜지부는, 상기 표시체 본체부의 후단 부분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플랜지부는, 상기 표시체 본체부의 주위에 둘레형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축통에는, 상기 축통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게 하는 창부가,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이동 가능해지는 범위의 일부분과 겹치도록 해서 마련되고,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가장 전방으로 이동한 표시체의 상기 후방 플랜지부는, 상기 창부보다도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형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표시체보다도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형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후방 플랜지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보다도 길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면적은, 상기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통형 부분과 표시체 사이의 간극의 면적보다도 커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은,
상기 축통 내에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또한 상기 축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심 보유지지 유닛을 전방으로 누르는 노크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노크 유닛은,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상기 통형 부분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축통은,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상기 통형 부분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축통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중간통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심 보유지지 유닛은, 상기 척의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또한 개구된 후단이 상기 중간통 부재 내에 삽입된 심 수용통을, 더 가지고,
상기 노크 유닛의 상기 통형 부분은, 상기 중간통 부재에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상기 축방향을 따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상기 심 수용 공간의 후단과, 상기 꼭지쇠 유닛의 전단 사이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심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는 예비 심의 길이의 2배 이상이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에 수용된 예비심 상에 지지된 표시체를,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에 수용된 예비심 상에 지지되는 위치보다도 상기 축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표시체를,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에 수용된 예비심 상에 지지된 표시체와, 상기 심 수용 공간에 수용된 예비심 상에 지지되는 위치보다도 상기 축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표시체는,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다른 표시로서 관찰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상기 축방향을 따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상기 심 수용 공간의 길이는, 상기 예비 심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상기 축방향을 따라 가장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상기 심 수용 공간의 길이는, 상기 예비 심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에는,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에 개구된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깊이는, 상기 표시체의 축방향을 따른 길이의 절반보다도 커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는, 상기 오목부를 구획하는 내측 벽면 및 바닥 벽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 벽면은, 상기 축방향으로 수직이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의 전단과 상기 꼭지쇠 유닛의 상기 전단 사이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예비 심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의 전단과 상기 꼭지쇠 유닛의 상기 전단 사이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예비 심의 길이의 절반보다도 길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을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앞측으로부터 구획하는 앞벽면에는, 한 개의 심만을 삽입 가능한 안치수를 가지고 또한 상기 척으로 통하는 심 송출 구멍이, 개구되고,
상기 앞벽면은, 상기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심 송출 구멍으로부터 이간됨에 따라서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기울고,
상기 앞벽면의 상기 축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45°보다 크고 85° 미만이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앞벽면은 회전 대칭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은, 축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폭이 좁아진 축폭부를 가지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축폭부까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예비 심의 길이의 절반보다도 길고, 상기 예비 심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은,
상기 축통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중간통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심 보유지지 유닛은, 상기 척의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또한 개구된 후단이 상기 중간통 부재 내에 삽입된 심 수용통을, 더 가지고,
상기 중간통 부재는, 통형 본체부와, 상기 통형 본체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한 안쪽 리브를 가지고, 상기 축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안쪽 리브가 상기 심 수용통의 후단면과 접촉해서 상기 심 보유지지 유닛을 전방으로 누르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안쪽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통 부재의 안폭은, 상기 심 수용통의 안폭보다도 작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안쪽 리브까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예비 심의 길이의 절반보다도 길고, 상기 예비 심의 길이보다 짧아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안쪽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통 부재의 안폭은, 상기 심 수용통의 안폭보다도 커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제1 및 제2의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안쪽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통 부재의 안폭은, 상기 심 수용통의 안폭과 동일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심 수용 공간 내의 심가루에 의해서 표시체의 시인성이 해쳐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예비 심을 수용한 샤프펜슬의 1구체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샤프펜슬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샤프펜슬의 앞측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샤프펜슬의 뒤측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샤프펜슬의 노크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예비 심을 수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도 1의 샤프펜슬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예비 심을 수용하고 있지 않는 도 6의 샤프펜슬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예비 심을 수용한 도 1의 샤프펜슬을, 노크 조작을 행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노크 조작을 행한 상태에 있는 예비 심을 수용한 도 8의 샤프펜슬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예비 심을 수용하고 있지 않는 도 1의 샤프펜슬을, 노크 조작을 행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노크 조작을 행한 상태에 있는 예비 심을 수용하고 있지 않는 도 10의 샤프펜슬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심 보유지지 유닛에 보유지지된 심과 심 수용 공간 내의 예비 심이 일직선 상에 늘어서 있는 상태에서 도 1의 샤프펜슬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축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힘이 심에 가해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샤프펜슬의 1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로서, 축방향에 있어서의 창부가 배치된 위치에서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1구체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1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1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1실시 형태에 관계된 샤프펜슬의 1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중, 도 1 내지 도 4는, 각각, 예비 심을 심 수용 공간에 수용한 비노크 상태에 있는 샤프펜슬을 도시하는 평면도, 단면도 또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샤프펜슬(10)은, 축통(20)과, 꼭지쇠(口金) 유닛(30)과, 심 보유지지 유닛(40)과, 표시체(70)를 가지고 있다. 축통(20)은, 축방향(AD)에 개구를 가진 통형 부재이다. 꼭지쇠 유닛(30)은, 축통(20)의 전단 개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해서, 축통(20)에 지지되어 있다. 심 보유지지 유닛(40)은,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축통(20) 내에 보유지지되어 있다. 심 보유지지 유닛(40)은, 한 개의 심(LE)을 보유지지할 수가 있다. 심 보유지지 유닛(40)은, 꼭지쇠 유닛(30)에 대해서 축방향(AD)에 상대 이동함으로써, 꼭지쇠 유닛(30)을 향해 심(LE)을 조출(繰出)한다. 샤프펜슬(10)은, 심 보유지지 유닛(40)으로 공급되는 대체심으로서의 예비 심(SLE)을 수용하는 심 수용 공간(S)을 가지고 있다. 표시체(70)는, 심 수용 공간(S)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한다.
또한, 도시된 샤프펜슬(10)은, 축통(20)에 보유지지된 중간통 부재(50), 노크 유닛(60) 및 클립(29)을 가지고 있다. 중간통 부재(50)는, 심 보유지지 유닛(40)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해 있다. 중간통 부재(50)는, 축통(20) 내에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노크 유닛(60)은, 심 보유지지 유닛(40)을 꼭지쇠 유닛(30)에 대해서 축방향(AD)으로 상대 이동시킬 때에 사용자가 조작을 입력하는 부분이 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노크 유닛(60)은, 축통(20)의 후단 개구로부터 축통(20) 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 있어서, 표시체(70)는, 노크 유닛(60)에 의해서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지지되어 있다. 다만, 도시된 샤프펜슬(10)은 1예에 불과하고, 노크 유닛(60)은, 축통(20)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중간부로부터 측방으로 노출된 부재이더라도 된다. 또, 표시체(70)는, 노크 유닛(60)이 아니라, 축통(20)에 보유지지되어 있어도 되고, 중간통 부재(50)에 보유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축통(20)의 중심 축선(CA)이 연장되는 방향(긴쪽 방향, 종단면도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축방향(AD)으로 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축통(20)의 중심 축선(CA)은, 심 보유지지 유닛(40)이 보유지지한 심(LE)의 중심 축선과 일치한다. 또, 축방향(AD)과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 방향(직경 방향), 축방향(AD)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을 둘레방향으로 한다. 또한, 축방향(AD)을 따라, 필기할 때에 지면 등의 피(被)필기면에 근접한 측을 앞측(前側)(전방)으로 하고, 피필기면으로부터 이간되는 측을 뒤측(後側)(후방)으로 한다. 또,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은, 중심 축선(CA)로부터 이간되는 측으로 하고,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은, 중심 축선(CA)에 근접한 측으로 한다. 즉, 종단면도에 있어서의 위쪽, 즉 노크 유닛(60) 측을 후방이라고 표현하고, 종단면도에 있어서의 아래쪽, 즉 축통의 전단 개구(30a) 측을 전방이라고 표현한다.
이하, 샤프펜슬(1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차례로(순서대로) 설명해 간다.
축통(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축방향(AD)의 양 측, 즉 앞측 및 뒤측에 개구된 통형 부재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통(20)은, 전축통(前軸筒)(20A), 중간 축통(20B), 후축통(後軸筒)(20C), 전내측(前內側) 축통(20D), 후내측(後內側) 축통(20E) 및 피복재(20F)를 가지고 있다. 전내측 축통(20D)의 후단 부분과 후내측 축통(20E)의 전단 부분이 끼워맞춤(嵌合) 또는 나사결합(螺合)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중간 축통(20B)은, 전내측 축통(20D)의 후단 부분과 후내측 축통(20E)의 전방 부분 및 중간 부분에,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고정되어 있다. 후축통(20C)은, 후내측 축통(20E)의 후단 부분에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고정되어 있다. 전축통(20A)의 후단 부분의 내면 및 전내측 축통(20D)의 중간 부분에 있어서의 외면에, 서로 나사결합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전축통(20A) 및 전내측 축통(20D)은, 나사를 이용해서, 착탈(着脫)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축통(20A), 중간 축통(20B), 후축통(20C), 전내측 축통(20D) 및 후내측 축통(20E)은,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로서 제작될 수 있다. 피복재(20F)는, 전축통(20A)에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고정되어 있다. 피복재(20F)는, 샤프펜슬(10)의 파지부(把持部)로 되고, 예를 들면 고무나 수지로 이루어진다. 전축통(20A)이 축통(20)의 전단 개구를 형성하고, 후축통(20C)이 축통(20)의 후단 개구를 형성하고 있다. 클립(29)은, 축통(20)의 후축통(20C)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꼭지쇠 유닛(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꼭지쇠 유닛(30)의 대부분은, 축통(2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다만, 꼭지쇠 유닛(30)의 전단 부분은, 축통(20)의 전단 개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꼭지쇠 유닛(30)은, 후술하는 심 보호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축통(20)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꼭지쇠 유닛(30)은, 축통(20) 내에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꼭지쇠 유닛(30)과 축통(20) 사이에는, 꼭지쇠 바이어스(付勢) 부재(38)가 마련되어 있다. 꼭지쇠 바이어스 부재(38)는, 축통(20)에 대해서 꼭지쇠 유닛(30)을 전방으로 바이어스하고 있다. 꼭지쇠 바이어스 부재(38)는, 축통(20) 내에 배치되어 있다. 꼭지쇠 바이어스 부재(38)는, 예를 들면 압축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고, 전내측 축통(20D)의 전단면과 꼭지쇠 유닛(30) 사이에서 압축(수축)되어 있다.
다만, 축통(20)의 안폭(內幅)(안치수, 도시된 예에서는 내경)은, 그의 전단 부분에 있어서, 대체로 전방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꼭지쇠 유닛(30)의 바깥폭(外幅)(바깥치수, 도시된 예에서는 외경)은, 대체로 전방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고 있다. 이 결과, 꼭지쇠 유닛(30)은, 축통(20)의 내부로부터 전방으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꼭지쇠 유닛(30)은, 축통(20)에 대해서 지름 방향으로도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꼭지쇠 유닛(30)은, 축통(2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꼭지쇠 선단 부재(31)와, 꼭지쇠 선단 부재(31)를 보유지지하는 꼭지쇠 기단(基端) 부재(32)와, 꼭지쇠 선단 부재(31) 및 꼭지쇠 기단 부재(32) 사이에 마련된 선단 바이어스 부재(36)를 가지고 있다. 꼭지쇠 선단 부재(31)는, 축통(2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꼭지쇠 선단 부재(31)는, 축방향 전방으로 끝이 가늘어지는 통형 부위이다. 꼭지쇠 선단 부재(31)의 선단 부분은, 심(LE) 한 개 분의 내경을 가지고, 한 개의 심을 지지하는 선단 통형부(筒狀部)(31a)를 가지고 있다. 선단 통형부(31a)가, 꼭지쇠 유닛(30)의 전단 개구(30a)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꼭지쇠 기단 부재(32)는, 꼭지쇠 선단 부재(31)를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지지하고 있다. 또, 도시된 꼭지쇠 기단 부재(3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기단 부재(33), 제2 기단 부재(34) 및 제3 기단 부재(35)를 가지고 있다. 제1 기단 부재(33)는, 제2 기단 부재(34)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기단 부재(33)의 후단 부분은, 제2 기단 부재(34)에 고정되어 있다. 제2 기단 부재(34)의 전방 부분에 있어서, 제1 기단 부재(33) 및 제2 기단 부재(34)는 지름 방향으로 간극(隙間)을 두고 있다. 이 간극 부분에, 꼭지쇠 선단 부재(31)의 후방 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기단 부재(34)는, 심 보유지지 부재(37)를 보유지지하고 있다. 심 보유지지 부재(37)는, 관통 구멍(貫通孔)이 형성된 고무제 부재이고, 통과한 심(LE)을 보유지지할 수가 있다.
꼭지쇠 선단 부재(31)는, 제1 기단 부재(33) 및 제2 기단 부재(34)에 대해서 축방향(AD)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기단 부재(33)의 전단 부분은, 전방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고 있다. 따라서, 제1 기단 부재(33) 및 제2 기단 부재(3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꼭지쇠 선단 부재(31)는, 제1 기단 부재(33) 및 제2 기단 부재(34)로부터 전방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 꼭지쇠 선단 부재(31)와 꼭지쇠 기단 부재(32)의 제2 기단 부재(34) 사이에, 선단 바이어스 부재(36)가 배치되어 있다. 선단 바이어스 부재(36)는, 제2 기단 부재(34)에 대해서 꼭지쇠 선단 부재(31)를 전방으로 바이어스하고 있다. 선단 바이어스 부재(36)는, 예를 들면 압축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다. 제1 기단 부재(33) 및 제2 기단 부재(34)는, 예를 들면 금속제 부재로서 형성된다.
