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468A - 마스터 화상으로 인쇄 화상을 검증하는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마스터 화상으로 인쇄 화상을 검증하는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468A
KR20210050468A KR1020200137980A KR20200137980A KR20210050468A KR 20210050468 A KR20210050468 A KR 20210050468A KR 1020200137980 A KR1020200137980 A KR 1020200137980A KR 20200137980 A KR20200137980 A KR 20200137980A KR 20210050468 A KR20210050468 A KR 20210050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rrect answer
unit
sheet
ve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스케 오바야시
마사노리 이치카와
미노루 감베가와
준이치 고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0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7Detecting, i.e.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5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5Reproduc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45Methods therefor using a reference pattern designed for the purpose, e.g. a test ch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82Adjusting or controlling
    • H04N1/00087Setting or calibr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9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9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the original or to the reproducing medium, e.g. imperfections or di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the photodetectors having a one-to-one and optically positive correspondence with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e.g. linear contact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기록 시트에 인쇄된 화상이 판독되며, 판독 화상은 표시 유닛에 표시된다. 표시된 화상을 정답 화상으로서 사용하는 지시가 접수되며, 상기 사용 지시가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생성된 화상이 정답 화상으로서 등록된다. 인쇄 화상은 인쇄 화상을 등록된 정답 화상과 비교함으로써 검증된다.

Description

마스터 화상으로 인쇄 화상을 검증하는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및 저장 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TO VERIFY PRINTED IMAGE WITH MASTER IMAGE, IMAGE FORM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년,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된 시트를 반송 중에 검증 장치로 검증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인쇄 시트를 검증하기 위해, 검증 장치는 반송된 인쇄 시트 상의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 화상의 화상 해석에 기초하여 인쇄 시트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검증 장치는 불완전한 바코드 또는 괘선, 화상 누락, 인쇄 불량, 페이지 누락, 및 색 편차를 검출할 수 있다.
화상 해석용의 정답 화상(마스터 화상 또는 기준 화상)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검증 장치에 의해 정답 화상으로서 충분한 품질을 갖는 미리 인쇄된 시트를 판독하고 판독된 인쇄 시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실제 검증 처리에서 사용되는 검증 장치의 판독 센서에 의해 정답 화상을 취득하는 것은 인쇄 시트의 반송 정밀도 및 판독 센서의 판독 정밀도로 인한 검증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정답 화상을 취득할 때, 판독될 인쇄 시트는 정답 화상으로서 충분한 품질로 인쇄되고 판독 센서에 의해 정확하게 판독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시트의 종이 가루가 검증 장치의 판독 센서에 부착되기 때문에, 판독 화상에 줄무늬가 발생할 수 있다. 줄무늬를 포함하는 화상을 정답 화상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인쇄물에 결함이 없는 경우에도 인쇄 불량을 오검출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173289호는, 등록될 정답 화상과 결함 검출 패턴을 상이한 종이 시트에 인쇄하는 것, 및 미결함 화상을 정답 화상으로서 등록하기 전에 결함 검출 패턴을 판독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결함 검출 패턴에 의한 시트의 판독 중이 아니더라도, 정답 화상으로 시트를 판독하는 동안 종이 가루로 인해 전술한 줄무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173289호에 따르면, 판독된 정답 화상에 발생하는 화상 결함을 검지하는데 실패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상 결함을 포함하는 화상이 정답 화상으로서 등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 시트에 화상을 인쇄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유닛, 상기 기록 시트에 인쇄된 상기 화상을 판독하도록 구성되는 판독 유닛,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판독된 상기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제어 유닛, 상기 표시 제어 유닛에 의해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된 상기 화상을 정답 화상으로서 사용하는 지시를 접수하도록 구성되는 접수 유닛, 상기 접수 유닛에 의해 상기 사용 지시가 접수된 상기 화상 또는 상기 화상으로부터 생성된 화상을 상기 정답 화상으로서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등록 유닛, 및 상기 인쇄 유닛에 의해 인쇄된 화상을 상기 등록 유닛에 의해 등록된 상기 정답 화상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인쇄 화상을 검증하도록 구성되는 검증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판독된 상기 화상은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된다. 따라서, 검증 처리를 위해 사용될 상기 정답 화상이 선택 전에 관찰될 수 있어, 화상 불량을 포함하는 화상이 상기 정답 화상으로서 등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첨부 도면과 관련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전체도이다.
도 2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기계적 단면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a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정답 화상을 등록할 때 외부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b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정답 화상을 등록할 때 인쇄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정답 화상을 등록할 때 검증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검증 처리를 수행할 때에 검증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검증 장치에서의 정답 화상의 등록 전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검증 장치가 정답 화상의 등록을 개시할 때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9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검증 장치가 정답 화상을 판독하고 있을 때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검증 장치에 의한 정답 화상의 판독 후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1a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검증 장치에서의 정답 화상의 등록 후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1b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검증 장치에서 정답 화상을 등록한 후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2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검증 장치가 검증 설정을 수행할 때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3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검증 장치가 검증 성공을 결정할 때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4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검증 장치가 검증 실패를 결정할 때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5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컨트롤러가 검증 작업 설정을 행할 때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6은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검증 처리를 행할 때에 검증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검증 장치가 정답 화상의 등록을 개시할 때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8은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9는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검증 장치에 의한 정답 화상의 판독 후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0a는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부유 줄무늬 화소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0b는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원고의 세로선 화소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하,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외부 컨트롤러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 디지털 프론트 엔드(digital front end)(DFE), 또는 프린트 서버라고 지칭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복합기(MFP)라 지칭될 수 있다.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
도 1은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전체도이다. 화상 처리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101) 및 외부 컨트롤러(102)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 및 외부 컨트롤러(102)는 내부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105) 및 비디오 케이블(106)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외부 컨트롤러(102)는 외부 LAN(104)을 통해 클라이언트 개인용 컴퓨터(PC)(103)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클라이언트 PC(103)는 외부 컨트롤러(102)에 인쇄 지시를 발행한다.
클라이언트 PC(103)에는, 인쇄 데이터를 외부 컨트롤러(102)에 의해 처리가능한 인쇄 기술 언어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 프린터 드라이버가 인스톨된다. 인쇄를 수행하는 사용자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통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인쇄 지시를 부여할 수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는 사용자로부터의 인쇄 지시에 기초하여 외부 컨트롤러(102)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한다. 외부 컨트롤러(102)는, 클라이언트 PC(103)로부터 인쇄 지시를 수신하면, 데이터 해석 및 래스터화 처리를 행하고,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인쇄 데이터를 투입하고 인쇄 지시를 발행한다.
다음에, 화상 형성 장치(101)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는 상이한 기능을 갖는 복수의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제본 같은 복잡한 인쇄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연결 및 구성된다.
인쇄 장치(107)는, 인쇄 장치(107)의 하부에 위치되는 시트 공급 유닛으로부터 반송되는 시트에 토너에 의해 화상을 형성한다. 인쇄 장치(107)의 구성 및 동작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감광 드럼은,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변조된 레이저광 등의 광의 빔을 회전 다면경으로 반사함으로써 취득되는 주사광으로 조사된다. 레이저광에 의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토너로 현상되고, 결과적인 토너상은 전사 드럼에 부착된 시트에 전사된다. 이러한 일련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 토너를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수행되어, 시트에 풀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풀컬러 화상이 형성된 전사 드럼 상의 시트는 정착 장치로 반송된다. 정착 장치는 롤러 및 벨트를 포함한다. 롤러는 내부에 할로겐 히터 등의 열원을 포함하고,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 상의 토너를 용융시키며,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를 시트에 정착시킨다.
인서터(108)는 삽입 시트를 삽입하는 장치이다. 인서터(108)는, 인쇄 장치(107)에 의해 인쇄 및 반송되는 시트의 그룹의 주어진 시트 사이에 시트를 삽입할 수 있다.
검증 장치(109)는, 반송된 시트의 화상을 판독하고, 인쇄 화상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화상을 미리 등록된 정답 화상과 비교하는 장치이다.
