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365A -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365A
KR20220096365A KR1020200188745A KR20200188745A KR20220096365A KR 20220096365 A KR20220096365 A KR 20220096365A KR 1020200188745 A KR1020200188745 A KR 1020200188745A KR 20200188745 A KR20200188745 A KR 20200188745A KR 20220096365 A KR20220096365 A KR 20220096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rance
terminal
information
customer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혁진
Original Assignee
손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혁진 filed Critical 손혁진
Priority to KR102020018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365A/ko
Publication of KR20220096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계사단말과, 보험정보를 작성하는 관리자단말과, 상기 관리자단말에서 작성된 보험정보를 설계사단말에 제공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보험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보험정보를 수신받는 고객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설계사단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보험정보를 고객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맞춤형 보험정보가 설계사의 고객에게 효율적으로 제공되므로 경험이 부족한 설계사도 전문성을 부각시키면서 보다 전문적인 보험설계가 가능해짐과 함께 고객에게 신뢰를 심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Service system for supporting insurance plan}
본 발명은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라인을 통해 관리서버에서 다양하고 전문적인 보험정보를 설계사의 고객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전문적이고 신뢰성있는 보험설계를 할 수 있는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험이란 개인이 사회활동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우발적 사고나 질병, 부상 등의 불확실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생겨난 제도이다.
보험회사는 사고로부터 보호받고자 하는 다수인에게서 일정한 과학적 기초에 의해 산출된 금액을 미리 각출하여 공동재산을 비축하고, 사고가 발생한 경우 공동재산으로부터 일정 금액을 사고당사자에게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보험에 대한 새로운 수요가 증가해왔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사회 각 분야의 필요성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분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험은 다양한 분야에서 수많은 보험상품들이 나와 있어서 막상 개인이 보험을 필요로 하더라도 스스로 자신에게 맞는 보험을 찾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 때 개인 또는 기업의 환경과 재무상황에 적합한 금융 및 자산설계를 지원하고 보험상품, 펀드, 등 고객에게 적합한 솔루션을 해주는 것이 흔히 FC(Financial Consultant) 또는 FP(Financial Planner)라고 불리는 보험설계사들이다.
보험설계사들은 보험사, 금융사 등에 재직하면서 자사의 상품을 권유하거나 제공할 수 있다.
회사에 재직하지 않는 개인(보험대리점 소속 보험설계사)들은 보험상품, 펀드, 은행상품, 대출 등 고객에게 적합한 솔루션을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보험설계사들은 고객들의 정보를 다이어리 또는 핸드폰에 저장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하면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고객관리를 해왔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온라인을 이용한 고객관리 방법이 시도되었고, 이러한 보험설계사들의 영업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보험설계사의 지원 시스템들의 경우 주로 온라인을 이용하여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분류 및 분석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보험설계사들이 고객을 상대로 영업을 하고 고객들의 정보를 취합하면, 시스템이 고객들의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 및 분류를 하고, 설계사는 그들에게 맞는 보험상품을 찾아내고 소개하여 최종적으로 보험 계약을 따내는 것을 도와주는 것이 주된 목표였다.
즉, 설계사들이 다이어리나 핸드폰 등에 개별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들을 찾아내는데 걸리던 시간을 단축시켜주고 고객의 니즈를 분석하기 편리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하지만 영업을 위해서는 직접 고객을 만나 상담을 하고 서류화된 문서들을 통해 보험상품을 소개해야 하는 등 온라인을 이용한 지원 시스템은 어디까지나 보조적인 수단에 불과했기 때문에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설계사의 경험과 능력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았다.
