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345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8345A
KR20210158345A KR1020210080980A KR20210080980A KR20210158345A KR 20210158345 A KR20210158345 A KR 20210158345A KR 1020210080980 A KR1020210080980 A KR 1020210080980A KR 20210080980 A KR20210080980 A KR 20210080980A KR 20210158345 A KR20210158345 A KR 20210158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member
rear inclined
combine
crawler traveling
trave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지 우메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10158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01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1/00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 A01D61/008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for longitudinal conveying, especially for com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탈곡 장치의 가로 측벽과 사이드 커버 사이에 들어간 짚 부스러기를 용이하게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겨진 진흙을 확실하게 받아내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콤바인에 있어서, 탈곡 장치(6)의 가로 측벽(6A)과 사이드 커버(35) 사이에,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후방 경사 부재(43)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후방 경사 부재(43)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측면으로 보아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로부터 튀는 진흙의 튀어오름 방향 D1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는, 기체 프레임(문헌에서는 「기체 프레임〔21〕」)을 지지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문헌에서는 「주행 장치〔2〕」)와,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며, 예취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문헌에서는 「탈곡 장치〔6〕」)와, 탈곡 장치의 가로 측벽을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커버(문헌에서는 「가로 커버〔9〕 등」)가 구비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8-8265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탈곡 장치의 가로 측벽과 사이드 커버 사이에 짚 부스러기가 들어가도, 당해 짚 부스러기를 탈곡 장치의 가로 측벽과 사이드 커버 사이의 하부로부터 낙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겨진 진흙이, 탈곡 장치의 가로 측벽과 사이드 커버 사이의 하부로부터 들어가, 탈곡 장치의 가로 측벽과 사이드 커버 사이에서 비산할 우려가 있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탈곡 장치의 가로 측벽과 사이드 커버 사이에 들어간 짚 부스러기를 용이하게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겨진 진흙을 확실하게 받아내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기체 프레임을 지지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와, 상기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며, 예취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가로 측벽을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가로 측벽과 상기 사이드 커버 사이에,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후방 경사 부재가 복수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후방 경사 부재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측면으로 보아 상기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는 진흙의 튀어오름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탈곡 장치의 가로 측벽과 사이드 커버 사이에 짚 부스러기가 들어가도, 당해 짚 부스러기가 복수의 후방 경사 부재의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간극을 통해 낙하하게 된다. 이에 의해, 탈곡 장치의 가로 측벽과 사이드 커버 사이에 들어간 짚 부스러기를 용이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에 가까운 측의 후방 경사 부재 및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먼 측의 후방 경사 부재에 의해,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겨진 진흙을 받아낼 기회가 복수회 확보되게 된다. 이에 의해,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겨진 진흙을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후방 경사 부재는, 측면으로 보아 상기 튀어오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범위에 이르는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겨진 진흙을, 복수의 후방 경사 부재에 의해 넓은 범위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에 의해,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겨진 진흙을, 보다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경사 부재로서, 제1 후방 경사 부재와, 상기 제1 후방 경사 부재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2 후방 경사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전방측의 제1 후방 경사 부재 및 후방측의 제2 후방 경사 부재에 의해,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겨진 진흙을 받아낼 기회가 2회 확보되게 된다. 