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876B1 - 출몰구 부착 필기구 - Google Patents

출몰구 부착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876B1
KR102462876B1 KR1020160075606A KR20160075606A KR102462876B1 KR 102462876 B1 KR102462876 B1 KR 102462876B1 KR 1020160075606 A KR1020160075606 A KR 1020160075606A KR 20160075606 A KR20160075606 A KR 20160075606A KR 102462876 B1 KR102462876 B1 KR 102462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ancing
protruding
writing instrument
retracting
roll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601A (ko
Inventor
에리코 소에지마
Original Assignee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1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flicking or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6Pencil-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4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brought into position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rubber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몰구(出沒具)를 출몰시킬 때의 동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필기구 본체(10)의 축통(11)의 일단측에, 하방으로 향하여진 때에 자중에 의하여 전진하여 돌출 상태가 되고, 상방으로 향하여진 때에는 자중에 의하여 후퇴하여 몰입 상태가 되는 출몰구(21)를 구비한 출몰구 부착 필기구에 있어서, 전단측에 출몰구(21)를 가지고, 또한 필기구 본체(10)에 대하여 진퇴하도록 지지된 진퇴 부재(22)와, 필기구 본체(10)에 대하여 진퇴하지 않고 자전하도록 지지된 전동체(轉動體)(23)를 구비하고, 전동체(23)의 외주면을 진퇴 부재(22)의 측면에 접촉시키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출몰구 부착 필기구{WRITING UTENSIL WITH RETRACT PIECE}
본 발명은, 필기구 본체의 일단측에, 지우개나 필기부, 그 외의 출몰구(出沒具)를 구비한 출몰구 부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 종류의 발명에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필기구 본체의 축통(軸筒) 내에, 볼펜용 리필을 구비하고, 이 볼펜용 리필을 하방으로 향하여진 때에 자중에 의하여 전진시켜 돌출 상태로 함과 동시에 걸고, 상방으로 향하여진 때에는 상기 걸림을 해제하여 자중에 의하여 후퇴시켜 몰입 상태로 하도록 한 것이 있다.
이 종래 기술에서는, 볼펜용 리필이 전진하여 돌출 상태가 되었을 때에, 당해 볼펜용 리필의 후단에 맞닿는 볼[43]을 축통 내면(중공체[29]의 내면)의 계단부에 걸고, 상기 계단부에 대한 직경 방향의 역측에서 상기 볼과 축통 내주면의 사이에, 원추형 헤드부[46]를 갖는 쐐기 형상의 부재를 끼워 넣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각괄호 내의 숫자는 특허문헌 1 중의 부호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상기 걸림 상태로부터 복귀할 때에 상기 쐐기 형상의 부재가, 볼[43]과 축통 내면의 사이에 물려 들어가 제거하기 어려워지거나, 볼[43] 및 상기 쐐기 형상의 부재가 축통 내에서 춤추는 것처럼 움직여 불필요한 소리를 내는 등, 동작성 면에서의 개선이 요구된다.
일본 공고특허공보 1959-10370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로 하는 바는, 출몰구를 출몰시킬 때의 동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출몰구 부착 필기구를 형성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수단은, 필기구 본체의 축통의 일단측에, 하방으로 향하여진 때에 자중에 의하여 전진하여 돌출 상태가 되고, 상방으로 향하여진 때에는 자중에 의하여 후퇴하여 몰입 상태가 되는 출몰구를 구비한 출몰구 부착 필기구에 있어서, 전단측에 상기 출몰구를 가지면서 필기구 본체에 대하여 진퇴하도록 지지된 진퇴 부재와, 필기구 본체에 대하여 진퇴하지 않고 자전하도록 지지된 전동체(轉動體)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체의 외주면을 상기 진퇴 부재의 측면에 접촉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출몰구를 출몰시킬 때의 동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몰구 부착 필기구의 일례를 측방으로부터 보아 나타내는 요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걸림/걸림 해제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출몰구 부착 필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며, 도 4a는 출몰구측이 하방으로 향하여진 직후의 몰입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진퇴 부재의 전진에 의하여 출몰구가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c는 전동체가 오목부 내로 이동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4d는 전동체가 오목부 내에 