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075A -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075A
KR20210089075A KR1020200176966A KR20200176966A KR20210089075A KR 20210089075 A KR20210089075 A KR 20210089075A KR 1020200176966 A KR1020200176966 A KR 1020200176966A KR 20200176966 A KR20200176966 A KR 20200176966A KR 20210089075 A KR20210089075 A KR 20210089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memory cell
memory cells
members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482B1 (ko
Inventor
마사루 야노
Original Assignee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89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45/12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3Cell acce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4Reading or sensing circuits or methods
    • H01L45/1226
    • H01L45/1233
    • H01L45/1253
    • H01L45/145
    • H01L45/1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3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80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 H10B63/84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e.g. 3D cell arr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80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 H10B63/84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e.g. 3D cell arrays
    • H10B63/845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e.g. 3D cell arrays the switching components being connected to a common vertical conduc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53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lik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3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horizontal current flow, e.g. bridge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6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vertical current flow, e.g. sandwich or pillar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41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2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G11C13/0026Bit-line or colum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2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G11C13/0028Word-line or row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69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10Resistive cells; Technology aspects
    • G11C2213/18Memory cell being a nanowire having RADIAL composi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50Resistive cell structure aspects
    • G11C2213/52Structure characterized by the electrode material, shape, et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1Three dimensional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9Array wherein the access device being a transis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3Binary metal oxides, e.g. Ta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과제] 개량된 3차원 구조를 가지는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는, 기판의 주면(主面)의 수직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필러와,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비트선과, 복수의 필러와 복수의 비트선과의 교차부에 형성된 메모리 셀을 포함하고, 메모리 셀은, 필러의 외주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과, 게이트 절연막의 외주에 형성되어, 채널 영역을 제공하는 반도체막과, 반도체막의 외주의 일부에 형성되는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한다. 가변 저항 소자의 외주의 전극 영역이 인접하는 한 쌍의 비트선의 일방에 접속되고, 반도체막이 인접하는 한 쌍의 비트선의 타방에 접속된다.

Description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RESISTIVE RANDOM-ACCESS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항 변화형의 메모리 셀을 이용한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항 변화형의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어레이의 3차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저항 변화형 랜덤 액세스 메모리(이하, '저항 변화형 메모리'라고 약칭한다)는, 행 주소 및 열 주소에 따라 랜덤하게 메모리 셀을 선택하고, 선택한 메모리 셀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거나, 혹은 선택한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써넣을 수 있다. 고집적화를 도모하기 위해 저항 변화형 메모리를 3차원 구조로 제조하는 기술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17/0330916호 공보)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비트선(bit-line)으로서 수직 방향으로 연재하는 도전성 필러(10)와,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는 워드선(word-line)(20A, 20B)과, 필러(10)와 워드선(20A, 20B)의 교차부에 형성된 상보형(相補型)의 저항 메모리 소자(20A, 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보형의 저항 메모리 소자(20A, 20B)의 각각은, 제1 반도체 산화막(21), 중간 전극으로서의 도전막(22), 제2 반도체 산화막(23)을 포함한다. 상보형의 저항 메모리 소자(20A, 20B)를 물리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메모리 소자 간에 소망하지 않는 스니크 전류(sneak current)가 생기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가변 저항 소자로서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반도체 산화막을 균질하게 일정한 막두께로 재현성 좋게 형성해야 한다. 