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514A - 합성 수지제 용기, 및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합성 수지제 용기, 및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80514A KR20210080514A KR1020217015683A KR20217015683A KR20210080514A KR 20210080514 A KR20210080514 A KR 20210080514A KR 1020217015683 A KR1020217015683 A KR 1020217015683A KR 20217015683 A KR20217015683 A KR 20217015683A KR 20210080514 A KR20210080514 A KR 202100805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body
- synthetic resin
- resin container
- outer layer
- inner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05—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905—Using combined techniques for making the pre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6—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2—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42—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 B65D23/0871—Stretched over the bott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4—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ribs or protrus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9—Auxiliary parts or inserts
- B29C2949/08—Preforms made of several individual parts, e.g. by welding or gluing parts toge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18—Ribs
- B65D2501/0027—Hollow longitudinal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층체의 내면에 증착막을 형성할 때 내층체가 외층체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운 합성 수지제 용기, 및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합성 수지제 용기(1)는, 외층체(2)와 외층체(2)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내층체(3)를 가지고,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합성 수지제 용기(1)로서, 통 형상 입구부(4)와, 입구부(4)의 하방에 이어지는 몸통부(5)와, 몸통부(5)의 하단을 폐쇄하는 저부(6)를 구비하며, 외층체(2)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며, 내층체(3)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적층재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블렌드재를 포함하는 동시에, 내층체(3)의 내면에는,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증착막(3a)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통부(5)의 하부 또는 저부(6)의 적어도 한쪽에는, 증착막(3a)의 형성시에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억제하는 리브(5a, 6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1월 30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8-225993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특허 출원의 명세서 전체를 참조에 의해서 본원 명세서에 인용한다.
본 개시는, 외층체와 이 외층체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내층체를 구비한 합성 수지제 용기, 및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간장 등의 식품 조미료나 음료, 혹은 화장수 등의 화장료, 샴푸나 린스, 액체 비누 등의 욕실 용품을 내용액(內容液)으로써 수납하는 용기로서, 디라미네이션 용기(디라미 용기)라고도 불리는 적층 박리 용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적층 박리 용기는, 통 형상 입구부, 입구부에 이어지는 몸통부 및 몸통부의 하단을 폐쇄하는 저부를 가지고 용기의 외각을 형성하는 외층체의 내면에 내용액 수용 공간을 구비한 감용(減容) 변형이 자유로운 내층체가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이중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적층 박리 용기는, 예컨대, 체크 밸브를 구비한 주출 캡과 조합된 스퀴즈 방식의 주출 용기나 펌프와 조합된 펌프 부착 용기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 외층체의 몸통부를 스퀴즈(압착)하거나, 펌프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내용액을 외부로 주출할 수 있는 한편으로, 주출 후에는, 외층체에 설치된 외기 도입구로부터 내층체와 외층체 사이에 외기가 도입되는 것에 의해서 내층체를 감용 변형시킨 채로 외층체를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 박리 용기에서는, 내층체에 수용된 내용액을 외기와 치환하지 않고 주출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층체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액으로의 외기의 접촉을 줄여서, 그 열화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적층 박리 용기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형성된 외체와, 그 외체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동일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형성된 내체를 갖는 프리폼을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제 이중 프리폼을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제조한 적층 박리 용기의 경우, 내층체의 두께가 얇아 산소 등의 가스에 대한 배리어성(barrier性)이 충분히 높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내층체의 내면에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증착막을 형성함으로써 가스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지만, 증착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내층체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하면, 내층체가 외층체로부터 박리되는 경우가 있었다. 증착시에 내층체가 외층체로부터 박리되면, 플라즈마의 열에 의해서 두께가 얇은 내층체가 변형되거나 용해하여 구멍이 뚫리게 되어,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내층체의 내면에 증착막을 형성할 때 내층체가 외층체로부터 박리하기 어려운 합성 수지제 용기, 및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합성 수지제 용기는, 외층체와 이 외층체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내층체를 가지고,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합성 수지제 용기로서, 통 형상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의 하방에 이어지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을 폐쇄하는 저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층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내층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적층재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한 블렌드재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내층체의 내면에는,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증착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부의 하부 또는 상기 정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증착막의 형성시에 상기 내층체가 상기 외층체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억제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합성 수지제 용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 형성된 리브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 형상 오목 리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의 합성 수지제 용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저부에 형성되는 리브는,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오목 리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의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은, 외층체와 이 외층체의 내면에 적층된 내층체를 갖는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합성 수지제 용기는, 통 형상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을 폐쇄하는 저부를 구비하며, 상기 입구부에는, 상기 외층체를 관통하는 외기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폼을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상기 합성 수지제 용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외기 도입구를 상기 외층체 외측의 분위기 압력으로부터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내층체의 내면에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증착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구의 하방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고리 형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기 도입구를 상기 외층체 외측의 분위기 압력으로부터 차단하는 단계는, 통 형상 실(seal) 부재의 접촉부를 상기 고리 형상 돌기부에 상방으로부터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의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고리 형상 돌기부는, 상기 프리폼을 블로우 성형용 금형에 