끼워맞추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출몰 유닛을 필기구 본체로부터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은, 필기구 본체의 축통의 일단측에, 하방으로 향하여진 때에 자중에 의하여 전진하여 돌출 상태가 되고, 상방으로 향하여진 때에는 자중에 의하여 후퇴하여 몰입 상태가 되는 출몰구를 구비한 출몰구 부착 필기구에 있어서, 전단측에 상기 출몰구를 가지고, 또한 필기구 본체에 대하여 진퇴하도록 지지된 진퇴 부재와, 필기구 본체에 대하여 진퇴하지 않고 자전하도록 지지된 전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체의 외주면을 상기 진퇴 부재의 측면에 접촉시키도록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면, 출몰구와 함께 진퇴 부재가 진퇴할 때, 당해 진퇴 부재의 측면이 전동체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당해 전동체가 굴러가도록 하여 자전한다. 따라서, 진퇴 부재의 마찰 저항을 경감하고, 진퇴 부재의 진퇴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몰구"는, 필기구 본체의 축통의 일단측에서 출몰하는 것이면 되고, 이 "출몰구"에는 상기 필기 기능을 갖는 것(예를 들어 필기 선단부 등)이나, 필기 이외의 기능을 갖는 것(예를 들어 지우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출몰구 부착 필기구는, 출몰구를 돌출 상태에서 후퇴 불가능하게 거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수단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몰구를 라이트나 발광체로 한 경우 등에는, 이 출몰구를 돌출 상태에서 후퇴 불가능하게 걸지 않더라도, 이 출몰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돌출 상태의 상기 출몰구를 손으로 눌러 이용하는 양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특징으로서는, 상기 제1 특징에 더하여, 상기 진퇴 부재에서의 후단에 가까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동체를 끼움/끼움 해제 가능한 오목부와, 상기 전동체의 후방측에서 필기구 본체에 대하여 진퇴하도록 지지된 걸림/걸림 해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걸림 해제 부재가, 전진했을 때에 상기 전동체에서의 중심부보다 축통 직경 외 방향에 가깝게 접촉하고, 후퇴했을 때에는 상기 전동체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지도록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면, 출몰구가 하방으로 향하여진 때, 진퇴 부재가 자중에 의하여 전진함과 동시에, 걸림/걸림 해제 부재도 전진하여 전동체에 대하여 중심부보다 축통 직경 외 방향에 가깝게 접촉한다. 그러므로, 전동체가 축통 직경 내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진다. 또한 출몰구가 상방으로 향하여진 때에는, 걸림/걸림 해제 부재가 후퇴하기 때문에, 전동체가 오목부로부터 이탈하고, 진퇴 부재 및 출몰구가 자중에 의하여 후퇴한다.
제3 특징으로서는, 상기 제1 또는 2 특징에 더하여, 보다 동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기구 본체에, 상기 진퇴 부재를 진퇴하도록 지지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당해 홀더는, 상기 진퇴 부재를 진퇴시켜 상기 출몰구를 전후로 출몰시키도록 상기 진퇴 부재의 주위를 덮어 지지하는 측벽과, 당해 측벽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당해 관통 구멍 내에, 상기 전동체를 필기구 본체에 대하여 진퇴하지 않고 자전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제4 특징으로서는, 상기 제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보다 동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진퇴 부재를 축통 직경 내 방향측에 두고 그 주위에 상기 전동체를 복수 형성하였다.
제5 특징으로서는, 상기 제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보다 동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걸림/걸림 해제 부재는, 중심측에 상기 홀더를 삽통(揷通)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전단측의 내주면에, 상기 전동체의 축통 직경 외 방향에 가까운 부분에 대하여 후방측에서 맞닿는 경사면을 갖는다.
또한, 상기 "축통 직경 외 방향"이란, 축통의 직경 방향을 따라 당해 축통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6 특징으로서는, 상기 제5 특징에 더하여, 걸림/걸림 해제 부재를 경량화하여 물려 들어감 등에 의한 동작 불량을 경감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걸림 해제 부재는, 상기 경사면보다 후방측의 주벽의 외면이, 그 전측 부분보다 축경(縮徑)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통 직경 내 방향"이란, 축통의 직경 방향을 따라 당해 축통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7 특징으로서는, 상기 제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출몰구, 상기 진퇴 부재 및 상기 전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출몰구를 자중에 의하여 출몰시키는 일체적인 출몰 유닛을 구성하고, 이 출몰 유닛을, 필기구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였다.