그러나, 이를 위한 제조 공정은 용이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제조 코스트의 증가나 제품 수율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선된 3차원 구조를 가지는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는, 기판의 주면(主面)의 수직 방향으로 연재(延在)하고, 제1 도전형의 반도체 재료로 구성되는 복수의 수직 부재와, 상기 기판의 주면의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고, 반도전 재료로 구성되는 복수의 수평 부재와, 상기 복수의 수직 부재와 상기 복수의 수평 부재와의 각각의 교차부(交差部)에 형성된 메모리 셀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셀은, 상기 수직 부재의 외주(外周)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외주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반도체 재료로 구성되는 반도체막과, 상기 반도체막의 외주의 일부에 형성되는 가변 저항막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막의 외주의 전극 영역이 인접하는 한 쌍의 수평 부재의 일방에 접속되고, 상기 반도체막이 인접하는 한 쌍의 수평 부재의 타방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수직 부재와 복수의 수평 부재와의 각 교차부에 메모리 셀을 형성하고, 가변 저항막의 외주의 전극 영역이 일방의 수평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반도체막이 타방의 수평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메모리 셀을 구성함으로써, 메모리 셀 어레이의 3차원 구조를 종래와 비교하여 간이하게 하고, 제조 공정을 용이하게 한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종래의 3차원 구조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형 메모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형 메모리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a는 사시도, 도 3b는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도 4의 (A)는, 도 3b의 A-A선의 개략 단면도, 도 4의 (B) 내지 (D)는, 본 실시예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도 5의 (E) 내지 (H)는, 본 실시예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도 6의 (I) 내지 (K)는, 본 실시예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 셀이 선택되었을 때의 액세스용 트랜지스터와 가변 저항 소자와의 접속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셀 어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셀 어레이의 3차원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러와 워드선과의 접속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셀 어레이의 3차원 구조를 기판 상에 적층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스택된 메모리 셀 어레이, 즉, 3차원 구조를 가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한 저항 변화형 메모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는, 메모리 셀을 랜덤 액세스하는 기능에 더하여, 복수의 메모리 셀을 동시에 액세스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3차원 구조로 형성되는 메모리 셀은, 한 쌍의 비트선 간에 1개의 액세스용 트랜지스터와 그 일측에 형성된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한다. 행방향의 메모리 셀은, 인접하는 메모리 셀 간에 비트선을 공유하고, 일방의 메모리 셀이 선택될 때 타방의 메모리 셀이 비선택이 되도록 메모리 셀의 선택이 실시되어, 선택 메모리 셀에 접속된 선택 비트선에 소망하지 않는 스니크 경로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3차원 구조의 메모리 셀 어레이는, 크로스바 어레이 또는 크로스바 메모리에 적용할 수 있다. 크로스바 어레이는, AI 하드웨어로서의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사용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100)는, 3차원 구조를 가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110), 행 선택/구동 회로(120), 열 선택/구동 회로(130), 감지 회로(140), 쓰기/읽기 바이어스 회로(150), 제어 회로(160), 각 부를 접속하는 내부 데이터 버스(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a는, 본 실시예의 메모리 셀 어레이(110)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그 개략 평면도이다. 도면은, 4개의 메모리 셀을 예시하고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110)는, 도시하지 않은 기판(예를 들면, 실리콘 기판)의 주면의 수직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필러(200)(도면에는, 4개의 필러)와,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고 또한 복수의 필러(200)와 교차하는 복수의 비트선(210)(도면에는, 6개의 비트선)과, 복수의 필러(200)와 복수의 비트선(210)의 교차부에 형성된 저항 변화형의 메모리 셀(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러(200)는, 예를 들면, N형의 폴리실리콘 재료로 구성되고, 필러(200)는, 대응하는 워드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필러(200)의 외주의 전체에는, 도 3b에 도시한 것처럼, 일정한 막두께로 게이트 절연막(222)(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 등)이 형성되고, 게이트 절연막(222)의 외주의 전체에는 P형의 폴리실리콘 재료로 구성되는 반도체막(224)이 형성된다. 반도체막(224)은, 액세스용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으로서 하고, 필러(200)로부터 전계(電界)가 인가되었을 때 반전층을 형성한다. 반도체막(224)의 외주의 일부에는 가변 저항 소자(226)가 형성된다. 가변 저항 소자(226)는, 반도체막(224)의 일부를 덮도록 선상(扇狀)으로 형성되고, 도면의 예에서는, 반도체막(224)의 대략 반주(半周)를 덮도록 가변 저항 소자(226)가 형성되고 있다. 가변 저항 소자(226)는, 내측의 전극층과, 외측의 전극층과, 이들 전극층의 사이에 형성된 스위칭층을 포함한다. 스위칭층의 재료는 금속 산화물이며, 예를 들면, HFO2이다.
비트선(210)은, 예를 들면, N형의 폴리실리콘 재료로 구성되고, 필러(200)와의 교차부에 있어서, 일방의 비트선(210)이 가변 저항 소자(226)의 외측의 전극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방의 비트선(210)이 가변 저항 소자(226)에 의해 덮이지 않은 반도체막(224)에 접속된다. 도 4의 (A)에, 도 3b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 4의 (B)~(D), 도 5의 (E)~(H), 도 6의 (I)~(K)를 참조해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B)에 도시한 것처럼, 기판(도시 생략) 상에, 층간 절연막(230), 하층측의 비트선(210A), 층간 절연막(232), 상층측의 비트선(210B), 층간 절연막(234)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비트선(210A, 210B)은, N+의 폴리실리콘층이며, 층간 절연막(230, 232, 234)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이나 실리콘 질화막 등이다.