대용량 스태커(stacker)(110)는 대량의 시트를 적재할 수 있다. 피니셔(111)는 반송된 시트에 대하여 마무리 처리를 적용한다. 피니셔(111)는 스테이플링, 펀칭, 및 새들 스티치 제본 등의 마무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피니셔(111)는, 마무리 처리 후의 제본물을 배출 트레이에 배출한다.
인서터(108) 및 검증 장치(109)는 순서가 도 1의 위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인서터(108)는 검증 장치(109)와 대용량 스태커(1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화상 처리 시스템은, 외부 컨트롤러(102)가 화상 형성 장치(101)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외부 컨트롤러(102)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01)는 외부 LAN(104)에 연결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처리가능한 인쇄 데이터가 클라이언트(PC)(103)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1)에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래스터화 처리를 수행하여 인쇄 처리를 수행한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101), 외부 컨트롤러(102), 및 클라이언트 PC(103)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먼저, 화상 형성 장치(101)의 인쇄 장치(107)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의 인쇄 장치(107)는, 통신 인터페이스(I/F)(217), LAN I/F(218), 비디오 I/F(220),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211), 중앙 처리 유닛(CPU)(222), 메모리(223), 조작 유닛(224) 및 디스플레이(225)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의 인쇄 장치(107)는, 원고 노광 유닛(226), 레이저 노광 유닛(227), 화상 형성 유닛(228), 정착 유닛(229) 및 시트 공급 유닛(23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시스템 버스(231)를 통해 연결된다.
통신 I/F(217)는 통신 케이블(254)을 통해 인서터(108), 검증 장치(109), 대용량 스태커(110), 및 피니셔(111)에 연결되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LAN I/F(218)는, 내부 LAN(105)을 통해 외부 컨트롤러(102)에 연결되고, 인쇄 데이터를 통신한다. 비디오 I/F(220)는, 비디오 케이블(106)을 통해 외부 컨트롤러(102)에 연결되고, 화상 데이터를 통신한다.
HDD(221)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이다. CPU(222)는, HDD(221)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 제어 및 인쇄 제어를 수행한다. 메모리(223)는, 화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CPU(222)가 다양한 종류의 처리를 수행할 때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메모리(223)는 작업 영역으로서 동작한다. 조작 유닛(224)은 사용자로부터 각종 설정 입력 및 조작 지시를 접수한다. 디스플레이(225)는 화상 형성 장치(101)에 관한 설정 정보 및 인쇄 작업의 처리 상황을 표시한다.
원고 노광 유닛(226)은 카피 기능 또는 스캔 기능이 사용될 때 원고를 판독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원고 노광 유닛(226)은, 사용자가 배치한 시트를 노광 램프로 조명하고,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CMOS) 이미지 센서 또는 접촉 이미지 센서(contact image sensor)(CIS)로 화상을 검출함으로써 원고 데이터를 판독한다. 레이저 노광 유닛(227)은, 레이저 노광뿐만 아니라 감광 드럼에 레이저광을 조사해서 토너상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1차 대전을 행하는 장치이다. 레이저 노광 유닛(227)은 초기에 1차 대전을 수행하여 감광 드럼의 표면을 균일한 음의 전위로 대전한다. 그리고, 다면경이 반사 각도를 조정하면서, 레이저 드라이버는 감광 드럼에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에 의해, 조사된 부분 상의 음의 전하가 중화되어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유닛(228)은 토너를 시트에 전사하는 장치이다. 화상 형성 유닛(228)은, 현상 유닛, 전사 유닛, 및 토너 보급 유닛을 포함하고, 감광 드럼 상의 토너를 시트에 전사한다. 현상 유닛은 현상 실린더 상의 음으로 대전된 토너를 감광 드럼의 표면 상의 정전 잠상에 부착시켜 가시 화상을 형성한다. 전사 유닛은 1차 전사 및 2차 전사를 수행한다. 1차 전사에서는, 1차 전사 롤러에 양의 전위가 인가되어, 감광 드럼의 표면 상의 토너를 전사 벨트에 전사한다. 2차 전사에서는, 2차 전사 외측 롤러에 양의 전위를 인가하여, 전사 벨트 상의 토너를 시트에 전사한다. 정착 유닛(229)은, 시트 상의 토너를 용융시키고, 용융된 토너를 열 및 압력에 의해 시트에 정착시키는 장치이다. 정착 유닛(229)은 히터, 정착 벨트, 및 가압 벨트를 포함한다. 시트 공급 유닛(230)은 시트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시트 공급 동작 및 반송 동작은 롤러 및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제어된다.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인서터(108)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의 인서터(108)는 통신 I/F(232), CPU(233), 메모리(234) 및 공급 제어 유닛(235)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시스템 버스(236)를 통해 연결된다. 통신 I/F(232)는 통신 케이블(254)을 통해 인쇄 장치(107)에 연결되고, 제어를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CPU(233)는 메모리(234)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시트를 공급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한다. 메모리(234)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이다. 공급 제어 유닛(235)은, CPU(233)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인서터(108)의 시트 공급 유닛으로부터 그리고 인쇄 장치(107)로부터 반송되는 시트의 공급 및 반송을 제어하면서, 롤러 및 센서를 제어한다.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검증 장치(109)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의 검증 장치(109)는, 통신 I/F(237), CPU(238), 메모리(239), 촬상 유닛(240), 표시 유닛(241) 및 조작 유닛(242)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시스템 버스(243)를 통해 연결된다. 통신 유닛 I/F(237)는, 통신 케이블(254)을 통해서 인쇄 장치(107)에 연결되고, 제어를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CPU(238)는, 메모리(239)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검증을 위한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메모리(239)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이다. 촬상 유닛(240)은, CPU(238)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CIS에 의해 반송된 시트에 인쇄된 화상을 판독한다. 촬상 유닛(240)은, 반송된 시트에 인쇄된 화상을 카메라로 촬상하여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촬상 유닛(240)은, 검증될 인쇄물뿐만 아니라, 정답 화상을 등록할 때 정답 화상 후보가 되는 인쇄물도 판독한다. 정답 화상 후보로서의 역할을 하는 인쇄물의 각각의 페이지마다 복수의 부수가 인쇄된다. 복수의 인쇄 페이지 상의 대응하는 위치의 화소의 화소값의 평균을 정답 화상의 화소값으로서 사용한다. 10부가 인쇄되면, 10 페이지 상의 대응하는 위치의 화소(예를 들어, 화상의 좌측 상단 코너의 화소)의 화소값의 평균을 정답 화상의 화소값으로서 사용한다. 이에 의해, 인쇄물의 검증 정밀도보다 작은 검증 정밀도에 대응하는 미소 변동 성분을 가능한 한 많이 제거할 수 있다.
CPU(238)는, 촬상 유닛(240)에 의해 촬상된 화상과, 메모리(239)(저장 유닛)에 저장된 정답 화상을 비교하고, 인쇄 화상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표시 유닛(241)은 검증 결과 및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조작 유닛(242)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검증 장치(109)의 변경 및 정답 화상의 등록을 설정하는 지시를 접수한다.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대용량 스태커(1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의 대용량 스태커(110)는 통신 I/F(244), CPU(245), 메모리(246), 및 배출 제어 유닛(247)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시스템 버스(248)를 통해 연결된다. 통신 I/F(244)는 통신 케이블(254)을 통해 인쇄 장치(107)에 연결되고, 제어를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CPU(245)는 메모리(246)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시트 배출을 위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한다. 메모리(246)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이다. 배출 제어 유닛(247)은, CPU(245)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반송된 시트의 적재 트레이, 탈출 트레이, 또는 후속 피니셔(111)로의 반송을 제어한다.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피니셔(11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의 피니셔(111)는, 통신 I/F(249), CPU(250), 메모리(251), 배출 제어 유닛(252) 및 마무리 처리 유닛(253)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시스템 버스(255)를 통해 연결된다. 통신 I/F(249)는 통신 케이블(254)을 통해 인쇄 장치(107)에 연결되고, 제어를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CPU(250)는 메모리(251)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마무리 및 시트 배출을 위한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메모리(251)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이다. 배출 제어 유닛(252)은 CPU(25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시트 반송 및 배출을 제어한다. 마무리 처리 유닛(253)은, CPU(25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스테이플링, 펀칭, 및 새들 스티치 제본 등의 마무리 처리를 제어한다.