이에 의해, 후방 경사 부재의 개수를 억제하면서,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겨진 진흙을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는, 2번물의 곡립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를 갖고, 상기 2번 회수부는, 2번물의 곡립을 기체 좌우 방향으로 반송하는 2번 스크루를 갖고, 상기 2번 스크루에, 상기 2번 스크루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2번 입력 회전체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후방 경사 부재는, 상기 2번 입력 회전체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2번 입력 회전체를 향하여 튀겨진 진흙이 제1 후방 경사 부재에 의해 받아내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겨진 진흙이 2번 입력 회전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경사 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전하방으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전방 경사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제1 후방 경사 부재의 전방으로 튀겨진 진흙이 전방 경사 부재에 의해 받아내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겨진 진흙이 제1 후방 경사 부재의 전방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는, 곡립을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를 갖고, 상기 요동 선별 장치는, 시브 케이스와, 상기 시브 케이스를 요동 구동하는 요동 구동 기구를 갖고, 상기 요동 구동 기구에, 상기 요동 구동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요동 입력 회전체가 마련되고, 상기 제2 후방 경사 부재는, 상기 요동 입력 회전체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요동 입력 회전체를 향하여 튀겨진 진흙이 제1 후방 경사 부재에 의해 받아내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겨진 진흙이 요동 입력 회전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방 경사 부재는, 상기 가로 측벽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후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로 측벽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가로 측벽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까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겨진 진흙을, 제2 후방 경사 부재 및 제2 후방 경사 부재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의해 넓은 범위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에 의해,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겨진 진흙을, 보다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경사 부재로서, 상기 제2 후방 경사 부재보다도 전방측이며 상기 제1 후방 경사 부재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제3 후방 경사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후방 경사 부재는, 측면으로 보아 상기 제2 후방 경사 부재와 상기 제3 후방 경사 부재의 간극을 상기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측으로부터 덮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제2 후방 경사 부재와 제3 후방 경사 부재의 간극을 향하여 튀겨진 진흙이 제1 후방 경사 부재에 의해 받아내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겨진 진흙이 제2 후방 경사 부재와 제3 후방 경사 부재의 간극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제1 후방 경사 부재, 제2 후방 경사 부재, 제3 후방 경사 부재, 종벽 부재, 전방 경사 부재 및 이들의 주변 구조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후방 경사 부재, 제2 후방 경사 부재, 종벽 부재, 전방 경사 부재 및 이들의 주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후방 경사 부재, 제2 후방 경사 부재, 제3 후방 경사 부재, 종벽 부재 및 이들의 주변 구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살표 F의 방향을 「기체의 전방」, 화살표 B의 방향을 「기체의 후방」, 화살표 F의 방향을 향하여 좌측의 방향을 「기체의 좌방」, 화살표 F의 방향을 향하여 우측의 방향을 「기체의 우방」이라 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에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고 있다. 본 콤바인에는, 주행 기체(1)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1)에는, 기체 프레임(2)과, 기체 프레임(2)을 지지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3)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1)의 전방에는, 식립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4)가 마련되어 있다. 주행 기체(1)의 전방부에는, 운전부(5)가 마련되어 있다. 운전부(5)의 하방에는, 엔진 E가 마련되어 있다.
예취부(4)의 후방에는, 예취곡간을 탈곡하여 탈곡 처리물을 선별하는 탈곡 장치(6)가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6)의 좌측부에는, 예취곡간을 반송하는 피드 체인(7)이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6)는, 주행 기체(1)에 있어서,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6)의 우측 옆에는,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 탱크(8)가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6) 및 곡립 저류 탱크(8)는, 기체 프레임(2)에 지지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8)에는, 곡립 저류 탱크(8)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9)가 접속되어 있다. 탈곡 장치(6)의 후방부에는, 배출 짚을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17)가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6)의 후방에는, 배출 짚을 절단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18)가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6)에는, 예취곡간을 탈곡하는 탈곡부(10)와, 탈곡부(10)의 하방에 마련되며, 탈곡 처리물을 선별하는 선별부(11)가 구비되어 있다. 탈곡부(10)에는,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 축심 Y1 둘레에서 회전 가능한 급동(12)과, 급동(12)을 수용하는 급실(13)과, 급동(12)의 주위에 마련되는 수망(14)과, 탈곡 처리물을 확산시키면서 잘린 짚과 곡립을 분리하는 분리 드럼(15)과, 진애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진 팬(16)이 구비되어 있다.
선별부(11)에는, 곡립을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21)와, 요동 선별 장치(21)에 있어서의 하부측의 영역(정선별 영역)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주풍구(22)와, 요동 선별 장치(21)에 있어서의 상부측의 영역(조선별 영역)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제1 부풍구(29)와, 요동 선별 장치(21)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영역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제2 부풍구(30)와, 요동 선별 장치(21)의 하방에 마련되며, 1번물의 곡립(단립화 곡립 등)을 회수하는 제1 회수부(23)와, 요동 선별 장치(21)의 하방에 마련되며, 2번물의 곡립(지경이 붙은 곡립 등)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24)가 구비되어 있다.