특히나 요즘 같은 코로나19 시대에 있어서는 고객들과의 대면 상담에 어려움이 많아졌기 때문에 온라인을 통해 고객들에게 보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보험상품을 소개할 수 있는 보험설계 보조 서비스의 필요가 절실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하고 전문적인 보험정보를 설계사의 고객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함과 함께 경험이 부족한 설계사도 전문적인 보험설계를 할 수 있고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설계사에겐 전문성을 부각시키고 고객에겐 신뢰를 줄 수 있는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설계사단말과, 고객단말과, 관리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보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보험정보를 상기 설계사단말 및 고객단말로 전송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이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보험정보를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 및 관리서버로 등록하는 관리자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자단말에 보험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보험정보등록부와, 상기 보험정보등록부에서 등록된 보험정보를 설계사단말 및 고객단말에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험정보등록부는 상기 설계사단말에도 보험정보의 작성을 위한 UI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설계사단말을 통해 등록된 보험정보를 고객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설계사단말 및 관리자단말에 메시지작성을 위한 UI를 제공하는 메시지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메시지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메시지를 고객단말 및 설계사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설계사단말 및 관리자단말에 설계사정보UI를 제공하는 설계사등록부와, 고객정보UI를 제공하는 고객등록부를 더 포함하여, 설계사정보 및 고객정보를 생성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설계사정보 및 고객정보 생성시 상기 설계사등록부 및 고객등록부가 보험사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설계사정보 및 고객정보를 제공받는 데이터중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지단말에 광고를 작성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광고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보험정보를 전송할 때, 상기 광고등록부에서 등록된 광고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데이터전송부에서 보험정보를 전송할 때, 외부광고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광고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광고중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에 의하면,
다양한 맞춤형 보험정보가 설계사의 고객에게 효율적으로 제공되므로 경험이 부족한 설계사도 전문성을 부각시키면서 보다 전문적인 보험설계가 가능해짐과 함께 고객에게 신뢰를 심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객은 관리서버 또는 설계사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맞춤형 보험정보와 함께 설계사에 대한 정보를 담은 설계사카드를 열람하고 전화 또는 온라인 메신저를 통해 소통할 수 있으므로 설계사와 고객 상호간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에서 설계사 및 고객 정보의 신규 생성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에서 외부광고서버로부터 광고를 제공받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보험정보의 생성 및 전송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설계사에 의한 보험정보의 생성 및 전송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과정을 예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갯수,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는 한 도면에 예시된 사항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해 다양하고 전문적인 보험정보를 설계사의 고객이나 지인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전문적이고 신뢰성있는 보험설계를 할 수 있는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이 일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 시스템은 설계사단말(100)과, 관리자단말(200)과, 관리서버(300)와, 데이터베이스(400)와, 고객단말(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설계사단말(100)은 보험설계사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온라인을 통한 보험 설계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온라인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이며 스마트폰, 태블릿PC, 랩탑PC, 넷북과 같은 휴대용 기기일 수도 있고, 데스크탑PC와 같은 설치형 단말기일 수도 있다.
또한, 설계사 개인 소유의 단말기 일수도, 설계사가 소속된 보험사나 보험대리점의 단말기 일 수도 있다.
