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966A - 단말의 표시 방법, 단말, 단말의 프로그램, 서버의 통신 방법, 서버, 서버의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단말의 표시 방법, 단말, 단말의 프로그램, 서버의 통신 방법, 서버, 서버의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966A
KR20210065966A KR1020217011318A KR20217011318A KR20210065966A KR 20210065966 A KR20210065966 A KR 20210065966A KR 1020217011318 A KR1020217011318 A KR 1020217011318A KR 20217011318 A KR20217011318 A KR 20217011318A KR 20210065966 A KR20210065966 A KR 20210065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erver
compan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우지 후지와라
마사키 쿠니쿄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5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06Q20/325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using mobile network messaging services for payment, e.g. 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6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messaging services or messaging ap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표시 방법으로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서버로 전송하는 것과,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거래하는 후보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평가 관련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를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의 표시 방법, 단말, 단말의 프로그램, 서버의 통신 방법, 서버, 서버의 프로그램
본 발명은 단말에서의 복수의 거래처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고객과 서비스를 공급하는 기업간에 교환을 통해 거래할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고객과 매장 사이에서 채팅을 이용하여 소통할 수 있는 정보 제공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1-344510호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표시 방법은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서버로 전송하는 것과,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거래하는 후보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평가 관련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를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거래하는 후보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평가 관련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와,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서버로 전송하는 것과,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거래하는 후보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평가 관련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를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컴퓨터로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의 통신 방법은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거래하는 후보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평가 관련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와, 이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거래하는 후보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평가 관련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의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거래하는 후보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평가 관련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컴퓨터로 실행시킨다.
[도 1]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사용자 정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데이터 개념도.
[도 3] 의뢰 정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데이터 개념도.
[도 4] 상세가 개시된 상태의 의뢰 정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데이터 개념도.
[도 5] 단말에 견적이 전송될 때까지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각 장치의 상호 작용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 도 5에서의 상호 작용을 실현하는 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 도 5에서의 상호 작용을 실현하는 서버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 도 5에서의 상호 작용을 실현하는 기업 서버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 (a)는 단말이 견적을 의뢰할 때의 예를 나타내는 단말의 화면도. (b)는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대화방의 예를 나타내는 단말의 화면도. (c)는 대화방의 일람을 나타낸 예를 나타내는 단말의 화면도.
[도 10] (a)는 기업 서버와의 대화방의 예를 나타내는 단말의 화면도. (b)는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대화방의 예를 나타내는 단말의 화면도. (c)는 일부 대화방이 삭제된 대화방의 일람을 나타내는 단말의 화면도.
[도 11] (a)는 리치 메뉴(rich menu)의 예를 나타내는 단말의 화면도. (b)는 교섭용 이미지를 이용한 기업 서버와의 거래의 예를 나타내는 단말의 화면도.
[도 12] (a)는 서버와의 사이의 대화방의 모습을 나타내는 화면예로서, 담당자의 평가예를 나타내는 화면도. (b)는 사용자에게 추천 기업을 나타내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화면도.
[도 13] 단말에 특전이 전송될 때까지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각 장치의 상호 작용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4] 도 13에서의 상호 작용을 실현하는 서버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5] 도 13에서의 상호 작용을 실현하는 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 (a), (b)는 단말로부터 청구액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예를 나타내는 단말 화면도.
[도 17] 서버가 단말에 견적을 전송할 때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8] 서버로부터 단말로 정리하여 견적이 전송되었을 때의 예를 나타내는 단말의 화면도.
[도 19] 추천 사용자가 나타내어진 의뢰 사항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 추천 사용자가 나타내어진 대화방의 예를 나타내는 화면도.
[도 21] 기업 정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데이터 개념도.
[도 22] 서버가 사용자와 기업을 매칭할 때의 상호 작용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3] 서버의 사용자와 기업을 매칭할 때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4] (a), (b)는 매칭할 때의 2개의 의뢰 사이의 관계의 예를 나타내기 위한 이미지도.
[도 25] (a), (b)는 서버로부터 기업 서버에 의뢰가 되었을 때에 특정 사용자를 추천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기업 서버에서의 화면도.
[도 26] (a)는 단말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b)는 서버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c)는 기업 서버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법적 사항 준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은 통신 비밀 등,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실시국의 법적 사항 준수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본 발명에 관한 단말에 의한 거래처의 평가를 표시하는 표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10)와 단말(20)(단말(20A), 단말(20B), 단말(20C))과 기업 서버(40)가 접속된다. 서버(1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단말(20)(기업 서버(40)를 포함하여도 좋음)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실현하는 서비스를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20)에 제공한다. 또한, 네트워크(30)에 접속되는 단말(20)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네트워크(30)는 하나 이상의 단말(20)과 하나 이상의 서버(10)를 접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네트워크(30)는, 단말(20)이 서버(10)에 접속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30) 중 하나 이상의 부분은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네트워크라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네트워크(30)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애드혹 네트워크(ad hoc network),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가상 사설 네트워크(Virtual Private Network: VPN),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무선 LAN(Wireless LAN: W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무선 WAN(Wireless WAN: WWAN), 대도시 권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인터넷의 일부,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의 일부, 휴대 전화망,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무선 LAN, LTE(Long Term Evolu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등록상표)), 위성 통신 등 또는 이들 중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단말(20A), 단말(20B), 단말(20C))은 각 실시 형태에서 기재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정보 처리 단말이라면 어떤 단말이라도 좋다. 단말(20)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스마트폰, 휴대전화(피처폰), 컴퓨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터 플랫폼(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케이블, 위성 셋톱 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휴대용 컴퓨터 장치(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메일 클라이언트 등), 웨어러블 단말(안경형 장치, 시계형 장치 등),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터,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20)은 정보 처리 단말이라고 표현되어도 좋다.
단말(20A), 단말(20B) 및 단말(20C)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2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사용자 X가 사용하는 단말을 단말(20X)이라고 표현하고, 사용자 X 또는 단말(20X)에 대응 지어진 소정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X라고 표현한다. 또한, 사용자 정보란, 소정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계정에 대응 지어진 사용자 정보이다. 사용자 정보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소정 서비스에 의해 부여되는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아이콘 이미지,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주소, 사용자의 취미 기호, 사용자의 식별자 등의 사용자에게 대응 지어진 정보를 포함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나 조합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서버(10)는 단말(20)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서버(10)는 각 실시 형태에서 기재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라면 어떤 장치라도 좋다. 서버(10)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 장치, 컴퓨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터 플랫폼(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케이블, 위성 셋톱 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휴대용 컴퓨터 장치(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PDA,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 등) 또는 다른 유형의 컴퓨터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포함한다. 또한, 서버(10)는 정보 처리 장치라고 표현되어도 좋다. 서버(10)와 단말(20)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서버(10)와 단말(20)은 각각 정보 처리 장치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하드웨어(HW) 구성>
도 1을 이용하여, 통신 시스템(1)에 포함되는 각 장치의 HW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1) 단말의 HW 구성
단말(20)은 제어부(21)(CPU: Central Processing Unit(중앙 처리 장치)), 저장부(28), 통신 I/F(22)(인터페이스), 입출력부(23), 표시부(24), 마이크(233), 스피커(232), 카메라(234)를 구비한다. 단말(20)의 HW의 각 구성 요소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버스 B를 통해 상호 접속된다. 또한, 단말(20)의 HW 구성으로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은 마이크(233), 카메라(234) 등의 개개의 구성 요소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통신 I/F(22)는 네트워크(30)를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당해 통신은 유선,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실행되어도 좋고, 상호간에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해도 좋다. 통신 I/F(22)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10)와의 통신을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통신 I/F(22)는 제어부(2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서버(1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 I/F(22)는 서버(10)로부터 전송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1)로 전달한다. 또한, 통신 I/F(22)를 단순히 통신부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통신 I/F(22)가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통신 회로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통신 I/F(22)는 네트워크(30)를 통해 기업 서버(40)와의 통신을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여도 좋고,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입출력부(23)는 단말(20)에 대한 각종 조작을 입력하는 장치 및 단말(20)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입출력부(23)는 입력부와 출력부가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고, 입력부와 출력부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여, 당해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21)로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입력부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231), 터치 디스플레이, 키보드 등의 하드웨어 키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 장치나, 카메라(234)(동영상을 통한 조작 입력)나, 마이크(233)(음성에 의한 조작 입력)를 포함한다.
출력부는 제어부(21)에서 처리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출력부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 터치 디스플레이, 스피커(232)(음성 출력), 렌즈(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3D(three dimensions) 출력이나 홀로그램 출력), 프린터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24)는 프레임 버퍼에 기록된 표시 데이터에 따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표시부(24)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 터치 디스플레이, 모니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나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DM: Head Mounted Display), 프로젝션 맵핑, 홀로그램, 공중(空中) 등(진공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음)에 이미지나 텍스트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표시부(24)는 3D로 표시 데이터를 표시 가능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입출력부(23)가 터치 패널인 경우, 입출력부(23)와 표시부(24)는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어부(21)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에 의해 실현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구비하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이 때문에, 제어부(21)는 제어 회로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21)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한다.
저장부(28)는 단말(20)이 동작하는 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저장부(28)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 각종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28)는 메모리(memory)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단말(20)은 프로그램 P를 저장부(28)에 저장하고, 이 프로그램 P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21)가 제어부(21)에 포함되는 각 부분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저장부(28)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P는 제어부(21)가 실행하는 각 기능을 단말(20)로 실현시킨다. 또한, 이 프로그램 P는 프로그램 모듈이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마이크(233)는 음성 데이터의 입력에 이용된다. 스피커(232)는 음성 데이터의 출력에 이용된다. 카메라(234)는 동영상 데이터의 취득에 이용된다.
(2) 서버의 HW 구성
서버(10)는 제어부(11)(CPU), 저장부(15), 통신 I/F(14)(인터페이스), 입출력부(12), 표시부(13)를 구비한다. 서버(10)의 HW의 각 구성 요소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버스 B를 통해 상호 접속된다. 또한, 서버(10)의 HW는, 서버(10)의 HW 구성으로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의 HW는 표시부(13)를 제외하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11)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에 의해 실현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구비하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11)는 대표적으로는 중앙 처리 장치(CPU)이며, 그 외에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세서 코어, 멀티프로세서, ASIC, FPGA라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1)는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15)는 서버(10)를 작동하는 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저장부(15)는 HDD, SSD, 플래시 메모리 등의 각종 저장 매체에 의해 실현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저장부(15)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장부(15)는 메모리(memory)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통신 I/F(14)는 네트워크(30)를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당해 통신은 유선,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실행되어도 좋고, 상호간에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해도 좋다. 통신 I/F(14)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단말(20)이나 기업 서버(40)와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통신 I/F(14)는 제어부(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단말(20) 또는 기업 서버(4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 I/F(14)는 단말(20) 또는 기업 서버(40)로부터 전송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통신 I/F(14)를 단지 통신부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통신 I/F(14)가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통신 회로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입출력부(12)는 서버(10)에 대한 각종 조작을 입력하는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여, 당해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1)로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부(12)는 대표적으로 키보드 등으로 대표되는 하드웨어 키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 장치로 실현된다. 또한, 입출력부(12)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이나 카메라(동영상을 통한 조작 입력), 마이크(음성에 의한 조작 입력)를 포함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입출력부(12)는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13)는 대표적으로는 모니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나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로 실현된다. 또한, 표시부(13)는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러한 표시부(13)는 3D로 표시 데이터를 표시 가능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다만, 본 발명에서, 표시부(13)는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는 프로그램 P를 저장부(15)에 저장하고, 이 프로그램 P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11)가 제어부(11)에 포함되는 각 부분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저장부(15)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P는 제어부(11)가 실행하는 각 기능을 서버(10)로 실현시킨다. 이 프로그램 P는 프로그램 모듈이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기업 서버(40)는 제어부(41)(CPU), 저장부(45), 통신 I/F(44)(인터페이스), 입출력부(42), 표시부(43)를 구비한다. 기업 서버(40)의 HW의 각 구성 요소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버스 B를 통해 상호 접속된다. 또한, 기업 서버(40)의 HW는, 기업 서버(40)의 HW 구성으로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기업 서버(40)의 HW는 표시부(43)를 제외하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41)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에 의해 실현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구비하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41)는 대표적으로는 중앙 처리 장치(CPU)이며, 그 외에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세서 코어, 멀티프로세서, ASIC, FPGA라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41)는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45)는 기업 서버(40)를 작동하는 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저장부(45)는 HDD, SSD, 플래시 메모리 등의 각종 저장 매체에 의해 실현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저장부(45)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장부(45)는 메모리(memory)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통신 I/F(44)는 네트워크(30)를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당해 통신은 유선,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실행되어도 좋고, 상호간에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해도 좋다. 통신 I/F(44)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10)와의 통신을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통신 I/F(44)는 제어부(4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서버(1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 I/F(44)는 서버(10)로부터 전송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41)로 전달한다. 또한, 통신 I/F(44)를 단지 통신부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통신 I/F(44)가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통신 회로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통신 I/F(44)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20)와 통신을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여도 좋고,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입출력부(42)는 기업 서버(40)에 대한 각종 조작을 입력하는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부(42)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여, 당해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41)로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부(42)는 대표적으로 키보드 등으로 대표되는 하드웨어 키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 장치로 실현된다. 또한, 입출력부(42)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이나 카메라(동영상을 통한 조작 입력), 마이크(음성에 의한 조작 입력)를 포함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입출력부(42)는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43)는 대표적으로는 모니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액정 표시부나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로 실현된다. 또한, 표시부(43)는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러한 표시부(43)는 3D로 표시 데이터를 표시 가능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다만, 본 발명에서, 표시부(43)는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20), 서버(10) 또는 기업 서버(40)의 CPU가 프로그램 P를 실행함으로써 실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단말(20)의 제어부(21), 서버(10)의 제어부(11) 또는 기업 서버(40)의 제어부(41)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CPU뿐만 아니라, 집적 회로(IC(Integrated Circuit) 칩,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으로 형성된 논리 회로(하드웨어)나 전용 회로에 의해 각각의 처리를 실현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들 회로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복수의 처리를 하나의 집적 회로로 실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VLSI, 슈퍼 LSI, 울트라 LSI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21)는 제어 회로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프로그램 P(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제공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저장 매체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매체」로 프로그램 P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P는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더욱이,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기능을 저장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P와 조합하여 실현할 수 있는 것, 소위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 기반 또는 다른 집적 회로(IC)(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FPGA 또는 ASIC 등), HDD(Hard Disk Drive), HHD(Hybrid Hard Drive), 광 디스크, ODD(Optical Disk Drive), 광 자기 디스크, 광 자기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켓, FDD(Floppy Disk Drive), 자기 테이프, SSD(Solid State Drive), RAM 드라이브, 보안 디지털 카드나 드라이브,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2개 이상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적절한 경우,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한, 저장 매체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프로그램 P를 저장할 수 있으면 어떤 장치나 매체라도 좋다. 또한, 저장 매체를 메모리(memory)라고 표현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서버(10), 단말(20) 또는 기업 서버(40)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P를 판독하고, 판독한 프로그램 P를 실행함으로써,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부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 PDD는, 당해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전송 매체(통신 네트워크나 방송파 등)를 통해, 서버(10), 단말(20) 또는 기업 서버(40)에 제공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서버(10), 단말(20) 또는 기업 서버(40)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인터넷 등을 통해 다운로드한 프로그램 P를 실행함으로써,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는 프로그램 P가 전자적인 전송에 의해 구현된, 반송파에 포함된 데이터 신호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서버(10), 단말(20) 또는 기업 서버(40)에서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구성되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단말(20)에서의 처리의 적어도 일부를 서버(10)에 의해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단말(20)의 제어부(21)의 각 기능부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의 처리를 서버(10)로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서버(10)에서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를 단말(20)에 의해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서버(10)의 제어부(11)의 각 기능부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의 처리를 단말(20)로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판정의 구성은 필수가 아니라, 판정 조건을 충족한 경우에 소정 처리가 실행되거나, 판정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소정 처리가 실행되거나 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ActionScript, JavaScript(등록 상표) 등의 스크립트 언어, Objective-C, Java(등록 상표) 등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HTML5 등의 마크 업 언어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기능 구성>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에서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서버(10)에 대하여 견적 의뢰를 전송하고, 서버(10)를 통해 각 기업 서버(40)로부터 견적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에 대하여 견적을 내는 기업 서버(40) 각각의 평가 정보를 전송한다. 단말(20)이 기업 서버(40) 각각의 평가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기업 서버(40) 각각의 객관적인 평가를 인식할 수 있어, 실제보다 값싸게 견적을 내는 것과 같은 기업을 선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이후에는, 단말(20)과 기업 서버(40)는 서버(10)가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1) 단말의 기능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20)은, 제어부(2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으로서, 메시지 처리부(211)와 표시 처리부(212)를 구비한다.
