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713B1 -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713B1
KR102609713B1 KR1020200060683A KR20200060683A KR102609713B1 KR 102609713 B1 KR102609713 B1 KR 102609713B1 KR 1020200060683 A KR1020200060683 A KR 1020200060683A KR 20200060683 A KR20200060683 A KR 20200060683A KR 102609713 B1 KR102609713 B1 KR 102609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sent
guardian
information
servic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3149A (ko
Inventor
정재원
김용찬
정유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쿠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3640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1938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쿠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쿠콘
Priority to KR1020200060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71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149A/ko
Priority to KR1020230033790A priority patent/KR102575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8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delegation of authentication, e.g. a proxy authenticates an entity to be authenticated on behalf of this entity vis-à-vis an authentication e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은, 동의 요청자 및 동의 요청자의 보호자를 포함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이용기관으로부터 동의 요청자인 제1 사용자에 관련된 업무 처리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부; 및 상기 업무 처리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된 업무 처리에 대한 승인을 제2 사용자에게 요청하며, 상기 제2 사용자의 응답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도록 인증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인증부에 의해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이 승인될 경우, 상기 이용기관에 승인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미성년자의 금융 업무와 같이 보호자에 의한 동의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보호자가 상기 시스템을 통해 쉽게 동의 의사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성년자 등의 업무 행위에 대한 안전 장치를 마련하면서도, 이들 또한 간편결제 방식의 전자 상거래 등 새로운 서비스를을 쉽게 향유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FOR FACILITATING AGREEMENT, AND USER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간편동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성년자의 금융 업무와 같이 행위자의 행위가 보호자에 의한 동의를 필요로 하는 업무에 있어서 미성년자의 행위에 대한 보호자의 동의 과정을 사용자 장치 및 서버를 통해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최근 핀테크(fintech) 시대를 맞이하여,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이 아닌 사업자들도 간편결제 서비스처럼 금융과 정보통신 기술이 융합된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사회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의 일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1693421호는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핀테크 기업들이 간편결제 서비스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 오픈 플랫폼(open platform) 기반의 금융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핀테크 사업자에 대하여 자신의 금융 정보와 연계한 본인 인증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런데, 성인이 아닌 미성년자의 경우에는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하는 비대면 본인 인증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미성년자가 핀테크 사업자의 서비스에 대한 회원가입 시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재까지 미성년자는 간편결제 등 본인 인증을 요하는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비대면 인증을 통해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93421호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예컨대 미성년자가 핀테크(fintech) 사업자가 제공하는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와 같이 행위자의 행위가 보호자에 의한 동의를 필요로 하는 업무에 있어서, 미성년자의 행위에 대한 보호자의 동의 과정을 사용자 장치와 서버를 통하여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은, 동의 요청자 및 동의 요청자의 보호자를 포함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이용기관으로부터 동의 요청자인 제1 사용자에 관련된 업무 처리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부; 및 상기 업무 처리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된 업무 처리에 대한 승인을 제2 사용자에게 요청하며, 상기 제2 사용자의 응답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도록 인증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인증부에 의해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이 승인될 경우, 상기 이용기관에 승인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은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업무 처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관계 정보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보호자임이 확인되며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업무 처리 요청을 승인할 경우 상기 승인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은, 제3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3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사용자에 의해 등록이 요청되는 동의 요청자인 제4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식별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사용자와 상기 제4 사용자 사이의 상기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관계 등록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계 등록부는,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조회된 상기 제3 사용자의 가족관계 등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사용자가 상기 제4 사용자의 보호자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3 사용자가 상기 제4 사용자의 보호자일 경우 상기 제3 사용자와 상기 제4 사용자 사이의 상기 관계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계 등록부는, 상기 제3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4 사용자의 이름을 상기 가족관계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3 사용자가 상기 제4 사용자의 보호자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계 등록부는, 상기 제3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스크래핑(scraping) 엔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 정보가 저장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과 통신하며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동의 요청자에 관련된 업무 처리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상기 업무 처리 요청와 관련하여 상기 동의 요청자의 보호자에 의한 승인 입력을 입력받도록 구성된 입력부; 및 상기 보호자에 의해 상기 승인 입력이 입력될 