상기 설계사단말(100)은 상기 관리서버(300)에 의해 전송되는 보험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설계사단말(100)로 제공되는 보험정보는 설계사단말(100)에 전송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고객단말(500)로도 전송이 되는데, 고객 등록시기 또는 온라인 장애로 인한 수신불가 등의 문제로 고객단말(500)로 전송되지 못한 경우에는 설계사가 관리서버(300)에 직접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설계사는 자신의 설계사단말(100)로 상기 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보험정보 중에서 자신의 고객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전송을 요청하면 관리서버는 상기 고객단말(500)로 보험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설계사단말(100)을 통해 보험정보를 열람할 때 설계사 자신이 고객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보험정보가 있으면 별도로 추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추천기능은 특정 보험정보를 전송받지 못한 고객이나 후에 추가 등록된 고객이 직접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보험정보의 전송을 요청함으로써, 설계사가 직접 전송요청을 하지않더라도 보험정보에 관심있는 고객이 자신의 고객단말로 보험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관리자단말(200)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관리자측에서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상기 관리자단말(200)은 보험정보를 신규 작성하여 상기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시키고 해당 보험정보를 상기 설계사단말(100) 및 고객단말(500)로 전송함으로써 설계사 및 고객에게 다양한 보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단말(200)은 기본적으로 관리자가 소속된 보험사 또는 보험정보를 제공하는 전문업체의 단말기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설계사단말(100)과 마찬가지로 관리자 개인 소유의 휴대용기기를 통해 관리자단말(200)로서의 기능을 대신 수행할 수 있도록 허가된 단말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험정보는, 보험사에서 판매하는 기존 또는 신규 보험상품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으며, 보험과 관련된 뉴스, 보험과 관련된 전문용어에 대한 해설, 보험사 또는 보험상품을 비교하는 문서 또는, 보험금을 수령하기 위한 절차를 소개하는 문서 등 보험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관리자단말(200)에서 신규 작성된 보험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하고 설계사단말(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관리서버(300)는 설계사단말(100)로 보험정보를 전송할 때, 설계사단말(100)을 통해 고객으로 등록된 고객단말(500)로도 해당 보험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설계사가 보험정보를 자신의 고객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할 필요 없이 바로 고객에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300)는 설계사가 설계사단말(100)을 통해 접속하면,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이전 보험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설계사단말(1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특정 보험정보를 상기 고객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가 설계사단말(100)의 요청에 의해 보험정보를 전송할 때, 설계사가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보험정보 중에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고 자신의 고객 중 특정 고객들의 고객단말만을 대상으로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300)가 설계사단말(100)의 요청에 의해 보험정보를 고객단말(500)로 전송할 때, 해당 설계사단말(100)을 사용하는 설계사의 정보를 담은 설계사카드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설계사 카드란, 고객이 자신을 담당하는 설계사의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해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으로, 설계사에 대한 기본 정보와, 전화번호, 또는 메신저 아이디와 같은 연락처가 별도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관리서버(300)는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보험정보등록부(310)와, 메시지등록부(320)와, 광고등록부(330)와, 데이터전송부(340)와, 설계사등록부(350)와, 고객등록부(360)와, 데이터중계부(370)와, 광고중계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험정보등록부(310)는 보험정보를 신규 작성할 수 있도록 관리자단말(200)에 보험정보 작성용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보험정보의 제목, 내용, 관련 이미지파일, 관련 웹페이지 링크 등 보험정보 작성을 위한 다양한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험정보등록부(310)는 관리자단말(200)에서 신규 보험정보 작성이 완료되면 해당 보험정보를 등록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
상기 보험정보등록부(310)는 상기 설계사단말(100)에도 보험정보 작성용 UI를 제공함으로써, 설계사가 자신이 직접 작성한 보험정보를 등록시키게 할 수 있으며, 설계사에게 제공되는 UI에는 고객에게 전송하는 시점 및 전송할 대상 고객을 선택하는 메뉴가 추가될 수 있다.
즉, 관리자단말에 의해 작성되는 보험정보가 모든 설계사와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과는 다르게, 설계사가 작성하는 보험정보는 자신의 고객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를 담을 수 있으며, 자신의 고객들 중에서도 특정한 고객을 대상으로 하여 해당 고객단말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험정보등록부(310)는 이렇게 설계사가 직접 보험정보를 작성하는 경우, 설계사단말(100)에서 작성된 보험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임시로 등록시킨 후 상기 데이터전송부(340)를 통해 관리자단말(200)에 전송하여, 설계사단말(100)에서 작성된 보험정보에 문제가 없는지 판단하는 절차를 거칠 수 있다.
이 때, 관리자는 관리자단말(200)을 통해 설계사단말(100)에서 작성된 보험정보를 확인한 후 고객에게 전송해도 문제 없다고 판단되면 해당 보험정보를 승인하고,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승인을 보류할 수 있으며 승인 보류된 보험정보는 다시 설계사단말(10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관리자에 의한 검증을 거치는 이유는 설계사단말에서 작성된 보험정보의 공신력을 높이고, 설계사의 실수 또는 비전문성에 의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설계사는 자신이 작성한 보험정보가 관리자에 의해 승인 보류가 되어 재전송이 된 경우, 해당 보험정보를 삭제하거나 재수정을 통해 다시 승인 검정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승인 결정된 보험정보는 작성시 설계사가 지정한 시간 및 대상에 맞춰 고객에게 전송된다.