장착하기 위한 네크 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의하면, 내층체의 내면에 증착막을 형성할 때 내층체가 외층체로부터 박리하기 어려운 합성 수지제 용기, 및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인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정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서의 A 부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인 합성 수지제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인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인 프리폼의 정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인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인 합성 수지제 용기에 있어서, 외기 도입구를 외기 압력으로부터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서의 A 부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인 합성 수지제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인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인 프리폼의 정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인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인 합성 수지제 용기에 있어서, 외기 도입구를 외기 압력으로부터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더욱 구체적으로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3에 나타낸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인 합성 수지제 용기(1)는, 적층 박리 용기 또는 디라미네이션 용기로도 불리는 것이다. 합성 수지제 용기(1)는, 외층체(2)와 내층체(3)를 구비한 이중 구조인 동시에, 그 외형 형상은, 원통 형상 입구부(4)와, 이 입구부(4)의 하방에 위치하는 동시에 하방으로 향해서 반경이 커지는 숄더부(7)와, 입구부(4)의 하방에 숄더부(7)를 통하여 이어지는 원통 형상 몸통부(5)와, 이 몸통부(5)의 하단을 폐쇄하는 저부(6)를 갖는 보틀(bottle)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 청구 범위, 및 도면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 용기(1)를 똑바로 세운 상태에서의 상방, 하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반경 방향 외측이라는 것은, 도 1a에서의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중심 축선(O1)을 통과하는 중심 축선(O1)에 수직인 직선을 따라서 외측으로 향한 방향이며, 반경 방향 내측이라는 것은, 해당 직선을 따라서 중심 축선(O1)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입구부(4)에는 수나사(4a)가 설치되며, 주출 캡이나 주출 펌프 등의 주출 부재를 수나사(4a)에 나사 결합시켜 입구부(4)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입구부(4)는, 수나사(4a)를 대신하여 또는 수나사(4a)와 함께 원형 고리 형상 돌기(예컨대, 도 1a의 비드(4d))를 구비하여, 주출 캡 등의 주출 부재가 타전(打栓)에 의해서 언더컷 형상으로 결합함으로써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구부(4)의 하부에는, 예컨대,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한 합성 수지제 용기(1)를 형성할 때 후술하는 프리폼(11)을 블로우 성형용 금형에 고정하기 위한 네크 링(neck ring)(8)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이 합성 수지제 용기(1)를 스퀴즈 방식의 주출 용기로서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외층체(2)는, 이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외각을 구성하는 것이며,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등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외층체(2)의 몸통부(5)에 상당하는 부분은 가요성을 가지고 있으며, 스퀴즈(압착)되어 움푹 들어갈 수 있는 동시에, 움푹 들어간 형태로부터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도 있다. 또한, 이 합성 수지제 용기(1)를 펌프 부착 용기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외층체(2)의 몸통부(15)에 상당하는 부분은 스퀴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내층체(3)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나일론 등의 합성 수지 재료로 외층체(2) 보다도 두께가 얇은 봉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외층체(2)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다. 내층체(3)의 내부는 입구부(4)의 개구에 이어지는 수용부(S)로 되어 있다. 이 수용부(S)에는, 예컨대, 간장 등의 식품 조미료나 음료, 혹은 화장수 등의 화장료, 샴푸나 린스, 액체 비누 등의 욕실 용품을 내용물로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내층체(3)는 단층으로 한정하지 않고, 적층(예컨대, PET/ 나일론/PET 3 층)이나 블렌드(PET+나일론 블렌드)라도 좋으며, 증착면의 주성분이 PET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층체(3)의 내면에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착막(3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증착막(3a)은, 실리카(Silica), 또는 DLC(Diamond-like Carbon)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예컨대, 외층체(2) 및 내층체(3)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형성하여, 충분한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정도까지 내층체(3)의 두께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도, 증착막(3a)이 소정의 가스 배리어성을 갖추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층체(3)를 통과하는 산소 등의 가스양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층체(3) 내의 내용물이 산소 등과 접촉하여 열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증착막(3a)의 재질은, 상기 형태만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른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도 좋다.
외층체(2)의 입구부(4)에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구(4b)가 설치되어 있다. 외기 도입구(4b)는, 체크 밸브로서의 기능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거나, 또는 체크 밸브가 장착되어,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 외기를 도입하지만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외기 도입구(4b)는 체크 밸브 또는 체크 밸브의 기능을 갖추지 않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외기 도입구(4b)의 형상은, 도시된 긴 구멍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원형 형상 등, 다른 다양한 형상을 채용할 수가 있다. 또한, 외기 도입구(4b)는, 도 4의 플랜지(14c) 부분에 틈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의 합성 수지제 용기(1)는, 그 입구부(4)에 주출 캡 등의 주출 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주출 용기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외층체(2)의 몸통부(5)에 상당하는 부분을 스퀴즈(압착)함으로써 내용물을 주출 부재로부터 외부로 주출할 수 있고, 내층체(3)는 내용물의 주출에 동반하여 외층체(2)의 내면으로부터 박리하여 감용 변형될 수 있다. 스퀴즈의 해제 후에는, 외층체(2)에 설치된 외기 도입구(4b)로부터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로 외기가 도입되어, 내층체(3)를 감용 변형된 채로 외층체(2)를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S)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기와 치환하지 않고 주출할 수 있고, 수용부(S)에 수용된 내용물로의 외기 접촉을 감소시켜, 그 열화 또는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합성 수지제 용기(1)는, 도 1a의 네크 링(8)에 대응하는 프리폼(11)(도 4 참조)의 네크 링(18)을 블로우 성형용 금형에 고정하여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숄더부(7)에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한 개의 세로 리브(10)가 설치되어 있다. 숄더부(7)에 세로 리브(10)를 설치함으로써,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내층체(3)의 내면에 증착막(3a)을 형성할 때, 내층체(3)의 내측을 진공 상태로 하여도 숄더부(7)의 내층체(3)를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기 어렵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증착막(3a)에 형성 후 또한 사용 전에 있어서, 외기 도입구(4b)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등의 방법으로, 내층체(3)를 외층체(2)로부터 박리시키고, 입구부(4)의 상단 개구로부터 공기를 압입하여 내층체(3)를 원래대로 되돌리는 초기 박리 처리 후에는, 세로 리브(10)의 주변 영역에서 내층체(3)와 외층체(2)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세로 리브(10)의 주변 영역에 있어서 내층체(3)와 외층체(2) 사이에 틈을 갖도록 함으로써, 사용시(내용물 토출시)에, 외기 도입구(4b)로부터 해당 틈을 통해서 내층체(3)와 외층체(2) 사이에 외기를 도입하기가 쉽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18 개의 세로 리브(10)를 설치하였다. 또한, 세로 리브(10)의 개수나 길이 등은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세로 리브(10)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동시에, 용기 내측으로 향해서 움푹 들어간 오목한 형상의 리브로서 형성되어 있다. 세로 리브(10)가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는, 외층체(2)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층체(3)의 형상도 오목 리브 형상으로 되어 있다.