경우,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과 통신함으로써 상기 동의 요청자와 상기 보호자의 관계가 상기 관계 정보에 의해 인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인증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승인 입력이 입력되며 상기 동의 요청자와 상기 보호자의 관계가 상기 관계 정보에 의해 인증될 경우, 상기 업무 처리 요청에 상응하는 승인 정보를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보호자에 대한 새로운 동의 요청자의 등록이 요청될 경우, 상기 보호자의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스크래핑하도록 구성된 스크래핑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인증부는, 상기 가족관계 등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동의 요청자와 상기 보호자의 상기 관계 정보 생성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방법은, 동의 요청자 및 동의 요청자의 보호자를 포함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 정보를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이용기관으로부터 동의 요청자인 제1 사용자에 관련된 업무 처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업무 처리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된 업무 처리에 대한 승인을 제2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2 사용자의 응답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이 승인될 경우, 상기 이용기관에 승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은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업무 처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계 정보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보호자임이 확인되며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업무 처리 요청을 승인할 경우 상기 승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방법은,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제3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3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사용자에 의해 등록이 요청되는 동의 요청자인 제4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수신된 식별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사용자와 상기 제4 사용자 사이의 상기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조회된 상기 제3 사용자의 가족관계 등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사용자가 상기 제4 사용자의 보호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3 사용자가 상기 제4 사용자의 보호자일 경우 상기 제3 사용자 및 상기 제4 사용자 사이의 상기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사용자가 상기 제4 사용자의 보호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3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4 사용자의 이름을 상기 제3 사용자의 가족관계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3 사용자가 상기 제4 사용자의 보호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제3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에 의해 상기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 정보가 저장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과 통신하며 동작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동의 요청자에 관련된 업무 처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업무 처리 요청와 관련하여, 상기 동의 요청자의 보호자에 의한 승인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보호자에 의해 상기 승인 입력이 입력될 경우,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과 통신함으로써 상기 동의 요청자와 상기 보호자의 관계가 상기 관계 정보에 의해 인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승인 입력이 입력되며 상기 동의 요청자와 상기 보호자의 관계가 상기 관계 정보에 의해 인증될 경우, 상기 업무 처리 요청에 상응하는 승인 정보를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방법은, 상기 보호자에 대한 새로운 동의 요청자의 등록이 요청될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보호자의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스크래핑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가족관계 등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동의 요청자와 상기 보호자의 상기 관계 정보 생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시예들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동의 요청자의 행위에 대해 보호자에 의한 동의가 요구되는 행위에 대하여, 이용기관, 사용자 장치 및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통한 전자 통신 방식으로 보호자가 동의 요청자의 요청 내역을 쉽게 확인하고 이에 대한 동의 의사를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은, 핀테크(fintech) 사업자가 제공하는 간편결제 서비스를 미성년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등과 같이 행위자의 행위가 보호자에 의한 동의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업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미성년자가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간편결제 등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 이용에 대한 부모 동의를 요청하면, 부모가 자신의 스마트폰(smartphone) 등 사용자 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요청을 확인 및 승인함으로써, 미성년자가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에 동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미성년자와 같이 보호자의 동의를 요하는 자의 업무 행위에 대한 안전 장치를 마련하면서도, 이처럼 보호자의 동의를 요하는 사용자들도 간편결제 방식의 전자 상거래 등과 같이 변화하는 거래 실정에 맞춘 새로운 서비스를을 쉽게 향유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을 통한 미성년자 자녀 등록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장치 상에서의 미성년자 자녀의 등록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동의 요청자의 요청에 대한 보호자의 승인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은 이용기관 서버(4)로부터 동의 요청자의 업무와 관련된 업무 처리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동의 요청자에 상응하는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2)와의 통신을 통하여 보호자가 동의 요청자의 업무 요청을 확인 및 승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은 동의 요청자와 보호자 사이의 관계 등록을 위하여 공공기관 서버(5)로부터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용기관 서버(4), 공공기관 서버(5), 사용자 장치(1) 및/또는 사용자 장치(2)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임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에 의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 및 이와 통신하는 각각의 시스템, 장치, 서버 및 이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module)", "서버", "시스템", "플랫폼", "장치" 또는 "단말"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이용기관 서버(4)는 금융기관이 아니지만 금융업무 처리가 수반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장치로서, 예컨대, 간편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fintech) 사업자의 서버를 지칭할 수 있다. 또는, 이용기관 서버(4)는 간편결제 서비스와 연동되어 있는 오픈 마켓(open market) 등 쇼핑몰 서버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용기관의 형태는 핀테크 사업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용기관은 보호자의 동의를 수반하는 업무가 처리되어야 하는 임의의 종류의 업무 또는 서비스에 관련된 기관일 수 있다.