관리자의 승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일정시간이 경과된 경우, 예를 들면, 관리자의 실수에 의한 누락, 관리자의 태만 및 기타 이유로 승인이 늦어지는 보험정보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승인처리되어 고객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는 빠르게 필요한 보험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차후 관리자에 의해 해당 보험정보에 문제점이 발견된 경우, 승인불가로 처리되어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험정보등록부(310)는 설계사단말(100)에서 보험정보를 신규 작성할 때, 등록 후 바로 고객단말로 전송하지 않고 고객에게 전송할 날짜와 시간을 특정해서 일정 개수까지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설계사단말(100)에서 보험정보를 일정 개수까지 미리 작성하여 저장하고 각 보험정보별로 보낼 날짜와 시간을 설정해두면, 관리자의 승인을 거친 후 해당 날짜와 시간에 보험정보가 고객단말(500)로 전송되는 것이다.
상기 메시지등록부(320)는 상기 관리자단말(200) 및 설계사단말(100)에서 메시지를 작성하여 설계사 또는 고객을 대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메시지 작성용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리자단말(200)에서 작성되는 메시지는 설계사와 고객 중 최소 하나 이상을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고, 설계사단말(100)에서 작성되는 메시지의 경우 고객만을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자신의 고객들 중 최소 하나 이상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등록부(320)는 설계사가 자신의 고객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설계사단말(100)에서 고객단말(500)로 일정 기간 또는 특정한 시간을 지정하여 정기적인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시지등록부(320)에서도 상기 보험정보등록부(310)에서 고객단말로 전송할 보험정보를 미리 작성해두는 것과 같이, 고객의 생일 및 보험료 납입일과 같은 특정 날짜에 보낼 메시지를 사전 작성하거나, 특정 요일을 지정하여 고객에게 정기적으로 전송할 메시지를 사전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을 메시지 작성 UI에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험정보와 메시지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해보면, 보험정보는 각 보험사의 보험상품에 대한 소개, 보험과 관련된 각종 뉴스나 기타 정보등 보험설계와 관련된 내용을 담은 문서라고 할 수 있다면, 메시지는 관리자가 설계사나 고객에게, 설계사가 고객에게 급한 전달사항이 있을 경우 발송하는 긴급메시지의 성격을 띄고 있다.
설계사단말 또는 고객단말에서 보험정보나 메시지 모두 제목과 대표이미지 및 간단한 내용설명이 포함된 문자메시지의 형태로 보여지게 된다.
보험정보의 경우 문자메시지를 터치 또는 클릭하여 관리서버(300)로 접속을 해야만 그 곳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반해, 메시지는 제목과 내용 일정 크기 이하의 이미지만 포함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상세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문자메시지 그 자체로만 내용을 전달한다.
즉, 보험정보는 상기 관리서버(300)에 접속을 해야 열람이 가능한데 반해, 메시지는 각 단말에 일반적인 문자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되기 때문에 관리서버(300)에 접속할 필요없이 즉시 내용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보험정보는 한번 등록되면 삭제처리를 하지 않는한 지속적으로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지만, 메시지의 경우 관리자단말(200)에서 보관기간을 설정하여 일정기간이 경과된 메시지를 삭제되도록 할 수 있으며, 기간을 따로 설정하지 않는 경우 보험정보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인 보관이 가능하다.
상기 광고등록부(330)는 상기 보험정보등록부(310)에서 등록된 보험정보 또는 메시지등록부(320)에서 등록된 메시지가 상기 데이터전송부(340)를 통해 설계사단말(100) 및 고객단말(500)로 전송될 때 함께 전송되는 광고를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을 관리자단말(200)에 제공한다.