제8 특징으로서는, 상기 제7 특징에 더하여, 상기 필기구 본체가 심(芯) 탱크를 갖는 샤프 펜슬이며, 상기 출몰 유닛을, 상기 심 탱크의 선단측에 대한 역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였다.
[실시예]
다음으로, 상기 특징을 갖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몰구 부착 필기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출몰구 부착 필기구 A는, 필기구 본체(10)의 선단측에 대한 역단측에, 출몰구(21)를 자중에 의하여 출몰시키는 출몰 유닛(20)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샤프 펜슬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 필기구 본체(10)에 관한 설명에서는, 심(1)이 인출되는 방향(도 1에서의 하방)을 "선(先)"(선단, 선방 등)으로 표현하고, 그 역방향을 "역(逆)"(역단, 역방향 등)으로 표현한다.
또한 출몰 유닛(20)에 관한 설명에서는, 출몰구(21)를 돌출시키는 방향(도 4에서의 하방)을 "전(前)"(전단, 전방 등)으로 표현하고, 그 역방향을 "후(後)"(후단, 후방 등)로 표현한다.
필기구 본체(10)는, 장척 형상의 축통(11) 내에, 복수의 심(1)을 수납하는 심 탱크(12)와, 당해 심 탱크(12) 내의 심을 선방에 인출하는 심 인출 기구(도시 생략)와, 당해 심 인출 기구에 의하여 인출되는 심을 삽통하여 보호하는 슬라이더(13)를 구비하고 있다.
축통(11)은, 내부가 빈 장척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선단측 개구부에, 슬라이더(13)를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선단측 개구부에 대한 역단측 개구부(12a)에는, 후술하는 출몰 유닛(20)을 삽입하고 있다. 이 축통(11)은, 단수의 통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양태나, 복수의 통 형상 부재를 축방향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심 탱크(12)는, 선단부와 그 역방향의 단부를 개구한 장척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도시예에 의하면, 그 역단측 개구부(12a)에, 접속 부재(14)를 개재하여 출몰 유닛(20)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접속 부재(14)는, 선단측을 소경통(小徑筒)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역단측을 대경통(大徑筒) 형상으로 형성한 부재이며, 상기 소경통 형상의 부분을, 심 탱크(12)의 역단측 개구부(12a)에 착탈 불가능하게 압입하고 있다. 또한 상기 대경통 형상의 부분의 내주면에는, 출몰 유닛(20)을 착탈 가능하게 타고넘어 끼워맞추도록 고리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된다.
상기 심 인출 기구는, 심 탱크(12)의 역단측에 접속된 출몰 유닛(20)에 대한 노크 조작에 의하여, 심 탱크(12)의 선단측에 접속된 척(chuck, 도시 생략)에 협지된 심(1)을 선방에 인출하도록 한 주지의 기구이다.
이 심 인출 기구는, 외부로부터 받는 조작에 의하여 심(1)을 인출하도록 한 기구이면 되고, 예를 들어, 축통 측면에 형성되는 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의하여 심(1)을 인출하도록 한 기구나, 당해 축통 전체를 흔드는 조작에 의하여 심(1)을 인출하도록 한 기구, 심 탱크의 역단측을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하여 심(1)을 인출하도록 한 기구 등으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슬라이더(13)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심 인출 기구로부터 인출되는 심(1)을 삽통하고 있다. 이 슬라이더(13)는, 심(1)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힘을 받았을 때에, 외주부에 형성된 캠 사면을, 축통(11)의 선단가장자리에 접접(摺接)시켜 전진하여, 심(1)을 덮는 심 보호 기능을 갖는다. 또한, 다른 예로서는, 이 슬라이더(13)를, 상기 캠 사면을 갖지 않는 슬라이더나, 축통(11)의 선단에 진퇴 불가능하게 고정된 심 삽통 부재 등, 상기 심 보호 기능을 갖지 않는 양태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출몰 유닛(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출몰 유닛(20)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측에 출몰구(21)를 접속함과 동시에 필기구 본체(10)에 대하여 진퇴하도록 지지된 진퇴 부재(22)와, 필기구 본체(10)에 대하여 진퇴하지 않고 자전하도록 지지된 전동체(23)와, 필기구 본체(10)에 지지됨과 동시에 진퇴 부재(22)를 진퇴하도록 지지하는 홀더(24)와, 전동체(23)보다 후방측에서 필기구 본체(10)에 대하여 진퇴하도록 지지된 걸림/걸림 해제 부재(26)와, 당해 홀더(24)의 전단측에 형성된 장식 링(25)과, 걸림/걸림 해제 부재(26)를 진퇴 가능하게 덮도록 하여 홀더(24)를 지지하는 지지 케이스(27)를 구비하고 있다.