이어서, 외부 컨트롤러(10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외부 컨트롤러(102)는, 시스템 버스(216)를 통해 연결되는 CPU(208), 메모리(209), HDD(210), 키보드(211), 디스플레이(212), LAN I/F(213), LAN I/F(214) 및 비디오 I/F(215)를 포함한다. CPU(208)는, HDD(21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PC(103)로부터의 인쇄 데이터의 수신, 래스터 이미지 프로세서(raster image processor)(RIP) 처리, 및 화상 형성 장치(101)로의 인쇄 데이터의 송신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메모리(209)는 CPU(208)가 다양한 종류의 처리를 수행할 때 사용될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작업 영역으로서 동작한다. HDD(210)는 인쇄 처리 등의 동작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보드(211)는 외부 컨트롤러(102)에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디스플레이(212)는 정지 화상 및/또는 동화상 비디오 신호들을 사용하여 외부 컨트롤러(102)의 실행 애플리케이션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LAN I/F(213)는 외부 LAN(104)을 통해 클라이언트 PC(103)에 연결되고, 인쇄 지시를 통신한다. LAN I/F(214)는, 내부 LAN(105)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1)에 연결되고, 인쇄 지시를 통신한다. 비디오 I/F(215)는 비디오 케이블(106)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1)에 연결되고, 화상 데이터를 통신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 PC(103)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클라이언트 PC(103)는, 시스템 버스(207)를 통해 연결되는 CPU(201), 메모리(202), HDD(203), 키보드(204), 디스플레이(205) 및 LAN I/F(206)를 포함한다. CPU(201)는, HDD(203)에 저장된 문서 처리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인쇄 지시를 실행한다. 또한, CPU(201)는 시스템 버스(207)에 연결되는 장치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메모리(202)는, CPU(201)가 각종 처리를 수행할 때에 사용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작업 영역으로서 동작한다. HDD(203)는 인쇄 처리 동작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보드(204)는 클라이언트 PC(103)에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디스플레이(205)는, 정지 화상 및/또는 동화상 비디오 신호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PC(103)의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LAN I/F(206)는 외부 LAN(104)에 연결되고, 인쇄 지시를 통신한다.
전술한 설명에서, 외부 컨트롤러(102) 및 화상 형성 장치(101)는 내부 LAN(105) 및 비디오 케이블(106)과 연결된다. 그러나, 외부 컨트롤러(102) 및 화상 형성 장치(101)는 인쇄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는 한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컨트롤러(102) 및 화상 형성 장치(101)는 비디오 케이블(106)에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02, 209, 223, 234, 239, 249, 및 251) 각각은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임의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2, 209, 223, 234, 239, 249, 및 251)는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비휘발성 리드 온리 메모리(ROM), 내장 HDD, 외부 HDD, 및/또는 범용 직렬 버스(USB) 메모리로 대체될 수 있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101)의 기계적 단면도이다. 인쇄 장치(107)는 시트에 인쇄될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시트 공급 데크(301 및 302)는 다양한 시트를 수용할 수 있다. 각각의 시트 데크는 수용된 시트의 최상단 시트만을 분리할 수 있고, 시트를 시트 반송 경로(303)로 반송할 수 있다.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현상 스테이션(304, 305, 306, 및 307)은 각각 Y, M, C 및 K 컬러 토너를 사용하여 토너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형성된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308)에 1차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308)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2차 전사 위치(309)에서 시트 반송 경로(303)로부터 반송된 시트에 토너상이 전사된다. 디스플레이(225)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인쇄 상황 및 설정을 행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한다. 토너상을 시트에 정착시키는 정착 유닛(311)은 가압 롤러 및 가열 롤러를 포함한다. 롤러들 사이를 시트가 통과할 때에 토너가 용융 및 가압됨으로써, 토너상이 시트에 정착된다. 정착 유닛(311)을 통과한 시트는 시트 반송 경로(312)를 통해 반송 경로(315)로 반송된다. 시트 유형에 따라, 추가적인 용융 및 가압이 고정을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정착 유닛(311)을 통과한 시트는 상위 시트 반송 경로를 통해서 제2 정착 유닛(313)으로 반송된다. 추가적인 용융 및 가압의 적용 후에, 시트는 시트 반송 경로(314)를 통해서 반송 경로(315)로 반송된다. 화상 형성 모드가 양면 모드인 경우, 시트는 시트 반전 경로(316)로 반송된다. 시트는 시트 반전 경로(316)에 의해서 반전되고, 이어서 양면 반송 경로(317)로 반송되고, 2차 전사 위치(309)에서 제2 면 상에 화상 전사가 수행된다.
삽입 시트를 삽입하는 인서터(108)는 삽입 트레이(321)를 포함하고, 시트 반송 경로(322)를 통해 공급된 시트를 반송 경로 내로 병합한다. 이에 의해, 시트는 주어진 위치에서 인쇄 장치(107)로부터 반송되고 후속 장치로 반송되는 일련의 시트에 삽입될 수 있다.
인서터(108)를 통과한 시트는 검증 장치(109)로 반송된다. 검증 장치(109)는 서로 대향하는 CIS(331 및 332)(판독 유닛)를 포함한다. CIS(331)는, 시트(이하, 기록 시트라 칭할 수 있음)의 상면을 판독하는 센서이다. CIS(332)는 기록 시트의 하면을 판독하는 센서이다. 시트면을 판독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는 CIS 대신에 라인 스캔 카메라일 수 있다. 검증 장치(109)는, 시트 반송 경로(333)에 반송된 시트가 미리결정된 위치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CIS(331 및 332)로 기록 시트의 양측의 화상을 판독하고, 화상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표시 유닛(241)은 검증 장치(109)에 의해 이루어진 검증의 결과를 표시한다.
대용량 스태커(110)는 대량의 시트를 적재할 수 있다. 대용량 스태커(110)는 시트를 적재하기 위한 트레이로서 적재 트레이(341)를 포함한다. 검증 장치(109)를 통과한 시트는 시트 반송 경로(344)를 통해 대용량 스태커(110)에 입력된다. 시트는 시트 반송 경로(344)로부터 시트 반송 경로(345)를 통해서 반송되고, 적재 트레이(341) 상에 적재된다. 대용량 스태커(110)는 배출 트레이로서 탈출 트레이(346)를 더 포함한다. 탈출 트레이(346)는 검증 장치(109)에 의해 결함 시트인 것으로 판정된 시트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출 트레이이다. 시트가 탈출 트레이(346)에 출력되는 경우, 시트는 시트 반송 경로(344)로부터 시트 반송 경로(347)를 통해 탈출 트레이(346)에 반송된다. 시트가 대용량 스태커(110)에 후속하는 스테이지에서 후처리 장치로 반송되는 경우에, 시트는 시트 반송 경로(348)를 통해 반송된다. 반전부(349)는 시트를 반전시키도록 의도된다. 반전부(349)는 적재 트레이(341)에 시트를 적재하는 데 사용된다. 시트가 적재 트레이(341)에 적재되는 경우, 시트는 시트의 입력 배향 및 출력 배향이 동일하도록 반전부(349)에 의해 일단 반전된다. 시트가 후속하는 스테이지에서 탈출 트레이(346) 또는 후처리 장치로 반송되는 경우, 반전부(349)에 의한 반전 동작은 수행되지 않고, 따라서 시트는 적재를 위해 뒤집히지 않고 간단히 배출된다.