다음으로, 포토리소(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층간 절연막(234) 상에 마스크층(도시 생략)을 형성한다. 마스크층의 형상 및 사이즈는, 필러(200)의 외형을 규정하고, 예를 들면, 필러(200)가 원주상(圓柱狀)이면, 마스크층의 필러(200)가 형성되는 부분에 원형상의 오프닝 패턴이 형성된다. 마스크층을 이용하여, 적층된 층간 절연막(230, 232, 234) 및 비트선(210A, 210B)을 이방성 에칭에 의해 에칭하고, 도 4의 (C)에 도시한 원통상의 개구(開口)(24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도 4의 (D)에 도시한 것처럼, 전면(全面)에, 가변 저항 소자의 재료층(250)을 형성한다. 이 재료층(250)은, 외측의 전극층, 스위칭층(예를 들면, 산화 하프늄(HfOx)) 및 내측의 전극층의 적층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마스크층(도시 생략)을 형성하고, 이 마스크층을 이용하여 재료층(250)을 이방성 에칭 및/또는 등방성 에칭하고, 도 5의 (E)에 도시한 것처럼, 개구(240)의 측벽의 일부(예를 들면, 개구(240)의 반주)에 가변 저항 소자(226)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도 5의 (F)에 도시한 것처럼, 전면에 P+의 폴리실리콘 재료(260)를 형성하고, 그 다음에 마스크층(도시 생략)을 형성하고, 이 마스크층을 이용하여 폴리실리콘 재료(260)를 이방성 에칭 및/또는 등방성 에칭하고, 도 5의 (G)에 도시한 것처럼, 개구(240)의 측벽이며, 가변 저항 소자(226)의 내측에 반도체막(224)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가변 저항 소자(226)가 반도체막(224)에 의해 덮인다.
다음으로,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도 5의 (H)에 도시한 것처럼, 전면에 SiO2 등의 절연 재료(270)를 형성하고, 그 다음에 마스크층(도시 생략)을 형성하고, 이 마스크층을 이용하여 절연 재료(270)를 이방성 에칭 및/또는 등방성 에칭하고, 도 6의 (I)에 도시한 것처럼, 개구(240)의 측벽이며, 반도체막(224)의 내측에 게이트 절연막(22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도 6의 (J)에 도시한 것처럼, 전면에 N+의 폴리실리콘 재료(280)를 형성하고, 폴리실리콘 재료(280)를 에치백(Etch Back) 또는 평탄화 함으로써, 도 6의 (K)에 도시한 필러(200)를 형성한다. 덧붙여, 상기의 제조 공정은, 비트선(210A, 210B)을 먼저 형성하고, 그 후에 필러(200)를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러(200)와 그 주위의 게이트 절연막(222), 반도체막(224), 및 가변 저항 소자(226)를 형성한 후에 비트선(210)을 형성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메모리 셀 어레이는, 상기의 제조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른 제조 공정을 이용해 제조되는 것도 무방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한다. 행 선택/구동 회로(120)는, 제어 회로(160)로부터의 행 주소에 근거하여 워드선을 선택하고, 선택한 워드선에 전압을 인가한다. 행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워드선은, 대응하는 필러(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열 선택/구동 회로(130)는, 제어 회로(160)로부터의 열 주소에 근거해 비트선을 선택한다. 감지 회로(140)는, 읽기 동작 시에, 행 선택/구동 회로(120) 및 열 선택/구동 회로(130)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셀의 비트선 쌍을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을 센싱하고, 그 센싱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내부 데이터 버스(170)를 통해 제어 회로(160)로 출력한다. 쓰기/읽기 바이어스 회로(150)는, 읽기 동작 시, 선택 메모리 셀의 비트선 쌍에 읽기 동작을 위한 바이어스를 인가하고, 또한, 쓰기 동작 시, 제어 회로(160)로부터 수취한 쓰기 데이터에 근거하여, 선택 메모리 셀의 비트선 쌍에 세트(set) 또는 리셋(reset)의 바이어스를 인가한다.
