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342A -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그 사용 방법, 현장타설 파일체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그 사용 방법, 현장타설 파일체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342A
KR20210106342A KR1020207037444A KR20207037444A KR20210106342A KR 20210106342 A KR20210106342 A KR 20210106342A KR 1020207037444 A KR1020207037444 A KR 1020207037444A KR 20207037444 A KR20207037444 A KR 20207037444A KR 20210106342 A KR20210106342 A KR 20210106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ting
hole
pile
pipe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218B1 (ko
Inventor
용광 가오
윤페이 가오
Original Assignee
용광 가오
윤페이 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광 가오, 윤페이 가오 filed Critical 용광 가오
Publication of KR2021010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02Handling of bulk concrete specially for foundation or hydraulic engineering purposes
    • E02D15/04Placing concrete in mould-pipes, pile tubes, bore-holes or narrow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enlarged footing or enlargements at the bottom of the pi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그 사용 방법, 현장타설 파일체 및 그 시공 방법을 개시하였고,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은 내부에 그라우트재를 충전하여 파일체를 지지하는 팽창 상태 및 내부 중공의 수축 상태를 구비하는 그라우팅 캡슐; 상기 그라우팅 캡슐의 이너 챔버에 연통되어, 상기 그라우팅 캡슐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그라우팅 파이프; 및 상기 그라우팅 캡슐이 설치되고, 수용홀의 공저에 연통되어 상기 수용홀 내의 슬러리 및/또는 이침적물 통과하도록 하는 관통홀이 마련되어 있는 고정판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 중 그라우팅 캡슐을 구비하는 현장타설 파일이 보드 파일 시공 과정에서, 공벽 붕괴와 침적물 기준치 초과를 초래하고, 시공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그 사용 방법, 현장타설 파일체 및 그 시공 방법
본 발명은 기초 구조물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그 사용 방법, 현장타설 파일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초 구조물 분야에 있어서, 파일 필링 후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보편적으로 오픈식 그라우팅을 적용한다. 그러나, 오픈식 그라우팅은 그라우트재 주입 영역의 통제 가능성이 낮고, 파일 선단 확장 구조물의 형성, 주변 지반에 대한 압밀 효과 및 파일 선단 지지력 향상 정도가 비교적 작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오픈식 그라우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있어서, 그라우팅 파이프, 스틸 바닥재, 그라우팅 접구 및 그라우팅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그라우팅 접구는 스틸 바닥재 상부 및 하부에서 연장되며, 그라우팅 접구의 상부는 그라우팅 파이프에 연결되고, 그라우팅 접구의 하부는 스틸 바닥재 하부의 그라우팅 캡슐에 연결되며,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 상부는 그라우팅 펌프에 연결되는, 그라우팅 캡슐을 구비하는 현장타설 파일 그라우팅 장치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보드 파일 시공에 있어서, 특히 슬러리 월을 사용하는 시공 과정에서, 상술한 그라우팅 캡슐을 구비하는 현장타설 파일에는 현저한 흠결이 존재한다. 리어 그라우팅 용기로서 철근 케이지의 저부에 강판 그라우팅 캡슐을 장착할 경우, 철근 케이지를 따라 공저까지 내려가는 과정에서, 보호 강판을 구비하는 철근 케이지는 천공과정 중 마치 피스톤과 같아, 천공 중의 슬러리를 위로 배출하기가 어려워, 탁수중에 공벽을 파괴하는 와류가 형성될 수 있어, 강판 에지와 천공벽 사이에서 선회하는 탁수류가 천공 공벽을 침식하는 동시에 교란시켜, 천공 공벽의 붕괴를 초래한다. 또한, 상술한 스틸 바닥재도 천공 공벽을 긁을 수 있어, 천공 공벽의 붕괴가 더 심해지고, 공벽 붕괴는 보어홀 클리닝 후의 천공이 그라우팅 용기가 바닥에 이른 후 침적물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동시에, 스틸 바닥재의 상측에도 천공 공벽에서 붕괴된 토사가 쌓여 침적물이 기준치를 초과할 수 있고, 보드 파일의 품질에 엄중한 영향을 미치며, 심지어 파일 분열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 중 그라우팅 캡슐을 구비하는 현장타설 파일이 보드 파일 시공 과정에서, 공벽 붕괴와 침적물 기준치 초과를 초래하고, 시공 품질에 엄중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그 사용 방법, 현장타설 파일체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에 그라우트재를 충전하여 파일체를 지지하는 팽창 상태 및 내부 중공의 수축 상태를 구비하는 그라우팅 캡슐; 및 상기 그라우팅 캡슐의 이너 챔버에 연통되어, 상기 그라우팅 캡슐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그라우팅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우팅 캡슐이 설치되고, 수용홀의 공저에 연통되어 상기 수용홀 내의 슬러리 및/또는 침적물이 통과하도록 하는 관통홀이 마련되어 있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을 제공한다.
상기 관통홀은 하나이고, 상기 고정판의 중앙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판은 고리형 판상 구조를 이룬다.
상기 그라우팅 캡슐은 상기 고정판의 형상에 매칭되는 중공 고리형 구조이다.
고리형 구조의 상기 고정판의 내환 에지에 상기 그라우팅 캡슐 내환으로 연장되는 고리형 스토퍼를 구비한다.
상기 고리형 스토퍼의 높이는 상기 수용홀의 침적물 설계 두께치와 수축 상태에 처한 상기 그라우팅 캡슐의 두께 양자의 합보다 크지 않다.
상기 고리형 스토퍼는 상기 고정판의 표면에 수직된다.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은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와 상기 그라우팅 캡슐의 연통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그라우팅 캡슐 내의 폐색물이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에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1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에는 그라우트재가 상기 그라우팅 캡슐 내에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제1 그라우팅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체크 밸브는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의 제1 그라우팅홀에 대향 설치되어, 상기 제1 그라우팅홀을 밀폐하기 위한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에 밀착되어 상기 폐색물이 상기 제1 그라우팅홀을 거쳐 그라우팅 파이프에 진입하는 것을 막는 밀폐 상태 및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 내 압력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그라우팅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라우트재가 상기 제1 그라우팅홀을 거쳐 상기 그라우팅 캡슐에 진입하도록 하는 오픈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는 상기 그라우팅 캡슐 이너 챔버까지 연장되는 제1 그라우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라우팅부는 상기 고정판의 외부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고리형 관로이며,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1 그라우팅부에 슬리브 설치되는 고리형 커버이다.
상기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은 상기 관통홀에 연통되어, 상기 관통홀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슬러리 보충 구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슬러리 보충 구조는 적어도 한가닥의 슬러리 보충 파이프이고,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는 상기 관통홀에 연통되어, 상기 관통홀 내로 그라우팅을 진행한다.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는 상기 관통홀의 보어에 연장되는 제2 그라우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그라우팅홀은 복수개이며, 상기 제2 그라우팅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그라우팅부는 상기 관통홀의 공벽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아치형 관로이다.
상기 제2 그라우팅부는 상기 관통홀의 공벽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고리형 관로이다.
상기 고정판은 상기 관통홀에 연통되는 슬러리 저장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는 상기 스러리 저장 챔버의 슬러리 진입구에 연통된다.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에는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와 상기 관통홀의 연통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제2 체크 밸브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 체크 밸브는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의 제2 그라우팅홀에 대향 설치되어, 상기 제2 그라우팅홀을 밀폐하기 위한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에 밀착되어 폐색물이 상기 제2 그라우팅홀을 거쳐 슬러리 보충 파이프에 진입하는 것을 막는 밀폐 상태 및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 내 압력 작용에 의해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라우트재가 상기 제2 그라우팅홀을 거쳐 상기 관통홀에 진입하도록 하는 오픈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2 그라우팅부에 슬리브 설치되는 고리형 커버이다.
상기 관통홀은 하나이고, 상기 고정판의 중앙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판은 고리형 판상 구조를 이루고, 상기 고정판의 내환 에지에 상기 그라우팅 캡슐 내환까지 연장되는 고리형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의 제2 그라우팅홀은 상기 고리형 스토퍼가 상기 고정판에서 멀어지는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그라우팅 캡슐에는 그 내부에 매개체를 주입하여, 상기 그라우팅 캡슐의 누설 여부 및/또는 지지 가능 압력 크기를 검증하기 위한 캡슐 검출구가 마련되어 있고, 그라우팅 캡슐의 지지 가능 압력 크기를 검측하여, 그라우트재 작용하에서의 그라우팅 캡슐의 팽창 수축 능력 및 그 용적 크기를 효과적으로 검사한다.