피니셔(111)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기능에 기초하여 반송된 시트에 대하여 마무리 처리를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피니셔(111)는 스테이플링(단독 스테이플링 및 더블 스테이플링), 펀칭(2 및 3 구멍 펀칭), 및 새들 스티치 제본과 같은 마무리 기능을 갖는다. 피니셔(111)는 2개의 배출 트레이(351 및 352)를 포함한다. 시트는 시트 반송 경로(353)를 통해 배출 트레이(351)에 출력된다. 시트 반송 경로(353)는 스테이플링 또는 다른 마무리 처리가 가능하지 않다. 스테이플링 등의 마무리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 시트는 시트 반송 경로(354)를 통해 처리 유닛(355)으로 반송되며,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마무리 기능이 수행되고, 결과적인 시트가 배출 트레이(352)에 출력된다. 배출 트레이(351 및 352)의 양자 모두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배출 트레이(351)는, 처리 유닛(355)에 의해 마무리 처리가 부여된 시트가 배출 트레이(351) 위에 적재되도록 하강될 수 있다. 새들 스티치 제본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새들 스티치 처리 유닛(356)이 시트의 중심에 스테이플 처리를 적용한다. 이어서, 시트는 절반으로 접히고, 시트 반송 경로(357)를 통해서 새들 스티치 제본 트레이(358)에 출력한다. 새들 스티치 제본 트레이(358)는 벨트 반송부로서 구성된다. 새들 스티치 제본에 의해 제본된 번들은 새들 스티치 제본 트레이(358)에 적재되어 좌측으로 반송된다.
검증 장치(109)는 미리 설정된 검증 항목에 기초하여 인쇄 장치(107)에 의해 인쇄된 시트 화상을 검증한다. 인쇄 시트 화상을 미리 설정된 정답 화상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서, 시트 화상이 검증된다. 화상을 비교하기 위한 방법의 예는 각각의 화상 위치에서의 화소값을 비교하고, 에지 검출을 통해 피사체 위치를 비교하며, 광학 문자 인식(OCR)을 통해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검증 항목의 예는 기록 위치의 오정렬, 화상 색, 화상 농도, 줄무늬, 흔들림 및 누락을 포함한다.
도 4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정답 화상을 등록하는 처리의 절차 및 화상 검증 처리 절차를 설명한다.
도 4a는 정답 화상을 등록할 때 외부 컨트롤러(102)에 의해 수행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a의 흐름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HDD(210)에 저장되고, 메모리(209)에 판독되며, CPU(208)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 S4001에서, 외부 컨트롤러(102)는, N부의 인쇄 작업의 인쇄 지시를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4001에서, N부의 인쇄 작업의 인쇄 지시가 수신된 경우(단계 S400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4002로 진행한다. 단계 S4002에서, 외부 컨트롤러(102)는, 인쇄 장치(107)에 N부의 인쇄 데이터를 투입하고, 인쇄 장치(107)에 인쇄의 수행을 지시한다.
도 4b는 정답 화상을 등록할 때 인쇄 장치(107)에 의해 수행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b의 흐름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HDD(221)에 저장되고, 메모리(223)에 판독되며, CPU(222)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 S4003에서, 인쇄 장치(107)는, 외부 컨트롤러(102)로부터 인쇄 지시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S4003에서, 외부 컨트롤러(102)로부터 인쇄 지시를 수신한 경우(단계 S400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4004로 진행된다. 단계 S4004에서, 인쇄 장치(107)는 외부 컨트롤러(102)로부터 수신된 작업을 인쇄한다. 외부 컨트롤러(102)로부터 수신된 작업은, 화상 데이터 이외에, 시트 공급원 및 배출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인쇄 장치(107)는, 외부 컨트롤러(102)로부터 수신된 작업의 내용에 기초하여, 통신 케이블(254)을 통해서 인서터(108), 검증 장치(109), 대용량 스태커(110), 및 피니셔(111)를 제어한다.
도 5는 정답 화상을 등록할 때 검증 장치(109)에 의해 수행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의 흐름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메모리(239)에 저장되고 검증 장치(109)의 CPU(238)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 S501에서, 검증 장치(109)는 인쇄 설정(설정값)을 취득한다. 단계 S501에서 취득되는 설정값은, 정답 화상을 생성할 때 화소값을 평균화하기 위한 1부당 시트의 수, 검증될 면(들), 및 1시트당 화상의 수를 포함한다. 단계 S502에서, 검증 장치(109)는 시트가 검증 장치(109)에 반송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S502에서 시트가 반송되면(단계 S502에서 예), 처리는 단계 S503으로 진행된다. 단계 S503에서, 검증 장치(109)는, CIS(331 및 332)를 사용하여 시트 상의 화상을 판독하고, 그 화상을 검증 장치(109)의 메모리(239)에 저장한다. 단계 S504에서, 검증 장치(109)는, 화상이 단계 S501에서 취득된 시트의 수만큼 판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504에서, 화상이 아직 시트의 수만큼 판독되지 않은 경우(단계 S504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502로 진행된다. 화상이 시트의 수만큼 판독된 경우(단계 S504에서 예), 처리는 단계 S505으로 진행된다.
단계 S505에서, 검증 장치(109)는 단계 S503에서 판독된 화상의 프리뷰 표시를 검증 장치(109)의 표시 유닛(241)에 제공하기 위한 프리뷰 화상을 생성한다. 단계 S506에서, 검증 장치(10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과 함께 표시 유닛(241)에 프리뷰 화상을 표시하도록 표시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표시되는 UI 화면의 상세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단계 S507에서, 검증 장치(109)는 모든 판독 화상이 UI 화면 상의 정답 화상으로서의 사용을 위해 접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독 화상 모두가 접수된 경우(단계 S507에서 예), 처리는 단계 S508로 진행된다. 단계 S508에서, 검증 장치(109)는, 복수의 인쇄 페이지의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화소의 화소값을 평균화함으로써 정답 화상을 생성한다.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507에서, 판독 화상의 일부가 정답 화상으로서의 사용을 위해 접수되지 않은 경우(단계 S507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509로 진행된다. 단계 S509에서, 검증 장치(109)는, UI 화면에서 추가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선택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추가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선택이 행해진 경우(단계 S509에서 예), 처리는 단계 S501로 진행된다. 아니면(단계 S509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508로 진행된다. 이하,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단계 S509에서의 UI 화면의 표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검증 처리를 수행할 때에 검증 장치(109)에 의해 수행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의 흐름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메모리(239)에 저장되고 검증 장치(109)의 CPU(238)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 S601에서, 검증 장치(109)는 검증 종료 지시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13의 검증 종료 버튼(1303)이 선택되면, 단계 S601의 판정은 예이다. 단계 S601에서, 검증 종료 지시가 수신된 경우(단계 S601에서 예), 검증 장치(109)의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601에서, 검증 종료 지시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단계 S60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602로 진행된다.
단계 S602에서, 검증 장치(109)는 시트가 검증 장치(109)에 반송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02에서 시트가 반송되지 않은 경우(단계 S602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601로 진행된다. 단계 S602에서, 시트가 반송되는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602에서 예), 처리는 단계 S603로 진행된다. 단계 S603에서, 검증 장치(109)는 CIS(331 및 332)를 사용하여 시트 상의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 화상을 검증 장치(109)의 메모리(239)에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된 화상은 도 13의 표시부(1301)에 표시된다.
단계 S604에서, 검증 장치(109)는 단계 S603에서 판독된 화상을 정답 화상과 비교한다. 정답 화상은 도 7의 버튼(703)을 사용하여 검증 장치(109)에 등록된 설정에 기초한다. 단계 S604에서 비교될 항목들은 도 12의 설정부(1201)에서 설정된 검증 레벨 및 도 12의 설정부(1202)에서 설정된 검증 종류를 포함한다. 단계 S605에서, 검증 장치(109)는, 단계 S604에서의 정답 화상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판독 화상이 정상 화상 또는 결함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05의 처리에서, 검증 장치(109)는 판독 화상이 정답 화상의 화질을 만족하는 화질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05에서, 판독 화상이 정상 화상(검증 성공)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단계 S6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606로 진행된다. 단계 S606에서, 검증 장치(109)는 검증 결과가 "통과"된 것을 검증 장치(109)의 표시 유닛(241) 상에 표시한다. 도 13은 단계 S606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단계 S607에서, 검증 장치(109)는 인쇄 시트를 대용량 스태커(110)의 적재 트레이(341)에 배출하도록 인쇄 장치(107)에 지시한다. 여기에서 시트가 배출되는 배출처는 도 15의 설정부(1503)에서 설정된 배출처이다. 인쇄 장치(107)는, 검증 장치(109)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시트를 적재 트레이(341)에 배출하도록 대용량 스태커(110)에 지시한다. 처리는 단계 S601로 진행되어 계속된다.