메시지 처리부(211)는 서버(10)가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또는 통신 I/F(12)가 수신한 메시지를 입력받아, 표시 처리부(212)에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그 접수한 입력 내용을 통신 I/F(22)를 거쳐 서버(10)로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표시 처리부(212)는 메시지 처리부(2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대화방의 내용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표시부(24)에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표시 처리부(212)는, 사용자가 행한 견적 의뢰에 따라, 서버(10)로부터 전송된 견적 의뢰를 행하는 기업 서버(40)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와 그 기업 서버(40)의 평가를 나타내는 평가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이때, 기업 서버(40)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는 그 평가 정보에 근거하는 표시를 행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평가 정보에 근거하는 표시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기업 서버(40)의 평가 정보에서 나타내는 평가를 높은 순서나 낮은 순서로 표시하거나, 기업 서버(40)의 평가를 단적으로 나타내는 평가값(수치, 레벨, 그래프 등)으로 표시하거나 평가가 높은 기업 서버(40)를 평가가 낮은 기업 서버(40)와 구별하는 표시여도 좋다. 이 표시 방법은 표시 처리부(212)가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설정에 의해 결정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는, 서버(10)가 지정하는 것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표시 처리부(212)는, 단말(20)이 행하는 견적 의뢰에 따라, 서버(10)나 기업 서버(40)의 교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2) 서버의 기능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10)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으로서, 결정부(111)와 메시지 처리부(112)를 구비한다. 또한, 저장부(15)는 사용자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200)와 기업(기업 서버(40))의 정보를 나타내는 기업 정보(2100)를 저장하고 있다.
메시지 처리부(112)는 각 사용자 간의 교환을 행하기 위한 대화방을 관리하는 기능과,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이루어진 대화방으로 전송된 메시지(견적 의뢰)를 분석하여 결정부(111)가 결정한 기업 서버(40)로 견적 의뢰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대화방이란, 서버(10)가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이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기업 서버(40)를 포함함)간의 메시지 교환을 행하는 장소이며, 대화방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가 전송한 메시지를 대화방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대화방은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기업 서버(40)를 포함함) 또는 서버(10)가 개설할 수 있으며, 대화방이 개설되면, 그 대화방에 대응지어져 있는 사용자는 그 대화방에 대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대화방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사용자는 대화방을 개설한 사용자 또는 대화방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대화방으로부터 사용자는 자신의 임의로 빠질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필요에 따라 대화방을 폐쇄할 수도 있다. 메시지 처리부(112)는, 사용자로부터 견적 의뢰가 있었을 경우에, 그 견적 의뢰에 따라, 결정부(111)에서 견적 의뢰를 전송하는 기업 서버(40)를 결정하도록 지시한다. 그리고, 결정부(111)가 결정한 복수의 기업 서버(40)에 대하여 견적 의뢰(의뢰 정보)가 있다는 취지를 전송한다. 의뢰 정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메시지 처리부(112)는 결정부(111)가 결정한 복수의 기업 서버(40)로부터 견적을 제시받았다는 취지를 각 기업 서버(40)에 대한 평가 정보와 함께 단말(20)로 전송한다. 여기서, 평가 정보는 사전에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어도 좋고, 저장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네트워크(30)나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평가 정보는 각 기업 서버(40)의 평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 평가는 객관적인 수치나 레벨 표기(수치, 기호 중 어떤 표현이어도 좋음), 문서 등으로 표현되어도 좋다. 기업 서버(40)의 평가 정보는 그 기업 서버(40)에 접수된 많은 이용자인 사용자의 평가를 집계한 것을 사용하면 좋다. 평가 정보는 적절하게 그 평가 내용이 갱신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평가 정보는 과거 기업 서버(40)의 실적에 근거하는 것이어도 좋고, 과거의 모든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소정 기간 내(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현재부터 과거 2년 이내)의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112)는 사용자에 대하여 서비스를 의뢰하는 기업이 결정된 경우에, 그 기업이 청구한 청구액의 정보의 제공 시에, 특전을 전송한다는 취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기능도 있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112)는, 단말(20) 또는 기업 서버(40)에 대하여, 결정부(111)가 사용자 정보(200)와 기업 정보(2100)를 사용하여 상성이 맞는다는 이유로 견적 의뢰를 전송하는 기업 서버(40)를 결정한 경우, 각각, 또는 어느 한쪽에 대하여 추천한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화방으로 전송한다.
결정부(111)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견적 의뢰, 즉,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견적 의뢰를 전송할 대상이 되는 기업 서버(40)를 결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결정부(111)는 사용자로부터의 견적 의뢰의 내용과 기업 서버(40)를 매칭시킨다. 결정부(111)는 적어도 2개의 기업 서버(40)를 견적 의뢰의 대상으로 되는 기업으로 결정한다. 이 때, 결정부(111)는 사용자로부터의 견적 의뢰의 내용과 그 의뢰 내용을 전문으로 하거나, 또는 사용자와의 상성이 좋을 것으로 추정되는 기업 서버(40)를 결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결정부(111)는, 상성이 좋을 것으로 추정되는 기업 서버(40)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정보(200)와 기업 정보(2100)를 참조하여 결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결정부(111)는 소정 수의 기업 서버(40)를 임의로 결정하여도 좋다. 사용자와 기업 사이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기업 서버(40)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3) 기업 서버의 기능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업 서버(40)는, 제어부(4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으로서, 메시지 처리부(411)와 표시 처리부(412)를 구비한다.
메시지 처리부(411)는 통신 I/F(44)를 통해 서버(10) 또는 단말(2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메시지 처리부(411)는 서버(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로부터의 견적 내용을 나타내는 의뢰 정보가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 처리부(412)에 표시하게 한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411)는 기업 서버(40)의 운영자로부터 입력된, 의뢰 정보로 표시되는 견적 의뢰에 대한 견적 금액 관련 정보를 통신 I/F(44)로부터 서버(10)로 전송하게 한다.
표시 처리부(412)는 서버(10) 또는 단말(20)과의 사이에서 교환하기 위한 대화방의 내용을 표시부(43)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데이터>
도 2는 서버(10)의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데이터 개념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200)는 서버(1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각 사용자 관련 정보이다. 사용자 정보(200)는, 각 사용자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식별 정보(201)와 이름(202)과 전화번호(203)와 메일 어드레스(204)와 우편번호(205)와 일부 주소(206)와 번지(207)가 대응 지어진 정보이다. 또한, 사용자 정보(200)는, 도 2에 나타내는 각 정보에 대하여, 포함하여도 좋고,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사용자 정보(200)로 표시되는 각 정보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20)에 입력하고, 단말(20)의 제어부(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통신 I/F(22)가 서버(10)로 전송한 것이며, 제어부(11)는 사용자 정보(200)로서 저장부(15)에 저장한다. 사용자 정보(200)에는, 사용자 개인을 고유하게 특정할 수 없지만, 사용자 관련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닌 제1 정보의 일례)와 사용자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2 정보의 일례)가 포함된다. 도 2의 예에서, 사용자 개인을 특정할 수 없는 사용자 개인 관련 정보는 식별 정보(201), 우편번호(205), 일부 주소(206)가 해당된다. 또한, 도 2의 예에서, 이름(202), 전화번호(203), 메일 어드레스(204), 번지(207)는 사용자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에 해당한다.
식별 정보(201)는 통신 시스템(1)에서 서버(10)가 각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식별 정보(201)는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떤 형태라도 좋고, 알파벳이나 기호, 숫자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한 조합이더라도 좋다.
이름(202)은 대응하는 식별 정보(201)로 표시되는 사용자의 이름이며, 서버(1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자가 이용할 때에 스스로 등록한 이름이다.
전화번호(203)는 대응하는 식별 정보(201)로 표시되는 사용자와 음성 통화가 가능한 기기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전화번호(203)는 한 명의 사용자에 대하여 복수 개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메일 어드레스(204)는 대응하는 식별 정보(201)로 표시되는 사용자와 전자 메일에 의한 연락이 가능한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메일 어드레스(204)는 한 명의 사용자에 대하여 복수 개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우편번호(205)는 대응하는 식별 정보(201)로 표시되는 사용자 주소에 대하여 할당된 우편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일부 주소(206)는 대응하는 식별 정보(201)로 표시되는 사용자 거주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그 대략적인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번지(207)는 대응하는 식별 정보(201)로 표시되는 사용자 거주 장소의 번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일반적으로는, 일부 주소(206)와 번지(207)를 조합하여 주소로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보관하는 것에 의해, 서버(10)는 기업 서버(40)에 대하여 사용자가 허락한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서버(10)로부터 기업 서버(40)에 제공되는 의뢰를 나타내는 의뢰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데이터 개념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의뢰 정보(300)는 사용자로부터 기업 서버(40)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제공을 의뢰하기 위한 정보로서,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뢰 정보(300)는 의뢰일(301)과 이름(302)과 전화번호(303)와 우편번호(304)와 일부 주소(305)와, 상세 주소(306)와 기타(307)가 대응 지어진 정보이다. 또한, 의뢰 정보(30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있으면 좋고, 도 3에 나타내는 정보의 모두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고, 사용자 관련 정보라면, 도 3 이외의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좋다. 의뢰 정보(300)는 기업 서버(40)의 저장부(45)에 저장된다.
의뢰일(301)은 사용자가 의뢰를 행한 날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름(302)은 사용자의 이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전화번호(303)는 대응하는 사용자와 음성 통화가 가능한 기기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전화번호(303)는 한 명의 사용자에 대하여 복수 개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우편번호(304)는 대응하는 사용자의 주소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우편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일부 주소(305)는 대응하는 사용자의 거주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그 대략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 대략의 위치 정보가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정확한 거처를 특정할 수 없지만, 이사할 때의 대략적인 견적을 낼 수는 있다.
상세 주소(306)는 대응하는 사용자의 거주 위치의 번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일반적으로는, 일부 주소(305)와 상세 주소(306)를 조합하여 주소로 된다.
기타(307)에는, 대응하는 사용자와의 대화를 행하기 위한 대화 버튼이나, 대응하는 사용자로부터 허가를 받은 경우에, 사용자에 관한 상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상세 버튼(327)이 배치되어 있다. 채팅 버튼을 클릭한 경우에는, 서버(10)가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의 화면으로서, 기업 서버(40)와 대응하는 사용자 간의 대화방이 기동되어, 채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세 버튼(327)을 클릭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허락을 받고 있다는 조건하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관한 상세한 정보가 얻어진다.
도 3에 나타내는 의뢰 정보(300)는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초기 단계의 정보이며, 사용자를 특정할 수 없을 정도로 공개되어 있는 정보이다. 따라서,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는 초기 단계에서는 공란으로 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의 허락을 얻어 기업 서버(40)의 운영자가 상세 버튼(327)을 클릭하면, 그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세한 사용자 정보를 서버(10)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상세 버튼(327)이 클릭된 상태의 의뢰 정보(3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 도 4로의 변화를 보면 알 수 있듯이, 「B후지B코」의 이름과, 그 전화번호(303)나 상세 주소(306)가 기업 서버(40)에 명확하게 밝혀져 있다.
<동작>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1)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순서도는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을 의뢰하고 나서, 기업 서버(40)가 견적을 사용자에게 보낼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20)로부터, 예를 들어, 서버(10)가 제공하는 각 기업 서버(4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뢰하는 웹 폼에 액세스하여 견적 의뢰를 서버(10)로 전송한다(단계 S501). 여기서는, 이사를 위해 의뢰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사 예정지나 이사 인원수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단말(20)로부터 서버(10)로 전송한다.
견적 의뢰를 수신한 서버(10)는, 그 견적 의뢰를 전송한 단말(20)로, 각 기업 서버로부터 견적이 전송된 취지를 전송한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서버(10)는, 서버(10)와 단말(20) 사이의 전용 대화방을 통해, 각 기업 서버로부터의 견적이 나중에 송신된다는 취지 및 이들 기업의 평가를 나타내는 평가 정보를 단말(20)로 통지한다(단계 S502). 한편으로, 서버(10)는 복수의 기업 서버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의 견적 의뢰를 전송한다(단계 S503).
견적 의뢰를 수신한 각 기업 서버(40)는 견적 의뢰에 포함되는 조건만으로 대략적인 견적 금액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견적 금액을 단말(20)과의 사이에 개설된 대화방에 기입하여, 견적 금액을 나타내는 정보를, 서버(10)를 통해, 단말(20)로 전송한다(단계 S504).
단말(20)은 전송된 간이 견적 금액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그 내용을 확인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그 견적을 제시한 기업 서버에 대하여, 상세 견적을 요구하기 위해 정보의 공개를 승인하는 입력을 행한다. 단말(20)은 정보 공개를 승인한 취지를 서버(10)로 통지한다(단계 S505).
서버(10)는 단말(20)이 정보의 공개를 승인하지 않은 기업과의 대화를 삭제한다(단계 S506). 한편으로, 사용자가 공개를 허락한 기업 서버(40)로부터의 정보 공개 요구에 따라, 사용자의 상세한 개인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507).
사용자의 상세 정보를 확인한 기업 서버(40)의 운영자는 상세 견적을 단말(20)에 제시한다(단계 S508).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스스로 신용할 수 있다고 느낀 기업 서버에 대하여 상세 정보를 공개하여, 견적을 받을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교환을 실현하기 위해, 단말(20)에서 견적을 얻기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기업 서버(40)로부터의 서비스를 단말(20)로부터 제공받기 위해, 이사의 견적 의뢰를 서버(10)로 전송한다(단계 S601). 즉, 단말(20)은 입출력부(2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접수한 견적 의뢰의 입력을 수취한다. 그리고, 이 입력에 따라 통신 I/F(22)는 견적 의뢰를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10)로 전송한다.
통신 I/F(22)는 서버(10)로부터 견적 의뢰를 받아 견적을 전송할 예정인 기업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 I/F(22)는 접수된 기업 정보를 제어부(21)로 전송한다. 제어부(21)의 표시 처리부(212)는 전송된 기업 정보를 표시부(24)에 표시한다(단계 S602).
제어부(21)는 통신 I/F(22)가 견적 금액의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03). 제어부(21)는 견적 금액의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단계 S603의 아니오) 대기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 수신하는 견적 금액은 대략적인 견적 금액으로 된다.
견적 금액의 정보를 수신하면(단계 S603의 예), 제어부(21)의 표시 처리부(212)는 수신된 견적 금액 정보를, 전송한 기업 서버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표시한다(단계 S604). 또한, 단계 S602에서의 견적을 전송할 예정인 기업 정보의 수신 및 단계 S603에서의 견적 금액 정보의 수신은 동시라도 좋고, 동시가 아니어도 좋다.
그 대략적인 견적 금액을 보고, 상세 견적이 필요하다고 사용자가 느낄 경우에는, 상세 견적을 요구하기 위해, 사용자 자신의 상세 정보를 기업 서버(40)에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는 입력을 행한다. 단말(20)의 입출력부(23)는 사용자로부터 상세 정보의 공개를 허가하는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05).