상기 광고등록부(330)는 이를 위한 광고 작성용 UI를 관리자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동영상 자료를 업로드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전송부(340)는 상기 보험정보등록부(310) 및 메시지등록부(320)에서 등록된 보험정보 및 메시지를 지정된 대상 즉, 설계사단말(100) 또는 고객단말(5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전송부(340)는 상기 광고등록부(330)에서 등록된 광고가 있는 경우 해당 광고를 보험정보 및 메시지에 첨부하여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설계사등록부(350) 및 고객등록부(360)를 통해 설계사 및 고객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하는 과정이 예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계사등록부(350)는 신규 설계사정보를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객등록부(360)는 신규 고객정보를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설계사등록부(350) 또는 고객등록부(360)를 통해 설계사정보 및 고객정보를 작성하는 주체는 시스템의 관리 규정에 따라 관리자단말(200)이 될 수도 설계사단말(100)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설계사등록부(350) 및 고객등록부(360)는 보험사나 증권사가 시스템 관리의 주체가 되어 관리자단말을 통해 설계사정보 및 고객정보를 자사의 DB 또는 기록물을 토대로 작성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에, 등록에 필요한 설계사등록 및 고객등록용 UI를 관리자단말(200)에 제공하게 된다.
외부의 DB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즉, 설계사를 통한 자유로운 등록이 허락되거나,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보험사 및 증권사가 아닌 보험정보 및 보험설계를 지원하는 전문업체가 시스템 관리의 주체가 되는 경우, 설계사단말(100)을 통해 설계사가 직접 개인정보로 서비스에 가입하고 자신의 고객정보를 등록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계사등록부(350)는 설계사등록 UI를 설계사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설계사의 개인정보와 소속회사, 경력 등의 기본정보 이외에 별도의 ID나 E-mail, 패스워드같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설계사등록부(350)를 통해 등록이 완료되면 설계사는 본 시스템을 통한 보험설계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며 추가적으로 고객등록부(360)를 통해 자신의 고객들을 등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객등록부(360)는 설계사등록을 마친 설계사가 설계사단말(100)을 통해 자신의 고객들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고객등록 UI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중계부(370)는 자사의 보험사데이터베이스(600)를 보유한 보험사나, 시스템의 서비스를 맡고 있는 전문업체가 하나 이상이 보험사와 계약을 맺고 보험사데이터베이스(600)와 연동할 수 있게 되는 경우, 해당 보험사의 설계사정보 및 고객정보를 가져와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설계사단말(100)을 통해 간단한 개인정보, 예를 들어 설계사의 이름과 소속된 보험사만 기입하면 상기 데이터중계부(370)가 일치되는 보험사데이터베이스(600)의 설계사 정보 및 관련된 고객정보를 가져옴으로써, 설계사가 추가적인 정보의 입력으로 소모되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해준다.
이 때, 상기 데이터중계부(370)는 상기 설계사단말(100)로부터 입력된 설계사의 개인정보와 보험사데이터베이스(600)에 일치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설계사단말(100)을 사용하는 자가 본인이 맞는지 확인하는 인증절차를 거칠 수 있다.
여기서, 인증결과에 의해 본인으로 확인된 경우, 보험사데이터베이스(600)의 설계사정보 및 고객정보를 제공하여 추가적인 정보의 입력없이 바로 설계사정보 등록 및 고객정보 등록을 마칠 수 있게 해주며, 본인 인증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해당 정보는 설계사에게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뜻하지 않게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는 자체적으로 제작하는 광고가 아닌 외부의 광고업체를 통해 광고를 제공받는 경우에 대해 예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고중계부(370)는 보험사 또는 서비스를 맡고 있는 전문업체가 자체적으로 작성한 광고가 아닌 외부광고업체와 제휴하여 외부광고를 삽입하는 경우 제휴 업체의 외부광고서버(700)를 통해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외부광고서버(700)를 통해서 제공받는 광고는 상기 광고등록부(330)에서 작성된 광고와 동일하게 보험정보 또는 메시지가 상기 데이터전송부(340)를 통해 설계사단말(100) 및 고객단말(500)로 전송될 때 함께 전송되며 광고문구, 그림 및 동영상파일의 링크가 포함된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상기 관리자단말(200) 및 설계자단말에서 작성된 보험정보, 메시지, 광고, 설계사정보, 고객정보 등이 저장되는 곳으로, 상기 관리서버(30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400)에 모든 정보들이 등록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관리자단말(200)을 통해 특정 보험정보에 대해서 수정 또는 삭제가 진행된 경우, 또는 저장된 메시지가 설정된 보관기간을 경과한 경우 저장된 정보 및 메시지에 대한 갱신 및 삭제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고객단말(500)은 설계사가 담당하거나 고객 또는 보험상품을 추천하고자 하는 지인의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PC, 랩탑PC, 넷북과 같은 휴대용 기기 중 하나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데스크탑PC와 같은 설치형 단말기일 수도 있다.