상기 캡슐 검출구는 상기 고정판에 마련되어 있다.
현장타설 파일체에 있어서,
상술한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및
상기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고정판에 연결되고,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에 고정 연결되는 철근 케이지를 포함한다.
상기 현장타설 파일체는 상기 철근 케이지에 고정되는 파일측 그라우팅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일측 그라우팅 파이프의 제1 그라우팅홀은 상기 그라우팅 캡슐에 접근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파일측 지반에 그라우팅을 진행한다.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방법은
S1, 수용홀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홀 내의 침적물을 제거하는 단계;
S2, 하단에 상기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이 장착되어 있는 철근 케이지를 상기 수용홀의 저부로 하강시키는 단계;
S3, 상기 관통홀을 거쳐 상기 고정판 하측의 상기 침적물을 배출하는 단계;
S4, 상기 수용홀 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현장타설 파일을 형성하는 단계; 및
S5, 상기 그라우팅 캡슐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여, 파일 저부 확장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단계 S3에서, 상기 관통홀을 거쳐 상기 고정판 하측의 상기 침적물을 배출하는 단계는 부압 흡입관을 상기 관통홀에 일치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수용홀 공저의 침적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방법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슬러리 보충 파이프를 거쳐 파일 저부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단계 S6을 더 포함한다.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방법은 파일측 지반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단계 S7을 더 포함한다.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사용 방법은
그라우팅 파이프를 세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라우팅 캡슐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라우팅 파이프를 세정하는 상기 단계는 구체적으로 S1, 제1 그라우팅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가닥의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를 오픈하는 단계; 및 S2, 오픈 상태에 처한 적어도 두가닥의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 중의 적어도 한가닥의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 내로 세정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액은 오픈 상태에 처하되 상기 세정액을 주입하지 않은 다른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로부터 배출되며,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 내의 압력이 제1 체크 밸브를 오픈하는 압력보다 작다.
상기 그라우팅 캡슐 내로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상기 단계는 구체적으로 오픈 상태에 처한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라우팅부 내의 압력은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측압보다 크며, 상기 그라우트재는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그라우팅부 사이의 간극을 통해 오버 플로되어 상기 그라우팅 캡슐 내에 진입한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이하의 장점을 구비한다:
1.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은 내부에 그라우트재를 충전하여 파일체를 지지하는 팽창 상태 및 내부 중공의 수축 상태를 구비하는 그라우팅 캡슐; 상기 그라우팅 캡슐의 이너 챔버에 연통되어, 상기 그라우팅 캡슐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그라우팅 파이프; 및 상기 그라우팅 캡슐이 설치되고, 수용홀의 공저에 연통되어 상기 수용홀 내의 슬러리 및/또는 침적물이통과하도록 하는 관통홀이 마련되어 있는 고정판을 포함한다. 고정판에 마련된 관통홀을 거쳐,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이 수용홀의 공저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수용홀 내의 탁수 및 공기 등이 관통홀을 거쳐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상부에 진입하여,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및 수용홀 사이에 공벽을 파괴하는 와류가 형성되지 않아,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하강 과정에서 탁수를 수용홀에서 배출할 수 없어 공벽을 파괴하는 와류가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고, 고정판 에지 및 수용홀 사이에서 선회하는 탁수류가 수용홀의 공벽을 침식하고 교란시키는 것을 피하며, 수용홀의 공벽이 붕괴되고, 공저의 침적물이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파일 분열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였고,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품질 및 진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켰다.
2.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서, 상기 관통홀은 하나이고, 상기 고정판의 중앙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판은 고리형 판상 구조를 이룬다. 하나의 상술한 관통홀을 고정판의 중앙 위치에 마련함으로써,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하강 과정에서 그 각 위치가 상대적 평형을 이룰 수 있어,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하강 시 위치가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그라우팅 공동이 공저에 순리롭게 도달하도록 한다. 그리고, 관통홀의 상술한 마련 방법은 관통홀에 더욱 많은 공간을 예비할 수 있어, 관통홀의 홀경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 탁수 등이 상술한 관통홀을 효과적으로 통과하도록 확보할 수 있어, 공벽을 파괴하는 와류가 형성되지 않는다.
3.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팅 캡슐은 상기 고정판의 형상에 매칭되는 중공 고리형 구조이다. 그라우팅 캡슐을 고정판의 형상에 매칭되는 중공 고리형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탁수 등이 차례로 그라우팅 캡슐 및 고정판을 거쳐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상층에 효과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확보하고,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및 수용홀 공벽 사이에 공벽을 파괴하는 와류를 형성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그라우팅 캡슐은 고정판의 형상에 매칭되기에, 그라우팅 캡슐의 체적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그라우팅 캡슐이 최대한으로 현장타설 파일체를 고정 및 지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타설 파일체의 견고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켰다.
4.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고리형 구조의 상기 고정판의 내환 에지에 상기 그라우팅 캡슐 내환까지 연장되는 고리형 스토퍼를 구비한다.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과정에서,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이 장착되어 있는 철근 케이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현장타설 파일체를 형성하여야 하고, 상술한 고리형 스토퍼는 관통홀 에지에 콘크리트 및 그라우팅 캡슐을 서로 격리시키는 하나의 저지 부재를 효과적으로 형성하여, 철근 케이지 내에 콘크리트 주입 시, 콘크리트가 상술한 관통홀을 통과하여 그라우팅 캡슐을 둘러싸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그라우팅 캡슐이 콘크리트에 의해 둘러쌓여 파일 필링 후 그라우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 발생을 피하였다.
5.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스토퍼의 높이는 상기 수용홀의 침적물 설계 두께치와 상기 그라우팅 캡슐의 두께 양자의 합보다 크지 않다. 고리형 스토퍼의 높이를 수용홀의 침적물 설계 두께치와 상기 그라우팅 캡슐의 두께 양자의 합 이하로 설계함으로써,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이 지정 위치로 하강하도록 확보하여, 고리형 스토퍼와 수용홀의 공저가 서로 접할 때, 침적물 설계 두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상술한 높이가 침적물 설계 두께 이하인 고리형 스토퍼를 통해, 상술한 관통홀을 통해 수용홀의 침적물을 제거한 후, 고리형 스토퍼와 수용홀의 공저가 서로 접하여, 수용홀의 침적물 두께가 합격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효과적으로 검측할 수 있어, 시공 인원의 조작에 편이하고, 시공 품질을 확보하였다.
6.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스토퍼는 상기 고정판의 표면에 수직되고, 고리형 스토퍼는 고정판에 수직되어, 고리형 스토퍼가 그라우팅 캡슐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수용홀 내의 탁수 등이 신속히 관통홀을 거쳐,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상부에 진입하도록 확보하여, 공벽을 파괴하는 와류를 형성하지 않고, 나아가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품질 및 시공 진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7.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은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와 상기 그라우팅 캡슐의 연통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그라우팅 캡슐 내의 토사, 침적물 등 혼합물이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에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1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제1 체크 밸브를 통해 그라우팅 캡슐이 파열되는 등 경우, 그라우팅 파이프 외부의 압력이 그라우팅 파이프 내부의 압력보다 클 때, 그라우팅 캡슐 내에 진입한 토사, 침적물 등 혼합물이 그라우팅 파이프에 진입하거나, 또는 기계 고장으로 인해 그라우팅이 중단되어, 그라우팅 파이프가 막히는 문제로 인해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이 사용 불가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1 체크 밸브를 통해 토사, 침적물 등 혼합물이 그라우팅 파이프에 진입하고, 나아가서 그라우팅 캡슐이 그라우팅 전에 파손되거나 침적물 혼합물이 진입하는 경우, 그라우팅 파이프를 통해 그라우팅 캡슐 방향으로 여전히 그라우팅을 지속하거나; 또는 기계 고장으로 인해 그라우팅이 중단되는 경우, 그라우팅 파이프를 즉시 세척하여, 관로의 원활한 통과를 확보하여, 여러 차례의 그라우팅을 중복 실현할 수 있고, 파일 선단 확장 구조물의 형성 및 주변 지반에 대한 압밀 효과을 확보하였고, 파일 선단 지지력를 향상시켰다.