1번 회수부(23)에는, 1번물의 곡립을 우방으로 반송하는 1번 스크루(25)가 구비되어 있다. 1번 회수부(23)의 우측 단부에는, 1번 스크루(25)로부터의 1번물의 곡립을 곡립 저류 탱크(8)를 향하여 양곡하는 양곡 장치(26)가 접속되어 있다. 2번 회수부(24)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우방으로 반송하는 2번 스크루(27)가 구비되어 있다. 2번 회수부(24)의 우측 단부에는, 2번 스크루(27)로부터의 2번물의 곡립을 요동 선별 장치(21)로 환원하는 2번 환원 장치(28)가 접속되어 있다.
요동 선별 장치(21)에는, 시브 케이스(32)와, 시브 케이스(32)를 요동 구동하는 요동 구동 기구(33)가 구비되어 있다. 시브 케이스(32)는, 전방부를 지지점(지지점(32a))으로 하여 요동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요동 구동 기구(33)는, 시브 케이스(32)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다. 요동 구동 기구(33)에는, 요동 구동 기구(3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요동 구동축(34)이 구비되어 있다. 요동 구동축(34)은 편심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6)의 좌측벽(6A)(본 발명에 관한 「가로 측벽」에 상당. 도 4 참조)을 가로 외측(좌방)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커버(35)가 마련되어 있다. 사이드 커버(35)는, 상측의 커버체(36)와 하측의 커버체(37)로 상하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측의 커버체(36)는, 전방측의 상부 커버체(36A)와 후방측의 상부 커버체(36B)로 전후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하측의 커버체(37)는, 전방측의 하부 커버체(37A)와 후방측의 하부 커버체(37B)로 전후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동력 전달 구성〕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번 스크루(25)에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38)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38)에는, 출력 풀리(도시 생략)와, 입력 풀리(38A)와, 전동 벨트(38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출력 풀리는, 기어 케이스(도시 생략)의 출력축에 마련되어 있다. 입력 풀리(38A)는, 1번 스크루(25)의 회전축(25a)에 마련되어 있다. 전동 벨트(38B)는, 상기 출력 풀리 및 입력 풀리(38A)에 권회되어 있다.
2번 스크루(27), 분리 드럼(15), 피드 체인(7)에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39)가 마련되어 있다. 피드 체인(7)을 구동하는 구동 케이스(40)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39)에는, 출력 풀리(39A)와, 입력 풀리(39B)(본 발명에 관한 「2번 입력 회전체」에 상당), 입력 풀리(39C), 입력 풀리(39D)와, 아이들러 풀리(39E)와, 전동 벨트(39F)가 구비되어 있다.
출력 풀리(39A)는, 1번 스크루(25)의 회전축(25a)에 마련되어 있다. 입력 풀리(39B)는, 2번 스크루(27)의 회전축(27a)에 마련되어 있다. 입력 풀리(39C)는, 분리 드럼(15)의 회전축(15a)에 마련되어 있다. 입력 풀리(39D)는, 구동 케이스(40)의 입력축(40a)에 마련되어 있다. 아이들러 풀리(39E)는, 회전축(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동 벨트(39F)는, 출력 풀리(39A), 입력 풀리(39B), 입력 풀리(39C), 입력 풀리(39D) 및 아이들러 풀리(39E)에 권회되어 있다.
요동 선별 장치(21)에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42)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42)에는, 출력 풀리(42A)와, 입력 풀리(42B)(본 발명에 관한 「요동 입력 회전체」에 상당)와, 전동 벨트(42C)가 구비되어 있다.
출력 풀리(42A)는, 아이들러 풀리(39E)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입력 풀리(42B)는, 요동 구동 기구(33)의 요동 구동축(34)에 마련되어 있다. 전동 벨트(42C)는, 출력 풀리(42A) 및 입력 풀리(42B)에 권회되어 있다.
〔후방 경사 부재〕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6)의 좌측벽(6A)과 사이드 커버(35) 사이에,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후방 경사 부재(43)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경사 부재(43)로서, 제1 후방 경사 부재(44)와, 제2 후방 경사 부재(45)와, 제3 후방 경사 부재(46)가 구비되어 있다.
제1 후방 경사 부재(44)는, 2번 스크루(27)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입력 풀리(39B)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후방 경사 부재(44)는, 판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후방 경사 부재(44)는,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후방 경사 부재(44)는, 측면으로 보아 제2 후방 경사 부재(45)와 제3 후방 경사 부재의 간극 G를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측으로부터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후방 경사 부재(44)의 상단부로부터 전하방으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전방 경사 부재(47)가 마련되어 있다. 전방 경사 부재(47)는, 판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방 경사 부재(47)는,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 경사 부재(47)는, 제1 후방 경사 부재(44)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후방 경사 부재(44) 및 전방 경사 부재(47)는, 스테이(48)를 통해 기체 프레임(2)에 지지되어 있다.