출몰구(21)는, 홀더(24) 및 장식 링(25) 내로부터 출몰하는 원기둥 형상의 지우개이다.
이 출몰구(21)는, 진퇴 부재(22)의 전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고정되어 있고, 출몰 유닛(20)의 전단측이 상방을 향하여진 상태(도 1 참조)에서는 홀더(24) 및 장식 링(25) 내에 수납된다.
진퇴 부재(22)는, 출몰구(21)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22a)와, 당해 유지부(22a)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에 연장 설치된 슬라이드 축(22b)을 갖는다(도 4a 참조).
유지부(22a)는, 출몰구(21)의 후부측을 삽입 가능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 벽면을, 출몰구(21)의 외주면에 압접하고 있다.
슬라이드 축(22b)은, 장척 사각 기둥 형상(도 2 참조)으로 형성된다. 이 슬라이드 축(22b)의 후단 가까이에는, 두 개의 오목부(22b1)가 형성된다. 이들 오목부(22b1)는, 슬라이드 축(22b)의 양측면에 배설된다. 그리고 각 오목부(22b1)는, 전동체(23)를 끼움/끼움 해제 가능한 단면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드 축(22b)의 양측면에 있어서, 오목부(22b1)보다 후방측에는, 진퇴 부재(22)의 전방에 대한 슬라이드를 규제하는 규제 볼록부(22b2, 22b2)가 형성된다.
또한 전동체(23)는, 금속이나 경질 수지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 형상의 부재이다. 이 전동체(23)는, 진퇴 부재(22)의 슬라이드 축(22b)을 축통 직경 내 방향측에 두고 그 주위에 복수(도시예에 의하면 2개) 배설된다. 각 전동체(23)는, 후술하는 홀더(24)의 관통 구멍(24b2) 내에서 자재(自在)하게 자전하도록 형성된다.
홀더(24)는, 출몰구(21) 및 진퇴 부재(22)의 유지부(22a)의 주위를 덮는 통 형상의 피복 벽부(24a)와, 당해 피복 벽부(24a)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에 연장 설치되어 진퇴 부재(22)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부(24b)를 구비하고 있다(도 4b 참조).
피복 벽부(24a)는, 진퇴 부재(22)의 유지부(22a)의 주위에 간극을 개재하여, 당해 유지부(22a)를 덮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단측에, 원통 형상의 장식 링(25)을 끼워맞추어서 고정하고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는, 장식 링(25)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슬라이드 지지부(24b)는, 중공축 형상의 부재이며, 그 축심측에, 슬라이드 축(22b)의 주위를 덮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사각통 형상의 슬라이드 구멍(24b1)을 갖는다(도 2 참조). 이 슬라이드 구멍(24b1)의 내면에는, 진퇴 부재(22) 후단측의 규제 볼록부(22b2)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24b11)이나, 슬라이드 축(22b)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내향 볼록부(24b12) 등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지지부(24b)의 전단에 가까운 측벽에는, 당해 측벽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4b2)(도 4a 참조)이 형성된다. 이 관통 구멍(24b2)은, 전동체(23)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의 구멍이며, 전동체(23)를 자재하게 자전하며, 또한 축통축 방향으로 진퇴하지 않도록 포지(抱持)한다.
또한 슬라이드 지지부(24b)의 후단에 가까운 측벽에는, 축통 직경 외 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 케이스(27)의 걸림 구멍(27b1)에 끼워맞추는 돌기(24b3)가 형성된다.
걸림/걸림 해제 부재(26)는, 홀더(24)의 슬라이드 지지부(24b)를 삽통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걸림/걸림 해제 부재(26)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에 위치하는 대경부(26a)와, 당해 대경부(26a)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소경부(26b)를 갖는다.