단계 S605에서, 판독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함 화상(검증 실패)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단계 S605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608로 진행된다. 단계 S608에서, 검증 장치(109)는 검증 결과가 "실패"인 것을 검증 장치(109)의 표시 유닛(241) 상에 표시한다. 도 14는 단계 S608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단계 S609에서, 검증 장치(109)는 인쇄 시트를 대용량 스태커(110)의 탈출 트레이(346)에 배출하도록 인쇄 장치(107)에 지시한다. 여기에서 시트가 배출되는 배출처는 검증 실패의 경우의 배출처이며, 도 15의 설정부(1503)에서 설정된다. 인쇄 장치(107)는, 검증 장치(109)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시트를 탈출 트레이(346)에 배출하도록 대용량 스태커(110)에 지시한다. 처리는 단계 S601로 진행되어 계속된다.
도 7 내지 도 15는 검증 장치(109)의 표시 유닛(24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UI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표시 화면은 검증 장치(109)의 CPU(238)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표시된다.
도 7은 검증 장치(109)가 기동될 때 검증 장치(109)의 표시 유닛(241)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표시부(701)는, 정답 화상이 등록되어 있지 않고, 검증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정답 화상이 등록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정답 화상이 등록된 경우, 표시부(701)는 검증을 개시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표시부(702)는 등록된 정답 화상을 표시한다. 도 7에서, 표시부(702)는, 정답 화상이 등록되지 않았기 때문에, 등록의 부재를 표시한다. 표시부(702)는, 정답 화상 이외에, 분리기 시트 설정과 같은 검증 설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버튼(703)은 정답 화상 등록 화면을 호출하도록 의도된다. 정답 화상은 검증 장치(109)에 의해 판독된 화상과 비교될 화상이다. 육안 관찰에 의해 또는 검증 장치(109)에 의해 미리 정상이라고 판정된 인쇄 시트를 판독함으로써 취득된 화상이 정답 화상으로서 사용된다. 버튼(706)은 검증 설정 화면을 호출하도록 의도된다. 사용자의 검증 목적에 따라, 검증 항목 및 검증 정밀도(정답 화상과의 차이가 어느 정도에서 판독 화상을 결함 화상이라고 판정할 것이지)가 설정된다. 버튼(707)은 검증의 개시를 지시하도록 의도된다. 검증이 개시되면, 검증 장치(109)는 반송된 시트의 화상(시트 화상)의 검증을 개시한다.
도 8은 정답 화상을 등록할 때에 검증 장치(109)의 표시 유닛(241)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의 표시 화면은 도 7의 버튼(703)이 선택될 때 표시된다. 설정부(801)는 검증될 인쇄 작업의 1부당의 시트의 수를 설정하도록 의도된다. 검증될 인쇄 작업의 1부당의 시트의 수가 2 이상인 경우, 검증 장치(109)는 각각의 면에 대해 복수의 화상을 정답 화상으로서 등록할 수 있다.
설정부(802)는 검증될 면(들)을 설정하도록 의도된다. 검증 장치(109)가 양면, 또는 전면이나 이면만을 검증하는지를 설정할 수 있다. 시트가 한 면에만 인쇄되는 경우에도, 인쇄되지 않은 면에 티끌이 없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양면이 검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설정부(803)는 평균화된 정답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시트 화상이 취득되는지를 설정할 수 있다. 버튼(804)은 정답 화상을 등록하는 지시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버튼(804)이 눌러진 후에, 검증 장치(109)는 정답 화상이 인쇄된 반송된 시트의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 화상 또는 평균화된 화상을 정답 화상으로서 등록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PC(103)는 정답 화상 데이터를 외부 컨트롤러(102)에 송신할 수 있고, 인쇄 장치(107)에 의해 인쇄된 정답 화상을 검증 장치(109)에 의해 판독할 수 있다. 정답 화상이 인쇄된 시트는 인서터(108)로부터 삽입될 수 있고 검증 장치(109)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도 9는 정답 화상의 판독 중에 검증 장치(109)의 표시 유닛(241)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되는 화면은 도 8의 버튼(804)이 눌러질 때 표시된다. 이 화면은 설정부(801 및 803)에서 설정된 수의 시트가 판독될 때까지 표시된다. 버튼(901)은 정답 화상의 판독을 정지시키는 지시를 부여하도록 의도된다. 버튼(901)이 눌러지면, 표시 화면은 정답 화상을 등록하지 않고 도 7의 표시 화면으로 복귀한다.
도 10은 정답 화상의 판독이 완료된 후에 검증 장치(109)의 표시 유닛(241)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표시부(1001)는 검증 장치(109)에 의해 판독된 인쇄 시트의 프리뷰 화상을 표시한다. 복수의 프리뷰 화상이 존재하는 경우, 표시된 화상은 전환 버튼(1002)을 사용하여 전환된다. 전면 및 이면 모두가 검증되는 경우, 면들은 전환 버튼(1003)을 사용하여 전환될 수 있다. 티끌 및 줄무늬에 대해 판독 화상을 확인하기 위해, 화상 줌 인/아웃 버튼(1004)을 사용하여 티끌 및 줄무늬에 대해 화상 전체 및 상세를 관찰한다. 화상이 확대된 후에, 표시 영역은 이동 화상 버튼(1009)을 조작함으로써 이동될 수 있다. 조작 버튼(1002, 1003, 1004 및 1009)은 단지 예이며, 이러한 조작은 조작 버튼(1002, 1003, 1004 및 1009)을 표시하지 않고 플릭, 핀치 및 스와이프와 같은 제스처 조작에 할당될 수 있다.
버튼(1005)은, 표시부(1001)의 판독 화상이 관찰된 후에,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정답 화상의 후보 화상으로서 사용하는 지시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버튼(1005)을 누름으로써 사용되도록 선택되는 복수의 취득된 화상 내의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된 화소의 화소값의 평균을 산출함으로써 정답 화상이 생성된다. 버튼(1006)은,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정답 화상의 후보 화상으로서 사용하지 않는 지시, 즉 평균화 처리에서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사용하지 않는 지시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버튼(1006)이 눌러진 취득된 화상은 간단히 폐기되고 정답 화상을 생성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하나의 화상만이 정답 화상으로서 사용되도록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화상은 정답 화상으로서 등록된다. 복수의 화상이 정답 화상으로서 사용되도록 선택되는 경우, 주 화상이 복수의 선택된 화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정답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처리가 선택된 주 화상에 대해 더 높은 가중치로 수행될 수 있다.
버튼(1007)은 취득된 모든 화상을 정답 화상으로서 동시에 이용하는 지시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버튼(1008)은 취득된 모든 화상을 폐기하고 정답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취득된 화상 중 어떠한 것도 사용하지 않는 지시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버튼(1007)이 눌러진 경우 또는 버튼(1005 또는 1006)이 취득된 화상 각각에 대해 선택된 경우, 표시 화면은 도 11a의 표시 화면으로 진행된다.
도 11a는 정답 화상 또는 화상들의 등록 후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정답 화상(들)의 등록 전의 도 7의 표시 화면과 달리, 표시부(701)는 정답 화상(들)이 등록되었다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표시부(702)는 등록된 정답 화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되는 정답 화상은, CIS(331 및 332)에 의해 판독된 복수의 시트 화상에서의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화소의 화소값을 평균화함으로써 생성된다.
버튼(1101)은 등록된 정답 화상(들)을 클리어하도록 의도된다. 정답 화상(들)이 클리어되면, 표시 화면은 도 7의 표시 화상으로 복귀한다. 버튼(1102)은 추가적인 정답 화상을 등록하도록 의도된다. 취득된 화상 중 일부가 도 10의 화면 상에서 폐기되고 사용자가 추가적인 정답 화상 후보를 취득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버튼(1102)을 누름으로써 추가적인 정답 화상 후보가 취득될 수 있다. 버튼(1102)이 눌러지면, 표시 화면은 도 11b의 표시 화면으로 진행된다.