8.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에는 그라우트재가 상기 그라우팅 캡슐 내에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제1 그라우팅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체크 밸브는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의 제1 그라우팅홀에 대향 설치되어, 상기 제1 그라우팅홀을 밀폐하기 위한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에 밀착되어 토사, 침적물 등 혼합물이 상기 제1 그라우팅홀을 거쳐 그라우팅 파이프에 진입하는 것을 막는 밀폐 상태 및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 내 압력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그라우팅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라우트재가 상기 제1 그라우팅홀을 거쳐 상기 그라우팅 캡슐에 진입하도록 하는 오픈 상태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1 탄성부재는 그라우팅 파이프와 그라우팅 캡슐이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그라우팅부 내의 압력이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자체 수축 압력과 외부 압력의 합보다 작으면, 제1 탄성부재는 자체 수축 압력으로 인한 측압의 작용하에 그라우팅 파이프에 밀접하여, 제1 그라우팅홀을 밀폐함으로써, 토사, 침적물 등 혼합물이 제1 그라우팅홀을 거쳐 그라우팅 파이프에 진입하여 그라우팅 파이프를 막아,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대해 그라우팅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피한다. 상기 제1 그라우팅부 내의 압력이 상기 제1 탄성부재 자체의 수축 압력과 외부 압력의 합보다 크면 상기 그라우트재는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그라우팅부 사이의 간극을 통해 오버 플로되어, 그라우팅 캡슐 내에 진입하거나 파손된 그라우팅 캡슐을 거쳐 지반에 진입할 수 있다. 상술한 변형 가능한 제1 탄성부재를 통해 그라우팅 파이프의 단방향 슬러리 배출을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확보하여,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내의 혼합물이 그라우팅 파이프에 진입할 수 없도록 확보하고, 그라우팅 캡슐 파열 시에도 그라우팅으로 파일 저부 지반을 견고하게 할 수 있어, 파일 선단 지지력을 향상시켰다.
9.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는 상기 그라우팅 캡슐 이너 챔버까지 연장되는 제1 그라우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라우팅부는 상기 고정판을 외부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고리형 관로이며,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1 그라우팅부에 슬리브 설치되는 고리형 커버이다. 상술한 고리형의 제1 그라우팅부는 고리형 구조의 그라우팅 캡슐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고, 제1 그라우팅부가 그라우팅 캡슐의 다른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하여,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그라우팅이 더욱 균일하도록 하고; 또한 제1 탄성부재는 관상 구조의 제1 그라우팅부에 슬리브 설치되고, 상술한 고리형 커버 구조의 제1 탄성부재를 통해 관상 구조의 제1 그라우팅부를 효과적으로 둘러싸, 제1 그라우팅부 관내 압력이 관외 압력보다 작을 경우, 제1 탄성부재가 제1 그라우팅홀을 효과적으로 밀폐하도록 확보하여, 각 각도에서 공저 토사, 침적물 등 혼합물이 그라우팅 파이프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10.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상기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은 상기 관통홀에 연통되어, 상기 관통홀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슬러리 보충 구조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슬러리 보충 구조를 통해 관통홀을 거쳐 파일 저부에 대해 그라우팅을 진행하여, 파일 저부의 시멘트 슬러리의 함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파일 저부 콘크리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관통홀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것은 이하의 장점을 가진다: 콘크리트가 길고 가는 도관에서 낙하할 때 높이차가 지나치게 큰 것으로 인해 파일 저부 부위의 콘크리트가 편석하여 형성되는 허첨 및 마른 자갈을 효과적으로 해소한다. 관통홀을 효과적으로 충전하여 파일 저부 강도를 향상시킨다. 압력 삼투 그라우팅은 파일 저부 주변 지반의 물을 그라우팅으로 치환하여, 파일 저부 강도를 향상시켰다. 그라우트재는 관통홀을 통해 파일 저부 주변 지반에 주입되어, 그라우팅 베인을 형성하여 파일 저부 강도를 향상시켰다.
11.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보충 구조는 적어도 한가닥의 슬러리 보충 파이프이고,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는 상기 관통홀에 연통되어, 상기 관통홀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한다. 상술한 슬러리 보충 파이프를 거쳐 원거리에서 관통홀 내에 간단하고 편이하게 그라우팅을 진행할 수 있다.
12.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는 상기 관통홀의 보어에 연장되는 제2 그라우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그라우팅홀은 복수개이며, 상기 제2 그라우팅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그라우팅부는 상기 관통홀의 공벽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아치형 관로이다. 상술한 복수의 제2 그라우팅홀을 구비하는 아치형 관로 또는 고리형 관로는 제2 그라우팅부의 그라우팅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저부 지반 각 방향에 모두 그라우트재 유입이 있도록 확보하여, 그라우팅 효과를 확보하였다.
13.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관통홀에 연통되는 슬립 저장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는 상기 슬립 저장 챔버의 슬립 진입구에 연통된다. 그라우트재는 슬러리 보충 파이프 및 고정판의 슬러리 저장 챔버를 거쳐 관통홀에 진입하고, 상술한 방식은 그라우트재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관통홀 내에 주입할 수 있다.
14.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에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와 상기 관통홀의 연통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제2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관통홀 내의 토사, 침적물 등 혼합물이 슬러리 보충 파이프에 진입하는 것을 막는다.
15.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상기 제2 체크 밸브는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의 제2 그라우팅홀에 대향 설치되어, 상기 제2 그라우팅홀을 밀폐하기 위한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에 밀착되어 폐색물이 상기 제2 그라우팅홀을 거쳐 슬러리 보충 파이프에 진입하는 것을 막는 밀폐 상태 및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 내 압력 작용에 의해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라우트재가 상기 제2 그라우팅홀을 거쳐 상기 관통홀에 진입하도록 하는 오픈 상태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를 통해 변형이 가능한 제2 탄성부재는 슬러리 보충 파이프의 단 방향 슬립 배출을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관통홀 내의 혼합물이 슬러리 보충 파이프에 진입할 수 없도록 확보한다.
16.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하나이고, 상기 고정판의 중앙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판은 고리형 판상 구조를 이루고, 상기 고정판의 내환 에지에 상기 그라우팅 캡슐 내환까지 연장되는 고리형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의 제2 그라우팅홀은 상기 고리형 스토퍼가 상기 고정판에서 멀어지는 일측에 위치한다. 제2 그라우팅홀을 고리형 스토퍼의 상기 고정판에서 멀어지는 일측에 마련함으로써, 그라우트재가 그라우팅 캡슐 내환 중간의 구멍을 효과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확보하고,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저부의 지반 시멘트 슬러리 함량을 효과적으로 증가하였다.
17.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팅 캡슐에는 그 내부에 매개체를 주입하여, 상기 그라우팅 캡슐의 누설 여부 및/또는 지지 가능 압력 크기를 검증하기 위한 캡슐 검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캡슐 검출구를 통해 그라우팅 캡슐에 공기, 물 또는 기타 매개체를 충전하여, 그라우팅 캡슐이 지지가능한 압력 크기를 효과적으로 검측할 수 있고, 그라우트재 작용 하에서의 그라우팅 캡슐의 팽창 수축 능력 및 그 용적 크기를 검사할 수 있다.
18.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상기 캡슐 검출구는 상기 고정판에 마련되어 있어, 시행사의 조작에 편이하고, 유저의 조작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19.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는 각각 제1 그라우팅부 및 제2 그라우팅부와의 고정부를 구비한다. 제1 탄성부재는 제1 그라우팅부에 고정 연결되어 제1 그라우팅홀을 거쳐 그라우팅 캡슐 이너 챔버에 그라우팅을 진행할 때, 제1 탄성부재가 그라우팅 압력 작용하에서 예정 위치를 이탈하여, 제1 탄성부재가 제1 그라우팅홀에 대한 밀폐 능력을 상실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같은 이치로, 상술한 고정부도 제2 탄성부재를 제2 그라우팅부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20.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현장타설 파일체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및 상기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고정판에 연결되고,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에 고정 연결되는 철근 케이지를 포함하고, 현장타설 파일체는 상술한 방안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을 구비하기에, 상술한 방안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점을 구비한다.
21.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S1, 수용홀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홀 내의 침적물를 제거하는 단계; S2, 하단에 상기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이 장착되어 있는 철근 케이지를 상기 수용홀의 저부로 하강시키는 단계; S3, 상기 관통홀을 거쳐 상기 고정판 저부의 상기 침적물을 배출하는 단계; S4, 상기 수용홀 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현장타설 파일을 형성하는 단계; 및 S5, 상기 그라우팅 캡슐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여, 파일 저부 확장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관통홀을 통해 시행사가 상기 고정판 하측의 침적물을 배출하는데 효과적으로 편이할 수 있어, 수용홀의 침적물 두께가 합격 범위 내에 있도록 효과적으로 확보하여, 시공 인원의 조작에 편이하고, 시공 품질을 확보하였다.