제어 회로(160)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되고,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어느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회로(160)는, ROM/RAM을 포함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스테이트 머신 등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ROM/RAM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읽기 동작, 쓰기 동작(세트, 리셋)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 회로(160)는, 각 부와 내부 데이터 버스(170)에 의해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수취한 데이터(주소를 포함한다)를 각 부로 공급하고, 또, 감지 회로(140)로부터 수취한 읽기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의 (A), (B)는, 어느 메모리 셀이 선택되었을 때의 액세스용 트랜지스터와 가변 저항 소자와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행 선택/구동 회로(120)에 의해 메모리 셀(MC0)의 필러(200)에 접속된 워드선(WL0)이 선택되고, 열 선택/구동 회로(130)에 의해 비트선 쌍(BL0/BL1)이 선택되는 것으로 한다. 워드선(WL0)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면, 게이트 절연막(222)을 통해 반도체막(224)에 전계가 인가되고, 반도체막(224)의 전체가 N형으로 반전되어, 채널 영역이 형성된다. 그 결과, 반도체막(224)은, 가변 저항 소자(226)의 외측의 전극 영역을 통해 비트선(BL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 가변 저항 소자(226)의 전극 영역과 대향하는 영역에서 N형으로 반전한 채널 영역이 N형의 폴리실리콘층인 비트선(BL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비트선(BL0)과 반도체막(224)과의 사이의 전류 경로(K0)에는, 가변 저항 소자(226)에 의한 저항 성분(R0)이 형성되고, 비트선(BL1)과 반도체막(224)과의 사이의 전류 경로(K1)는, N형의 폴리실리콘에 의한 저(low) 저항 영역이다. 도 7의 (B)는, 도 7의 (A)의 등가 회로도이며, 선택 메모리 셀(MC0)은, 한 쌍의 비트선(BL0/BL1) 간에 1개의 액세스용 트랜지스터와 그 일방에 저항 성분(R0)을 포함하고, 1R1T의 메모리 셀이 구성된다.
선택 메모리 셀(MC0)과 행방향으로 인접하는 메모리 셀(MC1)은, 선택 메모리 셀(MC0)과 비트선(BL1)을 공유하지만, 워드선(WL1)은 비선택이며(워드선(WL1)에는 GND 전위 또는 역치 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된다), 반도체막(224)에는 반전층이 형성되지 않아, 메모리 셀(MC1)의 액세스용 트랜지스터는 오프(OFF) 그대로이다. 따라서, 비트선(BL1)은, 비선택 메모리 셀(MC1)로부터 사실상 격리되어, 스니크 전류 경로의 형성이 회피된다.
또한, 선택 메모리 셀(MC0)과 열방향으로 인접하는 메모리 셀(MC2)은, 선택 메모리 셀(MC0)과 비트선 쌍(BL0/BL1)을 공유하지만, 워드선(WL2)은 비선택이며, 비트선 쌍(BL0/BL1)과 반도체막(224)과의 사이에는 PN 장벽이 형성되어, 액세스용 트랜지스터는 오프 그대로이다. 따라서, 비트선 쌍(BL0/BL1)은, 비선택 메모리 셀(MC2)(열방향으로 비트선 쌍(BL0/BL1)을 공유하는 다른 비선택 메모리 셀도 마찬가지)로부터 사실상 격리되어, 스니크 전류 경로의 형성이 회피된다.
선택 메모리 셀(MC0)의 쓰기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쓰기/읽기 바이어스 회로(150)는, 제어 회로(160)로부터의 쓰기 데이터에 근거하여 선택 메모리 셀(MC0)에 세트 또는 리셋의 쓰기를 실시한다. 세트 쓰기에서는, 행 선택/구동 회로(120)는, 선택 워드선(WL0)에 쓰기 전압(Vset)을 인가하고, 비선택 워드선에 GND를 인가한다. 쓰기/읽기 바이어스 회로(150)는, 일방의 선택 비트선(BL0)에 세트 쓰기 전압(Vs)을 인가하고(Vset>Vs), 타방의 선택 비트선(BL1)에 GND를 인가한다. 이로 인해, 비트선(BL0)으로부터 비트선(BL1)을 향해서 전압이 인가되어, 가변 저항 소자(226), 즉, 전류 경로(K0) 상의 저항 성분(R0)이 저 저항 상태로 프로그램 된다.
리셋 쓰기에서는, 세트 쓰기 시와 다른 극성의 전압을 비트선 쌍(BL0/BL1)에 인가한다. 즉, 행 선택/구동 회로(120)는, 선택 워드선(WL0)에 쓰기 전압(Vrset)를 인가하고, 비선택 워드선에 GND를 인가한다. 쓰기/읽기 바이어스 회로(150)는, 일방의 선택 비트선(BL0)에 GND를 인가하고, 타방의 선택 비트선(BL1)에 리셋 쓰기 전압(Vr)를 인가한다(Vrset>Vr). 이로 인해, 비트선(BL1)으로부터 비트선(BL0)을 향해서 전압이 인가되어, 가변 저항 소자(226), 즉, 전류 경로(K0) 상의 저항 성분(R0)이 고(high) 저항 상태로 프로그램 된다.