사용자로부터의 상세 정보 공개를 허가하는 입력이 있었을 경우(단계 S605의 예), 제어부(21)는 통신 I/F(22)를 통해 서버(10)에 상세 정보의 공개를 허가하는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606). 이 정보에는 어떤 기업 서버(40)에 대한 공개 허가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이 기업 서버(40)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로서, 사용자가 대화를 하고 있던 대화방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21)는 통신 I/F(22)가 대화방 삭제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07). 여기서 말하는 대화방 삭제 정보는 서버(10)로부터 전송된 것이며, 사용자가 상세 정보의 공개 허가를 내주지 않은 기업 서버(40)와의 사이의 대화방을 삭제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대화방 삭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단계 S607의 아니오), 단계 S609의 처리로 이행한다. 대화방 삭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단계 S607의 예), 메시지 처리부(211)는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메시징 서비스의 대화방 그룹 중에서 대화방 삭제 정보로 표시되는 기업 서버(40)와의 대화방을 제거한다(단계 S608).
한편으로, 제어부(21)는 통신 I/F(22)가 상세 견적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09). 상세 견적 정보를 수신한 경우(단계 S609의 예), 통신 I/F(22)는 수신한 견적 정보를 제어부(21)로 전송한다. 제어부(21)의 표시 처리부(212)는 수신한 상세 견적 정보를 대화방에 표시한다(단계 S610).
제어부(21)는, 단계 S605에서, 상세 정보의 공개를 승인한 모든 대상 기업 서버(40)에서 상세 견적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11). 모든 대상 기업 서버(40)에서 상세 견적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단계 S611의 아니오), 단계 S607의 처리로 돌아가고, 수신한 경우(단계 S611의 예),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내는 교환을 실현하기 위한 서버(10)의 처리를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사용자가 견적 의뢰를 실행했을 때의 서버(10)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10)의 통신 I/F(14)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단말(20)로부터 견적 의뢰를 수신한다(단계 S701). 통신 I/F(14)는 수신한 견적 의뢰를 제어부(11)로 전송한다. 제어부(11)는 견적 의뢰를 수신하면, 소정의 기준에 따라, 견적 의뢰의 송신처로서 소정 개수의 기업 서버(40)를 선정한다(단계 S702).
제어부(11)는 서버(10)와 사용자 단말(20) 사이에 대화방을 개설하고, 개설한 대화방에서 사용자에게 선정된 복수의 기업으로부터 견적이 송부된다는 취지 및 그 기업의 평가 정보를 통지한다(단계 S703).
제어부(11)는, 선정된 기업 서버(40)의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의 견적 의뢰가 있었다는 취지를 통지하기 위해, 통신 I/F(14)에 의해 네트워크(30)를 거쳐 기업 서버(40)로 사용자의 견적 의뢰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통신 I/F(14)는, 이 지시에 따라, 지정된 기업 서버(40)의 각각으로 사용자로부터의 견적 의뢰를 전송한다(단계 S704). 이때, 서버(10)는 한 명의 사용자만의 견적 의뢰를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복수의 사용자의 견적 의뢰를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선정된 각 기업 서버(40)와 사용자 사이의 대화방을 개설한다(단계 S705). 서버(10)로부터의 견적 의뢰를 접수하는 각 기업 서버(40)는 사용자와의 사이에서 대화방을 통해 교환을 개시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1)는, 사용자 단말(20)과 기업 서버(40)의 양측에서, 단말(20)의 사용자의 상세 정보에 대한 공개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706). 이것은 사용자 단말(20) 및 기업 서버(40)의 각각으로부터 상세 정보의 공개 요구를 나타내는 통신이 있었는지 여부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과 기업 서버(40)의 각각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상세 정보의 공개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는(단계 S706의 예), 서버(10)의 제어부(11)는 저장부(15)에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세 정보를 기업 서버(40)로 전송한다(단계 S707). 또한, 여기서는, 사용자 단말(20)과 기업 서버(40)의 각각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상세 정보의 공개 요구가 있었을 경우로 하고 있지만(단계 S706), 이것은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공개 요구뿐이어도 좋고,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공개 요구만이 아니라도 좋다. 또한, 기업 서버(40)로부터의 공개 요구뿐이라도 좋지만, 이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허가가 있다는 증거를 부여한 사용자의 상세 정보의 공개 요구를 이용하면 좋다.
한편으로, 사용자 단말(20)과 기업 서버(40)의 각각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상세 정보의 공개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단계 S706의 아니오), 서버(10)의 제어부(11)는 해당하는 기업 서버(40)와 사용자 사이의 대화방을 삭제한다(단계 S708). 또한, 여기서, 사용자 단말(20)과 기업 서버(40)의 각각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상세 정보의 공개 요구가 없다고 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공개 요구의 통지가 없었을 경우,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특정 기업 서버(40)에 대하여 공개 요구를 하지 않는다는 통지가 있었을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공개 요구의 통지가 없다고 하는 것은, 다른 기업에 대해서는 공개 요구가 있고, 또한 기업 서버(40)와의 사이의 대화방을 개설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것에 의해서도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교환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 서버(40)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업 서버(40)의 통신 I/F(44)는 서버(10)로부터 사용자의 견적 의뢰를 수신한다(단계 S801). 이 견적 의뢰에는, 사용자의 대략적인 현재 거주지, 이사 예정지, 이사 인원수 등의 간략한 견적을 내기에 충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통신 I/F(44)는 수신한 견적 의뢰를 제어부(41)로 전송한다. 제어부(41)의 표시 처리부(412)는 견적 의뢰를 표시부(43)에 표시한다. 이것을 보고, 기업 서버(40)의 운영자는 대략적인 견적 금액을 결정한다. 여기서 말하는 대략적인 견적 금액이란, 기업 서버(40)가 주어진 정보 범위 내에서 견적을 내는 범위의 금액을 말하고,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주어진 범위 내의 정보로부터 과거에 행한 서비스와 유사한 안건을 추출하고, 그 안건에서 행한 견적 또는 청구의 액면을 사용한 견적 금액을 말한다. 또한, 여기서 추출하는 과거의 안건은 복수인 것이 좋고, 그 경우에는 대략적인 견적 금액으로, (i) 유사도가 높은 안건의 견적 또는 청구의 액면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ii) 복수 안건의 견적 금액 또는 청구액의 평균값이나, (iii) 복수 안건 중 유사도가 높은 소정 비율 또는 소정 건수의 견적 금액 또는 청구액의 평균값을 이용하여도 좋다.
제어부(41)는, 설정된 대략적인 견적 금액을, 견적 금액을 결정하는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하도록 통신 I/F(44)에 지시한다. 통신 I/F(44)는 지정된 사용자 단말(20)로 견적 금액의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802). 기업 서버(40)는 사용자와의 대화에서 사용자로부터 상세 정보의 공개를 승인받은 경우에(단계 S803의 예), 제어부(41)는, 기업 서버(40)의 운영자가 입출력부(42)에 입력하는 것에 따라(단계 S804의 예), 대응하는 사용자의 상세 정보의 공개 요구를 통신 I/F(41)로 전송한다. 통신 I/F(41)은 상세 정보의 공개 요구를 서버(10)로 전송한다(단계 S805).
상세 정보의 공개 요구에 따라, 통신 I/F(44)는 대응하는 사용자의 상세 정보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한다. 통신 I/F(44)는 수신한 상세 정보를 제어부(41)로 전송한다. 제어부(41)의 표시 처리부(412)는 수신한 상세 정보를 표시부(43)에 표시하게 한다(단계 S806).
표시된 상세 정보를 보고, 기업 서버(40)의 운영자는 상세한 견적 금액을 결정한다(단계 S807). 또한, 이 결정은 기업 서버(40)가 행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현재 거주지와 이사 예정지, 이사 인원수에 기초하여 이사 비용을 산출하는 프로그램을 사전에 저장하여 두고,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견적 금액을 산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제어부(41)는 결정된 상세 견적 금액의 정보를 통신 I/F(44)로 전송한다. 통신 I/F(41)는 상세 견적 금액의 정보를, 네트워크(3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하여(단계 S808),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803에서, 사용자로부터 상세 정보의 공개를 승인받지 못한 경우에는(단계 S803의 아니오),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 8의 흐름도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상세 정보를 공개받은 후에, 실제로 견적을 책정하기 위해, 기업 서버(40)의 운영자가 사용자를 직접 방문한 후에 견적을 내도 좋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이 기업 서버(40)의 상세한 견적을 발행할 때까지의 처리로 된다.
<구체예>
이상에 설명한 내용을, 하나의 구체예를 통해, 더욱 알기 쉽게 설명한다. 먼저, 도 9(a)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20)을 이용하여 견적을 의뢰할 때 표시부(24)에 표시되는 입력용 UI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에서는, 이사에 관한 최소한의 필요 사항으로서, 이사 예정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란(901)과 이사 인원수를 입력하는 입력란(902)을 포함하는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입력란(901)은 상세 주소에 대해 입력할 필요는 없고, 지역 정보까지 남겨도 좋고, 남기지 않아도 좋다. 도 9(a)에 필요 사항을 입력하여 전송 버튼을 클릭하면, 단말(20)은 서버(10)로 견적 의뢰를 전송한다(도 5의 단계 S501 참조).
이 견적 의뢰를 받아, 서버(10)는, 예컨대,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10)가 선정한 기업 서버(40)로부터 견적이 송부된다는 취지를 통지한다(도 5의 단계 S502 참조). 도 9(b)의 예에서는, A사로부터 E사까지 5개사로부터의 견적이 제공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회사에 대한 평가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도 9(b)의 예에서는, 별점으로 평가를 나타내며, 별의 수가 많을수록 평가가 높다. 다만, 평가 정보의 표시 방법은, 도 9(b)에 나타내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숫자, 글자색을 이용한 평가, 문장에 의한 평가 등 다양한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되고, 서버(10)는 그 평가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거나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취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평가 정보에 근거하는 표시로서, 평가가 수치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그 평가를 나타내는 숫자의 내림차순이나 오름차순 중 하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평가가 사전에 정해진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그 기업에 대해서는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서버(10)에서의 사전 선별에 의해, 평가가 낮은 기업 서버(40)에 대해서는 견적 의뢰를 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평가가 다른 소정의 기업보다 낮은 기업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그렇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1)는 다른 소정 기업의 평가와,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대상의 평가를 비교하고, 다른 소정 기업의 평가보다 평가가 낮은 경우에는,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10)가 선택한 기업 서버(40)와 사용자 사이의 대화방이 개설된다. 또한, 도 9(c)는 사용자 단말(20)에 표시되는 화면예로서, 대화방 일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대화방의 일람은 대화 리스트라고 호칭할 수도 있다. 도 9(c)에서, 대화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터치)하면, 그 전용 대화방의 표시로 전환된다.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견적을 낼 각 기업 서버(40)와의 대화방이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c)에 나타내는 A사 이사 센터를 선택하면, 단말(20)의 표시부(24)에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사 이사 센터와의 대화 화면이 표시된다. 도 10(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사의 이사 센터는 이사의 대략적인 견적 금액으로 XXXXXX엔을 제시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세 정보의 공개를 승인하는 경우에는, 도 10(a)의 「공개한다」로 표시된 개소(1001)를 터치하는 것에 의해, 단말(20)로부터 A사에 대하여 단말(20)의 사용자의 상세 정보에 대한 공개를 허가하는 취지를 서버(10)로 통지할 수 있다. 한편, 허가하지 않는 경우, 도 10(a)의 「공개하지 않는다」고 표시된 개소(1002)를 터치하는 것에 의해, A사 이사 센터에는 상세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 이후에는 교섭을 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공개하지 않는 경우, 단말(20)은 서버(10)에 대하여, 이후의 교섭을 종료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세 정보를 공개하는 기업의 선택은, 도 10(a)를 이용하여 설명한 이외에도, 예를 들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 기업의 대화의 일람 중에서 상세 정보를 공개하는 기업을 선택(터치)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선택되지 않은 터치되지 않은 기업과의 대화는 삭제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각 기업 서버(40)에 대하여, 각각 상세 정보 공개의 실행, 비실행의 입력이 완료되면(완료되지 않아도 좋음), 사용자는 서버(10)와의 대화에서 업체를 결정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종료 버튼(1011)을 터치한다. 이 종료 버튼(1011)의 터치는 상세 견적을 의뢰할 업체를 결정하는 단계인 것으로 하여도 좋고, 실제로 이사를 의뢰할 업체를 결정한 단계일 수도 있다. 상세 견적의 의뢰 대상을 결정한 단계의 경우, 그 시점에서 상세 정보를 공개한다고 결정되지 않은 업체에 대해서는 대화방을 삭제한다. 즉,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화방을 삭제한다. 도 10(c)에서는, 사용자가 A사와 D사와 E사를 선택하고, B사와 C사의 대화방을 삭제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c) 내지 도 10(c)로의 변화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B사, C사, E사와의 대화방이 삭제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 후, A사와 D사와의 사이에서 사용자는 견적을 교환하고, 실제 서비스의 제공을 의뢰하게 된다.
또한, 상세 견적을 내는 업체의 선택, 즉, 사용자 자신의 개인 정보를 공개하는 선택에 대해서는, 도 10(a)에 나타낸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10)와 사용자의 대화에서 리치 메뉴(1101)라는 형식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리치 메뉴란, 계정 특유의 메뉴이며, 대화에 참여하는 사용자 또는 서버(10)(의 운영자) 또는 기업 서버(40)(의 운영자)가 그 내용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이다. 즉, 이 경우, 견적을 내는 업체의 선택을 위한 전용 메뉴인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리치 메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이 사용자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서버(10) 또는 기업 서버(40)가 그 내용을 설정한다.
또한, 메시징 서비스로서, 업체와의 견적 교환을 위한 이미지 정보(1111)를 사전에 준비해 두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이미지는 서버(10) 또는 서버(10)가 통신 가능한 다른 서버에 저장되고, 사용자는 해당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이용할 수 있고, 스탬프로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이미지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격 교섭의 이미지더라도 좋고, 일정 조정을 부탁하는 이미지 등이어도 좋다. 또는, 사용자에게 허용할 수 있는 금액을 나타내는 이미지 정보나, 그 금액이면 그 기업에 대하여 서비스를 의뢰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이미지 정보라도 좋고, 이 경우에 그 이미지 정보에 대하여, 요금은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이미지로 표시하는 금액을 사용자가 단말(20)에 대하여 금액을 지정(입력)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이미지를 사전에 준비하여 제공하는 것에 의해, 교섭이 서투른 사용자라 하더라도 교섭을 원활하게 거리낌없이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교섭, 즉, 거래를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는 사용자 자신이 거래를 위한 메시지(문자 정보, 텍스트)를 직접 대화방에 전송하는 것이어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이사 견적을 의뢰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했지만, 견적 대상은 이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견적을 요구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하여, 복수의 경쟁 업체가 존재하는 서비스라면, 어떤 서비스라도 그 대상으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간단한 정보에서 대략적인 견적을 내면서, 상세 정보로 상세 견적을 낼 수 있는 것이면, 어떤 서비스라도 좋다.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시스템은, 예를 들어, 보험의 견적, 부동산 매매의 견적, 전문직의 견적, 병원의 견적, 사내 시스템 구축의 견적, 크라우드 소싱의 견적, 사용하는 EC 사이트의 견적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몇 개인가에 대해 설명한다.