제2 후방 경사 부재(45)는, 요동 구동 기구(3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입력 풀리(42B)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후방 경사 부재(45)는,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후방 경사 부재(45)는, 제1 후방 경사 부재(44)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후방 경사 부재(45)는, 제1 후방 경사 부재(44)의 후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2 후방 경사 부재(45)는, 판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후방 경사 부재(45)는, 탈곡 장치(6)의 좌측벽(6A)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후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후방 경사 부재(45)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종벽 부재(49)가 마련되어 있다. 종벽 부재(49)는, 판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종벽 부재(49)는, 제2 후방 경사 부재(45)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후방 경사 부재(45)는, 탈곡 장치(6)의 좌측벽(6A)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후하방으로 연장되고, 탈곡 장치(6)의 좌측벽(6A)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탈곡 장치(6)의 좌측벽(6A)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까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후방 경사 부재(45) 및 종벽 부재(49)는, 스테이(50)를 통해 기체 프레임(2)에 지지되어 있다. 종벽 부재(49)의 하단은, 기체 프레임(2)의 하단보다도 하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지 않다.
제3 후방 경사 부재(46)는, 분리 드럼(15)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입력 풀리(39C)의 하방이며, 또한, 아이들러 풀리(39E) 및 출력 풀리(42A)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3 후방 경사 부재(46)는, 제1 후방 경사 부재(44)보다도 전방측이며, 또한, 제2 후방 경사 부재(45)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3 후방 경사 부재(46)는, 판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3 후방 경사 부재(46)는, 내측 커버(51)에 지지되어 있다. 내측 커버(51)는, 사이드 커버(35)와 탈곡 장치(6)의 좌측벽(6A)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도 4에는, 전진 주행 시에 있어서,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로부터 튀는 진흙의 튀어오름 방향을 D1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진 주행 시에 있어서,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로부터 튀는 진흙의 튀어오름 방향 D1을 후상방으로서 상정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후방 경사 부재(44)의 상단부와 제2 후방 경사 부재(45)의 하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 L1을 두고 있다. 제1 후방 경사 부재(44)의 하단부와 제2 후방 경사 부재(45)의 상단부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 L2를 두고 있다.
제1 후방 경사 부재(44) 및 제2 후방 경사 부재(45)는, 측면으로 보아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로부터 튀는 진흙의 튀어오름 방향 D1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후방 경사 부재(44) 및 제2 후방 경사 부재(45)는, 측면으로 보아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로부터 튀는 진흙의 튀어오름 방향 D1에 있어서, 제1 후방 경사 부재(44)가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제2 후방 경사 부재(45)가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후방 경사 부재(44)의 상단부와 제3 후방 경사 부재(46)의 하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 L3을 두고 있다. 제2 후방 경사 부재(45)의 상단부와 제3 후방 경사 부재(46)의 하단부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 L4를 두고 있다. 제1 후방 경사 부재(44)의 하단부와 종벽 부재(49)의 하단부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 L5를 두고 있다.