선택 메모리 셀(MC0)의 읽기 동작에서는, 행 선택/구동 회로(120)는, 선택 워드선(WL0)에 읽기 전압(Vread)를 인가하고, 비선택 워드선에 GND를 인가한다. 쓰기/읽기 바이어스 회로(150)는, 일방의 선택 비트선(BL0)에 읽기 전압(Vbl)를 인가하고, 타방의 선택 비트선(BL1)에 GND를 인가한다. 가변 저항 소자(226)가 저 저항 상태(세트)이면, 선택 비트선(BL0)으로부터 선택 비트선(BL1)에 큰 전류가 흐르고, 가변 저항 소자가 고 저항 상태(리셋)이면, 선택 비트선(BL0)으로부터 선택 비트선(BL1)에 작은 전류가 흐른다. 감지 회로(140)는, 선택 비트선 쌍(BL0/BL1) 간의 전류 또는 전압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따른 데이터 「0」, 「1」을 읽기 데이터로서 내부 데이터 버스(170)를 통해 제어 회로(160)로 출력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변 저항 소자(226)를 대략 반원상으로 형성했지만, 이는 일례이며, 가변 저항 소자(226)는, 적어도 비트선(BL0)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영역을 구비하는 형상이면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트선(BL0)에 가변 저항 소자(226)를 접속하고, 비트선(BL1)에 반도체막(224)을 접속했지만, 이는 일례이며, 비트선(BL0)에 반도체막(224)을 접속하고, 비트선(BL1)에 가변 저항 소자(226)를 접속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는, 1개의 메모리 셀을 랜덤 액세스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제2 실시예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동시에 액세스 가능한 어레이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어레이 구성은, 이른바 크로스바 어레이에 적합하다.
도 8에, 제2 실시예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행방향에 배치된 메모리 셀(MC0~MC3)은, 워드선(WL0, WL1)에 교대로 접속되고, 워드선(WL0)이 선택되었을 때, 도 8의 (A)에 도시한 것처럼, 메모리 셀(MC0, MC2)의 액세스용 트랜지스터가 온(ON) 한다(즉, 반도체막(224)에 반전층이 형성된다). 한편, 워드선(WL1)이 선택되었을 때, 도 8의 (B)에 도시한 것처럼, 메모리 셀(MC1, MC3)의 액세스용 트랜지스터가 온 한다. 쓰기/읽기 바이어스 회로(150)는, 선택된 비트선 쌍의 일방의 비트선에 읽기 전압(Vbl), 세트 쓰기 전압(Vs), 리셋 쓰기 전압(Vr)를 인가하고, 타방의 비트선을 가상 접지한다.
행 선택/구동 회로(120)에 의해 1개의 워드선이 선택되었을 때, 선택 워드선에 접속된 복수의 메모리 셀의 액세스용 트랜지스터가 동시에 온 되어, 복수의 메모리 셀에 기억된 복수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읽어내거나, 혹은 복수의 메모리 셀에 복수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써넣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복수 데이터의 입출력은, 크로스바 어레이의 행렬 연산에 이용할 수 있다.
행방향으로 인접하는 메모리 셀 간에 비트선을 공유해도, 선택 메모리 셀의 사이에 비선택 메모리 셀이 존재하고, 비선택 메모리 셀의 액세스용 트랜지스터가 오프하기 때문에, 선택 메모리 셀의 비트선 쌍은, 비선택 메모리 셀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소망한 바이어스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열방향으로 비트선을 공유하는 비선택 메모리의 액세스용 트랜지스터도 오프하기 때문에, 선택 메모리 셀의 선택 비트쌍은, 비선택 메모리 셀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소망하지 않는 스니크 전류 경로가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어레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스택된 수직 방향의 2단의 비트선이 도시되어 있다. 어레이의 기본적인 동작은, 도 8일 때와 마찬가지이다. 선택 워드선(WL0)에 의해 메모리 셀(MC2_0, MC2_1)이 선택되었을 때, 메모리 셀(MC2_0, MC2_1)의 액세스용 트랜지스터가 온 되어, 비트선 쌍(BL1_0/BL2_0)과 비트선 쌍(BL1_1/BL2_1)이 선택된다. 선택 워드선(WL1)에 의해 메모리 셀(MC1_0, MC1_1)이 선택되었을 때, 메모리 셀(MC1_0, MC1_1)의 액세스용 트랜지스터가 온 되어, 비트선 쌍(BL0_0/BL1_0)과 비트선 쌍(BL0_1/BL1_1)이 선택된다.