동의 요청자는 사용자 장치(1)를 이용하여 이용기관 서버(4)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동의 요청자는 스마트폰(smartphone)과 같은 단말기에서 이용기관이 제공하는 핀테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을 실행함으로써 이용기관 서버(4)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동의 요청자의 서비스 가입 또는 서비스 이용 도중 필요한 특정 업무와 관련된 사용자 장치(1)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이용기관 서버(4)가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을 통해 보호자의 동의를 요청함으로써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 의한 동작이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동의 요청자는, 자신의 모든 행위 또는 일부 특정한 행위에 대하여 법에 의하여 또는 동의 요청자가 이용하는 서비스 약관 등 약정에 의하여 보호자의 동의를 필요로 하는 임의의 사용자를 지칭한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동의 요청자는 미성년자이며, 보호자는 해당 미성년자의 법정대리인인 부모인 것으로 상정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미성년자가 이용하는 이용기관의 서비스는 핀테크 기반의 간편결제 서비스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동의 요청자 및 보호자는 미성년자와 그 부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정치산자 또는 금치산자와 그 법정대리인 등 특정 사용자(동의 요청자)의 행위에 대해 다른 사용자(보호자)의 동의가 수반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들이 실시예들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여 보호자의 동의가 이루어지는 업무 처리는, 간편결제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회원 가입, 간편결제 서비스에의 계좌 등록, 간편결제 서비스를 통한 대금 결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사용자(동의 요청자)의 행위에 대해 다른 사용자(보호자)의 동의가 가능한 임의의 형태의 업무에 대해 실시예들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은 송수신부(3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0) 및 인증부(32)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은 관계 등록부(33)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 부(30-33)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을 이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각 부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부가 다른 부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의 각 부는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0)는 동의 요청자 및 동의 요청자의 보호자를 포함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 정보란, 특정 사용자가 행위에 대해 보호자의 동의를 필요로 하는 자, 즉, 동의 요청자인지 여부와, 해당 사용자가 동의 요청자일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한 동의가 가능한 보호자가 누구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지칭한다.
송수신부(31)는, 이용기관으로부터 동의 요청자인 제1 사용자에 관련된 업무 처리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업무 처리 요청이란 미성년자인 제1 사용자가 간편결제 서비스에 가입하거나, 간편결제 서비스 상에서 계좌 등록 또는 대금 지불을 위한 송금 등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은 핀테크 사업자 등 이용기관 서버(4)와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이 경우 송수신부(31)는 이용기관 서버(4)로부터 전술한 업무 처리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송수신부(31)는 핀테크 사업자가 제공하는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미성년자 본인의 사용자 장치(1)로부터 업무 처리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과 정보를 주고 받는 이용기관이란, 이용기관의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하여 이용기관이 운영하는 서버(4) 또는 상기 서버(4)를 통하여 이용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미성년자의 사용자 장치(1)를 구분하지 않고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인증부(32)는, 이용기관으로부터의 업무 처리 요청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동의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2)와의 통신을 통하여, 제2 사용자로부터 업무 처리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예컨대, 미성년자는 간편결제 업무 요청 시 자신의 요청에 대해 동의할 보호자의 식별 정보(예컨대, 사용자 ID, 이름 및/또는 휴대전화번호 등)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인증부(32)에서는 이러한 식별 정보에 의해 지정된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2)에 업무 처리 요청을 전송하여 응답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32)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 정보를 참조하여, 미성년자의 요청에 대하여 응답한 제2 사용자가 해당 미성년자에 대한 보호자가 맞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이상의 검증 과정은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2)에 업무 처리 요청을 전송하기 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업무 처리 요청을 전송하여 제2 사용자로부터 응답이 수신된 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미성년자의 요청에 대해 해당 보호자가 승인한 것이 인증부(32)에 의하여 확인될 경우, 송수신부(31)는 승인 정보를 이용기관(즉, 이용기관 서버(4) 및/또는 이용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미성년자의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함으로써, 이용기관 서버(4) 측에서 미성년자의 요청에 따른 업무 처리, 예컨대, 간편결제 서비스 가입, 계좌 등록, 대금 송금 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계 등록부(33)는 공공기관 서버(5)로부터 제2 사용자의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수집함으로서, 제2 사용자가 특정 미성년자에 대한 진정한 보호자가 맞는지(바꿔 말하면, 해당 미성년자가 제2 사용자의 자녀가 맞는지)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계 