보험의 견적으로 말하면, 사용자 자신이 희망하는 보험의 종별이나 연령 등의 사용자를 특정할 수 없는 정도의 정보를 제시한다. 사용자는 그 보험 회사의 평가 정보를 수취한다. 보험 회사의 평가 정보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보험 회사의 실적, 사용자 평가, 가성비 등에 근거하는 평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보험 회사는 이 단계에서의 보험에 관한 비용 견적이나 플랜을 제시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그 후에 사용자가 신뢰한 보험 회사에 대하여 상세 정보를 공개하여, 상세한 견적을 내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부동산 매매의 견적으로 말하면, 사용자 자신이 희망하는 물건의 조건을 제시한다. 사용자는 그 부동산 회사의 평가 정보를 수취한다. 부동산 매매의 평가 정보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부동산 매매의 실적, 전문 지역, 가성비 등에 근거하는 평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부동산 회사는 그 단계에서 희망하는 조건, 그 경우의 매매 비용이나 임대 비용 등의 견적을 간략하게 제시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그 후에 사용자가 신뢰한 부동산 회사에 대하여, 상세 정보를 공개하여 상세 견적을 내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문직의 견적으로 말하면, 전문직으로서 변호사에게 의뢰하는 데 있어, 먼저, 어떤 변호를 해 주었으면 하는지, 어떤 상황인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특정될 수 없는 정도의 정보만을 공개한다. 이에 대하여, 사용자는 해당 변호사의 평가 정보를 수취한다. 변호사의 평가 정보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전문 분야, 고객 평가, 의뢰 비용 등에 기반하는 정보이다. 변호사는 사용자로부터 간단한 정보를 수취하는 단계에서, 대략적인 대응 비용의 견적을 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신뢰하는 변호사에게 상세 정보를 공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병원 견적의 경우, 병명이나 환자 자신의 용태 등의 정보만의 공개로 대략적인 치료 비용의 견적을 의뢰한다. 이에 대하여, 사용자는 해당 병원이나 의사의 평가 정보를 수취한다. 병원이나 의사의 평가 정보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전문 치료 분야, 의료 실적, 환자의 감상, 치료비 등에 기반하는 평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평가 정보를 수취한 후에, 사용자는, 사용자가 신뢰하는 의사, 병원 등에 상세 정보를 공개하여, 상세 견적을 수취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EC(Electronic Commerce) 사이트의 견적의 경우, 예를 들어, 제공하는 서비스가 어느 정도 일치하는 사이트 간에 견적을 내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EC(Electronic Commerce) 사이트란, 자사(타사를 포함하여도 좋음)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인터넷상에서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서 판매하는 사이트인 것을 말한다. EC 사이트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물품 판매 서비스, 동영상 배포 서비스, 전자 책 판매 서비스, 여행 대리점 서비스 등이 있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여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EC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여행지, 날짜 정도의, 사용자를 특정할 수 없는, 정보를 공개한다. 사용자는 EC 사이트 각각의 평가 정보를 수취한다. 여기서, 여행 서비스에서의 EC 사이트의 평가 정보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전문 여행지, 전문가 인원수, 가성비 등에 기초하는 평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사용자로부터의 정보에 대하여, EC 사이트 측은 대략적인 견적이나 플랜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들 중 사용자의 마음에 든 EC 사이트에 대해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고 하는 구성을 취하여도 좋다. 또한, EC 사이트는 기업에 의한 운영이어도 좋고, 개인에 의한 운영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다양한 업종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은 유용하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2단계로 견적을 내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는 평가 정보만으로 상세 정보의 공개 대상이 되는 업체(기업 서버(40))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1)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10)가 사용자와 기업 서버의 쌍방으로부터 상세 정보의 공개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 서버(10)가 보유하는 사용자의 상세 정보를 기업 서버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상세 정보를 기업 서버(40)로 전송하는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자신의 상세 정보를 직접 기업 서버(40)로 전송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단말(20)에서 표시하는 정보의 취사 선택은 단말(20)이 스스로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서버(10)로부터 지정된 것이어도 좋다.
(2)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평가 정보로는 기업 서버(40) 각각의 기업 전체로서의 평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평가 정보는 기업 자체의 평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업 서버(4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담당하는 실제 담당자의 평가를 나타내는 것이어도 좋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업에 대하여, 담당자의 평가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그 담당자의 평가 정보도 표시하여도 좋고, 표시하지 않아도 좋다. 도 12(a)는,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4)에 나타내는 화면의 예로서, 서버(10)와 사용자의 대화방을 나타내는 화면도이다.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업명에 대응지어져 담당자의 이름과 그 평가가 표시된다. 여기서는, 담당자의 평가로서, 문장으로 담당자가 어떤 담당자인지를 표현한 평가를 나타낸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담당자의 평가는 이러한 문장에 의한 평가로 한정되지 않고, 기호나 숫자 등에 의해 담당자의 평가를 수치화한 정보의 표현이어도 좋다. 또한, 이름뿐만 아니라, 담당자의 얼굴 사진 등을 함께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2(a)의 예에서는, B사에서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은 경우에 담당하는 담당자로서, H가 담당하고, 그 평가로서 「신속하고 군더더기 없는 업무 태도」가 표시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담당자의 평가가 있는 경우에는, 기업의 평가에 대해서는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다. 이를 위해, 서버(10)는 사전에 기업 서버(40) 각각에 속하는 담당자 각각의 평가를 나타내는 담당자 평가 정보를 저장부(15)에 저장하고 있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저장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통신에 의해 기업 서버(40)로부터 취득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담당자의 평가와 기업 자체의 평가를 병렬 표기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3)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기업 서버(40) 각각의 평가 정보만을 표시하고 있지만, 그들 기업 서버(40) 중에서 사용자에게 추천 기업을 특정하고, 추천한다는 취지가 단말(20)의 표시부(24)에 표시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여기에, 이 추천 표기의 실현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10)의 제어부(11)는 사용자로부터의 견적 의뢰를 수신했을 때에, 사용자 정보(2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기업을 특정한다. 그리고, 특정한 기업에 대해서는 평가 정보를 송신할 때에 추천한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이 통지는, 추천하고 있는 기업을 다른 기업과 비교하여 인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더라도 좋고, 예를 들면, 추천을 나타내는 이미지나 문자가 기업명과 연동하여 표시되도록(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기업명에 추천 이미지나 문자가 분출로 표시되도록) 하여도 좋고, 추천 기업이 추천하지 않은 기업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표시 양태는, 단말(20)이 결정해도 좋고, 서버(10)가 지정하여도 좋다. 도 12(b)에는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4)에서 추천 기업을 나타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b)는,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4)에서 사용자와 서버(10) 사이의 대화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사용자의 견적 의뢰에 대하여, 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며, 기업 서버(40)로부터 견적 금액의 통지가 전송되다는 취지를 연락하는 것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2(b)의 예에서는, B사가 추천인 것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B사의 사명을 타사와는 다른 방식으로 표시한다. 이때,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더욱 알기 쉽도록 「추천」 등의 문구를 사명과 대응지어 표시하도록 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복수의 기업을 소개하면서, 그 중에 서버(10)로부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것으로 되는 기업을 간파할 수 있는 형태로 기업명을 표시함으로써, 기업의 일람 중에서 사용자에게 추천 기업이 어느 것인지를 한눈에 이해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10)에 의한 추천 기업의 결정 방법으로는, 사용자 정보(200)에, 또한, 사용자의 기호 정보를 포함시킴과 동시에, 서버(10)가 저장부(15)에 기업 서버(40)의 특색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여 둠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사용자의 기호로서, 처리 속도가 신속한 것을 좋아한다는 정보가 대응지어져 있는 경우에는, 신속 대응을 취지로 하는 기업을 추천하는 것으로 하고,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기호로서, 작업 시의 분위기를 중시한다는 정보가 대응지어져 있는 경우에는,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일을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대응지어져 있는 기업을 추천하는 것으로 하여 선택한다. 즉, 서버(10)의 제어부(11)는 사용자의 기호 정보와, 기업 서버(40)에 대응하는 기업 각각의 일을 할 때의 특색, 모토 등의 정보와의 일치 정도에 기초하여 추천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서버(10) 및 단말(20)은 의뢰할 기업 서버(40)를 결정하는 데 있어, 더욱 사용자에게 이익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4)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세 견적을 수취할 때까지를 설명하고 있다. 사실, 그런 후에, 사용자는 서비스를 의뢰하는 기업 서버(40)를 결정하고, 그 기업 서버(4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으로 된다. 그때, 즉, 기업 서버(40)로부터의 서비스를 받은 후에,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20)을 이용하여 서버(10)에 기업 서버(40)에 대한 사용자 자신의 소감에 따른 평가를 나타내는 사용자 평가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서버(10)는 사용자 평가 정보 저장부(15)에 저장한다. 서버(10)의 제어부(11)는, 각 사용자로부터, 각 기업으로부터의 서비스를 받은 경우의 사용자 평가 정보를 각 기업의 평가 정보에 반영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11)는 사용자 평가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기업 평가 정보에 반영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는, 사용자 평가 정보의 기업 평가 정보에의 반영은 소정 기간마다(예를 들어, 1개월마다) 실시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보다 현재에 가까운 기업의 생생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기업에 대한 평가로 하고 있지만, 실제 작업을 한 담당자의 평가를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양쪽 모두를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실시 형태의 효과>
이하, 제1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2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로서, 사용자 자신을 특정할 수 없는 정도의 정보(견적 의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제1 정보의 일례)를 서버(10)로 전송하고, 서버(10)로부터의 견적에 기초하여 의뢰를 받는 기업 서버에 관한 정보의 일례로서 평가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20)의 사용자는 견적을 의뢰하는 기업을 결정할 때에, 자신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지 않고도, 기업의 평판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를 의뢰할 때의 기업 간의 비교 검토 시의 사용자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단말(20)로부터의 의뢰에 대한 응답으로서, 견적을 내는 기업 각각의 평가 정보를 단말(20)로 전송한다.
이것에 의해, 서버(10)는 단말(20)의 사용자에게 기업의 서비스 등의 평가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의뢰할 기업을 결정할 때의 보조로 되는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각 기업 서버와의 대화방에서, 사용자 자신의 상세 정보의 공개를 승인함으로써, 또는 사용자 자신이 상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의 상세 정보가 서버(10)로부터 각 기업 서버로 전송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추가 정보를 기업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기업 서버로부터 상세한 견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기업 서버(40)로부터 사용자의 상세 정보의 공개 의뢰를 받으면, 사용자의 추가 정보를 전송한다.
이것에 의해, 서버(10)는 기업 서버(40)가 상세 견적을 내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으며, 기업 서버(40)의 견적 업무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서버(10)로부터 전송된 기업의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각 기업의 표시 형태, 즉, 글자색이나 글자 크기 등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기업의 평가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로서, 평가가 높은 기업의 표시색을 평가가 낮은 기업의 표시색과는 다르게 표시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단말(20)로 각 기업의 평가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단말(20)은 각 기업의 평가를, 그 표시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해당 기업의 평가를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서버(10)로부터 전송된 기업의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순서에 따라, 각 기업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서버(10)로부터 단말(20)에 대하여 평가 정보를 전송할 때, 그 평가 정보에 근거하는 순서로 각 기업 서버(40)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낸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표시된 순서에 따라, 각 기업간 평가의 고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서버(10)로부터 전송된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기업과 비교하여 평가가 낮은 다른 기업에 대해서는 표시되지 않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서버(10)는, 평가 정보로서, 평가 정보에서 나타내는 평가에 따라, 견적을 낼 예정 기업으로 표시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단말(20)에서는 평가가 낮은 것으로 되는 기업에 대해서는, 표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기업에 대해 의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평가가 낮은 기업에 실제 서비스를 의뢰하여 서비스를 받았을 때의 불만이 발생할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기업의 평가를 나타내는 평가 정보라는 것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평가가 높은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평가 그 자체를 나타내는 정보)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직접 용이하게 각 기업의 평가를 인식할 수 있으며, 서비스를 의뢰하는 기업을 결정하는 데, 알기 쉬운 지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말(20)의 사용자는 자신의 상세 정보를 공개해도 좋다고 판단한 기업 서버(40)에 대하여 전송하는 상세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서버(10)는 단말(20)로부터 직접 사용자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로서는, 매번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서버(40)에 대하여 공개하는 상세 정보를 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서버(10)가 사용자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등에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이것을 얻는 것이고, 기업 서버(40)로 전송하여, 기업 서버(40)에 견적을 의뢰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실제로 해당 기업에서 서비스를 하는 담당자에 관한 정보로서, 담당자의 평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그 담당자의 평가를 나타내는 정보는 서버(10)로부터 단말(20)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실제로 접하게 되는 담당자가 어떤 사람인지를 인식한 다음에, 의뢰할 수 있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받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단말(20)은 서버(10)가 추천하는 기업 서버(40)를, 다른 기업 서버(40)와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서버(10)는 단말(20)의 사용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기업을 추천 기업 서버(40)로서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20) 및 서버(10)는 사용자에게 더욱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서버(40)가 어떤 기업인지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서비스를 의뢰하는 기업을 선택할 때 사용자에게 일조하는, 즉, 판단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사용자가 기업 서버(40)와 교섭(거래)하기 위한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10)는 그 교섭(거래)을 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기업 서버(40)에 전송한다. 거래를 나타내는 정보는 메시지(문자 정보)라도 좋고, 거래의 내용을 나타내는 이미지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단말(20)을 이용하여, 서버(10)를 통해, 기업 서버(40)와의 사이에서 서비스를 받는 데 있어서의 거래를 행하기 위한 교섭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에게 더욱 바람직한 조건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서버(40)에 의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기업 서버(40)의 서비스를 받은 후에, 사용자 자신의 소감인 평가를 나타내는 사용자 평가 정보를 단말(20)로부터 서버(10)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 평가는 실제로 담당한 기업 서버(40)의 담당자의 평가를 나타내는 정보라도 좋고, 그 양쪽 모두라고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단말(20)은,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은 후에, 사용자 자신이 기업이나 그 담당자에 대해 평가한 것을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는, 그 평가를 수취하고, 이후에 다른 사용자에게 평가 정보를 제시할 때, 그 평가 정보에 사용자의 평가를 반영하여 보다 실시간으로 평가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각 기업을 나타내는 일람(예를 들어, 기업명의 일람이나 대응하는 대화의 일람)을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20)은 견적을 내는 기업의 각각에 대하여, 자신의 상세 정보를 공개할지 여부의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한다. 그리고, 단말(20)은 상세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 기업 서버(40)와의 통신은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불필요해진 기업과의 통신은 종료할 수 있으며, 이후 해당 기업과 통신하지 않고 종료되므로, 예를 들어, 거래를 하지 않는 기업으로부터의 영업 활동 등을 받지 않고 종료된다.