상기 고객단말(500)에서는 상기 설계사단말(100)을 통해 전송받은 보험정보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보험정보의 열람 이외에도 설계사카드를 통한 설계사 정보의 확인, 설계사가 추천한 보험상품 등의 추가적인 보험정보의 열람까지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고객단말(500)로 제공되는 설계사카드에 링크된 설계사의 전화번호 또는 메신저 정보로 설계사와 직접 연락을 하여 보험상품에 대한 상담이나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을 살펴보았던 바,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보험설계 지원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보험설계 지원 시스템에서 설명된 부분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 방법은 먼저 보험정보를 작성하고 전송하는 방법과, 메시지를 작성하고 전송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5 또는 도 6에는 보험설계 지원방법 중 보험정보를 작성하고 전송하는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관리자단말(200)에서 보험정보를 작성하는 단계(S110)를 수행하게 된다.
즉, 관리자가 자신의 관리자단말(200)로 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보험정보 작성용 UI를 통해 보험정보를 새로 작성하거나 이전에 작성 도중 임시 저장되었던 보험정보를 로드하여 보험정보 작성을 마무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관리자단말(200)에서 작성 완료된 보험정보는 보험정보등록부(310)를 통해 새로운 보험정보로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서버(300)는 신규 작성된 보험정보를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는 단계(S120)를 거치게 된다.
상기 보험정보등록부(310)에 의해 신규 보험정보가 등록되면, 상기 데이터전송부(340)는 해당 보험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된 등록된 모든 설계사의 설계사단말(100)로 전송(S130)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전송부(340)는 보험정보를 전송받는 설계사단말(100)에 고객으로 등록되어 있는 모든 고객단말(500)로 보험정보를 전송(S140)한다.
여기서, 상기 설계사단말(100)에 고객으로 등록되어 있는 고객단말(500)을 대상으로 보험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고객단말(500)에서는 고객으로 등록된 이후에 작성되었던 보험정보만 전송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객단말(500)이 등록된 시점 이전에 작성된 보험정보를 필요로 하거나, 온라인 상의 에러 및 기타 문제로 보험정보를 전송받지 못했을 때 설계사단말(100) 또는 고객단말(500)을 통해서 직접 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필요한 보험정보를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설계사단말(100)을 통해 설계사는 관리서버(300)에 저장된 보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을 열람하고 고객에게 보낼 보험정보와 대상고객을 선택하여 해당 보험정보의 재전송을 요청(S150)할 수 있다.
고객 또한, 자신의 고객단말(500)에 표시되는 설계사카드를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설계사를 거치지 않더라도 원하는 보험정보를 열람하고 자신의 고객단말로 보험정보의 재전송을 요청(S150)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계사단말(100)의 경우 자신의 고객들 중 원하는 다수의 고객을 대상으로 할 수 있지만, 고객단말(500)의 경우에는 오직 자신만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설계사단말(100) 또는 고객단말(500)을 통해 보험정보의 재전송을 요청(S150)하면, 데이터전송부(340)는 설계사가 선택한 고객 또는 신청자 본인의 고객단말(500)로의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보험정보가 상기 고객단말(500)로 전송이 완료되면 고객은 언제든지 자신에게 전송된 보험정보를 열람(S160)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관리서버(300)는 해당 고객을 담당하는 설계사의 설계사카드도 함께 제공하기 때문에 고객은 의문사항이 있거나 보험상품에 가입하고 싶을 경우 설계사카드에 링크된 설계사의 연락처로 연락할 수 있게 된다.
보험정보를 관리자뿐만 아니라 설계사도 작성을 할 수 있고 이 것은 시스템을 관리하는 측의 제반 여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도 6에는 설계사가 직접 보험정보를 작성하고 등록시키는 방법에 대해 예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설계사가 보험정보를 작성하여 등록시킬 수 있는 시스템의 경우 관리서버(300)는 설계사단말(100)로도 보험정보 작성 UI를 제공한다.