도 10은, 메모리 셀 어레이의 필러와 워드선과의 바람직한 접속 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워드선(WL0)은, 행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필러(200)의 상단부에 1개 간격으로 접속되고, 워드선(WL1)은, 워드선(WL0)에 의해 접속되어 있지 않은 필러(200)의 하단부에 1개 간격으로 접속된다. 워드선(WL0, WL1)은, 도전성의 폴리실리콘 혹은 금속층일 수 있다. 필러(200)의 상하 방향으로부터 필러(200)를 교대로 워드선(WL0, WL1)에 접속함으로써, 워드선(WL0, WL1)을 동일 평면에 배선하는 경우와 비교해, 메모리 셀 어레이의 고집적화를 도모하고, 메모리 셀 어레이의 수평 방향의 점유 면적을 삭감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메모리 셀 어레이를 기판 상에 적층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기판으로서, 예를 들면, 실리콘 기판(300)을 이용하여, 이 실리콘 기판(300) 상에 3차원 구조의 메모리 셀 어레이(310)을 형성한다. 실리콘 기판(300)의 표면 또는 그 내부에는, 행 선택/구동 회로(120), 열 선택/구동 회로(130), 감지 회로(140), 쓰기/읽기 바이어스 회로(150), 및 제어 회로(160) 등의 주변 회로(320)가 형성된다. 메모리 셀 어레이(310)의 선택된 필러(200), 선택된 비트선(210), 및 선택된 워드선 등은, 다층 배선 구조를 통해 주변 회로(320)의 행 선택/구동 회로(120), 열 선택/구동 회로(130), 감지 회로, 쓰기/읽기 바이어스 회로(150) 및 제어 회로(1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층 배선 구조는, 복수의 도전층(폴리실리콘층 및 금속층), 복수의 층간 절연막, 층간 절연막에 형성된 바이어(Via)(또는, 컨택트 홀), 바이어 내에 형성된 플러그 컨택트 등을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 비트선이나 워드선과 주변 회로(320)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어느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실리콘 기판(300) 상에 절연층(330)이 형성되고, 절연층(330) 상에 도전층(340)이 형성되고, 도전층(340) 상에 메모리 셀 어레이(310)가 형성된다. 도전층(340)은, 예를 들면, 메모리 셀 어레이(310)의 공통의 소스(GND 전위) 혹은 전원 라인을 제공한다. 도전층(340)은, 예를 들면, N형의 폴리실리콘층, 혹은, 금속층과 N형의 폴리실리콘층과의 적층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실리콘 기판(300)에 주변 회로(320)를 형성하고, 그 위에 메모리 셀 어레이(310)를 적층함으로써 메모리 칩의 2차원적인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ㆍ변경이 가능하다.
100: 저항 변화형 메모리
110: 메모리 셀 어레이
120: 행 선택/구동 회로
130: 열 선택/구동 회로
140: 감지 회로
150: 쓰기/읽기 바이어스 회로
160: 제어 회로
170: 내부 데이터 버스
200: 필러
210: 비트선
220: 메모리 셀
222: 게이트 절연막
224: 반도체막
226: 가변 저항 소자
300: 실리콘 기판
310: 메모리 셀 어레이
320: 주변 회로

Claims (12)

  1. 기판의 주면(主面)의 수직 방향으로 연재하고, 제1 도전형의 반도체 재료로 구성되는 복수의 수직 부재와,
    상기 기판의 주면의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고, 반도전 재료로 구성되는 복수의 수평 부재와,
    상기 복수의 수직 부재와 상기 복수의 수평 부재와의 각각의 교차부에 형성된 메모리 셀
    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셀은,
    상기 수직 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외주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반도체 재료로 구성되는 반도체막과,
    상기 반도체막의 외주의 일부에 형성되는 가변 저항막
    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막의 외주의 전극 영역이, 인접하는 한 쌍의 수평 부재의 일방에 접속되고,
    상기 반도체막이, 인접하는 한 쌍의 수평 부재의 타방에 접속되는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로부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통해 상기 반도체막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반도체막에는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평 부재는, 상기 전극 영역 및 상기 채널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부재, 상기 복수의 수평 부재 및 상기 반도체막은, 폴리실리콘(polysilicon) 재료로 구성되는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부재는 2차원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 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메모리 셀이 3차원으로 배치되는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는,
    행 주소 신호에 근거해, 수직 부재를 선택하는 행 선택 수단과,
    열 주소 신호에 근거해, 수평 부재를 선택하는 열 선택 수단과,
    상기 행 선택 수단 및 상기 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셀의 읽기 또는 쓰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더 가지고,
    상기 제어 수단은,
    선택 메모리 셀에 접속된 상기 한 쌍의 수평 부재의 일방에 읽기 전압 또는 쓰기 전압을 인가하고, 타방에 기준 전압 또는 GND를 인가하는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부재가 대응하는 워드선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 부재가 대응하는 비트선에 접속되고,
    상기 행 선택 수단이 워드선을 선택하고, 상기 열 선택 수단이 비트선을 선택함으로써, 메모리 셀이 선택되고,
    행방향의 홀수 번째의 수직 부재의 일방의 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워드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행방향의 짝수 번째의 수직 부재의 상기 일방의 단부와 대향하는 타방의 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워드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부재가 대응하는 워드선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 부재가 대응하는 비트선에 접속되고,
    상기 행 선택 수단이 워드선을 선택하고, 상기 열 선택 수단이 비트선을 선택함으로써, 메모리 셀이 선택되고,
    행방향의 메모리 셀이 비트선을 공유하고, 동일 행의 복수의 메모리 셀이 제1조의 메모리 셀과, 제2조의 메모리 셀을 포함하고, 제1조의 메모리 셀과 제2조의 메모리 셀이 교대로 위치하고,
    제1조의 메모리 셀이 제1 워드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조의 메모리 셀이 제2 워드선에 접속되고,
    제1조의 메모리 셀이 선택되었을 때, 제2조의 메모리 셀이 비선택이고, 제2조의 메모리 셀이 선택되었을 때, 제1조의 메모리 셀이 비선택인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는,
    기판과,