제1 후방 경사 부재(44), 제2 후방 경사 부재(45) 및 제3 후방 경사 부재(46)는, 측면으로 보아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로부터 튀는 진흙의 튀어오름 방향 D1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후방 경사 부재(44), 제2 후방 경사 부재(45) 및 제3 후방 경사 부재(46)는, 측면으로 보아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로부터 튀는 진흙의 튀어오름 방향 D1에 있어서, 제1 후방 경사 부재(44)가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제2 후방 경사 부재(45)가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제3 후방 경사 부재(46)가 제1 후방 경사 부재(44)와 제2 후방 경사 부재(45)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후방 경사 부재(44), 제2 후방 경사 부재(45) 및 제3 후방 경사 부재(46)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측면으로 보아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로부터 튀는 진흙의 튀어오름 방향 D1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후방 경사 부재(44), 제2 후방 경사 부재(45) 및 제3 후방 경사 부재(46)는, 측면으로 보아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로부터 튀는 진흙의 튀어오름 방향 D1에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범위에 이르는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전방 경사 부재(47)보다도 전방측에 있어서, 전동 벨트(39F)의 하방에는,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전방 경사 부재(52) 및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후방 경사 부재(53)가 각각 복수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5개의 전방 경사 부재(52) 및 2개의 후방 경사 부재(53)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뒤로부터 2번째에 위치하는 후방 경사 부재(53)와 뒤로부터 3번째에 위치하는 전방 경사 부재(52)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경사 부재(52) 및 후방 경사 부재(53)는, 스테이(54)를 통해 기체 프레임(2)에 지지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제2 후방 경사 부재(45) 상에 낙하한 짚 부스러기의 흐름을 F1로 나타내고, 제3 후방 경사 부재(46) 상에 낙하한 짚 부스러기의 흐름을 F2로 나타내고 있다. F1에 대응하는 짚 부스러기는, 주로 배출 짚 절단 장치(18)로부터의 짚 부스러기이다. F2에 대응하는 짚 부스러기는, 주로 분리 드럼(15)으로부터의 짚 부스러기이다.
분리 드럼(15) 등으로부터의 짚 부스러기가 제3 후방 경사 부재(46) 상에 낙하하면, 당해 짚 부스러기가 제3 후방 경사 부재(46)를 따라서 미끄러져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3 후방 경사 부재(46)로부터의 짚 부스러기는, 간격 L4에 대응하는 간극(간극 G)을 통해 낙하하고, 다음에 간격 L5에 대응하는 간극을 통해 낙하하고, 최종적으로는, 탈곡 장치(6)의 좌측벽(6A)과 사이드 커버(35)의 간극의 하부로부터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배출 짚 절단 장치(18) 등으로부터의 짚 부스러기가 제2 후방 경사 부재(45) 상에 낙하하면, 당해 짚 부스러기가 제2 후방 경사 부재(45)를 따라서 미끄러져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2 후방 경사 부재(45)로부터의 짚 부스러기는, 종벽 부재(49)의 후방을 통해 낙하하고, 최종적으로는, 탈곡 장치(6)의 좌측벽(6A)과 사이드 커버(35)의 간극의 하부로부터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전진 주행 시에 있어서,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로부터 후상방(도 4에 도시한 진흙의 튀어오름 방향 D1을 참조)으로 진흙이 튀겨진 경우, 당해 진흙이 제1 후방 경사 부재(44) 및 제2 후방 경사 부재(45)에 의해 받아내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로부터 후상방으로 튀겨진 진흙이 입력 풀리(39B), 입력 풀리(42B), 전동 벨트(39F) 및 전동 벨트(42C) 등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진 주행 시에 있어서,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이나 전상방으로 진흙이 튀겨진 경우(도 4에 도시한 진흙의 튀어오름 방향 D2를 참조), 당해 진흙이 전방 경사 부재(52) 및 후방 경사 부재(53)에 의해 받아내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크롤러 주행 장치(3)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이나 전상방으로 튀겨진 진흙이 입력 풀리(38A), 출력 풀리(39A) 및 전동 벨트(39F) 등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경사 부재(43)로서, 제1 후방 경사 부재(44), 제2 후방 경사 부재(45) 및 제3 후방 경사 부재(46)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후방 경사 부재(43)로서, 제3 후방 경사 부재(46)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혹은, 후방 경사 부재(43)로서, 제1 후방 경사 부재(44), 제2 후방 경사 부재(45) 및 제3 후방 경사 부재(46)에 더하여, 다른 후방 경사 부재(43)가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후방 경사 부재(44)는, 2번 스크루(27)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입력 풀리(39B)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1 후방 경사 부재(44)는, 다른 장소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경사 부재(47)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전방 경사 부재(47)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후방 경사 부재(45)는, 요동 구동 기구(3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입력 풀리(42B)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2 후방 경사 부재(45)는, 다른 장소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종벽 부재(49)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종벽 부재(49)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외에, 전간 투입형 콤바인에도 이용 가능하다.