등록부(33)는 사용자 장치(2)로부터 수신된 제2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공공기관 서버(5)로부터 정보를 스크래핑(scaping)함으로써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스크래핑이란, 관계 등록부(33)에서 제2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공공기관 서버(5)에 자동으로 로그인 등을 수행하여 필요한 정보가 나타나게 한 후 이 중 필요한 정보만을 다운로드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예컨대, 공지 또는 향후 개발될 스크린 스크래핑(screen scraping) 기술이 관계 등록부(33)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래핑의 대상이 되는 공공기관 서버(5)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나 공공기관 등에 의해 운영되며 소정의 국가 또는 행정구역의 구성원들에 대한 기본 정보와 이들의 가족 구성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기관의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공공기관 서버(5)는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서버이며, 이로부터 스크래핑되는 가족관계 등록정보는 가족관계증명서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은 공공기관 서버(5)로부터 직접 정보를 스크래핑하지 않으며 사용자 장치(2)가 공공기관 서버(5)로부터 스크래핑한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2)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관계 등록부(33)는 사용자 장치(2)로부터 수신된 가족관계 둥록정보를 토대로 미성년자와 보호자 간의 관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하는 동작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장치의 블록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장치(2)에 해당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2)는 통신부(21), 입력부(22) 및 인증부(24)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의 각 부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장치(2)를 구성하는 각 부(21-24)는 사용자 장치(2)를 이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의해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을 지칭하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장치에 집적화된 컴포넌트들을 지칭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통신부(21)는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으로부터 동의 요청자에 관련된 업무 처리 요청을 수신하고, 업무 처리 요청이 승인될 경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 승인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부(22)는, 통신부(21)에 의하여 업무 처리 요청이 수신되었을 경우, 해당 업무 처리 요청과 관련하여 동의 요청자의 보호자에 의한 승인 여부에 대한 입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입력부(22)는 사용자 장치(2)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등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24)는, 미성년자의 업무 처리 요청에 대해 입력부(22)에 보호자의 승인 입력이 있을 경우, 업무 처리를 요청한 미성년자가 사용자 장치(2)의 사용자인 보호자의 자녀가 맞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인증부(24)에 의한 이상의 확인 과정은 보호자가 미성년자의 요청에 대한 승인 여부를 입력부(22)에 입력하기 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 정보는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 저장되므로, 인증부(24)는 보호자와 미성년자 사이의 관계 확인을 위하여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이상의 통신 과정은, 통신부(21)를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2)는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 정보가 사용자 장치(2)에만 저장되거나, 또는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과 사용자 장치(2)의 양쪽에 모두 저장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 장치(2)를 통해 미성년자의 요청을 보호자가 인증하기 위한 각 부를 설명하였다. 한편, 스크래핑부(23)는 보호자가 자신의 동의 대상인 새로운 동의 요청자(즉, 자녀)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자녀의 등록 과정은 보호자가 간편동의 서비스에 가입하는 시점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가입 후 보호자가 선택한 임의의 시점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자녀 등록 시 보호자는 자신의 인증 정보(예컨대, 공인인증서 및 비밀번호, 가족관계등록시스템 ID 및 비밀번호 등)를 입력하여야 하고, 스크래핑부(23)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공공기관 서버(5)로부터 보호자의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스크래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증부(24)는 보호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동의 요청자가 해당 보호자의 진정한 자녀가 맞는지 여부를 스크래핑된 가족관계 등록정보로부터 확인하고, 자녀가 맞을 경우 보호자와 해당 자녀 사이의 관계 정보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관계 정보의 생성 과정은, 인증부(24)에 의하여 생성된 관계 정보가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 전송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인증부(24)에서 자녀의 식별 정보와 스크래핑된 가족관계 등록 정보를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 전송하면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서 이를 대조하여 자녀 여부를 확인하고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을 통한 미성년자 자녀 등록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일련의 과정은,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 상에서 실행되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과 통신하며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먼저, 간편동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보호자는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 가입을 위하여 사용자 장치(2) 상에서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11). 