도 11b는 추가적인 정답 화상의 등록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추가 페이지 지정부(1107)는 취득될 추가 페이지를 지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개별 페이지 추가 버튼(1108)은, 추가 페이지 지정부(1107)에서 지정된 추가 페이지를 취득하는 지시를 제공하기 위한 버튼이다. 모든 페이지 동시 추가 버튼(1103)은 모든 페이지를 동시에 추가로 취득하는 지시를 제공하기 위한 버튼이다. 표시부(1104)는 버튼(1108 또는 1103)을 사용하여 지정된, 추가로 취득될 페이지(들)를 표시한다. 추가 화상 수 지정부(1105)는, 추가로 취득되도록 지정된 각각의 페이지에 대해 화상을 얼마나 취득할지를 지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취득 개시 버튼(1106)은 추가 화상의 취득을 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취득 개시 버튼(1106)이 눌러지고 지정된 수의 화상이 취득된 경우, 표시 화면은 도 10의 표시 화면으로 진행된다.
도 12는 검증 설정을 행할 때에 검증 장치(109)의 표시 유닛(241)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2의 표시 화면은 도 7의 버튼(706)이 눌러질 때에 표시된다. 설정부(1201)는 검증 레벨을 설정하도록 의도된다. 검증 정밀도는 설정부(1201)에서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검증 레벨이 높을수록, 검증 장치(109)가 판독 화상을 결함 화상으로 판정하는, 정답 화상과 판독 화상 사이의 차이는 작아진다.
설정부(1202)는 검증 종류를 설정하도록 의도된다. 검증 항목은 사용자의 검증 목적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 12는, 위치, 색, 줄무늬 및 누락이 검증될 항목이고, 농도는 아닌 것을 나타낸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검증 종류는 일례일뿐이다.
도 13은 검증의 개시 후에 검증 장치(109)의 표시 유닛(241)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3의 표시 화면은 도 7의 버튼(707)이 눌러질 때 표시된다. 표시부(1301)는 검증 장치(109)에 의해 마지막으로 판독된 인쇄 시트의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부(1302)는 표시부(1301)의 판독 화상을 그 정답 화상과 비교함으로써 취득된 판정 결과를 표시한다. 도 13의 예에서, 표시부(1302)는 판독 화상이 정상 화상인 것으로 판정되기 때문에 "통과"를 표시한다. 검증 종료 버튼(1303)은 검증을 종료하는 지시를 제공하기 위한 버튼이다. 검증 종료 버튼(1303)이 눌러지면, 검증 장치(109)는 검증 처리를 종료하고, 표시 화면은 도 7의 표시 화면으로 복귀한다.
도 14는 마지막으로 판독된 화상이 결함 화상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의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표시부(1301)에 표시된 판독 화상은 정답 화상과 비교되고 결함 화상인 것으로 판정되었기 때문에, 표시부(1302)는 "실패", 및 또한 판독 화상이 실패인 것으로 판정된 요인 및 그 위치를 표시한다. 도 14는 줄무늬(1405)가 검출되기 때문에 판독 화상이 결함 화상인 것으로 판정된 것을 나타낸다.
도 15는 외부 컨트롤러(102)의 디스플레이(212)에 표시되는 검증 작업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4는 검증 장치(109)에 대한 검증 설정을 행할 때의 화면의 예를 나타내지만, 정답 화상의 인쇄 시트 및 검증될 인쇄 시트를 검증 장치(109)에 송신하는 지시는 외부 컨트롤러(102)로부터 발행된다. 대신에, 이러한 검증 작업 설정은 검증 장치(109)의 표시 유닛(241)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설정부(1501)는 작업의 부수를 설정하도록 의도된다. 도 15에서, 작업은 1000부 인쇄되도록 설정된다. 도 15의 예에서는, 1부는 1 페이지를 포함하며, 1개의 작업은 1000 페이지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1부는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1503)는 검증을 위한 작업(이하, 검증 작업이라 칭함)의 배출처를 설정하도록 의도된다. 여기서, 대용량 스태커(110)는 배출처로서 설정되고, 판독 화상이 검증(검증 실패)에 의해 결함 화상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의 배출처로서 탈출 트레이(346)가 설정된다. 이러한 설정 이외에, 검증 성공 및 검증 실패 모두의 경우의 배출처로서 동일한 트레이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시되지 않은 검증 결과의 리스트에 기초하여 나중에 검증 실패의 인쇄 시트를 수동으로 제거한다. 대안적으로, 모든 시트가 동일한 트레이에 배출되는 경우, 검증 성공의 인쇄 시트 및 검증 실패의 인쇄 시트가 상이한 위치에 배출될 수 있으며, 검증 실패의 인쇄 시트는 나중에 제거될 수 있다.
표시부(1504) 및 버튼(1505)은 검증 작업을 N부 인쇄하는 지시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사용자가 도 8의 버튼(804)으로부터 정답 화상의 등록을 개시하도록 검증 장치(109)에 지시한 후에, 외부 컨트롤러(102)의 표시부(1504) 및 버튼(1505)을 사용하여 검증 작업을 N부 인쇄하는 지시를 제공하는 경우, 인쇄 장치(107)는 인쇄 처리를 행하고, 검증 장치(109)는 정답 화상을 판독한다. 대안적으로, 검증 장치(109)는, 도 8의 설정부(803)의 버튼이 눌러졌을 때와 동시에, 통신 케이블(254) 및 내부 LAN(105)을 통해 검증 작업을 N부 인쇄하는 지시를 외부 컨트롤러(102)에 자동으로 발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검증 장치(109)는,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정답 화상을 취득할 때, 버튼(1106)이 눌려지는 때와 동시에 외부 컨트롤러(102)에 특정 페이지 또는 페이지들을 추가로 인쇄하는 지시를 발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튼(1508)은 검증 작업의 인쇄를 개시하는 지시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인쇄를 개시하는 지시가 버튼(1508)의 선택에 의해 제공되면, 외부 컨트롤러(102)는 도 15의 설정에 기초하여 검증 작업을 인쇄 장치(107)에 투입한다. 사용자는 도 7의 버튼(707)을 선택함으로써 검증 장치(109)에 검증을 개시하도록 지시하고, 이후 버튼(1508)을 사용하여 외부 컨트롤러(102)에 검증 작업의 인쇄를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따라서, 외부 컨트롤러(102)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 장치(107)에 투입하고, 인쇄 시트를 검증 장치(109)에 반송하도록 인쇄 장치(107)에 지시한다. 검증 장치(109)는 반송된 인쇄 시트의 화상을 판독하고, 검증 처리를 수행한다. 대안적으로, 외부 컨트롤러(102)는, 외부 컨트롤러(102)가 버튼(1508)의 누름에 의한 검증 작업의 인쇄 개시를 지시할 때, 검증 장치(109)에 검증을 개시하도록 지시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검증 장치(109)는, 정답 화상이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 컨트롤러(102)에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정답 화상이 등록되지 않은 경우 외부 컨트롤러(102)는 인쇄를 개시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답 화상의 등록 동안 CIS(331 및 332)에 의해 판독 화상은 UI 화면 상에 프리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인쇄 시트를 시각적으로 관찰하는 것뿐만 아니라, CIS(331 및 332)에 의해 정답 화상이 정확하게 판독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인쇄된 정답 화상을 정답 화상 후보로서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정답 화상을 등록할 때 UI 화면 상에 프리뷰 표시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정답 화상이 정확하게 판독되는지의 여부를 자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이 가루에 기인하는 줄무늬로 인한 판독 불량에 대해 모든 정답 화상을 프리뷰하고 확인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번거롭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CIS(331 및 332)에 의한 정답 화상들의 판독 동안의 화상 처리에 의해 판독 불량의 발생이 검출된다. 판독 불량이 검출되는 정답 화상은 프리뷰 표시로부터 자동으로 제외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정답 화상의 등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가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상세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것과 유사한 구성 및 처리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고유한 것만을 설명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답 화상을 등록할 때의 검증 장치(109)의 절차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도 6의 절차와 상이하다. 도 16은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정답 화상을 등록할 때의 검증 장치(109)의 절차를 도시한다. 도 16은 검증 처리를 행할 때에 검증 장치(109)에 의해 수행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의 흐름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메모리(239)에 저장되고 검증 장치(109)의 CPU(238)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 S1601에서, 검증 장치(109)는 인쇄 설정을 취득한다.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계 S1601에서 취득된 인쇄 설정은 정답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1부당 시트의 수, 검증될 면(들), 및 평균화될 1시트당 화상의 수를 포함한다. 정답 화상의 등록으로부터 줄무늬를 포함하는 판독 화상을 자동으로 제외할지의 여부가 또한 설정될 수 있다. 후술하는 단계 S1610으로부터 피드백될 때, 인쇄될 시트의 수는 단계 S1610에서 사용되도록 이미 설정된 판독 화상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인쇄될 시트의 수는 등록된 정답 화상의 수의 부족분과 동일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정답 화상의 등록 후보로부터 줄무늬를 포함하는 판독 화상을 자동으로 제외하는 설정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외하는 설정이 없으면,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유사하다.