또한, 단말(20)은 기업의 각각과의 사이에서 서버(10)에 의해 개설된 대화방을 통해 개별적으로 교섭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기업과의 사이에서 다른 기업과의 거래나 그 상황을 모르게 교섭할 수 있고, 자신에게 유리하게 되도록 거래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서버(10)와의 대화방에서 리치 메뉴를 통해 거래하는 기업 서버(40) 각각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서버(1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의 각각에게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자가 상세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의 견적을 제공받아, 신뢰한 업체에게 상세 정보를 공개하여, 상세한 견적을 받을 수 있는 예를 설명하였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불필요한 정보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업체의 영업 전화 등의 연락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으로,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견적을 내는 시스템을 이용할 때, 실제 청구액과의 괴리가 발생할 수 있지만, 서버(10)에서는 그러한 괴리가 있었다고 하여도 인식할 방법이 없고, 또한 기업 측에서도 고위층이 그와 같은 괴리를 인식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견적의 괴리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견적을 내는 단계에서, 업체(담당자)가 일을 받고 싶기 때문에, 공연히 견적 금액을 억제하고, 실제 청구시에는, 원래의 금액으로 청구하거나 또는 청구 시에 청구자가 부당하게 많이 청구하거나 하는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견적과 실제 청구와의 사이의 괴리는 사용자의 불만을 낳게 되고, 결과적으로, 기업 평판의 저하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그래서, 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견적과 실제 청구의 괴리를 억제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처리는, 견적을 내고 실제로 서비스를 의뢰한 후에, 서비스 측이 청구서를 발행하기 전후에 처리된다. 그 때문에,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도 1에 나타낸 구성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공통하는 기능 및 처리에 대해서는 본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구성>
서버(10)는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기능에 더하여, 사용자에게 청구액 정보의 제공을 촉진하는 기능과, 청구액 정보의 제공을 사용자로부터 받은 경우에 무엇인가 특전을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제어부(11)는, 사용자와 기업 사이에 계약이 성립한 경우에, 이 사용자와의 대화에서 기업의 청구액 정보의 제공을 촉구하는 기능으로서, 사용자와 서버(10) 사이의 대화방에, 기업으로부터 청구된 금액 관련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금액 정보의 직접 기입이나 청구서의 스캔 데이터 등)의 제시를 의뢰하는 문서를 전송한다. 그리고, 이때에는, 청구된 금액 관련 정보를 제시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특전이 주어진다는 취지도 함께 통지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사용자와 서버(10) 사이의 대화방에 청구액 관련 정보가 기입된 경우에, 사용자에게 특전을 전송한다. 여기서 말하는 특전은, 사용자에게 어떤 식으로든 이득이 있는 것이라면 뭐든지 좋고,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다른 서비스에서 금전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전자 화폐, 가상 통화, 어떤 물품, 물품과 교환하기 위한 교환권이나 전자 교환권, 또는 단말 상에서 추첨할 수 있는 서비스 등이어도 좋고,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한, 특전으로 포인트를 전송한다는 것은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사용자의 식별자(사용자 ID)에 대응지어져 있는 포인트에, 특전에 상당하는 포인트를 가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전자 화폐를 전송한다는 것은 네트워크에서 사용자의 식별자에 대응지어져 있는 전자 화폐에, 특전에 상당하는 금액을 가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상 화폐를 전송한다는 것은 전자 화폐의 전송과 거의 마찬가지이지만, 어떤 정해진 서비스 내에서만 통용되는 금전의 대체물로 되는 정보로서의 금액이 사용자에게 대응 지어진다는(가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물품을 전송한다는 것은 물품을 사용자의 거처로 송부할 것을 통지하는 것과 동시에, 사용자의 주소로 그 물품을 실제로 송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물품과 교환하기 위한 교환권 또는 전자 교환권을 전송한다는 것은 어떠한 물품과 교환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환권 또는 전자 교환권은 그 물품을 제공하는 점포에 그 표시 정보를 제시하는 것으로 그 물품과 교환할 수 있는 정보(권리)이다. 또한, 단말에서 추첨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전송하면, 단말에서 실시하는 전자 추첨을 할 권리를 사용자에게 부여한다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전자 추첨은 어떤 경품을 받을 것이며, 일례로서, 서버(10)가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에서 사용 가능한 포인트나 어떤 전자 정보(예컨대, 벽지), 금전, 어떤 물품이 당첨되는 것이라도 좋다.
한편, 단말(20)은,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기업 서버(40)로부터 청구된 청구액의 정보의 입력을 입출력부(23)를 통해 접수하여, 서버(10)로 전송한다. 청구액 정보의 입력은 입출력부(23)의 터치 패널(231)에 대하여 사용자가 직접 금액을 입력한 것을 접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카메라(234)가 촬영한 청구서의 이미지 정보를 접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단말(20)의 제어부(21)는 통신 I/F(22)를 통해 서버(10)와의 대화방으로 전송한다.
또한, 단말(20)의 통신 I/F(22)는 서버(10)로부터 전송된 특전을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제어부(21)는 수신한 특전 정보를 저장부(28)에 저장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동작>
도 13에 나타내는 순서도를 사용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각 장치간의 상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 5에 나타내는 순서도의 후처리이고, 도 13에서는 도 5의 단계 S508 이후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세한 견적을 받은 단말(20)의 사용자는 그 견적 내용에 납득한 경우에는 해당 기업 서버(40)에 서비스(이사)를 의뢰한다(단계 S1301). 또한, 사용자는 단말(20)을 이용하여, 서버(10)와의 대화방에서, 결정된 이사 업체를 통지한다(단계 S1302).
이사 업체의 결정 통지를 접수하면, 서버(10)는 사용자에게 청구서를 요구하는 청구서 요구를 전송한다(단계 S1303). 즉, 서버(10)는 단말(20)과의 대화방에서 이사 후에 기업 서버(40)로부터 전송된 청구서, 또는 청구서에 표시된 청구액의 정보를 대화방으로 전송해 줄 것을 의뢰하는 통지를 행한다.
실제로 이사를 마친 후, 기업 서버(40)는 단말(20)에 청구서를 송부한다(단계 S1304). 또한, 도 13에서는, 기업 서버(40)로부터 단말(20)로 송부한다는 것에 의해 전자 데이터의 형태로 송부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청구서는 별도로 우송하여도 좋고,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단계 S1303과 단계 S1304의 처리는 역순으로 처리되어도 좋다. 즉, 단계 S1304를 먼저 실행하고, 그 후에 단계 S1303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단계 S1303과 단계 S1304의 처리는 동시에 병행하여 실행되어도 좋다.
사용자는 청구서를 접수하면, 서버(10)와의 대화방을 통해, 청구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1305). 청구 정보를 전송한다는 것은, 대화방에 청구액을 직접 기입하는 것이어도 좋고, 청구서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어도 좋고, 청구서의 실물을 스캔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어도 좋다.
사용자로부터의 청구 정보를 확인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에 대하여 사전에 정해진 특전을 전송한다(단계 S1306).
도 13에 나타내는 상호 작용을 실현하기 위한 서버(10)의 처리에 대하여, 도 14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서버(10)의 통신 I/F(14)는 업체 결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다(단계 S1401). 통신 I/F(14)는 수신한 업체 결정 정보를 제어부(11)로 전송한다.
업체 결정 정보를 수신한 제어부(11)의 메시지 처리부(112)는 사용자와의 대화방에서 청구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는 청구서 요구를 전송한다(단계 S1402).
그 후에, 제어부(11)는 사용자로부터 청구서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403). 제어부(11)의 메시지 처리부(112)는 사용자와의 대화방에 청구서 정보가 전송되어 있는 경우(단계 S1403의 예), 제어부(11)는 사용자에게 특전을 전송하여(단계 S1404),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사용자가 청구서 정보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 즉, 청구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단계 S1403의 아니오)에는, 사용자에게 특전을 전송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청구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란, 사용자 자신으로부터 청구액의 정보를 전송할 생각이 없다는 의사 표시가 있었을 경우, 또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청구서 정보를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를, 청구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라고 하여도 좋다. 이상이 서버(10)의 처리이다.
도 15는 도 13의 순서도에 나타내는 상호 작용을 실현하기 위한 단말(20)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20)로부터 업체 결정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단계 S1501).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20)을 이용하여, 서버(10)와의 대화방을 통해 업체 결정 정보를 전송한다.
업체 결정 정보의 전송에 따라, 단말(20)의 통신 I/F(22)는 서버(10)로부터 청구서 정보의 송부 의뢰를 수신한다. 통신 I/F(22)는 서버(10)로부터의 청구서 정보의 송부 의뢰를 수신하면, 메시지 처리부(211)로 전송한다. 메시지 처리부(211)는 수신된 청구서 정보의 송부 의뢰를 나타내는 문서 정보를 대화방에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 처리부(212)에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표시 처리부(212)는, 이 지시를 받아, 청구서 정보의 송부 의뢰를 나타내는 대화방 이미지를 표시부(24)에 표시한다(단계 S1502).
그런 다음, 사용자는 기업 서버(40)의 서비스를 받는다(예컨대, 이사를 함).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기업 서버(40)로부터 청구서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1503). 또한, 이 청구서 정보의 수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직접 전달받아도 좋고, 우송하여도 좋다.
서비스를 받은 기업 서버(40)로부터 청구서를 수취한 사용자는 그 청구서에 표시된 청구액 관련 정보를, 통신 I/F를 통해, 서버(10)로 전송한다(단계 S1504).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사용자는, 단말(20)을 사용하여, 사용자와 서버(10) 간의 대화방을 통해 전송한다.
통신 I/F(22)는 청구서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서버(10)로부터 전송된 특전을 수신하고(단계 S1505), 처리를 종료한다.
<구체예>
여기서, 본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구체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의 (a), (b)는 서버(10)와 단말(20) 간의 대화방에서의 콘텐츠(메시지, 스탬프, 이미지, 동영상 등)의 상호 작용의 예를 나타내는 화면도이다.
도 16(a)는 사용자가 직접 청구서를 기입한 패턴을 나타내고, 도 16(b)는 청구서의 사진(사용자가 단말(20)의 카메라(234)를 이용하여 청구서를 촬영한 영상 이미지 또는 청구서의 스캔 데이터)를 대화방에 첨부한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각 기업 서버(40)로부터의 견적을 보고, 납득한 업체와 계약을 한다. 그 경우에, 사용자는 도 16(a)의 메시지(16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비스를 받을 기업을 결정한 취지를 대화방에 기입한다. 도 16(a)에 나타내는 예에서, 사용자는, 서비스를 제공할 업체로서 「A사」를 결정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하여, 서버(10)는 사용자에게 청구가 발생했을 때의 금액 정보의 공개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16(a)에서는, 메시지(160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10)(의 운영자)가 최종 금액의 제시를 요구함과 동시에, 청구액을 제시한 경우, 특전, 즉, 어떤 보상이 부여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기입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메시지(1602)를 서버(10)가 실행하는 타이밍으로서는, 사용자로부터 서비스를 의뢰할 기업이 결정되었다는 정보 메시지(1601)의 전송이 있은 후라면 언제라도 좋지만, 기본적으로는 메시지(1601)가 전송된 직후, 또는 사용자로부터 서비스를 받은 날짜의 정보를 메시지(1601)로 받은 경우에는 그 날짜의 이후라도 좋다.
실제 서비스를 받은 후, 사용자는 청구액 관련 정보를 기입한다. 도 16(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메시지(160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구액이 XXXXXX엔이었다고 기입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사용자가 기입한 메시지(1603)에 대하여, 서버(10)는 특전이 전송된다는 취지의 메시지(1604)를 기입하고, 실제로 특전을 전송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서버(10)와의 사이에서 청구액을 알려준다. 또한, 도 16(b)와 도 16(a)의 차이는 메시지(1603)와 이미지(1613)의 차이뿐이며, 도 16(b)의 예에서는, 이미지(1613)로서, 청구서의 이미지 데이터를 대화방에 첨부한 점에서 다르고, 그 이외에는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하여, 서버(10)는 기업 서버(40)가 실제로 행한 청구의 액면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청구액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예를 들어,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머니, 또는 포인트 결제를 이용한 거래를 이용하여, 기업 서버(40)에 대한 지불을 행한 경우에는, 그 지불 정보를 참조하여, 청구액 관련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듣지 않고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를 통해 전자 거래한 경우에 그 청구액의 정보를 서버(10)가 취득하는 조건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사전에 허가를 얻고 있든지, 대화방에서 청구액의 확인을 행하여도 좋다는 허가를 요청하여 그 허가를 얻고 있든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적 금액 정리 통지>
상기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각 기업 서버(40)는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자와의 사이에 개설된 대화방을 통해 견적을 교환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기업 서버(40)에 따라서는 재빨리 값싼 견적을 내고 의뢰를 받으려는 기업 서버(40)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그와 같은 경우, 그 견적을 본 사용자는 그 저렴함에 다른 기업 서버(40)로부터 견적 연락을 기다리지 않고 의뢰를 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기업 서버(40)가 일단 각 기업 서버(40)로부터의 견적을 수집하고, 일정 수의 견적을 얻고 나서, 정리해서 사용자에게 견적 금액을 통지한다고 하는 구성을 채택하여도 좋고, 채택하지 않아도 좋다.
구체적으로, 서버(10)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하여도 좋다. 도 17에 나타내는 처리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견적을 접수하여, 각 기업 서버(40)로부터의 견적이 이후에 송부된다는 취지의 통지를 행한 후의 처리로 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10)의 통신 I/F(14)는 업자, 즉, 각 기업 서버(40)로부터 사용자가 수행한 견적 의뢰에 대하여 행한 견적 금액을 나타내는 견적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1701). 통신 I/F(14)는 수신한 견적 정보를 제어부(11)로 전송한다. 제어부(11)는 수신한 견적 정보를, 그 견적 정보를 전송한 기업 서버(40)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와 대응지어 저장부(15)에 저장한다.
제어부(11)는, 견적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견적을 낼 복수의 기업 서버(40) 중, 소정 개수 이상의 기업 서버(40)로부터 견적 정보를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어부(11)는 사용자의 견적 의뢰에 대하여 기업 서버(40)로부터 송부되어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견적 정보의 수가 소정 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702). 여기서, 소정 수는 사용자가 견적 금액의 비교 검토를 실시할 수 있을 만큼의 개수가 있으면 되므로, 적어도 2개이면 좋고, 견적을 내는 기업 서버(40)의 총 개수와 일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견적 정보의 총 개수가 소정 수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단계 S1702의 아니오), 단계 S1701의 처리로 돌아가서 다음 견적 정보의 수신까지 대기한다. 견적 정보의 총 개수가 소정 수 이상인 경우에는(단계 S1702의 예), 제어부(11)는 그들의 견적 정보를 정리하여, 사용자와의 대화방에 기업 서버(40) 각각의 견적 금액을 비교 가능하도록 전송한다(단계 S1703). 여기서, 견적 정보를 정리하여 전송한다는 것은, 대화방에 각 견적 정보로 표시되는 금액을 사용자와의 대화방에 서버(10)가 직접 기입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견적 정보 그 자체를 차례로 대화방에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서버(10)는 견적을 내는 여러 기업 서버(40) 중에 어떤 기업 서버(40)가 먼저 저렴한 견적을 내어 의뢰를 받을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사용자에게 어떤 기업 서버(40)에 의뢰할 것인지의 검토를 견적 금액에 기초하여 수행할 기회를 줄 수 있다.
도 18은 소정 수의 기업 서버(40)로부터의 견적을 수신한 경우에,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대화방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메시지(18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사와 D사와 E사의 3사로부터의 견적 금액을 정리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8의 예에서는, A사가 XXXXXX엔, B사가 YYYYYY엔, C사가 ZZZZZZ엔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각 기업이 행한 견적 금액의 내림차순(또는 오름차순)으로 각 기업의 기업명(식별 정보)과 그 견적 금액을 표시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 18에서는, 메시지(1801)를 서버(10)가 행하여, 복수의 기업 서버(40)로부터의 견적 금액을 나열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는 각 기업 서버(40)가 각기 송부한 견적 정보를 그대로 차례로 전송하는 것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또한, 여기서 상세하게 기재하지 않지만, 상기의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양태는, 제2 실시 형태에도 적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나타낸 리치 메뉴를 이용한 사용자와 서버(10) 사이의 상호 작용은 본 실시 형태에도 적용 가능하고, 본 실시 형태라면,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리치 메뉴로 견적 금액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버튼, 청구액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버튼이 설정된 리치 메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전송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 내의 저장부(28)에 저장된 견적 금액의 정보(데이터 파일)나 청구서 정보(데이터 파일)를 지정하는 것에 의해, 서버(10)에 그들의 정보가 전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고, 이 경우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도,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또는 서버(10)(의 운영자)는 견적 금액 및 청구액에 관한 교환에서, 메시징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정보(스탬프)를 이용한 교환을 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서버(10)는 사용자가 청구액의 정보를 대화방으로 전송한 경우에, 감사의 뜻을 표시하는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단말(20)은 청구액을 송부함과 함께, 청구액에 관한 사용자의 기업 서버(40)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는 사용자 평가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
(1)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10)가 단말(20)로 특전을 전송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서버(10)는, 또한, 기업 서버(40)가 행한 청구액의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의해 이하의 처리를 실행하여도 좋다. 즉, 서버(10)는 청구액이 견적 금액에서 일정 금액 이상의 괴리가 있을 경우, 그 기업의 평가 정보를 보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서버(10)의 제어부(11)는 청구액에서 견적 금액을 감산한 차분이 소정 금액보다 큰 경우에는, 청구액이 견적 금액보다 상당히 많다고 하여, 기업 서버(40)의 평가 정보를 낮추는 보정을 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서버(10)의 제어부(11)는 청구액에서 견적 금액을 감산한 차분이 소정 금액보다 작은 경우에는, 견적 금액 쪽이 청구액보다 상당히 적다고 하여, 견적보다도 적은 금액으로 청구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기업 서버(40)의 평가 정보를 높이는 보정을 하여도 좋다. 평가 정보의 등락은, 평가 정보가 수치나 레벨 등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가감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문장에 의한 평가 정보를 추가할 수도 있다.