본인 인증 과정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보호자 본인의 식별 정보(예컨대, 이름,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번호 및 이용 통신사 정보, 공인인증서 등)를 입력하고 이를 외부 인증 기관과의 통신을 통하여 검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2)는 본인 인증 과정의 수행 또는 인증 결과 전송을 위하여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과 통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호자는 자신의 동의 대상인 동의 요청자를 등록하기 위하여, 등록할 자녀의 이름을 사용자 장치(2)상에 입력할 수 있다(S12). 도 4a 내지 4d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장치 상에서의 미성년자 자녀의 등록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도 4a를 참조하면, 본인 인증을 완료한 사용자에게는 자신에게 등록된 자녀의 목록이 표시되는 동시에, 새로운 자녀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예컨대, [자녀 등록하기] 버튼)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인터페이스 요소를 선택하면,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녀의 이름에 대한 입력 화면을 사용자 장치(2)상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자녀 이름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12)에서 입력되는 자녀의 이름은, 보호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여러 자녀들 중 일부 또는 어느 하나의 자녀 이름이거나, 또는 보호자가 실제로 등록할 자녀의 이름이 아니더라도 무방하다. 보호자의 자녀 중 한 명의 이름이 후술하는 가족관계 등록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단계(S12)에서 입력한 이름과 관계 없이 보호자의 가족관계 등록정보에 등재되어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자녀들을 해당 보호자의 동의 대상으로 등록하게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2)는 보호자가 입력한 자녀가 해당 보호자의 실제 자녀가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보호자의 인증 정보(예컨대, 공인인증서 및 비밀번호 등)를 이용하여 공공기관 서버에서 보호자의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스크래핑할 수 있다(S13). 보호자가 인증 정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녀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 요소의 선택 후에 인증 정보의 입력 또는 전송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장치(2)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필요한 인증 정보가 입력되었다면, 사용자 장치(2)는 해당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스크래핑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장치(2)에서는 보호자가 입력한 자녀의 이름을 가족관계 등록정보 상의 정보와 비교하여, 보호자가 입력한 이름이 실제 보호자의 자녀 이름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4). 이상의 과정에 의해 보호자의 자녀 또는 자녀들의 이름이 확인된 후, 동의 요청자로 등록할 자녀에 대한 보호자의 선택을 사용자 장치(2)에 입력받고, 등록할 자녀의 식별 정보를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S15).
도 4c의 사용자 장치 상에서의 미성년자 자녀의 등록 화면을 참조하면, 가족관계 등록정보의 스크래핑 후 보호자가 입력한 이름이 자녀 중 어느 한 자녀의 이름과 일치하는 것이 확인되면, 가족관계 등록정보에 등재된 해당 보호자의 자녀 전부의 정보가 사용자 장치(2)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보호자는 자신의 사용자 장치(2)에 표시된 자녀 중 동의 대상으로 등록할 자녀를 선택할 수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홍길동" 이라는 이름의 보호자에게 "홍길녀", "홍길미", "홍길순"의 세 명의 자녀가 있으며, 이 중 "홍길녀"를 동의 대상으로 등록한 것으로 가정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2)로부터 등록할 자녀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서는, 보호자와 해당 자녀, 즉, "홍길동" 이라는 사용자와 "홍길녀" 라는 사용자가 가족이라는 정보를 관계 정보로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S16).
이후, 자녀인 "홍길녀"가 금융 업무 등을 위하여 이용기관에 부모 동의를 요청하면,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서는 "홍길녀"에 의해 요청된 업무들을 사용자 장치(2)에 표시하여 부모인 "홍길동"이 "홍길녀"의 요청을 승인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자녀 "홍길녀"는 승인 요청 시 부모인 "홍길동"의 식별 정보를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자녀에 의한 부모의 지정이 없더라도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이 사용자들 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승인을 요청할 부모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4d는 이와 같이 요청 업무에 대한 승인을 처리할 수 있는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2)상의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되는 것과 같이 자녀의 계좌 등록 요청 등이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2)에 표시되고 보호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예컨대, [동의하기] 버튼 등)를 통하여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동의 요청자의 요청에 대한 보호자의 승인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미성년자인 자녀는 사용자 장치(1)를 이용하여 간편결제 서비스 등 이용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부모의 동의가 필요한 특정 업무(예컨대, 간편결제 서비스에 대한 회원 가입, 계좌 등록, 대금 지불을 위한 송금 등)의 처리를 이용기관 서버(4)에 요청할 수 있다(S21). 이때, 자녀는 자신의 요청에 동의할 부모의 식별 정보(예컨대, 회원 ID, 이름, 휴대전화번호 등)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이용기관 서버(4)에서는 업무를 요청한 자녀가 미성년자임을 확인하고, 요청에 대한 부모의 동의 여부 확인을 위하여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 업무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S22).