세로 리브(10)는, 상하 방향의 중앙부(10M) 보다도 상단부(10T) 및 하단부(10B) 쪽의 홈 깊이가 얕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단부(10T) 및 하단부(10B)에 있어서 홈의 깊이가 얕아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초기 박리 처리시에 세로 리브(10)에 있어서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기 쉽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용기(1)에서는, 세로 리브(10)의 홈 깊이가 상단부(10T) 및 하단부(10B)에서 더 얕아지게 되어 있고, 이 상단부(10T) 및 하단부(10B)에서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증착막(3a)의 형성 후 또한 사용 전에 있어서 내층체(3)를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는 공정 및, 그 후의 내층체(3)를 원래로 되돌리는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세로 리브(10)의 위치에 있어서 내층체(3)와 외층체(2) 사이에 소기의 틈을 형성하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세로 리브(10)는, 그 상단부(10T) 및 하단부(10B)에 있어서, 매끄럽게 숄더부(7)의 외표면에 이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초기 박리 처리 시에 세로 리브(10)의 상단부(10T) 또는 하단부(10B) 위치에 있어서 내층체(3)를 더욱 부드럽게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세로 리브(10)의 하단부(10B)가, 숄더부(7)의 하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예컨대, 세로 리브(10)가 숄더부(7)로부터 몸통부(5)에 걸쳐서 연장하고, 하단부(10B)가 몸통부(5)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초기 박리 처리시에 해당 하단부(10B)에 있어서 내층체(3)가 박리하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로 리브(10)의 하단부(10B)가 숄더부(7)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증착막(3a) 형성 후 또한 사용 전에 있어서, 내층체(3)를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세로 리브(10)는, 숄더부(7)로부터 몸통부(5)에 걸쳐서 연장하여, 하단부(10B)가 몸통부(5)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 용기(1)의 평면도에서는, 각 세로 리브(10)는 합성 수지제 용기(1)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각 세로 리브(10)는, 상단부(10T)로부터 하단부(10B)까지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굴곡되어 있거나 만곡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a,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리브(10)의 폭(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숄더부(7)의 외표면으로 개구하는 부분의 홈의 폭)은, 상단부(10T) 및 하단부(10B)에 있어서 좁게 되어, 테이퍼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증착막(3a) 형성 후 또한 사용 전에 있어서, 세로 리브(10)에 있어서의 내층체(3)의 박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세로 리브(10)는 숄더부(7)의 표면으로부터 용기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볼록한 형상의 리브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세로 리브(10)의 중앙부(10M) 보다도 적어도 상단부(10T) 또는 하단부(10B)에 있어서 돌출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세로 리브(10)의 단면 형상은, 외층체(2)의 볼록 형상에 대응하여 내층체(3)도 볼록 형상이 된다.
합성 수지제 용기(1)의 몸통부(5) 하부에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고리 형상 몸통 하부 리브(5a)가 설치되어 있다. 몸통 하부 리브(5a)는, 상하 방향 2 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며, 용기 내측으로 향해서 움푹 들어간 오목한 형상의 리브로서 형성되어 있다. 몸통 하부 리브(5a)가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는, 외층체(2)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층체(3)의 형상도 오목 리브 형상으로 되어 있다.
몸통부(5) 하부에 몸통 하부 리브(5a)를 설치함으로써,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내층체(3)의 내면에 증착막(3a)을 형성할 때, 내층체(3)의 내측을 진공 상태로 하여도, 이 몸통 하부 리브(5a) 부분의 요철에 의해서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기 어렵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몸통 하부 리브(5a)가 상하 방향으로 2 개소에 형성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 형태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몸통 하부 리브(5a)는, 임의의 개수만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몸통 하부 리브(5a)는 반드시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형상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고, 둘레 방향으로도 요철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저부(6)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 축선(O1) 둘레의 둘레 방향 4 개소에, 대략 90 도 간격으로 형성된 저부 리브(6a)가 설치되어 있다. 저부 리브(6a)는,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저부(6)에 있어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용기 내측으로 향해서 움푹 들어간 오목한 형상의 리브로서 형성되어 있다. 저부 리브(6a)가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는, 외층체(2)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층체(3)의 형상도 오목 리브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저부(6)에 저부 리브(6a)를 설치함으로써,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내층체(3)의 내면에 증착막(3a)을 형성할 때, 내층체(3)의 내측을 진공 상태로 하여도, 그 저부 리브(6a) 부분의 요철에 의해서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기 어렵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부 리브(6a)가 둘레 방향 4 개소에, 대략 90 도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저부 리브(6a)는, 임의의 개수만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저부 리브(6a)는 반드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필요는 없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도 1a 및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몸통부(5)의 하부에 형성된 몸통 하부 리브(5a)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해서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한편으로, 저부(6)에 형성된 저부 리브(6a)는, 상방으로 향해서 움푹 들어가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몸통 하부 리브(5a)와 저부 리브(6a)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오목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합성 수지제 용기(1)에 몸통 하부 리브(5a)와 저부 리브(6a)의 쌍방을 설치한 경우에는, 한 쪽의 리브에 있어서 외층체(2)로부터 내층체(3)가 박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도, 다른 쪽의 리브가 그 이동을 저지하도록 작용한다. 예컨대, 몸통부(5)의 하부에 있어서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박리되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도, 저부(6)의 저부 리브(6a)가 그 이동을 저지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저부(6)에 있어서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박리되어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하여도, 몸통부(5)의 하부에 있어서 몸통 하부 리브(5a)가 그 이동을 저지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증착막(3a) 형성시에 내층체(3)의 내측을 진공 상태로 하여도 몸통 하부 리브(5a)와 저부 리브(6a)의 상승 효과로 외층체(2)로부터 내층체(3)가 박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몸통부(5)에 있어서 하부 이외의 영역에는 리브를 설치하지 않았지만, 몸통부(5)의 하부 이외의 영역에도 리브를 설치하고, 증착막(3a) 형성시에 외층체(2)로부터 내층체(3)가 다시 박리하기 어렵게 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합성 수지제 용기(1)는, 도 4에 나타낸 합성 수지제 프리폼(11)을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프리폼(11)은, 외층체(2)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제 외체(12)와, 내층체(3)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제 내체(13)를 구비한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프리폼(11)의 외형 형상은, 통 형상 입구부(14)와, 이 입구부(14)의 하방에 이어지는 원통 형상 몸통부(15)와, 이 몸통부(15)의 하단을 폐쇄하는 저부(16)를 갖는 바닥이 형성된 통 형상(대략 시험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입구부(14)는,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입구부(4)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나사(14a), 및 외체(12)를 관통하는 외기 도입구(14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부(16)는 만곡 형상(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체(13) 상단부의 개구 부분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고리 형상 플랜지(14c)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플랜지(14c)가 외체(12)의 개구단에 걸쳐져서(적재되어), 내체(13)의 개구 부분이 해당 개구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면 번호 O2는, 입구부(14), 몸통부(15) 및 저부(16)에 공통인 중심 축선을 나타내고 있다.