(2)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청구액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는 기업 서버(40)로부터 수신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단말(20)과 기업 서버(40)의 양쪽에서 청구액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3)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 서버(10)의 제어부(11)는 소정 수의 견적이 도착할 때까지는 대기하고, 소정 수의 견적을 받으면, 정리하여 단말(2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견적의 수가 아니라, 시간에 따라 견적을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즉, 서버(10)의 제어부(11)는 각 기업 서버(40)에 대하여 견적 의뢰를 전송하고 나서, 소정 시간(예컨대, 48시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그 시점에서 수신하고 있는 견적 정보를 견적 정보의 수에 관계없이 모든 단말(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소정 시간의 경과를 기다려 견적 정보를 단말(20)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서버(10)가 그들을 정리하여 전송하여도 좋고, 정리하여 전송하지 않아도 좋다.
(4)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청구액 관련 정보를 전송받음으로써, 기업 서버(40)가 실제로 행한 청구액 관련 정보를 얻고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가 전자 화폐 등에 의한 지불 서비스를 보유하고, 단말(20)이 그 지불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업 서버(40)에 지불한 경우에, 서버(10)는 자동적으로 단말(20)로부터 기업 서버(40)에 지불된 금액을, 청구액 관련 정보로서, 취득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단말(20)과 기업 서버(40)로부터 지불액의 정보를 서버(10)가 취득하는 것에 대하여 양해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상기 제1 실시 형태 또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서버(10)의 제어부(11)는 견적을 내는 기업 서버(40) 각각에 대하여, 그 기업 서버(40)가 청구하는 청구액을 예측하고, 예측한 청구액에 관한 예측 청구액의 정보를 단말(20)로 전송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11)는 각 기업 서버(40)에 대하여 과거에 행한 서비스와 서비스 내용의 정보, 그리고, 그때의 청구액 정보를 저장부(15)에 저장한다. 이들 정보는 서버(10)가 액세스 가능한 외부의 장치에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제어부(11)는, 사용자가 행하는 견적 의뢰에 대하여, 그 내용과 소정 이상의 상관을 갖는 서비스 내용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견적을 내는 기업마다 취득한다. 그리고, 높은 상관의 서비스 내용이 실행되었을 때, 기업 서버(40)가 행한 청구액을, 청구액의 예측치인 예측 청구액으로서, 새롭게 견적을 의뢰해 온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높은 상관의 데이터를 복수 취득할 경우, 예를 들어, 그 평균값을 청구액의 예측치인 예측 청구액으로 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복수의 청구액 중에서 가장 높은 금액 또는 가장 저렴한 금액을 예측 청구액으로 하여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청구액의 예측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서버(10)의 운영자가 적합하다고 판단하는 예측 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그 외의 방법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기업마다 그 기업이 과거에 제공한 서비스의 내용과, 청구한 청구액에 기초하여, 서비스의 내용으로부터 청구액을 학습한 학습 모델을 구축하고, 그 학습 모델에 대하여, 사용자가 수행한 견적 의뢰를 입력하여 청구액을 산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제어부(11)는 사용자가 견적을 의뢰한 후, 각 기업으로부터 견적 정보가 전송되고 나서(되기 전이어도 좋음) 사용자가 실제로 서비스를 의뢰하는 기업을 결정하기 전에, 산출된 예측 청구액의 정보를 단말(20)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20)은 수신한 예측 청구액의 정보를 표시부(24)에 표시한다. 이때, 단말(20)은 기업 서버(40)가 전송한 견적 정보와 서버(10)가 예측한 예측 청구액을 함께 비교할 수 있도록 표시부(24)에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예측 청구액은 서버(10)에 의한 예측 금액이라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예측 청구액 대신(또는 모두), 예측 청구액과 견적 금액의 차이를 표시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서버(10)는 예측 청구액을, 서비스를 의뢰할 기업을 결정하기 위한 판단 재료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의 효과>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 단말(20)의 사용자는 기업 서버(40)로부터 견적을 수령하고 나서, 기업 서버(40)로부터 서비스를 받은 후에, 기업 서버(40)로부터 청구된 청구액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서버(10)는 그 청구액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것에 의해, 서버(10)는 기업 서버(40)가 행한 견적과 청구 각각의 액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는 기업 서버(40)가 행하고 있는 견적과 청구 사이에 괴리가 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견적과 청구 사이에 괴리가 있는 경우에는, 그 기업 서버(40)의 평가를 낮추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평가로는 「견적보다 청구가 많아지는 경우가 있다」와 같은 문장에 의한 평가를 추가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더 많은 기업의 평가 관련 정보를 사용자가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결정하는 경우의 근거가 되는 정보를 더 많이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카메라(234)를 이용하여, 기업 서버(40)로부터 전송된 청구서를 촬영한 이미지를 청구된 금액 관련 정보로서 전송한다. 또한, 서버(10)는 단말(20)로부터 청구서를 촬영한 이미지를 기업 서버(40)가 청구한 금액 관련 정보로서 수신한다.
이것에 의해, 서버(10)는 청구서의 확실한 증거로서 청구된 금액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기업 서버(40)에서 청구된 금액 관련 정보를 단말(20)로부터 수신하면, 단말(20)(의 사용자)에 특전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20)은 서버(10)로부터 전송된 특전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것에 의해, 서버(10)는 청구액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보상을 단말(20)로 보낼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서버(10)를 통해, 기업 서버(40)로 송금한다. 즉, 서버(10)가 전자 상거래에 의한 금전 등의 거래를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에, 단말(20)로부터 기업 서버(40)에의 지불액을 청구액 정보로서 취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버(10)는 사용자로부터 청구액 관련 정보를 수취하는 일없이, 즉, 사용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지 않고, 기업 서버(40)로부터 단말(20)에 청구된 청구액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과거의 기업 서버(40)가 행한 청구와 그때 제공한 서비스의 정보를 참고로, 새로운 사용자로부터의 견적 의뢰에 대하여, 실제로 기업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 것으로 했을 때의 청구액을 예측하고, 그 예측 금액을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한다. 단말(20)은 그 예측 금액의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부(24)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20) 및 서버(10)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의뢰하는 기업을 결정할 때의 추가의 판단 재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사용자의 견적 의뢰를 기업 서버(40)로 전송하고 나서, 소정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기업 서버(40)로부터 견적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그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그 견적 정보를 단말(20)에 전송하지 않는다. 그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서버(10)는 그 시점에서 기업 서버(40)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견적 정보를 단말(20)로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20)은 견적 의뢰를 하고 나서 정해진 소정 시간 후에 최초의 견적 정보를 하나 이상 수신한다.
또한, 서버(10)는 소정 수의 견적 정보를 기업 서버(40)로부터 수신할 때까지는 견적 정보를 기업 서버(40)로부터 수신했다고 해도 단말(20)로 전송하지 않고, 소정수 이상의 견적 정보를 수신해야 비로소 정리하여 단말(20)로 전송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서버(10)가 일단 견적 금액의 정보를 맡음으로써, 복수의 견적 의뢰처의 기업 서버(40)로부터의 견적 금액을, 최초로 수신하는 시점에서 단말(20)이 비교할 수 있을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떤 기업 서버(40)가 실제 청구하는 청구액보다 싸게 견적 정보를 재빨리 전송하여, 사용자가 그 기업에 의뢰함으로써 서버(10)에 대해 불만을 품도록 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서버(10)로부터 전송된 각 기업 서버(40)로부터의 견적 정보를 정리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이미지가 아닌 문자 정보이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각 기업이 행한 견적의 액면 비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서버(10)로부터 정리하여 전송된 복수의 기업 서버(40)로부터의 견적 정보를 수신하여, 그 견적 정보의 견적 금액에 표시된 순서로 표시부(24)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어떤 기업이 가장 저렴하게 견적을 냈는지, 또는 가장 고가로 견적을 냈는지를 한눈에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사용자가 기업 서버(40)와 행한 교섭(거래)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여기서, 거래를 나타내는 정보는 메시지(문자 정보)라도 좋고, 거래의 내용을 나타내는 이미지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단말(20)을 이용하여 기업 서버(40)와의 사이에서 메시지나 이미지를 이용하여 행한 거래 관련 정보를 서버(1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는 사용자와 기업 서버(40) 사이에서 행해진 거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기업 서버(40)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20)로부터 서버(10)에, 기업 서버(40)의 서비스를 받은 후에 적어도 청구액에 관한 사용자 자신의 소감인 평가를 나타내는 사용자 평가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 평가는 실제로 담당한 기업 서버(40)의 담당자의 평가를 나타내는 정보라도 좋고, 그 양쪽 모두라고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단말(20)은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은 후에 사용자 자신이 기업이나 그 담당자에 대한 평가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는 그 평가를 수취하고, 이후에 다른 사용자에게 평가 정보를 제시할 때, 그 평가 정보에 사용자의 평가를 반영하여 보다 실시간으로 평가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각 기업을 나타내는 일람(예를 들어, 기업명의 일람이나 대응하는 대화의 일람)을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20)은 견적을 행하는 각 기업의 각각에 대하여, 자신의 상세 정보를 공개할지 여부의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한다. 그리고, 단말(20)은 상세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 기업 서버(40)와의 통신은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불필요해진 기업과의 통신은 종료할 수 있으며, 이후 해당 기업과 통신하지 않고 종료되므로, 예를 들어, 거래를 하지 않는 기업으로부터의 영업 활동 등을 받지 않고 종료된다.
또한, 단말(20)은 각 기업의 각각과의 사이에서 서버(10)에 의해 시작된 대화방을 통해 개별적으로 교섭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기업과의 사이에서 다른 기업과의 거래나 그 상황을 모르게 교섭할 수 있고, 자신에게 유리하게 되도록 거래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서버(10)와의 대화방에서 리치 메뉴를 통해 거래하는 기업 서버(40) 각각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서버(1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 각각에게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가 받고자 하는 서비스를 받을 때,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기업 서버(40)를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제3 실시 형태에서, 서버(10)가 제공하는 기능으로서, 기업 서버(40) 측에 장점으로 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각 기기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므로, 상기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공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성>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10)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기업 서버(40)에도 유익한 정보를 전송한다. 즉, 서버(10)는, 견적 의뢰 시에, 기업 서버(40)에서, 사용자의 의뢰와 상성이 좋은 것 같으면, 그 취지를 통지한다. 여기서, 상성이 좋다는 것은, 기업 서버(40)가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일을 할 수 있는, 기업 서버(40)가 특기로 하는 분야가 사용자의 의뢰와 부합하는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기업 서버(40)가 사용자의 기호에 부합한다는 것은, 사용자의 취향으로서, 예를 들면, 가격, 품질, 속도, 의뢰처의 작업 모습(예를 들어, 적극적으로 사용자에게 말을 하면서 일을 하는, 과묵하게 장인 기질의 일을 하는 등)이나 대응이 좋은 것 등이 기업 서버(40)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의 특색에 부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취향에 있어서의 가격이란, 즉, 가성비가 높은 것을 선호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있어서의 품질이란, 품질, 즉, 서비스의 내용(질)의 좋은 점을 선호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있어서의 속도란, 작업 속도를 중시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사용자의 취향이란, 가격이나 품질, 속도 등의 취향 중 어느 것을 우선할 것인가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측면을 실현하기 위해, 서버(10)의 제어부(11)는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200)에는 추가로 사용자의 기호, 취미 등, 도 2에 나타내는 이외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포함하고 있으면, 사용자와의 상성이 더 좋은 기업 서버(40)의 선정이 쉬워지지만,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도 2에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200)만으로도 기업 서버(40)가 전문으로 하는 분야와의 일치로부터 상성이 좋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서는, 서버(10)의 제어부(11)는 기업 서버(40)에 유익한 정보의 제공으로서, 견적 의뢰를 행한 사용자와 다른 견적 의뢰를 행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관련성을 감안한 매칭도 행한다. 다른 사용자와의 관련성을 감안한 매칭이란, 기업 서버(40)가 실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다른 사용자의 의뢰와, 새로운 견적 의뢰를 행한 사용자의 의뢰 간의 관련성 정도의 고저(상관성의 고저라고도 말할 수 있음)에 근거하는 매칭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기업 서버(40)가 이사업자인 경우에는, 의뢰 중, 어느 지역에서 어느 지역으로의 이사인지가 일치하거나, 현재 거주지가 일치하거나 하면, 관련성이 높다고 판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에 더하여, 의뢰일(이사의 희망일)이 일치하거나 하면, 관련성이 더 높다고 판정할 수 있다. 관련성이 높은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그 기업 서버(40)에 실제로 의뢰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 서버(10)의 제어부(11)는 사용자의 의뢰와 기업 서버(40)를 매칭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로부터의 견적 의뢰를 수신했을 때, 그 견적 의뢰를 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부(15)로부터 판독한다. 또한, 아울러, 후술하는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기업 서버(40) 각각의 특색을 나타내는 정보인 기업 정보(2100)를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견적 의뢰를 행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기업 정보(2100)로 나타나는 각 기업의 개개의 특색으로부터 상성이 좋음을 판단한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사용자 정보와 기업 정보가 관련 있는 항목의 각각에 대한 상관값을 산출하고, 그 상관값이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로 상성이 좋은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기업 서버(40)는 서버(10)로부터 의뢰 정보(300)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의뢰 정보(300)를 표시부(43)에 표시한다. 이때, 서버(10)가 상성이 좋다고 판정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다른 사용자와는 다른 표시 방식으로 추천, 즉, 의뢰(거래)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거나 추천의 취지를 나타내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서버(10)로부터 기업 서버(40)에의 추천 사용자에 대한 관련 정보는 기업 서버(40)와 서버(10) 사이의 대화방에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추천하는 것인지 여부는 기업 서버(40)에서 볼 때 사용자의 평가를 나타내는 정보로 된다. 도 19에는, 의뢰 정보(300)에, 사용자에 의한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예로서, 추천도(1901)를 포함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추천도(1901)는, 서버(10)에서 본 기업 서버(40)에 대한 사용자의 추천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기업 서버(40)로부터 본 대응하는 사용자의 평가 정보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추천도를 수치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A, B, C 등의 순위로 나타나는 것이어도 좋고, 단순히 추천 가부를 나타내는 2값이어도 좋다. 기업 서버(40)의 운영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의뢰 정보(300)를 살펴보면, 견적을 전송할(서비스를 제공하여도 좋다고 판단할 수 있음) 사용자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추천 여부에 대해서는, 서버(10)와 기업 서버(40) 사이의 대화방에서 서버(10)로부터 기업 서버(40)로 통지되어도 좋다. 즉, 도 20(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평가를 나타내는 정보와 기업 서버(40)에 대하여 제공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0(a)는 사용자의 평가를 별표로 대화방에서 표시한 예로서, 기업 서버(40)의 표시부(43)에 표시한 대화방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0(b)는 사용자의 평가로서 추천한다는 취지를 직접 나타낸 대화방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나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업 서버(40)는 표시부(43)에 서버(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평가를 나타내는 평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도 21은 기업 서버(40)와 사용자의 매칭(상성이 좋음)을 판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로서, 기업 서버(40) 각각의 특색을 나타내는 기업 정보(2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데이터 개념도이다. 기업 정보(2100)는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어도 좋고, 서버(10)가 액세스 가능한 외부 장치에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업 정보(2100)는 기업명(2101)과 전화번호(2102)와 소재지(2103)와 전문 지역(2104)과 전문 인원수(2105)와 기업 특성(2106)이 대응 지어진 정보이다. 기업명(2101) 이외의 정보에 대해서는 기업 정보(2100)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 21에 나타내는 기업 정보(2100)는 각 기업이 이사업자인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고, 다른 업종이면, 다른 업종에 대한 항목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기업명(2101)은 일의로 대응하는 기업 서버(40)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기업명 대신 기업 서버(40)의 다른 식별자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전화번호(2102)는 대응하는 기업명(2101)으로 표시되는 기업과의 연락에 이용하는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소재지(2103)는 대응하는 기업명(2101)으로 표시되는 기업의 거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전문 지역(2104)은, 대응하는 기업명(2101)으로 표시되는 기업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전문으로 하는 지역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기업 서버(40)가 이사업자인 경우에는, 이사 작업을 하는 데 있어서 전문으로 하는 지역, 예를 들어, 기업의 인근 지역이나, 기업의 이사용 트럭을 격납하고 있는 차고지 인근 지역이나, 트럭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잘 알고 있는 지역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다.