단계 S1602에서, 검증 장치(109)는 시트가 검증 장치(109)로 반송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S1602에서 시트가 반송되면(단계 S1602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603으로 진행된다. 단계 S1603에서, 검증 장치(109)는 CIS(331 및 332)를 사용하여 시트 상의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 화상을 검증 장치(109)의 메모리(239)에 저장한다. 단계 S1604에서, 검증 장치(109)는 메모리(239)에 저장된 판독 화상에 대하여 결함 화상 검출 처리를 수행하여 결함 정보를 생성한다. 결함 화상 검출 처리에 의해 검출되는 결함의 예는 종이 가루로 인한 부유 줄무늬 및 고정 줄무늬를 포함한다. 도 20a는 부유 줄무늬를 포함하는 화상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0b는 원고의 세로선을 도시한다. 부유 줄무늬를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서 종래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독 화상에 필터링 처리를 적용하여, 예상되는 줄무늬 폭을 갖는 세로선을 검출한다. 이어서, 주주사 방향의 근방 화소로부터의 검출된 세로선의 휘도값의 변화량 및 부주사 방향의 근방 화소로부터의 검출된 세로선의 휘도값의 변화량을 산출한다. 화소가 줄무늬에 속하는지의 여부는 산출 및 부주사 방향에 대한 연속성으로부터 판정될 수 있다.
도 18은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표를 도시한다. 결함 정보는 각각의 판독 화상에 대해 관리되는 플래그를 포함한다. 판독시 화상이 종이 분말로부터 발생하는 줄무늬를 포함하는 경우 플래그는 1로 설정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일뿐이다. 플래그는 화상 정보의 헤더 영역을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화상 정보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6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1605에서, 검증 장치(109)는 판독 화상에 관한 결함 정보를 취득하고, 판독 화상이 결함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독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함 화상인 경우(단계 S16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607로 진행된다. 판독 화상이 결함 화상이 아닌 경우(단계 S1605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606으로 진행된다. 단계 S1606에서, 검증 장치(109)는 단계 S1603에서 판독된 화상을 검증 장치(109)의 표시 유닛(241)에 프리뷰하기 위한 프리뷰 화상을 생성한다. 단계 S1607에서, 검증 장치(109)는 단계 S1601에서 취득된 시트의 수만큼 화상이 판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607에서, 화상이 아직 시트의 수만큼 판독되지 않은 경우(단계 S1607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602로 진행된다.
단계 S1608에서, 검증 장치(109)는, 단계 S1606에서 생성된 프리뷰 화상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생성하고, UI 화면을 표시 유닛(241)에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되는 UI 화면의 상세는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S1609에서, 검증 장치(109)는, 검증 장치(109)가 모든 판독 화상을 정답 화상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지를 UI 화면으로부터 지시받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검증 장치(109)가 모든 판독 화상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지시받은 경우(단계 S1609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610으로 진행된다. 아니면(단계 S1609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609로 진행된다.
단계 S1610에서, 검증 장치(109)는, UI 화면에서 사용되도록 설정된 판독 화상의 수가 취득될 정답 화상의 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사용되도록 설정된 판독 화상의 수가 취득될 정답 화상의 수에 도달하면(단계 S1610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611로 진행된다. 단계 S1611에서, 검증 장치(109)는 판독 화상을 평균화함으로써 정답 화상을 생성한다.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1610에서, 사용되도록 설정된 판독 화상의 수가 취득될 정답 화상의 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단계 S1610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601로 진행된다. 처리는 단계 S1610에서의 판정에 기초하여 부족한 만큼 추가 화상을 인쇄하는 절차로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절차는 단계 S1605에서 판독 화상이 결함 화상인 것으로 결정된 직후에 부족 화상이 추가로 인쇄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또한, 결함 화상 검출 처리에 의해 결함인 것으로 판정된 인쇄물은 정상인 것으로 판정된 인쇄물과는 상이한 배출 트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판독 화상이 사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특정하기 위해 표시되는 후술되는 프리뷰 화상과의 상관을 향상시키고, 더 직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도 19는 정답 화상의 판독이 완료된 후에 검증 장치(109)의 표시 유닛(241)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표시부(1900)는 검증 장치(109)에 의해 판독된 인쇄 시트의 프리뷰 화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되는 화상은, 결함 화상 검출 처리에 의해 결함 화상인 것으로 판정된 화상이 제외된다는 점에서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표시되는 화상과는 상이하다. 여기서, 표시부(1900)는 프리뷰 화상(1901, 1902, 및 1903)을 표시한다. 표시부(1900)는 일례로서 3개의 프리뷰 화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리뷰 화상(1901)은 1부째의 인쇄물의 프리뷰 화상이다. 프리뷰 화상(1902)은 2부째의 인쇄물의 브리뷰 화상이다. 프리뷰 화상(1903)은 4부째의 인쇄물의 프리뷰 화상이다. 본 예에서, 3부째의 인쇄물은 판독시에 부유 줄무늬의 발생에 의해 결함 화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정보 표시부(1910)는 결함 화상 검출 처리에 의해 정답 화상 후보로부터 자동으로 제외된 판독 화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지시 버튼(1904 내지 1909)은, 사용자가, 표시부(1900)의 프리뷰 화상을 확인한 후에, 현재 표시되는 프리뷰 화상에 대응하는 판독 화상을 정답 화상 후보로서 사용할지의 여부를 지정하도록 의도된다. 지시 버튼(1904 및 1905)은 프리뷰 화상(1901)에 대응하는 판독 화상을 정답 화상 후보로서 사용할지의 여부를 지정하도록 의도된다. 프리뷰 화상(1902)에 대해서는 지시 버튼(1906 및 1907)이 유사한 버튼이고, 프리뷰 화상(1903)에 대해서는 지시 버튼(1908 및 1909)이 유사한 버튼이다. 지시 버튼(사용 버튼)(1904, 1906 및/또는 1908)이 눌러지면, 대응하는 판독 화상이 정답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평균화된다. 지시 버튼(미사용 버튼)(1905, 1907, 및/또는 1909)이 눌러지면, 대응하는 판독 화상은 단순히 폐기되고 정답 화상으로서 사용되지 않는다. 판독 화상에 대해 사용 버튼 및 미사용 버튼 중 어느 것도 눌리지 않는 경우, 판독 화상은 정답 화상을 생성할 때에 디폴트 설정(예를 들어, 사용)에 기초하여 취급된다.