여기서 해당 UI에는 보험정보의 제목, 내용, 이미지와 초기 전송 대상을 지정하는 것 이외에, 보험정보를 공개/비공개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
이 공개/비공개 설정은 보험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대상을 선택하는 것으로, 공개로 설정할 경우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설계사와 고객들에게도 해당 정보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게 되며, 비공개로 설정할 경우 자신과 관리자 그리고 자신의 고객들에게만 해당 정보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게 된다.
설계사단말(100)에 의한 보험정보 작성(S210)이 완료되면 보험정보등록부(310)는 해당 보험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 및 저장하는 단계(S220)를 수행한다.
이 때 관리서버(300)는 설계사가 작성한 보험정보의 내용에 문제가 없는지 관리자의 판단을 거치기 되며, 그에 따라 데이터전송부(340)는 해당 보험정보를 관리자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S230)를 진행한다.
이후, 관리자단말(200)에서 설계사에 의해 작성된 보험정보를 열람하고 승인을 하는 절차(S240)를 거쳐야 하는데, 관리자의 승인처리가 되지 못한채 시간이 오래 경과될 경우 해당 정보가 고객들에게 전달되는 시간이 오래 지체되는 문제를 막기 위해 대기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시간이란 관리자가 설계사단말에서 작성된 보험정보의 내용을 파악하여 전문적인 보험정보로서 문제가 없는지 판단하고 최종승인을 마치는데 걸리는 최소한의 시간으로 설정되며, 해당시간은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고, 빠른 처리를 위해 관리자의 여건에 따라 예외시간을 둘 수도 있다.
이 대기시간 내에 관리자는 설계사가 작성한 보험정보의 내용을 파악하고 승인절차를 수행(S240)하여 승인 또는 승인 보류를 처리해야 한다.
관리자에 의해 보험정보가 승인되거나 작성후 대기시간이 경과된 경우 해당 보험정보는 즉시 초기 전송 대상으로 선택된 고객단말(500)로 전송(S250)되고 고객단말(500)을 통해 고객은 자신의 설계사가 작성한 보험정보를 열람(S260)할 수 있게 된다.
초기 전송 이후에도 보험정보는 데이터베이스(400)에 계속 저장되어 있으므로 초기 전송 대상에서 제외된 고객의 경우에도 설계사는 추가적인 전송요청을 통해 고객에게 보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에는 보험설계 지원방법 중 메시지를 작성하고 전송하는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메시지는 관리자가 설계사 또는 고객에게, 설계사가 고객에게만 일방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수직적인 발송체계를 가지며, 짧은 내용의 문자메시지 그 자체를 보내는 것으로 전송 대상자는 관리서버(300)에 접속하지 않고도 전체적인 내용을 볼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단말(200) 및 설계사단말(100)에서 메시지를 작성(S310)하게 되면 해당 메시지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S320)되고 관리자단말(200) 및 설계사단말(100)에서 메시지를 보낼 대상을 선택(S330)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관리자의 경우 설계사와 고객 중에서 최소 하나 이상을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설계사와 고객 모두를 대상으로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설계사의 경우 자신의 고객 중에서 최소 하나 이상을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다수의 대상 또는 고객 전체를 대상으로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대상 선택이 마무리되면 데이터전송부(300)는 선택된 대상 전체에게 메시지를 전송(S340)한다.
설계사는 설계사단말(100)로 고객은 고객단말(500)로 자신에게 전송된 메시지를 열람(S350)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일정의 보관기간 지나면 해당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삭제(S360)하는 삭제처리를 단행한다.