제1 기단 부재(33)의 후방 부분 및 제2 기단 부재(34)의 후단 부분은, 제3 기단 부재(35)의 전방 부분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기단 부재(33)의 후방 부분 및 제2 기단 부재(34)의 후단 부분은, 제3 기단 부재(35)의 전방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제2 기단 부재(34) 및 제3 기단 부재(35)는, 통형 부재로서 형성되어, 심 보유지지 유닛(40)의 전단 부분을 수용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심 보유지지 유닛(40)과 꼭지쇠 기단 부재(32)의 제3 기단 부재(35) 사이에, 척 바이어스 부재(39)가 마련되어 있다. 척 바이어스 부재(39)는, 꼭지쇠 유닛(30) 및 심 보유지지 유닛(40)을 축방향(AD)으로 서로로부터 이간되도록 바이어스하고 있다. 척 바이어스 부재(39)는, 예를 들면 압축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다. 제3 기단 부재(35)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로서 제작될 수 있다.
다음에, 심 보유지지 유닛(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심 보유지지 유닛(40)은, 심(LE)을 보유지지한다. 심 보유지지 유닛(40)은, 축통(20) 내에 있어서,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심 보유지지 유닛(40)이 척 바이어스 부재(39)의 바이어스력(付勢力)에 대항해서 꼭지쇠 유닛(30)에 접근하면, 심 보유지지 유닛(40)은, 보유지지한 심(LE)을 꼭지쇠 유닛(30)을 향해 일정량 조출한다(내보낸다). 본 명세서에서는, 심 보유지지 유닛(40)을 꼭지쇠 유닛(30)을 향해 전진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노크 조작이라고 부른다.
도시된 심 보유지지 유닛(4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척(41), 척 보유지지 부재(42), 조임구(締具)(43), 심 수용통(44), 내측 보조통(45) 및 내측 유도 부재(46)를 가지고 있다. 척(41)은, 심(LE)을 해방 가능하게 보유지지하고 있다. 척(41)은, 복수, 예를 들면 셋으로 나뉘어진 머리부(41a)를 가지고 있다. 척(41)은, 후단 부분에 있어서, 척 보유지지 부재(42)의 전단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머리부(41a)는, 고리형(環狀)으로 형성된 조임구(43)를 통과하고 있다. 복수의 머리부(41a)는, 전방 부분에 있어서 서로로부터 이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조임구(43)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복수의 머리부(41a)는, 그의 전단 부분에 있어서 서로 접근해서 심(LE)을 보유지지한다. 조임구(43)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복수의 머리부(41a)는, 그의 전단 부분에 있어서 서로로부터 이간되어 심(LE)을 해방시킨다.
척(41)의 복수의 머리부(41a) 및 조임구(43)는, 꼭지쇠 유닛(30)의 꼭지쇠 기단 부재(32) 내에 위치해 있다. 꼭지쇠 기단 부재(32)는, 조임구(43)의 전진을 규제하는 규제 단차부(段部)(32a)를 내면에 가지고 있다. 심 보유지지 유닛(40)이 꼭지쇠 유닛(30)에 대해서 전방으로 이동할 때, 조임구(43)가 규제 단차부(32a)에 의해서 전진이 규제될 때까지, 척(41)에 보유지지된 심(LE)도 전진한다. 규제 단차부(32a)에 의해서 조임구(43)의 전진이 규제된 상태에서 심 보유지지 유닛(40)이 더욱더 전진을 계속함으로써, 복수의 머리부(41a)가 서로로부터 이간되어 심(LE)을 해방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심 보유지지 유닛(40)이 꼭지쇠 유닛(30)에 대해서 전진함으로써, 심(LE)을 조출할 수가 있다.
척 보유지지 부재(42)는, 통형 부재이다. 척 보유지지 부재(42)는, 심 수용통(44)을 보유지지하고 있다. 심 수용통(44)은, 원통형 부재이다. 심 수용통(44)은, 그의 전단 부분이, 척 보유지지 부재(42)의 후방 개구로부터 척 보유지지 부재(42) 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심 수용통(44)은, 척 보유지지 부재(4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돌출(延出)되어 있다. 심 수용통(44)의 후단은 후술하는 중간통 부재(50)에 삽입되어 있다. 심 수용통(44)은, 중간통 부재(50)나 후술하는 표시체(70)와 함께, 심 수용 공간(S)을 획정(구획)한다.
내측 보조통(45) 및 내측 유도 부재(46)는, 심 수용통(44) 내에 삽입되어 있다. 내측 보조통(45) 및 내측 유도 부재(46)는, 모두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보조통(45) 및 내측 유도 부재(46)는, 척(41)으로 통하는 심 송출 구멍(芯送出孔)(LEA)을 형성하고 있다. 심 송출 구멍(LEA)은, 동시에 한 개의 심(LE)만이 통과할 수 있는 내경(안치수)을 가지고 있다. 내측 유도 부재(46)는, 내측 보조통(45)에 후방으로부터 인접해 있다. 내측 유도 부재(46)는, 심 수용 공간(S)을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앞측으로부터 구획하는 앞벽면(前壁面)(FS)을 형성한다. 심 송출 구멍(LEA)은, 앞벽면(FS)에 있어서 축방향 후방에 개구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벽면(FS)은, 축방향(AD)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심 송출 구멍(LEA)으로부터 이간됨에 따라서, 다시 말해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해, 축방향(AD)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기울어 있다. 이와 같은 앞벽면(FS)의 경사에 의하면, 심 수용 공간(S) 내의 예비 심(SLE)을 심 송출 구멍(LEA)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앞벽면(FS)은, 중심 축선(C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대칭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앞벽면(FS)은, 원뿔대(圓錐台)의 측면 형상을 가지고, 임의의 회전 각도로의 회전 대칭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앞벽면(FS)에 회전 대칭성을 부여함으로써, 심 수용 공간(S) 내에 수용된 심(LE)의 유도 원활화를 도모하고, 또한, 심 수용 공간(S) 내에서 예비 심(SLE)이 치우쳐서 배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다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샤프펜슬(10)의 전방을 연직 방향 아래쪽으로 향하게 한 필기 상태에 있어서, 표시체(70)의 무게에 의해서 심 수용 공간(S) 내의 예비 심(SLE)이 전방을 향해 밀린다(밀어내진다). 따라서, 척(41)에 보유지지되어 후단이 심 수용 공간(S)으로 돌출한 심(LE)과 앞벽면(FS) 사이에, 예비 심(SLE)이 쐐기(楔)와 같이 들어가는 것에 의해서, 심(LE)을 원활하게 내보내는 것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이 점에서, 앞벽면(FS)의 축방향(AD)에 대한 경사 각도(θx)는, 종래의 샤프펜슬과는 달리, 너무 작지 않은 편이 좋다. 심(LE)의 조출을 원활화하는 관점에서, 경사 각도(θx)는, 45°보다 크고 8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60°보다 크고 85°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보다 크고 85° 미만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고, 75°보다 크고 85° 미만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보조통(45) 및 내측 유도 부재(46)를 심 수용통(44) 내에 마련함으로써, 심(LE)의 지름에 대응한 내경(안치수)을 가지는 심 송출 구멍(LEA)이 획정(구획)되어 있다. 내측 보조통(45) 및 내측 유도 부재(46)에 의하면, 한 개의 심(LE)만이 통과할 수 있는 심 송출 구멍(LEA)을 축방향(AD)으로 길게 확보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심 송출 구멍(LEA)에 의하면, 심 보유지지 유닛(40)에 의해서 보유지지된 심(LE)이 부러져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가 있다. 또, 심 보유지지 유닛(40)이 보유지지한 심(LE)을 후퇴시키는 경우, 나아가서는 전단 개구(30a)로부터 심(LE)을 삽입하는 경우에, 심(LE)이 부러져 버리는 것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가 있다.
1예로서, 척(41), 조임구(43) 및 내측 유도 부재(46)는, 금속, 예를 들면 황동에 의해서 제작되고, 척 보유지지 부재(42), 심 수용통(44) 및 내측 보조통(45)은, 수지 성형물로서 제작된다. 다만, 도시된 예와는 달리, 내측 보조통(45)은, 척 보유지지 부재(42), 심 수용통(44) 및 내측 유도 부재(46)의 어느것인가 하나 이상과 한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수지를 이용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내측 유도 부재(46)는, 척 보유지지 부재(42), 심 수용통(44) 및 내측 보조통(45)의 어느것인가 하나 이상과 한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수지를 이용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척 보유지지 부재(42)는, 심 수용통(44), 내측 보조통(45) 및 내측 유도 부재(46)의 어느것인가 하나 이상과 한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수지를 이용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심 수용통(44)은, 척 보유지지 부재(42), 내측 보조통(45) 및 내측 유도 부재(46)의 어느것인가 하나 이상과 한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수지를 이용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에, 중간통 부재(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로 되돌아가서, 중간통 부재(50)는, 축통(20) 내에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지지되어 있다. 중간통 부재(50)와 축통(20) 사이에는, 중간 바이어스 부재(28)가 마련되어 있다. 중간 바이어스 부재(28)는, 그의 전단이, 전내측 축통(20D)의 후단면 상에 지지되어 있다. 중간 바이어스 부재(28)는, 축통(20)에 대해서 중간통 부재(50)를 후방으로 바이어스하고 있다. 중간 바이어스 부재(28)는, 예를 들면, 압축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내측 축통(20E)에는 돌기(20Ea)가 마련되어 있다. 중간통 부재(50)가 이 돌기(20Ea)와 접촉함으로써, 중간통 부재(50)의 축통(20) 내에 있어서의 이동 가능한 범위의 후단이 획정(구획)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통 부재(50)는, 전체로서, 통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중간통 부재(50)는, 심 수용 공간(S)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중간통 부재(50)는, 통형 본체부(51)와, 통형 본체부(5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한 안쪽 리브(52)와, 통형 본체부(5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한 바이어스 받이 플랜지(53)를 가지고 있다. 통형 본체부(51), 안쪽 리브(52) 및 바이어스 받이 플랜지(53)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로서 일체적 성형될 수 있다. 바이어스 받이 플랜지(53)는, 중간 바이어스 부재(28)의 후단을 받치고(지탱하고) 있다. 즉, 중간 바이어스 부재(28)는, 축통(20)의 전내측 축통(20D)과 중간통 부재(50)의 바이어스 받이 플랜지(53) 사이에서 압축(수축)되어 있다.
통형 본체부(51)는, 앞측 통부(51A), 뒤측 통부(51B) 및 중간 테이퍼부(51C)를 가지고 있다. 축방향(AD)에 있어서, 앞측 통부(51A)는, 뒤측 통부(51B) 및 중간 테이퍼부(51C)의 전방에 위치해 있다. 즉, 앞측 통부(51A)는, 중간통 부재(50)의 최전방에 위치해 있다. 바이어스 받이 플랜지(53)는, 앞측 통부(51A)의 외면에 마련되어 있다. 축방향(AD)에 있어서, 뒤측 통부(51B)는, 앞측 통부(51A) 및 중간 테이퍼부(51C)의 후방에 위치해 있다. 즉, 뒤측 통부(51B)는, 중간통 부재(50)의 최후방에 위치해 있다. 중간 테이퍼부(51C)는, 축방향(AD)에 있어서, 앞측 통부(51A) 및 뒤측 통부(51B) 사이에 위치해 있다.
앞측 통부(51A)의 바깥폭(외경) 및 안폭(내경)은, 각각, 뒤측 통부(51B)의 바깥폭(외경) 및 안폭(내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중간 테이퍼부(51C)는, 전방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다. 안쪽 리브(52)는, 중간 테이퍼부(51C)의 연장 상에 위치해 있다. 안쪽 리브(52)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측 통부(51A)에는, 심 보유지지 유닛(40)의 심 수용통(44)의 후단 부분이 삽입되어 있다. 심 수용통(44)의 후단 부분은, 앞측 통부(51A) 내에 있어서, 앞측 통부(51A)에 대해서 축방향(AD)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노크 조작 시, 중간통 부재(50)가 전진해서, 안쪽 리브(52)가, 심 수용통(44)의 후단면(44a)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중간통 부재(50)가 전진함으로써, 심 수용통(44)을 포함하는 심 보유지지 유닛(40)이, 중간통 부재(50)와 동기해서 전진하고, 축방향(AD)에 있어서 꼭지쇠 유닛(30)에 접근한다.