외체(12)는, 내층체(2)와 동일한 합성 수지 재료, 즉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등의 연신 블로우가 가능한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내체(13)도, 내층체(3)와 동일한 합성 수지 재료, 즉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나일론 등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내체(13)는 외체(12)보다도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으며, 외체(12)의 내면에 해당 내면의 전체를 덮도록 적층되어 있다.
내체(13)의 외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 리브(19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기 리브(19a)는, 입구부(14)에 있어서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도 4에 있어서 외기 도입구(14b)의 좌우에 3 개소씩, 외기 도입구(14b)에 대하여 대칭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통기 리브(19a)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폼(11)의 입구부(14)에 있어서의 외기 도입구(14b)의 상방으로부터 네크 링(18)을 넘어서 하방에 도달할 때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기 리브(19a)를 형성함으로써, 내체(13)의 강성 향상에 의한 기도의 확보에 추가하여, 이 통기 리브(19a)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더욱 큰 기도(氣道)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리폼(11)의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한 합성 수지제 용기(1)에 있어서, 외기 도입구(4b)로부터 도입된 외기를 원활하게 몸통부(5)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기 리브(19a)가 외기 도입구(14b) 높이까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외기 도입구(14b)로부터 도입된 외기를 이 통기 리브(19a)를 통하여 더욱 부드럽게 몸통부(5)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기 리브(19a)를 좌우 3 개소씩, 외기 도입구(14b)에 대해서 대칭 위치에 배치하였지만, 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기 리브(19a)는 적어도 1 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고, 개수, 간격은 임의로 정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제조 방법을 실시하는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합성 수지제 용기(1)를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서 제조하기 위한 프리폼(11)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나타낸 외체(12)를 사출 성형에 의해서 성형한다(단계(S101)). 또한, 외체(12)의 성형과 병행하여, 도 4에 나타낸 내체(13)를 별도의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서 성형한다(단계(S102)). 또한, 도 5에서는, 외체(12)의 성형에 이어서 내체(13)를 성형하도록 기재하고 있으나, 양자의 성형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성형 순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외체(12) 및 내체(13)의 형성은, 사출 성형에 한정하지 않고, 압축 성형 등의 다른 성형 방법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단계(S102)에서 형성된 내체(13)의 외주면을 외체(12)의 내주면에 결합시킴으로써, 프리폼(11)을 형성한다(단계(S103)). 이 프리폼(11)을 형성할 때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체(13)의 입구부(14) 상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고리 형상 플랜지(14c)가 외체(12)의 개구단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내체(13)가 외체(12)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예컨대, 내체(13)의 외주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외체(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결합하도록 하여 양자의 둘레 방향 위치를 위치 맞춤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다음에, 단계(S103)에서 성형된 프리폼(11)을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적층 박리 용기인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외형을 형성한다(단계(S104)). 이 연신 블로우 성형시에는, 먼저, 프리폼(11)을 가열로에서 가열한다. 다음으로, 프리폼(11)의 가열 상태에서 프리폼(11)의 네크 링(18)을 블로우 성형용 금형의 기준면에 접촉시켜 고정하여 연신 블로우 성형하면, 외체(12) 및 내체(13)가 연신 로드에 의해 하방으로 연신되면서 고압 공기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도 블로우 성형된다. 여기에서, 프리폼(11)의 입구부(14)에 있어서의 네크 링(18) 하방의 비연신부는, 하방으로 연신하지 않기 때문에, 프리폼(11) 내측으로 흡인되는 고압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내체(13)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도 팽창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기 리브(19a)를 입구부(14)의 비연신부인 네크 링(18)의 하방까지 연장되도록 설치하였기 때문에 해당 영역에 있어서의 강성이 높아져서, 고압 공기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외기 도입구(14b)로부터 몸통부(15)로의 외기 기도를 확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용기(1)에서는, 입구부(4)나 몸통부(5)를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사각통 형상이나 타원통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의 프리폼(11)에서는, 입구부(14)나 몸통부(15)를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사각통 형상이나 타원통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S104)에서 외형이 형성된 합성 수지제 용기(1)에 있어서, 외기 도입구(4b)를 외층체(2) 외측의 분위기 압력으로부터 차단한다(단계(S105)).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계(S105)는, 도 6에 나타낸 통 형상 실 부재(9)를 상방으로부터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입구부(4)에 덮고, 실 부재(9)의 하단부에 설치된 접촉부(9a)를 합성 수지제 용기(1)의 네크 링(8) 상면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행된다. 여기에서, 이하의 표 1, 및 표 2에, 외층체(2) 및 내층체(3)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실리카, 및 DLC의 증착 조건을 각각 나타내었다. 또한, 이 증착 조건으로 증착막(3a)의 형성을 수행한 합성 수지제 용기(1)의 보틀(bottle) 용량은, 대략 450 ml였다. 예컨대, 증착막(3a)에 실리카를 채용한 경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 용기(1)의 내측(내층체(3)의 내측) 압력(접착층의 증착시: 9.0 [Pa], 배리어층의 증착시: 25.0 [Pa])이, 외측(외층체(2)의 외측) 압력(접착층, 배리어층 모두 30.0 [hPa]) 보다도 낮게 되도록 압력 차이를 설정하면서 진공 상태로 하였다. 즉, 실 부재(9)의 내측은, 내층체(3) 내측의 압력(접착층의 증착시: 9.0 [Pa]), 배리어층의 증착시: 25.0 [Pa])으로 유지하고, 실 부재(9)의 외측은, 외층체(2) 외측의 압력(접착층, 배리어층 모두 30.0 [hPa])으로 유지된다. 