22.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현장타설 파일체는 상기 철근 케이지에 고정되는 파일측 그라우팅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일측 그라우팅 파이프의 제1 그라우팅홀은 상기 그라우팅 캡슐에 접근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파일측 지반에 그라우팅을 진행한다. 현장타설 파일체 측벽 주변 지반에 압력 그라우팅을 진행하여, 파일체 주변 지반이 더욱 치밀하고, 강도가 더욱 향상되도록 하고, 현장타설 파일과 주변 지반의 결합도 더욱 밀접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타일의 극한 지지력을 대폭 향상시켰다.
23.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현장타설 파일체에 있어서, 진공배기 프레스로 제어되는 부압 흡입관이 연결되어 상기 관통홀에 일치시켜, 상기 수용홀 공저의 침적물을 배출하고, 상술한 부압 흡입관은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침적물을 배출할 수 있어, 배재 효율을 향상시켰다.
24.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슬러리 보충 파이프를 거쳐 파일 저부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단계 S6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슬러리 보충 구조를 통해 관통홀을 거쳐 파일 저부에 대해 그라우팅을 진행하여, 파일 저부의 시멘트 슬러리의 함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파일 저부 콘크리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관통홀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것은 이하의 장점을 가진다: 콘크리트가 길고 가는 도관에서 낙하할 때 높이차로 인해 파일 저부 부위의 콘크리트가 편석하여 형성되는 허첨 및 마른 자갈을 효과적으로 해소한다. 관통홀을 효과적으로 충전하여 파일 저부 강도를 향상시킨다. 압력 삼투 그라우팅은 파일 저부 주변 지반의 물을 그라우팅으로 치환하여, 파일 저부 강도를 향상시켰다. 그라우트재는 관통홀에서 파일 저부 주변 지반에 주입되어, 슬러리 베인을 형성하여, 파일 저부 지반 강도를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 방안을 더욱 명백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고, 이하 설명에 있어서,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창조적인 노동을 들이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러한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다른 첨부 도면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내부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내부 구조 조감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1 체크 밸브 및 제2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내부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용홀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한가닥의 슬러리 보충 파이프의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내부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슬러리 저장 챔버를 구비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내부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을 명백하고 완전하게 설명할 것이다. 서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부의 실시예가 아닌것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들이지 않는 전제하에 얻을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의 서술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점은, 용어 "중심", "상", "하", "좌", "우", "수직", "수평", "내", "외"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초한 것이고, 본 발명을 설명하고 또한 설명을 간소화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가르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에 위치하거나, 특정된 방위로 구성되거나 조작되는 것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기에 본 발명의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그 외 용어 "제1", "제2", "제3"은 서술의 목적으로 사용할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서술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점은, 별도의 명확한 규정 또는 한정이 없는 한 용어 "장착", "접속", "연결"은 넓은 의미로 이해해야 하고, 예를 들어 고정 연결, 또는 탈착가능하게 연결, 또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기계적으로 연결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직접적으로 접속 또는 중간 매개체를 통한 접속일 수 있고 두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술한 용어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그 외, 이하에서 서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기술 특징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현장타설 파일체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을 포함하고, 도 1 내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은 고정판(4) 및 고리형 스토퍼(1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4)에 상기 수용홀(1)의 공저에 연통되어, 상기 수용홀(1) 내의 슬러리 및 침적물이 통과하도록 하는 관통홀(5)이 마련되어 있고, 상술한 관통홀(5)은 하나이며, 상기 고정판(4)의 중앙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고정판(4)은 고리형 판상 구조를 이룬다. 고정판(4)의 중앙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관통홀(5)을 거쳐,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이 수용홀(1)의 공저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수용홀(1) 내의 탁수 및 공기 등이 관통홀(5)을 거쳐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상부에 진입하기에,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및 수용홀(1) 사이에 공벽을 파괴하는 와류가 형성되지 않아,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하강 과정에서 탁수 등을 수용홀(1)로 배출할 수 없어 공벽을 파괴하는 와류가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고, 고정판(4) 에지 및 수용홀(1) 사이에서 선회하는 탁수류가 수용홀(1)의 공벽을 침식하고 교란시키는 것을 피하며, 수용홀(1)의 공벽이 붕괴되고, 공저의 침적물이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파일 분열 문제를 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였고,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품질 및 진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켰다. 그리고, 고정판(4)의 중앙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상술한 관통홀(5)은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하강 과정에서 그 각 위치가 상대적 평형을 이룰 수 있게하여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하강 시 위치가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그라우팅 공동이 공저에 순리롭게 도달하도록 한다. 또한, 관통홀(5)을 고정판(4) 중앙 위치에 마련하고, 복수의 소형 구멍을 마련하는데 비해, 관통홀(5)에 더욱 많은 공간을 남길 수 있어, 관통홀(5)의 공경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 탁수 등이 상술한 관통홀(5)을 효과적으로 통과하도록 확보할 수 있어, 공벽을 파괴하는 와류가 형성되지 않는다.
고리형 스토퍼(10)는 상기 고정판(4)의 내환 에지를 따라 마련된 고리형 댐퍼이고, 상술한 고리형 댐퍼는 상기 그라우팅 캡슐(2)의 내환까지 연장되며, 상기 고정판(4)의 표면에 수직된다.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과정에서,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이 장착되어 있는 철근 케이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현장타설 파일체를 형성하는데, 상술한 고리형 스토퍼(10)는 관통홀(5) 에지에 하나의 콘크리트와 그라우팅 캡슐(2)을 서로 격리시키는 저지 부재를 효과적으로 형성하여, 철근 케이지 내에 콘크리트 주입 시, 콘크리트가 상술한 관통홀(5)을 통과하여 그라우팅 캡슐(2)을 둘러싸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그라우팅 캡슐(2)이 콘크리트에 의해 둘러싸여 파일 필링 후 그라우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 발생을 피하였다. 또한, 상술한 고리형 스토퍼(10)의 높이를 상기 수용홀의 침적물 설계 두께치와 상기 그라우팅 캡슐(1)의 두께 양자의 합 이하로 함으로써,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이 지정 위치에 하강하도록 확보하여, 고리형 스토퍼(10)와 수용홀(1)의 공저가 서로 접할 때, 침적물 설계 두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상술한 높이가 침적물 설계 두께 이하인 고리형 스토퍼(10)를 통해, 상술한 관통홀(5)을 거쳐, 수용홀(1)의 침적물를 제거한 후, 고리형 스토퍼(10)와 수용홀(1)의 공저가 서로 접하여, 수용홀(1)의 침적물 두께가 합격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효과적으로 검측할 수 있어, 시공 인원의 조작에 편이하고, 시공 품질을 확보하였다. 다른 한편, 상기 그라우팅 캡슐(2)은 상기 고정판(4)에 설치되어, 상기 그라우팅 캡슐(2) 및 상기 고정판(4)은 그라우트재를 수용하는 수용챔버를 형성한다. 상술한 고정판(4)은 철근 케이지에 효과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장착 사용을 실현한다.
고무 재질의 그라우팅 캡슐(2)은 상기 고정판(4)에 설치되고, 상기 그라우팅 캡슐(2)은 상기 고정판(4)의 형상에 매칭되는 중공 고리형 구조이며, 내부에 그라우트재를 충전하여 파일체를 지지하는 팽창 상태 및 내부 중공의 수축 상태를 구비하고, 그라우팅 캡슐(2)을 고정판(4)의 형상에 매칭되는 중공 고리형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탁수 등이 차례로 그라우팅 캡슐(2) 및 고정판(4)을 거쳐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상층에 효과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확보하여,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및 수용홀(1) 공벽 사이에 공벽을 파괴하는 와류를 형성하지 않는 전제하에, 또한, 그라우팅 캡슐(2)은 고정판(4)의 형상에 매칭되기에, 그라우팅 캡슐(2)의 체적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그라우팅 캡슐(2)이 최대한으로 현장타설 파일체에 고정 및 지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타설 파일체의 견고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상술한 고리형의 제1 그라우팅부(13)는 고리형 구조의 그라우팅 캡슐(2)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어, 제1 그라우팅부(13)가 그라우팅 캡슐(2)의 부동한 위치까지 연장하도록 하여,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그라우팅이 더욱 균일하도록 한다.