대경부(26a)는, 그 외경면을 후술하는 지지 케이스(27)의 내주면에 근접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 대경부(26a)의 내주면에는,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확경되는 고리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 경사면은, 도 3에 나타내는 일례에 의하면, 중심축에 대한 경사 각도가 비교적 큰 급경사면(26a1)과, 당해 급경사면(26a1)보다 전측에 위치하여 급경사면(26a1)보다 경사 각도가 작은 완경사면(26a2)으로 구성된다.
또한 소경부(26b)는, 대경부(26a)보다 후방측의 외주면을 대경부(26a)의 외경보다 축경함으로써 경량화되어 있다. 이 소경부(26b)는, 홀더(24)의 후방측의 외주면에 접접하도록 형성된다.
소경부(26b)와 대경부(26a)의 사이의 외주면은, 후방을 향하여 축경되는 고리 형상 경사면(26c)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걸림/걸림 해제 부재(26)의 구성에 의하면, 출몰구(21)가 하방으로 향하여진 때(도 4a참조)에, 진퇴 부재(22)의 동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즉, 가령 걸림/걸림 해제 부재(26)가 비교적 고중량인 경우에는, 걸림/걸림 해제 부재(26)의 전단측 내주면과 진퇴 부재(22)의 슬라이드 축(22b)의 사이에 전동체(23)가 강하게 끼워져, 진퇴 부재(22)의 전진에 저항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케이스(27)는, 후단측을 폐쇄한 밑면을 갖는 통 형상의 부재이며, 걸림/걸림 해제 부재(26)를 진퇴 자재한 상태에서 덮는 통 형상부(27a)와, 당해 통 형상부(27a)보다 후방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심 탱크(12) 후단에 압입되어 있는 접속 부재(1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착탈부(27b)를 갖는다(도 4 참조).
통 형상부(27a)는, 걸림/걸림 해제 부재(26)의 최대 직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다. 이 통 형상부(27a)는, 슬라이드 지지부(24b) 외주면의 사이에, 걸림/걸림 해제 부재(26)를 전후 방향으로 소정량 슬라이드시키는 원통 형상의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착탈부(27b)는, 후단을 폐쇄한 밑면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홀더(24)의 후단부를 진퇴 불가능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춤과 동시에, 그 외주면을, 접속 부재(1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있다.
착탈부(27b)를 접속 부재(1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수단은, 도시예에 의하면, 요철부를 사용한 타고넘는 끼워맞춤으로 하고 있지만, 다른 예로서는, 나사를 사용한 접속이나, 그 외의 착탈 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출몰구 부착 필기구 A에 대하여, 그 특징적인 작용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몰구(21)가 상방으로 향하여진 초기 상태에서는, 출몰구(21)가 홀더(24) 및 장식 링(25) 내에 몰입되어 있어, 측방에서는 눈으로 보이지 않는다.
상기 초기 상태에서 출몰구 부착 필기구 A의 출몰구(21)측을 하방으로 향하면, 도 4a(b)~도 4c(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퇴 부재(22)가 하방으로 슬라이드한다. 이 슬라이드 시, 진퇴 부재(22)의 슬라이드 축(22b)에 따라 전동체(23)가 회전하기 때문에, 진퇴 부재(22)가, 직선적으로 원활하게 전진하고, 그 전진 시의 저항이 적다.
그리고 진퇴 부재(22)가 진퇴 영역의 전단까지 슬라이드하면,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진퇴 부재(22) 후단측의 오목부(22b1)가 관통 구멍(24b2)의 대략 중심선 상에 위치한다.
한편, 진퇴 부재(22)의 상기 슬라이드에 추종하도록 하여, 걸림/걸림 해제 부재(26)도 하방으로 슬라이드한다(도 4c 참조). 그러므로, 전동체(23)가, 걸림/걸림 해제 부재(26) 전단측 내면에 밀려 축통 직경 내 방향으로 이동하고, 홀더(24)와 진퇴 부재(22)의 사이에 걸치도록 하여 오목부(22b1)에 끼워맞추어진다.
따라서 출몰구(21)가 장식 링(25)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어서, 진퇴 부재(22)가 후퇴 불가능하게 걸린다.
또한 상기 돌출 상태에서 출몰구 부착 필기구 A의 출몰구(21)측을 상방으로 향하면, 상기 설명과는 반대의 순서로, 출몰구(21)가 몰입되게 된다.