한편, 뒤측 통부(51B)에는, 노크 유닛(60)의 전단 부분이 삽입되어 있다. 노크 유닛(60)의 전단이 중간통 부재(50)의 중간 테이퍼부(51C)에 인접해 있다. 노크 조작 시, 노크 유닛(60)의 전진과 동기해서, 중간통 부재(50)도 전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통 부재(50)는, 심 수용 공간(S)을 구성한다. 그리고, 중간통 부재(50)의 안쪽 리브(52)는, 심 수용 공간(S)의 축폭부(SC)를 형성한다. 축폭부(SC)는, 심 수용 공간(S)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축방향(AD)에 직교하는 지름 방향을 따른 심 수용 공간(S)의 폭을 국소적으로 좁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심 수용 공간(S)에 의하면, 심 수용 공간(S) 내에 수용된 예비 심(SLE)이 심 수용 공간(S)의 후방에 있어서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지름 방향)으로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예비 심(SLE)이 축방향에 대해서 크게 경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심 수용 공간(S) 내에서 크게 경사진 예비 심(SLE)은, 척(41)에 보유지지되어 후단이 심 수용 공간(S)으로 돌출한 심(LE)과 앞벽면(FS) 사이에, 쐐기와 같이 들어가기 쉬워진다. 따라서, 심 수용 공간(S) 내의 예비 심(SLE)이 크게 경사지면, 상술한 바와 같이 척(41)에 보유지지된 심(LE)의 원활한 조출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안쪽 리브(52)에 의한 축폭부(SC)를 마련함으로써, 심 수용 공간(S) 내에서의 예비 심(SLE)의 경사를 완화시켜, 심 보유지지 유닛(40)으로부터의 심(LE)의 조출을 원활화할 수가 있다. 또, 예비 심(SLE)의 후단이 퍼지는 것이 규제되므로, 노크 유닛(60)을 후방으로부터 중간통 부재(50)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가 있다.
특히 도시된 중간통 부재(50)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심 수용 공간(S)의 전단으로부터 안쪽 리브(52)에 의해서 형성된 축폭부(SC)까지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LC)는, 예비 심(SLE)의 길이(LX)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또, 이 길이(LC)는, 예비 심(SLE)의 길이(LX)의 절반보다도 길게 되어 있고,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예비 심(SLE)의 길이(LX)의 2/3보다도 길고, 나아가서는 예비 심(SLE)의 길이(LX)의 3/4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축폭부(SC)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예비 심(SLE)이 축방향(AD)에 대해서 크게 경사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예비 심(SLE)의 길이(LX)는, 사용 전의 예비 심(SLE)의 길이를 의미하고 있다. 전형적으로는, JIS 규격(JIS S6005(2019) 샤프펜슬용 심)에 따라서, 직경이 0.2 ㎜ 이상 1.4 ㎜ 이하인 예비 심(SLE)의 길이(LX)로서 60 ㎜를 채용할 수 있고, 직경 2.0 ㎜인 예비 심(SLE)의 길이(LX)로서 130 ㎜를 채용할 수가 있다. 또, JIS 규격에서 허용된 심 길이의 공차도 고려하면, 직경이 0.2 ㎜ 이상 1.4 ㎜ 이하인 예비 심(SLE)의 길이(LX)로서 61 ㎜를 채용할 수 있고, 직경 2.0 ㎜인 예비 심(SLE)의 길이(LX)로서 131 ㎜를 채용할 수가 있다.
또,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쪽 리브(52)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중간통 부재(50)의 안폭(내경, 안치수)(WX)이, 심 수용통(44)의 안폭(내경, 안치수)(WY)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예에 의하면, 심 수용 공간(S)에서 예비 심(SLE)이 축방향(AD)에 대해서 크게 경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다만,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안쪽 리브(52)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중간통 부재(50)의 안폭(WX)이, 심 수용통(44)의 안폭(WY)과 동일하도록 해도 된다. 이 예에 의하면, 심 수용 공간(S)의 축폭부(SC)에 있어서의 예비 심(SLE)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샤프펜슬(10)의 전단 개구(30a)로부터 심 수용 공간(S) 내로 예비 심(SLE)을 삽입할 때, 축폭부(SC)를 이루는 안쪽 리브(52)에서 예비 심(SLE)이 걸려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안쪽 리브(52)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중간통 부재(50)의 안폭(WX)을, 심 수용통(44)의 안폭(WY)보다도 크게 해도 된다. 이 예에 의하면, 또한, 중간통 부재(50)를 거쳐 심 보유지지 유닛(40)을 안정되게(안정적으로) 축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노크 유닛(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노크 유닛(60)은, 노크 조작을 행할 때에, 샤프펜슬(10)의 사용자로부터 작용이 미쳐지는(미치게 되는) 부분으로 된다. 노크 유닛(60)은, 축통(20)의 후단 개구로부터 축통(20) 내에 삽입되어 있다. 축통(20) 내에 삽입된 노크 유닛(60)의 선단 부분은, 중간통 부재(50)의 뒤측 통부(51B)에 삽입되어 있다. 노크 유닛(60)은, 중간통 부재(50)와 끼워맞춰서(감합해서) 노크 유닛(60)에 의해서 보유지지되게 된다. 또,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크 유닛(60)은, 표시체(70)를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지지하고 있다. 다시 말해, 도시된 예에 있어서, 노크 유닛(60)은, 표시체(70)를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통형 부분(TP)을 포함하고 있다. 표시체(70)는, 이 통형 부분(TP)에 있어서, 중간통 부재(50)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노크 유닛(60)과 표시체(70)는, 심 수용 공간(S)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도 5는, 노크 유닛(6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노크 유닛(60)은, 노크 부재(61), 뚜껑(캡) 부재(65) 및 부속구(66)를 가지고 있다.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크 부재(61)는, 전방 통형부(62), 후방 통형부(63) 및 칸막이 벽부(64)를 가지고 있다. 노크 부재(61)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로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전방 통형부(62)는, 후방 통형부(63) 및 칸막이 벽부(64)보다도 전방에 위치해 있다. 전방 통형부(62)는, 노크 부재(61)의 최전방으로 되는 부분을 이루고 있다. 후방 통형부(63)는, 전방 통형부(62) 및 칸막이 벽부(64)보다도 후방에 위치해 있다. 후방 통형부(63)는, 노크 부재(61)의 최후방으로 되는 부분을 이루고 있다. 전방 통형부(62) 및 후방 통형부(63)는, 통형 부위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크 유닛(60)의 노크 부재(61)는, 전방 통형부(62) 및 후방 통형부(63) 사이로 되는 위치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측방 돌출부(61a)를 가지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한 쌍의 측방 돌출부가, 180° 위상을 어긋나게 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측방 돌출부(61a)는, 축통(20)의 내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係合部)와 걸어맞춰서(계합해서), 노크 유닛(60)과 축통(20)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에 이용된다.
칸막이 벽부(64)는, 축방향(AD)에 있어서 전방 통형부(62)와 후방 통형부(63) 사이에 위치해 있다. 칸막이 벽부(64)는, 축방향(AD)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넓어지고, 노크 부재(61)의 내부를 구분하고 있다.
전방 통형부(62)는, 칸막이 벽부(64)와의 조합에 있어서, 후단이 폐쇄된 대략 원통형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표시체(70)는, 전방 통형부(62) 내에 수용되어 있다. 표시체(70)는, 전방 통형부(62)로부터 전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즉, 전방 통형부(62)는, 표시체(70)를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는 통형 부분(TP)을 구성하고 있다. 전방 통형부(62)는, 표시체(70)의 관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투명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투명이란, 무색 투명 뿐만이 아니라, 유색 투명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통형부(62)의 전단 부분의 외면에, 끼워맞춤 볼록부(62a)가 마련되어 있다. 끼워맞춤 볼록부(62a)는, 중간통 부재(50)의 뒤측 통부(51B)에 끼워맞춤으로써, 노크 유닛(60)과 중간통 부재(50)의 고정에 이용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 통형부(63)는, 칸막이 벽부(64)와의 조합에 있어서, 전단이 폐쇄된 대략 원통형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후방 통형부(63)는, 칸막이 벽부(64)와 함께, 부속구(66)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부속구(66)는, 전형적으로는, 오자를 수정하기 위한 지우개로 할 수가 있다. 부속구(66)의 그밖의 예로서, 볼펜이나 마킹펜, 수정 테이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용 터치펜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또한, 샤프펜슬(10)이, 가역 열 변색성 마이크로 캡슐 안료를 포함함과 함께 필기에 의해 가역 열 변색성을 가지는 필적을 형성 가능한 고형 심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지면과의 마찰열에 의해 상기 고형 심에 의한 필적의 색을 변색 혹은 소색(消色) 가능한 마찰 부재를 부속구(66)로 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뚜껑 부재(65)는, 후방 통형부(63)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부재이다. 뚜껑 부재(65)는, 부속구(66)의 수용 공간을 막을 수가 있다. 뚜껑 부재(65)의 내면에는, 후방 통형부(63)의 외면에 형성된 바깥나사부(63a)와 맞물리는 안나사부(65a)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도시된 예에 있어서, 뚜껑 부재(65)를 노크 부재(61)에 대해서 둘레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뚜껑 부재(65)를 노크 부재(61)로부터 떼어낼(분리할) 수가 있다. 이 때, 측방 돌출부(61a)가 축통(20)의 내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짐으로써, 노크 부재(61)의 축통(20)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쪽 손으로 축통(20)을 파지하고, 다른쪽 손으로 뚜껑 부재(65)를 조작함으로써, 뚜껑 부재(65)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가 있다.
다음에, 표시체(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체(70)는, 원통형의 바깥 형상을 가지고 있다. 표시체(70)는, 노크 부재(61)에 대해서 축방향(AD)을 따른 일정 범위 내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노크 부재(61)의 전방 통형부(62)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표시체(70)는, 도 7에 실선으로 나타낸 최전방으로 되는 최전방 위치와, 도 7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최후방으로 되는 최후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체(70)는, 최전방 위치에 있어서, 전방 통형부(62)의 내면에 마련된 규제 볼록부(62c)와 접촉하여,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표시체(70)는, 최후방 위치에 있어서, 칸막이 벽부(64)와 접촉해서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표시체(70)는, 심 수용 공간(S)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한다. 샤프펜슬(10)의 전방이 연직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해서 필기를 행하는 것을 상정하면, 심 수용 공간(S) 내에 있어서의 예비 심(SLE)의 유무에 따라, 표시체(70)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배치가 변화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표시체(70)가 축방향(AD)을 따라 가장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심 수용 공간(S)의 최단 길이(LSmin)(도 7 참조)가 예비 심(SLE)의 길이(LX)보다도 짧고, 그리고, 표시체(70)가 축방향(AD)을 따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심 수용 공간(S)의 최장 길이(LSMAX)(도 7 참조)가 예비 심(SLE)의 길이(LX)보다도 길다고 하는 두 조건의 양쪽이 만족되고 있다.