이 때, 외기 도입구(4b)가 외층체(2) 외측의 분위기 압력에 노출되어도,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의 공간도 그 분위기 압력으로 되기 때문에, 내층체(3)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해서 가압되는 결과, 내층체(3)는 외층체(2)로부터 쉽게 떼어질 수 있어 증착이 곤란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 부재(9)로 외기 도입구(4b)를 외층체(2) 외측의 분위기 압력으로부터 차단하면서 증착막(3a)을 형성하기(단계(S106)) 때문에, 내층체(3)의 내측과 외측의 압력을 대략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층체(3)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증착막(3a)의 형성시에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증착막(3)에 DLC를 채용한 경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 용기(1)의 내측과 외측에서 압력 차이를 설정하지 않았기(모두 9.0 [Pa]) 때문에, 단계(S105)의 분위기 압력 차단은 수행하지 않고 단계(S106)를 실행하여도 좋다.
표 1, 및 표 2의 우단에는, 각각 증착막(3a)에 실리카, 및 DLC를 사용한 경우의 내층체(3)의 산소 투과량을 나타내고 있다. 표 1에 따르면, 내층체(3)에 증착막(3a)을 설치하지 않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단체(單體)로 형성한 경우, 용기 1 개 당의 1 일 산소 투과량은, 0.0760 [cc]였다. 이에 대하여, 내층체(3)의 증착막(3a)으로서 실리카를 형성한 경우, 용기 1 개 당의 1 일 산소 투과량은, 0.0070 [cc]이며, 내층체(3)에 PET 단체를 사용한 경우의 산소 투과량과의 비율을 나타낸 BIF(Barrier Improvement Factor)는, 10.9로 양호하였다. 또한, 표 2에 의하면, 내층체(3)의 증착막(3a)으로 DLC를 형성한 경우, 용기 1 개 당의 1 일 산소 투과량은, 0.0045 [cc]이며, BIF(Barrier Improvement Factor)는, 16.9로 더욱 양호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성 수지제 용기(1)는, 외층체(2)와 외층체(2)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내층체(3)를 가지고,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합성 수지제 용기(1)로서, 통 형상 입구부(4)와, 입구부(4)의 하방에 이어지는 몸통부(5)와, 몸통부(5)의 하단을 폐쇄하는 저부(6)를 구비하며, 외층체(2)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며, 내층체(3)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적층재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블렌드재로 형성되는 동시에, 내층체(3)의 내면에는,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증착막(3a)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통부(5)의 하부 또는 저부(6)의 적어도 한쪽에는, 증착막(3a)의 형성시에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억제하는 리브(몸통 하부 리브(5a), 저부 리브(6a))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내층체(3)의 가스 배리어성을 높이기 위해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내층체(3)의 내면에 증착막(3a)을 형성할 때 내층체(3)의 내측을 진공 상태로 하여도, 몸통부(5)의 하부 및 저부(6)에 설치된 리브에 의해서 내층체(3)를 외층체(2)로부터 박리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증착막(3a)의 형성을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성 수지제 용기(1)에서는, 몸통부(5)의 하부에 형성되는 리브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 형상 오목 리브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특히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박리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성 수지제 용기(1)는, 저부(6)에 형성되는 리브는,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오목 리브가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특히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박리되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제조 방법은, 외층체(2)와 외층체(2)의 내면에 적층된 내층체(3)를 갖는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제조 방법으로서, 합성 수지제 용기(1)는, 통 형상 입구부(4)와, 입구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몸통부(5)와, 몸통부(5)의 하단을 폐쇄하는 저부(6)를 가지며, 입구부(4)에는, 외층체(2)를 관통하는 외기 도입구(4b)가 형성되어 있으며, 프리폼(11)을 형성하는 단계와, 프리폼(11)을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외형을 형성하는 단계와, 외기 도입구(4b)를 외층체(2) 외측의 분위기 압력으로부터 차단하는 단계와, 내층체(3)의 내면에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증착막(3a)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특히 내층체(3)의 내측을 외층체(2)의 외측 보다도 낮은 압력으로 되도록 진공 상태로 하면서 증착막(3a)을 형성하는 경우 (표 1에 나타낸 증착막(3a)이 실리카인 경우 참조)에,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의 공간에 외층체(2) 외측의 압력이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층체(3)의 내측과 외측의 압력을 대략 동일하게 유지하여 내층체(3)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증착막(3a)의 형성시에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박리되기가 어렵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증착막(3a)의 형성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제조 방법에서는, 외기 도입구(4b)의 하방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고리 형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기 도입구(4b)를 외층체(2) 외측의 분위기 압력으로부터 차단하는 단계는, 통 형상 실 부재(9)의 접촉부(9a)를 고리 형상 돌기부에서 상방으로부터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통 형상 실 부재(9)를 상방으로부터 입구부(4)에 덮는다고 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서 외기 도입구(4b)를 외층체(2) 외측의 분위기 압력으로부터 차단하여, 증착막(3a)의 형성을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제조 방법에서는, 고리 형상 돌기부는, 프리폼(11)을 블로우 성형용 금형에 장착하기 위한 네크 링(8)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합성 수지제 용기(1) 측에 어떠한 특별한 구성을 설치하지 않고 외기 도입구(4b)를 외층체(2) 외측의 분위기 압력으로부터 차단하여, 증착막(3a)의 형성을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를 여러 도면과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개시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들 변형이나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각 구성부에 포함되는 기능 등은 논리적인 모순이 없도록 재배치 가능하며, 복수의 구성부를 하나로 조합하거나, 혹은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는 이들도 포함되는 것이라고 이해하여야 한다.