일 실시예에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은, 업무 처리가 요청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부모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2)에 요청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3). 또한, 부모에게 전송되는 알림 정보에는 자녀가 이용기관을 통해 동의 요청한 내용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알림 정보는 이메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등의 문자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등의 형태로 사용자 장치(2)에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녀의 업무 요청 시 자녀는 요청에 동의할 부모에 대한 정보를 함께 입력하고,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서는 자녀가 입력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장치(2)에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자녀가 입력한 정보(이름, 휴대전화번호 등)를 가진 사용자가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서는 해당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시 알림의 형태로 알림 정보를 전송하고, 자녀가 입력한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유도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의 형태로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자녀는 요청에 동의할 부모를 특정하지 않은 채 요청만을 전송하면,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관계 정보를 토대로 해당 요청을 전송한 자녀에 상응하는 보호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한 명 또는 복수 명의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2)에 자녀의 요청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알림 정보를 수신하였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자녀의 요청에 대해 인지한 부모는, 요청에 대한 동의 여부를 표시하기 위하여 자신의 사용자 장치(2)에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 접속할 수 있다. 이는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과 사용자 장치(2) 사이의 통신을 통한 부모의 본인 인증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S24). 부모의 본인 인증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인 인증 과정(S11)과 동일할 수 있으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인 인증이 완료된 보호자는,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과 사용자 장치(2) 사이의 통신을 통하여 자녀의 업무 처리 요청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5).
예컨대, 도 4d를 다시 참조하면, 부모 "홍길동"이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 로그인하면, "홍길동"에 대해 등록된 자녀의 목록(즉, 도면의 예에서는 "홍길녀")과 각 자녀의 요청 내역이 사용자 장치(2)상에 표시될 수 있다. 자녀의 목록은 각 자녀의 이름, 생년월일 및/또는 나이 등 기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모의 동의 대상인 자녀의 목록은 나이 순서 또는 나이의 역순으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과거에 동의 대상이었으나 이제 미성년자가 아니게 된 자녀의 경우 나이 대신 "성인" 등으로 표시하여 동의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부모가 인지할 수 있게 할수도 있다.
각 자녀의 업무 요청 내역은 자녀가 이용한 이용기관과 요청한 업무의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업무 요청 내역은 일정 건 수(예컨대, 5건)가 최신순으로 정렬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부모는 각 자녀의 업무 요청 내역이 표시된 화면에서 특정 인터페이스 요소를 선택하거나 또는 화면 전체를 이동시키는 등의 동작을 통하여, 현재 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과거의 업무 요청 내역 또는 현재 표시된 업무 요청에 대한 세부 내역 등을 더 열람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은 부모가 자녀의 업무 처리 요청에 대하여 한시적으로, 즉, 시간 제한을 두고 승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제한을 인증 기한이라고 정의하면,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증 기한이 아직 남아 있는 업무 처리 요청의 경우에는 부모의 사용자 장치(4) 상에 승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예컨대, [승인하기] 버튼)와 함께 기한 만료까지의 시간(예컨대, 3시간 남음)이 표시될 수 있다. 부모는 인증 기한 내에만 자녀의 요청에 대한 승인이 가능하며, 승인되지 않은 채로 인증 기한이 도과하면 해당 요청은 승인이 거절된 것으로 처리된다.
한편, 인증 기한이 이미 지난 업무 처리 요청에 대해서는 그 승인 여부 결과(예컨대, 기한 만료, 승인 완료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인증 기한이 아직 남아 있는 요청과 그렇지 않은 요청을 음영 및/또는 색상에 의해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부모가 자녀의 요청에 대해 승인하면,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서는 요청을 승인한 부모가 해당 자녀의 보호자가 맞는지 여부를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계 정보를 토대로 결정하고, 보호자가 맞을 경우 자녀의 업무 요청에 대한 인증으로서 승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6). 물론, 부모가 자녀의 요청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S26)와 그 이후의 단계들은 수행되지 않는다.