그리고, 축통(20)의 외부로부터,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적어도 특정의 위치에 있는 표시체(70)를 관찰할 수가 있다. 특히, 축통(20)의 외부로부터, 표시체(70)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샤프펜슬(10)에서는, 표시체(70)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심 수용 공간(S) 내에 있어서의 예비 심(SLE)의 유무를 판단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체(70)는, 원기둥형의 바깥 형상을 가지고 있다. 표시체(70)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위치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시체(70)의 원통형 외주면(측면)에 표시 대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표시체(70)의 위치를 지각해서 예비 심(SLE)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 대신에, 표시체(70)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예비 심(SLE)의 유무를 나타내는 표시를 행할 수가 있다. 표시체(70)에 형성되는 표시 대상은, 도형, 패턴, 디자인, 색채, 회화, 사진, 캐릭터 등의 그림(繪柄)(이미지)이나, 문자, 마크, 숫자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표시체(70)가 제1 색(예를 들면 적색)을 표시함으로써, 예비 심(SLE)이 없는 것을 나타내고, 표시체(70)가 제2 색(예를 들면 흑색)을 표시함으로써, 예비 심(SLE)이 있는 것을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축통(20)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게 하는 창부(22)가 축통(20)에 마련되어 있다. 도 1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축통(20)은, 창부(22)를 형성하는 영역에 있어서 투명하게 되어 있고, 창부(22)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불투명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창부(22)를 형성하는 영역 이외의 축통(20)의 영역에, 인쇄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혹은, 가식(꾸밈)용 필름을 첩부하는(붙이는) 것에 의해, 해당 영역을 불투명하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불투명하게 하기 위한 가공은, 전축통(20A), 중간 축통(20B), 후축통(20C), 전내측 축통(20D) 및 후내측 축통(20E)의 내면 및 외면의 어느것에 행해도 된다. 또, 창부(22)를 형성하는 영역은, 축통(20)에 마련한 구멍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축통(20) 중의 불투명하게 하는 가공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창부(22)는, 보기 쉬움의 편의로부터, 종단면도에 있어서도 점선이 아니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창부(22)는, 축방향(AD)에 있어서 표시체(70)가 이동 가능해지는 범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창부(22)는,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일부분에만 마련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한 쌍의 창부(22)가, 대칭적인 위치에, 바꾸어 말하면 180° 위상을 어긋나게 해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체(70)가 축방향(AD)에 있어서 창부(22)와 겹치는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한 쌍의 창부(22) 및 노크 유닛(60)의 투명한 전방 통형부(62)를 거쳐, 샤프펜슬(10)의 반대측을 시인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표시체(70)의 동작이 있으면, 표시체(70)의 존재를 의식하게 할 수 있어, 샤프펜슬(10)의 상품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창부(22)는, 축방향(AD)에 있어서 표시체(70)가 이동 가능하게 되는 범위의 일부분만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창부(22)의 배치에 의하면, 창부(22)를 거쳐 관찰되는 표시체(70)의 영역을, 예비 심(SLE)의 유무에 따라 변화시킬 수가 있다, 혹은, 예비 심(SLE)의 유무에 따라 표시체(70)가 창부(22)로부터 관찰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창부(22)로부터 관찰되는 상태의 변화에 따라, 표시체(70)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위치, 및/또는, 심 수용 공간(S) 내에 있어서의 예비 심(SLE)의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예비 심(SLE) 상에 지지된 표시체(70)를, 창부(22)를 거쳐 축통(20)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예비 심(SLE) 상에 지지되는 위치보다도 축방향(AD)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표시체(70)를, 축통(20)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히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전방 위치에 있는 표시체(70)를, 축통(20)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예비 심(SLE) 상에 지지된 표시체(70)와,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예비 심(SLE) 상에 지지되는 위치보다도 축방향(AD)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표시체(70)는, 축통(20)의 외부로부터, 다른(상이한) 부분이 관찰되게 되는 것으로 인해 다른 표시로서 관찰된다. 따라서, 창부(22)로부터 관찰되는 표시체(70)의 표시에 기초하여, 예비 심(SLE)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만,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창부(22)는, 하나만 마련되도록 해도 된다. 창부(22)는,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둘레형(周狀)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창부(22)는, 셋 이상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창부(22)가 복수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창부(22)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배치는, 도시된 예와 같이 일치하고 있어도 되고, 일부분에 있어서 중복되도록 해도 되며, 완전히 어긋나 있어도 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체(70)는, 앞측 표시 부재(70A)와, 축방향(AD)에 있어서의 후방에서 앞측 표시 부재(70A)에 인접한 뒤측 표시 부재(70B)를 가지고 있다. 앞측 표시 부재(70A) 및 뒤측 표시 부재(70B)는, 서로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서, 접속하고 있다. 앞측 표시 부재(70A)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는, 뒤측 표시 부재(70B)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또, 표시체(70)에는,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전방에 개구된 오목부(74)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74)는, 앞측 표시 부재(70A)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74)는, 내측 벽면(74a) 및 바닥 벽면(74b)에 의해서 획정(구획)되어 있다. 내측 벽면(74a)은, 중심 축선(CA)을 중심으로 한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바닥 벽면(74b)은, 축방향(AD)과 평행하지 않은 면에 의해서 형성되고, 전형적으로는 축방향(AD)과 수직인 면으로 되어 있다. 오목부(74)의 축방향(AD)을 따른 깊이는, 표시체(70)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의 절반 이상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펜슬(10)의 전방이 연직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해서 필기를 행하는 경우, 표시체(70)는, 심 수용 공간(S) 내에 예비 심(SLE)이 수용되어 있으면, 그 예비 심(SLE) 상에 지지된다. 이 때,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체(70)의 앞측 표시 부재(70A)가, 축방향(AD)과 수직인 방향으로 축통(20)의 창부(22)와 대면한다. 다시 말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창부(22)로부터 앞측 표시 부재(70A)의 외표면이 관찰된다. 한편, 심 수용 공간(S)의 예비 심(SLE)이 없는 경우, 샤프펜슬(10)의 전방이 연직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필기 시에, 표시체(70)는, 자체무게(자중)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도 7에 실선으로 나타내어진 최전방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체(70)의 뒤측 표시 부재(70B)가, 축방향(AD)과 수직인 방향으로 축통(20)의 창부(22)와 대면한다. 다시 말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창부(22)로부터 뒤측 표시 부재(70B)의 외표면이 관찰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측 표시 부재(70A) 및 뒤측 표시 부재(70B)의 외주면에는, 다른(상이한) 표시가 마련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앞측 표시 부재(70A) 및 뒤측 표시 부재(70B)의 외주면은, 다른 색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앞측 표시 부재(70A) 및 뒤측 표시 부재(70B)는, 다른 색의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창부(22)로부터 관찰되는 표시, 도시된 예에서는 창부(22)로부터 관찰되는 색에 따라, 심 수용 공간(S) 내에 있어서의 예비 심(SLE)의 유무를 판단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체(70)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체(70)는, 대략 원기둥형의 표시체 본체부(71)와, 표시체 본체부(71)로부터 돌출한 플랜지부(72)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72)는, 축방향(AD)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표시체 본체부(7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플랜지부(72)는, 축방향(AD)에 수직인 방향으로 표시체 본체부(7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심 수용 공간(S)에는, 심(LE) 및 예비 심(SLE)이 배치된다. 심(LE) 및 예비 심(SLE)이 서로 스치는(닿는) 것에 의해, 또, 심(LE) 또는 예비 심(SLE)이 심 수용 공간(S)을 획정(구획)하는 벽부 등에 스치는 것에 의해, 심 수용 공간(S) 내에는 심가루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심가루가, 표시체(70)와 표시체(70)를 수용하는 통형 부분(TP) 사이로 들어가는 것도 생각된다. 이 경우, 심가루가 통형 부분(TP)의 내면에 부착하여, 통형 부분(TP)이 더러워져 버린다. 결과로서, 창부(22)를 거친 표시체(70)의 시인성이 악화되어 버린다. 또, 심가루가, 축통(20)의 외부까지 유출되어 버리는 일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을 방지해서, 표시체(70)와 통형 부분(TP)(도시된 예에서는, 노크 부재(61)의 전방 통형부(62)) 사이에, 심 수용 공간(S) 내의 심가루가 들어가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부(72)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72)는, 표시체(70)의 전단에 마련되어 있다. 이 배치에 의하면, 표시체(70)와 통형 부분(TP) 사이로의 심가루의 유입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창부(22)를 거친 표시체(70)의 시인성 악화를 회피하는 관점에서, 플랜지부(72)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창부(22)가 마련된 범위에 적어도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 있어서, 플랜지부(72)는, 표시체 본체부(71)의 주위에 고리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예비 심(SLE)이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샤프펜슬(10)의 전방을 연직 방향 아래쪽으로 하는 필기 상태에 있어서, 표시체(70)는 축방향(AD)에 있어서 대체로 일정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한편, 플랜지부(72)는, 표시체(70)의 이동 시에 표시체(70)를 수용하는 통형 부분(TP)에 부착한 심가루를 닦아내거나 또는 긁어모으는 것으로 인해, 플랜지부(72)에는 심가루가 부착하기 쉬워진다. 결과로서, 표시체(70)를 수용하는 통형 부분(TP) 중의 플랜지부(72)와 대면하기 쉬워지는 위치에도, 심가루가 국소적으로 부착하기 쉬워진다. 이 점을 고려해서, 도시된 예에서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펜슬(10)의 필기 시에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예비 심(SLE)에 의해서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전방으로부터 지지된 표시체(70)의 플랜지부(72)는, 창부(22)보다도 축방향(AD)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창부(22)에 대해서 플랜지부(72)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위치를 조절해 둠으로써, 심가루가 부착하기 쉬운 플랜지부(72)를 창부(22)로부터 관찰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또, 창부(22)에 심가루가 국소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플랜지부(72)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는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부(72)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표시체(70)를 수용하는 통형 부분(TP)과 플랜지부(72)가 스치는 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체(70)의 축방향(AD)으로의 이동 시에 있어서의 마찰을 저감하여, 표시체(70)의 이동을 원활화할 수가 있다. 또, 심가루가 부착한 상태로 되기 쉬운 플랜지부(72)를 소형화해서, 더러움을 눈에 띄기 어렵게(눈에 잘 띄지 않게) 할 수가 있다. 또한, 통형 부분(TP)의 내면 중의 플랜지부(72)에 의해서 심가루가 문질러대어질 수 있는 영역을 효과적으로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체(70)는, 플랜지부(72)에 더하여 후방 플랜지부(73)도 가지고 있다. 후방 플랜지부(73)는, 축방향(AD)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표시체 본체부(7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후방 플랜지부(73)는, 축방향(AD)에 수직인 방향으로 표시체 본체부(7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후방 플랜지부(73)를 마련함으로써, 심 수용 공간(S) 내의 심가루가 축통(20)의 외부까지 유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후방 플랜지부(73)는, 표시체 본체부(71)의 후단에 마련되어 있다. 후방 플랜지부(73)를 표시체 본체부(71)의 후단에 마련함으로써, 표시체(70)를 수용한 통형 부분(TP)으로부터 심가루가 유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심가루가 부착한 상태로 되기 쉬운 후방 플랜지부(73)가 창부(22)를 거쳐 시인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더러움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가 있다.
또, 후방 플랜지부(73)는, 표시체 본체부(71)의 주위에 고리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방 플랜지부(73)가 표시체 본체부(71)의 주위에 둘레형으로 연장됨으로써, 표시체(70)를 수용한 통형 부분(TP)으로부터 심가루가 유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예비 심(SLE)이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샤프펜슬(10)의 전방을 연직 방향 아래쪽으로 하는 필기 상태에 있어서, 표시체(70)는 축방향(AD)에 있어서 가장 전방으로 되는 최전방 위치(도 7의 실선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후방 플랜지부(73)는, 표시체(70)의 이동 시, 후방 플랜지부(73)를 수용하는 통형 부분(TP)에 부착한 심가루를 닦아내는 것으로 인해, 심가루는 후방 플랜지부(73)에 부착하기 쉬워진다. 결과로서, 표시체(70)를 수용하는 통형 부분(TP) 중의 후방 플랜지부(73)와 대면하기 쉬워지는 위치에도, 심가루가 국소적으로 부착하기 쉬워진다. 이 점을 고려해서, 축방향(AD)에 있어서 가장 전방으로 되는 최전방 위치로 이동한 표시체(70)의 후방 플랜지부(73)는, 창부(22)보다도 축방향(AD)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서 창부(22)에 대해서 후방 플랜지부(73)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위치를 조절해 둠으로써, 심가루가 부착하기 쉬운 후방 플랜지부(73)를 창부(22)로부터 관찰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또, 창부(22)에 심가루가 국소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후방 플랜지부(73)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는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플랜지부(73)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표시체(70)를 수용하는 통형 부분(TP)과 후방 플랜지부(73)가 스치는 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체(70)의 축방향(AD)으로의 이동 시에 있어서의 마찰을 저감하여, 표시체(70)의 이동을 원활화할 수가 있다. 또, 심가루가 부착한 상태로 되기 쉬운 후방 플랜지부(73)를 소형화해서, 더러움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가 있다. 또한, 통형 부분(TP)의 내면 중의 후방 플랜지부(73)에 의해서 심가루가 문질러대어질 수 있는 영역을 효과적으로 작게 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크 유닛(60)의 노크 부재(61)는, 표시체(70)를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형 부분(TP)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형 부분(TP) 내에서의 표시체(70)의 축방향(AD)으로의 이동을 원활화하기 위해, 통형 부분(TP)에 통기용 구멍(穴)(H)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한 쌍의 구멍(H)이, 대칭적인 위치에, 바꾸어 말하면 180° 위상을 어긋나게 해서 배치되어 있다.
구멍(H)은, 축방향(AD)에 있어서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최후방 위치에 있는 표시체(70)보다도 축방향(AD)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 의하면, 표시체(70)의 후방에 있어서 통형 부분(TP) 내로의 공기 유입 및 통형 부분(TP)으로부터의 공기 유출을 안정되게 행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통형 부분(TP) 내에 있어서의 표시체(70)의 축방향(AD)으로의 이동을 원활화할 수가 있다.
다른 예로서, 구멍(H)이 표시체(70)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이동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하는 예와 같이, 구멍(H)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예를 들면 직경)는, 후방 플랜지부(73)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 의하면, 표시체(70)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위치에 의하지 않고, 예를 들면 표시체(70)의 후방 플랜지부(73)가 구멍(H)과 축방향(AD)에 있어서의 동일한 영역에 위치해 있었다고 해도, 통형 부분(TP) 내로의 공기 유입 및 통형 부분(TP) 내로부터의 공기 유출을 안정되게 행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통형 부분(TP) 내에 있어서의 표시체(70)의 축방향(AD)으로의 이동을 안정 또한 원활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플랜지부(72)가 구멍(H)과 축방향(AD)에 있어서의 동일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는 경우에는, 마찬가지 이유로 인해, 구멍(H)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예를 들면 직경)가, 플랜지부(72)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구멍(H)의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의 그 구멍(H)의 면적은, 축방향(AD)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통형 부분(TP)과 표시체(70)의 최대 면적으로 되는 부분 사이의 간극의 면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구멍(H)의 면적이, 축방향(AD)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통형 부분(TP)(전방 통형부(62))과 표시체(70)의 플랜지부(72) 사이의 간극의 면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또한, 축방향(AD)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통형 부분(TP)과 표시체(70)의 후방 플랜지부(73) 사이의 간극의 면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구멍(H)의 면적이, 축방향(AD)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통형 부분(TP)(전방 통형부(62))과 표시체(70)의 표시체 본체부(71) 사이의 간극의 면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예에 의하면, 통형 부분(TP) 내로의 공기 유입 및 통형 부분(TP)으로부터의 공기 유출을 유효하게 안정시킬 수가 있다.
이상에 있어서, 샤프펜슬(10)의 구성과, 표시체(70)의 작용, 구체적으로는 예비 심(SLE)의 유무 표시 및 통형 부분(TP) 내에 있어서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해지는 것을 설명했다. 다음에, 샤프펜슬(10)의 필기 시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샤프펜슬(10)에서는, 노크 조작으로서, 노크 유닛(60)을 축방향(AD)을 따른 전방으로 누른다. 우선, 노크 유닛(60)이, 중간통 부재(50)와 함께, 중간 바이어스 부재(28)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전진한다. 도 4에 도시된 중간통 부재(50)의 안쪽 리브(52)와 심 수용통(44)의 후단면(44a) 사이의 간극(G)의 길이만큼, 노크 유닛(60) 및 중간통 부재(50)가 전진하면, 안쪽 리브(52)와 후단면(44a)의 접촉에 의해, 중간통 부재(50)가 심 보유지지 유닛(40)을 전방으로 누른다. 또한, 노크 조작이 계속되어, 심 보유지지 유닛(40)이 전진한다. 심 보유지지 유닛(40)이 꼭지쇠 유닛(30)에 대해서 전방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심 보유지지 유닛(40)이 심(LE)을 조출한다.