즉, 우선, 걸림/걸림 해제 부재(26)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전동체(23)가 오목부(22b1) 내의 오목곡 형상의 사면에 밀려, 오목부(22b1) 외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진퇴 부재(22)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진퇴 부재(22)가 후퇴하고, 이 후퇴에 의하여 출몰구(21)가 홀더(24) 및 장식 링(25) 내에 몰입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출몰구 부착 필기구 A에 의하면, 출몰구(21)를 출몰시킬 때에, 진퇴 부재(22)의 직진성이 높고 또한 저항이 적고, 걸림/걸림 해제 부재(26)의 물림 등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각 구성 부재가 움직여 이상음을 발생시키는 일도 없으며, 동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출몰구(21)를 돌출시켜 건 상태에서, 당해 출몰구(21)에 후방에 대한 하중이 작용한 경우에, 이 하중을 복수의 전동체(23)에 의하여 분산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돌출 상태의 걸림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당해 출몰구 부착 필기구 A의 내구성이나 신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출몰 유닛(2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 탱크(12)의 역단측의 접속 부재(14)에 삽입하여 끼워맞추거나, 당해 접속 부재(14)로부터 뽑아 제거하는 등, 필기구 본체(10)에 대한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소모나 고장 등에 의한 출몰구(21)의 교환 작업이 용이한 것은 물론, 출몰구(21) 및 출몰 유닛(20) 등을, 색이나, 디자인, 기능 등이 다른 것으로 교환하는 것도 용이하여, 당해 출몰구 부착 필기구 A의 변형(variation)을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특히 바람직한 양태로서, 전동체(23)를 구체로 하였지만, 전동체(23)의 다른 예로서는, 원기둥 회전자 형상의 부재나, 그 외의 형상의 전동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특히 바람직한 양태로서, 두 개의 전동체(23)를 형성하였지만, 다른 예로서는, 단수 또는 셋 이상의 전동체(23)를 형성한 양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출몰구(21)를 지우개로 하였지만, 출몰구(21)의 다른 예로서는, 필기구(볼펜, 사인펜, 샤프 펜슬, 수정펜, 모필용 펜, 크레용 등을 포함한다)의 필기 선단부나, 입력펜, 도장, 정전기 제거 부재, 라이트, 발광체, USB 메모리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필기구 본체(10)를 샤프 펜슬로 하였지만, 필기구 본체(10)의 다른 예로서는, 볼펜이나, 만년필, 사인펜, 마커펜, 붓펜, 다기능 필기구, 입력펜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필기구 본체
11: 축통
12: 심 탱크
14: 접속 부재
20: 출몰 유닛
21: 출몰구
22: 진퇴 부재
22b1: 오목부
23: 전동체
24: 홀더
24b2: 관통 구멍
25: 장식 링
26: 걸림/걸림 해제 부재
26a1: 급경사면
26a2: 완경사면
27: 지지 케이스
A: 출몰구 부착 필기구

Claims (8)

  1. 필기구 본체의 축통(軸筒)의 일단측에, 하방으로 향하여진 때에 자중(自重)에 의하여 전진하여 돌출 상태가 되고, 상방으로 향하여진 때에는 자중에 의하여 후퇴하여 몰입(沒入) 상태가 되는 출몰구(出沒具)를 구비한 출몰구 부착 필기구에 있어서,
    전단측(前端側)에 상기 출몰구를 가지면서 필기구 본체에 대하여 진퇴(進退)하도록 지지된 진퇴 부재와, 필기구 본체에 대하여 진퇴하지 않고 자전(自轉)하도록 지지된 전동체(轉動體)와,
    상기 진퇴 부재에서의 후단(後端)에 가까운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동체를 끼움/끼움 해제 가능한 오목부와, 상기 전동체의 후방측에서 필기구 본체에 대하여 진퇴하도록 지지된 걸림/걸림 해제 부재와,
    상기 필기구 본체에, 상기 진퇴 부재를 진퇴하도록 지지하는 홀더
    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체의 외주면을 상기 진퇴 부재의 측면에 접촉시키도록 하고,
    상기 걸림/걸림 해제 부재가, 전진했을 때에 상기 전동체에서의 중심부보다 축통 직경 외 방향에 가깝게 접촉하고, 후퇴했을 때에는 상기 전동체로부터 후방측으로 멀어지도록 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진퇴 부재를 진퇴시켜 상기 출몰구를 전후로 출몰시키도록 상기 진퇴 부재의 주위를 덮어 지지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상기 전동체를 필기구 본체에 대하여 진퇴하지 않고 자전하도록 지지하고 있고,
    상기 진퇴 부재를 축통 직경 내 방향 측에 두고 그 주위에 상기 전동체를 복수 형성하고,
    상기 걸림/걸림 해제 부재는, 중심측에 상기 홀더를 삽통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걸림/걸림 해제 부재의 전단측의 내주면에, 상기 전동체의 축통 직경 외 방향에 가까운 부분에 대하여 후방측에서 맞닿는 경사면을 가지는,