철근 케이지(14)는 상기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고정판(4)에 연결되고, 상기 철근 케이지(14)에 파일측 그라우팅 파이프(15)가 더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파일측 그라우팅 파이프(15)의 제1 그라우팅홀은 상기 그라우팅 캡슐(2)에 접근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파일 저부에 압력 그라우팅을 진행함으로써, 파일체 및 파일 저부 확장 구조물 등이 밀접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파일 저부 확장 구조물 및 파일 저부 주변 지반이 더욱 치밀하고, 강도가 더욱 향상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타일의 극한 지지력을 대폭 향상시켰다. 동시에, 상기 파일 측벽 주변 지반에 그라우팅을 진행한다. 파일 측벽 주변 지반에 압력 그라우팅을 진행하여, 파일체 주변의 지반이 더욱 치밀하고, 강도가 더욱 향상되도록 하고, 현장타설 파일과 주변 지반의 결합도 더욱 밀접하도록 하며, 최종적으로 파일의 극한 지지력을 대폭 향상시켰다;
그라우팅 파이프(3)는 두가닥이고, 상기 철근 케이지(14)에 고정 밴딩 연결되며,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는 상기 그라우팅 캡슐(2)의 이너 챔버에 연통되고,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는 상기 그라우팅 캡슐(2) 이너 챔버까지 연장되는 제1 그라우팅부(13)를 구비하여, 상기 그라우팅 캡슐(2)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한다. 상기 제1 그라우팅부(13)는 상기 고정판(4)의 외부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고리형 관로이고, 고리형의 제1 그라우팅부(13)에는 그라우트재가 상기 그라우팅 캡슐(2) 내에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제1 그라우팅홀(11)이 마련되어 있으며, 고리형의 제1 그라우팅부(13)에는 토사, 침적물 등 혼합물이 그라우팅 캡슐(2) 및 그라우팅 파이프(3)에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1 체크 밸브가 더 마련되어 있고, 상술한 제1 체크 밸브는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의 제1 그라우팅홀(11)에 대향 설치되어, 상기 제1 그라우팅홀(11)을 밀폐하기 위한 제1 탄성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12)는 상기 제1 그라우팅부(13)에 슬리브 설치되는 고리형 커버 형상 고무부재이며, 상술한 고리형 커버 구조의 제1 탄성부재(12)는 관상 구조의 제1 그라우팅부(13)를 효과적으로 감쌀 수 있어, 제1 탄성부재(12)가 제1 그라우팅홀(11)을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확보하고, 각 각도에서 공저 토사, 침적물 등 혼합물이 그라우팅 파이프(3)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탄성부재(12)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에 밀착되어 토사, 침적물 등 혼합물이 상기 제1 그라우팅홀(11)을 거쳐 그라우팅 파이프(3)에 진입하는 것을 막는 밀폐 상태 및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 내 압력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그라우팅부(1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라우트재가 상기 제1 그라우팅홀(11)을 거쳐 상기 그라우팅 캡슐(2)에 진입하도록 하는 오픈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그라우팅부(13) 내의 압력이 상기 제1 탄성부재(12)의 자체 수축 압력 및 외부 압력의 합보다 작으면, 제1 탄성부재(12)는 자체 수축 압력으로 인한 측압의 작용하에 그라우팅 파이프(3)에 밀접하여 제1 그라우팅홀(11)을 밀폐함으로써, 토사, 침적물 등 혼합물이 제1 그라우팅홀(11)을 거쳐 그라우팅 파이프(3)에 진입하여 그라우팅 파이프(3)를 막아,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대해 그라우팅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피한다.상기 제1 그라우팅부(13) 내의 압력이 상기 제1 탄성부재(12)의 자체 수축 압력 및 외부 압력의 합보다 크면, 상기 그라우트재는 상기 제1 탄성부재(12) 및 상기 제1 그라우팅부(13) 사이의 간극을 통해 오버 플로되어, 그라우팅 캡슐(2) 내에 진입하거나 또는 파손된 그라우팅 캡슐(2)을 거쳐 지반에 진입할 수 있다. 상술한 변형 가능한 제1 탄성부재(12)를 통해 그라우팅 파이프(3)의 단방향 슬러리 배출을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확보하여,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내의 혼합물이 그라우팅 파이프(3)에 진입할 수 없도록 확보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러리 보충 구조는 상기 관통홀(5) 및 고리형의 그라우팅 캡슐(2)의 내환 공간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슬러리 보충 구조는 두가닥의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이며,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는 상기 관통홀(5)의 보어까지 연장되는 제2 그라우팅부(18)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그라우팅홀(20)은 복수개이며, 상기 제2 그라우팅부(18)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그라우팅부(18)는 상기 관통홀(5)의 공벽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고리형 관로이이며, 상술한 복수의 제2 그라우팅홀(20)을 구비하는 고리형 관로는 제2 그라우팅부(18)의 그라우팅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저부 지반 각 방향에 모두 그라우트재 유입이 있도록 확보하여, 그라우팅 효과를 확보하였다.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에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 및 상기 관통홀(5)의 연통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제2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체크 밸브는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의 제2 그라우팅홀(20)에 대향 설치되어, 상기 제2 그라우팅홀(20)을 밀폐하기 위한 제2 탄성부재(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22)는 고리형의 제2 그라우팅부(18)에 슬리브 설치되는 고리형 커버이며, 상기 제2 탄성부재(22)는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에 밀착되어 폐색물이 상기 제2 그라우팅홀(20)을 거쳐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에 진입하는 것을 막는 밀폐 상태 및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 내 압력 작용에 의해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라우트재가 상기 제2 그라우팅홀(20)을 거쳐 상기 관통홀(5)에 진입하도록 하는 오픈 상태를 포함한다. 상술한 슬러리 보충 구조를 통해 관통홀(5)을 거쳐 파일 저부에 그라우팅을 진행하여 파일 저부의 시멘트 슬러리의 함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며, 파일 저부 콘크리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관통홀(5)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것은 이하의 장점을 가진다: 1. 콘크리트가 길고 가는 도관에서 낙하할 때 높이차로 인해 파일 저부 부위의 콘크리트가 편석하여 형성되는 허첨 및 마른 자갈을 효과적으로 해소한다. 2. 관통홀(5)을 효과적으로 충전하여 파일 저부 강도를 향상시킨다. 3. 압력 삼투 그라우팅은 파일 저부 주변 지반의 물을 그라우팅으로 치환하여, 파일 저부 강도를 향상시켰다. 4. 그라우트재는 관통홀(5)에서 파일 저부 주변 지반에 주입되어, 슬러리 베인을 형성하여, 파일 저부 지반 강도를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5)은 하나이고, 상기 고정판(4)의 중앙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판(4)은 고리형 판상 구조를 이루고, 상기 고정판(4)의 내환 에지에 상기 그라우팅 캡슐(2) 내환까지 연장되는 고리형 스토퍼(10)를 구비하며,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의 제2 그라우팅홀(20)은 상기 고리형 스토퍼(10)가 상기 고정판(4)에서 멀어지는 일측에 위치한다. 제2 그라우팅홀(20)을 고리형 스토퍼(10)의 상기 고정판(4)에서 멀어지는 일측에 마련함으로써, 그라우트재가 그라우팅 캡슐 내환(2) 중간의 구멍을 효과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확보하고,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저부의 지반 시멘트 슬러리 함량을 효과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4)에는 상기 그라우팅 캡슐(2) 내부에 매개체를 주입하여, 상기 그라우팅 캡슐(2)의 누설 여부 및/또는 지지 가능 압력 크기기를 검증하기 위한 캡슐 검출구(6)가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캡슐 검출구(6)를 통해 그라우팅 캡슐(2)에 공기, 물 또는 기타 매개체를 충전하여, 그라우팅 캡슐이 지지가능한 압력 크기를 효과적으로 검측할 수 있고, 그라우트재 작용하에서의 그라우팅 캡슐(2)의 팽창 수축 능력 및 그 용적 크기를 검사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탄성부재(12) 및 제2 탄성부재(22)는 각각 제1 그라우팅부(13) 및 제2 그라우팅부(18)와의 고정부를 구비한다. 제1 탄성부재(12)는 제1 그라우팅부(13)와 고정부재(23)를 통해 고정 연결되어 제1 그라우팅홀(11)을 거쳐 그라우팅 캡슐(2) 이너 챔버에 그라우팅을 진행할 때, 제1 탄성부재(12)가 그라우팅 압력 작용하에서 예정 위치를 이탈하여, 제1 탄성부재(12)가 제1 그라우팅홀(11)에 대한 밀폐 능력을 상실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같은 이치로, 상술한 고정부는 제2 탄성부재(22)를 제2 그라우팅부(18)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고정부재(23)는 리벳이다.