여기서, 도 8 내지 도 11은, 노크 조작 시에 있어서의 샤프펜슬(10)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노크 조작은, 샤프펜슬(10)의 전방이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자세로 실시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심 수용 공간(S) 내에 예비 심(SLE)을 포함한 샤프펜슬(1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노크 조작에 의해서 노크 유닛(60)이 최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어서, 창부(22)와 대면하는 영역에는, 표시체(70)의 앞측 표시 부재(70A)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뒤측 표시 부재(70B)가 약간(조금) 시인되게 된다. 즉, 심 수용 공간(S) 내에 예비 심(SLE)이 있는 경우, 노크 조작으로 노크 유닛(60)을 다(완전히) 누른 상태에 있어서, 창부(22)로부터 관찰될 수 있는 표시체(70)의 표시가 변화된다. 이와 같은 노크 조작에 수반한 표시의 변화는, 사용자의 주의를 끌어 표시 기능을 다시 인식시키게 되어, 샤프펜슬(10)의 상품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 및 도 11은, 심 수용 공간(S) 내에 예비 심(SLE)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샤프펜슬(10)의 노크 조작 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노크 조작에 의해서 노크 유닛(60)이 최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어서, 창부(22)와 대면하는 영역에는, 표시체(70)의 뒤측 표시 부재(70B)가 약간 남게 된다. 이 때, 그 영역의 50%를 넘는 대부분에 표시체(70)는 대면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한 쌍의 창부(22)를 거쳐 샤프펜슬(10)의 반대측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심 수용 공간(S) 내에 예비 심(SLE)이 없는 경우에도, 노크 조작으로 노크 유닛(60)을 다 누른 상태에 있어서, 창부(22)로부터 관찰될 수 있는 표시가 변화된다. 특히 창부(22)를 거쳐 샤프펜슬(10)의 반대측이 시인된다고 하는 의외성에 의해, 사용자의 주의를 크게 끌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표시 기능을 다시 인식시키게 되어, 샤프펜슬(10)의 상품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도시된 샤프펜슬(10)에 있어서, 표시체(70)는 압축 스프링 등에 의해 바이어스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샤프펜슬(10)의 사용 중, 샤프펜슬(10)의 전방이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태와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태 사이에서, 샤프펜슬(10)의 자세(기울기)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노크 유닛(60)의 통형 부분(TP) 내에서 표시체(70)가 축방향(AD)으로 이동한다. 즉, 샤프펜슬(10)의 기울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창부(22)로부터 관찰되는 표시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도, 사용자에게 표시 기능을 다시 인식시켜, 샤프펜슬(10)의 상품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런데,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펜슬(10)은, 심 수용통(44)에 관통된 중량체(48)를 더 가지고 있다. 중량체(48)는, 금속에 의해 제작된 통형 부재이다. 중량체(48)는, 심 보유지지 유닛(40)에 대해서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중량체(48)는, 중간통 부재(50)와 접촉할 때까지 후방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또, 중량체(48)는, 심 보유지지 유닛(40)의 척 보유지지 부재(42)의 후단면과 접촉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중량체(48)는, 샤프펜슬(10)을 전방으로 흔들었을 때에, 그 관성력에 의해서 척 보유지지 부재(42)를 포함하는 심 보유지지 유닛(40)을 꼭지쇠 유닛(30)에 대해서 전방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 샤프펜슬(10)의 사용자는, 노크 유닛(60)을 누르는 것 대신에, 전방으로 흔드는 것에 의해서도 심(LE)을 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시된 예에서는, 중간통 부재(50)가, 심 보유지지 유닛(40)의 후방에 마련되어, 축통(20) 내에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통 부재(50)는, 통형 본체부(51)와, 통형 본체부(5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한 안쪽 리브(52)를 가지고, 축방향(AD)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안쪽 리브(52)가 심 수용통(44)의 후단면(44a)과 접촉해서 심 보유지지 유닛(40)을 전방으로 누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간통 부재(50)를 마련함으로써, 중간통 부재(50)에 대해서 심 보유지지 유닛(40)을 축방향(AD)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중간통 부재(50) 및 이 중간통 부재(50)에 장착될 수 있는 노크 유닛(60)을 축방향(AD)에 있어서 정지시킨 상태에서, 심 보유지지 유닛(40)을 축방향(AD)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중량체를 이용하여 샤프펜슬(10)을 축방향(AD)으로 흔듦으로써 심(LE)의 조출을 행하는 구성이나, 심(LE)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심 보유지지 유닛(40)을 후퇴시켜서 심(LE)을 보호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 노크 유닛(6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점에 있어서, 호적하다.
특히, 샤프펜슬(10)을 전후로 흔든 경우, 중량체(48)는 후방으로도 이동한다. 후방으로 이동한 중량체(48)는, 노크 유닛(60)이 아니라, 중간통 부재(50)와 충돌한다. 중간통 부재(50)는, 축통(20)의 후내측 축통(20E)에 마련된 돌기(20Ea)(도 4 참조)에 의해서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샤프펜슬(10)을 전후로 흔들었을 때에, 노크 유닛(60)이 축통(20)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심 수용 공간(S) 내에 예비 심(SLE)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안쪽 리브(52)와 심 수용통(44)의 후단면(44a)의 간극(G) 분만큼 노크 유닛(60)이 전진하는 동안, 표시체(70)는 예비 심(SLE)에 의해서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되고 있다. 이 동안, 심 수용통(44)을 포함하는 심 보유지지 유닛(40)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위치는 유지되고 있으므로, 표시체(70)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위치도 변화되지 않는다. 그 후, 노크 유닛(60)이 심 보유지지 유닛(40)과 함께 전진함으로써, 표시체(70)도 전진해서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즉, 사용자의 노크 유닛(60)에 대한 조작에 늦어, 표시체(70)의 이동이 개시해서 창부(22)로부터 관찰되는 표시체(70)의 표시가 변화된다. 이와 같은 표시 전환의 의외성에 의해서도, 사용자의 주의를 크게 끌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표시 기능을 다시 인식시키게 되어, 샤프펜슬(10)의 상품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심 수용 공간(S) 내에 예비 심(SLE)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표시체(70)는, 노크 유닛(60)의 규제 볼록부(62c)(도 5 참조)에 의해서,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된다. 따라서, 표시체(70)는, 심 보유지지 유닛(40)이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도, 노크 유닛(60)의 전진과 동기해서 전진한다. 즉, 심 수용 공간(S) 내에 있어서의 예비 심(SLE)의 유무에 따라, 창부(22)로부터 관찰되는 표시체(70)의 표시 전환 타이밍이 다르다. 이 점에 의해서도, 사용자의 주의를 끌어, 샤프펜슬(10)의 상품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심 수용 공간(S)과 심 보유지지 유닛(40)의 척(41) 사이를 연결하는 심 송출 구멍(LEA)은, 비교적 길게 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척(41)을 보유지지하는 척 보유지지 부재(42) 및 척 보유지지 부재(42)에 보유지지된 심 수용통(44) 내에, 보조통재(내측 보조통(45) 및 내측 유도 부재(46))를 배치해서, 심 송출 구멍(LEA)을 길게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심 수용 공간(S)의 전단과 꼭지쇠 유닛(30)의 전단 사이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LB)는, 예비 심(SLE)의 길이의 절반보다도 길게 되어 있고,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예비 심(SLE)의 길이(LX)의 2/3보다도 길게, 나아가서는 예비 심(SLE)의 길이(LX)의 3/4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샤프펜슬(10)에 의하면, 척(41)에 의해서 보유지지된 심(LE)이 축방향(AD)에 대해서 크게 경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심 보유지지 유닛(40)으로부터의 심(LE)의 조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그런데, 이 샤프펜슬(10)에서는, 샤프펜슬(10)의 전방이 연직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 통상의 필기 시 및 노크 조작 시에, 예비 심(SLE) 상에 표시체(70)가 재치(載置)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벽면(FS)은, 축방향(AD)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심 송출 구멍(LEA)으로부터 이간됨에 따라서 축방향(AD)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기울어 있다. 따라서, 심 수용 공간(S) 내의 예비 심(SLE)은, 표시체(70)의 무게에 의해서 밀려, 심 수용 공간(S)의 앞벽면(FS)에 개구된 심 송출 구멍(LEA)으로 유도된다. 즉, 표시체(70)의 무게를 이용해서, 심 수용 공간(S) 내의 예비 심(SLE)을 심 송출 구멍(LEA)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가 있다.
그 한편으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심 수용 공간(S)의 전단과 꼭지쇠 유닛(30)의 전단 사이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LB)는, 예비 심(SLE)의 길이보다도 짧다. 즉, 척(41)에 의해서 파지된 심(LE)의 소모량이 적은 경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심(LE)은 앞벽면(FS)으로부터 심 수용 공간(S) 내로 돌출한다. 따라서, 척(41)에 보유지지되어 후단이 심 수용 공간(S)으로 돌출한 심(LE)과 앞벽면(FS) 사이에, 예비 심(SLE)이 쐐기와 같이 들어가서 심(LE)의 원활한 조출이 곤란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서, 앞벽면(FS)의 축방향(AD)에 대한 경사 각도(θx)는, 종래의 샤프펜슬과는 달리, 너무 작지 않은 편이 좋다. 심(LE)의 조출을 원활화하는 관점에서, 경사 각도(θx)는, 45°보다 크고 8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60°보다 크고 85°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보다 크고 85° 미만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고, 75°보다 크고 85° 미만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경사 각도(θx)를 이와 같이 설정해 둠으로써, 척(41)에 보유지지되어 심 수용 공간(S)까지 연장되는 심(LE)과 앞벽면(FS) 사이에, 표시체(70)의 무게에 의해서 밀린 예비 심(SLE)의 선단이 끼어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심 송출 구멍(LEA)에 삽입된 심(LE)의 조출이 예비 심(SLE)에 의해서 저해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그 한편으로, 심 송출 구멍(LEA)으로부터 심(LE)이 축방향 후방으로 연장돌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예비 심(SLE)을 심 송출 구멍(LEA)으로 안정되게 유도할 수가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앞벽면(FS)은 회전 대칭으로 되어 있다. 특히, 앞벽면(FS)은, 원뿔대의 측면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앞벽면(FS)에 의하면, 심 수용 공간(S) 내에 다수의 예비 심(SLE)을 분산해서 수용할 수 있고, 또한, 심 송출 구멍(LEA)으로부터 심(LE)이 축방향 후방으로 연장돌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예비 심(SLE)을 심 송출 구멍(LEA)으로 안정되게 유도할 수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는, 심 수용 공간(S) 내에 있어서의 예비 심(SLE)의 축방향(AD)에 대한 경사 각도가 커지면, 현저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심 수용 공간(S) 내에서의 예비 심(SLE)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하기 위한 궁리로서, 심 수용 공간(S)은,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안치수(안폭, 내경)가 좁아진 축폭부(SC)를 가지고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 있어서, 축폭부(SC)는, 중간통 부재(50)의 안쪽 리브(52)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쪽 리브(52)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중간통 부재(50)의 안폭(내경)은, 심 수용통(44)의 안폭(내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안쪽 리브(52)에 의해서 구성되는 축폭부(SC)를 마련함으로써,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예비 심(SLE)이 축방향(AD)에 대해서 크게 경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척(41)에 보유지지되어 심 수용 공간(S)까지 연장되는 심(LE)과 심 수용 공간(S)을 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앞벽면(FS) 사이에, 표시체(70)의 무게에 의해서 밀린 예비 심(SLE)의 선단이 쐐기와 같이 끼어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가 있다. 