한편,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서 자녀의 보호자를 확인하여 알림 정보를 전송한 경우처럼, 부모의 사용자 장치(2)에 승인을 요청하기 전에 이미 부모가 해당 자녀의 보호자라는 사실이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단계(S26)는 단순히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이 부모의 승인 응답에 따라 승인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은 기존에 가족관계가 등록된 자녀와 부모의 경우에도 자녀의 요청에 대해 부모가 승인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다시 한 번 부모의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스크래핑하여, 과거와 비교하여 승인 시점의 가족관계에 변경이 없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추가 검증을 위한 가족관계 등록정보의 스크래핑은, 부모의 사용자 장치(2)에 의해 수행된 후 그 결과만이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부모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 저장하고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서 자동으로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다시 스크래핑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추가 검증을 위해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확인한 결과, 기존에 부모와 자녀로 등록되어 있던 사용자 간의 관계가 더 이상 부모의 가족관계 등록정보에서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은 해당 자녀와 부모 사이를 정의하는 관계 정보를 삭제하도록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함으로써 권원 없는 사용자가 동의 요청자의 행위를 승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은 부모에게 전송되는 자녀의 금융 업무 요청을 일정 기간(예컨대, 1달) 동안의 총 거래액 및/또는 총 거래 횟수에 기반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관리를 위한 총 거래액 및/또는 총 거래 횟수는 부모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부모는 자신의 동의 대상인 각 자녀에 대하여 단위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간편결제 거래 금액 또는 간편결제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이 자녀의 금융 업무 요청을 수신하면,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서는 자녀의 업무 요청 내역을 조회하는 화면에서 단위 기간 동안의 누적 거래 금액 또는 누적 결제 횟수를 함께 표시하거나, 또는 거래 금액 또는 결제 횟수가 부모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제한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설정된 거래 금액 또는 결제 횟수를 넘었을 경우 부모가 해당 요청을 승인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부모에 의해 설정된 단위 기간 동안의 거래 금액 또는 거래 횟수를 기반으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이 자동으로 자녀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은 단위 기간 동안 각 사용자의 금융 업무에 따른 누적 거래 금액 또는 누적 결제 횟수를 계산하고, 자녀의 누적 거래 금액 또는 누적 결제 횟수가 해당 자녀의 부모에 의해 설정된 제한치를 초과하였을 경우, 자녀의 금융 업무 요청이 있더라도 부모에게 승인을 요청할 필요 없이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이 자동으로 해당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서는 제한 초과로 인한 요청의 거절 사실을 해당 요청을 전송한 자녀의 부모에게 알림으로써, 자녀의 금융 업무에 대한 부모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3)에서는 승인 정보를 이용기관 서버(4)에 전송하여(S27), 이용기관에서 자녀가 요청한 업무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이용기관에서는 자녀의 간편결제 요청에 따른 회원 가입, 계좌 등록, 대금 지불을 위한 송금 등의 금융 업무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자녀의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S28). 이상의 금융 업무의 처리는 이용기관 서버(4)와 은행, 카드사 등 금융기관 서버(미도시)의 통신 과정을 더 수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순서도들에 도시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 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동의 요청자 및 동의 요청자의 보호자를 포함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이용기관으로부터 동의 요청자인 제1 사용자에 관련된 업무 처리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부;
    상기 업무 처리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된 업무 처리에 대한 승인을 제2 사용자에게 요청하며, 상기 제2 사용자의 응답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도록 인증부; 및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치가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스크래핑한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족관계 등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의 요청자 및 상기 보호자 간의 상기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관계 등록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부는, 상기 업무 처리에 대한 승인을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요청하기 전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응답이 수신된 후에, 상기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보호자인지 여부를 검증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보호자인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업무 처리 요청을 승인할 경우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을 승인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인증부에 의해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이 승인될 경우, 상기 이용기관에 승인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은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업무 처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도록 더 구성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3.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 정보가 저장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과 통신하며 동작하도록 구성된, 간편동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장치로서,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동의 요청자에 관련된 업무 처리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상기 업무 처리 요청와 관련하여 상기 동의 요청자의 보호자에 의한 승인 입력을 입력받도록 구성된 입력부; 및
    상기 보호자에 의해 상기 승인 입력이 입력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과 통신함으로써 상기 동의 요청자와 상기 보호자의 관계가 상기 관계 정보에 의해 인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인증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승인 입력이 입력되며 상기 동의 요청자와 상기 보호자의 관계가 상기 관계 정보에 의해 인증될 경우, 상기 업무 처리 요청에 상응하는 승인 정보를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보호자에 의해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상의 상기 동의 요청자의 등록이 요청될 경우, 상기 보호자의 인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보호자의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스크래핑하도록 구성된 스크래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증부는,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에 저장되는 상기 관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자에 의해 등록이 요청된 상기 동의 요청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간편동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장치.