    해당 기판의 표면 또는 기판 내에 형성된 주변 회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변 회로 상에는, 상기 복수의 수직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수평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수직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수평 부재는, 다층 배선 구조를 통해 상기 주변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주변 회로는,
    행 주소 신호에 근거해 수직 부재를 선택하는 행 선택 수단, 및
    열 주소 신호에 근거해 수평 부재를 선택하는 열 선택 수단
    를 포함하는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막은,
    내측의 전극층과, 외측의 전극층과, 이들 전극층의 사이에 형성된 스위칭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층의 재료는 금속 산화물인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부재는, 원주상이고,
    상기 가변 저항막은, 대략 반원상으로 형성되는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
  11. 제1항에 기재된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 부재와, 상기 복수의 수평 부재를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층간 절연막이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고,
    상기 수평 부재 및 상기 층간 절연막을 관통하는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의 측벽의 일부에 상기 가변 저항막을 형성하고,
    상기 가변 저항막을 포함하는 개구의 측벽에 상기 반도체막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막의 개구 내에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개구 내에 상기 수직 부재를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실리콘 기판과,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기판의 표면에는, 행 선택 수단, 열 선택 수단, 및 제어 수단의 주변 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층 상에, 상기 복수의 수평 부재, 상기 수직 부재, 및 상기 가변 저항막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이 형성되고,
    상기 행 선택 수단은, 행 주소 신호에 근거해, 수직 부재를 선택하고,
    상기 열 선택 수단은, 열 주소 신호에 근거해, 수평 부재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행 선택 수단 및 상기 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셀의 읽기 또는 쓰기를 제어하는
    제조 방법.
KR1020200176966A 2020-01-06 2020-12-17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68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00217 2020-01-06
JP2020000217A JP6908738B1 (ja) 2020-01-06 2020-01-06 抵抗変化型記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075A true KR20210089075A (ko) 2021-07-15
KR102468482B1 KR102468482B1 (ko) 2022-11-18

Family

ID=7660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966A KR102468482B1 (ko) 2020-01-06 2020-12-17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42381B2 (ko)
JP (1) JP6908738B1 (ko)
KR (1) KR102468482B1 (ko)
CN (1) CN113078259B (ko)
TW (1) TWI7536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044350A (zh) * 2021-12-10 2024-05-14 铠侠股份有限公司 存储器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7509A (ko) * 2012-06-07 2013-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제조 방법
US20140145137A1 (en) * 2012-11-28 2014-05-29 Hyunsu Ju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Devices Having Variable Resistance Layers
JP2017168698A (ja) * 2016-03-17 2017-09-21 東芝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20190022320A (ko) * 2017-08-24 2019-03-06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Nor형 플래시 메모리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5859B2 (ja) * 1988-02-03 1997-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記憶装置
DE102004047655A1 (de) 2004-09-14 2006-04-06 Infineon Technologies Ag Charge-trapping-Halbleiterspeicherbauelement
US8173987B2 (en) * 2009-04-27 2012-05-08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Integrated circuit 3D phase change memory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US10354995B2 (en) * 2009-10-12 2019-07-16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0157909B2 (en) * 2009-10-12 2018-12-1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388863B2 (en) * 2009-10-12 2019-08-20 Monolithic 3D Inc. 3D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8547720B2 (en) 2010-06-08 2013-10-01 Sandisk 3D Llc Non-volatile memory having 3D array of read/write elements with efficient decoding of vertical bit lines and word lines
JP2012185884A (ja) * 2011-03-04 2012-09-27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
JP2013187336A (ja) * 2012-03-07 2013-09-19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9093369B2 (en) * 2012-06-07 2015-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devices,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9853053B2 (en) * 2012-09-10 2017-12-26 3B Technologies, Inc. Three dimension integrated circuits employing thin film transistors