여기서, 메시지의 보관기간은 관리자 혹은 시스템을 관리하는 측에서는 설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기간을 정하지 않는 경우 메시지는 삭제되지 않고 계속 데이터베이스(400)에 보관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았는 바,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맞춤형 보험정보를 설계사의 고객에게 직접 제공하거나 또는 설계사가 자신의 고객들에게 맞는 보험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사에게 제공함으로써 초보 설계사일지라도 보다 전문적인 보험설계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고객에게 신뢰를 심어줄 수 있고, 고객의 입장에서도 제공받는 맞춤형 보험정보와 함께 설계사에 대한 정보를 담은 설계사카드를 열람하고 전화 또는 온라인 메신저를 통해 소통할 수 있어서 설계사와 고객 상호간의 신뢰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100: 설계사단말 200: 관리자단말
300: 관리서버 310: 보험정보등록부
320: 메시지등록부 330: 광고등록부
340: 데이터전송부 350: 설계사등록부
360: 고객등록부 370: 데이터중계부
380: 광고중계부 400: 데이터베이스
500: 고객단말 600: 보험사데이터베이스
700: 외부광고서버

Claims (11)

  1. 설계사단말과, 고객단말과, 관리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보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보험정보를 상기 설계사단말 및 고객단말로 전송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정보를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 및 관리서버로 등록하는 관리자단말;을 더 포함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관리자단말에 보험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보험정보등록부와,
    상기 보험정보등록부에서 등록된 보험정보를 설계사단말 및 고객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정보등록부는 상기 설계사단말에도 보험정보의 작성을 위한 UI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설계사단말을 통해 등록된 보험정보를 고객단말로 전송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설계사단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보험정보를 고객단말로 전송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설계사단말 및 관리자단말에 메시지작성을 위한 UI를 제공하는 메시지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메시지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메시지를 고객단말 및 설계사단말로 전송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등록부는 상기 설계사단말 및 관리자단말을 통해 메시지를 작성할 때 메시지가 전송될 날짜와 시간 및 상황을 사전 설정할 수 있는,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설계사단말 및 관리자단말에 설계사정보UI를 제공하는 설계사등록부와, 고객정보UI를 제공하는 고객등록부를 더 포함하여, 설계사정보 및 고객정보를 생성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설계사정보 및 고객정보 생성시 상기 설계사등록부 및 고객등록부가 보험사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설계사정보 및 고객정보를 제공받는 데이터중계부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자단말에 광고를 작성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광고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보험정보를 전송할 때, 상기 광고등록부에서 등록된 광고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데이터전송부에서 보험정보를 전송할 때, 외부광고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광고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광고중계부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KR1020200188745A 2020-12-31 2020-12-31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KR20220096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745A KR20220096365A (ko) 2020-12-31 2020-12-31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745A KR20220096365A (ko) 2020-12-31 2020-12-31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365A true KR20220096365A (ko) 2022-07-07

Family

ID=8239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745A KR20220096365A (ko) 2020-12-31 2020-12-31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63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660B1 (ko) 2023-05-11 2024-04-01 양승권 비표준 보험설계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660B1 (ko) 2023-05-11 2024-04-01 양승권 비표준 보험설계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89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as conversations between participants
US8014756B1 (en) Mobile authorization service
US2011027649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financial document clearinghouse and secure delivery network
US202302525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lists using an information storage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60232546A1 (en) Computer processing of financial produc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consumers of financial products
US200200167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innovation marketplace
US118419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sibility of elements of displayed electronic content
US20190362430A1 (en) Electronic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for completing life insurance settlement transactions and obtaining and managing electronic signatures for life insurance settlement transaction documents
US118424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and monitoring assets available for acquisition
US1021710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ed transactions using an information wallet
US20110218912A1 (en) Provider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 that facilitates interac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organizations
US201703579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automated workforce management systems and work intermediation platforms
US20220222682A1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identity validation for consumer rights requests and related methods
US20200242600A1 (en) System for leveraged collaborative pre-verification and authentication for secure real-time resource distribution
US10699249B2 (en) Point-of-contact database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US7974944B2 (en) Human data management
KR102609713B1 (ko)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96365A (ko) 온라인을 이용한 보험설계 지원시스템
AU2018223023A1 (en) Computer processing of financial produc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consumers of financial products
KR20220153145A (ko) 보험계약 체결용 장치 및 보험계약 체결방법
US110573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document upload via electronic mail
KR102575209B1 (ko)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21083B1 (ko) 국내 거주 외국인의 비자발급 및 비자연장 신청을 위한 토탈 온라인 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30306519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US20230206153A1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fulfilling data subject access requests and related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