물론, 본 발명은 제1 탄성부재(12)와 제1 그라우팅부(13) 및 제2 탄성부재(22)와 제2 그라우팅부(18)의 연결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탄성부재(12)와 제1 그라우팅부(13) 및 제2 탄성부재(22)와 제2 그라우팅부(18)는 접착, 걸림부재, 조임 연결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어, 그라우팅홀(3)을 거쳐 그라우팅 캡슐(2) 이너 챔버에 그라우팅을 진행할 때, 제1 탄성부재(12)가 그라우팅 압력 작용하에서 예정 위치를 이탈하여, 제1 탄성부재(12)가 그라우팅홀에 대한 밀폐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제1 탄성부재(12)와 제1 그라우팅부(13) 및 제2 탄성부재(22)와 제2 그라우팅부(18)의 고정 연결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탄성부재(12)는 제1 그라우팅부(13)에 일체 성형되고, 제1 탄성부재(12) 및 제1 그라우팅부(13) 사이에 그라우트재가 통과하는 신축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 탄성부재(22)와 제2 그라우팅부(18)도 일체 성형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파일 저부 고리형 그라우팅 공동의 사용 방법은 그라우팅 파이프를 세정하는 단계(3) 및 상기 그라우팅 캡슐(2)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라우팅 파이프를 세정하는 상기 단계(3)는 구체적으로 S1, 제1 그라우팅부(13)를 통해 연결된 두가닥의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를 오픈하는 단계; 및 S2, 오픈 상태에 처한 두가닥의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 중의 한가닥의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 내에 세정액을 주입하고, 상기 세정액은 오픈 상태에 처하되 상기 세정액을 주입하지 않은 다른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로부터 배출되며,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 내의 압력이 제1 체크 밸브를 오픈하는 압력보다 작을 경우, 상술한 방식을 통해 제1 체크 밸브가 오픈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어, 세정액이 그라우팅 캡슐(2)에 진입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세정액이 그라우팅 파이프(3)를 효과적으로 청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그라우팅 캡슐(2)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오픈 상태에 처한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라우팅부(3) 내의 압력은 상기 제1 탄성부재(12)의 자체 수축 압력과 외부 압력의 합보다 커서, 상기 그라우트재는 상기 제1 탄성부재(12) 및 상기 제1 그라우팅부(13) 사이의 간극을 통해 오버 플로되어 상기 그라우팅 캡슐(2) 내에 진입한다. 복수 가닥의 그라우팅 파이프(3)가 액체 회로를 형성할 수 없을 경우, 그라우팅 파이프(3) 내의 액체 압력치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그라우팅 파이프(3) 내의 압력이 제1 체크 밸브를 오픈하기에 충분하고, 그라우팅 캡슐(2) 내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정상적인 사용을 확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계 고장 등으로 인해 그라우팅이 중단되는 문제를 초래할 경우, 상술한 방식을 통해 그라우팅 파이프(3)를 세정하여, 그라우팅 파이프(3)가 막힘없이 잘 통하도록 확보하고, 여러차례 간헐식 그라우팅의 중복을 실현하여, 여러가지 시공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1, 수용홀(1)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홀(1) 내의 침적물를 제거한다.
S2, 하단에 상기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이 장착되어 있는 철근 케이지(14)를 상기 수용홀(1)의 저부로 하강시킨다.
S3, 부압 흡입관을 상기 관통홀(5)에 일치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수용홀(1) 공저의 침적물을 배출한다
S4, 상기 수용홀(1) 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현장타설 파일을 형성한다.
S5, 상기 그라우팅 캡슐(2)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여, 파일 저부 확장 구조물을 형성한다.
S6, 상기 관통홀(5)을 통과하는 슬러리 보충 파이프(17)를 통해 파일 저부에 그라우팅을 진행한다.
S7, 파일측 그라우팅 파이프(15)를 통해 상기 파일측 주변 지반에 그라우팅을 진행한다.
물론, 본 발명은 제1 체크 밸브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체크 밸브는 전자제어 밸브일 수도 있고, 전자제어 밸브를 통해 제1 그라우팅홀(11)의 오픈 및 차단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제1 탄성부재(12)와 상기 제1 그라우팅부(13)의 고정 연결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탄성부재(12)는 제1 그라우팅부(13)에 일체 성형되고, 제1 탄성부재(12) 및 제1 그라우팅부(13) 사이에 그라우트재가 통과하는 신축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제1 탄성부재(12)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탄성부재(12)는 관상 구조의 제1 그라우팅부(13)의 표면에 고정되는 불규칙적인 편상 구조일 수 있고, 제1 탄성부재(12)의 형상은 제1 그라우팅홀(11)의 배치 형상에 매칭된다.
물론, 본 발명은 그라우팅 파이프(3)의 수량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그라우팅 파이프(3)는 3가닥 또는 3가닥 이상으로 마련되어, 복수 가닥의 그라우팅 파이프(3)를 동시에 작동시켜 그라우트재를 제1 그라우팅부(13)에 인입함으로써, 제1 그라우팅부(13)의 내부 압력치가 제1 탄성부재(12) 및 제1 탄성부재(12)에 접근하는 위치의 혼합물을 오픈할 수 있어, 제1 그라우팅부(13)가 충족한 압력을 가지도록 확보하고, 그라우팅 파이프(3)의 그라우팅 효율을 확보하거나; 또는 그중 몇 가닥의 그라우팅 파이프(3)는 오픈하고 그 외 그라우팅 파이프(3)는 차단하여, 오픈된 그라우팅 파이프(3) 내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제1 그라우팅부(13)의 충족한 압력 및 그라우팅 파이프(3)의 그라우팅 효율을 확보하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은 제2 그라우팅부(18)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라우팅부(18)는 상기 관통홀(5)의 공벽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아치형 관로이다.
물론, 본 발명은 슬러리 보충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러리 보충 파이프(17)는 하나 또는 복수 가닥이고, 슬러리 보충 파이프(17)는 상기 관통홀(5)을 거쳐 그라우팅 캡슐(2) 내환 공간 및 파일 저부에 그라우팅을 진행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러리 보충 구조는 상기 관통홀(5) 및 고리형의 그라우팅 캡슐(2)의 내환 공간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슬러리 보충 구조는 두가닥의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이다. 상기 고정판(4)은 상기 관통홀(5)에 연통되는 슬러리 저장 챔버(19)를 구비하고,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는 상기 슬러리 저장 챔버(19)의 슬러리 진입구(21)에 연통된다.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에는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 및 상기 관통홀(5)의 연통 또는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체크 밸브가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슬러리 보충 구조을 통해 관통홀(5)을 거쳐 파일 저부에 그라우팅을 진행함으로써, 파일 저부의 시멘트 슬러리의 함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파일 저부 콘크리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관통홀(5)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것은 이하의 장점을 가진다. 1. 콘크리트가 길고 가는 도관에서 낙하할 때 높이차로 인해 파일 저부 부위의 콘크리트가 편석하여 형성되는 허첨 및 마른 자갈을 효과적으로 해소한다. 2. 관통홀(5)을 효과적으로 충전하여 파일 저부 강도를 향상시킨다. 3.압력 삼투 그라우팅은 파일 저부 주변 지반의 물을 그라우팅으로 치환하여, 파일 저부 강도를 향상시켰다. 4. 그라우트재는 관통홀(5)에서 파일 저부 주변 지반에 주입되어, 슬러리 베인을 형성하여, 파일 저부 강도를 향상시킨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는 명백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고, 실시형태에 대해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상술한 설명의 기초 상에 다른 형태의 변화 또는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든 실시형태에 대해 무한대로 열거할 필요가 없다. 이로부터 파생되는 자명한 변화 또는 변경은 모두 여전히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1: 수용홀 2:그라우팅 캡슐
3: 그라우팅 파이프 4: 고정판
5: 관통홀 6: 캡슐 검출구
10: 고리형 스토퍼 11: 제1 그라우팅홀
12: 제1 탄성부재 13: 그라우팅부
14: 철근 케이지 15: 파일측 그라우팅 파이프
16: 그라우팅 파이프 접구 17: 슬러리 보충 파이프
18: 제2 그라우팅부 19: 슬러리 저장 챔버
20: 제2 그라우팅홀 21: 슬러리 진입구
22: 제2 탄성부재 23: 고정부재

Claims (29)

  1. 내부에 그라우트재를 충전하여 파일체를 지지하는 팽창 상태 및 내부 중공의 수축 상태를 구비하는 그라우팅 캡슐(2) 및