US10600657B2 (en) * 2012-12-29 2020-03-24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224279B2 (en) * 2013-03-15 2019-03-05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9054308B1 (en) * 2014-03-04 2015-06-09 Sandisk 3D Llc Plasma reduction method for modifying metal oxide stoichiometry in ReRAM
KR101646365B1 (ko) * 2014-10-27 2016-08-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크로스바-포인트 수직 다층 구조의 상보적 저항 스위칭 메모리 소자
US9825100B2 (en) * 2015-08-31 2017-11-21 Toshiba Memory Corporatio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10847540B2 (en) * 2015-10-24 2020-11-24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9859002B2 (en) * 2016-03-17 2018-01-02 Toshiba Memory Corpora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9859338B2 (en) * 2016-03-21 2018-01-02 Winbond Electronics Corp. Three-dimensional resistive memory
TWI660463B (zh) 2016-09-07 2019-05-21 日商東芝記憶體股份有限公司 記憶裝置及其製造方法
WO2018100790A1 (ja) * 2016-11-30 2018-06-07 国立研究開発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ニューロン回路、システムおよびスイッチ回路
KR20180090121A (ko) * 2017-02-02 2018-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소프트 이레이즈 방법 및 프로그램 방법
EP3577689A4 (en) * 2017-02-04 2021-06-02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COMPONENT AND STRUCTURE
KR102295524B1 (ko) * 2017-03-27 2021-08-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모리 소자
US10672490B2 (en) * 2018-01-17 2020-06-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ne-time-programmable memory in a high-density three-dimensional structure
JP2019165114A (ja) * 2018-03-20 2019-09-26 東芝メモリ株式会社 抵抗変化型記憶装置
US10497752B1 (en) * 2018-05-11 2019-1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sistive random-access memory array with reduced switching resistance variability
US10700129B2 (en) * 2018-06-22 2020-06-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rtical array of resistive switching devices having a tunable oxygen vacancy concentration
US20200194668A1 (en) * 2018-12-14 2020-06-18 Sandisk Technologies Llc Interfacial resistive memory gate stack transistor cell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91583A (ko) * 2020-01-14 2021-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셀 스트링을 포함하는 수직형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7509A (ko) * 2012-06-07 2013-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제조 방법
US20140145137A1 (en) * 2012-11-28 2014-05-29 Hyunsu Ju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Devices Having Variable Resistance Layers
JP2017168698A (ja) * 2016-03-17 2017-09-21 東芝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20190022320A (ko) * 2017-08-24 2019-03-06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Nor형 플래시 메모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42381B2 (en) 2022-05-24
CN113078259A (zh) 2021-07-06
TW202127657A (zh) 2021-07-16
TWI753663B (zh) 2022-01-21
US20210210555A1 (en) 2021-07-08
KR102468482B1 (ko) 2022-11-18
JP2021111634A (ja) 2021-08-02
JP6908738B1 (ja) 2021-07-28
CN113078259B (zh)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5530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ertical bit line structures in three-dimensional nonvolatile memory
US9530824B2 (en) Monolithic three dimensional memory arrays with staggered vertical bit line select transistors and methods therfor
KR102471884B1 (ko) 저항 변화형 기억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768180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nonvolatile memory
US11257865B2 (en) Resistive memory
TWI771611B (zh) 電阻式記憶體
US10355129B2 (en) Vertical transistors with sidewall gate air gaps and methods therefor
US967330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ertical bit line structures in three-dimensional nonvolatile memory
US11386950B2 (en) Stacked DRAM memory device for improving integration density and reducing bit line capacitance
US10411071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10541273B2 (en) Vertical thin film transistors with isolation
KR102468482B1 (ko) 저항 변화형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202147569A (zh) 改良的垂直3d記憶體裝置及存取方法
US9646880B1 (en) Monolithic three dimensional memory arrays formed using sacrificial polysilicon pillars
US1011577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nonvolatile memory
JPH0878635A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02094017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製造用マスク
US1028356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nonvolatile mem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