  4. 동의 요청자 및 동의 요청자의 보호자를 포함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 정보를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이용기관으로부터 동의 요청자인 제1 사용자에 관련된 업무 처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업무 처리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된 업무 처리에 대한 승인을 제2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2 사용자의 응답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이 승인될 경우, 상기 이용기관에 승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관계 정보를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치가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스크래핑한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가족관계 등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의 요청자 및 상기 보호자 간의 상기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업무 처리에 대한 승인을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요청하기 전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응답이 수신된 후에, 상기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보호자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1 사용자의 보호자인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업무 처리 요청을 승인할 경우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편동의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은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업무 처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편동의 서비스 방법.
  6.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 정보가 저장된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과 통신하며 동작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간편동의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동의 요청자에 관련된 업무 처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업무 처리 요청와 관련하여, 상기 동의 요청자의 보호자에 의한 승인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보호자에 의해 상기 승인 입력이 입력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과 통신함으로써 상기 동의 요청자와 상기 보호자의 관계가 상기 관계 정보에 의해 인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승인 입력이 입력되며 상기 동의 요청자와 상기 보호자의 관계가 상기 관계 정보에 의해 인증될 경우, 상기 업무 처리 요청에 상응하는 승인 정보를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업무 처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보호자에 의해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상의 상기 동의 요청자의 등록이 요청될 경우, 상기 보호자의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보호자의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스크래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에 저장되는 상기 관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자에 의해 등록이 요청된 상기 동의 요청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가족관계 등록정보를 상기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편동의 서비스 방법.
  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간편동의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200060683A 2019-10-30 2020-05-21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09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683A KR102609713B1 (ko) 2019-10-30 2020-05-21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0033790A KR102575209B1 (ko) 2020-05-21 2023-03-15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401A KR102119383B1 (ko) 2019-10-30 2019-10-30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60683A KR102609713B1 (ko) 2019-10-30 2020-05-21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401A Division KR102119383B1 (ko) 2019-10-30 2019-10-30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790A Division KR102575209B1 (ko) 2020-05-21 2023-03-15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149A KR20210053149A (ko) 2021-05-11
KR102609713B1 true KR102609713B1 (ko) 2023-12-06

Family

ID=8916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683A KR102609713B1 (ko) 2019-10-30 2020-05-21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7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377B1 (ko) * 2022-07-19 2024-02-02 강남석 안심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한 보이스 피싱 예방 시스템,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57348B1 (ko) * 2022-08-08 2022-10-21 (주)커넥 부대 시설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정맥 인증 결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266A (ko) * 2004-03-11 2005-09-15 유디에스 주식회사 인터넷 서비스 가입 장치 및 방법
KR20060103796A (ko) * 2005-03-28 2006-10-0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거래승인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서버와 기록매체
KR20090041810A (ko) * 2007-10-24 2009-04-29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을 활용한 동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693421B1 (ko) 2015-04-30 2017-01-09 농협은행(주) 금융 오픈 플랫폼 기반의 금융서비스 제공 장치
KR20180128797A (ko) * 2017-05-24 2018-12-04 주식회사 에이블어스 선불식 휴대폰 소액결제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149A (ko)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8910B2 (en) Token provisioning utilizing a secure authentication system
US119542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dentity verification services
US20210383377A1 (en) Decentralized identity verification platforms
US10404675B2 (en) Elastic authentication system
JP2019106212A (ja) 相互運用可能なネットワーク・トークン処理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568401B2 (en) Digital payment system
US118038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based payment transactions, alerts, and dispute settlement, using a blockchain interface server
US201803225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electronic transactions
CN108881121B (zh) 一种基于移动互联网的p2p信用互看系统及方法
US10489565B2 (en) Compromise alert and reissuance
CN118101216A (zh) 在区块链网络上通信、存储和处理数据的基于区块链的系统和方法
JP2018533131A (ja) 認証サービス顧客データの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609713B1 (ko)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803166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ccess credentials
CA31116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identity verification during a transaction
KR102282345B1 (ko) 간소화되고 주도적인 구조를 가진 결제 트랜잭션 처리
US2023032582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method and terminal
US20220012711A1 (en) Establishing a shared session between entities
KR102119383B1 (ko)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30013949A1 (en) Interactive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transaction attributes and dispute information using blockchain
US201902791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izing payment card accounts
KR20170127770A (ko) 사이버 머니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2400865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anagement of consumer data
KR102575209B1 (ko)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40018525A (ko) 사용자 계정 연계 결제 및 청구, 통합 디지털 청구인 결제 지갑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