결과로서, 노크 조작 시에 있어서의 심(LE)의 조출을 안정하게 또한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 아울러,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예비 심(SLE)이 후단에 있어서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노크 유닛(60)의 중간통 부재(50)에의 부착을 용이하게 또한 안정되게 행할 수가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심 수용 공간(S)의 전단으로부터 축폭부(SC)까지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LC)(도 2 참조)는, 예비 심(SLE)의 길이의 절반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축폭부(SC)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예비 심(SLE)이 축방향에 대해서 크게 경사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예비 심(SLE)이 후단에 있어서 퍼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된 예와는 달리, 안쪽 리브(52)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중간통 부재(50)의 안폭이 심 수용통(44)의 안폭보다도 크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중간통 부재(50)에 의하면, 심 수용 공간(S)의 안쪽 리브(52)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심(LE)이 막혀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 꼭지쇠 유닛(30)으로부터 새로운 예비 심(SLE)을 샤프펜슬(10) 내로 삽입해서 심 수용 공간(S) 내에 심(LE)을 보충한 경우에, 심(LE)이 안쪽 리브(52)에서 걸려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시된 예와는 달리, 안쪽 리브(52)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중간통 부재(50)의 안폭이 심 수용통(44)의 안폭과 동일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중간통 부재(50)에 의하면, 심 수용 공간(S)의 안쪽 리브(52)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심(LE)이 막혀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 꼭지쇠 유닛(30)으로부터 새로운 예비 심(SLE)을 샤프펜슬(10) 내로 삽입해서 심 수용 공간(S) 내에 심(LE)을 보충하는 경우나, 중간통 부재(50)를 거쳐 심 수용통(44)에 심(LE)을 보충하는 경우에, 심(LE)이 안쪽 리브(52)에서 걸려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중간통 부재(50)를 거쳐 심 보유지지 유닛(40)을 안정되게 축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예비 심(SLE)의 보충에 대하여 설명한다. 심 수용 공간(S)에 예비 심(SLE)을 보충하는 경우, 샤프펜슬(10)로부터 노크 유닛(60)을 후방으로 뽑아낸다. 노크 유닛(60)을 뽑아냄으로써, 도 4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축통(20) 내에서 후방을 향해 중간통 부재(50)가 노출된다. 중간통 부재(50)는, 최후방 측에, 폭이 넓은(확경(擴徑)된) 뒤측 통부(51B)가 위치해 있다. 이 뒤측 통부(51B) 내에 예비 심(SLE)을 삽입함으로써, 예비 심(SLE)은, 전방을 향해 끝이 가늘어진 중간 테이퍼부(51C)를 거쳐, 앞측 통부(51A) 및 심 수용통(44)으로 유도된다. 예비 심(SLE)을 삽입한 후, 노크 유닛(60)을 축통(20)의 후방에 삽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통 부재(50)의 안쪽 리브(52)에 의해서,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된 복수의 예비 심(SLE)이 후단에 있어서 퍼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창부(22) 및 중간통 부재(50)로 유도되도록 해서, 노크 유닛(60)을 샤프펜슬(10)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샤프펜슬(10)의 전단 개구(30a)로부터 예비 심(SLE)을 삽입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 때,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 개구(30a)로부터 새롭게 삽입된 예비 심(SLE)의 후단 상에, 심 수용 공간(S) 내에 이미 수용되어 있던 예비 심(SLE)의 선단이 겹치는 것도 상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샤프펜슬(10) 내에 있어서, 두 개의 예비 심(SLE)이 축방향(AD)으로 직렬로 늘어서는 것이 상정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에 위치하는 예비 심(SLE)은, 전방에 위치하는 예비 심(SLE)에 의해서, 심 수용 공간(S)의 앞벽면(FS)으로부터 후방으로 밀어넣어진다. 여기서, 심 수용 공간(S)의 축방향으로의 길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전방에 위치하는 예비 심(SLE)의 후단면과 심 수용 공간(S)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후벽면(BS) 사이에, 후방에 위치하는 예비 심(SLE)이 끼인다. 결과로서, 두 개의 예비 심(SLE)의 어느것인가가 부러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 이와 같은 문제는, 샤프펜슬(10)의 전단 개구(30a)로부터 예비 심(SLE)을 삽입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길게 조출한 심(LE)을 재차 샤프펜슬(10) 내로 되돌릴 때에도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체(70)가 축방향(AD)을 따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도 7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최후방 위치)에서의 심 수용 공간(S)의 후단과, 꼭지쇠 유닛(30)의 전단 사이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LA)(도 7 참조)는, 심 수용 공간(S) 내에 수용되는 예비 심(SLE)의 길이(LX)(도 2 참조)의 2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척(41)에 보유지지된 심(LE)의 후단에 예비 심(SLE)이 축방향(AD)과 겹쳐져 배치된 경우에도, 표시체(70)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그 예비 심(SLE)을 심 수용 공간(S)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꼭지쇠 유닛(30)으로부터 새로운 예비 심(SLE)을 샤프펜슬(10) 내로 삽입한 경우나, 꼭지쇠 유닛(30)으로부터 조출한 심(LE)을 샤프펜슬(10) 내로 되돌린 경우에, 심을 최후(끝)까지 밀어넣을 수 없게 되는 것이나, 심 수용 공간에서 심이 부러져 버린다고 한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도시 예에 있어서는, 노크 유닛(60)이 중간통 부재(50)와 함께 심 보유지지 유닛(40)을 향해 전방으로 상대 이동할 수가 있다. 이 때의 상대 이동량은, 비노크 시(노크 유닛(60)을 누르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심 수용통(44)의 후단면(44a)과 중간통 부재(50)의 안쪽 리브(52)의 축방향(AD)을 따른 간극(G)의 길이로 된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는, 표시체(70)가 축방향(AD)을 따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심 수용 공간(S)의 후단과, 꼭지쇠 유닛(30)의 전단 사이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LA)(도 7 참조)가, 심 수용 공간(S) 내에 수용되는 예비 심(SLE)의 길이(LX)(도 2 참조)의 2배의 길이와, 비노크 시에 있어서의 간극(G)의 길이를 모두 더한 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심을 최후까지 후방으로 밀어넣을 수 없게 되는 것이나 심 수용 공간에서 심이 부러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의 회피에 대해서,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노크 조작을 행한 경우, 통상, 후방에 위치하는 예비 심(SLE)은, 심 송출 구멍(LEA)에 삽입된 전방의 심(LE)의 후단으로부터, 축방향(AD)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어긋나도록 유도된다. 따라서, 길이 LA(도 7 참조)가, 예비 심(SLE)의 길이(LX)의 2배의 길이와, 비노크 시에 있어서의 간극(G)의 길이를 모두 더한 길이 이상으로 되는 것은, 필수 조건은 아니고, 길이 LA(도 7 참조)가 예비 심(SLE)의 길이(LX)의 2배의 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유효하게 문제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간극(G)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길이는, 심 수용 공간(S)을 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앞벽면(FS)과, 심 수용 공간(S)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표시체(70)를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형 부분(TP)의, 축방향(AD)으로의 상대 이동 가능한 길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또, 통상의 노크 조작 중, 심 보유지지 유닛(40)의 조임구(43)가 꼭지쇠 유닛(30)의 규제 단차부(32a)와 접촉함으로써, 척(41)의 머리부(41a)는 심(LE)을 해방시킨다. 척(41)으로부터 해방된 심(LE)은, 심 보유지지 부재(37)에 의해서 가만히 멈춘 상태로 보유지지된다. 다시 말해, 1회의 노크 조작에 의해서 조출되는 심의 길이는, 1회의 노크 조작 시에 심 보유지지 유닛(40)이 전진하는 길이보다도 짧다. 그리고, 심(LE)의 후방에 예비 심(SLE)이 직렬로 늘어서 있는 경우, 노크 유닛(60)과 함께 전진하는 표시체(70)가, 예비 심(SLE)을 거쳐 심(LE)을 전방으로 밀어내게 되는 것이 상정된다. 다시 말해, 척(41)에 보유지지된 심(LE)에 후방으로부터 겹친 예비 심(SLE)을, 노크 조작 시에, 노크 유닛(60) 및 표시체(70)에 의해서 밀어 버려, 1회의 노크 조작으로 조출되는 길이보다도 길게 심(LE)이 조출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지도 모른다.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해서, 1회의 노크 조작으로 조출되는 심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는 관점에서, 표시체(70)가 축방향(AD)을 따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심 수용 공간(S)의 후단과, 꼭지쇠 유닛(30)의 전단 사이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LA)(도 7 참조)가, 심 수용 공간(S) 내에 수용되는 예비 심(SLE)의 길이(LX)(도 2 참조)의 2배의 길이에, 1회의 노크 조작 시에 심 보유지지 유닛(40)이 전진하는 길이와 1회의 노크 조작으로 예정된 심의 조출 길이의 차를, 모두 더한 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상술한 샤프펜슬(10)에서는 간극(G)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1회의 노크 조작으로 조출되는 심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는 관점에 있어서, 길이 LA(도 7 참조)가, 예비 심(SLE)의 길이(LX)(도 2 참조)의 2배의 길이에, 1회의 노크 조작 시에 심 보유지지 유닛(40)이 전진하는 길이와 1회의 노크 조작 시에 예정된 심의 조출 길이의 차와, 간극(G)의 길이를 모두 더한 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을 보면, 표시체(70)가 축방향(AD)을 따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심 수용 공간(S)의 후단과, 꼭지쇠 유닛(30)의 전단 사이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LA)(도 7 참조)가, 심 수용 공간(S) 내에 수용되는 예비 심(SLE)의 길이(LX)(도 2 참조)의 2배의 길이에, 1회의 노크 조작 시에 노크 유닛(60)이 전진하는 길이를 모두 더한 길이로 되어 있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표시체(70)가 축방향(AD)을 따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심 수용 공간(S)의 후단과, 꼭지쇠 유닛(30)의 전단 사이의 노크 조작 시에 있어서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가, 심 수용 공간(S) 내에 수용되는 예비 심(SLE)의 길이(LX)(도 2 참조)의 2배의 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설정에 의하면, 심 보유지지 유닛(40)에 보유지지된 심(LE)의 후단에 예비 심(SLE)이 축방향(AD)으로 늘어섰다고 해도, 예비 심(SLE)이 부러져 버리는 것이나, 1회의 노크 조작으로 내보내지는 길이보다도 크게(길게) 심(LE)이 조출되어 버리는 것을, 보다 안정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노크 조작을 행한 경우, 통상, 후방에 위치하는 예비 심(SLE)은, 심 송출 구멍(LEA)에 삽입된 전방의 심(LE)의 후단으로부터, 축방향(AD)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어긋나도록 유도된다. 따라서, 길이 LA(도 7 참조)가, 예비 심(SLE)의 길이(LX)의 2배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는 것은, 보다 바람직한 조건이지 필수 조건은 아니며, 길이 LA(도 7 참조)가 예비 심(SLE)의 길이(LX)의 2배의 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예비 심(SLE)의 파손을 방지한다고 한 유효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도시된 샤프펜슬(10)에서는, 표시체(70)가 축방향(AD)을 따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최후방 위치)에서의 심 수용 공간(S)의 후단과 꼭지쇠 유닛(30)의 전단 사이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LA)를 충분히 길게 확보하고 있다. 그렇지만, 표시체(70)에는,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전방에 개구된 오목부(74)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체예에 의하면, 표시체(70)의 오목부(74)가 심 수용 공간(S)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샤프펜슬(10)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심 수용 공간(S)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를 충분히 길게 확보할 수가 있다. 또 아울러, 표시체(70)의 외주면 상에 축방향으로 크게 넓어지는 표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가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 있어서, 오목부(74)의 축방향(AD)을 따른 깊이(LD)는, 표시체(70)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LL)의 절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 조건은, 샤프펜슬(10)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표시체(70)의 표시 스페이스를 크게 하고 또한 심 수용 공간(S)의 길이를 길게 하는데 있어서, 우위인 조건으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표시체(70)를 이용함으로써, 샤프펜슬(10)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표시체(70)의 표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크게 하고 또한 심 수용 공간(S)의 길이를 유효하게 길게 할 수가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표시체(70)는, 오목부(74)를 구획하는 내측 벽면(74a) 및 바닥 벽면(74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심 수용 공간(S)의 뒷벽면(BS)을 형성하는 바닥 벽면(74b)은, 축방향(AD)과 평행하지 않은 면으로 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 있어서, 바닥 벽면(74b)은 축방향(AD)에 수직인 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심 수용 공간(S)은 축방향(A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얼마간(다소) 넓어지고, 또한, 심 수용 공간(S) 내에 수용된 예비 심(SLE)은 뒷벽면(BS)에 의해서 축방향(AD)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이동이 유도된다. 이것에 의해, 척(41)에 보유지지된 심(LE)에 예비 심(SLE)이 후방으로부터 접촉해서 축방향(AD)으로 늘어선 상태를, 해소하기 쉽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 벽면(74b)은, 축방향(AD)에 대해서 경사진 면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바닥 벽면(74b)은, 지름 방향 바깥쪽을 향해 후방으로 되도록 경사진 면이더라도 되고, 지름 방향 바깥쪽을 향해 전방으로 되도록 경사진 면이더라도 된다. 바닥 벽면(74b)이 지름 방향 바깥쪽을 향해 후방으로 되도록 경사진 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예비 심(SLE)을, 중심 축선(CA)으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분산시킬 수가 있다. 바닥 벽면(74b)이 지름 방향 바깥쪽을 향해 전방으로 되도록 경사진 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예비 심(SLE)을 지름 방향에 있어서 중심 축선(CA)에 모아서, 심 송출 구멍(LEA)으로의 예비 심(SLE)의 유도를 더욱더 원활화시킬 수가 있다.