    출몰구 부착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걸림 해제 부재는, 상기 경사면보다 후방측의 주벽(周壁)의 외면이, 그 전측(前側) 부분보다 축경(縮徑)되어 있는, 출몰구 부착 필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구, 상기 진퇴 부재 및 상기 전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출몰구를 자중에 의하여 출몰시키는 일체적인 출몰 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출몰 유닛을, 필기구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출몰구 부착 필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 본체가 심(芯) 탱크를 갖는 샤프 펜슬이며, 상기 출몰 유닛을, 상기 심 탱크의 선단측에 대한 역단측(逆端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출몰구 부착 필기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75606A 2015-06-25 2016-06-17 출몰구 부착 필기구 KR102462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27396A JP6045651B1 (ja) 2015-06-25 2015-06-25 消しゴム付き筆記具
JPJP-P-2015-127396 2015-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601A KR20170001601A (ko) 2017-01-04
KR102462876B1 true KR102462876B1 (ko) 2022-11-02

Family

ID=5754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606A KR102462876B1 (ko) 2015-06-25 2016-06-17 출몰구 부착 필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14322B2 (ko)
JP (1) JP6045651B1 (ko)
KR (1) KR102462876B1 (ko)
CN (1) CN1062741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07958C (en) * 2015-12-09 2023-04-04 Mitsubishi Pencil Company, Limited Knock type writing instrument
TWI627648B (zh) * 2016-01-22 2018-06-21 Asahi Chemical Ind 正極前驅體
JP7146393B2 (ja) * 2017-12-28 2022-10-04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
US11214092B2 (en) 2019-07-01 2022-01-04 Micro Co., Ltd. Knocking-type writing instrument equipped with eras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9314C (ko) * 1955-03-04
TW356769U (en) * 1998-06-19 1999-04-21 Excel Rite Entpr Co Ltd Improvement for pen
CN2794859Y (zh) * 2005-05-13 2006-07-12 鑫鼎文具礼品(上海)有限公司 一种笔芯控制结构
CN102107571A (zh) * 2009-12-28 2011-06-29 美久卢股份有限公司 自动铅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601A (ko) 2017-01-04
US20160375715A1 (en) 2016-12-29
JP6045651B1 (ja) 2016-12-14
US9914322B2 (en) 2018-03-13
CN106274162A (zh) 2017-01-04
CN106274162B (zh) 2020-03-06
JP2017007263A (ja)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2876B1 (ko) 출몰구 부착 필기구
JPWO2007010656A1 (ja) 回転繰出し式筆記具
JP4435724B2 (ja) スライド式の多芯筆記具
WO2016167183A1 (ja) 消去用部材付き筆記具
JP4906625B2 (ja) ノック式筆記具
US20110103874A1 (en) Universal pencil mechanism
JP4093650B2 (ja) ノック式筆記具
JP4072907B2 (ja) 多芯筆記具
JP2007106051A (ja) 複式筆記具
CN220562437U (zh) 按压出芯式书写笔
JP6207159B2 (ja) 出没式筆記具
JP2013039743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5412319B2 (ja) 多芯筆記具
JP2019089272A (ja) 繰出式筆記具
JP2012045735A (ja) ノック式ボールペン
JP5119556B2 (ja) 書記具
JP6322937B2 (ja)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のスライド部材、および、そのスライド部材を用いた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2011011511A (ja) スライド式の多芯筆記具
CN117103895A (zh) 按压出芯式书写笔
JP6099406B2 (ja) クリップ開閉操作機能付出没式筆記具
JP5022280B2 (ja) 筆記具
JP2011011512A (ja) スライド式の多芯筆記具
JP2020163782A (ja) 筆記具
JP2007055029A (ja) 芯先隠蔽式ボールペン
JP2006130852A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