모든 표시가능한 프리뷰 화상의 사용 유무가 지정된 경우, 표시 화면은 도 11a의 표시 화면으로 진행된다. 도 19는 판독된 정답 화상 후보를 하나씩 도시하지만, 평균화된 정답 화상이 관찰을 위해 표시될 수 있다. 정답 화상 후보 및 평균화된 정답 화상 모두가 관찰을 위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답 화상의 등록 동안 CIS(331 및 332)에 의해 판독된 화상에 대해 결함 화상 검출 처리가 수행되고, 판독 동안 발생하는 결함 화상은 프리뷰 화상으로부터 제외될 수 있다. 이는 관찰을 위한 사용자의 시간과 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 칭할 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화상 형성 장치이며,
    기록 시트에 화상을 인쇄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유닛;
    상기 기록 시트에 인쇄된 상기 화상을 판독하도록 구성되는 판독 유닛;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판독된 상기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제어 유닛;
    상기 표시 제어 유닛에 의해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된 상기 화상을 정답 화상으로서 사용하는 지시를 접수하도록 구성되는 접수 유닛;
    상기 접수 유닛에 의해 상기 사용 지시가 접수된 상기 화상 또는 상기 화상으로부터 생성된 화상을 상기 정답 화상으로서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등록 유닛; 및
    상기 인쇄 유닛에 의해 인쇄된 화상을 상기 등록 유닛에 의해 등록된 상기 정답 화상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인쇄 화상을 검증하도록 구성되는 검증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 유닛은, 상기 표시 제어 유닛에 의해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된 상기 화상 중 상기 정답 화상으로서 사용되지 않는 화상을 접수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유닛은 상기 접수 유닛에 의해 상기 사용 지시가 접수된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생성된 화상을 상기 정답 화상으로서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유닛은 상기 복수의 화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된 화소의 화소값의 평균을 산출함으로써 생성되는 정답 화상을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유닛은 접촉 이미지 센서(CIS)인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유닛은 상기 인쇄 유닛에 의해 인쇄된 상기 화상이 상기 정답 화상의 화질을 만족하는 화질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유닛은 상기 접수 유닛에 의해 상기 정답 화상으로서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접수된 화상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시트에 추가 화상을 인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독 유닛은 상기 기록 시트에 인쇄된 상기 화상을 판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은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판독된 상기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접수 유닛은 상기 정답 화상으로서 사용될 화상을 접수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화상 형성 방법이며,
    화상을 기록 시트에 인쇄하는 인쇄 단계;
    상기 기록 시트에 인쇄된 상기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단계;
    상기 판독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된 상기 화상을 정답 화상으로서 사용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단계;
    상기 사용 지시가 접수된 상기 화상 또는 상기 화상으로부터 생성된 화상을 상기 정답 화상으로서 등록하는 등록 단계; 및
    인쇄 화상을 상기 등록된 정답 화상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인쇄 화상을 검증하는 검증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 단계는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된 화상 중에서 상기 정답 화상으로서 사용되지 않는 화상을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지시가 접수된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생성되는 화상이 상기 정답 화상으로서 등록되는 화상 형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단계는 상기 복수의 화상 내의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된 화소의 화소값의 평균을 산출함으로써 생성되는 정답 화상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방법.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단계는 접촉 이미지 센서(CIS)에 의해 수행되는 화상 형성 방법.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단계는 상기 인쇄 단계에 의해 인쇄된 상기 기록 시트에 인쇄된 상기 화상을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방법.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단계는, 상기 인쇄 화상이 상기 정답 화상의 화질을 만족하는 화질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 화상으로서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접수된 화상의 수에 기초하여 추가 화상이 상기 기록 시트에 인쇄되며, 상기 기록 시트에 인쇄된 상기 화상이 판독되고, 상기 판독 화상이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되며, 상기 정답 화상으로서 사용될 화상이 접수되는 화상 형성 방법.
  16. 컴퓨터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유닛들로서 기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기록 매체.
KR1020200137980A 2019-10-28 2020-10-23 마스터 화상으로 인쇄 화상을 검증하는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2100504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95551A JP7418081B2 (ja) 2019-10-28 2019-10-28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9-195551 2019-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468A true KR20210050468A (ko) 2021-05-07

Family

ID=7558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980A KR20210050468A (ko) 2019-10-28 2020-10-23 마스터 화상으로 인쇄 화상을 검증하는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418656B2 (ko)
JP (1) JP7418081B2 (ko)
KR (1) KR202100504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8081B2 (ja) * 2019-10-28 2024-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15756A (ja) * 2020-01-24 2021-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048841A (ja) * 2021-09-28 2023-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6873B2 (ja) * 1996-03-26 2005-11-16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紙葉類識別装置
US5999636A (en) * 1997-10-10 1999-12-07 Printprobe Technology, Llc Apparatus and process for inspecting print material
MC2479A1 (fr) * 1998-09-07 1999-04-27 Luigi Stringa Inspection automatique de la qualité d'impression par un modèle élastique
JP2001053973A (ja) * 1999-08-12 2001-02-23 Pfu Ltd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記録媒体
JP2005202469A (ja) * 2004-01-13 2005-07-28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271331A (ja) * 2004-03-24 2005-10-06 Fuji Xerox Co Ltd 画像検査装置
US20070201066A1 (en) * 2005-10-30 2007-08-30 Asa Ziv Density measurement, colorimetric data, and inspection of printed sheet using contact image sensor
JP2009115565A (ja) * 2007-11-06 2009-05-28 Dainippon Printing Co Ltd 打抜き片の検査装置
JP5531416B2 (ja) 2009-02-02 2014-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印刷検査方法
US20100195139A1 (en) * 2009-02-04 2010-08-05 Microsoft Corporation Print rendering verification
DE102010055974A1 (de) * 2010-12-23 2012-06-28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eines Klassenreferenzdatensatzes für die Klassifizierung von Wertdokumenten
JP2012161974A (ja) * 2011-02-07 2012-08-3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システム
JP5767963B2 (ja) * 2011-12-28 2015-08-26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外観検査装置、外観検査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DE102012215114B4 (de) * 2012-08-24 2015-03-19 Koenig & Bauer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Inspektion eines Druckerzeugnisses
JP6455016B2 (ja) * 2013-08-27 2019-01-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検査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検査方法
JP2018034469A (ja) * 2016-09-01 2018-03-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743661B2 (ja) * 2016-11-14 2020-08-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異常検知装置、管理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9041204A (ja) * 2017-08-24 2019-03-1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基準画像データ生成方法、印刷物の検査方法、及び基準画像データ生成システム
JP2019132966A (ja) * 2018-01-31 2019-08-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21972B2 (ja) * 2018-02-16 2022-02-17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検査装置、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および検査方法
JP2019193978A (ja) * 2018-05-01 2019-11-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0006603A (ja) * 2018-07-10 2020-01-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検査システム、画像検査方法、および画像検査プログラム
JP7327918B2 (ja) * 2018-09-25 2023-08-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検査システム、画像検査方法、および画像検査プログラム
JP7147436B2 (ja) * 2018-09-28 2022-10-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検査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検査装置用プログラム
JP7151347B2 (ja) * 2018-10-03 2022-10-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11830192B2 (en) * 2019-07-31 2023-11-28 The Joan and Irwin Jacobs Technion-Cornell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region detection in tissue sections using image registration
JP7466280B2 (ja) * 2019-09-05 2024-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検品装置と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418081B2 (ja) * 2019-10-28 2024-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43022B2 (ja) * 2019-10-28 202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29701A1 (en) 2022-10-13
US20210127018A1 (en) 2021-04-29
US11418656B2 (en) 2022-08-16
JP7418081B2 (ja) 2024-01-19
JP2021067914A (ja)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66280B2 (ja) 検品装置と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152837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to display a number of normal sheets together with a number of defective sheets
KR20210050468A (ko) 마스터 화상으로 인쇄 화상을 검증하는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및 저장 매체
US1128395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with image verification
US11451674B2 (en) 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for verifying print results in a plurality of sheet discharged destinations of different type
JP2024050927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822840B2 (en) Inspection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unnecessary abnormality determination on printed matter,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1142275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verifica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551343B2 (en)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48797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to verify target image using corrected image
US114899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sheet discharge control of a printed material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US118222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int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reprinting
US2023016885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20240073324A1 (en) Insp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US2022032767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2021045922A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44672A (ja) 検品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79596A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048244A (ja) 検品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検品システム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77937A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72778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14085A (ja) 画像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検品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049771A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検査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08423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7111424A (zh) 检查装置、其控制方法、存储介质以及图像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