    상기 그라우팅 캡슐(2)의 이너 챔버에 연통되고, 상기 그라우팅 캡슐(2)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그라우팅 파이프(3)를 포함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팅 캡슐(2)이 설치되고, 수용홀(1) 저부에 연통되어, 상기 수용홀(1)내의 슬러리 및/또는 침적물이 통과하도록 하는 관통홀(5)이 마련되어 있는 고정판(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5)은 하나이고, 상기 고정판(4)의 중앙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판(4)은 고리형 판상 구조를 이루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팅 캡슐(2)은 상기 고정판(4)의 형상에 매칭되는 중공 고리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4. 제3항에 있어서, 고리형 구조의 상기 고정판(4)의 내환 에지에, 상기 그라우팅 캡슐(2)내환까지 연장되는 고리형 스토퍼(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스토퍼(10)의 높이는 상기 수용홀(1)의 침적물의 설계 두께치와 상기 그라우팅 캡슐(2)의 두께 양자의 합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스토퍼(10)는 상기 고정판(4) 표면에 수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와 상기 그라우팅 캡슐(2)의 연통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그라우팅 캡슐(2) 내의 폐색물이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에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1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에는 그라우트재가 상기 그라우팅 캡슐(2) 내에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제1 그라우팅홀(11)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체크 밸브는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의 제1 그라우팅홀(11)에 대향 설치되어, 상기 제1 그라우팅홀(11)을 밀폐하기 위한 제1 탄성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12)는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에 밀착되어 상기 폐색물이 상기 제1 그라우팅홀(11)을 거쳐 그라우팅 파이프(3)에 진입하는 것을 막는 밀폐 상태 및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내 압력 작용에 의해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라우트재가 상기 제1 그라우팅홀(11)을 거쳐 상기 그라우팅 캡슐(2)에 진입하도록 하는 오픈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는 상기 그라우팅 캡슐(2) 이너 챔버까지 연장되는 제1 그라우팅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라우팅부(13)는 상기 고정판(4)의 외부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고리형 관로이며, 상기 제1 탄성부재(12)는 상기 제1 그라우팅부(13)에 슬리브 설치되는 고리형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5)에 연통되어, 상기 관통홀(5)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슬러리 보충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보충 구조는 적어도 한가닥의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이고,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는 상기 관통홀(5)에 연통되어, 상기 관통홀(5)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는 상기 관통홀(5)의 보어까지 연장되는 제2 그라우팅부(18)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그라우팅홀(20)은 복수개이며, 상기 제2 그라우팅부(18)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그라우팅부(18)는 상기 관통홀(5)의 공벽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아치형 관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라우팅부(18)는 상기 관통홀(5)의 공벽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고리형 관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4)은 상기 관통홀(5)에 연통되는 슬러리 저장 챔버(19)를 구비하고,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는 상기 슬러리 저장 챔버(19)의 슬러리 진입구(21)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에는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와 상기 관통홀(5)의 연통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제2 체크 밸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크 밸브는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의 제2 그라우팅홀(20)에 대향 설치되어, 상기 제2 그라우팅홀(20)을 밀폐하기 위한 제2 탄성부재(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22)는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에 밀착되어 폐색물이 상기 제2 그라우팅홀(20)을 거쳐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에 진입하는 것을 막는 밀폐 상태 및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 내 압력 작용에 의해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라우트재가 상기 제2 그라우팅홀(20)을 거쳐 상기 관통홀(5)에 진입하도록 하는 오픈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22)는 상기 제2 그라우팅부(18)에 슬리브 설치되는 고리형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5)은 하나이고, 상기 고정판(4)의 중앙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판(4)은 고리형 판상 구조를 이루고, 상기 고정판(4)의 내환 에지에 상기 그라우팅 캡슐(2) 내환까지 연장되는 고리형 스토퍼(10)를 구비하며, 상기 슬러리 보충 파이프(17)의 제2 그라우팅홀(20)은 상기 고리형 스토퍼(10)가 상기 고정판(4)에서 멀어지는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팅 캡슐(2)에 그 내부에 매개체를 주입하기 위한 캡슐 검출구(6)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검출구(6)는 상기 고정판(4)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상기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고정판(4)에 연결되고,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에 고정 연결되는 철근 케이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파일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케이지(14)에 고정되고, 그 제1 그라우팅홀은 상기 그라우팅 캡슐(2)에 접근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파일측 지반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파일측 그라우팅 파이프(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파일체.
  23. 제21항 또는 제 22항에 따른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S1, 수용홀(1)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홀(1) 내의 침적물를 제거하는 단계;
    S2, 하단에 상기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이 장착되어 있는 철근 케이지(14)를 상기 수용홀(1)의 저부로 하강시키는 단계;
    S3, 상기 관통홀(5)을 거쳐 상기 고정판(4) 하측의 상기 침적물을 배출하는 단계;
    S4, 상기 수용홀(1) 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현장타설 파일을 형성하는 단계; 및
    S5, 상기 그라우팅 캡슐(2)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여, 파일 저부 확장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단계 S3에서, 상기 관통홀(5)을 거쳐 상기 고정판(4) 하측의 상기 침적물을 배출하는 단계는 부압 흡입관을 상기 관통홀(5)에 일치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수용홀(1) 공저의 침적물을 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5)을 통과하는 슬러리 보충 파이프(17)를 통해 파일 저부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단계 S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파일측 지반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단계 S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파일체의 시공 방법.
  27. 제1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그라우팅 파이프를 세정하는 단계(3); 및
    상기 그라우팅 캡슐(2)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사용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그라우팅 파이프를 세정하는 상기 단계(3)는 구체적으로 S1, 제1 그라우팅부(13)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가닥의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를 오픈하는 단계; 및 S2, 오픈 상태에 처한 적어도 두가닥의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 중의 적어도 한가닥의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 내에 세정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액은 오픈 상태에 처하되 상기 세정액을 주입하지 않은 다른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로 배출되며,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 내의 압력이 제1 체크 밸브를 오픈하는 압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사용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팅 캡슐(2) 내에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오픈 상태에 처한 상기 그라우팅 파이프(3)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라우팅부(3) 내의 압력은 상기 제1 탄성부재(4)의 측압보다 크며, 상기 그라우트재는 상기 제1 탄성부재(4) 및 상기 제1 그라우팅부(13) 사이의 간극을 통해 오버 플로되어 상기 그라우팅 캡슐(2) 내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의 사용 방법.