2: 기체 프레임
3: 크롤러 주행 장치
6: 탈곡 장치
6A: 좌측벽(가로 측벽)
21: 요동 선별 장치
24: 2번 회수부
27: 2번 스크루
32: 시브 케이스
33: 요동 구동 기구
35: 사이드 커버
39B: 입력 풀리(2번 입력 회전체)
42B: 입력 풀리(요동 입력 회전체)
43: 후방 경사 부재
44: 제1 후방 경사 부재
45: 제2 후방 경사 부재
46: 제3 후방 경사 부재
47: 전방 경사 부재
D1: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는 진흙의 튀어오름 방향
G: 간극

Claims (8)

  1. 기체 프레임을 지지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와,
    상기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며, 예취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가로 측벽을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가로 측벽과 상기 사이드 커버 사이에,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후방 경사 부재가 복수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후방 경사 부재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측면으로 보아 상기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로부터 튀는 진흙의 튀어오름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후방 경사 부재는, 측면으로 보아 상기 튀어오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범위에 이르는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경사 부재로서, 제1 후방 경사 부재와, 상기 제1 후방 경사 부재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2 후방 경사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는, 2번물의 곡립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를 갖고,
    상기 2번 회수부는, 2번물의 곡립을 기체 좌우 방향으로 반송하는 2번 스크루를 갖고,
    상기 2번 스크루에, 상기 2번 스크루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2번 입력 회전체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후방 경사 부재는, 상기 2번 입력 회전체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경사 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전하방으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전방 경사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콤바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는, 곡립을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를 갖고,
    상기 요동 선별 장치는, 시브 케이스와, 상기 시브 케이스를 요동 구동하는 요동 구동 기구를 갖고,
    상기 요동 구동 기구에, 상기 요동 구동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요동 입력 회전체가 마련되고,
    상기 제2 후방 경사 부재는, 상기 요동 입력 회전체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방 경사 부재는, 상기 가로 측벽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후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로 측벽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가로 측벽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까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콤바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경사 부재로서, 상기 제2 후방 경사 부재보다도 전방측이며 상기 제1 후방 경사 부재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제3 후방 경사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후방 경사 부재는, 측면으로 보아 상기 제2 후방 경사 부재와 상기 제3 후방 경사 부재의 간극을 상기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단부측으로부터 덮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KR1020210080980A 2020-06-23 2021-06-22 콤바인 KR202101583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08125 2020-06-23
JP2020108125A JP2022002487A (ja) 2020-06-23 2020-06-23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345A true KR20210158345A (ko) 2021-12-30

Family

ID=7896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980A KR20210158345A (ko) 2020-06-23 2021-06-22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002487A (ko)
KR (1) KR20210158345A (ko)
CN (1) CN1138264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82650A (ja) 2016-11-22 2018-05-31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6484Y1 (ko) * 1969-10-20 1973-11-01
JPH11192014A (ja) * 1998-01-06 1999-07-21 Kubota Corp 脱穀部構造
JP2003033111A (ja) * 2001-07-23 2003-02-04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4209888A (ja) * 2013-04-19 2014-11-13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CN108966820A (zh) * 2018-08-15 2018-12-11 郭淑华 一种新能源农作物收割装置
JP2020065474A (ja) * 2018-10-23 2020-04-3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82650A (ja) 2016-11-22 2018-05-31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26478A (zh) 2021-12-24
JP2022002487A (ja)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95473A1 (ja) コンバイン
KR20210158345A (ko) 콤바인
US6780102B2 (en) Transfer mechanism for feeding harvested crop to a separation unit
JP2019103462A (ja) コンバイン
US3580258A (en) Combine
JP2008000009A (ja) コンバイン
KR102282513B1 (ko) 콤바인의 탈곡장치
JP3763530B2 (ja) 脱穀装置
WO2020066238A1 (ja) コンバイン
JP5382853B2 (ja) コンバイン
JP4887688B2 (ja) 脱穀装置
KR101035203B1 (ko) 콤바인
JP5763457B2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7117992B2 (ja) コンバイン
JP7085981B2 (ja) コンバイン
KR102652829B1 (ko) 콤바인 및 탈곡 장치
WO2015146995A1 (ja) コンバイン
JP2022006500A (ja) コンバイン
JP6879893B2 (ja) コンバイン
JP2001045853A (ja) 脱穀装置
JP3686604B2 (ja) 脱穀機の二番処理装置
JP2009034057A (ja) コンバイン
JP2016146806A (ja) コンバイン
JP5339593B2 (ja) コンバイン
JPH11243762A (ja) 普通形コンバイ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