예컨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합성 수지제 용기(1)의 숄더부(7)에 세로 리브(10)를 설치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세로 리브(10)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리폼(11)의 입구부(14)에 통기 리브(19a)를 설치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통기 리브(19a)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1 : 합성 수지제 용기
2 : 외층체
3 : 내층체
3a : 증착막
4 : 입구부
4a : 수나사
4b : 외기 도입구
4d : 비드
5 : 몸통부
5a : 몸통 하부 리브(몸통부의 하부에 형성된 리브)
6 : 저부
6a : 저부 리브(저부에 형성된 리브)
7 : 숄더부
8 : 네크 링(고리 형상 돌기부)
9 : 실 부재
9a : 접촉부
10 : 세로 리브
10B : 하단부
10M : 중앙부
10T : 상단부
11 : 프리폼
12 : 외체
13 : 내체
14 : 입구부
14a : 수나사
14b : 외기 도입구
14c : 플랜지
14d : 비드
15 : 몸통부
16 : 저부
18 : 네크 링
19a : 통기 리브
O1, O2 : 중심 축선
S : 수용부
2 : 외층체
3 : 내층체
3a : 증착막
4 : 입구부
4a : 수나사
4b : 외기 도입구
4d : 비드
5 : 몸통부
5a : 몸통 하부 리브(몸통부의 하부에 형성된 리브)
6 : 저부
6a : 저부 리브(저부에 형성된 리브)
7 : 숄더부
8 : 네크 링(고리 형상 돌기부)
9 : 실 부재
9a : 접촉부
10 : 세로 리브
10B : 하단부
10M : 중앙부
10T : 상단부
11 : 프리폼
12 : 외체
13 : 내체
14 : 입구부
14a : 수나사
14b : 외기 도입구
14c : 플랜지
14d : 비드
15 : 몸통부
16 : 저부
18 : 네크 링
19a : 통기 리브
O1, O2 : 중심 축선
S : 수용부
Claims (6)
- 외층체와 이 외층체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내층체를 가지고,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합성 수지제 용기로서,
통 형상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의 하방에 이어지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을 폐쇄하는 저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층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내층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적층재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한 블렌드재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내층체의 내면에는,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증착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부의 하부 또는 상기 저부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증착막의 성형시에 상기 내층체가 상기 외층체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억제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리브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고리 형상 오목 리브인,
합성 수지제 용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부에 형성되는 리브는,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오목 리브인,
합성 수지제 용기.
- 외층체와 이 외층체의 내면에 적층된 내층체를 갖는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합성 수지제 용기는, 통 형상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을 폐쇄하는 저부를 구비하며, 상기 입구부에는, 상기 외층체를 관통하는 외기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폼을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상기 합성 수지제 용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외기 도입구를 상기 외층체 외측의 분위기 압력으로부터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내층체의 내면에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증착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구의 하방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고리 형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기 도입구를 상기 외층체 외측의 분위기 압력으로부터 차단하는 단계는, 통 형상 실 부재의 접촉부를 상기 고리 형상 돌기부에 상방으로부터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리 형상 돌기부는, 상기 프리폼을 블로우 성형용 금형에 장착하기 위한 네크 링인,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225993A JP7072999B2 (ja) | 2018-11-30 | 2018-11-30 | 合成樹脂製容器、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
JPJP-P-2018-225993 | 2018-11-30 | ||
PCT/JP2019/039533 WO2020110468A1 (ja) | 2018-11-30 | 2019-10-07 | 合成樹脂製容器、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0514A true KR20210080514A (ko) | 2021-06-30 |
KR102545389B1 KR102545389B1 (ko) | 2023-06-20 |
Family
ID=7085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15683A KR102545389B1 (ko) | 2018-11-30 | 2019-10-07 | 합성 수지제 용기, 및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2091208B2 (ko) |
EP (1) | EP3889057B1 (ko) |
JP (1) | JP7072999B2 (ko) |
KR (1) | KR102545389B1 (ko) |
CN (1) | CN113165766B (ko) |
CA (1) | CA3120928C (ko) |
WO (1) | WO202011046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330632B2 (ja) * | 2019-11-29 | 2023-08-22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積層剥離容器 |
JP7481911B2 (ja) * | 2020-06-09 | 2024-05-13 | メビウス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 多重容器の製造方法 |
KR102503457B1 (ko) * | 2021-04-15 | 2023-02-24 | (주) 올리브 | 수지재질의 매니큐어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102667A2 (en) * | 2004-04-16 | 2005-11-03 | Advanced Plastics Technologies Luxembourg S.A. | Preforms, bott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preforms and the bottles |
EP1873207A2 (en) * | 1997-10-17 | 2008-01-02 | Advanced Plastics Technologies Luxembourg S.A. | Injected molded preform with barrier coated polyester and method for making a barrier coated polyester article |
JP2012116516A (ja) | 2010-11-30 | 2012-06-21 | Yoshino Kogyosho Co Ltd | 積層剥離容器 |
KR20150070279A (ko) * | 2012-10-31 | 2015-06-24 |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 이중 용기 |