그런데, 필기를 행할 때, 통상, 샤프펜슬(10)은, 중심 축선(CA)이 지면의 법선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사용자에 의해서 파지된다. 이 때문에, 전단 개구(30a)로부터 돌출한 필기심(LE)에는, 축방향(AD)의 성분과 축방향(AD)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성분을 포함하는 필압이 가해진다. 도시된 샤프펜슬(10)은, 이와 같은 필압으로부터 필기심(LE)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해서, 샤프펜슬(10)이 필기심(LE)을 보호할 때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필기심(LE)에 대해서 축방향(AD)에 수직인 방향(지름 방향)으로 소정의 값보다 큰 힘(필압)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에서의, 도 1의 샤프펜슬(10)의 전방 부분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기심(LE)에 높은 필압이 가해지면, 축방향(AD)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필압의 성분에 의해서, 꼭지쇠 유닛(30)이 전체적으로 중심 축선(CA)에 대해서 경동한다(기울어 움직인다). 이 때, 꼭지쇠 유닛(30)의 꼭지쇠 기단 부재(32)가, 축통(20)의 내면과 접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기단 부재(33)의 테이퍼 벽부(33a)가, 전축통(20A)의 유도 어깨부(肩部)(20Aa)와 접촉한다. 제1 기단 부재(33)의 테이퍼 벽부(33a)는, 꼭지쇠 기단 부재(32)의 전단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테이퍼 벽부(33a)는, 전방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원뿔대의 측면과 마찬가지 바깥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한편, 유도 어깨부(20Aa)는, 축통(20)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유도 어깨부(20Aa)는, 전축통(20A)의 전방 부분에 마련되어, 축방향(AD)에 수직인 방향으로 테이퍼 벽부(33a)와 대면하고 있다. 테이퍼 벽부(33a)가 유도 어깨부(20Aa)에 밀어붙여짐으로써, 꼭지쇠 유닛(30)의 꼭지쇠 기단 부재(32)는, 꼭지쇠 바이어스 부재(38)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축통(20)에 대해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꼭지쇠 기단 부재(32)와 동기해서, 꼭지쇠 기단 부재(32)에 보유지지된 심 보유지지 유닛(40)도 축통(20)에 대해서 축방향 후방으로 상대 이동한다.
한편, 꼭지쇠 유닛(30)의 꼭지쇠 선단 부재(31)는, 선단 바이어스 부재(36)에 의해서, 꼭지쇠 기단 부재(32)에 대해서 전방으로 바이어스되고 있다. 따라서, 꼭지쇠 선단 부재(31)는, 꼭지쇠 기단 부재(32)에 대해서 전방으로 상대 이동하여, 축통(20)에 전단 부분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결과로서, 심 보유지지 유닛(40)에 보유지지된 필기심(LE)은 후방으로 이동하고, 꼭지쇠 선단 부재(31)는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위치를 대체로 유지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전단 개구(30a)로부터 돌출한 필기심(LE)의 길이가 짧아져, 이 심(LE)이 부러져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가 있다.
축방향(AD)을 따른 필압이 필기심(LE)에 가해진 경우, 심(LE)을 보유지지한 심 보유지지 유닛(40)과 꼭지쇠 유닛(30)의 꼭지쇠 기단 부재(32)가, 꼭지쇠 바이어스 부재(38)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축통(20)에 대해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꼭지쇠 선단 부재(31)는, 선단 바이어스 부재(36)에 의해서, 꼭지쇠 기단 부재(32)에 대해서 전방으로 바이어스되고 있다. 결과로서, 심 보유지지 유닛(40)에 보유지지된 필기심(LE)은 후방으로 이동하고, 꼭지쇠 선단 부재(31)는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위치를 대체로 유지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전단 개구(30a)로부터 돌출한 필기심(LE)의 길이가 짧아져, 이 심(LE)이 부러져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가 있다.
이상으로 설명해 온 1실시 형태에 있어서, 샤프펜슬(10)은, 축통(20)과, 축통(20)의 전단에 지지된 꼭지쇠 유닛(30)과, 꼭지쇠 유닛(30)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유지지한 심(LE)을 꼭지쇠 유닛(30)을 향해 조출하는 척(41)을 가진 심 보유지지 유닛(40)과,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표시체(70)를 가지고 있다. 표시체(70)는, 축통(20) 내에 있어서의 척(41)의 후방에 형성된 심 수용 공간(S)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한다. 적어도 특정의 위치에 있는 표시체(70)를 축통(20)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히 1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체(70)가 축방향(AD)을 따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심 수용 공간(S)의 후단과 꼭지쇠 유닛(30)의 전단 사이의 축방향(AD)을 따른 길이(LA)는, 심 수용 공간(S) 내에 수용되는 미사용 예비 심(SLE)의 길이(LX)의 2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척(41)에 보유지지된 심(LE)의 후단에 예비 심(SLE)이 축방향(AD)과 겹쳐서 배치된 경우에도, 표시체(70)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그 예비 심(SLE)을 심 수용 공간(S)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꼭지쇠 유닛(30)으로부터 새로운 예비 심(SLE)을 샤프펜슬(10) 내로 삽입한 경우나, 꼭지쇠 유닛(30)으로부터 조출한 심(LE)을 샤프펜슬(10) 내로 되돌린 경우에, 심(LE)을 최후까지 밀어넣을 수 없게 되는 것이나, 심 수용 공간(S)에서 심이 부러져 버린다고 한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가 있다.
또, 이상으로 설명해 온 1실시 형태에 있어서, 심 수용 공간(S)을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앞측으로부터 구획하는 앞벽면(FS)에는, 한 개의 심만을 삽입 가능한 내경(안치수, 안폭)을 가지고 또한 척(41)으로 통하는 심 송출 구멍(LEA)이, 개구되어 있다. 앞벽면(FS)은, 축방향(AD)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심 송출 구멍(LEA)으로부터 이간됨에 따라서 축방향(AD)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기울어 있다. 앞벽면(FS)의 축방향(AD)에 대한 경사 각도(θx)는, 45°보다 크고 85° 미만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심 송출 구멍(LEA)을 향해 심 수용 공간(S)이 축방향 전방으로 끝이 가늘어지도록, 심 수용 공간(S)을 축방향 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앞벽면(FS)은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앞벽면(FS)에 의하면, 심 수용 공간(S) 내의 예비 심(SLE)을 심 송출 구멍(LEA)을 향해 유도할 수가 있다. 그 한편으로, 예비 심(SLE)은 표시체(70)의 무게에 의해서 축방향 전방으로 밀리고 있다. 이 때문에, 심 송출 구멍(LEA)에 전방 부분이 삽입되어 심 수용 공간(S)으로 후방 부분이 연장돌출된 심(LE)과, 앞벽면(FS) 사이에, 표시체(70)의 무게에 의해서 예비 심(SLE)이 쐐기와 같이 밀어넣어지는 것도 상정된다. 이 경우, 심 송출 구멍(LEA)에 삽입된 심의 조출이, 예비 심(SLE)에 의해서 저해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여기서 설명한 구체예에 의하면, 앞벽면(FS)의 축방향(AD)에 대한 경사 각도(θx)가 45°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척(41)에 보유지지되어 심 수용 공간(S)까지 연장되는 심(LE)과 앞벽면(FS) 사이에, 표시체(70)의 무게에 의해서 밀린 예비 심(SLE)의 선단이 끼어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심 송출 구멍(LEA)에 삽입된 심의 조출이 예비 심(SLE)에 의해서 저해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그 한편으로, 심 송출 구멍(LEA)으로부터 심이 축방향 후방으로 연장돌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예비 심(SLE)을 심 송출 구멍(LEA)으로 안정되게 유도할 수가 있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해 온 1실시 형태에 있어서, 심 수용 공간(S)은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폭이 좁아진 축폭부(SC)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심 수용 공간(S)에 의하면,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예비 심(SLE)이 축방향(AD)에 대해서 크게 경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척(41)에 보유지지되어 심 수용 공간(S)까지 연장되는 심과 심 수용 공간(S)을 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앞벽면(FS) 사이에, 표시체(70)의 무게에 의해서 밀린 예비 심(SLE)의 전단이 쐐기와 같이 끼어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가 있다. 결과로서, 노크 조작 시에 있어서의 심의 조출을 안정하게 또한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심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예비 심(SLE)이 후단에 있어서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노크 유닛(60)의 부착을 안정되게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1실시 형태의 1구체예에 있어서, 샤프펜슬(10)은, 축통(20) 내에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중간통 부재(50)를 더 가지고 있다. 심 보유지지 유닛(40)은, 척(41)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해서 심 수용 공간(S)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또한 개구된 후단이 중간통 부재(50) 내에 삽입된 심 수용통(44)을, 더 가지고 있다. 중간통 부재(50)는, 통형 본체부(51)와, 통형 본체부(5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한 안쪽 리브(52)를 가지고 있다. 축방향(AD)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안쪽 리브(52)가 심 수용통(44)의 후단면(44a)과 접촉해서 심 보유지지 유닛(40)을 전방으로 누른다. 이와 같은 구체예에 있어서, 축통(20)에 지지된 중간통 부재(50)를 마련함으로써, 중간통 부재(50)에 대해서 심 보유지지 유닛(40)을 축방향(AD)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중간통 부재(50) 및 이 중간통 부재(50)에 장착될 수 있는 노크 유닛(60)을 축방향(AD)에 있어서 정지시킨 상태에서, 심 보유지지 유닛(40)을 축방향(AD)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중량체(48)를 이용하여 샤프펜슬(10)을 축방향(AD)으로 흔듦으로써 심(LE)의 조출을 행하는 구성이나, 필기 시에 심(LE)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심 보유지지 유닛(40)을 후퇴시켜 심(LE)을 보호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 호적하다.
또한, 노크 조작 시, 중간통 부재(50)의 축방향(AD)으로의 이동이 개시하고 나서 심 보유지지 유닛(40)이 축방향(AD)으로 이동을 개시할 때까지의 동안, 심 수용 공간(S)에 예비 심(SLE)이 있는 경우에는 표시체(70)는 정지한 채이고, 심 수용 공간(S)에 예비 심(SLE)이 없는 경우에는 표시체(70)는 중간통 부재(50)와 함께 이동한다. 이와 같이 표시체(70)가 의외성이 있는 동작을 행함으로써, 표시체(70)가 사용자의 주의를 끌 수 있어, 표시체(70)를 마련한 샤프펜슬(10)의 상품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해 온 1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체(70)는, 축방향(AD)으로 연장되는 표시체 본체부(71)와, 표시체 본체부(71)의 전단 부분에 마련되어 축방향(AD)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표시체 본체부(71)로부터 돌출한 플랜지부(72)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72)를 마련함으로써, 표시체(70)와, 표시체(70)를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통형 부분(TP) 사이에, 심 수용 공간(S) 내의 심가루가 들어가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통형 부분(TP)의 내면이 심가루로 더러워져 버려, 통형 부분(TP)의 외부로부터 표시체(70)를 관찰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가 있다. 또, 축통(20)의 외부까지 심가루가 유출되어 버리는 것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가 있다.