전문 인원수(2105)는 대응하는 기업명(2101)으로 표시되는 기업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전문으로 하는 사용자측의 인원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기업 서버(40)가 이사업자인 경우에는, 이사할 사용자가 몇 명인 세대의 이사를 행하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지(예를 들면, 1인 이사 전문이든지, 4인 가족, 2세대 가족이라든지 등)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기업 특성(2106)은 상술한 이외의 대응하는 기업명(2101)으로 표시되는 기업의 특색(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기업 특성(2106)은, 기업의 특성이라면 어떤 정보라도 좋고, 가성비 우수, 서비스 품질, 서비스 제공까지의 속도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의 기업의 자세 등이어도 좋다. 도 21에 나타낸 예에서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문장으로 기업 특성(2106)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각 기업에 대하여 각종 항목(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가성비, 품질, 속도 등)마다 그 항목의 기업 정도(레벨)를 나타내는 정보가 대응 지어진 정보로 표현되어도 좋다.
도 21의 예에서는, 기업명(2101)이 「B사 이사 본점」으로 표시되는 기업은 전화번호가 080-XXXX-XXXX이며, 주소는 도쿄도 시나가와쿠 고탄다이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전문으로 하는 지역은 관동 전역이며, 전문 인원수가 2~8명이며, 신속 대응을 취지로 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서버(10)는 주로 전문 지역(2104), 전문 인원수(2105), 기업 특성(2106)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의뢰하는 사용자와의 상성의 좋음(추천할지 여부)을 판단한다. 또한, 서버(10)는 이들 정보 모두를 사용하여 상성을 판단하여도 좋고, 모두를 사용하지 않고 상성을 판단하여도 좋다.
<동작>
도 22에는, 서버(10)가 기업 서버(40)에 상성이 좋을 것으로 추측되는 사용자를 소개할 때의 각 장치 간의 상호 작용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사용자가 견적 의뢰를 하고 나서, 기업 서버(40)로부터 대략적인 견적을 접수할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단계 S501 및 단계 S504는 도 5를 이용하여 나타낸 순서도에서의 단계 S501 및 단계 S504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 단말(20)로부터 견적 의뢰를 수신하면, 서버(10)는 그 견적 의뢰에 나타나는 사용자의 희망과 기업 서버(40)의 매칭을 실행한다(단계 S2201). 즉, 서버(10)는 사용자의 의뢰와 상성이 좋을 것 같은 기업 서버(40)를 특정한다. 반대로 말하면, 기업 서버(40)에 상성이 좋은 추천 사용자를 특정한다. 여기서 말하는 추천 사용자를 특정한다는 것은, 기업 서버(40)에서 보아 추천 사용자인지, 혹은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추천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를 특정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한다.
서버(10)는 매칭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의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의뢰 정보를 기업 서버(40)로 전송한다(단계 S2202). 이 의뢰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의 의뢰가 포함되어도 좋고,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때,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에 추후 기업 서버(40)로부터 대략적인 견적 금액이 통지된다는 취지를 연락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기업 서버(40)의 운영자는 서버(10)로부터 전송된 의뢰 정보를 보고 사용자로부터의 의뢰를 받을지 여부를 판단하고, 견적을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2203). 그리고, 견적을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한 사용자에 대해 해당 사용자의 견적 의뢰 내용으로부터 대략의 견적 금액을 산정한다. 기업 서버(40)는 산정한 견적 금액과 어떤 사용자로부터의 견적 의뢰에 대한 견적 금액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단계 S2204).
서버(10)는 기업 서버(40)로부터 견적 금액과 어떤 의뢰에 대한 견적 금액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그 의뢰를 행한 사용자와 기업 서버(40) 사이의 대화방을 개설하고, 그 대화방에 기업 서버(40)로부터의 견적 금액을 게재하여 단말(20)로 전송한다(단계 S2205). 단계 S2204, S2205의 처리는 도 5의 단계 S504의 처리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업 서버(40)(의 운영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의 의뢰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의 평가로부터 견적을 낼지(서비스를 제공하여도 좋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22에서는 단계 S2204, S220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10)를 경유하여, 견적 금액의 정보를 기업 서버(40)로부터 단말(20)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기업 서버(40)로부터 단말(20)로 직접 전송되는 것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도 22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서버(10)의 처리에 대하여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단계 S2201 내지 S2205의 처리를 실현할 때의 동작으로, 도 7에 나타낸 흐름도에 그 처리를 조합한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처리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고, 도 7과 다른 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10)는 단말(20)로부터의 견적 의뢰를 수신한다(단계 S701).
제어부(11)는 의뢰받은 타 안건과의 상관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301). 제어부(11)는 단계 S701에서 나타내는 견적 의뢰의 내용에서, 다른 사용자로부터 의뢰되어 있는 견적 의뢰의 내용과의 일치 정도로부터 상관이 있는지를 판정한다. 제어부(11)는 의뢰받은 타 안건과 상관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2301의 예), 사용자 정보(200)로 표시되는 내용과, 기업 정보(2100)로 표시되는 내용에서 매칭을 행하여 의뢰받은 타 안건과의 상관이 있었다는 것에 의한 평가의 상향 수정을 행한 기업 서버(40)에서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고(단계 S2302), 단계 S2304의 처리로 이행한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사용자의 특성으로서, 가성비에 대한 기호, 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속도에 대한 기호가 설정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기업 서버(40)의 기업 특성(2106)으로서, 비용의 평가, 서비스 품질의 평가, 서비스 제공 속도의 평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각각의 항목에서 사용자의 선호도를 충족하는지 여부에서, 충족하는 경우, 그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산출하고, 그 평가를 통합하는 것에 의해 기업 서버(40)에의 사용자 평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단순히 추천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그 평가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사용자의 특성(기호)의 하나하나에 대하여, 기업 서버(40)가 이들의 각각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충족한 개수를 기업 서버(40)에서의 사용자의 평가로 하여도 좋다. 한편으로, 제어부(11)는 의뢰받은 타 안건과 상관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2301의 아니오), 제어부(11)는 사용자 정보(200)로 나타내는 내용과 기업 정보(2100)로 나타내는 내용에서 매칭을 행하여, 기업 서버(40)에서의 사용자 평가를 결정한다(단계 S2303). 제어부(11)는 통신 I/F(14)를 통해 사용자의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의뢰 정보(300)를 기업 서버(40)로 전송한다(단계 S2304).
제어부(11)는 통신 I/F(14)가 기업 서버(40)에서 대략적인 견적 금액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305). 대략적인 견적 금액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2305의 아니오). 통신 I/F(14)가 기업 서버(40)에서 대략적인 견적 금액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단계 S2305의 예), 제어부(11)는 기업 서버(40)와 그 견적 금액에 대응하는 견적 의뢰를 행한 사용자와의 사이에 대화방을 개설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그 대화방에 기업 서버(40)로부터 수신한 견적 금액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2306). 그런 다음, 단계 S704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단계 S2301에서 단계 S2305의 처리가 도 7에 나타내는 단계 S702에서 단계 S703의 처리를 대신하여 실행되는 처리로 된다.
<매칭 처리의 구체예>
기업 서버(40)가 이사업자인 경우, 서버(10)가 견적 의뢰와의 사이에서의 상관을 확인할 때의 처리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4(a)는, 어느 사용자 U1에 있어서, U1a부터 U1b로 표시되는 경로(2401)에서의 견적 의뢰가 이미 있었던 기업 A에 견적 의뢰를 행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이 경로(2401)의 견적 의뢰에 대하여, 사용자 U1은 기업 A에 대하여 의뢰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있어도 좋고, 결정하지 않아도 좋다. 그와 같은 상황에서 새로운 견적 의뢰가 사용자 U2로부터 서버(10)로 전송된 것으로 한다.
이때, 서버(10)가 사용자 U2의 견적 의뢰 내용에서, 이사의 내용으로서 U2a에서 U2b까지의 경로(2402)로 나타내는 이사 의뢰임을 인식할 수 있었다고 한다. 서버(10)의 제어부(11)는 경로(2401) 및 경로(2402) 사이의 상관값을 산출한다. 즉, 제어부(11)는 경로(2401) 및 경로(2402)가 위치와 그 경로의 형상이 얼마나 가까운지를 산출한다. 그리고, 그 상관값이 사전에 정한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로서, 이사의 희망일이 일치하는 것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 U2로부터의 견적 의뢰는 사용자 U1의 견적 의뢰를 전송한 기업인 기업 A와의 매칭을 결정한다. 즉, 제어부(11)는 기업 A에 대해 사용자 U2로부터의 견적 의뢰를 전송할 것을 결정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 U1에서 U1a로부터 U1b로 표시된 경로(2411)에서의 견적 의뢰가 이미 있는 기업 A에 견적 의뢰가 이루어진 상황인 것으로 한다. 이 경로(2411)의 견적 의뢰에 대하여, 사용자 U1은 기업 A에 대하여 의뢰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있어도 좋고, 결정하지 않아도 좋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견적 의뢰로서, 사용자 U2에서 U2a로부터 U2b까지의 경로(2412)로 나타내는 이사 의뢰가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이때, 서버(10)의 제어부(11)는 사용자 U2의 의뢰가 사용자 U1의 의뢰와 출발 지점이 동일한 것, 경로(2411) 및 경로(2412)와 방향이 일정 이상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사용자 U2의 견적 의뢰는 사용자 U2의 견적 의뢰를 전송한 기업인 기업 A와의 매칭을 결정한다. 즉, 제어부(11)는 기업 A에 대해 사용자 U2로부터의 견적 의뢰를 전송할 것을 결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어부(11)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경로(2411) 및 경로(2412)와의 벡터를 산출하고, 벡터 사이의 상관값이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하여 매칭을 결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상관값을 산출하는 방법으로서, 경로(2411)의 벡터와 경로(2412)의 벡터의 내적을 계산하고, 소정값 이상이 된 경우는 상관값이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하여 매칭되어 있다고 결정한다. 도 24(b)와 같이, 2개 의뢰의 출발 지점이 같을 경우에는, 사용자 U1과 U2가 승인 등을 하면, 예를 들어, 경로(241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도착 지점을 경유하여, 양쪽의 이사를 할 수 있는 루트의 선택도 가능하게 되어 비용을 절감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 U1과 사용자 U2에 대한 청구액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U1과 사용자 U2에 대한 견적 금액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의뢰의 수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5는 서버(10)와 기업 서버(40) 사이의 대화방의 일례를 나타내는 화면도로서, 기업 서버(40) 쪽의 기기에서 볼 수 있는 화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a)는, 도 23에서, 단계 S2303의 처리를 행한 경우, 즉, 새로운 견적 의뢰가 과거의 다른 견적 의뢰와의 사이에 상관이 없었을 경우에, 서버(10)로부터 기업 서버(40)로 전송되는 메시지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10)로부터는 기업 서버(40)에 대하여, A라는 사용자로부터 의뢰가 있는 것, 그 의뢰가 기업 서버(40)에 대해 의뢰되어 있는 사용자 B라는 인물과의 매칭률이 높은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전송된다. 이 경우에는,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 A의 의뢰, 사용자 B의 의뢰를 함께 표시하도록, 메시지가 전송되어도 좋고, 전송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어느 한쪽의 의뢰 내용을 나타내는 것에 그쳐도 좋다.
도 25(b)는, 도 23에서, 단계 S2302의 처리를 행한 경우, 즉, 새로운 견적 의뢰가 과거의 다른 견적 의뢰와의 사이에 상관이 있었을 경우에, 서버(10)로부터 기업 서버(40)로 전송되는 메시지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10)로부터는 기업 서버(40)에 대하여, A라는 사용자로부터 의뢰가 있는 것, 그 사용자 A로부터의 견적 의뢰의 내용이 기업 서버(40)와의 매칭률이 높은, 즉, 상성이 좋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경우에는,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로운 의뢰인인 사용자 A의 의뢰 내용과, 과거의 관련이 있는 다른 견적 의뢰의 의뢰인인 사용자 B의 의뢰 내용도 함께 표시하도록 메시지가 전송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과거의 의뢰 내용인 사용자 B의 의뢰 내용도 함께 표시함으로써, 기업 서버(40)의 운영자는 새로운 사용자 A로부터의 의뢰 내용과의 비교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를 서버(10)로부터 얻음으로써, 기업 서버(40)는 견적 금액의 감축, 의뢰를 받을지 여부에 대한 의사 결정이 쉬워진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황하에서는, 기업 측으로서는 가까운 장소로부터 가까운 장소로 이사를 함으로써, 이사 작업 자체(현재 거주지에의 하물 집배의 수배, 차량의 수배 등)가 편해진다고 할 수 있는 데, 개별 안건을 처리하는 것보다 처리 수를 줄일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기업 A로는 사용자 U1, U2의 각각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고, 그만큼 견적을 저렴하게 하는 것이 허용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U1, U2에 대하여, 평소보다 저렴한 견적을 송부함으로써, 사용자 U1, U2 쌍방으로부터의 의뢰를 수주할 수 있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세하게 기재하지 않지만, 상기의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양태는 제3 실시 형태에도 적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나타낸 리치 메뉴를 이용한 사용자와 서버(10) 사이의 상호 작용은 사용자를 기업 서버(40)로 대신하여, 본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라면,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리치 메뉴로서 서버(10)가 견적을 의뢰하고 있는 사용자의 각각을 나타내는 버튼을 배치한 리치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이들 버튼은 각 사용자와의 대화를 시작하기 위한 버튼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업 서버(40)(의 운영자) 또는 서버(10)(의 운영자)는 견적 의뢰를 하고 있는 사용자 관련 정보의 교환에 있어서, 이미지 정보(스탬프)를 이용한 교환을 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기업 서버(40)는 사용자와의 대화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서 감액 의사가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의뢰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업 서버(40)는 서비스를 제공한 후,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제공 전을 포함함) 과정에서 사용자와 한 교환 등에서, 사용자를 평가한 평가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서버(10)는 그 기업이 한 사용자의 평가를 사용자 정보(200)에 메타 데이터로서 등록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기업의 사용자에 대한 평가는 이후의 기업 서버(40)에의 사용자의 매칭률의 산출에 반영시켜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실시 형태의 효과>
서버(10)의 제어부(11)는 사용자로부터의 견적 의뢰가 있었을 경우에, 그 견적 의뢰의 내용에서 상성이 좋은 기업을 특정한다. 제어부(11)는 견적 의뢰의 내용과 기업 각각의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 관련 정보의 일례) 또는 기업의 특색을 나타내는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 관련 정보의 일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견적 의뢰에 대하여 상성이 좋은 기업을 특정한다. 그리고, 서버(10)의 제어부(11)는, 통신 I/F(14)를 통해, 기업 서버(40)에 사용자로부터의 견적 의뢰를 전송함과 동시에, 그 사용자가 기업 서버(40)에 있어서 추천 사용자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기업 서버(40)의 표시부(43)는 수신한 의뢰 정보와 함께, 그 의뢰를 행한 사용자가 추천한 취지를 나타내고 있었을 경우에 추천한 것을 알 수 있는 표시 양태로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서버(10)는 기업 서버(40)에 대하여, 추천되는 사용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업 서버(40)로부터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에 대해서도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업을 소개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어, 사용자로부터의 신뢰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업 서버(40)로서는 자사가 전문으로 하는 분야, 상성이 좋은 사용자의 의뢰를 받기 위해 견적 금액의 가감을 판단할 수 있다. 자사가 전문으로 하는 분야에서의 서비스 제공, 상성이 좋은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하기 위해, 저렴한 견적을 내고, 해당 사용자의 획득을 노리면서, 사용자의 희망에 따른 만족도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높은 평가를 얻어, 새로운 고객(사용자)의 획득으로 연결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사용자의 견적 의뢰에 표시된 내용과 기업 서버(40)의 기업 정보(특색)의 일치 정도, 관련 정도에 근거하여 기업 서버(40)에 대해 사용자가 추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한다.