JP2018043790A (ja) * | 2016-09-16 | 2018-03-22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キャップ付き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5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68443A (en) * | 1967-10-06 | 1969-09-23 | Apl Corp | Base of plastic container for storing fluids under pressure |
GB2034663B (en) * | 1978-11-07 | 1983-09-01 | Yoshino Kogyosho Co Ltd | Synthetic resin thin-walled bottle |
US5344045A (en) * | 1990-12-17 | 1994-09-06 | The Coca-Cola Company | Liquid container system |
US5301838A (en) * | 1991-01-23 | 1994-04-12 |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 Multilayer bottle with separable inner laye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
JP3595571B2 (ja) * | 1993-05-07 | 2004-12-02 |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 二重壁ボトルとその成形方法及び装置 |
DE69514455T2 (de) * | 1994-09-06 | 2000-08-10 | Toppan Printing Co. Ltd., Tokio/Tokyo | Verbundbehälter |
PT797627E (pt) | 1994-12-14 | 2003-08-29 |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 Embalagem transparente com policetona alifatica absorvente de oxigenio |
EP1092632B1 (en) * | 1995-03-10 | 2003-11-19 | Yoshino Kogyosho Co., Ltd. | Pre-separation method and device for a peelable laminated container |
US5804236A (en) | 1996-09-26 | 1998-09-08 | Frisk; Peter | Oxygen scavenging container |
JP3796595B2 (ja) * | 1996-12-20 | 2006-07-12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壜体の成形方法 |
JP3842005B2 (ja) * | 2000-03-30 | 2006-11-08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ボトル胴部の補強リブ |
JP3942803B2 (ja) * | 2000-05-17 | 2007-07-11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ボトルの減圧吸収パネル |
EP1449779B1 (en) * | 2001-10-31 | 2010-08-11 | Yoshino Kogyosho Co., Ltd. | Blow-moulded container |
JP4178531B2 (ja) * | 2002-09-30 | 2008-11-12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合成樹脂製壜容器の底部構造 |
CN1550326B (zh) * | 2003-05-06 | 2010-08-25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多层容器 |
US7308991B2 (en) * | 2003-11-17 | 2007-12-18 |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 Blown bottle with intrinsic liner |
JP4711285B2 (ja) * | 2004-03-26 | 2011-06-29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高いガスバリア性を有する合成樹脂製容器 |
WO2005100199A1 (en) * | 2004-04-16 | 2005-10-27 | Yoshino Kogyosho Co., Ltd. | Large bottle-shaped container having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
US7258244B2 (en) * | 2004-10-04 | 2007-08-21 | Graham Packaging Company L.P. | Hot-fill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
US7296702B2 (en) * | 2005-07-05 | 2007-11-20 | Yoshino Kogyosho Co., Ltd. | Synthetic resin bottle |
JP2007290772A (ja) | 2006-04-27 | 2007-11-08 | Hokkai Can Co Ltd | 合成樹脂製ボトル及び合成樹脂製ボトルの製造方法 |
JP5321459B2 (ja) * | 2007-08-14 | 2013-10-23 | 東洋製罐株式会社 | 蒸着膜を備えた生分解性樹脂容器及び蒸着膜の形成方法 |
EP2662297B1 (en) * | 2008-11-27 | 2015-09-23 | Yoshino Kogyosho Co., Ltd. | Synthetic resin bottle |
US8567624B2 (en) * | 2009-06-30 | 2013-10-29 | Ocean Spray Cranberries, Inc. | Lightweight, high strength bottle |
CN102470950B (zh) * | 2009-07-13 | 2014-03-12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塑料瓶 |
JP5408501B2 (ja) * | 2010-08-31 | 2014-02-05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合成樹脂製壜体 |
US8851311B2 (en) * | 2010-12-06 | 2014-10-07 | S.C. Johnson & Son, Inc. | Bottle with top loading resistance |
WO2012091095A1 (ja) * | 2010-12-28 | 2012-07-05 | 麒麟麦酒株式会社 | ガスバリア性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製造方法 |
WO2012118527A1 (en) * | 2011-03-01 | 2012-09-07 |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 Nested blow molded liner and overpack and methods of making same |
US8561822B2 (en) * | 2011-07-25 | 2013-10-22 | Devtec Labs, Inc. | Multi-gallon capacity blow molded container |
AU2013226970B2 (en) * | 2012-02-29 | 2017-02-02 | Yoshino Kogyosho Co., Ltd. | Bottle |
US20140166609A1 (en) * | 2012-12-19 | 2014-06-19 | Graham Packaging Company, L.P. | Reinforced plastic containers |
JP6044871B2 (ja) * | 2012-10-23 | 2016-12-14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ブロー成形プラスチックボトルおよびブロー成形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製造方法 |
JP6011929B2 (ja) * | 2012-10-31 | 2016-10-25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2軸延伸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JP6342112B2 (ja) * | 2012-12-03 | 2018-06-13 |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樹脂製容器 |
JP2014173106A (ja) * | 2013-03-07 | 2014-09-22 | Fujifilm Corp | 真空成膜装置用防着板、真空成膜装置、および、真空成膜方法 |
JP6345062B2 (ja) * | 2013-09-30 | 2018-06-20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積層剥離容器 |
WO2015122012A1 (ja) * | 2014-02-17 | 2015-08-20 | 株式会社テクノクラーツ | 弁部材及び該弁部材を備える注出容器 |