KR1020207037444A 2018-12-25 2019-06-28 파일 저부 그라우팅 장치, 현장타설 파일체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593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586047.5 2018-12-25
CN201811586047.5A CN109469050A (zh) 2018-12-25 2018-12-25 灌注桩桩底安装中空(孔)环形钢板胶囊(腔)后注浆技术
PCT/CN2019/093599 WO2020133992A1 (zh) 2018-12-25 2019-06-28 桩底注浆腔及使用方法与灌注桩体及其施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342A true KR20210106342A (ko) 2021-08-30
KR102593218B1 KR102593218B1 (ko) 2023-10-24

Family

ID=6567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444A KR102593218B1 (ko) 2018-12-25 2019-06-28 파일 저부 그라우팅 장치, 현장타설 파일체 및 그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401674B2 (ko)
EP (1) EP3754115B1 (ko)
JP (1) JP7142835B2 (ko)
KR (1) KR102593218B1 (ko)
CN (1) CN109469050A (ko)
BR (1) BR112020025561A2 (ko)
CA (1) CA3104031C (ko)
MX (1) MX2020013315A (ko)
PH (1) PH12021550458A1 (ko)
SA (1) SA521422058B1 (ko)
SG (1) SG11202008859PA (ko)
WO (1) WO20201339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6646B (zh) * 2018-12-25 2021-04-02 高永光 桩底注浆装置及使用方法与灌注桩体及其施工方法
CN109469050A (zh) * 2018-12-25 2019-03-15 高永光 灌注桩桩底安装中空(孔)环形钢板胶囊(腔)后注浆技术
CN111733823A (zh) * 2020-06-15 2020-10-02 中冶地集团西北岩土工程有限公司 一种注浆埋管结构及钻孔灌注桩灌注过程中断桩处理方法
CN112962652B (zh) * 2021-02-01 2022-06-24 中交二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预制承台止水结构及方法
CN113073984A (zh) * 2021-04-16 2021-07-06 中铁隧道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隧道穿越小型岩溶洞群注浆预加固与成桩一体化的施工方法
CN113266004B (zh) * 2021-06-30 2023-12-19 武汉城建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浇筑桥梁水下灌注桩的装置及浇筑方法
CN113463643B (zh) * 2021-07-09 2022-06-03 南京东土建设科技有限公司 一种灌注桩分布式注浆系统
CN113721003B (zh) * 2021-09-01 2024-04-16 广东益鑫源工程建设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锥探灌浆质量检测装备及检测方法
CN113718752A (zh) * 2021-09-10 2021-11-30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地连墙复合式注浆方法及注浆结构
CN114046743B (zh) * 2021-09-24 2022-11-18 浙江大学 一种码头桩基智能监控系统
CN114482021B (zh) * 2021-09-26 2023-12-29 南水北调东线江苏水源有限责任公司 预设反向摩阻力联合桩底土固结的方法及形成的灌注桩
CN113897962A (zh) * 2021-10-27 2022-01-07 福建建中岩土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地下连续墙沉渣处理方法
CN113882385A (zh) * 2021-11-19 2022-01-04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注浆施工中注浆管底部的止逆装置及施工方式
CN114934512B (zh) * 2022-06-07 2023-10-27 黄河科技学院 一种岩土工程高效注浆工艺及装置
CN115094870B (zh) * 2022-08-01 2023-06-02 曹方彬 一种公路桥梁施工用路基加固处理装置
CN115369882B (zh) * 2022-09-05 2024-03-26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灌注桩的后压浆装置及施工方法
CN115595962B (zh) * 2022-09-08 2024-02-02 中山大学 一种桩底扩张加固装置及加固方法
CN115879201B (zh) * 2022-12-20 2023-09-05 同济大学 一种永久护筒及沉渣固化提升灌注桩承载力的分析方法
CN116290358B (zh) * 2023-05-26 2023-08-15 河南钰润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连接节点
CN116556447B (zh) * 2023-06-05 2023-11-21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筒型基础筒内囊式多维注浆主动纠偏装置及操作方法
CN116645792B (zh) * 2023-07-24 2023-10-27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钻孔灌注桩施工辅助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506A (ko) * 2008-12-31 2010-07-08 대림산업 주식회사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선단부 포스트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선단보강 그라우팅 방법
JP2017128875A (ja) * 2016-01-19 2017-07-27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場所打ち杭用の注入バッグ
JP2017128872A (ja) * 2016-01-19 2017-07-27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場所打ち杭用の注入バッグ及びその注入バッグの設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1268B (sv) * 1982-12-21 1987-09-21 Atlas Copco Ab Svellkropp for i mark belegna konstruktioner
JPS61290115A (ja) * 1985-06-17 1986-12-20 Asahi Chem Ind Co Ltd 杭外周面に装着する袋体
JPH0833009B2 (ja) * 1987-07-13 1996-03-29 旭化成工業株式会社 袋体を有する既製杭の施工方法
JPH02140322A (ja) * 1988-11-18 1990-05-30 Asahi Chem Ind Co Ltd 既製杭装着用袋体
JP3609479B2 (ja) * 1995-02-21 2005-01-12 芦森工業株式会社 杭体への袋体の取付け構造及び固定具
JP3688546B2 (ja) 2000-02-02 2005-08-31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施工方法、及び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底地盤プレロード装置
JP4532755B2 (ja) 2001-02-02 2010-08-25 芦森工業株式会社 埋込み杭用袋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3669577B2 (ja) 2001-12-04 2005-07-06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場所打ち杭の施工方法
CN2568695Y (zh) 2002-08-27 2003-08-27 上海隧道工程股份有限公司 双管式囊袋结构装置
JP2009036010A (ja) 2007-07-12 2009-02-19 Shimizu Corp 沈下防止杭の造成方法及び沈下防止杭
JP4758463B2 (ja) 2008-08-22 2011-08-31 芦森工業株式会社 構造物直下の杭打ち方法及び袋体付杭
KR101222071B1 (ko) * 2010-11-24 2013-01-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설계 지지력 발현 확인과 즉각적인 선단지지력 발현이 가능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선단 맴브레인 덮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KR101398910B1 (ko) * 2012-07-16 2014-05-27 이대동 선단확장형 파일
FR3003583B1 (fr) * 2013-03-21 2015-04-17 Soletanche Freyssinet Procede de consolidation d'un sol encaissant un tunnel
CN203411979U (zh) 2013-08-20 2014-01-29 河北建设勘察研究院有限公司 一种钻孔灌注桩桩侧后注浆装置
CN103741683B (zh) * 2013-12-23 2015-11-18 浙江天润建设有限公司 一种囊袋扩底刚柔组合桩及施工方法
CN105178324B (zh) 2015-09-25 2017-02-01 广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 一种伞盘式异形桩的施工装置
CN106759277A (zh) 2016-11-16 2017-05-31 上海市建工设计研究院有限公司 注浆装置、扩底预制管桩、扩底灌注桩及其施工方法
CN106836179B (zh) 2016-12-07 2018-12-14 浙江大学城市学院 竖向加强筋增强式囊式注浆桩的施工方法
CN108411920A (zh) 2018-01-25 2018-08-17 天津大学 一种控制土体变形的多点囊式注浆装置及其方法
CN108265720A (zh) 2018-01-25 2018-07-10 天津大学 一种控制土体变形的单点囊式注浆装置及其方法
KR102559207B1 (ko) * 2018-05-30 2023-07-25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체크밸브
CN109056716A (zh) 2018-08-03 2018-12-21 高永光 人工挖孔和全套管工法灌注桩底安装橡胶囊(腔)后注浆技术
CN109469050A (zh) 2018-12-25 2019-03-15 高永光 灌注桩桩底安装中空(孔)环形钢板胶囊(腔)后注浆技术
CN210395360U (zh) 2019-03-15 2020-04-24 高云飞 桩底注浆腔及灌注桩体
KR102248187B1 (ko) * 2019-07-17 2021-05-04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보강그라우팅을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506A (ko) * 2008-12-31 2010-07-08 대림산업 주식회사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선단부 포스트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선단보강 그라우팅 방법
JP2017128875A (ja) * 2016-01-19 2017-07-27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場所打ち杭用の注入バッグ
JP2017128872A (ja) * 2016-01-19 2017-07-27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場所打ち杭用の注入バッグ及びその注入バッグの設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4115B1 (en) 2023-05-10
EP3754115A1 (en) 2020-12-23
JP7142835B2 (ja) 2022-09-28
BR112020025561A2 (pt) 2021-10-05
MX2020013315A (es) 2021-02-22
US20210010218A1 (en) 2021-01-14
SA521422058B1 (ar) 2023-01-22
CA3104031C (en) 2023-10-31
KR102593218B1 (ko) 2023-10-24
US11401674B2 (en) 2022-08-02
JP2021532296A (ja) 2021-11-25
CN109469050A (zh) 2019-03-15
PH12021550458A1 (en) 2021-12-06
CA3104031A1 (en) 2020-07-02
WO2020133992A1 (zh) 2020-07-02
EP3754115A4 (en) 2021-07-21
SG11202008859PA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6342A (ko) 파일 저부 그라우팅 공동, 그 사용 방법, 현장타설 파일체 및 그 시공 방법
CN110896645B (zh) 桩底注浆装置及使用方法以及灌注桩体和灌注桩体的施工方法
CN107261587B (zh) 一种滤网自清洁滤渣装置
CN104018511B (zh) 一种地下工程排水抗浮装置的施工工艺
CN110896646B (zh) 桩底注浆装置及使用方法与灌注桩体及其施工方法
CN104695879B (zh) 一种桩孔冲洗抽砂淸孔方法
CN210395360U (zh) 桩底注浆腔及灌注桩体
JPH06146257A (ja) 地下水の揚水及び還元排水装置
JP3307729B2 (ja) 層別揚水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井戸
CN105735348A (zh) 一种拦沙坎及其施工方法
CN113152414B (zh) 输泄水廊道底板涌水点封堵施工方法
CN110344390B (zh) 一种用于高含水率粉质土的疏干系统的施工方法
CN211036962U (zh) 一种迎坑面兼有降水功能的地下连续墙
JP2001248396A (ja) 地下水の集水方法
CN208023598U (zh) 一种基坑降水管井
JP7424085B2 (ja) 排水装置及び液体の排出方法
KR100665985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자연 배수로 시공방법
CN217949109U (zh) 一种降水井封堵装置
CN218292043U (zh) 一种加压回灌井结构
CN113832952B (zh) 一种软土地基加固方法
CN217782273U (zh) 渣土池排水装置
CN214993959U (zh) 一种岩土工程边坡排水结构
CN211143103U (zh) 一种内设降水井的地下连续墙
KR101100364B1 (ko)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OA20936A (en) Pile-bottom grouting cavity and method for using same, and cast-in-place pile bod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