이것에 의해, 서버(10)는 기업 서버(40)에 대해 의뢰해 줄 가능성이 더 큰 사용자를 소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 서버(40) 측으로서도 고객 확보를 위해, 가능한 범위에서 견적을 저렴하게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자사의 평가를 높이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의 의뢰를 정리한 의뢰 정보(300)를 기업 서버(40)에 전송하고, 그때 의뢰 정보(300)로 그 기업에 대하여 추천인지 아닌지의 정보를 첨부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추천인지 아닌지의 정보란, 사용자가 해당 기업 서버(40)와 거래할 가능성이 큰지 여부에 근거하는 정보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기업 서버(40)로서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의 견적 의뢰를 받으면서도, 그 의뢰들 중에서도 자사가 우선해야 할 사용자가 어떤 사용자인지를 특정하고, 그 사용자를 우선하여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의 저장부(15)는 사용자 정보(200)를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 정보(200)로는, 사용자를 특정할 수 없지만, 사용자에 관하여, 의뢰 내용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정보의 예)와,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2 정보 예)가 포함된다.
이것에 의해, 기업 서버(40)는, 사용자를 특정할 수 없지만, 사용자에 관하여, 의뢰 내용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정보의 예)가 있는 것에 의해, 대략적인 견적 금액을 산정할 수 있고, 사용자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으로, 사용자는 자신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정보의 예)를 공개하지 않고, 받고 싶은 서비스의 대략적인 금액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공개하지 않음으로써, 이후의 각종 업자로부터의 광고나 영업을 받지 않아도 된다.
또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2 정보 예)가 있는 것에 의해, 기업 서버(40)는 상세 견적을 책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그 상세 견적을, 의뢰를 할지 여부(서비스를 받을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재료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는, 최초 단계에서의 견적 의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의뢰 내용에 대해서는, 기업 서버(40)로 전송하지만, 사용자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2 정보의 예)에 대해서는 전송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의 승인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2 정보의 예)를 전송한다.
서버(1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밝히지 않고, 사용자의 견적 의뢰를 기업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로부터의 승인이 있을 경우에만 기업 서버(40)에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전송하므로, 서버(10)는 사용자로부터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서버(10)의 제어부(11)는, 기업의 경우에는, 추천 사용자를 결정하는 데 있어 기업이 과거에 행한 거래 정보를 이용한다. 즉, 서버(10)에서, 기업 서버(40)에 대해 전송한 과거의 견적 의뢰의 내용과 상관이 높은 새로운 견적 의뢰가 있는 경우 등에는, 그 기업 서버(40)에게 전문이거나 의뢰 내용의 관련성이 높은 경우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항목 수를 줄일 수 있는 의뢰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추천 사용자로 소개한다.
이것에 의해, 서버(10)는 기업 서버(40)에 대해 신뢰성이 높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사용자로부터의 견적 의뢰에 대하여, 기업 서버(40)에 대하여 추천 사용자인지를 판정할 때, 기업 서버(40)의 전문 분야, 특색(한정하는 것이 아닌 일례로서, 전문 지역(2104), 전문 인원수(2105), 기업 특성(2106))의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사용자를 결정한다.
기업 서버(40)에게 있어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전문 분야나 특색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사용자를 결정하므로, 사용자로부터 실제로 의뢰를 받을 수 있을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기업 서버(40)가 전문으로 하는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사용자로부터의 견적 의뢰로 나타나는 이사에서, 현재 거주지의 지역 정보와 이사 예정지의 지역 정보 및 기업의 전문 지역, 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견적을 의뢰하는 사용자가 기업 서버(40)가 추천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는 기업 서버(40)에 있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지역에서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기업 서버(40)에 대하여 더 적합한 사용자를 소개할 수 있으므로,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업 서버(40)는 기업 서버(40)가 사용자와 행한 교섭(거래) 관련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10)는 그 교섭(거래)을 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한다. 거래 관련 정보는 메시지(문자 정보)라도 좋고, 거래의 내용을 나타내는 이미지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기업 서버(40)는 사용자와의 사이에서 행한 교섭(거래) 관련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10)는 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는 사용자와 기업 서버(40) 사이에서 공정한 거래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와 기업 서버(40) 각각을 그 거래 내용으로부터 평가할 수 있다. 이 평가는 각각 사용자 정보(200), 기업 정보(2100)에 반영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반영시킨 경우에는, 이후의 사용자와 기업 서버(40)를 매칭시키는 데 있어서 최신 사용자 또는 기업에 관한 정보를 이용한 매칭을 실현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제도면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각 수단, 각 단계 등에 포함되는 기능 등은 논리적으로 모순되지 않게 재배치 가능하며, 복수의 수단이나 단계 등을 하나로 조합하거나 또는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 형태 또는 각 변형예로 나타내는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나타낸 단말(20), 서버(10), 기업 서버(40) 각각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구성에 대신하여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도 좋다.
즉, 단말(20)은,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부(22)와 제어부(21)로 구성되어도 좋고, 단말(20)의 통신부(22)는 서버(10)로부터 사용자 정보(견적 의뢰)를 전송하고, 거래하는 기업 서버(40)와 그 평가를 나타내는 평가 정보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며, 표시부(24)에 그 기업 서버와 평가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서버(10)는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부(14)로 구성되어도 좋고, 서버(10)의 통신부(14)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사용자 정보(견적 의뢰)를 수신하고, 거래하는 기업 서버(40)와 그 평가를 나타내는 평가 정보를 전송한다. 이것에 의해, 서버(10)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의뢰하는 의뢰처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서비스를 의뢰하는 의뢰처를 결정하는 데 유용한 판단 재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부(22)와 표시부(24)로 구성되어도 좋고, 통신부(22)는 사용자 정보(견적 의뢰)를 전송하고, 그에 대해, 기업 서버(40)로부터의 견적 금액 관련 정보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한다. 단말(20)의 표시부(24)는 수신한 견적 금액 관련 정보를 그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단말(20)의 사용자는 의뢰하고, 서비스를 받은 기업 서버(40)로부터 청구서를 받는다. 그리고, 단말(20)의 통신부(22)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기업 서버(40)로부터의 청구서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또한, 서버(10)는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부(14)로 구성되어도 좋고, 사용자 정보(견적 의뢰)를 수신한다. 통신부(14)는 그 견적 의뢰를 기업 서버(4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해, 기업 서버(40)로부터 견적 금액을 수신한다. 서버(10)의 통신부(14)는 그 견적 금액을 단말(20)로 전송한다. 그리고, 통신부(14)는 서비스를 제공한 기업 서버(40)로부터의 청구액 관련 정보를 단말(20)로부터 수신한다. 이것에 의해, 서버(10)는 견적 금액과 청구액 각각의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견적 금액과 청구액 사이에 괴리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부(14)로 구성되어도 좋고, 사용자 정보(견적 의뢰)를 수신하고, 견적 의뢰의 송신처의 기업 서버(40)를 결정하여, 결정한 기업 서버(40)로 전송한다. 이때, 서버(10)는, 기업 서버(40)에 대하여, 기업 서버(40)에 추천되는 사용자에 대해, 해당 사용자가 추천한다고 평가하는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또한, 기업 서버(40)는, 도 2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43)와 통신부(44)로 구성되어도 좋고, 사용자로부터의 견적 의뢰와 함께 해당 사용자가 추천이라고 평가하는 정보를 함께 서버(10)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표시부(43)는 그 견적 의뢰의 내용과 사용자가 추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서버(10)는 기업 서버(40)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업 서버(40)는 수주할 의뢰를 선택하는 판단 재료를 얻을 수 있다.
1 통신 시스템
10 서버
111 결정부
112 메시지 처리부
11 제어부
12 입출력부
13 표시부
14 통신 I/F(통신부)
20 단말
21 제어부
211 표시 처리부
212 광고 처리부
22 통신 I/F
23 입출력부
231 터치 패널
232 스피커
233 마이크
234 카메라
24 표시부(디스플레이)
25 위치 정보 취득부
28 저장부
30 네트워크
40 기업 서버
41 제어부
411 메시지 처리부
412 표시 처리부
42 입출력부
43 표시부
44 통신 I/F
45 저장부

Claims (35)

  1.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과,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교환할 후보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평가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상기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를 상기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
    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업에 대하여, 상기 제1 정보와는 달리,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교환을 위한 제2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의 표시 양태를 다르게 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정보에 기초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을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을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은, 제1 후보 기업과 제2 후보 기업을 포함하고,
    상기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후보 기업보다 평가가 낮은 상기 제2 후보 기업을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평가를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기업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의 담당자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담당자의 평가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기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중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기업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상기 교환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관련 정보는, 메시지인, 표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관련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과 상기 교환을 행하기 위한 이미지 정보인,
    표시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중 상기 사용자에게 선택된 후보 기업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후보 기업 각각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과,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후보 기업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선택된 기업 이외와의 상기 교환 관련 정보의 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를 행하는 정보는, 메시지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메시지에 의해, 상기 사용자와 각각의 상기 복수의 기업과의 사이에서 상기 교환에 관한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표시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마다 변경 가능한, 상기 복수의 후보 기업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18.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교환을 행하는 후보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평가 관련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구비하는 사용자 단말.
  19.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과,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교환할 후보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평가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상기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를 상기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
    을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20.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교환할 후보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평가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
    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업에 대한, 상기 제1 정보와는 달리,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를 상기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을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순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정보는, 상기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중,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지 않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는 정보인,
    통신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기업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27.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의 담당자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담당자의 평가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29. 제20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기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중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기업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30. 제20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상기 교환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관련 정보는, 메시지인, 통신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관련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과 상기 거래를 행하기 위한 이미지 정보인,
    통신 방법.
  33. 제2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포함되는 후보 기업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34.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로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교환하는 후보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평가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서버.
  35.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의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교환하는 후보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 관련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기업에 대한 평가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
    을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KR1020217011318A 2018-09-25 2018-11-07 단말의 표시 방법, 단말, 단말의 프로그램, 서버의 통신 방법, 서버, 서버의 프로그램 KR202100659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79568A JP6998284B2 (ja) 2018-09-25 2018-09-25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サーバ
JPJP-P-2018-179568 2018-09-25
PCT/JP2018/041409 WO2020066038A1 (ja) 2018-09-25 2018-11-07 端末の表示方法、端末、端末のプログラム、サーバの通信方法、サーバ、サーバの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966A true KR20210065966A (ko) 2021-06-04

Family

ID=6995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318A KR20210065966A (ko) 2018-09-25 2018-11-07 단말의 표시 방법, 단말, 단말의 프로그램, 서버의 통신 방법, 서버, 서버의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10442A1 (ko)
JP (2) JP6998284B2 (ko)
KR (1) KR20210065966A (ko)
CN (1) CN112136147A (ko)
WO (1) WO20200660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33406B1 (ja) * 2020-06-18 2021-09-08 株式会社ジャパンゴルフマネージメント 管理サーバおよびマッチング方法
WO2024062793A1 (ja) * 2022-09-21 2024-03-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配送料金算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4510A (ja) 2000-06-02 2001-12-14 Yoshihiro Kagaw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並びに情報提供用ソフトウェアを記録した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4461A (ja) 2000-05-30 2001-12-14 Omc Inc 見積もり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2189791A (ja) * 2000-12-21 2002-07-05 Mitsubishi Electric Corp 不動産流通システム
JP2002197211A (ja) * 2000-12-25 2002-07-12 Canon Inc 修理仲介システム、修理仲介サーバ、修理仲介方法、修理仲介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334202A (ja) * 2001-05-09 2002-11-22 Hightech:Kk アウトソーシング企業評価方法、アウトソーシング企業評価システム、及びサーバ
JP2005301495A (ja) 2004-04-08 2005-10-27 Carzone:Kk 自動車売却システム
JP2013210840A (ja) 2012-03-30 2013-10-10 Alternative Inc 修理依頼仲介システム、このシステムが備えるサーバ、修理依頼仲介方法、この修理依頼方法をサーバに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こ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可搬式記録媒体
US20150302103A1 (en) * 2012-05-17 2015-10-22 Leo Jeremias Computer system and methods for chat enabled online search
JP6088293B2 (ja) 2013-03-06 2017-03-01 大成建設株式会社 建物管理システム
JP6339685B2 (ja) * 2014-01-24 2018-06-06 株式会社カカオKakao Corp. メッセージ仲介方法、メッセージ処理方法、サービス管理方法及び前記方法を行う装置
US20150371305A1 (en) * 2014-06-24 2015-12-24 Venkatesh GANAPATHY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moving logistics
WO2017033255A1 (ja) 2015-08-24 2017-03-02 楽天株式会社 買取仲介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23043B2 (ja) 2016-01-29 2022-02-21 ヤフー株式会社 査定先設定装置、査定先設定システム、及び査定先設定方法
JP6134424B1 (ja) * 2016-06-20 2017-05-24 ヤフー株式会社 提示装置、提示方法、及び提示プログラム
JP6441509B2 (ja) * 2016-12-19 2018-12-19 株式会社オプティム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店舗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170016A1 (en) * 2017-03-14 2018-09-20 Konnekti, Inc. System and method of optimizing the routing and delivery of services and goods, and notifications related to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4510A (ja) 2000-06-02 2001-12-14 Yoshihiro Kagaw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並びに情報提供用ソフトウェアを記録した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73097B2 (ja) 2023-05-12
CN112136147A (zh) 2020-12-25
US20210110442A1 (en) 2021-04-15
JP6998284B2 (ja) 2022-01-18
JP2020052590A (ja) 2020-04-02
JP2021144720A (ja) 2021-09-24
WO2020066038A1 (ja)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7464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コネクションのアクティビティに基づくソーシャル取引の提供
US9807044B2 (en) Selective communication of messages
JP3709423B2 (ja) 口コミ情報伝送装置、口コミ情報伝送方法、及び口コミ情報伝送プログラム
KR102180881B1 (ko) 렌터카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인공지능 기반 차량 검색 서비스 방법
JP6559933B2 (ja) 送金制御システム、送金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8419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sibility of elements of displayed electronic content
JP7273097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
KR101944996B1 (ko) 대행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2020129250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7313803B2 (ja) 情報送信方法、情報送信装置、情報送信プログラム
KR102273932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리뷰 임베디드 플랫폼 서버 및 그의 운용방법
KR101853226B1 (ko) 친구 추천 방법 및 서버 및 사용자 단말
JP7272771B2 (ja) サーバの通信方法、サーバ、サーバの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の通信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プログラム
JP7290384B2 (ja) 端末の通信方法、端末、端末のプログラム、サーバの通信方法、サーバ、サーバのプログラム
JP2010113487A (ja) 電子書籍の作者とアニメ漫画系クリエータとを結びつけるマッチングシステム
KR20220096365A (ko)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JP2020129280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0129279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0119220A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端末、サーバ、情報処理装置
JP7263448B2 (ja) 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67354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端末
CA30384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sibility of elements of displayed electronic content
KR102312155B1 (ko) 블록체인 분산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플랫폼
WO2023008282A1 (ja) サーバ、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067867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