JP6382560B2 (ja) * | 2014-04-15 | 2018-08-29 | 株式会社細川洋行 | 容器 |
JP6234896B2 (ja) * | 2014-07-29 | 2017-11-22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積層剥離容器 |
JP2016055895A (ja) * | 2014-09-09 | 2016-04-21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6407649B2 (ja) * | 2014-09-30 | 2018-10-17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積層剥離容器 |
JP6352160B2 (ja) * | 2014-11-27 | 2018-07-04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積層剥離容器の液体ブロー成形方法 |
JP6494984B2 (ja) * | 2014-11-28 | 2019-04-03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二軸延伸ブロー成形用のプリフォーム及び容器 |
US10494132B2 (en) * | 2015-10-30 | 2019-12-03 | Kyoraku Co., Ltd. | Delamination container |
JP6594771B2 (ja) * | 2015-12-25 | 2019-10-23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二重容器 |
JP2017148963A (ja) * | 2016-02-22 | 2017-08-31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ブロー成形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製造方法、ブロー成形プラスチックボトル、ブロー成形プラスチックボトル用金型、および表面部材 |
JP6610338B2 (ja) * | 2016-03-02 | 2019-11-27 |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 共押出多層フィルムおよび深絞り容器 |
KR20180121785A (ko) | 2016-03-30 | 2018-11-08 |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 산소 흡수제 조성물, 산소 흡수성 다층체, 산소 흡수성 포장 용기, 및 물품의 보존 방법 |
JP6572191B2 (ja) * | 2016-10-06 | 2019-09-04 | 中央化学株式会社 | 包装用容器、並びに包装用容器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
ES2928186T3 (es) * | 2017-02-23 | 2022-11-16 | Dainippon Printing Co Ltd | Preforma de composite y el método para producirla, recipiente de composite y el método para producirlo, y producto de recipiente de composite cargado con cerveza |
JP2018134830A (ja) * | 2017-02-23 | 2018-08-30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インク容器及びインク補給容器 |
-
2018
- 2018-11-30 JP JP2018225993A patent/JP7072999B2/ja active Active
-
2019
- 2019-10-07 KR KR1020217015683A patent/KR10254538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10-07 WO PCT/JP2019/039533 patent/WO2020110468A1/ja unknown
- 2019-10-07 CN CN201980077385.2A patent/CN113165766B/zh active Active
- 2019-10-07 CA CA3120928A patent/CA3120928C/en active Active
- 2019-10-07 US US17/296,475 patent/US12091208B2/en active Active
- 2019-10-07 EP EP19889360.4A patent/EP388905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873207A2 (en) * | 1997-10-17 | 2008-01-02 | Advanced Plastics Technologies Luxembourg S.A. | Injected molded preform with barrier coated polyester and method for making a barrier coated polyester article |
WO2005102667A2 (en) * | 2004-04-16 | 2005-11-03 | Advanced Plastics Technologies Luxembourg S.A. | Preforms, bott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preforms and the bottles |
JP2012116516A (ja) | 2010-11-30 | 2012-06-21 | Yoshino Kogyosho Co Ltd | 積層剥離容器 |
KR20150070279A (ko) * | 2012-10-31 | 2015-06-24 |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 이중 용기 |
JP2018043790A (ja) * | 2016-09-16 | 2018-03-22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キャップ付き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889057A4 (en) | 2022-08-17 |
CA3120928A1 (en) | 2020-06-04 |
CA3120928C (en) | 2023-08-15 |
JP7072999B2 (ja) | 2022-05-23 |
CN113165766B (zh) | 2022-10-14 |
EP3889057A1 (en) | 2021-10-06 |
WO2020110468A1 (ja) | 2020-06-04 |
CN113165766A (zh) | 2021-07-23 |
JP2020083463A (ja) | 2020-06-04 |
EP3889057B1 (en) | 2024-03-06 |
US12091208B2 (en) | 2024-09-17 |
US20220024105A1 (en) | 2022-01-27 |
KR102545389B1 (ko) | 2023-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080514A (ko) | 합성 수지제 용기, 및 합성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 |
CN111511647B (zh) | 合成树脂制容器、预塑形坯、以及合成树脂制容器的制造方法 | |
JP6808339B2 (ja) | 積層剥離容器及びプリフォーム | |
WO2020158127A1 (ja) | 二重容器 | |
KR102350004B1 (ko) | 이너백 용기용 프리폼 및 이중 구조 용기 | |
CN111511648B (zh) | 合成树脂制容器 | |
JP7282463B2 (ja) | 二重容器、プリフォーム組立体、プリフォーム組立体の製造方法及び二重容器の製造方法 | |
JP7094620B2 (ja) | 合成樹脂製容器 | |
JP6914634B2 (ja) | スタック型二重構造容器成形用プリフォーム | |
US20220315268A1 (en) | Preform, synthetic resin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ynthetic resin container | |
JP2018090285A (ja) | ヒンジキャップ | |
JP7357473B2 (ja) | 扁平ボトル、および扁平ボトルの製造方法 | |
JP7123485B2 (ja) | 積層剥離容器、プリフォーム組立体、及び積層剥離容器の製造方法 | |
JP3233247U (ja) | 射出ブロー成形多層用プリフォーム | |
JP7399557B2 (ja) | 二重容器及び二重容器の製造方法 | |
JP7305275B2 (ja) | プリフォーム組立体、積層剥離容器、及び積層剥離容器の製造方法 | |
TWI777789B (zh) | 雙壁胚管、雙壁容器和氣控逆止掀蓋 | |
JP7527734B2 (ja) | プリフォーム組立体 | |
US20230331460A1 (en) | Delamination container | |
JP2023111805A (ja) | 合成樹脂製容器、プリフォーム、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及び容器本体 | |
JP6935139B2 (ja) | 合成樹脂製容器 | |
JP2021160265A (ja) | 二重容器の製造方法 | |
TW202313412A (zh) | 雙層胚、雙層瓶和氣控逆止蓋 | |
JP2023111718A (ja) | 積層剥離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