상술한 1실시 형태의 1구체예에 있어서, 플랜지부(72)는, 표시체 본체부(71)의 전단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72)를 표시체 본체부(71)의 전단 부분에 마련함으로써, 표시체(70)와 통형 부분(TP) 사이로 심가루가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 표시체 본체부(71)의 전단 부분에 있어서 심가루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통형 부분(TP)의 내면에 표시체(70)에 의해서 심가루가 문질러대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상술한 1실시 형태의 1구체예에 있어서, 플랜지부(72)는 표시체 본체부(71)의 주위에 둘레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부(72)가 표시체 본체부(71)의 주위에 둘레형으로 연장됨으로써, 표시체(70)와 통형 부분(TP) 사이로 심가루가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상술한 1실시 형태의 1구체예에 있어서, 축통(20)에는, 축통(20)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게 하는 창부(22)가, 축방향(AD)에 있어서 표시체(70)가 이동 가능해지는 범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해서 마련되어 있다. 창부(22)는, 축통(20)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일부분에만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72)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창부(22)가 마련된 범위에 적어도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창부(22)에 대응해서 플랜지부(72)를 마련함으로써, 창부(22)와 표시체(70) 사이로의 심가루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체(70)를 관찰하기 위한 창부(22)에의 심가루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상술한 1실시 형태의 1구체예에 있어서, 표시체(70)는, 플랜지부(72)의 축방향(AD)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하여 축방향(AD)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표시체 본체부(71)로부터 돌출한 후방 플랜지부(73)를, 더 가지고 있다. 후방 플랜지부(73)를 표시체 본체부(71)에 마련함으로써, 표시체(70)를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형 부분(TP)으로부터 심가루가 유출되어, 그 심가루가 샤프펜슬(10)의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해 온 1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체(70)를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형 부분(TP)에 통기용 구멍(H)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통형 부분(TP) 내에 있어서의 표시체(70)의 축방향(AD)으로의 이동을 원활화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예비 심(SLE)의 유무에 따라 표시체(70)의 배치가 축방향(AD)으로 신속하게 변화하게 되고, 심 수용 공간(S)에 있어서의 예비 심(SLE)의 유무를 표시체(70)의 배치에 따라서 고정밀도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표시체(70)의 축방향(AD)으로의 이동을 원활화할 수 있으므로, 표시체(70)와 통형 부분(TP) 사이의 간극, 예를 들면 표시체(70)의 플랜지부(72)나 후방 플랜지부(73)와 통형 부분(TP)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심가루가 표시체(70)와 통형 부분(TP)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구체예를 참조해서 1실시 형태를 설명해 왔지만, 이들의 구체예가 1실시 형태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1실시 형태는, 그밖의 다양한 구체예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갖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 추가 등을 행할 수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변형의 1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도면에서는, 상술한 구체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상술한 구체예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함과 함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구체예에 있어서, 축통(20)에는, 축통(20)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게 하는 창부(22)가, 축방향(AD)에 있어서 표시체(70)가 이동 가능해지는 범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해서 마련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다. 창부(22)는, 축통(20)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일부 영역에 위치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체(70)를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형 부분(TP)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창부(22)와 동일하게 되는 영역의 내면에,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도 14는, 샤프펜슬(10)의 1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축방향(AD)에 수직인 면을 따른 단면도)로서, 축방향(AD)에 있어서의 창부(22)가 배치된 위치에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통형 부분(TP)의 내면은,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창부(22)와 동일하게 되는 영역에 있어서, 표시체(70)의 플랜지부(72, 73)로부터 이간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통형 부분(TP) 중의 창부(22)와 대면하는 영역의 내면에, 심가루가 부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결과로서, 창부(22)를 통해 심가루의 더러움이 시인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도시된 예에 있어서, 노크 유닛(60)이, 표시체(70)를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는 통형 부분(TP)을 구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축통(20)이, 표시체(70)를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통형 부분(TP)을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표시체(70)가 통형 부분(TP) 내에 축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다. 이 예에 있어서, 표시체(70)가 축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바이어스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예에 의하면, 샤프펜슬(10)의 전방이,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표시체(70)의 위치에 따라서, 심 수용 공간(S) 내에 있어서의 예비 심(SLE)의 유무를 표시할 수가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뚜껑 부재(65)가 노크 부재(61)에 나사결합하여, 노크 유닛(60)이 중간통 부재(50)에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노크 유닛(60)이 중간통 부재(50)에 나사결합되고, 뚜껑 부재(65)가 노크 부재(61)에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춰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 상술한 1실시 형태에 대한 몇 개의 변형예를 설명해 왔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당히 조합해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34)

  1. 축통과,
    상기 축통에 지지된 꼭지쇠(口金) 유닛과,
    상기 꼭지쇠 유닛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유지지(保持)한 심을 조출(繰出)하는 척을 가진 심 보유지지 유닛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축통 내에 있어서의 상기 척의 후방에 형성된 심 수용 공간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표시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특정의 위치에 있는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고,
    상기 표시체가 상기 축방향을 따라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상기 심 수용 공간의 후단과, 상기 꼭지쇠 유닛의 전단 사이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심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는 예비 심의 길이의 2배 이상인, 샤프펜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에는,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에 개구된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샤프펜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깊이는, 상기 표시체의 축방향을 따른 길이의 절반보다도 큰, 샤프펜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는, 상기 오목부를 구획하는 내측 벽면 및 바닥 벽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 벽면은, 상기 축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샤프펜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을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앞측(前側)으로부터 구획하는 앞벽면(前壁面)이 마련되고,
    한 개의 심만을 삽입 가능한 안치수를 가지고 또한 상기 척으로 통하는 심 송출 구멍(芯送出孔)이, 상기 앞벽면에 개구되고,
    상기 심 수용 공간의 전단과 상기 꼭지쇠 유닛의 상기 전단 사이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예비 심의 길이의 절반보다도 긴, 샤프펜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을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앞측으로부터 구획하는 앞벽면에는, 한 개의 심만을 삽입 가능한 안치수를 가지고 또한 상기 척으로 통하는 심 송출 구멍이, 개구되고,
    상기 앞벽면은, 상기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심 송출 구멍으로부터 이간됨에 따라서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기울고,
    상기 앞벽면의 상기 축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45°보다 크고 85° 미만인, 샤프펜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앞벽면은 회전 대칭으로 되어 있는, 샤프펜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은, 축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폭이 좁아진 축폭부(縮幅部)를 가지는, 샤프펜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축폭부까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예비 심의 길이의 절반보다도 길고, 상기 예비 심의 길이보다도 짧은, 샤프펜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중간통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심 보유지지 유닛은, 상기 척의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또한 개구된 후단이 상기 중간통 부재 내에 삽입된 심 수용통을, 더 가지고,
    상기 중간통 부재는, 통형 본체부와, 상기 통형 본체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한 안쪽 리브를 가지고, 상기 축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안쪽 리브가 상기 심 수용통의 후단면과 접촉해서 상기 심 보유지지 유닛을 전방으로 누르는, 샤프펜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통 부재의 안폭은, 상기 심 수용통의 안폭보다도 작은, 샤프펜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심 수용 공간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안쪽 리브까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예비 심의 길이의 절반보다도 길고, 상기 예비 심의 길이보다도 짧은, 샤프펜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통 부재의 안폭은, 상기 심 수용통의 안폭보다도 큰, 샤프펜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통 부재의 안폭은, 상기 심 수용통의 안폭과 동일한, 샤프펜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표시체 본체부와, 상기 축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표시체 본체부로부터 돌출한 플랜지부를 가지는, 샤프펜슬.
  16. 축통과,
    상기 축통에 지지된 꼭지쇠 유닛과,
    상기 꼭지쇠 유닛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유지지한 심을 조출하는 척을 가진 심 보유지지 유닛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축통 내에 있어서의 상기 척의 후방에 형성된 심 수용 공간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표시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특정의 위치에 있는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고,
    상기 표시체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표시체 본체부와, 상기 축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표시체 본체부로부터 돌출한 플랜지부를 가지는, 샤프펜슬.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표시체 본체부의 전단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샤프펜슬.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표시체 본체부의 주위에 둘레형(周狀)으로 연장되어 있는, 샤프펜슬.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에는, 상기 축통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게 하는 창부가,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이동 가능해지는 범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해서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상기 창부가 마련된 범위에 적어도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샤프펜슬.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에는, 상기 축통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게 하는 창부가,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이동 가능해지는 범위의 일부분과 겹치도록 해서 마련되고,
    상기 심 수용 공간에 수용된 예비 심에 의해서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부터 지지된 표시체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창부보다도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해 있는, 샤프펜슬.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에는, 상기 축통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게 하는 창부가,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이동 가능해지는 범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해서 마련되고,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형 부분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창부와 겹치는 영역의 내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샤프펜슬.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축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표시체 본체부로부터 돌출한 후방 플랜지부를, 더 가지는, 샤프펜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플랜지부는, 상기 표시체 본체부의 후단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샤프펜슬.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플랜지부는, 상기 표시체 본체부의 주위에 둘레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샤프펜슬.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에는, 상기 축통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게 하는 창부가,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가 이동 가능해지는 범위의 일부분과 겹치도록 해서 마련되고,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가장 전방으로 이동한 표시체의 상기 후방 플랜지부는, 상기 창부보다도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해 있는, 샤프펜슬.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형 부분에 구멍(穴)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펜슬.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표시체보다도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해 있는, 샤프펜슬.
  28.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형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후방 플랜지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른 길이보다도 긴, 샤프펜슬.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면적은, 상기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통형 부분과 표시체 사이의 간극(隙間)의 면적보다도 큰, 샤프펜슬.
  30. 제21항 및 제2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 내에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또한 상기 축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심 보유지지 유닛을 전방으로 누르는 노크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노크 유닛은,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상기 통형 부분을 포함하는, 샤프펜슬.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 보유지지 유닛에 대해서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중량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량체는,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심 보유지지 유닛과 접촉해서 상기 심 보유지지 유닛을 전방으로 누르는, 샤프펜슬.
  32. 축통과,
    상기 축통에 지지된 꼭지쇠 유닛과,
    상기 꼭지쇠 유닛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유지지한 심을 조출하는 척을 가진 심 보유지지 유닛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축통 내에 있어서의 상기 척의 후방에 형성된 심 수용 공간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표시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특정의 위치에 있는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고,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형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펜슬.
  33. 축통과,
    상기 축통에 지지된 꼭지쇠 유닛과,
    상기 꼭지쇠 유닛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유지지한 심을 조출하는 척을 가진 심 보유지지 유닛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축통 내에 있어서의 상기 척의 후방에 형성된 심 수용 공간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표시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특정의 위치에 있는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고,
    상기 심 수용 공간을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앞측으로부터 구획하는 앞벽면에는, 한 개의 심만을 삽입 가능한 안치수를 가지고 또한 상기 척으로 통하는 심 송출 구멍이, 개구되고,
    상기 앞벽면은, 상기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심 송출 구멍으로부터 이간됨에 따라서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기울고,
    상기 앞벽면의 상기 축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45°보다 크고 85° 미만인, 샤프펜슬.
  34. 축통과,
    상기 축통에 지지된 꼭지쇠 유닛과,
    상기 꼭지쇠 유닛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유지지한 심을 조출하는 척을 가진 심 보유지지 유닛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축통 내에 있어서의 상기 척의 후방에 형성된 심 수용 공간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표시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특정의 위치에 있는 상기 표시체를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고,
    상기 심 수용 공간은, 축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폭이 좁아진 축폭부를 가지는, 샤프펜슬.
KR1020217042987A 2019-06-20 2020-06-17 샤프펜슬 KR202200242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14924 2019-06-20
JP2019114920A JP7308667B2 (ja) 2019-06-20 2019-06-20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19114924A JP7312619B2 (ja) 2019-06-20 2019-06-20 シャープペンシル
JPJP-P-2019-114920 2019-06-20
PCT/JP2020/023862 WO2020256037A1 (ja) 2019-06-20 2020-06-17 シャープペンシ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201A true KR20220024201A (ko) 2022-03-03

Family

ID=74040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987A KR20220024201A (ko) 2019-06-20 2020-06-17 샤프펜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93097B2 (ko)
EP (1) EP3988322A4 (ko)
KR (1) KR20220024201A (ko)
CN (1) CN114007870B (ko)
TW (1) TWI761861B (ko)
WO (1) WO2020256037A1 (ko)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0730B2 (ko) 1971-09-25 1979-07-25
JPS5034115Y2 (ko) * 1972-11-22 1975-10-04
JPS5433737Y2 (ko) 1975-05-02 1979-10-17
JPS604792B2 (ja) 1977-07-15 1985-02-06 電気音響株式会社 多針電極の製造方法
JPS5828871Y2 (ja) * 1977-08-11 1983-06-23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ャ−プペンシルにおける芯収納表示装置
JPS5433737A (en) 1977-08-19 1979-03-12 Hitachi Ltd Thermal head for thermal printer of thick type
JPS5749258Y2 (ko) 1977-08-31 1982-10-28
JPS5845101Y2 (ja) * 1979-05-15 1983-10-13 ぺんてる株式会社 ノック式シャ−プペンシル
JPH0139591Y2 (ko) * 1980-09-03 1989-11-28
JPS5790879U (ko) * 1980-11-26 1982-06-04
JPS60132376A (ja) 1983-12-20 1985-07-15 Nec Corp シヨツトキ−障壁ゲ−ト型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US4619539A (en) * 1984-02-13 1986-10-28 Kotobuki & Co, Ltd. Mechanical pencil equipped with lead-storing cartridge
JPS60132376U (ja) * 1984-02-13 1985-09-04 株式会社 寿 シヤ−プペンシル
US4705419A (en) * 1985-11-19 1987-11-10 Nicolet Instrument Corporation Mechanical pencil with automatic lead advance
GB2260104B (en) * 1991-03-04 1995-04-12 Pilot Precision Mechanical pencil with shaking type lead-feeding mechanism
JP3053878U (ja) * 1998-05-08 1998-11-17 メタック産業株式会社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
JP2000318372A (ja) * 1999-05-17 2000-11-21 Pilot Precision Co Ltd 振出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1270283A (ja) * 2000-01-20 2001-10-02 Kotobuki:Kk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及びその内部筆記機構
CA2371267C (en) * 2000-03-30 2008-05-20 Pentel Kabushiki Kaisha Mechanical pencil
JP4676067B2 (ja) * 2001-01-10 2011-04-27 株式会社壽 シャープペンシル
FR2861331B1 (fr) * 2003-10-22 2006-03-03 Bic Soc Porte-mine
US6767150B1 (en) * 2003-12-19 2004-07-27 Rong-Lin Sheu Automatic pencil assembly
AT9572U1 (de) * 2006-11-30 2007-12-15 Kores Holding Zug Ag Schreibgerät
JP5373358B2 (ja) 2008-10-20 2013-12-18 ゼブラ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CN102648098B (zh) * 2009-12-03 2014-12-31 三菱铅笔株式会社 自动铅笔
JP5798780B2 (ja) * 2011-04-07 2015-10-21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JP5689355B2 (ja) * 2011-04-25 2015-03-25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振出式シャープペンシル
WO2017002731A1 (ja) * 2015-06-29 2017-01-05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ャープペンシル
TW201832947A (zh) * 2017-03-08 2018-09-16 日商壽股份有限公司 自動鉛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8322A4 (en) 2023-07-26
WO2020256037A1 (ja) 2020-12-24
US20220410614A1 (en) 2022-12-29
CN114007870A (zh) 2022-02-01
TWI761861B (zh) 2022-04-21
TW202103978A (zh) 2021-02-01
EP3988322A1 (en) 2022-04-27
US11993097B2 (en) 2024-05-28
CN114007870B (zh) 202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9764A (en) Capless retractable marking pen
US5716152A (en) Writing tool
US7207738B2 (en) Writing instrument
KR102462876B1 (ko) 출몰구 부착 필기구
KR20220024201A (ko) 샤프펜슬
EP2567829A1 (en) Pressurizing type pen
JP7336446B2 (ja) リフィールを備えた筆記具
JP7312619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7308667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102522777B1 (ko) 샤프펜슬
JP2016203596A (ja) 消去用部材付き筆記具
JP4093650B2 (ja) ノック式筆記具
JP3836942B2 (ja) ペン
CN111801226B (zh) 自动铅笔
JP7417685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7018916B2 (ja) 消去部材付筆記具
JP2007106051A (ja) 複式筆記具
EP3805009A1 (en) A refillable free ink writing instrument provided with a removable tip
EP3888930A1 (en) Knock type writing instrument
JP3113653U (ja) ボールペン
JP2016020056A (ja) 筆記具
JP2022086573A (ja) 軟質部材の取付構造
JP2022118224A (ja) 筆記具
JP2000263988A (ja) 複式筆記具
JP2006218796A (ja) 印鑑付筆記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